KR101544268B1 -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 Google Patents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268B1
KR101544268B1 KR1020130112169A KR20130112169A KR101544268B1 KR 101544268 B1 KR101544268 B1 KR 101544268B1 KR 1020130112169 A KR1020130112169 A KR 1020130112169A KR 20130112169 A KR20130112169 A KR 20130112169A KR 101544268 B1 KR101544268 B1 KR 101544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over
handle
pipe
leg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024A (ko
Inventor
다쿠로 다나카
가즈히코 모리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3/00Other protecto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62J6/022Headlight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 B62J6/025Headlight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vertical adjustment of the light beam direction, e.g. to compensate for heavy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62J6/022Headlight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 B62J6/026Headlight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e.g.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62J6/022Headlight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 B62J6/027Supporting means therefor, e.g. mounting 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16Arrangement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이밍용의 광축 조정 나사를 조작하기 위한 공구 구멍의 배치나 형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핸들 커버의 외관 설계의 자유도 및 외관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구 감합부(54)와 공구 구멍(61)을 연결하는 공구의 축선(L3)이, 레그 실드(30)의 후방을 지나가도록, 핸들 커버에서의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의 하면부(38Ld)로서, 광축 조정 나사(53)의 공구 감합부(54)보다 후방의 위치에, 공구 구멍(61)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FRONT STRUCTURE FOR SADDLE-RIDE TYPE VEHICLE}
본 발명은,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동 리플렉터식의 헤드라이트가, 핸들 파이프를 덮는 핸들 커버 내에 배치되고, 핸들 커버 내에서 핸들 파이프에 고정된 브레이크용 리저버 탱크의 액면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이, 핸들 커버에 형성되는 자동 이륜차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자동 이륜차에서는, 상기 확인창으로부터 공구를 핸들 커버 내에 통과시킴으로써, 헤드라이트에 부착된 에이밍용의 광축 조정 나사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0-83202호 공보
그러나, 차량에 따라서는, 핸들 커버 내에 리저버 탱크를 배치하는 것이 아니거나, 리저버 탱크 자체를 구비하지 않는 것도 있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구조는, 리저버 탱크가 배치되지 않거나, 또는 필요로 하지 않는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에, 핸들 커버의 외관성을 손상할 우려가 있고, 확인창을 핸들 커버에 마련할 필요가 없는 차량에 대한 외관성에 대한 배려가 충분하지 않아, 외관성의 향상에 대해서 과제가 있다.
또한, 이 종래의 구조는, 리저버 탱크가 핸들 커버에 고정되는 차량을 전제로 하는 것이며, 확인창이 승차중인 운전자로부터 보이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외관성을 충분히 배려한 후에 액면의 확인창으로서, 또한 공구의 삽입 구멍으로서의 작업성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어, 이 창의 배치나 형상의 자유도가 한정되고, 핸들 커버의 외관 설계의 자유도가 한정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에이밍용의 광축 조정 나사를 조작하기 위한 공구 구멍의 배치나 형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핸들 커버의 외관 설계의 자유도 및 외관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헤드 파이프(11)와, 상기 헤드 파이프(11)를 덮고, 운전자의 다리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레그 실드(30)와, 상기 헤드 파이프(11)에 조향 가능하게 감합되는 스템 파이프(9)와, 상기 스템 파이프(9)의 상부에 부착되며, 운전자가 파지하는 핸들 파이프(12)와, 상기 핸들 파이프(12)를 덮고, 상기 핸들 파이프(12)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핸들 커버(31)와, 상기 핸들 커버(31) 내에 배치되고, 그 전면(前面)이 외측에 노출되며, 상기 핸들 파이프(12)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헤드라이트(36)와, 상기 헤드라이트(36) 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플렉터(51)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광축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공구와 감합하는 공구 감합부(54)가 상기 헤드라이트(36)의 후면부(50R)에 배치되는 광축 조정 나사(53)를 구비하고, 상기 광축 조정 나사(53)를 돌리기 위한 상기 공구를, 이 핸들 커버(31) 내부에 통과시키기 위한 공구 구멍(61)이 상기 핸들 커버(31)에 형성되는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핸들 커버(31)는, 상기 헤드라이트(36)를 덮는 헤드라이트 커버부(37)와, 상기 헤드라이트 커버부(37)로부터 상기 핸들 파이프(12)를 따라 좌우로 연장되는 좌우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 38R)를 구비하며, 상기 공구 구멍(61)은, 상기 공구 감합부(54)와 상기 공구 구멍(61)을 연결하는 공구의 축선(L3)이, 상기 레그 실드(30)의 후방을 지나가도록, 상기 좌우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 38R) 중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의 하면부(38Ld)에 있어서, 상기 광축 조정 나사(53)의 상기 공구 감합부(54)보다 후방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를 제공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핸들 커버(31)는 전반체(31F)와 후반체(31R)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라이트(36)는 상기 전반체(31F)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공구 구멍(61)은 상기 전반체(31F)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구 구멍(61)은, 상기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의 하면부(38Ld)에 형성되어 상방을 향해 움푹 들어간 오목부(63)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구 구멍(61)은, 상기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3)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의해, 측면에서 봤을 때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레그 실드(30)는, 그 후면이, 차폭 방향 중심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구 구멍(61)은, 상기 공구의 축선(L3)이, 후면에서 봤을 때 하방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공구 감합부(54)보다 차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레그 실드(30)는, 상기 공구의 축선(L3)을 따라 본 경우에, 상기 공구 구멍(61) 근방에 형성되는 능선(R)이, 상기 공구의 축선(L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능선(R)을 형성하는 상기 레그 실드(30)의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는, 종단면이 호형(弧形)으로 형성되고, 이 부위는, 이것보다 차폭 방향 내측에 있는 부위에 비해, 곡률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레그 실드(30)의 후면부에서의 차폭 방향 중앙을 사이에 두고 좌우 중 한쪽에, 키를 넣는 메인 스위치(65)가 마련되고, 상기 공구 구멍(61)은, 상기 메인 스위치(65)의 차폭 방향 중앙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공구 구멍이 핸들 커버의 하면부에 개구하여, 운전자에게 있어서 공구 구멍이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공구 구멍의 배치나 형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핸들 커버의 외관 설계의 자유도 및 외관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구의 축선이 레그 실드의 후방을 지나가도록 공구 구멍을 형성했기 때문에, 운전자가 승차 위치측에 있으면서 광축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광축 조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공구 구멍을 전반체에 개구시켰기 때문에, 운전자측으로부터 공구 구멍을 더 보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또한 공구 감합부와 공구 구멍의 위치 관계의 변동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공구 구멍과 광축 조정 나사의 공구 감합부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공구를 공구 감합부에 감합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공구 구멍이 측면에서 봤을 때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핸들 커버의 외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공구의 축선과 레그 실드의 후면의 거리를 확보하기 쉽게 할 수 있어,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공구의 축선과 레그 실드의 후면의 거리를 확보하기 쉬워,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손이 닿을 가능성이 높은 부위에서의 손의 감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손과 키의 간섭을 신경 쓰지 않고, 광축 조정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조가 적용된 자동 이륜차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자동 이륜차의 후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자동 이륜차의 차량 전방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자동 이륜차의 차량 전방부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2의 선 B-B를 따라 화살표 B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차량 전방부에 형성되는 공구 구멍을 지나는 공구의 축선을 따라 상기 자동 이륜차의 차량 전방부를 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하는 도면에서,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을 나타내고, 화살표 UP는 차량 상방을 나타내며, 화살표 LH는 차량 왼쪽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가 적용된 스쿠터형의 자동 이륜차(1)를 도시하고, 이 자동 이륜차(1)는 엔진(2) 및 동력 전달 기구(3)를 포함하는 스윙 유닛(4)을 구비하고 있다. 스윙 유닛(4)의 후방부에는 후륜(5)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윙 유닛(4)의 전방에는 전륜(6)이 배치되어 있다. 전륜(6)은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포크(7)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좌우의 프론트 포크(7)의 상부에 브리지(8)가 가설되고, 브리지(8)의 차폭 방향 중앙에 스템 파이프(9)가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 스템 파이프(9)는 차체 프레임(10)의 전단에 마련된 헤드 파이프(11)에 조향 가능하게 감합 지지되고, 이에 의해 프론트 포크(7)가 헤드 파이프(11)에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템 파이프(9)의 상부에는, 운전자가 파지하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파이프(1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L1은, 스템 파이프(9)를 따라 연장되는 조향 축선을 나타내고 있다.
차체 프레임(10)은, 헤드 파이프(11)와, 헤드 파이프(11)로부터 후측 하방을 향해 연장되고, 그 후 만곡하여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13)과, 메인 프레임(13)의 후단으로부터 후측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14)을 구비하고 있다.
스윙 유닛(4)의 엔진(2)은, 크랭크 케이스(17)와, 이 크랭크 케이스(17)에 결합되어 전측 상방으로 연장되는 실린더(18)를 구비하고 있다. 동력 전달 기구(3)는 벨트식의 무단 변속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엔진(2)의 회전 동력은 동력 전달 기구(3)를 통해 적절하게 감속되어 후륜(5)에 전달된다.
스윙 유닛(4)은, 크랭크 케이스(17) 전측 하부에 마련된 링크 연결부(19)를 통해 차체 프레임(10)에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윙 유닛(4)의 후측 상부와 리어 프레임(14)의 후방부 사이에는 리어 쿠션(21)이 개재되고, 스윙 유닛(4)의 상부에는 에어클리너(22) 등의 흡기계 부품이 배치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3)의 하부 대략 수평 영역에는 운전자가 다리를 얹는 판형의 플로어 스텝(23)이 대략 수평 상태로 배치되고, 플로어 스텝(23)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되는 보디 커버(24)는, 차체 후방부를 덮고 있다. 보디 커버(24)의 상방에 운전자가 착석하는 시트(25)가 마련되고, 보디 커버(24)의 후방부에는 후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어 펜더(2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륜(6)의 상방에는, 프론트 펜더(28)가 마련되고, 프론트 펜더(28)는 브리지(8)에 고정되어 있다.
플로어 스텝(23)의 전단에는, 시트(25)에 착석한 운전자의 다리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레그 실드(30)가 세워져 마련된다. 레그 실드(30)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헤드 파이프(11) 등의 전체 둘레를 덮고 있다. 또한 레그 실드(30)의 상방에는, 핸들 파이프(12)를 덮는 핸들 커버(31)가 마련되어 있다.
레그 실드(30)는, 전측에 위치하여 이 레그 실드(30)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32)와, 프론트 커버(32)의 후측에 위치하여 이 레그 실드(30)의 후면부를 형성하는 내측 커버(33)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내측 커버(33)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커버(34)와, 상부 커버(34)의 하방에 별개 부재로 마련되는 하부 커버(35)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측 커버(33)의 상부 커버(34)는, 스템 파이프(9)가 삽입 관통되는 개구부(34A)가 형성된 상벽부(34B)와, 상벽부(34B)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34C)를 가지며, 측벽부(34C)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좌우 가장자리부간의 거리를 점차 좁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 커버(35)는, 측벽부(34C)를 내측에 받아들이는 노치부(35A)를 가지며, 이 노치부(35A)에 측벽부(34C)를 받아 들여, 이 측벽부(34C)의 가장자리부 전역에 연속하여 차폭 방향 외측 및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커버(34)의 상벽부(34B)는 차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34A)가 형성된 대략 원판형의 중앙부(34I)와, 중앙부(34I)의 외주부 좌측으로부터 순조롭게 연속하여 차폭 방향 외측으로 끝이 가늘어지게 연장되는 좌측부(34L)와, 중앙부(34I)의 외주부 우측으로부터 순조롭게 연속하여 차폭 방향 외측으로 끝이 가늘어지게 연장되는 우측부(34R)를 일체 갖고 있다.
또한 측벽부(34C)는, 상기 중앙부(34I)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팽출부(34CI)와, 상기 좌측부(34L)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연장부(34CL)와, 상기 우측부(34R)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연장부(34CR)를 일체로 갖고 있다. 한편 도면 중 CL1은, 차폭 방향 중앙을 나타내는 차폭 방향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팽출부(34CI)는, 좌측 연장부(34CL) 및 우측 연장부(34CR)에 대하여 후방으로 팽출되어 있다. 또한 좌측 연장부(34CL) 및 우측 연장부(34CR)는, 차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L2)과 비교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차폭 방향 중심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연장부(34CL) 및 우측 연장부(34CR)에 연속하는 하부 커버(35)는, 횡단면에서, 좌측 연장부(34CL) 및 우측 연장부(34CR)보다 급각도로, 차폭 방향 중심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형으로 형성되고, 보다 자세히는, 횡단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호형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32)는 좌측 연장부(34CL) 및 우측 연장부(34CR)의 차폭 방향 외측 가장자리부에 연속하고, 횡단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등을 참조하면, 부호 70은 프론트 커버(32)의 전면에 스테이를 통해 부착된 넘버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핸들 커버(31)는, 차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여 헤드라이트(36)를 덮는 헤드라이트 커버부(37)와, 헤드라이트 커버부(37)로부터 핸들 파이프(12)를 따라 각각 좌우로 연장되는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 및 우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R)를 일체로 갖고 있다.
핸들 커버(31) 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상기 헤드라이트(36) 등이 수용되며, 핸들 파이프(12)가 차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핸들 커버(31)는 스템 파이프(9) 또는 핸들 파이프(12)에 고정되고, 핸들 파이프(12)와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4에서는 헤드라이트 커버부(37),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 및 우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R)가 이점쇄선으로 둘러싸이고, 각 영역이 명시되어 있다.
헤드라이트(36)는, 그 렌즈(40)를 외측에 노출시킨 상태로 헤드라이트 커버부(37) 내에 수용되고, 또한 도 2,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라이트 커버부(37)의 후방부측에는, 스피드 미터 등이 수용된 인스트루먼트 패널(41)이, 그 표시면을 운전자측을 향해 노출시킨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헤드라이트 커버부(37)는, 주로 상기 헤드라이트(36)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41)이 수용되는 헤드부(37H)와, 헤드부(37H)의 하부에 연속하여, 이 헤드부(37H)에 대하여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스템 파이프(9)의 외주측에서 이 스템 파이프(9)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네크부(37N)를 일체로 갖고 있다. 네크부(37N)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는, 상부 커버(34)의 상벽부(34B)의 개구부(34A)에 근접하여 대향하고 있다.
또한,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 및 우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R)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헤드라이트 커버부(37)에 대하여 좁아지도록 하여 차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로부터 왼쪽으로 돌출하는 핸들 파이프(12)의 좌측 단부에는, 좌측 그립(42L)이 외측에서 끼워지고, 좌측 브레이크 레버(43L)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우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R)로부터 오른쪽으로 돌출하는 핸들 파이프(12)의 우측 단부에는, 우측 그립(42R)이 외측에서 끼워지고, 우측 브레이크 레버(43R)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 커버(31)가, 전측에 위치하는 전반체(31F)와, 후측에 위치하는 후반체(31R)를 분할선(PL)으로 결합하여 구성되는 전후반 분할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라이트(36)는 헤드라이트 커버부(37)에서의 전반체(31F) 내에서 체결 고정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41)은, 후반체(31R)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 및 우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R)에서의 전반체(31F)의 좌우에는, 좌우의 백미러(44)가 지지되어 있다.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핸들 커버(31) 내에 수용된 헤드라이트(36)는, 투명 수지 등으로 돔형으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이 되는 상기 렌즈(40)와, 이 렌즈의 후단 개구부 전체 둘레를 지지하는 하우징(50)과, 렌즈(40) 및 하우징(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플렉터(51)와, 리플렉터(51)의 내부에 배치된 실린더형의 벌브(52)와, 리플렉터(51)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헤드라이트(36)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광축을 조정하는 광축 조정 나사(5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광축 조정 나사(53)는 공구와 감합하는 공구 감합부(54)를 구비하고, 이 공구 감합부(54)가 하우징(50) 후면부(50R)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하우징(50)에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50)은 그 후면부(50R)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테이(50A)를 복수 가지며, 이들 스테이(50A)에 의해 핸들 커버(31) 내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50)의 차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 영역에는 소켓부(55)가 마련되고, 이 소켓부(55)에 벌브(52)가 지지되며, 벌브(5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축 조정 나사(53)는 하우징(50) 후면부(50R)에서의 좌측부 하측을 관통하여 이 후면부(50R)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공구 감합부(54)는 광축 조정 나사(53)의 후단에 마련되며, 광축 조정 나사(53)의 전단은 렌즈(40) 및 하우징(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다. 리플렉터(51)는 그 좌측부 하측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부(56)를 가지며, 이 아암부(56)를 통해 광축 조정 나사(53)의 전방부에 연결되고, 광축 조정 나사(53)의 회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요동한다.
자세히는, 아암부(56)는 광축 조정 나사(53)보다 차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아암부(56)의 후방부와 광축 조정 나사(53)의 전단은 레버(57)에 의해 연결되며, 레버(57)의 광축 조정 나사(53)측의 단부는, 광축 조정 나사(53)의 전방부에 나사 결합된 조정 너트(58)의 외주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축 조정 나사(53)가 회동하면 조정 너트(58)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7b에서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구 감합부(54)는 크라운 기어이며, 그 톱니부(54A)를 전방을 향한 상태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광축 조정 나사(53)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7b에는 공구인 플러스 드라이버(60)가 이점쇄선으로 표시되고, 광축 조정 나사(53)를 회동 조작할 때에는, 공구 감합부(54)의 톱니부(54A)에, 그 외주측으로부터 플러스 드라이버(60)의 선단을 감합하고, 플러스 드라이버(60)를 회동시킴으로써, 광축 조정 나사(53)를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플렉터(51)의 하부측이 전후 이동함으로써, 리플렉터(51) 전체의 상하 방향의 회동각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플러스 드라이버(60)를 핸들 커버(31) 내부에 통과시키기 위한 공구 구멍(61)이, 핸들 커버(31)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자세히는, 도 2,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공구 구멍(61)은, 공구 감합부(54)와, 이 공구 구멍(61)을 연결하는 공구의 축선(L3)이, 레그 실드(30)의 후방을 지나가도록,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의 하면부(38Ld)로서, 광축 조정 나사(53)의 공구 감합부(54)보다 후방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더 자세히는, 공구 구멍(61)은, 공구의 축선(L3)이, 후면에서 봤을 때 하방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공구 상합부(54)보다 차폭 방향 외측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전반체(31F)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50)의 후면부(50R)에서의 공구 감합부(54)보다 하방의 위치에는, 공구의 축선(L3)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후면부(50R)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공구의 축선(L3)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7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70)는, 공구의 축선(L3)을 따라 공구 구멍(61)으로부터 삽입된 플러스 드라이브(60)를, 공구 감합부(54)를 향해 안내하는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구 구멍(61)은 편평한 원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진원이어도 좋고, 또한 직사각형상 등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구의 축선(L3)을, 공구 구멍(61)의 중심(장축과 단축이 교차하는 점)과 공구 감합부(54)의 톱니부(54A)를 연결한 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의 선 B-B는, 공구의 축선(L3)을 지나는 직선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의 하면부(38Ld)에서의 차폭 방향 내측 부위에, 상방을 향해 움푹 들어간 오목부(63)를 형성하고, 공구 구멍(61)은, 이 오목부(63) 내에 형성되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에 있어서 오목부(63)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의해, 측면에서 봤을 때 가려져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그 실드(30)의 후면에서의 차폭 방향 중앙을 사이에 두고 우측에, 키를 넣어 차량을 시동시키는 메인 스위치(65)가 마련되고, 공구 구멍(61)은, 메인 스위치(65)의 차폭 방향 중앙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구 구멍(61)으로부터 공구를 통과시킴으로써, 공구 감합부(54)에의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구(60)의 공구 구멍(61)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레그 실드(30)의 형상에 여러 가지의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레그 실드(30)는, 공구의 축선(L3)을 따라 본 경우에, 공구 구멍(61)의 근방에 형성되는 능선(R)이, 공구의 축선(L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8에서 L4는 차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을 나타내지만, 이 직선(L4)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레그 실드(30)의 내측 커버(33)에서의 측벽부(34C)의 좌측 연장부(34CL)의 상부측은, 전방을 향해 호형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하여, 공구의 축선(L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연장부(34CL)와, 내측 커버(33)에서의 상벽부(34B)의 좌측부(34L)의 연결 부분은, 종단면 호형이 되도록 모따기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공구의 축선(L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서는, 공구의 축선(L3)과 레그 실드(30)의 후면의 거리를 확보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공구의 축선(L3)을 따라 본 경우에 공구 구멍(61)의 근방에 형성되는 상기 능선(R)이란, 레그 실드(30)에서 차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좌측 연장부(34CL)와, 내측 커버(33)에서의 상벽부(34B)의 좌측부(34L)의 연결 부분이 형성하는 능선을 의미한다.
그리고,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좌측 연장부(34CL)와 좌측부(34L)의 연결 부분이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능선(R)을 형성하지만, 이 능선(R)을 포함하는 연결 부분은, 이것보다 차폭 방향 내측에 있는, 팽출부(34CI)의 상부의 모따기 부분에 비해, 곡률이 커져 있다. 이러한 형상에서는, 작업자의 손이 닿을 가능성이 높은 부위에서의 손의 감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에서, 핸들 커버(31)는, 헤드라이트(36)를 덮는 헤드라이트 커버부(37)와, 헤드라이트 커버부(37)로부터 핸들 파이프(12)를 따라 좌우로 연장되는 좌우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 38R)를 구비하고, 공구 구멍(61)은, 공구 감합부(54)와 공구 구멍(61)을 연결하는 공구의 축선(L3)이, 레그 실드(30)의 후방을 지나가도록, 좌우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 38R) 중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38L)의 하면부(38Ld)로서, 광축 조정 나사(53)의 공구 감합부(54)보다 후방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공구 구멍(61)이 핸들 커버(31)의 하면부에 개구하여, 운전자에게 있어서 공구 구멍(61)이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공구 구멍(61)의 배치나 형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핸들 커버(31)의 외관 설계의 자유도 및 외관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구의 축선(L3)이 레그 실드(30)의 후방을 지나가도록 공구 구멍(61)을 형성했기 때문에, 운전자가 승차 위치측에 있으면서 광축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광축 조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 커버(31)가 전반체(31F)와 후반체(31R)로 구성되어 있고, 헤드라이트(36)는 전반체(31F)에 체결 고정되는 것으로서, 공구 구멍(61)은 전반체(31F)에 마련되고, 이에 의해 공구 구멍(61)을 전반체(31F)에 개구시켰기 때문에, 운전자측에서 공구 구멍(61)을 더 보이지 않게 할 수 있고, 또한 공구 감합부(54)와 공구 구멍(61)의 위치 관계의 변동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구 구멍(61)이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의 하면부(38Ld)에 형성되어 상방을 향해 움푹 들어간 오목부(63) 내에 형성되고, 이에 의해, 공구 구멍(61)과 광축 조정 나사(53)의 공구 감합부(54)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공구를 공구 감합부(54)에 감합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구 구멍(61)은,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에 있어서 오목부(63)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의해, 측면에서 봤을 때 가려지고, 이에 의해, 공구 구멍(61)이 측면에서 봤을 때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핸들 커버(31)의 외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레그 실드(30)는, 그 후면이, 차폭 방향 중심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형으로 형성되고, 공구 구멍(61)은, 공구의 축선(L3)이, 후면에서 봤을 때 하방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공구 감합부(54)보다 차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공구의 축선(L3)과 레그 실드(30)의 후면의 거리를 확보하기 쉽게 할 수 있어,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그 실드(30)의 내측 커버(33)의 상부 커버(34)에서의 좌측 연장부(34CL)가, 차폭 방향 중심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형으로 형성되고, 이 좌측 연장부(34CL)에 연속되는 하부 커버(35)가, 횡단면에서 좌측 연장부(34CL)보다 급각도로, 차폭 방향 중심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그 실드 형상에서는, 내측을 완만한 경사형으로 하여 탑승자의 발의 보호 기능을 적합하게 유지하면서도, 공구의 축선(L3)이, 후면에서 봤을 때 하방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에 대응하여, 외측을 급각도로 하여 이 축선과 레그 실드(30) 사이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보호 기능과 작업성의 양립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레그 실드(30)는, 공구의 축선(L3)을 따라 본 경우에, 공구 구멍(61) 근방에 형성되는 능선(R)이, 공구의 축선(L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되지만, 이에 의하면, 공구의 축선(L3)과 레그 실드(30)의 후면의 거리를 확보하기 쉬워져,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능선(R)을 형성하는 레그 실드(30)의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는, 종단면이 호형으로 형성되고, 이 부위는, 이보다 차폭 방향 내측에 있는 부위에 비해, 곡률이 크게 되지만, 이것에 의하면, 작업자의 손이 닿을 가능성이 높은 부위에서의 손의 감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그 실드(30)의 후면부에서의 차폭 방향 중앙을 사이에 두고 우측에, 키를 넣는 메인 스위치(65)가 마련되고, 공구 구멍(61)이, 메인 스위치(65)의 차폭 방향 중앙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과 키의 간섭을 신경 쓰지 않고, 광축 조정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광축 조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에 공구 구멍(61)을 형성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우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R)에 형성하여도 좋다.
1 : 자동 이륜차(안장형 차량) 9 : 스템 파이프
11 : 헤드 파이프 12 : 핸들 파이프
30 : 레그 실드 31 : 핸들 커버
31F : 전반체 31R : 후반체
36 : 헤드라이트 37 : 헤드라이트 커버부
38L :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핸들 파이프 커버부)
38Ld : 하면부 50R : 후면부
51 : 리플렉터 53 : 광축 조정 나사
54 : 공구 감합부 61 : 공구 구멍
63 : 오목부 65 : 메인 스위치
L3 : 공구의 축선 R : 능선

Claims (8)

  1. 헤드 파이프(11)와,
    상기 헤드 파이프(11)를 덮고, 운전자의 다리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레그 실드(30)와,
    상기 헤드 파이프(l1)에 조향 가능하게 감합되는 스템 파이프(9)와,
    상기 스템 파이프(9)의 상부에 부착되며, 운전자가 파지하는 핸들 파이프(12)와,
    상기 핸들 파이프(12)를 덮고, 상기 핸들 파이프(12)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핸들 커버(31)와,
    상기 핸들 커버(31) 내에 배치되고, 그 전면(前面)이 외측에 노출되며, 상기 핸들 파이프(12)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헤드라이트(36), 그리고
    상기 헤드라이트(36) 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플렉터(51)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광축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공구와 감합하는 공구 감합부(54)가 상기 헤드라이트(36)의 후면부(50R)에 배치되는 광축 조정 나사(53)
    를 포함하고, 상기 광축 조정 나사(53)를 돌리기 위한 상기 공구를, 상기 핸들 커버(31) 내부에 통과시키기 위한 공구 구멍(61)이 상기 핸들 커버(31)에 형성되는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핸들 커버(31)는, 상기 헤드라이트(36)를 덮는 헤드라이트 커버부(37)와, 상기 헤드라이트 커버부(37)로부터 상기 핸들 파이프(12)를 따라 좌우로 연장되는 좌우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 38R)를 포함하며,
    상기 공구 구멍(61)은, 상기 공구 감합부(54)와 상기 공구 구멍(61)을 연결하는 공구의 축선(L3)이, 상기 레그 실드(30)의 후방을 지나가도록, 상기 좌우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 38R) 중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의 하면부(38Ld)에 있어서, 상기 광축 조정 나사(53)의 상기 공구 감합부(54)보다 후방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커버(31)는 전반체(31F)와 후반체(31R)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라이트(36)는 상기 전반체(31F)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공구 구멍(61)은 상기 전반체(31F)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구멍(61)은, 상기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의 하면부(38Ld)에 형성되어 상방을 향해 움푹 들어간 오목부(63)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구멍(61)은, 상기 좌측 핸들 파이프 커버부(38L)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3)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의해, 측면에서 봤을 때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실드(30)는, 그 후면이, 차폭 방향 중심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구 구멍(61)은, 상기 공구의 축선(L3)이, 후면에서 봤을 때 하방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공구 감합부(54)보다 차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실드(30)는, 상기 공구의 축선(L3)을 따라 본 경우에, 상기 공구 구멍(61)의 근방에 형성되는 능선(R)이, 상기 공구의 축선(L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능선(R)을 형성하는 상기 레그 실드(30)의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는, 종단면이 호형(弧形)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위는, 이것보다 차폭 방향 내측에 있는 부위에 비해, 곡률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실드(30)의 후면부에서의 차폭 방향 중앙을 사이에 두고 좌우 중 한쪽에, 키를 넣는 메인 스위치(65)가 마련되고,
    상기 공구 구멍(61)은, 상기 메인 스위치(65)의 차폭 방향 중앙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KR1020130112169A 2012-09-24 2013-09-17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KR101544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09613A JP5838139B2 (ja) 2012-09-24 2012-09-24 鞍乗型車両の前部構造
JPJP-P-2012-209613 2012-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024A KR20140040024A (ko) 2014-04-02
KR101544268B1 true KR101544268B1 (ko) 2015-08-12

Family

ID=5009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169A KR101544268B1 (ko) 2012-09-24 2013-09-17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38139B2 (ko)
KR (1) KR101544268B1 (ko)
CN (1) CN203439184U (ko)
DE (1) DE102013218710B4 (ko)
IT (1) ITTO20130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6314A4 (en) * 2014-06-11 2016-08-31 Yamaha Motor Co Ltd GRÄTSCHSITZFAHRZEUG
CN206155644U (zh) * 2016-10-13 2017-05-10 江门市大长江集团有限公司 摩托车车头结构
JP2020032945A (ja) * 2018-08-31 2020-03-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4264A (ja) 2003-01-24 2004-08-12 Honda Motor Co Ltd ヘッドライトの光軸調整構造
JP2010083202A (ja) 2008-09-29 2010-04-15 Honda Motor Co Ltd 車両の前部構造
JP2010221982A (ja) 2009-03-25 2010-10-07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光軸調整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2582U (ko) * 1985-09-24 1987-04-01
JP3430297B2 (ja) * 1992-05-29 2003-07-2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ハンドルカバー取付構造
JP3376839B2 (ja) 1996-11-20 2003-02-10 スズキ株式会社 カウリング付自動二輪車のヘッドランプ光軸調整装置
JPH1159538A (ja) * 1997-08-22 1999-03-02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液体タンク配置構造
JP5335760B2 (ja) * 2010-12-10 2013-1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灯火装置
CN202063210U (zh) 2011-04-27 2011-12-07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摩托车前灯的罩盖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4264A (ja) 2003-01-24 2004-08-12 Honda Motor Co Ltd ヘッドライトの光軸調整構造
JP2010083202A (ja) 2008-09-29 2010-04-15 Honda Motor Co Ltd 車両の前部構造
JP2010221982A (ja) 2009-03-25 2010-10-07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光軸調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61853A (ja) 2014-04-10
DE102013218710B4 (de) 2018-08-30
ITTO20130668A1 (it) 2014-03-25
KR20140040024A (ko) 2014-04-02
JP5838139B2 (ja) 2015-12-24
DE102013218710A1 (de) 2014-03-27
CN203439184U (zh)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3184B1 (en) Motorcycle
EP2176115B1 (en) Scooter type vehicle
EP3000699B1 (en) Saddle-riding type vehicle
JP5913277B2 (ja) 鞍乗り型車両のフロントカウル構造
JP5163869B2 (ja) 自動二輪車
JP5328544B2 (ja) 鞍乗り型車両におけるメータカバー構造
KR101544268B1 (ko) 안장형 차량의 전방부 구조
JP5732504B2 (ja) 車両のテールライト構造
EP1361144B1 (en) Headlight apparatus for motorcycles
WO2009110568A1 (ja) 鞍乗型車両
JP5713849B2 (ja) 車両用灯火器の光軸調整装置
JP2010126055A (ja) 鞍乗型車両
JP2017019408A (ja) 鞍乗型車両
TWI458655B (zh) 機車
JP4684793B2 (ja) 車両のフロントカバー構造
JP7141299B2 (ja) 鞍乗型車両
JP2012151015A (ja) ヘッドライト
JP2010126053A (ja) 自動二輪車
EP2878487B1 (en) Saddle-ride type vehicle
JP2013203246A (ja) 鞍乗型車両の灯火器支持構造
JP5095486B2 (ja) 車両
US8794805B2 (en) Handle cover and head light for straddle-type vehicle
EP2818390B1 (en) Saddle-ride type vehicle
CN110388621B (zh) 跨骑型车辆用灯具
JP2011116143A (ja) 鞍乗型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