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705B1 -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705B1
KR101540705B1 KR1020090021602A KR20090021602A KR101540705B1 KR 101540705 B1 KR101540705 B1 KR 101540705B1 KR 1020090021602 A KR1020090021602 A KR 1020090021602A KR 20090021602 A KR20090021602 A KR 20090021602A KR 101540705 B1 KR101540705 B1 KR 101540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
electronic component
tray
block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141A (ko
Inventor
한정일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705B1/ko
Publication of KR2010010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는 서로 다른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 셔틀 베이스와; 상기 서로 다른 이동 경로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셔틀 블록들과; 상기 셔틀 블록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부에 전자 부품들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홈들이 형성되는 셔틀 트레이; 및 상기 셔틀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셔틀 블록들을 상기 서로 다른 이동 경로를 따라 연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정 단위를 이루는 전자 부품들을 교차적으로 부품 실장 장치로 공급함과 아울러, 부품 실장 장치에서의 헤드들의 간격에 대응하여 전자 부품을 공급하고, 다양한 크기를 갖는 전자 부품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어 부품 실장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UNIT FOR SUPPLYING ELECTRONIC PARTS}
본 발명은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단위를 이루는 전자 부품들을 교차적으로 부품 실장 장치로 공급함과 아울러, 부품 실장 장치에서의 헤드들의 간격에 대응하여 전자 부품을 공급하고, 다양한 크기를 갖는 전자 부품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어 부품 실장 장치로 공급할 수 있는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부품 셔틀 장치는 반도체 패키지나 기타 전자 부품을 트레이로부터 부품 장착 장치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반도체 패키지나 기타 전자 부품들은 다종 다양의 것들이 트레이상에 정렬된 상태로 공급되며, 각 트레이들은 트레이 이송 장치로부터 하나씩 배출되어 부품 흡착용 노즐의 작동 범위내에 배치된다. 부품 흡착용 노즐들은 부품을 흡착하여 이동한 이후에, 부품들을 셔틀 블록상에 흡착시킨다. 셔틀 블록은 부품을 흡착한 상태로 이동하여 부품 장착 장치에 공급하게 된다.
부품 셔틀 장치에서는 부품 흡착 노즐과 부품 셔틀들의 작동 효율에 따라서 장비의 성능이 좌우되므로, 이들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강구되고 있다. 즉, 부품을 트레이로부터 집어 올리는 흡착 노즐들은 모두 지지 블록 상에 등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흡착 노즐 사이의 간격을 변경시킬 수 없다. 이것은 셔틀 블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부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클 경우에, 좁은 간격으로 고정된 흡착 노즐로 부품을 흡착할 수 없으며, 이 경우에는 4 개의 흡착 노즐들중 단지 두개만을 사용하여 적은 수의 부품을 흡착하여 전달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흡착 노즐 또는 셔틀 블록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도 부품 크기가 변화할 때마다 간격 조절을 수작업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493179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수의 부품 트레이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승강시키는 부품 공급부; 상기 부품 트레이를 부품 공급부로부터 출납시켜서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품 출납부; 상기 부품 출납부상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의 이동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서로에 대하여 간격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흡착 노즐을 구비한 흡착 노즐부; 및, 상기 흡착 노즐로부터 부품을 전달 받아서 이동시키는 것으로, 서로에 대하여 간격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셔틀 블록을 구비한 셔틀부;를 구비한 부품 셔틀 장치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셔틀 장치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모터, 볼 스크류 및 링크 등의 동력 전달부 및 직선 안내부가 추가되어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장치 내에 점유 면적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전자 부품들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실장 장치의 헤드들의 간격에 대응하여 다수의 동일 전자 부품들을 동시에 흡착하 여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단위를 이루는 전자 부품들을 교차적으로 부품 실장 장치로 공급할 수 있는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 실장 장치에서의 헤드들의 간격에 대응하여 전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전자 부품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어 부품 실장 장치로 공급할 수 있는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는 서로 다른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 셔틀 베이스와; 상기 서로 다른 이동 경로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셔틀 블록들과; 상기 셔틀 블록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부에 전자 부품들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홈들이 형성되는 셔틀 트레이; 및 상기 셔틀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셔틀 블록들을 상기 서로 다른 이동 경로를 따라 연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셔틀 트레이는 상기 셔틀 블록에 착탈부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셔틀 블록의 일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셔틀 트레이의 일단에 걸려지는 걸림 돌기와, 상기 셔틀 블록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1고정홀과, 상기 셔틀 트레이의 타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 1고정홀에 대응되는 제 2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체와, 상기 제 1,2고정홀에 끼워져 상기 고정체를 상기 셔틀 블록 상에서 고정하는 고정 볼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셔틀 트레이의 일단과 타단에는 서로 벌려지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의 내측면은 상기 셔틀 트레이의 일단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를 이루고, 상기 고정체의 일면은 상기 셔틀 트레이의 타단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이동 경로는 서로 평행한 경로를 이루는 두 개의 이동 경로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두 개의 이동 경로를 연결하는 이동 밸트와, 상기 이동 밸트의 일단 내측면에 기어치 연결되는 제 1롤러와, 상기 이동 밸트의 타단 내측면에 기어치 연결되는 제 2롤러와, 상기 제 2롤러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제 2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셔틀 블록에는 외부로부터 진공을 제공받는 진공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 유로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다수개의 제 1진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셔틀 트레이의 안착홈들에는 상기 제 1진공홀등에 노출되는 제 2진공홀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진공홀에는 일정 크기의 전자 부품을 흡착하는 흡착 패드 부재가 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흡착 패드 부재는, 상기 제 2진공홀에 끼워지며 상기 제 1진공홀과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끼움 몸체와, 상기 끼움 몸체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유로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원판 형상의 흡착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홈에는 일정 크기를 갖는 전자 부품의 외주를 그립하는 그립 부재가 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에는 일정 크기를 갖는 전자 부품의 외주를 그립하는 그립 부재가 더 설치된다.
상기 그립 부재는,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그립퍼들과, 상기 그립퍼들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축과, 상기 연장축의 끝단에 마련되는 밀폐단을 구비한다.
상기 셔틀 블록에는 외부로부터 진공을 제공받아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에 연통되는 공압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공압 라인에는 상기 연장축이 삽입 설치되되, 상기 공압 라인의 외측구에는 상기 연장축의 밀폐단이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축에는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밀폐단을 서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 단위를 이루는 전자 부품들을 교차적으로 부품 실장 장치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 실장 장치에서의 헤드들의 간격에 대응하여 전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전자 부품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어 부품 실장 장치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가 사용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셔틀 블록과 셔틀 트레이와의 착탈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그립 부재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 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상기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는 도 1에 도시되는 부품 공급 장치에 채택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는 서로 다른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 셔틀 베이스(100)와, 상기 서로 다른 이동 경로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셔틀 블록들(210)과, 상기 셔틀 블록(210)에 탈착 가능하도 록 장착되며, 상부에 전자 부품들(미도시)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홈들(221)이 형성되는 셔틀 트레이(220)와, 상기 셔틀 베이스(100)에 설치되며, 상기 셔틀 블록들(210)을 상기 서로 다른 이동 경로를 따라 연동시키는 이동부(300)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셔틀 트레이(220)는 상기 셔틀 블록(210)에 착탈부(300)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착탈부(230)는 상기 셔틀 블록(210)의 일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셔틀 트레이(220)의 일단에 걸려지는 걸림 돌기(212)와, 상기 셔틀 블록(2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1고정홀(214)과, 상기 셔틀 트레이(220)의 타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 1고정홀(214)에 대응되는 제 2고정홀(232)이 형성되는 고정체(231)와, 상기 제 1,2고정홀(214, 232)에 끼워져 상기 고정체(231)를 상기 셔틀 블록(210) 상에서 고정하는 고정 볼트(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틀 트레이(220)의 일단과 타단에는 서로 벌려지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212)의 내측면은 상기 셔틀 트레이(220)의 일단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를 이루고, 상기 고정체(231)의 일면은 상기 셔틀 트레이(220)의 타단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를 이룬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서로 다른 이동 경로는 서로 평행한 경로를 이루는 두 개의 이동 경로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두 개의 이동 경로를 연결하는 이동 밸트(340)와, 상기 이동 밸트(340)의 일단 내측면에 기어치 연결되는 제 1롤러(310) 와, 상기 이동 밸트(340)의 타단 내측면에 기어치 연결되는 제 2롤러(320)와, 상기 제 2롤러(320)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제 2롤러(320)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330)로 구성된다.
또 한편, 상기 셔틀 블록(210)에는 외부로부터 진공을 제공받는 진공 유로(211)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 유로(211)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다수개의 제 1진공홀들(212)이 형성되고, 상기 셔틀 트레이(220)의 안착홈들(222)에는 상기 제 1진공홀들(212)에 노출되는 제 2진공홀들(221)이 형성된다.
또한,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제 2진공홀(221)에는 일정 크기의 전자 부품을 흡착하는 흡착 패드 부재(2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착 패드 부재(240)는 상기 제 2진공홀(221)에 끼워지며 상기 제 1진공홀(212)과 연통되는 유로(242)가 형성되는 끼움 몸체(241)와, 상기 끼움 몸체(241)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유로(242)와 연통되어 상기 유로(242)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원판 형상의 흡착판(243)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222)에는 일정 크기를 갖는 전자 부품의 외주를 그립하는 그립 부재(2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그립 부재(250)는 상기 안착홈(222)의 내측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그립퍼들(251)과, 상기 그립퍼들(251)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축(252)과, 상기 연장축(252)의 끝단에 마련되는 밀폐단(25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셔틀 트레이(220)에는 외부로부터 진공을 제공받아 상기 안착 홈(222)의 내측면에 연통되는 공압 라인(220a)이 형성되고, 상기 공압 라인(220a)에는 상기 연장축(252)이 삽입 설치되되, 상기 공압 라인(220a)의 외측구에는 상기 연장축(252)의 밀폐단(253)이 걸리는 걸림 돌기(220b)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축(252)에는 상기 걸림 돌기(220b)와 상기 밀폐단(253)을 서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254)이 설치될 수 있다.
또 한편, 도 1을 참조 하면, 상기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가 배치되는 근방에는 트레이 배치 영역이 마련된다. 상기 트레이 배치 영역에는 다수개의 전자 부품들이 수납되는 격자 형상의 트레이들(50)이 서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배치 영역과 상기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의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Z축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 실린더(430)가 배치된다. 상기 승강 실린더(430)는 Z축으로 신축 가능한 실린더 축(431)이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 축(431)의 상단에는 트레이(50)가 얹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들(50)은 도시되지 않은 이송 장치에 의하여 트레이 배치 영역에서 상기 실린더 축(431)의 상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실린더(430)의 상부에는 X축 이동부(410)와 Y축 이동부(420)가 설치된다. 상기 X축 이동부(410)에는 가이드 레일(4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410)에는 이동 바(43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 바(430)는 상기 가이드 레일(410)에 끼워지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바(430)에는 다수개의 헤드들(500)이 설치된다. 상기 헤드들(500)은 일정 길이 하방으로 연장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헤드 들(500)의 하단에는 외부로부터의 진공을 제공받아 전자 부품을 흡착하기 위한 노즐(510)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들(500)의 상단과 상기 이동 바(430)의 상단은 X자 형상의 신축 로드들(520)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 로드들(520)은 끝단은 이동 바(430)의 상단 및 헤드들(500) 상단에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 로드들(520)의 벌어짐 정도에 따라 상기 헤드들(500)의 간격은 조절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 하면, 도시되지 않는 이동 장치는 트레이 배치 영역으로부터 트레이(50)를 인출하여 승강 실린더(430)의 실린더 축(431) 상단으로 이송하여 얹는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들(500)에는 일정 크기의 전자 부품들이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수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전자 부품들은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수납된 상태이다.
이어, X 축 이동부(410)와 Y 축 이동부(420)는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X 축 이동부(410)에 마련되는 헤드들(500)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들(500)은 이동 바(430)가 X 축 이동부(410)의 가이드 레일(411)을 따라 일정 위치로 활주되어 이동됨으로써 일정 위치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들(500) 간의 간격은 신축 로드들(520)의 벌어짐 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의 헤드들(500)은 실린더 축(431)의 상단에 위치된 트레이(5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어, 상기 헤드들(500)은 엑츄에이터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여 노즐(510)을 하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고, 트레이(50)에 수납된 전자 부품들은 다수의 노즐들(510)에 흡착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된 전자 부품들은 X,Y 축 이동부(410, 420)와 이동 바의 이동 동작에 의하여 서특 트레이(220)에 형성되는 안착홈들(222)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안착홈들(222)의 간격과 상기 트레이(50)의 전자 부품 수납홈들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다.
또한, 안착홈(222)의 제 2진공홀(221)에는 진공이 형성된다. 즉, 셔틀 블록(210)의 진공 유로(211)는 외부로부터 진공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 유로(211)에 형성되는 진공은 제 1진공홀(212)을 통하여 셔틀 트레이(220)의 제 2진공홀(221)에 작용된다. 따라서, 안착홈(222)에 안착되는 전자 부품의 하면은 제 2진공홀(221)에 형성되는 진공에 의하여 흡착될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한 쌍의 셔틀 트레이(220)에는 전자 부품들이 모두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셔틀 트레이(220)는 실장 장치의 전자 부품 공급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 하면, 구동 모터(330)는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제 2롤러(32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2롤러(320)는 회전되고 상기 제 2롤러(320)에 기어치 연결되는 이동 밸트(340)는 그 일단이 제 1롤러(310)에 회전 지 지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밸트(3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셔틀 트레이(220)를 서로 평행한 경로를 이루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셔틀 트레이(220)는 서로 다른 이동 경로를 따라 동시에 교차되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틀 트레이(220)에 수납되는 전자 부품들은 실장 장치에 교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 하면, 셔틀 트레이(220)의 안착홈들(222)에는 전자 부품의 하면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 패드 부재(240)가 더 설치된다.
따라서, 전자 부품들은 유로(242)를 통하여 형성되는 진공에 의하여 흡착되고, 전자 부품의 하면은 흡착판(243)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전자부품들은 셔틀 트레이(220)의 안착홈들(222)에서 그립 부재(250)에 의하여 그립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그립 부재(250)는 상기 안착홈(222)의 내측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그립퍼들(251)과, 상기 그립퍼들(251)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축(252)과, 상기 연장축(252)의 끝단에 마련되는 밀폐단(25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셔틀 트레이(220)에는 외부로부터 진공을 제공받아 상기 안착홈(222)의 내측면에 연통되는 공압 라인(220a)이 형성되고, 상기 공압 라인(220a)에는 상기 연장축(252)이 삽입 설치되되, 상기 공압 라인(220a)의 외측구에는 상기 연장축(252)의 밀폐단(253)이 걸리는 걸림 돌기(220b)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축(252)에는 상기 걸림 돌기(220b)와 상기 밀폐단(253)을 서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254)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압 라인(220a)에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공압이 형성되면, 밀폐단(253)을 안착홈(222) 측으로 밀고, 이로 인하여 연장축(252)은 공압 라인(220a)의 외부로 노출되고, 연장축(252)의 끝단에 설치된 그립퍼(251)는 안착홈(222)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걸림 돌기(220b)와 상기 밀폐단(253)은 탄성 스프링(254)에 의하여 서로 일정의 탄성력이 작용된다. 이에 따라, 다수개의 그립퍼들(251)에 의하여 전자 부품의 외면은 그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을 해제하는 경우에 공압 라인(220a)의 공압을 파지하면, 상기 밀폐단(253) 및 연장축(252)은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그립퍼들(251) 역시 안착홈(222)의 내측벽으로 즉, 원위치로 복귀 위치된다.
한편,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착탈부(230')는 고정체(231)의 양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의 성질을 갖는 한 쌍의 고정핀(233)과, 상기 한 쌍의 고정핀(233)이 삽입되도록 셔틀 블록(210)의 일단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들(210a)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셔틀 트레이(220)는 셔틀 블록(210)으로부터 착탈부(230, 230')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안착홈들(222)의 간격 및 크기가 다른 셔틀 트레이들(220)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들(500)의 다양한 간격에 대응함은 물론, 다양한 사이즈의 전자 부품을 인계 받아 실장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가 사용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셔틀 블록과 셔틀 트레이와의 착탈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그립 부재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 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설명
100 : 셔틀 베이스
200 :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
210 : 셔틀 블록
220 : 셔틀 트레이
230 : 착탈부
240 : 흡착 패드 부재
250 : 그립 부재

Claims (7)

  1. 전자 부품 공급 장치의 X축 이동부와 Y축 이동부 아래에 위치되는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에 있어서,
    서로 다른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 셔틀 베이스;
    상기 서로 다른 이동 경로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셔틀 블록들;
    상기 셔틀 블록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부에 전자 부품들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홈들이 형성되는 셔틀 트레이; 및
    상기 셔틀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셔틀 블록들을 상기 서로 다른 이동 경로를 따라 연동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되,
    상기 셔틀 베이스 상에 셔틀 블록의 이동 궤적은 상기 Y축 이동부 상에서 상기 X축 이동부의 이동 궤적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셔틀 블록은 상기 Y축 이동부의 단부에서 상기 X축 이동부에 중첩되며,
    상기 안착홈은 전자 부품을 진공 흡착하며 상기 셔틀 블록으로 상기 전자 부품을 둘러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 부품의 외면을 그립하는 그립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트레이는 상기 셔틀 블록에 착탈부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되,
    상기 착탈부는,
    상기 셔틀 블록의 일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셔틀 트레이의 일단에 걸려지는 걸림 돌기와, 상기 셔틀 블록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2고정홀과, 상기 셔틀 트레이의 타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 1고정홀에 대응되는 제 2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체와, 상기 제 1,2고정홀에 끼워져 상기 고정체를 상기 셔틀 블록 상에서 고정하는 고정 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이동 경로는 서로 평행한 경로를 이루는 두 개의 이동 경로이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두 개의 이동 경로를 연결하는 이동 밸트와, 상기 이동 밸트의 일단 내측면에 기어치 연결되는 제 1롤러와, 상기 이동 밸트의 타단 내측면에 기어치 연결되는 제 2롤러와, 상기 제 2롤러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제 2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021602A 2009-03-13 2009-03-13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 KR101540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602A KR101540705B1 (ko) 2009-03-13 2009-03-13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602A KR101540705B1 (ko) 2009-03-13 2009-03-13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141A KR20100103141A (ko) 2010-09-27
KR101540705B1 true KR101540705B1 (ko) 2015-08-03

Family

ID=4300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602A KR101540705B1 (ko) 2009-03-13 2009-03-13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7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602B1 (ko) 2016-06-29 2016-10-12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초경인서트 제품 그립장치
KR20190011982A (ko) *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포스코 받침부재 배치장치
KR101992092B1 (ko) 2018-05-03 2019-06-24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초경인서트 픽업 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858B1 (ko) * 2010-12-28 2011-04-06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Nc프레스 픽업장치
KR200465397Y1 (ko) * 2012-11-06 2013-02-21 주식회사 쓰리텍 렌즈 배출 장치
KR200473972Y1 (ko) * 2013-02-07 2014-08-14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용 리필용기 공급장치
WO2020251137A1 (ko) * 2019-06-12 2020-12-17 제너셈(주) 자동 패드 교체 장치
KR102228518B1 (ko) * 2019-06-12 2021-03-15 제너셈(주) 자동 패드 교체 장치
KR102228510B1 (ko) * 2019-06-12 2021-03-15 제너셈(주) 자동 패드 교체 방법
CN112850143A (zh) * 2020-12-16 2021-05-28 广东恒鑫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换板机
KR102559376B1 (ko) * 2021-12-15 2023-07-2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웨이퍼 그리드 분석기 투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602B1 (ko) 2016-06-29 2016-10-12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초경인서트 제품 그립장치
KR20190011982A (ko) *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포스코 받침부재 배치장치
KR101974099B1 (ko) 2017-07-26 2019-08-23 주식회사 포스코 받침부재 배치장치
KR101992092B1 (ko) 2018-05-03 2019-06-24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초경인서트 픽업 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141A (ko) 201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705B1 (ko)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
US6289579B1 (en) Component alignment and transfer apparatus
KR101417773B1 (ko) 소자검사장치 및 소자가압툴
JP6383152B2 (ja) 移載方法、保持装置及び移載システム
KR20120096599A (ko) 기판 보유지지구 및 기판 반송 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KR20030093902A (ko) 핸들링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시험 장치
KR20120012102A (ko) 패널 이송용 진공흡착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진공흡착기
KR101227827B1 (ko) 반도체 소자들을 픽업하기 위한 장치
JP4315572B2 (ja) ノズル交換装置
KR20210128784A (ko) 카세트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KR102267946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반도체 스트립 이송 장치
KR100980791B1 (ko) 전자부품 이송장치
KR101054955B1 (ko) 전자부품 이송장치
KR20110029705A (ko) 기판 이송장치
CN109592407B (zh) Pcb板自动清洁与检测设备
KR20080103344A (ko) 반도체 소자 픽업장치
KR100685559B1 (ko) 도전성 볼의 탑재 장치 및 방법
KR200468035Y1 (ko) 반도체 소자들을 픽업하기 위한 장치
KR20210112944A (ko)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TW202314272A (zh) 電子部件測試用分選機
KR100451050B1 (ko) 테스트 핸들러의 반도체 디바이스 로딩장치
KR101294766B1 (ko)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KR100493179B1 (ko) 부품 셔틀 공급 장치
CN218975426U (zh) 晶圆抓手和晶圆传输设备
CN220189567U (zh) 晶圆除尘机构及晶圆除尘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