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397Y1 - 렌즈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397Y1
KR200465397Y1 KR2020120010083U KR20120010083U KR200465397Y1 KR 200465397 Y1 KR200465397 Y1 KR 200465397Y1 KR 2020120010083 U KR2020120010083 U KR 2020120010083U KR 20120010083 U KR20120010083 U KR 20120010083U KR 200465397 Y1 KR200465397 Y1 KR 200465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es
adsorption
guid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텍
Priority to KR2020120010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3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65G11/023Chutes of straight form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3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by dumping, tripping, or releasing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렌즈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출 장치는 사출에 의해 제조된 렌즈를 절단 후에 배출시키는 렌즈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절단된 상기 복수의 렌즈의 상부를 흡착력에 의해 흡착 픽업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가 절단된 위치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송된 후에 흡착력을 제거하여 낙하에 의해 공급되도록 설치된 흡착 이송부, 상기 흡착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이송부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흡착 이송부에 흡착된 상기 복수의 렌즈의 낙하 시에 상기 복수의 렌즈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홈을 가지는 렌즈 수용부, 및 상기 렌즈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복수의 렌즈가 낙하 시 통과하면서 상기 복수의 안착홈 위치로 안내되도록 설치된 렌즈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렌즈 배출 장치 {Discharging apparatus of lens}
본 고안은 렌즈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사용되는 렌즈 제조 시 사출 후 컷팅된 렌즈가 배출되는 배출 위치에 복수의 렌즈를 정확한 위치에서 안치 배출함으로써, 배출 효율이 향상되는 렌즈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렌즈는 카메라에 설치되어 영상과 이미지가 입사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영상과 이미지를 기록하는 장치에 영상과 이미지가 빛과 함께 투과되도록 구비된다. 카메라에 사용되는 렌즈는 카메라의 형태와 종류에 따라 촬영되는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확대되도록 설치되거나, 이미지와 빛을 굴절시키도록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록하는 장치가 디지털화되어 렌즈를 통해서 입사되는 이미지와 영상을 지속적으로 기록할 수 있고, 입사되는 영상과 이미지를 신호화되어 영상과 이미지를 확대 및 편집이 가능한 형태로 재생산할 수 있어 렌즈의 수량과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음으로써, 카메라의 크기를 줄여 소형의 카메라가 개발되었다.
이렇게, 소형의 카메라가 개발되면서 핸드폰과 각종 휴대 기기에 설치되기 위해서 부품 형태로 모듈화된 카메라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소형의 카메라가 개발되면서 렌즈도 소형화되고, 기능과 구조가 단순화됨에 따라 사출에 의해 복수의 렌즈를 제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품의 형태로 제조되는 모듈 형태의 카메라는 하우징에 이미지 센서와 렌즈 등의 부품을 공급하여 자동으로 조립하는 장치에서 조립을 실시하여 제조되고 있다. 이때, 카메라 조립 장치에 공급되는 렌즈는 공급되는 위치에 따라 복수 위치에 각각 안치된 렌즈 트레이 형태로 공급된다.
따라서, 사출로 렌즈를 제조한 후에 개별적으로 분리되도록 절단한 후에 개별적으로 절단된 렌즈를 렌즈 배출 장치를 통해서 픽업하여 렌즈 트레이의 복수 위치에 안착시켜 조립 장치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렌즈 배출 장치는 렌즈를 픽업하여 렌즈 트레이 위치로 이동한 후에 렌즈 트레이에 안착시키도록 구비된다. 종래 기술의 렌즈 배출 장치는 이송 후 렌즈 트레이에 안착시 안착 정렬이 잘 되지 않아서 수작업으로 다시 정렬하게 되므로, 제조 시간과 외관 불량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86670호(2003.06.02.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0520997호(2005.10.12.공고)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렌즈의 제조 시 배출되는 위치에서 흡착력을 이용하여 렌즈를 지그에 낙하로 안착 시에 렌즈가 낙하하는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구비되어 렌즈에 지그 안착 효율이 향상시키는 렌즈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출 장치는 사출에 의해 제조된 렌즈를 절단 후에 배출시키는 렌즈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절단된 상기 복수의 렌즈의 상부를 흡착력에 의해 흡착 픽업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가 절단된 위치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송된 후에 흡착력을 제거하여 낙하에 의해 공급되도록 설치된 흡착 이송부, 상기 흡착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이송부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흡착 이송부에 흡착된 상기 복수의 렌즈의 낙하 시에 상기 복수의 렌즈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홈을 가지는 렌즈 수용부, 및 상기 렌즈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복수의 렌즈가 낙하 시 통과하면서 상기 복수의 안착홈 위치로 안내되도록 설치된 렌즈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 이송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력을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렌즈를 흡착한 상태로 픽업하고, 상기 렌즈 수용부 상부 위치에서 흡착력을 제거하여 낙하에 의해 상기 렌즈 수용부에 공급되도록 설치된 흡착체, 및 상기 흡착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렌즈 흡착과 낙하 시 상기 흡착체를 상하로 이송시키고, 상기 복수의 렌즈 흡착 후에 상기 렌즈 수용부 위치인 일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복수의 렌즈를 낙하에 의해 배출한 후에 원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이송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 가이드부에는 상기 복수의 안착홈 위치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흡착 이송부로 이송되어 낙하되는 상기 복수의 렌즈가 통과되어 상기 렌즈 수용부에 복수 위치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공을 형성할 수 있되, 상기 가이드공은 하부가 상기 복수의 렌즈가 통과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렌즈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낙하된 상기 복수의 렌즈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서 안내되어 상기 복수의 안착홈에 상기 복수의 렌즈를 안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렌즈 가이드부의 가장 자리에 복수 위치에 상기 렌즈 수용부의 상부에서 정위치로 고정되도록 관통된 위치 고정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렌즈 수용부의 가장 자리에 복수 위치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고정공에 삽입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 수용부의 상부에 상기 복수의 렌즈가 통과되어 상기 복수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정위치에 상기 렌즈 가이드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 고정공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위치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출 장치에 따르면, 사출에 의해 제조된 렌즈를 절단한 상태로 흡착에 의해 지그의 상부에 위치하면 흡착력을 제거하여 낙하되는 렌즈가 지그에 안착되는 위치로 가이드 되면서 지그에 안착됨에 따라 렌즈의 안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렌즈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 이송부와 렌즈가 복수로 안착되는 지그 사이에서 낙하되는 렌즈를 가이드하면서 지그에 안착시키도록 렌즈 가이드부를 구비되어 흡착 이송부에서 흡착된 렌즈가 낙하되면 렌즈 가이드부를 거쳐서 가이드 되면서 지그에 정확한 안착 위치로 안착됨에 따라 안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가 통과되면서 가이드하는 렌즈 가이드부의 통공 형태의 가이드공은 상부가 렌즈보다 크게 형성되고 하부가 렌즈가 통과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크기가 축소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어 렌즈가 낙하되면 확대된 상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경사진 경사도에 따라서 하강되어 지그에 안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가이드공의 확대된 상부에 크기에 따라 지그에 안착되는 렌즈의 하강되는 범위를 확대시킴에 따라 낙하 위치가 정위치를 벗어나도 가이드 하면서 안착됨에 따라 안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렌즈가 가이드되는 가이드공의 상부의 크기가 크고 하부로 가면서 축소되어 경사를 이룸에 따라 낙하 시에 가이드공의 경사된 부분에 먼저 접촉되면서 낙하 충격을 일차적으로 흡수한 상태에서 경사를 따라서 지그에 안착됨으로써, 낙하 충격에 의해서 낙하되는 렌즈가 지그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렌즈 배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렌즈 배출 장치의 렌즈 가이드부 상부에 흡착 이송부로 이송된 렌즈가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용 상태도.
도 4는 도 3의 렌즈 배출 장치의 흡착 이송부에서 흡착된 렌즈가 낙하에 의해 렌즈 가이드부의 내부를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도 4의 렌즈 배출 장치의 렌즈 수용부에 렌즈 가이드부가 통과된 렌즈가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렌즈 배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렌즈 배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렌즈 배출 장치의 렌즈 가이드부 상부에 흡착 이송부로 이송된 렌즈가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렌즈 배출 장치의 흡착 이송부에서 흡착된 렌즈가 낙하에 의해 렌즈 가이드부의 내부를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렌즈 배출 장치의 렌즈 수용부에 렌즈 가이드부가 통과된 렌즈가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출 장치(100)는 카메라에 사용되는 렌즈(1)가 사출에 의해 복수로 제조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절단한 렌즈(1)를 카메라 조립 공정에 공급하기 위해서 복수로 안치한 상태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렌즈 배출 장치(100)는 렌즈(1)를 흡착에 의해 이송시키는 흡착 이송부(110), 렌즈 수용부(120), 및 렌즈 가이드부(130)를 포함한다.
흡착 이송부(110)는 절단된 렌즈(1)를 흡착에 의해 픽업하는 흡착체(111), 및 이송 장치(112)를 포함한다. 흡착체(111)는 렌즈(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력을 공급받아 렌즈(1)를 흡착한 상태로 픽업하고, 렌즈 수용부(120) 상부 위치에서 흡착력을 제거하여 낙하에 의해 렌즈 수용부(120)에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흡착체(111)는 제공되는 흡착력에 의해 렌즈(1)를 흡착한 상태로 픽업되고, 픽업 후 이송 장치(112)의 작동에 의해 배출되는 위치로 이송되어 렌즈 수용부(120)에 안착되도록 흡착력을 제거하여 낙하에 의해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흡착체(1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이송 장치(112)와 렌즈(1)의 흡착 위치에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송 장치(112)는 흡착체(1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체(111)로 렌즈(1) 흡착 시에 상하로 이송시키고, 렌즈(1) 흡착 후에 렌즈 수용부(120) 위치로 이송되어 렌즈(1)를 낙하에 의해 배출한 후에 원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이송 장치(112)는 사출에 의해 제조되어 개별적으로 절단된 렌즈(1)의 흡착 위치로 흡착체(111)를 하부로 이송시켜 흡착을 실시하고, 렌즈(1) 흡착 후에 상부로 렌즈(1)와 흡착체(111)를 상부로 이동 시킨다. 이송 장치(112)의 작동으로 상부로 이송된 렌즈(1)가 흡착된 흡착체는 렌즈(1)가 안착되는 렌즈 수용부(120)의 상부로 이송시킨 후에 흡착체(111)에 흡착력을 제거하여 낙하에 의해 렌즈 수용부(120)에 공급한다. 렌즈(1)의 공급을 마친 흡착체는 이송 장치(112)의 작동으로 렌즈(1)가 흡착되는 원위치로 이송되어 지속적으로 렌즈(1)를 흡착에 의해 이송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이송 장치(112)는 흡착체(111)를 상하와 렌즈 수용부(120) 상부 위치와 원위치로 이송시켜 렌즈(1)를 흡착한 상태로 렌즈 수용부(120)에 흡착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렌즈 수용부(120)는 흡착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 이송부(110)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여 흡착 이송부(110)에 흡착된 렌즈(1)의 낙하 시에 렌즈(1)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홈(121)을 가진다. 렌즈 수용부(120)는 사출된 렌즈(1)가 복수로 안치되어 카메라에 조립되는 공정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렌즈(1)가 조립되는 장치에서 픽업되도록 횡과 종 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는 위치에 렌즈(1)가 삽입 지지되는 안착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렌즈 수용부(120)는 흡착 이송부(110)의 작동으로 상부에 위치한 렌즈(1)가 낙하에 의해 안착홈(121)에 렌즈(1)가 안착되어 복수의 렌즈(1)가 안치되도록 구비된다.
렌즈 수용부(120)의 가장 자리에는 복수 위치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렌즈 수용부(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렌즈 가이드부(130)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위치 고정 돌기(122)가 구비된다. 위치 고정 돌기(122)는 렌즈 수용부(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렌즈(1)가 안내되는 렌즈 가이드부(130)가 정위치로 고정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렌즈 가이드부(130)는 렌즈 수용부(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 이송부(110)에서 이송된 렌즈(1)가 낙하 시 통과하면서 안착홈(121) 위치로 안내되도록 설치된다. 렌즈 가이드부(130)는 이송 장치(112)로 렌즈 수용부(120)의 상부에 위치한 렌즈(1)가 흡착된 흡착체(111)와 렌즈 수용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흡착체(111)에서 흡착력이 제거되면 렌즈(1)가 낙하되면서 통과하여 안착홈(121) 위치로 안내되도록 설치된다.
렌즈 가이드부(130)에는 안착홈(121) 위치에 각각 관통되어 흡착 이송부(110)로 이송되어 낙하되는 렌즈(1)가 통과되어 렌즈 수용부(120)에 복수 위치에 형성된 안착홈(121)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공(131)이 형성된다. 가이드공(131)은 안착홈(121)과 연통되는 상부 방향에 각각 관통 형성되어 낙하되는 렌즈(1)가 통과하면서 안착홈(121) 위치로 안내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공(131)은 하부가 렌즈(1)가 통과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렌즈(1)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경사진 경사부(132)가 형성되어 낙하된 렌즈(1)가 경사부(132)를 따라서 안내되어 안착홈(121)에 렌즈(1)를 안착하도록 구비된다. 경사부(132)는 상부가 넓고 하부로 좁아지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로 구비되어 낙하되는 렌즈(1)가 상부에 넓어진 범위에서 낙하되어도 범위를 넘어서지 않으면 안내해서 정위치인 안착홈(121)에 안착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낙하되는 렌즈(1)의 낙하 범위가 확대되어 안착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렌즈 가이드부(130)의 상부에 이송 장치(112)로 이송된 렌즈(1)가 흡착된 흡착체(111)에서 흡착력을 제거하면 렌즈(1)가 낙하되면서 일차적으로 가이드공(131)의 경사부(132)에 접촉되면서 낙하되는 충격량을 완충한 상태에서 경사부(132)를 따라서 가이드공(131)을 통과하여 안착홈(121)에 안착됨에 따라 낙하 충격에 의해 렌즈(1)가 안착홈(12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착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렌즈 가이드부(130)의 가장 자리에는 렌즈 수용부(120)의 위치 고정 돌기(122)가 삽입되는 복수 위치에 관통된 위치 고정공(133)이 형성된다. 위치 고정공(133)은 렌즈 수용부(120)의 상부에 렌즈 가이드부(130) 설치 시에 위치 고정 돌기(122)에 삽입되도록 형성하여 위치 고정 돌기(122)에 삽입되면 안착홈(121)의 상부에 가이드공(131)이 안내되는 정위치로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 100 : 배출 장치
110 : 흡착 이송부 111 : 흡착체
112 : 이송 장치 120 : 렌즈 수용부
121 : 안착홈 122 : 위치 고정 돌기
130 : 렌즈 가이드부 131 : 가이드공
132 : 경사부 133 : 위치 고정공

Claims (4)

  1. 사출에 의해 제조된 렌즈 조립체에서 복수의 렌즈를 절단한 후에 상기 복수의 렌즈를 배출시키는 렌즈 배출 장치에 있어서,
    절단된 상기 복수의 렌즈의 상부를 흡착력에 의해 픽업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를 이송시키는 흡착 이송부,
    상기 흡착 이송부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복수의 렌즈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홈을 가지는 렌즈 수용부, 및
    상기 렌즈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복수의 렌즈가 상기 흡착 이송부의 흡착력이 제거되어 낙하할 때에 상기 복수의 렌즈를 상기 복수의 안착홈의 정해진 위치로 수용되도록 상기 복수의 렌즈를 안내하는 렌즈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안착홈 위치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흡착 이송부로 이송되어 낙하되는 상기 복수의 렌즈가 통과되어 상기 렌즈 수용부에 복수 위치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공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공은 하부가 상기 복수의 렌즈가 통과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렌즈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낙하된 상기 복수의 렌즈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서 안내되어 상기 복수의 안착홈에 상기 복수의 렌즈를 안착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이송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력을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렌즈를 흡착한 상태로 픽업하고, 상기 렌즈 수용부 상부 위치에서 흡착력을 제거하여 낙하에 의해 상기 렌즈 수용부에 공급되도록 설치된 흡착체, 및
    상기 흡착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렌즈 흡착과 낙하 시 상기 흡착체를 상하로 이송시키고, 상기 복수의 렌즈 흡착 후에 상기 렌즈 수용부 위치인 일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복수의 렌즈를 낙하에 의해 배출한 후에 원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배출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가이드부는 가장 자리의 복수 위치에 상기 렌즈 수용부의 상부에서 정위치로 고정되도록 관통된 위치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 수용부는 상기 위치 고정공에 삽입되는 위치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 수용부의 상부에 상기 복수의 렌즈가 통과되어 상기 복수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정위치에 상기 렌즈 가이드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 고정공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위치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배출 장치.
KR2020120010083U 2012-11-06 2012-11-06 렌즈 배출 장치 KR200465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83U KR200465397Y1 (ko) 2012-11-06 2012-11-06 렌즈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83U KR200465397Y1 (ko) 2012-11-06 2012-11-06 렌즈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397Y1 true KR200465397Y1 (ko) 2013-02-21

Family

ID=5136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083U KR200465397Y1 (ko) 2012-11-06 2012-11-06 렌즈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39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423A (ko) * 2000-12-26 2002-07-04 이종만 광픽업렌즈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KR20060020970A (ko) * 2004-09-01 2006-03-07 (주)티에스티아이테크 프로젝션 렌즈용 척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렌즈 제조방법
KR20100103141A (ko) * 2009-03-13 2010-09-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423A (ko) * 2000-12-26 2002-07-04 이종만 광픽업렌즈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KR20060020970A (ko) * 2004-09-01 2006-03-07 (주)티에스티아이테크 프로젝션 렌즈용 척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션 렌즈 제조방법
KR20100103141A (ko) * 2009-03-13 2010-09-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 부품 공급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60822B (zh) 铁芯进行绕线的入料装置
KR101616772B1 (ko) 워크 삽입 기구 및 워크 삽입 방법
CN109175663B (zh) 一种单向阀自动装配设备
JP3147765B2 (ja)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および搭載方法
KR102011911B1 (ko) 렌즈 자동 생산 시스템
JPS63174400A (ja) 自動装着装置
KR100998705B1 (ko) 렌즈 가공 시스템
KR200465397Y1 (ko) 렌즈 배출 장치
EP2593386A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composants
CN108538773B (zh) 管装芯片上料装置、管装芯片烧录机及其控制方法
CN113500290A (zh) 一种激光切割机
JP2010177509A (ja) 電子部品の装着ヘッド、吸着ノズル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並びにエアフィルタ挿入治具
KR101626916B1 (ko) 플립칩 led 테이핑 장치
CN113500312B (zh) 激光切割机
JP2005202162A (ja) レンズストック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レンズ加工システム
JP6698748B2 (ja) ばら部品供給装置、部品実装装置およびばら部品供給方法
JPH06310515A (ja) 微小球体整列搭載方法
JP2001094298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CN102143679A (zh) 电子零件安装设备
KR200224412Y1 (ko) 광픽업렌즈 절단장치
KR102145452B1 (ko) 자동 리벳 부착장치
FR2468285A1 (fr) Procede et appareil pour monter des elements de circuit du type a broches sur une plaquette de circuit imprime
KR101422405B1 (ko) 발광 소자 타발 장치
KR20200039861A (ko) 반도체 패키지 소잉 장치
KR101646974B1 (ko) 베어칩 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