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955B1 - 전자부품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955B1
KR101054955B1 KR1020080112904A KR20080112904A KR101054955B1 KR 101054955 B1 KR101054955 B1 KR 101054955B1 KR 1020080112904 A KR1020080112904 A KR 1020080112904A KR 20080112904 A KR20080112904 A KR 20080112904A KR 101054955 B1 KR101054955 B1 KR 101054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er
unit
contact
moving
electron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994A (ko
Inventor
김재성
송민경
송기영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2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9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52Mounting machines or li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tools for guiding different components to the same mounting pla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흡착할 수 있는 노즐유닛을 포함하는 픽커유닛, 상기 픽커유닛이 승하강 가능하게 복수개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픽커유닛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부품의 종류에 맞추어 전자부품들을 정확하면서도 빠르게 픽업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할 수 있으면서도, 간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전자부품, 표면실장기, 인쇄회로기판

Description

전자부품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이송하여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 저항기 또는 스위치 등(이하, '전자부품'이라 함)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자부품들을,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 Technology)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자동으로 실장하는 장비가 표면실장기이며, 마운터(Mounter)라고도 한다.
상기 표면실장기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전자부품들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전자부품을 픽업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 및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동안, 인쇄회로기판은 실장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는 상기 공급부에서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픽업하여 실장위치로 이동된 후에, 픽업한 전자부품들을 실장위치에 위치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한다.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는, 표면실장기의 성능 사양 중 하나인 단위시간당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전자부품의 개수로 정의되는 CPH(Chip per Hour) 수치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가 상기 공급부에서 전자부품들을 픽업하는 시간, 전자부품들을 픽업한 상태에서 실장위치로 이동되는 시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들을 실장하는 시간 등이 CPH 수치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업계에서는 크기, 두께, 무게 등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전자부품들을 정확하면서도 빠르게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할 수 있는 표면실장기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필요에 부합할 수 있는 전자부품 이송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의 종류에 맞추어 전자부품들을 정확하면서도 빠르게 픽업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할 수 있는 전자부품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는 전자부품을 흡착할 수 있는 노즐유닛을 포함하는 픽커유닛, 상기 픽커유닛이 승하강 가능하게 복수개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픽커유닛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는 전자부품을 흡착할 수 있는 노즐유닛을 포함하는 픽커유닛, 상기 픽커유닛이 승하강 가능하게 복수개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픽커유닛이 함께 승하강되도록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픽커유닛에 접촉되는 제1위치 및 상기 이동부재만 승하강되는 제2위치 간에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유닛, 및 상기 이동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제2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의 종류에 맞추어 전자부품들을 정확하면서도 빠르게 픽업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할 수 있으면서도, 간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에서 픽커유닛 및 이동유닛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에서 이동부재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A-A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에서 제3구동유닛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1)는 본체(2), 픽커유닛(3), 및 이동유닛(4)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2)에는 상기 픽커유닛(3) 및 상기 이동유닛(4)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2)에는 상기 픽커유닛(3)이 승하강 가능하게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표면실장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표면실장기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이동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2) 및 상기 이동프레임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리니어모터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는 상기 본 체(2) 및 상기 이동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면서 전자부품을 이송할 수 있다.
상기 픽커유닛(3)은 전자부품을 흡착할 수 있는 노즐유닛(31)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2)에 승하강 가능하게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픽커유닛(3)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n X m) 행렬[n, m은 1보다 큰 정수]을 이루며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는 한번에 복수개의 전자부품들을 이송할 수 있다.
상기 픽커유닛(3)들은 상기 이동유닛(4)에 의해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는 전자부품의 종류에 맞추어 전자부품들을 정확하면서도 빠르게 픽업하여 이송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표면실장기는 상기 픽커유닛(3)들이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이송할 수 있도록 전자부품들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공급한다. 전자부품들은 크기, 무게, 두께 등이 다른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지는데, 전자부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표면실장기는 전자부품들을 기존과 다른 간격으로 이격시켜 공급하거나, 전자부품들을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시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픽커유닛(3)이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해서는 상기 픽커유닛(3)들을 개별적으로 승하강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픽커유닛(3)들 각각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승하강장치를 설치하면, 전자부품 이송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중량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중량의 증가는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의 이동 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가 상기 공급부에서 전자부품들을 픽업하는 시간, 전자부품들을 픽업한 상태에서 실장위치로 이동되는 시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들을 실장하는 시간 등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표면실장기의 성능 사양 중 하나인 CPH 수치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표면실장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1)는 상기 이동유닛(4)에 의해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는 상기 픽커유닛(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는 적은 개수의 승하강장치로 전자부품의 종류에 맞추어 상기 픽커유닛(3)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간결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량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는 전자부품의 종류에 맞추어 전자부품들을 정확하면서도 빠르게 픽업하여 이송할 수 있다. 승하강장치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의 제조단가 또한 낮출 수 있다.
상기 픽커유닛(3)은 접촉부재(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32)는 상기 이동유닛(4)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32)는 상기 픽커유닛(3) 및 상기 이동유닛(4)이 더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유닛(4)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픽커유닛(3)을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32)는 전체적으로 원반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 았지만, 상기 접촉부재(32)는 상기 픽커유닛(3)에 형성되어 있는 홈일 수도 있다. 이러한 홈에 상기 이동유닛(4)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유닛(4)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픽커유닛(3)이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32)는 상기 픽커유닛(3)에서 윗부분(3a)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접촉부재(32)는 상기 이동유닛(4)과 접촉될 수 있는 위치이면, 상기 픽커유닛(3)의 아랫부분, 중간부분 등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는 상기 픽커유닛(3)들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재(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3)는 상기 픽커유닛(3)이 탄성적으로 승하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33)는 일측이 상기 접촉부재(32)에 결합될 수 있고, 타측이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4)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3)는 상기 접촉부재(32)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픽커유닛(3)이 탄성적으로 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2)에 지지되어 상기 접촉부재(32)를 밀어서 상기 픽커유닛(3)이 탄성적으로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33)는 상기 본체(2)에 지지되어 상기 접촉부재(32)를 밀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유닛(4)에 의해 승하강되지 않은 상기 픽커유닛(3)들은 상기 본체(2)에서 수직방향(Y축방향, 도 2에 도시됨)으로 소정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유닛(4)은 상기 픽커유닛(3)에 힘을 가하거나 가하던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픽커유닛(3)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유닛(4)은 상기 본체(2)에 설치되고, 상기 픽커유닛(3)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는 전자부품의 종류에 맞추어 전자부품들을 정확하면서도 빠르게 픽업하여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4)은 이동부재(41), 제1구동유닛(42), 및 제2구동유닛(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본체(2)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부재(41)에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픽커유닛(3)은 상기 이동부재(41)가 승하강됨에 따라 함께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제2구동유닛(43)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는 이에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픽커유닛(3)에 힘을 가하여 하강시킬 수 있고, 이에 접촉된 픽커유닛(3)에 가하던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픽커유닛(3)이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픽커유닛(3)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가 제1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픽커유닛(3)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4)가 승하강되면, 상기 이동부재(41)에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픽커유닛(3)가 함께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가 제1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이동부재(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커유닛(3)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 있고,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픽커유닛(3)들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부재(41)는 3개 이상의 픽커유닛(3)들에 접촉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부재(41)가 제2위치에 위치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픽커유닛(3)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픽커유닛(3)에 관계없이 상기 이동부재(4)만 승하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부재(41)와 적어도 하나의 픽커유닛(3)이 접촉되어 하강된 상태에서, 진동 등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41)가 이에 접촉된 픽커유닛(3)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41)에 의해 하강되었던 픽커유닛(3)이 원래의 위치로 상승되게 되므로, 상승된 픽커유닛(3)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41)는 원래의 위치로 상승될 수 없다. 상기 이동부재(41)를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를 분해한 후 재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표면실장기의 작동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시간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픽커유닛(3)에 관계없이 상기 이동부재(4)만 승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를 분해한 후 재조립하거나 표면실장기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상기 이동부재(41)를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제1구동유닛(42)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유닛(42)은 상기 이동부재(41)가 상기 픽커유닛(3)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부재(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픽커유닛(3)들이 (n X m) 행렬을 이루며 상기 본체(3)에 설치되는 경우, (n X m) 행렬의 중앙부분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픽커유닛(3)들이 (2 X 2) 행렬을 이루며 상기 본체(3)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재(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X 2) 행렬의 중앙부분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는 돌출부재(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411)는 상기 접촉부재(32)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411)는 상기 이동부재(41) 및 상기 픽커유닛(3)이 더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41)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픽커유닛(3)을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411)는 상기 접촉부재(32)에 접촉될 수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411)는 상기 접촉부재(32)의 상면에 힘을 가하거나 가하던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픽커유닛(3)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접촉부재(32)가 상기 픽커유닛(3)에 형성되어 있는 홈인 경우,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픽커유닛(3)을 승하강시킬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재(411)는, 상기 이동부재(41)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될 때, 상 기 접촉부재(32)들과 접촉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홈(4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411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재(41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구동유닛(42)은 상기 이동부재(41)가 상기 픽커유닛(3)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부재(4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유닛(42)은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유닛(42)은 상기 이동부재(41)를 제1위치 및 제2위치 간에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유닛(42)이 상기 이동부재(41)를 제1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부재(4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픽커유닛(3)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유닛(42)이 상기 이동부재(41)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부재(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커유닛(3)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유닛(42)은 상기 이동부재(4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부재(41)가 적어도 하나의 픽커유닛(3)에 접촉되는 제1위치 및 상기 이동부재(41)가 상기 픽커유닛(3)에 접촉되지 않는 제2위치 간에 상기 이동부재(4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유닛(42)은 제1동력원(421) 및 제1결합부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원(421)은 상기 제1결합부재(4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동력원(421)은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원(421)으로 모터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422)는 일측이 상기 제1동력원(42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1동력원(421)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이동부재(41)가 승하강될 때 함께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유닛(43)은 상기 이동부재(41)를 승하강시킬 수 있고,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유닛(43)이 상기 이동부재(41)를 승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41)에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픽커유닛(3)이 함께 승하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제1구동유닛(42)에 의해 제1위치로 이동된 상태이다.
상기 제2구동유닛(43)이 상기 이동부재(41)를 승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41)만 승하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제1구동유닛(42)에 의해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된 상태이다.
상기 제2구동유닛(43)은 제2동력원(431) 및 제2결합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원(431)은 상기 제2결합부재(432)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원(431)은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원(431)은 모터,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32)는 일측이 상기 제2동력원(43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32) 및 상기 이동부재(41) 사이에 복수개의 회전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41)가 회전되어도 상기 회전구들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재(432)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32)는 상기 제2동력원(431)으로 모터가 이용되는 경우, 볼스크류 방식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32)는 상기 모터에 의 해 회전되는 복수개의 풀리들을 연결하는 벨트 또는 체인에 결합되어서 승하강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32)는 상기 제2동력원(431)으로 실린더가 이용되는 경우, 실린더 로드에 결합되어서 승하강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1)는 제3구동유닛(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유닛(5)은 상기 픽커유닛(3)들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픽커유닛(3)들은 상기 본체(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유닛(5)은 연결부재(51) 및 회전체(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1)는 일측이 상기 픽커유닛(3)들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체(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1)는 상기 픽커유닛(3)들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픽커유닛(3)들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1)는 상기 픽커유닛(3)들 및 상기 회전체(52)를 감싸면서 타원형태를 이루며 상기 픽커유닛(3)들 및 상기 회전체(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픽커유닛(3)들은 상기 연결부재(51)의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연결부재(51)가 이동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1)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픽커유닛(3)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픽커유닛(3)은 회전부재(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1)는 일측이 회전부재(34)들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체(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52)는 제3동력원(53)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3동력원(53)이 상기 회전체(52)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체(52)는 상기 연결부재(5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1)는 상기 회전체(52)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픽커유닛(3)들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제3동력원(53)만으로 상기 픽커유닛(3)들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3구동유닛(5)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1)는 전자부품들을 빠르게 이송할 수 있고, 전자부품들을 인쇄회로기판에 정확하게 실장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부품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야 할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픽커유닛(3)에 흡착되어 있는 경우, 전자부품의 방향을 보정한 후에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픽커유닛(3)을 회전시켜서 전자부품의 방향을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픽커유닛(3)들 각각을 회전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회전장치를 설치하면, 전자부품 이송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중량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량의 증가는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의 이동 속도에 영 향을 미쳐 작업 시간을 증가시키고, CPH 수치에 영향을 미쳐 표면실장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1)는 상기 픽커유닛(3)들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상기 제3구동유닛(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는 적은 개수의 회전장치로 전자부품의 방향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간결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량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는 전자부품들을 빠르게 이송할 수 있고, 전자부품들을 인쇄회로기판에 정확하게 실장할 수 있다. 회전장치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의 제조단가 또한 낮출 수 있다.
상기 제3구동유닛(3)은 복수개의 연결부재(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1)들은 상기 픽커유닛(3)들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1)들은 일측이 상기 픽커유닛(3)들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체(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유닛(3)이 복수개의 연결부재(51)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51) 및 상기 픽커유닛(3)은 더 넓은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51)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픽커유닛(3)은 더 정확한 회전각만큼 회전될 수 있고, 전자부품의 방향 또한 더 정확하게 보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1)들은, 상기 픽커유닛(3)이 승하강되는 방향을 수직방향이라 정의할 때, 수직방향으로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픽커유닛(3) 및 상기 회전체(5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에서 다른 구성들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연결부재(51)들을 복수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연결부재(51)들을 설치하더라도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를 동일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픽커유닛(3)이 (2 X 2) 행렬을 이루며 상기 본체(2)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3구동유닛(3)은 제1연결부재(51a) 및 제2연결부재(5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51a)는 일측이 2개의 픽커유닛(3)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체(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1b)는 일측이 나머지 2개의 픽커유닛(3)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체(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1b)는 상기 제1연결부재(51a)의 위에서 상기 픽커유닛(3)들 및 상기 회전체(5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에서 픽커유닛 및 이동유닛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에서 이동부재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A-A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송장치에서 제3구동유닛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Claims (11)

  1. 전자부품을 흡착할 수 있는 노즐유닛을 포함하는 픽커유닛;
    상기 픽커유닛이 승하강 가능하게 복수개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이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픽커유닛들은 각각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재에는 상기 접촉부재들에 접촉되지 않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접촉부재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거나 상기 접촉부재들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된 픽커유닛이 승하강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제2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
  3. 삭제
  4. 전자부품을 흡착할 수 있는 노즐유닛을 포함하는 픽커유닛,
    상기 픽커유닛이 승하강 가능하게 복수개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픽커유닛이 함께 승하강되도록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픽커유닛에 접촉되는 제1위치 및 상기 이동부재만 승하강되는 제2위치 간에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유닛, 및
    상기 이동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제2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픽커유닛은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접촉부재에 접촉될 수 있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재에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접촉부재들에 접촉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픽커유닛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유닛은 상기 이동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유닛이 탄성적으로 승하강되도록 상기 픽커유닛들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픽커유닛들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픽커유닛들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부재를 이동시키는 회전체를 가지는 제3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픽커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들이 결합되고 상기 픽커유닛들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부재를 이동시키는 회전체를 가지는 제3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유닛이 승하강되는 방향을 수직방향이라 정의할 때, 상기 연결부재들은 수직방향으로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픽커유닛 및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
KR1020080112904A 2008-11-13 2008-11-13 전자부품 이송장치 KR101054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904A KR101054955B1 (ko) 2008-11-13 2008-11-13 전자부품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904A KR101054955B1 (ko) 2008-11-13 2008-11-13 전자부품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994A KR20100053994A (ko) 2010-05-24
KR101054955B1 true KR101054955B1 (ko) 2011-08-05

Family

ID=4227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904A KR101054955B1 (ko) 2008-11-13 2008-11-13 전자부품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776B1 (ko) 2011-06-24 2013-02-08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진동 부품 공급기용 수평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8819B (zh) * 2021-03-02 2022-04-22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微型震动smd表面贴装开关加工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251A (ko) * 2005-11-10 2007-05-1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용 헤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251A (ko) * 2005-11-10 2007-05-1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용 헤드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776B1 (ko) 2011-06-24 2013-02-08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진동 부품 공급기용 수평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994A (ko) 201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0733B1 (ko) 표면실장기의 인쇄회로기판 평면도 보정장치
US6585245B2 (en) Printed-wiring-board-relating-operation performing system
KR101054955B1 (ko) 전자부품 이송장치
JP2010056182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の基板位置決め装置及び基板位置決め方法
KR100980791B1 (ko) 전자부품 이송장치
CN113911735A (zh) 一种上料设备
KR100371226B1 (ko) 표면실장기에 적용된 이형부품 그립퍼
KR101133124B1 (ko) 부품실장기용 기판지지장치
JP4995977B2 (ja) 基板保持装置
CN113811100B (zh) 一种多部件组装设备
KR101126756B1 (ko)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KR100636302B1 (ko) 기판의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KR101189779B1 (ko) 기판 고정 장치
KR101528607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이송장치
JP3402172B2 (ja)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および搭載方法
KR100585599B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CN219258847U (zh) 一种电路板搬运机构
KR101013027B1 (ko) 표면실장장치
KR100405109B1 (ko) 표면실장기의 마운터 헤드
KR20190065952A (ko) 마운터용 클린칭장치 및 마운터
KR100412271B1 (ko) 인쇄회로기판의 클램핑 장치
JP2017195228A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装置用ヘッドユニット
KR101583672B1 (ko) 전자 부품 실장 장치
KR20240039699A (ko) 기판 픽업 이송장치
KR20070081977A (ko) 칩 마운터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