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554B1 -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554B1
KR101534554B1 KR1020130139250A KR20130139250A KR101534554B1 KR 101534554 B1 KR101534554 B1 KR 101534554B1 KR 1020130139250 A KR1020130139250 A KR 1020130139250A KR 20130139250 A KR20130139250 A KR 20130139250A KR 101534554 B1 KR101534554 B1 KR 101534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ree
beverage
extract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722A (ko
Inventor
박원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5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물에 세척, 세절 및 건조시키는 전처리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건조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250 내지 350℃의 온도로 0.5 내지 1.5초 동안 살청한 후 130 내지 200℃의 온도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덖음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덖음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20 내지 26℃의 상온에서 2 내지 7일 동안 숙성시킨 후 100 내지 150℃의 온도에서 3 내지 15분 동안 2차 건조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건조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중탕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농축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는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의 유효성분이 함량이 증가되어 여성질환, 특히 생리주기의 불규칙 및 생리통에 대한 생리불순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색, 향 및 맛 등의 관능성이 개선되어 소비자의 선호도를 향상시키고, 천연 생약제를 사용함으로 부작용이 없으며, 값비싼 원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Beverage for improving gynecologic disorders}
본 발명은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이용하여 여성질환 중 생리불순을 개선하는 효능이 증대된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소득수준의 향상, 핵가족화, 단독세대의 증가, 스피드화 및 여성의 사회진출 증대 등의 영향으로 패스트푸드, 피자 등 서구식 음식과 인스턴트 식품의 소비의 증가, 무리한 다이어트, 과다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비만, 동맥경화, 당뇨, 고혈압, 각종 암, 신장병 등의 각종 성인병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사회진출과 전문직 여성이 늘어나면서 서구식 음식과 인스턴트 식품의 섭취의 증가, 일과 가정에서의 스트레스, 무리한 다이어트 등은 신체 내 영양 불균형,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 estrogen)의 분비감소 등으로 인해 많은 여성이 생리불순, 생리통, 피부트러블, 불면증, 탈모, 우울증, 신장과 가슴의 발육 부진 등의 여성질환을 겪고 있다. 이러한 여성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인위적으로 합성한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는 호르몬 대체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는 장기간 사용시 자궁암, 유방암, 정맥 혈전증, 담낭질환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합성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활성을 가지면서 부장용이 적은 식물 유래의 천연 에스트로겐을 사용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15172호에는 백작약, 천궁, 참당귀, 호로파, 노루발 풀 및 현호색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불순 개선용 식물 추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22430호는 숙지황, 산약, 백복령, 산수유 및 목탄피 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용 음료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9457호는 탄닌이 제거된 석류 착즙액을 해양심층수와 혼합하여 제조한 여성호르몬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여성질환을 예방하는 석류음료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부 선행특허의 식물들은 열수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으로, 음료 또는 식품의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풋내, 쓴맛, 떫은맛, 신맛, 고유의 독특한 냄새 등으로 인해 기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를 이용한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에 대하여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를 덖음처리 및/또는 가향처리를 통해 맛 및 가향을 향상시키고,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켜 여성질환, 특히 생리불순을 개선시키는 약리효과가 우수한 음료를 개발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포함하는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물에 세척, 세절 및 건조시키는 전처리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건조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250 내지 350℃의 온도로 0.5 내지 1.5초 동안 살청한 후 130 내지 200℃의 온도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덖음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덖음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20 내지 26℃의 상온에서 2 내지 7일 동안 숙성시킨 후 100 내지 150℃의 온도에서 3 내지 15분 동안 2차 건조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건조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중탕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농축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 황칠나무의 수피에서 채취되는 수액인 황칠은 세스퀴테르펜 등의 정유성분 뿐만 아니라, 아라키딕산, 팔미틱산, 아르기닌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당뇨, 고혈압, 혈액순환장애, 간 기능개선, 항산화, 골다공증, 치주질환, 면역력강화, 신경안정, 항균, 항암, 생리불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해당화(Rosa rugosa THUNB.)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식물로서, 로사물틴(rosamultin), 퀘세틴(quercetin), 시트릭산(citric acid), 말산(malic acid), 리코펜(lycopene), 토르멘틱산(tormentic aicd)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꽃과 열매는 관상용 및 향수의 원료나 약용으로 쓰이고, 토혈, 지혈, 진통, 피로회복, 항당뇨, 항암, 항산화, 항균, 항염증, 혈당강하, 간장중의 중성지방 감소, 생리불순, 생리통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에 속하는 소교목으로서, 비타민 A, B1, B2, C, 식이섬유, 플라보노이드, 감마아미노부티르산(가바), 루틴, 후라보노이드,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리포플라민 등이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 당뇨병, 콜레스테롤 개선, 배변활동 개선, 항산화작용, 자궁암, 냉증, 생리불순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성질환은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생리불순, 피부트러블, 불감증, 피부노화, 신경과민, 불면증, 탈모, 골다공증, 갱년기 장애 또는 우울증 등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생리불순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여성질환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전처리하는 단계이다.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수거하고 세척, 세절 및 건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척은 염분을 포함하지 않는 담수를 이용하여 황칠나무의 먼지, 흙, 벌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후 과정에서 상기 이물질에 서식하는 균들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세절은 주로 세절기를 이용해 수행하나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를 적당한 크기로 세절하는 것이라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세절하는 크기는 길이 기준으로 2 내지 5cm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세절되는 길이가 2cm 미만인 경우 세절 길이가 그 이상인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이후의 건조과정에서 품질의 차이가 없어 비효율적이며, 세절되는 길이가 5cm를 초과하는 경우 이후 건조과정에서 세절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조각마다 건조정도가 상이하게 되어 이후 단계인 덖음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최종 제조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혼합한 조성물은 황칠나무 특유의 풋내, 쓴맛, 떫은 맛 등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향미에 의해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일반적으로 좋은 영양 및 약리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나 고유의 독특한 향, 쓴맛, 떫은 맛, 신맛 등이 강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의 잎, 가지, 줄기 또는 뿌리 등을 덖음처리 및/또는 가향처리를 통해 영양 및 약리성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풋내, 쓴맛, 떫은맛, 신맛 등과 같은 이미, 이취를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새로운 향미를 생성시켜 기호성을 증진된 건조물을 음료 등의 기능성 식품에 적용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덖음처리는 통상적으로 250 내지 350℃의 온도에서 약 5분 동안 살청(첫 덖음)한 후, 14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유념(비비기)하면서 1회 내지 수회 덖음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덖음처리 조건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잎에 포함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여 맛이 떫고 풋내가 날 수 있으므로 추가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건조는 세절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수분함량이 30 내지 50%가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수분함량이 30% 미만이면 이후 덖음처리 단계에서 그 이상의 수분함량을 포함하는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에 비하여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 및 관능성의 향상이 미미하여 비경제적이고, 상기 수분함량이 50%를 초과하면 이후 공정인 덖음처리 단계에서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최종 제조되는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의 맛 및 향이 변질되고,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가 가지는 효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를 세척 및 세절한 후 80℃의 온도가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40%가 되도록 건조한 다음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를 살청, 덖음, 가향, 여과, 농축 및 혼합하여 제조한 음료와 통상의 방법으로 덖음처리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를 여과, 농축 및 혼합하여 제조한 음료를 이용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수분함량이 40%가 되도록 건조시킨 다음 덖음처리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음료는 통상의 방법으로 덖음처리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음료에 비하여 음료의 색, 맛, 향, 전체적 기호도 및 저장기간에 따라 생성되는 불순물의 양 등의 관능성이 개선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황칠나무는 잎, 줄기, 가지, 뿌리 및 나무껍질 등을 포함하며, 이들 부위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해당화는 나무껍질, 잎, 꽃, 열매, 종자, 줄기, 뿌리, 및 전초를 포함하며, 이들 부위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꾸지뽕나무는 나무껍질, 잎, 꽃, 열매, 종자, 줄기, 뿌리 및 전초를 포함하며, 이들 부위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b) 전처리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덖음하는 단계이다.
상기 S10 단계에서 전처리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덖음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의 전처리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250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80℃의 온도에서 0.5 내지 1.5초 동안 살청한 후 13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의 온도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덖음한다.
상기 살청하는 온도가 250℃ 미만이거나 처리시간이 0.5초 미만인 경우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에 산화효소가 그대로 남아 있어 저장기간이 길어지는 경우 발효가 일어나 최종 제조되는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의 색이 변질되거나 맛이 떫고 풋내가 나며, 온도가 350℃를 초과하거나 처리시간이 1.5초를 초과하는 경우 부스러기가 많이 발생하고, 탄 냄새가 발생하여 최종 제조되는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의 관능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덖음하는 온도가 130℃ 미만이거나 처리시간이 20분 미만인 경우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유효성분이 추출되지 않아 여성질환을 개선 또는 예방하는 효능이 떨어지며, 온도가 200℃를 초과하거나 처리시간이 40분을 초과하는 경우 그 이하의 조건에서 덖음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 향 및 색상의 증가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청 및 덖음은 상기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가마솥, 찜솥, 항아리 등에서 황칠나무의 잎이 타지 않도록 작업자가 직접 손이나 주걱 등을 이용하여 볶아주거나, 상기 가마솥, 찜솥, 항아리 등을 포함하고 자동으로 회전하는 덖음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덖음처리 과정을 통해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에 존재하는 산화효소를 제거하여 최종 제조되는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의 색이 강한 갈색을 띄게 하며, 맛 및 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 상기 덖음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숙성한 후 2차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b) 단계에서 덖음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20 내지 26℃의 상온에서 2 내지 7일 동안 숙성시킨 후 10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20℃의 온도에서 3 내지 15분 동안 2차 건조하여 숙성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의 가향(佳香)을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숙성은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당의 양이 줄어들고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유효성분을 증대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상기 숙성되는 온도가 20℃ 미만이거나 숙성시키는 시간이 2일 미만인 경우 여성질환을 개선하는 효능이 떨어지며, 상기 온도가 26℃를 초과하거나 숙성시키는 시간이 7일을 초과하는 경우 최종 제조된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의 맛이 변질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2차 건조는 숙성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에 잔재하는 수분을 제거하여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가향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상기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를 건조시키는 온도가 100℃ 미만이거나 건조시간이 3분 미만인 경우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가향의 증가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고, 상기 온도가 150℃를 초과하거나 건조시간이 15분을 초과하는 경우 최종 제조되는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의 향과 맛이 변질되는 문제가 있다.
(d)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중탕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이다.
예로부터 한의약에서는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 등과 같은 생약제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생약제를 건조한 후 97℃의 저온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다. 그러나, 상기 생약제는 건조하여 사용함으로서 산화가 일어나 비타민 등의 성분이 제거되고, 상기 생약제를 18시간 이상 저온의 온도로 가열하게 되면 생약제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 이외에 엽록소의 이취, 농약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독성 등도 함께 추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온의 온도에서 단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초음파 추출, 냉각 추출 등을 이용하게 되었으나, 상기 추출 방법들은 추출하는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생약제가 포함하는 유효성분이 모두 추출되지 않아 건강식품, 의약품 등의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그 효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b) 단계에서 산화효소를 제거한 후 (c) 단계에서 건조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를 사용하여 단시간 내에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유효성분의 추출은 (c) 단계에서 건조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를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가 70℃ 미만이거나 추출시간이 2시간 미만인 경우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유효성분이 약리학적 효능을 가지는 함량이 추출되지 않으며, 상기 온도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에 포함되어 있는 이취, 중금속 또는 독성물질이 추출되고, 상기 추출시간이 5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그 이하의 시간에서 추출된 유효성분의 함량에 비하여 증가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과는 상기 추출 후 남는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찌꺼기들을 제거하여 이후 농축과정을 효율적으로 하는 과정으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추출물에 고체 입자들이 포함되지 않게 하여 이를 이용하여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저장기간이 길어져도 불순물이 생기지 않으며, 목넘김을 좋게 할 수 있다. 상기 여과는 고체 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그 방법이 제한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면이나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한외여과법,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사용하여 여과할 수 있다. 또한, 거즈를 이용하여 1차로 여과한 다음, 와트만 페이퍼를 이용하여 2차 여과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농축은 여과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 추출물로부터 유효성분만을 추출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나, 예를 들어 회전식 진공증발기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액상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나 보관 및 사용의 편의성 등을 위하여 건조 등에 의해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액상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 상기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d) 단계에서 추출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21 내지 62 : 11 내지 25 : 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비율을 달리하는 경우 여성질환을 개선하는 효능이 상이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료는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효능을 저해하지 않는 한 음료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추가로 미량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성분은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 등이 있다. 상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및 올리고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이다. 또한,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황칠나무 추출물 62ml, 해당화 추출물 25.65ml, 꾸지뽕나무 추출물 3ml, 올리고당 8.739g, 베타시클로덱스트린 0.6g, 구연산 0.001g 및 구연산 나트륨 0.01g을 혼합한 후 균질화하여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는 맛, 색, 향 및 불순물 등의 관능성이 증대되고, 여성질환, 특히 생리불순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음료의 생리주기 불규칙, 생리통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임상실험을 한 결과, 본 발명에서 제조한 음료는 생리주기의 불규칙 및 생리통에 대한 생리불순 증상을 유의적으로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는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의 유효성분이 함량이 증가되어 여성질환, 특히 생리주기의 불규칙 및 생리통에 대한 생리불순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색, 향 및 맛 등의 관능성이 개선되어 소비자의 선호도를 향상시키고, 천연 생약제를 사용함으로 부작용이 없으며, 값비싼 원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1-1.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 전처리 단계
황칠나무 100g, 해당화 100g 또는 꾸지뽕나무 100g을 세척한 후 세절기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4cm의 크기로 세절하였다. 그 다음 80℃의 온도가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30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30 내지 50%가 되도록 반건조 하였다.
1-2. 살청단계
상기 실시예 1-1에서 전처리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를 280℃의 온도가 유지되는 가마솥에 넣고 1초 동안 교반시키면서 잎의 산화효소를 불활성화 시켰다.
1-3. 덖음단계
상기 실시예 1-2에서 살청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를 18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덖음시켰다. 이때, 상기 덖음은 1분에 약 60번 회전하는 덖음기를 이용하였다.
1-4. 2차 건조단계
상기 실시예 1-3에서 덖음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를 밀폐된 용기에 넣고 20 내지 26℃의 상온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켰다. 그 다음 상기 숙성시킨 황칠나무 잎을 12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2차 건조 시켰다. 이때, 상기 2차 건조는 회전하는 덖음기를 이용하였다.
1-5. 여과 및 농축단계
상기 실시예 1-4에서 추출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거즈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하고, 여과지를 이용하여 2차 여과하였다. 그 다음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회전식 진공증발기를 이용하여 40℃의 온도에서 농축하여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6. 최종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 62ml, 해당화 추출물 25.65ml, 꾸지뽕나무 추출물 3ml, 올리고당 8.739g, 베타시클로덱스트린 0.6g, 구연산 0.001g 및 구연산나트륨 0.01g을 혼합한 후 균질화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통상의 덖음처리 방법으로 제조된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를 건조하는 공정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살청, 덖음, 가향, 여과, 농축 및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임상실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음료의 생리불순 개선 효능을 알아보기 위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군의 분류는 생리량이 아주 적거나 생리주기가 일정하지 않은 상태인 여성 20명(시험군 1), 및 생리통이 심한 상태인 여성 20명(시험군 2)을 대상으로 60일 동안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음료를 아침, 저녁으로 100ml씩 음용하게 하여 생리불순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생리주기 및 생리통 개선 효과에 대해 10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음료를 복용하지 않은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채점 기준은 다음과 같다.
효과가 많이 있음 : 10점
약간 효과가 있음 : 8점
보통 : 6점
효과 미미함 : 4점
효과 없음 : 2점
구분 생리주기 불규칙 생리통
대조군 2.1 2.0
실시예 1 9.6 8.8
비교예 1 8.2 7.6
실험결과,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의 추출물은 생리불순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났으며, 특히,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의 음료는 건조하지 않고 덖음처리 및 가향처리한 비교예 1의 음료에 비하여 생리불순 개선 효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4 :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음료의 기호도를 알아보기 위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으로 시판중인 황칠나무 추출물이 포함된 음료, 해당화 추출물이 포함된 음료 또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이 포함된 음료를 사용하였다.
관능검사 요원은 성인 남성 10명과 성인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을 통하여 평가할 특성에 대한 식별력과 특성, 맛에 대한 안정된 판단기준을 확립한 후 관능검사에 임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색, 향, 맛, 저장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의 총 5가지를 10점 만점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상기 저장성은 제조 후 6개월 저장기간이 지난 음료에 생성되는 불순물에 대한 기호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채점 기준은 다음과 같다.
아주 좋다 : 10점
좋다 : 8점
보통이다 : 6점
나쁘다 : 4점
아주 나쁘다 : 2점
구분 저장성 기호도
황칠나무 추출물 음료 7.8 5.8 5.2 4.3 6.5
해당화 추출물 음료 8.2 8.1 7.8 4.9 6.7
꾸지뽕 추출물 음료 8.3 7.8 8.2 4.8 7.2
실시예 1 8.9 8.3 8.4 6.8 8.2
비교예 1 8.8 7.8 7.9 5.8 7.9
실험결과,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음료는 종래의 시판중인 음료에 비하여 향, 맛, 저장성 및 기호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덖음처리 및 가향처리를 통해 진한 갈색을 띄며, 향 및 맛의 조화가 적절하게 이루어져 전체적 기호도가 향상되었다. 특히, 저장 6개월 후에도 생성되는 불순물이 양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조예 1: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황칠나무 잎 나노분말 4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6)

  1. (a)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물에 세척, 세절 및 건조시키는 전처리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건조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250 내지 350℃의 온도로 0.5 내지 1.5초 동안 살청한 후 130 내지 200℃의 온도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덖음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덖음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20 내지 26℃의 상온에서 2 내지 7일 동안 숙성시킨 후 100 내지 150℃의 온도에서 3 내지 15분 동안 2차 건조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건조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를 각각 중탕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농축한 황칠나무, 해당화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불순의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건조는 황칠나무, 해당화 또는 꾸지뽕나무의 수분함량이 30 내지 50%가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불순의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중탕은 70 내지 100℃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불순의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혼합은 황칠나무 추출물, 해당화 추출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이 21 내지 62 : 11 내지 25 : 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불순의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생리불순의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KR1020130139250A 2013-11-15 2013-11-15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534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250A KR101534554B1 (ko) 2013-11-15 2013-11-15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250A KR101534554B1 (ko) 2013-11-15 2013-11-15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722A KR20150056722A (ko) 2015-05-27
KR101534554B1 true KR101534554B1 (ko) 2015-07-09

Family

ID=5339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250A KR101534554B1 (ko) 2013-11-15 2013-11-15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430B1 (ko) 2018-03-05 2018-12-12 인천광역시 옹진군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757B1 (ko) * 2015-12-30 2017-04-1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1201532A1 (ko) * 2020-03-31 2021-10-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3786A (ko)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로렌츄컴퍼니 피부개선 및 여성질환 예방용 기능성 뱅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040B1 (ko) * 2010-08-03 2013-04-04 박숙우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333007B1 (ko) * 2012-01-31 2013-11-26 정명기 황칠나무 액기스 추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040B1 (ko) * 2010-08-03 2013-04-04 박숙우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333007B1 (ko) * 2012-01-31 2013-11-26 정명기 황칠나무 액기스 추출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3040209310970462&outlink=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430B1 (ko) 2018-03-05 2018-12-12 인천광역시 옹진군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722A (ko)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550B1 (ko)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534554B1 (ko)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5851376A (zh) 辣木叶茶酶解蛋白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387371B1 (ko)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멀꿀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1490211B1 (ko)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5347A (ko)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KR100762498B1 (ko) 포도잎 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도잎 차
KR100894636B1 (ko) 둥근마추출액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96466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배즙의 제조방법
KR102610447B1 (ko) 회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식품 조성물
KR101928430B1 (ko)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 방법
KR20140131618A (ko) 황칠나무를 함유하는 막걸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막걸리
KR100672842B1 (ko) 제주조릿대잎 혼합차와 그 제조방법
CN105519744A (zh) 一种金樱子茶固体饮料及制作方法
KR100337740B1 (ko) 섬오갈피 건강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05795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JP2003289834A (ja) ノニ葉茶およびその抽出茶液
KR102622213B1 (ko)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50004B1 (ko) 헛개나무열매 진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36139B1 (ko) 홍화와 약용식물을 이용한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KR20030004288A (ko) 차의 제조방법
KR102204188B1 (ko) 액상형 오자 조성물
KR102450640B1 (ko) 기능성 원료를 첨가한 비트 주스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