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019B1 -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 Google Patents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019B1
KR101533019B1 KR1020147031699A KR20147031699A KR101533019B1 KR 101533019 B1 KR101533019 B1 KR 101533019B1 KR 1020147031699 A KR1020147031699 A KR 1020147031699A KR 20147031699 A KR20147031699 A KR 20147031699A KR 101533019 B1 KR101533019 B1 KR 101533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valve
opening
closing
oi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8482A (ko
Inventor
사토시 야마모토
치아키 가타오카
마사키 아카기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40148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2015/0419Self-sealing closure caps, e.g. that don't have to be removed manually
    • B60K2015/0429Self-sealing closure caps, e.g. that don't have to be removed manually actuated by the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개폐 밸브를 폐쇄 동작하게 할 때에는 급유구의 폐색 위치로 급격하게 회동하지 않도록 함과 함께, 개방 동작하게 할 때에는 작은 힘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얻는다. 급유부 구조(12)는, 플래퍼 밸브(20)보다 급유 노즐(28)의 삽입 방향의 직전 측에 댐퍼(32)를 구비한다. 댐퍼(32)는 플래퍼 밸브(20)의 개방 위치로의 회동에는 플래퍼 밸브(20)에 작용하지 않고, 폐색 위치로의 회동에는 플래퍼 밸브(20)에 작용한다.

Description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STRUCTURE FOR FUEL FILLING SECTION OF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연료 탱크에 급유하기 위한 급유부 구조로서, 급유 노즐이 삽입되는 급유구를 플래퍼 밸브 등의 개폐 밸브로 개폐할 수 있게 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9-173149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주입구를 폐쇄하는 밸브 개방 기구의 개폐 부재를 개방 동작하게 하기 위한 개폐 기동 기구를 구비한 탱크용 개폐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개폐 부재(개폐 밸브)를 폐쇄 동작하게 할 때에는 급유구의 폐색 위치로 급격하게 회동(回動)하지 않도록 함과 함께, 개방 동작하게 할 때에는 작은 힘으로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개폐 밸브를 폐쇄 동작하게 할 때에는 급유구의 폐색 위치로 급격하게 회동하지 않도록 함과 함께, 개방 동작하게 할 때에는 작은 힘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態樣)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에서는, 연료 탱크로의 급유용의 급유 노즐이 삽입되는 급유구를 구비하는 급유구 부재와, 상기 급유구를 개폐 가능한 개폐 밸브와, 상기 급유구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와, 상기 급유 노즐에 밀려 급유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개폐 밸브를 상기 급유구 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밸브 축과, 상기 개폐 밸브를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색 위치로 가압하는 밸브 가압 부재와, 상기 개폐 밸브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색 위치로 회동할 때에 상기 개폐 밸브보다 상기 급유구 부재로의 상기 급유 노즐의 삽입 방향 직전 측으로부터 상기 개폐 밸브에 접촉하여 당해 개폐 밸브의 회동에 저항을 발생하게 하는 댐퍼를 갖는다.
제 1 태양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에서는, 급유구 부재에 대하여 개폐 밸브가 밸브 축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밸브 가압 부재가 개폐 밸브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색 위치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통상은 급유구가 개폐 밸브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다.
급유 노즐이 급유구로 삽입되면, 개폐 밸브가 급유 노즐에 밀린다. 그리고, 개폐 밸브가 밸브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개방 위치로 회동하여, 급유구가 개방된다.
급유 노즐을 급유구로부터 뽑으면, 개폐 밸브는 급유 노즐에 의해서 밀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밸브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받아, 개방 위치로부터 폐색 위치로 회동한다. 이 때, 댐퍼가 개폐 밸브에 접촉하여, 개폐 밸브의 회동에 저항을 발생하게 한다. 이에 의해, 개폐 밸브가 급격하게 폐색 위치로 회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댐퍼가 개폐 밸브에 접촉하여 개폐 밸브의 회동에 저항을 발생하게 하는 작용은, 적어도 개폐 밸브가 폐색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는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개폐 밸브가 폐색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댐퍼가 개폐 밸브에 접촉해 있으면, 개폐 밸브가 폐색 위치에 있어서 급유구 부재 등에 강하게 부딪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단, 개폐 밸브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색 위치로 도달하는 도중에만 댐퍼가 개폐 밸브에 접촉해 있는(개폐 밸브가 폐색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는, 댐퍼는 개폐 밸브로부터 떨어진) 구성이어도 된다. 즉, 이 구성이더라도, 댐퍼가 개폐 밸브에 접촉해 있는 시간은 개폐 밸브의 회동에 저항을 발생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 밸브의 급격한 회동은 억제할 수 있다.
댐퍼는, 급유구 부재로의 급유 노즐의 삽입 방향의 직전 측으로부터 개폐 밸브에 접촉해 있다. 개폐 밸브가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동할 때에는, 개폐 밸브의 회동에 대하여 댐퍼가 저항을 발생하게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개폐 밸브를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동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은, 개폐 밸브에 댐퍼의 저항이 작용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작아진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에서는, 추가로, 상기 댐퍼가, 상기 개폐 밸브에 접촉하는 댐퍼 접촉편과, 상기 밸브 축의 회동 중심보다 상기 삽입 방향 직전 측에서 당해 회동 중심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댐퍼 접촉편을 상기 급유구 부재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댐퍼 축과, 상기 댐퍼 접촉편을 상기 개폐 밸브에의 접촉 방향으로 가압하는 댐퍼 가압 부재를 갖는다.
댐퍼 접촉편은 댐퍼 축에 의해서 급유구 부재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댐퍼 접촉편은, 댐퍼 가압 부재에 의해서 개폐 밸브에의 접촉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댐퍼 축은, 밸브 축(개폐 밸브의 회동 중심)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개폐 밸브의 회동 동작 시에는, 댐퍼 접촉편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회동 가능하게 된다.
댐퍼를, 댐퍼 접촉편, 댐퍼 축 및 댐퍼 가압 부재를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에서는, 제 2 태양에 있어서, 상기 댐퍼 축이, 상기 급유구 부재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밸브 축과 동일한 측에 위치하고, 상기 댐퍼 접촉편이, 상기 댐퍼 축으로부터 이간(離間)함에 따라서 상기 개폐 밸브에 접근하도록 경사진 안내면을 갖는다.
댐퍼 접촉편은, 댐퍼 축으로부터 이간함에 따라서 상기 개폐 밸브에 접근하도록 경사진 안내면을 갖고 있다. 따라서, 급유 노즐을 급유구에 삽입할 때에, 급유 노즐이 안내면에 부딪히면, 안내면을 따라서 급유 노즐은, 개폐 밸브의 밸브 축으로부터 먼 위치로 안내된다. 급유 노즐이 밸브 축으로부터 먼 위치에서 개폐 밸브를 밀기 때문에, 개폐 밸브를 작은 힘으로 개방 위치로 회동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댐퍼 접촉편이 안내면을 갖고 있으므로, 안내면을 갖는 부재를 새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 점수(點數)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에서는, 제 3 태양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이, 상기 댐퍼 축을 따른 폭 방향의 중앙이 폭 방향의 양단부(兩端部)보다 상기 삽입 방향 안쪽에 위치하도록 만곡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안내면이 만곡해 있으므로, 급유 노즐을 급유구에 삽입할 때에, 급유 노즐이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안내면에 접촉하더라도, 급유 노즐을 폭 방향의 중심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개폐 밸브를 폐쇄 동작하게 할 때에는 급유구의 폐색 위치로 급격하게 회동하지 않도록 함과 함께, 개방 동작하게 할 때에는 작은 힘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플래퍼 밸브가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나타낸 도 1의 2-2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플래퍼 밸브가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의 상태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플래퍼 밸브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플래퍼 밸브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색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의 상태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플래퍼 밸브가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나타낸 도 6의 7-7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플래퍼 밸브가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의 상태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플래퍼 밸브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플래퍼 밸브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색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의 상태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이하, 간단하게 「급유부 구조」라고 함)(12)의 외관 형상이, 정면에서 본 상태에서 나타나 있다. 또, 도 2에는, 이 급유부 구조(12)가, 도 1에 있어서의 2-2 선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유구를 폐색하기 위한 캡이 필요 없는 구조이다.
도시(圖示)하지 않은 연료 탱크에는, 도 2에 나타낸 급유용의 인렛 파이프(14)의 하단(下端)이 접속되어 있고, 이 인렛 파이프(14)의 상부에, 급유부 구조(12)가 적용되어 있다.
인렛 파이프(14)의 상단(上端)의 내측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급유구 부재(16)가 장착되어 있다. 급유구 부재(16)의 내부는 급유구(26)로 되어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유 노즐(28)을 급유구(26)에 삽입하여, 연료 탱크에 급유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간단하게 「안쪽」이라고 할 때는, 급유구 부재(16)에 있어서 연료 탱크에 가까운 측(도 2∼도 5에 있어서의 우측)을 말하고, 「직전 측」이라고 할 때는, 그 반대측, 즉, 급유 노즐(28)을 꽂는 측(도 2∼도 5에 있어서의 좌측)을 말한다. 또, 「직경 방향」이라고 할 때는, 대략 원통 형상의 급유구 부재(16)의 직경 방향을 말한다. 급유구 부재(16)의 축 방향(길이 방향)의 중심을 중심선 CL로 나타낸다.
급유구 부재(16)의 내측(즉, 급유구(26))의 상부에는, 플래퍼 밸브(20)가 구비되어 있다. 플래퍼 밸브(20)는 본 발명의 개폐 밸브의 일례이다.
플래퍼 밸브(20)는, 도 2에 있어서의 상부에 설치된 힌지(22)에 의해서, 급유구 부재(16)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플래퍼 밸브(20)는, 급유구(26)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 TP(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와, 급유구(26)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HP(도 2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한다. 힌지(22)는 본 발명의 밸브 축의 일례이다.
플래퍼 밸브(20)는, 급유구(26)를 폐색 가능한 밸브 본체부(30)를 갖고 있다. 밸브 본체부(30)의 외주 부분에는 고리 형상의 가스켓(34)이 장착되어 있다. 가스켓(34)은, 내연료성 및 탄성을 갖는 고무 등에 의해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급유구 부재(16)에는, 폐색 위치 TP에 있는 플래퍼 밸브(20)보다 직전 측에, 급유구(26)를 둘러싼 고리 형상의 접촉 고리(24)가 설치되어 있다.
플래퍼 밸브(20)는, 폐색 위치 TP에서는,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래퍼 밸브(20)의 가스켓(34)이 접촉 고리(24)에 부딪히고 있어, 플래퍼 밸브(20)의 폐색 위치 TP로 향하는 방향(화살표 R1 방향)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그리고, 플래퍼 밸브(20)의 가스켓(34)이 접촉 고리(24)에 대하여 안쪽으로부터 전체 둘레에서 접촉함으로써, 급유구(26)를 폐색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플래퍼 밸브(20)는, 개방 위치 HP에서는, 플래퍼 밸브(20)의 하부, 즉, 힌지(22)가 배치된 측과 반대측이, 안쪽(연료 탱크 측)으로 크게 이동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급유구(26)에 급유 노즐(28)을 삽입 가능하게 된다.
플래퍼 밸브(20)의 배면에는 스토퍼 돌기(40)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돌기(40)는, 플래퍼 밸브(20)가 개방 위치 HP에 있을 때에 인렛 파이프(14) 또는 급유구 부재(16)의 내주면에 부딪힘으로써 플래퍼 밸브(2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또한, 플래퍼 밸브(20)에는, 필요에 따라, 연료 탱크 내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밸브 등이 설치된다.
힌지(22)에는,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18)이 걸쳐 감겨 있다.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18)은 본 발명의 밸브 가압 부재의 일례이다.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18)은, 플래퍼 밸브(20)를, 폐색 위치 TP를 향하여(화살표 R1 방향) 가압하고 있어, 의도치 않게 급유구(26)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플래퍼 밸브(20)는, 급유구(26)로부터 삽입되려고 하는 급유 노즐(28)에 의해 밀리면,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1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개방 위치 HP로 회동한다.
급유구 부재(16)에는, 힌지(22)의 직전 측의 위치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퍼(32)가 설치되어 있다. 댐퍼(32)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댐퍼 축(42)을 갖고 있다. 댐퍼 축(42)은, 급유구 부재(16)의 중심선 CL에 대하여, 힌지(22)와 동일한 측에서, 또한 힌지(22)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 간단하게 「폭 방향」이라고 할 때는, 댐퍼 축(42)을 따른 방향을 말하고,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 W1으로 나타낸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댐퍼 축(42)에는, 댐퍼 접촉편(36)의 일단부(一端部)(36A) 측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일단부(36A)는, 댐퍼 축(42)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반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댐퍼 축(42)을 유지하면서 댐퍼 축(42)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댐퍼 접촉편(36)이 의도치 않게 탈락하는 일 없이, 댐퍼 축(4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댐퍼 접촉편(36)은, 일단부(36A) 측으로부터 중간부(36C)까지는 직경 방향 내측 또한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중간부(36C)로부터 타단부(他端部)(36B) 측은, 안쪽으로만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댐퍼 접촉편(36)의 타단부(36B)는, 폐색 위치 TP에 있는 플래퍼 밸브(20)의 밸브 본체부(30)에 직전 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댐퍼 접촉편(36)의 일단부(36A)부터 중간부(36C)까지에 있어서의 직전 측의 면은, 댐퍼 축(42)으로부터 이간함에 따라서 플래퍼 밸브(20)에 접근하는 경사면(36S)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36S)은 본 발명의 안내면의 일례이다.
댐퍼 축(42)에는 댐퍼용 스프링(38)이 장착되어 있다. 댐퍼용 스프링(38)은 본 발명의 댐퍼 가압 부재의 일례이다.
댐퍼용 스프링(38)은, 댐퍼 접촉편(36)의 타단부(36B) 측이 밸브 본체부(30)에 직전 측으로부터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화살표 R2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단, 이 가압력이 플래퍼 밸브(20)에 작용하더라도 플래퍼 밸브(20)가 개방 위치 HP로 의도치 않게 회동하지 않도록, 댐퍼용 스프링(38)의 스프링력이 설정되어 있다.
댐퍼 축(42)은 댐퍼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퍼 밸브(20)가 개방 위치 HP로부터 폐색 위치 TP로 회동할 때, 댐퍼 접촉편(36)이 플래퍼 밸브(20)에 대하여 직전 측에서 접촉한다. 댐퍼용 스프링(38)은 댐퍼 접촉편(36)을 화살표 R2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플래퍼 밸브(20)의 급격한 회동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즉, 댐퍼용 스프링(38)이 댐퍼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댐퍼용 스프링(38)에 부가하여, 유체의 점성을 이용한 댐퍼 기구도 이용된다. 유체의 점성을 이용한 댐퍼 기구에서는, 내부에 점성 유체가 봉입(封入)되어 있어, 이 점성 유체가 도시하지 않은 소공부(小孔部)를 통과할 때의 유동 저항에 의하여, 댐퍼 접촉편(36)의 회동에 소정의 저항을 발생하게 한다. 또, 부재 간의 마찰을 이용한 댐퍼 기구를 이용해도 된다. 부재 간의 마찰을 이용한 댐퍼 기구에서는, 댐퍼 접촉편(36)의 회동 시에 슬라이딩하는 부재를 미리 설치해 두고, 이들 부재 간의 마찰 저항에 의하여, 댐퍼 접촉편(36)의 회동에 소정의 저항을 발생하게 한다.
급유구 부재(16)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퍼 밸브(20)가 개방 위치 HP에 있을 때에, 댐퍼 접촉편(36)이 밸브 본체부(30)와 비접촉이 되더라도, 이 스토퍼에 부딪힘으로써 댐퍼 접촉편(36)의 화살표 R2 방향의 회동 범위가 제한된다.
급유구 부재(16)에는, 접촉 고리(24)보다 직전 측의 위치에, 지지면(16S)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면(16S)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동한 댐퍼 접촉편(36)의 중간부(36C)와의 사이에, 급유 노즐(28)의 직경과 동일한 간격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댐퍼 접촉편(36)의 화살표 R2 방향의 회동에 대하여 댐퍼 기구에 의해서 저항이 발생하고 있어, 댐퍼 접촉편(36)은 화살표 R2 방향으로 느릿하게 회동한다. 이에 의해, 급유구(26)로 삽입된(또는 삽입 도중인) 급유 노즐(28)을, 댐퍼 접촉편(36)의 일부(타단부(36B) 측부터 중간부(36C)까지의 부분)와 지지면(16S)과의 사이에 끼워넣는(단, 급유 노즐(28)의 삽입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강하게 끼워넣는 경우는 없음)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12)의 작용을 설명한다.
통상 상태에서는,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퍼 밸브(20)가 폐색 위치 TP에 있어, 급유구(26)가 폐색되어 있다.
급유 노즐(28)로부터 연료를 연료 탱크에 급유하는 경우에는, 급유 노즐(28)에 의해서 플래퍼 밸브(20)를 밀어, 개방 위치 HP로 회동하게 한다. 즉, 먼저, 급유 노즐(28)의 선단(先端)을 급유구(26)에 댄다.
이 때, 급유 노즐(28)의 선단이 경사면(36S)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경사면(36S)은 댐퍼 축(42)으로부터 이간함에 따라서 플래퍼 밸브(20)에 접근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급유 노즐(28)의 선단을, 이 경사면(36S)을 따라, 힌지(22)로부터 먼 위치에서 플래퍼 밸브(20)에 접촉하도록 안내한다. 즉, 급유 노즐(28)은 힌지(22)로부터 먼 위치에서 플래퍼 밸브(20)를 밀기 때문에, 힌지(22)로부터 가까운 위치를 미는 구성과 비교하여, 작은 힘으로 플래퍼 밸브(20)를 개방 위치 HP로 회동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급유 노즐(28)을 화살표 F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유 노즐(28)에 밀려 플래퍼 밸브(20)가 개방 위치 HP로(화살표 R3 방향) 회동하기 시작한다. 이 때, 지지면(16S)은 급유 노즐(28)을 지지하므로, 급유자가 급유 노즐(28)을 지지하는 부하가 적어진다. 또, 댐퍼 접촉편(36)의 일부(타단부(36B) 측부터 중간부(36C)까지의 부분)와 지지면(16S)와의 사이에 급유 노즐(28)을 두고 있으므로, 급유 노즐(28)의 상하 방향(화살표 T1 방향)으로의 의도치 않은 이동이 억제되어, 급유 노즐(28)을 급유구(26)로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댐퍼 접촉편(36)은, 댐퍼용 스프링(38)에 의해서 화살표 R2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러나, 댐퍼 접촉편(36)의 화살표 R2 방향으로의 회동은, 댐퍼 기구에 의해서 저항을 받기 때문에, 급격한 회동은 억제되고 있다. 따라서, 플래퍼 밸브(20)의 화살표 R3 방향으로의 회동이 느릿한 경우에는, 댐퍼 접촉편(36)은, 타단부(36B) 측이 플래퍼 밸브(20)의 밸브 본체부(30)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대하여, 플래퍼 밸브(20)의 화살표 R3 방향의 회동이 급격한 경우에는, 이 플래퍼 밸브(20)의 회동에 댐퍼 접촉편(36)이 추종할 수 없어, 밸브 본체부(30)와 댐퍼 접촉편(36)과는 멀어진다(도 3 참조). 결국, 댐퍼 접촉편(36)은, 밸브 본체부(30)의 뒤를 쫓아가도록 하여 회동한다. 따라서, 댐퍼(32)로부터 플래퍼 밸브(20)로의 댐퍼 작용, 즉, 플래퍼 밸브(20)의 회동에 저항을 발생하게 하는 일은 없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퍼 밸브(20)의 스토퍼 돌기(40)가 급유구 부재(16)의 내주면에 부딪힘으로써 플래퍼 밸브(20)의 화살표 R3 방향의 회동이 제한된 위치가, 플래퍼 밸브(20)의 개방 위치 HP이다. 이 때, 플래퍼 밸브(20)는 완전개방 상태가 되어 있다.
플래퍼 밸브(20)는, 개방 위치 HP에 있어서, 댐퍼 접촉편(36)으로부터 이간되어 있어, 플래퍼 밸브(20)와 댐퍼 접촉편(36)과는 비접촉이 되어 있다. 또, 댐퍼 접촉편(36)은, 댐퍼용 스프링(38)의 가압력을 받아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동한 위치에 있다.
급유 노즐(28)을 급유구(26)로부터 뽑으면, 플래퍼 밸브(20)가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18)의 가압력을 받아, 폐색 위치 TP를 향하여(화살표 R1 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회동 도중에, 플래퍼 밸브(20)는 댐퍼 접촉편(36)에 접촉한다.
추가로 플래퍼 밸브(20)는 화살표 R1 방향으로 회동하려고 하나, 댐퍼 접촉편(36)에 접촉해 있다. 따라서, 댐퍼 접촉편(36)으로부터, 플래퍼 밸브(20)의 화살표 R1 방향의 회동에 대한 저항이 작용한다. 따라서, 플래퍼 밸브(20)는,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18)의 가압력을 받고 있으나, 급격하게 회동하는 일은 없고, 느릿하게 회동하여, 폐색 위치 TP에 도달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래퍼 밸브(20)가 폐색 위치 TP에 도달하기 직전에 있어서, 댐퍼(32)가 플래퍼 밸브(20)의 회동에 저항을 작용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플래퍼 밸브(20)가 접촉 고리(24)에 강하게 부딪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12)에서는, 플래퍼 밸브(20)를 폐색 위치 TP로 회동하게 할(폐쇄 동작하게 할) 때에는, 댐퍼(32)에 의한 댐퍼 작용을 받음으로써 폐색 위치 TP로 급격하게 회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플래퍼 밸브(20)를 개방 위치 HP로 회동하게 할(개방 동작하게 할) 때에는, 댐퍼(32)에 의한 댐퍼 작용이 플래퍼 밸브(20)에 미치지 않도록 하여, 플래퍼 밸브(20)를 작은 힘으로 회동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72)가 나타나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6에서는, 급유부 구조(72)를 직전 측에서 보았을 때의 중심선을 일점 쇄선 CL로 나타내고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댐퍼 접촉편의 형상이 제 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의 댐퍼 접촉편(76)에는, 제 1 실시 형태의 경사면(36S)(도 1 및 도 2 참조) 대신에, 만곡면(76D)이 설치되어 있다.
만곡면(76D)은, 폭 방향의 중앙 부분(76C)(중심선 CL에 가까운 부분)이 가장 안쪽에 위치하고, 폭 방향의 양단(兩端) 부분(76S)(중심선 CL로부터 먼 부분)이 가장 직전 측에 위치하도록,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또,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의 경사면(36S)에서는, 도 2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36A) 측부터 중간부(36C)에 걸쳐, 이 경사면(36S)이 직선 형상으로 나타나 있는 데에 비하여,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의 단면도에서 보면, 만곡면(76D)은, 일단부(36A) 측부터 중간부(36C)에 걸쳐, 안쪽을 향하여 오목면이 되도록 만곡한 형상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제 2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72)에 있어서도, 급유 노즐(28)을 급유구(26)에 삽입할 때에는, 급유 노즐(28)의 선단을 만곡면(76D)에 접촉시킨다. 여기서, 도 7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급유 노즐(28A)과 같이, 선단이 만곡면(76D)의 상부에 접촉하도록 급유 노즐(28)이 경사져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만곡면(76D)은 안쪽을 향함에 따라 플래퍼 밸브(20)의 밸브 본체부(30)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급유 노즐(28)은 만곡면(76D)을 따라 안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밸브 본체부(30)에 접근하도록 안내된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의 단면에서 보아 만곡면(76D)이 안쪽으로 오목면이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급유 노즐(28)의 선단이 만곡면(76D)에 접촉한 상태에서 급유 노즐(28)이 화살표 F1 방향으로 이동하면, 급유 노즐(28)에 대하여, 만곡면(76D)을 따른 도 7의 화살표 R5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급유 노즐(28A)의 상기한 경사가, 급유구 부재(16)의 중심선 CL과 평행해지도록 교정된다(도 7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급유 노즐(28) 및 도 8에 실선으로 나타낸 급유 노즐(28) 참조).
또, 만곡면(76D)은,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이 가장 안쪽에 위치하고, 폭 방향의 양단 부분이 가장 직전 측에 위치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급유 노즐(28B)과 같이, 급유 노즐(28)의 선단이 만곡면(76D)에 대하여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접촉하더라도, 급유 노즐(28B)을, 폭 방향의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6에 있어서의 급유 노즐(28) 참조).
이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72)에서는, 급유 노즐(28)이 만곡면(76D)에 부딪힌 경우에, 만곡면(76D)에 의해서 급유 노즐(28)을 플래퍼 밸브(20)의 밸브 본체부(30)에 확실하게 접촉하는 위치로 안내하는 효과가 높다.
상기 이외에서는, 제 2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72)는, 제 1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12)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즉, 급유 노즐(28)을 화살표 F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유 노즐(28)에 밀려 플래퍼 밸브(20)가 개방 위치 HP로 회동한다. 이 때, 댐퍼(32)로부터 플래퍼 밸브(20)로의 댐퍼 작용은 달성하지 못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퍼 밸브(20)는, 개방 위치 HP에 있을 때는, 댐퍼 접촉편(76)으로부터 이간되어 있어, 플래퍼 밸브(20)와 댐퍼 접촉편(76)은 비접촉이 되어 있다.
급유 노즐(28)을 급유구(26)로부터 뽑으면, 플래퍼 밸브(20)가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18)의 가압력을 받아, 폐색 위치 TP를 향하여(화살표 R1 방향) 회동하고, 회동 도중에 플래퍼 밸브(20)는 댐퍼 접촉편(76)에 접촉한다.
그 후에는, 댐퍼 접촉편(76)으로부터, 플래퍼 밸브(20)의 화살표 R1 방향의 회동에 대한 저항이 작용하기 때문에, 플래퍼 밸브(20)는 느릿하게 회동하여, 폐색 위치 TP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72)에 있어서도, 플래퍼 밸브(20)를 폐색 위치 TP로 회동하게 할 때에는, 댐퍼(32)에 의한 댐퍼 작용을 받음으로써, 폐색 위치 TP로 급격하게 회동하지 않는다. 또, 플래퍼 밸브(20)를 개방 위치 HP로 회동하게 할 때에는, 댐퍼(32)에 의한 댐퍼 작용이 플래퍼 밸브(20)에 미치지 않도록 하여, 플래퍼 밸브(20)를 작은 힘으로 회동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 등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12)에 있어서도, 경사면(36S)은, 안쪽을 향함에 따라 플래퍼 밸브(20)의 밸브 본체부(30)에 접근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급유구(26)로의 삽입 시에 접촉한 급유 노즐(28)을 플래퍼 밸브(20)의 밸브 본체부(30)에 접근하도록 안내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댐퍼(32)는, 플래퍼 밸브(20)보다 직전 측에 배치되어 있다. 댐퍼(32)가 급유구 부재(16) 내의 연료에 접촉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댐퍼(32)의 구조나 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아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댐퍼로서, 댐퍼 축(4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댐퍼 접촉편(36)을 구비한 구조를 예로 들었으나, 댐퍼로서는, 이와 같이 회동하는 구조의 부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급유구 부재(16)의 안쪽 위치와 직전 측 위치를 슬라이딩하여, 플래퍼 밸브(20)의 밸브 본체부(30)에 직전 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슬라이드 편을 설치해도 된다. 단, 슬라이드 편을 슬라이딩하게 하는 구조에서는, 슬라이드 편을 슬라이딩하게 하기 위한 구조가 급유구 부재(16)에 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상기 각 실시 형태와 같이, 댐퍼 축(42)을 중심으로 하여 댐퍼 접촉편(36)을 회동하게 하는 구조에서는, 실질적으로 댐퍼 축(42)을 급유구 부재(16)에 설치하면 충분하다.
또, 댐퍼 접촉편(36)을 회동하게 하는 구조에서는, 댐퍼 축(42)(댐퍼 접촉편(36)의 회동 중심)이, 힌지(22)(플래퍼 밸브(20)의 회동 중심)와 평행해져 있을 필요는 없다. 단, 이들이 평행해져 있으면, 플래퍼 밸브(20)의 회동에 따라, 댐퍼 접촉편(36)을 확실하게 플래퍼 밸브(20)에 접촉시키면서, 원활하게 플래퍼 밸브(20) 및 댐퍼 접촉편(36)을 회동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2 : 급유부 구조
16 : 급유구 부재
20 : 플래퍼 밸브(개폐 밸브)
22 : 힌지(밸브 축)
26 : 급유구
28 : 급유 노즐
32 : 댐퍼
36 : 댐퍼 접촉편
36S : 경사면
38 : 댐퍼용 스프링(댐퍼 가압 부재)
42 : 댐퍼 축
72 : 급유부 구조
76 : 댐퍼 접촉편
76D : 만곡면

Claims (4)

  1. 연료 탱크로의 급유용의 급유 노즐이 삽입되는 급유구를 구비하는 급유구 부재와,
    상기 급유구를 개폐 가능한 개폐 밸브와,
    상기 급유구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와, 상기 급유 노즐에 밀려 급유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개폐 밸브를 상기 급유구 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밸브 축과,
    상기 개폐 밸브를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색 위치로 가압하는 밸브 가압 부재와,
    상기 개폐 밸브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색 위치로 회동할 때에 상기 개폐 밸브보다 상기 급유구 부재로의 상기 급유 노즐의 삽입 방향 직전 측으로부터 상기 개폐 밸브에 접촉하여 당해 개폐 밸브의 회동에 저항을 발생하게 하는 댐퍼를 가지며,
    상기 댐퍼가,
    상기 개폐 밸브에 접촉하는 댐퍼 접촉편과,
    상기 밸브 축의 회동 중심보다 상기 삽입 방향 직전 측에서 당해 회동 중심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댐퍼 접촉편을 상기 급유구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댐퍼 축과,
    상기 댐퍼 접촉편을 상기 개폐 밸브에의 접촉 방향으로 가압하는 댐퍼 가압 부재를 갖는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축이, 상기 급유구 부재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밸브 축과 동일한 측에 위치하고,
    상기 댐퍼 접촉편이, 상기 댐퍼 축으로부터 이간함에 따라서 상기 개폐 밸브에 접근하도록 경사진 안내면을 갖는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이, 상기 댐퍼 축을 따른 폭 방향의 중앙이 폭 방향의 양단부보다 상기 삽입 방향 안쪽에 위치하도록 만곡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는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KR1020147031699A 2012-04-12 2012-04-12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KR101533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0043 WO2013153658A1 (ja) 2012-04-12 2012-04-12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482A KR20140148482A (ko) 2014-12-31
KR101533019B1 true KR101533019B1 (ko) 2015-07-01

Family

ID=49327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699A KR101533019B1 (ko) 2012-04-12 2012-04-12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67637B2 (ko)
EP (1) EP2837518B1 (ko)
JP (1) JP5720850B2 (ko)
KR (1) KR101533019B1 (ko)
CN (1) CN104220289B (ko)
WO (1) WO2013153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3105B2 (ja) * 2014-04-11 2017-09-27 株式会社ニフコ 給油口開閉装置
JP6787273B2 (ja) * 2017-08-01 2020-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JP6911736B2 (ja) * 2017-12-04 2021-07-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給油部構造
JP2020090165A (ja) * 2018-12-05 2020-06-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給油装置
US11241952B1 (en) * 2020-09-09 2022-02-08 Honda Motor Co., Ltd. Fuel filler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675A (ja) * 1998-06-24 2000-01-11 Nok Corp 給油管装置
JP2007198590A (ja) * 2005-12-28 2007-08-09 Toyoda Gosei Co Ltd ガスケットおよびタンク用キャップならびにタンク用開閉装置
JP2009173149A (ja) * 2008-01-24 2009-08-06 Toyoda Gosei Co Ltd タンク用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281U1 (de) * 2000-03-31 2001-05-25 Tesma Motoren Getriebetechnik Einfüllstutzen
WO2002026515A1 (fr) * 2000-09-27 2002-04-04 Toyoda Gosei Co., Ltd. Dispositif d'alimentation en huile d'un reservoir a carburant
CA2406758C (en) * 2001-10-03 2010-12-14 Tesma International Inc. Capless refueling assembly with dampened flap door and baffle
JP3921981B2 (ja) * 2001-10-03 2007-05-30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給油装置
TWI273188B (en) * 2003-08-12 2007-02-11 Nifco Inc Damper
US6880594B1 (en) * 2004-03-19 2005-04-19 Eaton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aling a capless fuel tank filler tube
JP5242440B2 (ja) * 2008-04-18 2013-07-24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弁装置及び燃料タンク用過給油防止装置
DE102008054493A1 (de) * 2008-08-08 2009-07-02 Alfmeier Prä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ösungen Einfüllstutzen mit automatischem Tankverschluss
US8539993B2 (en) * 2010-03-31 2013-09-24 Toyoda Gosei Co., Ltd. Fuel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8978914B2 (en) * 2011-02-23 2015-03-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tank fuel filler structure
JP5370420B2 (ja) * 2011-06-10 2013-1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675A (ja) * 1998-06-24 2000-01-11 Nok Corp 給油管装置
JP2007198590A (ja) * 2005-12-28 2007-08-09 Toyoda Gosei Co Ltd ガスケットおよびタンク用キャップならびにタンク用開閉装置
JP2009173149A (ja) * 2008-01-24 2009-08-06 Toyoda Gosei Co Ltd タンク用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20850B2 (ja) 2015-05-20
KR20140148482A (ko) 2014-12-31
EP2837518A8 (en) 2015-04-15
EP2837518A4 (en) 2015-05-27
CN104220289B (zh) 2016-11-09
EP2837518A1 (en) 2015-02-18
WO2013153658A1 (ja) 2013-10-17
JPWO2013153658A1 (ja) 2015-12-17
US20150083722A1 (en) 2015-03-26
EP2837518B1 (en) 2016-03-23
CN104220289A (zh) 2014-12-17
US11167637B2 (en)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019B1 (ko)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KR101413622B1 (ko)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CN107076322B (zh) 瓣阀装置
KR101500136B1 (ko) 차량의 오주유 방지장치
KR101554972B1 (ko)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KR101510051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JP2012162164A (ja) 給油口開閉装置
JP6213412B2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KR101638737B1 (ko) 급유구 개폐장치
US20090095373A1 (en) Fuel intake assembly for filling a vehicle tank with diesel fuel
KR101481343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US20100201052A1 (en) Gas Spring
JP2012144128A (ja)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KR101744453B1 (ko) 급유구 장치
KR101807426B1 (ko) 급유구 장치
JP2009234312A (ja) 誤給油防止装置
JP5521974B2 (ja)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JP5621455B2 (ja)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FR2910086A1 (fr) Embout de gaine pour selection et commande a cables d'une boite de vitesses de vehicule automobile
JP5617694B2 (ja)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