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737B1 - 급유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급유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737B1
KR101638737B1 KR1020150048424A KR20150048424A KR101638737B1 KR 101638737 B1 KR101638737 B1 KR 101638737B1 KR 1020150048424 A KR1020150048424 A KR 1020150048424A KR 20150048424 A KR20150048424 A KR 20150048424A KR 101638737 B1 KR101638737 B1 KR 101638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pair
flap body
closed position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030A (ko
Inventor
히로시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5011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6Arrangements of flow- or pressure-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4Joints;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 F16K1/20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with a plurality of valv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2015/0419Self-sealing closure caps, e.g. that don't have to be removed manually
    • B60K2015/0429Self-sealing closure caps, e.g. that don't have to be removed manually actuated by the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01M2011/0416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과제) 급유구 개폐장치에 의한 급유구의 폐쇄시의 밀봉성을 한층 확실하고 우량한 것으로 한다.
(해결수단) 급유 노즐(N)의 도입에 의해 개방 위치로 회동되어 급유구를 개방시키는 폐쇄 부재(Ua)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개폐장치이다. 상기 폐쇄 부재(Ua)는 1쌍의 플랩체(18, 18)와, 각 플랩체(18)를 탄지에 의해 폐쇄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탄지 수단(19)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1쌍의 플랩체(18, 18)는 각각 상기 회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 조립부(18a)와, 타방의 플랩체(18)에 대한 맞닿음부(18b)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탄지 수단(19)에 의해 그 표면부를 상기 급유 노즐(N)의 통과구(21)의 구연부(21a)에 밀어붙이고 또한 상기 맞닿음부(18b)를 타방의 플랩체(18)의 상기 맞닿음부(18b)에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급유구 개폐장치{OPENING/CLOSING DEVICE FOR FILLER NECK}
이 발명은 급유 노즐의 삽입에 의해 급유구를 개방하여 이 삽입을 허용하고, 삽입된 급유 노즐이 뽑혔을 때는 급유구를 자동적으로 폐쇄하는 급유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 주입 파이프의 상단에 장착되는 개폐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내어지는 것이 있다. 이 개폐장치는 연료 주입 파이프의 중심축을 따른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셔터 형상의 폐지(閉止)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급유 노즐에 의해서 작용되는 힘에 의해 이 폐지장치를 급유 노즐의 통과구(通過口)의 측방으로 회동하여 급유구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것에서는, 상기 폐지장치는 급유구는 막지만 이것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는 탄지되는 구조는 아니며, 급유구의 폐쇄시의 밀봉성이 우수한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198971호 공보
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런 종류의 급유구 개폐장치에 의한 급유구의 폐쇄시의 밀봉성을 한층 확실하고 우량한 것으로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에 있어서는, 급유구 개폐장치를 급유 노즐의 도입에 의해 개방 위치로 회동되어 급유구를 개방시키는 폐쇄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폐쇄 부재는 1쌍의 플랩체와, 각 플랩체를 탄지에 의해 폐쇄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탄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1쌍의 플랩체는 각각, 상기 회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 조립부와, 타방의 플랩체에 대한 맞닿음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탄지 수단에 의해 그 표면부를 상기 급유 노즐의 통과구의 구연부(口緣部)에 밀어붙이고, 또한 상기 맞닿음부를 타방의 플랩체의 상기 맞닿음부에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상기 폐쇄 부재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통과구의 구연부에 표면부를 밀어붙임과 아울러, 1쌍의 플랩체의 맞닿음부는 틈새 적게 맞대며 이에 따라 상기 급유 노즐이 삽입되지 않는 한 상기 급유구의 폐쇄 상태는 밀봉성 높게 유지된다.
상기 탄지 수단은, 스프링 일단을 상기 플랩체의 지지체측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스프링 타단을 상기 플랩체의 이면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맞닿음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플랩체의 두께를 점증시키는 방향의 경사면에 맞닿게 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로 하는 것이, 이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로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지력을 받아서 폐쇄 위치로 복동(復動)되는 플랩체에는 그 맞닿음부를 타방의 플랩체의 맞닿음부에 밀어붙이는 방향으로의 힘도 작용시킬 수 있으며, 폐쇄 위치에 있어서 1쌍의 플랩체의 맞닿음부를 틈새 적게 맞댈 수 있다.
또, 상기 플랩체는, 이 플랩체의 지지체 및 상기 회동 조립부의 일방에 설치한 축체를, 이들의 타방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축체를 여유를 가지고 수납하는 축 구멍에 수납하여, 상기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으로 하는 것이, 이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로 된다.
또, 상기 플랩체의 이면부에, 상기 1쌍의 플랩체 사이에 상기 탄지 수단에 의한 상기 폐쇄 위치로의 복동의 타이밍에 차이가 발생했을 때에, 타방의 플랩체의 일부에 접하여 이 타방의 플랩체를 상기 폐쇄 위치로 유도하는 안내면을 구비하게 하여 두는 것이, 이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로 된다.
또, 상기 플랩체의 표면부에, 상기 회동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의 단면 형상을 반달 형상으로 하는 홈 형상 오목부를 구비하게 하여 두는 것이, 이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로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삽입되는 급유 노즐의 중심축이 급유구의 중심축에 일치하는 바와 같은 방향으로 급유 노즐이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홈 형상 오목부에 의해 상기 방향을 취하도록 상기 급유 노즐의 선단을 안내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1쌍의 플랩체에 의해서 급유구의 폐쇄시의 밀봉성을 확실하고 우량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급유구 개폐장치를 인렛(inlet) 파이프의 상단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A-A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급유 노즐의 삽입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파단 측면도이며, 상측 장치의 폐쇄 부재는 개방 위치에 있다.
도 6은 상측 장치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주요부 파단 측면도이며, 상측 장치의 플랩체의 탄지 수단의 기재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인렛 파이프에 하측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상측 장치의 기재를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B-B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C-C선 위치에서의 하측 장치를 구성하는 플랩체의 단면도이며, 통과구를 에워싸는 돌조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하측 장치를 구성하는 플랩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하측 장치를 구성하는 플랩체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하측 장치를 구성하는 플랩체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하측 장치를 구성하는 밀봉 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도 14에 의거하여 이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급유구 개폐장치는, 급유 노즐(N)의 삽입에 의해 급유구를 개방하여 이 삽입을 허용하고, 삽입된 급유 노즐(N)이 뽑혔을 때는 급유구를 자동적으로 폐쇄하는 것이다.
즉, 상기 급유구 개폐장치는, 급유 건(도시는 생략함)의 급유 노즐(N)이 급유구에 삽입되었을 때는, 후술하는 폐쇄 부재(La, Ua)를 개방 위치로 회동시켜서 급유구 개폐장치에서 앞으로의 급유 노즐(N)의 삽입을 허용하여 급유를 가능하게 하며, 삽입된 급유 노즐(N)이 뽑혔을 때는 후술하는 폐쇄 부재(La, Ua)를 폐쇄 위치로 복동시켜서 상기 급유구를 자동적으로 폐쇄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급유구 개폐장치는 나사식의 급유구의 캡을 불필요로 하는 것이다.
도시의 예에서는, 급유구 개폐장치는 인렛 파이프(P, 연료 주입 파이프)의 상기 급유구를 구성하는 상단부(Pa)에 장착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인렛 파이프(P)의 상단부(Pa)에, 기능을 달리하는 2종류의 급유구 개폐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2종류의 급유구 개폐장치의 일방은, 인렛 파이프(P)의 상단부(Pa)의 내측에 끼워 넣어져 있다[이하, 상기 일방의 급유구 개폐장치를 하측 장치(L)라고 부른다]. 상기 2종류의 급유구 개폐장치의 타방은, 상기 하측 장치(L)를 인렛 파이프 (P)의 상단부(Pa)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인렛 파이프(P)의 상단부(Pa)의 외측으로 끼워 장착되어 있다[이하, 상기 타방의 급유구 개폐장치를 상측 장치(U)라고 부른다). 이에 따라, 상기 하측 장치(L)의 폐쇄 부재(La)의 바로 위에 상측 장치(U)의 폐쇄 부재(Ua)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급유 노즐(N)의 삽입 조작이 이루어지면, 급유 노즐(N)은 상측 장치(U)의 폐쇄 부재(Ua)에 맞닿아서 이 폐쇄 부재(Ua)를 개방 위치로 회동시켜 급유구 내로 진입하고, 이어서 하측 장치(L)의 폐쇄 부재(La)에 맞닿아서 이 폐쇄 부재(La)를 개방 위치로 회동시켜 급유구를 완전하게 개방한다.
[하측 장치(L)]
상기 하측 장치(L)는 통 형상 주체(Lb)와, 폐쇄 부재(La)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통 형상 주체(Lb)는 상단 및 하단을 모두 개방시킴과 아울러,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상단 및 하단 사이에 있어서, 통 형상 주체(Lb)의 내부 공간은 격벽(12)에 의해서 상하로 구분되어 있다. 통 형상 주체(Lb)의 외경은 인렛 파이프(P)의 상단부(Pa)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통 형상 주체(Lb)의 상단에는 외측 플랜지(13)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통 형상 주체(Lb)의 외면부에는 걸어 맞춤 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인렛 파이프 (P)의 상단부(Pa)에는, 이 인렛 파이프(P)의 단말에 상기 외측 플랜지(13)가 맞닿는 위치까지 이 인렛 파이프(P)의 상단부(Pa)에 하측 장치(L)를 끼워 넣는 과정에서 통 형상 주체(Lb)의 상기 걸어 맞춤 돌기(14)를 받아들여 끼워 넣음 종료 위치에서의 탄성 복귀에 의해 이것에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 맞춤 구멍(P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어 맞춤에 의해서 인렛 파이프(P)에 대한 하측 장치(L)의 끼워 넣음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격벽(12)에는 상기 급유 노즐(N)의 통과를 허용하는 원형의 통과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폐쇄 부재(La)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격벽(12)에 하측으로부터 압접하여 상기 통과구(15)를 폐쇄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급유 노즐(N)이 삽입되지 않는 한 상기 급유구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도 4).
상기 격벽(12)의 하면측에 있어서, 상기 통과구(15)의 구연부는 돌조(16)에 의해서 에워싸여 있다. 즉, 상기 격벽(12)의 하면에는 상기 돌조(16)에 의해 짧은 치수의 원통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폐쇄 부재(La)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후술의 탄지 수단(11)의 탄지에 의해, 후술의 밀봉 부재(101)의 판 형상 부분 (101b)을 상기 돌조(16)에 압접시켜서 상기 통과구(15)를 기밀 상태로 막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돌조(16)는 벨브 시트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폐쇄 부재(La)는 링 형상의 밀봉 부재(101)를 구비한 플랩체(10)와, 이 플랩체(10)를 탄지에 의해 폐쇄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탄지 수단(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랩체(10)는 상기 밀봉 부재(101)를 통하여 조합되는 외측 부재(102)와 내측 부재(103)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부재(102)는 상기 인렛 파이프(P)의 단말측에 위치하며, 내측 부재(103)는 상기 인렛 파이프(P)의 안쪽에 위치한다.
내측 부재(103)는 실질적으로 원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내측 부재(103)의 표면측에는 내측 주회벽(周回壁, 103a)과, 이 내측 주회벽(103a)을 둘러싸는 외측 주회벽(103b)과, 외측 주회벽(103b)을 둘러싸는 주회 홈(103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회 홈(103d)과 내측 부재(103)의 외측 가장자리의 사이에는 주회 평탄면 (103e)이 형성되어 있다.
또, 내측 부재(103)의 이면측에는 1쌍의 축받이부(103f, 103f)가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축받이부(103f, 103f)는 각각, 내측 부재(103)의 이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암(arm) 형상을 이루고, 돌출단을 내측 부재(103)의 외측 가장자리보다도 외방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이 돌출단에 축 구멍(103g)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통 형상 주체(Lb)의 상기 격벽(12) 아래에 1쌍의 축받이부(17, 17)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통 형상 주체(Lb)의 1쌍의 축받이부(17, 17) 사이에 내측 부재(103)의 1쌍의 축받이부(103f, 103f)를 수납함과 아울러, 이들에 형성된 축 구멍(103g)에 축체(Lc)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이 축체(Lc)를 중심으로 한 회동 가능하게 통 형상 주체(Lb)에 폐쇄 부재(La)가 장착되어 있다.
외측 부재(102)는 플랩체(10)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통과구(15)로 수납되는 크기를 구비하고, 외곽 형상을 원형으로 하고 있다. 외측 부재 (102)의 표면에 급유 노즐(N)이 맞닿는다. 외측 부재(102)의 이면측에는 주회 끼움지지부(10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외측 부재(102)의 측부이며, 상기 주회 끼움지지부(102a)의 상측에는 외측 부재(102)의 직경 방향 양측에 있어서 각각, 외방으로 돌출되는 걸어 맞춤 돌조(102b)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외측 부재(102)와 내측 부재(103)는 외측 부재(102)의 주회 끼움지지부(102a)를 내측 부재(103)의 주회 홈(103d)의 바로 위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외측 부재(102)의 외측 가장자리의 외방에 내측 부재(103)의 주회 평탄면 (103e)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외측 부재(102)의 걸어 맞춤 돌조(102b)를 내측 부재 (103)의 외측 주회벽(103b)에 형성시킨 걸어 맞춤 구멍(103c)에 걸어 맞추게 하는 것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내측 부재(103)의 내측 주회벽(103a)의 내방에 통기구멍 (103h)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측 부재(103)와 외측 부재(102)의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105)과 이 스프링(105)의 탄지에 의해 상기 통기구멍(103h)을 막는 밸브체(104)가 수납되어 있으며, 연료탱크측이 소정값 이상의 고압으로 되었을 때, 상기 밸브체(104)가 상기 스프링(105)의 탄지에 저항하여 상승해서 통기구멍(103h)이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플랩체(10)는 릴리프 밸브를 내장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밀봉 부재(101)는 내외에 각각 밀봉 부재(101)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 내외의 밀봉 부분(101, 101) 사이의 공간(S, 도 10)을 인렛 파이프(P)의 안쪽으로 연통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상기 밀봉 부재(101)는 고무 또는 고무 형상 탄성을 구비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밀봉 부재(101)는 상기 내외의 밀봉 부분(101, 101)의 일방을, 상기 급유 노즐(N)의 통과구(15)의 구연부를 에워싸는 돌조(16)에 상기 탄지에 의해 압접되는 판 형상 부분(101b)으로 하고, 상기 내외의 밀봉 부분(101, 101)의 타방을, 상기 플랩체(10)에 각각 압접되는 내측 주회 돌기부(101c)와 외측 주회 돌기부 (101d)로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밀봉 부재(101)의 외경은 상기 내측 부재 (103)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며, 상기 밀봉 부재(101)의 내경은 상기 외측 주회벽 (103b)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밀봉 부재(101)는 그 외주측에 상기 판 형상 부분(101b)을 가지며, 그 내주측에 상기 내측 주회 돌기부(101c)와 외측 주회 돌기부(101d)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밀봉 부재(101)는 상기 인렛 파이프(P)의 축 방향(x, 도 4, 도 10 참조)에 직교하는 부분과, 상기 인렛 파이프(P)의 축 방향(x)을 따른 부분을 구비한 단면 대략 ㄴ자 형상을 이루며(도 10 참조), 상기 축 방향에 직교하는 부분의 일부를 상기 판 형상 부분(101b)으로 하고, 상기 축 방향을 따른 부분의 단말에 상기 내측 주회 돌기부(101c)와 외측 주회 돌기부(101d)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밀봉 부재(101)는 짧은 치수 통체(101e)의 통 일단에 상기 판 형상 부분(101b)이 되는 주회 외측 플랜지(101f)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짧은 치수 통체(101e)의 통 타단에 주회 홈(101g)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주회 홈(101g)에 의해서 내외로 구분되는 상기 짧은 치수 통체(101e)의 통 타단에 의해서 상기 외측 주회 돌기부(101d)와 상기 내측 주회 돌기부(101c)가 형성되어 있다(도 14).
또, 상기 밀봉 부재(101)의 짧은 치수 통체(101e)의 길이(L1, 도 14)는 외측 부재(102)의 주회 끼움지지부(102a)와 내측 부재(103)의 주회 홈(103d)의 홈 바닥 사이의 거리(L2, 도 10)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부재(103)의 주회 홈(103d) 내에 짧은 치수 통체(101e)를 수납하고, 주회 평탄면(103e) 위에 외측 플랜지(13)를 위치시키도록 내측 부재(103)에 밀봉 부재(101)를 조합한 상태로부터 이 내측 부재(103)에 외측 부재(102)를 상기와 같이 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내측 부재(103)와 외측 부재 (102)의 사이에 밀봉 부재(101)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 부재(102)의 외방에 상기 밀봉 부재(101)의 판 형상 부분(101b)이 위치되고, 상기 내측 부재 (103)와 상기 외측 부재(102)의 사이에 상기 밀봉 부재(101)의 내측 주회 돌기부 (101c)와 외측 주회 돌기부(101d)가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밀봉 부재(101)의 내측 주회 돌기부(101c)는 내측으로 좁아진 탄성변형상태에서 주회 홈(103d)의 홈 바닥에 압접되고, 외측 주회 돌기부(101d)는 외측으로 개방된 탄성변형상태에서 주회 홈(103d)의 홈 바닥에 압접되며, 판 형상 부분 (101b)은 돌조(16)에 의해서 상방을 굴곡 내측으로 하도록 굴곡된 상태에서 돌조 (16)와 주회 평탄면(103e)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도 10).
상기 탄지 수단(11)은 도시의 예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1a)으로 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내측 부재(103)의 1쌍의 축받이부(103f, 103f) 사이에 있어서 스프링 권회부(卷回部, 11b)에 상기 축체(Lc)를 통해서 이 스프링 권회부(11b)를 유지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11a)의 스프링 일단을 내측 부재(103)의 이면측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이 스프링의 스프링 타단을 상기 격벽(12)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랩체(10)에 폐쇄 위치로 향한 탄지력이 상시 작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 부재(103)에 상기 내외의 밀봉 부분 (101, 101) 사이의 공간(S)을 인렛 파이프(P)의 안쪽으로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 (103i)을 형성시키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내측 부재(103)의 주회 홈(103d)의 외측의 홈벽에 걸리는 연통 구멍(103i)이 형성되어 있으며(도 10), 이에 따라, 판 형상 부분(101b)과 외측 주회 돌기부(101d) 사이의 공간(S)이 인렛 파이프(P)의 안쪽, 즉, 연료탱크측에 연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폐쇄 부재(La)를 구성하는 플랩체(1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봉 부재(101)의 내외의 밀봉 부분(101, 101)의 일방이 되는 판 형상 부분(101b)은, 상기 돌조(16)에 상기 탄지에 의해 압접되고, 걸리는 탄지력은 비교적 좁은 상기 돌조 (16)와의 압접 개소에 집중되는 것으로부터, 이 판 형상 부분(101b)의 밀봉성은 높게 확보된다. 이와 같은 돌조(16)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연료에 의해 밀봉 부재 (101)에 팽윤이 발생하면 상기 통과구(15)의 구연부에 대해 밀봉 부재(101)가 접하는 밀봉 개소가 변화할 가능성이 있지만, 상기 돌조(16)에 의해서 상기 밀봉 개소는 상기 팽윤 등이 발생해도 변화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밀봉 부재(101)의 내외의 밀봉 부분(101, 101)의 타방은, 상기 내측 주회 돌기부(101c)와 외측 주회 돌기부(101d)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인렛 파이프(P)의 안쪽이 고압일 때뿐만 아니라, 인렛 파이프(P)의 외부가 고압일 때도, 상기 내측 주회 돌기부(101c)와 외측 주회 돌기부(101d) 중 고압측에 위치되는 쪽을을 압력차에 의해 플랩체(10)에 압접시켜서 밀봉 부재(101)와 플랩체(10) 사이의 밀봉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밀봉 부재(101)는 상기 내외의 밀봉 부분(101, 101) 사이의 공간을 인렛 파이프(P)의 안쪽에 연통시키고 있으며, 또, 외측 주회 돌기부 (101d)는 외측으로 개방된 탄성변형상태에서 주회 홈(103d)의 홈 바닥에 압접되고, 내측 주회 돌기부(101c)는 내측으로 좁아진 탄성변형상태에서 주회 홈(103d)의 홈 바닥에 압접되어 있는 것으로부터(도 10), 인렛 파이프(P)의 안쪽이 고압일 때는 이 압력에 의해 외측 주회 돌기부(101d)를 플랩체[10, 주회 홈(103d)의 홈 바닥]에 압접시켜서 밀봉 부재(101)와 플랩체(10) 사이의 밀봉성을 높이고 이것과는 반대로, 인렛 파이프(P)의 외부가 고압일 때는 이 압력에 의해 내측 주회 돌기부(101c)를 플랩체[10, 주회 홈(103d)의 홈 바닥]에 압접시켜서 밀봉 부재(101)와 플랩체 (10) 사이의 밀봉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판 형상 부분(101b)은 돌조(16)에 의해서 상방을 굴곡 내측으로 하도록 굴곡된 상태에서 돌조(16)와 주회 평탄면(103e)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인렛 파이프(P)의 안쪽이 고압일 때는, 도 10에 있어서 부호 F로 나타내는 힘이 판 형상 부분(101b)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밀봉 부재(101)의 판 형상 부분(101b)은, 상기 인렛 파이프(P)의 안쪽이 고압일 때에, 상기 통과구(15)의 구연부를 에워싸는 돌조(16)에 대한 밀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상측 장치(U)]
상기 상측 장치(U)는 통 형상 주체(Ub)와, 폐쇄 부재(Ua)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통 형상 주체(Ub)는 하단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단에 주회 형상을 이루는 내측 플랜지(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내측 플랜지(20)에 의해서 급유 노즐(N)의 통과구(21)가 되는 상단 개구를 좁힌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상기 통 형상 주체 (Ub)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통 형상 주체(Ub)의 내경은 인렛 파이프(P)의 상단부(Pa)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통 형상 주체(Ub)의 외면부에는 걸어 맞춤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인렛 파이프 (P)의 상단부(Pa)에는 상기 통 형상 주체(Ub) 내에 인렛 파이프(P)의 상단부(Pa)를 받아들여서 이 인렛 파이프(P)의 상단부(Pa)에 상측 장치(U)를 끼워 장착했을 때에 탄성 복귀에 의해 상기 걸어 맞춤 구멍(22)에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 맞춤 돌기(P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어 맞춤에 의해 인렛 파이프(P)에 대한 상측 장치(U)의 끼워 넣음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폐쇄 부재(Ua)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20)에 하측으로부터 압접하여 상기 통과구(21)를 폐쇄하고, 이에 따라 평상시에 있어서는 상기 급유구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도 4).
한편, 상기 폐쇄 부재(Ua)는 1쌍의 플랩체(18, 18)와, 각 플랩체(18)를 탄지에 의해 폐쇄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탄지 수단(19)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1쌍의 플랩체(18, 18)는 각각, 상기 회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 조립부 (18a)와, 쌍을 이루는 타방의 플랩체(18)에 대한 맞닿음부(18b)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탄지 수단(19)에 의해 그 표면부를 상기 급유 노즐(N)의 통과구(21)의 구연부(21a)에 밀어붙이고, 또한 상기 맞닿음부(18b)를 쌍을 이루는 타방의 플랩체(18)의 상기 맞닿음부(18b)에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통과구(21)는 원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플랩체(18)는 각각, 이 통과구(21)의 구멍 직경보다도 외경을 약간 크게 하는 가상원(도시는 생략함)의 180도 분의 원호를 따른 반원호 가장자리부(18c)와, 상기 가상원을 2분하는 이 가상원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 선분(도시는 생략함)을 따른 직선 가장자리부(18d)를 구비한 평면에서 보아 반원 형상의 판 형상체로 되어 있다. 1쌍의 플랩체(18, 18)는 상기 탄지 수단(19)에 의해, 하부로부터 반원호 가장자리부(18c)를 통과구 (21)의 구연부(21a)에 밀어붙임과 아울러, 직선 가장자리부(18d)를 타방의 플랩체 (18)의 직선 가장자리부(18d)에 밀어붙이는 것에 의해, 타방의 플랩체(18)와 협동하여 상기 통과구(21)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도 4).
각 플랩체(18)에는 1쌍의 축받이부(18e, 18e)가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축받이부(18e, 18e)는 각각, 상기 직선 가장자리부(18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반원호 가장자리부(18c)에서 외방으로 돌출되는 암(arm) 형상을 이루며, 돌출단에 축 구멍(18f)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통 형상 주체(Ub)의 상기내측 플랜지(20) 아래에, 1쌍의 축받이부(23, 23)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통 형상 주체(Ub)의 1쌍의 축받이부(23, 23) 사이에 플랩체(18)의 1쌍의 축받이부(18e, 18e)를 수납함과 아울러, 이들에 형성된 축 구멍(18f)에 축체(Uc)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이 축체(Uc)를 중심으로 한 회동 가능하게 통 형상 주체(Ub)에 플랩체(1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축체(Uc)의 축 중심선은 상기 직선 가장자리부 (18d)와 평행을 이루고 있다.
한편, 상기 탄지 수단(19)은 스프링 일단(19b)을 상기 플랩체(18)의 지지체측, 즉, 상기 통 형상 주체(Ub)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스프링 타단(19c)을 상기 플랩체(18)의 이면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맞닿음부(18b)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플랩체(18)의 두께를 점증시키는 방향의 경사면(18g)에 맞닿게 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9a)으로 하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플랩체(18)의 1쌍의 축받이부 (18e, 18e) 사이에 있어서 스프링 권회부(19d)에 상기 축체(Uc)를 통해서 이 스프링 권회부(19d)가 유지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19a)의 스프링 타단(19c)을 플랩체 (18)의 이면측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이 스프링(19a)의 스프링 일단(19b)을 상기 통 형상 주체(Ub)의 내측벽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랩체(18)에 폐쇄 위치로 향한 탄지력이 상시 작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플랩체(18)의 표면부 중 상기 반원호 가장자리부(18c)를 제외한 개소는 대개, 상기 반원호 가장자리부(18c)의 길이 방향 중간 정도의 위치와 상기 직선 가장자리부(18d)의 길이 방향 중간 정도의 위치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y, 도 2) 위에 위치되는 개소를 바닥으로 한 오목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 이 표면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플랩체(18)의 이면부 중 상기 반원호 가장자리부(18c)를 제외한 개소는 대개, 상기 반원호 가장자리부(18c)의 길이 방향 중간 정도의 위치와 상기 직선 가장자리부(18d)의 길이 방향 중간 정도의 위치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y) 위에 위치되는 개소를 정상으로 한 볼록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플랩체(18)의 이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상의 직선 위에 위치되는 개소에 상기 경사면(18g)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경사면(18g)은 상기 반원호 가장자리부(18c)에서 시작되어 상기 가상의 직선(y)의 길이 방향 중간 정도의 위치에서 종료하고 있다(도 4). 또, 맞닿음부(18b)는 인렛 파이프(P)의 축 방향(x)을 따른 세로 방향의 면이며, 상기 직선 가장자리부(18d)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플랩체(18)는 상기 축체(Uc)를 여유를 가지고 이 플랩체(18)의 축받이부(18e)에 설치한 상기 축 구멍(18f)에 수납하여 상기 지지체로서의 통 형상 주체(U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축체(Uc)의 외경보다도 상기 축 구멍(18f)의 내경이 크게 되어 있다(도 6).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19a)의 스프링 타단(19c)은 상기 경사면(18g)에 맞닿아 있는 것으로부터, 상기 스프링(19a)의 탄지력을 받아서 폐쇄 위치로 복동되는 플랩체(18)에는 그 맞닿음부(18b)를 쌍을 이루는 타방의 플랩체(18)의 맞닿음부 (18b)에 밀어붙이는 방향으로의 힘도 작용된다. 이에 따라,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1쌍의 플랩체(18, 18)의 맞닿음부(18b)를 틈새 적게 맞대도록 되어 있다(도 4).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플랩체(18)의 이면부에 상기 1쌍의 플랩체(18, 18) 사이에 상기 탄지 수단(19)에 의한 상기 폐쇄 위치로의 복동의 타이밍에 차이가 발생했을 때에, 타방의 플랩체(18)의 일부에 접하여 이 타방의 플랩체(18)를 상기 폐쇄 위치로 유도하는 안내면(18h)이 구비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맞닿음부(18b)의 하측에, 상기 직선 가장자리부(18d)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맞닿음부(18b)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플랩체(18)의 두께를 점증시키는 방향으로 경사진 안내면(18h)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는, 이 안내면(18h)과, 직선 가장자리부 (18d)와 반원호 가장자리부(18c) 사이의 코너부의 사이에는 산 형상의 립(18i)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립(18i)의 사변(斜邊)의 하나는 상기 안내면(18h)에 계속되는 연장 안내면(18j)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플랩체(18)의 표면부는 상기와 같이 오목 형상으로 성형되어, 이 표면부에, 상기 회동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의 단면 형상을 반달 형상으로 하는 홈 형상 오목부(18k)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홈 형상 오목부(18k)의 바닥은 맞닿음부(18b)에 가까워짐에 따라 낮아져 있다. 이에 따라,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삽입되는 급유 노즐(N)의 중심축이 급유구의 중심축, 즉, 인렛 파이프(P)의 중심축에 일치하는 바와 같은 방향으로 급유 노즐(N)이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홈 형상 오목부(18k)에 의해 상기 방향을 취하도록 상기 급유 노즐(N)의 선단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당연한 일이면서, 본 발명은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모든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N: 급유 노즐
18: 플랩체
18a: 회동 조립부
18b: 맞닿음부
19: 탄지 수단
21: 통과구
21a: 구연부

Claims (6)

  1. 급유 노즐(N)의 도입에 의해 개방 위치로 회동되어 급유구를 개방시키는 폐쇄 부재(Ua)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폐쇄 부재(Ua)는 1쌍의 플랩체(18, 18)와, 각 플랩체(18)를 탄지에 의해 폐쇄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탄지 수단(19)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1쌍의 플랩체(18, 18)는 각각 상기 회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 조립부(18a)와, 타방의 플랩체(18)에 대한 맞닿음부(18b)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탄지 수단(19)에 의해 그 표면부를 상기 급유 노즐(N)의 통과구(21)의 구연부(口緣部)(21a)에 밀어붙이고 또한 상기 맞닿음부(18b)를 타방의 플랩체(18)의 상기 맞닿음부(18b)에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탄지 수단(19)은, 스프링 일단(19b)을 상기 플랩체(18)의 지지체측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스프링 타단(19c)을 상기 플랩체(18)의 이면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맞닿음부(18b)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플랩체(18)의 두께를 점증시키는 방향의 경사면(18g)에 맞닿게 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9a)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 개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랩체(18)는, 이 플랩체(18)의 지지체 및 상기 회동 조립부(18a)의 일방에 설치한 축체(Uc)를, 이들의 타방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축체(Uc)를 여유를 가지고 수납하는 축 구멍(18f)에 수납하여, 상기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 개폐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랩체(18)의 이면부에, 상기 1쌍의 플랩체(18,18) 사이에 상기 탄지 수단(19)에 의한 상기 폐쇄 위치로의 복동의 타이밍에 차이가 발생했을 때에, 타방의 플랩체(18)의 일부에 접하여 이 타방의 플랩체(18)를 상기 폐쇄 위치로 유도하는 안내면(18h)을 구비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 개폐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랩체(18)의 표면부에, 상기 회동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의 단면 형상을 반달 형상으로 하는 홈 형상 오목부(18k)를 구비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 개폐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랩체(18)의 표면부에, 상기 회동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의 단면 형상을 반달 형상으로 하는 홈 형상 오목부(18k)를 구비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구 개폐장치.


KR1020150048424A 2014-04-11 2015-04-06 급유구 개폐장치 KR101638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82155A JP6203105B2 (ja) 2014-04-11 2014-04-11 給油口開閉装置
JPJP-P-2014-082155 2014-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030A KR20150118030A (ko) 2015-10-21
KR101638737B1 true KR101638737B1 (ko) 2016-07-11

Family

ID=5428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424A KR101638737B1 (ko) 2014-04-11 2015-04-06 급유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00116B2 (ko)
EP (1) EP3130499B1 (ko)
JP (1) JP6203105B2 (ko)
KR (1) KR101638737B1 (ko)
CN (1) CN106414138B (ko)
WO (1) WO20151562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0117B2 (en) 2012-02-17 2018-06-19 Stant Usa Corp. Filler neck closure assembly
JP6556014B2 (ja) * 2015-10-09 2019-08-07 株式会社ニフコ 給油口装置
JP6419054B2 (ja) * 2015-10-09 2018-11-07 株式会社ニフコ 給油口装置
USD852444S1 (en) 2016-08-16 2019-06-25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Bottle
USD867705S1 (en) 2017-09-11 2019-11-19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Bottle
IT201900017525A1 (it) * 2019-09-30 2021-03-30 Italdesign Giugiaro Spa Sistema di chiusura per sistema di alimentazione di veicol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7354A1 (en) 2006-10-16 2008-04-17 Cisternino Franco A Capless refuel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5758A (en) * 1937-02-09 1939-01-31 Roy S Fellows Tank closure
JPH04198971A (ja) 1990-11-28 1992-07-20 Mita Ind Co Ltd 現像装置
FR2713156B1 (fr) * 1993-12-06 1996-03-08 Peugeot Agencement pour le remplissage d'un réservoir de carburant de véhicule automobile.
DE19543034A1 (de) 1995-11-07 1997-05-15 Peter Dr Ing Loeffler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Betanken
US5730194A (en) * 1996-03-21 1998-03-24 Stant Manufacturing Inc. Capless filler neck closure system
DE19709415C2 (de) * 1997-03-07 1999-04-01 Daimler Benz Ag Verschluß für einen Einfüllstutzen eines Kraftfahrzeugtankes
US6539990B1 (en) 2001-11-20 2003-04-01 Illinois Tool Works Inc. Capless refueling assembly
DE10350471A1 (de) * 2003-10-29 2005-06-09 Alfred Engelmann Holding Gmbh Verschlußeinrichtung für Tankstutzen in Kraftfahrzeugen
JP4617779B2 (ja) * 2003-11-25 2011-01-26 豊田合成株式会社 キャップ装置
WO2011074593A1 (ja) * 2009-12-17 2011-06-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給油管装置
US8539993B2 (en) * 2010-03-31 2013-09-24 Toyoda Gosei Co., Ltd. Fuel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5459238B2 (ja) * 2011-01-31 2014-04-02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EP2837518B1 (en) * 2012-04-12 2016-03-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filler structure for fuel tank
WO2014183121A1 (en) * 2013-05-10 2014-11-13 Stant Usa Corp.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JP6184842B2 (ja) * 2013-11-15 2017-08-23 八千代工業株式会社 給油口開閉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7354A1 (en) 2006-10-16 2008-04-17 Cisternino Franco A Capless refueling system
WO2008048739A1 (en) 2006-10-16 2008-04-24 Illinois Tool Works Inc. Capless refue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03105B2 (ja) 2017-09-27
US20170028841A1 (en) 2017-02-02
JP2015202744A (ja) 2015-11-16
EP3130499A1 (en) 2017-02-15
EP3130499B1 (en) 2020-06-24
CN106414138B (zh) 2018-11-30
CN106414138A (zh) 2017-02-15
WO2015156253A1 (ja) 2015-10-15
EP3130499A4 (en) 2017-12-27
KR20150118030A (ko) 2015-10-21
US10000116B2 (en)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737B1 (ko) 급유구 개폐장치
JP5319974B2 (ja) 給油口閉鎖装置
JP4924445B2 (ja) タンク用開閉装置
EP3130498B1 (en) Oil filler port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H10100691A (ja) 燃料タンクの逆流防止弁
WO2016031726A1 (ja) 弁ケースの取付構造
US10737571B2 (en) Fuel fill opening structure
US6675843B2 (en) Non-return valve for fuel tank
KR101880324B1 (ko) 댐퍼장치
KR101533019B1 (ko)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JP2007331518A (ja) 燃料給油管
JP2012144128A (ja)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JP6556014B2 (ja) 給油口装置
JP4345133B2 (ja) 給油口密封装置
JP4854473B2 (ja) 逆止弁
JP2012202498A (ja) ダンパ装置
KR100793876B1 (ko) 자동 변속기의 리어 커버 어셈블리
JP5988675B2 (ja) バルブ
KR100921293B1 (ko) 차량의 필러넥 플랩 밸브 개폐구조
JPH0510060U (ja) 給油口シール装置
JP2013253490A (ja) スロット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