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811B1 - 기포성 피부 세정료 - Google Patents

기포성 피부 세정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811B1
KR101532811B1 KR1020107023749A KR20107023749A KR101532811B1 KR 101532811 B1 KR101532811 B1 KR 101532811B1 KR 1020107023749 A KR1020107023749 A KR 1020107023749A KR 20107023749 A KR20107023749 A KR 20107023749A KR 101532811 B1 KR101532811 B1 KR 101532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ass
skin
po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9069A (ko
Inventor
도모히코 기무라
히데후미 아라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0013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9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11D1/06Ether- or thioether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5Mixtures of non-ionic with cat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Abstract

(과제) 세정시의 거품 형성의 신속성, 거품의 크림성이 우수하고, 또한 세정 후 촉촉하고 당기지 않고, 피부의 수분량의 변화가 없는 피부 세정료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a) 지방산염과, (b) 특정한 카티온화 모노머 (예를 들어,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 등) 로부터 유도되는 호모폴리머, 디폴리머 및 터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c) 폴리글리세릴모노알킬에테르와, (d) 아실메틸타우린염, 하이드록시에테르카르복실산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기포성 피부 세정료.

Description

기포성 피부 세정료{FOAMABLE SKIN WASHING AGENT}
본 발명은 피부 표면의 오염에 대한 충분한 세정력을 가지며, 특히 세정시의 거품 형성의 신속성, 거품의 크림성이 우수하고, 세정 후 피부의 당김을 개선하고, 촉촉함을 향상시켜, 피부의 수분량을 저하시키지 않는 기포성 피부 세정료에 관한 것이다.
피부 세정료에 있어서는, 본래의 기능인 세정력에 추가하여, 세정시에 발생하는 기포의 성질이나 사용감이 소비자가 선호하는 중요한 포인트이다. 특히, 거품이 신속하게 형성되고, 기포가 미세하여 크리미하고, 당김이 없고, 수분감을 빼앗지 않고, 또한 세정 후 피부에 촉촉한 감촉을 제공하는 것을 소비자가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종래, 피부 세정료 기제 (基劑) 중에 각종 계면 활성제나 유분이나 고분자 등을 배합함으로써, 거품 감촉이나 피부 감촉을 적합하게 조정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세정력이 높은 계면 활성제를 배합한 피부 세정료는, 이로 인해 피부를 과도하게 부석부석하게 하여, 타월 드라이 후 피부가 당기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 세정에 의해 피부의 수분이 빼앗겨, 수분량이 감소된다는 문제가 있다.
피부 세정료 기제에 계면 활성제를 배합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를 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그러나 폴리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의 배합은 거품의 탄력을 저하시켜, 크리미한 거품을 느낄 수 없어, 사용자로서는 불만족스러웠다.
또 폴리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와 지방산염과 양쪽성 계면 활성제 및/또는 반극성 계면 활성제를 조합한 세정료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참조). 이 조합은, 산뜻함은 얻을 수 있지만, 당김이 있고, 거품 형성의 신속성, 거품 질에 대해서도 충분하지 않아, 사용자로서는 불만족스러웠다.
한편, 거품 형성, 거품 질을 양호하게 하는 기술로서, 피부 세정료 기제에 고분자를 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 또는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를 배합한 피부 세정료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아크릴산/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터폴리머를 배합한 피부 세정료 (예를 들어, 특허문헌 5, 6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고분자를 배합한 피부 세정료는, 거품 형성의 신속성 면에서는 아직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고, 또, 세정 후의 피부에 대해 촉촉함 또는 당김을 없애는 관점에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8289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8289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460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479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6467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73257호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세정시의 거품 형성의 신속성, 거품의 크림성이 우수하고, 또한 세정 후 촉촉하고 당기지 않고, 피부의 수분량을 저하시키지 않는 피부 세정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 비누 (지방산 알칼리염) 는 세정력 면에서 피부 세정료의 주성분으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비누는 수돗물 중의 칼슘, 마그네슘 등의 2 가의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물에 불용인 금속 비누 (스컴) 를 발생시키고, 이것이 비누 특유의 산뜻함 등의 좋은 감촉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피부에 흡착되어 당김이나 피부 수분량 저하 등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스컴의 피부에 대한 흡착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스컴의 생성을 방지·억제하는 방법, 또는 생성된 스컴을 잘 씻겨지게 하여 피부에 대한 흡착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크게 구별된다. 전자의 스컴 생성의 방지·억제 방법으로는, 비 (非) 비누계 세정료의 활용, 카운터 이온의 조정 등을 들 수 있는데, 제조 비용, 사용하는 기제가 한정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후자의 스컴을 잘 씻겨지게 하여 피부에 대한 흡착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첨가제에 의한 스컴 분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은, 세정료로서의 지금까지의 비누 기술을 활용할 수 있고, 게다가 사용하는 기제의 한정도 없으며, 제조 비용 면에서도 유리하다.
즉 본 발명은, (a) 지방산염과, (b) 하기 식 (Ⅰ) :
Figure 112010068635294-pct00001
(식 (Ⅰ) 중, R1,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Y- 는 1 가의 무기 또는 유기 아니온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카티온화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호모폴리머, 디폴리머 및 터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고분자와, (c) 하기 식 (Ⅱ) :
Figure 112010068635294-pct00002
(식 (Ⅱ) 중, n 은 6 ∼ 22 의 정수를 나타내고, m 은 3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폴리글리세릴모노알킬에테르와, (d) 아실메틸타우린염, 하이드록시에테르카르복실산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기포성 피부 세정료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b) 성분은,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 중합체,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및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포성 피부 세정료는 세정력이 있고, 세정시에 신속하게 거품이 형성되고, 거품 질의 크림성이 우수하고, 세정 후 피부가 당기지 않고 촉촉하고, 피부의 수분량의 저하가 없는, 종래의 세정료에 비해 현격히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a) 성분으로서의 지방산염은, 이른바 지방산 비누로서, 탄소 원자수 10 ∼ 22 의 지방산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 유기 아민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a) 성분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라우르산나트륨, 미리스트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올레산나트륨, 라우르산칼륨, 미리스트산칼륨, 팔미트산칼륨, 스테아르산칼륨, 올레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각 지방산을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칼리로 중화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a) 성분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a)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 피부 세정료 중에 2 ∼ 90 질량% 의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배합량은 제형에 따라 상이하며, 액상 세정료에서는 5 ∼ 30 질량%, 크림상의 세정료인 경우에는 10 ∼ 50 질량% 가 바람직하다. (a) 성분의 배합량이 2 질량% 미만에서는 거품 형성이나 산뜻함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한편, 90 질량% 를 초과하면 기제의 점도나 경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제조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b) 성분은 하기 식 (Ⅰ) 로 나타내는 카티온화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호모폴리머, 디폴리머 및 터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고분자이다.
Figure 112010068635294-pct00003
상기 식 (Ⅰ) 중, 각 치환기의 정의는 이하와 같다.
R1,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알킬기는 직사슬형, 분기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 수산기 또는 불소 원자가 일부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탄소 원자수 1 ∼ 4 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2-하이드록시에틸기, 2-하이드록시프로필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Y- 는 1 가의 무기 또는 유기 아니온을 나타낸다. 1 가의 무기 아니온으로는, 예를 들어, 염화물 이온, 불화물 이온, 요오드화물 이온 등을 들 수 있고, 1 가의 유기 아니온으로는, 황산 이온, 아세트산 이온, 벤젠술폰산 이온, 인산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Ⅰ) 로 나타내는 카티온화 모노머는, 구체적으로는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 염화디에틸디알릴암모늄, 염화디프로필디알릴암모늄, 황산디메틸디알릴암모늄, 황산디에틸디알릴암모늄, 황산디프로필디알릴암모늄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 (이하, 「DADMAC」라고도 기재한다) 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식 (Ⅰ) 로 나타내는 카티온화 모노머만으로 이루어지는 폴리머가 호모폴리머이다. 또 상기 식 (Ⅰ) 로 나타내는 카티온화 모노머와 그 이외의 다른모노머의 공중합체로서, 상기 다른 모노머로서 1 종류의 모노머를 사용하는 공중합체가 디폴리머이고, 상기 다른 모노머로서 2 종류의 모노머를 사용하는 공중합체가 터폴리머이다.
(b) 성분은 모노머의 조합에 따라 카티온화 폴리머와 양쪽성 폴리머로 크게 구별된다. 호모폴리머는 상기 식 (Ⅰ) 로 나타내는 카티온화의 모노머만으로 조제되므로 카티온화 폴리머이다. 카티온화 모노머와 노니온성 모노머의 공중합체도 카티온화 폴리머로 구별된다. 한편, 카티온화 모노머와 아니온성 모노머 또는 양쪽성 모노머가 공중합된 폴리머가 양쪽성 폴리머이다.
상기 식 (Ⅰ) 로 나타내는 카티온화 모노머와 공중합할 수 있는 노니온성 모노머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크릴아미드, N-시클로헥실아크릴아미드, N-시클로헥실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아미드, N-폴리에틸렌글리콜 (10 몰) 아크릴아미드, N-폴리에틸렌글리콜 (10 몰) 메타크릴아미드, N-폴리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10 몰) 아크릴아미드, N-폴리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10 몰) 메타크릴아미드 등을 바람직한 예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식 (Ⅰ) 로 나타내는 카티온화 모노머와 공중합할 수 있는 아니온성 모노머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나트륨, 메타크릴산나트륨, 아크릴산암모늄, 메타크릴산암모늄 등을 바람직한 예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식 (Ⅰ) 로 나타내는 카티온화 모노머와 공중합할 수 있는 양쪽성 모노머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분자 중에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베타인 골격을 함유하는 모노머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N-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베타인, N-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베타인 등) 등을 들 수 있다.
(b) 성분 중에 있어서의 상기 식 (Ⅰ) 로 나타내는 카티온화 모노머의 함유량은, 구성하는 모노머 전체량에 대해 2 ∼ 10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0 질량% 이다. 2 질량% 이하에서는 공중합되는 다른 모노머의 성질이 지나치게 강해져, 본 모노머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기 때문이다. (b) 성분은 질량 평균 분자량 5000 ∼ 750 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만 ∼ 500 만이다.
(b) 성분은 구체적으로 호모폴리머로는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 (DADMAC) 중합체를 바람직한 예로 들 수 있고, 디폴리머로는 DADMAC/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를 바람직한 예로 들 수 있고, 터폴리머로는 DADMAC/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를 바람직한 예로 들 수 있다. 단 이들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DADMAC/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는, 양 모노머의 구성비 (질량비) 가 DADMAC : 아크릴아미드 = 10 : 90 ∼ 90 :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20 ∼ 20 : 80 이다.
또 상기 DADMAC/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는, 3 모노머의 구성비 (질량비) 가 DADMAC : 아크릴아미드 : 아크릴산 = 40 : 20 : 40 ∼ 10 : 80 :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50 : 25 ∼ 20 : 60 : 20 이다.
(b) 성분의 제조는, 상기 식 (Ⅰ) 로 나타내는 카티온화 모노머를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공중합되는 모노머를 사용하여, 공지된 중합 방법으로 중합, 공중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b) 성분은 시판품을 사용해도 되며, 예를 들어, DADMAC 중합체는 「메르쿼트 100」(날코사 제조), 「ME 폴리머 H40W」(토호 화학사 제조)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다. DADMAC/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는 「메르쿼트 550」(날코사 제조), 「ME 폴리머 09W (토호 화학사 제조)」등으로서 시판되고 있다. DADMAC/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는 「메르쿼트 플러스 3330」, 「동 3331」(모두 날코사 제조 「ME 폴리머 T-343」(토호 화학사 제조)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다. 이들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단 이들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b)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 피부 세정료 조성물 중에 0.01 ∼ 1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5 질량% 이다. 0.01 질량% 미만에서는 거품 질의 크림성이 충분하지 않게 되고, 한편, 10 질량% 를 초과하면 거품 형성의 신속성이 약간 저하되고, 또 헹굼시의 미끌거림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c) 성분은, 하기 식 (Ⅱ) 로 나타내는 폴리글리세릴모노알킬에테르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이다.
Figure 112010068635294-pct00004
식 (Ⅱ) 중, n 은 6 ∼ 22, 바람직하게는 8 ∼ 16 의 정수를 나타낸다. n 이 22 보다 크면 거품 형성이 느려지고, 한편, 6 보다 작은 경우에는 거품 형성의 크림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볼 수 있다.
m 은 3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3 ∼ 25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20, 특히 4 ∼ 10 이 바람직하다. m 이 3 미만인 경우나, m 의 수가 지나치게 커지면, 세정 후 당김을 억제하는 효과가 적어진다.
식 (Ⅱ) 중의 알킬기 (CnH2n +1) 는 직사슬, 분기사슬, 고리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구체적으로는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등의 직사슬 알킬기, 2-에틸헥실기, 2-메틸헵틸기, 2-메틸노닐기, 2-옥틸데실기, 3,5,5-트리메틸헥실기, 이소스테아릴기 등의 분기사슬 알킬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고리형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c) 성분은 예를 들어 「선이더 L-4」(=폴리글리세릴-4 라우릴에테르), 「선이더 L-10」(모두 타이요 화학 (주) 제조)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어, 이들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 피부 세정료 조성물 중에 0.01 ∼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1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 5 질량% 이다. 0.01 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거품 형성이나 감촉 개량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한편, 20 질량% 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조제가 곤란하고, 또 사용감이 떨어진다. (c) 성분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d) 성분은 아실메틸타우린염, 하이드록시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다.
아실메틸타우린염은 하기 식 (Ⅲ) 으로 나타내는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이다.
Figure 112010068635294-pct00005
상기 식 (Ⅲ) 중, R3 은 탄소 원자수 7 ∼ 21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4 는 탄소 원자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M1 은 알칼리 금속 (예를 들어, 리튬, 칼륨, 나트륨 등), 알칼리 토금속류 (예를 들어, 칼슘, 마그네슘 등), 암모늄 또는 유기 아민류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 를 나타낸다.
아실메틸타우린염은, 구체적으로는 N-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N-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N-팔미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N-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포성 면에서, N-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N-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식물성 유지인 야자유로부터 얻어진 N-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은, 상기 N-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N-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N-팔미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의 혼합 물인 점에서 바람직하다.
하이드록시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은, 하기 식 (Ⅳ) 로 나타내는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이다.
Figure 112010068635294-pct00006
상기 식 (Ⅳ) 중, R5 는 탄소 원자수 8 ∼ 20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M2 는 알칼리 금속 (예를 들어, 리튬, 칼륨, 나트륨 등), 알칼리 토금속류 (예를 들어, 칼슘, 마그네슘 등), 암모늄 또는 유기 아민류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 를 나타낸다.
하이드록시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은, 구체적으로는 도데칸-1,2-디올아세트산에테르나트륨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예시할 수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d)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 피부 세정료 조성물 중에 1 ∼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1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 ∼ 5 질량% 이다. 1 질량% 미만에서는 속포성 (速泡性), 기포성의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어, 충분한 거품 형성이나 감촉 개량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한편, 20 질량% 를 초과하면 헹구는 데에 시간이 걸리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d) 성분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료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수 중에 지방산을 첨가하고, 70 ℃ 정도로 가열 용해시킨다. 거기에 수산화칼륨 용액을 첨가하고, 중화시킴으로써 비누 용액 ((a) 성분) 을 조제한다. 이어서 (b) 성분, (c) 성분, (d) 성분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25 ℃ 정도로 급랭시켜, 피부 세정료를 얻는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단 이 제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료는, 상기 (a) ∼ (d) 성분에 추가하여, 본 발명 세정료의 목적,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적으로 세정료에 배합할 수 있는 성분을 임의로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 (단 상기 (c) 성분, (d) 성분을 제외한다)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계면 활성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예를 들어,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등) ;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예를 들어, POE-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황산나트륨 등) ; N -아실사르코신산 (예를 들어,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 ; 인산에스테르염 (POE-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 ; 술포숙신산염 (예를 들어, 디-2-에틸헥실술포숙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숙신산나트륨 등) ; 알킬벤젠술폰산염 (예를 들어, 리니어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리니어도데실벤젠술폰산트리에탄올아민, 리니어도데실벤젠술폰산 등) ;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황산에스테르염 (예를 들어,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황산나트륨 등) ; N-아실글루탐산염 (예를 들어, N-라우로일글루탐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탐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모노나트륨 등) ; 황산화유 (예를 들어, 로트유 등) ; POE-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 POE-알킬알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 α-올레핀술폰산염 ;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술폰산염 ; 2 급 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 고급 지방산 알킬롤아미드황산에스테르염 ;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숙신산나트륨 ; N-팔미토일아스파르트산디트리에탄올아민 ; 카제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예를 들어,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 ; 알킬피리디늄염 (예를 들어, 염화세틸피리디늄 등) ;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 알킬 4 급 암모늄염 ;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 알킬이소퀴놀리늄염 ; 디알킬모르포늄염 ; POE-알킬아민 ; 알킬아민염 ;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 아밀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 염화벤잘코늄 ; 염화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이미다졸린계 양쪽성 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2-운데실-N,N,N-(하이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하이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 2 나트륨염 등) ; 베타인계 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술포베타인 등) 등을 들 수 있다.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 ;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 지방산류 (예를 들어 모노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카산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글리세린,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α,α'-올레산피로글루탐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말산 등) ;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등) ;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POE-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레에이트 등) ; POE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월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모노올레에이트 등) ; POE-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이트,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등) ; POE-알킬에테르류 (예를 들어,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타놀에테르 등) ; 플루로닉형류 (예를 들어, 플루로닉등) ; POE·POP-알킬에테르류 (예를 들어, 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모노부틸에테르, POE·POP-수소첨가 라놀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등) ; 테트라 POE·테트라 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 (예를 들어, 테트로닉 등) ; POE-(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예를 들어, 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 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탐산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 말레산 등) ; POE-밀랍·라놀린 유도체 (예를 들어, POE-소르비트 밀랍 등) ; 알칸올아미드 (예를 들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 ; POE-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 POE-알킬아민 ; POE-지방산 아미드 ;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사이드 ;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료에 있어서는, 상기 성분 이외에, 통상적으로 화장료나 의약품에 사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보습제, 분말 성분, 액체 유지, 고체 유지, 납류,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합성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천연 수용성 고분자, 반 (半) 합성 수용성 고분자, 합성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단당, 올리고당, 다당,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션, pH 조정제,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 보조제, 방부제, 소염제, 미백제, 각종 추출물, 부활제, 혈행 촉진제, 항지루제 (抗脂漏劑), 항염증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제의 안정성이나 사용성 등의 면에서 보습제 (예를 들어,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 를 세정료 중에 바람직하게는 10 ∼ 40 질량%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35 질량% 정도 배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료의 제형은 임의이며, 용액계, 가용화계, 유화계, 분말 분산계, 물-오일 2 층계, 물-오일-분말 3 층계 등, 어떠한 제형이어도 상관없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하여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서술하는데, 본 발명은 이로 인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배합량은 특기하지 않는 한, 그 성분이 배합되는 계에 대한 질량% 로 나타낸다. 화장품 원료는 사용이 용이한 점에서 수 (水) 희석에 의해 판매되고 있지만 여기에서 표기하는 배합량은 모두 순분 (純分) 이다.
실시예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각 평가의 시험 방법, 평가 기준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시료의 조제
하기 표 1 ∼ 3 에 나타내는 조성의 각 시료 (세안료) 를 사용하였다. 시료의 제조 방법은, 이온 교환수 중, 글리세린을 첨가하고, 거기에 각종 지방산을 첨가하고, 70 ℃ 에서 가열 용해시켰다. 거기에 수산화칼륨 용액을 첨가하고, 중화시킴으로써 비누 용액을 조제하였다. 거기에 고분자,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였다. 본 용액을 25 ℃ 로 급랭시켜, 크림상의 세안료를 얻고, 본 제제를 평가 시험에 제공하였다.
또한 표 1 ∼ 3 중, 「DADMAC/아크릴산 공중합체」는, DADMAC/아크릴산 = 50 : 50 (질량비), 질량 분자량 450 만인 것을 사용하였다.
「DADMAC 중합체」는 질량 분자량 25 만인 것을 사용하였다.
「DADMAC/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는, DADMAC/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 25 : 50 : 25 (질량비), 질량 분자량 400 만인 것을 사용하였다.
2. 평가 시험 방법 및 평가
[세정시의 거품 형성의 신속성]
하기 표 1 ∼ 3 에 나타내는 각 시료 (세안료) 의 세정시의 거품 형성의 신속성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 (10 명) 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평가는 10 명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평가 기준)
5 점 : 거품 형성이 빠르다
4 점 : 거품 형성이 약간 빠르다
3 점 : 보통
2 점 : 거품 형성이 약간 느리다
1 점 : 거품 형성이 느리다
[세정시의 거품 질]
하기 표 1 ∼ 3 에 나타내는 각 시료 (세안료) 의 세정시의 거품 질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 (10 명) 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평가는 10 명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평가 기준)
5 점 : 크리미하다
4 점 : 약간 크리미하다
3 점 : 보통
2 점 : 약간 크리미하지 않다
1 점 : 크리미하지 않다
[세정 후 피부의 산뜻함]
하기 표 1 ∼ 3 에 나타내는 각 시료 (세안료) 의 세정 후 피부의 산뜻함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 (10 명) 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평가는 10 명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평가 기준)
5 점 : 산뜻함이 있다
4 점 : 약간 산뜻함이 있다
3 점 : 보통
2 점 : 약간 산뜻함이 없다
1 점 : 산뜻함이 없다
[세정 후 피부의 촉촉함]
하기 표 1 ∼ 3 에 나타내는 각 시료 (세안료) 의 세정 후 피부의 촉촉함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 (10 명) 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평가는 10 명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평가 기준)
5 점 : 촉촉함이 있다
4 점 : 약간 촉촉함이 있다
3 점 : 보통
2 점 : 약간 촉촉함이 없다
1 점 : 촉촉함이 없다
[세정 후 피부의 당김없음]
하기 표 1 ∼ 3 에 나타내는 각 시료 (세안료) 의 세정 후 피부의 당김없음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 (10 명) 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평가는 10 명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평가 기준)
5 점 : 당김이 없다
4 점 : 약간 당김이 없다
3 점 : 보통
2 점 : 약간 당김이 있다
1 점 : 당김이 있다
[세정 후 피부의 수분량의 변화]
하기 표 1 ∼ 3 에 나타내는 각 시료 (세안료) 의 세정 후 피부의 수분량의 변화에 대하여, 세정 전의 수분량과 세정하고 30 분 후의 수분량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수분량의 측정은 코네오미터 CM825 (Courage+.Khazaka 사, 독일) 로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평가 기준)
○ : (세정 후 피부의 수분량) - (세정 전 피부의 수분량)
Figure 112010068635294-pct00007
0
× : (세정 후 피부의 수분량) - (세정 전 피부의 수분량) < 0
(실시예 1 ∼ 2, 비교예 1 ∼ 11)
하기 표 1 에 나타내는 시료를 사용하여, 상기 평가 방법에 의해 거품 형성의 신속성, 거품 질, 세정 후의 사용감 (산뜻함, 촉촉함, 당김없음), 피부의 수분량의 변화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68635294-pct00008
표 1 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성분 이외의 본 발명 필수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의 세안료에서는, 세정시의 거품 형성의 신속성, 거품 질의 크림성이 떨어지고, 또, 세정 후 피부의 촉촉함을 얻을 수 없고, 당김이 있다. 한편, (a) 성분과 (c) 성분을 배합한 비교예 2, (a) 성분과 (b) 성분을 배합한 비교예 3 에서는, 거품 형성의 신속성, 거품의 크림성, 촉촉함, 당김없음 등이 약간 개선된 것도 있지만, 충분한 효과를 얻었다고는 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 (a) ∼ (d) 성분을 배합한 실시예 1 ∼ 2 의 세안료에서는, 세정시의 거품 형성의 신속성, 거품의 크림성이 우수하고, 세정 후 피부의 산뜻함, 촉촉함, 당김없음이 현저히 개선되고, 또 피부의 수분량 저하가 없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비교예 5 ∼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성분, (b) 성분, (c) 성분, (d) 성분 중 어느 것이 부족하면 이 효과는 현저히 저감된다. 또 비교예 9,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 (c) 성분을 함유하는 계에, (d) 성분 대신에, 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의 양쪽성 계면 활성제나, 라우로일글루탐산나트륨 등의 글루탐산계 계면 활성제를 배합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는 얻을 수 없다.
(실시예 3 ∼ 13, 비교예 12)
하기 표 2 에 나타내는 시료를 사용하여, 상기 평가 방법에 의해 거품 형성의 신속성, 거품 질, 세정 후의 사용감 (산뜻함, 촉촉함, 당김없음), 피부 수분량의 변화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68635294-pct00009
표 2 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 성분 중의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가 6 개인 헥실에서 20 개인 아르알킬까지 어느 평가에 있어서도 높은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탄소 원자수가 8 이상에서는 특히 거품의 크림성이 현격히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고, 또 탄소 원자수가 16 이하에서는 특히 거품 형성의 신속성이 현격히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c) 성분 중의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를 2 ∼ 25 까지 변화시킨 결과, 비교예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합도가 2 이면 본 발명 효과를 얻을 수 없고, 3 이상에서 비로소 본 발명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4 ∼ 21)
하기 표 3 에 나타내는 시료를 사용하여, 상기 평가 방법에 의해 거품 형성의 신속성, 거품 질, 세정 후의 사용감 (산뜻함, 촉촉함, 당김없음), 피부의 수분량의 변화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68635294-pct00010
이하에 추가로 처방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22 : 세안료)
(배합 성분) (질량%)
(1) 글리세린 15.0
(2)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5.0
(3) 라우르산 5.0
(4) 미리스트산 10.0
(5) 팔미트산 10.0
(6) 스테아르산 15.0
(7) 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5.0
(8)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1.0
(9) 폴리글리세릴 (4) 라우릴에테르 2.0
(10) DADMAC/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1.0
(11) 수산화칼륨 6.0
(12) 이온 교환수 잔부
(13) 킬레이트제 적정량
(14) 향료 적정량
(제법)
(12) 중에 (1) ∼ (8) 을 첨가하고, 75 ℃ 에서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용해 후, (11) 로 중화시키고, 그 후 (10) 및 (9), (13), (14) 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냉각시켜 본 품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22 의 세안료는, 세정시의 거품 형성의 신속성, 거품의 크림성, 산뜻함, 촉촉함, 당김없음이 우수하고, 세정 전후의 피부 수분량의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3 : 보디 샴푸)
(배합 성분) (질량%)
(1) 글리세린 15.0
(2)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5.0
(3) 라우르산 2.0
(4) 미리스트산 5.0
(5) 팔미트산 5.0
(6) 스테아르산 7.0
(7) 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5.0
(8) 라우릴글리콜아세트산나트륨 1.0
(9) 수산화칼륨 3.0
(10) 폴리글리세릴 (10) 라우릴에테르 3.0
(11) DADMAC 중합체 1.0
(12) 이온 교환수 잔부
(13) 향료 적정량
(제법)
(12) 중에 (1) ∼ (6) 을 첨가하고, 75 ℃ 에서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용해 후, (9) 로 중화시키고, 그 후 (11) 및 (7), (8), (10), (13) 을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냉각시켜 본 품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23 의 보디 샴푸는, 세정시의 거품 형성의 신속성, 거품의 크림성, 산뜻함, 촉촉함, 당김없음이 우수하고, 세정 전후의 피부 수분량의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기포성 피부 세정료는, 세정력이 있고, 세정시에 신속하게 거품이 형성되고, 거품 질의 크림성이 우수하고, 세정 후 피부가 당기지 않고 촉촉하고, 피부의 수분량의 저하가 없는, 종래의 세정료에 비해 현격히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3)

  1. (a) 지방산염과, (b) 하기 식 (Ⅰ) :
    Figure 112010068635294-pct00011

    (식 (Ⅰ) 중, R1,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Y- 는 1 가의 무기 또는 유기 아니온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카티온화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호모폴리머, 디폴리머 및 터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고분자와, (c) 하기 식 (Ⅱ) :
    Figure 112010068635294-pct00012

    (식 (Ⅱ) 중, n 은 6 ∼ 22 의 정수를 나타내고, m 은 3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폴리글리세릴모노알킬에테르와, (d) 아실메틸타우린염, 하이드록시에테르카르복실산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기포성 피부 세정료.
  2. 제 1 항에 있어서,
    (b) 성분이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 중합체,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및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고분자인 기포성 피부 세정료.
  3. 제 1 항에 있어서,
    (a) 성분을 2 ∼ 90 질량%, (b) 성분을 0.01 ∼ 10 질량%, (c) 성분을 0.01 ∼ 20 질량%, (d) 성분을 1 ∼ 20 질량% 함유하는 기포성 피부 세정료.
KR1020107023749A 2008-03-31 2009-03-27 기포성 피부 세정료 KR101532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89209 2008-03-31
JP2008089209A JP5522647B2 (ja) 2008-03-31 2008-03-31 起泡性皮膚洗浄料
PCT/JP2009/056375 WO2009123072A1 (ja) 2008-03-31 2009-03-27 起泡性皮膚洗浄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9069A KR20100139069A (ko) 2010-12-31
KR101532811B1 true KR101532811B1 (ko) 2015-06-30

Family

ID=4113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749A KR101532811B1 (ko) 2008-03-31 2009-03-27 기포성 피부 세정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110118164A1 (ko)
EP (1) EP2260830B1 (ko)
JP (1) JP5522647B2 (ko)
KR (1) KR101532811B1 (ko)
CN (1) CN102046143B (ko)
ES (1) ES2669590T3 (ko)
HK (1) HK1156869A1 (ko)
TW (1) TWI488648B (ko)
WO (1) WO2009123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8021B2 (ja) * 2008-07-16 2013-12-18 株式会社ダイセル クレンジング化粧料
WO2011096269A1 (ja) * 2010-02-08 2011-08-11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WO2011099412A1 (ja) * 2010-02-15 2011-08-18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用油組成物
JP5577888B2 (ja) * 2010-06-29 2014-08-27 日油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JP5086467B1 (ja) * 2011-08-30 2012-11-28 株式会社ピーアンドピーエフ 洗浄剤組成物
WO2013042274A1 (en) * 2011-09-22 2013-03-28 L'oreal Cosmetic cleansing composition
JP5893893B2 (ja) * 2011-11-04 2016-03-23 太陽化学株式会社 防腐抗菌組成物
WO2014003114A1 (ja) * 2012-06-29 2014-01-03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皮膚洗浄剤製品
JP6177651B2 (ja) * 2013-10-08 2017-08-09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US20150272124A1 (en) * 2014-03-25 2015-10-01 Ecolab Usa Inc. Antimicrobial compositions containing cationic active ingredients
JP6928614B2 (ja) * 2016-11-30 2021-09-01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JP6831747B2 (ja) * 2017-05-11 2021-02-17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EP3679919A4 (en) * 2017-09-07 2021-06-16 Adeka Corporation SKIN OR HAIR CLEANSING COMPOSITION WITH AN AQUATIC GELLING AGENT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AQUATIC GELLING AND DETERGENT COMPOSITION
WO2019059111A1 (ja) * 2017-09-19 2019-03-28 株式会社資生堂 洗浄剤組成物
JP2018058904A (ja) * 2018-01-11 2018-04-12 ロレアル 化粧料組成物
JP6920266B2 (ja) * 2018-09-28 2021-08-18 株式会社マンダム 皮膚化粧料組成物
JP7130333B2 (ja) * 2018-10-24 2022-09-05 株式会社ノエビア 洗浄料組成物
JP7291009B2 (ja) * 2019-06-14 2023-06-14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CN112494392A (zh) * 2020-12-25 2021-03-16 彭氏(惠州)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清洁型水包油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4395A (ja) * 2007-11-09 2009-05-28 Kao Corp 高嵩密度洗剤組成物
JP2014172909A (ja) * 2013-03-08 2014-09-22 Symrise Ag 化粧品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412B2 (ja) * 1985-07-01 1994-04-27 株式会社資生堂 クリ−ム状洗浄剤
JPS6218500A (ja) * 1985-07-16 1987-01-27 株式会社資生堂 クリ−ム状洗浄剤
JP2001064678A (ja) * 1999-08-30 2001-03-13 Shiseido Co Ltd 洗浄剤組成物
JP3545372B2 (ja) * 2001-09-04 2004-07-21 カネボウ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04035524A (ja) * 2002-07-08 2004-02-05 Lion Corp 角質層水分量低減抑制組成物
JP2005298455A (ja) * 2004-04-16 2005-10-27 Kanebo Cosmetics Inc 皮膚洗浄料
WO2006087939A1 (ja) * 2005-02-07 2006-08-24 Shiseido Co., Ltd. 皮膚洗浄料組成物
JP4348312B2 (ja) * 2005-04-01 2009-10-21 太陽化学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4348313B2 (ja) * 2005-04-01 2009-10-21 太陽化学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4348319B2 (ja) * 2005-06-13 2009-10-21 太陽化学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4847721B2 (ja) * 2005-06-16 2011-12-28 株式会社 資生堂 皮膚及び毛髪用洗浄料組成物
TWI400254B (zh) * 2005-06-23 2013-07-01 Shiseido Co Ltd 聚合物及化粧料
JP2007146029A (ja) * 2005-11-29 2007-06-14 Lion Corp 洗浄剤組成物
JP5131415B2 (ja) * 2005-11-29 2013-01-30 ライオン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5078130B2 (ja) * 2007-03-23 2012-11-21 株式会社 資生堂 洗浄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4395A (ja) * 2007-11-09 2009-05-28 Kao Corp 高嵩密度洗剤組成物
JP2014172909A (ja) * 2013-03-08 2014-09-22 Symrise Ag 化粧品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44241A (en) 2009-11-01
EP2260830B1 (en) 2018-02-21
CN102046143B (zh) 2013-06-12
WO2009123072A1 (ja) 2009-10-08
KR20100139069A (ko) 2010-12-31
JP2009242274A (ja) 2009-10-22
US20110118164A1 (en) 2011-05-19
US20130178406A1 (en) 2013-07-11
EP2260830A4 (en) 2015-04-15
CN102046143A (zh) 2011-05-04
ES2669590T3 (es) 2018-05-28
EP2260830A1 (en) 2010-12-15
TWI488648B (zh) 2015-06-21
US8946137B2 (en) 2015-02-03
JP5522647B2 (ja) 2014-06-18
HK1156869A1 (en)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811B1 (ko) 기포성 피부 세정료
JP5562531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CN105722497B (zh) 包含至少一种甘氨酸盐型表面活性剂的发泡组合物
US7960327B2 (en) Cleansing composition
US8343902B2 (en) Low-irritating, clear cleansing compositions with relatively low pH
JP5041894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8285479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US20150299618A1 (en) Cleansing composition
JP5554901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US20150299616A1 (en) Cleansing composition
EP2039340B2 (en) Skin cleansing composition
JP6563191B2 (ja) 洗浄剤組成物
JP4515941B2 (ja) 化粧品用ポリマー組成物
JP4847721B2 (ja) 皮膚及び毛髪用洗浄料組成物
US7872083B2 (en) Polymer and cosmetic preparation
JP5192871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6347963A (ja) 皮膚及び毛髪用洗浄料組成物
JP2020100581A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09275012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