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957B1 - 액상 화장료 - Google Patents

액상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957B1
KR101527957B1 KR1020107000360A KR20107000360A KR101527957B1 KR 101527957 B1 KR101527957 B1 KR 101527957B1 KR 1020107000360 A KR1020107000360 A KR 1020107000360A KR 20107000360 A KR20107000360 A KR 20107000360A KR 101527957 B1 KR101527957 B1 KR 101527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oil
component
liquid
liquid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254A (ko
Inventor
후미히코 츠키야마
요시카즈 콘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ublication of KR2010004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Abstract

전해질 미용성분을 배합하고, 장기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액상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액상 화장료는, (A) 인지질, (B) 다이라우로일글루탐산 리신염, (C) 전해질 미용성분 및 (D) 물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성분 (E)로서 유성 성분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 화장료{LIQUID COSMETIC PREPARATION}
본 발명은, 인지질, 다이라우로일글루탐산 리신염 및 전해질 미용성분을 배합한 액상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해질이 존재하고 있어도, 보존 안정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산뜻한 사용감으로, 끈적거림이 없고, 에몰리엔트 효과가 높은 액상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화장수, 유액, 미용액 등의 액상 화장료에는, 피부에 대한 미용성분으로서, 전해질이 이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전해질인 미용성분으로서, 보습제(아미노산이나 락트산 나트륨, 피롤리돈 카복실산 나트륨 등), 소염제(글리실리진산 이칼륨 등), 미백제(L-아스코르브산-2-인산 마그네슘 등), 자외선 흡수제(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염 등)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전해질 미용성분을 액상 화장료에 배합하면, 전하의 영향에 의해, 액상 화장료 중의 리포솜이나 유화 액적 등의 소포(vesicle)의 표면의 전기이중층이 압축되어, 이들 소포의 응집·합일이나 크리밍이 생길 경우가 있어, 안정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버리므로, 안정성의 확보가 곤란하였다.
전해질을 배합한 액상 화장료로서는, 비극성 오일과 극성 오일을 특정 비로 함유한 미세 에멀젼 조성물이나(특허문헌 1의 제1쪽 내지 제7쪽 참조), 폴리글라이세린 지방산 에스터와 탄소수 10 내지 22의 2-하이드록시 지방산을 조합시키는 것(특허문헌 2의 제1쪽 내지 제7쪽 참조), 고급 지방산과 HLB가 10 이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조합시키는 것(특허문헌 3의 제1쪽 내지 제8쪽 참조) 등이 검토되어 있다.
JP 2002-138014 A JP 9-110635 A JP 3434115 B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액상 화장료의 보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계면활성제나 수용성 고분자 등의 배합이 필요하고, 그 영역에서는, 피부에 도포할 때에, 계면활성제나 수용성 고분자에 의한 미끈거리는 느낌이나 끈적저리는 느낌이 생기는 등, 사용감의 면에서 충분하게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또 에몰리엔트감에 있어서도 충분하게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실상을 감안해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전해질 미용성분을 배합한 액상 화장료에 있어서, 인지질과 다이라우로일글루탐산 리신염을 병용함으로써, 소포의 응집·합일이나 크리밍을 현저하게 억제해서, 상승적인 보존 안정성 향상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찾아냈다. 또한, 산뜻하고, 끈적거림이 없어 사용감이 양호하고, 또한 에몰리엔트 효과가 높은 액상 화장료가 얻어지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성분 (A) 내지 (D)를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A) 인지질;
(B) 다이라우로일글루탐산 리신염;
(C) 전해질 미용성분; 및
(D) 물.
본 발명의 화장료는, 전해질을 배합해도, 보존 안정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산뜻한 사용감으로, 끈적거림이 없고, 에몰리엔트 효과가 높은 액상 화장료이다.
본 발명의 액상 화장료에 있어서의 성분 (A)의 인지질은, 리포솜의 형성 성분 또는 유화제로서 작용하는 성분이다. 또한, 인지질은, 에몰리엔트 효과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성분 (A)의 인지질은,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대두유래 인지질, 난황유래 인지질, 또한, 이들의 수소첨가 인지질을 들 수 있고, 이들 인지질은 필요에 따라서 1종 또는 2종 이상 이용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인지질은, 장기보존 안정성(냄새, 유화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포스파티딜콜린(PC) 순도가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요오드값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의 인지질의 배합량은, 0.05 내지 10질량%(이하, 단지 「%」라 칭함)이지만,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충분한 에몰리엔트 효과와 양호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또, 보존 안정성도 양호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액상 화장료에 있어서의 성분 (B)의 다이라우로일글루탐산 리신염은, 다쇄 다친수기형의 화합물이며, 리포솜의 형성 성분 또는 유화제로서 작용하는 성분이다. 다이라우로일글루탐산 리신염의 이러한 염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트라이에탄올아민 및 암모니아로부터 선택된 1종이지만, 이들 중에서도 나트륨인 것이, 양호한 사용감 및 보존 안정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B)의 다이라우로일글루탐산 리신염의 배합량은, 0.01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5%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충분한 에몰리엔트 효과와 양호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고, 또 보존 안정성도 양호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액상 화장료에 있어서, 성분 (A)의 인지질과 성분 (B)의 다이라우로일글루탐산 리신염을 조합함으로써, 내염성이 우수한 조성물로 된다. 또한, 이들 배합 질량비는 10:1 내지 1:1인 것이 바람직하고, 7:1 내지 2:1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보존 안정성이 양호하고, 또한, 충분한 에몰리엔트 효과 및 끈적거리는 느낌이 없는 양호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상 화장료에 있어서의 성분 (C)의 전해질 미용성분은, 피부과학적으로 피부에 유효한 수용성의 미용성분이며,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미노산, 락트산 나트륨, 피롤리돈 카복실산 나트륨, 글리실리진산 이칼륨, 요소, L-아스코르브산-2-인산 나트륨, L-아스코르브산-2-인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사이드,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염,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설폰산염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1종 또는 2종 이상 이용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성분 (C)의 전해질 미용성분의 배합량은, 0.1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3%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충분히 피부에 대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보존 안정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액상 화장료에 있어서의 성분 (D)의 물은,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성분 (D)의 물의 배합량은 특별하게는 한정되지 않지만, 산뜻한 감촉을 얻기 위해서는, 30 내지 99%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상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성분 (A) 내지 (D) 외에, 성분 (E)로서 유성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 유성 성분은, 에몰리엔트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성분이다. 성분 (E)의 유성 성분은,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고체 형태, 페이스트 형태, 액상의 어느 것의 상태이어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의 유성 성분으로서는, 아보카도 오일, 아마인유, 아몬드 오일, 올리브유, 살구씨유, 밀배아유, 참기름, 쌀 배아기름, 미강유(rice bran oil), 홍화유, 대두유, 옥수수 기름, 호호바유, 마카다미아 넛 오일 (macadamia nut oil), 밍크오일, 면실유, 야자유,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라놀린 알코올, 아세트산 라놀린, 라놀린 지방산 아이소프로필, 스쿠알란(squalan), 스쿠알렌(squalene), 유동 파라핀, 프리스테인(pristane), 폴리아이소뷰틸렌, 운데실렌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아이소스테아르산, 아디프산 2-헥실데실, 모노아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라이콜, 아이소스테아르산 아이소세틸,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다이-2-에틸헥산산 에틸렌글라이콜, 2-에틸헥산산 세틸, 트라이-2-에틸헥산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톨, 옥탄산 세틸, 올레산 올레일, 올레산 옥틸도데실, 다이카프르산 네오펜틸글라이콜, 숙신산 2-에틸헥실, 스테아르산 아이소세틸, 스테아르산 뷰틸, 세바스산 다이-2-에틸헥실,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말산 다이아이소스테아릴,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 글라세라이드, 트라이-2-에틸헥산산 글리세라이드,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라이드, 다이-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라이드, 메틸폴리실록세인, 메틸페닐폴리실록세인, 에틸폴리실록세인, 에틸메틸폴리실록세인, 에틸페닐폴리실록세인,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고, 페이스트 형태의 유성 성분으로서는, 카카오기름, 시어버터(shea butter), 경화 피마자유, 경화 야자유, 라놀린, 바셀린, 모노스테아르산 경화 피마자유, 모노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경화 피마자유, 하이드록시스테아릴산 콜레스테릴, 다이펜타에리트리틸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에스터, 다이펜타에리트리틸스테아르산 에스터, 다이펜타에리트리틸로진산 에스터, N-라우로일-L-글루탐산-다이(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마카다미아 넛 오일 지방산 피토스테릴 등을 들 수 있고, 고체 형태의 유성 성분으로서는,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경랍, 밀랍, 세레신, 파라핀,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 왁스(microcrystalline wax), 스테아르산, 베헨산,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세틸, 다이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트라이베헨산 글라이세릴, 스테아릴 변성 폴리실록세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유제는 필요에 따라서 1종 또는 2종 이상 이용할 수 있다.
성분 (E)의 유성 성분의 배합량은, 0.5 내지 30%가 바람직하고, 2 내지 25%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충분한 에몰리엔트 효과와 양호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고, 또 보존 안정성도 양호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액상 화장료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 부외품, 의약품 등에 이용되는 각종 성분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코올류, 보습제, 유화제, 유화 안정제, 증점제, 방부제, 분체, 안료, 색소, 자외선 흡수제, pH 조정제, 향료, 약효성분, 금속 봉쇄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상 화장료는, 상기 필수성분 (A) 내지 (D), 및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성분 (E)나 그 밖의 임의 성분을 상법에 따라서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혼합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호모믹서, 디스퍼믹서(dispermixer) 등을 이용해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고압 호모지나이저나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microfluidizer) 등의 고압 유화기를 이용해서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지는 본 발명의 액상 화장료에는 소포가 분산되어서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소포란, 수중에서 구상의 폐쇄 소포체를 의미하고, 리포솜 및 유화 액적을 모두 포함한다. 이 소포의 평균 입자 직경은 3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크리밍이 생기는 일이 적고, 보존 안정성이 더욱 양호한 것으로 된다. 또한, 소포의 평균 입자 직경은, COULTER N-4형(BECKMAN COULTER사 제품)으로 측정되는 값이다. 본 발명의 액상 화장료에 있어서는, 보존 안정성이 양호하고, 또한, 산뜻하고, 끈적거림이 없는 사용감과, 에몰리엔트 효과를 얻기 위해서,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상 화장료의 25℃에 있어서의 전기전도도(동아전파공업사 제품 전기전도도계 CM-60G를 이용해서 측정)는 0.05 내지 4 S/m이 바람직하고, 또한, 0.1 내지 3 S/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전해질 미용성분의 효과인 보습 효과나 미백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고, 또한, 계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상 화장료의 액상이란, 30℃의 점도가 브룩필드형 회전점도계에 의한 측정치로 1 내지 2000m㎩·s인 것을 나타낸다. 이 범위의 점도이면, 산뜻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상 화장료는, 일반의 피부 화장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의약 부외품, 의약품 등, 액상 화장료 전반을 포함하는 것이며, 그 형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액, 화장수, 미용액, 팩, 클렌징료, 메이크업 화장료, 에어로졸 등의 형태를 들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하등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5: 액상 화장료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조성의 액상 화장료를 이하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1) 사용감(산뜻함, 끈적거림 없음), (2) 에몰리엔트 효과, (3) 보존 안정성, (4) 전기전도도, (5) 유화 액적의 평균 입자 직경의 평가 항목에 대해서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평가하고, 그 결과를 아울러서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번호 성분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1 0.1 10 1.4 2 0.5 1.5 1.5 1.5 1.5 3
2 스테아르산 나트륨 - - - - - - - - - -
3 다이라우로일 글루탐산 리신나트륨 0.2 10 0.2 0.2 0.025 0.5 0.5 0.5 0.5 1
4 트라이2-에틸헥산산 글라이세린 2 25 - 5 1 10 10 10 10 10
5 올레산 피토스테롤 - - - 2 - 2 - - - 2
6 1,3-뷰틸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7 글라이세린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8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9 락트산 나트륨 1 1 1 1 1 1 10 3 0.3 1
성분(A):성분(B) 1:2 1:1 7:1 10:1 20:1 3:1 3:1 3:1 3:1 3:1
평가 항목
1 사용감(산뜻함)
사용감(끈적거림 없음)
2 에몰리엔트
효과
3 보존 안정성
4 전기전도도
(S/m)(25℃)
0.568 0.682 0.558 0.582 0.562 0.612 3.76 1.45 0.1962 0.652
5 평균 입자
직경(㎚)
100-
300
50-
250
50-
150
100-
300
300-
500
100-
200
50-
250
50-
250
50-
250
100-
200
※1: 레시놀 S-10E(닛코케미칼즈사 제품): PC 순도 75-85%, 요오드가: 6.6
번호 성분 비교예
1 2 3 4 5
1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1 - - - 1.5 3
2 스테아르산 나트륨 2 - - - -
3 다이라우로일 글루탐산 리신나트륨 - 0.5 1 - -
4 트라이2-에틸헥산산 글라이세린 10 10 10 10 10
5 올레산 피토스테롤 2 2 2 2 2
6 1,3-뷰틸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7 글라이세린 10 10 10 10 10
8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9 락트산 나트륨 1 1 1 2 3
평가 항목
1 사용감(산뜻함)
사용감(끈적거림 없음)
2 에몰리엔트 효과
3 보존 안정성 × × ×
4 전기전도도(S/m)(25℃) 0.578 0.577 0.552 0.512 0.535
5 평균 입자 직경(㎚) 400-500 100-250 100-300 250-350 250-350
(제조 방법)
A: 상기 성분 1 내지 7을 혼합·용해시킨다(70℃).
B: 상기 성분 8을 가열한다(70℃).
C: 상기 A에 상기 B를 첨가해서 유화시킨다(70℃).
D: 상기 C를 40℃까지 냉각시킨다.
E: 상기 D를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에서 분산시킨다.
F: 상기 E에 상기 성분 9를 첨가한다.
[평가 방법] 평가 항목 (1), (2)
화장경력 10년 이상인 여성 20명을 패널로 해서, (1) 사용감(산뜻함, 끈적거림 없음), (2) 에몰리엔트 효과의 각각의 평가 항목에 대해서 기준 A로 5단계 평가하고, 또한, 그 평균점으로부터 판정하였다.
Figure 112010001078719-pct00001
Figure 112010001078719-pct00002
[평가 방법] 평가 항목(3)
보존 안정성의 평가 방법으로서는, 표 1에 나타낸 액상 화장료를 40℃에서 일정 기간 보존했을 때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 B에 따라 평가하였다.
Figure 112010001078719-pct00003
[평가 방법] 평가 항목(4)
표 1에 나타낸 화장료의 유화 액적의 평균 입자 직경을, COULTER N-4형(BECKMAN COULTER사 제품)에서 측정하였다.
표 1 및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액상 화장료는, 전해질 미용성분인 락트산 나트륨(보습제)이 존재하고 있어도, 보존 안정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산뜻한 사용감으로, 끈적거림이 없고, 에몰리엔트 효과가 높은 액상 화장료였다. 그에 대해서,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및 다이라우로일글루탐산 리신 나트륨 대신에, 스테아르산 나트륨을 유화제로서 배합한 비교예 1에서는, 보존 안정성이 나빴다. 또한,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을 배합하지 않은 비교예 2에서도, 마찬가지로 보존 안정성이 나쁘고, 또한, 다이라우로일글루탐산 리신 나트륨을 배합하지 않은 비교예 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보존 안정성이 나빴다. 또한, 비교예 3 또는 5와 같이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또는 다이라우로일글루탐산 리신 나트륨의 배합량을 배량으로 해도, 각각의 단독 사용에서는 보존 안정성은 거의 개선되지 않았으므로, 이들 성분을 병용함으로써 보존 안정성이 상승적으로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도는 모두 30℃에서 1 내지 2000 m㎩·s였다.
실시예 11: 미백 화장수
Figure 112010001078719-pct00004
(제법)
A: 상기 성분 1 내지 7을 혼합·용해시킨다(70℃).
B: 상기 성분 8을 가열한다(70℃).
C: 상기 A에 상기 B를 첨가해서 유화시킨다(70℃).
D: 상기 C를 40℃까지 냉각시킨다.
E: 상기 D를 고압 호모지나이저에서 분산시킨다.
F: 상기 E에 상기 성분 9 내지 14를 첨가한다.
실시예 11은, 전해질 미용성분인 L-아스코르브산-2-인산 마그네슘(미백제)이 존재하고 있어도, 보존 안정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산뜻한 사용감으로, 끈적거림이 없고, 에몰리엔트 효과가 높은 미백 화장수이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점도는 30℃에서 10m㎩·s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화 액적의 평균 입자 직경은 100 내지 250㎚였다.
실시예 12: 에몰리엔트 미용액
Figure 112010001078719-pct00005
(제법)
A: 상기 성분 1 내지 7을 혼합·용해시킨다(70℃).
B: 상기 성분 8을 가열한다(70℃).
C: 상기 A에 상기 B를 첨가해서 유화시킨다(70℃).
D: 상기 C를 40℃까지 냉각시킨다.
E: 상기 D를 고압 유화기로 분산시킨다.
F: 상기 E에 상기 성분 9 내지 14를 첨가한다.
실시예 12는, 전해질 미용성분인 락트산 나트륨 및 피롤리돈 카복실산 나트륨(보습제)이 존재하고 있어도, 보존 안정성이 양호하고, 또한, 산뜻한 사용감으로, 끈적거림이 없고, 에몰리엔트 효과가 높은 에몰리엔트 미용액이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점도는 20m㎩·s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화 액적의 평균 입자 직경은 50 내지 250㎚였다.
실시예 13: 유액
Figure 112010001078719-pct00006
(제법)
A: 상기 성분 1 내지 7을 혼합·용해시킨다(70℃).
B: 상기 성분 8을 가열한다(70℃).
C: 상기 A에 상기 B를 첨가해서 유화시킨다(70℃).
D: 상기 C를 40℃까지 냉각시킨다.
E: 상기 D에 상기 성분 9 내지 13을 첨가한다.
실시예 13은, 전해질인 글리실리진산 이칼륨(소염제)이 존재하고 있어도, 보존 안정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산뜻한 사용감으로, 끈적거림이 없고, 에몰리엔트 효과가 높은 유액이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점도는 25m㎩·s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화 액적의 평균 입자 직경은 40 내지 280㎚였다.
실시예 14: 자외선 차단 로션
Figure 112010001078719-pct00007
(제법)
A: 상기 성분 1 내지 7을 혼합·용해시킨다(70℃).
B: 상기 성분 8 및 9를 혼합한다(70℃).
C: 상기 A에 상기 B를 첨가해서 유화시킨다(70℃).
D: 상기 C를 40℃까지 냉각시킨다.
E: 상기 D를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에서 분산시킨다.
F: 상기 E에 상기 성분 10 내지 15를 첨가한다.
실시예 14는, 전해질 미용성분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자외선 흡수제)이 존재하고 있어도, 보존 안정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산뜻한 사용감으로, 끈적거림이 없고, 에몰리엔트 효과가 높은 자외선 차단 로션이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점도는 100m㎩·s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평균 입자 직경은 80 내지 200㎚였다.
실시예 15: 클렌징 로션
Figure 112010001078719-pct00008
(제법)
A: 상기 성분 1 내지 6을 혼합·용해시킨다(70℃).
B: 상기 성분 7 및 13을 혼합한다(70℃).
C: 상기 A에 상기 B를 첨가해서 유화시킨다(70℃).
D: 상기 C를 40℃까지 냉각시킨다.
E: 상기 D에 상기 성분 8 내지 12, 14를 첨가한다.
실시예 15는, 전해질 미용성분인 N-아세틸-L-글루탐산, L-세린(보습제)이 존재하고 있어도, 보존 안정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산뜻한 사용감으로, 끈적거림이 없고, 에몰리엔트 효과가 높은 클렌징 로션이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점도는 1500m㎩·s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평균 입자 직경은 50 내지 250㎚였다.
본 발명의 액상 화장료는, 전해질 미용성분을 배합해도, 소포의 응집·합일이나 크리밍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동시에 산뜻함이 있고, 끈적거림이 없어 사용감이 양호하며, 또한 에몰리엔트 효과가 높은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미백 등 다양한 용도의 화장료로서 유용한 것이다.

Claims (6)

  1. 이하의 성분 (A) 내지 (D)를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A) 인지질;
    (B) 다이라우로일글루탐산 리신염;
    (C) 아미노산(다이라우로일글루탐산 리신염을 제외함), 락트산 나트륨, 피롤리돈 카복실산 나트륨, 글리실리진산 이칼륨, 요소, L-아스코르브산-2-인산 나트륨, L-아스코르브산-2-인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사이드,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염 및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설폰산염 중 1종 이상인 전해질 미용성분; 및
    (D) 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E)로서 아보카도 오일, 아마인유, 아몬드 오일, 올리브유, 살구씨유, 밀배아유, 참기름, 쌀 배아기름, 미강유(rice bran oil), 홍화유, 대두유, 옥수수 기름, 호호바유, 마카다미아 넛 오일 (macadamia nut oil), 밍크오일, 면실유, 야자유,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라놀린 알코올, 아세트산 라놀린, 라놀린 지방산 아이소프로필, 스쿠알란(squalan), 스쿠알렌(squalene), 유동 파라핀, 프리스테인(pristane), 폴리아이소뷰틸렌, 운데실렌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아이소스테아르산, 아디프산 2-헥실데실, 모노아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라이콜, 아이소스테아르산 아이소세틸,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다이-2-에틸헥산산 에틸렌글라이콜, 2-에틸헥산산 세틸, 트라이-2-에틸헥산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톨, 옥탄산 세틸, 올레산 올레일, 올레산 옥틸도데실, 다이카프르산 네오펜틸글라이콜, 숙신산 2-에틸헥실, 스테아르산 아이소세틸, 스테아르산 뷰틸, 세바스산 다이-2-에틸헥실,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말산 다이아이소스테아릴,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 글라세라이드, 트라이-2-에틸헥산산 글리세라이드,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라이드, 다이-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라이드, 메틸폴리실록세인, 메틸페닐폴리실록세인, 에틸폴리실록세인, 에틸메틸폴리실록세인, 에틸페닐폴리실록세인,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피마자유, 카카오기름, 시어버터(shea butter), 경화 피마자유, 경화 야자유, 라놀린, 바셀린, 모노스테아르산 경화 피마자유, 모노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경화 피마자유, 하이드록시스테아릴산 콜레스테릴, 다이펜타에리트리틸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에스터, 다이펜타에리트리틸스테아르산 에스터, 다이펜타에리트리틸로진산 에스터, N-라우로일-L-글루탐산-다이(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마카다미아 넛 오일 지방산 피토스테릴,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경랍, 밀랍, 세레신, 파라핀,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 왁스(microcrystalline wax), 스테아르산, 베헨산,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세틸, 다이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트라이베헨산 글라이세릴, 스테아릴 변성 폴리실록세인 중 1종 이상의 유성 성분을 추가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와 성분 (B)의 배합 질량비가 10:1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화장료는 평균 입자 직경이 30 내지 300㎚인 소포(vesicle)를 포함하고, 상기 소포는 상기 성분 (A) 및 (B)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리포솜 또는 유화 액적인 액상 화장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C)를 0.1 내지 10질량%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5℃에 있어서의 전기전도도가 0.05 내지 4 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액상 화장료.
KR1020107000360A 2007-08-03 2008-08-01 액상 화장료 KR101527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03168 2007-08-03
JPJP-P-2007-203168 2007-08-03
PCT/JP2008/063875 WO2009020067A1 (ja) 2007-08-03 2008-08-01 液状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254A KR20100042254A (ko) 2010-04-23
KR101527957B1 true KR101527957B1 (ko) 2015-06-10

Family

ID=4034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360A KR101527957B1 (ko) 2007-08-03 2008-08-01 액상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571384B2 (ko)
KR (1) KR101527957B1 (ko)
CN (1) CN101772340B (ko)
HK (1) HK1143312A1 (ko)
TW (1) TWI422390B (ko)
WO (1) WO20090200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428B1 (ko) * 2015-06-25 2017-05-24 이정재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312B1 (ko) * 2008-12-31 2012-01-20 황정웅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235514A (ja) * 2009-03-31 2010-10-21 Dhc Co 液状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5489206B2 (ja) * 2009-07-28 2014-05-14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パック化粧料
JP5607916B2 (ja) * 2009-11-30 2014-10-15 株式会社 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JP5123333B2 (ja) 2010-01-26 2013-01-23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5966261B2 (ja) * 2010-06-17 2016-08-10 大正製薬株式会社 外用組成物
KR101839826B1 (ko) * 2011-06-21 2018-03-20 (주)아모레퍼시픽 천연보습인자를 담지한 각질세포 모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050359A2 (ko) 2010-10-14 2012-04-19 (주)아모레퍼시픽 리피드로 코팅된 하이드로겔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6115086B2 (ja) * 2012-11-13 2017-04-19 味の素株式会社 アミノ酸化合物の酢酸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6234112B2 (ja) * 2013-03-05 2017-11-22 株式会社ファンケル W/o/w型乳化組成物
FR3030242B1 (fr) * 2014-12-18 2018-01-26 L'oreal Emulsion contenant un tensioactif gemine ayant deux groupements amide gras et un filtre uv organique hydrosoluble
EP3616683A4 (en) * 2017-04-28 2020-04-29 Rohto Pharmaceutical Co., Ltd. COSMETIC COMPOSITION
JP6862069B2 (ja) * 2017-05-30 2021-04-21 株式会社マンダム フォーム状皮膚洗浄料
JP2020002050A (ja) * 2018-06-27 2020-01-09 小林製薬株式会社 皮膚洗浄料組成物
KR102181475B1 (ko) * 2018-11-19 2020-1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650A (ja) * 2004-12-06 2006-06-22 Asahi Kasei Chemicals Corp 老化防止化粧料
JP2006160688A (ja) * 2004-12-09 2006-06-22 Asahi Kasei Chemicals Corp 化粧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0462A (ja) * 1997-08-12 1999-03-02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2001181168A (ja) * 1999-12-24 2001-07-03 Kose Corp 化粧料
TW200603833A (en) * 2004-02-18 2006-02-01 Kose Corp Liquid emulsion cosmetic
JP5094041B2 (ja) * 2006-05-10 2012-12-12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リポソーム及びリポソーム製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650A (ja) * 2004-12-06 2006-06-22 Asahi Kasei Chemicals Corp 老化防止化粧料
JP2006160688A (ja) * 2004-12-09 2006-06-22 Asahi Kasei Chemicals Corp 化粧料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428B1 (ko) * 2015-06-25 2017-05-24 이정재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0067A1 (ja) 2009-02-12
JP5571384B2 (ja) 2014-08-13
KR20100042254A (ko) 2010-04-23
JPWO2009020067A1 (ja) 2010-11-04
CN101772340A (zh) 2010-07-07
TWI422390B (zh) 2014-01-11
CN101772340B (zh) 2013-01-23
HK1143312A1 (en) 2010-12-31
TW200920410A (en) 200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957B1 (ko) 액상 화장료
JP3609834B2 (ja) 皮膚外用剤
EP1756077B1 (en) Multi-lamellar liquid crystal emulsion system
EP2088986B1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in the form of water-in-oil emulsion comprising ceramide
JP5508682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904055B2 (ja) 液状乳化化粧料
WO2004004676A1 (ja) ベシクル分散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20130055069A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491917B2 (ja) 乳化化粧料
KR20070117800A (ko) 헥사고날 젤 구조를 가지는 피부 외용제
JP2015168629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130011800A (ko)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833810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15189762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06273789A (ja) セラミダーゼ阻害剤、及びその阻害剤を含む皮膚外用剤、化粧料、医薬部外品
JP5662794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008231087A (ja) 皮膚外用剤
JP2016056198A (ja) 化粧料
JP5220998B2 (ja) リポソームを含有するw/o/w型皮膚又は頭皮用外用剤
JP3527053B2 (ja) 化粧料
JP2003267830A (ja) 液状化粧料
JP2004307414A (ja) W/o/wエマルション皮膚外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65320B2 (ja) 無機塩含有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07269668A (ja) 水中油型美白化粧料
JP6411050B2 (ja) リポソーム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