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428B1 -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428B1
KR101732428B1 KR1020150090757A KR20150090757A KR101732428B1 KR 101732428 B1 KR101732428 B1 KR 101732428B1 KR 1020150090757 A KR1020150090757 A KR 1020150090757A KR 20150090757 A KR20150090757 A KR 20150090757A KR 101732428 B1 KR101732428 B1 KR 101732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liposome
phospholipid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161A (ko
Inventor
이정재
이광옥
강희철
이경관
이민혜
정은영
Original Assignee
이정재
(주)지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재, (주)지에프씨 filed Critical 이정재
Priority to KR1020150090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4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수상성분에 분산된 리포좀을 포함하며, 상기 리포좀은 인지질 및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를 포함하는 인지질층 및 상기 인지질층 내부에 담지되는 피담지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상성분은 부틸렌글라이콜, 트리에탄올아민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피담지체는 아미노산 혼합물, 피롤리돈 카르복시산(Pyrrolidone carboxylic acid, PCA)계 화합물, 소듐 락테이트(Sodium lactate) 및 하이드록시에틸 우레아(hydroxyethyl urea)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LASTIC LIPOSOME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경피 흡수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분은 피부를 부드럽고 촉촉하게 만들어줄 뿐 아니라 피부 기능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인체 구성 물질이다. 인체의 피부, 특히 각질층(stratum corneum)에 존재하는 수분함량은, 일반적으로 피부 총 수분량의 약 10%~2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질층이 상기와 같은 수분량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라고 불리는 특정 피부 구성 성분이 필수적으로 존재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천연보습인자는, 피부의 각화과정 동안 표피층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내에 존재하던 필라그린(Fillagrin) 단백질의 효소적 가수분해와 같은 다양한 대사과정으로부터 생성된 삼투성 저분자 복합물질을 일컬으며, 피부 속 천연보습제로서 각질층 내에 존재하는 수분을 붙잡아 주어 부드럽고 촉촉한 피부 유지와 함께 각질층이 피부장벽으로서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피부 구성성분이다. 즉, 각질층과 외부환경 사이에 수분 조절을 담당하는 천연보습인자는 각질층 내 각화된 케라틴 단백질의 수화(hydration)에 필요한 수분을 끌어들임과 함께 각질층 내의 수분이 과도하게 탈수되는 것을 막아준다.
반면 어떤 원인에 의해 천연보습인자가 결핍 또는 고갈이 된다면 피부 속 수분 손실이 가속되어 불쾌감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피부가 건조해지고, 심할 경우에는 피부건조증(xeroderma) 내지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과 같은 각종 질병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그러한 천연보습인자의 결핍 내지 고갈 원인으로는 과도하게 건조한 외부환경에 장시간 노출 또는 내적 스트레스 요인에 의한 피부장벽의 직간접적 손상에 의한 피부기능 이상을 들 수 있다. 특히 외부 노출이 가장 많은 얼굴 및 손 부위에서 가장 심각한 수분 손실이 일어나므로 건조한 날씨에 지나친 외부 활동은 가급적 삼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에도 공해 등 자극물질 접촉과 지나친 자외선 조사 등에 따른 피부질환은 피부장벽의 직접적 손상 원인이 되므로 적극적으로 방어해야 할 위해요소라 할 수 있다.
한편, 천연보습인자는 각질층의 세포간지질(intercellular lipids)과 함께 존재할 때만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즉, 적절한 보습을 위해서는 세포와 세포 사이의 공간 구조(Extracellular matrix)가 정상적으로 기능을 해야 하며, 적정량의 세포간지질을 갖고 있어야 한다. 세포간지질과 같은 지질 반투막은 천연보습인자가 피부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동시에 외부의 수분을 끌어들이는 삼투막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천연보습인자를 붙잡아 두는 세포간지질(intercellular lipids)이 부족한 건성피부에서는 단순한 세정에 의해서도 친수성 천연보습인자가 각질층 밖으로 쉽게 빠져나오기 때문에 피부건조증, 심할 경우는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피부건조 현상을 예방하고자 보습용 화장료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보습용 화장료가 도포되는 피부 최외각의 각질층은 죽은 각질세포들로 가지런히 쌓여 있고 그 사이 사이는 각질형성세포의 세포막을 형성했던 지질 성분들로 촘촘히 채워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각질층은 친수성 천연보습인자를 비롯한 각종 유효성분들이 쉽게 침투해 들어갈 수 없는 피부장벽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지질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각질세포들 사이의 간극(intercellular pathway)이 유효성분들의 주된 침투 경로이므로 천연보습인자와 같은 친수성 물질들은 물론 잘 알려져 있는 유효성분들의 피부 투과 효율은 상당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천연보습인자를 활용한 화장료용 보습제 조성물이 피부에서 실질적인 보습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천연보습인자와 세포간지질이 반드시 하나의 조합체 상태로 존재해야 하는 동시에 소수성인 각질층 속으로 효율적으로 흡수되어야 한다는 두 가지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는 난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20407호(2009.02.26. 공개, 발명의 명칭: 나노리포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품)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담지체인 천연보습인자의 경피 흡수 촉진 효과가 우수한 탄성 리포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이 각질층으로 경피 흡수된 이후 상기 피담지체와 리포좀 인지질층의 삼투 효과에 의한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탄성 리포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보습 효과에 따른 피부 건조증 및 아토피성 피부염 등 각종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우수한 탄성 리포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탄성 리포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탄성 리포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수상성분에 분산된 리포좀을 포함하며, 상기 리포좀은 인지질 및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를 포함하는 인지질층 및 상기 인지질층 내부에 담지되는 피담지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상성분은 부틸렌글라이콜, 트리에탄올아민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피담지체는 아미노산 혼합물, 피롤리돈 카르복시산(Pyrrolidone carboxylic acid, PCA)계 화합물, 소듐 락테이트(Sodium lactate) 및 하이드록시에틸 우레아(hydroxyethyl urea)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노산 혼합물은 아르기닌(Arginine), 프롤린(Prol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글라이신(Glycine), 알라닌(Alanine), 세린(Serine), 발린(Valine), 트레오닌(Threonine), 이소류신(Isoleucin), 히스티딘(Histidine) 및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인지질층은 인지질 및 계면활성제를 1:0.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담지체는 상기 인지질층에 대하여 1:0.01~5의 중량비로 담지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담지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아미노산 혼합물 10~50 중량%, 피롤리돈 카르복시산(Pyrrolidone carboxylic acid, PCA)계 화합물 5~45 중량%, 소듐 락테이트(Sodium lactate) 5~35 중량% 및 하이드록시에틸 우레아(hydroxyethyl urea) 1~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리포좀은 50nm~50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탄성 리포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피담지체인 천연보습인자의 경피 흡수 촉진 효과가 우수하고, 이에 따른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건조증 및 아토피성 피부염 등 각종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시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및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탄성 리포좀 조성물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탄성 리포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수상성분에 분산된 리포좀을 포함하며, 상기 리포좀은 인지질(phospholipids) 및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를 포함하는 인지질층 및 상기 인지질층 내부에 담지되는 피담지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상성분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피담지체는 아미노산 혼합물, 피롤리돈 카르복시산(Pyrrolidone carboxylic acid, PCA)계 화합물, 소듐 락테이트(Sodium lactate) 및 하이드록시에틸 우레아(hydroxyethyl urea)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노산 혼합물은 아르기닌(Arginine), 프롤린(Prol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글라이신(Glycine), 알라닌(Alanine), 세린(Serine), 발린(Valine), 트레오닌(Threonine), 이소류신(Isoleucin), 히스티딘(Histidine) 및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인지질층
상기 인지질층은 내부에 피담지체를 담지한다. 상기 인지질층은 인지질(phospholipids) 및 계면활성제(edge activator)를 포함한다. 상기 성분들을 포함시 탄성이 증가되어 변형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각질 사이로 효과적으로 침투 이동할 수 있어 경피 흡수 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인지질(phospholipids)은 세포간지질(intercellular lipids)의 역할을 하여 천연보습인자가 피부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동시에 삼투 기능을 하여 외부의 수분을 끌어들이는 반투막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지질 성분은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소수가 12∼24개인 지방산 사슬을 가지며,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틸글리세롤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인지질은 본 발명의 탄성 리포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5~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인지질층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5~4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 )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리포좀 인지질층의 계면에 탄성을 부여하여, 천연보습인자의 경피 흡수율 향상을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을 포함한다. 상기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는 엣지액티베이터(edge activator)라고 불리는 단일 사슬 계면활성제로서, 엣지액티베이터로 작용하는 계면활성제는 인지질과는 다른 곡률반경을 갖기 때문에 리포좀의 지질막에 유연성 내지 탄성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매우 작은 힘으로도 지질막 모양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입자 크기가 커지더라도 일반 리포좀에 비해 좁은 각질층 사이의 틈새를 쉽게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기존의 일반 리포좀에서 제기되었던 낮은 포집 효율, 제형 내에서의 낮은 유화 안정성 및 낮은 피부 흡수율 등의 문제점들을 총체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탄성 리포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5~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기존의 일반 리포좀에 비해 상기 리포좀의 인지질층의 변형력이 월등히 우수하여 각질층의 아주 작은 틈 사이로 침투 이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인지질층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우수한 탄성 변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05~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인지질층은 인지질 및 계면활성제를 1:0.01~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리포좀의 안정성 및 탄성 변형력이 동시에 우수하여, 피담지체의 경피 흡수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5~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1:0.1~1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리포좀 조성물의 피부 흡수 메커니즘은 피부 도포 시 인지질층의 주수성(hydrotaxis, 물을 향해 움직이는 성질)과 피부의 수분기울기(hydration gradient)에 의해 피부 속으로 이끌려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피부 표면에서는 수분이 증발하므로 피부 내부와 표면 간에는 수분 함량의 차이가 생기는데, 본 발명의 탄성 리포좀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시 상기 인지질층 표면이 갖는 주수성 때문에 수분 손실을 피하기 위해 건조한 피부 표면보다는 상대적으로 수분함량이 더 풍부한 피부 내부로 파고들게 된다. 피부를 랩이나 패치(patch) 등으로 감싸서 수분증발을 차단하여 피부의 표면과 내부 사이에 수분기울기가 작을 때, 탄성 리포좀 조성물의 피부 투과가 어려워지는 현상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상기 인지질층은 상기 리포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5~1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기존의 일반 리포좀에 비해 상기 탄성 리포좀의 인지질층의 변형력이 월등히 우수하여 각질층의 아주 작은 틈 사이로 침투 이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상성분
상기 수상성분은 부틸렌글라이콜, 트리에탄올 아민 및 물을 포함한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은 피부의 보습 및 항균 기능을 하며, 다른 유용성 성분들에 대한 용제로도 사용되는 수용성 성분이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상기 리포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10~5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첨가되는 다른 성분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상기의 기능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은 본 발명에서 리포좀의 안정화를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은 상기 리포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안정한 리포좀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물(water)은 상기 리포좀 조성물 성분의 용이한 혼합 및 분산을 목적으로 포함된다. 구체예에서 상기 물은 상기 리포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20~7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안정한 리포좀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피담지체
상기 피담지체는 상기 리포좀의 인지질층 내부에 담지될 수 있으며, 상기 피담지체는 아미노산 혼합물, 피롤리돈 카르복시산(Pyrrolidone carboxylic acid, PCA)계 화합물, 소듐 락테이트(Sodium lactate) 및 하이드록시에틸 우레아(hydroxyethyl urea)를 포함한다.
아미노산 혼합물
상기 아미노산 혼합물은 천연보습인자의 한 구성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 피부 보습 역할을 목적으로 포함되는 피부 친화성 성분이다. 상기 아미노산 혼합물은 아르기닌(Arginine), 프롤린(Prol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글라이신(Glycine), 알라닌(Alanine), 세린(Serine), 발린(Valine), 트레오닌(Threonine), 이소류신(Isoleucin), 히스티딘(Histidine) 및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한 구체에에서, 상기 아미노산 혼합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아르기닌(Arginine) 0.1~25 중량%, 프롤린(Proline) 0.1~25 중량%,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0.1~25 중량%, 글라이신(Glycine) 0.1~25 중량%, 알라닌(Alanine) 0.1~15 중량%, 세린(Serine) 0.1~15 중량%, 발린(Valine) 0.1~15 중량%, 트레오닌(Threonine) 0.1~15 중량%, 이소류신(Isoleucin) 0.1~15 중량%, 히스티딘(Histidine) 0.1~25 중량% 및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0.1~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혼합물은 상기 피담지체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4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롤리돈 카르복시산(Pyrrolidone carboxylic acid, PCA)계 화합물은 또한 천연보습인자의 한 구성성분으로서 본 발명을 피부에 적용시 각질층의 수분 함량을 유지시키는, 피부 보습 역할을 목적으로 포함되는 피부 친화성 성분이다. 상기 피롤리돈 카르복시산계 화합물은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및 그의 염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염은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나트륨(sodium pyrrolidone carboxylate),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칼륨(potassium pyrrolidone carboxylate),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구리(copper pyrrolidone carboxylate) 및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칼슘(calcium pyrrolidone carboxylate)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롤리돈 카르복시산계 화합물은, 피롤리돈 카르복시산계 화합물 및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나트륨을 1:0.5~2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피부 각질층 수분 함량 상승 효과 및 피담지체의 제형 안정성이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피롤리돈 카르복시산계 화합물은 상기 피담지체 전체 중량에 대하여 5~4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사용감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듐 락테이트(Sodium lactate)는 또한 천연보습인자의 한 구성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 피부 보습 역할을 목적으로 포함되는 피부 친화성 성분이다. 상기 소듐 락테이트는 상기 피담지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5~3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에틸 우레아(hydroxyethyl urea)는 천연보습인자의 한 구성성분인 우레아(urea)를 대체하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 피부 보습력 강화를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하이드록시에틸 우레아는 상기 피담지체 전체중량에 대하여 1~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담지체는 아미노산 혼합물, 피롤리돈 카르복시산계 화합물, 소듐 락테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 우레아를 1:0.1~1:0.1~1:0.01~1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비로 포함시 피부 보습의 상승 효과가 우수하고 사용감 및 제형안정성이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3~1:0.3~0.8:0.05~0.3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담지체는 상기 탄성 리포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5~3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사용감,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담지체는, 상기 인지질층에 대하여 1:0.01~5의 중량비로 담지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탄성 리포좀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피담지체가 안정적으로 담지되며, 경피 흡수 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5~3의 중량비로 담지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1:1.5~3의 중량비로 담지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리포좀은 50nm~50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크기”는 직경 또는 최대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크기 범위에서 탄성, 피담지체의 안정성 및 경피 흡수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50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300~50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탄성 리포좀 조성물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탄성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탄성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1차 유화단계 및 (b) 2차 유화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 조성물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 1차 유화단계
상기 단계는 탄성 리포좀 조성물을 교반 및 1차 유화하여 제1 유화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는, 인지질층 구성 성분, 수상성분 및 피담지체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1차 유화하여 제1 유화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인지질층 구성 성분은 인지질 및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성분은 부틸렌글라이콜, 트리에탄올아민 및 물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피담지체는 아미노산 혼합물, 피롤리돈 카르복시산(Pyrrolidone carboxylic acid, PCA)계 화합물, 소듐 락테이트(Sodium lactate) 및 하이드록시에틸 우레아(hydroxyethyl urea)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인지질 0.5~8 중량%,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 0.05~5 중량%, 피담지체 0.5~35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0~4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05~1 중량% 및 물 20~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혼합물은 아르기닌(Arginine), 프롤린(Prol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글라이신(Glycine), 알라닌(Alanine), 세린(Serine), 발린(Valine), 트레오닌(Threonine), 이소류신(Isoleucin), 히스티딘(Histidine) 및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한 구체에에서, 상기 아미노산 혼합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아르기닌(Arginine) 0.1~25 중량%, 프롤린(Proline) 0.1~25 중량%,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0.1~25 중량%, 글라이신(Glycine) 0.1~25 중량%, 알라닌(Alanine) 0.1~15 중량%, 세린(Serine) 0.1~15 중량%, 발린(Valine) 0.1~15 중량%, 트레오닌(Threonine) 0.1~15 중량%, 이소류신(Isoleucin) 0.1~15 중량%, 히스티딘(Histidine) 0.1~25 중량% 및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0.1~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담지체는 아미노산 혼합물 10~50 중량%, 피롤리돈 카르복시산(Pyrrolidone carboxylic acid, PCA)계 화합물 5~45 중량%, 소듐 락테이트(Sodium lactate) 5~35 중량% 및 하이드록시에틸 우레아(hydroxyethyl urea) 1~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담지체는 아미노산 혼합물, 피롤리돈 카르복시산계 화합물, 소듐 락테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 우레아를 1:0.1~1:0.1~1:0.01~0.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3~1:0.3~0.8:0.05~0.3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1차 유화는 상기 성분을 300~3000 rpm으로 5~15분 동안 교반하여 유화시킬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1차 유화는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호모믹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용이하게 상기 인지질층이 형성되고 상기 인지질층 내부에 상기 피담지체가 담지될 수 있다.
(b) 2차 유화 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1차 유화된 제1 유화물을 2차 유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유화물을 600 bar 내지 900 bar의 압력으로 2차 유화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케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에 의해 상기 1차 유화된 제1 유화물의 입자가 미세화되어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2차 유화는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idizer)를 사용하여 복수 회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플루다이저는 균일한 크기의 나노 사이즈의 탄성 리포좀을 수득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며, 고압을 이용하여 유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플루다이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탄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여, 피담지체인 천연보습인자의 경피 흡수 촉진 효과가 우수하고, 이에 따른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건조증 및 아토피성 피부염 등 각종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시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탄성 리포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탄성 리포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천연보습인자의 경피 흡수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자극이 없으면서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5~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으로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thickening agent),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viscosity stabilizer), 킬레이팅제, 완충제 및 저급 알코올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린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새도우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
실시예 1
인지질, 계면활성제, 피담지체, 정제수, 부틸렌글라이콜, 트리에탄올아민 및 방부제를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준비하고,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1500 rpm의 회전속도로 10분 동안 교반 및 1차 유화하여 제1 유화물(탄성 리포좀 분산액)을 제조한 다음,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600~900 bar의 압력으로 2~3회 처리하여, 2차 유화를 실시하여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인지질 성분으로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을 사용하였고, 계면활성제 성분으로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를 사용하였으며, 피담지체로 아미노산 혼합물은 아르기닌(Arginine), 프롤린(Prol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글라이신(Glycine), 알라닌(Alanine), 세린(Serine), 발린(Valine), 트레오닌(Threonine), 이소류신(Isoleucin), 히스티딘(Histidine) 및 페닐알라닌(Phenylalanine)을 사용하였으며, 피롤리돈 카르복실산계 화합물로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및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나트륨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인지질, 계면활성제, 피담지체, 정제수, 부틸렌글라이콜, 트리에탄올아민 및 방부제를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계면활성제로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를 사용하고,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의 성분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아미노산 혼합물을 미포함하고,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의 성분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피롤리돈 카르복실산계 화합물을 미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하기 표 2의 함량의 구성 성분을 적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61834338-pat00001
실험예 1: 입도 분석(Particle Size Analysis)
입도 분석기를 통해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탄성 리포좀의 평균입도분포와 제타전위(Zeta potential)를 분석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제타 전위의 크기 및 부호(+ 또는 -)는 pH, surfactant, salt 또는 분산제 농도에 따라 달라지며 물질의 표면특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Zeta potential은 정전기적으로 안정화된 분산계의 반발력을 나타내는 척도로써 제타전위의 절대값이 크면(양이든 음이든) 분산계가 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그 값이 0에 근접하면 그 분산계가 불안정(응집 또는 응고)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2의 탄성 리포좀의 평균입도분포는 100~250nm 범위로 상당히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제타전위 역시 각각 +35.6 mV 및 34.8mV로 안정한 값이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각질층 침투가 용이하여 피부에 천연보습인자를 빠르게 흡수시켜 효능을 극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계면활성성분을 미적용한 비교예 1의 리포좀은, 제타 전위가 +21.5 mV로 측정되어, 각질층 침투가 불완전하여, 리포좀 막 유연성 및 가변형성이 실시예 1~2에 비해 저하되어 경피 흡수 효과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2와 3의 리포좀은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조건에서 단순히 아미노산 혼합물 또는 피롤리돈 카르복실산계 화합물만을 미적용한 상태로 리포좀을 제조하였기 때문에 평균입도분포와 제타전위값에서는 실시예 1 및 2에 비교해서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15061834338-pat00002
실험예 2 : Franz Diffusion Cell 시험법을 이용한 경피흡수 실험
Franz Diffusion cell 시험법은 인공피부 혹은 인체 유래 피부의 한쪽 면에 경피 제제를 도포하거나 붙이고 다른 쪽에는 피부 내 체액의 성분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특정 시험법에 따라 제조된 용액(용출액, Media)을 접촉시킴으로써 특정 성분의 투과도를 측정 하는 시험법이다. 이때 용액의 온도는 피부 내 온도와 같은 37℃를 유지하며 Auto-sampler를 이용하여 시간대별로 용출액을 채취하여 HPLC 등을 통하여 함량을 분석한다.
천연보습인자를 리포좀에 담지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리포좀을 적용하였을 때 경피흡수율 변화를 비교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61834338-pat00003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천연보습인자를 리포좀에 담지하지 않고 적용한 경우를 100% 기준으로 하였을 때, 비교예 1의 리포좀은 145%, 실시예 1은 224%의 경피 흡수율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실시예 1의 탄성 리포좀 조성물을 적용시, 수용액 상태는 물론 비교예 1의 리포좀 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천연보습인자를 피부 속으로 침투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탄성 리포좀 특유의 막 유연성 및 가변형성으로 인한 결과이다.
실험예 3: 화장료 조성물 제조
보습력 비교실험을 위해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에 의해 제조한 원료를 함유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실험에 사용된 화장료는 크림 형태이고, 그 조성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우선 표 4에 나타낸 함량 및 성분으로 수상을 가열하여 80℃로 유지하고, 이것에 유상을 가하여 예비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다음에 서서히 냉각하여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4의 비교예 7은, 본 발명의 리포좀을 적용하지 않고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것이다.
Figure 112015061834338-pat00004
실험예 4: 피부 보습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3과 비교예 4~7의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효과를 비교 평가하기 위해 피부에 정량 도포 후 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우선 피검자(20 대 내지 40 대의 여성) 40명을 각 10명씩 4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좌측 뺨에는 실시예 3, 우측 뺨에는 각 그룹별로 비교예 4~7의 화장료 조성물 일정량을 고르게 도포 후, 도포 전을 기준으로 도포 2 주 후와 4 주 후 수분보유량 증가율을 측정하여 보습효과를 평가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피부 수분함량의 측정에 사용되는 기기인 수분 보유량 측정기는 피부의 정전부하용량(capacitance)를 측정하여 수분량을 예측하는 장치로 정전부하용량은 피부 내 수분의 함량과 비례하는 경향이 있어 피부의 보습도가 높을수록 수치가 높아진다. 이는 화장품 및 약물의 도포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각질층 하방 30~40㎛ 깊이 이내의 수분 함량을 일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측정방법은 탐침을 측정 부위 피부 표면에 밀착 접촉시킨 후 가볍게 누르면 나타나는 수치를 읽으며 범위는 0~220으로 단위는 arbitrary units(AU)로 표기한다. 보습 효과 개선 정도는 다음과 같이 % 값으로 도출한다.
[식 1]
Figure 112015061834338-pat00005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천연보습인자를 담지한 탄성 리포좀을 함유하는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4~7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월등한 보습 개선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과 상이한 계면활성제를 적용한 비교예 1, 아미노산 혼합물을 미적용한 비교예 2, 및 피롤리돈 카르복실산계 화합물을 미적용한 비교예 3의 리포좀을 적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피부 보습 효과가 상기 실시예 1~2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부 자극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원료 조성물과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의 피부 자극 정도를 평가해보기 위해 여성 40 명을 대상으로 폐쇄첩포 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원료 조성물과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시료를 핀챔버에 일정량 (약 0.2g)을 가하고 적당한 크기의 여과지를 이용하여 시료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여 피시험자의 피부에 24시간 동안 부착시킨 다음 핀챔버를 제거하고 2 시간 후의 피부 상태를 전문가 2인이 판정하는 방법에 의해 자극도 및 자극반응을 표 6 및 표 7에 나타낸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61834338-pat00007
상기 표 6에서 피부자극지수는 하기 식 2에 따라 산출하였다.
[식 2]
Figure 112015061834338-pat00008
Figure 112015061834338-pat00009
Figure 112015061834338-pat00010
상기 표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안전한 피부자극지수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인체 안전성과 제형 상용성이 우수한 탄성 리포좀화 천연보습인자를 제공함으로써 피부 보습을 통한 피부건조증 내지는 아토피성 피부염 등 각종 피부트러블의 개선효과가 우수한 보습용 화장료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6)

  1. 수상성분에 분산된 리포좀을 포함하며,
    상기 리포좀은 인지질 및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를 포함하는 인지질층 및
    상기 인지질층 내부에 담지되는 피담지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상성분은 부틸렌글라이콜, 트리에탄올아민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피담지체는 아미노산 혼합물 30 중량%, 피롤리돈 카르복시산(Pyrrolidone carboxylic acid, PCA)계 화합물 30 중량%, 소듐 락테이트(Sodium lactate) 20 중량% 및 하이드록시에틸 우레아(hydroxyethyl urea) 2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피롤리돈 카르복실산계 화합물은,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및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나트륨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며,
    상기 아미노산 혼합물은 아르기닌(Arginine), 프롤린(Prol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글라이신(Glycine), 알라닌(Alanine), 세린(Serine), 발린(Valine), 트레오닌(Threonine), 이소류신(Isoleucin), 히스티딘(Histidine), 및 페닐알라닌(Phenylalani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리포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층은 인지질 및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를 1:0.1~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리포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담지체는 상기 인지질층에 대하여 1:0.01~5의 중량비로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리포좀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50nm~500n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리포좀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탄성 리포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090757A 2015-06-25 2015-06-25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32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57A KR101732428B1 (ko) 2015-06-25 2015-06-25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57A KR101732428B1 (ko) 2015-06-25 2015-06-25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61A KR20170001161A (ko) 2017-01-04
KR101732428B1 true KR101732428B1 (ko) 2017-05-24

Family

ID=57831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757A KR101732428B1 (ko) 2015-06-25 2015-06-25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360B1 (ko) * 2020-01-22 2021-01-18 (주)더마펌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005B1 (ko) * 2019-07-22 2020-12-24 휴젤(주)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KR102618942B1 (ko) * 2023-03-14 2023-12-27 주식회사 퍼셀 안정성이 개선된 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2147A1 (en) 2007-05-22 2008-11-27 Galderma Research & Development Combination comprising pyrrolidone-5-carboxylic acid and at least one compound from citrulline, arginine and asparagine, and use thereof in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KR101355216B1 (ko) * 2012-11-19 2014-01-28 홍소영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적용된 마스크 시트
KR101527957B1 (ko) * 2007-08-03 2015-06-10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액상 화장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2147A1 (en) 2007-05-22 2008-11-27 Galderma Research & Development Combination comprising pyrrolidone-5-carboxylic acid and at least one compound from citrulline, arginine and asparagine, and use thereof in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KR101527957B1 (ko) * 2007-08-03 2015-06-10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액상 화장료
KR101355216B1 (ko) * 2012-11-19 2014-01-28 홍소영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적용된 마스크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360B1 (ko) * 2020-01-22 2021-01-18 (주)더마펌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61A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8745B2 (ja) 局所適用化粧品組成物又は医薬品組成物
TWI508750B (zh) 經膠原修飾之脂質體所成化妝料基劑及含有此之皮膚化妝料
JP2005350445A (ja) 細胞内浸透を促進する脂肪族モノアミン又はカチオン性ポリマーを含む、水和ラメラ相又はリポソーム、及び、これを含む化粧組成物又は医薬組成物、及び、この物質のスクリーニング法
JP5863230B2 (ja) オキサゾリジン−2−オン化合物をカプセル化するリポソーム
KR101732428B1 (ko)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9868A (ko)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1808597B1 (ko) 프로테오글리칸을 함유하는 보습용 리포좀 조성물
KR102312901B1 (ko) 산성 pH의 마크로 액정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US20080051369A1 (en) Skin Cosmetic Material
JP6959596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
JP4854194B2 (ja) ラメラ構造再生剤及び皮膚外用剤
KR101594687B1 (ko) 천연 리포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0202A (ko) 세포간 지질 성분의 마이셀을 함유하는 가용화 제형
WO2018020903A1 (ja) 皮膚外用剤
KR100385457B1 (ko)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42752B1 (ko) 콜라겐과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38812A (ko) 저점도상에서 난용성 물질을 안정하게 함유하는 시트형화장료
KR20020008598A (ko)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부직포
KR100681705B1 (ko)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598210B1 (ko) 보습 펩타이드,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투명한 젤상 가용화 조성물
JP5756602B2 (ja) ゼラチンおよび/またはエラスチン構成ポリペプチドで修飾されたリポソームからなる化粧料基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化粧料
JP2811482B2 (ja) 化粧料
JP5900906B2 (ja) 化粧料基剤の製造方法および皮膚化粧料
KR102248265B1 (ko) 안정성이 우수한 세라마이드 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정성이 우수한 세라마이드 볼
US20230190632A1 (en) Cleansing, Moisturizing and Non-Irritating Topical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