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005B1 -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005B1
KR102195005B1 KR1020190088199A KR20190088199A KR102195005B1 KR 102195005 B1 KR102195005 B1 KR 102195005B1 KR 1020190088199 A KR1020190088199 A KR 1020190088199A KR 20190088199 A KR20190088199 A KR 20190088199A KR 102195005 B1 KR102195005 B1 KR 102195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yaluronic acid
liposome
alcohol
liposom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서
지홍근
Original Assignee
휴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젤(주) filed Critical 휴젤(주)
Priority to KR1020190088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7Compounds covalently linked to a(n inert) carrier molecule, e.g. conjugates, pro-fragr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히알루론산 0.001 내지 20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0.1 내지 20 중량%, 리조레시틴 0.01 내지 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0.1 내지 10 중량%, 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0.1 내지 5 중량%, 수크로오스 라우레이트 0.1 내지 5 중량%, 알파-토코페롤 0.001 내지 2 중량%, 알코올 0.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30 중량% 및 물 50 내지 92 중량%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히알루론산을 안정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하여 뛰어난 보습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LIPOSOME COMPOSITION CONTAINING HYALURONIC ACID}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히알루론산 0.001 내지 20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0.1 내지 20 중량%, 리조레시틴 0.01 내지 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0.1 내지 10 중량%, 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0.1 내지 5 중량%, 수크로오스 라우레이트 0.1 내지 5 중량%, 알파-토코페롤 0.001 내지 2 중량%, 알코올 0.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30 중량% 및 물 50 내지 92 중량%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에서의 가장 큰 목적 및 노화방지(anti-aging)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피부에 충분한 보습력의 제공이라 할 수 있다. 보습제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외부로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피부 장벽을 복구하고 수분 확산 및 세포의 원상회복을 돕는 치료의 목적을 가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보습제는 흡수력이 높고, 온도, 습도 및 바람 등에 영향을 쉽게 받지 않으며, 지속력이 강하면서 다른 성분과의 공존성이 좋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적당한 점도를 가지는 제형이 주로 사용된다. 보습제는 피부의 수분을 증가시키고, 유연성과 탄력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일종으로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과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이 beta 1->3 및 1->4 글리코실 결합으로 순차적으로 사슬 모양으로 결합한 분자량이 매우 큰 생체 고분자이다. 히알루론산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주 구성원인 연결조직에 고농도로 분포해 있으며, 눈의 초자체, 탯줄, 투명한 연골, 관절의 활액, 상피와 진피의 피부조직 등에 존재하며, 점성이 크고 세균의 침입이나 독성물질의 침투를 막는데 중요하다. 이것은 식물의 펙틴질과 비슷하며,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에 의하여 가수분해된다. 히알루론산은 다량의 물과 결합하여 겔을 만드는 성질이 있어, 이것이 관절의 윤활작용, 피부의 유연성 등과 같은 생체 내에서의 기능과 결부되어 있다. 또한, 결합조직이 손상을 받으면 급속한 회복을 위해 히알루론산의 합성이 일시적으로 활발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조직 재구축에서 세포활동의 일환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히알루론산은 이의 물성으로 인하여 골관절염 치료제, 상처치료용 드레싱, 조직수복 겔, 안구건조증 치료제, 주름치료 주사제, 약물전달시스템(DDS) 등의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고, 수분 저장 능력으로 인하여 화장품용 보습제로서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히알루론산을 보습제로 활용한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2861호에서는 선형 히알루론산 주쇄에 알긴산 또는 선형 히알루론산 분지쇄가 결합된 히알루론산 기반 보습 소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히알루론산이 피부에 보습력을 부여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미용 성분이기는 하나 분자량이 매우 크고 점성도 높아 피부로의 흡수가 매우 힘들뿐 아니라 보습을 장시간 유지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화장품의 유효성분을 유지하면서 안정하게 피부에 흡수시킬 수 있는 피부의 경피 흡수 시스템으로써 리포좀 제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리포좀은 자기 스스로 회합하는 콜로이드 입자들의 구형 인지질 소포체(vesicle)로 정의되는데, 1960년대 초 Alec Bangham은 물 속에서 인 지질 소포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리포좀은 인지질로 구성된 구형의 소포체(vesicle)로서 친수성 및 친유성 성분을 동시에 포집할 수 있어 비타민, 약품 등과 같은 활성성분에 대한 전달체(delivery system)로 연구되고 있다. 인지질은 생체막의 주요 구성성분이기 때문에, 리포좀의 인지질막 또한 생체 막과 유사한 생리학적 기능 및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리포좀은 피부 친화적이며 안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약 및 화장품 산업 분야 등에서 효과적인 유효성분(활성성분) 전달체로서 응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2861호
이에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을 피부 내로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생체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리포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0.001 내지 20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0.1 내지 20 중량%, 리조레시틴 0.01 내지 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0.1 내지 10 중량%, 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0.1 내지 5 중량%, 수크로오스 라우레이트 0.1 내지 5 중량%, 알파-토코페롤 0.001 내지 2 중량%, 알코올 0.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30 중량% 및 물 50 내지 92 중량%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혼합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cosmetic)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히알루론산을 0.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2 내지 18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5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히알루론산이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히알루론산에 의한 효능이 미약해질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리포좀의 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체예에서, 상기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가수분해 히알루론산(hydrolyzed hyaluronic acid),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크로스폴리머(sodium hyaluronate crosspolymer),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히알루로네이트(hydroxypropyltrimonium hyaluronate),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및 가수분해 글리코사미노글리칸(hydrolyzed glycosaminoglycans)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히알루론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종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가수분해 히알루론산(hydrolyzed hyaluronic acid)은 히알루론산이 가수분해를 통하여 평균 50 kDa의 분자량으로 작아진 것으로, 기존의 히알루론산에 비하여 피부 침투나 주름개선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는 히알루론산의 소듐염(sodium salt)으로, 다수의 친수기를 가져서 높은 점성을 나타내며 수분 보유 기능 향상에 기여하고, 고분자 사슬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고유의 점탄성을 가지고, 조직에 수분 함유 및 윤활성을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체예에서,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는 분자량 1,200~1,800 kDa의 고분자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30~50 kDa의 중분자량 소듐 히알로루네이트 및 10~30 kDa의 저분자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의 복합체일 수 있다.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크로스폴리머(sodium hyaluronate crosspolymer)는 히알루론산이 서로 교차결합되어 그물망(mesh) 형태의 구조를 형성하고, 피부에 흡착하여 지속적인 수분을 전달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며, 일반적인 히알루론산에 비하여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에 의한 분해가 쉽지 않아 보습 능력의 유지 기간이 길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히알루로네이트(hydroxypropyltrimonium hyaluronate)는 히알루론산에 양이온의 성질을 부가함으로써 음이온의 성질을 띄는 피부 및 모발과의 친화력을 증대시켜 시간 경과에 따른 수분 감소를 느리게 진행시켜 보습력이 오래 지속되고, 안정적이다.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는 히알루론산의 피부에의 친화도(affinity)를 높이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동일 농도의 히알루론산과 비교시 표피에서의 수분 보유 능력 및 피부 친화도가 훨씬 뛰어나다.
가수분해 글리코사미노글리칸(hydrolyzed glycosaminoglycans)은 200-600 달톤(Da)의 초저분자 히아루론산 올리고머로 각질층과 표피층(경피침투)에 수분 보유량을 증가 시키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을 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 포함한다. 레시틴은 다양한 포스포리피드의 혼합물을 지칭하고, 포스포리피드의 조성은 그 기원(origin)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은 레시틴에 수소를 첨가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은 리포좀의 지질 이중층(bilayer)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이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리포좀의 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리포좀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로 리조레시틴(lysolecithin)을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4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중량% 포함한다. 리조레시틴에서 리조(lyso-)란 용어는 용해를 의미하는 것으로, 레시틴에서 2번 위치의 지방산이 제거되며 생성된다. 본 발명에서 리조레시틴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의 이중층 사이에 도입된다. 본 발명에서 리조레시틴이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리포좀의 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리포좀이 불안정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보조계면활성제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를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8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 포함한다.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는 글리세린, 카프릴산(caprylic acid) 및 카프르산(capric acid)의 혼합된 트리에스테르(triester)로 리포좀의 지질 이중층을 형성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가 0.1 중량% 미만이나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리포좀의 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보조계면활성제로 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sodium stearoyl glutamate)를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및 리조레시틴과 함께 안정한 리포좀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가 0.1 중량% 미만이나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리포좀의 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보조계면활성제로 수크로오스 라우레이트(sucrose laurate)를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수크로오스 라우레이트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및 리조레시틴과 함께 안정한 리포좀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수크로오스 라우레이트가 0.1 중량% 미만이나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리포좀의 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리포좀 안정화제로 알파-토코페롤(alpha-tocopherol)을 0.001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알파-토코페롤은 리포좀의 형성에 도움을 주고, 리포좀 이중막에 안정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알파-토코페롤이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리포좀 형성시 알파-토코페롤에 의한 안정화 효과가 미약해질 수 있고, 2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리포좀이 불안정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용해보조제로 알코올을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8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알코올이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히알루론산의 용해를 돕는 효과가 미약해질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유화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알코올의 예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틸렌 글리콜, 벤질 알코올, 페네틸 알코올(phenethyl alcohol), 데실 알코올(decyl alcohol),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바틸 알코올(batyl alcohol),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1,2-헥산디올(1,2-hexanediol) 또는 이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용매로 글리세린 및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글리세린을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물을 50 내지 92 중량%,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8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린 및 물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도록 포함되면 리포좀의 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상기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리조레시틴,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수크로오스 라우레이트, 알파-토코페롤, 알코올, 글리세린 및 물의 성분을 필수적으로 구성하나, 리포좀 조성물의 본질적인 특성에 영향이 없는 범위 이내에서 필요에 따라 리포좀 안정화제, 항산화제 등과 같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체예에서, 상기 리포좀 조성물은 피부장벽 개선 원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혼합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신(glycine), 아르기닌(arginine), 히스티딘(histidine) 및 세린(serine)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전체 아미노산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복합체는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으며, 10 중량% 이상을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아미노산의 향취 및 화장품 제형화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에서 리포좀의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nm,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80 nm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cosmetic)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스킨, 로션, 바디 로션, 크림, 에센스, BB(Blemish Balm) 크림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조성물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 조성물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이 리포좀 조성물을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히알루론산에 의한 효과가 미비해질 수 있고, 6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더라도 히알루론산에 따른 효과가 그 첨가되는 것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려워 경제상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 조성물은 히알루론산을 매우 안정한 형태로 피부 내로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생체이용률을 높여 장시간 동안 뛰어난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포좀의 입자 분포를 Photal, ELS-Z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을 동결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확대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의 안정성 측정을 위해 제타포텐셜을 Photal, ELS-Z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TEWLmeter로 피부 경피수분손실도(TEWL)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
다음의 표 1의 조성으로 성분들을 용기에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키고 나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한 다음 고압 미세유화기(microfluidizer)에서 1,000 bar로 연속 3회 통과시킨 후 냉각, 탈포시켜 리포좀 조성물을 얻었다. 히알루론산은 7종의 히알루론산(히알루론산; 가수분해 히알루론산; 저분자량, 중분자량 및 고분자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크로스폴리머;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히알루로네이트;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및 가수분해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 혼합된 것을 ㈜우성씨앤티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Figure 112019074856239-pat00001
비교예 :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일반적인 리포좀의 제조
다음 표 2의 조성으로 각 성분들을 용기에 도입 후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키고 나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한 다음 고압 균질화기에서 1,000 bar로 연속 3회 통과시킨 후 냉각, 탈포시켜 리포좀 조성물을 얻었다. 히알루론산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9074856239-pat00002
실시예 2: 리포좀을 함유하는 스킨의 제조
다음의 표 3의 조성으로 성분들을 60℃까지 가온한 정제수에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 후 냉각하여 본 발명의 리포좀을 함유하는 스킨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9074856239-pat00003
실시예 3: 리포좀을 함유하는 로션의 제조
성분 (a) 및 (b)를 각각 80℃로 가열하여 녹인 다음, 성분 (b)에 (a)를 서서히 투입하여 5분간 호모 믹서로 유화하였다. 유화가 종료된 다음 50℃로 냉각시키고, 호모 믹서로 2분간 교반하고, 냉각하여 본 발명의 리포좀을 함유하는 로션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9074856239-pat00004
실시예 4: 리포좀을 함유하는 바디로션의 제조
성분 (a) 및 (b)를 각각 80℃로 가열하여 녹인 다음, 성분 (b)에 (a)를 서서히 투입하여 5분간 호모 믹서로 유화하였다. 유화가 종료된 다음 50℃로 냉각시키고, 성분 (c)를 첨가한 후 호모 믹서로 2분간 교반하고, 냉각하여 본 발명의 리포좀을 함유하는 바디로션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9074856239-pat00005
실시예 5: 리포좀을 함유하는 크림의 제조
성분 (a) 및 (b)를 각각 80℃로 가열하여 녹인 다음, 성분 (b)에 (a)를 서서히 투입하여 5분간 호모 믹서로 유화하였다. 유화가 종료된 다음 50℃로 냉각시키고, 호모 믹서로 2분간 교반하고, 냉각하여 본 발명의 리포좀을 함유하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9074856239-pat00006
실시예 6: 리포좀을 함유하는 에센스의 제조
다음의 표 7의 조성으로 성분들을 60℃까지 가온한 정제수에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 후 냉각하여 본 발명의 리포좀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9074856239-pat00007
실시예 7: 리포좀을 함유하는 BB(Blemish Balm) 크림의 제조
성분 (a) 및 (b)를 각각 80℃로 가열하여 녹인 다음, 성분 (b)에 (a)를 서서히 투입하여 5분간 호모 믹서로 유화하였다. 유화가 종료된 다음 50℃로 냉각시키고, 성분 (c)를 첨가한 후 호모 믹서로 2분간 교반하고, 냉각하여 본 발명의 리포좀을 함유하는 BB 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9074856239-pat00008
실험예 1: 리포좀의 입자 분포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리포좀의 입자 분포를 Photal, ELS-Z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리포좀의 평균 입자 크기가 131.1 nm 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리포좀 입자 촬영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리포좀을 촬영하였다. 리포좀의 입자 크기가 너무 미세하여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하기에 동결 전자현미경(JEM 1010, JEOL사, 일본)을 이용하여 촬영하였다(도 2). 도 2로부터 리포좀이 잘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리포좀의 안정성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리포좀의 안정도 측정을 위해 제타포텐셜을 Photal, ELS-Z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입자의 전위가 -75.36 mV로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도 3).
실험예 4: 경피 흡수촉진 효과 실험
인공피부인 태고사이언스의 네오덤을 Franz-type diffusion cell(Lab fine instruments, Korea)에 장착하여 실험하였다. Franz-type diffusion cell의 receptor 용기(5 ㎖)에 50 mM 인산염 완충액(pH 7.4, 0.1M NaCl)을 넣어준 후, diffusion cell을 32℃, 600 rpm으로 혼합, 분산시켜 주었으며, 실시예 1의 리포좀 및 비교예의 리포좀 50 ㎕를 각각 donor용기에 넣어 주었다. 예정한 시간에 따라 흡수 확산시켜 주었으며, 흡수 확산이 일어나는 피부는 0.64 cm2가 되게 하였다. 유효성분의 흡수확산이 끝난 후에는 건조된 킴와이프스(kimwipes) 또는 10 ㎖의 에탄올로 흡수되지 못하고 피부에 남아 있는 유화물을 씻어주고, 팁-타입 균질기(homogenizer)를 사용하여 유효성분이 흡수 확산되어 있는 피부를 갈아준 후, 피부 내부로 흡수된 히알루론산 리포좀(알파-토코페롤의 양)을 4 ㎖의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액을 0.45 ㎛ 나일론 멤브레인(nylon membrane)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다음 조건으로 HPLC법으로 함량을 측정한 후에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74856239-pat00009
상기 표 9로부터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리포좀이 일반적인 리포좀에 비하여 경피 흡수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부 보습 측정
상기 실시예 3의 히알루론산 리포좀을 함유하는 로션과 이를 함유하지 않는 일반 로션을 바른 후 CORNEOMETER CM 850(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독일)으로 보습력을 측정한 다음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74856239-pat00010
표 10으로부터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 리포좀을 함유하는 로션의 보습력이 월등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경피수분손실도 측정
TEWLmeter를 사용하여 피부 경피수분손실도(TEWL, Trans Epidermal Water Loss)를 측정한 다음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로부터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 리포좀을 함유하는 로션의 피부 경피수분손실도가 훨씬 적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2)

  1. 히알루론산 0.002 내지 18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0.2 내지 15 중량%, 리조레시틴 0.02 내지 4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0.2 내지 8 중량%, 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0.2 내지 4 중량%, 수크로오스 라우레이트 0.2 내지 4 중량%, 알파-토코페롤 0.005 내지 1.5 중량%, 알코올 0.2 내지 8 중량%, 글리세린 2 내지 25 중량% 및 물 55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 0.005 내지 15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0.5 내지 10 중량%, 리조레시틴 0.05 내지 3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0.5 내지 5 중량%, 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0.3 내지 3 중량%, 수크로오스 라우레이트 0.3 내지 3 중량%, 알파-토코페롤 0.01 내지 1 중량%, 알코올 0.5 내지 5 중량%, 글리세린 3 내지 20 중량% 및 물 60 내지 8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이 히알루론산, 가수분해 히알루론산(hydrolyzed hyaluronic acid),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크로스폴리머(sodium hyaluronate crosspolymer),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히알루로네이트(hydroxypropyltrimonium hyaluronate),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및 가수분해 글리코사미노글리칸(hydrolyzed glycosaminoglycans)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가 분자량 1,200~1,800 kDa의 고분자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30~50 kDa의 중분자량 소듐 히알로루네이트 및 10~30 kDa의 저분자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의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이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틸렌 글리콜, 벤질 알코올, 페네틸 알코올, 데실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바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1,2-헥산디올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리포좀 직경의 크기가 20 내지 2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글리신(glycine), 아르기닌(arginine), 히스티딘(histidine) 및 세린(serine)의 아미노산 혼합물을 0.0001 내지 10 중량%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조성물.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cosmetic)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리포좀 조성물을 1 내지 6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리포좀 조성물을 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스킨, 로션, 바디 로션, 크림, 에센스 또는 BB(Blemish Balm) 크림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88199A 2019-07-22 2019-07-22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KR102195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199A KR102195005B1 (ko) 2019-07-22 2019-07-22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199A KR102195005B1 (ko) 2019-07-22 2019-07-22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005B1 true KR102195005B1 (ko) 2020-12-24

Family

ID=7408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199A KR102195005B1 (ko) 2019-07-22 2019-07-22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0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636A (ko) * 2019-10-02 2021-04-12 휴젤(주)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197826A (zh) * 2021-05-18 2021-08-03 何平蓉 一种高保湿高清洁力低刺激性按摩型洗面奶及其制备方法
IT202100013787A1 (it) * 2021-05-27 2022-11-27 Farmigea Spa Composizione per l’uso nel trattamento di affezioni oculari, quali sindrome dell’occhio secco, specialmente post-chirurgico oftalmico / a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ocular affections, such as dry eye disease, especially after eye surgery
KR20230005012A (ko) * 2021-06-30 2023-01-09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피부 수분 밀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WO2024082819A1 (zh) * 2022-10-20 2024-04-25 珠海原妙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透明质酸脂质体组装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734A (ko)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트록세루틴 함유 니오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1077A (ko) * 2014-12-11 2016-06-21 (주)미애부생명과학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천연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161A (ko) * 2015-06-25 2017-01-04 이정재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2861A (ko) 2017-06-30 2019-01-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히알루론산 기반 보습 소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734A (ko)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트록세루틴 함유 니오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1077A (ko) * 2014-12-11 2016-06-21 (주)미애부생명과학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천연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161A (ko) * 2015-06-25 2017-01-04 이정재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2861A (ko) 2017-06-30 2019-01-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히알루론산 기반 보습 소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636A (ko) * 2019-10-02 2021-04-12 휴젤(주)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7667B1 (ko) 2019-10-02 2021-12-09 휴젤(주)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197826A (zh) * 2021-05-18 2021-08-03 何平蓉 一种高保湿高清洁力低刺激性按摩型洗面奶及其制备方法
IT202100013787A1 (it) * 2021-05-27 2022-11-27 Farmigea Spa Composizione per l’uso nel trattamento di affezioni oculari, quali sindrome dell’occhio secco, specialmente post-chirurgico oftalmico / a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ocular affections, such as dry eye disease, especially after eye surgery
WO2022249028A1 (en) * 2021-05-27 2022-12-01 Farmigea S.P.A. A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ocular affections, such as dry eye disease, especially after eye surgery
KR20230005012A (ko) * 2021-06-30 2023-01-09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피부 수분 밀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80067B1 (ko) * 2021-06-30 2023-09-22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피부 수분 밀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WO2024082819A1 (zh) * 2022-10-20 2024-04-25 珠海原妙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透明质酸脂质体组装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005B1 (ko)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Zhu et al. Applications and delivery mechanisms of hyaluronic acid used for topical/transdermal delivery–a review
US20220304903A1 (en) Method of preparing bioactive substance-encapsulated ethosome, ethosome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ethosome composition
KR101418980B1 (ko) 난용성 물질을 가용화 하는 다중 라멜라 액정의 제조방법
ES2606903T3 (es) Base cosmética que comprende liposoma modificado con colágeno
RU2637443C2 (ru) Проникающие через кожу композиции на основе гликозаминогликана для мест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в косметических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целях
Castangia et al. Phycocyanin-encapsulating hyalurosomes as carrier for skin delivery and protection from oxidative stress damage
ES2903108T3 (es) Composiciones y métodos de estimulación de células madre
JP4610391B2 (ja) カチオン型高分子ミセル薬物担体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化粧料
JP2009256268A (ja) レチノイド安定化組成物並びにその組成物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KR101808597B1 (ko) 프로테오글리칸을 함유하는 보습용 리포좀 조성물
JP5863230B2 (ja) オキサゾリジン−2−オン化合物をカプセル化するリポソーム
ES2932550T3 (es) Composiciones estimulantes de células madre y métodos para tratar el melasma
KR20230005041A (ko) 피부주름 개선용 스킨케어 화장료 조성물
KR102370679B1 (ko)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Morganti Chitin Nanofibrils in skin treatment
JP7211818B2 (ja) 皮膚外用剤
CN114288413A (zh) 透明质酸组合物、脂质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511944B1 (ko) 아시아티코사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732428B1 (ko)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202333650A (zh) 用於美容塗敷之方法及組合物
KR101822152B1 (ko) 헵타소듐헥사카복시메틸다이펩타이드­12를 포함하는 나노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41204B1 (ko) 발효 오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N115300411A (zh) 一种基于仿生功能膜技术的高促渗型纳乳及其制备和应用
KR102219317B1 (ko) 천연 보습인자를 이용하여 형성된 미셀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