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992B1 - 백색 반사성 필름 - Google Patents

백색 반사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992B1
KR101524992B1 KR1020147020746A KR20147020746A KR101524992B1 KR 101524992 B1 KR101524992 B1 KR 101524992B1 KR 1020147020746 A KR1020147020746 A KR 1020147020746A KR 20147020746 A KR20147020746 A KR 20147020746A KR 101524992 B1 KR101524992 B1 KR 101524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ayer
particles
layer
film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715A (ko
Inventor
미츠마사 오노
마사히로 구라가키
히로시 구스메
Original Assignee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2931A external-priority patent/JP54953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91483A external-priority patent/JP5495345B2/ja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08Mirrors having a single reflect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93Means for protecting the light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반사층 (A) 과, 열가소성 수지와 그 안에 분산되어 함유되어 있는 불활성 입자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일방의 최외층을 형성하는 지지층 (B) 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최외층을 형성하는 지지층 (B) 의 반사층 (A) 과는 반대측인 표면에 상기 불활성 입자에 의한 돌기를 갖는 백색 반사성 필름. 이 필름은, 도광판과의 첩부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도광판의 손상을 억제하고, 입자 탈락이 억제되어 있다. 또, 필름을 회수하고, 그것을 자기 회수 원료로서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해도, 얻어지는 필름이 제막성이 우수한 이점을 가져올 수도 있다.

Description

백색 반사성 필름{WHITE REFLECTIVE FILM}
본 발명은 백색 반사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백색 반사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LCD) 의 백라이트 유닛에는, 액정 표시 패널의 배면에 광원 및 추가로 그 배면에 반사 필름을 구비하는 직하형과, 액정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면에 반사판을 구비한 도광판을 배치하고, 이러한 도광판의 측면에 광원을 구비하는 에지 라이트형이 있다. 종래, 대형 LCD 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는, 화면의 밝기 및 화면내의 밝기의 균일성이 우수하다와 같은 관점에서, 직하형 (주로는 직하형 CCFL) 이 주로 사용되고, 에지 라이트형은 노트형 PC 등 비교적 소형 LCD 에 잘 사용되고 있었지만, 최근, 광원이나 도광판의 발전에 따라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에서도 밝기 및 화면내의 밝기의 균일성이 향상되고, 비교적 소형의 것뿐만 아니라, 대형 LCD 에서도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로써, LCD 를 얇게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기 때문이다.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직접 접촉 하는 구조가 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첩부 (貼付) 되어 버리면, 첩부된 부분의 휘도가 이상해져, 휘도의 면내 편차가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도광판과 반사 필름 사이에 갭을 갖고, 이러한 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반사 필름의 표면에 비즈를 가짐으로써, 도광판과 반사 필름 사이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이것들의 첩부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때, 비교적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도광판이 반사 필름과 접하면, 반사 필름이나 표면의 비즈에 의해 도광판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대책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92018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12719호와 같이 엘라스토머계의 비즈를 사용한 손상 방지층을 구비하는 반사 시트의 보고가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92018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12719호와 같이 유연한 비즈를 사용하면, 도광판의 손상은 억제되지만, 최근 요구되는 갭 확보를 달성할 수 없어, 예를 들어 비교적 큰 응력이 가해져 버리면, 갭 확보를 할 수 없어 첩부를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갭 확보의 문제에 대해서는, 비즈로서 진구상 실리카 등의 무기 입자나 가교 구조를 갖는 유기 입자 등의 경도가 높은 비즈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이것들에서는 도광판의 손상을 억제할 수 없다. 또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경도가 높은 비즈이고, 갭 확보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비즈를 사용했을 때에는, 제품이 되지 않는 필름을 회수하고, 그것을 자기 회수 원료로서 사용하여 재차 새로운 필름을 제조한 경우에, 회수 원료 중에 잔존하는 비즈가, 필름 중 특히 반사층 중으로 혼입되어 버리게 되고, 그로 인해 필름 파단이 많이 발생하여 필름의 제막 (製膜) 성이 낮아져 버리고, 실질적으로 자기 회수 불가능한 문제를 새로 찾아내어 착안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로, 도광판과의 첩부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도광판의 손상을 억제하고, 또한 입자 탈락이 억제된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둘째로, 도광판과의 첩부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필름을 회수하고, 그것을 자기 회수 원료로서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해도, 얻어지는 필름이 제막성이 우수하고 회수 가능한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반사층 (A) 과, 열가소성 수지와 그 안에 분산되어 함유되어 있는 불활성 입자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일방의 최외층을 형성하는 지지층 (B) 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최외층을 형성하는 지지층 (B) 의 반사층 (A) 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상기 불활성 입자에 의한 돌기를 갖는 백색 반사성 필름으로서,
a.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며, 상기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경 (d) 이 2 ∼ 100 ㎛ 이고, 상기 반대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10 점 평균 조도 (Rz) 가 5 ∼ 100 ㎛ 이며 또한 높이 5 ㎛ 이상의 돌기 빈도는 106 ∼ 1010 개/㎡ 이고, 상기 돌기가 상기 불활성 입자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해 피복 두께 50 ㎚ ∼ 10 ㎛ 로 표면이 피복되어 형성되어 있다,
혹은
b. 상기 불활성 입자가 1 차 입경 (dp) 이 3 ㎛ 이하이고, 2 차 입경 (ds) 이 10 ㎛ 를 초과하고 100 ㎛ 이하인 응집 입자이며, 지지층 (B) 중의 그 함유량이 지지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 하여 1 ∼ 50 % 이고, 상기 반대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10 점 평균 조도 (Rz) 가 하기 식 (1):
0.1×ds(㎛)≤Rz(㎛)≤0.7×ds(㎛) … (1)
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백색 반사성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a 의 특징을 갖는 백색 반사성 필름 (이하, 백색 반사성 필름 a 라고 한다) 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제 1 목적이 원활하게 달성되고, 상기 b 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백색 반사성 필름 (이하, 백색 반사성 필름 b 라고 한다) 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제 2 목적이 원활하게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 은, 본 발명에서의 도광판의 손상 평가 및 입자의 탈락 평가의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서의 밀착 반점 평가에 사용하는 구성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서의 돌기 단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성 필름은, 백색 반사성 필름 a 도 백색 반사성 필름 b 도 모두 반사층 (A) 과 지지층 (B) 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성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백색 반사성 필름 a 에 대해 설명한다.
[반사층 (A)]
본 발명에서의 반사층 (A) 은, 열가소성 수지와 보이드 형성제로 이루어지고, 보이드 형성제를 함유함으로써, 층 중에 보이드를 함유하며, 백색을 띠도록 한 층이다. 이러한 보이드 형성제로서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예를 들어 무기 입자, 그 반사층 (A) 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는 비상용 (非相溶) 인 수지 (이하, 비상용 수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반사층 (A) 의 파장 550 ㎚ 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6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7 % 이상이다. 이로써 백색 반사성 필름 a 의 반사율을 바람직한 범위로 하기 쉬워진다.
반사층 (A)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층 중에 보이드를 갖는 것이지만, 이러한 보이드의 체적이 반사층 (A) 의 체적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 (보이드 체적률) 은 15 ∼ 70 체적%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반사율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상기와 같은 반사율이 얻기 쉬워진다. 또,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보이드 체적률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바람직한 반사율이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의 하한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체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체적% 이다. 한편,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의 상한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체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체적% 이다.
보이드 체적률은,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형성제의 종류나 크기, 양을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반사층 (A) 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 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성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등에서 유래하는 성분을 들 수 있다. 디올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6-헥산디올 등에서 유래하는 성분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호모폴리머여도 되지만, 필름을 1 축 혹은 2 축으로 연신할 때에 결정화가 억제되어 연신성, 제막성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공중합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으로는,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을 들 수 있지만, 내열성과 제막성의 양립이라는 관점에서,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 100 몰% 를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1 ∼ 20 몰%, 바람직하게는 2 ∼ 18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5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7 ∼ 11 몰% 이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또, 열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보이드 형성제)
반사층 (A) 에 있어서, 보이드 형성제로서 무기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무기 입자로는 백색 무기 입자가 바람직하다. 이 백색 무기 입자로는,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이산화규소, 탄산칼슘의 입자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무기 입자는, 백색 반사성 필름이 적절한 반사율을 갖도록 평균 입자경이나 함유량을 선택하면 되고, 이것들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이나 백색 반사성 필름의 반사율이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또,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이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이런 점들을 감안하여, 무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예를 들어 0.2 ∼ 3.0 ㎛, 바람직하게는 0.3 ∼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2.0 ㎛ 이다. 또 그 함유량은, 반사층 (A) 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 60 질량% 가 바람직하고, 25 ∼ 55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1 ∼ 53 질량% 이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입자 양태를 채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중에서 적당히 분산시킬 수 있고, 입자의 응집이 잘 일어나지 않아, 조대 돌기가 없는 필름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동시에, 조대 입자가 기점이 되는 연신시의 파단도 억제된다. 무기 입자는, 어떠한 입자 형상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판상, 구상이어도 된다. 무기 입자는,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보이드 형성제로서 비상용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비상용 수지로서는, 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비상용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에는,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등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은 입자의 양태여도 된다. 또 그 함유량은, 무기 입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백색 반사성 필름이 적절한 반사율을 갖도록, 평균 입자경이나 함유량을 선택하면 되고, 이것들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이나 백색 반사성 필름의 반사율이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또,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이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이런 점들을 감안하여, 함유량은, 반사층 (A) 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 50 질량% 가 바람직하고, 12 ∼ 4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3 ∼ 35 질량% 이다.
(그 밖의 성분)
반사층 (A) 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서, 그 밖의 성분,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형광 증백제, 왁스, 보이드 형성제와는 상이한 입자나 수지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지지층 (B)]
본 발명에서의 지지층 (B) 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며 불활성 입자를 함유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지지층 (B) 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와 동일한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 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성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호모폴리머여도 되지만, 도광판의 손상 억제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관점에서 공중합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 성분으로는,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을 들 수 있지만, 동일하게 손상 억제의 관점에서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 100 몰% 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몰% 이상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2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몰% 이하이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을 하한 이상으로 함으로써, 도광판의 손상 억제의 향상 효과를 특히 높일 수 있다. 한편, 상한 이하로 함으로써, 결정 배향 등에 따라 적당한 경도를 갖기 쉬워지고, 그로 인해 첩부 억제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불활성 입자)
지지층 (B) 에 있어서의 불활성 입자로는, 유기 불활성 입자여도 되고, 무기 불활성 입자여도 되고, 유기 무기 복합 불활성 입자여도 된다.
유기 불활성 입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아크릴 수지 입자, 스티렌-아크릴 수지 입자, 디비닐벤젠-아크릴 수지 입자,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 폴리이미드 수지 입자, 멜라민 수지 입자 등의 고분자 수지 입자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갭 확보를 위해서 특히 적당한 경도를 갖는 돌기를 형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실리콘 수지 입자, 아크릴 수지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무기 불활성 입자로는, (1) 이산화규소 (수화물, 규사, 석영 등을 함유한다);(2) 각종 결정 형태의 알루미나;(3) SiO2 성분을 3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규산염 (예를 들어 비정질 혹은 결정질의 점토 광물,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소성물이나 수화물을 함유한다), 온석면, 지르콘, 플라이애시 등);(4) Mg, Zn, Zr 및 Ti의 산화물;(5) Ca 및 Ba 의 황산염;(6) Li, Ba 및 Ca 의 인산염 (1 수소염이나 2 수소염을 함유한다);(7) Li, Na 및 K 의 벤조산염;(8) Ca, Ba, Zn 및 Mn 의 테레프탈산염; (9) Mg, Ca, Ba, Zn, Cd, Pb, Sr, Mn, Fe, Co 및 Ni 의 티탄산염;(10) Ba 및 Pb 의 크롬산염;(11) 탄소 (예를 들어 카본 블랙, 그라파이트 등);(12) 유리 (예를 들어 유리 분말, 유리 비즈 등);(13) Ca 및 Mg 의 탄산염;(14) 형석;(15) 스피넬형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갭 확보를 위해서 특히 적당한 경도를 갖는 돌기를 형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실리카 입자가 바람직하고, 특히 응집 실리카 입자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불활성 입자로서 유기물으로 피복된 무기 입자나 무기물로 피복된 유기 입자와 같은 유기 무기 복합 불활성 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무기 복합 입자로는, 예를 들어 실릴알킬기와 같은 유기 금속 화합물기를 측사슬 또는 말단에 갖는 고분자와 실리카와 같은 무기 화합물 성분이 공유 결합으로 복합화시킨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로 이루어지는 입자나, 불활성 무기 입자의 표면에 가교 폴리스티렌과 같은 유기 고분자 미립자를 융착 피복시킨 입자나, 또는 불활성 유기 고분자 입자의 표면에 알루미나와 같은 불활성 무기 미립자를 고착 피복시킨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불활성 입자로서 바람직한 것은 무기 입자이다. 특히 불활성 입자로서 무기 불활성 입자를 사용했을 때에는, 일반적으로는 무기 불활성 입자는 단단하기 때문에, 도광판에 손상을 내기 쉬워, 따라서 본 발명을 채용하는 것이 특히 유용하다.
지지층 (B) 에 있어서의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경 및 함유량은, 첩부 억제를 위해서 후술하는 10 점 평균 조도 (Rz) 나 돌기 빈도를 만족시키는 범위를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은, 도광판과 필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이것들이 첩부되는 것을 억제하기 쉬워진다는 관점에서 2 ㎛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Rz 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고, 백색 반사성 필름이 도광판에 부분적으로 밀착되어 버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평균 입경의 하한값은 바람직하게는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이다. 한편,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입자가 탈락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탈락이 생기면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는 백색점 결점이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평균 입경의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가장 바람직하게는 65 ㎛ 이다.
또, 함유량은, 예를 들어 지지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1 체적% ∼ 20 체적% 이다. 지나치게 적으면 갭 확보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하한값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체적%,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체적% 이다. 한편, 지나치게 많으면 입자 탈락 억제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한값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체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체적% 이다.
(그 밖의 성분)
지지층 (B) 은, 상기 구성 성분 이외의 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형광 증백제, 왁스, 상기 불활성 입자와는 상이한 입자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지지층 (B) 은, 반사층 (A) 에 있어서 열거된 보이드 형성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와 같은 양태로 함으로써 반사율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 반면, 지지층 (B) 에 있어서의 보이드 형성제의 함유량을 줄이거나, 보이드 형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런 관점들에서 지지층 (B)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 (지지층 (B) 의 체적에 대한 지지층 (B) 에 있어서의 보이드의 체적 비율) 은, 0 체적% ∼ 15 체적%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 ∼ 5 체적%, 특히 바람직하게는 0 ∼ 3 체적% 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사 특성과 연신성의 향상 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보이드 체적률과, 이러한 지지층 (B) 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보이드 체적률을 동시에 채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지층 (B) 의 양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불활성 입자를 함유하는 지지층 (B) 이 백색 반사성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최외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최외층을 형성하는 지지층 (B) 의 반사층 (A) 과는 반대측인 표면에는, 상기 서술한 불활성 입자에 의해 형성된 돌기를 갖는다. 또한 그 돌기는, 상기 불활성 입자가, 지지층 (B) 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해 피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불활성 입자를 피복할 때에는, 피복 두께는 50 ㎚ ∼ 10 ㎛ 의 범위에 있다. 여기서 피복 두께란, 돌기의 정점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두께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피복 두께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서, 도광판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돌기가 적당한 경도를 갖게 되고, 그로 인해 갭 확보를 할 수 있어, 첩부를 억제할 수 있다. 피복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도광판의 손상을 억제할 수 없는 데다, 찰과에 의해 입자의 탈락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또, 갭 확보가 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피복 두께가 지나치게 두껍다는 것은, 그 돌기를 형성하는 입자는 지지층 (B) 의 내부 안 깊이에 존재하게 되고, 따라서 돌기 형상도 곡률이 큰 「완만한」 것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도광판과의 첩부를 막기 어렵다. 이런 관점들에서 돌기에 있어서의 불활성 입자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한 피복 두께의 하한값은 바람직하게는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또한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8 ㎛,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 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백색 반사성 필름은, 백색 반사성 필름의 최표층에, 불활성 입자가 특정 피복 두께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해 피복된 구성인 돌기를 가짐으로써, 도광판과 접하여 사용했을 때에는, 그 돌기에 의해 도광판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입자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갭 확보를 할 수 있다. 또, 이 때, 이러한 돌기를 구비하는 측의 표면은 도광판측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의 갭 확보의 관점에서, 최외층을 형성하는 지지층 (B) 의 반사층 (A) 과는 반대측인 표면에서 적당한 높이를 가지며, 또한 적당한 빈도로 존재하는 것이 필요하다.
돌기의 높이는, 최외층을 형성하는 지지층 (B) 의 반사층 (A) 과는 반대측인 표면에 있어서, 10 점 평균 조도 (Rz) 가 5 ∼ 100 ㎛ 가 되는 높이이다. 이것과 후술하는 돌기 빈도에 의해 도광판과의 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첩부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Rz 가 지나치게 작으면 첩부 억제 효과가 열등하다. 한편, Rz 가 지나치게 크면, 입자 탈락 억제 효과가 열등하다. 이런 관점들에서 Rz 의 하한값은 바람직하게는 7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며, 또한,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75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다. 또한, 이러한 Rz 의 양태는 상기 돌기에 의해 주로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돌기의 양태를 구비하지 않은 돌기에 의해 주된 높은 돌기가 형성되어 버리면, 도광판의 손상 억제 효과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 높이 5 ㎛ 이상의 돌기 빈도는, 최외층을 형성하는 지지층 (B) 의 반사층 (A) 과는 반대측인 표면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의 개수가 106 ∼ 1010 개/㎡ 이다. 이것과 전술한 Rz 에 의해 도광판과의 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첩부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돌기 빈도가 지나치게 적으면 첩부 억제 효과가 열등하다. 한편, 돌기 빈도가 지나치게 많으면, 입자 탈락의 확률이 향상되거나 또한 반사율이 저하되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관점들에서 돌기 빈도의 하한값은 바람직하게는 107 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7 개/㎡ 이며, 또한,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2×109 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8 개/㎡ 이다.
또한 상기 돌기는, 도광판의 손상을 더 억제하여,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압착되었을 때에도 충분한 갭 확보가 하기 쉬워지고, 또한 필름 표면으로부터 입자가 탈락되어 이물질로 되고, 화면 결함으로 인해 표시 품위가 저하되는 것을 더 방지하는 목적을 위해서 경도가 100 ∼ 103 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도가 지나치게 단단하면, 도광판에 손상이 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지나치게 유연하면, 갭 확보의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또 입자 탈락 억제의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돌기 경도의 하한값의 보다 바람직한 값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며, 또한, 상한값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다.
상기 돌기 경도는, JIS Z2244 에 의거하여 미소 경도계 (예를 들어, 에이오닉스사 제조 ENT-1100a) 로 측정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버코비치 압자 (능간각 (稜間角) =115°의 정삼각뿔형 선단) 를 사용하여 압입 하중 (P) 을 500 mgf (약 4.9 mN) 로 하고, 계측되는 최대 압입 깊이 (h[㎛]) 의 값으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경도 (H) 를 산출할 수 있다.
H=0.038×P/h2
측정은, 샘플로부터 랜덤하게 추출된 돌기 (높이가 5 ㎛ 이상인 것을 선택하는 것은 바람직한 측정법 중 하나이다) 에 대해, 예를 들어 30 지점 이상과 같은 다수의 것에 대해 실시하고, 그것들의 평균값을 돌기의 경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돌기의 높이는 레이저 현미경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층 구성]
본 발명에서의 반사층 (A) 의 두께는 80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반사율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지나치게 얇으면 반사율의 향상 효과가 낮고, 한편 지나치게 두꺼운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250 ㎛ 이다.
또, 지지층 (B) 의 두께 (복수 갖는 경우에는, 도광판측이 되는 최외층을 형성하는 1 층의 두께) 는 10 ∼ 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바람직한 불활성 입자의 양태와 더불어, 바람직한 Rz 및 돌기 빈도의 양태로 하기 쉬워지고, 도광판과의 갭 확보가 하기 쉬워진다. 또, 반사율의 향상 효과 및 연신성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지나치게 얇으면 바람직한 Rz 가 달성되기 어려워져, 입자 탈락 억제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 연신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지나치게 두꺼우면 반사율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바람직한 Rz 및 돌기 빈도가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두께의 하한값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며, 또한, 상한값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불활성 입자의 피복 두께 및 Rz 로 나타내는 돌기 높이를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로 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지지층 (B) 중의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경 (d) 과 지지층 (B) 의 두께 (t) 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2)-1:
0.05≤d(㎛)/t(㎛)≤20 … (2)-1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2)-2:
0.1≤d(㎛)/t(㎛)≤10 … (2)-2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2)-3:
0.2≤d(㎛)/t(㎛)≤2.5 … (2)-3
을 만족시킨다.
이 d/t 의 값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충분한 높이의 돌기가 생성되기 어려워지고, 도광판과의 갭 확보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피복 두께가 부족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입자 탈락 억제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런 관점들에서 상기 비율의 하한값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며, 또한, 상한값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이다.
백색 반사성 필름의 적층 구성은, 반사층 (A) 을 A, 지지층 (B) 을 B 로 나타냈을 때에, B/A 의 2 층 구성, B/A/B 의 3 층 구성, B/A/B/A 의 4 층 구성, 또한 B 를 적어도 어느 한쪽의 최외층에 배치한 5 층 이상의 다층 구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B/A 의 2 층 구성, B/A/B 의 3 층 구성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B/A/B 의 3 층 구성이며, 컬 등의 문제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반사층 (A) 및 지지층 (B) 은, 백색 반사성 필름 전체의 두께를 100 % 로 했을 때에, 반사층 (A) 의 두께 비율이 50 ∼ 90 % 이고, 지지층 (B) 의 두께 비율이 5 ∼ 50 %, 나아가서는 5 ∼ 25 % 인 양태가 바람직하고, 각 특성의 밸런스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층의 두께 비율은, 각 층을 복수 갖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적산 두께끼리의 비율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사층 (A) 과 지지층 (B)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서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대전 방지성이나 도전성, 자외선 내구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반사 필름의 특성]
(반사율, 휘도)
본 발명의 백색 반사성 필름의 지지층 (B) 측으로부터 측정한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96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7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7.5 % 이상이다. 반사율이 96 % 이상임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등에 사용한 경우에는,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반사율은, 반사층 (A) 의 보이드 체적률을 높이는 등 바람직한 양태로 하거나, 반사층 (A) 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지지층 (B) 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등 각 층의 양태를 바람직한 양태로 하거나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 지지층 (B) 측으로부터 측정한 휘도는,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지지만, 5400 cd/㎡ 이상이 바람직하고, 5450 cd/㎡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5500 cd/㎡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율 및 휘도는, 백색 반사성 필름에 있어서 도광판과 사용할 때에는 도광판측이 되는 측의 면에 있어서의 값이다.
(휘발 유기 용제량)
본 발명의 백색 반사성 필름은,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휘발 유기 용제량이 바람직하게는 10 ppm 이하이다. 이로써, 예를 들어 에지 라이트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반사 필름과 직접 접촉하는 도광판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등의 장점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5 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ppm 이하이며, 이상적으로는 0 ppm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휘발 유기 용제량을 줄이기 위해서, 지지층 (B) 형성에 있어서, 유기 용제를 사용한 용액 코팅법을 채용하지 않고, 후술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백색 반사성 필름 b 에 대해 설명한다.
[반사층 (A)]
반사층 (A) 에 대한 설명은, 백색 반사성 필름 a 에 대한 상기 설명이 그대로 적용된다. 즉, 백색 반사성 필름 a 에 대한 상기 설명이 (열가소성 수지), (보이드 형성제) 및 (그 밖의 성분) 의 설명도 포함시켜 백색 반사성 필름 b 에 대해 그대로 적용된다.
[지지층 (B)]
본 발명에서의 지지층 (B) 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응집 입자를 함유한다.
(열가소성 수지)
지지층 (B) 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 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성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와 동일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 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성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호모폴리머여도 되지만, 필름을 1 축 혹은 2 축으로 연신할 때에 결정화가 억제되어 연신성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공중합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 성분으로는,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을 들 수 있지만, 내열성과 제막성의 양립이라는 관점에서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 100 몰% 를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1 ∼ 20 몰%, 바람직하게는 2 ∼ 18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7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 16 몰% 이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또, 열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응집 입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갭을 확보하여 도광판과의 첩부를 억제하기 위한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입자로서 본 발명이 규정하는 응집 입자를 채용함으로써, 필름의 자기 회수가 가능해지고, 자기 회수 원료를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했다 하더라도, 필름의 제막성이 우수하다. 그 이유는, 응집 입자라면 자기 회수 원료의 제조시에 입자가 적당히 해쇄되기 때문으로 생각될 수 있다.
지지층 (B) 에 있어서의 응집 입자로는, 유기 응집 입자여도 되고, 무기 응집 입자여도 된다. 유기 응집 입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응집 입자, 아크릴 응집 입자, 폴리우레탄 응집 입자, 폴리에틸렌 응집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자기 회수 공정에서 해쇄가 부족해도, 주원료인 폴리에스테르와의 상용성이 양호하고, 제막성 등에 대한 영향이 한정될 것이라고 생각되는 폴리에스테르 응집 입자가 바람직하다. 무기 응집 입자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응집 입자, 알루미나 응집 입자, 세라믹스 응집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입자가 지나치게 단단하면 필름 연신시에 파단되기 쉬워, 제막성이 열등하기 때문에, 이런 관점에서 실리카 응집 입자가 바람직하다.
지지층 (B) 에 있어서의 응집 입자는, 응집 입자로서의 평균 입경인 2 차 입경 (ds) 이 10 ㎛ 를 초과하고 100 ㎛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이로써 도광판과 필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이것들이 첩부되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자기 회수 원료를 사용한 경우를 포함시켜 제막시의 연신성이 양호해진다. 2 차 입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백색 반사성 필름이 도광판에 부분적으로 밀착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2 차 입경의 하한값은 바람직하게는 12 ㎛,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 이다. 한편,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연신성이 열등한 경향이 있고, 또한 회수성이 열등한 경향이 있으며, 즉 자기 회수후 필름의 제막성이 열등한 경향이 있다. 또, 입자가 탈락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탈락이 생기면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는 백색점 결점이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2 차 입경의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95 ㎛,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 이다.
또, 응집 입자를 구성하는 1 차 입자의 1 차 입경 (dp) 은 0.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과 상기 서술한 2 차 입경 범위를 동시에 만족시킴으로써, 자기 회수 원료를 사용했을 때의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1 차 입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응집 입자의 강도가 지나치게 약해지는 경향이 있고, 그 때문에 충분한 크기의 2 차 입경을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1 차 입경의 하한값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 이다. 한편,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자기 회수 원료의 제조시에 있어서 2 차 입자가 파괴되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비교적 입경이 큰 입자가 잔존하게 되어, 회수후의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한값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이다.
또, 지지층 (B) 에 있어서의 응집 입자의 함유량은 지지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 하여 1 ∼ 50 체적% 이다. 지나치게 적으면 백색 반사성 필름의 표면 요철이 적고, 도광판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하한값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체적%,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체적% 이다. 한편, 지나치게 많으면 지지층 (B) 의 강도가 열등하고, 제막시의 생산성이 악화되거나 얻어진 필름의 기계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자기 회수시의 입자량이 많아져, 회수율을 높이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따라서, 상한값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체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체적% 이다.
(그 밖의 성분)
백색 반사성 필름 a 에 대한 상기 (그 밖의 성분) 의 설명이 그 설명 중의 불활성 입자를 응집 입자로 바꿔 적용된다.
(지지층 (B) 의 양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응집 입자를 함유하는 지지층 (B) 이 백색 반사성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최외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최외층을 형성하는 지지층 (B) 의 반사층 (A) 과는 반대측인 표면 (이하, 최외층 표면이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는, 상기 서술한 응집 입자에 의해 형성된 돌기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돌기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의 갭 확보의 관점에서, 최외층 표면에 있어서 적당한 높이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최외층 표면에서의 10 점 평균 조도 (Rz) 와 지지층 (B) 을 구성하는 응집 입자의 2 차 입경 (ds) 이 하기 식 (1) 을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0.1×ds(㎛)≤Rz(㎛)≤0.7×ds(㎛) … (1)
상기 식 (1) 을 만족시킴으로써, 최외층 표면에 있어서 응집 입자가 지지층 중에 적당히 매몰되어 있고, 또한 적당히 돌출되어 있게 되어, 적당한 높이를 갖는 표면 요철을 갖게 되고, 그로 인해 우수한 갭 확보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식에 있어서, Rz 의 값이 좌변의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응집 입자가 지지층 (B) 중에 지나치게 파묻혀 있는 양태를 나타내고, 따라서 갭 확보의 효과가 열등한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ds(㎛)≤Rz(㎛), 보다 바람직하게는 0.3×ds(㎛)≤Rz(㎛) 를 만족시키는 양태이다. 한편, Rz 의 값이 우변의 값보다 큰 경우에는, 응집 입자가 지지층 (B) 으로부터 지나치게 돌출되어 있는 양태를 나타내고, 도광판과의 접촉시에 있어서의 입자 탈락성이 열등한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z(㎛)≤0.6×ds(㎛), 보다 바람직하게는 Rz(㎛)≤0.5×ds(㎛) 를 만족시키는 양태이다.
상기와 같은 양태로 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응집 입자의 2 차 입경을 감안하여 지지층 (B) 의 두께를 조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어느 2 차 입경을 갖는 응집 입자에 있어서, 지지층 (B) 의 두께를 얇게 하면 Rz 의 값은 우변의 값에 가까워지는 방향이 되고, 지나치게 얇게 하면 우변의 값을 초과해 버린다. 한편, 지지층 (B) 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Rz 의 값은 좌변의 값에 가까워지는 방향이 되고, 지나치게 두껍게 하면 좌변의 값을 밑돌아 버린다. 이와 같은 경향을 감안하여 조정할 수 있다.
최외층 표면에서의 표면 요철의 양태로서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의 갭 확보의 관점에서 적당한 돌기 빈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 5 ㎛ 이상의 돌기의 돌기 빈도는, 최외층 표면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의 개수가 106 ∼ 1010 개/㎡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과 전술한 Rz 에 의해 도광판과의 갭을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첩부 억제의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돌기 빈도가 지나치게 적으면 첩부 억제의 향상 효과가 열등하다. 한편, 돌기 빈도가 지나치게 많으면, 입자 탈락의 확률이 향상되거나, 또한 반사율이 저하되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
[층 구성]
본 발명에서의 반사층 (A) 의 두께는 80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반사율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지나치게 얇으면 반사율의 향상 효과가 낮고, 한편 지나치게 두꺼운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250 ㎛ 이다.
또, 지지층 (B) 의 두께 (복수 갖는 경우에는, 도광판측이 되는 최외층을 형성하는 1 층의 두께) 는 10 ∼ 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바람직한 응집 입자의 양태와 더불어, 응집 입자의 2 차 입경 (ds) 과 10 점 평균 조도 (Rz) 의 관계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양태로 하는 것이 하기 쉬워지고, 도광판과의 갭 확보가 하기 쉬워진다. 또, Rz 및 돌기 빈도의 양태를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형태로 하기 쉬워진다. 또한, 반사율의 향상 효과 및 연신성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지나치게 얇으면 바람직한 Rz 를 달성하기 어려워져, 입자 탈락 억제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 연신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지나치게 두꺼우면 반사율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바람직한 Rz 및 돌기 빈도가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하한값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며, 또한, 상한값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지층 (B) 중의 응집 입자의 2 차 입경 (ds) 과 지지층 (B) 의 두께 (t) 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2)-1':
0.05≤ds(㎛)/t(㎛)≤20 … (2)-1'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2)-2':
0.1≤ds(㎛)/t(㎛)≤10 … (2)-2'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2)-3':
0.2≤ds(㎛)/t(㎛)≤2.5 … (2)-3'
를 만족시킨다.
상기 식을 만족시킴으로써, 최외층 표면에 적당한 높이를 갖는 표면 요철을 갖기 쉬워지고, 그로 인해 갭 확보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식 (2)-1' 에 있어서, ds/t 의 값이 좌변의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응집 입자가 지지층 (B) 중에 파묻히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갭 확보의 향상 효과가 열등한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하한값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7≤ds(㎛)/t(㎛), 보다 바람직하게는 0.09≤ds(㎛)/t(㎛), 더욱 바람직하게는 0.3≤ds(㎛)/t(㎛), 특히 바람직하게는 0.4≤ds(㎛)/t(㎛) 를 만족시키는 양태이다. 한편, ds/t 의 값이 상기 식 (2)-1' 의 우변의 값보다 큰 경우에는, 응집 입자가 지지층 (B) 으로부터 돌출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도광판과의 접촉시 탈락 억제의 향상 효과가 열등한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한값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ds(㎛)/t(㎛)≤19, 보다 바람직하게는 ds(㎛)/t(㎛)≤18, 특히 바람직하게는 ds(㎛)/t(㎛)≤2 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 반사성 필름의 적층 구성은, 반사층 (A) 을 A, 지지층 (B) 을 B 로 나타냈을 때에, B/A 의 2 층 구성, B/A/B 의 3 층 구성, B/A/B/A 의 4 층 구성, 또한 B 를 적어도 어느 한쪽의 최외층에 배치한 5 층 이상의 다층 구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B/A 의 2 층 구성, B/A/B 의 3 층 구성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B/A/B 의 3 층 구성이며, 컬 등의 문제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반사층 (A) 및 지지층 (B) 은, 백색 반사성 필름 전체의 두께를 100 % 로 했을 때에, 반사층 (A) 의 두께 비율이 50 ∼ 90 % 이고, 지지층 (B) 의 두께 비율이 5 ∼ 50 %, 나아가서는 5 ∼ 25 % 인 양태가 바람직하고, 각 특성의 밸런스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층의 두께 비율은, 각 층을 복수 갖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적산 두께끼리의 비율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사층 (A) 과 지지층 (B)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서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대전 방지성이나 도전성, 자외선 내구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 특히 지지층 (B) 을 코팅법이나 라미네이트법 등으로 형성할 때에는, 반사층 (A) 을 갖는 필름의 제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반사 필름의 특성]
(반사율, 휘도)
에 대한 설명은, 백색 반사성 필름 a 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된다.
(휘발 유기 용제량)
본 발명의 백색 반사성 필름은,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휘발 유기 용제량이 바람직하게는 10 ppm 이하이다. 이로써, 자기 회수 원료를 얻고, 그것을 사용하여 필름을 제막할 때에, 가스 마크가 잘 발생하지 않아 연신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5 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ppm 이하이며, 이상적으로는 0 ppm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휘발 유기 용제량을 줄이기 위해서, 지지층 (B) 형성에 있어서, 유기 용제를 사용한 용액 코팅법을 채용하지 않고, 후술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백색 반사성 필름 a 및 b 의 제조법을 설명한다.
[필름의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의 백색 반사성 필름 a 또는 b 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조할 때에는, 용융 압출법 등에 의해 얻어진 반사층 (A) 에, 용융 수지 코팅법 (용융 압출 수지 코팅법을 포함한다), 공 (共) 압출법 및 라미네이트법 등에 의해 지지층 (B) 을 형성하고, 적층 구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백색 반사성 필름은, 반사층 (A) 과 지지층 (B) 을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하여 제조된 것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반사층 (A) 과 지지층 (B) 은, 공압출법에 의해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압출법으로 적층함으로써, 반사층 (A) 과 지지층 (B) 의 계면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데다, 필름을 첩합 (貼合) 시키거나 필름의 제막 후에 다시 지지층 (B) 을 형성하거나 하기 위한 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저렴하고 용이하게 양산할 수 있다.
이하에, 반사층 (A) 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및 지지층 (B) 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채용하고, 적층 방법으로서 공압출법을 채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제법에 한정되지는 않고, 또한 하기를 참고로 다른 양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 때, 압출 공정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하의 「용융 압출 온도」는 「용융 온도」라고 바꿔 읽으면 된다. 또한, 여기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을 Tm (단위:℃), 유리 전이 온도를 Tg (단위:℃) 로 한다.
먼저, 반사층 (A) 을 형성하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서 폴리에스테르와 보이드 형성제와 다른 임의 성분을 혼합한 것을 준비한다. 또, 지지층 (B) 을 형성하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서 폴리에스테르와 불활성 입자와 다른 임의 성분을 혼합한 것을 준비한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건조시켜 충분히 수분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다음으로, 건조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각각 다른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압출한다. 용융 압출 온도는 Tm 이상이 필요하고, Tm+40 ℃ 정도로 하면 된다.
또 이 때,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특히 반사층 (A) 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선 직경 15 ㎛ 이하의 스테인리스강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평균 눈금간격 10 ∼ 100 ㎛ 의 부직포형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여과를 실시함으로써, 통상적으로는 응집되어 조대 응집 입자가 되기 쉬운 입자의 응집을 억제하여 조대 이물질이 적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부직포의 평균 눈금간격은, 바람직하게는 20 ∼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40 ㎛ 이다. 여과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용융된 상태에서 피드 블록을 사용한 동시 다층 압출법 (공압출법) 에 의해 다이로부터 다층 상태로 압출하고, 미연신 적층 시트를 제조한다. 다이로부터 압출된 미연신 적층 시트를, 캐스팅 드럼으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적층 필름으로 한다.
이어서, 이 미연신 적층 필름을 롤 가열, 적외선 가열 등으로 가열하고, 제막 기계 축방향 (이하, 세로 방향 또는 길이 방향 또는 MD 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으로 연신하여 종연신 필름을 얻는다. 이 연신은 2 개 이상의 롤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연신 후의 필름은, 계속해서 텐터로 유도되고, 세로 방향과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 (이하, 가로 방향 또는 폭 방향 또는 TD 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으로 연신하여 2 축 연신 필름으로 한다.
연신 온도로는,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의 Tg 이상, Tg+30 ℃ 이하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막성이 우수하고, 또한 보이드가 바람직하게 형성되기 쉽다. 또, 연신 배율로는, 세로 방향, 가로 방향 모두, 바람직하게는 2.5 ∼ 4.3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7 ∼ 4.2 배이다. 연신 배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필름의 두께 편차가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보이드가 형성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한편 지나치게 높으면 제막 중에 파단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백색 반사성 필름 a 의 제조에 있어서는, 적합한 불활성 입자 피복의 양태로 하기 위해서, 고배향 연신 조건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배향 연신 조건이란, 높은 분자 배향이 형성되기 쉬운 연신 조건을 말하고, 예를 들어 연신 온도를 낮추거나, 연신 배율을 높이거나, 혹은 이것들을 조합한 연신 조건이다. 따라서, 저연신 배율시에는 저연신 온도 조건으로 하고, 반대로 고연신 온도시에는 고연신 배율로 하고, 이와 같은 조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적당한 연신 속도를 채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는, 연신 속도가 지나치게 느리면 수지가 완화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돌기가 형성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으며, 피복 두께가 얇아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연신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연신 응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불활성 입자가 지지층 (B) 중에 압입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피복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세로 방향의 연신 속도로는 5 ∼ 1000 %/초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500 %/초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가로 방향의 연신 속도로는, 0.2 ∼ 100 %/초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10 %/초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성 필름 a 또는 b 의 제조법으로 되돌아가 기재를 계속하면, 종연신을 실시하고 그 후 횡연신을 실시하는 축차 2 축 연신시에는 2 단째 (이 경우에는, 횡연신) 는 1 단째의 연신 온도보다 10 ∼ 50 ℃ 정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 단째의 연신으로 배향함으로써 1 축 필름으로서의 Tg 가 업되어 있는 것에서 기인된다.
또, 각 연신 전에는 필름을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횡연신의 예열 처리는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의 Tg+5 ℃ 보다 높은 온도에서 시작하여 서서히 승온시키면 된다. 횡연신 과정에서의 승온은 연속적이어도 되고 단계적 (축차적) 이어도 되지만 통상 축차적으로 승온된다. 예를 들어 텐터의 횡연신 존을 필름 주행 방향을 따라 복수로 나누고, 존 마다 소정 온도의 가열 매체를 흐르게 함으로써 승온된다.
2 축 연신 후의 필름은, 계속해서 열 고정, 열 이완의 처리를 순차로 실시하여 2 축 배향 필름으로 하지만, 용융 압출에서부터 연신에 이어서, 이것들의 처리도 필름을 주행시키면서 실시할 수 있다.
2 축 연신 후의 필름은, 클립으로 양 단을 파지한 채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의 융점을 Tm 으로 하여 (Tm-20 ℃) ∼ (Tm-100 ℃) 이고, 정폭 (定幅) 또는 10 % 이하의 폭 감소하에서 열 처리하여 열 고정시키고 열 수축률을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 처리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필름의 평면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두께 편차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지나치게 낮으면 열 수축률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 열 수축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파지하고 있는 필름의 양 단을 잘라내고, 필름 세로 방향의 인취 속도를 조정하여 세로 방향으로 이완시킬 수 있다. 이완시키는 수단으로는 텐터 출구측의 롤군의 속도를 조정한다. 이완시키는 비율로서, 텐터의 필름 라인 속도에 대해 롤군의 속도 다운을 실시하고, 바람직하게는 0.1 ∼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2.3 %,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 2.0 % 의 속도 다운을 실시하여 필름을 이완 (이 값을 「이완율」이라고 한다) 시켜 이완율을 컨트롤함으로써 세로 방향의 열 수축률을 조정한다. 또, 필름 가로 방향은 양 단을 잘라낼 때까지의 과정에서 폭 감소시켜, 원하는 열 수축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2 축 연신시에는, 상기와 같은 세로-가로의 축차 2 축 연신법 이외에도 가로-세로의 축차 2 축 연신법이어도 된다. 또, 동시 2 축 연신법을 이용하여 제막할 수 있다. 동시 2 축 연신법의 경우, 연신 배율은, 세로 방향, 가로 방향 모두 예를 들어 2.7 ∼ 4.3 배, 바람직하게는 2.8 ∼ 4.2 배이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백색 반사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특히, 본 발명의 백색 반사성 필름 b 의 제조에 강하게 관련된 필름의 회수에 대해 설명한다.
[자기 회수 원료의 제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얻어진 백색 반사성 필름을, 분쇄나 용융 압출에 의해 칩화시킨 것을 자기 회수 원료로서 사용하며, 필름에 첨가하고,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에 첨가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자기 회수 원료의 근원이 되는 필름이 본 발명의 양태를 구비하는 백색 반사성 필름이면, 자기 회수 원료를 제조하는 공정이나, 그것을 사용하여 필름을 제막하는 공정에 있어서, 지지층 (B) 중의 응집 입자가 해쇄되어, 새롭게 제조하는 필름 중에 함유되어도 제막성이나 반사율 등의 광학 특성의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아 양호한 제막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칩을 제조하는 공정으로는, 특별히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와 같은 메커니즘을 고려하여, 함유하는 응집 입자가 가능한 한 해쇄되도록 분쇄 기구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자기 회수 원료를 필름 원료로서 사용하여 재사용했을 때에도, 함유 응집 입자의 영향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제막성 등이 보다 우수한 백색 반사성 필름이 얻어진다.
이러한 자기 회수 원료를 필름에 첨가할 때에는, 필름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 ∼ 50 질량%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보다 바람직한 양태는, 지지층 (B) 과 반사층 (A) 의 양방에 첨가하는 양태나, 지지층 (B) 에는 실질적으로 첨가하지 않고 반사층 (A) 에 첨가하는 양태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자기 회수 원료의 함유량은, 반사층 (A) 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 70 질량%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보다 우수하다. 또한, 지지층 (B) 에도 자기 회수 원료를 첨가해도 상관없지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자기 회수 원료를 반사층 (A) 에 사용하고, 지지층 (B) 에는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양태로 함으로써, 양호한 제막성, 반사율을 유지한 데다, 도광판과의 부착을 억제하는 표면성에 더하여 우수한 생산성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서술한다. 또한, 각 특성값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A) 실시예 1 ∼ 17 및 비교예 1 ∼ 11 에 대한 측정법
(1) 광선 반사율
분광 광도계 (시마즈 제작소 제조 UV-3101PC) 에 적분구를 부착하고, BaSO4 백색판의 반사율을 100 % 로 했을 때의 반사율을 파장 550 ㎚ 로 측정하고, 이 값을 반사율로 하였다. 또한, 측정은 지지층 (B) 측의 표면에서 실시하였다. 표리에 상이한 지지층 (B) 을 갖는 경우에는, 도광판측의 지지층 표면에서 측정하였다.
(2) 보이드 형성제 (무기 입자) 의 평균 입자경
입도 분포계 (호리바 제작소 제조 LA-950) 로 입자의 입도 분포를 구하고, d50 에서의 입자경을 평균 입자경으로 하였다.
(3) 휘발 유기 용제량
실온 (23 ℃) 에서, 1 g 의 필름 샘플을 10 ℓ 의 불소 수지제 백에 넣고 그 안을 순질소로 퍼지하여 밀봉하였다. 이어서, 바로 이 백 안의 질소로부터, 0.2 ℓ/분 의 유량으로 2 개의 분석용 TENAX-TA 포집관에 각각 0.2 ℓ, 1.0 ℓ 의 질소를 채취하고, 이것들을 사용하여 HPLC 및 GCMS 에 의해 채취된 질소 중에 함유되는 유기 용제 성분의 질량을 정량하였다. 얻어진 값을 질소 10 ℓ 중의 양으로 환산하여, 1 g 의 필름 샘플로부터 10 ℓ 의 질소 중으로 휘발된 유기 용제의 질량을 구하고, 휘발 유기 용제량 (단위:ppm, 필름 샘플의 질량 기준) 으로 하였다. 또한, 알데히드류는, 아세토니트릴로 알데히드 유도체화물을 포집관으로부터 용출시키고 HPLC 에 의해 정량하였다. 또, HPLC 와 GCMS 에서 값이 상이한 경우에는, 많이 검출한 쪽의 값을 채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10 ∼ 17 및 비교예 5 ∼ 11 에 대해서는, 휘발 유기 용제량 10 ppm 이하의 경우를 평가 ○, 10 ppm 을 초과하는 경우를 평가 × 로 하였다.
(4) 필름 두께 및 층 구성
백색 반사성 필름을 마이크로톰으로 슬라이스하여 단면을 내고, 이러한 단면에 대해 히타치 제작소 제조 S-4700 형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율 500 배로 관측하고, 필름 전체, 반사층 (A), 지지층 (B) 의 두께를 각각 구하였다. 또한, 필름 전체 및 지지층 (B) 의 두께는, 응집 입자 또는 불활성 입자가 지지층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두께로 하였다. 각 층의 두께 (㎛) 를 구한 후에 각 층의 두께비를 산출하였다.
(5) 보이드 체적률의 산출
보이드 체적률을 구하는 층의 폴리머, 첨가 입자, 기타 각 성분의 밀도와 배합 비율로부터 계산 밀도를 구하였다. 동시에, 당해 층을 박리시키거나 하여 단리 (單離) 시키고, 질량 및 체적을 계측하고, 이것들로부터 실밀도를 산출하여, 계산 밀도와 실밀도로부터 하기 식으로 구하였다.
보이드 체적률=100×(1-(실밀도/계산 밀도))
또한,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축 연신 후) 의 밀도를 1.39 g/㎤, 황산바륨의 밀도를 4.5 g/㎤ 로 하였다.
또, 보이드 체적률을 측정하는 층만을 단리시키고, 단위 체적당의 질량을 구하여 실밀도를 구하였다. 체적은 샘플을 면적 3 ㎠ 로 잘라내고, 그 사이즈에서의 두께를 일렉트릭 마이크로미터 (안리츠 제조 K-402B) 로 10 지점 측정한 평균값을 두께로 하고, 면적×두께로 하여 산출하였다. 질량은 전자 천칭으로 칭량하였다.
또한, 응집 입자의 비중으로는, 이하의 메스 실린더법으로 구한 부피 비중의 값을 이용하였다. 용적 1000 ㎖ 의 메스 실린더에 절대 건조 상태의 응집 입자를 충전시켜 전체의 중량을 측정하고, 그 전체의 중량으로부터 메스 실린더의 중량을 공제하여 그 응집 입자의 중량을 구하고, 그 메스 실린더의 용적을 측정하여, 그 응집 입자의 중량 (g) 을 그 용적 (㎤) 으로 나눔으로써 구해진다.
(6) 융점, 유리 전이 온도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 (TA Instruments 2100 DSC) 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20 ℃/분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7) 10 점 평균 조도 (Rz)
필름 표면의 돌기 프로파일을, 3 차원 조도 측정 장치 SE-3CKT (주식회사 고사카 연구소 제조) 로 컷오프 0.25 ㎜, 측정 길이 1 ㎜, 주사 피치 2 ㎛, 주사 개수 100 개로 측정하여, 높이 배율 1000 배, 주사 방향 배율 200 배로 돌기 프로파일을 기록하였다. 얻어진 돌기 프로파일에 있어서, 피크 (Hp) 가 높은 쪽부터 5 지점과 골 (Hv) 이 낮은 쪽부터 5 지점을 취하고, 다음 식으로 10 점 평균 조도 (Rz, 단위:㎚) 를 구하였다. 또한, 해석에는 3 차원 조도 해석 장치 SPA-11 (주식회사 고사카 연구소 제조) 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4069426646-pct00001
또, 얻어진 돌기 프로파일 (가로축:돌기 높이, 세로축:돌기 개수의 돌기 프로파일) 로부터 높이 5 ㎛ 이상의 돌기 개수 (개/㎜2) 를 구하여 돌기 빈도로 하였다.
(8) 도광판의 손상 평가 (깍임성 평가) 및 입자의 탈락 평가
도 1 과 같이 그립 부분 (1) 의 단에 길이 200 ㎜×폭 200 ㎜×두께 3 ㎜ 의 철판 (2, 무게 약 200 g) 을 단단히 첩부하고, 그 위에 평가 면을 위로 한 폭 250 ㎜×길이 200 ㎜ 의 반사 필름 (3) 을 폭 방향의 양 단으로부터 각각 25 ㎜ 의 부분이 철판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하여 (중앙의 200 ㎜×200 ㎜ 의 부분이 철판과 겹쳐지도록 하여) 첩부하였다. 이 때, 반사 필름의 평가 면 (지지층 면) 이 외측이 되도록 하였다. 또, 반사 필름의 폭 방향의 양 단에서 남은 25 ㎜ 의 부분은 철판의 이측으로 꺽어 접어, 반사 필름의 단부 (샘플링시에 나이프 등으로 칼집을 넣은 부분) 가 도광판을 깍아 버리는 영향을 배제하였다.
다음으로, 도트 (401) 를 갖는 도트 면을 위로 한 도광판 (4, 적어도 400 ㎜×200 ㎜ 사이즈의 것) 을 수평한 탁상에 고정시키고, 상기에서 제조한 철판에 고정시킨 반사 필름을, 평가 면과 도광판이 접촉하도록, 반사 필름측의 면을 하방향으로 하여 도광판 상에 두고, 추가로 그 위에 500 g 의 추 (5) 를 올리고, 거리 200 ㎜ 로 (400 ㎜×200 ㎜ 의 영역에서 철판에 고정시킨 반사 필름을 움직이게 된다) 1 왕복 약 5 ∼ 10 초의 속도로 15 왕복 움직였다. 그 후, 도광판 표면에 있어서, 그 깍임 정도와 반사 필름으로부터 탈락된 입자의 유무에 대해 20 배의 루페를 사용하여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도광판 상의 문질러진 400 ㎜×200 ㎜ 의 전체 범위에서, 15 왕복 움직인 후에 루페로 관찰할 수 있는 흠집이 없는 경우에는 「깎이지 않는다」(깎임 평가 ○) 로 하고, 10 왕복 움직인 후에는 관찰할 수 있는 흠집이 없었지만, 15 왕복 움직인 후에 관찰할 수 있는 흠집이 있는 경우에는 「잘 깎이지 않는다」(깍임 평가 △) 로 하고, 10 왕복한 후에 관찰할 수 있는 흠집이 있는 경우에는 「깎인다」(깎임 평가 ×) 로 하였다.
또, 15 왕복 움직인 후에, 도광판 상의 문질러진 400 ㎜×200 ㎜ 의 전체 범위에서, 루페로 관찰할 수 있는 백색 이물질이 없으면, 「입자가 탈락되지 않는다」(탈락 평가 ○) 로 하였다. 또한, 관찰할 수 있는 백색 이물질이 있었을 때에는, 이러한 백색 이물질을 현미경으로 관측하여, 불활성 입자 (응집 입자) 인 것을 확인하고, 탈락된 입자가 5 개 이하이면, 「입자가 거의 탈락되지 않는다」(탈락 평가 △) 로 하고, 6 개 이상이면, 「입자가 탈락된다」(탈락 평가 ×) 로 하였다.
또한, 상기 평가에 있어서는, 도트 사이즈의 영향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도광판에 있어서 최대한 도트 사이즈가 큰 영역을 선택하고, 각 평가 샘플로 정렬하여 실시하였다.
(9) 밀착 반점 평가 (첩부 평가)
LG 사 제조의 LED 액정 텔레비전 (LG42LE5310AKR) 으로부터 섀시 (6) 를 꺼내고, 텔레비전 내부측이 상방향이 되도록 수평한 탁상에 두고, 그 위에 섀시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반사 필름을, 지지층 면이 상방향이 되도록 두고, 추가로 그 위에 원래 텔레비전에 구비되어 있던 도광판 및 광학 시트 3 장 (확산 필름 2 장, 프리즘 1 장) 을 두었다 (7). 이어서, 그 면내에서 섀시의 요철의 가장 격렬한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5 ㎜ 의 원형 레그를 3 개 구비하는 정삼각형 틀의 대 (801) 를 두고, 그 위에 추가로 15 kg 의 추 (802) 를 올리고, 이러한 3 개의 레그에 둘러싸인 영역을 육안으로 관측하여, 이상하게 밝은 부분이 없으면 「밀착 반점이 없음」(밀착 반점 평가 ○) 으로 하였다. 또, 이상하게 밝은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광학 시트 3 장 위에 추가로 원래 텔레비전에 구비되어 있던 DBEF 시트를 두고, 동일하게 육안으로 관측하여, 이상하게 밝은 부분이 복구되지 않으면, 「밀착 반점이 있음」(평가 ×) 으로 하고, 이상하게 밝은 부분이 없어지면, 「밀착 반점이 거의 없음」(평가 △) 으로 하였다. 또한, 3 개 레그에 둘러싸인 영역은, 각 변의 길이가 10 ㎝ 의 대략 정삼각형으로 하였다.
(B) 실시예 1 ∼ 9 및 비교예 1 ∼ 4 에 대해
(10) 응집 입자의 1 차 입경 (dp)
응집 입자를 함유하는 필름 및 회수 원료에 대해, 수지 성분을 용제를 사용하여 용해시키고, 그것으로부터 회수한 입자 (2 차 입자) 를 히타치 제작소 제조 S-4700 형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율 10000 배로 관찰하고, 2 차 입자의 표면에서의 1 차 입자의 응집 상황을 관찰하고, 1 차 입자 100 개 임의로 입경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부터 1 차 입경 (dp) 을 구하였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수지 성분을 용제에 의해 용해시킬 때에 응집 입자도 용해되어 버리는 경우 (예를 들어 유기 입자의 경우) 에는, 배합전의 응집 입자를 사용하며, 히타치 제작소 제조 S-4700 형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율 10000 배로 관찰하고, 2 차 입자의 표면에서의 1 차 입자의 응집 상황을 관찰하고, 1 차 입자 100 개 임의로 입경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부터 1 차 입경 (dp) 을 구하였다.
1 ㎛ 이상 3 ㎛ 미만의 경우를 「<3」, 1 ㎛ 미만의 경우를 「<1」로 하였다.
(11) 응집 입자의 2 차 입경 (ds)
응집 입자를 함유하는 필름 및 회수 원료에 대해, 수지 성분을 용제를 사용하여 용해시키고, 그것으로부터 회수한 입자 (2 차 입자) 를 히타치 제작소 제조 S-4700 형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율 1000 배로 관찰하고, 입자 100 개 임의로 입경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부터 2 차 입경 (ds) 을 구하였다. 또한, 구상 이외의 경우에는 (장경+단경)/2 로 구하였다. 여기서 단경은 장경에 수직 방향인 최대 직경을 가리킨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수지 성분을 용제에 의해 용해시킬 때에 응집 입자도 용해되어 버리는 경우 (예를 들어 유기 입자의 경우) 에는, 배합전의 응집 입자를 사용하며, 히타치 제작소 제조 S-4700 형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율 1000 배로 관찰하고, 입자 100 개의 입경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부터 2 차 입경 (ds) 을 구하였다. 또한, 장경과 단경을 갖는 경우에는 (장경+단경)/2 로 구하였다. 여기서 단경은 장경에 수직 방향인 최대 직경을 가리킨다.
(12) 휘도
LG 사 제조의 LED 액정 텔레비전 (LG42LE5310AKR) 으로부터 반사 필름을 꺼내고, 각종 반사 필름 (지지층측을 화면측 (도광판에 접하는 면) 에 설치하고, 백라이트 유닛의 상태에서 휘도계 (오오츠카 전자 제조 Model MC-940) 를 사용하여, 백라이트의 중심을 가장 정면으로부터 측정 거리 500 ㎜ 에서 휘도를 측정하였다.
(13) 백색점 평가
상기 (8) 의 평가에서 사용한 반사 필름과 도광판을 사용하여, 탁상에 지지층 면을 상방향이 되도록 반사 필름을 두고, 그 위에 도트 면이 하방향이 되도록 도광판을 두고, 도광판의 사방 각각에 각 200 g 의 추를 두어 고정시키고, LG 사 제조의 LED 액정 텔레비전 (LG42LE5310AKR) 의 백라이트 광원을 사용하여 도광판의 측면으로부터 광을 입사시키고,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도광판 도트 이외의 밝은 점이 있으면 백색점 발생 (평가 ×) 으로 하였다. 한편,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이상한 밝은 점이 없으면 백색점 발생하지 않는 것 (평가 ○) 으로 하였다.
(14) 제막 연신성
실시예에 기재된 필름을, 텐터를 사용한 연속 제막법으로 제막했을 때의 제막 안정성을 관찰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3 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제막할 수 있다.
○:1 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제막할 수 있다.
△:1 시간에 한번 절단이 발생하였다.
×:1 시간 이내에 복수회 절단이 발생하여, 안정적인 제막을 할 수 없다.
(C) 실시예 10 ∼ 17 및 비교예 5 ∼ 11 에 대해
(15) 불활성 입자의 피복 두께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에폭시 포매된 필름으로부터 절편 샘플을 잘라냈다. 이 때, 돌기가 찌부러지지 않도록 칼을 넣는 방향 등에 대해 주의하였다. 절편 샘플의 절단면에 대해 히타치 제작소 제조 S-4700 형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율 3000 배로 관찰하였다.
100 개의 입자 단면에 대해 사진 촬영하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진내에서 필름 표면의 수준선 (a), (a) 와 평행하고 돌기 정점을 통과하는 직선 (b), (a) 와 평행하고 돌기내의 입자 최상부를 통과하는 직선 (c) 를 긋고, (b) (c) 의 간격으로부터 돌기 정점부의 수지 피복 부분의 두께 (d) 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입자의 피복 두께로 하였다.
제조예 1: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의 합성
테레프탈산디메틸 136.5 질량부, 이소프탈산디메틸 13.5 질량부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산 성분 100 몰% 에 대해 9 몰% 가 된다), 에틸렌글리콜 98 질량부, 디에틸렌글리콜 1.0 질량부, 아세트산망간 0.05 질량부, 아세트산리튬 0.012 질량부를 정류탑, 유출 (留出) 콘덴서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주입하고, 교반하면서 150 ∼ 240 ℃ 로 가열하여 메탄올을 유출시키며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메탄올이 유출된 후, 인산트리메틸 0.03 질량부, 이산화게르마늄 0.04 질량부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반응기에 옮겼다. 이어서 교반하면서 반응기내를 서서히 0.3 ㎜Hg 까지 감압시킴과 함께 292 ℃ 까지 승온시키고,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여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을 얻었다. 이 폴리머의 융점은 235 ℃ 였다.
제조예 2: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의 합성
테레프탈산디메틸 129.0 질량부, 이소프탈산디메틸 21.0 질량부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산 성분 100 몰% 에 대해 14 몰% 가 된다)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를 얻었다. 이 폴리머의 융점은 215 ℃ 였다.
제조예 3: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3 의 합성
테레프탈산디메틸 142.5 질량부, 이소프탈산디메틸 7.5 질량부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산 성분 100 몰% 에 대해 5 몰% 가 된다)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3 을 얻었다. 이 폴리머의 융점은 245 ℃ 였다.
제조예 4:유기 응집 입자의 제조
오토클레이브 내에 하기에 기재하는 원료를 주입하고, 180 ∼ 240 ℃ 에서 120 분간 가열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반응계를 245 ℃ 까지 승온시키며 계내 압력을 1 ∼ 10 ㎜Hg 으로 하여 60 분간 반응을 계속한 결과,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34 질량부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5 질량부
5-나트륨술포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3 질량부
파라타샤르부틸벤조산메틸에스테르 5 질량부
에틸렌글리콜 136 질량부
테트라부톡시티타네이트 0.1 질량부
얻어진 수지를 완속 응집시켜 유기 응집 입자 (응집 폴리에스테르 입자) 를 얻었다.
제조예 5:입자 마스터 칩 1 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의 일부, 및 보이드 형성제로서 평균 입자경 1.0 ㎛ 의 황산바륨 입자 (표 중, BaSO4 라고 표기한다.) 를 사용하여, 코베 제강사 제조 NEX-T60 탄댐식 압출기에서 얻어지는 마스터 칩의 질량에 대해 황산바륨 입자의 함유량이 63 질량% 가 되도록 혼합하고, 수지 온도 260 ℃ 에서 압출하여, 황산바륨 입자 함유의 무기 입자 마스터 칩 1 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입자 마스터 칩 2 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에, 응집 실리카 입자 A 로서 토소ㆍ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AY-603 을 8 질량% 가 되도록 혼합하고, 용융 온도 235 ℃ 에서 압출하여 무기 입자 마스터 칩 2 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7 ∼ 14:입자 마스터 칩 3 ∼ 10 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3 에, 표 1 에 나타내는 불활성 입자를 첨가하여 표 1 에 나타내는 함유량이 되도록 혼합하고, 용융 온도 235 ℃ 에서 압출하여 입자 마스터 칩 3 ∼ 10 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069426646-pct00002
또한, 실리콘 입자로는, 신에츠 실리콘사 제조, KMP 시리즈를, 아크릴 입자로는 세키스이 화성품사 제조, MBX 시리즈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15:입자 마스터 칩 11 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에 제조예 4 에서 얻어진 응집 폴리에스테르 입자를 첨가하여 그 함유량이 15 질량% 가 되도록 혼합하고, 용융 온도 235 ℃ 에서 압출하여 입자 마스터 칩 11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백색 반사성 필름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과 입자 마스터 칩 1 을 반사층 (A 층) 의 원료로서,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와 입자 마스터 칩 2 를 지지층 (B 층) 의 원료로서 각각 사용하고, 각각의 층이 표 2 에 기재된 구성이 되도록 혼합하고, 압출기에 투입하여 A 층은 용융 압출 온도 255 ℃ 에서, B 층은 용융 압출 온도 230 ℃ 에서,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 층/A 층/B 층의 층 구성이 되도록 3 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 다이스로부터 시트상으로 성형하였다. 이 때 B 층/A 층/B 층의 두께비가 2 축 연신 후에 10/80/10 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으로 조정하였다. 또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25 ℃ 의 냉각 드럼으로 냉각 고화시킨 미연신 필름으로 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73 ℃ 의 예열 존, 계속해서 75 ℃ 의 예열 존을 통과시키고, 92 ℃ 로 유지된 종연신 존으로 유도하여, 세로 방향으로 2.9 배로 연신하고 25 ℃ 의 롤군에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필름의 양 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115 ℃ 의 예열 존을 통과시키고 130 ℃ 로 유지된 횡연신 존으로 유도하여, 가로 방향으로 3.6 배로 연신하였다. 그 후 텐터 내에서 185 ℃ 에서 열 고정을 실시하고, 폭 수축률 2 %, 폭 수축 온도 130 ℃ 에서 가로 방향의 폭 수축을 실시하고, 이어서 필름 양 단을 잘라내어, 세로 이완율 2 % 로 열 이완하고 실온까지 차게 하여,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250 ㎛ 의 2 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을 회수하여 분쇄하고, 용융 압출하고 칩화시켜 자기 회수 원료를 제조하고, 이러한 자기 회수 원료를, 반사층 (A) 에, 반사층 (A) 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35 질량% 첨가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0 ㎛ 의 2 축 연신 필름을 얻으며 백색 반사성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응집 실리카 입자 A 를 응집 실리카 입자 B (그레이스 재팬 주식회사 제조 C812)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2 축 연신 필름 및 자기 회수 원료를 제조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응집 실리카 입자 A 를 응집 실리카 입자 C (후지 시리시아 화학 주식회사 제조 캐리아크트 P-10 을 풍력 분급기로 30 ㎛ 이상을 제거한 분체 (粉體))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2 축 연신 필름 및 자기 회수 원료를 제조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응집 실리카 입자 A 를 응집 실리카 입자 D (후지 시리시아 화학 주식회사 제조 캐리아크트 P-10)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2 축 연신 필름 및 자기 회수 원료를 제조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백색 반사성 필름의 제조)
입자 마스터 칩 2 를 입자 마스터 칩 11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2 축 연신 필름 및 자기 회수 원료를 제조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반사층 (A) 의 보이드 형성제를,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수지 (시클로올레핀, 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 「TOPAS 6017S-04」)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2 축 연신 필름 및 자기 회수 원료를 제조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8
응집 실리카 입자 A 의 첨가량을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2 축 연신 필름 및 자기 회수 원료를 제조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제조 조건, 층 구성의 양태를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2 축 연신 필름 및 자기 회수 원료를 제조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 의 지지층 (B) 에 응집 입자를 첨가하지 않은 (입자 마스터 칩 2 대신에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를 사용한다. 또, 이러한 층은 표면층 C 로 한다.)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0 ㎛ 의 2 축 연신 필름을 제조한 후, 그 필름의 편면에, 다이코팅 장치로 하기의 조액 (調液) 레시피 1 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오븐내에서 80 ℃ 에서 건조시켜 지지층 (B) 을 형성하여 필름을 얻었다. 이러한 지지층 (B) 의 dry 두께는 2 ㎛ 였다. 이어서, 본 필름을 회수하여 분쇄, 용융 압출하고 칩화시켜 자기 회수 원료를 제조하고, 이것을 반사층 (A) 에, 반사층 (A) 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35 질량% 첨가하여 사용하며 재차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필름 제막을 시도했지만, 필름 제막시에 미용융물이나 가스 마크 등의 이물질이 다량으로 발생하여 연신성이 크게 저하되었기 때문에, 샘플 채취를 할 수 없었다.
(조액 레시피 1, 고형분 농도 35 질량%)
ㆍ입자: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BM30X-8 (가교 아크릴 입자, 무공질 입자, 분체) … 17.6 질량%
ㆍ아크릴 바인더:DIC 아크리디크 A-817BA … 17.5 질량%
ㆍ가교제:니혼 폴리우레탄 공업사 콜로네이트 HL … 11.7 질량%
ㆍ유기 용제:아세트산부틸 … 53.2 질량%
또한, 상기 레시피에서 얻어지는 지지층 (B) 에서의 각 성분의 고형분 비율은 이하와 같이 된다.
ㆍ입자:50 질량%
ㆍ바인더:25 질량%
ㆍ가교제:25 질량%
비교예 2
응집 실리카 입자 A 를 응집 실리카 입자 E (토소ㆍ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BY601)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2 축 연신 필름 및 자기 회수 원료를 제조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응집 실리카 입자 A 를 응집 실리카 입자 F (후지 시리시아 화학 주식회사 제조 사이리시아 350)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2 축 연신 필름 및 자기 회수 원료를 제조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응집 실리카 입자 A 를 구상 실리카 입자 (미즈사와 화학 주식회사 제조 실톤 JC)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2 축 연신 필름 및 자기 회수 원료를 제조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조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069426646-pct00003
Figure 112014069426646-pct00004
상기 실시예 1 ∼ 9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광판과의 첩부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필름을 회수하고, 그것을 자기 회수 원료로서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해도, 제막성이 우수하고 회수가 가능한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0
(백색 반사성 필름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과 입자 마스터 칩 1 을 반사층 (A 층) 의 원료로서, 황산바륨의 함유량이 45 중량% 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하고, 한편,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3 과 입자 마스터 칩 3 을 지지층 (B 층) 의 원료로서 표 4 에 기재된 함유량이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하고, 압출기에 투입하여 B 층/A 층/B 층의 층 구성이 되도록 3 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 다이스로부터 시트상으로 성형하였다. 이 때 B 층/A 층/B 층의 두께비가 2 축 연신 후에 10/80/10 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으로 조정하였다. 또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25 ℃ 의 냉각 드럼으로 냉각 고화시킨 미연신 필름으로 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유도 가열 롤군으로 유도하여 73 ℃ 로 예열하고, 계속해서 2 조 (組) 의 닙 롤의 사이를 필름 표면 온도가 95 ℃ 가 되도록 필름의 상하로부터 적외선 램프로 조사하면서 350 %/초의 연신 속도로 전후의 롤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2.9 배로 연신하고, 25 ℃ 의 롤군에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필름의 양 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95 ℃ 의 예열 존을 통과시키고 110 ℃ 로 유지된 횡연신 존으로 유도하여, 5.8 %/초의 연신 속도가 되도록 클립의 간격을 넓혀 가로 방향으로 3.6 배로 연신하였다. 그 후 텐터 내에서 185 ℃ 로 열 고정을 실시하고, 폭 수축률 2 %, 폭 수축 온도 130 ℃ 에서 가로 방향의 폭 수축을 실시하고, 이어서 필름 양 단을 잘라내어, 세로 이완율 2 % 로 열 이완하고 실온까지 차게 하여, 두께 250 ㎛ 의 2 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 17, 비교예 5 ∼ 11
B 층에 첨가하는 불활성 입자의 양태 (입자 마스터 칩), 필름의 층 구성, 연신 조건을 표 4,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4, 5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069426646-pct00005
Figure 112014069426646-pct00006
상기 실시예 10 ∼ 17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광판과의 첩부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도광판의 손상을 억제하고, 또한 입자 탈락이 억제된 백색 반사성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백색 반사성 필름은, 도광판과의 첩부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도광판의 손상을 억제하고, 또한 입자 탈락이 억제되어 있으며 자기 회수 원료를 사용해도 필름의 제막성을 잘 저하시키지 않으므로, 특히 도광판을 구비하는 면광원 반사판으로서, 그 중에서도,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되는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반사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반사층 (A) 과, 열가소성 수지와 그 안에 분산되어 함유되어 있는 불활성 입자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일방의 최외층을 형성하는 지지층 (B) 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최외층을 형성하는 지지층 (B) 의 반사층 (A) 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상기 지지층 (B) 중의 불활성 입자에 의한 돌기를 갖는 백색 반사성 필름으로서,
    a.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며, 상기 지지층 (B) 중의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경 (d) 이 2 ∼ 100 ㎛ 이고, 상기 반대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10 점 평균 조도 (Rz) 가 5 ∼ 100 ㎛ 이며 또한 높이 5 ㎛ 이상의 돌기 빈도는 106 ∼ 1010 개/㎡ 이고, 상기 돌기는, 상기 지지층 (B) 중의 불활성 입자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해 피복 두께 50 ㎚ ∼ 10 ㎛ 로 표면이 피복되어 형성되어 있는,
    혹은
    b. 상기 지지층 (B) 중의 불활성 입자가 응집 입자이며, 상기 응집 입자를 구성하는 1 차 입자의 1 차 입경 (dp) 이 3 ㎛ 이하이고, 상기 응집 입자로서의 평균 입경인 2 차 입경 (ds) 이 10 ㎛ 를 초과하고 100 ㎛ 이하이며, 지지층 (B) 중의 상기 응집 입자의 함유량이 지지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 하여 1 ∼ 50 체적% 이며, 상기 반대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10 점 평균 조도 (Rz) 가 하기 식 (1):
    0.1×ds(㎛)≤Rz(㎛)≤0.7×ds(㎛) … (1)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반사성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성 필름 a 로서, 지지층 (B) 중의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경 (d) 과 지지층 (B) 의 두께 (t) 가 하기 식 (2)-1:
    0.05×d(㎛)/t(㎛)≤20 … (2)-1
    을 만족시키는, 백색 반사성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성 필름 b 로서, 지지층 (B) 중의 응집 입자의 2 차 입경 (ds) 과 지지층 (B) 의 두께 (t) 가 하기 식 (2)-1':
    0.05×ds(㎛)/t(㎛)≤20 … (2)-1'
    를 만족시키는, 백색 반사성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성 필름 a 로서, 지지층 (B) 중의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경 (d) 과 지지층 (B) 의 두께 (t) 가 하기 식 (2)-2:
    0.1×d(㎛)/t(㎛)≤10 … (2)-2
    를 만족시키는, 백색 반사성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성 필름 b 로서, 지지층 (B) 중의 응집 입자의 2 차 입경 (ds) 과 지지층 (B) 의 두께 (t) 가 하기 식 (2)-2':
    0.1×ds(㎛)/t(㎛)≤10 … (2)-2'
    를 만족시키는, 백색 반사성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성 필름 a 로서, 지지층 (B) 중의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경 (d) 과 지지층 (B) 의 두께 (t) 가 하기 식 (2)-3:
    0.2×d(㎛)/t(㎛)≤2.5 … (2)-3
    을 만족시키는, 백색 반사성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성 필름 b 로서, 지지층 (B) 중의 응집 입자의 2 차 입경 (ds) 과 지지층 (B) 의 두께 (t) 가 하기 식 (2)-3':
    0.2×ds(㎛)/t(㎛)≤2.5 … (2)-3'
    를 만족시키는, 백색 반사성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성 필름 a 로서, 지지층 (B) 중의 불활성 입자의 함유량이 지지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 하여 0.1 ∼ 20 체적% 인, 백색 반사성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성 필름의 휘발 유기 용제량이 10 ppm 이하인, 백색 반사성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반사층 (A) 가 보이드 (void) 를 함유하고 그 반사층 (A) 의 보이드 (void) 체적률이 15 ∼ 70 체적% 이며, 지지층 (B) 는 보이드 (void) 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보이드 (void) 를 함유하고 그 지지층 (B) 의 보이드 (void) 체적률이 15 체적% 미만인, 백색 반사성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광판을 구비하는 면광원 반사판으로서 사용되는, 백색 반사성 필름.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지 라이트 방식 백라이트 유닛용 반사판으로서 사용되는, 백색 반사성 필름.
KR1020147020746A 2012-08-03 2013-08-02 백색 반사성 필름 KR101524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2931A JP5495344B2 (ja) 2012-08-03 2012-08-03 白色反射フィルム
JPJP-P-2012-172931 2012-08-03
JP2012191483A JP5495345B2 (ja) 2012-08-31 2012-08-31 白色反射フィルム
JPJP-P-2012-191483 2012-08-31
PCT/JP2013/071581 WO2014021476A1 (ja) 2012-08-03 2013-08-02 白色反射性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715A KR20140122715A (ko) 2014-10-20
KR101524992B1 true KR101524992B1 (ko) 2015-06-01

Family

ID=5002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746A KR101524992B1 (ko) 2012-08-03 2013-08-02 백색 반사성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524992B1 (ko)
CN (3) CN105866867B (ko)
TW (3) TWI595271B (ko)
WO (1) WO2014021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2937B2 (ja) * 2013-02-25 2015-05-27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CN105190371B (zh) * 2013-02-25 2017-07-21 帝人杜邦薄膜日本有限公司 白色反射膜
JP5785202B2 (ja) * 2013-02-25 2015-09-24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JP5702482B2 (ja) * 2014-03-05 2015-04-15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JP5905915B2 (ja) * 2014-03-05 2016-04-20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JP6356447B2 (ja) * 2014-03-17 2018-07-11 帝人フィ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6772729A (zh) * 2016-12-29 2017-05-31 吴中区穹窿山德毅新材料技术研究所 一种低光泽度的光学反射膜及使用该反射膜的背光模组
JPWO2020250826A1 (ko) * 2019-06-11 2020-12-17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018A (ja) * 2001-09-19 2003-03-28 Keiwa Inc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8512719A (ja) * 2004-09-13 2008-04-24 エスケーシー ハース ディスプレイ フィルムズ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反射シートおよびこれを採用し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6761B2 (en) * 2001-09-19 2005-06-14 Keiwa Inc. Reflection sheet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JP2003297122A (ja) * 2002-04-05 2003-10-17 Mitsui Chemicals Inc 反射体及びそれを用いたサイド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4145239A (ja) * 2002-08-29 2004-05-20 Mitsui Chemicals Inc 反射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リフレクター、サイド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装置、液晶表示装置
KR101330904B1 (ko) * 2005-07-11 2013-11-18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JP2006031043A (ja) * 2005-09-09 2006-02-0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TWI421166B (zh) * 2006-05-16 2014-01-01 Toray Industries 雙軸配向白色聚丙烯膜、反射板及感熱轉印記錄用收受片
JP2008088204A (ja) * 2006-09-29 2008-04-17 Asahi Kasei Chemicals Corp 良外観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発泡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166740B2 (ja) * 2007-02-06 2013-03-21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221880B2 (ja) * 2007-02-06 2013-06-26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2194405B1 (en) * 2007-09-28 2016-02-17 Toray Industries, Inc. White film and surface light sources with the same
JP5108900B2 (ja) * 2008-01-31 2012-12-26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反射板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反射板用塗布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09095894A2 (en) * 2008-02-01 2009-08-06 Alma Laser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 ultrasonic damage of adipocytes
KR101640273B1 (ko) * 2009-03-25 2016-07-15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반사판용 백색 필름
JP2010224446A (ja) * 2009-03-25 2010-10-0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の反射フィルム用白色フィルム
JP4507131B1 (ja) * 2009-05-07 2010-07-21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2782532B (zh) * 2010-03-23 2015-04-15 东丽株式会社 白色聚酯膜、使用其的光反射板以及液晶显示器用背光源
JP2011209499A (ja) * 2010-03-30 2011-10-20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面光源反射板
WO2012114895A1 (ja) * 2011-02-21 2012-08-30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光反射板、光反射板形成用樹脂組成物及び光反射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018A (ja) * 2001-09-19 2003-03-28 Keiwa Inc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8512719A (ja) * 2004-09-13 2008-04-24 エスケーシー ハース ディスプレイ フィルムズ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反射シートおよびこれを採用し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03647B (zh) 2016-07-06
TWI632403B (zh) 2018-08-11
CN105866866A (zh) 2016-08-17
TW201809737A (zh) 2018-03-16
WO2014021476A1 (ja) 2014-02-06
CN105866867A (zh) 2016-08-17
KR20140122715A (ko) 2014-10-20
CN105866867B (zh) 2017-10-31
TW201809738A (zh) 2018-03-16
TW201418790A (zh) 2014-05-16
TWI595271B (zh) 2017-08-11
TWI632402B (zh) 2018-08-11
CN104603647A (zh)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992B1 (ko) 백색 반사성 필름
JP592651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KR101810750B1 (ko) 백색 반사 필름
KR20180030855A (ko) 대형 디스플레이용 백색 반사 필름
JP5722937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06187910A (ja)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
KR101587393B1 (ko) 백색 반사 필름
KR102488716B1 (ko)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직하형 면광원
JP570248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495345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905915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495344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6363334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6352613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78520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6235299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15069020A (ja) 白色反射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