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855A - 대형 디스플레이용 백색 반사 필름 - Google Patents

대형 디스플레이용 백색 반사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855A
KR20180030855A KR1020187002780A KR20187002780A KR20180030855A KR 20180030855 A KR20180030855 A KR 20180030855A KR 1020187002780 A KR1020187002780 A KR 1020187002780A KR 20187002780 A KR20187002780 A KR 20187002780A KR 20180030855 A KR20180030855 A KR 20180030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thermoplastic resin
layer
film
calcium 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아사이
마사히로 구라가키
신이치로 오카다
도시히로 오사와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필름 솔루션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4220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702667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675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704488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77384A external-priority patent/JP6837285B2/ja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필름 솔루션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필름 솔루션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0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coatings
    • F21V7/3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coatings the coatings comprising photoluminescent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Abstract

우수한 반사 특성을 가지면서 열휨이 되기 어려운 백색 반사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는, 반사층 A 를 갖는 백색 반사 필름으로서, 상기 반사층 A 가, a. 열가소성 수지 A 에 탄산칼슘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로 이루어지고, 그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의 질량에 대해 10 질량% ∼ 70 질량% 이다, 혹은, b. 열가소성 수지 A 에 탄산칼슘 입자 및 그 열가소성 수지 A 에 비상용인 수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로 이루어지고, 그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5 질량% ∼ 69 질량% 이며, 그 비상용인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1 질량% ∼ 40 질량% 이며, 상기 탄산칼슘 입자와 상기 비상용인 수지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10 질량% ∼ 70 질량% 이다, 의 a, b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고, 그리고 상기 탄산칼슘 입자는, 평균 입경이 0.1 ㎛ ∼ 1.2 ㎛ 이며, 소입경측으로부터 적산한 10 % 체적 입경 D10, 50 % 체적 입경 D50 및 90 % 체적 입경 D90 이 (D90 - D10)/D50 ≤ 1.6 을 만족시키고, 필름의 반사율이 60 % 이상인 백색 반사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대형 디스플레이용 백색 반사 필름{WHITE-REFLECTING FILM FOR LARGE-SCALE DISPLAY}
본 발명은, 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형 디스플레이용 백색 반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면광원은, 배면에 반사판을 배치하고, 이러한 반사판에 의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면에 반사시켜 광의 취출 효율을 높여, 휘도를 향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이하, LCD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의 백라이트 유닛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의 배면에 광원 및 반사 필름을 구비하는 직하형과, 액정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면에 반사판을 구비한 도광판을 배치하고, 이러한 도광판의 측면에 광원을 구비하는 에지 라이트형이 있다. 광원으로서는, 종래는 CCFL 이 흔히 이용되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소전력화나 박형화를 위해서 발광 다이오드 (이하, LED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가 이용되고, 에지 라이트형 LED 백라이트나 직하형 LED 백라이트가 주류이다.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는, LCD 를 보다 박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한편 직하형 LED 백라이트는, 도광판을 이용하지 않는 점에서 저비용이다.
면광원은, 그 밖에도 옥내외를 밝게 하기 위한 조명용으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반사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무기 입자나 비상용 수지를 첨가하고, 그것을 연신 제막함으로써 내부에 보이드를 형성한 보이드 함유 필름이 흔히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5).
그러나 이와 같은 반사판은, 광원이나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열이나 습도에 의해 변형되어 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하, 이러한 휨을 「열휨」 이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반사판이 휘어 버리면 면광원의 휘도 불균일이 되어, 예를 들어 LCD 에 있어서는 화면의 밝기 불균일이 된다.
그래서 이러한 열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6 에서는 입자에 의한 요철면 위에 금속층을 형성한 반사면으로 함으로써, 휘어도 휘도 불균일이 되기 어렵게 하는 사상이 제창되고 있다. 또, LCD 의 저면 부재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반사판을 지지하거나 (특허문헌 7), 반사판에 휨을 흡수하는 슬릿을 넣거나 (특허문헌 8) 함으로써, 반사판의 휨을 개선하는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가공은 모두 비용이 드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3072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137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3236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887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887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0022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2918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2060호
대형의 디스플레이는, 백샤시에 회로 기판 등을 구비하기 위해, 함몰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함몰부에 열이 체류하기 쉽고, 이러한 열에 의해 열휨의 문제가 한층 더 현저하게 되는 것을 알아내어, 이것에 착안했다.
상기 배경 기술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우수한 반사 특성을 가지면서, 대형의 디스플레이에 사용했다고 해도 열휨이 되기 어려운 백색 반사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보이드 함유 필름에 있어서의 보이드의 존재가, 열휨을 보다 발생하기 쉽게 하고 있는 것에 착안했다. 그러나, 단순히 보이드를 저감시키는 것은, 반사 특성이 저감되는 방향이며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보이드 형성제로서의 무기 입자의 무게에 의해서도, 그것이 무거우면 열휨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에 착안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다.
1. 반사층 A 를 갖는 백색 반사 필름으로서,
상기 반사층 A 가,
a. 열가소성 수지 A 에 탄산칼슘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로 이루어지고, 그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의 질량에 대해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이다,
혹은,
b. 열가소성 수지 A 에 탄산칼슘 입자 및 그 열가소성 수지 A 에 비상용인 수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로 이루어지고, 그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5 질량% 이상, 69 질량% 이하이며, 그 비상용인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1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며, 상기 탄산칼슘 입자와 상기 비상용인 수지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이다, 의 a, b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고,
상기 탄산칼슘 입자는, 평균 입경이 0.1 ㎛ 이상, 1.2 ㎛ 이하이며, 소입경측으로부터 적산한 10 % 체적 입경 D10, 50 % 체적 입경 D50 및 90 % 체적 입경 D90 이 (D90 - D10)/D50 ≤ 1.6 을 만족시키고,
필름의 반사율이 60 % 이상인, 대형 디스플레이용 백색 반사 필름.
2. 상기 반사층 A 가, a. 열가소성 수지 A 에 탄산칼슘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로 이루어지고, 그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의 질량에 대해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인, 상기 1 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3. 상기 반사층 A 가, b. 열가소성 수지 A 에 탄산칼슘 입자 및 그 열가소성 수지 A 에 비상용인 수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로 이루어지고, 그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5 질량% 이상, 69 질량% 이하이며, 그 비상용인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1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며, 상기 탄산칼슘 입자와 상기 비상용인 수지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인, 상기 1 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4. 상기 반사층 A 와, 추가로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표면층 C 를 가지며,
상기 표면층 C 는, 표면층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층 입자는, 평균 입경이 2.0 ㎛ 이상, 50.0 ㎛ 이하이며, 함유량이 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의 체적에 대해 3 체적% 이상, 50 체적% 이하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대형 디스플레이용 백색 반사 필름.
5. 상기 열가소성 수지 A 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6. 상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량이, 그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전체 산성분 100 몰% 에 대해 1 몰% 이상, 20 몰% 이하인, 상기 5 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7. 백색 반사 필름의 두께 100 % 에 대한 상기 반사층 A 의 두께 비율이 50 % 이상인,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8. 추가로 열가소성 수지 B 또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B 로 이루어지는 지지층 B 를 갖는,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9.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을 사용한, 면광원.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1 은,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가 작은 황산바륨을 사용하고 있고, 황산바륨은 비중이 무겁기 때문에 열휨이 생기기 쉬운 양태이다. 또, 특허문헌 2 ∼ 5 는, 탄산칼슘 입자를 사용하고, 그 90 % 체적 입경 D90 과 10 % 체적 입경 D10 의 비 D90/D10 에 대해 개시가 있지만, 실제로는 본 발명과 같이 좁은 입도 분포의 영역까지는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모두 열휨의 과제에 대해 인식이 없고, 그러한 관점에서의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반사 특성을 가지면서, 대형의 디스플레이에 사용했다고 해도 열휨이 되기 어려운 백색 반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첩부 평가에 사용하는 구성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의 부호
1 : 샤시
2 : 백색 반사 필름, 도광판, 광학 시트의 적층물
3 : 정삼각형형의 대
4 : 추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양태 a) 열가소성 수지 A 에 특정 양태의 탄산칼슘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로 이루어지는 반사층 A 를 갖거나, 혹은,
(양태 b) 열가소성 수지 A 에 특정 양태의 탄산칼슘 입자 및 그 열가소성 수지 A 에 비상용인 수지 (이하, 비상용 수지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로 이루어지는 반사층 A 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성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사층 A]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사층 A 는, 열가소성 수지 A 에 탄산칼슘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로 이루어지거나, 열가소성 수지 A 에 탄산칼슘 입자와 비상용 수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탄산칼슘 입자 및/또는 비상용 수지가 보이드 형성제로서 기능하여 층 중에 보이드를 함유하고, 백색을 나타내도록 한 층이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를 통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반사층 A 는, 이러한 보이드에 의해 반사 기능을 발휘한다. 반사층 A 의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이다. 이로써 백색 반사 필름의 반사율을 바람직한 범위로 하기 쉬워진다.
반사층 A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층 중에 보이드를 갖는 것이지만, 이러한 보이드의 체적이 반사층 A 의 체적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 즉 보이드 체적률은, 15 체적% 이상, 70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반사율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반사율이 얻기 쉬워진다. 또,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보이드 체적률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바람직한 반사율이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체적%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체적% 이상이다. 한편, 너무 높은 경우에는,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체적%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체적% 이하이다.
보이드 체적률은,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탄산칼슘 입자의 크기나 양, 비상용 수지의 종류나 양을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A)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A 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성분, 이소프탈산 성분,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성분, 아디프산 성분, 세바크산 성분을 들 수 있다. 디올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성분, 1,4-부탄디올 성분,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성분, 1,6-헥산디올 성분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및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호모폴리머여도 되지만, 필름을 1 축 혹은 2 축으로 연신할 때에 결정화가 억제되어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높아지는 점에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나아가서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상기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을 들 수 있지만, 내열성이 높고,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높다는 관점에서, 이소프탈산 성분,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의 함유 비율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 100 몰% 를 기준으로서, 예를 들어 1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 몰%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2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8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1 몰% 이하이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또, 열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열휨의 억제 효과를 보다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A 는, 융점이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 280 ℃ 이하이다. 이로써 열휨이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너무 낮으면 열휨의 억제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너무 높으면 취급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 ℃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27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65 ℃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A 로서는,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스테르와 그 폴리에스테르와는 상이한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탄산칼슘 입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사층 A 가 보이드 형성제로서 특정의 양태를 구비하는 탄산칼슘 입자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산칼슘 입자는, 평균 입경이 0.1 ㎛ 이상, 1.2 ㎛ 이하이며, 또, (D90 - D10)/D50 이 1.6 이하이다. 여기서 D10, D50 및 D90 은, 각각 탄산칼슘 입자의 소입경측으로부터 적산한 10 % 체적 입경, 50 % 체적 입경 및 90 % 체적 입경이다. 이와 같은 양태의 탄산칼슘 입자를 채용함으로써, 높은 반사율을 가지면서 열휨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조대 보이드가 존재하면 그것에 의해 열휨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바, 평균 입경이 작고 또한 입도 분포가 샤프한 탄산칼슘 입자를 채용함으로써 내부에 비교적 작은 보이드 (이하, 마이크로 보이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가 다수 존재하는 필름의 양태로 하고, 조대 보이드에 의한 열휨을 억제하는 것이다. 입도 분포가 브로드하면 조대 입자가 존재하게 되고, 그것에 의해 조대 보이드가 형성되기 쉽다. 또 동시에, 보이드와 열가소성 수지의 계면의 양에 대해서는 그 저감을 억제하여, 높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산칼슘 입자는 비교적 작은 비중이기 때문에, 입자와 열가소성 수지의 질량차 또는 밀도차가 작기 때문에, 보이드 이외의 부분에서 국소적인 밀도차가 생기기 어렵다. 그것에 의해서도 열휨이 억제된다.
탄산칼슘 입자의 평균 입경은, 너무 크면 조대 보이드가 형성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어, 열휨을 억제할 수 없다. 따라서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1.1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5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9 ㎛ 이하이다. 한편, 너무 작아도 입자끼리가 응집해 버려 조대 보이드를 형성하는 원인이 되고, 그러한 탄산칼슘 입자를 얻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 이상이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는, 탄산칼슘 입자의 평균 입경은, 너무 크면 열휨이 억제하기 어려워지는 반면, 너무 작아도 응집에 의해 조대 보이드를 형성하기 쉬워져, 열휨이 억제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고, 열휨 억제와 반사율 향상의 밸런스의 점, 및 비용의 점도 있어, 어느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탄산칼슘 입자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1.2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8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 ㎛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0.6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5 ㎛ 이상이다.
(D90 - D10)/D50 은, 상기 서술한 관점에서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이하이다. 하한은 이론적으로는 0 이며, 실제적으로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양태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탄산칼슘 입자로서, 합성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입자 (이하, 합성 탄산칼슘 입자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를 채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탄산칼슘 입자로서는, 천연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입자 (이하, 천연 탄산칼슘 입자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와 합성 탄산칼슘 입자가 있고, 통상적으로는 천연 탄산칼슘 입자가 사용된다. 그러나, 천연 탄산칼슘 입자에서는 상기 양태를 만족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향이 있어,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는 것이 곤란한 경향이 있다.
탄산칼슘 입자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된 각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하기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합성 시의 에스테르화의 단계 혹은 에스테르 교환 반응 종료 후에 첨가하는 방법.
(나)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하여, 용융 혼련하는 방법.
(다) 상기 (가) 또는 (나) 의 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탄산칼슘 입자를 다량 첨가한 마스터 펠릿을 제조하고, 이것과 희석 폴리머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련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소정량의 탄산칼슘 입자를 함유시키는 방법.
(라) 상기 (다) 의 마스터 펠릿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
(탄산칼슘 입자의 표면 처리)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산칼슘 입자는, 표면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탄산칼슘 입자 표면의 Ca 활성을 실활시켜, 표면의 Ca 활성이 실활된 탄산칼슘 입자로 할 수 있고, 가스 마크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제로서는, 인산, 아인산, 포스폰산, 혹은 이들의 유도체 등의 인 화합물, 및, 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중에서도 인 화합물에 의한 표면 처리가 바람직하고, 이러한 인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인산, 아인산, 인산트리메틸에스테르, 인산트리부틸에스테르, 인산트리페닐에스테르, 인산모노 혹은 디메틸에스테르, 아인산트리메틸에스테르, 메틸포스폰산, 메틸술폰산디에틸에스테르, 페닐포스폰산디메틸에스테르, 페닐포스폰산디에틸에스테르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인산, 아인산 및 그들의 에스테르 성형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산트리메틸로 표면 처리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 인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탄산칼슘 입자의 표면 처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 화합물에 의해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인 화합물과 탄산칼슘 입자를 물리적으로 혼합하는 방법 (물리적 혼합 방법) 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리적 혼합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롤 전동 밀, 고속 회전식 분쇄기, 볼 밀, 제트밀 등의 각종의 분쇄기를 사용하여, 탄산칼슘을 분쇄하면서 인 화합물로 표면 처리하는 방법, 혹은 용기 자신이 회전하는 용기 회전형 혼합기, 고정 용기 내에 회전 날개를 가지거나, 혹은 기류를 불어넣는 용기 고정형 혼합기 등을 사용하여 표면 처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나우터 믹서, 리본 믹서, 헨셸 믹서 등의 혼합기가 바람직하다.
또 그 때의 처리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탄산칼슘 입자의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분산성, 폴리에스테르의 고온 체류 시의 이물질 발생, 발포의 관점에서, 처리 온도는 30 ℃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0 ℃ 이상, 특별하게는 90 ℃ 이상이 바람직하다. 처리 시간은 5 시간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3 시간 이내, 특별하게는 2 시간 이내가 바람직하다. 또, 인 화합물은 탄산칼슘 입자와 동시에 혼합해도 되고, 또 미리 탄산칼슘 입자를 주입한 후에 인 화합물을 첨가해도 된다. 그 때에, 인 화합물은 적하시켜도, 분무시켜도 되고, 나아가서는 물 혹은 알코올 등에 용해 혹은 분산시킨 것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탄산칼슘 입자의 표면 처리제를 폴리에스테르에 첨가, 배합하고, 이어서 거기에 탄산칼슘 입자를 첨가하여, 탄산칼슘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즉 중합 반응이 완료할 때까지의 임의의 단계에서, 혹은 중합 반응 완료 후부터 용융 혼련을 실시할 때까지의 단계에서, 표면 처리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표면 처리제의 첨가량은, 탄산칼슘 입자 표면의 Ca 활성이 충분히 실활되는 양이면 되지만, 예를 들어 탄산칼슘 입자의 질량에 대해 인 원소의 양이 0.1 질량% 이상이 되는 양이다. 한편, 너무 첨가하면 필름 중에 인 화합물이 다량으로 잔존해 버려, 환경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또 압출기 내 등에 있어서 탄산칼슘 입자끼리가 응집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비상용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양태 b 에 있어서는, 반사층 A 가 보이드 형성제로서 비상용 수지를 함유한다.
이러한 비상용 수지로서는,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A 와 비상용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A 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시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페닐렌술파이드 수지, 불소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단독 중합체여도 공중합체여도 된다. 특히, 열가소성 수지 A,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A 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이다, 와의 임계 표면 장력차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연신 후의 열처리에 의해 변형되기 어려운 수지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인 에틸렌과 비시클로알켄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 비상용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180 ℃ 이상, 22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90 ℃ 이상, 220 ℃ 이하이다. 유리 전이 온도가 180 ℃ 보다 낮은 영역에서는,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 연신 시에 발현한 보이드가 변형되고, 보이드 사이즈의 불균일성을 야기하여, 조대 보이드가 형성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어, 열휨 억제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 220 ℃ 보다 높은 영역에서는,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A 와 용융 혼련할 때, 비상용 수지가 충분히 용융되지 않고 미분산화가 촉진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어, 이로써도 열휨 억제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비상용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직사슬의 올레핀부, 이러한 올레핀부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부이다, 와 시클로올레핀부, 이러한 시클로올레핀부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렌-노르보르넨부인, 의 공중합 비율을 제어함으로써, 임의로 변경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리 전이 온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시클로올레핀부의 공중합 비율을 올림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비상용 수지로서, 폴리플라스틱스사의 TOPAS (등록상표) COC 시리즈, 예를 들어 그레이드 6017S-04 등을 들 수 있다.
(양태 a 에 있어서의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
양태 a 에 있어서, 반사층 A 는 탄산칼슘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에 있어서의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은,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의 질량을 기준으로서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이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보이드 체적률로 하기 쉬워지고, 그것에 의해 높은 반사율로 할 수 있다. 또, 열휨이 억제된다. 또한,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반사율이 낮아진다. 한편, 함유율이 너무 많으면 보이드가 너무 많아져 열휨을 억제할 수 없다. 이들 관점에서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이다.
(양태 b 에 있어서의 탄산칼슘 입자와 비상용 수지의 함유량)
양태 b 에 있어서,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에 있어서의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은,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을 기준으로서 5 질량% 이상, 69 질량% 이하이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보이드 체적률로 하기 쉬워지고, 그것에 의해 높은 반사율로 할 수 있다. 또, 열휨이 억제된다. 또한,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반사율이 낮아진다. 한편, 함유율이 너무 많으면 보이드가 너무 많아져 열휨을 억제할 수 없다. 이들 관점에서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이다.
양태 b 에 있어서,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에 있어서의 비상용 수지의 함유량은,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을 기준으로서 1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다. 이로써 열휨을 억제한 채로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보이드 체적률로 하기 쉬워지고, 그것에 의해 높은 반사율로 할 수 있다. 또한,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반사율이 낮아진다. 한편, 함유율이 너무 많으면 보이드가 너무 많아져 열휨을 억제할 수 없다. 또, 비교적 내열성이 낮은 비상용 수지가 필름 중에 많이 존재하게 되고, 그것에 의해서도 열휨이 억제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이들 관점에서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이다.
양태 b 에 있어서,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중의 탄산칼슘 입자와 비상용 수지의 함유량의 합계는,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을 기준으로서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이다. 이로써 열휨을 억제한 채로,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보이드 체적률로 하기 쉬워지고, 그것에 의해 높은 반사율로 할 수 있다. 또한,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합계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반사율이 낮아진다. 한편, 합계 함유율이 너무 많으면, 상기 서술한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이 너무 많은 경우나 비상용 수지의 함유량이 너무 많은 경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열휨을 억제할 수 없다. 이들 관점에서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이다.
(그 밖의 성분)
반사층 A, 이것은 즉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 일 수 있다, 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그 밖의 성분,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형광 증백제, 왁스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탄산칼슘 입자나 비상용 수지와는 상이한 입자나 수지 등의 보이드 형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지지층 B]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에, 추가로 열가소성 수지 B 또는 열가소성 수지 B 에 입자 등을 첨가한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B 로 이루어지는 지지층 B 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층 B 에 의해 연신 제막성을 향상하거나, 열휨을 한층 더 억제하거나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보다 보이드가 적거나, 혹은, 가능한 한 내열성이 높은 조성이 되는 지지층 B 를 반사층 A 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함으로써, 열에 의한 국소적인 변형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고, 열휨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지층 B 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열가소성 수지 B)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지층 B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B 로서는,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A 와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와 동일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및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호모폴리머여도 되지만, 필름을 1 축 혹은 2 축으로 연신할 때에 결정화가 억제되어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높아지는 점에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나아가서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반사층 A 의 항에서 상기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을 들 수 있지만, 내열성이 높고,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높다는 관점에서, 이소프탈산 성분,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의 함유 비율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 100 몰% 를 기준으로서, 예를 들어 1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몰%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2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8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몰% 이하이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또, 열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열휨의 억제 효과를 보다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B 는, 융점이 바람직하게는 190 ℃ 이상, 280 ℃ 이하이다. 이로써 열휨이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너무 낮으면 열휨의 억제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너무 높으면 취급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19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27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70 ℃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지층 B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B 로서는,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스테르와 그 폴리에스테르와는 상이한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그 밖의 성분)
지지층 B 는, 상기의 열가소성 수지 B 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 성분을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B 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임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형광 증백제,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또, 지지층 B 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반사층 A 에 있어서 예시한 보이드 형성제를 임의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러한 양태로 함으로써 반사율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그 반면, 지지층 B 에 있어서의 보이드 형성제의 함유량을 적게 하거나, 보이드 형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이들의 관점에서, 지지층 B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 이러한 보이드 체적률은 지지층 B 의 체적에 대한 지지층 B 에 있어서의 보이드의 체적의 비율이다, 은 0 체적% 이상, 15 체적%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체적%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체적% 이하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사 특성과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보이드 체적률과, 이러한 지지층 B 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보이드 체적률을 동시에 채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표면층 C]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표면층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로 이루어지는 표면층 C 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표면층 C 에 의해, 반사광에 확산성을 부여하거나, 도광판과 접했을 때에 도광판과의 갭을 확보하거나, 도광판의 손상을 억제하거나 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표면층 C 는 필름에 있어서 반사면측이 되고,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광원측 또는 도광판측이 된다. 또, 이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이러한 표면층 입자의 평균 입경은 2.0 ㎛ 이상, 50.0 ㎛ 이하이며, 또,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의 체적에 대해 3 체적% 이상, 50 체적% 이하이다.
또, 상기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표면층 C 의 표면으로서 반사층 A 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있어서는 상기 표면층 입자에 의해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표면의 양태로서는, 중심선 평균 조도 Ra 로 0.1 ㎛ 이상, 6.0 ㎛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점 평균 조도 Rz 로 3.0 ㎛ 이상, 40.0 ㎛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Ra 와 Rz 는, 양방 이러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층 C 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열가소성 수지 C)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층 C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C 로서는,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A 와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와 동일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및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호모폴리머여도 되지만, 필름을 1 축 혹은 2 축으로 연신할 때에 결정화가 억제되어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높아지는 점에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나아가서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반사층 A 의 항에서 상기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을 들 수 있지만, 내열성이 높고,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높다는 관점에서, 이소프탈산 성분,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의 함유 비율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 100 몰% 를 기준으로서 예를 들어 1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몰%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2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8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몰% 이하이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또, 열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열휨의 억제 효과를 보다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C 는, 융점이 바람직하게는 225 ℃ 이상, 260 ℃ 이하이다. 이로써 열휨이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너무 낮으면 열휨의 억제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너무 높으면 취급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35 ℃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258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6 ℃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층 C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C 로서는,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스테르와 그 폴리에스테르와는 상이한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표면층 입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층 C 를 가짐으로써, 반사광에 확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도광판과 접하여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도광판과의 갭을 확보하거나, 도광판의 손상을 억제하거나 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먼저, 반사광에 확산성을 부여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표면층 입자의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양태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바람직하고, 특히 렌즈 캡을 구비하는 광원, 이러한 광원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LED 광원이다, 을 갖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효과를 보다 잘 발휘하기 위해서, 표면층 C 의 외측 표면은, Ra 가 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이며, 또,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7 ㎛ 이하이다. Rz 는,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 이하이다. 또한, 이러한 표면의 양태는, 후술하는 표면층 입자의 평균 입경이나 함유량을 참조하여 적절히 조정하면 달성 가능하다.
이 때에 표면층 C 에 사용하는 표면층 입자로서는, 평균 입경이 2.0 ㎛ 이상, 4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양태로 함으로써, 반사광의 확산성이 향상되기 쉬워진다. 평균 입경이 너무 작으면 돌기가 형성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반사광의 확산성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표면층 입자의 평균 입경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이다. 한편, 사용하는 표면층 입자가 너무 크면 필름을 생산할 때에 필터 등을 폐색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또, 표면층 C 로부터 표면층 입자가 탈락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이다.
또, 표면층 C 의 상기 서술한 기능을 보다 발휘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표면층 C 에 있어서의 표면층 입자의 함유량은, 표면층 C, 이것은 즉 표면층 C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일 수 있다, 의 체적을 기준으로서 3 체적% 이상, 50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반사광의 확산성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너무 많으면 필터의 막힘이 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또 표면층 입자가 탈락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체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체적%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체적%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체적%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체적%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체적%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체적%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층 C 에 사용되는 표면층 입자는, 그 종류를 불문하고 유기 입자여도, 무기 입자여도, 유기 무기 복합 입자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대해 설명하면, 바람직한 유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불소 함유 수지 입자, 고내열 나일론 입자, 고내열 아크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 바람직한 무기 입자로서는, 산화티탄 입자, 황산바륨, 탄산칼슘, 산화아연 입자, 산화지르코늄 입자, 산화알루미늄 입자, 실리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응집 입자가 바람직하고, 응집 무기 입자가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응집 실리카 입자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표면층 입자의 채용에 의해 보다 바람직한 확산성으로 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층 C 의 표면층 입자로서 응집 입자를 채용함으로써, 응집 입자 중에 있어서도 광의 확산이 요망되는 점에서, 반사광의 확산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바람직하다. 또, 응집 입자의 채용에 의해, 제막 연신 시의 파단 불량을 보다 억제하거나, 자기 회수 원료를 이용하여 필름 생산할 때의 파단 불량이나 광학 특성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거나 하는 효과도 있다.
또, 상기의 무기 입자 및 고내열 나일론 입자, 고내열 아크릴 입자는, 가열 가공해도 용융이나 가스 발생하기 어렵다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표면층 C 의 형성 시에 입도 분포나 형상에 변화가 생기기 어렵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광판과의 갭 확보, 도광판의 손상 억제의 기능을 부여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표면층 입자의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양태는, 특히 도광판을 구비하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효과를 보다 잘 발휘하기 위해서, 표면층 C 의 외측 표면은, Ra 가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며, 또, 6.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 이하이다. Rz 는,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4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 이하이다. 또한, 이러한 표면의 양태는, 후술하는 표면층 입자의 평균 입경이나 함유량을 참조하여 적절히 조정하면 달성 가능하다.
이 때에 표면층 C 에 사용하는 표면층 입자로서는, 평균 입경이 3.0 ㎛ 이상, 5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양태로 함으로써, 도광판과의 갭 확보 및 도광판의 손상 억제가 되기 쉽다. 평균 입경이 너무 작으면 돌기가 형성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도광판과의 갭 확보가 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 도광판에 상처가 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표면층 입자의 평균 입경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다. 한편, 사용하는 표면층 입자가 너무 크면 필름을 생산할 때에 필터를 폐색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또, 표면층 입자의 탈락이나 그것에 의한 도광판이 손상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48.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6.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4.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2.0 ㎛ 이하이다.
또, 표면층 C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의 양태를 보다 만족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표면층 C 에 있어서의 표면층 입자의 함유량은, 표면층 C, 이것은 즉 표면층 C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일 수 있다, 의 체적을 기준으로서 3 체적% 이상, 50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도광판과의 갭 확보나 도광판의 손상 억제를 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너무 많으면 필터의 막힘이 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또 표면층 입자가 탈락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체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체적%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체적%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체적%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체적%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체적%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체적%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층 C 에 사용되는 표면층 입자는, 그 종류를 불문하고 유기 입자여도, 무기 입자여도, 유기 무기 복합 입자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대해 설명하면, 바람직한 유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불소 함유 수지 입자, 고내열 나일론 입자, 고내열 아크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 바람직한 무기 입자로서는, 응집 무기 입자가 바람직하다. 그 응집 무기 입자로서는, 응집 산화티탄 입자, 응집 황산바륨 입자, 응집 탄산칼슘 입자, 응집 산화아연 입자, 응집 산화지르코늄 입자, 응집 산화알루미늄 입자, 응집 실리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응집 실리카 입자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표면층 입자의 채용에 의해 도광판과의 갭 확보 및 도광판의 손상 억제의 효과가 보다 우수하다. 이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무기 입자로서 응집 입자를 채용함으로써, 표면층 입자가 적당한 유연함이 되어, 도광판과의 갭 확보를 하면서, 도광판의 손상 억제 효과를 보다 향상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바람직하다. 또, 응집 입자의 채용에 의해, 제막 연신 시의 파단 불량을 보다 억제하거나, 자기 회수 원료를 이용하여 필름 생산할 때의 파단 불량이나 광학 특성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거나 하는 효과도 있다.
또, 상기의 무기 입자 및 고내열 나일론 입자, 고내열 아크릴 입자는, 가열 가공해도 용융이나 가스 발생하기 어렵다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표면층 C 의 형성 시에 입도 분포나 형상에 변화가 생기기 어렵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성분)
표면층 C 는, 상기의 열가소성 수지 C 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 성분을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임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형광 증백제,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또, 표면층 C 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반사층 A 에 있어서 예시한 보이드 형성제를 임의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러한 양태로 함으로써 반사율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그 반면, 표면층 C 에 있어서의 보이드 형성제의 함유량을 적게 하거나, 보이드 형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이들의 관점에서, 표면층 C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 이러한 보이드 체적률은 표면층 C 의 체적에 대한 표면층 C 에 있어서의 보이드의 체적의 비율이다, 은, 0 체적% 이상, 15 체적%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체적%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체적% 이하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사 특성과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보이드 체적률과, 이러한 표면층 C 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보이드 체적률을 동시에 채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층 구성]
본 발명에 있어서 백색 반사 필름의 두께는, 155 ㎛ 이상, 3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러한 두께는, 백색 반사 필름이 반사층 A 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반사층 A 의 두께이다. 이로써 반사율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열휨 억제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너무 얇으면 반사율의 향상 효과가 낮고, 또, 열휨 억제의 향상 효과가 낮고, 한편 너무 두꺼운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80 ㎛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34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20 ㎛ 이하이다.
반사층 A 는, 백색 반사 필름 전체의 두께를 100 % 로 했을 때의 두께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이다. 여기서 이러한 두께 비율은, 반사층 A 를 복수 갖는 경우에는 합계 두께의 비율이다. 또, 지지층 B 를 갖는 경우, 그 두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여기서 이러한 두께 비율은, 지지층 B 를 복수 갖는 경우에는 합계 두께의 비율이다. 이로써, 반사 특성이나 연신 제막성 등의 각 특성의 밸런스를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또, 이들 밸런스를 보다 좋게 하면서 열휨 억제의 향상 효과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지층 B 의 두께는, 2 ㎛ 이상, 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러한 두께는, 필름 중에 지지층 B 를 복수 갖는 경우에는 합계 두께이다. 이로써,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고, 또, 열휨의 억제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열수축을 작게 할 수 있다. 지지층 B 가 너무 얇으면,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 열휨의 억제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너무 두꺼워도 상기 효과는 그다지 변하지 않아, 비효율적이다. 이들 관점에서, 지지층 B 의 두께 (합계 두께)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 이하이다.
또, 반사층 A 의 반사면측에 지지층 B 를 갖는 경우에는, 그 지지층 B 의 두께가 반사율에 영향을 미친다. 즉, 반사층 A 의 반사면측의 지지층 B 의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반사율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너무 얇으면 반사층 A 의 탄산칼슘 입자 탈락의 억제 효과나, 반사층 A 의 탄산칼슘에 의한 장치나 타부재의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들 관점에서, 지지층 B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40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2.5 ㎛ 이하이다. 여기서 이러한 두께는, 지지층 B 의 1 층의 두께이다.
백색 반사 필름이 반사층 A 와 지지층 B 를 갖는 경우, 그 적층 구성은, 반사층 A 를 A, 지지층 B 를 B 로 나타냈을 때에, B/A 의 2 층 구성, A/B/A 나 B/A/B 의 3 층 구성, B/A/B/A 나 B/A/B'/A 의 4 층 구성, 또 동일하게 A 와 B 를 갖는 5 층 이상의 다층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B' 는, 지지층 B 와 동일한 구성이며 다른 구성의 지지층 B' 를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B/A 의 2 층 구성, A/B/A, B/A/B 의 3 층 구성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B/A/B 의 3 층 구성이며, 연신 제막성이 보다 우수하다. 또, 표리의 지지층 B 가 가까운 두께 범위이면, 컬 등의 문제가 생기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사층 A 와 지지층 B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른 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대전 방지성이나 도전성, 자외선 내구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층은, 바람직하게는 도포층이다. 또, 반사광에 확산성을 부여하기 위해, 혹은 도광판과의 갭을 확보하기 위한, 비드를 함유하는 비드층을, 반사면측의 적어도 편면의 최표면에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표면층 C 는 비드층의 바람직한 일 양태이다.
표면층 C 를 갖는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층 C 의 두께는, 5 ㎛ 이상, 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러한 두께는, 필름 중에 표면층 C 를 복수 갖는 경우에는 광원측 또는 도광판측이 되는 1 층의 두께이다. 이로써 표면층 C 의 상기 서술한 효과를 보다 발휘하기 쉬워진다. 너무 얇으면 표면층 입자의 탈락이 발생하기 쉽고, 한편 너무 두꺼우면 돌기 형성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어, 상기 서술한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며, 또, 60 ㎛ 이하이다.
백색 반사 필름이 반사층 A 와 표면층 C 를 갖는 경우, 그 적층 구성은, 반사층 A 를 A, 표면층 C 를 C 로 나타냈을 때에, C/A 의 2 층 구성, C/A/C 의 3 층 구성, C/A/C/A 나 C/A/C'/A 의 4 층 구성, 또 동일하게 A 와 C 를 갖는 5 층 이상의 다층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표면에 없는 C 는, 표면층 C 와 동일한 구성의 내면층 C 를 나타낸다. 또 C' 는, 표면층 C 와 동일한 구성이며 다른 구성의 표면층 C' 를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C/A 의 2 층 구성, C/A/C 의 3 층 구성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C/A/C 의 3 층 구성이며, 연신 제막성이 보다 우수하다. 또, 표리의 표면층 C 가 가까운 두께 범위이면, 컬 등의 문제가 생기기 어렵다.
또, 백색 반사 필름이 반사층 A, 지지층 B 및 표면층 C 를 갖는 경우, 그 적층 구성은, 지지층 B 를 B 로 나타냈을 때에, C/B/A 나 C/A/B 의 3 층 구성, C/A/B/A 나 C/B/A/B 의 4 층 구성, C/B/A/B/A 나 C/B/A/B'/A 의 5 층 구성, 또 동일하게 A 와 B 를 갖는 6 층 이상의 다층 구성의 적어도 편방의 표면에 표면층 C 를 갖는 다층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B' 는, 지지층 B 와 동일한 구성이며 다른 구성의 지지층 B' 를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C/B/A, C/A/B 의 3 층 구성, C/A/B/A, C/B/A/B 의 4 층 구성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C/B/A/B 의 4 층 구성이며, 연신 제막성이 보다 우수하다. 또, 표리의 지지층 B 가 가까운 두께 범위이면, 컬 등의 문제가 생기기 어렵다.
[필름의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반사층 A 는 용융 압출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백색 반사 필름이 반사층 A 와 지지층 B 의 적층 구성인 경우, 또는 반사층 A 와 표면층 C 의 적층 구성인 경우, 또는 반사층 A 와 지지층 B 와 표면층 C 의 적층 구성인 경우는, 이들 각 층을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연신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반사층 A 와 지지층 B, 또는 반사층 A 와 표면층 C, 또는 반사층 A 와 지지층 B 와 표면층 C 는, 공압출법에 의해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압출법으로 적층함으로써, 각 층의 계면 밀착성을 높게 할 수 있는 데다, 필름을 첩합 (貼合) 하거나, 필름의 제막 후에 다시 지지층 B 나 표면층 C 를 형성하거나 하기 위한 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저렴하게, 용이하게 양산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의 보다 구체적인 제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제법으로 한정은 되지 않고, 또 하기를 참고로 다른 양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 때, 압출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하의 「용융 압출 온도」 는, 예를 들어 「용융 온도」 라고 바꿔 읽으면 된다. 또한, 여기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을 Tm (단위 : ℃), 유리 전이 온도를 Tg (단위 : ℃) 로 한다.
반사층 A 와 지지층 B 를 갖는 경우로서,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A 및 지지층 B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B 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채용하고, 적층 방법으로서 공압출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먼저, 반사층 A 를 형성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 이것은, 열가소성 수지 A 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채용한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A 라고도 한다, 로서, 폴리에스테르와 탄산칼슘 입자와 비상용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비상용 수지로서 시클로올레핀과, 다른 임의 성분을 혼합한 것을 준비한다. 또, 지지층 B 를 형성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B, 이것은, 열가소성 수지 B 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채용한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B 라고도 한다, 로서 폴리에스테르와, 다른 임의 성분을 혼합한 것을 준비한다. 여기서 지지층 B 에 대해서는, 다른 임의 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 B,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B 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이다, 를 사용해도 된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건조시켜 충분히 수분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또, 반사층 A 와 표면층 C 를 갖는 경우로서,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A 및 표면층 C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C 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채용하고, 적층 방법으로서 공압출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먼저, 반사층 A 를 형성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 이것은, 열가소성 수지 A 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채용한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A 라고도 한다, 로서 폴리에스테르와, 탄산칼슘 입자와, 다른 임의 성분을 혼합한 것을 준비한다. 또, 표면층 C 를 형성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이것은, 열가소성 수지 C 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채용한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C 라고도 한다, 로서 폴리에스테르와, 표면층 입자와, 다른 임의 성분을 혼합한 것을 준비한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건조시켜 충분히 수분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다음으로, 건조시킨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각각 다른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압출한다. 용융 압출 온도는, Tm 이상이 필요하고, Tm + 40 ℃ 정도로 하면 된다.
또 이 때,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특히 반사층 A 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A 는, 선직경 15 ㎛ 이하의 스테인리스강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평균 눈금 크기 10 ㎛ 이상, 100 ㎛ 이하의 부직포형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여과를 실시함으로써, 통상적으로는 응집하여 조대 응집 입자가 되기 쉬운 입자의 응집을 억제하고, 조대 이물질이 적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응집한 입자를 억제함으로써 마이크로 보이드 형성하기 쉬워져, 열휨이 보다 억제된다. 또한, 부직포의 평균 눈금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이다. 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3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이다. 여과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용융한 상태로 피드 블록을 사용한 동시 다층 압출법, 즉 공압출법에 의해, 다이로부터 다층 상태로 압출하여, 미연신 적층 시트를 제조한다. 다이로부터 압출된 미연신 적층 시트를, 캐스팅 드럼으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적층 필름으로 한다.
이어서, 이 미연신 적층 필름을 롤 가열, 적외선 가열 등으로 가열하고, 제막 기계축 방향 (이하, 종방향 또는 길이 방향 또는 MD 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으로 연신하여 종연신 필름을 얻는다. 이 연신은 2 개 이상의 롤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연신 후의 필름은, 계속해서 텐터로 유도되어, 종방향과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 (이하, 횡방향 또는 폭방향 또는 TD 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으로 연신하여, 2 축 연신 필름으로 한다.
연신 온도로서는, 폴리에스테르의 Tg 이상,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의 Tg 이상, Tg + 30 ℃ 이하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신 제막성이 보다 우수하고, 또 보이드가 바람직하게 형성되기 쉽다. 또, 연신 배율로서는, 종방향, 횡방향 모두, 바람직하게는 2.5 ∼ 4.3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7 ∼ 4.2 배이다. 연신 배율이 너무 낮으면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또 보이드가 형성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한편 너무 높으면 제막 중에 파단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종연신을 실시하고 그 후 횡연신을 실시하는 것과 같은 축차 2 축 연신 시에는, 2 단째, 즉 이 경우에는 횡연신이다, 는 1 단째의 연신 온도보다 10 ∼ 50 ℃ 정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1 단째의 연신으로 배향한 것에 의해 1 축 필름으로서의 Tg 가 업되어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
또, 각 연신 전에는 필름을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횡연신의 예열 처리는 폴리에스테르,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이다, 의 Tg + 5 ℃ 보다 높은 온도부터 시작하여, 서서히 승온하면 된다. 횡연신 과정에서의 승온은 연속적이어도 단계적 (축차적이라고도 한다.) 이어도 되지만 통상적으로 축차적으로 승온한다. 예를 들어 텐터의 횡연신 존을 필름 주행 방향을 따라 복수로 나누어, 존마다 소정 온도의 가열 매체를 흘림으로써 승온한다.
2 축 연신 후의 필름은, 계속해서, 열고정, 열이완의 처리를 순차 실시하여 2 축 배향 필름으로 하지만, 용융 압출로부터 연신에 계속해서, 이들의 처리도 필름을 주행시키면서 실시할 수 있다.
2 축 연신 후의 필름은, 클립으로 양단을 파지한 채로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을 Tm 으로서 (Tm - 10 ℃) ∼ (Tm - 100 ℃) 에서, 정폭 또는 10 % 이하의 폭 감소하에서 0.01 ∼ 100 초간 열처리하여, 열고정하고, 열수축률을 저하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이러한 융점은,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이다. 이러한 열처리 온도가 너무 높으면 필름의 평면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어, 두께 불균일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너무 낮으면 열수축률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 이로써 열휨의 억제 효과를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 열수축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파지하고 있는 필름의 양단을 잘라내고, 필름 종방향의 인취 속도를 조정하여, 종방향으로 이완시킬 수 있다. 이완시키는 수단으로서는 텐터출측의 롤군의 속도를 조정한다. 이완시키는 비율로서, 텐터의 필름 라인 속도에 대해 롤군의 속도 다운을 실시하고, 바람직하게는 0.1 ∼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2.3 %,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 2.0 % 의 속도 다운을 실시하여 필름을 이완 (이하, 이 값을 「이완률」 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하여, 이완률을 컨트롤함으로써 종방향의 열수축률을 조정한다. 또, 이로써 열휨의 억제 효과를 보다 향상할 수 있다. 필름 횡방향에 대해서는, 양단을 잘라낼 때까지의 과정에서 폭 감소시켜, 원하는 열수축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2 축 연신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종-횡의 축차 2 축 연신법 이외에도, 횡-종의 축차 2 축 연신법이어도 된다. 또, 동시 2 축 연신법을 사용하여 제막할 수 있다. 동시 2 축 연신법의 경우, 연신 배율은, 종방향, 횡방향 모두 예를 들어 2.7 ∼ 4.3 배, 바람직하게는 2.8 ∼ 4.2 배이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백색 반사 필름의 특성]
(반사율, 정면 휘도)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의 반사율은, 60 %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7 % 이상이다. 반사율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등에 사용한 경우에는,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반사율은, 반사층 A 의 보이드 체적률을 높게 하는 등 바람직한 양태로 하거나, 반사층 A 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또, 지지층 B 나 표면층 C 를 갖는 경우에는, 이들 층에 보이드 형성제를 함유시키거나, 반사층 A 보다 반사면측의 지지층 B 나 표면층 C 의 두께를 얇게 하는 등 각 층의 양태를 바람직한 양태로 하거나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 정면 휘도는,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지지만, 2000 cd/㎡ 이상이 바람직하고, 3000 cd/㎡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0 cd/㎡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4400 cd/㎡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반사율이나 정면 휘도는, 백색 반사 필름의 반사면으로서 사용하는 면에 대한 값이다.
(열휨)
본 발명은 열휨의 억제가 목적이다. 열휨이란, 예를 들어 텔레비젼이나 모니터 등의 제품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회로나, 백라이트 유닛이나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 혹은 사용 환경으로부터의 열이나 습도에 의해, 제품에 구비되는 백색 반사 필름에 휨 내지 변형이 생겨 버리는 현상이다. 백색 반사 필름에 열휨이 발생하면 휘도 불균일의 원인이 되어, 화질의 저하에 직결되는 문제가 된다.
[용도]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대형 디스플레이용이다. 여기서 대형 디스플레이란, 30 인치 이상, 바람직하게는 32 인치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인치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2 인치 이상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이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는, 백샤시에 전기 회로 등을 삽입하기 위한 함몰부 또는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함몰부에 상기 서술한 원인 등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국소적으로 체류하여, 열휨이 보다 발생하기 쉬워진다.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휘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필요한 광원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회로 등도 복잡한 점에서 체류하는 열은 많아져, 열휨이 보다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열휨의 억제는 곤란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도, 양호하게 열휨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또한, 각 특성치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광선 반사율
분광 광도계 (시마즈 제작소 제조 UV-3101PC) 에 적분구를 장착하고, BaSO4 백판을 100 % 로 했을 때의 반사율을 파장 550 nm 에서 측정하고, 이 값을 반사율로 했다. 또한, 측정은, 반사면으로서 사용하는 측, 즉 광원측이 되는 표면에 있어서 측정했다.
(2) 입자의 평균 입경
시마즈 제작소 제조 레이저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SALD-7000 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측정 전의 에틸렌글리콜에의 분산은, 입자 분체를 5 질량% 슬러리 농도 상당이 되도록 계량하고, 믹서로 10 분간 교반하여,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플로우셀 방식 공급 장치에 공급했다. 여기서 믹서로서는, 예를 들어 National MXV253 형 요리용 믹서를 사용한다. 그리고, 그 공급 장치 중에서 탈포를 위해서 30 초간 초음파 처리하고 나서 측정에 제공했다. 또한, 이러한 초음파 처리에 있어서의 초음파의 강도는, 초음파 처리 장치의 손잡이를, MAX 치를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60 % 의 위치로 했다. 입도 분포 측정 결과로부터 50 % 체적 입경 (D50) 을 구하고, 이것을 평균 입경으로 했다. 또, 동일하게 하여 10 % 체적 입경 (D10) 및 90 % 체적 입경 (D90) 을 구했다.
(3) 입자 및 비상용 수지의 함유량
(3-1) 입자의 함유량
필름을 500 ℃ 의 온도에서 6 시간 소각하고, 그 전후에서의 중량을 측정하여, 잔차 회분의 무게를 입자의 함유량으로 했다. 또한, 적층체에 있어서의 각 층의 입자의 함유량은, 각 층을 분리하고 나서 상기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구했다.
(3-2) 비상용 수지의 함유량
필름을 칭량 후,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HFIP)/클로로포름의 질량비 50/50 의 혼합 용매에 용해하고, 불용인 성분이 있는 경우에는, 이 불용 성분을 원심 분리로 분취한 후, 질량을 측정하고, 원소 분석, FT-IR, NMR 법에 의해 그 성분의 구조와 질량분률을 측정한다. 상청 성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분석하면, 폴리에스테르 성분 및 타성분의 질량분률과 구조를 특정할 수 있다. 상청 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한 후에 HFIP/중클로로포름의 질량비 50/50 의 혼합 용매에 용해한 후, 1H-NMR 스펙트럼을 측정한다.
얻어진 스펙트럼으로부터, 각 성분에 특유의 흡수의 피크 면적 강도를 구하고, 그 비율과 프로톤수로부터 블렌드의 몰비를 산출한다. 또한 폴리머의 단위 유닛에 상당하는 식량으로부터 질량비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성분의 질량분률과 구조를 특정했다.
또한, 적층체에 있어서의 각 층의 입자의 함유량은, 각 층을 분리하고 나서 상기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구했다.
(4) 필름 두께 및 층 구성
백색 반사 필름을 미크로톰으로 슬라이스하여 단면 내기를 실시하고, 이러한 단면에 대해 히타치 제작소 제조 S-4700 형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율 500 배로 관측하고, 필름 전체, 반사층 A, 지지층 B, 표면층 C 의 두께를 각각 구했다. 두께의 측정은 n = 7 로 임의 위치를 측정하여 평균치로서 구했다. 각 층의 두께 (㎛) 를 구한 다음 각 층의 두께비를 산출했다.
(5) 보이드 체적률의 산출
보이드 체적률을 구하는 층의 폴리머, 첨가 입자, 그 외 각 성분의 밀도와 배합 비율로부터 계산 밀도를 구했다. 동시에, 당해 층을 박리하는 등하여 단리하고, 질량 및 체적을 계측하여, 이들로부터 실밀도를 산출하고, 계산 밀도와 실밀도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구했다.
보이드 체적률 = 100 × (1 - (실밀도/계산 밀도))
또한, 2 축 연신 후의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밀도를 1.39 g/㎤, 탄산칼슘 입자의 밀도를 2.7 g/㎤, 황산바륨 입자의 밀도를 4.5 g/㎤, 비상용 수지인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의 밀도를 1.02 g/㎤ 로 했다.
또, 보이드 체적률을 측정하는 층만을 단리하고, 단위 체적당 질량을 구하여 실밀도를 구했다. 체적은, 샘플을 면적 3 c㎡ 로 잘라, 그 사이즈에서의 두께를 일렉트릭 마이크로미터 (안리츠 제조 K-402B) 로 10 점 측정한 평균치를 두께로 하고, 면적 × 두께로서 산출했다. 질량은, 전자 천칭으로 칭량했다.
또한, 응집 입자를 포함하는 다른 입자의 비중으로서는, 이하의 메스 실린더법으로 구한 부피 비중의 값을 사용했다. 용적 1000 ㎖ 의 메스 실린더에 절건 상태의 입자를 충전하여, 전체의 중량을 측정하고, 그 전체의 중량으로부터 메스 실린더의 중량을 차감하여 그 입자의 중량을 구하고, 그 메스 실린더의 용적을 측정하여, 그 입자의 중량 (g) 을 그 용적 (㎤) 으로 나눔으로써 구해진다.
(6) 융점, 유리 전이 온도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 (TA Instruments 2100 DSC) 를 이용하여, 승온 속도 20 ℃/분으로 측정을 실시했다.
(7) 정면 휘도
(7-1) 정면 휘도 1
LG 사 제조의 에지 라이트형 LED 액정 텔레비젼 (LG42LE5310AKR) (42 인치) 으로부터 반사 필름을 꺼내고, 그 대신에 실시예에서 얻어진 각종 반사 필름을, 반사면측이 화면측이 되도록 설치하고, 원래 구비되어 있던 확산 필름 및 프리즘 시트를 배치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상태로서 휘도계 (오오츠카 전자 제조 Model MC-940) 를 사용하여, 휘도를 측정했다.
(7-2) 정면 휘도 2
LG 사 제조의 직하 LED 라이트형 액정 텔레비젼 (LG LN5400) (42 인치) 으로부터 반사 필름을 꺼내고, 그 대신에 실시예에서 얻어진 각종 반사 필름을, 반사면측이 화면측이 되도록 설치하고, 원래 구비되어 있던 확산 필름 및 프리즘 시트를 배치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상태로 휘도계 (오오츠카 전자 제조 Model MC-940) 를 사용하여, 휘도를 측정했다.
(8) 연신 제막성
실시예에 기재된 필름을, 텐터를 사용한 연속 제막법으로 제막했을 때의 제막 안정성을 관찰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 : 8 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제막할 수 있다.
○ : 3 시간 이상 8 시간 미만 안정적으로 제막할 수 있다.
△ : 3 시간 미만에서 1 번 절단이 생겼다.
× : 3 시간 미만에서 복수회 절단이 발생하여, 안정적인 제막을 할 수 없다.
(9) 열휨 평가
LG 사 제조의 에지 라이트형 LED 액정 텔레비젼 (LG42LE5310AKR) (42 인치) 을 분해하여, 그것에 원래부터 구비되는 반사 필름을 꺼내고, 대신에 실시예의 백색 반사 필름을 배치하여, 텔레비젼을 조립하고, 그 상태로 텔레비젼을 백색 표시로 점등시킨 채로 온도 50 ℃ 에서 습도 80 % RH 의 환경에 72 시간 보관하고, 그 전후의 휘도 불균일을 평가했다.
(9-1) 휘도 불균일 평가 1
육안으로 휘도 불균일을 판단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 전혀 휘도 불균일을 볼 수 없다.
△ : 간신히 휘도 불균일이 인식된다.
× : 현저한 휘도 불균일을 볼 수 있다.
(9-2) 휘도 불균일 평가 2
휘도계 (코니카 미놀타사 제조 CA-2000) 로 화면 내를 평균적으로 임의의 10 점당 휘도를 측정하고, 화면 내의[(최고 휘도 - 최저 휘도)/평균 휘도]의 값을 평가했다. 상기 서술한 값이 5 % 이하인 경우를 열휨에 의한 휘도 불균일이 적어 양호한 상태라고 판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다.
(10) 도광판 첩부 평가
LG 사 제조의 LED 액정 텔레비젼 (LG42LE5310AKR) 으로부터 샤시를 꺼내고, 텔레비젼 내부측이 상향이 되도록 수평한 탁상에 놓고, 그 위에, 샤시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반사 필름을, 표면 층면이 상향이 되도록 놓고, 또한 그 위에, 원래 텔레비젼에 구비되어 있던 도광판 및 광학 시트 3 매, 이러한 광학 시트 3 매란 확산 필름 2 매 및 프리즘 1 매이다, 를 놓았다. 이어서, 그 면 내에서, 샤시의 요철이 가장 격심한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5 mm 의 원주상 다리를 3 개 구비하는 정삼각형형의 대를 놓고, 그 위에 추가로 15 kg 의 추를 올려놓고, 이러한 3 개의 다리에 둘러싸인 영역을 육안으로 관측하고, 비정상으로 밝은 부분이 없으면 「밀착 불균일이 없음」, 즉 평가 ○ 로 했다. 또, 비정상으로 밝은 부분이 있던 경우에는, 광학 시트 3 매 위에 추가로 원래 텔레비젼에 구비되어 있던 DBEF 시트를 놓고, 동일하게 육안으로 관측하고, 비정상으로 밝은 부분이 회복되지 않으면, 「밀착 불균일이 있음」, 즉 평가 × 로 하고, 비정상으로 밝은 부분이 없어지면, 「밀착 불균일이 거의 없음」, 즉 평가 △ 로 했다. 또한, 세 다리에 둘러싸인 영역은, 각 변의 길이가 10 cm 의 대략 정삼각형으로 했다.
<제조예 1 :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의 합성>
테레프탈산디메틸 136.5 질량부, 이소프탈산디메틸 13.5 질량부, 즉 이소프탈산 성분은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산성분 100 몰% 에 대해 9 몰% 가 된다, 에틸렌글리콜 98 질량부, 디에틸렌글리콜 1.0 질량부, 아세트산망간 0.05 질량부, 아세트산리튬 0.012 질량부를 정류탑, 유출 (留出) 콘덴서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주입하고, 교반하면서 150 ∼ 240 ℃ 로 가열하여 메탄올을 유출시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했다. 메탄올이 유출된 후, 인산트리메틸 0.03 질량부, 이산화게르마늄 0.04 질량부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반응기로 옮겼다. 이어서 교반하면서 반응기 내를 서서히 0.3 mmHg 까지 감압함과 함께 292 ℃ 까지 승온하고,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여,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을 얻었다. 이 폴리머의 융점은 235 ℃ 였다.
<제조예 2 :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의 합성>
테레프탈산디메틸 129.0 질량부, 이소프탈산디메틸 21.0 질량부, 즉 이소프탈산 성분은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산성분 100 몰% 에 대해 14 몰% 가 된다, 로 변경한 것 외에는, 상기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를 얻었다. 이 폴리머의 융점은 215 ℃ 였다.
<제조예 3 : 입자 마스터 칩 1 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의 일부, 및 보이드 형성제로서 평균 입경 0.9 ㎛, (D90 - D10)/D50 이 1.4 의 합성 탄산칼슘 입자를 사용하여, 코베 제강사 제조 NEX-T60 탠덤식 압출기로, 얻어지는 마스터 칩의 질량에 대해 합성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이 60 질량% 가 되도록 혼합하고, 수지 온도 260 ℃ 에서 압출하여, 합성 탄산칼슘 입자 함유의 입자 마스터 칩 1 을 제조했다. 또한, 이러한 합성 탄산칼슘 입자는 인산트리메틸에스테르에 의해 표면 처리되어 있다.
<제조예 4 : 입자 마스터 칩 2 의 제조>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대신에, 상기에서 얻어진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상기 제조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합성 탄산칼슘 입자 함유의 입자 마스터 칩 2 를 제조했다.
<제조예 5 : 입자 마스터 칩 3 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에, 입자 A 로서,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AY-601, 이것은 응집 실리카이다, 을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경 6.5 ㎛ 로 한 입자를, 얻어지는 입자 마스터 칩에 있어서의 농도가 8 질량% 가 되도록 2 축 압출기로 혼합하고, 용융 온도 250 ℃ 에서 압출하여, 입자 마스터 칩 3 을 제조했다.
<제조예 6 : 비드층에 사용하는 입자 1 의 제조>
테레프탈산디메틸 150 질량부, 에틸렌글리콜 98 질량부, 디에틸렌글리콜 1.0 질량부, 아세트산망간 0.05 질량부, 아세트산리튬 0.012 질량부를 정류탑, 유출 콘덴서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주입하고, 교반하면서 150 ∼ 240 ℃ 로 가열하여 메탄올을 유출시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했다. 메탄올이 유출된 후, 인산트리메틸 0.03 질량부, 이산화게르마늄 0.04 질량부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반응기로 옮겼다. 이어서 교반하면서 반응기 내를 서서히 0.3 mmHg 까지 감압함과 함께 292 ℃ 까지 승온하고,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3 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3 을 스트랜드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냉각 후에 재단함으로써 펠릿상으로 했다. 스트랜드의 형상을 조정한 결과, 이 펠릿의 형상은 거의 직방체의 형상으로, 형상의 평균이 4 mm × 3 mm × 2 mm 인 것이었다. 이어서, 이 얻어진 펠릿을 오븐 내에서 170 ℃ 에서 3 시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결정화시켜, 주식회사 마츠보 제조의 아토마이저 밀 TAP-1 을 사용하여 액체 질소로 냉각시키면서 분쇄를 실시함으로써 평균 입경 60 ㎛ 의 폴리에스테르 입자를 얻었다. 또한 이 폴리에스테르 입자를 풍력 분급함으로써 평균 입경 43 ㎛ 의 입자 1, 이것은 비구상 입자이다, 을 얻었다.
[실시예 1-1]
(백색 반사 필름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과 입자 마스터 칩 1 을 반사층 (A 층으로 한다.) 의 원료로서,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와 입자 마스터 칩 2 를 지지층 (B 층으로 한다.) 의 원료로서 각각 이용하고, 각각의 층이 표 1 에 기재한 구성이 되도록 혼합하고, 압출기에 투입하여, A 층은 평균 눈금 크기 30 ㎛ 인 부직포형 필터를 통과시켜 용융 압출 온도 255 ℃ 에서, B 층은 평균 눈금 크기 30 ㎛ 의 부직포형 필터를 통과시켜 용융 압출 온도 230 ℃ 에서,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 층/A 층/B 층의 층 구성이 되도록 3 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이스로부터 시트상으로 성형했다. 이 때 B 층/A 층/B 층의 두께비가 2 축 연신 후에 10/80/10 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으로 조정했다. 또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25 ℃ 의 냉각 드럼으로 냉각 고화한 미연신 필름으로 했다. 이 미연신 필름을 73 ℃ 의 예열 존, 계속해서 75 ℃ 의 예열 존을 통과시키고, 92 ℃ 로 유지된 종연신 존으로 유도하여, 종방향으로 3.0 배로 연신하고, 25 ℃ 의 롤군으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115 ℃ 의 예열 존을 통과시켜 130 ℃ 로 유지된 횡연신 존으로 유도하여, 횡방향으로 3.6 배로 연신했다. 그 후 텐터 내에서 155 ℃ 에서 10 초간의 열처리, 200 ℃ 에서 10 초간의 열고정, 155 ℃ 에서 10 초간의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실시하고, 이어서 폭 넣음률 2 %, 폭 넣음 온도 130 ℃ 에서 횡방향의 폭 넣음을 실시하고, 이어서 필름 양단을 잘라내어, 종이완률 2.5 % 로 열이완하고, 실온까지 차게 하여, 두께 300 ㎛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 1-9, 1-11, 비교예 1-1 ∼ 1-6]
입자의 양태, 필름의 구성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사용한 합성 탄산칼슘 입자는 인산트리메틸에스테르에 의해 표면 처리되어 있다.
실시예 1-11 은, 필름의 총 두께를 188 ㎛ 로 했다.
[비교예 1-7]
보이드 형성제로서, 탄산칼슘 입자 대신에 평균 입경 0.9 ㎛, (D90 - D10)/D50 이 1.4 의 황산바륨 입자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제조예 3, 4 와 동일하게 입자 마스터 칩을 제조하고, 필름의 구성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황산바륨 입자는 풍력 분급을 반복함으로써 얻었다.
[실시예 1-10]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2 축 연신 필름의 편면 위에,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팅 장치로, 하기의 비드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액 1 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도액을, wet 두께 15 g/㎡ 의 도포량으로 도포한 후, 오븐 내에서 100 ℃ 에서 건조시켜 비드층을 갖는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평가에 있어서는 비드층측을 반사면으로서 사용했다.
<도액 1, 고형분 농도 30 질량%>
·입자 : 상기 제조예 6 에서 얻어진 입자 1 (비구상 입자)···7.5 질량%
·아크릴 수지 (열가소성 수지) : DIC 사 제조 아크리딕 A-817BA (고형분 농도 50 질량%)···30 질량%
·가교제 :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사 제조 콜로네이트 HL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농도 75 질량%)···10 질량%
·희석 용매 : 아세트산부틸···52.5 질량%
또한, 도액 1 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고형분 비율은 이하와 같이 된다.
·입자 : 25 질량%
·아크릴 수지 (열가소성 수지) : 50 질량%
·가교제 : 25 질량%
Figure pct00001
[실시예 2-1]
(백색 반사 필름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과 입자 마스터 칩 1 및 비상용 수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Tg = 210 ℃, 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 「TOPAS」) 를 반사층 (A 층으로 한다.) 의 원료로서,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와 입자 마스터 칩 2 를 지지층 (B 층으로 한다.) 의 원료로서 각각 이용하고, 각각의 층이 표 2 에 기재한 구성이 되도록 혼합하고, 압출기에 투입하여, A 층은 평균 눈금 크기 30 ㎛ 의 부직포형 필터를 통과시켜 용융 압출 온도 255 ℃ 에서, B 층은 평균 눈금 크기 30 ㎛ 의 부직포형 필터를 통과시켜 용융 압출 온도 230 ℃ 에서,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 층/A 층/B 층의 층 구성이 되도록 3 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이스로부터 시트상으로 성형했다. 이 때 B 층/A 층/B 층의 두께비가 2 축 연신 후에 10/80/10 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으로 조정했다. 또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25 ℃ 의 냉각 드럼으로 냉각 고화한 미연신 필름으로 했다. 이 미연신 필름을 73 ℃ 의 예열 존, 계속해서 75 ℃ 의 예열 존을 통과시키고, 92 ℃ 로 유지된 종연신 존으로 유도하여, 종방향으로 3.0 배로 연신하고, 25 ℃ 의 롤군으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115 ℃ 의 예열 존을 통과시켜 130 ℃ 로 유지된 횡연신 존으로 유도하여, 횡방향으로 3.6 배로 연신했다. 그 후 텐터 내에서 155 ℃ 에서 10 초간의 열처리, 200 ℃ 에서 10 초간의 열고정, 155 ℃ 에서 10 초간의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실시하고, 이어서 폭 넣음률 2 %, 폭 넣음 온도 130 ℃ 에서 횡방향의 폭 넣음을 실시하고, 이어서 필름 양단을 잘라내어, 종이완률 2.5 % 로 열이완하고, 실온까지 차게 하여, 두께 300 ㎛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2 ∼ 2-17, 비교예 2-1 ∼ 2-6]
입자 및 비상용 수지의 양태, 필름의 구성을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사용한 합성 탄산칼슘 입자는 인산트리메틸에스테르에 의해 표면 처리되어 있다.
실시예 2-17 은, 필름의 총 두께를 188 ㎛ 로 했다.
[실시예 2-18]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2 축 연신 필름의 편면 위에,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팅 장치로, 상기한 비드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액 1 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도액을, wet 두께 15 g/㎡ 의 도포량으로 도포한 후, 오븐 내에서 100 ℃ 에서 건조시켜 비드층을 갖는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평가에 있어서는 비드층측을 반사면으로서 사용했다.
[비교예 2-7]
보이드 형성제로서, 탄산칼슘 입자 대신에 평균 입경 0.9 ㎛, (D90 - D10)/D50 이 1.4 의 황산바륨 입자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제조예 3, 4 와 동일하게 입자 마스터 칩을 제조하고, 필름의 구성을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황산바륨 입자는 풍력 분급을 반복함으로써 얻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3-1]
(백색 반사 필름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과 입자 마스터 칩 1 을 반사층 (A 층으로 한다.) 의 원료로서,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와 입자 마스터 칩 3 을 표면층 (C 층으로 한다.) 의 원료로서 각각 이용하고, 각각의 층이 표 3 에 기재한 구성이 되도록 혼합하고, 압출기에 투입하여, A 층은 평균 눈금 크기 30 ㎛ 의 부직포형 필터를 통과시켜 용융 압출 온도 255 ℃ 에서, C 층은 평균 눈금 크기 50 ㎛ 의 부직포형 필터를 통과시켜 용융 압출 온도 230 ℃ 에서,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 층/A 층/C 층의 층 구성이 되도록 3 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이스로부터 시트상으로 성형했다. 이 때 C 층/A 층/C 층의 두께비가 2 축 연신 후에 10/80/10 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으로 조정했다. 또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25 ℃ 의 냉각 드럼으로 냉각 고화한 미연신 필름으로 했다. 이 미연신 필름을 73 ℃ 의 예열 존, 계속해서 75 ℃ 의 예열 존을 통과시키고, 92 ℃ 로 유지된 종연신 존으로 유도하여, 종방향으로 3.0 배로 연신하고, 25 ℃ 의 롤군으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115 ℃ 의 예열 존을 통과시켜 130 ℃ 로 유지된 횡연신 존으로 유도하여, 횡방향으로 3.6 배로 연신했다. 그 후 텐터 내에서 155 ℃ 에서 10 초간의 열처리, 200 ℃ 에서 10 초간의 열고정, 155 ℃ 에서 10 초간의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실시하고, 이어서 폭 넣음률 2 %, 폭 넣음 온도 130 ℃ 에서 횡방향의 폭 넣음을 실시하고, 이어서 필름 양단을 잘라내어, 종이완률 2.5 % 로 열이완하고, 실온까지 차게 하여, 두께 300 ㎛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3-2 ∼ 3-15, 비교예 3-1 ∼ 3-10]
입자의 양태, 필름의 구성을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3-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사용한 합성 탄산칼슘 입자는 인산트리메틸에스테르에 의해 표면 처리되어 있다.
실시예 3-10 은, 필름의 총 두께를 188 ㎛ 로 했다.
또한, 표면층 C 에 사용한 각 표면층 입자를 이하에 나타낸다. 제조예 5 와 동일하게 입자 마스터 칩으로서 사용했다.
입자 B :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AY-601, 이것은 응집 실리카이다, 을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경 5.0 ㎛ 로 한 입자
입자 C :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AY-601, 이것은 응집 실리카이다, 을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경 18.2 ㎛ 로 한 입자
입자 D :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AY-601, 이것은 응집 실리카이다, 을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경 35.3 ㎛ 로 한 입자
입자 E :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AY-601, 이것은 응집 실리카이다, 을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경 1.0 ㎛ 로 한 입자
입자 F :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AY-601, 이것은 응집 실리카이다, 을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경 52.0 ㎛ 로 한 입자
[비교예 3-11]
보이드 형성제로서, 탄산칼슘 입자 대신에 평균 입경 0.9 ㎛, (D90 - D10)/D50 이 1.4 의 황산바륨 입자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제조예 3 과 동일하게 입자 마스터 칩을 제조하고, 필름의 구성을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3-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황산바륨 입자는 풍력 분급을 반복함으로써 얻었다.
Figure pct00003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우수한 반사 특성을 가지면서, 대형의 디스플레이에 사용했다고 해도, 전기 회로나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나, 사용 환경으로부터의 열이나 습도에 의해 생기는 열휨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백색 반사 필름이 휘어 버림으로써 생기는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 가능성은 높다.

Claims (9)

  1. 반사층 A 를 갖는 백색 반사 필름으로서,
    상기 반사층 A 가,
    a. 열가소성 수지 A 에 탄산칼슘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로 이루어지고, 그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의 질량에 대해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이다,
    혹은,
    b. 열가소성 수지 A 에 탄산칼슘 입자 및 그 열가소성 수지 A 에 비상용인 수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로 이루어지고, 그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5 질량% 이상, 69 질량% 이하이며, 그 비상용인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1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며, 상기 탄산칼슘 입자와 상기 비상용인 수지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이다, 의 a, b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고,
    상기 탄산칼슘 입자는, 평균 입경이 0.1 ㎛ 이상, 1.2 ㎛ 이하이며, 소입경측으로부터 적산한 10 % 체적 입경 D10, 50 % 체적 입경 D50 및 90 % 체적 입경 D90 이 (D90 - D10)/D50 ≤ 1.6 을 만족시키고,
    필름의 반사율이 60 % 이상인, 대형 디스플레이용 백색 반사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A 가, a. 열가소성 수지 A 에 탄산칼슘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로 이루어지고, 그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1 의 질량에 대해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인, 백색 반사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A 가, b. 열가소성 수지 A 에 탄산칼슘 입자 및 그 열가소성 수지 A 에 비상용인 수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로 이루어지고, 그 탄산칼슘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5 질량% 이상, 69 질량% 이하이며, 그 비상용인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1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며, 상기 탄산칼슘 입자와 상기 비상용인 수지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2 의 질량에 대해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인, 백색 반사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A 와, 추가로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표면층 C 를 가지며,
    상기 표면층 C 는, 표면층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층 입자는, 평균 입경이 2.0 ㎛ 이상, 50.0 ㎛ 이하이며, 함유량이 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의 체적에 대해 3 체적% 이상, 50 체적% 이하인, 대형 디스플레이용 백색 반사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A 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백색 반사 필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량이, 그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전체 산성분 100 몰% 에 대해 1 몰% 이상, 20 몰% 이하인, 백색 반사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색 반사 필름의 두께 100 % 에 대한 상기 반사층 A 의 두께 비율이 50 % 이상인, 백색 반사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열가소성 수지 B 또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B 로 이루어지는 지지층 B 를 갖는, 백색 반사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을 사용한, 면광원.
KR1020187002780A 2015-07-16 2016-07-12 대형 디스플레이용 백색 반사 필름 KR201800308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42209A JP2017026676A (ja) 2015-07-16 2015-07-16 大型ディスプレイ用白色反射フィルム
JPJP-P-2015-142209 2015-07-16
JPJP-P-2015-167587 2015-08-27
JP2015167587A JP2017044886A (ja) 2015-08-27 2015-08-27 大型ディスプレイ用白色反射フィルム
JPJP-P-2016-077384 2016-04-07
JP2016077384A JP6837285B2 (ja) 2016-04-07 2016-04-07 大型ディスプレイ用白色反射フィルム
PCT/JP2016/070505 WO2017010471A1 (ja) 2015-07-16 2016-07-12 大型ディスプレイ用白色反射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855A true KR20180030855A (ko) 2018-03-26

Family

ID=5775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780A KR20180030855A (ko) 2015-07-16 2016-07-12 대형 디스플레이용 백색 반사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80030855A (ko)
CN (1) CN107710032B (ko)
TW (1) TWI772267B (ko)
WO (1) WO2017010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1039B (zh) * 2018-09-25 2021-04-30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光反射材料、反射层及其制备方法
DE102019123660A1 (de) * 2019-09-04 2021-03-04 HELLA GmbH & Co. KGaA Leuchte eines fahrzeugs mit einer abschlussscheibe
CN114114489A (zh) * 2021-12-02 2022-03-01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聚酯反射膜、制备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8430B2 (ja) * 2006-03-02 2010-09-22 東レ株式会社 反射板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971690B2 (ja) * 2006-06-02 2012-07-11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二軸延伸フィルム
JP4782617B2 (ja) * 2006-06-08 2011-09-28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積層フィルムのロール
JP5722937B2 (ja) * 2013-02-25 2015-05-27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KR101587393B1 (ko) * 2013-02-25 2016-01-20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백색 반사 필름
JP6219673B2 (ja) * 2013-10-28 2017-10-25 帝人フィ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356405B2 (ja) * 2013-10-28 2018-07-11 帝人フィ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174453B2 (ja) * 2013-10-28 2017-08-02 帝人フィ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0471A1 (ja) 2017-01-19
CN107710032B (zh) 2020-12-15
TWI772267B (zh) 2022-08-01
TW201708338A (zh) 2017-03-01
CN107710032A (zh) 2018-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5209B (zh) 白色反射膜
JP592651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TWI488743B (zh) Reflector with white film
JP6174453B2 (ja)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524992B1 (ko) 백색 반사성 필름
JP5985809B2 (ja) 反射板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02379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985808B2 (ja) 反射板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80030855A (ko) 대형 디스플레이용 백색 반사 필름
JP2015086240A (ja)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20109515A (ja) 大型ディスプレイ用白色反射フィルム
JP6837285B2 (ja) 大型ディスプレイ用白色反射フィルム
KR102488716B1 (ko)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직하형 면광원
KR101587393B1 (ko) 백색 반사 필름
JP2020073992A (ja) 大型ディスプレイ用白色反射フィルム
JP570248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495345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17044886A (ja) 大型ディスプレイ用白色反射フィルム
JP578520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15069020A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17026676A (ja) 大型ディスプレイ用白色反射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