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426B1 -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426B1
KR101512426B1 KR1020147004626A KR20147004626A KR101512426B1 KR 101512426 B1 KR101512426 B1 KR 101512426B1 KR 1020147004626 A KR1020147004626 A KR 1020147004626A KR 20147004626 A KR20147004626 A KR 20147004626A KR 101512426 B1 KR101512426 B1 KR 101512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idth direction
side airbag
seatback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863A (ko
Inventor
유스케 후지와라
오사무 후카와타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4004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11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of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shape, e.g. hammock-like, plastic shells,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94Upholstery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002/5808Seat coverings comprising opening zones for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60R2021/2076Removable covers with tear 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사이드 에어백에 의한 탑승자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비용 삭감을 도모한다. 시트백 프레임(14)의 사이드 프레임(26)에는, 수지제로 된 시트백 보드(16)가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감합되어 있다. 이 시트백 보드(16)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는, 사이드 프레임(26)의 외측면에 고정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수용하는 케이스부(10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 (102)의 측벽부 (102B)가 존재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106)이 팽창 초기에 시트백 외측으로 둥글게 팽창하는 것이 억제된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PROVIDED WITH SIDE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측면 충돌 시에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과 착좌 탑승자의 측부 사이에 사이드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키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 기술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의 일부를 차량후방측으로부터 덮고 또한 전측(前側)이 개방된 브래킷을 구비하고 있다. 이 브래킷을 시트백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고정함과 함께, 당해 브래킷을 개재하여 시트백 보드가 시트백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시트 측면에서 본 경우, 에어백 케이스의 전단부는, 시트백 보드 및 브래킷의 전단부보다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시트백 보드가 브래킷을 개재하여 시트백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백 보드가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를 저해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 브래킷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의 차량 전방측으로의 전개를 가이드하는 기능이 얻어진다. 이러한 점으로 부터,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성이 향상되어, 사이드 에어백을 차량 전방측으로 신속히 전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84668호 공보 일본 특허 제33452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9-3094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8-32437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4119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68197호 공보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에 의한 경우, 원래 사이드 에어백 장치와는 관계가 없는 부품인 브래킷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 수가 증가한다. 또, 브래킷을 설치한 만큼,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시트백 보드를 포함하는 시트백 사이드 프레임에 대한 조립 작업이 번잡화된다. 또한, 이러한 부품 수의 증가 및 조립 공정수의 번잡화는,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사이드 에어백에 의한 탑승자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제1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함과 함께 시트백의 골격 부재를 구성하는 시트백 프레임과, 차체 측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쪽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측면 충돌 시에 시트 전방측으로 사이드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키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와, 시트백의 배면측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 수지제의 시트백 보드와, 상기 시트백 보드의 전면측에 배치되어,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가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시트백 패드와, 상기 시트백 보드에 있어서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함께, 상기 시트백 패드의 측부의 내측이고 또한 접힌 상태의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면을 따라 시트 전후 방향 및 시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의 팽창을 규제하는 종벽(縱壁)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시트백 보드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적어도 접힌 상태의 상기 사이드 에어백을 수용하는 에어백 케이스를 겸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종벽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시트백 보드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당해 종벽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저벽부가 접속되어 있다.
삭제
제3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는,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시트백 보드는, 당해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덮이도록 시트백 프레임의 후방측으로부터 조립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제4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는,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보드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감합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됨과 함께, 당해 시트백 보드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는 평단면으로 보았을 때 시트 전방측이 개방된 U자 형상의 케이스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당해 케이스부의 후벽부에 고정되어 있다.
삭제
제6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는,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에 접힌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분출부를 구비한 인플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당해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상기 시트백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 중간부에서부터 하단부까지의 범위에 배설(配設)되어 있다.
제7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는, 제1, 제3, 제4 및 제6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내부에 설치된 격벽에 의해, 상기 가스 분출부와 시트 전후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됨과 함께 착좌 탑승자의 요부(腰部)를 구속하는 하방 챔버와, 착좌 탑승자의 흉부를 구속하는 상방 챔버로 구획되어 있다.
제1 태양에 의하면, 측면 충돌 시가 되면,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이때, 사이드 에어백은 사이드 프레임 측으로는 팽창할 수 없는 만큼, 시트백 패드의 측부를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밀어 넓히면서 팽창하려고 한다.
여기서, 본 태양에서는, 시트백 보드에 있어서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 시트백 패드의 측부의 내측이고 또한 접힌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면을 따라 시트 전후 방향 및 시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종벽부가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은, 종벽부의 강성에 의해,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시트백 패드의 측부를 눌러 찌그러뜨리면서 사이드 에어백이 둥글게 팽창하는 것과 같은 현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그 결과, 측면 충돌 시에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 전방측으로 신속하게 팽창 전개된다.
또, 종벽부는 시트백 보드에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하지 않고, 또 조립 공정수가 번잡화되지도 않는다.
또한, 본 태양에 의하면, 종벽부가 적어도 사이드 에어백을 수용하는 에어백 케이스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별개 독립으로 형성된 에어백 케이스를 폐지할 수 있다. 또, 본 태양에 의하면, 종벽부의 하단부에는 시트백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종벽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저벽부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종벽부의 하단부가 저벽부에 의해 보강된다.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시의 압력이 종벽부에 작용했을 때에 있어서의 종벽부의 변형 내력이 높아진다. 그 결과,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시에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제3 태양에 의하면,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방향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본 태양에서는, 이 점을 전제로 하여, 시트백 보드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덮어지도록 시트백 프레임의 후방측으로부터 조립되어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다.
제4 태양에 의하면, 시트백 보드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평단면으로 보았을때 시트 전방측이 개방된 U자 형상의 케이스부가 설치되어 있고,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이 케이스부에 미리 조립된다. 그 후, 시트백 보드는 시트백 프레임에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감합되어, 시트백 보드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다.
여기서,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면, 그때의 반력이 시트 후방측(즉, 시트백 보드가 사이드 프레임에 보다 강하게 감합하는 방향)에 작용한다.
삭제
제6 태양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종벽부의 하단부에 저벽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될 때에 사이드 에어백이 저벽부보다 하방으로 팽창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저벽부의 하방 공간을 시트백 패드로 메울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본 태양과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전체를 시트백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 중간부에서부터 하단부까지의 범위에 배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범위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배설하면, 이 범위보다 시트 상방 측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배설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와 착좌 탑승자의 요부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제7 태양에 의하면, 사이드 에어백은 내부에 설치된 격벽에 의해 착좌 탑승자의 요부를 구속하는 하방 챔버와 착좌 탑승자의 흉부를 구속하는 상방 챔버로 구획되어 있지만, 하방 챔버는 인플레이터의 가스 분출부와 시트 전후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 챔버를 더욱 신속하게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는, 사이드 에어백에 의한 탑승자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 본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는, 독립한 에어백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수 나아가서는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태양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는, 측면 충돌 시에 사이드 에어백을 차체 측부와 착좌 탑승자의 측부 사이에 더욱 신속히 전개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3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는, 종래의 시트백 보드가 있는 차량용 시트의 조립 순서를 변경하지 않고,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4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는,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시에 시트백 보드가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삭제
제6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는, 시트백에 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음과 함께, 착좌 탑승자의 요부에 대한 초기 구속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7 태양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는, 착좌 탑승자의 요부에 대한 초기 구속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시트백 프레임에 수지 스프링 일체 시트백 보드를 조립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시트백의 조립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평단면도(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시트백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시트백 보드의 케이스부 부근을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보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 작동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에 대응하는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을 일부 컷아웃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를 나타내는 도 7에 대응하는 일부 컷아웃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9-9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를 나타내는 도 3에 대응하는 확대 평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은 차량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IN은 차량 폭 방향 내측을 나타내고 있다.
<전체 구성>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0)는, 탑승자가 착좌하는 시트 쿠션(11)(도 4 참조)과, 이 시트 쿠션(11)의 후단부에 경도(傾倒)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백(12)과, 시트백(12)의 상단부에 상하동 가능하게 지지된 헤드레스트(13)(도 7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시트백(12)은, 시트백(12)의 골격 부재를 구성하는 금속제의 시트백 프레임(14)과, 시트백 프레임(14)에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는 수지 스프링 일체 시트백 보드(이하, 간단히 「시트백 보드」로 칭한다.) (16)와, 시트백(12)의 쿠션재를 구성함과 함께 시트백 보드(16)의 전면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시트백 프레임(14)에 지지되는 시트백 패드(18)와, 시트백 패드(18)가 주로 전면을 덮는 커버(표피)(20)와, 커버(20)를 시트백 보드(16)에 장착하기 위한 종방향 장착 부재(22) 및 횡방향 장착 부재(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트백 프레임(14)의 구성>
시트백 프레임(14)은, 정면(차량의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를 가리킨다. 이하, 차량의 방향과 차량용 시트(10)의 방향은 동일한 것으로서 설명한다.)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트백 프레임(14)은, 시트 폭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6)과,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거꾸로된 U자 형상의 어퍼 프레임(28)과,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하단부끼리를 차량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로어 프레임(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14)은 어퍼 프레임(28)도 포함시켜 4개의 부재가 모두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작되어 있지만, 다른 프레임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어퍼 프레임만을 거꾸로된 U자 형상으로 구부린 파이프재로 구성해도 되고, 어퍼 프레임과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거꾸로된 U자 형상으로 구부린 하나의 파이프재로 구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단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26)은, 측벽부(26A)와, 전벽부 (26B)와, 후벽부(26C)로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프레임(26)을 단독으로 보면, 사이드 프레임(26)은 평단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사이드 프레임(26)을 좌우 한 쌍으로 보면, 사이드 프레임(26)은 평단면으로 보았을 때 시트 폭 방향에 대향하는 내측이 개구된 개(開)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는, 평단면으로 본 경우에,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전부(26A1)와, 이 전부(26A1)의 후단부로부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비스듬히 굴곡된 후부(26A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26A)는, 측면에서 본 경우에, 전체적으로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할수록 폭(시트 전후 방향의 길이)이 좁아져 있다. 또, 측벽부(26A)에는, 후술하는 시트백 보드(16)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 구멍(32)(도 1 참조)이 상하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벽부(26B)는, 측벽부(26A)의 전단으로부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수직으로 절곡(折曲)되어 있고, 또한 그 내단부는 약간 비스듬히 후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 후벽부(26C)는, 측벽부(26A)의 후부(26A2)의 후단으로부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단, 이상 설명한 사이드 프레임(26)의 단면 형상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단면 형상의 사이드 프레임을 사용해도 된다.
<시트백 보드(16)의 구성>
다음으로, 차량용 시트(10)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시트백 보드(16)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특히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백 보드(16)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시트백 프레임(14)의 배면 측에 배치된 백보드부(36)와, 이 백보드부(36)의 전면 측으로 이간하여 배치되고 또한 시트 후방측으로의 하중이 작용함으로써 하중 작용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백스프링부(38)를 구비하고 있고,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백보드부(36)는, 시트백 프레임(14)보다 한 둘레 작게 형성된 보드 본체(40)와, 이 보드 본체(40)의 바깥 국부에 세워 설치된 소정 높이의 주벽부(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벽부(41)의 후단부에는 걸림홈(42)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커버 사이드부(78)의 후단측의 단말부에 봉제된 걸림편(80)이 걸어 멈춰지게 되어 있다.
한편, 백스프링부(38)는, 백보드부(36)의 하부 측에 배치된 하측 백스프링부(44)와, 백보드부(36)의 상부 측에 배치된 상측 백스프링부(4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백스프링부(46)는, 하측 백스프링부(44)에 대하여 시트백 높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 백스프링부(44)는, 시트백 높이 방향으로 상하 3단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3개의 하측 백스프링 본체부(48)를 구비하고 있고, 착좌 탑승자의 요부를 지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측 백스프링부(44)를 몇 개의 하측 백스프링 본체부(48)로 구성할 것인지는 임의이고, 요구되는 쿠션 성능과의 관계에서 적절히 변경된다. 따라서, 하측 백스프링부 상하폭을 넓혀 1개로 해도 되고, 반대로 2개 또는 4개 이상의 복수 개로 해도 된다.
하측 백스프링 본체부(48)의 평단면 형상은 파상(波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백보드부(36)측(시트 후방측)으로의 하중이 작용함으로써 파상 부분(48A)이 신장되고, 이것에 의해 하중 작용 방향인 백보드부(36) 측으로 휨 변형(탄성 변형)되게 되어 있다. 또한, 하측 백스프링 본체부(4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48B)(도 2 참조)의 근방에는, 커버(20)를 장착하기 위한 후술하는 종향(縱向) 수지 클립부(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종향 수지 클립부(58)가 형성되는 범위에 대해서는 파상 부분(48A)은 형성되지 않는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백보드부(36)는, 하측 백스프링부(44)의 차량 후방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하측 백스프링부(44)와 백보드부(36)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52)의 범위 내에서 하측 백스프링 본체부(48)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백보드부(36)는, 하측 백스프링부(44)의 휨 량을 소정량 이하로 제한하는 제한 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상측 백스프링부(46)도 기본적으로는 하측 백스프링부(44)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측 백스프링 본체부(5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측 백스프링 본체부(54)에는, 백보드부(36)측(시트 후방측)으로의 하중이 작용하면 신장하여 휨 변형(탄성 변형)되도록 파상 부분(5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백스프링 본체부(54)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54B)(도 2 참조)에는 종향 수지 클립부(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 길이 방향의 양단부(54B)와 중앙부에는 횡향(橫向) 수지 클립부(6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백스프링부(46)를 일층(하나)으로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 단(복수 개)로 구성해도 되고, 백보드부(36)의 상부에서부터 하부에 걸쳐 등간격으로 복수 단(복수 개)의 백스프링부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하측 백스프링 본체부(4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48B) 및 상측 백스프링 본체부(54)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54B)는, 백보드부(36)의 주벽부(41)에 있어서의 전단부의 내측면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1 내지 도 3(특히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백보드부(36)의 양측부에는, 좌우 한 쌍의 고정부(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좌우 한 쌍의 고정부(50)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의 시트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시트백 보드(16)는, 시트백 프레임(14)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좌우의 고정부(50)의 시트 폭 방향의 내측면에는 도시 생략한 수지 클립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서술한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에 형성된 장착 구멍(32)(도 1 참조)에 당해 수지 클립이 꽂아지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백 보드(16)가 시트백 프레임(14)의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시트백 프레임(16)을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는, 반드시 수지 클립일 필요는 없고, 리벳이나 스크루, 나사 또는 볼트와 웰드 너트 등의 체결 도구로 체결하는 구성, 구조용 접착제로 접착하는 구성 등, 다양한 양태가 적용 가능하다.
<시트백 패드(18)의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백 패드(18)는, 대별하면, 패드 중앙 상부(62)와, 패드 중앙 하부(64)와, 좌우 한 쌍의 패드 사이드부(6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백 패드(18)는, 우레탄폼 등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 중앙 상부(62)의 종단면 형상은, 상하 좌우 역방향의 대략 J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패드 중앙 상부(62)는, 시트백 프레임(14)의 어퍼 프레임(28)에 시트백 상방측으로부터 걸어 멈추어져 있다. 패드 중앙 하부(64)의 종단면 형상은, 좌우 역방향의 대략 J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패드 중앙 하부(64)는, 하부가 상부보다 차량 전방측으로 볼록 만곡 형상으로 팽창된 형상을 하고 있다. 이 패드 중앙 하부(64)는, 사이드 프레임(26)의 하단부끼리를 시트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68)에 시트백 하방측으로부터 걸어 멈추어져 있다. 또한, 커넥팅 로드(68)는, 시트백 프레임(14)의 로어 프레임(30)의 전방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패드 사이드부(66)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패드 사이드부(66)는, 고정부(50)가 장착된 상태의 사이드 프레임(26)에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감아지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패드 사이드부(66)는, 하부가 상부보다 차량 전방측으로 볼록 만곡 형상으로 팽창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또한 패드 중앙 상부(62) 및 패드 중앙 하부(64)보다 차량 전방측으로 팽출되어 탑승자에 대한 사이드 서포트성을 확보하는 형상이 되어 있다. 또,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패드 사이드부(66)는, 후술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가 배설되는 관계로 두께가 얇아지고 있다(도 3 참조). 상기 서술한 시트백 보드(16)는, 종단면으로 보았을 때, 패드 중앙 상부(62)의 배면측 하단부(62A)에서부터 패드 중앙 하부(64)의 배면측 상단부(64A)에 걸쳐 배설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패드 중앙 상부(62)와 패드 중앙 하부(64)의 사이에는, 커버 매달기용의 횡방향 슬릿(7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드 중앙 상부(62), 패드 중앙 하부(64)와 패드 사이드부(66)의 사이에는, 좌우 한 쌍의 커버 매달기용의 종방향 슬릿(7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횡방향 슬릿(70) 및 종방향 슬릿(72)의 슬릿 폭은, 후술하는 종방향 장착 부재(22) 및 종방향 장착 부재(24)가 삽입 통과 가능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 이들의 횡방향 슬릿(70) 및 종방향 슬릿(72)은 모두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시트백 패드(18)를 그 두께 방향(시트 전후 방향이기도 함)으로 관통하고 있다.
<커버(20) 및 그 장착 구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20)는, 시트백 패드(18)를 정면측으로부터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20)는, 상기 시트백 패드(18)의 분할 구성에 맞추어 커버 중앙 상부(74), 커버 중앙 하부(76), 좌우 한 쌍의 커버 사이드부(7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버(20)는, 종방향 장착 부재(22), 횡방향 장착 부재(24), 종향 수지 클립부(58), 횡향 수지 클립부(60) 및 외주 걸림부(80)를 사용하여 시트백 보드(16)에 장착되어 있다.
종방향 장착 부재(22)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 부재 본체(22A)와, 장착 부재 본체(22A)의 일방의 옆쪽 가장자리에 설치됨과 함께 대략 쐐기형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결합부(22B)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 부재 본체(22A)는 커버(20)와 동일한 유연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전체 길이는 상측 백스프링 본체부(54)에 형성된 후술하는 종향 수지 클립부(58)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하측 백스프링 본체부(48)에 형성된 후술하는 종향 수지 클립부(58)에 걸쳐놓는 것이 가능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장착부 본체(22A)의 타방의 테두리는, 결합부(22B)의 중심부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착 부재 본체(22A)와 결합부(22B)가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장착 부재 본체(22A)의 타방의 테두리는, 커버 중앙 상부(74), 커버 중앙 하부(76)와 커버 사이드부(78)에 봉제에 의해 미리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종방향 장착 부재(22)[및 횡방향 장착 부재(24)]를 커버(20)로부터 분리하여 그리고 있지만, 종방향 장착 부재(22)[및 횡방향 장착 부재(24)]는, 커버(20)의 이면측에 미리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종방향 장착 부재(22)는, 시트백 패드(18)의 종방향 슬릿(70)을 삽입 통과한 후, 백스프링부(38)의 종향 수지 클립부(58)에 탄성적으로 걸어 맞추어져 있다. 종향 수지 클립부(58)는, 하측 백스프링 본체부(4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48B) 및 상측 백스프링 본체부(54)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54B)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종향 수지 클립부(58)는, 시트백 높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가늘고 긴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종방향 장착 부재(22)의 결합부(22B)를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또는 밑에서부터 순서대로 백스프링부(38)의 종향 수지 클립부(58)에 순차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 감으로써, 커버 중앙 상부(74), 커버 중앙 하부(76)와 커버 사이드부(78)의 경계 부분이 시트백 보드(16)로 인입되어 걸어 멈춰지는 구성이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 장착 부재(24)는 시트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시트백 높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된 종방향 장착 부재(22)와 다르지만, 그 이외의 구성은 종방향 장착 부재(22)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횡방향 장착 부재(24)도, 종방향 장착 부재(22)와 동일하게 띠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 부재 본체(24A)와, 장착 부재 본체(24A)의 일방의 옆쪽 가장자리에 설치됨과 함께 대략 쐐기형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결합부(24B)로 구성되어 있다. 또, 장착 부재 본체(24A)의 타방의 테두리는, 커버 중앙 상부(74), 커버 중앙 하부(76)에 봉제에 의해 미리 장착되어 있다. 한편, 횡향 수지 클립부(60)는, 종향 수지 클립부(58)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 장착 부재(24)를 시트백 패드(18)의 횡방향 슬릿(70) 내에 삽입 통과시킨 후, 결합부(24B)를 백스프링부(38)의 횡향 수지 클립부(60)에 순차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 감으로써, 커버 중앙 상부(74)와 커버 중앙 하부(76)의 경계 부분이 시트백 보드(16) 측으로 인입되어 걸어 멈춰지는 구성이다. 즉, 횡방향 장착 부재(24)와 종방향 장착 부재(22)에서는, 커버(20)의 인입 방향이 90도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20)의 바깥 국부의 적절한 위치에는, 선단부가 화살촉 형상으로 된 외주 걸림부(80)가 봉제 등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 외주 걸림부(80)가 백보드부(36)의 걸림 홈(42) 내에 깊게 삽입됨으로써, 커버(20)의 바깥 국부가 백보드부(36)에 걸어 멈춰지도록 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케이스부(102)의 구조>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등을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주요부와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케이스부(102)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처음으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측면 충돌 시에 작동하여 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104)와, 이 인플레이터(104)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통 형상의 디퓨저(105)와, 인플레이터(104) 및 디퓨저(105)를 덮도록 접힌 사이드 에어백(106)을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백 모듈(108)을 구비하고 있다.
인플레이터(104)는 양단부가 폐지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플레이터(104)의 축 방향 상단부의 축 중심부에는, 도시 생략한 스퀴브(점화 장치)에 통전하기 위한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다. 또, 인플레이터(104)의 축 방향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가스 분출 구멍이 형성된 가스 분출부(104A)가 동축 상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104)의 내부에는 착화제, 전화제, 가스 발생제, 쿨랜트, 필터 등의 기능 부품이 배설되어 있고, 스퀴브에 통전되면, 가스 발생제가 연소하여 대량의 가스가 발생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스 발생제가 봉입된 타입의 인플레이터의 이외에도, 고압 가스가 봉입된 타입의 인플레이터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인플레이터(104)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디퓨저(105)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디퓨저(105)의 내부에 인플레이터(104)가 삽입된 상태에서, 디퓨저(105)의 외주부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코킹함으로써, 디퓨저(105)가 인플레이터(104)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인플레이터(104)의 가스 분출부(104A)의 복수의 가스 분출 구멍으로부터 분출된 가스가 디퓨저(105)에 의해 정류(整流)되게 되어 있다. 이 디퓨저(105)의 바깥 국부에는, 상하 한 쌍의 스터드 볼트(110)(도 3 참조)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106)의 내부에는, 당해 사이드 에어백(106)을 높이 방향으로 이분하는 격벽(1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격벽(112)이 설치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106)은, 격벽(112)의 하방에 설치되어 착좌 탑승자의 요부를 구속하는 하방 챔버(106A)와, 격벽(112)의 상방에 설치되어 착좌 탑승자의 흉부를 구속하는 상방 챔버(106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격벽(112)에는 상방 챔버(106B)와 하방 챔버(106A)를 연통하는 도시 생략한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인플레이터(104), 디퓨저(105) 및 사이드 에어백(106)을 포함한 에어백 모듈(108)은,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퓨저(105)에 형성된 상기 서술한 한 쌍의 스터드 볼트(110)가, 당해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의 후부(26A2)에 형성된 한 쌍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스터드 볼트(110)에 너트(114)가 나사 결합 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가 당해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시트백 보드(16)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는, 시트 높이 방향을 따라 케이스부(10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부(102)는 평단면으로 보았을 때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벽부(41)로부터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후벽부(102A)와, 이 후벽부(102A)의 외측의 단부로부터 시트 전방측으로 굴곡된 종벽부로서의 측벽부(102B)와, 이들 후벽부(102A)의 상단부와 측벽부(102B)의 상단부를 연결시키는 정벽(頂壁)부(102C)(도 2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벽부(102C)는, 시트백 보드(16)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고정부(50)의 하단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백 보드(16)의 조립 상태에서는, 케이스부(102)와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사이드 프레임(26) 사이에 소정 폭의 수납 스페이스(1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납 스페이스(116)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에어백 모듈(108)이 수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 상태에서는, 에어백 모듈(108)이 접힌 사이드 에어백(106)의 시트 폭 방향의 외측면에 케이스부(102)의 측벽부(102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부(102)의 측벽부(102B)의 더욱 외측에는, 시트백 패드(18)의 패드 사이드부(66)가 배설되어 있다. 또, 케이스부(102)의 외측에는, 역포(力布)(120)가 배설되어 있다. 역포(120)의 내측의 단부(120A)는 사이드 프레임(26)의 후벽부(26C)에 고정되어 있다. 또, 역포(120)의 외측의 단부(120B)는 케이스부(102)의 측벽부(102B) 및 시트백 패드(18)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을 지나 커버 사이드부(78)의 전단 측의 단말부에 봉제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케이스부(102)가 채용된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케이스부(102) 자체가 에어백 모듈(108)을 수용하는 종래 사용되고 있던 금속제의 모듈 케이스를 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제의 모듈 케이스는 이용되고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시트백 보드(16)를 시트백 프레임(14)에 조립하기 전에,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사이드 프레임(26)의 소정 위치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에어백 모듈(108)의 디퓨저(105)로부터 돌출된 스터드 볼트(110)가 사이드 프레임(26)에 형성된 볼트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되어 너트(114)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가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된다.
이어서, 시트백 보드(16)가 시트백 프레임(14)에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조립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고정부(50)를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외측에 배치시키고, 도시 생략한 수지 클립을 사이드 프레임(26)의 장착 구멍(32)에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해, 시트백 보드(16)가 시트백 프레임(14)의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된다. 이때, 시트백 보드(16)의 케이스부(102)의 내측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가 수납된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부(102)의 측벽부(102B)가, 에어백 모듈(108)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배치된다. 그 후, 시트백 패드(18)가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씌워짐과 함께, 커버(20)가 시트백 패드(18)의 표면에 씌워진다. 또한, 커버 사이드부(72)에는 역포(120)의 외측의 단부(120B)가 미리 봉제되어 있으므로, 커버(20)를 씌울 때 역포(120)의 내측의 단부(120A)가 사이드 프레임(26)의 후벽부(26C)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조립된 시트백(12)은, 시트 쿠션(11)의 후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차량용 시트(10)가 된다. 탑승자가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하면, 커버(20) 및 시트백 패드(18)를 통하여 백스프링부(38)에 시트 후방측으로의 하중이 입력된다. 이 때문에, 하측 백스프링 본체부(48) 및 상측 백스프링 본체부(54)가 하중 작용 방향인 시트백 후방측으로 휨 변형된다. 또, 이때의 하중은 고정부(50)로부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사이드 프레임(26)으로부터 시트 전방측으로의 반력이 발생한다.
이처럼 탑승자로부터 백스프링부(38)에 하중이 입력되면, 자신은 휨 변형되어 시트백(12)의 쿠션성의 확보에 기여하고, 하중 그 자체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으로 전달되어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으로 지지된다. 그 결과, 시트백(12)의 쿠션 성능이 충분히 확보된다. 또, 백스프링부(38)는 수지제로 이루어져 백보드부(36)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백스프링부(38)를 금속제의 시트백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수 및 조립 공정수가 삭감된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시트백(12)의 쿠션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더욱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차량용 시트(10)를 구비한 차량이 측면 충돌 또는 롤 오버되면,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인플레이터(104)가 작동한다. 이 때문에, 인플레이터(104)의 하단부의 가스 분출부(104A)로부터 가스가 분출되어, 디퓨저(105)에서 정류되고 나서, 접힌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106) 내로 가스가 유입된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106)이 팽창하기 시작하여, 패드 사이드부(66)를 파단시킴과 함께, 그때의 팽창압이 역포(120)를 통하여 커버 사이드부(78)의 표피 개열부(122)에 인장력으로서 집중적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 표피 개열부(122)가 개열되어, 사이드 에어백(106)이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106)의 내부에 격벽(112)이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용량이 적은 하방 챔버(106A)가 용량이 많은 상방 챔버(106B)보다 먼저 팽창이 완료되어, 착좌 탑승자의 요부가 재빨리 구속된다. 계속해서, 상방 챔버(106B)의 팽창이 완료되고, 착좌 탑승자의 흉부가 구속된다. 또, 백 내압은, 하방 챔버(106A) 쪽이 상방 챔버(106B)보다 높아진다.
여기서, 사이드 에어백(106)이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될 때, 사이드 에어백(106)은 사이드 프레임(26) 측으로는 팽창될 수 없는 만큼, 시트백 패드(18)의 패드 사이드부(66)의 외측부(66A)(도 6 참조)를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눌러 넓히면서 둥글게 팽창되고 나서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되어 간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백 보드(16)에 케이스부(102)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측벽부(102B)를 패드 사이드부(66)의 외측부(66A)의 더욱 내측에 배치했으므로, 사이드 에어백(106)은, 측벽부(102B)의 강성에 의해,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패드 사이드부(66)의 외측부(66A)를 눌러 찌그러뜨리면서 사이드 에어백(106)이 둥글게 팽창하는 것과 같은 현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측면 충돌 시에 사이드 에어백(106)이 시트 전방측으로 신속하게 팽창 전개된다.
또, 케이스부(102)의 측벽부(102B)는 시트백 보드(16)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하지 않고, 또한 조립 공정수가 번잡화되지 않는다.
이들의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이드 에어백(106)에 의한 탑승자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부(102)의 측벽부(102B)가 에어백 케이스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별개 독립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에어백 케이스를 폐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독립한 금속제의 에어백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수 나아가서는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사이드 프레임(26)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점을 전제로 하여, 시트백 보드(16)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가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덮어지도록 시트백 프레임(26)의 후방측으로부터 조립되어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된다. 그 결과, 종래의 시트백 보드가 있는 차량용 시트의 조립 순서를 변경하지 않고,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탑재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부(130)가 종벽부로서의 측벽부(130A)뿐만 아니라 저벽부(130B)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벽부(130B)는 측벽부(130A)의 하단부로부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직각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선단부(130C)는 시트 상방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도시 생략하고 있지만, 케이스부(130)도,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케이스부(102)와 마찬가지로 후벽부 및 정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스부(130)는, 시트 전방측 및 시트 폭방향 내측이 개방된 박형(薄型)의 상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에어백 장치(132)의 조립 상태에서는, 케이스부(130)의 시트 폭방향 내측의 개구가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의 후부(26A2)로 폐지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케이스부(130)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백 보드(16)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32)는,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보다 시트 하방측, 즉 시트백(12)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 중간부에서부터 하단부까지의 범위에 배설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시트 팬(134)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설된 수지제의 시트 사이드 실드(136)의 상면에 케이스부(130)의 저벽부(130B)가 맞닿거나 또는 근접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은, 통상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38)의 배설 위치이다.
(작용·효과)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은 답습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부(130)가 저벽부(130B)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측벽부(130A)가 저벽부(130B)에 의해 보강된다.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140)의 전개 시의 압력이 측벽부(130A)에 작용했을 때에 있어서의 측벽부(130A)의 변형 내력이 높아진다. 그 결과, 사이드 에어백(140)의 전개 시에 사이드 에어백(140)이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이 더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측면 충돌 시에 사이드 에어백(140)을 도어 트림과 착좌 탑승자의 측부 사이에 더욱 신속히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측벽부(130A)의 하단부에 저벽부(130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140)이 전개될 때 사이드 에어백(140)이 저벽부(130B)보다 하방으로 팽창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접힌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106)의 하방에 존재하는 높이 h의 공간(도 7 참조)에,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106)의 일부가 들어가, 사이드 에어백(106)의 전개가 느린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당해 공간을 패드 사이드부(66)로 메울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132)의 전체를 시트백(12)의 패드 사이드부(66)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 중간부에서부터 하단부까지의 범위에 배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범위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132)를 배설하면, 이 범위보다 시트 상방측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138)를 배설하는 경우(도 8의 2점 쇄선 참조)에 비하여, 인플레이터(104)의 가스 분출부(104A)와 착좌 탑승자의 요부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사이드 에어백(140)은 그 내부에 설치된 격벽에 의해 착좌 탑승자의 요부를 구속하는 하방 챔버와 착좌 탑승자의 흉부를 구속하는 상방 챔버로 구획되어 있지만, 하방 챔버는 인플레이터(104)의 가스 분출부(104A)와 시트 전후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 챔버를 더욱 신속하게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이들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착좌 탑승자의 요부에 대한 초기 구속 성능을 더욱 향상시킴과 함께, 사이드 에어백 장치(132)의 하방 배치가 가능해진다는 의미에서, 시트백(12)에 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132)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0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 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백 보드(150)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6)에 대하여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감합되어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 장치(132)를 수용하는 케이스부(15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트백 보드(150)의 양측부에는, 평단면으로 보았을 때 시트 후방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154)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154)가 사이드 프레임(156)의 전벽부(156B)에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감합되고, 측벽부(156A)에서 고정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고정부(154) 중,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고정부(154)에는, 평단면으로 보았을 때 시트 전방측이 개방된 U자 형상의 케이스부(1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152)는, 좌우 한 쌍의 측벽부(152A, 152B)와, 이들 측벽부(152A, 152B)의 후단부끼리를 시트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후벽부(152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측벽부(152B)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종벽부에 상당한다. 또한, 케이스부(152)는,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정벽부(102C) 및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저벽부(130B)의 적어도 일방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측벽부(152B)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측벽부(152B)와 후벽부(152C)의 접합부에 리브를 형성하거나, 측벽부(152B)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 하면 된다.
(작용·효과)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은 답습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백 보드(150)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평단면으로 보았을 때 시트 전방측이 개방된 U자 형상의 케이스부(152)가 설치되어 있고, 사이드 에어백 장치(132)는 이 케이스부(152)에 미리 조립된다. 그 후, 시트백 보드(150)는 시트백 프레임(14)에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감합되고, 시트백 보드(150)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된다.
여기서, 사이드 에어백(140)이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면, 그때의 반력이 시트 후방측[즉, 시트백 보드(150)가 사이드 프레임(26)에 보다 강하게 감합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이드 에어백(140)의 전개 시에 시트백 보드(150)가 사이드 프레임(26)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보충 설명〕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제의 백보드부(36)와 수지제의 백스프링부(38)를 일체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지제의 백보드부에 수지제의 백스프링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즉, 백보드부와 백스프링부를 각각 제작하고 나서 양자를 용착 등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백스프링부를 구성하는 백스프링 본체부와 고정부를 다른 부품으로서 제작하고 나서 용착 등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해도 된다. 더 보충하면,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부(50)를 백스프링부(38) 측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하였지만, 고정부(50)를 백보드부(36) 측의 구성 요소라고 인식해도, 그렇게 해석하는 것 자체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왜냐하면, 시트백 보드의 완성품의 상태에서는, 고정부라는 구성 요소를 백스프링부 측에 포함시킬지, 그렇지 않으면 백보드부측에 포함시킬지는, 구분을 어떻게 할지의 문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부(102)를 시트백 보드(16)에 일체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케이스부를 시트백 보드와는 별체로 형성하고, 열 용착 등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해도 된다. 이 점은, 제2 실시 형태 및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종벽부에 상당하는 케이스부(102)의 측벽부(102B)(제1 실시 형태), 케이스부(130)의 측벽부(130A)(제2 실시 형태), 케이스부(152)의 측벽부(152B)(제3 실시 형태)는, 접힌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106, 140)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면에 시트 전후 방향 및 시트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사이드 에어백(106, 140)의 팽창 전개 시에 그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의 팽창을 규제하는 것이면 된다. 따라서, 시트(차량)를 측면에서 보아, 접힌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의 전부(全部)를 케이스부의 측벽부(종벽부)가 덮는 것은 필수 요건은 아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는, 사이드 에어백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면을 따라 시트 전후 방향 및 시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사이드 에어백의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의 팽창을 규제하는 종벽부를 구비한 구성이 포함되므로, 당해 종벽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에어백 케이스를 구성하는지 아닌지는 불문한다.

Claims (7)

  1.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함과 함께 시트백의 골격 부재를 구성하는 시트백 프레임과,
    차체 측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쪽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측면 충돌 시에 시트 전방측으로 사이드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키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와,
    시트백의 배면측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 수지제의 시트백 보드와,
    상기 시트백 보드의 전면측에 배치되어,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가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시트백 패드와,
    상기 시트백 보드에 있어서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함께, 상기 시트백 패드의 측부의 내측이고 또한 접힌 상태의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면을 따라 시트 전후 방향 및 시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의 팽창을 규제하는 종벽부를 가지고,
    상기 종벽부는, 상기 시트백 보드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적어도 접힌 상태의 상기 사이드 에어백을 수용하는 에어백 케이스를 겸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종벽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시트백 보드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당해종벽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저벽부가 접속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시트백 보드는, 당해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시트 후방 측으로부터 덮이도록 시트백 프레임의 후방측으로부터 조립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보드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감합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됨과 함께, 당해 시트백 보드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는 평단면으로 보았을 때 시트 전방측이 개방된 U자 형상의 케이스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당해 케이스부의 후벽부에 고정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접힌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분출부를 구비한 인플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당해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상기 시트백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 중간부에서부터 하단부까지의 범위에 배설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7.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내부에 설치된 격벽에 의해, 상기 가스 분출부와 시트 전후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됨과 함께 착좌 탑승자의 요부를 구속하는 하방 챔버와, 착좌 탑승자의 흉부를 구속하는 상방 챔버로 구획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KR1020147004626A 2011-07-28 2011-07-28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KR101512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7361 WO2013014800A1 (ja) 2011-07-28 2011-07-28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863A KR20140040863A (ko) 2014-04-03
KR101512426B1 true KR101512426B1 (ko) 2015-04-16

Family

ID=4760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626A KR101512426B1 (ko) 2011-07-28 2011-07-28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96352B2 (ko)
EP (1) EP2738048B1 (ko)
JP (1) JP5626470B2 (ko)
KR (1) KR101512426B1 (ko)
CN (1) CN103717458A (ko)
WO (1) WO2013014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367335A1 (en) * 2011-05-02 2013-11-2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and seat back board
EP2786905B1 (en) 2011-11-29 2018-10-31 TS Tech Co., Ltd. Mounting member, and airbag module-equipped seat
JP5976511B2 (ja) * 2012-11-26 2016-08-23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パッド
JP5913267B2 (ja) 2013-11-27 2016-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2013225053A1 (de) * 2013-12-05 2015-06-11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modul
JP6234877B2 (ja) * 2014-04-25 2017-11-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229593B2 (ja) 2014-05-28 2017-11-15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3170703B1 (en) * 2014-07-14 2019-03-13 TS Tech Co., Ltd. Side air bag device
US9199558B1 (en) * 2014-08-29 2015-12-01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seat assembly
CN106314350B (zh) * 2015-06-26 2021-01-12 奥托立夫开发公司 气囊组件及装有该气囊组件的车辆座椅
US10464517B2 (en) * 2015-07-11 2019-11-05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6554952B2 (ja) * 2015-07-13 2019-08-0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US9475447B1 (en) * 2015-11-03 2016-10-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ack including a deployable device
US10166894B2 (en) * 2016-06-09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comfort carrier
US10220750B2 (en) * 2016-08-05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ner carrier substrate mechanical lock with head restraint guide sleeves
JP6475278B2 (ja) * 2017-03-24 2019-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11485311B2 (en) 2017-11-09 2022-11-01 Ts Tech Co., Ltd. Side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414039B2 (en) * 2017-11-09 2022-08-16 Honda Motor Co., Ltd. Side airbag device
EP3778297B1 (en) * 2018-04-05 2023-03-29 TS Tech Co., Ltd. Vehicle seat
JP7175387B2 (ja) * 2019-04-17 2022-11-1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7115411B2 (ja) * 2019-04-23 2022-08-09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7372054B2 (ja) * 2019-05-27 2023-10-31 株式会社タチエス 乗物用シート
JP7124810B2 (ja) * 2019-08-26 2022-08-24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14590768B (zh) * 2022-03-01 2023-03-31 永艺家具股份有限公司 一种座椅框架组装成型工艺
JP2023169006A (ja) * 2022-05-16 2023-11-29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およびシート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1192A (ja) 2009-04-02 2010-10-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1068198A (ja) 2009-09-24 2011-04-07 Mazda Motor Corp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2011126497A (ja) 2009-12-21 2011-06-30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372A (ja) 1995-05-31 1996-12-10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構造
CA2185296C (en) 1995-09-18 1999-07-13 Yasunori Hasegawa Seat structure having a side impact air bag apparatus
JP3345279B2 (ja) 1996-03-07 2002-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シート構造
JP3682464B2 (ja) 1995-11-07 2005-08-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エアバッグ装置
JP3120726B2 (ja) * 1995-12-14 2000-1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を備えたシート構造
JPH09188215A (ja) * 1996-01-12 1997-07-22 Toyota Motor Corp 自動車用側面衝突保護システム
JPH09309400A (ja) 1996-05-22 1997-12-02 Ikeda Bussan Co Ltd 車両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US6155593A (en) * 1996-05-31 2000-12-05 Nissan Motor Co., Ltd. Air bag apparatus for seat of vehicle
US5944341A (en) * 1996-05-31 1999-08-31 Nissan Motor Co., Ltd. Air bag apparatus for vehicle
JP3385852B2 (ja) * 1996-05-31 2003-03-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3591172B2 (ja) * 1996-11-29 2004-11-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エアバッグ装置
JP3591171B2 (ja) * 1996-11-29 2004-11-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エアバッグ装置
JP4463700B2 (ja) * 2005-01-25 2010-05-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7350803B2 (en) * 2005-02-10 2008-04-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system
JP5263530B2 (ja) 2009-02-13 2013-08-1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側部のエネルギー吸収構造
US8171868B2 (en) * 2009-04-02 2012-05-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wing method for seat cover
JP2011068197A (ja) 2009-09-24 2011-04-07 Mazda Motor Corp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5402954B2 (ja) * 2011-01-26 2014-0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2157099A1 (ja) * 2011-05-18 2012-1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構成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JP5691839B2 (ja) * 2011-05-25 2015-04-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乗物用シート
DE102012211753A1 (de) * 2012-07-05 2014-06-05 Lear Corp. Side Air Bag Assembly for Vehicle Seat Having External Rigid Deflector Sleev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1192A (ja) 2009-04-02 2010-10-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1068198A (ja) 2009-09-24 2011-04-07 Mazda Motor Corp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2011126497A (ja) 2009-12-21 2011-06-30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38048A1 (en) 2014-06-04
CN103717458A (zh) 2014-04-09
WO2013014800A1 (ja) 2013-01-31
EP2738048A4 (en) 2014-06-11
US20140183846A1 (en) 2014-07-03
EP2738048B1 (en) 2016-08-17
US9296352B2 (en) 2016-03-29
JPWO2013014800A1 (ja) 2015-02-23
KR20140040863A (ko) 2014-04-03
JP5626470B2 (ja)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426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KR101552292B1 (ko) 시트 구성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시트
JP4463700B2 (ja) 車両用シート
EP2199158B1 (en) Side airbag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ing it
JP693377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US11833990B2 (en) Side airbag device,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EP2987683B1 (en) Side airbag device
KR20190087278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
JP5491332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
US20230242061A1 (en)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EP3663140B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RU2662884C1 (ru)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боковой подуш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US11254276B2 (en) Side airbag apparatus and vehicle seat including the same
JP2021120271A (ja) 乗物用シート
JP7175387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7004897B2 (ja) 乗物用シート
JP2019156173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4119402A1 (en) Side airbag device
JP2010241192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24059199A (ja) 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