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807B1 - 래칫 및 래칫을 사용한 밸브체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래칫 및 래칫을 사용한 밸브체 구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1807B1 KR101511807B1 KR20100055315A KR20100055315A KR101511807B1 KR 101511807 B1 KR101511807 B1 KR 101511807B1 KR 20100055315 A KR20100055315 A KR 20100055315A KR 20100055315 A KR20100055315 A KR 20100055315A KR 101511807 B1 KR101511807 B1 KR 1015118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body
- gear
- rotating
- pinion
- ratch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과제) 그리스의 비산을 억제하여 그리스의 효과 저하를 방지한다.
(해결 수단) 제 2 피니언 (42) 과 동축에 형성된 제 2 치차 (41) 에, 제 2 피니언 (42) 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래칫 부재 (110) 의 외주를 둘러싸는 둘레 벽 (121) 이 형성되고, 이 둘레 벽 (121) 의 내측에 래칫 부재 (110) 를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수용실 (120) 이 형성되어 있고, 래칫 부재 (110) 의 걸어맞춤 발톱 (113) 과, 둘레 벽 (121) 의 내주에 형성되어 걸어맞춤 발톱 (113) 이 탄성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이 (122) 로 구성된 래칫 기구 (100) 에 의해서 적어도 일방에 그리스가 도포된 제 2 피니언 (42) 과 제 2 치차 (41) 가, 걸어맞춤 발톱 (113) 을 걸어맞춤 이 (122) 에 대해 계탈시키면서 상대 회전하는 래칫에 있어서, 수용실 (120) 의 개구를 덮개부 (150) 로 막아 형성된 공간내에서 걸어맞춤 발톱 (113) 의 걸어맞춤 이 (122) 에 대한 계탈이 행해지도록 하였다.
(해결 수단) 제 2 피니언 (42) 과 동축에 형성된 제 2 치차 (41) 에, 제 2 피니언 (42) 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래칫 부재 (110) 의 외주를 둘러싸는 둘레 벽 (121) 이 형성되고, 이 둘레 벽 (121) 의 내측에 래칫 부재 (110) 를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수용실 (120) 이 형성되어 있고, 래칫 부재 (110) 의 걸어맞춤 발톱 (113) 과, 둘레 벽 (121) 의 내주에 형성되어 걸어맞춤 발톱 (113) 이 탄성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이 (122) 로 구성된 래칫 기구 (100) 에 의해서 적어도 일방에 그리스가 도포된 제 2 피니언 (42) 과 제 2 치차 (41) 가, 걸어맞춤 발톱 (113) 을 걸어맞춤 이 (122) 에 대해 계탈시키면서 상대 회전하는 래칫에 있어서, 수용실 (120) 의 개구를 덮개부 (150) 로 막아 형성된 공간내에서 걸어맞춤 발톱 (113) 의 걸어맞춤 이 (122) 에 대한 계탈이 행해지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래칫 및 래칫을 사용한 밸브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는, 가정용 세탁기의 배수 밸브의 개폐에 사용되는 모터식 구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모터식 구동 장치에서는, 모터에 의해 감속 치차 (齒車) 열을 개재하여 출력 부재를 구동시켜, 출력 부재에 연결된 배수 밸브를, 초기 위치 (폐 위치) 로부터 작동 위치 (폐 위치) 로 구동 변위시킴과 함께, 감속 치차 열에 형성된 래칫 기구에 의해 배수 밸브를 작동 위치에서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9(a) 는 특허문헌 1 의 모터식 구동 장치가 구비하는 래칫 기구 (200) 의 평면도이고, (b) 는 (a) 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래칫 기구 (200) 는, 제 1 치차 (201)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래칫 부재 (210) 와, 제 2 치차 (220) 의 둘레 벽부 (221) 에 형성되어, 래칫 부재 (210) 의 걸어맞춤 발톱 (212) 이 탄성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이 (222) 로 구성된다.
이 래칫 기구 (200) 에서는, 제 1 치차 (201) 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토크가 입력되어, 래칫 부재 (210) 가 제 1 치차 (201) 와 함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래칫 부재 (210) 의 걸어맞춤 발톱 (212) 이 걸어맞춤 이 (222) 의 이홈 (223) 과 걸어맞추어져 제 1 치차 (201) 와 제 2 치차 (220) 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 제 1 치차 (201) 를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토크가 입력되어, 래칫 부재 (210) 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래칫 부재 (210) 가 아암부 (211) 의 선단측을 회전 중심 (O) 측으로 탄성 변형시켜, 걸어맞춤 발톱 (212) 을 걸어맞춤 이 (222) 의 경사면 (222a) 을 슬라이딩시키면서 회전함으로써, 래칫 부재 (210) 와 제 1 치차 (201) 가 제 2 치차 (220) 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여기에서, 제 1 치차 (201) 와 제 2 치차 (220) 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래칫 부재 (210) 의 걸어맞춤 발톱 (212) 은, 탄성 변형된 아암부 (211) 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으므로, 래칫 부재 (210) 는, 걸어맞춤 이 (222) 의 이홈 (223) 에 걸어맞춤 발톱 (212) 을 주기적으로 걸어맞추면서, 즉 걸어맞춤 발톱 (212) 의 이홈 (223) 에 대한 계탈 (係脫) 을 반복하면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종래의 클러치 기구에서는, 걸어맞춤 발톱 (212) 과 이홈 (223) 의 마모 방지와, 걸어맞춤시의 충격력과 걸어맞춤에서 기인되는 노이즈의 완화를 목적으로 하여, 적어도 걸어맞춤 발톱 (212) 에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다.
그러나, 걸어맞춤 발톱 (212) 에 도포된 그리스는, 걸어맞춤 발톱 (212) 과 이홈 (223) 의 걸어맞춤에 의한 충격으로 비산되기 때문에, 종래의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는 복합 치차의 경우,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면, 걸어맞춤 발톱 (212) 에 도포된 그리스량의 감소로 인하여 그리스의 효과가 저하되어 버린다.
따라서, 그리스의 비산을 억제하여 장기간에 걸쳐 사용해도 그리스의 효과가 저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제 1 회전체와 동축에 형성된 제 2 회전체에, 제 1 회전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의 외주를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둘레 벽이 형성되고, 회전 부재를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수용실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 부재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 발톱과, 둘레 벽의 내주에 형성되어 걸어맞춤 발톱이 상기 직경 방향에서 탄성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이로 구성되고, 걸어맞춤 발톱과 걸어맞춤 이 중의 적어도 일방에 점조성의 윤활제가 도포된 래칫 기구에 의하여, 제 1 회전체와 제 2 회전체가, 걸어맞춤 발톱을 걸어맞춤 이에 계탈시키면서 지지축 주위에서 상대 회전하도록 된 래칫에 있어서, 수용실의 개구를 막는 덮개 부재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덮개 부재는 지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지지축의 베어링이 형성되어 있는 기존의 부재를 이용하여 덮개 부재가 구성되므로, 윤활제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 부재를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 점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 점수의 증가에 수반하는 제작 비용의 상승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덮개 부재와 베어링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를, 베어링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정밀도를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어 걸어맞춤 이와 덮개 부재의 위치 정밀도가 향상된다.
덮개 부재에는, 둘레 벽에 전체 둘레에 걸쳐 끼워맞추어지는 고리 형상의 끼워맞춤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지지축의 축 방향에서, 제 2 치차와 덮개 부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도, 지지축의 직경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2 치차의 둘레 벽과 덮개 부재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걸어맞춤 발톱과 걸어맞춤 이의 걸어맞춤에 의한 충격으로 비산된 윤활제를, 수용실을 덮개 부재로 막아 형성된 공간내에 확실하게 머물게 할 수가 있다.
덮개 부재의 제 2 회전체와의 대향면 중에서, 끼워맞춤 벽부로 둘러싸인 내측의 영역은, 외측의 영역보다, 축 방향에서 제 2 회전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수용실을 덮개 부재로 막아 형성되는 공간을, 덮개 부재측에 오프셋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오프셋시킨 분만큼 제 2 회전체에 있어서의 둘레 벽의 높이를 낮추어, 제 2 회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제 2 회전체는, 수용실의 개구를 중력 방향에 대하여 상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걸어맞춤 발톱과 걸어맞춤 이의 걸어맞춤에 의한 충격으로, 윤활제가 중력 방향에 대하여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 부재측으로 비산되어도, 비산된 윤활제가 자중에 의해 덮개 부재보다 중력 방향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걸어맞춤 발톱 주위로 되돌아오게 된다.
또, 예를 들어 주위 환경이 고온으로 되는 것 등에 의해, 윤활제의 점도가 저하되어 유동성이 높아졌다고 해도,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수용실은, 단면 (斷面) 에서 보았을 때 컵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유동성이 높아진 윤활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다.
회전 부재는, 제 1 회전체와 동축에 형성되어 제 1 회전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어, 걸어맞춤 발톱을 갖는 선단측이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아암부를 구비하고 있고, 덮개 부재의 제 2 회전체와의 대향면에는,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을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아암부의 적어도 선단측은, 지지축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오목홈과 겹치는 위치를 본체부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회전 부재가 덮개 부재측으로 이동해도, 아암부의 적어도 선단측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오목홈과 겹치는 부분은, 덮개 부재의 제 2 회전체와의 대향면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아암부의 선단측의 직경 방향의 변위가 저해되지 않는다.
지지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제 2 회전체는, 덮개 부재와 제 1 회전체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 1 회전체는, 제 2 회전체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선단측이 수용실내에 위치하는 관통부를 갖고 있고, 회전 부재는, 수용실을 덮개 부재로 막아 형성되는 공간내에서 관통부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지지축의 축 방향에서, 제 1 회전체와 제 2 회전체 사이에 회전 부재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제 1 회전체와 제 2 회전체를 근접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 제 2 회전체에 대하여 고정측의 부재인 덮개 부재로 수용실의 개구를 막을 수 있으므로, 수용실을 덮개 부재로 막아 형성되는 공간을 거의 밀폐된 공간으로 할 수가 있어, 윤활제의 외부로의 누출을 보다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회전 부재는, 제 1 회전체와 동축에 형성되어 제 1 회전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어, 걸어맞춤 발톱을 갖는 선단측이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아암부를 구비하고 있고, 아암부에 점조성의 윤활제가 도포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윤활제의 점성 저항에 의해 아암부의 이동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게 된다.
제 1 회전체와 제 2 회전체의 일방은 모터로 회전 구동되고, 제 1 회전체와 제 2 회전체의 타방은 밸브체를 개폐 구동하는 밸브체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체와 제 2 회전체의 타방은, 편심 위치에 연결부를 갖는 출력 부재를 회전 구동하고, 밸브체는 개 방향 또는 닫힘 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탄성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연결부의 위치에 의해 밸브체의 탄성 지지력이 출력 부재를 회전시키는 방향이 역전된다. 밸브체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출력 부재가, 래칫 기구가 단 (斷)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끊김 상태로 되는 래칫 기구의 걸어맞춤 발톱과 걸어맞춤 이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과 복원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 발톱과 걸어맞춤 이의 걸어맞춤에 의한 충격이 반복되는 경우에도, 비산된 윤활제를, 수용실을 덮개 부재로 막아 형성된 공간내에 확실하게 머물게 할 수가 있다.
출력 부재는, 래칫 기구와 출력 부재 사이에 배치 형성된 감속 치차 열을 개재하여 모터로 회전 구동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밸브체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래칫 기구가 끊김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출력 부재의 회전이 증속되어 제 1 회전체와 제 2 회전체의 타방이 회전 구동된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 발톱과 걸어맞춤 이의 걸어맞춤이 고속으로 반복되는 경우에도, 비산된 윤활제를, 수용실을 덮개 부재로 막아 형성된 공간내에 확실하게 머물게 할 수가 있다.
제 1 치차와 제 2 치차가 상대 회전할 때,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수용실의 개구를 덮개 부재로 막아 형성된 공간내에서, 걸어맞춤 발톱과 걸어맞춤 이의 계탈이 행해지므로, 걸어맞춤 발톱과 걸어맞춤 이의 걸어맞춤에 의한 충격으로 윤활제가 비산되어도, 윤활제를 수용실의 개구를 덮개 부재로 막아 형성된 공간내에 머물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사용해도, 종래의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는 복합 치차와 같이, 걸어맞춤 발톱과 걸어맞춤 이를 윤활하는 윤활제의 양이 감소되지 않기 때문에 윤활제의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도 1 은 래칫 기구를 적용한 모터식 구동 장치의 윤열 (輪列) 전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제 2 차의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은 제 2 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래칫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래칫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6 은 제 2 치차의 설명도이다.
도 7 은 제 2 피니언의 설명도이다.
도 8 은 덮개부의 설명도이다.
도 9 는 종래예에 관련되는 래칫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제 2 차의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은 제 2 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래칫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래칫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6 은 제 2 치차의 설명도이다.
도 7 은 제 2 피니언의 설명도이다.
도 8 은 덮개부의 설명도이다.
도 9 는 종래예에 관련되는 래칫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래칫의 실시형태로서, 래칫 기구가 정착된 복합 치차를 적용한 모터식 구동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래칫 기구가 장착된 복합 치차를 적용한 모터식 구동 장치 (1) 는, 예를 들어 세탁기의 배수 밸브 (밸브체) 의 개폐에 이용되고 있다.
도 1 의 윤열 전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식 구동 장치 (1) 는, 세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케이스 (2) 를 갖고 있고, 케이스 (2) 에는,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모터 (M) 와, 감속 치차 열 (G) 과, 출력차 (70) 와, 출력 부재 (80) 가 장착되어 있다.
이 모터식 구동 장치 (1) 에서는, 모터 (M) 의 회전이 감속 치차 열 (G) 을 개재하여 출력차 (70) 에 전달되고, 출력차 (70) 에 연결된 출력 부재 (80) 의 연결부 (82) 가 지지축 (S6) 둘레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배수 밸브는, 도시되지 않은 탄성 지지 부재에 의하여 닫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고, 회전 구동되는 연결부 (82) 에 연결되고, 연결부 (82) 의 회전 구동에 의해 개폐 구동된다.
그 배수 밸브의 반려 탄성 지지력이, 연결부 (82) 를 볼트 (B2) 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 (래칫 부재 (110) 를 반시계 방향) 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태에서는, 모터 (M) 와 연결부 (82) 가 이음 상태로 되고, 연결부 (82) 의 회전 구동에 의해 그 배수 밸브는 반려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열림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그 배수 밸브의 반려 탄성 지지력이, 연결부 (82) 를 볼트 (B2) 측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 (래칫 부재 (110) 를 시계 방향) 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태에서는, 모터 (M) 와 연결부 (82) 가 끊김 상태로 되고, 연결부 (82) 는 그 배수 밸브의 반려 탄성 지지력에 의해 폐 (閉)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 (2) 는, 바닥이 있는 상자 형상의 본체부 (3) 와, 본체부 (3) 의 상단에 인롱 (印籠) 끼워맞춤된 커버 (4) 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케이스 (2) 내에는, 본체부 (3) 의 상단 개구를 막는 커버 플레이트 (5) 와, 본체부 (3) 내를 상하의 둘로 구획하는 칸막이벽 (6) 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 (M) 는, 칸막이벽 (6) 에 의해 본체부 (3) 의 바닥 측에 형성되는 공간내에 형성되어 있고, 로터 (10) 와 스테이터 (20) 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로터 (10) 는, 원환 블록 형상의 영구 자석 (11) 과, 외주면에 영구 자석 (11) 이 외부 삽입 고정된 축부재 (12) 로 구성된다.
축부재 (12) 는, 관통공 (12a) 에 삽입 통과된 지지축 (S1)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축부재 (12) 는, 그 선단측의 직경 축소부 (12b) 가 칸막이벽 (6) 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직경 축소부 (12b) 의 칸막이벽 (6) 측의 영역에는, 모터 피니언 (13) 이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 (20) 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갖고 있고 강자성 재료로 구성된다. 스테이터 (20) 의 둘레 벽부 (20a) 는, 영구 자석 (11) 의 외주면을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고 있다.
스테이터 (20) 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실패 형상의 보빈 (22) 이 위치하고, 보빈 (22) 에 대해 와이어가 감겨져 코일 (21) 이 구성된다.
감속 치차 열 (G) 은, 모터 (M)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차 (30), 제 2 차 (40), 제 3 차 (50), 제 4 차 (60) 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 1 차 (30) 는, 지지축 (S2) 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제 1 치차 (31) 와, 제 1 치차 (31) 와 동축에 형성된 제 1 피니언 (32) 을 구비하고, 이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치차 (31) 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부 (31a) 는, 모터 피니언 (13) 에 맞물려 있고, 제 1 피니언 (32) 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부 (32a) 는, 제 2 치차 (41) 의 이부 (41a) 에 맞물려 있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제 2 차 (4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차 (40) 는, 제 1 차 (30) 를 개재하여 모터 (M) 의 회전이 입력되는 제 2 치차 (41) 와, 제 2 치차 (41) 와 동축에 형성된 제 2 피니언 (42) 을 구비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치차 (41) 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부 (41a) 는, 제 1 피니언 (32) 의 이부 (32a) 와 서로 맞물려 있고, 제 2 피니언 (42) 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부 (42a) 는, 제 3 치차 (51) 의 이부 (51a) 와 서로 맞물려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차 (40) 에서는, 제 2 치차 (41) 와 제 2 피니언 (42) 사이의 회전 전달이, 후기하는 래칫 기구 (100) 를 개재하여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차 (50) 는, 지지축 (100) 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제 3 치차 (51) 와, 제 3 치차 (51) 와 동축에 형성된 제 3 피니언 (52) 을 구비하고, 이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치차 (51) 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부 (51a) 는 제 2 피니언 (42) 의 이부 (42a) 와 서로 맞물려 있고, 제 3 피니언 (52) 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부 (52a) 는 제 4 치차 (61) 의 이부 (61a) 와 서로 맞물려 있다.
제 4 차 (60) 는, 지지축 (S5) 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제 4 치차 (61) 와, 제 4 치차 (61) 와 동축에 형성된 제 4 피니언 (62) 을 구비하고, 이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치차 (61) 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부 (61a) 는 제 3 피니언 (52) 의 이부 (52a) 와 서로 맞물려 있고, 제 4 피니언 (62) 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부 (62a) 는 출력 치차 (71) 의 이부 (71a) 와 서로 맞물려 있다.
출력차 (70) 는, 지지축 (S6) 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출력 치차 (71) 와, 출력 치차 (71) 의 커버 (4) 측의 상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스부 (72) 를 구비하고, 출력 치차 (71) 와 보스부 (72) 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 (72) 에는 볼트 삽입 구멍 (72b) 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볼트 삽입 구멍 (72b) 은 출력 치차 (71) 의 지지축 (S6) 을 삽입하는 삽입 구멍 (71b) 과 동축에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 (72) 의 상단측의 축경부 (72a) 에는, 출력 부재 (80) 의 후육 원통부 (81) 가 외부 삽입되어 있고, 출력 부재 (80) 와 보스부 (72) 는, 보스부 (72) 의 볼트 삽입 구멍 (72b) 에 나선을 따라서 들어간 볼트 (B2) 에 의해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출력 부재 (80) 의 후육 원통부 (81) 보다 직경 방향 외측의 상단에는, 도시되지 않은 배수 밸브가 연결되는 연결부 (82) 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제 2 차 (40) 와, 이 제 2 차 (40) 가 구비하는 래칫 기구 (100) 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낸 제 2 차 (40) 의 부분을 커버 (4)(도 1 참조) 측의 상방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차 (40) 는, 제 2 치차 (41) 와, 제 2 피니언 (42) 과, 래칫 부재 (110) 를 동축 상에서 서로 장착하여 구성된다.
래칫 부재 (110) 는, 제 2 피니언 (42) 의 끼워맞춤부 (143) 에 장착되어 제 2 피니언 (42) 과 연결되어 있어, 래칫 부재 (110) 와 제 2 피니언 (42) 이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차 (40) 는, 래칫 부재 (110) 의 걸어맞춤 발톱 (113) 과, 제 2 치차 (41) 의 걸어맞춤 이 (122) 로 구성되는 래칫 기구 (100) 을 구비하고 있고, 제 2 치차 (41) 와 제 2 피니언 (42) 은, 이 래칫 기구 (100) 에 의해 회전 방향에 따라 일체적으로 회전 (이음 상태) 또는 상대적으로 회전 (끊김 상태) 하도록 되어 있다.
도 4 는, 제 2 치차 (41) 와, 제 2 피니언 (42) 과, 래칫 부재 (110) 를 장착한 상태를 커버 플레이트 (5) 측의 상방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예를 들어 제 2 피니언 (42) 이, 제 2 치차 (41) 에 대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 2 피니언 (42) 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래칫 부재 (110) 의 걸어맞춤 발톱 (113) 이, 걸어맞춤 이 (122) 의 이홈 (122c) 에 걸어맞추어져 제 2 피니언 (42) 과 제 2 치차 (41) 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래칫 부재 (110) 의 아암부 (112) 의 선단 (112a) 측이, 회전 중심 (O) 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걸어맞춤 발톱 (113) 이 걸어맞춤 이 (122) 의 경사면 (122b) 을 슬라이딩한 후, 걸어맞춤 이 (122) 의 이홈 (122c) 에 떨어져 아암부 (112) 의 선단 (112a) 측이 회전 중심 (O) 의 외측으로 복원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제 2 피니언 (42) 과 제 2 치차 (41) 가 상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5(a) 는, 래칫 부재 (110) 를 커버 플레이트 (5)(도 1 참조) 측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고, (b) 는 (a) 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래칫 부재 (110) 는,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형의 본체부 (111) 와, 본체부 (111) 의 외주면 (111a) 에서 연장되는 아암부 (112) 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 (111) 의 중앙에는, 제 2 피니언 (42) 의 끼워맞춤부 (143)(도 2 참조) 를 끼워넣는 끼워맞춤 구멍 (115) 이, 본체부 (111) 를 두께 방향 (회전 중심 (O) 의 축 방향) 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구멍 (115) 에는, 끼워맞춤부 (143) 의 단면 (斷面) 에 정합시킨 2면 폭부 (115a) 가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 구멍 (115) 에 끼워맞춤부 (143) 를 끼워넣어 래칫 부재 (110) 와 제 2 피니언 (42) 을 연결하면, 래칫 부재 (110) 가 제 2 피니언 (42) 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111) 의 후기하는 덮개부 (150)(도 2 참조) 측의 상면 (111b) 에는, 덮개부 (150) 측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벽 (114) 이 외주 가장자리의 전체 둘레에 걸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제 2 차 (40) 가 장착된 상태에서, 래칫 부재 (110) 는 지지축 (S3) 의 축 방향으로 다소 틈새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래칫 부재 (110) 가 덮개부 (150) 측으로 이동했을 경우에, 돌출 벽 (114) 만이 덮개부 (150) 에 맞닿음으로써, 래칫 부재 (110) 와 덮개부 (150) 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래칫 부재 (110) 가 회전 중심 (O) 주위에서 회전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이, 본체부 (111) 의 상면 (111b) 모두가 덮개부 (150) 에 접하는 경우에 비해 작아지기 때문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부 (112) 는, 본체부 (111) 의 외주면 (111a) 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외주면 (111a) 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로부터 그 끝은, 외주면 (111a) 을 따라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아암부 (112) 의 본체부 (111) 측의 내주면 (112c) 중에서, 선단 (112a) 측과 기단 (112b) 측을 제외한 부분은, 회전 중심 (O) 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 (Ima) 상에 위치하고 있고, 아암부 (112) 의 본체부 (111) 와는 반대측인 외주면 (112d) 중에서, 선단 (112a) 측과 기단 (112b) 측을 제외한 대부분은, 가상 원 (Ima) 과 동심이고, 또한 가상 원 (Ima) 보다 직경이 큰 가상 원 (Imb) 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아암부 (112) 의 직경 방향의 폭 W 은, 선단 (112a) 측과 기단 (112b) 측을 제외한 대부분의 범위에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 (112) 는 본체부 (111) 에서 외팔보로 지지되어 있고, 아암부 (112) 의 선단 (112a) 측은, 본체부 (111) 와 접속되는 기단 (112b) 을 지지점으로 하여 본체부 (111) 측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커버 플레이트 (5) 측에서 바라 본 도 4 에 있어서, 래칫 부재 (110) 를 제 2 치차 (41) 에 대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토크가 입력되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부재 (110) 가 아암부 (112) 의 선단 (112a) 측을 도면 중의 화살표 로 나타내는 본체부 (111) 측으로 변위시키고, 걸어맞춤 발톱 (113) 을 도면 중의 2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걸어맞춤 이 (122) 의 경사면 (122b) 을 슬라이딩시키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 중심 (O) 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날카로운 형상의 걸어맞춤 발톱 (113) 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걸어맞춤 발톱 (113) 은, 아암부 (112) 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걸어맞춤 이 (122) 의 이홈 (122c) 에 걸어맞추어지는 길이로, 아암부 (112) 의 외주면 (112d) 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발톱 (113) 이 걸어맞춤 이 (122) 의 경사면 (122b) 과 맞닿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아암부 (112) 의 선단 (112a) 측은, 항상 직경 방향 내측의 본체부 (111) 측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가 되고, 걸어맞춤 발톱 (113) 은, 이 탄성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반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의 걸어맞춤 이 (122) 측으로 탄성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래칫 부재 (110) 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걸어맞춤 이 (122) 의 경사면 (122b) 을 걸어맞춤 발톱 (113) 이 슬라이딩하므로, 래칫 부재 (110) 는 걸어맞춤 발톱 (113) 에 작용하는 탄성 지지력에 응하는 브레이크력을 받으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부 (112) 는 본체부 (111) 의 회전 중심 (O) 둘레의 둘레 방향으로 3 개 형성되어 있다. 각 아암부 (112) 의 둘레 방향 길이 (L1 ~ L3) 는 각각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아암부 (112) 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래칫 부재 (110) 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아암부 (112) 선단의 걸어맞춤 발톱 (113) 의 각각이 걸어맞춤 이 (122) 의 이홈 (122c)(도 4 참조) 에 동시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걸어맞춤 발톱 (113) 의 각각이 이홈 (122c) 에 동시에 떨어지면, 떨어짐에서 기인되는 노이즈가 거의 동시에 일어나 큰 노이즈가 되지만, 동시에 떨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 아암부 (112) 의 둘레 방향 길이 (L1 ~ L3) 를 모두 동일한 길이로 한 경우에는, 걸어맞춤 발톱 (113) 의 수와 걸어맞춤 이 (122) 의 수를 소 (素) 의 관계, 요컨대 걸어맞춤 이 (122) 의 수와 걸어맞춤 발톱 (113) 의 수의 최대공약수가 1 이 되는 관계로 함으로써도 마찬가지로, 아암부 (112) 선단의 걸어맞춤 발톱 (113) 의 각각이 걸어맞춤 이 (122) 의 이홈 (122c) 에 동시에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걸어맞춤 발톱 (113) 부분에 점조성의 윤활제인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고, 이 그리스에 의해 걸어맞춤 발톱 (113) 과 걸어맞춤 이 (122) 의 마모가 방지됨과 함께, 그리스의 점성 저항이 아암부 (112) 의 이동에 브레이크를 걸기 때문에, 걸어맞춤 발톱 (113) 이 이홈 (122c) 에 떨어졌을 때의 충격과 노이즈가 완충되도록 되어 있다.
도 6(a) 는 제 2 치차 (41) 를 커버 플레이트 (5) 측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고, (b) 는 (a) 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치차 (41) 는,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링 형상을 갖고 있고, 외주면에는 제 1 피니언 (32) 의 이부 (32a)(도 1 참조) 가 서로 맞물리는 이부 (41a)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치차 (41) 의 중앙부에는, 제 2 피니언 (42) 의 보스부 (142)(도 2 참조) 를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 구멍 (123) 이, 제 2 치차 (41) 를 두께 방향 (회전 중심 (O) 의 축 방향) 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치차 (41) 의 커버 플레이트 (5) 측의 상면 (41b) 에는, 삽입 통과 구멍 (123) 을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둘레 벽 (121) 이, 커버 플레이트 (5) 측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래칫 부재 (110) 를 수용하는 수용실 (120) 이, 둘레 벽 (121) 의 내측 (회전 중심 (O) 측) 에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실 (120) 의 바닥면 (120a) 은, 이부 (41a) 의 상면 (41b) 보다 커버 플레이트 (5) 로부터 멀어지는 하방측 (도면 중 하측 방향) 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둘레 벽 (121) 의 수용실 (120) 의 바닥면 (120a) 으로부터의 높이 h1 은, 전체 둘레에 걸쳐 동일한 높이이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래칫 부재 (110) 의 아암부 (112) 가 둘레 벽 (121) 의 높이 범위내에 들어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벽 (121) 의 외주면 (121a) 은, 이부 (41a) 가 형성된 외주보다 직경 방향 내측 (회전 중심 (O) 측) 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둘레 벽 (121) 의 외경 D1 은, 후기하는 덮개부 (150) 의 개구 직경 D2 (도 8(b) 참조) 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차 (40) 를 장착할 때에 둘레 벽 (121) 이 덮개부 (150) 의 끼워맞춤 벽부 (152) 에 내감 (內嵌) 된 상태에서, 제 2 치차 (41) 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실 (120) 내에는, 중앙의 삽입 통과 구멍 (123) 을 둘러싸는 위요벽 (124) 이 둘레 벽 (121) 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위요벽 (124) 의 수용실 (120) 의 바닥면 (120a) 으로부터의 높이 h2 는 전체 둘레에 걸쳐 동일한 돌출 높이이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차 (40) 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위요벽 (124) 의 상단 (124a) 과, 래칫 부재 (110) 의 본체부 (111) 의 하면 (111c)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확보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위요벽 (124) 과 본체부 (111) 가 접촉되어 있으면 래칫 부재 (110) 가 회전할 때에 저항이 되기 때문이다.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벽 (121) 의 회전 중심 (O) 측의 내주면에는 걸어맞춤 이 (122) 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이 (122) 는,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톱니 형상으로 되어 있고, 커버 플레이트 (5) 측에서 보았을 때, 래칫 부재 (110) 가 제 2 치차 (41) 에 대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래칫 부재 (110) 의 걸어맞춤 발톱 (113) 이 맞닿는 맞닿음 면 (122a) 과,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걸어맞춤 발톱 (113) 이 슬라이딩하는 경사면 (122b) 을 갖는다.
맞닿음 면 (122a) 은, 제 2 치차 (41) 의 회전 중심 (O) 을 통과하는 직선 Y 를 거의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 (122b) 은, 기단인 이홈 (122c) 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둘레 벽 (121) 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 중심 (O) 둘레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서는, 래칫 부재 (110) 의 걸어맞춤 발톱 (113) 에 적어도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으면 되지만, 걸어맞춤 발톱 (113) 이 슬라이딩하는 걸어맞춤 이 (122) 에도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어맞춤 발톱 (113) 과 걸어맞춤 이 (122) 의 마모가 더 한층 방지됨과 함께, 걸어맞춤 발톱 (113) 이 이홈 (122c) 에 떨어졌을 때의 충격과 노이즈가 더욱 완충되도록 되기 때문이다.
도 7(a) 는 제 2 피니언 (42) 을 커버 플레이트 (5) 측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고, (b) 는 (a) 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제 2 피니언 (42) 은, 외주에 이부 (42a) 가 형성된 원반 형상의 기부 (141) 와, 기부 (141) 로부터 회전 중심 (O) 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스부 (142) 와, 래칫 부재 (110) 가 외감되는 끼워맞춤부 (143) 와, 기부 (141) 로부터 보스부 (142) 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144) 를 구비하고 있고, 이것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피니언 (42) 에는, 회전 중심 (O) 의 축 방향을 따라 관통공 (145) 이 형성되어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2) 에 있어서 제 2 피니언 (42) 은, 관통공 (145) 에 삽입 통과된 지지축 (S3) 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 (143) 는, 원통 형상의 보스부 (142) 의 상단측을, 회전 중심 (O) 을 사이에 두고 대상, 또한 평행한 2 면을 따라서 잘라내어 형성되어 있고, 서로 평행한 평면부 (143a) 를 갖고 있다.
끼워맞춤부 (143) 는, 래칫 부재 (110) 의 끼워맞춤 구멍 (115)(도 5 참조) 과 정합 (整合) 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피니언 (42) 은, 끼워맞춤부 (143) 를 끼워맞춤 구멍 (115) 에 끼워맞춤으로써 래칫 부재 (110) 와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끼워맞춤부 (143) 의 축 방향 높이 h3 은, 래칫 부재 (110) 의 본체부 (111) 의 두께 W1 (도 5(b) 참조) 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고, 제 2 차 (40) 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보스부 (142) 의 축 방향의 상단면 (142a) 에서 래칫 부재 (110) 의 본체부 (111) 가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부 (142) 는 원통 형상을 갖고 있고, 축 방향에서 바라 본 외형은, 제 2 치차 (41) 의 삽입 통과 구멍 (123)(도 6 참조) 을 삽입 통과할 수 있는 원형 형상을 갖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차 (40) 가 장착된 상태에서, 보스부 (142) 에는 제 2 치차 (41) 의 위요벽 (124) 이 외부 삽입되어 있고, 보스부 (142) 에 있어서 제 2 치차 (41) 는 회전 중심 (O)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보스부 (142) 의 축 방향 높이 h4 는, 보스부 (142) 의 상단면 (142a) 이, 제 2 치차 (41) 의 위요벽 (124) 의 상단 (124a) 으로부터 약간 상방으로 돌출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위요벽 (124) 은, 회전 중심 (O) 의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있고, 보스부 (142)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전역에 걸쳐 접하고 있으므로, 제 2 치차 (41) 와 제 2 피니언 (42) 이 회전 중심 (O) 주위에서 회전할 때의 제 2 치차 (41) 의 축 어긋남이 위요벽 (124) 에 의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 (144) 는, 회전 중심 (O) 의 축 방향을 따라, 보스부 (142) 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선단 (144a) 을 칸막이벽 (6)(도 2 참조) 에 맞닿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8(a) 는, 커버 플레이트 (5) 의 덮개부 (150) 를 칸막이벽 (6) 측의 하방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b) 는 (a) 에 있어서의 A-A 단면도로서, 제 2 치차 (41) 와 제 2 피니언 (42) 을 가상선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 (5) 에는, 제 2 치차 (41) 의 수용실 (120) 의 커버 플레이트 (5) 측의 개구를 막는 덮개부 (15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 (150) 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갖고 있고, 바닥 벽부 (150a) 를 커버 (4)(도 1 참조) 측의 상방으로 돌출시켜 커버 플레이트 (5)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 (150) 는, 제 2 치차 (41) 의 둘레 벽 (121) 에 전체 둘레에 걸쳐 외감되는 끼워맞춤 벽부 (152) 를 갖고 있고,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벽부 (152) 는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링 형상을 갖고 있다.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벽부 (152) 의 칸막이벽 (6)(도 1 참조) 측의 선단 (152a) 은, 커버 플레이트 (5) 의 칸막이벽 (6) 측의 면 (5a) 보다 칸막이벽 (6) 측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 2 차 (40) 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 2 치차 (41) 의 상면 (41b) 에 맞닿을 수 있는 높이를 갖고 있다.
제 2 차 (40) 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끼워맞춤 벽부 (152) 에는, 제 2 치차 (41) 의 둘레 벽 (121) 이 칸막이벽 (6) 측의 하방으로부터 내감되고, 수용실 (120) 의 덮개부 (150) 측의 개구가 덮개부 (150) 로 막혀 있어, 커버 플레이트 (5) 와 제 2 치차 (41) 사이에 거의 밀폐된 공간 (S) 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이 밀폐된 공간 (S) 내에 래칫 부재 (110) 의 걸어맞춤 발톱 (113) 과, 둘레 벽 (121) 의 내주의 걸어맞춤 이 (122) 로 구성되는 래칫 기구 (100)(도 3 참조) 가 형성되어 있고, 걸어맞춤 발톱 (113) 의 걸어맞춤 이 (122) 로의 계탈에 의한 충격에 의해서 걸어맞춤 발톱 (113) 이나 걸어맞춤 이 (122) 에 도포된 그리스가, 밀폐된 공간 (S) 의 외부에 비산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덮개부 (150) 에 있어서 바닥 벽부 (150a) 의 중앙에는 지지축 (S3) 의 상단을 지지하는 베어링부 (151) 가, 커버 (4) 측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덮개부 (150)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벽부 (150a) 의 칸막이벽 (6)(도 1 참조) 측의 면에는,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링 형상의 오목홈 (153) 이, 끼워맞춤 벽부 (152) 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오목홈 (153) 은, 전체 둘레에 걸쳐 동일한 폭 W2 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홈 (153) 의 폭 W2 는, 래칫 부재 (110) 의 아암부 (112) 의 폭 W 보다 큰 폭 치수 (W2>W) 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차 (40) 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도면 중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부재 (110) 의 아암부 (112) 의 기단 (112b) 측과 선단 (112a) 측의 걸어맞춤 발톱 (113) 을 제외한 거의 전체 영역이,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오목홈 (153) 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래칫 부재 (110) 와 제 2 피니언 (42) 도 또한, 축 방향으로 다소의 틈새를 갖고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래칫 부재 (110) 가 제 2 치차 (41) 와 함께 덮개부 (150) 측으로 이동해도, 래칫 부재 (110) 의 아암부 (112) 의 대부분이 바닥 벽부 (150a) 의 제 2 치차 (41) 와의 대향면 (150b) 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오목홈 (153) 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 (112) 와 덮개부 (150) 의 바닥 벽부 (150a) 가 광범위에 걸쳐 접촉하고 있으면, 래칫 부재 (110) 가, 아암부 (112) 의 선단 (112a) 측을 도면 중의 부호 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제 2 치차 (41) 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때에, 아암부 (112) 와 바닥 벽부 (150a) 사이의 마찰에 의해 아암부 (112) 의 탄성 변형이 저해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의 래칫 기구 (100) 에 의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 (5) 측에서 보았을 때, 래칫 부재 (110) 를 제 2 치차 (41) 에 대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토크가 제 2 피니언 (42) 에 입력되면, 입력된 회전 토크가, 아암부 (112) 의 선단 (112a) 측을 본체부 (111)(회전 중심 (O)) 측으로 탄성 변형시켜 걸어맞춤 발톱 (113) 을 걸어맞춤 이 (122) 의 경사면 (122b) 을 슬라이딩시키면서, 래칫 부재 (110) 가 회전하는 데 필요한 토크 (응력) 보다 커진 시점에서, 래칫 부재 (110) 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커버 플레이트 (5) 측에서 보았을 때, 래칫 부재 (110) 를 제 2 치차 (41) 에 대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토크가 제 2 피니언 (42) 에 입력되면, 래칫 부재 (110) 의 걸어맞춤 발톱 (113) 이, 걸어맞춤 이 (122) 의 이홈 (122c) 에 걸어맞추어져, 래칫 부재 (110) 는 제 2 치차와 일체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부재 (110) 는, 커버 플레이트 (5) 의 덮개부 (150) 와 제 2 치차 (41) 의 둘레 벽 (121) 사이에 형성된 밀폐된 공간 (S)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걸어맞춤 발톱 (113) 을 계탈시키면서 회전해도, 걸어맞춤 발톱 (113) 이나 걸어맞춤 이 (122) 에 도포된 그리스가, 걸어맞춤 발톱 (113) 과 걸어맞춤 이 (122) 의 이홈 (122c) 과의 걸어맞춤에 의한 충격으로 외부에 비산되지 않는다.
여기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피니언 (42) 이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회전체에 상당하고,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치차 (41) 가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회전체에 상당하고,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래칫 부재 (110) 가 발명에 있어서의 회전 부재에 상당한다.
게다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어링부 (151) 가 발명에 있어서의 베어링에 상당하고,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보스부 (142) 가 발명에 있어서의 관통부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피니언 (42) 과 동축에 형성된 제 2 치차 (41) 에, 제 2 피니언 (42) 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래칫 부재 (110) 의 외주를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둘레 벽 (121) 이 형성되고, 이 둘레 벽 (121) 의 내측에 래칫 부재 (110) 를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수용실 (120) 이 형성되어 있고, 래칫 부재 (110) 의 아암부 (112) 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 발톱 (113) 과, 둘레 벽 (121) 의 내주에 형성되어 걸어맞춤 발톱 (113) 이 래칫 부재 (110) 의 직경 방향에서 탄성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이 (122) 로 구성되고, 걸어맞춤 발톱 (113) 과 걸어맞춤 이 (122) 중의 적어도 일방에 점조성의 그리스가 도포된 래칫 기구 (100) 에 의해, 제 2 피니언 (42) 과 제 2 치차 (41) 가, 걸어맞춤 발톱 (113) 을 걸어맞춤 이 (122) 에 대해 계탈시키면서 공통된 지지축 (S3) 주위에서 상대 회전하도록 된 래칫에 있어서, 수용실 (120) 의 개구를 막는 덮개부 (150) 를 형성하고, 걸어맞춤 발톱 (113) 의 걸어맞춤 이 (122) 에 대한 계탈이,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수용실 (120) 의 개구를 덮개부 (150) 로 막아 형성된 거의 밀폐된 공간 (S) 내에서 행해지도록 하였다.
이로써, 걸어맞춤 발톱 (113) 과 걸어맞춤 이 (122) 의 걸어맞춤에 의한 충격으로 그리스가 비산되어도, 공간 (S) 은 거의 밀폐된 공간이므로 그리스를 공간 (S) 내에 머물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사용해도, 종래의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는 복합 치차와 같이, 적어도 걸어맞춤 발톱 (113) 과 걸어맞춤 이 (122) 의 접촉 부분을 윤활하는 그리스의 양이 크게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그리스의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게다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 (150) 는, 제 2 피니언 (42) 및 제 2 치차 (41) 의 공통된 지지축 (S3) 을 지지하는 베어링부 (151)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로써, 모터식 구동 장치 (1) 에 있어서 지지축 (S3) 의 지지에 이용되고 있는 기존의 부재를 이용하여 덮개부 (150) 가 구성되므로, 그리스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가 되는 부재를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 점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 점수의 증가에 수반하는 제작 비용의 상승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덮개부 (150) 와 베어링부 (151)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덮개부 (150) 를, 베어링부 (151) 를 기준으로 하여 양호한 위치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어 걸어맞춤 이 (122) 와 덮개부 (150) 의 위치 정밀도가 향상된다.
게다가 덮개부 (150) 를 별체로 구성하면, 수용실 (120) 의 개구를 덮개부 (150) 로 막아 공간 (S) 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 2 치차 (41) 의 둘레 벽 (121) 에 덮개부 (150) 를 장착하는 공정이 필요하여 작업 비용이 상승한다. 덮개부 (150) 와 베어링부 (151)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면, 이러한 장착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별체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 (150) 에는, 제 2 치차 (41) 의 둘레 벽 (121) 에 전체 둘레에 걸쳐 외감되는 고리 형상의 끼워맞춤 벽부 (152) 가, 지지축 (S3) 의 축 방향을 따라 제 2 치차 (41)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 벽부 (152) 의 선단 (152a) 은, 제 2 치차 (41) 의 상면 (41b) 근방까지 미치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일반적으로, 제 2 치차 (41) 는, 걸어맞춤 발톱 (113) 과 걸어맞춤 이 (122) 에 지지축 (S3) 의 축 방향의 틈새를 갖게 하기 위하여 축 방향의 약간의 범위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벽부 (152) 가 둘레 벽 (121) 의 전체 둘레에 걸쳐 외감되어 있으면, 제 2 치차 (41) 가 덮개부 (150)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도, 지지축 (S3) 의 직경 방향에서 보았을 때, 둘레 벽 (121) 과 끼워맞춤 벽부 (152) 사이에, 수용실 (120) 을 덮개부 (150) 로 막아 형성된 공간 (S) 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간극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걸어맞춤 발톱 (113) 과 걸어맞춤 이 (122) 의 걸어맞춤에 의한 충격으로 비산된 그리스를 공간 (S) 내에 확실하게 머물게 할 수 있다.
이로써, 그리스의 공간 (S) 으로부터의 누출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 사용해도 종래의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는 복합 치차와 같이, 걸어맞춤 발톱 (113) 과 걸어맞춤 이 (122) 의 접촉 부분을 윤활하는 그리스의 양이 크게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그리스의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게다가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치차 (41) 와의 대향면 중에서, 끼워맞춤 벽부 (152) 로 둘러싸인 내측의 영역 (대향면 (150b)) 은, 외측의 영역 (면 5a) 보다, 지지축 (S3) 의 축 방향에서 제 2 치차 (41)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로써, 수용실 (120) 을 덮개부 (150) 로 막아 형성되는 공간 (S) 을, 덮개부 (150) 측으로 오프셋시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오프셋시킨 만큼 제 2 치차 (41) 의 축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치차 (41) 는, 수용실 (120) 의 개구를 중력 방향에 대하여 상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로써, 걸어맞춤 발톱 (113) 과 걸어맞춤 이 (122) 의 걸어맞춤 (도 4 참조) 에 의한 충격으로, 걸어맞춤 발톱 (113) 과 걸어맞춤 이 (122) 의 적어도 일방에 도포된 그리스가, 중력 방향에 대하여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부 (150) 측으로 비산되어도, 비산된 그리스가, 중력에 의해 중력 방향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수용실 (120) 내로 되돌아와, 걸어맞춤 발톱 (113) 과 걸어맞춤 이 (122) 의 접촉 영역 등을 윤활하게 된다.
또, 예를 들어 주위 환경이 고온으로 되는 것 등에 의해, 그리스의 점도가 저하되어 유동성이 높아졌다고 해도,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수용실 (120) 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 컵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유동성이 높아진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부재 (110) 는, 제 2 피니언 (42) 과 동축에 형성되어 제 2 피니언 (42) 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본체부 (111) 와, 본체부 (111) 의 외주면 (111a) 으로부터 연장되고, 걸어맞춤 발톱 (113) 을 갖는 선단 (112a) 측이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아암부 (112) 를 구비하고 있고,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 (150) 의 제 2 치차 (41) 와의 대향면에는, 지지축 (S3) 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래칫 부재 (110) 의 회전 중심 (O) 을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오목홈 (153) 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아암부 (112) 의 적어도 선단 (112a) 측은, 지지축 (S3) 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오목홈 (153) 과 겹치는 위치를, 본체부 (111) 의 외주면 (111a) 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지지축 (S3) 의 축 방향으로 다소의 틈새를 갖게 하여 형성된 래칫 부재 (110) 가, 덮개부 (150) 측으로 이동해도, 아암부 (112) 에 있어서의 지지축 (S3) 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오목홈 (153) 과 겹치는 부분은, 덮개부 (150) 의 제 2 치차 (41) 와의 대향면 (150b) 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아암부 (112) 의 본체부 (111) 측으로의 변위가 저해되지 않는다. 또, 아암부 (112) 의 본체부 (111) 측으로의 변위가 저해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공간 (S) 의 축 방향의 두께를 크게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축 (S3) 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제 2 치차 (41) 는, 덮개부 (150) 와 제 2 피니언 (42)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 2 피니언 (42) 은, 제 2 치차 (41) 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선단측이 수용실 (120) 내에 위치하는 보스부 (142) 를 갖고 있고, 래칫 부재 (110) 는, 수용실 (120) 을 덮개부 (150) 로 막아 형성되는 공간 (S) 내에서, 보스부 (142) 의 선단의 끼워맞춤부 (143) 에 연결되어, 제 2 피니언 (42) 과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로써, 지지축 (S3) 의 축 방향에서, 제 2 피니언 (42) 과 제 2 치차 (41) 사이에 래칫 부재 (110) 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제 2 피니언 (42) 과 제 2 치차 (41) 를 근접시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차 (40) 의 축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 제 2 치차 (41) 에 대하여 고정측의 부재인 덮개부 (150) 에 의하여 수용실 (120) 의 개구가 막히므로, 수용실 (120) 을 덮개부 (150) 로 막아 형성되는 공간 (S) 을 거의 밀폐된 공간으로 할 수가 있어, 그리스가 공간 (S) 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더욱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치차 (41) 의 덮개부 (150) 와의 대향면에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수용실 (120) 을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수용실 (120) 은 제 2 피니언 (42) 과의 대향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제 2 피니언 (42) 의 이부 (42a) 의 직경을 수용실 (120) 의 개구 직경보다 크게 하는, 제 2 치차 (41) 와 제 2 피니언 (42) 사이에, 수용실 (120) 의 개구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판 형상의 덮개 부재를 제 2 피니언 (42) 또는 제 2 치차 (41) 와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 등에 의하여, 수용실 (120) 의 개구를 막음으로써 그리스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플레이트 (5) 측에서 보았을 때, 래칫 부재 (110) 를 제 2 치차 (41) 에 대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토크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래칫 부재 (110)(제 2 피니언 (42)) 와 제 2 치차 (41) 가 상대 회전을 하고,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토크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래칫 부재 (110)(제 2 피니언 (42)) 와 제 2 치차 (41) 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한 래칫 기구 (100) 의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걸어맞춤 발톱 (113) 의 걸어맞춤 이 (122) 에 대한 계탈이, 덮개부 (150) 와 둘레 벽 (121) 사이의 밀폐된 공간 (S) 내에서 행해진다면, 래칫 부재 (110) 를 제 2 치차 (41) 에 대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토크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래칫 부재 (110)(제 2 피니언 (42)) 와 제 2 치차 (41) 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토크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래칫 부재 (110)(제 2 피니언 (42)) 와 제 2 치차 (41) 가 상대 회전하도록 한 래칫 기구여도 된다.
게다가, 시계 회전 방향과 반시계 회전 방향의 어느 쪽의 회전 토크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도, 래칫 부재 (110)(제 2 피니언 (42)) 와 제 2 치차 (41) 가 상대 회전하도록 걸어맞춤 이의 형상을 조정한 래칫 기구여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래칫 부재 (110) 의 적어도 걸어맞춤 발톱 (113) 에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걸어맞춤 발톱 (113) 이 탄성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이 (122), 바람직하게는 걸어맞춤 이 (122) 의 전체 면에 걸쳐서, 또는 걸어맞춤 이 (122) 와 걸어맞춤 발톱 (113) 의 양방에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도, 걸어맞춤 발톱 (113) 과 걸어맞춤 이 (122) 의 마모가 방지됨과 함께, 걸어맞춤 발톱 (113) 이 이홈 (122c) 에 떨어졌을 때의 충격과 노이즈가 완충된다.
게다가 제 2 치차 (41) 의 수용실 (120) 내에 그리스가 충전되고 있어 그리스 안에 래칫 부재 (110) 가 매립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제 2 피니언 (42) 이 제 2 치차 (41) 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때에, 래칫 부재 (110) 가 그리스를 휘저으면서 회전하므로, 그리스의 높은 점성이 래칫 부재 (110) 의 회전을 저해하여 래칫 부재 (110) 의 회전에 항상 브레이크력이 걸리게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칸막이벽 (6) 과 커버 플레이트 (5) 의 베어링부 (151) 로 양단이 지지된 지지축 (S3) 에 의해서, 래칫 부재 (110) 와 제 2 치차 (41) 와 제 2 피니언 (42) 이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지지축 (S3) 이 고정축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지지축 (S3) 이 제 2 피니언 (42) 과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지지축 (S3) 의 양단이 칸막이벽 (6) 과 베어링부 (151) 에 의해서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회전축이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덮개부 (150) 의 제 2 치차 (41) 와의 대향면 중에서, 끼워맞춤 벽부 (152) 로 둘러싸인 내측의 영역 (대향면 (150b)) 이, 외측의 영역 (면 5a) 보다 지지축 (S3) 의 축 방향에서 제 2 치차 (41)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대향면 (150b) 과 면 (5a) 이 오프셋되어 있지 않고, 동일 면을 이루게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1 모터식 구동 장치
2 케이스
3 본체부
4 커버
5 커버 플레이트
6 칸막이 벽
30 제 1 차
40 제 2 차
41 제 2 치차
42 제 2 피니언
50 제 3 차
60 제 4 차
70 출력차
80 출력 부재
82 연결부
100 래칫 기구
110 래칫 부재
111 본체부
112 아암부
112a 선단
112b 기단
113 걸어맞춤 발톱
114 돌출 벽
115 끼워맞춤 구멍
120 수용실
121 둘레 벽
122 걸어맞춤 이
122a 맞닿음 면
122b 경사면
122c 이홈
123 삽입 통과 구멍
124 위요벽
141 기부
142 보스부
143 끼워맞춤부
144 지지부
145 관통공
150 덮개부
151 베어링부
152 끼워맞춤 벽부
153 오목홈
G 감속 치차 열
M 모터
S 공간
S1 ~ S6 지지축
2 케이스
3 본체부
4 커버
5 커버 플레이트
6 칸막이 벽
30 제 1 차
40 제 2 차
41 제 2 치차
42 제 2 피니언
50 제 3 차
60 제 4 차
70 출력차
80 출력 부재
82 연결부
100 래칫 기구
110 래칫 부재
111 본체부
112 아암부
112a 선단
112b 기단
113 걸어맞춤 발톱
114 돌출 벽
115 끼워맞춤 구멍
120 수용실
121 둘레 벽
122 걸어맞춤 이
122a 맞닿음 면
122b 경사면
122c 이홈
123 삽입 통과 구멍
124 위요벽
141 기부
142 보스부
143 끼워맞춤부
144 지지부
145 관통공
150 덮개부
151 베어링부
152 끼워맞춤 벽부
153 오목홈
G 감속 치차 열
M 모터
S 공간
S1 ~ S6 지지축
Claims (10)
- 제 1 회전체와 동축에 형성된 제 2 회전체에, 상기 제 1 회전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의 외주를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둘레 벽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를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수용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 발톱과, 상기 둘레 벽의 내주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 발톱이 상기 직경 방향에서 탄성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이로 구성되고, 상기 걸어맞춤 발톱과 상기 걸어맞춤 이 중의 적어도 일방에 점조성의 윤활제가 도포된 래칫 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가, 상기 걸어맞춤 발톱을 상기 걸어맞춤 이에 계탈시키면서 지지축 주위에서 상대 회전하도록 된 래칫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의 개구를 막는 덮개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 부재에는, 상기 둘레 벽에 전체 둘레에 걸쳐 끼워맞추어지는 고리 형상의 끼워맞춤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제 2 회전체와의 대향면 중에서, 상기 끼워맞춤 벽부로 둘러싸인 내측의 영역은, 외측의 영역보다, 상기 축 방향에서 제 2 회전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체는, 상기 수용실의 개구를 중력 방향에 대하여 상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체와 동축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회전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걸어맞춤 발톱을 갖는 선단측이 상기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아암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제 2 회전체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을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부의 적어도 선단측은, 상기 지지축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오목홈과 겹치는 위치를, 상기 본체부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체는, 상기 덮개 부재와 상기 제 1 회전체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 1 회전체는, 상기 제 2 회전체를 상기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선단측이 상기 수용실내에 위치하는 관통부를 갖고 있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수용실을 상기 덮개 부재로 막아 형성되는 공간내에서, 상기 관통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체와 동축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회전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걸어맞춤 발톱을 갖는 선단측이 상기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아암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아암부에 상기 점조성의 윤활제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래칫 기구를 사용한 밸브체 구동 장치로서,
상기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의 일방은 모터로 회전 구동되고, 상기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의 타방은 밸브체를 개폐 구동하는 밸브체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의 타방은, 편심 위치에 연결부를 갖는 출력 부재를 회전 구동하고,
상기 밸브체는, 개 방향 또는 닫힘 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체 구동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재는, 상기 래칫 기구와 상기 출력 부재 사이에 배치 형성된 감속 치차 열을 개재하여, 상기 모터로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체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143638A JP5302115B2 (ja) | 2009-06-16 | 2009-06-16 | ラチェット |
JPJP-P-2009-143638 | 2009-06-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5184A KR20100135184A (ko) | 2010-12-24 |
KR101511807B1 true KR101511807B1 (ko) | 2015-04-13 |
Family
ID=4333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055315A KR101511807B1 (ko) | 2009-06-16 | 2010-06-11 | 래칫 및 래칫을 사용한 밸브체 구동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302115B2 (ko) |
KR (1) | KR101511807B1 (ko) |
CN (1) | CN10192254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8100B1 (ko) * | 2011-05-02 | 2013-10-15 | 유선진 | 태엽스프링이 내장된 전자식 가스타이머장치 |
CN103016827B (zh) * | 2012-12-28 | 2015-01-07 | 上海神开石油化工装备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水下节流阀的步进式液压促动器 |
CN103174772B (zh) * | 2013-03-07 | 2015-08-26 | 常州乐士雷利电机有限公司 | 离合机构及应用该离合机构的阀开闭控制装置 |
CN103148263B (zh) * | 2013-03-07 | 2015-10-07 | 常州乐士雷利电机有限公司 | 阀开闭控制机构 |
CN103276566B (zh) * | 2013-06-18 | 2015-11-04 | 合肥日上电器有限公司 | 洗衣机排水阀牵引器 |
CN103542069A (zh) * | 2013-10-25 | 2014-01-29 | 昆山精创模具有限公司 | 棘轮及其加工方法 |
CN104214411A (zh) * | 2014-07-25 | 2014-12-17 | 金卡高科技股份有限公司 | 内置式燃气表阀门启闭机构 |
US9707801B2 (en) * | 2015-10-01 | 2017-07-18 | Shimano Inc. | Bicycle hub assembly |
CN105650322B (zh) * | 2016-03-28 | 2017-12-12 | 江苏欧瑞德石油机械有限公司 | 一种快关安全阀门 |
JP6764266B2 (ja) * | 2016-06-23 | 2020-09-30 |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 ラチェット機構 |
WO2018060221A1 (de) * | 2016-09-30 | 2018-04-05 | Siemens Schweiz Ag | Stellantrieb mit einem zweiteiligen doppelzahnrad mit freilauf zum mechanischen schutz des getriebes und gehäuses des stellantriebs |
JP6920728B2 (ja) * | 2017-09-14 | 2021-08-18 |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 ワンウェイクラッチおよびワンウェイクラッチ付き回転ダンパ装置 |
JP2020112048A (ja) * | 2019-01-09 | 2020-07-27 | 株式会社デンソー | アクチュエータ |
RU195066U1 (ru) * | 2019-10-11 | 2020-01-14 | Олег Николаевич Дейнега | Шестерня привода среднего моста |
RU195065U1 (ru) * | 2019-10-11 | 2020-01-14 | Олег Николаевич Дейнега | Шестерня полуоси |
CN112281416B (zh) * | 2020-10-28 | 2022-09-02 | 杭州天马时控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洗衣机排水阀牵引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31658A (ja) * | 1981-08-19 | 1983-02-24 | Oki Electric Ind Co Ltd | ファクシミリ有効画信号蓄積交換方式 |
JP2006029538A (ja) | 2004-07-21 | 2006-02-02 | Nakagawa Electric Ind Co Ltd | モータ駆動式排水弁 |
JP2006097732A (ja) | 2004-09-28 | 2006-04-13 | Ntn Corp | 一方向間欠送りユニット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37439U (ja) * | 1983-03-07 | 1984-09-13 | 浅野 清治 | フライホイルを用いた回転機構の安全装置 |
JP4743808B2 (ja) * | 2001-03-22 | 2011-08-10 |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 コンバイン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
JP4646471B2 (ja) * | 2001-09-28 | 2011-03-09 | 中川電化産業株式会社 | モータ式駆動装置 |
JP4439343B2 (ja) * | 2003-09-04 | 2010-03-24 | Ntn株式会社 | 一方向間欠送りユニット |
-
2009
- 2009-06-16 JP JP2009143638A patent/JP5302115B2/ja active Active
-
2010
- 2010-06-09 CN CN201010206596.2A patent/CN101922543B/zh active Active
- 2010-06-11 KR KR20100055315A patent/KR1015118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31658A (ja) * | 1981-08-19 | 1983-02-24 | Oki Electric Ind Co Ltd | ファクシミリ有効画信号蓄積交換方式 |
JP2006029538A (ja) | 2004-07-21 | 2006-02-02 | Nakagawa Electric Ind Co Ltd | モータ駆動式排水弁 |
JP2006097732A (ja) | 2004-09-28 | 2006-04-13 | Ntn Corp | 一方向間欠送りユニット |
JP4512463B2 (ja) | 2004-09-28 | 2010-07-28 | Ntn株式会社 | 一方向間欠送りユニ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922543B (zh) | 2015-04-08 |
CN101922543A (zh) | 2010-12-22 |
JP2011001980A (ja) | 2011-01-06 |
JP5302115B2 (ja) | 2013-10-02 |
KR20100135184A (ko) | 2010-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1807B1 (ko) | 래칫 및 래칫을 사용한 밸브체 구동 장치 | |
EP2746512B1 (en) | Actuator device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the vehicle door of a motor vehicle | |
US7841961B2 (en) | Planetary gearset | |
EP2003364B1 (en) | A rotary damper having a unidirectional clutch | |
KR100752921B1 (ko) | 회전 속도 변환 및 제어 조립체 | |
JP2006320151A (ja) | ギヤードモータ | |
JP3659158B2 (ja) | 遊星歯車減速装置 | |
EP3220519A1 (en) | Motor with deceleration mechanism | |
CN110953297A (zh) | 动力传递装置 | |
CN108351015B (zh) | 运动控制装置 | |
US11975635B2 (en) | Gear device | |
JP2002327667A (ja) | スタータ | |
JP6493035B2 (ja) | モータ | |
JP7211088B2 (ja) | 減速装置およびブレーキ装置 | |
JP4646831B2 (ja) | 減速機 | |
JP4879870B2 (ja) | シフトドラム駆動装置 | |
JP2006207697A (ja) | 減速機のオイルシール構造 | |
JP2003130112A (ja) | 回転ダンパ | |
US12030410B2 (en) | Gear device | |
CN113811705B (zh) | 具有壳体件和第一轴、特别是输入轴的减速器 | |
JPH1113848A (ja) | 摩擦ローラ式変速機 | |
JPH10267114A (ja) | 遊星歯車の潤滑装置 | |
JP2015152014A (ja) | 駆動装置 | |
JP2012013112A (ja) | ダンパー | |
JP2019011806A (ja) | 動力伝達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