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538B1 -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 및 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538B1
KR101502538B1 KR1020137015629A KR20137015629A KR101502538B1 KR 101502538 B1 KR101502538 B1 KR 101502538B1 KR 1020137015629 A KR1020137015629 A KR 1020137015629A KR 20137015629 A KR20137015629 A KR 20137015629A KR 101502538 B1 KR101502538 B1 KR 101502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carbon nanotubes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570A (ko
Inventor
타츠히로 노즈에
히로히코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Publication of KR2013008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7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80Porous plates, e.g. sintered carriers
    • H01M4/806Nonwoven fibrous fabric containing only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01M4/382Lith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리튬 유황 2차 전지에 적용하였을 때에, 비용량이나 사이클 특성이라는 전지 특성을 유지한 채로, 특히, 높은 레이트 특성이 얻어지는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리튬 유황 2차 전지의 양극(P)은 양극 집전체(P1)와, 양극 집전체(P1)의 표면에, 이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켜서 성장시킨 카본 나노 튜브(4)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 상호 간에 소정의 간극이 존재하도록, 카본 나노 튜브(4)의 각각의 적어도 표면을 유황(5)으로 덮어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 및 그 형성 방법{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SULFU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FORMING SAME}
본 발명은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2차 전지는 고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휴대 전화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 기기 등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 전기 자동차, 전력 저장 축전 시스템 등에도 적용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2차 전지의 하나로서, 최근, 양극 활물질을 유황으로 하고, 음극 활물질을 리튬으로 하고, 리튬과 유황의 반응에 의해 충방전하는 리튬 유황 2차 전지가 주목받고 있다.
리튬 유황 2차 전지에서는, 유황 1개로 반응하는 리튬 이온이 최대 2개이며, 유황이 천이 금속에 비해 가볍기 때문에, 리튬 유황 2차 전지의 비용량(比容量)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으로, 유황은 극히 고저항(5×1030Ωㆍcm)의 절연체이다. 이 때문에, 유황을 양극 활물질로서 이용할 때에는, 유황에 아세틸렌 블랙 등의 도전 조제를 혼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유황에 아세틸렌 블랙을 혼합하였을 경우, 아세틸렌 블랙의 입자 간에 큰 저항이 생기고, 유황으로의 전자 공여가 불충분하게 되기 쉽다. 그 결과, 유황의 이용 효율이 낮아지고, 비용량이 제한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리튬 유황 2차 전지의 방전 시에는, 고리 모양 유황 S8이 해열(解裂)하여 직쇄(直鎖) 모양 유황 S8 2 -이 되고, 이 S8 2 -이 또한, S6 2 -, S4 2 -, S3 2 -, S2 2 -, S2 -로 변화한다. 이들 다황화 음이온 S8 2 - ~ S3 2 -가 전해액 중에 용해하고, 전해액 중을 확산하여 음극에 도달하면, 음극에서 리튬과 반응하여 황화 리튬 Li2S2, Li2S가 생긴다. 여기서, 황화 리튬은 전기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며, 음극 상에 일단 석출하면, 전해액 중에 용해하지 않는다. 그 결과, 사이클 특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도 생긴다.
이상의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폴리에틸렌옥시드(PEO) 등으로 이루어진 폴리머에 전해액을 포함시켜서 드라이 폴리머화(겔화) 하거나, Li-P-S나 Li-Si-S 등의 황화물 고체 전해질을 이용하여 완전하게 고체화하거나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 특허 문헌 1 및 2 참조). 상기 방법에서는, 비용량이나 사이클 특성은 향상하지만, 전해액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리튬과 유황의 반응속도가 늦어진다. 결과적으로, 높은 레이트 특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유황에, 도전 조제로서 카본 나노 튜브 및 아세틸렌 블랙을 혼합하여 얻은 슬러리를 집전체에 도포하여 제작한 복합체를 양극 활물질층으로서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 특허 문헌 3 참조). 이 방법에서는, 카본 나노 튜브가 방전 시에 생성되는 다황화 음이온을 흡착함으로써, 다황화 음이온의 전해액으로의 확산을 방지하여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지만, 아세틸렌 블랙의 입자 사이에 생기는 저항이 레이트 특성을 제한한다고 하는 문제가 남는다.
비 특허 문헌 1 : S. S. Jeong, et al., Journal of Power Sources 174 (2007) 비 특허 문헌 2 : T. Kobayashi, et al., Journal of Power Sources 182 (2008) 621 비 특허 문헌 3 : W. Zheng, et al., Electrochimica Acta, 51 (2006) 1330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리튬 유황 2차 전지에 적용하였을 때에, 비용량이나 사이클 특성이라고 하는 전지 특성을 유지한 채로, 특히, 높은 레이트 특성이 얻어지는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은 집전체와, 집전체의 표면에, 이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켜서 성장시킨 카본 나노 튜브를 구비하여,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 상호 간에 소정의 간극이 존재하도록,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적어도 표면을 유황으로 덮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집전체에는, 표면에 촉매층이 형성된 것이나, 표면에 배리어층과 촉매층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집전체의 표면에 성장시킨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적어도 표면이 유황으로 덮여서, 유황과 카본 나노 튜브가 광범위하게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유황으로의 전자 공여가 충분히 행해진다. 이때,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 상호 간에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양극을 리튬 유황 2차 전지에 적용하였을 경우, 상기 간극에 전해액이 공급되면, 이 전해액이 광범위하게 유황에 접촉함으로써, 유황의 이용 효율이 향상되고, 유황으로의 충분한 전자 공여를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특히, 높은 레이트 특성을 얻을 수 있고, 비용량도 한층 향상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비용량이나 사이클 특성이라고 하는 전지 특성을 유지한 채로, 높은 레이트 특성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내부에도 유황을 충전하여 두면, 양극에서의 유황의 양이 더욱 증가함으로써, 더욱 한층 비용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의 형성 방법은, 집전체의 표면에, 이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켜서 카본 나노 튜브를 직접 성장시키거나, 또는 촉매층의 표면에 동일 방향으로 배향시켜서 카본 나노 튜브를 성장시킨 후, 이들 카본 나노 튜브를 집전체의 표면에, 이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전사하는 공정과, 카본 나노 튜브가 성장한 또는 전사된 영역의 전체에 걸쳐, 카본 나노 튜브의 단위면적 당의 밀도에 따른 양으로 고체의 유황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유황을 용해시켜서,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 상호 간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표면을 유황으로 덮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고체의 유황에는, 분말 모양, 과립 모양이나 타블렛 모양의 유황이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이러한 유황을 배치하는 양은 모두가 용해하였을 때에,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표면을 유황으로 덮고, 동시에,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 상호 간에 간극이 생기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유황의 배치에는, 성장시킨 카본 나노 튜브의 상면을 덮도록 고체의 유황을 설치하거나, 분말 모양의 유황을 성장시킨 카본 나노 튜브의 상방으로부터 살포하여 설치하거나 하는 경우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본 나노 튜브의 단위면적 당의 밀도에 따른 양의 고체의 유황을 배치하여 용해시키는 것만 있기 때문에, 간단한 공정으로,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 상호 간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하여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표면을 덮는 것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카본 나노 튜브를 1×1010~1×1012 개/cm2의 밀도로 성장시키고, 성장시킨 카본 나노 튜브의 중량의 0.7 ~ 3 배의 중량인 상기 고체의 유황을 배치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황을 배치하기 전에,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선단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황을 용해시켰을 때에,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내부에 유황이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더욱 한층 비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카본 나노 튜브 내에 유황을 충전하는 경우에, 이 충전을,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표면을 유황으로 덮는 것과 동시에 행할 수가 있어서 생산성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표면을 유황으로 덮은 후, 어닐을 행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이 어닐에 의해,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표면을 덮는 유황을 카본 나노 튜브 내부에 침투시키고,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내부에 유황이 충전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리튬 유황 2차 전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의 형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실시예 1에서 성장시킨 카본 나노 튜브의 단면 SEM 사진이며, (b)는 실시예 1에 있어서 표면이 유황으로 덮인 카본 나노 튜브의 단면 SEM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서 얻은 양극을 이용한 리튬 유황 2차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품 1의 충방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품 2의 충방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튬 유황 2차 전지(B)는 주로, 양극(P)과, 음극(N)과, 이들 양극(P)과 음극(N)의 사이에 배치된 세퍼레이터(S)를 구비한다. 세퍼레이터(S)는 도시하지 않은 전해액을 포함하고, 이 전해액을 통하여 양극(P)과 음극(N)과의 사이에서 리튬 이온(Li+)을 전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음극(N)으로서는, 예를 들어, Li, Li와 Al 혹은 In 등과의 합금, 또는 리튬 이온을 도핑한 하드 카본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전해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글라임, 디글라임, 테트라글라임 등의 에테르계 전해액, 디에틸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전해액 중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또는, 이들 중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예를 들어, 글라임, 디글라임 혹은 테트라글라임)에 점도 조정을 위한 디옥소란을 혼합한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양극(P)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P) 및 그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양극(P)은 양극 집전체(P1)와, 양극 집전체(P1)의 표면에 형성된 양극 활물질층(P2)을 구비한다. 양극 집전체(P1)는 예를 들어, 기저체(1)와 기저체(1)의 표면에 5~50 nm의 막 두께로 형성된 하지막(「배리어막」이라고도 한다)(2)과, 하지막(2)의 위에 0.1 ~ 5 nm의 막 두께로 형성된 촉매층(3)을 가진다. 기저체(1)로서는, 예를 들어, Cu, Ni, Pt로 이루어진 박(箔)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하지막(2)은 예를 들어, Al 막 또는 AlN막으로 구성될 수 있고, 촉매층(3)은 예를 들어, Fe 막, Co막 또는 Ni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저체(1), 하지막(2) 및 촉매층(3)에 대해서는, 상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양극 활물질층(P2)은 양극 집전체(P1)의 표면에, 이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켜서 성장시킨 카본 나노 튜브(4)와, 카본 나노 튜브(4) 상호 간에 간극을 갖도록 카본 나노 튜브(4)의 각각의 표면 전체를 덮는 유황(5)으로 구성되고, 이 간극에는 상기 전해액이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카본 나노 튜브(4)를 성장시키는 경우, 전지 특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길이가 100 ~ 500 ㎛의 범위 내에서, 이들의 직경이 5 ~ 50 nm의 범위 내인 고 어스펙트비의 것이 유리하며, 또한, 단위면적 당의 밀도가 1×1010 ~ 1×1012 개/cm2의 범위 내가 되도록 성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성장시킨 각 카본 나노 튜브(4) 표면 전체를 덮는 유황(5)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 3 n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극 집전체(P1)의 표면에 성장시킨 카본 나노 튜브(4)의 각각의 표면이 유황(5)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유황(5)과 카본 나노 튜브(4)가 광범위하게 접촉한다. 여기서, 카본 나노 튜브(4)는 상기 종래예에서 이용된 아세틸렌 블랙 입자와 같이 입자끼리의 접촉에 의해 도전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고, 단체(單體)로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유황(5)으로의 전자 공여를 충분히 행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4) 상호 간에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간극에 전해액이 공급되면, 유황(5)과 전해액과도 광범위하게 접촉하는, 즉, 양극 집전체(P1)와의 접합 부분 근처의 유황(5)까지 전해액(리튬 이온)이 공급됨으로써, 유황의 이용 효율이 향상되고, 유황으로의 충분한 전자 공여를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특히, 높은 레이트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비용량도 한층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방전 시에 유황(5)으로부터 생기는 다황화 음이온이 카본 나노 튜브(4)에 의해 흡착되기 때문에, 전해액으로의 다황화 음이온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어서 사이클 특성도 좋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리튬 유황 2차 전지(B)의 양극은 비용량이나 사이클 특성이라고 하는 전지 특성을 유지한 채로, 특히, 높은 레이트 특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상기 양극(P)의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기저체(1)인 Ni 박의 표면에, 하지막(2)으로서의 Al 막과 촉매층(3)으로서의 Fe 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양극 집전체(P1)를 형성한다. 여기서, 하지막(2)과 촉매층(3)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공지의 전자빔 증착법, 스퍼터링법, 촉매 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용액을 이용한 디핑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 양극 집전체(P1)를 공지의 CVD 장치의 처리실 내에 설치하고, 처리실 내에 원료 가스 및 희석 가스를 포함하는 혼합 가스를 100 Pa ~ 대기압의 작동 압력 하에서 공급하고, 600 ~ 800 ℃의 온도로 양극 집전체(P1)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집전체(P1)의 표면에, 이 표면에 직교하게 배향시켜서 카본 나노 튜브(4)를 성장시킨다. 여기서, 카본 나노 튜브(4)를 성장시키기 위한 CVD 법으로서는, 열 CVD 법, 플라즈마 CVD 법, 핫 필라멘트 법을 이용할 수가 있다. 원료 가스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 에틸렌, 아세틸렌 등의 탄화수소나,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을 이용할 수가 있고, 또한, 희석 가스로서는, 질소, 아르곤 또는 수소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원료 가스 및 희석 가스의 유량은 처리실의 용적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원료 가스의 유량은 10 ~ 500 sccm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고, 희석 가스의 유량은 100 ~ 5000 sccm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본 나노 튜브(4)가 성장한 영역의 전체에 걸쳐, 그 상방으로부터, 1 ~ 100 ㎛의 범위의 입자 직경을 가지는 과립 모양의 유황(50)을 살포한다(도 3 참조). 그리고, 양극 집전체(P1)를 관 모양의 노(爐)내에 설치하고, 유황의 융점(113℃) 이상의 120 ~ 180℃의 온도로 가열한다. 이것에 의해, 용해한 유황이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4)의 사이에 흘러들고,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4) 상호 간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카본 나노 튜브(4)의 각각의 표면 전체가 유황(5)으로 덮인다(도 2 참조). 이때,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4) 상호 간에 확실히 간극이 존재하도록 하기 위하여, 카본 나노 튜브(4)의 밀도(개/cm2)에 따라, 상기 배치하는 유황(50)의 중량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카본 나노 튜브(4)의 성장 밀도가 1×1010 ~ 1×1012개인 경우, 유황(50)의 중량을 카본 나노 튜브(4)의 중량의 0.2배 ~ 10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2배보다도 적으면, 카본 나노 튜브(4)의 각각의 표면이 유황에 의해 균일하게 덮이지 않게 되고, 10배보다도 많으면,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4) 상호 간의 간극까지 유황이 충전되어 버린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본 나노 튜브(4)의 표면을 1 ~ 3 nm의 두께의 유황(5)으로 덮기 위해서는, 유황(50)의 중량을 카본 나노 튜브(4)의 중량의 0.7배 ~ 3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 중에서 가열하면, 용해한 유황이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황산이 생성되기 때문에, Ar나 He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또는 진공 중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양극의 형성 방법에 의하면, 카본 나노 튜브(4)의 단위면적 당의 밀도에 따른 양의 고체의 유황(50)을 배치하여 용해시키는 것뿐이기 때문에, 간단한 공정으로,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4) 상호 간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하여 카본 나노 튜브(4)의 각각의 표면을 덮는 것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카본 나노 튜브(4)의 각각의 표면만을 유황(5)으로 덮고 있지만,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본 나노 튜브(4)의 각각의 내부에도 유황(5)을 충전하면, 양극(P)에서의 유황의 양이 더욱 증가함으로써, 보다 한층 비용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카본 나노 튜브(4) 내부에 유황(5)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유황(50)을 배치하기 전에, 예를 들어, 대기 중에서, 500 ~ 600 ℃의 온도로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카본 나노 튜브(4)의 각각의 선단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카본 나노 튜브(4)가 성장한 영역 전체에 걸쳐 유황(50)을 배치하고, 이 유황(50)을 용해시킨다. 이것에 의해, 카본 나노 튜브(4)의 각각의 표면이 유황으로 덮임과 동시에, 이 개구부를 통하여 카본 나노 튜브(4)의 각각의 내부에도 유황(5)이 충전된다. 이 경우,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 상호 간에 확실히 간극이 존재하도록 하기 위하여, 유황(50)의 중량을 카본 나노 튜브(4)의 중량의 5배 ~ 20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는, 관 모양의 노에서 유황(50)을 용해시켜서, 카본 나노 튜브(4)의 각각의 표면을 유황(5)으로 덮은 후, 동일한 관 모양 노를 이용하여 집전체 금속과 유황이 반응하지 않는 200 ~ 250 ℃의 범위 내의 온도로 어닐을 더욱 행한다. 이 어닐에 의해, 카본 나노 튜브(4)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유황을 침투시켜서, 카본 나노 튜브(4)의 각각의 내부에 유황(5)이 충전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양극 집전체로서, Ni 박의 표면에 15 nm의 막 두께로 Al 막(하지막)을 전자빔 증착법에 의해 형성하고, Al 막 위에 5 nm의 막 두께로 Fe 막을 전자빔 증착법에 의해 형성한 것을 준비하였다. 이 양극 집전체를 열 CVD 장치의 처리실 내에 얹어 두고, 처리실 내에 아세틸렌 200 sccm과 질소 1000 sccm을 공급하고, 작동 압력:1 기압, 온도: 750℃, 성장 시간: 5 분의 조건으로, 양극 집전체 표면에 수직 배향시켜서 카본 나노 튜브를 직접 성장시켰다(도 5의 (a) 참조). 이때의 카본 나노 튜브의 밀도는 1×1010개/cm2이었다. 양극 집전체를 열 CVD 장치로부터 꺼내고, 성장한 카본 나노 튜브의 중량을 측정한바, 0.50mg이었다. 다음으로, 카본 나노 튜브의 중량의 10배(5mg)의 과립 모양의 유황(S8)을, 카본 나노 튜브가 성장한 영역 전체에 걸쳐 배치한 것을, 관 모양 노 내에 배치하고, Ar 분위기 하에서 120℃, 5분 가열하였다. 가열 후의 카본 나노 튜브의 단면 SEM 사진을 도 5의 (b)에 도시한다. 이것에 의하면,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 상호 간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표면이 5 nm의 두께의 유황으로 덮여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양극 집전체의 표면에 카본 나노 튜브를 성장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카본 나노 튜브의 중량(0.50 mg)의 5배(2.5 mg)의 과립 모양의 유황을 배치한 것을 관 모양 노 내에 배치하고, Ar 분위기 하에서 120℃, 5분 가열하였다. 가열 후의 것에서는,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표면이 5 nm의 두께의 유황으로 덮여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후, 동일한 관 모양 노에서, Ar 분위기 하에서 230 ℃, 30분 어닐을 행하였다. 이 어닐에 의해, 카본 나노 튜브 표면의 유황이 카본 나노 튜브 내부에 침투하고, 카본 나노 튜브의 내부에도 유황이 충전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닐 시에 66%(1.55 g)의 유황이 증발하였기 때문에, 실시예 2에서 최종적으로 얻어진 양극에 있어서, 카본 나노 튜브와 유황의 중량비는 1:1.9이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 2에서 제작한 직경 14 mmΦ의 양극을 이용하고, 음극은 직경 14 mmΦ, 두께 1 mm의 금속 리튬으로 하고, 이들 양극 및 음극을 세퍼레이터(예를 들어, Celgard사에서 제조된 상품명「2400」)를 통해 대향시키고, 전해액으로서 1M 리튬비스(트리플루오르메틸술포네이트)이미드(LiTFSI), 글라임(DME) 및 디옥소란(DOL)의 혼합 용액(DME:DOL = 9:1)을 이용하여, 리튬 유황 2차 전지의 코인 셀을 제작하고(발명품), 1g 당의 방전 용량(비용량)을 측정하였다.
도 6은 실시예 2에서 얻은 양극을 이용한 리튬 유황 2차 전지(발명품)의 충방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 경우, 방전 시의 컷오프 전압을 1.5 V로 하고, 충전 시의 컷오프 전압을 2.8 V로 하고, 충방전 레이트를 0.1 C와 1 C로 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0.1 C에서의 1회째의 방전에서는, 2.5 ~ 1.5 V의 전위에서 1120 mAh/g라는 높은 방전 용량이 얻어졌다. 또한, 1 C에서의 1회째의 충방전에서도, 0.1 C에서의 방전 용량의 약 80%에 상당하는 870 mAh/g라는 높은 방전 용량이 얻어졌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2에서는, 유황으로의 전자 및 리튬 이온(전해액)의 공여를 충분히 행할 수 있고, 유황의 이용 효율이 거의 100%로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비용량이나 사이클 특성이라고 하는 전지 특성을 유지한 채로, 특히, 높은 레이트 특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 C에서의 분극(충전 시와 방전 시의 전위차)이 0 ~ 0.5 V로 작은 것으로부터, 전극을 저 저항화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 실험 1로서,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양극 집전체의 표면에 카본 나노 튜브를 성장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카본 나노 튜브의 중량(0.50 mg)의 40배(20 mg)의 과립 모양의 유황을 배치한 것을 관 모양 노 내에 배치하고, Ar 분위기 하에서 120℃, 5분 가열하였다. 이것에서는,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 상호 간이 유황으로 메워져 있었다. 그 후,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동일한 관 모양 노에서, Ar 분위기 하에서 230℃, 30분 어닐을 행하였다. 이 어닐에 의해, 카본 나노 튜브의 내부에도 유황이 충전되었지만,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 상호 간은 여전히 유황으로 매워져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닐 시에 27.5%(5.5 mg)의 유황이 증발하였기 때문에, 비교 실험 1에서 최종적으로 얻어진 양극에 있어서, 카본 나노 튜브와 유황의 중량비는 1:29이었다. 그리고, 이것을 양극으로서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리튬 유황 2차 전지의 코인 셀을 제작하고(비교품 1), 1 g 당의 방전 용량을 측정하였다.
도 7은 비교품 1의 충방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방전 용량의 측정 조건은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였다. 0.1 C에서의 충방전에서는 50 mAh/g라는 작은 방전 용량 밖에 얻어지지 않고, 1 C에서의 충방전에서는 0.1 C에서의 방전 용량의 약 20%에 상당하는 11 mAh/g라는 극히 작은 방전 용량 밖에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품 1의 방전 용량이 발명품에 비해 작은 것은, 카본 나노 튜브의 상호 간이 유황으로 메워져 있음으로써, 전해액이 카본 나노 튜브 선단 근처의 약간의 유황 밖에 접촉하지 못하고, 유황의 이용 효율이 낮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다른 비교 실험 2로서, 종래 방법에 의해 양극을 제작하였다. 즉, 유황과 아세틸렌 블랙을 1:1의 중량비로 각각 칭량하고, 볼 밀로 혼합한 것에 결착제로서 기능하는 폴리불화 비닐리덴(PVdF)을 더한다. 이 폴리불화 비닐리덴을 더한 것을 N메틸 2피롤리돈(NMP)에 녹여서 고점도의 슬러리(용액)로 하고, 이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예를 들어, Ni 박)의 표면에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균일한 두께(예를 들어, 50㎛)로 도포하였다. 이 경우, 유황:아세틸렌 블랙:폴리불화 비닐리덴의 중량비를 45:45:10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용액이 도포된 양극 집전체를 대기 중에서 80℃, 60분 건조하고, 14 mmΦ의 크기로 구멍을 낸다. 또한, 비교 실험 2에서 최종적으로 얻어진 양극에 있어서, 유황의 중량은 1.90 mg이었다. 그리고, 이것을 양극으로서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리튬 유황 2차 전지의 코인 셀을 제작하고(비교품 2), 1g 당의 방전 용량을 측정하였다.
도 8은 비교품 2의 충방전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방전 용량의 측정 조건은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였다. 0.1 C에서의 1회째의 방전에서는, 2.5 ~ 1.5 V의 전위에서 610 mAh/g라는 방전 용량이 얻어졌다. 또한, 1 C에서의 충방전에서도, 0.1 C에서의 방전 용량의 약 50%에 상당하는 320 mAh/g이었다. 비교품 2의 방전 용량이 발명품에 비해 작은 것은 아세틸렌 블랙의 입자 사이에 생기는 큰 저항에 의해, 유황으로의 전자 공여가 불충분하게 되고, 그 결과, 유황의 이용 효율이 낮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집전체(즉, 촉매층)의 표면에 직접 카본 나노 튜브를 성장시키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촉매층의 표면에 카본 나노 튜브를 배향시켜서 성장시키고, 이 카본 나노 튜브를 집전체의 표면에 전사하여도 좋다.
B : 리튬 유황 2차 전지 P : 양극
P1 : 양극 집전체 4 : 카본 나노 튜브
5 : 유황 50 : 고체의 유황

Claims (7)

  1. 집전체와, 집전체의 표면에, 이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켜서 성장시킨 카본 나노 튜브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 상호 간에 전해액이 공급되는 소정의 간극이 존재하도록,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적어도 표면을 유황으로 덮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 튜브의 성장 밀도가 1×1010 ~ 1×1012 개/cm2의 범위이고, 상기 카본 나노 튜브의 표면을 덮는 유황의 중량이 카본 나노 튜브의 중량의 0.2 ~ 10배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내부에 유황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
  4. 집전체의 표면에, 이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켜서 카본 나노 튜브를 직접 성장시키거나, 또는 촉매층의 표면에 동일 방향으로 배향시켜서 카본 나노 튜브를 성장시킨 후, 이들 카본 나노 튜브를 집전체의 표면에, 이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전사하는 공정과,
    카본 나노 튜브가 성장한 또는 전사된 영역의 전체에 걸쳐, 카본 나노 튜브의 단위면적 당의 밀도에 따른 양으로 고체의 유황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유황을 용해시켜서, 인접하는 카본 나노 튜브 상호 간에 전해액이 공급되는 간극이 존재하도록,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표면을 유황으로 덮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의 형성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 튜브를 1×1010 ~ 1×1012 개/cm2의 밀도로 성장시키고, 성장시킨 카본 나노 튜브의 중량의 0.2 ~ 10배의 중량의 상기 고체의 유황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의 형성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황을 배치하기 전에,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선단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황을 용해시켰을 때에,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내부에 유황이 충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의 형성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표면을 유황으로 덮은 후, 어닐을 행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이 어닐에 의해,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표면을 덮는 유황을 카본 나노 튜브 내부에 침투시키고, 카본 나노 튜브의 각각의 내부에 유황이 충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의 형성 방법.
KR1020137015629A 2010-11-26 2011-10-14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 및 그 형성 방법 KR101502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3978 2010-11-26
JP2010263978 2010-11-26
PCT/JP2011/005765 WO2012070184A1 (ja) 2010-11-26 2011-10-14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の正極及びその形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570A KR20130087570A (ko) 2013-08-06
KR101502538B1 true KR101502538B1 (ko) 2015-03-13

Family

ID=4614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629A KR101502538B1 (ko) 2010-11-26 2011-10-14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82202B2 (ko)
JP (1) JP5558586B2 (ko)
KR (1) KR101502538B1 (ko)
CN (1) CN103210525B (ko)
DE (1) DE112011103917T5 (ko)
TW (1) TWI525888B (ko)
WO (1) WO20120701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1336B2 (en) 2016-10-26 2021-11-09 Lg Chem,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carbon nanotube she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0032B2 (ja) * 2011-01-20 2015-06-03 株式会社フジクラ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電極用構造体、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電極及び色素増感太陽電池
JP2012238448A (ja) * 2011-05-11 2012-12-06 Sony Corp 二次電池、二次電池の製造方法、二次電池用正極、二次電池用正極の製造方法、電池パック、電子機器、電動車両、電力システムおよび電力貯蔵用電源
DE102012018622A1 (de) 2012-09-14 2014-03-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Li-S-Batterie mit hoher Zyklenstabilität und Verfahren zu deren Betreiben
WO2014080974A1 (ja) * 2012-11-21 2014-05-30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MX2015017285A (es) * 2013-07-03 2016-04-13 California Inst Of Techn Estructura híbridas de grafeno-nanotubos de carbono para baterías de azufre-silicio sin separadores.
KR101614613B1 (ko) * 2013-10-18 2016-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나노튜브 응집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황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993093A (zh) * 2013-12-03 2016-10-05 株式会社爱发科 锂硫二次电池
JP6298625B2 (ja) * 2013-12-09 2018-03-20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の正極の形成方法及び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正極
JP2015115209A (ja) * 2013-12-12 2015-06-22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
WO2015092957A1 (ja) * 2013-12-16 2015-06-25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の正極及びその形成方法
JP6210869B2 (ja) * 2013-12-16 2017-10-11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の正極及びその形成方法
CN105830273A (zh) * 2013-12-18 2016-08-03 株式会社爱发科 锂硫二次电池
US9997770B2 (en) * 2013-12-20 2018-06-12 Ulvac, Inc. Lithium-sulfur secondary battery
FR3017999A1 (fr) * 2014-02-21 2015-08-2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Electrode positive pour accumulateur electrochimique lithium-soufre presentant une structuration specifique
WO2016019544A1 (en) * 2014-08-07 2016-02-11 Robert Bosch Gmbh Sulfur-polyacrylonitrile composit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CN104183850A (zh) * 2014-08-22 2014-12-03 南京中储新能源有限公司 一种基于碳纳米管阵列的碳硫复合电极、制备方法和应用
KR101698052B1 (ko) * 2014-09-05 2017-01-19 한국과학기술원 황 탄소 나노 구조체, 이와 같은 황 탄소 나노 구조체를 이용한 리튬-황 이차전지용 양극 및 양극이 적용된 배터리
CN104201358B (zh) * 2014-09-26 2016-03-23 南京中储新能源有限公司 基于纳米聚苯胺包覆石墨烯的硫复合正极及其制备方法
CN107078282B (zh) * 2014-11-10 2021-04-06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电极添加剂及包含所述电极添加剂的电极
US10050265B2 (en) 2014-12-18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sitive electrode having sulfur contained in pores between nanocarbon structures, alkali metal-sulfur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positive electrode
JP6448352B2 (ja) * 2014-12-18 2019-01-09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アルカリ金属−硫黄電池用正極及びこれを備えた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10186730B2 (en) 2015-07-15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lyte solu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DE102016211036A1 (de) * 2016-06-21 2017-12-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athode und Batteriezelle
JPWO2019049826A1 (ja) * 2017-09-07 2020-10-22 国立大学法人横浜国立大学 リチウム硫黄電池
JP2019139975A (ja) * 2018-02-09 2019-08-22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正極の形成方法、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正極
KR102282907B1 (ko) * 2019-10-29 2021-07-30 한국전기연구원 2차 전지용 3차원 전극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96863B1 (ko) * 2020-11-17 2022-05-10 한국전기연구원 황 담지 탄소나노튜브 전극의 제조 방법,이로부터 제조되는 황 담지 탄소나노튜브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FR3134923B1 (fr) * 2022-04-20 2024-04-26 Ecole Polytech Batterie Lithium-ions nouvelle génération et procédé de fabrication associé
KR20240112621A (ko) 2023-01-12 2024-07-19 주식회사 브이티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장치 및 리튬-황 전지용 전극 구조체 제조 장치
KR20240112620A (ko) 2023-01-12 2024-07-19 주식회사 브이티 리튬-황 전지용 전극 구조체 제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7794A (ja) * 2002-04-22 2003-11-07 Kawasaki Heavy Ind Ltd ファイバー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19367A (ja) * 2002-09-23 2004-04-15 Samsung Sdi Co Ltd リチウム−硫黄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硫黄電池,および電子製品
JP2010192367A (ja) * 2009-02-20 2010-09-02 Toppan Printing Co Ltd ナノ炭素材料複合基板製造方法、ナノ炭素材料複合基板、電子放出素子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6114B2 (ja) * 1992-12-22 1996-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異物質内包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とその製造方法
GB9919807D0 (en) * 1999-08-21 1999-10-27 Aea Technology Plc Anode for rechargeable lithium cell
KR100378007B1 (ko) 2000-11-22 2003-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JP3733404B2 (ja) 2001-05-22 2006-01-1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TWI236778B (en) * 2003-01-06 2005-07-21 Hon Hai Prec Ind Co Ltd Lithium ion battery
WO2004105140A1 (ja) * 2003-05-22 2004-12-02 Fujitsu Limited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7531267B2 (en) 2003-06-02 2009-05-12 Kh Chemicals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carbon nanotube electrode comprising sulfur or metal nanoparticles as a binder
KR100584671B1 (ko) 2004-01-14 2006-05-30 (주)케이에이치 케미컬 황 또는 금속 나노입자를 접착제로 사용하는 탄소나노튜브또는 탄소나노파이버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전극
JP4406789B2 (ja) 2003-11-20 2010-02-03 福田金属箔粉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7763228B2 (en) * 2004-08-11 2010-07-27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Gunma University Method of producing carbon nanomaterials and centrifugal melt spinning apparatus
US20060057388A1 (en) * 2004-09-10 2006-03-16 Sungho Jin Aligned and open-ended nanotube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8535760A (ja) * 2005-04-06 2008-09-04 ドレクセル ユニバーシティー 機能性ナノ粒子充填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およびその製造のための方法
US20070145356A1 (en) * 2005-12-22 2007-06-28 Amlani Islamshah S Carbon nanotube interdigitated sensor
US7938987B2 (en) * 2006-05-01 2011-05-10 Yazaki Corporation Organized carbon and non-carbon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EP2132756B1 (en) * 2007-03-15 2016-11-09 Yazaki Corporation Capacitor electrodes comprising carbon nanotubes filled with one or more non-carbon materials
KR100903503B1 (ko) * 2007-11-02 2009-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그 음극활물질을 구비한 리튬이차전지
JP5275702B2 (ja) * 2008-06-25 2013-08-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合金負極材料
US20100178568A1 (en) * 2009-01-13 2010-07-15 Nokia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carbon nanostructure on a flexible substrate, and energy storage devices comprising flexible carbon nanostructure electrodes
US8450012B2 (en) * 2009-05-27 2013-05-28 Amprius, Inc. Interconnected hollow nanostructures containing high capacity active materials for use in rechargeable batteries
CN101562244A (zh) * 2009-06-02 2009-10-21 北京理工大学 锂二次电池用单质硫复合材料的制备方法
WO2011028804A2 (en) * 2009-09-02 2011-03-10 Ut-Battelle, Llc Sulfur-carbon nanocomposites and their application as cathode materials in lithium-sulfur batteries
US9005806B2 (en) * 2009-10-15 2015-04-14 Nokia Corporation Nano-structured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858282B1 (ko) * 2010-10-22 2018-05-15 암프리우스, 인코포레이티드 껍질에 제한된 고용량 활물질을 함유하는 복합 구조물
US8663840B2 (en) * 2011-04-12 2014-03-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capsulated sulfur cathode for lithium ion batt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7794A (ja) * 2002-04-22 2003-11-07 Kawasaki Heavy Ind Ltd ファイバー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19367A (ja) * 2002-09-23 2004-04-15 Samsung Sdi Co Ltd リチウム−硫黄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硫黄電池,および電子製品
JP2010192367A (ja) * 2009-02-20 2010-09-02 Toppan Printing Co Ltd ナノ炭素材料複合基板製造方法、ナノ炭素材料複合基板、電子放出素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ture Material, 2009, Vol. 8, pp500-506.(2009.05.12. 온라인 게재) *
Nature Material, 2009, Vol. 8, pp500-506.(2009.05.12. 온라인 게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1336B2 (en) 2016-10-26 2021-11-09 Lg Chem,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carbon nanotube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09880A1 (en) 2013-08-15
DE112011103917T5 (de) 2013-10-02
JP5558586B2 (ja) 2014-07-23
JPWO2012070184A1 (ja) 2014-05-19
US9882202B2 (en) 2018-01-30
KR20130087570A (ko) 2013-08-06
CN103210525B (zh) 2015-11-25
TW201246666A (en) 2012-11-16
TWI525888B (zh) 2016-03-11
WO2012070184A1 (ja) 2012-05-31
CN103210525A (zh)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538B1 (ko) 리튬 유황 2차 전지용의 양극 및 그 형성 방법
Adair et al. Towards high performance Li metal batteries: Nanoscale surface modification of 3D metal hosts for pre-stored Li metal anodes
US11355739B2 (en) Passivation of lithium metal by two-dimensional materials for rechargeable batteries
US10147948B2 (en) Method for fabricating graphene electrode
US20230253545A1 (en) Anodes, cathodes, and separators for batteries and methods to make and use same
WO2015083314A1 (ja)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
US10147941B2 (en) Synthesis method for cathode material in lithium-sulfur battery
Li et al. Enhanced processability and electrochemical cyclability of metallic sodium at elevated temperature using sodium alloy composite
KR20180031566A (ko) 다공성 실리콘 복합체 클러스터,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JP2014203593A (ja)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の正極及びその形成方法
Ye et al. Paraffin wax protecting 3D non-dendritic lithium for backside-plated lithium metal anode
KR101849754B1 (ko)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형성방법
WO2015092959A1 (ja)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
KR101284025B1 (ko)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6422070B2 (ja)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正極の形成方法
US9997770B2 (en) Lithium-sulfur secondary battery
JP2015115270A (ja)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
Lin et al. An optimized Mn-doped LiFePO4/C composite synthesized by carbonthermal reduction technique
US20230187621A1 (en) Anode for secondary battery,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2015115209A (ja)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
CN115642370A (zh) 锂硫电池用夹层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