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403B1 - 탈곡 장치 - Google Patents

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403B1
KR101499403B1 KR1020140166241A KR20140166241A KR101499403B1 KR 101499403 B1 KR101499403 B1 KR 101499403B1 KR 1020140166241 A KR1020140166241 A KR 1020140166241A KR 20140166241 A KR20140166241 A KR 20140166241A KR 101499403 B1 KR101499403 B1 KR 101499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plate
straw
inclined portion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106A (ko
Inventor
료오스께 히라이
다께시 가와노
마사요시 나까따니
준이찌 미나미노
데쯔지 나가따
하지메 마쯔시따
신 히라따
신지 고따니
마사유끼 다까기
마사유끼 호리우찌
준이찌 마루야마
요시끼 히후미
다께히로 후꾸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45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46910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8442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221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0833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165420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4014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30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 A01F12/32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with shaker screens or sie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4Fan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8Air conduits or blowers for grai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4Arrangements for collecting or removing dust

Abstract

본 발명은 배진 제어체의 적절한 자동 개폐를 소규모인 조작 기구에서 행하게 할 수 있고, 게다가 그 조작 기구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회피하기 쉽게 하면서,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탈곡 장치를 제공한다. 이 목적을 위해, 반송 가이드 레버(22)의 무단 회전 체인(21)에 대한 끼움 지지 간격을 변경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배진 제어체(60)의 개폐 자세 절환에 필요한 변위로서 전달하는 기계적 연동 기구(70)를 탈곡 피드 체인(11)측에 설치하고 있다. 반송 가이드 레버(22)와 무단 회전 체인(21)과의 간격이 이격되면 배진 제어체(60)를 개방 자세측으로 절환 조작하고, 반송 가이드 레버(22)와 무단 회전 체인(21)과의 상대 간격이 좁아지면 배진 제어체(60)를 폐쇄 자세측으로 절환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탈곡 장치 {THRE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급실(扱室)로부터의 탈곡 볏짚 배출을 무단 회전 체인과 반송 가이드 레버에 의해 기체(機體) 후방 방향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볏짚 배출 반송 장치와, 선별부로부터의 진애를 선별풍(選別風)에 의해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풍력 배진(排塵) 경로를 개폐하는 배진 제어체를 구비한 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탈곡 장치에 있어서, 종래, 예를 들어 JP 제4-084825 A호에 개시된 것이 있었다. 이 탈곡 장치는 선별 장치를 내장한 풍선부와, 선별 장치가 구비하는 챠프 시브로부터 배출해야 할 볏짚 부스러기가 선별풍과 함께 기체 외부로 배출되는 배진구와, 이 배진구에 이 부분을 개폐하도록 설치한 배진 제어판을 구비하고 있다.
배진 제어판은 기계적 연동 기구와 모터와 제어부를 통해 동작 검출 기구(검출 스위치)에 연계되어 있다. 동작 검출 기구는 예취부가 소정의 비작업 위치까지 상승한 것을 검출한다. 파워 스티어링 레버에 의한 예취부 상승 조작이 행해져 동작 검출 기구가 검출 상태가 되면, 동작 검출 기구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배진 제어판이 자동적으로 배진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요동 작동한다. 예취부가 소정의 예취 작업 위치까지 하강되면, 배진 제어판은 자동적으로 배진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요동 작동한다.
상기한 배진 제어체를 구비한 탈곡 장치에서는,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많을 때, 선별부에 발생하는 배출용의 처리물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배출용의 처리물이 신속하게 배출되어 1번 처리물이나 2번 처리물의 진애 혼입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도록 배진 제어체를 개방 자세로 절환 조작한다.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적을 때, 처리물이 선별풍에 의해 날리기 쉬워지기 때문에, 곡립이 선별풍과 함께 배출되는 손실을 억제나 회피할 수 있도록 배진 제어체를 폐쇄 자세로 절환 조작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을 채용하면, 배진 제어체의 개폐 절환을 자동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배진 제어체를 개폐 조작하는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조작하는 제어 수단과 검출 수단을 구비해야만 하여, 조작 기구가 대규모가 되는 경향이 있었다.
JP 제4-084825 A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배진 제어체의 적절한 자동 개폐를 소규모의 조작 기구로 행하게 할 수 있고, 게다가 그 조작 기구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회피하기 쉽게 하면서,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탈곡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급실로부터의 탈곡 볏짚 배출을 무단 회전 체인과 반송 가이드 레버에 의해 기체 후방 방향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볏짚 배출 반송 장치와, 선별부로부터의 진애를 선별풍에 의해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풍력 배진 경로를 개폐하는 배진 제어체를 구비한 탈곡 장치이며,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의 상기 무단 회전 체인에 대한 끼움 지지 간격을 변경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상기 배진 제어체의 개폐 자세 절환에 필요한 변위로서 전달하는 기계적 연동 기구가 탈곡 피드 체인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많아지면 배진 제어체가 개방 자세로 자동적으로 절환 조작되고,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적어지면 배진 제어체가 폐쇄 자세로 자동적으로 절환 조작된다.
반송 가이드 레버로부터 탈곡 피드 체인측에 걸쳐 기계적 연동 기구를 배치하여 배진 제어체에 연결하고 있으므로, 반송 가이드 레버로부터 탈곡 피드 체인측으로 연장하여, 기계적 연동 기구의 일부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송 가이드 레버의 하방에 위치하는 팬 부착 배진 경로를 가로지르는 일은 없고, 그 팬 부착 배진 경로의 상방을 우회한 구성을 취할 수 있어, 배진 제어체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 기구로서의 기계적 연동 기구는, 팬 부착 배진 경로에 의해 배출되는 진애가 기계적 연동 기구에 부착되는 일이 적다.
예를 들어, 기계적 연동 기구가 피드 체인측의 존재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탈곡 장치의 횡측방에 위치하는 곡립 저류 탱크측에 기계적 연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되고, 그 기계적 연동 기구에 대한 유지 보수를 행하는 경우에, 곡립 저류 탱크와 탈곡 장치 사이에 인입되어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어, 작업 자세가 거북하게 되어, 작업 공간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하고자 하면, 곡립 저류 탱크를 요동시켜 개방 자세로 절환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로 되어, 유지 보수 작업에 걸리는 이전의 준비 작업도 수고가 드는 것으로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기계적 연동 기구가 피드 체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다른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기체의 횡일측단부로부터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곡립 저류 탱크를 개방 자세로 절환하는 조작을 행하지 않고, 작업 자세가 거북하게 되지 않고, 작업 공간도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별부의 처리물량 변화에 관계없이, 배진 제어체가 선별부의 처리물량에 적합한 개방 자세 혹은 폐쇄 자세로 자동적으로 절환 조작되고, 곡립의 진애 혼입이나 풍력 배진 경로에 의한 곡립 배출을 억제하면서 탈곡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기계적 연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뿐인 소규모의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게다가, 기계적 연동 기구의 진애 부착에 의한 작동 불량을 회피하기 쉽고, 이 면으로부터도 배진 제어체를 적절하게 개폐 절환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기계적 연동 기구를 탈곡 피드 체인측에 배치함으로써,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었다.
적절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와 상기 무단 회전 체인과의 간격이 이격되면 상기 배진 제어체를 개방 자세측으로 절환 조작하고,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와 상기 무단 회전 체인과의 상대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 배진 제어체를 폐쇄 자세측으로 절환 조작하도록,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와 상기 배진 제어체를 상기 기계적 연동 기구에 의해 연동시키고 있다.
즉, 급실에 공급되는 곡물대(곡물 줄기)량이 많아지면 급실로부터 선별부에 선별 처리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처리물량이 많아진다. 이때, 급실로부터 배출되는 탈곡 볏짚 배출의 양이 많아진다. 그러면, 볏짚 배출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탈곡 볏짚 배출의 양이 많아져, 반송 가이드 레버가 무단 회전 체인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이동한다.
급실에 공급되는 곡물대량이 적어지면 급실로부터 선별부에 선별 처리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처리물량이 적어진다. 이때, 급실로부터 배출되는 탈곡 볏짚 배출의 양이 적어진다. 그러면, 볏짚 배출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탈곡 볏짚 배출의 양이 적어져, 반송 가이드 레버가 무단 회전 체인에 근접하는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볏짚 배출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탈곡 볏짚 배출의 양 변화에 수반하는 반송 가이드 레버와 무단 회전 체인과의 간격 변화를 기초로 상기 설정 간격을 적절하게 설정하면,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많아진 경우, 반송 가이드 레버의 무단 회전 체인에 대한 이격과, 기계적 연동 기구에 의한 반송 가이드 레버와 배진 제어체와의 연동으로 인해, 배진 제어체가 개방 자세로 자동적으로 절환된다.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적어진 경우, 반송 가이드 레버의 무단 회전 체인에 대한 접근과, 기계적 연동 기구에 의한 반송 가이드 레버와 배진 제어체와의 연동으로 인해, 배진 제어체가 폐쇄 자세로 자동적으로 절환된다.
또한,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의 볏짚 배출 반송 방향에서의 후방 절반 부분에, 상기 기계적 연동 기구의 연결 부위가 설치되어 있으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볏짚 배출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볏짚 배출이 감소해도, 선별부에는 그 감소 전에 공급된 처리물이 아직 남아 있어, 선별부에 있어서의 처리물 감소는, 볏짚 배출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볏짚 배출 감소의 발생으로부터 느리게 발생한다. 기계적 연동 기구의 연결 부위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의 볏짚 배출 반송 방향에서의 전방 절반 부분에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선별부에서의 처리물이 충분히 남아 있는 경우라도, 배진 제어체가 즉시 폐쇄 자세로 절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기계적 연동 기구의 연결 부위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의 볏짚 배출 반송 방향에서의 후방 절반 부분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선별부에서의 처리 상황에 대응하여, 배진 제어체의 자세 절환을 행할 수 있어, 진애를 배출하는 상태로 배진 제어체를 유지해야만 함에도 불구하고, 빨리 폐쇄 자세로 절환되는 일이 없다.
적절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기계적 연동 기구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에 연계된 제1 연계 부재와 상기 배진 제어체에 연계된 제2 연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계 부재가 서로 연계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고,
연계 해제시에 상기 배진 제어체를 개방 자세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연계 부재를 변위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기계적 연계 기구의 일부가 손상되어 배진 제어체와 반송 가이드와의 연계가 끊어진 경우에는, 배진 제어체의 자세 제어를 행할 수 없게 되어, 대량으로 배진을 해야만 하는 경우에, 배진 제어체가 폐색 상태를 유지하여, 2번물 반송 장치 등에 대량의 배진이 인입되는 것이 염려된다.
이에 반해, 본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연계 부재와 상기 제2 연계 부재와의 연계를 해제하여,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해 상기 제2 연계 부재를 변위 불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상기 배진 제어체를 개방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계적 연동 기구 등에 고장이 있어도, 필요 최소한의 기능인 배진의 배출 작업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진 제어체를 폐쇄 자세로 압박하는 압박 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즉, 풍력 배진 경로에서의 선별 풍력의 변동이 있으면, 배진 제어체가 폐쇄 자세와 개방 자세로 절환될 우려가 있으나, 압박 수단에 의해 배진 제어체가 폐쇄 자세로 유지할 수 있어, 배진 제어체의 폐쇄 자세가 안정된다.
그 밖의 특징이나 유리한 점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적절한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하여 예취 곡물대를 반송하는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와,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급동(209)과,
상기 급동(209)을 덮는 상부 케이스(202) 및 하부 케이스(201)와,
상기 예취 곡물대의 반송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케이스(202)와 상기 하부 케이스(20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상기 급동(209)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는 탈곡구(215)와,
상기 상부 케이스(202)의 하단부에 장착 고정되어, 상기 탈곡구(215)를 형성하는 상부 립 플레이트(214)와,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에 장착 고정되고, 상기 급동(209)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흘러내리는 곡립을 상기 급동(209)을 향해 안내하는 가이드판(247)이 구비되어 있는, 탈곡 장치이다.
또한,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는 상기 상부 케이스(20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247)은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동(209)을 향하도록 상기 가이드판(247)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가이드판(247)을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에 장착하는 압박판(250)이,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압박판(250)을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판(247)이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는, 상기 상부 케이스(202)의 하단부 중 상기 급동(209)이 존재하는 곳과는 반대측의 외측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판(247)은,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 중 상기 급동(209)이 존재하는 곳과는 반대측의 외측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202)의 하단부에, 기체 횡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에, 상기 장착부의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된 횡외향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는, 상기 장착부와 상기 횡외향부를 겹친 상태에서 체결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상부 케이스(202)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의 하단부는, 상기 급동(209)을 향해 경사져 있고,
상기 가이드판(247)은,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의 경사 형상을 따르도록 상기 급동(209)을 향해 경사져 있다.
또한, 상기 횡외향부를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247)을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에 장착하는 압박판(250)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판(247)은, 상기 횡외향부와 상기 압박판(250)에 끼움 지지되어,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의 하단부는, 상기 급동(209)을 향해 경사져 있고,
상기 압박판(250)의 하단부는, 상기 급동(209)을 향해 경사져 있고,
상기 가이드판(247)은,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14)의 하단부와 상기 압박판(250)의 하단부에 끼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247)이, 상기 예취 곡간의 반송 방향을 따라 정렬 배치되는 복수의 판체(248, 249)으로 구성됨과 함께, 복수의 상기 판체는, 전후로 인접하는 전방측의 판체(248)의 후단 모서리(248A)와 후방측의 판체(249)의 전단 모서리(249A)가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진 제어체의 적절한 자동 개폐를 소규모인 조작 기구로 행하게 할 수 있고, 게다가 그 조작 기구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회피하기 쉽게 하면서,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탈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1은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2는 반송 가이드와 배진 제어체를 연계하는 기계적 연동 기구를 구비한 탈곡 장치의 종단 배면도.
도3의 (a)는 배진 제어체를 폐쇄 자세로 설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3의 (b)는 배진 제어체를 폐쇄 자세로 설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4는 배진 제어체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5는 배진 제어체와 반송 가이드 레버와의 연계를 끊고, 배진 제어체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6 내지 도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6은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7은 탈곡 장치의 탈곡구 배치부에서의 측면도.
도8은 탈곡 장치의 탈곡구 배치부에서의 종단 후방면도.
도9는 탈곡 급동의 종단 측면도.
도10은 탈곡 급동의 횡단 정면도.
도11은 드럼 본체의 전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12는 점검 개구의 폐쇄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13은 도12의 XⅢ-XⅢ 단면 화살표도.
도14는 도12의 XⅣ-XⅣ 단면 화살표도.
도15는 덮개판의 평면도.
도16은 볏짚 배출 반송 장치의 측면도.
도17 내지 도3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17은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18은 탈곡 장치의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
도19는 가이드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측면도.
도20은 가이드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
도21은 제1 급동부의 종단 측면도.
도22는 제1 급동부의 종단 배면도.
도23은 제2 통 형상부와 덮개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
도24는 제2 통 형상부와 덮개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전개 종단 배면도.
도25는 제2 통 형상부와 덮개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
도26은 제2 통 형상부의 전개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27은 덮개체의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28은 배진구의 개폐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29는 배진구의 개폐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
도30은 규제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
도31은 볏짚 배출 반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32는 각 판체에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은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측면도.
도33은 각 판체에 슬릿을 형성한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
도34는 각 판체의 접합 모서리를 경사지게 한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탈곡 장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적절하게는, 각 실시 형태는 자탈형 콤바인(whole culm discharging type combine-harvester)의 탈곡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나, 1개의 실시 형태의 특징과 다른 실시 형태의 특징의 조합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생각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명시가 없는 한, 본 발명에 의한 탈곡 장치를 탑재하는 콤바인(combine-harvester), 하베스터(harvester) 등의 작업차가 전방으로 직진(전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이라 칭하고, 이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좌우 방향(또는 횡방향)이라 칭하고,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칭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탈곡 장치는 기체(1)의 외부(일 횡측방)에 설치한 탈곡 피드 체인(11) 및 기체 내의 전방부에 설치한 급실(12)을 갖는 탈곡부(10)와, 상기 급실(12)의 후방에 설치한 볏짚 배출 반송 장치(20)와, 상기 급실(12)의 하방에 설치한 요동 선별 장치(31)를 갖는 선별부(30)와, 상기 볏짚 배출 반송 장치(20)의 하방에 설치한 배진 팬(41)을 갖는 배진부(40)와, 상기 선별부(30)의 저부에 설치한 1번 나사 컨베이어(2) 및 2번 나사 컨베이어(3)와, 상기 기체(1)의 후방부에 연속 설치된 볏짚 배출 처리 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탈곡 장치는 콤바인에 장비되고, 콤바인의 예취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예취 처리된 예취 처리된 예취 곡물대의 탈곡 처리와, 탈곡립의 선별 처리와, 탈곡 볏짚 배출의 처리를 행한다.
즉, 상기 탈곡부(10)는, 상기 탈곡 피드 체인(11)과 상기 급실(12)을 구비하는 것 외에, 급실(12)의 하부에 설치한 수망(13)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고, 예취 곡물대의 탈곡 처리를 행한다.
즉, 탈곡 피드 체인(11)은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기체 후방측에 끼움 지지 반송하면서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급실(12)에 공급한다. 급실(12)은 급실 내에 기체 전후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된 급동(扱胴)(14)을 구비하고 있고, 공급된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급동(14)에 의해 탈곡 처리한다. 탈곡 피드 체인(11)은, 탈곡 볏짚 배출을 급실(12)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송진구(送塵口)(15)로부터 급실(12)의 후방으로 반출한다.
상기 볏짚 배출 반송 장치(20)는 탈곡 피드 체인(11)의 반송 종단부의 횡측 근방에 반송 시단측이 위치하고, 반송 종단측이 상기 볏짚 배출 처리 장치(50)의 볏짚 배출 투입구(51) 상방에 위치하는 배치에서 기체 내의 후방부에 설치한 무단 회전 체인(21)과, 이 무단 회전 체인(21)의 반송측의 하방에 무단 회전 체인(21)을 따르게 하여 설치한 반송 가이드 레버(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1, 도3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가이드 레버(22)의 반송 시단측과 반송 종단측은, 반송 가이드 레버(22)에 상단부가 연결된 기체 상하 방향의 연결 레버(23)를 통해 기체측의 지지 부재(24)에 지지되어 있다. 반송 시단측의 상기 지지 부재(24)는 상기 탈곡 피드 체인(11)을 주행 안내하는 체인 가이드에 고정되어 있다. 반송 종단측의 상기 지지 부재(24)는 기체(1)의 프레임(8)에 고정되어 있다. 반송 시단측 및 반송 종단측의 상기 지지 부재(24)는 상기 연결 레버(23)를 상하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각 연결 레버(23)는 반송 가이드 레버(22)와 상기 지지 부재(24) 사이에 배치하고 연결 레버(23)에 장착되어 벨로우즈로 덮인 스프링(25)에 의해 상승 압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송 가이드 레버(22)는, 상기 스프링(25)에 의해 무단 회전 체인(21)에 접근하도록 압박되어 있다.
볏짚 배출 반송 장치(20)는, 급실(12)로부터 배출된 탈곡 볏짚 배출의 밑동측을 탈곡 피드 체인(11)으로부터 무단 회전 체인(21)과 반송 가이드 레버(22) 사이에 이어받고, 이와 같이 이어받은 탈곡 볏짚 배출을, 이것의 이삭 끝측을 상기 볏짚 배출 반송 장치(20)보다도 이삭 끝측에 위치하고 있는 지지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적재한 가로 설치 자세에서, 무단 회전 체인(21)과 반송 가이드 레버(22)에 의해 기체 후방 방향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고, 볏짚 배출 처리 장치(50)의 볏짚 배출 투입구(51) 상에 낙하시킨다. 무단 회전 체인(21)은 반송 종단측일수록 탈곡 피드 체인(11)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커지는 배치로 되어 있고, 볏짚 배출 반송 장치(20)는 탈곡 볏짚 배출을 기체(1)에 대해 탈곡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반송한다.
볏짚 배출 반송 장치(20)에 의해 반송되는 탈곡 볏짚 배출의 양이 변화되면, 탈곡 볏짚 배출의 볼륨이 변화됨으로써, 반송 가이드 레버(22)가 상기 스프링에 의한 조작력과, 탈곡 볏짚 배출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무단 회전 체인(21)에 대해 이격되거나, 혹은 접근하도록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볏짚 배출량이 커질수록 반송 가이드 레버(22)와 무단 회전 체인(21)과의 간격이 더 커지고, 볏짚 배출량이 작아질수록 반송 가이드 레버(22)와 무한 체인(21)과의 간격이 더 작아진다.
상기 볏짚 배출 처리 장치(50)는 상기 볏짚 배출 투입구(51)를 가진 세단(細斷) 케이스(52)와, 이 세단 케이스(52)의 후단측의 상방에 설치한 긴 볏짚 방출구(53)를 구비하고 있다. 세단 케이스(52)는 상기 볏짚 배출 투입구(51)를 개폐하도록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54)를 구비하고, 케이스 내부에 기체 횡방향의 축심 둘레로 구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커터 축(55)과 공급축(56)을 구비하고, 상기 커터 축(55) 및 공급축(56)의 하방에 설치한 세단 볏짚 방출구(57)를 구비하고 있다.
볏짚 배출 처리 장치(50)는 상기 덮개체(54)가 폐쇄 조작되면 긴 볏짚 방출의 처리 상태가 된다. 그러면, 볏짚 배출 처리 장치(50)는, 상기 볏짚 배출 반송 장치(20)로부터의 탈곡 볏짚을 덮개체(54)의 외면측에서 긴 볏짚 방출구(53)로 하강 안내하고, 이 긴 볏짚 방출구(53)로부터 기체 후방의 지면에 긴 볏짚 상태로 낙하시킨다.
볏짚 배출 처리 장치(50)는 상기 덮개체(54)가 개방 조작되면 세단 방출의 처리 상태가 된다. 그러면, 볏짚 배출 처리 장치(50)는, 상기 볏짚 배출 반송 장치(20)로부터의 탈곡 볏짚 배출을 상기 볏짚 배출 투입구(51)로부터 세단 케이스(52)의 내부에 낙하시키고, 상기 커터 축(55)이 이것의 축심 방향으로 나열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는 원반형의 절단 날과, 상기 공급축(56)이 이것의 축심 방향으로 나열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는 원반형의 공급 날에 의해 볏대(culm) 방향으로 가늘게 자르고, 세단 상태의 볏짚 배출을 세단 볏짚 방출구(57)로부터 지면에 낙하시킨다.
상기 선별부(30)는, 상기 요동 선별 장치(31)를 구비하는 것 외에, 이 요동 선별 장치(31)의 전단측의 하방에 설치한 풍구(32)와, 상기 송진구(15)의 후방에 설치한 처리 회전체(33)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처리 회전체(33)는 기체 횡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전 구동되고, 급실(12)의 상기 송진구(15)로부터 배출된 볏짚 부스러기를 요동 선별 장치(31)가 구비하는 상부 스트로 래크(upper straw rack)(34)에 받아 지지시키면서 해제 처리하고, 볏짚 부스러기로부터 곡립을 취출한다.
요동 선별 장치(31)는, 상기 상부 스트로 래크(34)를 구비하는 것 외에, 상기 수망(13)의 하방에 위치한 그레인 팬(35)과 챠프 시브(36)를 구비하고, 상기 챠프 시브(36)의 후방에 설치한 스트로 래크(37)를 구비하고, 상기 챠프 시브(36)의 하방에 설치한 그레인 시브(38)를 구비하고 있다.
선별부(30)는 상기 처리 회전체(33)로부터의 처리물과, 급실(12)로부터 수망(13)을 통해 낙하 공급된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31)에 의한 요동 선별과, 상기 풍구(32)에 의해 상기 배진부(40)를 향해 공급되는 선별풍에 의한 풍선별에 의해 1번 처리물과, 2번 처리물과, 볏짚 부스러기 등의 배출용의 처리물로 선별하고, 1번 처리물과 2번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31)로부터 낙하시켜, 배출용의 처리물을 상기 배진부(40)로 보낸다.
상기 1번 나사 컨베이어(2)는, 요동 선별 장치(31)로부터 낙하한 1번 처리물을 기체(1)의 횡외측으로 반출하여 양곡(揚穀) 장치(4)에 공급한다. 이 양곡 장치(4)는 콤바인의 곡립 탱크(도시하지 않음)에 탈곡립을 송입한다. 상기 2번 나사 컨베이어(3)는 요동 선별 장치(31)로부터 낙하한 2번 처리물을 기체(1)의 횡외측으로 반출하여 환원 장치(5)에 공급한다. 이 환원 장치(5)는 2번 처리물을 기체(1)의 횡측벽에 형성한 환원구에 반송하고, 이 환원구로부터 기체 내에 송입하여 요동 선별 장치(31)의 시단측으로 환원한다.
상기 배진부(40)는 상기 배진 팬(41)을 가진 팬 부착 배진 경로(A)와, 이 팬 부착 배진 경로(A)의 하방에 설치한 풍력 배진 경로(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팬 부착 배진 경로(A)는, 상기 배진 팬(41)을 구동 가능하게 수용한 팬 케이스(42)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팬 부착 배진 경로(A)는, 상기 배진 팬(41)을 구비하는 것 외에, 팬 케이스(42)의 흡인구로 이루어지는 진애 흡인구(43)와, 팬 케이스(42)의 토출구로 이루어지는 진애 배출구(4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진애 흡인구(43)는, 상기 요동 선별 장치(31)의 후단부의 상방에 요동 선별 장치(31)를 향해 개구하여 위치하고 있다. 상기 진애 배출구(44)는, 상기 세단 케이스(52)의 내부에 상기 세단 볏짚 방출구(57)를 향해 개구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팬 부착 배진 경로(A)는, 선별부(30)의 후방부로부터 송출된 배출용의 처리물을, 배진 팬(41)의 이송력에 의해 진애 흡인구(43)로부터 흡인하고, 진애 토출구(44)로부터 세단 케이스(52)를 통해 기체 외부로 배출한다. 팬 부착 배진 경로(A)는, 상기 풍구(32)로부터의 선별풍의 일부를 처리물과 함께 흡인하여 배출한다.
상기 풍력 배진 경로(B)는, 상기 팬 케이스(42)의 배진 팬(41)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42a)과, 요동 선별 장치(31)의 후단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요동 선별 장치(31)의 후단부에 연통하고 있다. 풍력 배진 경로(B)는, 기체(1)의 후단부에 상기 팬 부착 배진 경로(A)의 진애 토출구(44)의 하방에 배치하여 형성한 진애 배출구(4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진애 배출구(45)는, 상기 세단 케이스(52)의 상기 긴 볏짚 방출구(57)를 향해 개구하고 있다.
풍력 배진 경로(B)는, 선별부(30)로부터 송출된 배출용의 처리물을 풍구(32)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한 이송력에 의해 도입하고, 진애 배출구(45)로부터 세단 케이스(52)를 통해 기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풍력 배진 경로(B)는, 상기 진애 배출구(45)보다도 기체 내측으로 조금 인입된 부위에 설치한 판형의 배진 제어체(60)를 구비하고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진 제어체(60)는, 이것의 상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회전 지지축(61)을 통해 기체(1)의 좌우의 횡측벽(1a)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3의 (a)는 배진 제어체(60)의 폐쇄 자세(CL)에서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진 제어체(60)는, 상기 회전 지지축(6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이 회전 지지축(61)의 기체 횡방향 축심 둘레로 하강측으로 요동 조작되면, 폐쇄 자세(CL)가 된다. 그러면, 배진 제어체(60)는, 풍력 배진 경로(B)의 처리물의 통과를 억제하도록 풍력 배진 경로(B)의 처리물 유동 방향에 대해 교차한 자세가 된다.
도3의 (b)는 배진 제어체(60)의 개방 자세(OP)에서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진 제어체(60)는, 상기 회전 지지축(6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이 회전 지지축(61)의 기체 횡방향 축심 둘레로 상승측으로 요동 조작되면, 개방 자세(OP)가 된다. 그러면, 배진 제어체(60)는, 풍력 배진 경로(B)의 처리물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도록 풍력 배진 경로(B)의 처리물 이동 방향을 따른 자세가 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진 제어체(60)는, 이것의 상기 탈곡 피드 체인(11)이 위치하는 쪽에 연결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축(61)의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종동 아암(71)을 구비한 기계적 연동 기구(70)에 의해,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22)의 상기 반송 종단측의 연결 레버(23)가 연결되어 있는 부위에 연동되어 있다.
도2는 상기 기계적 연동 기구(70)의 후방면에서 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3의 (a) 및 (b)는 상기 기계적 연동 기구(70)의 측면에서 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적 연동 기구(70)는 상기 종동 아암(71)을 가진 링크 기구(L)와, 상기 팬 부착 배진 경로(A)의 상방에서의 외부에 설치한 기체 횡방향의 회전 운동축(72)과, 상기 연결 레버(23)와, 이 연결 레버(23)와 상기 회전 운동축(72)의 탈곡 피드 체인측의 단부에 걸쳐 설치한 캠식 연동부(8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3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기구(L)는, 상기 종동 아암(71)을 구비하는 것 외에, 상기 회전 운동축(72)의 상기 캠식 연동부(80)를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요동 아암(73)을 구비하고, 이 요동 아암(73)과 상기 종동 아암(71)을 연결하고 있는 연동 링크(7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링크 기구(L)는, 상기 팬 부착 배진 경로(A) 및 배진 제어체(60)에 대해 탈곡 피드 체인측에서의 팬 부착 배진 경로(A) 및 풍력 배진 경로(B)의 외부에서, 또한 상기 볏짚 배출 반송 장치(20)에 의해 반송되는 탈곡 볏짚 배출의 통로(26)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3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 아암(71)에 대해서는,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압박 수단으로서의 압박 스프링(75)이 설치되어 있고, 배진 제어체(60)를 폐쇄 자세(CL)로 압박하고 있다. 배진 제어체(60)는 압박 스프링(75) 및 반송 가이드(22)를 무단 회전 체인(21)측으로 밀어 올리고 있는 스프링의 합계값이, 반송 가이드(22) 자체의 중량과의 균형에 의해 폐색 위치로 유지된다고 생각되나, 도2 및 도3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스프링(75)에 의해 압박된 배진 제어체(60)를 받아내는 스토퍼(76)를 설치해도 좋다.
배진 제어체(60)의 장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지지축(61)을 좌우 횡측벽(1a)에 걸쳐 가설하는 동시에, 그 회전 지지축(61)의 축선 방향을 따라 장착용 판 프레임(62)을 고착하고, 장착용 판 프레임(62)에 배진 수납 정지판부(63)를 볼트로 고정하여, 장착용 판 프레임(62)으로부터 배진 수납 정지판부(63)를 현수 지지하고 있다. 배진 제어체(60)는 회전 지지축(61), 장착용 판 프레임(62), 배진 수납 정지판부(63)로 구성되어 있다.
도3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식 연동부(80)는 상기 회전 운동축(72)의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요동형의 피동 아암(81)과, 상기 연결 레버(23)의 하단부에 상기 피동 아암(81)을 향해 연장하도록 구성하여 연결한 둥근 봉재로 이루어지는 전동 부재(8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동 아암(81)은, 이것에 부설한 캠면 형성체의 둘레면으로 이루어지는 캠면(8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동 부재(82)는, 이것의 연장 단부를 상기 캠면(83)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동 아암(81)은, 배진 제어체(60)를 폐쇄 자세(CL)로 압박하는 압박 수단으로서의 압박 스프링(75)에 의해 상기 링크 기구(L)를 통해 요동 압박되어 있고, 이에 의해 캠면(83)을 전동 부재(82)의 연장 단부에 접촉 압박하고 있다.
캠식 연동부(80)는, 반송 가이드 레버(22)가 무단 회전 체인(21)에 대해 이격되도록 이동하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면, 전동 부재(82)의 연장 단부와 피동 아암(81)과의 접촉에 의해 반송 가이드 레버(22)와 회전 운동축(72)을 연동시킴으로써, 반송 가이드 레버(22)와 배진 제어체(60)를 다음과 같이 연동시키고 있다.
즉,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가이드 레버(22)가 무단 회전 체인(21)에 대해 이격되도록 이동하고, 반송 가이드 레버(22)와 무단 회전 체인(21)과의 간격이 설정 간격(D)이 되면, 배진 제어체(60)가 상기 개방 자세(OP)가 되고,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가이드 레버(22)가 무단 회전 체인(21)에 대해 접근하도록 이동하고, 반송 가이드 레버(22)와 무단 회전 체인(21)과의 간격이 설정 간격(D)보다 작은 간격(설정 간격 미만)이 되면, 배진 제어체(60)가 상기 폐쇄 자세(CL)가 되도록 하여 연동시키고 있다.
또한, 반송 가이드 레버(22)와 무단 회전 체인(21)과의 간격이 상기 설정 간격(D)을 초과한 간격(설정 간격 이상)이 된 경우, 이 경우의 반송 가이드 레버(22)의 무단 회전 체인(21)에 대한 이동을 전동 부재(82)의 연장 단부의 캠면(83)에 대한 미끄럼 접촉에 의해 흡수하고, 반송 가이드 레버(22)로부터 배진 제어체(60)로의 전동을 차단하여 배진 제어체(60)를 상기 개방 자세(OP)로 유지하도록 하여 연동시키고 있다.
즉, 기계적 연동 기구(70)는, 반송 가이드 레버(22)의 상기 반송 종단측의 연결 레버(23)가 연결되어 있는 부위로부터 팬 부착 배진 경로(A)의 상방에서의 외측, 및 팬 부착 배진 경로(A)의 탈곡 피드 체인측에서의 외측을 통과하고, 배진 제어체(60)의 탈곡 피드 체인측에 도달하여 배진 제어체(60)에 연결한 상태에서 반송 가이드 레버(22)와 배진 제어체(60)를 연동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반송 가이드 레버(22)가 무단 회전 체인(21)에 대해 상기 설정 간격(D) 이상 이격되도록 이동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배진 제어체(60)가 상기 개방 자세(OP)가 되고, 반송 가이드 레버(22)가 무단 회전 체인(21)에 대해 상기 설정 간격(D) 미만에 위치하도록 이동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배진 제어체(60)가 상기 폐쇄 자세(CL)가 된다.
급실(12)에 공급되는 곡물대량이 많아지면, 급실(12)로부터 선별부(30)에 공급되는 처리물량이 많아져 선별부(30)에 발생하는 볏짚 부스러기 등 배출용의 처리물의 양이 많아진다. 그러면, 1번 처리물이나 2번 처리물의 진애 혼입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급실(12)에 공급되는 곡물대량이 적어지면, 급실(12)로부터 선별부(30)에 공급되는 처리물량이 적어진다. 그러면, 선별풍에 의한 곡립의 비산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급실(12)에 공급되는 곡물대량이 많아지면, 볏짚 배출 반송 장치(20)에 공급되는 탈곡 볏짚 배출량이 많아지고, 반송 가이드 레버(22)와 무단 회전 체인(21)과의 간격이 커지기 때문에, 상기 설정 간격(D)으로서, 선별부(30)에 발생하는 배출용의 처리물량이 많아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간격을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급실(12)에 공급된 곡물대량이 많아지면, 배진부(40)는, 반송 가이드 레버(22)의 무단 회전 체인(21)에 대한 상기 설정 간격(D) 이상의 이격 이동과, 기계적 연동 기구(70)에 의해 배진 제어체(60)를 개방 자세(OP)로 자동적으로 절환 조작하고, 선별부(30)로부터의 배출용의 처리물을 팬 부착 배진 경로(A)와 풍력 배진 경로(B)에 의해 기체 외부로 배출한다.
급실(12)에 공급된 곡물대량이 적어지면, 배진부(40)는, 반송 가이드 레버(22)의 무단 회전 체인(21)에 대한 상기 설정 간격(D) 미만에 위치하는 이동과, 기계적 연동 기구(70)에 의해 배진 제어체(60)를 폐쇄 자세(CL)로 자동적으로 절환 조작하고, 선별부(30)로부터의 배출용의 처리물을 주로 팬 부착 배진 경로(A)에 의해 기체 외부로 배출한다.
다음에, 배진 제어체(60)를 개방 자세(OP)로 유지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의 (a) 및 (b)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가이드 레버(22)에 연계된 요동 아암(73)을 제1 연계 부재로 한다. 한편, 배진 제어체(60)에 연계된 연동 링크(74)를 제2 연계 부재로 한다. 요동 아암(73)과 연동 링크(74)는 이들을 연결하는 핀(77)을 뺌으로써 연계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요동 아암(73)과 연동 링크(74)와의 연계를 해제한 후, 종동 아암(71)과 연동 링크(74)가. 회전 지지축(61) 둘레에서 볏짚 배출 반송 시단측으로 요동되고, 도5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자세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자세로 각각 절환된다. 그리고, 연동 링크(74)의 선단부가 기체(1)의 횡측벽(1a)(도2 참조)에 장착ㆍ고정된다. 상기 제2 연계 부재로서의 연동 링크(74)를 변위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기구로서, 횡측벽(1a)에는, 연동 링크(74)의 선단부를 장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착용 볼트 구멍(1b)(고정 기구의 일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기구로서의 볼트 구멍(1b)은 나사 구멍이라도 좋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 도시한 캠식 연동부(80) 대신에, 연동 부재(82)의 연장 단부와 요동식의 피동 아암(81)을 직접 연결핀 등을 통해 연계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 도시한 배진 제어체(60) 대신에, 레이크형으로 구성된 배진 제어체를 채용하여 실시해도 좋다.
반송 가이드(22)의 종단 위치에 기계적 연동 기구(70)의 연결 부위를 설치하고 있으나, 상기 연결 부위는, 반송 가이드 레버(22)의 볏짚 배출 반송 방향에서의 후방 절반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압박 수단으로서는 코일 스프링 이외에 토션 스프링 등을 사용 가능하다. 단, 배진 제어체(60)를 폐쇄 자세(CL)로 설정하는데 배진 제어체(60)의 자중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압박 스프링(75)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6 내지 도16을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급동(101)이, 급동 드럼(130)의 둘레벽(131)에 서로 근접한 상태에서 형성한 복수의 점검 개구(142)와, 이들 복수의 점검 개구(142)에 각별하게 폐쇄 작용하는 복수의 덮개부(151)를 가진 1매의 덮개판(150)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탈곡 급동에서는 급동 드럼의 둘레벽에 점검 개구를 형성하고, 급동 제작시에 있어서 급동 드럼에 급치(扱齒, threshing teeth)를 심어 설치하는 작업이나, 급동의 사용에 수반하여 마멸한 급치를 교환하는 작업에 점검 개구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JP 제2005-253388 A호에 기재된 급동에서는, 급동 드럼에 있어서의 외주면의 전후 중간 부위에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서는 급동 드럼의 강도에 관한 문제, 혹은 점검 개구를 통한 작업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기 쉽게 되어 있었다. 즉, 급치의 조립 부착이나 교환 등의 작업을 위한 개구를 1개의 점검 개구에 의해 형성하면, 작업이 용이해지는 면적을 구비시키기 위해서는, 그 면적을 구비한 1개의 절결부를 급동 드럼에 구비시킬 필요가 있고, 급동 드럼의 점검 개구의 형성에 기인하는 강도 저하가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반해,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한 작업이 용이해지는 면적을 가진 작업 개구를, 복수의 점검 개구(142)의 합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1개의 점검 개구(142)로서 형성하는 절결부를 더 소형으로 하여, 급동 드럼(130)의 개구 형성에 의한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1매의 덮개판(150)이 복수의 점검 개구(142)에 걸쳐 폐쇄 작용하고, 덮개판(150)이 급동 드럼(130)에 대해, 점검 개구(142) 사이에서의 굴곡을 발생하기 어렵도록 보강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덮개판(150)에 의한 급동 드럼(130)의 보강이 효과적으로 가능하다. 그만큼 점검 개구(142) 전체적으로의 크기[복수의 점검 개구(142)의 개구 면적의 합계]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급동 드럼(130)에 우수한 강도를 구비시킬 수 있으면서, 점검 개구(142) 전체로서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하여 급치 교환 등의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상기 덮개판(150)은, 점검 개구(142)보다도 급동 드럼 회전 방향(R)에 있어서의 하류측에서 급동 드럼(130)의 둘레벽(131)의 외면에 중첩하는 하류측 단부(153)와, 점검 개구(142)보다도 급동 드럼 회전 방향(R)에 있어서의 상류측에서 급동 드럼(130)의 둘레벽(131)의 외면에 중첩하는 상류측 단부(152)를 구비하고, 하류측 단부(153)의 급동 드럼 회전 방향(R)에서의 길이(L1)를, 상류측 단부(152)의 급동 드럼 회전 방향(R)에서의 길이(L2)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다.
덮개판(150)의 하류측 단부(153)는, 급동 드럼(130)의 둘레벽(131)의 외면에 위치하고, 또한 점검 개구(142)보다도 급동 드럼 회전 방향(R)에서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이것으로부터, 하류측 단부(153)에는 탈곡 곡물대의 볏대나 곡립과의 접촉에 의한 마멸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본 구성에서는, 하류측 단부(153)의 급동 드럼 회전 방향(R)에서의 길이(L1)를 상류측 단부(152)의 그 길이(L2)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류측 단부(153)의 마멸이 진행되어도, 덮개판(150)이 사용 불가능하게 될 때까지는 더 긴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덮개판(150)을 보다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급동(101)이 구비된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는 기체(102)의 전방측 내부에 위치하는 급실(110)을 갖는 탈곡부(103)와, 상기 급실(110)의 후방으로 구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무단 회전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볏짚 배출 반송 장치(104)와, 상기 급실(110)의 하방에 전단측이 위치하는 요동 선별 장치(120)를 구비한 선별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탈곡부(103)는, 상기 급실(110)을 구비하는 것 외에, 이 급실(110)에 탈곡 기체 전후 방향의 회전 축심 둘레로 구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급동(101)과, 상기 급실(110)에 급동(101)의 외측 주위에 위치시켜 설치한 수망(111)과, 기체(102)의 외부에 구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탈곡 피드 체인(112)을 구비하고 있다.
탈곡부(103)는 탈곡 피드 체인(112)에 의해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하여 탈곡 기체 후방 방향으로 반송하고, 이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급실(110)의 급동(101)과 수망(111) 사이에 공급하여 탈곡 처리하고, 탈곡 볏짚 배출을 탈곡 피드 체인(112)에 의해 급실(110)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송진구(113)로부터 반출한다.
도7,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부(103)는, 탈곡구(114)에 이것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한 비산 방지편(115)을 구비하고 있다. 이 비산 방지편(115)은, 급동(101) 회전에 의해 비산한 곡립을 탈곡 곡물대의 밑동측을 향해 날리지 않도록 받아내어 급실 내로 복귀시킨다. 즉, 곡립이 탈곡 피드 체인(112)에 의해 반송되는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비산하여 박히는 것을 방지한다. 비산 방지편(115)은 상부 립 플레이트(upper lip plate)(116)에 지지된 범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비산 방지편(115)은 마멸했을 때의 교환이 용이해지도록, 탈곡구(114)의 탈곡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분할선에 의해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분할편과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분할편으로 분할된 2매의 분할 범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볏짚 배출 반송 장치(104)는, 급실(110)로부터 반출된 탈곡 볏짚 배출을 탈곡 피드 체인(112)으로부터 이어받아 탈곡 기체 후방 방향으로 반송하고, 기체(102)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배출구로부터 탈곡 기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선별부(105)는, 상기 요동 선별 장치(120)를 구비하는 것 외에, 이 요동 선별 장치(120)의 전단부의 하방에 설치한 풍구(121)와, 급실(110)의 후방에 설치한 배진 팬(122)을 구비하고, 선별실의 저부에 요동 선별 장치(120)의 전후 방향으로 나열하여 설치한 1번 나사 컨베이어(123)와 2번 나사 컨베이어(124)를 구비하고 있다.
선별부(105)는 급실(110)로부터 수망(111)을 통해 낙하한 탈곡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120)에 의한 요동 선별과, 풍구(121)가 공급하는 선별풍에 의해 1번 처리물과 2번 처리물과 진애로 선별하고, 1번 처리물을 1번 나사 컨베이어(123)에 낙하시키고, 2번 처리물을 2번 나사 컨베이어(124)에 낙하시키고, 진애를 선별풍과 함께 배진 팬(122)의 배출구로부터, 혹은 기체(102)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배진구로부터 기체 외부로 배출한다.
1번 나사 컨베이어(123)는, 요동 선별 장치(120)로부터 낙하한 1번 처리물을 기체(102)의 횡외측으로 반출한다.
2번 나사 컨베이어(124)는, 요동 선별 장치(120)로부터 낙하한 2번 처리물을 기체(102)의 횡외측으로 반출한다. 2번 나사 컨베이어(124)로부터의 2번 처리물은, 기체(102)의 횡외측에 설치한 반송 장치(106)에 의해 기체(102)의 횡벽측부에 형성한 환원구로 리프팅(lifting)되고, 이 환원구로부터 기체(102)의 내부에 투입되어 요동 선별 장치(120)의 전단측으로 환원된다.
다음에, 상기 급동(101)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9는 상기 급동(101)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10은 상기 급동(101)의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동(101)은 급동 드럼(130)과, 이 급동 드럼(130)의 둘레벽(131)의 외면측에 급동 드럼(130)의 둘레 방향과 회전 축심 방향으로 나열하여 심어 설치된 복수의 급치(132, 13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급치(132, 133) 중 급동 드럼(130)의 급실 전단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심어 설치된 급치(132)는, 정소치(guiding teeth)[탈곡구(114)로부터 공급되는 곡물대의 얽힘이나 이삭 끝측의 지연을 가지런히 하는 치]이며, 그 밖의 부위에 심어 설치된 급치(133)는 병치(竝齒)이다.
급동(101)은 상기 급동 드럼(130)에 관통 설치된 지지축(134)을 구비하고 있고, 이 지지축(134)에 의해 급실(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급동 드럼(130)은, 상기 둘레벽(131)을 구성하는 원통 형상의 드럼 본체(135)와, 이 드럼 본체(135)의 양단부에 연결된 측벽(136, 13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11은 상기 드럼 본체(135)의 전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과 도9,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 본체(135)는 1매의 판금을 원통 형상으로 굽힘 성형하고, 판금의 드럼 본체 둘레 방향에서의 양측의 단부(135a)를 드럼 본체(135)[급동 드럼(130)]의 반경 방향으로 중첩하여 연결함으로써 제작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급동 드럼(130)은 판금제가 되어 있다. 급동 드럼(130)은, 둘레벽(131)을 구성하는 판금이 급동 드럼(130)의 둘레 방향에서의 1군데에서 접합되어 있는 접합부(138)를 구비하고 있다. 접합부(138)는 드럼 본체(135)를 구성하는 판금의 상기 양측의 단부(135a)가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 드럼(130)은, 상기 둘레벽(131)의 급동 드럼 회전 축심 방향에서의 양단부의 1군데에 급동 드럼 둘레 방향으로 설치한 보강 리브(140)[이하, 단부 보강 리브(140)라 호칭함]와, 상기 둘레벽(131)의 급동 드럼 회전 축심 방향에서의 중간부의 급동 드럼 회전 축심 방향으로 나열하는 2군데에 급동 드럼 둘레 방향으로 설치한 보강 리브(141)[이하, 중 보강 리브(141)라 호칭함]를 구비하고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보강 리브(140, 141)는, 상기 둘레벽(131)을 구성하는 판금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둘레벽(131)에 형성한 돌조(突條)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보강 리브(140, 141)를 구성하는 돌조는 둘레벽(131)의 외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9,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101)은, 급동 드럼(130)의 상기 둘레벽(131)에 급동 드럼(130)의 회전 축심 방향으로 나열하여 설치한 한 쌍의 점검 개구(142, 142)를 구비하고 있다.
도12는 상기 한 쌍의 점검 개구(142, 142)의 폐쇄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13은 도12의 XⅢ-XⅢ 단면 화살표도이다. 도14는 도12의 XⅣ-XⅣ 단면 화살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점검 개구(142, 142)는, 상기 둘레벽(131)의 표면측에 1매의 덮개판(150)을 장착함으로써 폐쇄 상태가 된다. 덮개판(150)은, 이것의 표면측으로 돌출한 복수개의 급치(133)(병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15는 상기 덮개판(150)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과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판(150)은, 덮개판(150)의 이면측에 급동 드럼 회전 축심 방향으로 나열하여 돌출한 한 쌍의 덮개부(151, 151)와, 덮개판(150)의 급동 드럼 회전 방향(R)에서의 상류측의 단부에 위치한 상류측 단부(152)와, 덮개판(150)의 회전 드럼 회전 방향(R)에서의 하류측의 단부에 위치한 하류측 단부(153)와, 덮개판(150)의 급동 드럼 회전 축심 방향에서의 양단부에 위치한 횡측단부(15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류측 단부(153) 중, 이 하류측 단부(153)의 단부와 상기 덮개부(151)의 급동 드럼 회전 방향 하류측에서의 단부와의 간격이 가장 작아지는 부위에서의 급동 드럼 회전 방향에서의 길이(L1)를, 상기 상류측 단부(152)의 급동 드럼 회전 방향에서의 길이(L2)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판(150)을, 상기 상류측 단부(152)가 상기 점검 개구(142)보다도 급동 드럼 회전 방향(R)에서의 상류측에서 둘레벽(131)의 외면에 중첩하고, 상기 하류측 단부(153)가 상기 점검 개구(142)보다도 급동 드럼 회전 방향(R)에서의 하류측에서 둘레벽(131)의 외면에 중첩한 장착 자세로 하여 둘레벽(131)에 장착한다. 덮개판(150)의 둘레벽(131)으로의 장착은, 상기 상류측 단부(152)와 하류측 단부(153)와 상기 횡측단부(154)에 형성한 볼트 구멍(155)에 장착한 연결 볼트와, 한 쌍의 덮개부(151, 151) 사이에 형성한 볼트 구멍(155)에 장착한 연결 볼트에 의해 행한다. 그러면, 덮개판(150)은, 한 쌍의 덮개부(151, 151)를 한 쌍의 점검 개구(142, 142)에 각별하게 작용시켜 한 쌍의 점검 개구(142, 142)를 폐쇄한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류측 단부(153)를 둘레벽(131)에 연결하는 연결 볼트(156)는, 이 연결 볼트(156)의 축심과, 상기 하류측 단부(153)의 급동 드럼 회전 방향 하류측에서의 단부와의 간격이 D1로 된 배치가 되어 있다. 상기 상류측 단부(152)를 둘레벽(131)에 연결하는 연결 볼트(157)는, 이 연결 볼트(157)의 축심과, 상기 상류측 단부(152)의 급동 드럼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의 단부와의 간격이 D2로 된 배치가 되어 있다. 상기 하류측 단부(153)의 연결 볼트(156)의 상기 간격(D1)은, 상기 상류측 단부(152)의 연결 볼트(157)의 상기 간격(D2)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하류측 단부(153)가 둘레벽(131)의 외면에 위치하고, 하류측 단부(153)가 상류측 단부(152)보다도 급동 드럼 회전 방향(R)에서의 하류측에 위치함으로써, 하류측 단부(153)에 탈곡 곡물대의 볏대나 곡립과의 접촉에 의한 마멸이 발생하기 쉽다. 하류측 단부(153)의 연결 볼트(156)로부터 단부까지의 간격(D1)이 커져, 하류측 단부(153)에 마멸이 발생해도, 마멸이 연결 볼트(156)까지 도달하여 덮개판(150)의 장착 불량이 발생할 때까지 시간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도11은 상기 한 쌍의 점검 개구(142, 142)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인 점검 개구(142, 142)는, 상기 덮개판(150)을 떼어냄으로써 개방 상태로 되고, 급치(132, 133)를 심어 설치하거나 교환하는 등의 작업을 행할 때, 급동 내부에 손이나 공구를 삽입하는 개구를 급동 드럼(130)에 형성한다. 한 쌍의 점검 개구(142, 142)는, 양쪽의 점검 개구(142)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서로 근접한 배치가 되어 있다.
도12,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점검 개구(142, 142)는 상기 접합부(138)의 근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중 보강 리브(141)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또한 상기 2개의 중 보강 리브(141)를 사이에 끼워 급동 드럼(130)의 회전 축심 방향으로 나열하여 위치한 배치가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점검 개구(142, 142)는, 급동 드럼(130)의 개구 형성에 의한 강도 저하를 상기 접합부(138)가 발휘하는 보강 작용과, 상기 중 보강 리브(141)에 의한 보강 작용에 의해 억제시킨 상태에서 급동 드럼(130)의 작업용 개구를 형성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101)은, 급동 드럼(130)의 상기 둘레벽(131)의 내면측에 설치한 평형추(1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평형추(160)는, 급동(101)을 상기 덮개판(150)이나 상기 접합부(138)의 존재에 관계없이 회전 균형이 좋은 상태로 회전시키도록 급동(101)의 회전 균형을 도모한다.
도16은 상기 볏짚 배출 반송 장치(104)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볏짚 배출 반송 장치(104)는, 이 볏짚 배출 반송 장치(104)의 반송 종단측에 설치한 요동 지지점(104a)을 구비하고 있다.
도16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볏짚 배출 반송 장치(104)는 하강 반송 상태에서의 볏짚 배출 반송 장치이며, 도16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볏짚 배출 반송 장치(104)는 상승 요동 상태에서의 볏짚 배출 반송 장치이다.
즉, 볏짚 배출 막힘이 발생한 경우, 기체(102)의 상측 덮개(102a)를 상승 요동 개방한다. 그러면, 볏짚 배출 반송 장치(104)에 대한 스토퍼(140)가 상측 덮개(102a)의 상승 요동에 의해 상승하여, 볏짚 배출 반송 장치(104)를 반송 가이드 레버(141)에 접근한 하강 반송 상태로 유지하는 작용을 해제한다. 그러면, 볏짚 배출 반송 장치(104)에 막힌 볏짚 배출에 의한 상승 조작력이 작용하고 있음으로써, 볏짚 배출 반송 장치(104)의 반송 시단측이 요동 지지점(104a)의 둘레로, 고정 가이드(142)와 안내 레일(143)에 의해 안내되어 상승 요동한다. 이에 의해, 볏짚 배출 반송 장치(104)와 반송 가이드 레버(141)의 간격이 넓어지는 동시에 볏짚 배출 반송 장치(104)와 반송 가이드 레버(141)에 의한 막힌 볏짚 배출의 강한 끼움 지지가 해제되고, 막힌 볏짚의 제거가 행하기 쉬워진다.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한 쌍의 점검 개구에 의해 필요한 크기의 개구를 확보하는 대신에, 3개 이상의 점검 개구에 의해 필요한 크기의 개구를 확보하는 구성을 채용하여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17 내지 도34를 참조하면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탈곡 장치가,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하여 예취 곡물대를 반송하는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와,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급동(209)과, 급동(209)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흘러내리는 곡립을, 급동(209)을 향해 안내하는 가이드판(247)을 구비한다. 이 가이드판(247)은,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보다도 상방의 위치에, 예취 곡물대의 반송 방향을 따라 정렬ㆍ배치되는 복수의 판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판체는, 전후에 인접하는 전방측의 판체(248)의 후단 모서리(248A)와 후방측의 판체(249)의 전단 모서리(249A)가 접하도록 맞댐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판은, 급동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흘러내리는 곡립을 급동을 향해 안내함으로써, 그 곡립이 끼움 지지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인입되는 소위 박힌 곡립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이에 의해,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이, 박힌 곡립으로 되어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물대와 함께 기체 외부로 배출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고, 곡립 회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가이드판(박힌 곡립 방지체)으로서는, 끼움 지지 반송 기구(피드 체인 유닛)의 끼움 지지 레일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1매의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된 것이나, 끼움 지지 레일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된 것이 있고, 가이드판을 복수의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에는, 각 플레이트를 전후에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간극을 갖도록 배치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었다[예를 들어, JP 제2006-014604 A호(단락 번호 0023 내지 0032, 도3의 (a) 및 (b) 내지 도9) 참조].
가이드판을 1매의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하면, 가이드판에 변형이나 결손 혹은 장기간의 사용에 의한 마모가 발생한 경우에는 가이드판의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경제성의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가이드판을 복수의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하면, 가이드판에 변형이나 결손 혹은 장기간의 사용에 의한 마모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변형이나 결손 등이 발생한 플레이트만을 교환할 수 있고, 가이드판의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제성의 면에서 유리해진다.
그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전후의 플레이트 사이에 간극을 가짐으로써, 그 간극을 통해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새어 떨어지는 곡립이, 박힌 곡립으로 되어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물대와 함께 기체 외부로 배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만큼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끼움 지지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이 플레이트 사이에 간극으로 인입되는 것에 기인한 예취 곡물대의 반송 막힘이나 예취 곡물대의 반송 자세(탈곡 자세)의 흐트러짐에 의한 탈곡 성능의 저하 등을 초래하기 쉬워진다.
제3 실시 형태의 탈곡 장치의 특징 구성에 따르면, 급동(209)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흘러내리는 곡립을 가이드판(247)에 의해 급동(209)을 향해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247)을 구성하는 복수의 판체(248, 249)를 전후 방향으로 맞댐 배치함으로써, 전후에 인접하는 판체 사이로부터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향해 곡립이 새어 떨어질 우려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이, 전후에 인접하는 판체 사이로 인입될 우려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이,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인입되는 박힌 곡립으로 되어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물대와 함께 기체 외부로 배출될 우려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이 전후에 인접하는 판체(248, 249) 사이에 인입되는 것에 기인한 예취 곡물대의 반송 막힘이나 예취 곡물대의 반송 자세(탈곡 자세)의 흐트러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그 반송 막힘이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의한 탈곡 성능의 저하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247)에 변형이나 결손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가이드판(247)의 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그 변형이나 결손 등이 발생한 부위의 판체(248 또는 249)만을 교환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판(247)에 변형이나 결손 등이 발생한 경우의 대처를 경제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박힌 곡립에 의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데다가, 탈곡 성능의 저하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가이드판(247)은, 그 급동(209)측의 단부가, 급치(220)의 선단부가 그리는 회전 궤적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그 급동측 단부에, 급치(220)의 통과를 허용하는 오목부(248B, 249B)를 형성하고 있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판(247)과 급치(220)의 간섭에 의한 파손을 초래하지 않고, 급동(209)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흘러내리는 곡립을, 가이드판(247)에 의해 더 확실하게 급동(209)을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이 박힌 곡립으로 되어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물대와 함께 기체 외부로 배출될 우려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247)은, 그 전단부가, 급동(209)의 전단부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도 적절하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판의 전단부가 급동의 전단부와 동일한 전후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경우나, 가이드판의 전단부가 급동의 전단부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급동(209)의 탈곡 처리 영역 내에 공급되는 예취 곡물대가, 가이드판(247)과의 접촉에 의해, 급동(209)의 탈곡 처리 영역 내에 공급되기 어려워질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급동(209)의 전단측에서는,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곡립이 적고, 급동(209)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흘러내리는 곡립량도 적기 때문에, 가이드판(247)을, 그 전단부가 급동(209)의 전단부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해도,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이 박힌 곡립으로 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게다가, 그 전단측에 있어서 박힌 곡립이 발생해도, 급동(209)의 전단측 이외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급동 부분의 탈곡 처리에 의해, 박힌 곡립을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에서 풀어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판(247)을 합리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박힌 곡립에 의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탈곡 처리 시단부에서의 가이드판(247)과의 접촉에 기인한 예취 곡물대의 반송 막힘이나 예취 곡물대의 반송 자세(탈곡 자세)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고, 그 반송 막힘이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의한 탈곡 성능의 저하 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동(209)은, 적절하게는, 그 전방부측을 형성하는 제1 급동부(216)와 후방부측을 형성하는 제2 급동부(217)를 갖는 전후 2분할 구조이며, 또한 제1 급동부(216)의 회전 속도보다도 제2 급동부(217)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제1 급동부(216)가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제1 급동부(216)에서의 탈곡 처리에 의한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탈곡 처리 영역의 상류측에 있어서 발생하는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에 의해 탈곡 처리에 의한 곡립의 단립화(單粒化)가 저해되는 것이나, 탈곡 처리 후의 처리물에 포함되는 볏짚 부스러기 등이 많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급동부(217)가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가이드판(247)에서 안내됨으로써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으로 인입된 곡립을 효과적으로 풀어 떨어뜨릴 수 있다. 이에 의해,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이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물대와 함께 기체 외부로 배출될 우려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 처리에 의한 곡립의 단립화의 촉진이나, 탈곡 처리 후의 선별 처리에 있어서의 선별 효율이나 선별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는데다가, 박힌 곡립에 의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247)은, 그 후단부가 급동(209)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도 적절하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급동(209)의 후단측이나 급동(209)의 후방측에 있어서도, 급동(209)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흘러내리는 곡립을, 가이드판(247)에 의해 확실하게 급동을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이, 탈곡 처리 영역의 종단부에 있어서,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인입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 특징 구성을 전후 2분할 구조의 급동(209)에 적용하면, 제2 급동부(217)의 회전 속도가 빨라짐으로써 제2 급동부(217)와 함께 돌기 쉬워지는 곡립을, 가이드판(247)에 의해 확실하게 급동(209)을 향해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 처리 영역의 종단부에서의 박힌 곡립에 의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247)은, 급동(209)을 덮는 상부 케이스(202)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도 적절하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판(247)을 상부 케이스(202)의 내측면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과의 접촉에 의한 가이드판(247)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247)을 상부 케이스(202)의 내측면에 장착하는 경우에 초래할 우려가 있는, 가이드판(247)의 상부 모서리부에 곡립이 충돌함으로써 곡립의 손상이나, 가이드판(247)과 상부 케이스(202) 사이로의 잘린 볏짚의 부분적인 인입 등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판(247)의 내구성이나 곡립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가이드판(247)과 상부 케이스(202) 사이에 부분적으로 인입된 잘린 볏짚 등이 탈곡 처리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에 의한 처리 능력의 저하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이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7은 자탈형 콤바인(whole culm discharging type combine-harvester)에 탑재되는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는 차체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의 좌측 절반부에 탑재된 하부 케이스(201), 및 그 하부 케이스(201)에 개폐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케이스(202) 등에 의해 처리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 공간에는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부(203),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에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선별부(204), 및 선별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 등을 회수하는 회수부(205) 등이 구비되어 있다.
탈곡부(203)는, 그 좌측부에 배치한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 하부 케이스(201)의 상부측에 착탈 가능하게 부설한 수망(207) 및 전후 방향의 지지축(208)을 지지점으로 한 배면에서 볼 때 좌측 방향에서의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상부 케이스(202)에 구비한 급동(209)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는, 하부 케이스(201)에 구비한 돌기 부착한 무단 회전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피드 체인(210), 상부 케이스(202)에 장비한 레일대(211), 레일대(211)에 상하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끼움 지지 레일(212), 및 끼움 지지 레일(212)을 피드 체인(210)을 향해 하강 압박하는 복수의 압박 스프링(213)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는, 피드 체인(210)이 도시하지 않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예취 반송 장치에 의해 예취 반송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예취 반송 장치로부터 받아내는 동시에, 피드 체인(210)과 끼움 지지 레일(212) 사이에 끼움 지지하여 후방을 향해 반송한다. 이 끼움 지지 반송에 의해,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이, 하부 케이스(201)의 하부 립 플레이트(lower lip plate)(201A)와 상부 케이스(202)의 상부 립 플레이트(214) 사이에 형성된 탈곡구(215)로부터 수망(207)과 급동(209) 사이에 공급된다.
수망(207)은 급동(209)의 외주를 따라 만곡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급동(209)의 둘레 방향으로 2분할 가능하게 구성된 격자 형상의 오목 수망이며, 급동(209)의 하부측을 덮도록 배치 설정되어 있다.
급동(209)은 전후 방향의 지지축(208)에, 급동(209)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전방부측의 제1 급동부(216)와, 급동(209)의 후단부를 형성하는 후방부측의 제2 급동부(217)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비하여 구성된 전후 2분할 구조이다. 그리고, 급동(209)은 각 급동부(216, 217)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지지축(208)을 지지점으로 하여 배면에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의 끼움 지지 반송에 의해 수망(207)과 급동(209) 사이에 공급된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에 탈곡 처리를 실시한다.
제1 급동부(216)는 드럼 형상으로 형성한 급동 본체(218)나, 급동 본체(218)의 둘레벽에 돌출 설치한 복수의 급치(219, 220)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급동부(217)는 드럼 형상으로 형성한 급동 본체(221)나, 급동 본체(221)의 둘레벽에 돌출 설치한 복수의 급치(220)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급치(219, 220) 중 제1 급동부(216)의 전단부에 돌출 설치한 급치(19)는 병치이다. 제1 급동부(216)의 전단부 이외의 부분과 제2 급동부(217)로 돌출 설치한 급치(220)는 병치이다.
제1 급동부(216)는 벨트 텐션식의 제1 전동 기구(222) 등을 통해 전달되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지지축(208)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2 급동부(217)보다도 느린 회전 속도로 배면에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제2 급동부(217)는 벨트 텐션식의 제2 전동 기구(223) 등을 통해 전달되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지지축(208)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1 급동부(216)보다도 빠른 회전 속도로 배면에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와 같이, 제1 급동부(216)를 비교적으로 느린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제1 급동부(216)에서의 탈곡 처리에 의한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탈곡 처리 영역의 상류측에 있어서 발생하는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에 의해 탈곡 처리에 의한 곡립의 단립화가 저해되는 것이나, 탈곡 처리 후의 처리물에 포함되는 볏짚 부스러기 등이 많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탈곡 처리에 의한 곡립의 단립화의 촉진이나, 탈곡 처리 후의 선별 처리에 있어서의 선별 효율이나 선별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급동부(217)를 비교적 빠른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탈곡 처리 영역의 종단측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탈곡 처리를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에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더 효과적으로 풀 수 있다. 이에 의해, 탈곡 잔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이 예취 곡물대로 인입되는 박힌 곡립으로 되어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물대와 함께 기체 외부로 배출될 우려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박힌 곡립에 의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급동(209)의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은 수망(207)으로부터 선별부(204)를 향해 새어 떨어지고, 수망(207)으로부터 새어 떨어지지 않은 처리물은 수망(207)의 후방에 형성한 송진구(224)로부터 선별부(204)에 배출된다.
선별부(204)는 탈곡부(203)로부터의 처리물에 체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요동 선별 기구(225), 탈곡부(203)로부터의 처리물에 풍력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메인 풍구(226)와 제1 서브 풍구(227)와 제2 서브 풍구(228), 송진구(224)로부터의 처리물 등에 작용하는 확산동(229), 및 풍력 선별 처리에 의해 불어 올려진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를 흡인하여 차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230)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요동 선별 기구(225)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시브 케이스(231)를 구비하고, 그 시브 케이스(231)의 상부측에는 대략 선별용의 제1 그레인 팬(232), 대략 선별용의 제2 그레인 팬(233), 대략 선별용의 챠프 시브(234), 대략 선별용의 제1 스트로 래크(235) 및 대략 선별용의 제2 스트로 래크(236) 등이 배치되어 있다. 시브 케이스(231)의 저부에는 정밀 선별용의 그레인 시브(237)가 배치되어 있다. 시브 케이스(231)의 후방부에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시브 케이스(231)를 요동 구동하는 편심 캠식의 구동부(238)가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선별 기구(225)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요동 구동됨으로써, 탈곡부(203)로부터의 처리물에 체 선별 처리를 실시하고, 이 체 선별 처리에 의해, 단립화한 곡립 등을 새어 떨어뜨리는 한편, 새어 떨어지지 않은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을 탈곡 장치의 후단부에 형성한 배진구(239)를 향해 반송한다.
메인 풍구(226)는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에서의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하부 케이스(201)의 전방 하부에 장비되고, 선별 처리량에 따른 풍량 조절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풍구(226)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그레인 시브(237)의 전방 하방으로부터 배진 팬(230)이나 배진구(239)를 향해 유동하는 선별풍을 발생시키고, 이 선별풍에 의해, 그레인 시브(237)에 의해 정밀 선별되는 처리물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을 배진 팬(230)이나 배진구(239)를 향해 풍력 반송한다.
제1 서브 풍구(227)는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에서의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하부 케이스(201)의 전단부에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풍구(227)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제1 그레인 팬(232)과 챠프 시브(234) 사이로부터 배진 팬(230)이나 배진구(239)를 향해 유동하는 선별풍을 발생시키고, 이 선별풍에 의해, 챠프 시브(234)를 향해 흘러내리는 처리물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을 배진 팬(230)이나 배진구(239)를 향해 풍력 반송한다.
제2 서브 풍구(228)는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에서의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하부 케이스(201)의 후방 하부에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서브 풍구(228)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제1 스트로 래크(235)나 제2 스트로 래크(236)를 통해 배진 팬(230)이나 배진구(239)를 향해 유동하는 선별풍을 발생시키고, 이 선별풍에 의해, 제1 스트로 래크(235)나 제2 스트로 래크(236)에 의해 체 선별되는 처리물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을 배진 팬(230)이나 배진구(239)를 향해 풍력 반송한다.
확산동(229)은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에서의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상부 케이스(202)의 후방 상부에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확산동(229)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제2 그레인 팬(233)으로부터 제1 스트로 래크(235)를 향해 반송되는 처리물을 풀어, 그 처리물에 포함되는 단립화 곡립이나 미탈곡립 등의 제1 스트로 래크(235)나 제2 스트로 래크(236) 등으로부터의 새어 떨어짐을 촉진시킨다.
배진 팬(230)은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에서의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상부 케이스(202)의 후방 상부에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배진 팬(230)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선별풍에 의해 풍력 반송된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를 흡인하여 배진구(239)로부터 기체 외부로 배출한다.
이에 의해, 선별부(204)에 있어서는, 탈곡부(203)로부터의 처리물을, 그레인 시브(237)로부터 새어 떨어뜨리는 1번물로서의 단립화 곡립과, 그레인 시브(237)의 후방에 공급되는 2번물로서의 미탈곡립이나 잘린 볏짚 등이 혼재하는 혼재물과, 배진구(239)로부터 기체 외부로 배출되는 3번물로서의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으로 정밀도 좋게 선별할 수 있다.
회수부(205)는, 그레인 시브(237)로부터 새어 떨어진 단립화 곡립을 회수하도록 그레인 시브(237)의 하방에 형성한 1번 회수부(240), 및 그레인 시브(237)의 후방에 공급된 혼재물을 회수하도록 그레인 시브(237)의 후방에 형성한 2번 회수부(241)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번 회수부(240)의 저부에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1번 회수부(240)에 회수된 단립화 곡립을 우측 방향을 향해 반송하는 1번 나사(242)가 배치되어 있다. 2번 회수부(241)의 저부에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2번 회수부(241)에 회수된 혼재물을 우측 방향을 향해 반송하는 2번 나사(243)가 배치되어 있다.
1번 나사(242)의 우측 단부에는, 1번 나사(242)와의 연동에 의해, 1번 나사(242)에 의해 반송된 단립화 곡립을 리프팅하여 도시하지 않은 곡립 탱크에 공급하는 리프팅 컨베이어(244)가 연접되어 있다. 2번 나사(243)의 우측 단부에는, 2번 나사(243)와의 연동에 의해, 2번 나사(243)에 의해 반송된 혼재물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2번 처리동(處理銅)(245)과, 2번 처리동(245)에 의한 탈곡 처리 후의 혼재물을 선별부(204)로 환원하는 2번 환원 나사(246)가 연접되어 있다.
도17 내지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립 플레이트(214)에는, 급동(209)의 회전에 수반하여 급동(209)의 상부로부터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향해 흘러내리는 곡립 등을 급동(209)을 향해 안내하는 가이드판(247)이 장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이,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인입되는 박힌 곡립으로 되어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물대와 함께 기체 외부로 배출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판(247)은,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에 대한 상방의 위치에, 예취 곡물대의 반송 방향을 따라 전후에 정렬 배치한 2매의 판체(248, 24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매의 판체(248, 249)는 수지제이며, 전방측의 판체(248)의 후단 모서리(248A)와 후방측의 판체(249)의 전단 모서리(249A)가 접하도록 맞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급동(209)의 회전에 수반하여 급동(209)의 상부로부터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향해 흘러내리는 곡립이, 2매의 판체(248, 249) 사이로부터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향해 새어 떨어질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새어 떨어짐에 기인한 박힌 곡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 박힌 곡립에 의해, 곡립이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물대와 함께 기체 외부로 배출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이, 2매의 판체(248, 249) 사이로 인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인입에 기인한 예취 곡물대의 반송 막힘이나 예취 곡물대의 반송 자세(탈곡 자세)의 흐트러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그 반송 막힘이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의한 탈곡 성능의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가이드판(247)에 변형이나 결손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가이드판(247)의 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그 변형이나 결손 등이 발생한 부위의 판체(248, 249)만을 교환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다.
각 판체(248, 249)는, 그들의 상단부가 상부 립 플레이트(214)와 압박판(250)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상부 립 플레이트(214)의 외측면에 압박판(250)과 함께 볼트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판체(248, 249)를 상부 립 플레이트(214)의 내측면에 장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과의 접촉에 의한 각 판체(248, 249)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판체(248, 249)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판체(248, 249)를 상부 립 플레이트(214)의 내측면에 장착하는 경우에 초래할 우려가 있는, 각 판체(248, 249)나 압박판(250)의 상부 모서리부에 곡립이 충돌함으로써 곡립의 손상이나, 각 판체(248, 249)와 상부 립 플레이트(214) 사이 등으로의 잘린 볏짚의 부분적인 인입 등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곡립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데다가, 각 판체(248, 249)와 상부 립 플레이트(214) 사이 등에 부분적으로 인입된 잘린 볏짚 등이 탈곡 처리에 악영향을 미침으로써 처리 능력의 저하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각 판체(248, 249)는, 상부 립 플레이트(214)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그들의 하단부가, 상부 립 플레이트(214)의 하부 모서리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급동(209)의 회전에 수반하여 소정의 각 급치(병치)(220)의 선단부가 그리는 회전 궤적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판체(248, 249)의 하단부에는 소정의 급치(220)의 통과를 허용하는 복수의 오목부(248B, 249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판체(248, 249)와 소정의 각 급치(220)가 간섭함으로써 파손을 초래하지 않고, 급동(209)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흘러내리는 곡립을, 가이드판(247)에 의해 더 확실하게 급동(209)을 향해 안내할 수 있다. 그 결과,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이 박힌 곡립으로 되어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물대와 함께 기체 외부로 배출될 우려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전방측의 판체(248)의 전단부에는, 그 전방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고,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서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를 하방을 향해 안내하는 곡물대 가이드부(248C)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가 전방측의 판체(248)까지 반송되면, 곡물대 가이드부(248C)의 작용에 의해, 그 예취 곡물대가, 전방측의 판체(248)에 걸리지 않고, 전방측의 판체(248)의 하방으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그 결과, 그 걸림에 기인한 예취 곡물대의 반송 막힘이나, 예취 곡물대의 반송 자세(탈곡 자세)의 흐트러짐에 의한 탈곡 성능의 저하 등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전방측의 판체(248)는, 그 전단부가 급동(209)의 전단부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의 판체(249)는, 그 후단부가 급동(209)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방측의 판체(248)를, 그 전단부가 급동(209)의 전단부와 동일한 전후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경우나, 그 전단부가 급동(209)의 전단부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급동(209)의 탈곡 처리 영역 내에 공급되는 예취 곡물대가, 전방측의 판체(248)와의 접촉에 의해, 급동(209)의 탈곡 처리 영역 내에 공급되기 어려워질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급동(209)의 전단측에서는,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곡립이 적고, 급동(209)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흘러내리는 곡립량도 적기 때문에, 전방측의 판체(248)를, 그 전단부가 급동(209)의 전단부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해도,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이 박힌 곡립으로 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가령, 그 전단측에 있어서 박힌 곡립이 발생해도, 급동(209)의 전단측 이외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급동 부분의 탈곡 처리에 의해, 박힌 곡립을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부터 풀어 떨어뜨릴 수 있다.
게다가, 제2 급동부(217)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제2 급동부(217)와 함께 돌기 쉬워지는 곡립을, 후방측의 판체(249)에 의해 확실하게 급동(209)을 향해 안내할 수 있다. 그 결과, 탈곡 처리 영역의 종단부에서 얻어진 곡립이 박힌 곡립으로 되어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물대와 함께 기체 외부로 배출될 우려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부(281) 중 제2 경사부(283)에 지지되는 부분의 경사 방향의 길이는, 제1 경사부(281) 중 제2 경사부(283)에 지지되지 않은 유단측(遊端側) 부분의 경사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도17 및 도21 내지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급동부(216)의 급동 본체(218)는 원추대 형상의 제1 통 형상부(251), 제1 통 형상부(251)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제2 통 형상부(252), 제1 통 형상부(251)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원 형상 전방벽(253) 및 제2 통 형상부(252)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원 형상의 후방벽(25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통 형상부(252)는 1매의 판금재를 원통 형상으로 굽힘 형성하고, 그 둘레 방향의 양단부(252A, 252B)를, 그 직경 방향에서 중첩하여 접합함으로써 얻어진 판금제이다.
제2 통 형상부(252)의 전단부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링 형상의 제1 보강 리브(255)가 구비되어 있다. 제2 통 형상부(252)의 전후 중간부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링 형상의 제2 보강 리브(256)와 제3 보강 리브(257)가 구비되어 있다. 제2 통 형상부(252)의 후단부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링 형상의 제4 보강 리브(258)가 구비되어 있다. 각 보강 리브(255 내지 258)는 제2 통 형상부(252)에 사용되는 판금재에 프레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얻어진 4개의 돌조(252C 내지 252F)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급동부(216)에는 전후 한 쌍의 점검구(259, 260)와, 그들 점검구(259, 260)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단일의 덮개체(261)가 구비되어 있다. 각 점검구(259, 260)는 제2 통 형상부(252)의 제1 보강 리브(255)와 제4 보강 리브(258) 사이에 제2 보강 리브(256)와 제3 보강 리브(257)를 끼우도록, 또한 지지축(208)을 따라 전후에 접근하여 나열하도록 형성한 개구 면적이 큰 전후의 개구(252G, 252H)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통 형상부(252)에 있어서의 각 개구(252G, 252H)의 주위[각 개구(252G, 252H) 사이를 포함함]에는 볼트 연결용의 복수의 관통 구멍(252K)이 형성되고, 복수의 후방 너트(262)가 용접되어 있다.
덮개체(261)는 전후의 점검구(259, 260)를 폐색하는 전후 한 쌍의 덮개부(261A, 261B)가, 전후의 점검구(259, 260)에 내측 삽입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또한 제1 급동부(216)의 둘레벽의 일부로 되도록, 제2 통 형상부(252)와 동일한 곡률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의 덮개부(261A, 261B)에는 복수의 급치(병치)(220)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덮개체(261)에 있어서의 각 덮개부(261A, 261B)의 주위[각 덮개부(261A, 261B) 사이를 포함함]에는 제2 통 형상부(252)에 볼트 연결되는 프레임 형상의 연결부(261C)가 구비되어 있다. 연결부(261C)는, 그 내면이 제2 통 형상부(252)의 외주면에 접합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61C)에는 볼트 연결용의 복수의 관통 구멍(261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통 형상부(252)의 각 관통 구멍(252K)과 각 후방 너트(262) 및 덮개체(261)의 각 관통 구멍(261D)을 이용하여, 덮개체(261)를 제2 통 형상부(252)에 볼트 연결함으로써, 덮개체(261)의 각 덮개부(261A, 261B)를 제1 급동부(216)의 각 점검구(259, 260)에 적절하게 내측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1 급동부(216)의 각 점검구(259, 260)를 덮개체(261)에 의해 폐색할 수 있다. 또한, 그 볼트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덮개체(261)를 제2 통 형상부(252)로부터 떼어내어 제1 급동부(216)의 각 점검구(259, 260)를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통 형상부(252)로부터 덮개체(261)를 떼어내고, 각 점검구(259, 260)를 개방함으로써, 덮개체(261)의 이면측으로부터 행할 필요가 있는 덮개체(261)에 구비한 각 급치(220)의 교환을, 그 배면측으로부터의 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제1 급동부(216)의 내부로부터 행할 필요가 있는 제1 급동부(216)에 구비한 각 급치(219, 220)의 교환을, 그 내부를 향해 전후의 점검구(259, 260)로부터 손을 삽입한 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덮개체(261)의 연결부(261C)는, 그 급동 회전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연결 부분(261Ca)의 급동 회전 방향에서의 최소 길이(L1)가, 그 급동 회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연결 부분(261Cb)의 급동 회전 방향에서의 길이(L2)보다도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하류측 연결 부분(261Ca)에 있어서의 급동 회전 방향 하류측의 단부 모서리로부터, 그 하류측 연결 부분(261Ca)의 각 관통 구멍(261D)까지의 길이(D1)가, 그 상류측 연결 부분(261Cb)에 있어서의 급동 회전 방향 상류측의 단부 모서리로부터, 그 상류측 연결 부분(261Cb)의 각 관통 구멍(261D)까지의 길이(D2)보다도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통 형상부(252)의 외주면에 접합되고, 또한 급동 회전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함으로써, 탈곡 처리시에 있어서의 예취 곡물대의 볏대나 곡립 등의 처리물과의 접촉 저항이 커지는 덮개체(261)의 하류측 연결 부분(261Ca)을, 그 급동 회전 방향 하류측의 단부 모서리로부터 각 관통 구멍(261D)까지의 길이(D1)가 최대한 길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예취 곡물대의 볏대나 곡립 등의 처리물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가 하류측 연결 부분(261Ca)의 각 관통 구멍(261D)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이 최대한 길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하류측 연결 부분(261Ca)의 마모에 의한 덮개체(261)의 교환 빈도를 낮게 할 수 있다.
제2 통 형상부(252)에 있어서, 전후의 개구(252G, 252H)는, 제2 통 형상부(252)에 있어서의 양단부(252A, 252B)의 중첩 부위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통 형상부(252)의 제1 보강 리브(255)와 제4 보강 리브(258) 사이에 제2 보강 리브(256)와 제3 보강 리브(257)를 끼우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급동부(216)의 점검구(259, 260)로 되는 전후의 개구(252G, 252H)를 손이나 공구 등을 삽입하기 쉬운 큰 개구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면서도, 제2 통 형상부(252)에 있어서의 양단부(252A, 252B)의 중첩에 의해 얻어지는 보강 효과나, 각 보강 리브(255 내지 258)에 의한 보강 효과 등에 의해 제2 통 형상부(252)에 있어서의 강도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덮개체(261)에는, 제1 급동부(216)의 각 점검구(259, 260)를 폐색할 때에, 제2 통 형상부(252)의 제2 보강 리브(256)와 제3 보강 리브(257)에 각각 외측 삽입하는 4개의 돌조(261E 내지 261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체(261)에 있어서는 전후의 덮개부(261A, 261B)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덮개체(261)는 전후의 덮개부(261A, 261B)를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보강 효과나, 4개의 돌조(261E 내지 261H)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보강 효과 등에 의해 효과적으로 보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급동부(216)의 각 점검구(259, 260)를 덮개체(261)에 의해 폐색하는 상태에서는, 전술한 제2 통 형상부(252)에 있어서의 보강 효과와, 덮개체(261)에 있어서의 보강 효과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제1 급동부(216)로서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급동부(216)에 있어서의 제2 통 형상부(252)의 내면에는, 제1 급동부(216)의 회전 균형을 안정시키기 위한 평형추(63)가 장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통 형상부(252)에 있어서의 양단부(252A, 252B)의 중첩 부위나, 전후의 덮개체(261)의 존재에 관계없이, 제1 급동부(216)를 회전 균형이 안정된 양호한 상태에서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급동부(216)에, 개구 면적이 큰 단일의 점검구, 또는 3개 이상의 점검구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각 점검구를 개별적으로 폐색하는 복수의 덮개체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선별 기구(225)에 있어서, 챠프 시브(234)는 개방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챠프 시브(234)의 상방에는, 챠프 시브(234)에 퇴적되는 처리물의 층 두께를 선별 처리량으로서 검출하는 처리량 센서(264)가 배치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나, 챠프 시브(234)는 처리량 센서(264)의 검출을 기초로 하는 제어 장치의 제어 작동에 의해, 챠프 시브(234)의 개방도 조절용으로서 구비한 전동 모터의 작동이 제어됨으로써, 그 개방도가, 선별 처리량이 많은 경우에 커지고, 선별 처리량이 적은 경우에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7, 도28 및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선별 기구(225)에 있어서, 제1 스트로 래크(235) 및 제2 스트로 래크(236)는 시브 케이스(231)에 좌우 방향으로 가설한 지지 부재(235A, 236A)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도록 지지 부재(235A, 236A)에 외팔보 지지된 복수의 톱니 형상의 래크판(235b, 23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스트로 래크(235) 및 제2 스트로 래크(236)는, 그 처리물 반송 방향의 하류측으로 되는 후방부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는 후방 상승의 경사 자세로 장비되어 있다. 제1 스트로 래크(235)와 제2 스트로 래크(236)는 제1 스트로 래크(235)의 후단부의 하방에 제2 스트로 래크(236)의 전단부가 위치하도록, 또한 제1 스트로 래크(235)의 후단부와 제2 스트로 래크(236)의 전단부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는 간극을 갖도록 배치 설정되어 있다. 이 간극에는 메인 풍구(226) 및 제2 서브 풍구(228)로부터의 선별풍이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처리물이 제1 스트로 래크(235)의 후단부로부터 제2 스트로 래크(236)의 전단부를 향해 흘러내릴 때에, 메인 풍구(226) 및 제2 서브 풍구(228)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그 처리물에 포함되는 비중이 가벼운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을 배진구(239)를 향해 풍력 반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스트로 래크(236)에서 체 선별되는 처리물에 있어서의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의 함유량이 저하되고, 곡립이 제2 스트로 래크(236)로부터 새어 떨어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제2 스트로 래크(236)에서의 처리물로부터의 곡립의 체 선별을 더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17 및 도28 내지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진 팬(230)의 하방에는 배진구(239)의 개방도를 변경하는 개폐판(265)이 구비되어 있다. 시브 케이스(231)의 후단부에는, 제2 스트로 래크(236) 등에서 반송되는 처리물의 배진구(239)로의 유동을 제한하는 규제판(266)이 장비되어 있다.
도28 및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265)은, 하부 케이스(20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방향의 회전축(267)에, 이 회전축(267)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개폐판(265)의 헐거운 단부에는, 역ㄷ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복수의 피아노선(268)이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정렬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267)은, 그 좌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굴곡 형성되고, 그 좌측 단부에 웨이트(269)가 위치 조절 가능하게 나사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판(265)은, 웨이트(269)가 수직 하강하는 상태에서는, 개폐판(265)의 수직 자세에 대해 소정 각도의 개방각(예를 들어 25도)을 갖고 후방측으로 요동 변위된 기준자세로 되도록 자세 설정되어 있다.
개폐판(265)은 수지제이며, 그 중량이 180 g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폐판(265)을 경량으로 구성함으로써, 메인 풍구(226)나 제2 서브 풍구(228)로부터의 선별풍의 풍량에 따라서, 개폐판(265)이 회전축(267)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하고, 배진구(239)의 개방도가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폐판(265)은, 메인 풍구(226)의 풍량이 최대가 되는 상태에는, 배진 팬(230)의 근방까지 요동 변위되고, 배진구(239)를 크게 개방한다. 이 상태로부터 메인 풍구(226)의 풍량이 서서히 저하되면, 그것에 수반하여, 개폐판(265)이 서서히 하강 요동하고, 배진구(239)의 개방도가 서서히 작아진다. 그리고, 풍구 풍량이 제로가 되면, 개폐판(265)이 전술한 기준 자세로 되고, 배진구(239)의 개방도가 최소가 된다.
그리고, 메인 풍구(226)나 제2 서브 풍구(228)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배진구(239)를 향해 반송된 처리물이 개폐판(265)에 닿으면 분산되고, 그 처리물에 포함된 비중이 큰 곡립이 요동 선별 기구(225)를 향해 흘러내리고, 비중이 작은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이 선별풍을 타고, 요동 선별 기구(225)와 개폐판(265) 사이를 통해 배진구(239)로부터 기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곡립이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과 함께 배진구(239)로부터 기체 외부로 배출되는 3번 로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선별 처리량이 많고, 선별 영역 내에 있어서 대량의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이 산란하는 경우에는, 선별 처리량의 증대에 수반하여 많아지는 풍구 풍량에 의해, 개폐판(265)의 개방각이 커지고, 배진구(239)가 크게 개방되기 때문에,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을 배진구(239)로부터 신속하게 기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대량의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이 요동 선별 기구(225)를 향해 흩날려 떨어짐으로써 선별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판(266)은 시브 케이스(231)의 후단부에 볼트 연결되는 연결부(266A)와, 연결부(266A)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경사 전도하는 경사부(266b)를 갖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규제판(266)은, 그 상하 양단부를 후방을 향해 절곡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되는 좌우 방향의 강도가 확보되고 있다. 연결부(266A)에는, 규제판(266)의 시브 케이스(231)로부터 상방으로의 연장 길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연결 구멍(266C)이 상하 3단계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판(266)을, 경사부(266b)를 갖도록 형성한 것에 의해, 규제판(266)을, 그 시브 케이스(231)로부터 상방으로의 연장 길이가 길어지도록 시브 케이스(231)에 장착해도, 이 규제판(266)이, 선별풍에 의해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을 배진구(239)로부터 배출할 때에 저항이 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규제판(266)을, 그 시브 케이스(231)로부터 상방으로의 연장 길이가 길어지도록 시브 케이스(231)에 장착할 수 있고, 규제판(266)에 있어서, 처리물 중에 포함되는 비중이 큰 곡립을 받아내는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곡립이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과 함께 배진구(239)로부터 기체 외부로 배출되는 3번 로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규제판(266)의 경사부(266b)에는 곡립의 통과를 억제하고, 볏짚 부스러기 등의 통과를 허용하는 다수의 슬릿(266D)이 좌우 방향 소정 간격을 두고 정렬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볏짚 부스러기 등의 배진구(239)로부터의 배출을 촉진시키도록 하면서, 곡립이 배진구(239)로부터 기체 외부로 배출되는 3번 로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시브 케이스(231)의 후단부에는 규제판 장착용의 3개의 볼트(270)가 후방을 향해 연장하도록 용접되고, 이들 볼트(270)에는 규제판 장착용의 나비 너트(271)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즉, 규제판(266)은 나비 너트(271)에 의한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그 시브 케이스(231)로부터 상방으로의 연장 길이를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곡립량이나 곡립의 종류 등에 따른 규제판(266)의 시브 케이스(231)로부터 상방으로의 연장 길이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곡립의 종류 등에 따른 규제판(266)의 교환 등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연결 구멍(266C)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 형성하여, 규제판(266)의 시브 케이스(231)로부터 상방으로의 연장 길이의 조절을 무단계로 행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판(265)과 규제판(266)을 병용하는 구성을 예시했으나, 어느 한쪽만을 사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17 및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의 후방에는,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물대(볏짚 배출)를 수취하는 가이드 레버(272)와, 가이드 레버(272)를 따라 볏짚 배출을 후방의 볏짚 배출 처리부(도시하지 않음)를 향해 반송하는 볏짚 배출 반송 장치(273)가 배치되어 있다.
볏짚 배출 반송 장치(273)는, 그 후방부측에 설치한 횡방향의 지지축(274)을 지지점으로 한 상하 요동이 가능해지도록 하부 케이스(201)에 장비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02)에는, 상부 케이스(202)를 폐쇄 자세로 절환한 경우에, 볏짚 배출 반송 장치(273)의 상하 요동을 저지하는 스토퍼(275)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레버(272)와 볏짚 배출 반송 장치(273) 사이에 있어서 볏짚 배출이 막힌 경우에는, 상부 케이스(202)를 개방 자세로 절환하는 동시에, 막힌 곡물대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볏짚 배출 반송 장치(273)가 지지축(274)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한다. 그 결과, 가이드 레버(272)와 볏짚 배출 반송 장치(273) 사이에 막힌 볏짚 배출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31에 있어서의 부호 276은 하부 케이스(201)에 구비한 고정 가이드이며, 도31에 있어서의 부호 277은 볏짚 배출 반송 장치(273)에 구비한 가이드 레일이며, 이들 안내 작용에 의해, 볏짚 배출 반송 장치(273)의 지지축(274)을 지지점으로 한 요동이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도시는 생략하나, 메인 풍구(226)는, 처리량 센서(264)의 검출을 기초로 하는 제어 장치의 제어 작동에 의해, 메인 풍구(226)의 회전 구동 속도를 변경하는 전동식의 변속 기구의 작동이 제어됨으로써, 선별 처리량이 많은 경우에 선별 풍량이 많아지고, 선별 처리량이 적은 경우에 선별 풍량이 적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풍구(226)로부터의 선별 풍량의 조절을 인위 조작으로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메인 풍구(226)로부터의 선별 풍량의 조절을, 메인 풍구(226)의 회전 구동 속도의 변경이 아닌, 메인 풍구(226)를 덮는 커버에 형성한 개구의 개방도 조절로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
〔1〕탈곡 장치는 콤바인(combine-harvester)에 한정되지 않고, 하베스터(harvester)에 탑재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제1 서브 풍구(227) 및 제2 서브 풍구(228)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라도 좋다.
〔2〕가이드판(247)으로서는 3매 이상의 판체(248, 249)를 예취 곡물대의 반송 방향을 따라 정렬 배치함으로써 구성된 것이라도 좋다.
〔3〕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247)을 구성하는 각 판체(248, 249)로서는 복수의 오목부(248B, 249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라도 좋다.
〔4〕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247)을 구성하는 각 판체(248, 249)로서는 고무판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제이며, 또한 복수의 오목부(248B, 249B) 대신에 복수의 슬릿(248D, 249D)이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각 판체(248, 249)에 복수의 오목부(248B, 249B)를 형성한 경우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각 오목부(248B, 249B)로부터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의 곡립의 흘러내림을 저지할 수 있다.
〔5〕가이드판(247)을 구성하는 각 판체(248, 249)로서는 판금제의 것이라도 좋고, 또한 범포 등에 수지 코팅을 실시하여 구성된 것이라도 좋다.
〔6〕도34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247)을 구성하는 각 판체(248, 249)로서는, 맞대어지는 전방측의 판체(248)의 후단 모서리(248A)와 후방측의 판체(249)의 전단 모서리(249A)가, 각각 그 하단측일수록 후방에 위치하는 경사 모서리로 되도록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끼움 지지 반송 기구(206)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이 전후에 인접하는 판체(248, 249) 사이에 인입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고, 그 인입에 기인한 예취 곡물대의 반송 막힘이나 예취 곡물대의 반송 자세(탈곡 자세)의 흐트러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그 반송 막힘이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의한 탈곡 성능의 저하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7〕가이드판(247)을 상부 립 플레이트(214)[상부 케이스(202)]의 내측면에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1 : 기체
10 : 탈곡부
11 : 탈곡 피드 체인
12 : 급실
14 : 급동
20 : 볏짚 배출 반송 장치
21 : 무단 회전 체인
22 : 반송 가이드 레버
30 : 선별부
31 : 요동 선별 장치
40 : 배진부
50 : 볏짚 배출 처리 장치
280 : 유단측 단부
281 : 제1 경사부
282 : 제1 돌출부
283 : 제2 경사부
284 : 제2 돌출부
285 : 제3 경사부
286 : 제3 돌출부

Claims (7)

  1.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하여 예취 곡물대를 반송하는 끼움 지지 반송 기구와,
    상기 끼움 지지 반송 기구에 따라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급동과,
    상기 급동을 덮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되고,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상기 급동으로 향해서 통과시키는 탈곡구를 구비하는 탈곡 장치이며,
    상기 상부 케이스 중 상기 탈곡구측의 단부에, 상기 급동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으로 흘러내리는 곡립을 상기 급동을 향해 안내하는 가이드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판에, 상기 급동측으로 향해 경사하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에서 상방으로 향해 연장하는 제1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판을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측에 지지하는 압박판이 구비되고,
    상기 압박판에, 상기 급동으로 향해 경사진 상기 제1 경사부를 지지하는 제2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에서 상방으로 향해 연장하는 상기 제1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2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2 돌출부와 함께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판이 상기 상부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탈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판이 상기 상부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로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탈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 중 상기 제2 경사부에 지지되는 부분의 경사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 경사부 중 상기 제2 경사부에 지지되지 않은 유단측 부분의 경사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탈곡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 중 상기 제2 경사부에 지지되는 부분의 경사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 경사부 중 상기 제2 경사부에 지지되지 않은 유단측 부분의 경사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탈곡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제1 경사부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있는, 탈곡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측에 상부 립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에, 상기 급동측으로 향해 경사하는 제3 경사부와, 상기 제3 경사부에서 상방으로 향해 연장하는 제3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2 돌출부와 함께 상기 제3 돌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판이 상기 상부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탈곡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측에 상부 립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에, 상기 급동측으로 향해 경사하는 제3 경사부와, 상기 제3 경사부에서 상방으로 향해 연장하는 제3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2 돌출부와 함께 상기 제3 돌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판이 상기 상부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탈곡 장치.
KR1020140166241A 2007-09-21 2014-11-26 탈곡 장치 KR101499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45493 2007-09-21
JP2007245493A JP4691083B2 (ja) 2007-09-21 2007-09-21 脱穀扱胴
JPJP-P-2007-284426 2007-10-31
JP2007284426A JP5022182B2 (ja) 2007-10-31 2007-10-31 脱穀装置の脱穀部構造
JP2008008332A JP2009165420A (ja) 2008-01-17 2008-01-17 脱穀装置
JPJP-P-2008-008332 2008-01-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581A Division KR101499385B1 (ko) 2007-09-21 2014-03-06 탈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106A KR20140145106A (ko) 2014-12-22
KR101499403B1 true KR101499403B1 (ko) 2015-03-05

Family

ID=4069735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348A KR101070959B1 (ko) 2007-09-21 2008-09-18 탈곡 장치
KR1020100050251A KR101368559B1 (ko) 2007-09-21 2010-05-28 탈곡 급동
KR1020130142885A KR101403273B1 (ko) 2007-09-21 2013-11-22 탈곡 장치의 탈곡부 구조
KR1020140026581A KR101499385B1 (ko) 2007-09-21 2014-03-06 탈곡 장치
KR1020140166241A KR101499403B1 (ko) 2007-09-21 2014-11-26 탈곡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348A KR101070959B1 (ko) 2007-09-21 2008-09-18 탈곡 장치
KR1020100050251A KR101368559B1 (ko) 2007-09-21 2010-05-28 탈곡 급동
KR1020130142885A KR101403273B1 (ko) 2007-09-21 2013-11-22 탈곡 장치의 탈곡부 구조
KR1020140026581A KR101499385B1 (ko) 2007-09-21 2014-03-06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5) KR101070959B1 (ko)
CN (2) CN1028352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2267B (zh) * 2014-08-05 2023-07-11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以及装载在该联合收割机的脱粒装置
KR20180073456A (ko) * 2016-12-22 2018-07-0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및 탈곡 장치
KR20190001921A (ko) * 2017-06-28 2019-01-0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N109832017B (zh) * 2017-11-28 2022-08-23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067A (ja) * 1994-04-20 1995-11-07 Seirei Ind Co Ltd 脱穀機の送塵物処理装置
JP2006230246A (ja) * 2005-02-23 2006-09-07 Iseki & Co Ltd 脱穀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4284Y2 (ko) * 1976-04-07 1978-08-23
JPS5732674Y2 (ko) * 1977-05-02 1982-07-19
JPH08298857A (ja) * 1995-05-09 1996-11-19 Kubota Corp 脱穀装置の扱胴構造
TW396017B (en) 1997-04-30 2000-07-01 Yanmar Agricult Equip Thresh sieve device of united harvest machine
JP3620217B2 (ja) * 1997-05-12 2005-02-1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H1128022A (ja) * 1997-07-10 1999-02-0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送塵弁の操作構造
JPH1175508A (ja) * 1997-09-17 1999-03-23 Kubota Corp 脱穀機の脱穀部構造
JP4047485B2 (ja) * 1999-04-16 2008-02-1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3846104B2 (ja) * 1999-04-19 2006-11-1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伸縮式オーガ装置
JP2001260947A (ja) * 2000-03-23 2001-09-26 Kubota Corp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装置
JP4821942B2 (ja) * 2001-01-25 2011-11-24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JP2003125638A (ja) 2001-10-23 2003-05-07 Seirei Ind Co Ltd 排藁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067A (ja) * 1994-04-20 1995-11-07 Seirei Ind Co Ltd 脱穀機の送塵物処理装置
JP2006230246A (ja) * 2005-02-23 2006-09-07 Iseki & Co Ltd 脱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0959B1 (ko) 2011-10-06
KR20090031256A (ko) 2009-03-25
CN102835226B (zh) 2016-04-13
KR20140003348A (ko) 2014-01-09
CN102835225B (zh) 2016-03-02
CN102835226A (zh) 2012-12-26
KR20140051192A (ko) 2014-04-30
CN102835225A (zh) 2012-12-26
KR101368559B1 (ko) 2014-02-27
KR20140145106A (ko) 2014-12-22
KR20100083108A (ko) 2010-07-21
KR101403273B1 (ko) 2014-06-02
KR101499385B1 (ko)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403B1 (ko) 탈곡 장치
CN101194559B (zh) 脱粒装置
KR101300922B1 (ko) 탈곡 장치
CN204466286U (zh) 联合收割机
JP5537604B2 (ja) 脱穀装置の脱穀部構造
JP5022182B2 (ja) 脱穀装置の脱穀部構造
CN1859839B (zh) 联合收割机
KR101811186B1 (ko) 탈곡 장치용 급동
JP5357952B2 (ja) 脱穀装置の脱穀部構造
JP6112791B2 (ja) 脱穀装置
JP4528723B2 (ja) コンバイン
JP5925241B2 (ja) 脱穀装置の脱穀部構造
KR20120102483A (ko) 짚 배출 세단 장치, 및 탈곡 장치
JP5763457B2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5138552B2 (ja) コンバイン
JP2010022290A (ja) コンバイン
KR100577651B1 (ko) 전간 투입형 콤바인
JP4528511B2 (ja) コンバイン
KR20200075743A (ko) 탈곡 장치 및 콤바인
JP2003259717A (ja) 脱穀装置
JP2013123414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2006345802A (ja) コンバイン
JP2003235336A (ja)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