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651B1 - 전간 투입형 콤바인 - Google Patents

전간 투입형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651B1
KR100577651B1 KR1020040074027A KR20040074027A KR100577651B1 KR 100577651 B1 KR100577651 B1 KR 100577651B1 KR 1020040074027 A KR1020040074027 A KR 1020040074027A KR 20040074027 A KR20040074027 A KR 20040074027A KR 100577651 B1 KR100577651 B1 KR 100577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threshing
chamber
discharge port
han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128A (ko
Inventor
다나까유우지
가또유우지
분노유우이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284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30442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121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014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9845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1470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5010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52Anti-dus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187Vibratory threshing mechanisms

Abstract

예취 곡간의 전체를 투입하고 탈곡 처리하도록 구성된 전간 투입형 콤바인이며, 그 탈곡 장치(D)가 상기 예취 곡간의 전체를 취급통(31)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취급실(30)과, 이 취급실의 받침망(39)으로부터 낙하한 탈곡 처리물을 기계 본체 후방을 흐르는 선별풍에 의해 선별 처리하는 요동 선별 장치(32)를 갖는 선별실(BR)과, 이 선별실로부터의 환원 처리물을 상기 선별실로 환원 공급하는 환원 반송 장치(50)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취급실의 상부판(65) 및 상기 받침망의 상단부(39a) 사이에 설치한 구획벽(67)과 상기 탈곡 장치의 일횡측벽(60)에 의해 상기 환원 처리물을 예비 선별하는 예비 선별 공간(68)이 형성되고, 이 예비 선별 공간을 통해 상기 환원 반송 장치의 토출구(54)가 상기 선별실(BR)에 연통되어 있다.
취급통, 받침망, 구획벽, 상부판, 취급실, 탈곡 장치, 토출구

Description

전간 투입형 콤바인 {Whole Culm Charging-type Combine Harvester}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좌측면도.
도2는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3은 콤바인의 평면도.
도4는 탈곡 장치의 단면도.
도5는 탈곡 장치의 예비 선별 통로 배치부에서의 단면도.
도6은 예비 선별 통로의 평면도.
도7은 처리 장치의 단면도.
도8은 환원 반송 장치의 단면도.
도9는 취급통 구동 장치의 정면도.
도10은 전동 계통도.
도11은 탈곡 장치의 전동 장치의 측면도.
도12는 콤바인 전체의 후방면도.
도13은 크롤러 주행 장치의 측면도.
도14는 크롤러 주행 장치의 연결 프레임 배치부의 단면도.
도15는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방부의 측면도.
도16은 연결 프레임의 후방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평면도.
도18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탈곡 장치의 측면도.
도19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탈곡부의 종단 후방면도.
도20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요동 선별 장치의 그레인 팬에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롤러 주행 장치
2 : 운전 좌석
3 : 엔진
4 : 기계 본체
5 : 실린더
6 : 자기 주행 기계 본체
10 : 곡립 주머니 포장부
11 : 곡립 탱크
20 : 예취 전처리부
21 : 피더
23 : 회전 릴
30 : 취급실
31 : 취급통
32 : 요동 선별 장치
39 : 받침망
39a : 상단부
50 : 환원 반송 장치
54 : 토출구
60 : 일횡측벽
64 : 탈곡 기계 본체 프레임
65 : 상부판
66: 판금 부재
67 : 구획벽
68 : 예비 선별 공간
144 : 주행 장치 연결부
144a, 144b : 강관재
145 : 트랙 프레임
160 : 연결 프레임
161 : 프레임 본체
162 : 측판
165 : 연결판
D : 탈곡 장치
BR : 선별실
본 발명은, 예취부에 의해 제거된 예취 곡간의 전체를 투입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를 구비한 전간 투입형 콤바인(이하, 단순히「콤바인」이라 함)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는, 선별부로부터 송출된 2번 처리물(환원 처리물에 상당)이 환원 처리 장치를 통해 환원되고,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곡립과 부스러기 등의 먼지로 재선별 처리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1-155347호 공보(단락[0022] 및 도2 참조. 이하,「특허 문헌 1」이라 칭함)나, 일본 특허 공개 평11-266670호 공보(단락[0018] 및 도3 참조. 이하,「특허 문헌 2」라 칭함). 특허 문헌 1에서는, 2번 처리물이 2번물 회수용 스크류 컨베이어(23)로부터 환원 장치(24)를 통해 요동 선별 케이스(20)로 복귀된다. 특허 문헌 2에서는, 2번 처리물이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27) 및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20)를 통해 요동 선별 케이스(23)의 전방부로 환원 공급된다.
또한, 다른 종래의 콤바인으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7-27469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다(단락[0012] 및 도1, 도2 참조. 이하,「특허 문헌 3」이라 칭함). 이 특허 문헌 3에서는, 선별 장치(B)의 시단부 부근에 보조 당기(auxiliary winnowing fan)(18)를 설치하고, 2번 환원 장치(9)의 토출구(20)로부터 비산하여 선별 장치(B)로 환원되는 2번물(환원 처리물)에 대해, 보조 당기(18)로부터의 선별풍이 선별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간 투입형의 콤바인에 있어서는, 예취 곡간의 밑둥으로부터 끝까지의 전체가 취급실에 공급되어 탈곡 처리되기 때문에, 취급실에서 발생하는 부스러기 등이 많아져 선별부로부터 반송되는 2번 처리물(환원 처리물)에 혼입하는 부스러기 등도 많아진다. 2번 처리물이 혼입 부스러기 등의 많은 상태에서 요동 선별 장치로 환원되어, 취급실의 받침망으로부터 요동 선별 장치에 낙하한 탈곡 처리물에 혼입하면, 요동 선별 장치의 선별 능력이나 선별 정밀도가 저하되기 쉬워진다.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기술을 채용하면, 환원 반송 장치로부터의 환원 처리물이 선별 작용을 받고 나서 요동 선별 장치에 공급되지만, 이 구성에서는 보조 당기 등을 설치하기 위해 높은 비용이나 복잡한 구조로 될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2번 처리물의 환원에 관계 없이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한 선별을 효율적으로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하게 할 수 있는 것을, 저렴하면서 구조를 간단히 얻을 수 있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의 전체를 투입하여 탈곡 처리하도록 구성된 전간 투입형 콤바인이며,
그 탈곡 장치가 상기 예취 곡간의 전체를 취급통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취급실과, 이 취급실의 받침망으로부터 낙하한 탈곡 처리물을 기계 본체 후방에 흐르는 선별풍에 의해 선별 처리하는 요동 선별 장치를 갖는 선별실과, 이 선별실로부터의 환원 처리물을 상기 선별실로 환원 공급하는 환원 반송 장치를 구비한 것에 있어 서, 상기 취급실의 상부판 및 상기 받침망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한 구획벽과 상기 탈곡 장치의 일횡측벽에 의해 상기 환원 처리물을 예비 선별하는 예비 선별 공간이 형성되고, 이 예비 선별 공간을 통해 상기 환원 반송 장치의 토출구가 상기 선별실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상기 예비 선별 공간이 선별부의 선별실에 연통하고 있음으로써, 선별실로부터 흘러 나온 선별풍의 일부가 예비 선별 공간으로 유입하여 이 공간을 후방 방향으로 유동한다. 선별부로부터의 2번 처리물(환원 처리물)이 환원 반송 장치로부터 토출되면, 이 유입 선별풍에 의한 선별 작용에 의해 2번 처리물이 곡립과 먼지로 예비 선별되고 나서 선별실의 요동 선별 장치에 낙하한다. 게다가, 예비 선별 공간이나 그 부근을 기계 본체 후방 방향으로 유동하는 선별풍을 위해, 보다 경량의 먼지는 곡립보다도 기계 본체 후방측으로 비산하고, 선별실로부터의 먼지와 함께 기계 본체 밖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요동 선별 장치에 곡립보다도 후방(처리물 이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측)으로 낙하한다. 이에 의해, 선별부로부터 복귀되는 2번 처리물에 혼입 먼지가 많아도 선별풍에 의해 곡립과 먼지로 예비 선별하고, 미리 먼지를 곡립으로부터 분리하고 나서 요동 선별 장치로 환원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선별된 먼지가 선별풍에 의해 흘러 요동 선별 장치로는 복귀되지 않고 기계 본체 밖으로 배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원 처리물의 혼입에 관계 없이, 이 환원 처리물을 받침망으로부터의 탈곡 처리물과 함께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또한 정밀도 좋게 선별할 수 있다. 따라서, 선별부에 의한 선별 처리의 능률이 향 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점이 구획벽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선별실로부터의 선별풍을 예비 선별에도 이용하고 있으므로, 비용면에서도 구조면에서도 유리하다.
선별실로부터의 선별풍을 예비 선별에도 이용하기 위해,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요동 선별 장치의 전단부에 상기 선별풍을 선별실에 공급하기 위한 송풍 기구가 설치되고, 이 송풍 기구가 상기 선별풍을 상기 예비 선별 공간에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토출구가 상기 탈곡 장치의 일횡측벽에 설치되고, 이 토출구에 상기 환원 처리물을 전후 방향으로 분산하는 가이드면이 설치되어 있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환원 반송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환원 처리물이 가이드면에 의해 기계 본체 전후 방향으로 분산하기 위해, 예비 선별에 이용 가능한 영역이 기계 본체 전후 방향으로 확대된다. 이에 의해, 토출구를 통해 유출된 환원 처리물은 선별실로부터 예비 선별 공간으로 유입하는 선별풍의 작용을 한층 더 받기 쉬워진고, 곡립과 먼지로 더 정밀도 좋게 선별되고 나서 요동 선별 장치로 환원되게 된다. 따라서, 예비 선별 후에 행하는 선별실로부터의 선별 처리의 능률도 한층 더 향상된다.
또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토출구가 상기 예비 선별 공간의 하부를 향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토출구에 상기 가이드면이 하방으로 경사져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은, 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환원 처리물이 취급통에 닿기 어려운 점에서 유리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토출구가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처리물 이송 방향에 있어서, 이 요동 선별 장치의 전단부보다도 하방측에서 개구하고 있다. 이 점에 따라, 요동 선별 장치상 취급실의 받침망으로부터 탈곡 처리물이 낙하되는 영역과 상기 토출구로부터 환원 처리물이 낙하되는 영역이 전후 방향(처리물 이송 방향)으로 서로 분산한다. 따라서, 요동 선별 장치상에서는 양 처리물이 혼합되기 어려워져, 퇴적되는 처리물의 층 두께가 국소적으로 두껍게 되는 것이 쉽게 회피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취급통의 회전 축심이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좌우 중심선에 대해 기계 본체 일측방으로 편위하여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좌우 중심선을 끼워 기계 본체 다른 측방으로 편위하여 상기 예비 선별 공간이 상기 요동 선별 장치를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취급통도 기계 본체 일측방으로 편위하기 때문에, 탈곡 장치 전체의 가로 폭의 비율로는 예비 선별 공간의 가로 폭이 보다 넓게 확보된다. 이렇게 토출된 환원 처리물이 보다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선별풍에 의한 선별 작용이 한층 더 촉진된다. 따라서, 가로 폭이 비교적 좁은 콤팩트한 탈곡 장치라도, 환원 처리물을 곡립과 먼지로 예비 선별하는 정밀도가 한층 더 향상된다.
또한, 환원 처리물이 예비 선별 공간으로부터 하방의 요동 선별 장치에 낙하한 후에 행해지는 선별 처리에 있어서도, 다음 점에서 유리하다. 즉, 취급통 회전의 축심과 환원 반송 장치의 토출구가 요동 선별 장치의 좌우 중심선을 끼워 가로 방향으로 분류하여 배치되므로, 요동 선별 장치상 취급실의 받침망으로부터 탈곡 처리물이 낙하되는 영역과 상기 토출구로부터 환원 처리물이 낙하되는 영역과 가로 방향으로 서로 분산한다. 따라서, 요동 선별 장치상에서는 양 처리물이 혼합되기 어려워져 퇴적되는 처리물의 층 두께가 국소적으로 두껍게 되는 것이 쉽게 회피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예비 선별 공간의 하방으로 이 예비 선별 공간에서 예비 선별 처리된 환원 처리물이 상기 요동 선별 장치상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스톱퍼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스톱퍼 부재가 요동 선별 장치의 좌우 중심선보다도 환원 처리 장치의 토출구쪽으로 편재하게 된다. 따라서, 예비 선별 후에 요동 선별 장치에 낙하한 환원 처리물도, 받침망으로부터 요동 선별 장치에 낙하한 탈곡 처리물도, 스톱퍼 부재를 위해 요동 선별 장치상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져 서로 혼합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요동 선별 장치상에서는 양 처리물이 한층 더 혼합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스톱퍼 부재가 이 스톱퍼 부재로부터 상기 좌우 중심선까지의 간격이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처리물 이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측일수록 작아지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으면, 스톱퍼 부재와 요동 선별 장치의 가로 프레임 사이에 상기 토출구로부터 낙하한 환원 처리물은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데 수반하여 가로 방향으로 확산한다. 따라서, 환원 처리물이 그 이송에 수반하여 곡립과 먼지로 선별되기 쉬워진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구획벽이 기계 본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탈곡 기계 본체 프레임과, 이 기계 본체 프레임과 상기 취급실의 상부판 사이에 위치하는 판금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특별한 강도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기계 본체 프레임을 강도 부재에 이용함으로써, 구획벽에 우수한 강도를 비용면이나 구조면에서 유리하게 얻을 수 있다.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그 특징 구성으로부터 발휘하는 유리한 점이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판독함으로써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간 투입형 콤바인(이하, 단순히「콤바인」이라 칭함)의 각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콤바인의 진행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하고, 이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좌우 방향(도1에 있어서 지면 관통 방향)을 가로 방향이라 한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도1 내지 도1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에 대해 설명한다.
이 콤바인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롤러 주행 장치(주행 장치의 일예)(1)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는 자기 주행 기계 본체(6)에 운전 좌석(2)이 장비된 탑승형 운전부와, 운전 좌석(2)의 하방에 위치하여 엔진(3)이 장비된 원동부를 구비한다. 자기 주행 기계 본체(6)의 기계 본체 프레임(4)에는 탈곡 장치(D)가 탑재되어 있다. 자기 주행 기계 본체(6)의 상기 원동부의 후방측에는 곡립 탱크(11)를 갖는 곡립 주머니 포장부(10)가 탈곡 장치(D)와 기계 본체 가로 방 향으로 나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D)의 기계 본체 전단부에는 회전 릴(23)을 갖는 예취 전처리부(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예취 전처리부(20)의 피더(21)의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피더(21)에 리프트 실린더(5)를 연동시켜 벼 등의 식립 곡간을 수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리프트 실린더(5)를 신축 조작하면, 이 리프트 실린더(5)가 피더(21)를 탈곡 장치(D)에 대해 상하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예취 전처리부(20)가 자기 주행 기계 본체(6)에 대해, 분초구(22) 등이 지면상 근처에 위치한 하강 작업 상태와, 분초구(22) 등이 지면상에서 높게 상승한 상승비 작업 상태로 승강 조작한다. 예취 전처리부(20)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여 자기 주행 기계 본체(6)를 주행시키면, 예취 전처리부(20)는 분초구(22)에 의해 식립 곡간을 예취 대상과 비예취 대상으로 분초하고, 분초구(22)로부터의 예취 대상의 식립 곡간의 끝을 회전하는 회전 릴(23)에 의해 플랫폼(24)의 내부에 위치하는 오우거(25) 쪽으로 긁어 모으면서, 플랫폼(24)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바리캉형의 예취 장치(26)에 의해 밑둥측을 예취하고, 예취 곡간을 기계 본체 가로 방향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상기 오우거(25)에 의해 가로로 이송한다. 이에 의해, 상기 피더(21)의 입구의 전방에 도달한 예취 곡간이 오우거(25)와 같이 회전하는 막대 형상의 긁기 이송 갈고리(25a)에 의해 피더(21)에 긁어 넣고, 피더 내에 들어 간 예취 곡간의 밑둥으로부터 끝까지의 전체가, 피더 내에서 회전 구동되는 피더 컨베이어(27)에 의해 피더(21)에 따라서 후방 상측으로 반송되어 탈곡 장치(D)의 기계 본체 내로 송입된다. 탈곡 장치(D)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여 탈곡립을 주머니 포장부(10)의 곡립 탱크(11)에 공급하 고, 탈곡립을 탈곡 장치(D)의 후방부로부터 방출한다.
이 탈곡 장치(D)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내의 상부에 위치하는 취급실(30), 이 취급실(30)에 전후 방향의 회전 축심(X)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취급통(31) 등을 구비한 탈곡부(A)와, 장치 내의 하부에 위치하는 선별실(BR)이나, 상기 취급실(30)의 하방으로 구동 요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요동 선별 장치(32) 등을 구비한 선별부(B)를 구비한다. 탈곡 장치(D)는, 또한 선별실(BR)의 바닥부에 설치한 가로 방향의 1번 스크류 컨베이어(33) 및 2번 스크류 컨베이어(34), 주머니 포장부(10)가 위치하는 쪽의 가로 외측에 설치한 반송 장치(35), 환원 전처리 장치(40), 환원 반송 장치(50) 및 취급실 후방부의 하방으로 구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취급실(30)의 송진구(送塵口)(37) 및 선별부(B)로부터의 부스러기를 세단 처리하여 후방으로 낙하 방출하는 세단 초퍼(38)를 구비한다.
탈곡부(A)는 피더 컨베이어(27)에 의해 취급실(30)의 입구로 송입된 예취 곡간의 밑둥으로부터 끝까지의 전체를 취급통(31)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나선형의 긁기용 블레이드(31a)에 의해 취급실(30)에 긁어 넣고, 이 긁기용 블레이드(31a)로부터의 예취 곡간을 회전하는 취급통(31)의 취급 톱니(31b)에 의해 취급실 내를 후방측으로 반송하면서 탈곡 처리하고, 탈곡립 등의 탈곡 처리물을 받침망(39)으로부터 낙하시켜 탈곡 배출 부스러기를 취급실(30)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송진구(37)로부터 배출한다.
선별부(B)는 취급실(30)의 받침망(39)으로부터 선별실(BR)에 낙하한 탈곡 처리물을 상기 요동 선별 장치(32)에 의해 받아 내어 후방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이 요동 선별 장치(32)의 그레인 팬(32a), 챠프 시브(32b), 스트로 래크(32c) 및 그레인 시브(32d)에 의한 요동 선별과, 요동 선별 장치(32)의 전단부측의 하방에 위치하는 당기(a "tohmi" or a winnowing fan)(송풍 기구의 일예, 또한 상기 송풍 기구의 기풍 장치의 일예)(36)에 의해 후방 방향으로 공급되는 선별풍에 의한 선별을 행한다. 이러한 선별 작용에 의해, 탈곡 처리물이 곡립과 부스러기 등의 먼지로 선별되어 곡립은 요동 선별 장치(32)로부터 낙하하고, 먼지는 세단 초퍼(38)에 공급된다.
상기 1번 스크류 컨베이어(33)는 선별부(B)로부터의 1번 처리물을 받아 내어 탈곡 장치(D)의 가로 외측으로 반송한다. 상기 반송 장치(35)는 스크류 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1번 스크류 컨베이어(33)로부터의 처리물을 올려 보내어 주머니 포장부(10)의 곡립 탱크(11)에 공급한다. 상기 2번 스크류 컨베이어(34)는 선별부(B)로부터의 2번 처리물(환원 처리물에 상당)을 받아 내어 가로 외측으로 반송하여 상기 환원 전처리 장치(40)에 공급한다.
도7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환원 전처리 장치(40)는 탈곡 장치(D)의 일횡측벽(60)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2번 스크류 컨베이어(34)의 반송 종단부에 처리물 도입구(41)로 연통한 처리 케이스(42), 이 처리 케이스(42)의 내부에 설치한 처리 회전체(4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처리 회전체(43)는 이 처리 회전체(43)의 회전 방향으로 나열하는 복수매의 처리 블레이드(43a)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2번 스크류 컨베이어(34)의 스크류축(34a)의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2번 스크류 컨베이어(34)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상기 처리 케이스(42)의 내벽면에는, 상기 처리 회전체(43)의 회전 방향으로 나열하는 복수의 처리 돌기(44)를 고정 설치되어 있다.
즉, 환원 전처리 장치(40)는 2번 스크류 컨베이어(34)에 의해 선별부(B)로부터 반출된 2번 처리물이나 부스러기 등을, 그 2번 스크류 컨베이어(34)의 이송 작용에 의해 처리 케이스(42)의 내부로 도입하고, 처리 케이스 내에 들어 간 2번 처리물을 처리 회전체(43)의 처리 블레이드(43a)와 처리 케이스(42)에 고정의 처리 돌기(44)에 의해 정립화한다. 환원 전처리 장치(40)는, 또한 처리 후의 정돈된 입자와 부스러기를 처리 블레이드(43a)에 의한 방출 작용에 의해 처리 케이스(42)의 송출구로부터 환원 반송 장치(50)에 공급한다.
도5, 도7, 도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환원 반송 장치(50)는 상기 처리 케이스(42)의 송출구에 하단부측이 연통된 상하 방향의 처리물을 올려 보내는 통(51) 및 이 처리물을 올려 보내는 통(5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는 스크류(52)를 구비한 스크류 컨베이어형의 반송 장치로 되어 있다.
도5,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원 반송 장치(50)는 또한 처리물을 올려 보내는 통(51)의 상단부에 전방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형성하여 설치한 배출구(53), 탈곡 장치(D)의 가로측벽(60)에 설치한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고 탈곡 장치(D) 내에 연통하고 있는 토출구(54) 및 이 토출구(54)와 배출구(53)를 연통시키도록 가로측벽(60)의 외면측에 고정 설치된 판금제의 연통 부재(55)를 구비한다. 연통 부재(55)의 내면측에는 경사 가이드면(가이드면의 일예)(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 가이드면(56)은 상하 방향시로 상기 배출구(53)로부터 전방측에 떨어질수록 장치 내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도5, 도6을 참조하면, 부호 61은 취급실(30)의 받침망(39)을 받아 내어 지지시키는 가이드 레일(64)은 가이드 레일(61)을 지지하도록 탈곡 장치(D)의 전방벽(62)과 후방벽(63)에 걸쳐서 연결한 상태로 장치 내에 설치하였다, 기계 본체 전후 방향의 모서리형 강관재로 이루어지는 탈곡 기계 본체 프레임, 66은 이 탈곡 기계 본체 프레임(64)과 취급실 상부판(65) 사이에 설치한 판금 부재, 그리고 69 및 69a는 취급통(31)의 회전 축심(X)과 대략 같은 레벨로 설치되어 탈곡 기계 본체 프레임(64)과 가이드 레일(61)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이다. 상기 탈곡 기계 본체 프레임(64)과 판금 부재(66)에 의해, 받침망(39)의 상단부(39a)와 취급실 상부판(65) 사이에 취급실(30)을 탈곡 장치(D)의 기계 본체 가로측벽(60)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구획벽(67)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획벽(67)은 탈곡 장치(D) 내에 전방벽(62)으로부터 후방벽(63)에 이르는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고, 취급실(30)과 탈곡 장치 내의 잔여 공간을 취급실(30)의 전후 전체 길이에 걸쳐 구획하고 있다. 상기 구획벽(67)과 환원 반송 장치(50)의 토출구(54)가 위치하는 쪽의 가로측벽(60)에 의해, 예비 선별 통로(예비 선별 공간의 일예)(68)가 탈곡 장치(D) 내의 상부에 또한 탈곡 장치(D) 내의 전후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예비 선별 통로(68)는 그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에 걸쳐 하방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고, 받침망(39)과 가로측벽(60) 사이를 통해 선별부(B)의 선별실(BR)에 연통하고 있고, 당기(36)로부터 선별실(BR)에 공급된 선별풍을 유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69, 69a)를 탈곡 기계 본체 프레임(64)에 따라서 연장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 연결 부재(69, 69a)도 구획벽(67)의 구성 요소로 할 수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급통(31)은 그 회전 축심(X)이 요동 선별 장치(32)의 기계 본체의 좌우 중심선(Y)에 대해 상기 예비 선별 통로(68)가 위치하는 쪽과는 반대측으로 편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취급통(31)의 회전 축심(X)이 요동 선별 장치(32)의 좌우 중심선(Y)에 대해 기계 본체 일측방으로 편위하여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좌우 중심선(Y)을 끼워 기계 본체 다른 측방으로 편위하고, 요동 선별 장치(32)를 하방을 향하도록 예비 선별 통로(68)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탈곡 장치 전체의 가로 폭의 비율로는 구획벽(67)으로부터 가로측벽(60)까지의 간격이 커져, 예비 선별 통로(68)의 가로 폭도 넓어지고 있다. 환원 반송 장치(50)의 토출구(54)는, 게다가 끝의 일부가 예비 선별 통로(68)를 향해 가로측벽(60)의 예비 선별 통로(68)의 하부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환원 반송 장치(50)는 환원 전처리 장치(40)로부터 전동 케이스(45)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스크류(52)를 회전 구동하여 선별부(B)로부터 2번 스크류 컨베이어(34)에 의해 반출된 처리물을 환원 전처리 장치(40)로 미처리 입자가 정립화된 후에 처리물을 올려 보내는 통(51)과 스크류(52)에 의해 올려 보내어 올려 보내는 종단부에 있어서, 스크류축(52a)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회전 블레이드(57)가 방출 작용에 의해 배출구(53)로부터 전방향으로 배출하여 토출구(54)로부터 탈곡 장치(D) 내의 상부로 토출하고, 환원 처리물로서 장치 내를 자연 낙하시켜 요동 선별 장치(32)로 환원한다. 환원 처리물을 배출구(53)로부터 배출하여 토출구(54)로부터 토출할 때에는, 이 환원 처리물은 연통 부재(55)의 경사 가이드면(56)에 따라서 유동 안내하면서 토출구(54)로부터 장치 내로 토출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분산한 상태에서 토출구(54)로부터 예비 선별 통로(68)로 토출된다.
이에 의해, 환원 처리물은 토출구(54)로부터 토출되었을 때, 선별실(BR)로부터 예비 선별 통로(68)로 유입하는 당기(36)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한 선별 작용을 받아 곡립과 먼지로 선별된다. 이 환원 처리물은, 예비 선별 통로(68)나 그 부근을 후방 방향으로 유동하는 선별풍을 위해, 부스러기 등의 먼지가 요동 선별 장치(32)에 곡립보다도 처리물 이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측으로 낙하하여 요동 선별 장치(32)로 환원된다. 상기 토출구(54)는 요동 선별 장치(32)의 처리물 이송 방향에 있어서, 이 요동 선별 장치(32)의 전단부에 설치하는 그레인 팬(32a)보다도 하방측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32)상 취급실(30)의 받침망(39)으로부터 탈곡 처리물이 낙하되는 영역과 상기 토출구(54)로부터 환원 처리물이 낙하되는 영역이 전후 방향(처리물 이송 방향)으로 서로 분산한다. 따라서, 요동 선별 장치(32)상에서는 양 처리물이 혼합되기 어려워져, 퇴적되는 처리물의 층 두께가 국소적으로 두껍게 되는 것이 쉽게 회피된다.
또한, 연통 부재(55)의 경사 가이드면(56)은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 본체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환원 반송 장치(50)의 토출구(54)가 예비 선별 통로(68)의 하부 부근에 위치한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측면시에서 토출구(54)가 취급통 축심(X)과 오버랩하도록 서로 같은 레벨로 위치하여 취급통(31)이나 받침망(39)을 향하고 있어도(도4 참조), 이들 취급통(31)이나 받침망(39)에는 환원 처리물이 닿기 어려워져 있다.
도2, 도3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주머니 포장부(10)는 운전 좌석(2)의 후방 또한 탈곡 장치(D)의 가로측에 설치되어 이 탈곡 장치(D)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상기 곡립 탱크(11), 이 곡립 탱크(11)의 전후 방향으로 나열하는 복수의 깔때기형 바닥부(11a)에 설치된 곡립 토출통(12), 각 곡립 토출통(12)의 양 가로측에 위치하는 주머니 지지 레버(13), 곡립 탱크(11)에 연결된 고정 핸들(15), 곡립 탱크(1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계 본체 프레임(4)상에 설치한 주머니 받침 덱(16) 및 이 주머니 받침 덱(deck)(16)의 가로 단부에 연결된 보조자용 단계(14)를 구비한다.
곡립 탱크(11)의 탈곡 장치(D)를 면하고 있는 부분에는 상기 반송 장치(35)가 접속되어 있다. 곡립 탱크(11)는 탈곡 장치(D)로부터 반송 장치(35)에 의해 공급된 탈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고, 저류한 탈곡립을 개방 조작된 곡립 토출통(12)으로부터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보조자용 스텝(14)은 상하 요동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어 상하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주머니 받침 덱(16)으로부터 자기 주행 기계 본체 가로 외측 방향으로 거의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태에서 도복한 사용 상태와, 원동부의 엔진 본네트(6)의 가로 외측면에 따른 상태로 기립한 저장 상태로 절환하게 되어 있다.
즉, 곡립 주머니 포장부(10)에서는 주머니 지지 레버(13)의 기단부측에 빈 곡립 주머니(17)를 장착하여 수납해 두고, 곡립 토출통(12)마다 빈 곡립 주머니 (17)를 주머니 지지 레버(13)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에 취출해 두고, 그 곡립 주머니(17)의 개구를 곡립 토출통(12)에 장착함으로써, 곡립 주머니(17)의 바닥측이 주머니 받침 덱(16)에 의해 받아 내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곡립 탱크(11)로부터 곡립 주머니(17)에 곡립이 토출되면, 곡립 탱크(11)에 저류된 탈곡립의 주머니 막힘을 행할 수 있다. 이 주머니 막힘 작업시에는, 주머니 막힘 작업자가 보조자 스텝(14)을 상기 사용 상태로 하여 사용한다.
도3 및 도9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급통(31)의 회전 축심(X)은 피더(21)의 좌우 중심선(Z)을 끼우고 엔진(3)과는 반대측으로 편재 배치되어 있다. 이 피더(21)의 기단부측의 하방이며 자기 주행 기계 본체(6)의 기계 본체 프레임(4)상에는 전동 케이스(70)가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D)의 전방측벽에는 취급통(31)의 회전 지지축(31c)에 대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취급통 구동 풀리(71)가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D)의 엔진(3)과는 반대측의 가로측벽에는 한 쌍의 당기 구동 풀리(72a, 72b), 1번 스크류 구동 풀리(73), 2번 스크류 구동 풀리(74), 선별 장치 구동 풀리(75), 초퍼 구동 풀리(57), 전동 풀리(94)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70)에 의해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탈곡 장치(D)의 취급통(31)과, 그 밖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동 케이스(70)의 일측방[엔진(3)과 동일한 측의 가로측방]에는 이 전동 케이스(70)의 입력축(70a)이 가로 방향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70)의 가로 방향 중간부에는 이 전동 케이스(70)의 출력축(70b)이 전후 방향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전동 케이 스(70)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3)의 출력축(3a)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동 벨트(80)를 통해 입력축(70a)에 전달된다. 또한, 전동 벨트(83)가 출력축(70b)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출력 풀리(81), 상기 취급통 구동 풀리(71), 탈곡 장치(D)의 전방측벽에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복수개의 가이드 풀리(82) 및 제1 출력 풀리(81)의 근처에 위치하는 텐션 풀리(93)에 걸쳐 권취되어 있다.
상기 전동 케이스(70)의 다른 측방[엔진(3)과 반대의 가로측방]에는 전동 벨트(85)가 가로 방향 축심 주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출력축(70c)과 일체 회전하는 제2 출력 풀리(84)와, 상기 1번 스크류 구동 풀리(73)와, 상기 전동 풀리(94)와, 상기 2번 스크류 구동 풀리(74)와, 가이드 풀리(95)에 걸쳐 권취되어 있다. 또한, 전동 벨트(86)가 상기 1번 스크류 구동 풀리(73)와 일체 회전하는 한 쌍의 출력 풀리(73a, 73b)의 한 쪽(73a)과, 상기 한 쪽의 당기 구동 풀리(72a)에 걸쳐 권취되어 있다. 또한, 전동 벨트(87)가 상기 1번 스크류 구동 풀리(73)와 일체 회전하는 한 쌍의 출력 풀리(73a, 73b)의 다른 쪽(73b)과, 상기 다른 쪽의 당기 구동 풀리(72b)에 걸쳐 권취되어 있다. 전동 벨트(86)와 전동 벨트(87)라 함은, 요동 절환 조작 가능한 텐션륜 장치(88)에 의해 택일적으로, 전동 긴장 상태에서 절환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동 벨트(70)가 상기 전동 풀리(94)와 일체 회전 가능한 출력 풀리(94a)와, 상기 선별 장치 구동 풀리(75)와, 가이드 풀리(89)에 걸쳐서 권취되어 있다. 또한, 전동 벨트(92)가 선별 장치 구동 풀리(75)와 일체 회전 가능한 출력 풀리(75a)와, 초퍼 구동 풀리(77)와, 가이드 풀리(91)에 걸쳐 권취되어 있다. 초퍼 구동 풀리(77)는 세단 초퍼(38)의 회전 지지축에 대해 기어 연동되어 있다.
즉, 엔진(3)의 구동력은 전동 벨트(80)에 의해 전동 케이스(70)에 전달되고, 이 전동 케이스(70)에 의해 취급통계의 구동력과, 선별계의 구동력으로 분기된다. 취급통계의 구동력은 제1 출력 풀리(81)에 의해 전동 케이스(70)로부터 그 후방측에 취출된 후, 상기 가이드 풀리(82)에 의해 피더(21)를 우회하는 전동 벨트(83)에 의해 취급통 구동 풀리(71)까지 전달된다. 선별계의 구동력은 제2 출력 풀리(84)에 의해 전동 케이스(70)의 다른 측방[엔진(3)과 반대의 가로측방]에 취출된 후, 각 전동 벨트(85, 86, 87, 90, 92)에 의해 당기 구동 풀리(52a, 52b), 1번 스크류 구동 풀리(73), 2번 스크류 구동 풀리(74), 선별 장치 구동 풀리(75) 및 초퍼 구동 풀리(77)에 전달된다. 당기(36)는 상기 전동 벨트(86)와 전동 벨트(87) 사이에서 전동 긴장 상태를 절환함으로써, 고속 상태 또는 저속 상태로 변속하여 구동된다.
상기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주행 기계 본체(6)의 기계 본체 프레임(4)의 전방측의 주행 장치 연결부(144)에 대해 전방측의 연결 프레임(160)을 통해, 후방측의 주행 장치 연결부(144)에 대해 후방측의 연결 프레임(160)을 통해, 각각 고정 부착된 트랙 프레임(145)을 구비한다. 이 트랙 프레임(145)은 상하 한 쌍의 강관제의 프레임부(145a, 145b)로 구성되어 있다. 클로러 주행 장치(1)는, 또한 기계 본체 프레임(4)의 전단부에 고정된 미션 케이스(7)를 통해, 기계 본체 프레임(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롤러 구동륜체(146) ; 하측 프레임부(145b)의 전후 방향 복수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접지 륜체(147f, 147a, 147, 147b, 147r) ; 상측 프레임부(145a)의 후단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롤러 긴장륜체(148) ; 이 크롤러 긴장륜체(148)와 상기 크롤러 구동륜체(146) 사이에서, 상측 프레임부(145a)에 의해 연장하는 아암부(145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륜체(149) ; 및 각 륜체(146, 147f, 147a, 147, 147b, 147r, 148, 149)에 걸쳐 권취된 고무제의 크롤러 벨트(150)를 구비한다.
상기 크롤러 긴장륜체(148)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프레임부(145a)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에 미끄럼 이동 신축 가능하게 연장되는 긴장 아암부(145d)에 의해,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긴장 아암부(145d)와, 상기 상측 프레임부(145a)에 고정된 지지체(151)에 걸쳐 조절 나사축(152)이 장착되어 있다. 이 조절 나사축(152)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긴장 아암부(145d)가 상측 프레임부(145a)에 대해 기계 본체 후방측에 미끄럼 이동하여 크롤러 긴장륜체(148)를 전후로 이동 조절한다. 조절 나사축(152)의 회전 조작에 의한 긴장 아암부(145d)의 미끄럼 이동 조절에 의해, 크롤러 긴장륜체(148)는 후방으로 이동 조절되면 크롤러 벨트(150)의 긴장력을 증가시키도록 조절하고, 전방으로 이동 조절되면 크롤러 벨트(150)의 긴장력을 감소시키도록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의 연결 프레임(160)은 측면시에서, 최전방의 접지륜체(147f)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또한 이 접지륜체(147f)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접지륜체(147a)의 회전 축심(P1)보다도 전방에서 트랙 프레임(145)에 연결된다.
후방측의 연결 프레임(160)은 측면시에서, 최후방측의 접지륜체(147r)의 회 전 축심(P2)보다도 후방에서 트랙 프레임(145)에 연결된다. 상부륜체(149)는 측면시에서 최후방측의 접지륜체(147r)에 그 전방에서 인접한 접지륜체(147b)의 바로 상방에 배치된다. 즉, 상부륜체(149)의 회전 축심(149a)이 이 접지륜체(147b)의 회전 축심(P3)을 통하는 연직선(t)상에 위치한다. 또한, 상부륜체(149)에 걸리는 크롤러 벨트 부분과 크롤러 구동륜체(146)에 걸리는 크롤러 벨트 부분이 대략 동일한 배치 높이가 되도록, 상부륜체(149)는 크롤러 벨트(150)의 상부측을 그 하방으로부터 받아 내어 지지한다.
즉,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는 크롤러 벨트(150)를 크롤러 긴장륜체(148)에 의해 소정의 긴장 상태로 유지하면서, 또한 각 접지륜체(147f, 147a, 147, 147b, 147r)나 상부륜체(149)에 의해 안내시키면서, 미션 케이스(7)에 전달되는 엔진(3)의 구동력으로 크롤러 구동륜체(146)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한다. 즉, 크롤러 벨트(150) 중 접지륜체(147f, 147a, 147, 147b, 147r)에 걸려 있는 접지 부분(150a)이 전진 또는 후진하고, 한편 크롤러 벨트(150)의 크롤러 긴장륜체(148), 크롤러 구동륜체(146) 및 상부륜체(149)에 걸려 있는 상측 부분(150b)이 접지 부분(150a)과는 반대측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륜체(149)를 배치함으로써, 크롤러 구동륜체(146)로부터 크롤러 긴장륜체(148)의 가능한 한 근처에 위치하는 부위까지의 가능한 한 긴 범위에 있어서 상측 부분(150b)과 접지 부분(150a) 간격이 큰 것이 되므로, 습지 주행시에 있어서도 크롤러 벨트(150)의 상부측이 진흙 내에 들어가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의 연결 프레임(160)을 배치함으로써, 크롤러 벨트 (150)의 상측 부분(150b)에 상하 진동이 발생되어도, 상측 부분(150b)이 후방의 연결 프레임(160)에 접촉하는 것이 회피되어 지장없이 주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좌측의 주행 장치(1)의 전후 한 쌍의 연결 프레임(160, 160)도 우측의 주행 장치(1)의 전후 한 쌍의 연결 프레임(160, 160)도, 도14 내지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각 연결 프레임(160)은 전방벽부(161a)와 후방벽부(161b)와 가로벽부(161c)를 구비하여 가로 외부 방향 개구하는 홈형이 되도록 절곡 성형한 절곡 판금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본체(161)와, 이 프레임 본체(161)의 가로 외측 모서리에 대해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하여 연결한 절곡 판금으로 이루어지는 측판(162)에 의해, 공중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행 장치 연결부(144)는 기계 본체 프레임(4)의 하부면측에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전후 방향의 강관재(144a)와, 좌우의 강관재(144a)끼리 사이에 위치하는 강관재(144b)로 이루어진다. 연결 프레임(160)의 상단부측은 주행 장치 연결부(144)의 하부면에 연결 프레임(160)의 상단부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연결 프레임(160)의 전방면측이나 후방면측을 상기 강관재(144b)에 연결하는 연결판(165)과, 연결 프레임(160)의 자기 주행 기계 본체 가로 외측의 측면측을 강관재(144a)에 연결하는 연결판(166)에 의해, 주행 장치 연결부(144)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160)의 하단부측은 트랙 프레임(145)의 상부 방향면 및 내측 방향의 가로측면에 대해 할당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160)의 프레임 본체(161) 및 측판(162)은, 도14 및 도16에 도시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전후 방향시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연결 프레임(160)의 외측 모서리(168)가 그 중간점(168a)에서 절곡된 절곡 모서리로 설정되어 있다. 즉, 이 외측 모서리(168)는 중간점(168a)보다도 상방에서는 상하 방향에 따른 연직 모서리가 되고, 또한 중간점(168a)보다도 하방에서는 하단부에 근접할수록 외측에 경사진 경사 모서리로 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연결 프레임(160)의 내측 모서리(169)가 연결 프레임(160)의 상단 부근으로부터 하단부 부근에 이를 때까지, 하단부에 근접할수록 외측에 경사진 경사 모서리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모든 연결 프레임(160, 160)도 그 상단부의 기계 본체 프레임(4)의 주행 장치 연결부(144)에 대해 연결되는 부분의 가로 폭이 하단부의 트랙 프레임(145)에 대해 연결되는 부분의 가로 폭보다도 커진다. 이에 의해, 주행 장치 연결부(144)에 대한 가로 방향의 연결 범위가 보다 커지기 때문에, 연결이 보다 견고한 것으로 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160)은 크롤러 벨트(150)의 루프 밖으로 루프 내에 걸쳐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하방으로 기계 본체 하방 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기계 본체 프레임(4)과 트랙 프레임(145)을 연결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도17 내지 도2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 특유의 주된 특징은, 예비 선별 통로(예비 선별 공간의 일예 )(68)의 하방으로, 이 예비 선별 통로(68)로 예비 선별 처리된 환원 처리물이 요동 선별 장치(32)상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스톱퍼 부재(243)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이 점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취급통(31)은 그 회전 축심(X)이 요동 선별 장치(32)의 좌우 중심선(Y)보다도, 탈곡 장치의 기계 본체 가로측벽(좌우 한 쪽의 측벽에 상당)(60)의 토출구(54)와는 반대측으로 편재 배치되어 있다. 즉, 취급통(31)의 회전 축심(X)이 요동 선별 장치(32)의 좌우 중심선(Y)에 대해 기계 본체 일측방으로 편위하여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좌우 중심선(Y)을 끼워 기계 본체 다른 측방으로 편위하여 요동 선별 장치(32)를 하방을 향하도록 예비 선별 통로(68)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선별 장치(32)의 그레인 팬(32a)의 상면측이며 좌우 중심선(Y)보다도 상기 토출구(54) 측으로 치우친 부위에 대처리물 스톱퍼 부재(243)를 설치하고 있다.
이 스톱퍼 부재(243)는 그레인 팬(32a)의 처리면 상에 세워 설치한 띠 판재로 이루어지고, 그레인 팬(32a) 상의 처리물이 상기 스톱퍼 부재(243)를 넘어 한 쪽의 가로측으로부터 다른 쪽의 가로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스톱퍼 부재(243)는 요동 선별 장치(32)의 좌우 중심선(Y)까지의 간격(L)이 처리물 이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측에 이를수록 작게 되도록, 요동 선별 장치(32)에 의한 처리물 이송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즉, 이 스톱퍼 부재(243)는 좌우 중심선(Y)으로부터 스톱퍼 부재(243)까지의 간격(L)이 기계 본체 후방일수록 작아지도록, 기계 본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톱퍼 부재(243)와, 이에 가까운 쪽의 요동 선별 장치(32)의 가로 프레임(32e) 사이에 있 는 그레인 팬(32a) 상의 처리물은 그 이송 방향 하방측에 이를수록, 요동 선별 장치(32)의 가로 방향으로 확산되기 쉬워진다.
또한, 도20의 부호 244는 그레인 팬(32a)의 종단부(하방측부)에 설치되고, 이 부분의 처리물을 좌우 중심선(Y)을 향해 안내하는 가이드판이다.
취급통(31)은 그 회전 축심(X)보다 하측에 있어서는 취급통(31)이 편재하는 측으로부터 요동 선별 장치(32)의 좌우 중심선(Y)을 향해 회전한다(도19의 화살선 참조). 이로 인해, 받침망(39)으로부터 그레인 팬(32a)에 낙하 공급되는 탈곡 처리물은 그 회전 방향(도19 우측 방향)으로 비산한다. 그 비산측에서는, 선별부(B)로부터의 환원 처리물이 토출구(54)로부터 그레인 팬(32a)으로 토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취급통(31)이 요동 선별 장치(32)에 대해 편재하고 있으므로, 탈곡 처리물은 그레인 팬(32a)상에 있어서는 가로 방향으로 분산하여 퇴적층 두께가 가능한 한 작게 된다. 또한, 스톱퍼 부재(243)를 위해, 취급실(30)로부터의 탈곡 처리물과 선별부(B)로부터의 환원 처리물이 혼합되기 어렵게 되므로, 곡립과 부스러기의 혼재가 억제된다. 스톱퍼 부재(243)와 이에 가까운 선별 장치가 프레임(32a) 사이에 있는 그레인 팬(32a) 상의 처리물은 후방에 이를수록 가로 방향으로 확산되므로, 선별 처리가 촉진된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2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변형예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환원 반송 장치(50)의 배출구(53)와 토출구(54) 사이에 설치한 가이드면으로서의 경사 가이드면(56)이 전후 방향으로도 가로 방향으로도 경사진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신하여, 전후 방향 또는 가로 방향 중 어느 하나로만 경사지게 해도 좋다. 또한, 원호형(돔형) 등 그 밖의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요동실(BR)에 설치하는 송풍 기구의 기풍 장치로서, 단일의 당기(36)만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가하여, 예를 들어 그레인 팬(32a)의 전단부 하방에 또 하나의 보조 당기를 설치하고, 특히 이 그레인 팬(32a)의 요동 선별 작용을 더 촉진하는 등, 2 이상의 당기 그 밖의 기풍 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송풍 기구의 구성 요소로서, 이들과 같은 기풍 장치로부터 예비 선별 통로(68)에 선별풍을 적극적으로 안내하는 덕트 등의 가이드 장치를 설치해도 좋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륜체(149)를 최후방측의 접지륜체(147)와 인접하고, 또한 이 륜체(147)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접지륜체(147b)의 바로 상방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이 전방측의 접지륜체(147b)의 바로 상방 위치보다도 후방에 상부륜체(149)를 배치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환원 처리물의 혼입에 관계 없이, 이 환원 처리물을 받침망으로부터의 탈곡 처리물과 함께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 로 정밀도 높게 선별할 수 있고, 선별부에 의한 선별 처리의 능률이 향상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예취 곡간의 전체를 투입하여 탈곡 처리하도록 구성된 전간 투입형 콤바인이며,
    그 탈곡 장치(D)가 상기 예취 곡간의 전체를 취급통(31)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취급실(30)과, 상기 취급실의 받침망(39)으로부터 낙하한 탈곡 처리물을 기계 본체 후방에 흐르는 선별풍에 의해 선별 처리하는 요동 선별 장치(32)를 갖는 선별실(BR)과, 상기 선별실로부터의 환원 처리물을 상기 선별실로 환원 공급하는 환원 반송 장치(50)를 구비한 전간 투입형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취급실의 상부판(65) 및 상기 받침망의 상단부(39a) 사이에 설치한 구획벽(67)과 상기 탈곡 장치의 일횡측벽(60)에 의해 상기 환원 처리물을 예비 선별하는 예비 선별 공간(68)이 형성되고, 상기 예비 선별 공간을 통해 상기 환원 반송 장치의 토출구(54)가 상기 선별실(BR)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요동 선별 장치의 전단부에 상기 선별풍을 선별실(BR)에 공급하기 위한 송풍 기구(36)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 기구는 상기 선별풍을 상기 예비 선별 공간(68)에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54)가 상기 탈곡 장치의 일횡측벽(60)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에 상기 환원 처리물을 전후 방향으로 분산하는 가이드면(5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54)가 상기 예비 선별 공간(68)의 하부를 향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토출구에 상기 가이드면(56)이 하방으로 경사져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54)가 상기 요동 선별 장치(32)의 처리물 이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전단부보다도 후방측에서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통의 회전 축심(X)이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좌우 중심선(Y)에 대해 기계 본체 일측방으로 편위하여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좌우 중심선(Y)을 끼워 기계 본체 다른 측방으로 편위하여, 상기 예비 선별 공간(68)이 상기 요동 선별 장치를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선별 공간(68)의 하방에, 상기 예비 선별 공간(68)에서 예비 선별 처리된 환원 처리물이 상기 요동 선별 장치상에서 가로 방향으 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스톱퍼 부재(24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부재(243)가 상기 스톱퍼 부재로부터 상기 좌우 중심선(Y)까지의 간격(L)이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처리물 이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67)이 기계 본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탈곡 기계 본체 프레임(64)과, 상기 기계 본체 프레임과 상기 취급실의 상부판(65) 사이에 위치하는 판금 부재(6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KR1020040074027A 2004-04-23 2004-09-16 전간 투입형 콤바인 KR100577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28487 2004-04-23
JP2004128487A JP2005304427A (ja) 2004-04-23 2004-04-23 全稈投入型脱穀機
JP2004181215A JP2006001461A (ja) 2004-06-18 2004-06-18 コンバイン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JP-P-2004-00181215 2004-06-18
JPJP-P-2004-00198459 2004-07-05
JP2004198459A JP2006014708A (ja) 2004-07-05 2004-07-05 全稈投入型脱穀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128A KR20050103128A (ko) 2005-10-27
KR100577651B1 true KR100577651B1 (ko) 2006-05-10

Family

ID=3728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027A KR100577651B1 (ko) 2004-04-23 2004-09-16 전간 투입형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6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128A (ko)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34938C (zh) 全穗杆投入型联合收割机
JP5910699B2 (ja) 脱穀装置
KR101368559B1 (ko) 탈곡 급동
KR100577651B1 (ko) 전간 투입형 콤바인
JP2005013107A (ja) 脱穀装置の2番還元構造
JP5668335B2 (ja) 脱穀装置
JP2006014708A (ja) 全稈投入型脱穀機
CN110494037B (zh) 具有双用途输送机的农业车辆
KR101035203B1 (ko) 콤바인
JP4116417B2 (ja) コンバインなどの脱穀選別装置における選別部構造
JP2008289455A (ja) コンバイン
JP6048605B2 (ja) 脱穀装置
JPH09248046A (ja) 脱穀装置
JP2001258375A (ja) 脱穀機の選別装置
JP5913649B2 (ja) 脱穀装置
JP2000201524A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H1175510A (ja) コンバインの揺動本体
JP3396761B2 (ja) コンバイン
WO2005027618A1 (ja) 脱穀装置及び脱穀装置の受網
JP2001045853A (ja) 脱穀装置
JP2005229830A (ja) 脱穀装置
JP2004187551A (ja) 脱穀装置
JP2000166364A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008271788A (ja) コンバイン
JP2004267022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