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186B1 - 탈곡 장치용 급동 - Google Patents

탈곡 장치용 급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186B1
KR101811186B1 KR1020177004418A KR20177004418A KR101811186B1 KR 101811186 B1 KR101811186 B1 KR 101811186B1 KR 1020177004418 A KR1020177004418 A KR 1020177004418A KR 20177004418 A KR20177004418 A KR 20177004418A KR 101811186 B1 KR101811186 B1 KR 101811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traw
crop
grain
peripher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897A (ko
Inventor
신 히라따
마사유끼 호리우찌
데쯔지 나가따
하지메 마쯔시따
마사유끼 다까기
신지 고따니
이찌로 마에다
겐따 마쯔모또
다다시 하마니시
유끼까즈 다나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1102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04598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39688A external-priority patent/JP53414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82557A external-priority patent/JP53414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82556A external-priority patent/JP53414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90165A external-priority patent/JP517375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70021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3/00Outside dividers
    • A01D63/04Non-rotating divi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2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for standing stal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급동 드럼(331)의 둘레벽부(332)에 설치한 점검 개구(333)와, 점검 개구(333)를 폐쇄하는 착탈 가능한 덮개(334)를 구비한 탈곡 장치용 급동이며, 덮개(334)에, 이 덮개(334)를 둘레벽부(332)에 설치하도록 둘레벽부(332)의 이면측에 맞대어 연결하는 연결부(341)와, 덮개(334)의 점검 개구(333)를 폐쇄하는 덮개부(340)에 설치한 급치(336)를 구비한다. 연결부(341)의, 둘레벽부(332)의 이면에 맞닿는 연결면(341a)과, 덮개부(340)의, 점검 개구(333)에 면하는 표면(340a)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정하고 있다.

Description

탈곡 장치용 급동{THRESHING CYLINDER FOR THRESHER}
본 발명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에 설치한 점검 개구와, 상기 점검 개구를 폐쇄하는 탈착 가능한 덮개를 구비한 탈곡 장치용 급동에 관한 것이다.
위에 기재한 탈곡 장치용 급동은, 점검 개구를 이요하여 급치의 조립이나 교환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탈곡 장치용 급동으로서, 종래,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급동(3)에서는, 점검 개구로서의 점검구(47), 이 점검구(47)를 폐색하는 덮개로서의 덮개판(47)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급동(3)은, 덮개판(47)에 설치한 급치(42)를 구비하고 있다(도면 부호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2005-253388호의 공보([0019], [0020]단락, 도 6, 8, 9)
점검 개구의 덮개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덮개를 채용하면, 덮개에 급치를 설치하기 때문에, 점검 개구를 크고 사용하기 쉬운 것으로 하기 쉽다.
즉, 덮개에 급치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급동 드럼의 둘레 방향 및 회전 축심 방향으로 배열되는 급치를 피해서 점검 개구를 설치하기 때문에, 점검 개구가 작아지거나, 가늘고 길다든가 구부러진다든가 하는 형상이 되기 쉽다.
이에 반해, 덮개에 급치를 설치하면, 점검 개구의 크기나 형상을 급치에 좌우되지 않고 설정하여도,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급동 드럼의 급치를 설치해야 할 개소에 덮개에 의해 급치가 설치되게 된다.
급치를 설치한 덮개를 채용했을 경우, 덮개를 급동 드럼에 설치하는 구조의 구성에 의해서는, 덮개나 급치의 구조나 배치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즉,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334)를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332)의 표면측에 접촉시켜 연결하도록 구성하면, 덮개(334)를 구조 간단하게 얻어지도록 평판형으로 구성한 경우, 덮개(334)의 전체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332)보다도 급동 드럼(331)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고, 덮개(334)에 설치한 급치(336)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332)에 지지되는 급치(335)에 대하여 급동 드럼(331)의 외측으로 위치 어긋나고, 덮개(334)의 급치(336)가 수망(311)에 매우 근접한 상태가 된다.
또한, 덮개(334)를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332)의 표면측에 접촉시킨 경우, 덮개(334)의 둘레부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332)의 표면측에 노출되기 때문에, 덮개(334)의 둘레부 중 점검 개구(333)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곡물짚이나 곡립과의 접촉에 의한 마멸이 발생하기 쉽다.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334)에 설치한 급치(336)의 수망에 대한 이상 근접을 회피하려고 하면, 덮개(334)의 급치(336)를 연결하는 부분이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332)에 연결하는 부분보다도 급동 드럼(331)의 내측으로 위치 어긋난 구조를 덮개(334)에 구비시켜도, 제작 오차의 발생에 따라서는, 덮개(334)의 급치(336)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332)의 급치(335)보다도 수망(311)에 근접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고 사용하기 쉬운 형상의 점검 개구를 구비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덮개를 구조 간단한 것으로 하여도, 덮개의 마멸 및 급치의 수망에 대한 이상 근접을 회피할 수 있는 탈곡 장치용 급동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에서는, 그 탈곡 장치용 급동이 이하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특징 구성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에 설치한 점검 개구와, 상기 점검 개구를 폐쇄하는 착탈 가능한 덮개를 구비한 탈곡 장치용 급동이며, 상기 덮개에, 이 덮개를 상기 둘레벽부에 설치하도록 상기 둘레벽부의 이면측에 맞대어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덮개(334)의 상기 점검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부에 설치한 급치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둘레벽부의 이면에 맞닿는 연결면과, 상기 덮개부의, 상기 점검 개구에 면하는 표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점검 개구의 크기나 형상을 급치에 좌우되지 않고 설정하여도,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급동 드럼의 급치를 설치해야 할 개소에 덮개의 덮개부에 의해 급치가 설치된다.
또한,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덮개의 연결부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의 이면측에 연결되어 둘레벽부의 표면측에 노출되지 않고, 연결부가 둘레벽부의 표면측에 노출된 경우와 같이 곡물짚이나 곡립이 덮개의 둘레부에 접촉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덮개의 덮개부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의 내측에 유입된 개소에 위치하고, 이 개소에서 덮개의 급치가 지지된다. 이에 의해, 덮개에 위치하는 급치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에 위치하는 급치보다도 수망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덮개의 제작 오차에 따라 덮개부의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에 대한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어도, 덮개에 위치하는 급치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에 위치하는 급치보다도 수망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점검 개구를 크고 사용하기 쉬운 상태로 설치하여 급치의 설치나 교환 작업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또한 덮개를 연결부의 연결면과 덮개부의 표면이 면일한 구조 간단한 것으로 하면서, 덮개에 지지되는 급치의 수망에 대한 이상 근접을 고정밀도로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덮개의 곡물짚이나 곡립과의 접촉에 의한 마멸이 발생하지 않는 고품질의 탈곡 장치용 급동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덮개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급동 드럼의 상기 둘레벽부를 조여 연결하는 연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점검 개구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구와 상기 둘레벽부의 점검 개구 둘레와의 간격을, 상기 점검 개구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구와 상기 둘레벽부의 점검 개구 둘레와의 간격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덮개를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의 이면측에 설치하면,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에 있어서의 점검 개구 둘레가 노출되어, 점검 개구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 상측에 있어서의 점검 개구 둘레에, 곡물짚이나 곡립과의 접촉에 의한 마멸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점검 개구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 상측에 있어서의 점검 개구 둘레에 마멸이 발생해도, 이 마멸이 연결구까지 진행하여 덮개의 설치가 불능이 되는 것을, 점검 개구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 상측에 있어서의 점검 개구 둘레와 연결구와의 간격의 크기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를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의 이면측에 설치하는 것이면서, 급동 드럼의 점검 개구 둘레의 마멸 때문에 덮개를 설치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탈곡 장치용 급동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 덮개가 상기 점검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둘레벽부의 급동 회전 방향의 하류측을 향하는 점검 개구 둘레를 따라서 상기 점검 개구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상기 덮개부의 상기 표면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덮개부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부가, 급동 회전 방향 하측을 향하는 점검 개구 둘레를 따라 점검 개구에 위치하여 상기 점검 개구 둘레에 대한 가드 수단이 되어, 곡물짚이나 곡립이 상기 점검 개구 둘레에 닿는 것을 돌기부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를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의 이면측에 설치하는 것이면서, 급동 드럼의 점검 개구 둘레의 곡물짚이나 곡립과의 접촉에 의한 마멸을 방지하여 장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탈곡 장치용 급동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 구성은, 상기 돌출부는, 상기 덮개와 별개로, 상기 덮개부의 상기 표면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 구성은, 상기 돌출부는, 상기 덮개부의 상기 표면의 덮개 횡폭 방향에서의 일단부에 설치된 띠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 구성은, 상기 돌출부의 표면과, 상기 급동 드럼의 상기 둘레벽부의 표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특징 구성은,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부의 주위에 상기 연결부를 연속 구비한 1장의 판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특징 구성은, 상기 덮개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덮개가 상기 점검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급동 회전 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연결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특징 구성은, 상기 덮개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덮개가 상기 점검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급동 회전 축심 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연결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 구성은, 상기 점검 개구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구는, 상기 덮개의 상기 연결부 중, 급동 회전 방향의 상류측의 위치에 있어서 조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이제부터 발휘하는 효과나 유리한 점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보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자탈형 콤바인을 단순히 "콤바인"이라고도 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자탈형 콤바인(이하, 도 9까지 동일)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콤바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예취부의 횡프레임, 우측 및 좌측 패커, 우측 및 좌측 레이크 장치 부근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6은, 예취부의 우측 및 좌측 패커, 우측 및 좌측 레이크 장치,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 부근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예취부의 우측 및 좌측, 중앙 디바이더(디바이더 프레임), 지지 프레임, 미션 케이스, 우측 및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중할 예취 작업에 있어서, 예취부의 우측 및 좌측, 중앙 디바이더, 우측 및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주변 예취 작업에 있어서, 예취부의 우측 및 좌측, 중앙 디바이더, 우측 및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이하, 도 29까지 동일)의 전체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콤바인의 전체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13은 콤바인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14는 콤바인의 전동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예취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16은 예취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예취부의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8은 예취부의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9는 예취부의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20은 예취부의 주요부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21은 걷어올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22는 레이크 반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23은 레이크 반송 장치 및 공급 반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24는 4조 예취의 작업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5는 3조 예취의 작업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6은 좌측 분초간의 분초 종단부측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좌측 분초간을 저장 자세로 절환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예취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예취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29는 예취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예취부의 정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이하, 도 41까지 동일)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31은 급동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XXXII-XXXII 단면 화살표도이다.
도 33은 급동 드럼의 전개도이다.
도 34는 점검 개구의 폐쇄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XXXV-XXXV 단면 화살표도이다.
도 36은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XXXVII-XXXVII 단면 화살표도이다.
도 38은, 다른 형태 1의 탈곡 장치용 급동의 점검 개구 설치부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XXX IX-XXX IX 단면 화살표도이다.
도 40은 다른 형태 2의 탈곡 장치용 급동의 점검 개구 설치부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XLI-XLI 단면 화살표도이다.
도 42는, 덮개 설치 구조의, 제3 실시 형태와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3은 동 비교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자탈형 콤바인(이하, 도 48까지 동일)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45는 급동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46은 급동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47은 차폐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48은 차폐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도 1,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크롤러 주행 장치(1) 및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2)로 지지된 기체(3)에 있어서, 기체(3)의 전방부에 예취부(4)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기체(3)의 좌측 부분에 자탈형 탈곡 장치(5)가 지지되고, 기체(3)의 우측 부분의 전방측에 운전부(6)가 지지되고, 기체(3)의 우측 부분의 후방측에 호퍼(7)(곡립 회수부에 상당)가 지지되고, 기체(3)의 후방부에 배출 볏짚 세단 장치(8)가 지지되어 자탈형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1, 2)의 사이에, 미션 케이스(9)가 구비되어 기체(3)에 고정되고, 미션 케이스(9)로부터 우측 및 좌측으로 연장된 차축 케이스(10)의 단부에, 우측 및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1, 2)의 스프로킷(1b, 2b)이 지지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3)에 있어서 미션 케이스(9)의 우측 부분[운전 좌석(13)측의 부분)에 엔진(11)이 지지되어 있고, 엔진(11)의 동력이 벨트 전동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미션 케이스(9)에 전달되고, 미션 케이스(9)에 구비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변속되어, 우측 및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1, 2)의 스프로킷(1b, 2b)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9)에 전달된 동력이 벨트 전동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예취부(4)에 전달된다.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1)을 덮도록 운전부(6)가 구성되어 있다. 엔진(11)을 덮는 보닛(12), 보닛(12)의 상부에 지지된 운전 좌석(13), 보닛(12)의 전방측에 구비된 조종부(14), 보닛(12)의 좌측에 구비된 사이드 패널(15) 등을 구비하여, 운전부(6)가 구성되어 있다. 기체(3)의 조향 조작 및 예취부(4)의 승강 조작을 행하는 조작 레버(16)가 조종부(14)에 구비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변속 조작하는 변속 레버(17)가 사이드 패널(15)에 구비되어 있다.
도 1,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전후 방향의 축심(P1) 주위에 회전 가능한 급동(17), 급동(17)의 하측에 구비된 수망(18), 수망(18)의 하측에 구비된 선별부(도시하지 않음), 급동(17)을 따라 배치된 피드 체인(19) 등을 구비하여, 탈곡 장치(5)가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3)의 우측 부분에 있어서 운전부(6)[운전 좌석(13)]의 후방측에서 탈곡 장치(5)의 우측에 호퍼(7)가 지지되고, 호퍼(7)에 2개의 개폐 조작 가능한 배출구(7a)가 구비되어 있어, 탈곡 장치(5)의 1번물 회수부(도시하지 않음)와 호퍼(7)에 걸쳐서 반송 장치(20)가 접속되어, 작업자가 서는 스텝(21)이 구비되어 있다. 기체(3)의 후방부의 거의 전체 폭에 걸쳐서 배출 볏짚 세단 장치(8)가 지지되어 있고, 배출 볏짚 세단 장치(8)는 복수의 원반 커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4]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예취부(4)에 의해 예취된 작물의 밑동이 피드 체인(19)에 건네지고, 작물의 이삭 끝이 가로 쓰러짐 자세로 탈곡 장치(5)의 입구(5a)에 삽입되어, 작물의 이삭 끝이 급동(17)과 수망(18)의 사이에서 탈곡 처리된다. 작물의 이삭 끝에서 분리되어 수망(18)으로부터 누출된 곡립이 선별부에서 선별 처리되고, 1번물 회수부로부터 반송 장치(20)를 통해 호퍼(7)에 공급된다.
스텝(21)에 서는 작업자는, 호퍼(7)의 배출구(7a)의 하측에 회수 주머니(도시하지 않음)를 위치시켜, 곡립을 호퍼(7)의 배출구(7a)로부터 회수 주머니에 공급하는 것이며, 회수 주머니가 가득 차면 회수 주머니를 폐쇄하여 포장에 떨어뜨리고, 호퍼(7)의 배출구(7a)의 하측에 다음 회수 주머니를 위치시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한다.
탈곡 처리가 종료한 작물(배출 볏짚)은, 탈곡 장치(5)로부터 나와 피드 체인(19)으로부터 볏짚 배출 체인(도시하지 않음)에 건네어져 배출 볏짚 세단 장치(8)에 공급되고, 세단 처리되어 포장에 떨어뜨려진다.
[2]
다음으로, 예취부(4)에 있어서, 우측, 중앙 및 좌측 디바이더(29, 30, 31), 예취 장치(28), 우측 및 좌측 걷어올림 장치(33, 34)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3)에 있어서 미션 케이스(9)의 좌측 부분[탈곡 장치(5)측의 부분]에, 파이프 형상의 지지 프레임(22)이 기체 좌우 방향의 축심(P2) 주위에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22)을 승강 조작하는 유압 실린더(23)가 기체(3)와 지지 프레임(22)에 걸쳐서 접속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2)의 전방부에 파이프 형상의 횡프레임(24)이 고정되고, 횡프레임(24)으로부터 우측 디바이더 프레임(25), 좌측 디바이더 프레임(26) 및 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7)이,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전방측에 연장되어 있고, 우측 디바이더 프레임(25)의 전방부에 우측 디바이더(29)가 고정되고, 좌측 디바이더 프레임(26)의 전방부에 좌측 디바이더(30)가 고정되고, 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7)의 전방부에 중앙 디바이더(31)가 고정되어 있다. 분초간(57)이 좌측 디바이더(30)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어,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작용 자세 및 기립한 저장 자세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5, 26, 27)에 걸쳐서 클리퍼 형식의 예취 장치(28)가 지지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장치(28)의 전방측에 있어서, 우측 및 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5, 27)의 사이에 우측 걷어올림 장치(33)가 고정되고, 좌측 및 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6, 27)의 사이에 좌측 걷어올림 장치(34)가 고정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걷어올림 장치(33, 34)의 상부에 걸쳐서 아치 형상의 연결 부재(32)가 고정되고, 중앙 디바이더(31)와 연결 부재(32)에 걸쳐서 둥근 막대 형상의 분초 부재(35)가 고정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2)에 전동축(도시하지 않음)이 내장 되어, 엔진(11)의 동력이 전동축에 전달되고, 전동축이 횡프레임(24)에 삽입되어 있어, 전동축의 동력이 횡프레임(24)에 내장된 전동축(44)에 베벨 기어(43)를 통해 전달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24)에 전동축(48)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되어, 전동축(44)의 동력이 베벨 기어(47)를 통해 전동축(48)에 전달되고, 전동축(48)의 동력이 우측 걷어올림 장치(33)의 상부에 전달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의 지지 프레임(36)이 횡프레임(24)의 좌측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고, 기체 좌우 방향의 중앙측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36)에 전동축(46)이 내장되어, 전동축(44)의 동력이 베벨 기어(45)를 통해 전동축(46)에 전달되고, 전동축(46)의 동력이 좌측 걷어올림 장치(34)의 상부에 전달된다. 구동축(42)이 횡프레임(24)의 우측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지지되고, 전동축(44)의 동력이 베벨 기어(49)를 통해 구동축(42)에 전달되어, 구동축(42)에 의해 예취 장치(28)가 구동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걷어올림 장치(33, 34)는 기복 가능한 걷어올림 발톱(33a, 34a)을 구비하고 있다. 전동축(46, 48)(도 5 참조)의 동력에 의해, 우측 및 좌측 걷어올림 장치(33, 34)의 걷어올림 발톱(33a, 34a)이, 정면에서 봤을 때(도 4 참조) 우측 및 좌측 디바이더(29, 30) 부근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지면을 따라 기체 좌우 중앙측[중앙 디바이더(31)측]으로 이동하고, 정면에서 봤을 때(도 4 참조) 중앙 디바이더(31) 부근으로부터 분초 부재(35)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회전 구동된다.
[3]
다음으로, 예취부(4)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패커(37, 38), 우측 및 좌측 레이크 장치(39, 40), 협지 반송 장치(53) 및 계지 반송 장치(54)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걷어올림 장치(33, 34)의 후방측에서, 횡프레임(24) 및 예취 장치(28)의 상측에, 우측 패커(37) 및 좌측 패커(38)가 구비되고, 우측 및 좌측 패커(37, 38)의 상측에, 우측 레이크 장치(39) 및 좌측 레이크 장치(40)가 구비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축(50)이 전동축(48)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고, 원통축(50)의 하부에 우측 패커(37)가 고정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36)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51)에 좌측 패커(3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 패커(37, 38)는, 평면에서 봤을 때(도 6 참조) 큰 기어 형상을 하고 있어 서로 교합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레이크 장치(39)는, 원통축(5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어 회전정지된 평판 형상의 지지판(39a), 원통축(50)에 고정된 구동 풀리(39b), 지지판(39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종동 풀리(39c), 구동 및 종동 풀리(39b, 39c)에 감겨진 벨트(39d), 벨트(39d)에 구비된 다수의 레이크 발톱(39e)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레이크 장치(40)는, 지지 프레임(51)에 고정된 평판 형상의 지지판(40a), 좌측 패커(38)에 구비된 구동 풀리(38a), 지지판(4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종동 풀리(40b), 구동 및 종동 풀리(38a, 40b)에 감겨진 벨트(40c), 벨트(40c)에 구비된 다수의 레이크 발톱(40d)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7)에 둥근 막대 형상의 우측 안내 부재(55)가 고정되어 외팔보 형상으로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우측 안내 부재(55)의 후방부가 우측 레이크 장치(39)[레이크 발톱(39e)]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7)에 둥근 막대 형상의 좌측 안내 부재(56)가 고정되어 외팔보 형상으로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좌측 안내 부재(56)의 후방부가 좌측 레이크 장치(40)[레이크 발톱(40d)]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축(48)으로부터 우측 걷어올림 장치(33)의 상부에 전달된 동력이 분기하여 원통축(50)의 상부에 전달되어, 원통축(50)이 도 6의 종이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로써, 우측 패커(37) 및 우측 레이크 장치(39)[벨트(39d)]가, 도 6의 종이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이고, 우측 패커(37)에 연동하여 좌측 패커(38)가 도 6의 종이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좌측 레이크 장치(40)[벨트(40c)]가 도 6의 종이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 1, 도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2)의 상측에 협지 반송 장치(53)가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지지되어 있다. 협지 반송 장치(53)는 돌기가 달린 반송 체인(53a), 및 반송 체인(53a)을 따라 배치된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반송 체인(53a)이 도 6의 종이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 1, 도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 반송 장치(53)의 상측에 계지 반송 장치(54)가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지지되어 있다. 계지 반송 장치(54)는 기복 가능한 계지 발톱(54a), 및 계지 발톱(54a)을 따라 배치된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계지 발톱(54a)이 도 6의 종이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4]
다음으로, 예취부(4)에 있어서 작물의 예취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중앙 디바이더(29, 31)의 사이에 유입된 작물이 우측 걷어올림 장치(33)에 의해 일으켜지고, 작물의 밑동이 우측 패커(37) 및 우측 레이크 장치(39)[레이크 발톱(39e)]에 의해 우측 안내 부재(55)를 향해 보내지면서 작물의 밑동이 예취 장치(28)에 의해 예취된다. 좌측 및 중앙 디바이더(30, 31)의 사이에 유입된 작물이 좌측 걷어올림 장치(34)에 의해 일으켜지면서, 작물의 밑동이 좌측 패커(38) 및 좌측 레이크 장치(40)[레이크 발톱(40d)]에 의해 좌측 안내 부재(56)를 향해 보내지면서, 작물의 밑동이 예취 장치(28)에 의해 예취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패커(37) 및 우측 레이크 장치(39)[레이크 발톱(39e)]와 우측 안내 부재(55)와의 사이에 보내진 작물, 및, 좌측 패커(38) 및 좌측 레이크 장치(40)[레이크 발톱(40d)]와 좌측 안내 부재(56)와의 사이에 보내진 작물이, 우측 및 좌측 패커(37, 38)의 사이에 합류되고, 우측 및 좌측 레이크 장치(39, 40)의 사이에 합류되고, 합류된 작물의 밑동이 협지 반송 장치(53)의 시단부에 건네어져, 합류된 작물의 이삭 끝이 계지 반송 장치(54)의 시단부에 건네진다.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에 의해 작물이 가로 쓰러짐 자세로 변경되면서 후방측으로 반송되고, 가로 쓰러짐 자세의 작물의 밑동이 피드 체인(19)의 시단부에 건네어져, 상기 [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에서 작물이 탈곡 처리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의 종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가 일체로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를 상하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합류된 작물을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가 수취하는 위치를 볏짚 길이 방향을 따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피드 체인(19)이 수취하는 작물의 밑동의 위치를 볏짚 길이 방향을 따라 변경할 수 있다.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를 상하로 요동 조작하는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고, 작물의 이삭 끝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52)가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에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위치 센서(52)의 검출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에 의해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가 자동적으로 상하로 요동 조작되어, 피드 체인(19)이 수취하는 작물의 밑동의 위치가 볏짚 길이 방향을 따라 변경되어, 작물의 길이에 관계없이, 피드 체인(19)으로부터 탈곡 장치(5)에 들어가는 작물의 길이가 설정치로 유지된다(작물의 탈곡 깊이 제어).
[5]
다음으로, 예취부(4)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레이크 장치(39, 40),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 등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4)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패커(37, 38), 우측 및 좌측 레이크 장치(39, 40)가 거의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에 반해,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는 예취부(4)의 좌측 부분[운전부(6)의 반대측][탈곡 장치(5)측]에 편위해서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패커(37, 38)가 거의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반해, 좌측 레이크 장치(40)보다도 우측 레이크 장치(39)가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평면에서 봤을 때(도 6 참조), 우측 레이크 장치(39)의 레이크 발톱(39e)의 전방측의 통과 궤적과 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7)과의 사이의 각도(A11)와, 좌측 레이크 장치(40)의 레이크 발톱(40d)의 전방측의 통과 궤적과 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7)과의 사이의 각도(A12)에 있어서, 각도(A11)와 각도(A12)가 거의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고, 각도(A11, A12)가 90°에 가까운 값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우측 레이크 장치(39)의 레이크 발톱(39e)의 전방측의 통과 궤적, 및 좌측 레이크 장치(40)의 레이크 발톱(40d)의 전방측의 통과 궤적이, 기체 좌우 방향을 따른 상태로 되어 있어, 횡프레임(24)을 따른 상태로 되어 있다.
평면에서 봤을 때(도 6 참조), 우측 및 좌측 레이크 장치(39, 40)의 레이크 발톱(39e, 40d)의 전방측의 통과 궤적의 사이의 각도(A1)[각도(A11, A12)의 합]와, 좌측 레이크 장치(40)의 레이크 발톱(40d)의 전방측의 통과 궤적과 협지 반송 장치(53)의 반송 체인(53a)의 전방측의 통과 궤적과의 사이의 각도(B1)에 있어서, 각도(A1)가 각도(B1)보다도 큰 값으로 되어 있다. 상기 [4]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의 자동적인 상하 요동 조작이 행해지고, 작물의 탈곡 깊이 제어가 행해진 경우, 각도(B1)가 변화되어도, 변화되는 각도(B1)의 최대치보다 각도(A1)가 큰 값이 된다[변화하는 각도(B1)의 최대치가 각도(A1)보다도 작은 값이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A1)[각도(A11, A12)]가 크고, 각도(B1)가 작게 됨으로써, 우측 및 좌측 레이크 장치(39, 40)의 레이크 발톱(39e, 40d)의 전방측의 통과 궤적으로부터,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의 종단부까지의 기체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아져, 예취부(4)의 기체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아진다.
각도(B1)가 작아지면,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의 시단부가 운전부(6)[사이드 패널(15)의 전방부(15a)]에 접근하게 된다. 이 경우, 사이드 패널(15)의 전방부(15a)가 경사지게 절결되어 있어,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의 시단부가 사이드 패널(15)의 전방부(15a)의 전방측에 간섭받지 않고 유입된다.
우측 및 좌측 걷어올림 장치(33, 34)가 정면에서 봤을 때(도 3 및 도 4 참조) 삼각 형상인 점[우측 및 좌측 걷어올림 장치(33, 34)의 하부에 비해, 우측 및 좌측 걷어올림 장치(33, 34)의 상부의 기체 좌우 방향의 폭이 작은 점], 지지 프레임(36)이 기체 좌우 방향의 중앙측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도 5 참조), 및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의 시단부가 운전부(6)[사이드 패널(6)의 전방부(15a)]에 접근하고 있는 점에 의해(도 6 참조), 좌측 걷어올림 장치(34)의 좌측(도 3 및 도 4의 종이면 우측), 및,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의 좌측(도 3 및 도 6의 종이면 우측)에 비교적 큰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분초간(57)을 기립한 저장 자세로 조작할 때, 분초간(57)을 상술한 공간에 충분히 유입되도록 하여 저장 자세로 조작함으로써, 저장 자세에 있어서 분초간(57)이 예취부(4)로부터 좌측으로 그다지 나오지 않는 상태가 된다.
분초간(57)을 저장 자세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도, 좌측 걷어올림 장치(34)의 좌측(도 3 및 도 4의 종이면 우측), 및,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의 좌측(도 3 및 도 6의 종이면 우측)에, 비교적 큰 공간이 형성되게 되므로, 침탈곡 작업[기체(3) 및 예취부(4)를 정지시키고, 탈곡 장치(5) 및 피드 체인(19)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이미 예취한 작물을 포장의 작업자가 손으로 피드 체인(19)의 시단부에 공급하여, 작물의 탈곡 처리를 행하는 작업]을 편하게 행할 수 있다.
[6]
다음으로, 예취부(4) 및 각 부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도 4,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디바이더(29)의 선단부의 위치[우측 디바이더 프레임(25)]와, 우측 크롤러 주행 장치(1)의 우측 단부(1a)가, 정면에서 봤을 때(도 4 참조) 거의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데{또는, 우측 디바이더(29)의 선단부의 위치[우측 디바이더 프레임(25)]}, 우측 크롤러 주행 장치(1)의 우측 단부(1a) 보다도, 정면에서 봤을 때(도 4 참조) 약간 기체 좌우 방향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다. 좌측 디바이더(30)의 선단부의 위치[좌측 디바이더 프레임(26)]와,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2)의 좌측 단부(2a)가, 정면에서 봤을 때(도 4 참조) 거의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3, 도 4,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디바이더(29, 30)의 사이의 대략 중앙 위치에 중앙 디바이더(31)가 위치하고 있고, 우측 및 중앙 디바이더(29, 31)의 선단부[우측 및 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5, 27)]의 기체 좌우 방향의 간격(L1)과, 좌측 및 중앙 디바이더(30, 31)의 선단부[좌측 및 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6, 27)]의 기체 좌우 방향의 간격(L2)에 있어서, 간격(L1)과 간격(L2)이 거의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다. 평면에서 봤을 때(도 6 참조), 우측 및 좌측 걷어올림 장치(33, 34)의 걷어올림 발톱(33a, 34a) 선단부의 바로 아래에, 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7)이 위치하고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1, 2)의 우측 및 좌측 단부(1a, 2a) 사이의 대략 중앙 위치에 미션 케이스(9)가 구비되어 있고, 우측 크롤러 주행 장치(1)의 우측 단부(1a)와 미션 케이스(9)와의 기체 좌우 방향의 간격(L3)과,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2)의 좌측 단부(2a)와 미션 케이스(9)와의 기체 좌우 방향의 간격(L4)에 있어서, 간격(L3)과 간격(L4)이 거의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디바이더(31)[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7)]의 후방(바로 뒤)에 미션 케이스(9)가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미션 케이스(9)의 좌측 부분[탈곡 장치(5)측의 부분]에 지지 프레임(22)이 구비되고, 횡프레임(24)의 기체 좌우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좌측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지지 프레임(22)이 고정된 상태[횡프레임(24)에 있어서의 좌측 및 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6, 27) 사이의 부분에 지지 프레임(22)이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어, 예취부(4) 전체의 무게 중심이 지지 프레임(22)에 위치하고 있다. 간격(L1)과 간격(L3)이 거의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고, 간격(L2)과 간격(L4)이 거의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13)[운전부(6)]의 기체 좌우 방향의 중앙부와 중앙 디바이더(31)[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7)][미션 케이스(9)]와의 사이의 기체 좌우 방향의 간격(L5)과, 급동(17)이 회전 구동되는 축심(P1)과 중앙 디바이더(31)[중앙 디바이더 프레임(27)][미션 케이스(9)]와의 사이의 기체 좌우 방향의 간격(L6)에 있어서, 간격(L5)과 간격(L6)이 거의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다.
정면에서 봤을 때(도 4 참조), 운전 좌석(13)[운전 좌석(13)의 자리부]과 탈곡 장치(5)의 입구(5a)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어, 평면에서 봤을 때(도 3 참조), 운전 좌석(13)[운전 좌석(13)의 등받이부]의 옆(바로 옆)에 탈곡 장치(5)의 입구(5a)가 위치하고 있다.
[7]
다음으로, 예취부(4)와 포장의 식부조와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물(C11, C12, C2)이, 간격(L7)(예를 들어 300mm 정도)으로 심어져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간격(L1, L2)이 간격(L7)보다도 크고, 간격(L7)의 2배보다 조금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할 예취 작업에 있어서, 우측 및 중앙 디바이더(29, 31)의 사이에 미예취 작물(C11)의 2개의 식부조(D11)가 유입되도록, 좌측 및 중앙 디바이더(30, 31)의 사이에 미예취 작물(C11)의 2개의 식부조(D11)가 유입되도록, 기체(3)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며, 상기 [4]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4개의 식부조(D11)의 미예취 작물(C11)이 예취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중할 작업에 있어서, 우측 디바이더(29)의 선단부 및 우측 크롤러 주행 장치(1)의 우측 단부(1a)가, 예취되는 미예취 작물(C11)의 식부조(D11)와, 예취되지 않는 미예취 작물(C12)의 식부조(D1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우측 크롤러 주행 장치(1)가 예취되지 않는 미예취 작물(C12)을 밟지 않는다[우측 크롤러 주행 장치(1)의 우측 단부(1a)가 포장의 흙을 우측으로 밀어내어도, 포장의 흙이 예취되지 않는 미예취 작물(C12)의 밑동에 체류하는 일이 적다].
도 8에 나타내는 중할 작업에 있어서, 좌측 디바이더(30)의 선단부 및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2)의 좌측 단부(2a)가, 예취되는 미예취 작물(C11)의 식부조(D11)와, 예취되지 않는 미예취 작물(C12)의 식부조(D1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2)가 예취되지 않는 미예취 작물(C12)을 밟지 않는다[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2)의 좌측 단부(2a)가 포장의 흙을 좌측으로 밀어내어도, 포장의 흙이 예취되지 않는 미예취 작물(C12)의 밑동에 체류하는 일이 적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예취 작업(포장의 작물의 외주 부분을 예취하는 작업)에 있어서, 우측 디바이더(29)의 선단부가 이미 예취한 작물(C2)의 식부조(D2)에 위치하도록 기체(3)의 위치를 설정한다. 이로써, 우측 및 중앙 디바이더(29, 31)의 사이에 미예취 작물(C11)의 1개의 식부조(D11)가 유입되고, 좌측 및 중앙 디바이더(30, 31)의 사이에 미예취 작물(C11)의 2개의 식부조(D11)가 유입되어, 상기 [4]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3개의 식부조(D11)의 미예취 작물(C11)이 예취된다.
도 9에 나타내는 주변 예취 작업에 있어서, 좌측 디바이더(30)의 선단부 및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2)의 좌측 단부(2a)가, 예취되는 미예취 작물(C11)의 식부조(D11)와, 예취되지 않는 미예취 작물(C12)의 식부조(D1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2)가 예취되지 않는 미예취 작물(C12)을 밟지 않는다[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2)의 좌측 단부(2a)가 포장의 흙을 좌측으로 밀어내어도, 포장의 흙이 예취되지 않는 미예취 작물(C12)의 밑동에 체류하는 일이 적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1>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우측 디바이더(29)의 선단부의 위치[우측 디바이더 프레임(25)]가, 우측 크롤러 주행 장치(1)의 우측 단부(1a) 보다도, 정면에서 봤을 때(도 4 참조) 약간 기체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좌측 디바이더(30)의 선단부의 위치[좌측 디바이더 프레임(26)]가, 좌측 크롤러 주행 장치(2)의 좌측 단부(2a) 보다도, 정면에서 봤을 때(도 4 참조) 약간 기체 좌우 방향의 중앙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2>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1>에 있어서, 호퍼(7) 대신에 그레인 탱크(도시하지 않음)(곡립 회수부)를 구비하여, 그레인 탱크에 곡립을 저장하도록 구성하고, 그레인 탱크의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해도 좋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3>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1><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2>에 있어서, 운전부(6), 호퍼(7)(그레인 탱크) 및 엔진(11) 등을 기체(3)의 좌측 부분에 구비하고, 탈곡 장치(5), 피드 체인(19), 지지 프레임(22), 협지 및 계지 반송 장치(53, 54)를 기체(3)의 우측 부분에 구비하여, 자탈형 콤바인을 구성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콤바인의 전체 좌측면도, 도 11은 콤바인의 전체 우측면도, 도 1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13은 콤바인의 전체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콤바인은, 기체(101)의 전방부 우측에 운전부(102)를 형성하고 있다. 기체(101)의 전방부 좌측에는, 작업 주행시에 수도나 보리 등의 작물(C)의 곡물짚을 예취하여 반송하는 예취부(103)를 승강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기체(101)의 좌측 절반부에는, 예취부(103)가 반송하는 예취 후의 곡물짚을 수취하고, 그 예취 후의 곡물짚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여, 이 탈곡 처리에서 얻은 처리물에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 장치(104)를 탑재하고 있다. 탈곡 장치(104)의 후방부에는, 탈곡 처리 후의 곡물짚인 배출 볏짚을 차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볏짚 처리 장치(105)를 연결하고 있다. 기체(101)의 후방부 우측에는, 리프팅 스크류(106)가 반송하는 탈곡 장치(104)로부터의 단립화 곡립을 저장하고, 저장한 단립화 곡립의 포장을 가능하게 하는 호퍼(곡립 회수부에 상당)(107)를 탑재하고 있다.
도 14는 콤바인의 전동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101)는, 차체 프레임(108)에 탑재한 엔진(109)으로부터의 동력을, 벨트식 전동 장치(110), 미션 케이스(111)에 일체로 장비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이하, HST라고 약칭함)(112), 및, 미션 케이스(111)의 내부에 구비한 주행 전동계(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해, 차체 프레임(108)의 하부에 구비한 좌우 한 쌍의 크롤러(113A, 113B)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 또는 부호의 부설은 생략하지만, 차체 프레임(108)은, 각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사이드 멤버나 크로스 멤버에 의해 형성한 기체 프레임에, 다양한 강재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나 지지 부재 등의 다수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엔진(109)은, 수냉식으로, 차체 프레임(108)에 있어서의 전방부의 우측 부분에 라디에이터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111)는, 좌우 2 분할 구조로, 차체 프레임(108)에 있어서의 전방부의 좌우 중앙측 부분에 차체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미션 케이스(111)의 내부에는, 대응하는 크롤러(113A, 113B)를 제동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등을 구비하고 있다. HST(112)는, 미션 케이스(111)에 있어서의 좌측 케이스 상부에 위치하고, 변속 후의 동력을 주행용으로서 주행 전동계에 전달한다. 주행 전동계는, 대응하는 크롤러(113A, 113B)에 대한 전동을 단속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클러치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우 크롤러(113A, 113B)는, 대응하는 사이드 클러치를 통해 전달된 동력으로 작동하고, 대응하는 사이드 브레이크의 작동으로 제동한다. 좌우 사이드 클러치 및 사이드 브레이크는 유압 조작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기체(101)에 있어서는, HST(112) 대신에 기어식 변속 장치를 미션 케이스(111)의 내부에 구비하고, 엔진(109)으로부터의 동력을, 벨트식 전동 장치(110), 기어식 변속 장치, 및 사이드 클러치 등을 통해 좌우 크롤러(113A, 113B)로 전달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주행 전동계에, HST(112)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을 변속하는 부 변속 장치를 장비해도 좋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102)는, 차체 프레임(108)의 전방부 우측에, 프론트 패널(114), 사이드 패널(115), 및 엔진 커버(116) 등을 배치하고, 차체 우측으로부터의 승강이 가능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우측 단부가, 우측 크롤러(113B)의 우측 단부(차체 가로 외측의 단부)(113Ba) 보다도 차체 우측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114)에는, 십자 요동식으로 중립 복귀형의 조종 레버(117) 등이 장비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115)에는, 요동식으로 위치 유지형의 변속 레버(118) 등이 장비되어 있다. 엔진 커버(116)에는 운전 좌석(119)이 장비되어 있다.
도 15는 예취부(103)의 좌측면도, 도 16은 예취부(103)의 우측면도, 도 17은 예취부(103)의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103)는, 차체 프레임(108)의 전방부 좌측에 승강 요동 가능하게 연결한 지지 프레임(예취 프레임)(120)에, 3개의 디바이더(121A~121C), 좌우 한 쌍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 클리퍼형의 예취 장치(123), 좌우 한 쌍의 레이크 반송장치(124A, 124B), 및 공급 반송 장치(125)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디바이더(121A~121C)를 좌우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그들 디바이더(121A~121C) 중 인접하는 2개 사이에, 좌우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걷어올림 장치(122A, 122B)를 배치함으로써, 예취부(103)의 전방부에 좌우 한 쌍의 걷어올림 틀(126A, 126B)을 형성하고 있다.
3개의 디바이더(121A~121C)는, 예취부(103)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좌측 디바이더(121A), 예취부(103)의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우측 디바이더(121B), 및 그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디바이더(121C)이며, 작업 주행시에 수확 대상이 되는 작물(C)의 곡물짚을 걷어올림 틀(126A, 126B) 마다 나눈다.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는, 대응하는 디바이더(121A~121C)의 사이에 도입된 작물(C)의 곡물짚을 일으킨다. 예취 장치(123)는,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가 일으킨 작물(C)의 곡물짚을 예취한다.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는, 예취 후의 곡물짚을 예취부(103)의 좌우 중앙부에 설치한 곡물짚 통과부(127)를 향해 레이크 반송하여, 곡물짚 통과부(127)를 통과시킨다. 공급 반송 장치(125)는, 곡물짚 통과부(127)를 통과한 곡물짚을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로부터 수취하고, 수취한 곡물짚을, 수취 시의 기립 자세에서 탈곡용의 우측 쓰러짐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서 탈곡 장치(104)를 향해 공급 반송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103)에는, 엔진(109)으로부터의 동력을, 벨트식 전동 장치(110), HST(112)의 입력축(128), 및 벨트 텐션식 예취 클러치(129) 등을 통해 전달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HST(112)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을 예취부(103)에 전달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예취 반송 전용의 변속 장치를 구비하여, 엔진(109)으로부터의 동력을, 벨트식 전동 장치(110), HST(112)의 입력축(128), 예취 반송 전용의 변속 장치, 및 예취 클러치(129) 등을 통해 예취부(103)에 전달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예취 반송 전용의 변속 장치에는 기어식의 변속 장치나 HST 등을 도입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103)는, 차체 프레임(108)과 지지 프레임(120)에 걸쳐 가설한 승강 실린더(130)의 작동에 의해 승강 요동한다. 승강 실린더(130)에는 단동형의 유압 실린더를 도입하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조종 레버(117)는, 그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기초하여 승강 실린더(130)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승강용의 유압 제어계를 통해 승강 실린더(130)에 연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종 레버(117)를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예취부(103)를, 하한측의 작업 영역과 상한측의 비작업 위치에 걸쳐 승강 요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작업 영역에서는, 예취부(103)의 승강 요동에 의해, 수확하는 작물(C)에 대한 예취 장치(123)의 높이 위치를 조절하는 예취 높이 조절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종 레버(117)는, 그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기초하여, 그 조작 방향에 따른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및 사이드 브레이크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조타용의 유압 제어계를 통해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및 사이드 브레이크에 연계되어 있다. 변속 레버(118)는, 그 요동 조작에 기초하여 HST(112)가 작동하도록, HST(112)의 변속 조작축에 연계 기구를 통해 연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변속 레버(118)를 요동 조작함으로써, 좌우 크롤러(113A, 113B)를, 정지 상태와 전진 구동 상태와 후진 구동 상태로 무단계로 바꿀 수 있다. 또한, 전진 구동 상태와 후진 구동 상태의 각각에 있어서는, 좌우 크롤러(113A, 113B)의 구동 속도를 무단계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전진 구동 상태 또는 후진 구동 상태에 있어서, 조종 레버(117)를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주행 상태를, 좌우 크롤러(113A, 113B)를 등속 구동시키는 직진 상태와, 클러치 조작으로 좌우 크롤러(113A, 113B)를 차동시키는 완선회 상태와, 좌우 일방(선회 내측)의 크롤러(113A, 113B)를 제동하는 급선회 상태로 바꿀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4)는, 그 좌측부에 구비한 협지 반송 기구(131)가, 좌측 크롤러(113A)의 좌측 단부(차체 가로 외측의 단부)(113Aa) 보다도 차체 좌측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그 협지 반송 기구(131)에 의해, 예취부(103)로부터 우측 쓰러짐 자세로 반송된 곡물짚의 밑동측을 수취하는 동시에, 그 곡물짚의 이삭 끝측이 탈곡 장치(104)의 내부에 공급되도록, 예취부(103)로부터의 곡물짚을 후방의 배출 볏짚 처리 장치(105)를 향해 협지 반송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탈곡 장치(104)의 내부에 구비한 급동에 의해, 그 내부에 공급한 곡물짚의 이삭 끝측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고, 탈곡 장치(104)의 내부에 구비한 체로 치는 식이나 풍력식 등의 선별 기구에 의해, 그 탈곡 처리로 얻은 처리물에 선별 처리를 실시한다. 이 선별 처리로 얻은 단립화 곡립은 1번 회수부에 회수하고, 1번 스크류에 의해 리프팅 스크류(106)를 향해 반송한다. 미 단립화 곡립 등은 2번 회수부에 회수하여, 2번 스크류에 의해 2번 환원 장치에 반송하고, 2번 환원 장치에 있어서 재탈곡 처리를 실시한 후, 선별 기구에 의한 재선별 처리가 실시되도록, 2번 환원 장치에 의해 선별 기구를 향해 반송한다.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의 먼지들는, 탈곡 장치(104)의 후단부에 형성한 배진구로부터 차외부로 배출한다. 탈곡 장치(104)에 구비한 협지 반송 기구(131), 급동, 선별 기구, 1번 스크류, 2번 스크류, 및 2번 환원 장치 등은, 리프팅 스크류(106)와 함께, 탈곡 클러치 등을 통해 전달되는 엔진(109)으로부터의 동력으로 작동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볏짚 처리 장치(105)는, 그 상부에 구비한 배출 볏짚 반송 기구(132)에 의해, 협지 반송 기구(131)에 의해 탈곡 장치(104)로부터 반출된 배출 볏짚을 수취하여 후방을 향해 반송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배출 볏짚을 긴 상태로 차 외부로 방출하는 긴 짚 방출 상태와, 내부에 구비한 디스크 커터에 의해 배출 볏짚을 세단하는 세단 처리를 실시한 후에 차 외부로 방출하는 세단 방출 상태로, 배출 볏짚 방출 형태의 전환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출 볏짚 반송 기구(132) 및 디스크 커터는 엔진(109)으로부터의 동력으로 작동한다.
도 18은 예취부(103)의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19는 예취부(103)의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 도 20은 예취부(103)의 주요부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20)은, 그 후단부에 기체(101)에 연결하는 좌우방향의 연결 부재(133)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133)는, 예취부(103)를 승강 요동할 때의 요동 지지점이 되도록 둥근 파이프 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133)에는,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기체(101)의 전방부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 부재(134)가 연결되어 있다. 연장 부재(134)의 연장 단부에는, 예취부(103)의 저부에 위치하는 중간 부재(135)를 좌우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중간 부재(135)는, 그 좌우 중간부보다도 좌측의 위치에, 연장 부재(134)에 대한 연결부(135A)를, 그 배면으로부터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 후방을 향해 연장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중간 부재(135)의 좌측 단부에는, 좌측 디바이더(121A)를, 그 전방부측이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연결하고 있다. 또한, 좌측의 걷어올림 장치(122A)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36)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중간 부재(135)의 우측 단부에는, 우측 디바이더(121B)를,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 전방을 향해 연장하도록 연결하고 있다. 중간 부재(135)의 좌우 중간부에는, 중앙 디바이더(121C)를,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 전방을 향해 연장하도록 연결하고 있다.
연결 부재(133)의 내부에는, 예취 클러치(129)의 출력 풀리(137)와 일체로 회전하는 입력축(138)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연장 부재(134)의 내부에는, 한 쌍의 베벨 기어(139)를 통해 입력축(138)과 연동하는 전동축(14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중간 부재(135)의 내부에는, 한 쌍의 베벨 기어(141)를 통해 전동축(140)과 연동하는 전후방향의 중계축(142)이나, 한 쌍의 베벨 기어(143)를 통해 중계축(142)과 연동하는 동력 분배축(14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136)의 내부에는, 한 쌍의 베벨 기어(145)를 통해 동력 분배축(144)과 연동하는 좌측 전동축(146) 등을 구비하고 있다. 중간 부재(135)의 우측 단부에는, 한 쌍의 베벨 기어(147)를 통해 동력 분배축(144)과 연동하는 우측 전동축(148)을, 우측 걷어올림 장치(122B)를 향해 세워 설치하고 있다.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디바이더(121A)는, 중간 부재(135)의 좌측 단부에 연결한 L자 형상의 좌측 분초 파이프(149A)의 전단부에, 좌측 분초 지지간(150A)을 통해 판금제의 좌측 분초구(151A)를 연결함으로써, 예취부(103)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측 디바이더(121B)는, 중간 부재(135)의 우측 단부에 연결한 우측 분초 파이프(149B)의 전단부에, 우측 분초 지지간(150B)을 통해 판금제의 우측 분초구(151B)를 연결함으로써, 예취부(103)의 우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앙 디바이더(121C)는, 중간 부재(135)의 좌우 중간부에 연결한 중앙 분초 파이프(149C)의 전단부에, 중앙 분초 지지간(150C)을 통해 판금제의 중앙 분초구(151C)를 연결함으로써, 예취부(103)의 대략 좌우 중간 위치에 위치하도록[좌측 분초구(151A)와 우측 분초구(151B)의 사이의 대략 좌우 중간 위치에 중앙 분초구(151C)가 위치하도록]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디바이더(121A~121C)는, 이웃하는 2개의 디바이더(121A, 121C 또는 121B, 121C)의 사이에 최대 2조의 작물(C)의 도입이 가능해지도록, 좌우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어 배치하고 있다. 또한, 예취부(103)를 작업 영역에 위치시킨 경우에, 그들의 자세가 수평 자세 또는 대략 수평 자세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1은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는 좌우 대칭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는, 그들의 걷어올림 케이스(152A, 152B)의 상부에 입력축(153A, 153B)을 구비하고 있다. 각 걷어올림 케이스(152A, 152B)의 내부에는, 입력축(153A, 153B)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 스프로킷(154A, 154B), 구동 스프로킷(154A, 154B)의 가로 측방에 인접하는 텐션 스프로킷(155A, 155B), 걷어올림 케이스(152A, 152B)의 하부에 배치한 제1 가이드 롤러(156A, 156B)와 제2 가이드 롤러(157A, 157B), 및, 그것들에 걸쳐서 감아 건 무단 체인(158A, 158B) 등을 구비하고 있다. 각 무단 체인(158A, 158B)에는, 복수의 걷어올림 발톱(159A, 159B)을 일정 피치로 정렬 배치하여 구비하고 있다. 각 걷어올림 발톱(159A, 159B)은, 그들의 헐거운 단부측이 걷어올림 케이스(152A, 152B)의 내부에 위치하는 저장 자세와, 걷어올림 케이스(152A, 152B)의 외측에 연장되어 작물(C)에 작용하는 작용 자세로, 그것들을 무단 체인(158A, 158B)에 연결하는 연결 핀(160A, 160B)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한다. 제1 가이드 롤러(156A, 156B)와 제2 가이드 롤러(157A, 157B)의 사이에는, 걷어올림 발톱(159A, 159B)을 하향의 작용 자세로 유지하는 제1 가이드 레일(161A, 161B)을 배치하여 구비하고 있다. 제2 가이드 롤러(157A, 157B)와 구동 스프로킷(154A, 154B)의 사이에는, 걷어올림 발톱(159A, 159B)을 횡방향의 작용 자세로 유지하는 제2 가이드 레일(162A, 162B)을 배치하여 구비하고 있다.
좌측의 걷어올림 장치(122A)는, 그 입력축(153A)이 한 쌍의 베벨 기어(163)를 통해 좌측 전동축(146)과 연동한다. 이 연동에 의해, 그 무단 체인(158A)이 정면에서 봤을 때 우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각 걷어올림 발톱(159A)이, 제1 가이드 레일(161A)에 의해 하향의 작용 자세로 유지되는 영역(Aa1)에서는, 예취부(103)의 좌측 단부측으로부터 좌우 중앙측을 향해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좌측 디바이더(121A)와 중앙 디바이더(121C)의 사이에 도입된 최대 2조의 작물(C)의 곡물짚을 예취부(103)의 좌우 중앙측을 향해 레이크하여 안내한다. 또한, 제2 가이드 레일(162A)에 의해 횡방향의 작용 자세로 유지되는 영역(Aa2)에서는, 걷어올림 케이스(152A)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레이크 안내 후의 작물(C)의 곡물짚을 걷어올린다.
우측의 걷어올림 장치(122B)는, 그 입력축(153B)이 체인식 전동 기구(164)와 한 쌍의 베벨 기어(165)를 통해 우측 전동축(148)과 연동한다. 이 연동에 의해, 그 무단 체인(158B)이 정면에서 봤을 때 좌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각 걷어올림 발톱(159B)이, 제1 가이드 레일(161B)에 의해 하향의 작용 자세로 유지되는 영역(Ab1)에서는, 예취부(103)의 우측 단부측으로부터 좌우 중앙측을 향해 이동하고,이 이동에 의해, 우측 디바이더(121B)와 중앙 디바이더(121C)의 사이에 도입된 최대 2조의 작물(C)의 곡물짚을 예취부(103)의 좌우 중앙측을 향해 레이크하여 안내한다. 또한, 제2 가이드 레일(162B)에 의해 횡방향의 작용 자세로 유지되는 영역(Ab2)에서는, 걷어올림 케이스(152B)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레이크 안내 후의 작물(C)의 곡물짚을 걷어올린다.
즉,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에는, 그것들에 구비한 복수의 걷어올림 발톱(159A, 159B)에 의해, 3개의 디바이더(121A~121C) 중 대응하는 것들 사이에 도입된 작물(C)의 곡물짚을 예취부(103)의 좌우 중앙측을 향해 레이크 안내하는 안내 영역(Aa1, Ab1)과, 레이크 안내한 작물(C)의 곡물짚을 걷어올리는 걷어올림 영역(Aa2, Ab2)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의 걷어올림 장치(122A)는, 예취부(103)의 입력축(138)으로부터, 전동축(140), 중계축(142), 동력 분배축(144), 및 좌측 전동축(146) 등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이 작동에 의해, 좌측 디바이더(121A)와 중앙 디바이더(121C)의 사이에 도입된 최대 2조의 작물(C)의 곡물짚을 걷어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걷어올림 장치(122B)는, 예취부(103)의 입력축(138)으로부터, 전동축(140), 중계축(142), 동력 분배축(144), 우측 전동축(148), 및 체인식 전동 기구(164) 등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이 작동에 의해, 우측 디바이더(121B)와 중앙 디바이더(121C)의 사이에 도입된 최대 2조의 작물(C)의 곡물짚을 걷어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좌우의 걷어올림 프레임(126A, 126B)을 최대 2조의 곡물짚을 걷어올리는 2조용으로 구성할 수 있고, 예취부(103)를, 좌우 한 쌍의 걷어올림 프레임(126A, 126B)에 의해 최대 4조의 작물(C)의 수확을 행하는 2프레임 4조 예취 사양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4개의 디바이더와 3개의 걷어올림 장치를 구비하여 최대 4조의 작물(C)의 수확을 행하도록 구성한 일반적인 3프레임 4조 예취 사양의 예취부와 비교하고, 동일한 넓은 작업 폭을 갖도록 구성하면서, 구성의 간소화나 비용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에 안내 영역(Aa1, Ab1)과 걷어올림 영역(Aa2, Ab2)을 형성함으로써, 구성의 간소화가 꾀해진 2프레임 4조 사양이면서, 4조의 작물짚을 원활하면서 양호하게 걷어올릴 수 있다.
게다가, 예취부(103)를,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의 상부에 걸쳐, 그것들의 상부에 배치한 입력축(153A, 153B)을 연동 연결하기 위한 중량이 큰 축식 전동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아치리스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의 상부에 걸쳐 축식 전동 기구를 설치하는 아치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에 비해, 예취부(103)의 무게 중심 위치를 낮게 할 수 있어, 차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도시는 생략하지만, 3프레임 4조 예취 사양의 예취부에 아치리스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예취부의 좌우 중앙측에 배치하는 걷어올림 장치에 대한 전동계를, 곡물짚의 반송 통로의 하방이 되는 예취부의 좌우 중앙측의 저부에 배치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위치에 전동계를 배치하면, 전동계의 케이스 상에 진흙이나 잡초 등의 이물질이 퇴적되기 쉬워지고, 이 퇴적한 이물질에 곡물짚이 접촉하면, 곡물짚의 반송 자세에 흐트러짐이 발생하게 되고, 이 흐트러짐에 기인하여, 공급 반송 장치(125)에 의해 곡물짚을 탈곡 장치(104)를 향해 반송할 때의 이삭 끝측의 정렬이 나빠진다. 그러면, 탈곡 장치(104)에서의 탈곡 처리 시에 탈곡 잔류가 발생하기 쉬워져,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기 쉽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관한 예취부(103)는, 4조 예취이면서 좌우 중앙측의 걷어올림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2프레임 4조 예취 사양이므로, 그러한 이물질의 퇴적에 기인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걷어올림 케이스(152A)는, 그 하부를 좌측 분초 파이프(149A)에 좌측 지지 부재(166A)를 통해 지지시키고 있다. 또한, 그 상부를 지지 부재(136)에 지지시키고 있다. 우측의 걷어올림 케이스(152B)는, 그 하부를 우측 분초 파이프(149B)에 우측 지지 부재(166B)를 통해 지지시키고 있다. 또한, 그 상부를, 아치 형상의 연결 부재(167)에 의해, 좌측의 걷어올림 케이스(152A)의 상부에 연결하고 있다. 즉, 우측의 걷어올림 케이스(152B)는, 그 상부를, 연결 부재(167)와 좌측의 걷어올림 케이스(152A)를 통해 지지 부재(136)에 지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지지 구조에 의해,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를, 그것들의 상부측 만큼 차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뒤로 쓰러짐 자세로 예취부(103)에 장비하고 있다.
또한,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로서, 복수의 걷어올림 발톱(159A, 159B)을 좌우 방향으로 레이크 이동시킴으로써 안내 영역(Aa1, Ab1)을 형성하는 구조 대신에, 차체의 주행에 따라, 작물(C)의 곡물짚을 걷어올려 영역(Aa2, Ab2)을 향해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 영역(Aa1, Ab1)을 형성하는 구조를 도입하여도 좋다.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장치(123)는, 각 디바이더(121A~121C)의 분초 파이프(149A~149C)에 지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그 상측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일직선 형상으로 연속해서 배열되도록 정렬 배치한 복수의 가동날(168)이, 그 하측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일직선 형상으로 연속해서 배열되도록 정렬 배치한 복수의 고정날(169)에 대하여, 좌우 방향에 일정 스트로크로 왕복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에 의해 걷어올린 작물(C)의 곡물짚을 예취한다. 각 가동날(168)은, 크랭크식의 예취날 구동 장치(170)를 통해 동력 분배축(144)과 연동함으로써, 고정날(169)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일정 스트로크로 왕복 미끄럼 이동한다.
즉, 예취 장치(123)는, 예취부(103)의 동력 분배축(144)으로부터 예취날 구동 장치(17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이 작동에 의해,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에 의해 걷어올린 작물(C)의 곡물짚을 예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2는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 도 23은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 및 공급 반송 장치(125)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는, 곡물짚의 밑동측의 상부에 레이크 작용하는 벨트식의 레이크 반송 기구(171A, 171B)와, 곡물짚의 밑동측의 하부에 레이크 작용하는 회전체로서의 패커(172A, 172B)를 상하에 배치하고, 또한, 그들 사이에, 레이크 반송 기구(171A, 171B) 및 패커(172A, 172B)의 레이크 반송 영역에 곡물짚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173A, 173B)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레이크 반송 기구(171A, 171B)는, 레이크 반송용의 복수의 돌출부(174a, 174b)를 일정 피치로 일체 형성한 고무제의 레이크 벨트(174a, 174b)를, 큰 직경의 구동 풀리(175A, 175B)와 작은 직경의 종동 풀리(176A, 176B)에 걸쳐 감아 걸어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레이크 반송 기구(171A, 171B)의 상부에는, 레이크 벨트(174a, 174b)의 벨트측과 함께 구동 풀리(175A, 175B)와 종동 풀리(176A, 176B)를 상방으로부터 덮음으로써, 레이크 반송 기구(171A, 171B)에 대한 곡물짚의 감김을 방지하는 커버(177A, 177B)를 장비하고 있다. 좌우 패커(172A, 172B)는, 그 외주부에 레이크 반송용의 복수의 돌출부(172A, 172B)를 일정 피치로 일체 형성하고 있다.
좌측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는, 그 레이크 반송 기구(171A)의 구동 풀리(175A)와 패커(172A)를, 예취부(103)의 좌우 중앙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위치하도록, L자 형상의 지지축(178)을 통해 지지 부재(136)에 지지시키고 있다. 또한, 그 레이크 반송 기구(171A)의 종동 풀리(176A)를, 예취부(103)의 좌측 단부에 있어서, 구동 풀리(175A)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좌측 지지부재(166A)의 좌측 단부에 일체로 장비한 좌측 보조 부재(179A)에 지지시키고 있다.
우측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B)는, 그 레이크 반송 기구(171B)의 구동 풀리(175B)와 패커(172B)를, 예취부(103)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우측 전동축(148)에 외부 삽입한 통축(180)에 장비하고 있다. 즉, 우측 전동축(148) 및 통축(180)이, 레이크 반송 기구(171B)의 구동 풀리(175B)와 패커(172B)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그 레이크 반송 기구(171B)의 종동 풀리(176B)를, 예취부(103)의 우측 단부에 있어서, 구동 풀리(175B)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우측 지지부재(166B)의 우측 단부에 일체로 장비한 우측 보조 부재(179B)에 지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지지 구조에 의해,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는, 예취부(103)를 작업 영역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그들 레이크 반송 기구(171A, 171B)의 자세가, 예취부(103)의 좌우 중앙측 만큼 차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후방 상승의 경사 자세가 되고, 또한, 그것들의 패커(172A, 172B)의 자세가, 후방 상승의 경사 자세가 되도록 예취부(103)에 장비되어 있다.
이로써,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는, 그것들의 레이크 벨트(174a, 174b)의 돌출부(174a, 174b)나 패커(172A, 172B)의 돌출부(172A, 172B)에 의해, 예취부(103)의 좌우 양측에서는, 그것들의 반송 영역 내에 위치하는 예취 후의 곡물짚을 좌우 외측의 하방측으로부터 받아 들어올리도록 하면서 곡물짚 통과부(127)를 향해 긁어 모으고, 곡물짚 통과부(127)의 직전에서는, 긁어 모은 곡물짚을 전하방측으로부터 받아 들어올리도록 하면서 곡물짚 통과부(127)에 긁어 넣고, 곡물짚 통과부(127)에서는, 긁어 넣은 곡물짚을 전하방측으로부터 받아 들어올리도록 하면서 곡물짚 통과부(127)의 후방에 위치하는 공급 반송 장치(125)를 향해 긁어냄으로써, 곡물짚 통과부(127)를 통과시킨다.
그 결과,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에 의해 예취 후의 곡물짚을 레이크 반송할 때에는, 그 곡물짚의 밑동측이 예취 장치(123)에 접촉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그 접촉에 의해 곡물짚의 반송 자세가 흐트러지고, 그 흐트러짐에 기인하여 공급 반송 장치(125)에 의해 곡물짚을 탈곡 장치(104)를 향해 반송할 때의 이삭 끝측의 정렬이 나빠져, 탈곡 장치(104)에서의 탈곡 처리에 있어서 탈곡 잔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좌측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는, 그 레이크 반송 기구(171A)의 구동 풀리(175A)와 패커(172A)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그 구동 풀리(175A)와 패커(172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우측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B)는, 그 레이크 반송 기구(171B)의 구동 풀리(175B)와 패커(172B)가 통축(18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그 구동 풀리(175B)와 패커(172B)를 통축(180)에 연결하고 있다. 통축(180)은, 기어식의 감속 기구(181)를 통해 우측 전동축(148)과 연동한다. 좌측 패커(172A)는 우측 패커(172B)와 맞물려 연동한다.
즉,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는, 우측 전동축(148)으로부터 감속 기구(181) 및 통축(180)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이 작동에 의해, 예취 후의 곡물짚을, 좌우 패커(172A, 172B)의 맞물림부인 곡물짚 통과부(127)를 향해 레이크 반송하고, 곡물짚 통과부(127)로부터 후방의 공급 반송 장치(125)를 향해 레이크 반송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0, 도 12, 도 13 내지 도 16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반송 장치(125)는,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에 의해 곡물짚 통과부(127)의 후방으로 긁어내어진 곡물짚의 밑동측을 협지하여 탈곡 장치(104)의 협지 반송 기구(131)를 향해 반송하는 밑동 협지 반송 기구(182)와, 그 곡물짚의 이삭 끝측을 계지하여 탈곡 장치(104)의 공급구(104A)를 향해 반송하는 이삭 끝 계지 반송 기구(183)를 상하에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밑동 협지 반송 기구(182) 및 이삭 끝 계지 반송 기구(183)는, 그것들의 입력축으로서 기능하는 전동축(184)이 한 쌍의 베벨 기어(185)를 통해 예취부(103)의 입력축(138)과 연동함으로써, 곡물짚 통과부(127)를 통과한 곡물짚을 기립 자세에서 탈곡용의 우측 쓰러짐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서 탈곡 장치(104)를 향해 공급 반송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공급 반송 장치(125)는, 그 반송 종단부(125a)에 위치하는 예취부(103)의 입력축(138)을 지지점으로 한 상하 요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하 요동에 의해, 그 반송 시단부(125b)를, 곡물짚 통과부(127)를 통과한 곡물짚에 대하여, 그 곡물짚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고, 이 위치 조절에 의해, 반송하는 곡물짚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104)의 내부에 대한 이삭 끝측의 공급 길이를 변경할 수 있어, 탈곡 장치(104)에 의한 곡물짚의 탈곡 깊이를 조절하는 탈곡 깊이 조절을 행할 수 있다.
예취부(103)에는, 공급 반송 장치(125)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억제하면서, 공급 반송 장치(125)의 반송 시단부(125b)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 안내하는 가이드 레버(186)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가이드 레버(186)는, 공급 반송 장치(125)의 요동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공급 반송 장치(125)에는, 예취부(103)의 입력축(138)을 지지점으로 하여 공급 반송 장치(125)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 구동함으로써, 공급 반송 장치(125)의 반송 시단부(125b)를, 곡물짚 통과부(127)를 통과한 곡물짚에 대하여 곡물짚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절하는 조절 수단(187)을 장비하고 있다. 또한, 공급 반송 장치(125)의 곡물짚 반송 경로(188)를 걸쳐 밑동 협지 반송 기구(182)의 협지 가이드 레버(189)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90)을 구비하고 있다.
조절 수단(187)은, 예취부(103)에 구비한 전동 모터(191)의 작동에 의해, 전동 모터(191)의 출력축(도시하지 않음)에 구비한 피니언 기어(도시하지 않음)와, 이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섹터 기어(192)를 통해, 섹터 기어(192)에 일체로 장비한 요동 아암(193)을 요동함으로써, 요동 아암(193)에 현수 로드(194)를 통해 연계된 공급 반송 장치(125)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90)에는, 공급 반송 장치(125)에 의해 반송되는 곡물짚의 이삭 끝 위치를 검출하는 이삭 끝 센서(195)를 구비하고 있다. 이삭 끝 센서(195)에는, 한 쌍의 센서 아암(196A, 196B)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센서 아암(196A, 196B)은, 공급 반송 장치(125)에 의해 반송되는 곡물짚의 이삭 끝측에 있어서, 곡물짚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삭 끝 센서(195)는, 한 쌍의 센서 아암(196A, 196B)에 의해 검출한 곡물짚의 이삭 끝 위치를,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성한 제어 장치(197)에 출력한다. 제어 장치(197)에는, 이삭 끝 센서(195)의 출력에 기초하여, 탈곡 장치(104)의 내부에 공급하는 곡물짚의 이삭 끝측의 길이가 일정해지도록 조절 수단(187)의 전동 모터(191)의 작동을 제어하는 탈곡 깊이 조절용 제어 수단(197A)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 수단(197A)은, 곡물짚의 밑동측에 위치하는 센서 아암(196A)이 곡물짚의 이삭 끝측을 검출하고, 또한, 곡물짚의 이삭 끝측에 위치하는 센서 아암(196B)이 곡물짚의 이삭 끝측을 검출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전동 모터(191)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탈곡 장치(104)의 내부에 공급하는 곡물짚의 이삭 끝측의 길이를 일정하게 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한 쌍의 센서 아암(196A, 196B)은, 공급 반송 장치(125)가 반송하는 곡물짚에 대한 곡물짚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 변경을 일체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위치 변경에 의해, 양쪽 센서 아암(196A, 196B)의 위치를 곡물짚의 밑동측으로 변경함으로써, 탈곡 장치(104)에 의한 곡물짚의 탈곡 깊이를, 탈곡 장치(104)의 내부에 공급하는 곡물짚의 이삭 끝 길이를 짧게 하는 얕은 탈곡측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양쪽 센서 아암(196A, 196B)의 위치를 곡물짚의 이삭 끝측으로 변경함으로써, 탈곡 장치(104)에 의한 곡물짚의 탈곡 깊이를, 탈곡 장치(104)의 내부에 공급하는 곡물짚의 이삭 끝 길이를 길게 하는 깊은 탈곡측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삭 끝 센서(195)에는, 한 쌍의 센서 아암(196A, 196B)의 위치 변경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레버(198)를 장비하고 있다. 조작 레버(198)는, 이삭 끝 센서(195)에 있어서의 운전부(102)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운전부(102)에 앉은 채로 조작 레버(198)를 조작할 수 있고, 탈곡 장치(104)에 의한 곡물짚의 탈곡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7, 도 18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103)에 있어서, 중앙 디바이더(121C)는, 곡물짚 통과부(127)의 좌우 폭 내인 좌우 패커(172A, 172B)의 곡경(da, db)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 배치에 의해,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에 의해 예취 후의 곡물짚을 곡물짚 통과부(127)를 향해 반송할 때, 그 곡물짚이 중앙 디바이더(121C)를 넘어가도록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곡물짚이 중앙 디바이더(121C)를 넘어가는 경우에 비해, 그 곡물짚의 밑동측이 중앙 디바이더(121C)에 접촉하지 못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그 접촉에 의해 곡물짚의 반송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에 기인하여 공급 반송 장치(125)에 의해 곡물짚을 탈곡 장치(104)를 향해 반송할 때의 이삭 끝측의 정렬이 나빠지고, 탈곡 장치(104)에서의 탈곡 처리에 있어서 탈곡 잔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는, 예취부(103)를 작업 영역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그것들의 레이크 반송 기구(171A, 171B)의 자세가, 예취부(103)의 좌우 중앙측 만큼 후방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이며, 또한, 후방 상승 경사 자세가 되고, 또한, 그러한 패커(172A, 172B)의 자세가, 후방 상승 경사 자세가 됨으로써, 예취부(103)를 작업 영역 내에 위치시킨 경우에 수평 자세 또는 대략 수평 자세가 되는 중앙 디바이더(121C)에 대해서는, 그 반송 방향 하측만큼 중앙 디바이더(121C)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진다. 이로써,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에 의해 곡물짚 통과부(127)를 향해 레이크 반송되는 곡물짚이, 곡물짚 통과부(127)에 있어서 중앙 디바이더(121C)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그 접촉에 의한 곡물짚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기인한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저지할 수 있다.
도 24는 4조 예취의 작업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개략 평면도, 도 25는 3조 예취의 작업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 도 13,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103)의 좌측 단부[예취부(103)에 있어서의 운전부(102)로부터 이격된 측의 좌우 일측단부]에 위치하는 좌측 디바이더(121A)와, 좌측[운전부(102)로부터 이격된 측] 크롤러(113A)는, 좌측 디바이더(121A)의 분초 시단부(121Aa)와 좌측 크롤러(113A)의 좌측 단부(113Aa)와의 차체 좌우 방향에서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한, 예취부(103)의 우측 단부[예취부(103)에 있어서의 운전부측의 좌우 일측단부]에 위치하는 우측 디바이더(121B)와 우측(운전부측) 크롤러(113B)는, 우측 크롤러(113B)의 우측 단부(113Ba)가, 우측 디바이더(121B)의 분초 시단부(121Ba)로부터 차체 우측 외측으로 약간 삐져나오는 상태에서, 우측 디바이더(121B)의 분초 시단부(121Ba)와 우측 크롤러(113B)의 우측 단부(113Ba)와의 차체 좌우 방향에서의 위치가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즉, 좌우 크롤러(113A, 113B)는, 그것들의 차체 가로 외측의 단부간 거리(L)가, 최대 4조의 예취 반송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예취부(103)의 작업 폭(W)보다도 커지도록, 좌우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좌우 크롤러(113A, 113B)의 바퀴 자국간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고, 각 크롤러(113A, 113B)의 접지 길이를 길게 함으로 인한 선회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아, 습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측 크롤러(113A)는, 그 좌측 단부(113Aa)의 위치가 좌측 디바이더(121A)의 분초 시단부(121Aa)와 좌우 방향에서 일치함으로써, 그 분초 시단부(121Aa)로부터 차체 좌측으로 삐져나오지 않게 되어 있다. 이로써, 기체(101)의 좌측 외측에 미예취 작물(Cx)이 존재하는 주변 예취나 기체(101)의 좌우 양측 외측에 미예취 작물(Cx, Cy)이 존재하는 중할 등의 작업 주행시에, 좌측 크롤러(113A)에 의해, 그 좌측 외측 근방에 위치하는 미예취 작물(Cx)을 밟거나, 혹은, 좌측 크롤러(113A)에 의해, 그 좌측 외측 근방에 위치하는 미예취 작물(Cx)에 진흙 고임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그 밟힘이나 진흙 고임에 기인한 작업 효율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우측 크롤러(113B)는, 그 우측 단부(113Ba)의 위치가 우측 디바이더(121B)의 분초 시단부(121Ba)와 좌우 방향에서 대략 일치함으로써, 기체(101)의 좌우 양 외측쪽에 미예취 작물(Cx, Cy)이 존재하는 중할 등의 작업 주행시에, 우측 디바이더(121B)의 분초 시단부(121Ba)가, 예취부(103)의 작업 폭 내 최우측의 작물(Cb)과, 이 작물(Cb)과 이웃하는 작업 폭 외의 작물(Cy)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작업 폭 내의 작물(Cb)의 측근을 통과하도록 설정하면, 우측 크롤러(113B)에 의해, 그 우측 외측 근방에 위치하는 미예취 작물(Cy)을 밟는다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그 밟힘에 기인한 작업 효율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우측 크롤러(113B)에 있어서의 우측 디바이더(121B)의 분초 시단부(121Ba)로부터 차체 우측 외측으로의 삐져나온 길이(Lz)는, 우측 크롤러(113B)에 의한 차체 우측 외측 근방의 미예취 작물(Cy)의 밟기를 방지할 수 있는 길이라면, 예를 들어, 작물(C)의 모내기 간격(Sc)과의 관계로부터, Lz=1/3*Sc나 Lz=1/4*Sc 등의 다양한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데, Lz≤1/6*Sc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삐져나온 길이(Lz)가 짧을수록, 우측 크롤러(113B)에 의한 차체 우측 외측 근방의 미예취 작물(Cy)에 대한 진흙 고임을 억제할 수 있어, 그 진흙 고임에 기인한 작업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반대로, 그 삐져나온 길이(Lz)가 길수록, 좌우 크롤러(113A, 113B)의 바퀴 자국간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 습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주변 예취나 중할 예취 등의 작업 주행시에, 좌우 크롤러(113A, 113B)에 의한 미예취 작물(Cx, Cy)의 밟힘이나 미예취 작물(Cx, Cy)로의 진흙 고임을 방지할 수 있는 전면 예취 사양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우측 크롤러(113B)를, 그 우측 단부(113Ba)가 우측 디바이더(121B)의 분초 시단부(121Ba)와 좌우 방향에서 일치하거나, 또는, 우측 디바이더(121B)의 분초 시단부(121Ba)보다도 차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또한, 좌측 크롤러(113A)를, 그 좌측 단부(113Aa)가 좌측 디바이더(121A)의 분초 시단부(121Aa)보다도 차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해도 좋고, 또한, 좌측 크롤러(113A)에 의한 차체 좌측 외측 근방의 미예취 작물(Cx)의 밟힘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미예취 작물(Cx)에 대한 진흙 고임을 억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좌측 단부(113Aa)가 좌측 디바이더(121A)의 분초 시단부(121Aa)보다도 차체 좌측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디바이더(121A~121C)는, 4조의 작물(C)을 수확하는 작업 주행시에, 우측 디바이더(121B)를, 그 분초 시단부(121Ba)가, 예취부(103)의 작업 폭 내 최우측의 작물(Cb)과, 이 작물(Cb)과 이웃하는 우측의 작업 폭 외의 작물(Cy) 또는 작물 예취 자국(Cz)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작업 폭 내의 작물(Cb)의 측근을 통과하도록, 작물(C)에 대하여 위치 정렬한 경우에는, 중앙 디바이더(121C)가, 그 작용 대상이 되는 작업 폭 내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는 2개의 작물(Cc, Cd)의 중간 위치 또는 대략 중간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좌측 디바이더(121A)가, 예취부(103)의 작업 폭 내 최좌측의 작물(Ca)과, 이 작물(Ca)과 이웃하는 좌측의 작업 폭 외의 작물(Cx) 또는 작물의 예취 자국(Cz)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그것들의 중간 위치보다도 작업 폭 내의 작물(Ca)에 가까운 위치를 통과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즉, 4조 예취의 작업 주행시에는, 운전부(102) 앞 아래쪽에 위치함으로써 운전부(102)로부터의 시인성이 높은 우측 디바이더(121B)의 분초 시단부(121Ba)를, 작업 폭 내의 최우측에 위치하는 작물(Cb)의 우측 가로측근을 통과하도록 위치 정렬함으로써, 운전부(102)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운전부(102)로부터의 시인성이 낮은 좌측 디바이더(121A) 및 중앙 디바이더(121C)를, 그것들의 시인을 행하지 않고도, 작물(C)의 모내기 위치로부터 벗어난 적절한 위치를 통과시킬 수 있어, 그들 디바이더(121A, 121C)에 의한 작물(C)의 쓰러짐이나 밟힘을 회피할 수 있다.
이로써, 작물(C)의 도복이 심한 경우에도, 각 디바이더(121A~121B)를 작물(C)에 대한 적절한 위치에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위치 정렬할 수 있어, 각 디바이더(121A~121B) 및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에 의한 곡물짚의 걷어올림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디바이더(121C)가, 작업 폭 내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는 2개의 작물(Cc, Cd)의 중간 위치 또는 대략 중간 위치를 통과함으로써, 좌측의 걷어올림 프레임(126A)의 범위에 도입되는 2조의 작물(Ca, Cc)의 곡물짚과, 우측의 걷어올림 프레임(126B)의 범위 내에 도입되는 2조의 작물(Cb, Cd)의 곡물짚을, 중앙 디바이더(121C)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곡물짚 통과부(127)를 사이에 둔 좌우 대칭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어, 그 좌우 대상이 되는 곡물짚의 곡물짚 통과부(127)로부터의 거리를 한결같이 짧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좌우의 걷어올림 프레임(126A, 126B)에 2조씩의 작물(C)의 곡물짚을 도입하도록 하면서도, 중앙 디바이더(121C)가, 작업 폭 내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는 2개의 작물(Cc, Cd)의 중간 위치로부터 크게 벗어남으로써, 좌우의 걷어올림 프레임(126A, 126B) 중 어느 한쪽에 도입되는 곡물짚의 곡물짚 통과부(127)로부터의 거리가 불필요하게 길어져, 좌우 어느 한쪽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에 의한 곡물짚의 반송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어느 한쪽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에 의한 곡물짚의 반송에 불필요한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지연에 기인한 곡물짚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의해, 공급 반송 장치(125)에 의해 곡물짚을 탈곡 장치(104)를 향해 반송할 때의 이삭 끝측의 정렬이 나빠져, 탈곡 장치(104)에서의 탈곡 처리에 있어서 탈곡 잔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좌측 디바이더(121A)가, 작업 폭 내의 최좌측에 위치하는 작물(Ca)의 좌측 가로 근방을 통과함으로써, 4조의 작물(C)을 수확하는 작업 주행시에는, 항상, 우측 디바이더(121B)의 분초 시단부(121Ba)를, 작업 폭 내의 최우측에 위치하는 작물(Cb)의 우측 가로 측근을 통과하도록 위치 정렬할 필요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4조의 작물(C)을 수확하는 작업 주행시에는, 항상, 각 디바이더(121A~121C)를, 작물(C)에 대한 상술한 적절한 위치에 확실하게 통과시킬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4조의 작물(C)을 수확하는 작업 주행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디바이더(121A~121C)는, 3조의 작물(C)을 수확하는 작업 주행시에, 우측 디바이더(121B)를, 그 분초 시단부(121Ba)가, 예취부(103)의 작업 폭 내 최우측의 작물(Cb)과 이웃하는 우측의 작물 예취 자국(Cz)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우측의 작물 예취 자국(Cz)에 대하여 위치 정렬한 경우에는, 중앙 디바이더(121C)가, 그 작용 대상이 되는 작업 폭 내의 우측과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는 2개의 작물(Cb, Cc)의 사이에 있어서의 우측 작물(Cb)보다도 좌우 중앙측의 작물(Cc)에 가까운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좌측 디바이더(121A)가, 그 작용 대상이 되는, 예취부(103)의 작업 폭 내 최좌측의 작물(Ca)과, 이 작물(Ca)과 이웃하는 좌측의 작업 폭 외의 작물(Cx) 또는 작물의 예취 자국(Cz)과의 사이의 중간 위치 또는 대략 중간 위치를 통과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즉, 3조 예취의 작업 주행시에는, 운전부(102) 앞 아래쪽에 위치함으로써 운전부(102)로부터의 시인성이 높은 우측 디바이더(121B)의 분초 시단부(121Ba)를, 우측의 예취 자국(Cz)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위치 정렬함으로써, 운전부(102)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운전부(102)로부터의 시인성이 낮은 좌측 디바이더(121A) 및 중앙 디바이더(121C)를, 그것들의 시인을 행하지 않고도, 작물(C)의 모내기 위치로부터 벗어난 적절한 위치에 통과시킬 수 있어, 그들 디바이더(121A, 121C)에 의한 작물(C)의 쓰러짐이나 밟힘을 회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물(C)의 도복이 심할 경우라도, 우측 디바이더(121B) 및 중앙 디바이더(121C)를 작물(C)에 대한 적절한 위치에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위치 정렬할 수 있어, 각 디바이더(121A~121B) 및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에 의한 곡물짚의 걷어올림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디바이더(121C)가, 작업 폭 내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는 작물(Cc)의 우측 가로 근방을 통과함으로써, 좌측의 걷어올림 프레임(126A)의 범위 내에 도입되는 2조의 작물(Ca, Cc)의 곡물짚과, 우측의 걷어올림 프레임(126B)의 범위 내에 도입되는 1조의 작물(Cb)의 곡물짚 중, 중앙 디바이더(121C)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곡물짚 통과부(127)로부터 가장 이격된 좌측 작물(Ca)의 곡물짚을, 곡물짚 통과부(127)로부터의 거리가 최단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에 의해 3조의 곡물짚을 곡물짚 통과부(127)를 향해 레이크 반송할 때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우 어느 한쪽의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에 의한 곡물짚의 반송에 불필요한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지연에 기인한 곡물짚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의해, 공급 반송 장치(125)에 의해 곡물짚을 탈곡 장치(104)를 향해 반송할 때의 이삭 끝측의 정렬이 나빠져, 탈곡 장치(104)에서의 탈곡 처리에 있어서 탈곡 잔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좌측 디바이더(121A)가, 작업 폭 내의 최좌측에 위치하는 작물(Ca)과, 좌측의 작업 폭 외의 작물(Cx) 또는 작물의 예취 자국(Cz)과의 사이의 중간 위치 또는 대략 중간 위치를 통과함으로써, 3조의 작물(C)을 수확하는 작업 주행 시에는, 운전부(102)로부터의 시인성이 가장 낮은 좌측 디바이더(121A)를, 그 작용 대상인 작물(C)의 모내기 위치로부터, 그 작용 범위 내에서의 가장 이격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3조의 작물(C)을 수확하는 작업 주행시에는, 운전부(102)로부터의 시인성이 가장 낮은 좌측 디바이더(121A)를, 그 작용 대상의 작물(C)에 양호하게 작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좌측 디바이더(121A)가 작용 대상의 작물(C)의 모내기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상술한 3개의 디바이더(121A~121C)와 작물(C)의 위치 관계를 만족하기 위한 3개의 디바이더(121A~121C)의 구체적인 배치로는, 3개의 디바이더(121A~121C)의 좌우 간격(Sa, Sb)과 작물(C)의 모내기 간격(Sc)과의 관계가, Sa=Sb=1.75*Sc가 되는 배치나, Sa=Sb≒1.75*Sc가 되는 배치, 혹은, Sa>Sb이고 Sa≒1.75*Sc이면서 Sb≒1.75*Sc가 되는 배치나, Sa<Sb이고 Sa≒1.75*Sc이면서 Sb≒1.75*Sc가 되는 배치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4조의 작물(C)을 수확하는 작업 주행시에는, 좌측 디바이더(121A)와 그 우측 가로에 위치하는 작업 폭 내 최좌측의 작물(Ca)과의 이격 거리(La)가, 우측 디바이더(121A)와 그 좌측 가로에 위치하는 작업 폭 내 최우측의 작물(Cb)과의 이격 거리(Lb)보다도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도 13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디바이더(121A, 121B)는, 그것들의 분초구(151A, 151B)의 자세가, 차체 후방부측 만큼 차체 좌우 방향의 차체 내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로써, 예취부(103)의 작업 폭 내의 좌우 양단부에 위치하는 작물(Ca, Cb)을, 작업 폭 내의 좌우 중앙을 향해 가까워지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 및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10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전단부에는, 좌측 분초간(199A)과, 우측 분초간(199B)과, 이들 좌측 분초간(199A) 및 우측 분초간(199B)의 좌우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분초간(199C)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 도 12,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분초간(199A)은, 예취부(103)의 좌측부에, 기체(101)의 좌측 외측에 돌출되도록 기울어진 작용 자세와, 기체측에 후퇴하도록 기립한 저장 자세로, 요동에 의한 자세 변경이 가능하도록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분초간(199A)을 작용 자세로 바꿈으로써, 기체(101)의 좌측 외측에 존재하는 미예취 작물(Cx)의 차체 내측으로의 도복을 저지할 수 있다.
도 26은 좌측 분초간(199A)의 분초 종단부측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0, 도 12, 도 13, 도 1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분초간(199A)은, 그 분초 시단부(199a)를 좌측 분초구(151A)에 제1 연결부(200)를 통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한, 그 분초 종단부측으로부터 연장된 연결간(201)의 연장 단부(201a)를 예취부(103)의 지지 부재(136)에 제2 연결부(202)를 통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제1 연결부(200)는, 좌측 분초구(151A)에 용접한 L자 형상의 브래킷(203), 및 이 브래킷(203)에 좌측 분초간(199A)의 분초 시단부(199a)를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핀(204)에 의해, 연결 핀(204)이 좌측 분초구(151A)의 좌측부에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연결부(202)는, 지지 부재(136)에 용접한 브래킷(205), 이 브래킷(205)에 연결간(201)의 연장 단부(201a)를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핀(206), 및 좌측 분초간(199A)의 자세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유지 기구(20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의 걷어올림 프레임(126A)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의 바로 후방 개소에 존재하는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제1 연결부(200)보다도 예취부(103)의 좌우 중앙측이며, 또한, 좌측 크롤러(113A)의 좌측 단부(113Aa)보다도 기체(101)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유지 기구(207)는, 연결 핀(206)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긴 구멍(205a)을 브래킷(205)에 형성하고, 이 긴 구멍(205a)에 볼트(208)를 삽입 관통시킨 후, 이 볼트(208)의 삽입 관통 시단부측에 압축 스프링(209)을 외부 삽입하고, 한 쌍의 너트(210)를 나사 결합하여, 압축 스프링(209)의 작용에 의해 연결간(201)의 연장 단부(201a)와 브래킷(205)을 압접함으로써, 긴 구멍(205a)을 따른 좌측 분초간(199A)의 작용 자세와 저장 자세에 걸친 요동 조작을 허용하면서, 좌측 분초간(199A)의 자세 유지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2 연결부(202)를, 유지 기구(207)를 구비하는 대형으로 구성하여도, 좌측 분초간(199A)의 자세를 저장 자세로 바꾼 상태에서 예취부(103)의 좌측 단부를 두렁가에 위치시켜 두렁가의 작물(C)을 수확하는 작업 주행시 등에 있어서, 제2 연결부(202)가 두렁 등의 다른 것에 접촉하여 변형될 우려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이는, 두렁을 콘크리트 블록 등에 의해 낮게 형성한 포장에 있어서, 그 콘크리트 블록과의 접촉에 의한 제2 연결부(202)의 변형을 막는데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또한, 제1 연결부(200)의 연결 핀(204)과 제2 연결부(202)의 연결 핀(206)의 중심을 지나는 좌측 분초간(199A)의 요동 축심(P)이, 그 예취부(103)의 후방부측 만큼 예취부(103)의 좌우 중심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가 됨으로써, 좌측 분초간(199A)의 요동 축심(P)을 예취부(103)의 전후 방향을 따른 자세로 설정하는 경우에 비해, 좌측 분초간(199A)을, 저장 자세와 작용 자세에 걸쳐 요동 조작할 때의 조작각을 작게 할 수 있어, 좌측 분초간(199A)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7은 좌측 분초간(199A)을 저장 자세로 바꾼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분초간(199A)은, 그 저장 자세로는, 그 분초 종단부(199b)가 예취부(103)의 좌측 단부보다도 기체(101)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그 분초 종단부(199b)와 예취부(103)의 좌측 단부와의 차체 좌우 방향에서의 위치가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좌측 분초간(199A)은, 그 저장 자세로는, 그 분초 종단부(199b)가 좌측 크롤러(113A)의 좌측 단부(113Aa)보다도 기체(101)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그 분초 종단부(199b)와 좌측 크롤러(113A)의 좌측 단부(113Aa)와의 차체 좌우 방향에서의 위치가 대략 일치하게 된다.
즉, 좌측 분초간(199A)을 저장 자세로 바꿈으로써, 좌측 분초간(199A)의 분초 종단부(199b)를, 예취부(103)의 좌측 단부 및 좌측 크롤러(113A)의 좌측 단부(113Aa)보다도 기체(101)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좌측 분초간(199A)의 전체를, 좌측 크롤러(113A)의 좌측 단부(113Aa)보다도 차체 좌측 외측에 위치하는 협지 반송 기구(131)의 좌측 외측 단부보다도 차체 좌우 방향에서의 차체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좌측 분초간(199A)의 분초 종단부(199b) 등이, 협지 반송 기구(131)의 좌측 외측 단부보다도 차체 좌측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좌측 분초간(199A)을 저장 자세로 바꾼 상태에서의 콤바인 전체적인 좌우 폭을 작게 할 수 있어, 헛간 등에 대한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좌측 분초간(199A)은, 그 저장 자세로는, 그 분초 종단부(199b)가 공급 반송 장치(125)의 곡물짚 반송 경로(188)보다도 차체 상방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좌측 분초간(199A)을 저장 자세로 바꾼 상태에서도, 곡물짚을, 공급 반송 장치(125)에 의해, 좌측 분초간(199A)의 분초 종단부(199b)에 접촉시키지 않고도 탈곡 장치(104)를 향해 반송할 수 있다.
즉, 좌측 분초간(199A)을 저장 자세로 바꾼 상태에서 작업 주행을 행하여도, 공급 반송 장치(125)에 의해 반송되는 곡물짚이 좌측 분초간(199A)의 분초 종단부(199b)에 접촉할 우려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접촉에 기인하여 곡물짚의 반송 자세에 흐트러짐이 발생함으로써, 곡물짚의 이삭 끝측의 정렬이 나빠져, 탈곡 장치(104)에서의 탈곡 처리에 있어서 탈곡 잔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좌측 분초간(199A)을 저장 자세로 바꾼 상태에서는, 좌측 분초간(199A)의 전체가, 탈곡 장치(104)의 협지 반송 기구(131)의 좌측 외측 단부보다도 차체 좌우 방향에서의 차체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두렁가에서 작업 주행을 행하는 경우에는, 차체를 보다 두렁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작업 주행시킬 수 있어, 두렁가의 작물(C)에 대한 좌측 디바이더(121A)의 위치 정렬을 행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두렁가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곡물짚 길이가 65~75cm 정도로 도복의 우려가 적은 짧은 곡물짚의 작물(C)에 대해서는, 그 이삭 끝에 좌측 분초간(199A)이 작용하지 않도록 좌측 분초간(199A)을 저장 자세로 바꾸어 둠으로써, 좌측 분초간(199A)이 작물(C)의 곡물짚에 분초 작용함으로써 곡물짚으로부터 곡립이 이탈할 우려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고, 그 결과, 곡립 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탈립하기 쉬운 인디카 쌀 등을 수확할 때에 특히 유효하다.
도 10 내지 도 13 및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분초간(199C)은, 예취부(103)의 전단부에 있어서,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의 대략 좌우 중간 위치에 위치하도록, 중앙 분초구(151C)로부터 연결 부재(167)에 걸쳐 세워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좌우의 각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의 안내 영역(Aa1, Ab1)에 있어서의 각 걷어올림 발톱(159A, 159B)의 레이크 작용에 의해, 다른 쪽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를 향해 도복함으로써, 각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의 걷어올림 영역(Aa1, Ab1)의 차체 전방측에 있어서 차체 정면에서 봤을 때 교차하게 되는 작물(C)의 곡물짚을, 중앙 분초간(199C)의 분초 작용에 의해, 대응하는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의 걷어올림 영역(Aa1, Ab1)을 향해 좌우로 나눌 수 있다.
그 결과, 수확하는 작물(C)의 곡물짚이, 각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의 안내 영역(Aa1, Ab1)에 있어서의 각 걷어올림 발톱(159A, 159B)의 레이크 작용에 의해, 각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의 걷어올림 영역(Aa1, Ab1)의 차체 전방측에 있어서 차체 정면에서 봤을 때 교차하여 서로 얽힐 우려를 회피할 수 있고, 그 서로 얽힘에 기인한 작물짚의 걷어올림 효율의 저하나 걷어올림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도 13, 도 17,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걷어올림 프레임(126B)에 구비한 2조용의 걷어올림 장치(122B)는, 그 걷어올림 영역(Ab2)이 운전부(102)로부터 이격된 좌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우측의 걷어올림 프레임(126B)에, 걷어올림 영역(Ab2)이 운전부측이 되는 우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2조용의 걷어올림 장치를 장비하는 경우에 비해, 운전부(102)로부터의 차체 전방에 대한 시야를 양호하게 할 수 있어, 차체 전방의 작업지 등에 대한 운전부(102)로부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는, 그것들의 걷어올림 영역(Aa2, Ab2)의 좌우 폭(Wa, Wb)을, 최대 2조의 곡물짚의 걷어올림에 대응하는 광폭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에 구비하는 걷어올림 발톱(159A, 159B)은, 폭이 넓은 걷어올림 영역(Aa2, Ab2)에 대응하는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가 항상 2조씩의 곡물짚을 걷어올리는 4조 예취의 작업 주행시에 있어서, 곡물짚이 좌우가 대응하는 걷어올림 영역(Aa2, Ab2)을 통과할 때의 저항이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4조 예취의 작업 주행시에 있어서도,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에 의한 곡물짚의 걷어올림을 원활하면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걷어올림 발톱(159A, 159B)을, 폭이 넓은 걷어올림 영역(Aa2, Ab2)에 대응하는 긴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폭이 넓은 걷어올림 영역(Aa2, Ab2)에 있어서 걷어올림 발톱(159A, 159B)이 곡물짚에 작용하지 않게 되는 데드존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의 각 걷어올림 영역(Aa2, Ab2)을, 2조의 곡물짚의 통과를 허용하는 광폭으로 형성하면서도,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122A, 122B)에 의한 곡물짚의 걷어올림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3조 예취의 작업 주행시나 4조 예취의 작업 주행시에 관계없이, 항상 2조의 곡물짚이 공급되는 좌측의 걷어올림 장치(122A)만을, 그 걷어올림 영역(Aa2)의 좌우 폭(Wa)이, 최대 2조의 곡물짚의 걷어올림에 대응하는 광폭으로 되고, 또한, 그 걷어올림 발톱(159A)이, 폭이 넓은 걷어올림 영역(Aa2)에 대응하는 긴 길이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11, 도 14 및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날 구동 장치(170)는, 예취부(103)의 우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중간 부재(135)의 우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취날 구동 장치(170)를 예취부(103)의 좌우 중앙측에 배치하는 경우에 초래될 우려가 있는, 예취 후의 곡물짚이 예취날 구동 장치(170)에 엉겨 붙는 문제나, 예취날 구동장치(170)를 예취부(103)의 좌측 단부에 배치하는 경우에 초래될 우려가 있는, 기체(101)의 좌측 외측에만 미예취 작물(Cx)이 존재하는 작업 빈도가 높은 주변 예취의 작업 주행시에, 그 미예취 작물(Cx)이 예취날 구동 장치(170)에 엉겨 붙는 문제의 발생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공급 반송 장치(125)를, 곡물짚 통과부(127)에 레이크 반송된 곡물짚을 차체 좌측의 탈곡 장치(104)를 향해 공급 반송하도록 예취부(103)에 있어서의 왼쪽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그 좌측이 무거워지는 예취부(103)의 우측 단부에, 비교적 중량의 큰 예취날 구동 장치(170)를 배치함으로써, 예취부(103)의 좌우 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취부(103)의 우측 단부에는, 예취날 구동장치(170)를 덮는 판금제의 커버(211)를 배치하고 있다. 커버(211)는, 우측 디바이더(121B)를 중간 부재(135)의 우측 단부에 연결하는 3개의 볼트(212) 중, 상측의 2개의 볼트(212)를 이용하여, 중간 부재(135)의 우측 단부에, 우측 분초간(199B)과 함께 조여 연결하고 있다.
이로써, 기체(101)의 우측 외측에도 미예취 작물(Cy)이 존재하는 중할 작업 주행시에는, 우측 분초간(199B) 및 커버(211)에 의해, 그 차체 우측 외측의 미예취 작물(Cy)이 예취날 구동 장치(170)에 엉겨 붙을 우려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우측 디바이더(121B)와 우측 분초간(199B)와 커버(211)를, 중간 부재(135)의 우측 단부에 개별적으로 볼트 연결하는 경우에 비해, 설치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게다가, 우측 분초간(199B)이나 커버(211)의 교환을 행하는 경우에는, 우측 디바이더(121B)가 중간 부재(135)의 우측 단부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그것들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101)의 전방부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사이드 프레임(213)은, 그 전반부를, 전단부측 만큼 우측 크롤러(113B)의 우측 단부(113Ba)에 근접하도록 차체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체(101)의 우측 외측에도 미예취 작물(Cy)이 존재하는 중할 작업 주행시에는, 사이드 프레임(213)의 외측면(213a)을, 차체 우측 외측의 미예취 작물(Cy)을 차체 우측 외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기체(101)의 우측 외측에 존재하는 미예취 작물(Cy)의 차체 내측으로의 도복을 우측 분초간(199B)과 함께 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에 있어서, 좌우 레이크 반송 기구(171A, 171B)는, 고무제의 레이크 벨트(174a, 174b)에 의해 곡물짚의 레이크 반송을 행함으로써, 예취 전의 곡물짚에 작용한 경우에는, 레이크 벨트(174a, 174b)의 돌출부(174a, 174b)가 예취 전의 곡물짚의 강도에 못 이겨 변형되고, 이 변형에 의해, 그 곡물짚이 예취될 때까지의 동안에, 그 곡물짚을 곡물짚 통과부(127)를 향해 레이크 반송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때의 작업 주행에 의해, 예취 전의 곡물짚을 차체 전방을 향해 눌러 구부리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눌러 구부러진 곡물짚이, 예취 장치(123)의 예취 위치에 도달하여 예취되면, 그 예취와 함께, 차체 전방을 향해 눌러 구부러진 상태에서 곧게 펴진 상태로 복귀하려고 하는 복원 작용에 의해, 좌우의 레이크 반송 기구(171A, 171B)로부터 이격된 차체 전방측으로 튀어 나와, 좌우 레이크 반송 기구(171A, 171B)의 반송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예취 장치(12)의 전방에 넘쳐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예취 장치(12)의 전방에 넘쳐 떨어진 곡물짚은, 작업 주행에 수반하여 좌우 레이크 반송 기구(171A, 171B)의 반송 영역을 향해 차례차례로 도입되는 후속의 미예취 곡물짚에 의해, 예취 장치(12)의 예취 위치로 되돌려지고, 그 밑동측이 미예취 곡물짚과 함께 다시 예취되어진다.
이와 같은 곡물짚의 두번 예취가 발생하면, 곡물짚의 길이가 가지런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곡물짚을 탈곡 장치(104)를 향해 반송할 때의 이삭 끝측의 정렬이 나빠져, 탈곡 장치(104)에서의 탈곡 처리 시에 탈곡 잔류가 발생하기 쉬워지며, 그 결과,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도 17, 도 18,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콤바인에서는,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에 있어서의 좌우 레이크 반송 기구(171A, 171B)를, 그것들의 직선 반송 경로(214A, 214B)의 차체 전후 방향에 대한 차체 좌우 방향으로의 경사각(θa, θb)이 동일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좌측 레이크 반송 기구(171A)의 직선 반송 경로(214A)와 우측 레이크 반송 기구(171B)의 직선 반송 경로(214B)와의 협각(θA)이, 좌측 레이크 반송 기구(171A)의 직선 반송 경로(214A)와 공급 반송 장치(125)에 있어서의 밑동 협지 반송 기구(182)의 직선 반송 경로(215)와의 협각(θB)보다도 커지도록, 좌우 레이크 반송 기구(171A, 171B) 및 공급 반송 장치(125)의 자세를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좌우 레이크 반송 기구(171A, 171B)의 자세를 설정하면, 그것들의 직선 반송 경로(214A, 214B)를, 예취 장치(123)의 상방에 있어서, 복수의 가동날(168) 및 고정날(169)을 좌우 방향에 일직선 형상으로 연속하여 배열되도록 정렬 배치함으로써, 좌우 방향에 일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위치하게 되는 각 가동날(168) 및 고정날(169)의 예취 위치에 대하여, 그것들의 예취 위치를 대략 따른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가, 예취 장치(123)에 의한 예취 전의 곡물짚에 작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가 예취 전의 곡물짚에 작용하는 것에 기인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취 장치(123)에 의한 예취 직후의 곡물짚을,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에 의해 빠르게 곡물짚 통과부(127)를 향해 레이크 반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에 의한 곡물짚의 레이크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에 있어서, 그것들의 안내 부재(173A, 173B)에는, 예취부(103)의 좌우 단부로부터 대응하는 좌우 패커(172A, 172B)의 회전 중심을 향해 연장하는 직선 안내부(173A, 173B)를 구비하고 있다. 각 직선 안내부(173A, 173B)는, 차체 전후 방향과 직행하는 가로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좌우 안내 부재(173A, 173B)의 직선 안내부(173A, 173B)가, 작업 주행시에 예취 전의 곡물짚에 작용하여, 그 곡물짚을 차체 전방을 향해 눌러 구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눌러 구부러진 곡물짚이, 예취와 함께 눌러 구부러진 상태로부터의 복원 작용에 의해, 예취 장치(12)의 전방에 넘쳐 떨어져 두번 예취될 우려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반송 장치(125)는, 그 반송 시단부(125b)가 차체 정면에서 봤을 때 운전부(102)와 겹치도록, 그 반송 자세를 설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예취부(103)를 2프레임 4조 예취 사양으로, 좌측 디바이더(121A)의 분초 시단부(121Aa)와 좌측 크롤러(113A)의 좌측 단부(113Aa)와의 차체 좌우 방향에서의 위치가 일치하고, 또한, 우측 디바이더(121B)의 분초 시단부(121Ba)와 우측 크롤러(113B)의 우측 단부(113Ba)와의 차체 좌우 방향에서의 위치가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체(101)의 좌우 중간부에 위치하게 되는 곡물짚 통과부(127)에 대하여, 공급 반송 장치(125)의 반송 시단부(125b)를, 곡물짚 통과부(127)를 통과한 곡물짚을 곧바로 수취하는 것이 가능한 곡물짚 통과부(127)의 바로 후방쪽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와 공급 반송 장치(125)와의 사이에, 곡물짚의 전달을 중계하는 보조 반송 장치를 장비하지 않아도, 2프레임 4조 예취 사양으로 구성한 예취부(103)에 적합한 공급 반송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운전부(102)는, 공급 반송 장치(125)의 반송 시단부(125b)와 차체 정면에서 봤을 때 겹치는 사이드 패널(115)의 전단부에, 공급 반송 장치(125)의 반송 시단부(125b)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오목부(102a)를 형성하고 있다.
공급 반송 장치(125)는, 그 반송 시단부(125b)가 운전부(102)의 오목부(102a)에 유입되도록, 차체 전후 방향에 대한 밑동 협지 반송 기구(182)의 직선 반송 경로(215)의 차체 좌우 방향으로의 경사각(θc), 및 차체 전후 방향에 대한 이삭 끝 계지 반송 기구(183)의 직선 반송 경로(216)의 차체 좌우 방향으로의 경사각(θd)을 크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운전부(102)에 오목부(102a)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공급 반송 장치(125)의 반송 시단부측을 운전부(102)에 근접시킬 수 있고, 이로써, 공급 반송 장치(125)의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콤바인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급 반송 장치(125)의 반송 시단부측 만큼 운전부(102)에 더 근접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급 반송 장치(125)의 지지 프레임(190)에 구비한 탈곡 깊이 조절용 조작 레버(198)도 운전부(102)에 더 근접하게 되고, 그 결과, 운전부(102)로부터의 탈곡 깊이 조절용 조작 레버(198)의 조작이 더욱 쉬워진다.
그런데, 공급 반송 장치(125)의 차체 전후 방향에 대한 차체 좌우 방향으로의 경사각(θc, θd)을 크게 하면, 공급 반송 장치(125)가 좌측 레이크 반송 기구(171A)에 가까워지게 된다. 그로 인해, 공급 반송 장치(125)에 의해 반송하는 곡물짚의 밑동측이 좌측 레이크 반송 기구(171A)에 접촉하여, 그 곡물짚의 반송 자세가 흐트러지는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10, 도 11, 도 14 내지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콤바인에서는, 좌측 레이크 반송 기구(171A)를 우측 레이크 반송 기구(171B)보다도 높이 위치가 낮아지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급 반송 장치(125)에 의해 반송하는 곡물짚의 밑동측이 좌측 레이크 반송 기구(171A)에 접촉하여, 그 곡물짚의 반송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흐트러짐에 기인하여, 공급 반송 장치(125)에 의해 곡물짚을 탈곡 장치(104)를 향해 반송할 때의 이삭 끝측의 정렬이 나빠져, 탈곡 장치(104)에서의 탈곡 처리에 있어서 탈곡 잔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레이크 반송 기구(171A)를 2조용으로 구성하고, 또한, 공급 반송 장치(125)의 차체 전후 방향에 대한 차체 좌우 방향으로의 경사각(θc, θd)을 크게 하면, 좌측의 걷어올림 프레임(126A)에서 예취한 곡물짚은, 좌측의 레이크 반송 기구(171A)와 공급 반송 장치(125)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반송되게 된다. 그로 인해, 그 대략 U자 형상으로 반송되는 곡물짚의 반송 방향 전환 지점이 되는 곡물짚 통과부(127)에 있어서는, 그 곡물짚의 밑동측이 원심력에 의해 크게 휘둘려지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도 10, 도 11, 도 15 내지 도 19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콤바인에서는, 연장 부재(134)와 중간 부재(135)와의 사이에 전후 방향의 연결부(135A)를 개재하여, 연장 부재(134)를 곡물짚 통과부(127)로부터 차체 후방측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연장 부재(134)와 중간 부재(135)와의 사이에,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로부터 공급 반송 장치(125)에 전달하는 곡물짚의 밑동측의 통과를 허용하는 전후 폭이 넓은 전달 경로(217)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곡물짚 통과부(127)에 있어서, 곡물짚의 밑동측이 원심력에 의해 크게 휘둘려도, 그 곡물짚의 밑동측이 연장 부재(134)의 연장단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접촉에 의한 곡물짚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기인하여 곡물짚의 이삭 끝측의 정렬이 나빠져, 탈곡 장치(104)에서의 탈곡 처리에 있어서 탈곡 잔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부재(134)를, 곡물짚 통과부(127)보다도 예취부(103)의 좌측 단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곡물짚 통과부(127)에 있어서, 원심력에 의해 크게 휘둘리는 곡물짚의 밑동측이, 연장 부재(134)의 연장단부에 접촉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그 접촉에 기인한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의 안내 부재(173A, 173B)를, 곡물짚 통과부(127)를 통과하는 곡물짚의 밑동측을 공급 반송 장치(125)를 향해 안내하도록 형성하고, 또한, 좌측 안내 부재(173A)의 안내 종단부(73c)를 지지 부재(136)에 고정하고, 우측 안내 부재(173A)의 안내 종단부(73d)를 연장 부재(134)의 연장단부에 고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곡물짚 통과부(127)에 있어서, 곡물짚의 밑동측이 원심력에 의해 크게 휘둘려도, 그 휘둘림을 우측 안내 부재(173B)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그 곡물짚의 밑동측을, 좌우 안내 부재(173A, 173B)에 의해 공급 반송 장치(125)의 밑동 협지 반송 기구(182)에 신속하면서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달 불량에 기인한 곡물짚 막힘이나, 전달 불량에 의한 곡물짚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기인한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도 18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135A)의 상방에는,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로부터 공급 반송 장치(125)에 전달하는 곡물짚의 하단부를 하방으로부터 받아내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218)를, 연장 부재(134)의 연장 단부로부터 중간 부재(135)에 걸치도록 장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124A, 124B)로부터 공급 반송 장치(125)에 전달하는 곡물짚의 밑동측을 정렬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곡물짚의 이삭 끝측이 정렬되어, 탈곡 장치(104)에서의 탈곡 처리에 있어서 탈곡 잔류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곡립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8은 예취부(103)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예취부(103)의 좌측면도, 도 29는 예취부(103)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예취부(103)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103)는, 좌측 디바이더(121A)를 교환함으로써, 그 좌측 단부에 있어서의 좌측 분초구(151A)와 좌측 걷어올림 장치(122A)와의 사이에, 구동식의 분초 장치(219)을 장비할 수 있다.
도 14,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초 장치(219)는, 좌측 걷어올림 장치(122A)의 입력축(153A)으로부터 베벨 기어식의 보조 전동 기구(220)를 통해 취출한 동력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구동에 의해, 그 상부에 배치한 구동 스프로킷(221)과, 그 하부에 배치한 종동 스프로킷(222)에 걸쳐 감아 건 무단 체인(223)이 회전함으로써, 그 무단 체인(223)에 일정 피치로 정렬 배치한 복수의 걷어올림 발톱(224)에 의해, 예취부(103)의 작업 폭 내 최좌측의 작물(Ca)과, 이 작물(Ca)과 이웃하는 좌측의 작업 폭 외의 작물(Cx)을 빗어 나눈다.
즉, 좌측 분초구(151A)와 좌측 걷어올림 장치(122A)와의 사이에 구동식의 분초 장치(219)를 장비함으로써, 예취부(103)의 작업 폭 내 최좌측의 작물(Ca)과, 이 작물(Ca)과 이웃하는 좌측의 작업 폭 외의 작물(Cx)과의 분초 정밀도 및 분초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효과는, 작물(C)의 도복이 심한 포장에서 수확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특히 현저하게 나타난다.
분초 장치(219)는, 차체 좌우 방향의 차체 내측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 자세로 장비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취부(103)의 작업 폭 내 최좌측의 작물(Ca)과, 이 작물(Ca)과 이웃하는 좌측의 작업 폭 외의 작물(Cx)을 빗어 나누면서, 작업 폭 내 최좌측의 작물(Ca)의 이삭 끝측을, 좌측 걷어올림 장치(122A)의 걷어올림 영역(Aa1)을 향해 빗어 모을 수 있다.
이로써, 좌측 걷어올림 장치(122A)에 의한 작물(C)의 걷어올림 정밀도 및 걷어올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효과는, 좌측의 걷어올림 장치(122A)에 의해 2조의 작물(C)을 걷어올리는 경우에 특히 현저하게 나타난다.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1] 예취부(103)로는, 좌우 걷어올림 프레임(126A, 126B) 중 어느 한쪽[예를 들어, 운전부측의 걷어올림 프레임(126B)]을 1조용으로 구성하고, 또한, 다른 쪽을 2조용으로 구성한 2프레임 3조 예취 사양인 것이어도 좋다.
[2] 기체(101)의 우측에 예취부(103)를 연결하고, 기체(101)의 좌측에 운전부(102)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3] 분초 장치(219)로는, 비구동식의 것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분초 장치(219)의 자세를 수직 자세로 설정해도 좋다.
[4] 연결부(135A)를 연장 부재(134)의 연장 단부에 일체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연결부(135A)를 독립 형성하여, 중간 부재(135)와 연장 부재(134)에 연결하도록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의 요약>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 기체의 좌우 일방측에 예취부를 연결하고, 상기 기체의 좌우 타방측에 운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체에 있어서의 상기 예취부의 후방 위치에 탈곡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예취부에, 3개의 디바이더와 좌우 한 쌍의 걷어올림 장치를, 이웃하는 2개의 디바이더의 사이에 걷어올림 장치가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좌우 한 쌍의 걷어올림 프레임을 형성하고, 좌우의 상기 걷어올림 프레임의 각각에, 상기 예취부에 좌우 방향의 일직선 형상으로 배치한 예취 장치로 예취한 작물의 곡물짚을, 좌우의 상기 걷어올림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한 곡물짚 통과부에 레이크 반송하는 레이크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부에, 좌우의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에 의해 상기 곡물짚 통과부에 반송한 작물의 곡물짚을 상기 탈곡 장치에 반송하는 공급 반송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의 예취 반송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직선 반송 경로의 차체 전후 방향에 대한 차체 좌우 방향으로의 경사각과, 운전부측의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직선 반송 경로의 차체 전후 방향에 대한 차체 좌우 방향으로의 경사각이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 및 운전부측의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의 직선 반송 경로의 협각이, 상기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의 직선 반송 경로와 상기 공급 반송 장치의 직선 반송 경로와의 협각보다도 커지도록, 좌우의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 및 상기 공급 반송 장치의 자세를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특징구성에 따르면,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의 직선 반송 경로를, 예취 장치의 상방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일직선 형상이 되는 예취 장치의 예취 위치에 대하여, 그것들의 예취 위치를 거의 따른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가, 예취 장치에 의한 예취 전의 작물짚에 작용하여, 차체의 진행과 함께 예취 전의 작물짚을 차체 전방을 향해 눌러 구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눌러 구부러진 작물짚이, 예취 장치의 예취 위치에 도달하여 예취되었을 때의, 차체 전방을 향해 눌러 구부러진 상태로부터 곧게 펴진 상태로 복귀하려고 하는 복원 작용에 의해,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로부터 이격된 차체 전방측으로 튀어 나와, 좌우 레이크 반송 장치의 반송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예취 장치의 전방으로 넘쳐 떨어지는 것에 기인한 작물짚의 두번 예취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는, 걷어올림 프레임에 2조의 작물짚을 도입하는 경우, 즉 걷어올림 프레임 내에 복수의 작물짚이 좌우 방향으로 이식 간격을 두고 도입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며, 걷어올림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곡물짚 통과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좌우 일측부에 도입되는 작물짚에, 차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레이크 반송 장치의 반송 시단부측이 작용하여 눌러 구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취 장치에 의한 예취 직후의 작물짚을,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에 의해 빠르게 곡물짚 통과부를 향해 레이크 반송할 수 있어, 곡물짚 통과부에 있어서 작물짚을 공급 반송 장치에 양호한 상태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작물짚의 두번 예취에 기인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예취부에 있어서의 작물짚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를, 운전부측의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보다도 높이 위치가 낮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는 이하의 점에서 유리한 것이다.
공급 반송 장치가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레이크 반송 장치에 가깝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공급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하는 작물짚의 밑동측이 당해 레이크 반송 장치에 접촉하여, 그 반송 자세가 흐트러지는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레이크 반송 장치를, 운전부측의 레이크 반송 장치보다도 높이 위치가 낮아지도록 배치하고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해, 공급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작물짚의 밑동측을,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레이크 반송 장치에 접촉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그 접촉에 기인한 작물짚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기인하여, 공급 반송 장치에 의해 작물짚을 탈곡 장치를 향해 반송할 때에 작물짚의 이삭 끝측의 정렬이 나빠져, 탈곡 장치에서의 탈곡 처리에 있어서 탈곡 잔류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하는 작물짚이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레이크 반송 장치에 접촉하는 것에 기인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에, 레이크 반송용의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레이크 반송 영역에 작물의 곡물짚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좌우의 상기 안내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예취부의 좌우 단부로부터 대응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향해 연장하는 직선 안내부를, 차체 전후 방향과 직행하는 가로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본 특징구성에 따르면, 좌우 안내 부재의 직선 안내부가, 작업 주행시에, 예취 전의 작물짚에 작용하여, 그 작물짚을 차체 전방을 향해 눌러 구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눌러 구부러진 작물짚이, 예취와 함께 억지 굽힘 상태로부터의 복원 작용에 의해, 예취 장치의 전방으로 넘쳐 떨어져 두번 예취될 우려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예취 전의 작물짚에 안내 부재가 작용하는 것에 기인한 작물짚의 두번 예취에 의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3개의 상기 디바이더를, 이웃하는 디바이더와의 사이에 최대 2조의 작물짚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좌우 간격을 갖도록 배치하고, 좌우의 상기 걷어올림 장치를, 최대 2조의 작물짚의 걷어올림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하고, 좌우의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를, 최대 2조의 작물짚의 레이크 반송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하고, 좌우의 상기 걷어올림 프레임을, 최대 2조의 작물짚을 걷어올리는 2조용으로 구성하고, 상기 예취부의 좌우 양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디바이더를, 그것들의 전단부에 구비한 분초구의 자세가, 차체 후방부측 만큼 차체 좌우 방향의 차체 내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좌우 한 쌍의 걷어올림 프레임을 구비하는 구성이면서 최대 4조의 작물을 수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4조 예취의 작업 주행시에 있어서, 걷어올림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곡물짚 통과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좌우 일측부에 도입되는 작물짚에 대하여, 예취부의 좌우 양단부에 위치하는 디바이더의 분초구가 작용할 때에는, 그 걷어올림 프레임 내의 좌우 일측부의 작물짚이, 그 작물짚에 인접하는 걷어올림 프레임 외의 작물짚으로부터 이격된 측이며, 또한, 곡물짚 통과부가 위치하는 측인, 걷어올림 프레임 내의 좌우 타측부측을 향해 모여들게 된다.
*따라서, 분초구의 분초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좌우 일측단부에 배치한 상기 디바이더의 분초구와 상기 걷어올림 장치와의 사이에 분초 장치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예취부의 작업 폭 내에 있어서의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좌우 일측단부에 도입되는 작물짚과, 이 작물짚과 인접하는 예취부의 작업 폭 외의 작물짚을 고정밀도로 확실하게 나눌 수 있다.
따라서, 분초 정밀도 및 분초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구성은, 작물의 도복이 심한 포장에서 수확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그때, 상기 분초 장치를, 차체 좌우 방향의 차체 내측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 자세로 세워 설치하면, 다음의 점에서 한층 더 유리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분초 장치는, 예취부의 작업 폭 내에 있어서의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좌우 일측단부에 도입되는 작물짚을, 이 작물짚과 인접하는 예취부의 작업 폭 외의 작물짚으로부터 이격된 측이며, 또한, 곡물짚 통과부가 위치하는 측인, 예취부의 좌우 중앙측을 향해 빗어 모을 수 있다.
따라서, 분초 장치의 분초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합하게는, 상기 예취부에 있어서의 좌우 중앙의 전단부에 분초 레버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에 의해 걷어올리는 작물짚이, 다른 쪽의 걷어올림 장치를 향해 도복함으로써, 그 이삭 끝측이, 걷어올림 영역의 차체 전방측에 있어서 차체 정면에서 봤을 때 교차하게 되었어도, 그 작물짚을, 중앙 분초간의 분초 작용에 의해, 대응하는 걷어올림 장치의 걷어올림 영역을 향해 좌우로 나눌 수 있다. 이로 인해,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의 차체 전방측에 있어서, 작물짚의 이삭 끝측이 서로 얽힐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좌우의 걷어올림 장치의 차체 전방측에 있어서, 작물짚의 이삭 끝측이 서로 얽히는 것에 기인한 작물짚의 걷어올림 효율의 저하나 걷어올림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 기체의 좌우 일방측에 예취부를 연결하고, 상기 기체의 좌우 타방측에 운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체에 있어서의 상기 예취부의 후방 위치에 탈곡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예취부에, 3개의 디바이더와 좌우 한 쌍의 걷어올림 장치를, 이웃하는 2개의 디바이더의 사이에 걷어올림 장치가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좌우 한 쌍의 걷어올림 프레임을 형성하고, 좌우의 상기 걷어올림 프레임의 각각에, 상기 예취부의 예취 장치에 의해 예취한 작물의 곡물짚을, 좌우의 상기 걷어올림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한 곡물짚 통과부에 레이크 반송하는 레이크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부에, 좌우의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에 의해 상기 곡물짚 통과부에 반송한 작물의 곡물짚을 상기 탈곡 장치에 반송하는 공급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부를 상기 기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차체 전하방을 향해 연장하는 연장 부재와, 상기 연장 부재의 연장 단부에 연결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에, 좌우의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장비한 콤바인의 예취 반송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좌우 일측단부에 위치하는 디바이더와, 이 디바이더와 이웃하는 디바이더를, 그들 사이에 최대 2조의 작물짚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좌우 간격을 갖도록 배치하고, 그 2개의 디바이더 사이에 위치하는 걷어올림 장치를, 최대 2조의 작물짚의 걷어올림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에 위치하는 레이크 반송 장치를, 최대 2조의 작물짚의 레이크 반송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걷어올림 프레임을, 최대 2조의 작물짚을 걷어올리는 2조용으로 구성하고, 상기 중간 부재를, 전후 방향의 연결부를 통해 상기 연장 부재의 연장 단부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연장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로부터 상기 공급 반송 장치에 전달하는 작물짚의 밑동측의 통과를 허용하는 전달 경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예취부를, 적어도,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걷어올림 프레임이 최대 2조의 작물짚의 걷어올림이 가능한 2조용이 되는, 작업 폭이 넓은 2프레임 3조 예취 사양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작업 폭이 넓은 예취부를, 기체의 바로 정면 또는 거의 바로 정면에 고정 배치하면, 기체의 좌우 양 외측에 미예취 작물이 존재하는 중할 작업 주행시나,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차체 가로 외측에 미예취 작물이 존재하는 주변 예취의 작업 주행시에 관계없이, 차체의 좌우 폭 내에 존재하는 작물을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다.
또한,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걷어올림 프레임을 2조용으로 구성함으로써, 기체의 좌우 양 외측에 미예취 작물이 존재하는 중할 작업 주행시나,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차체 가로 외측에 미예취 작물이 존재하는 주변 예취의 작업 주행시에 관계없이, 항상 2조의 작물짚을 걷어올리는 걷어올림 프레임이 존재하게 되고, 그 결과, 예취부에 형성하는 걷어올림 프레임의 수량보다도 많은 조수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다.
그런데,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레이크 반송 장치를 좌우 폭이 넓은 2조용으로 구성하면, 좌측의 걷어올림 프레임에서 예취한 작물짚은, 그 레이크 반송 장치와 공급 반송 장치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반송되게 된다. 그로 인해, 그 대략 U자 형상으로 반송되는 작물짚의 반송 방향 전환 지점이 되는 곡물짚 통과부에서는, 그 작물짚의 밑동측이 원심력에 의해 크게 휘둘리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 특징 구성에 있어서는, 연장 부재와 중간 부재와의 사이에 전후 방향의 연결부를 개재하여, 연장 부재와 중간 부재와의 사이에 전후 폭이 넓은 전달 경로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며, 이에 의해, 곡물짚 통과부에 있어서, 작물짚의 밑동측이 원심력에 의해 크게 휘둘려도, 그 작물짚의 밑동측이 연장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접촉에 의해, 공급 반송 장치에 전달할 때의 작물짚의 반송 자세에 흐트러짐이 발생하여, 공급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하는 작물짚의 이삭 끝측의 정렬이 나빠져, 탈곡 장치에서의 탈곡 처리에 있어서 탈곡 잔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취부에 형성하는 걷어올림 프레임의 수량보다도 많은 조수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수확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구성하면서, 예취 반송 구조의 복잡화나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일 없이, 중할 예취와 주변 예취의 양쪽 작업 주행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작업성이 우수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물짚이 연장 부재에 접촉하는 것에 기인한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연결부의 상방에,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로부터 상기 공급 반송 장치에 전달하는 작물짚의 하단부를 하방으로부터 받아내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장비하고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좌우의 레이크 반송 장치로부터 공급 반송 장치에 전달하는 작물짚의 밑동측을 쉽게 정렬시킬 수 있다. 이로써, 작물짚의 이삭 끝측이 정렬되기 쉬워져, 탈곡 장치에서의 탈곡 처리에 있어서 탈곡 잔류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곡립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에, 그 레이크 반송 영역에 작물의 곡물짚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 부재의 연장 단부에, 운전부측의 상기 레이크 반송 장치에 구비한 상기 안내 부재의 안내 종단부를 고정하고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레이크 반송 장치에 의해 곡물짚 통과부를 향해 레이크 반송되는 작물짚이, 곡물짚 통과부에 있어서, 원심력에 의해 크게 휘둘려도, 그 휘둘림을, 안내 종단부를 연장 부재에 고정한 안내 부재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작물짚을 공급 반송 장치에 신속하면서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크 반송 장치로부터 공급 반송 장치로의 전달 불량에 기인한 곡물짚 막힘이나, 전달 불량에 의한 작물짚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기인한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연장 부재를, 상기 곡물짚 통과부보다도 상기 예취부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좌우 일측단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운전부로부터 이격된 측의 레이크 반송 장치에 의해 곡물짚 통과부를 향해 레이크 반송되는 작물짚이, 곡물짚 통과부에 있어서, 원심력에 의해 크게 휘둘려도, 그 휘둘림측과는 반대측의 위치에 연장 부재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작물짚이 연장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물짚이 연장 부재에 접촉하는 것에 기인한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30 내지 도 43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자탈형 콤바인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주로 본 실시 형태의 특징으로 되어 있는 탈곡 장치의 급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0은, 탈곡 장치용 급동을 구비한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이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탈곡 장치는, 탈곡기체(301)와, 이 탈곡기체(301)의 전단부측에 있어서의 상부 내측에 설치한 급실(302)을 갖는 탈곡부(A)와, 상기 탈곡기체(301) 내부의 상기 급실(302)의 아래쪽에 설치한 요동 선별 장치(303)를 갖는 선별부(B)와, 상기 탈곡기체(301) 하부의 내측에 설치한 1번 스크류 컨베이어(304) 및 2번 스크류 컨베이어(305)와, 상기 탈곡기체(301) 내부의 상기 급실(302)의 후방에 설치한 배출 볏짚 반송 장치(306)와, 상기 탈곡기체(301)의 후방부에 연결한 배출 볏짚 처리 장치(307)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탈곡 장치는, 콤바인의 주행 기체에 탑재되어, 콤바인의 예취부로부터의 예취 곡물짚을 탈곡 처리하고, 또한 탈곡 배출 볏짚을 세단 처리하여 방출하거나, 긴 짚 상태로 방출한다.
즉, 상기 탈곡부(A)는, 상기 급실(302)을 구비하는 것 외에, 이 급실(302)에 탈곡기체 전후 방향의 회전 축심(X) 둘레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한 급동(310)과, 상기 급실(302)의 하부에 급동(310)을 따라 설치한 수망(311)과, 상기 탈곡기체(301)의 가로 외측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한 탈곡 피드 체인(312)을 구비하고 있다.
즉, 탈곡부(A)는, 콤바인의 예취부로부터의 예취 곡물짚의 밑동측을 상기 탈곡 피드 체인(312)에 의해 협지하여 탈곡기체 후방으로 반송하고, 이로 인해 예취 곡물짚의 이삭 끝측을 상기 급실(302)의 급동(310) 하측에 삽입하여 급동(310)과 수망(311)에 의해 탈곡 처리하고, 탈곡립 등의 탈곡 처리물을 수망(311)의 그물코로부터 낙하시켜, 탈곡 배출 볏짚을 급실(302)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송진구(313)로부터 탈곡 피드 체인(312)에 의해 배출한다.
상기 선별부(B)는, 상기 요동 선별 장치(303)를 구비하는 것 외에, 이 요동 선별 장치(303)의 전단부 아래쪽에 설치한 풍구(316)와, 상기 요동 선별 장치(303)의 후단부 상방에 설치한 배진팬(317)을 구비하고 있다.
즉, 선별부(B)는, 상기 수망(311)으로부터 낙하한 탈곡 처리물을 상기 요동 선별 장치(303)에 의해 받아내고, 이 요동 선별 장치(303)에 의한 요동 선별과, 상기 풍구(316)에 의해 탈곡기체 후방에 공급되는 선별풍에 의해 곡립과 진애로 선별하여,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303)로부터 낙하시키고, 진애를 선별풍과 함께 배진팬(317)을 내장한 배진 케이스의 배출구(318) 혹은 탈곡기체(301)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배진구(319)로부터 탈곡기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1번 스크류 컨베이어(304)는, 요동 선별 장치(303)로부터 곡립 중의 1번물을 받아들여 탈곡기체 횡방향으로 반송해서 탈곡기체(301)의 가로 외측으로 반출한다. 상기 2번 스크류 컨베이어(305)는, 요동 선별 장치(303)로부터의 곡립 중 2번물을 받아들여 탈곡기체 횡방향으로 반송해서 탈곡기체(301)의 가로 외측으로 반출한다. 2번 스크류 컨베이어(305)로부터의 2번물은, 스크류 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환원 장치(320)에 의해 탈곡기체(301)의 횡벽 상부에 위치하는 환원구에 리프팅하고, 이 환원구로부터 탈곡기체 내에 투입하여 요동 선별 장치(303)의 시단부측에 환원한다.
상기 배출 볏짚 반송 장치(306)는, 상기 탈곡 피드 체인(312)으로부터 탈곡 배출 볏짚을 이어받고, 이어받은 탈곡 배출 볏짚을 가로 쓰러짐 자세로 이삭 끝측을 탈곡기체(301)의 횡벽측에 가까이 대면서 탈곡기체 후방측으로 반송하고, 탈곡기체(301)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배출 볏짚 반출구(321)로부터 탈곡기체(301)의 외부로 반출하여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307)의 커터 케이스(325) 상에 낙하시킨다.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307)는, 커터 케이스(325)의 상부에 설치한 배출 볏짚 수납구(326)와, 이 배출 볏짚 수납구(326)를 개폐하는 요동 개폐 가능한 덮개판(327)과, 상기 커터 케이스(325)의 내부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한 한 쌍의 회전 커터(328, 328)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307)는, 상기 덮개판(327)이 상승 개방조작되면, 상기 배출 볏짚 반송 장치(306)로부터 낙하한 탈곡 배출 볏짚을 배출 볏짚 수납구(326)로부터 커터 케이스(325)의 내부로 낙하시키고, 커터 케이스(325)에 들어간 탈곡 배출 볏짚을 회전시키는 상기 한 쌍의 회전 커터(328, 328)에 의해 곡물짚 몸체 방향으로 세단하고, 세단 짚을 커터 케이스(325)의 하부로부터 탈곡기체(301)의 후방으로 낙하시킨다.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307)는, 상기 덮개판(327)이 하강 폐쇄 조작되면, 상기 배출 볏짚 반송 장치(306)로부터 낙하한 탈곡 배출 볏짚을 덮개판(327) 상에 낙하시켜 긴 볏짚인 상태로 덮개판(327)으로부터 커터 케이스(325)의 후방으로 낙하시킨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310)은, 탈곡기체 전후 방향의 지지축(330)을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갖는 판금제의 급동 드럼(331)과, 이 급동 드럼(331)의 둘레벽부(332)에 이 둘레벽부(332)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배치한 2개의 점검 개구(333, 333)와, 상기 2개의 점검 개구(333, 333)를 따로따로 폐쇄하는 덮개(334)와, 상기 둘레벽부(332) 및 상기 각 덮개(334)에 급동(310)의 회전 방향(F)과 회전 축심 방향에 나란히 설치한 급치(treshing teeth)(335, 336)를 구비하고 있다. 각 급치(335, 336)는, 급치(335, 336)의 내측에 위치한 플레이트(335a, 336a)를 구비하고, 이 플레이트(335a, 336a)에 의해 곡물짚의 엉김을 방지한다.
상기 2개의 점검 개구(333, 333)는, 급동 드럼(331)의 상기 둘레벽부(332)에 위치하는 급치(335)의 설치나 교환 작업에 이용하는 것이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점검 개구(333, 333)는, 급동(310)의 회전 축심(X)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급동(310)의 둘레 방향에 분산되어 있다.
도 36 및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334)는, 상기 급치(336)를 구비한 직사각형의 덮개부(340)와, 이 덮개부(340)의 외측에 덮개부의 전체 주위에 걸쳐 위치하는 연결부(341)를 연속 구비하도록 형성한 1장의 판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334)는, 상기 급치(336)의 4개를 덮개(334)의 횡폭 방향과 전후 방향에 나란히 구비하고 있다. 이 덮개(334)는, 상기 덮개부(340) 표면(340a)의 덮개 횡폭 방향에서의 일단부에 띠판을 부착하여 설치한 덮개 전후 방향의 돌출부(3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341)는, 연결부(341) 전체에 걸쳐 상기 덮개부(340)의 표면(340a)과 면일하게 설정하여 설치한 연결면(341a)과, 연결부(341) 중 덮개(334)의 횡방향에서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덮개(334)의 전후 방향에 나란히 설치한 3개의 연결 구멍(343)과, 연결부(341) 중 덮개(334)의 전후 방향에서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설치한 1개의 연결 구멍(344)을 구비하고 있다.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점검 개구(333)에 대한 상기 덮개(334)는, 덮개(334)의 횡방향이 급동(310)의 둘레 방향이 되고, 덮개(334)의 전후 방향이 급동(310)의 전후 방향이 되는 설치 자세로 하고, 또한 연결부(341)의 연결면(341a)을 급동 드럼(331)의 둘레벽부(332)의 이면에 접촉시켜, 연결부(341)의 각 연결 구멍(343, 344)에 장착한 연결구로서의 연결 볼트(345, 346, 347)에 의해 연결부(341)와 둘레벽부(332)를 조여 연결한다. 그러면, 덮개(334)가 설치 상태로 되고, 덮개부(340)가 점검 개구(333)에 면하고, 덮개(334)는, 덮개부(340)에 의해 점검 개구(333)를 폐쇄한다. 이때, 상기 돌출부(342)는, 급동 드럼(331)의 둘레벽부(332)의 점검 개구 둘레 중 급동 회전 방향 하측을 향하는 부분(350)을 따른 상태에서 점검 개구(333)에 위치하여 상기 점검 개구 둘레 부분(350)에 대한 가드 수단이 되어, 탈곡 곡물짚이나 탈곡립이 상기 점검 개구 둘레 부분(35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각 연결 볼트(345, 346, 347)로는, 마멸되지 않도록 캡 볼트(육각구멍 볼트)를 채용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1>
도 30 내지 도 37에 도시한 급동(310)과의 비교에서는, 다른 형태 1에 관한 도 38 내지 도 39에 도시하는 급동(310)은, 점검 개구(333)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F)에서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위치하는 연결구로서의 연결 볼트(345, 346)에 의해 덮개(334)의 연결부(341)와 급동 드럼(331)의 둘레벽부(332)를 조여 연결하는 점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다른 형태 1에 관한 급동(310)에서는, 점검 개구(333)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급동 회전 방향(F)에 배열되는 상기 연결구(345)와 점검 개구 둘레(350)와의 간격(D1)[연결구(345)의 축심으로부터 점검 개구 둘레(350)에 이르는 거리]을, 점검 개구(333)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 하류측에 있어서 급동 회전 방향(F)에 배열되는 상기 연결구(346)와 점검 개구 둘레(351)와의 간격(D2)[연결구(346)의 축심으로부터 점검 개구 둘레(351)에 이르는 거리]보다도 크게 설정한 상태로 상기 각 연결구(345, 346)를 구비하고 있다.
즉, 급동 회전 방향 상류측의 점검 개구 둘레(350)에는, 탈곡 곡물짚이나 탈곡립과의 접촉에 의한 마멸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점검 개구 둘레(350)와 연결구(345)와의 간격(D1)의 크기가, 점검 개구 둘레(350)의 마멸이 연결구(345)까지 진행하여 덮개(334)의 설치가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3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2>
다른 형태(2)에 관한 도 38 내지 도 39에 도시하는 급동(310)은, 다른 형태(1)에 관한 급동(310)과 마찬가지로, 점검 개구(333)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급동 회전 방향(F)에 배열되는 상기 연결구(345)와 점검 개구 둘레(350)와의 간격(D1)[연결구(345)의 축심으로부터 점검 개구 둘레(350)에 이르는 거리]을, 점검 개구(333)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 하류측에 있어서 급동 회전 방향(F)에 배열되는 상기 연결구(346)와 점검 개구 둘레(351)와의 간격(D2)[연결구(346)의 축심으로부터 점검 개구 둘레(351)에 이르는 거리]보다도 크게 설정한 상태로 상기 각 연결구(345, 34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다른 형태 2에 관한 급동(310)은, 도 30 내지 도 37에 도시한 급동(310)과 마찬가지로, 급동 드럼(331)의 둘레벽부(332)의 점검 개구 둘레 중 급동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하는 부분으로서의 상기 점검 개구 둘레(350)를 따라 덮개(334)의 덮개부(340)에 설치한 돌출부(342)를 구비하여, 탈곡 곡물짚이나 탈곡립이 상기 점검 개구 둘레(350)에 접촉하는 것을 상기 돌출부(342)에 의해 방지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요약>
점검 개구의 덮개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덮개를 채용하면, 덮개에 급치를 설치하기 때문에, 점검 개구를 크고 사용하기 쉬운 것으로 하기 쉽다.
즉, 덮개에 급치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급동 드럼의 둘레 방향 및 회전 축심 방향으로 배열되는 급치를 피해서 점검 개구를 설치하기 때문에, 점검 개구가 작아지거나, 가늘고 길다든가 구부러진다든가 하는 형상이 되기 쉽다.
이에 반해, 덮개에 급치를 설치하면, 점검 개구의 크기나 형상을 급치에 좌우되지 않고 설정하여도,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급동 드럼의 급치를 설치해야 할 개소에 덮개에 의해 급치가 설치되게 된다.
급치를 설치한 덮개를 채용했을 경우, 덮개를 급동 드럼에 설치하는 구조의 구성에 의해서는, 덮개나 급치의 구조나 배치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즉,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334)를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332)의 표면측에 접촉시켜 연결하도록 구성하면, 덮개(334)를 구조 간단하게 얻어지도록 평판형으로 구성한 경우, 덮개(334)의 전체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332)보다도 급동 드럼(331)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고, 덮개(334)에 설치한 급치(336)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332)에 지지되는 급치(335)에 대하여 급동 드럼(331)의 외측으로 위치 어긋나고, 덮개(334)의 급치(336)가 수망(311)에 매우 근접한 상태가 된다.
또한, 덮개(334)를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332)의 표면측에 접촉시킨 경우, 덮개(334)의 둘레부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332)의 표면측에 노출되기 때문에, 덮개(334)의 둘레부 중 점검 개구(333)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곡물짚이나 곡립과의 접촉에 의한 마멸이 발생하기 쉽다.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334)에 설치한 급치(336)의 수망에 대한 이상 근접을 회피하려고 하면, 덮개(334)의 급치(336)를 연결하는 부분이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332)에 연결하는 부분보다도 급동 드럼(331)의 내측으로 위치 어긋난 구조를 덮개(334)에 구비시켜도, 제작 오차의 발생에 따라서는, 덮개(334)의 급치(336)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332)의 급치(335)보다도 수망(311)에 근접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크고 사용하기 쉬운 형상의 점검 개구를 구비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덮개를 구조 간단한 것으로 하여도, 덮개의 마멸 및 급치의 수망에 대한 이상 근접을 회피할 수 있는 탈곡 장치용 급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에서는, 그 탈곡 장치용 급동이 이하의 특징 구성을 갖는다.
즉,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에 설치한 점검 개구와, 상기 점검 개구를 폐쇄하는 탈착 가능한 덮개를 구비한 탈곡 장치용 급동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 이 덮개를 상기 둘레벽부에 설치하도록 상기 둘레벽부의 이면측에 맞대어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덮개의 상기 점검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부에 설치한 급치(扱齒)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둘레벽부의 이면에 맞닿는 연결면과, 상기 덮개부의 상기 점검 개구에 면하는 표면을 면일(面一)하게 설정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점검 개구의 크기나 형상을 급치에 좌우되지 않고 설정하여도,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급동 드럼의 급치를 설치해야 할 개소에 덮개의 덮개부에 의해 급치가 설치된다.
또한,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덮개의 연결부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의 이면측에 연결되어 둘레벽부의 표면측에 노출되지 않고, 연결부가 둘레벽부의 표면측에 노출된 경우와 같이 곡물짚이나 곡립이 덮개의 둘레부에 접촉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덮개의 덮개부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의 내측에 유입된 개소에 위치하고, 이 개소에서 덮개의 급치가 지지된다. 이에 의해, 덮개에 위치하는 급치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에 위치하는 급치보다도 수망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덮개의 제작 오차에 따라 덮개부의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에 대한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어도, 덮개에 위치하는 급치가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에 위치하는 급치보다도 수망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점검 개구를 크고 사용하기 쉬운 상태로 설치하여 급치의 설치나 교환 작업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또한 덮개를 연결부의 연결면과 덮개부의 표면이 면일한 구조 간단한 것으로 하면서, 덮개에 지지되는 급치의 수망에 대한 이상 근접을 고정밀도로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덮개의 곡물짚이나 곡립과의 접촉에 의한 마멸이 발생하지 않는 고품질의 탈곡 장치용 급동을 얻을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덮개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급동 드럼의 상기 둘레벽부를 조여 연결하는 연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점검 개구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급동 회전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연결구와 상기 둘레벽부의 점검 개구 둘레와의 간격을, 상기 점검 개구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 하류측에 있어서 급동 회전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연결구와 상기 둘레벽부의 점검 개구 둘레와의 간격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덮개를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의 이면측에 설치하면,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에 있어서의 점검 개구 둘레가 노출되어, 점검 개구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의 점검 개구 둘레에, 곡물짚이나 곡립과의 접촉에 의한 마멸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제2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점검 개구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의 점검 개구 둘레에 마멸이 발생해도, 이 마멸이 연결구까지 진행하여 덮개의 설치가 불능이 되는 것을, 점검 개구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의 점검 개구 둘레와 연결구와의 간격의 크기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를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의 이면측에 설치하는 것이면서, 급동 드럼의 점검 개구 둘레의 마멸 때문에 덮개를 설치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탈곡 장치용 급동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가 상기 점검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둘레벽부의 급동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하는 점검 개구 둘레를 따라 상기 점검 개구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상기 덮개부의 상기 표면에 설치하는 것도 적합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덮개부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부가, 급동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하는 점검 개구 둘레를 따라 점검 개구에 위치하여 상기 점검 개구 둘레에 대한 가드 수단이 되어, 곡물짚이나 곡립이 상기 점검 개구 둘레에 닿는 것을 돌기부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를 급동 드럼의 둘레벽부의 이면측에 설치하는 것이면서, 급동 드럼의 점검 개구 둘레의 곡물짚이나 곡립과의 접촉에 의한 마멸을 방지하여 장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탈곡 장치용 급동을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그 밖의 형태>
상기한 자탈형 콤바인의 급동 대신에, 본 발명은, 전간 투입형 또는 보통형(whole-culm charging type or normal type) 콤바인의 급동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타입의 콤바인은, 이삭 끝에서 밑동까지의 전체에 걸쳐 급실에 공급된 예취 곡물짚을 탈곡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44 내지 도 4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자탈형 콤바인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주로 본 실시 형태의 특징으로 되어 있는 탈곡 장치의 차폐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4에, 콤바인에 탑재된 탈곡 장치(401)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있어서는, 탈곡 장치(401)를 콤바인에 탑재한 예를 나타내기 때문에, 도 44에 있어서의 좌측이 처리물의 반송 상측에 상당하고, 도 44에 있어서의 우측이 처리물의 반송 하측에 상당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처리물의 반송 상측을 전방으로, 처리물의 반송 하측을 후방으로 표시한다.
상기 탈곡 장치(401)는, 그 상부측에 급실(400A), 중간부측에 요동 선별 장치(400B), 하부측에 회수 장치(400C)를 배치하고 있다. 탈곡 장치(401)에는, 예취 처리된 곡물짚을 피드 체인(402)으로 협지 반송하면서 탈곡 처리하는 급동(403)을 급실(400A)에 축가하는 동시에, 탈곡 처리된 처리물을 아래로 떨어뜨리는 수망(405)을 급동(403)의 하방측에 배치하고 있다.
요동 선별 장치(400B)에는, 수망(405)으로부터 떨어진 처리물을 받아내는 곡물팬(406), 이 곡물팬(406)의 후방에 순서대로 위치시킨 검불체(407) 및 짚체(408), 검불체(407)의 하방에 위치하는 곡물체(409)를, 전후 요동 구동되는 시브 케이스(416)에 가설하는 동시에, 곡물팬(406)의 하방측에 풍량 조정 가능한 풍구(410)을 설치하고 있다.
요동 선별 장치(400B)는, 급실(400A)로부터 떨어진 처리물을 개방도 조절 가능한 검불체(407)로 받아내어 요동 이송하면서 조(粗)선별을 행하는 조선별부(439), 상기 조선별부(439)로부터 떨어진 선별 처리물을 요동 이송하면서 곡립과 2번물로 선별하는 정(精)선별부(440)를 시브 케이스(416)에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검불체(407)의 종단부 후방에서 처리물의 이송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볏짚 부스러기 이송용의 짚체(408)를, 풍구(410)의 선별풍을 하방으로부터 받으면서 작동하도록 배치하여, 볏짚 부스러기를 배진구(427)로부터 기체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풍구(410)는, 풍구 팬(423)을 풍구 케이스(424)에 내장하여 급실(400A)의 전방부 하방에 배치하고 있다.
짚체(408)는, 요동 선별 장치(400B)의 요동에 의해 볏짚 부스러기를 흔들면서 풍구(410)에 의한 선별풍과의 협동 작용으로 후방의 배진구(427)에 반송하면서, 체로 걸러 내진 곡립이 회수된다.
회수 장치(400C)에는, 곡물체(409)의 하방에 곡물체(409)로부터의 누하물(1번물)을 회수하여 가로 일측으로 가로이송하는 1번물 반송 스크류(411)를 배치하는 동시에, 곡물체(409)나 검불체(407) 등으로부터의 누하물(2번물)을 회수하여 가로 일측으로 가로이송하는 2번물 반송 스크류(412)를 배치하고 있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403)의 후방 아래쪽에 처리 동(417)을 구비하여, 급동(403)의 후단부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물을 이 처리 동(417)에 의해 풀어 처리하고, 진애로부터 곡립을 취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처리 동(417)의 후방에는 배진팬(404)이 설치되고, 이 배진팬(404)의 상측을 덮어 상측 팬 가이드(414)가 설치되어 있다. 배진팬(404)의 하측을 덮어 설치된 하측 팬 가이드(415)의 하방에 후술하는 차폐 부재(420)가 좌우의 측벽(418, 418) 사이의 대략 전체 폭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배진구(427) 부근에 위치하는 시브 케이스(416)의 후단부에는, 후술하는 차폐 부재(420)의 요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진 하부판(428)이 상하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45는 선단부에 신축 급치(431a)를 형성하는 탈곡 막대(431)의 상세를 도시하는 급동(403)의 종단 측면도, 도 46은 급동(403)의 종단 배면도를 도시한다.
급치(432)를 구비한 급동(403)의 드럼(430)은, 그 전단부벽(430a)과 중간벽(430b)이 급동 회전축(433)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후단부벽(430c)이 급실(400A)의 후방벽(426)에 고정된 제1 고정축(43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급동 회전축(433)의 급실(400A)의 전방벽(425)보다 전방으로 돌출시킨 축부에는 입력 풀리(434)가 고정되어 있다. 제1 고정축(435)에는 급동(403)의 내부에서, 제1 고정축(435)보다도 하방 위치에 있어서, 제1 고정축(435)으로부터 크랭크 형상으로 고정 브래킷(436)과 제2 고정축(437)을 연장 설치하고, 제2 고정축(437)에 고정한 축지지 부재(441)에 급동 회전축(433)의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2 고정축(437)에는, 2개의 탈곡 막대(431)를 제2 고정축(437)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탈곡 막대(431)의 선단부가 하향의 하방에 위치할 때에는, 탈곡 막대(431)의 선단부[신축 급치(431a)]가, 급동(403)의 드럼(43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 자세가 되고, 탈곡 막대(431)가 상향의 상방에 위치할 때에는, 급동(403)의 드럼(430)으로부터 들어간 비 돌출 자세가 되도록 탈곡 막대(431)의 길이를 설정하고 있다.
탈곡 막대(431)의 기부는 제2 고정축(43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탈곡 막대(431)의 자유 단부는 드럼(430)의 외주에 탈곡 막대 가이드 구멍을 형성한 탈곡 막대 가이드체(438)에 가이드되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 풀리(434)로부터 회전 동력을 받으면, 급동 회전축(433)을 중심으로 급동(403)이 회전하고, 탈곡 막대(431)는 드럼(430)의 탈곡 막대 가이드체(438)로 안내되면서, 제2 고정축(437) 둘레를 회전하고, 자유 단부의 신축 급치(431a)가 하향으로 됨에 따라 드럼(43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신축 급치(431a)가 상방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드럼(430) 내로 들어가서, 상단부 위치 부근에서,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탈곡 막대(431)의 신축 작동에 의해 신축 급치(431a)는 하부에서는 벼를 탈곡하여 떨어뜨리고, 상단부 부근에서는 탈곡 막대(431)가 들어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처리물을 가지고 다니지 않고, 급동(403)의 회전에 따라 벼가 붙어있는 처리물을 풀어 놓아 탈곡되므로, 효율적으로 탈곡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도 47 및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 부재(420)는, 좌우의 측벽(418, 418) 사이에 걸쳐서 설치된 하측 팬 가이드(415)의 하면에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차폐판(421)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 부재(422)를 고착하고, 차폐판(421)을 지지 부재(422)에 폭 방향 복수 개소에서 나사 고정함으로써 매달아 설치하고 있다.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 부재(420)는, 상부를 지지 부재(422)에 매달아 설치된 차폐판(421)을 구비하고, 차폐판(421)은, 상부가 폭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고, 또한, 그 하방 부분에 폭 방향으로 복수 개소에서 좌우로 분단된 슬릿(419)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차폐판(421)은, 연질의 탄성 변형 가능한 염화비닐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폐 부재(420)를 경량의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풍구(410)로부터 후방의 배진구(427)를 향해 보내진 선별풍의 풍량에 따라서 차폐 부재(420)가 후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처럼 흔들려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풍구(410)의 풍량을 최대로 한 상태에서는, 차폐 부재(420)의 지지 부재(422)에 매달아 설치된 차폐판(421)이 크게 후방으로 휘어, 차폐판(421)의 하단부가 후방 상방으로 요동하고, 배진 하부판(428)과의 사이가 크게 개방되어 볏짚 부스러기가 기체 외부로 배출된다.
차폐판(421)은, 상단부를 제외한 하방 과반부가 상하 방향으로 절단된 슬릿(419)에 의해, 폭 방향으로 복수의 소폭의 판 형상부(421a)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풍구(410)에 의한 바람이 세게 닿는 개소의 판 형상부(421a)는, 그 풍량에 따라서 바람이 약하게 닿는 개소보다도 후방으로 휘는 양이 커져, 풍량에 따른 개구가 형성되고, 풍량에 따른 개구량으로 배출 볏짚을 기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종래의 절입 슬릿이 없는 차폐 장치에 비해 처리 효율이 좋다.
탈곡 처리량이 적어진 경부하인 경우에는, 출력을 약하게 하여 풍구(410)에 의한 풍량을 약하게 한다. 이때 차폐 부재(420)는 배진구(427)를 막아 마음대로 차폐하게 되어, 전방으로부터 회수 장치(400C)에서 회수할 수 없었던 곡립을 포함한 볏짚 부스러기가 공급되면, 차폐 부재(420)에 이 곡립과 볏짚 부스러기가 닿아, 비중이 무거운 곡립은 시브 케이스(416) 내로 낙하한다. 비중이 가벼운 볏짚 부스러기는, 차폐 부재(420)에 닿아도, 풍구(410)로부터 공급되는 선별풍을 타고 차폐 부재(420)와 시브 케이스(416)의 사이를 지나 후방으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저유량 시에 반발 입자가 기체 외부로 배출되려고 하여도 차폐 부재(420)에서 배진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저지되어 시브 케이스(416) 내에 유도되므로, 배진구(427)로부터 배출되는 3번 로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1>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폐판(421)을 상부가 폭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된 1장의 판 형상체로 구성한 것인데, 차폐판(421)을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분단된 소폭의 판 형상체(판 형상부)를 폭 방향에 복수 병설함으로써 구성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2>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폐판(421)을 탄성 변형 가능한 연질의 염화비닐 수지로 구성하고 있지만, 차폐판(421)을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분단된 소폭의 판 형상체에 의해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차폐판(421)을 경질의 염화비닐, 또는 기타 탄성 변형하기 어려운 판 형상체로 구성하는 동시에, 비작업 시에 있어서 각 판 형상체를 코일 스프링 등의 압박 부재로 소정 각도 자세로 유지하도록 횡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작업시에 있어서의 볏짚 부스러기의 압박력에 따라 각 판 형상체가 각각 독립적으로 횡축 주위를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3>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폐 부재(420)를 염화비닐의 합성 수지제의 재료에 의해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것이라면, 얇은 두께의 합성 고무, 플라스틱판 등을 채용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4>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폐판(421)에 슬릿(419)을 형성하고 있지만, 슬릿(419)으로는, 1장의 차폐판(421)을 커터로 단순히 소정 길이 절단할 뿐만 아니라, 폭이 좁은 간극을 형성하도록 절단해도 좋다. 또한, 다른 형태 1에 있어서, 인접하는 소폭의 판 형상체 한쪽 사이에 작은 간극을 형성하는 상태로 병설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5>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폐 부재(420)의 차폐판(421)을 염화비닐의 수지재로 형성한 1장의 판 형상체에 의해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판 형상체로서 얇은 판 형상체를 2장 겹침, 또는 그 이상으로 다중으로 한 판 형상체로 하여도 좋다.
판 형상체가 겹쳐지는 장수를 바꿈으로써, 동일한 풍량에 대한 개방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벼나 밀 등의 수확하는 작물 조건에 따라, 예를 들어, 밀을 수확할 때에는 벼일 때보다도 판 형상체의 겹침 장수를 적게 함으로써, 작물 조건에 적합한 개방도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기타 다른 형태>
차폐판(421)을 연질의 염화비닐 등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 무부하 상태(풍구에 의한 바람 선별을 행하지 않은 상태)로 요동 선별 장치(400B)가 전후 요동 구동된 상태에서는, 차폐판(421)의 하단부가, 항상[시브 케이스(416)가 가장 아래 위치에 위치한 상태], 시브 케이스(416)에 장착하는 부재[예를 들어 짚체(408)]와 접촉하여, 시브 케이스(416)의 요동 선별 동작에 추종하여 요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차폐판(421)이 배진팬(404)에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비교적 경부하로 요동풍 선별을 하고 있는 작업 상태에서도 시브 케이스(416)의 요동에 의해 인접하는 소폭의 판 형상부간에 간극이 형성되게 되어, 3번 로스를 방지하면서 양호한 선별을 행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요약>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에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 급실의 하방에 요동 선별 장치를 구비하고, 요동 선별 장치의 처리물의 반송 상측 하방에 풍구를 구비하고, 이 풍구에 의해 처리물의 반송 하측의 배진구를 향해 선별풍을 공급하는 동시에, 배진구를 차폐가능하면서 또한 처리물의 반송 하측에 변위 가능한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탈곡 장치이며, 차폐 부재는 상부가 지지 부재에 매달아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하방 부분이 폭 방향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요동할 수 있는 복수의 판 형상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특징에 의하면, 선별에 의해 기체 외부로 배출되는 볏짚 부스러기가 많을 경우에는, 강한 선별풍에 의해, 차폐 부재가 후방으로 크게 물러나고 배진구가 크게 개방된다. 또한, 기체의 선회시 등에서 선별 처리되는 처리량이 적어져 풍구로부터 공급되는 선별풍의 풍량을 감소시킨 경우에는, 차폐 부재가 폐쇄 방향으로 요동하여, 배진구의 개구가 좁아진다.
탈곡 처리량이 감소하면, 출력을 떨어뜨려 풍구에 의한 선별 풍량을 다소 낮게 하였어도 배진구 근방까지 이동한 벼는, 반발(튀어오름)하여 기체 외부로 배출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는데,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기체 외부로 배출되려고 하는 벼는, 차폐 부재로 막아내어 기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차폐 부재는 상부가 지지 부재에 매달아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하방 부분이 폭 방향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요동할 수 있는 복수의 판 형상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진구를 향해 방출되는 볏짚 부스러기는, 차폐 부재가 좁아진 하방 공간뿐만 아니라, 복수의 각 판 형상부가 흔들리거나 측부가 젖혀져서, 넓혀진 판 형상부간의 간극으로부터 기체 외부로 배출되므로, 차폐 부재에 의해 벼의 회수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어, 3번 로스를 적게 할 수 있으면서도 막힘을 발생시키지 않고 볏짚 부스러기를 양호하게 기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차폐 부재의 하방 부분을 폭 방향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요동할 수 있는 복수의 판 형상부로 형성함으로써, 처리량이 많은 고유량일 때에 볏짚 부스러기의 배출을 방해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선회시 등의 처리량이 적은 저유량 시에는 출력(선별 풍량)을 저감시켜도 소폭의 각 판 형상부가 젖혀져 올라가기 쉽고, 또한, 인접하는 각 판 형상부간에 간극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배출 볏짚을 양호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 3번 로스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차폐 부재를 탄성 변형 가능한 판 형상체로 형성하고, 상부가 폭 방향에 일체로 연결되며, 그 하방 부분이 폭 방향에 복수의 슬릿으로 좌우로 분단된 판 형상부로 형성하고 있다. 다른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차폐 부재의 판 형상부를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걸쳐 분단된 복수의 소폭의 판 형상체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차폐 부재를 염화비닐제의 합성 수지로 구성하고 있는 것도 유리하다.
이에 의하면, 차폐 부재를 경질의 염화비닐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연질의 염화비닐로 구성하면, 유연성이 풍부하여, 슬릿이 있는 측부를 부분적으로 젖히기 쉬워져, 풍량을 줄여 적은 볏짚 부스러기라도 슬릿의 사이로부터 배출시키기 쉬워지므로, 배진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폐 부재를 2장 이상의 판 형상체를 겹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는 것도 유리하다.
이에 의하면, 예를 들어 비교적 무거운 작물인 경우에는, 2장 이상의 판 형상체를 겹쳐서, 판 형상체가 용이하게 젖혀져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면 된다. 이로써, 비교적 무거운 작물이 판 형상체를 용이하게 젖혀 올려 배출되는 상태를 적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비교적 가벼운 작물(예를 들어 밀 등)인 경우에는, 판 형상체가 겹쳐지는 장수를 적게 하거나, 겹치지 않고 1장의 판 형상체로 하여, 판 형상체가 용이하게 젖혀져 올라가도록 하면 좋다. 이로써, 비교적 가벼운 볏짚 부스러기가 판 형상체를 젖혀 올리지 못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상태를 적게 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취 곡물짚의 밑동측을 피드 체인에 의해 유지·반송하면서, 이삭 끝측을 급치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자탈형 콤바인에 이용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 형태의 구성은, 상반되는 것이 아닌 한, 동일한 콤바인에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331: 급동 드럼
332: 둘레벽부
333: 점검 개구
334: 덮개
336: 급치(扱齒)
340: 덮개부
340a: 표면
341a: 연결면
342: 돌출부
344: 연결 구멍
345: 연결구
346: 연결구
350: 점검 개구 둘레
F: 급동 회전 방향
X: 급동 회전 축심 방향

Claims (10)

  1. 급동 드럼(331)의 둘레벽부(332)에 설치한 점검 개구(333)와, 상기 점검 개구(333)를 폐쇄하는 착탈 가능한 덮개(334)를 구비한 탈곡 장치용 급동이며,
    상기 덮개(334)에, 이 덮개(334)를 상기 둘레벽부(332)에 설치하도록 상기 둘레벽부(332)의 이면측에 맞대어 연결하는 연결부(341)와, 상기 덮개(334)의 상기 점검 개구(333)를 폐쇄하는 덮개부(340)에 설치한 급치(336)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341)의, 상기 둘레벽부(332)의 이면에 맞닿는 연결면(341a)과, 상기 덮개부(340)의, 상기 점검 개구(333)에 면하는 표면(340a)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정하고 있고,
    상기 덮개(334)의 상기 연결부(341)와 상기 급동 드럼(331)의 상기 둘레벽부(332)를 조여 연결하는 연결구(345, 346)를 설치하고,
    상기 점검 개구(333)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F)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구(345)와 상기 둘레벽부(332)의 점검 개구 둘레(350)와의 간격(D1)을, 상기 점검 개구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F)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구(346)와 상기 둘레벽부(332)의 점검 개구 둘레(351)와의 간격(D2)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용 급동.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34)가 상기 점검 개구(333)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둘레벽부(332)의 급동 회전 방향(F)의 하류측을 향하는 점검 개구 둘레(350)를 따라서 상기 점검 개구(333)에 위치하는 돌출부(342)를, 상기 덮개부(340)의 상기 표면(340a)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용 급동.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42)는, 상기 덮개(334)와 별개로, 상기 덮개부(340)의 상기 표면(340a)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탈곡 장치용 급동.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42)는, 상기 덮개부(340)의 상기 표면(340a)의 덮개 횡폭 방향에서의 일단부에 설치된 띠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용 급동.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42)의 표면과, 상기 급동 드럼(331)의 상기 둘레벽부(332)의 표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용 급동.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34)는, 상기 덮개부(340)의 주위에 상기 연결부(341)를 연속 구비한 1장의 판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용 급동.
  8. 삭제
  9. 급동 드럼(331)의 둘레벽부(332)에 설치한 점검 개구(333)와, 상기 점검 개구(333)를 폐쇄하는 착탈 가능한 덮개(334)를 구비한 탈곡 장치용 급동이며,
    상기 덮개(334)에, 이 덮개(334)를 상기 둘레벽부(332)에 설치하도록 상기 둘레벽부(332)의 이면측에 맞대어 연결하는 연결부(341)와, 상기 덮개(334)의 상기 점검 개구(333)를 폐쇄하는 덮개부(340)에 설치한 급치(336)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341)의, 상기 둘레벽부(332)의 이면에 맞닿는 연결면(341a)과, 상기 덮개부(340)의, 상기 점검 개구(333)에 면하는 표면(340a)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정하고 있고,
    상기 덮개(334)의 상기 연결부(341)는, 상기 덮개(334)가 상기 점검 개구(333)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급동 회전 방향(F)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연결 구멍(343)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334)의 상기 연결부(341)는, 상기 덮개(334)가 상기 점검 개구(333)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급동 회전 축심 방향(X)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연결 구멍(3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용 급동.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개구(333)보다도 급동 회전 방향(F)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구(345)는, 상기 덮개(334)의 상기 연결부(341) 중, 급동 회전 방향(F)의 상류측의 위치에 있어서 조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용 급동.
KR1020177004418A 2008-08-19 2009-08-18 탈곡 장치용 급동 KR101811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11021A JP2010045982A (ja) 2008-08-19 2008-08-19 脱穀装置
JPJP-P-2008-211021 2008-08-19
JP2008239688A JP5341445B2 (ja) 2008-09-18 2008-09-18 脱穀機用扱胴
JPJP-P-2008-239688 2008-09-18
JPJP-P-2008-282557 2008-10-31
JP2008282557A JP5341476B2 (ja) 2008-10-31 2008-10-31 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2008282556A JP5341475B2 (ja) 2008-10-31 2008-10-31 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JP-P-2008-282556 2008-10-31
JPJP-P-2008-290165 2008-11-12
JP2008290165A JP5173755B2 (ja) 2008-11-12 2008-11-12 自脱型のコンバイン
PCT/JP2009/064417 WO2010021318A1 (ja) 2008-08-19 2009-08-18 自脱型のコンバイン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104A Division KR101711216B1 (ko) 2008-08-19 2009-08-18 자탈형 콤바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913A Division KR20170141286A (ko) 2008-08-19 2009-08-18 탈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897A KR20170021897A (ko) 2017-02-28
KR101811186B1 true KR101811186B1 (ko) 2017-12-20

Family

ID=4170719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104A KR101711216B1 (ko) 2008-08-19 2009-08-18 자탈형 콤바인
KR1020177035913A KR20170141286A (ko) 2008-08-19 2009-08-18 탈곡 장치
KR1020177004418A KR101811186B1 (ko) 2008-08-19 2009-08-18 탈곡 장치용 급동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104A KR101711216B1 (ko) 2008-08-19 2009-08-18 자탈형 콤바인
KR1020177035913A KR20170141286A (ko) 2008-08-19 2009-08-18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1711216B1 (ko)
CN (3) CN102045999B (ko)
WO (1) WO20100213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726A (ko) 2020-11-05 2022-05-1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콩 콤바인 탈곡통 급치 이동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8490B2 (en) * 2017-07-28 2019-08-06 Cnh Industrial America Llc Crop divider for an agricultural harvester header having multiple harvesting reels
USD854780S1 (en) 2018-04-30 2019-07-30 The J. M. Smucker Company Sandwi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3388A (ja) * 2004-03-12 2005-09-22 Kubota Corp 脱穀装置の扱胴
JP2009082015A (ja) * 2007-09-27 2009-04-23 Kubota Corp 脱穀扱胴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5734U (ko) * 1973-07-30 1975-04-15
JPS511216A (en) 1974-06-17 1976-01-07 Kubota Ltd Fukusujono keikanhikiokoshisochitsukikonbain
JPS5728586Y2 (ko) * 1976-03-17 1982-06-22
JPH0423379Y2 (ko) * 1984-12-20 1992-06-01
JPH02134828U (ko) * 1989-04-06 1990-11-08
CN2086046U (zh) * 1990-12-07 1991-10-09 四川省蓬溪县通用机械厂 风选式稻麦脱粒机
US5480351A (en) * 1994-12-09 1996-01-02 Griffin & Company, Inc. Threshing machine rotor
JPH1146553A (ja) * 1997-08-07 1999-02-23 Kubota Corp 3条刈り収穫機
JP2002101740A (ja) * 2000-09-27 2002-04-09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刈取部
KR100861035B1 (ko) * 2002-09-05 2008-10-01 미쓰비시 노끼 가부시끼 가이샤 콤바인의 트랜스미션
JP2004321027A (ja) * 2003-04-22 2004-11-18 Iseki & Co Ltd 汎用コンバインのロ−クロップ装置
JP2006174710A (ja) * 2004-12-20 2006-07-06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4551286B2 (ja) * 2005-07-01 2010-09-22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4484779B2 (ja) * 2005-07-14 2010-06-16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の扱胴構造
DE602007003250D1 (de) * 2006-04-24 2009-12-31 Cnh Belgium Nv Fördersystem für Korn und Überkehr für einen Mähdrescher
CN201039690Y (zh) * 2006-11-30 2008-03-26 曹蜀立 带螺旋形击禾板的脱粒滚筒
JP4148978B2 (ja) * 2007-01-11 2008-09-10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JP2008178327A (ja) 2007-01-24 2008-08-07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09284773A (ja) 2008-05-27 2009-12-10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3388A (ja) * 2004-03-12 2005-09-22 Kubota Corp 脱穀装置の扱胴
JP2009082015A (ja) * 2007-09-27 2009-04-23 Kubota Corp 脱穀扱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726A (ko) 2020-11-05 2022-05-1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콩 콤바인 탈곡통 급치 이동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45999A (zh) 2011-05-04
WO2010021318A1 (ja) 2010-02-25
KR101711216B1 (ko) 2017-02-28
KR20110055478A (ko) 2011-05-25
CN103329689A (zh) 2013-10-02
CN103329689B (zh) 2015-07-01
KR20170021897A (ko) 2017-02-28
CN103392453B (zh) 2015-09-30
KR20170141286A (ko) 2017-12-22
CN103392453A (zh) 2013-11-20
CN102045999B (zh)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1893B (zh) 脱粒装置
KR101693899B1 (ko) 콤바인
KR101811186B1 (ko) 탈곡 장치용 급동
KR101403273B1 (ko) 탈곡 장치의 탈곡부 구조
JP5139900B2 (ja) 刈取収穫機の刈り取り搬送構造
CN110678064A (zh) 收割机
JP5572302B2 (ja) 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5503135B2 (ja) コンバインの車体構造
JP6246170B2 (ja) 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CN108925250B (zh) 联合收割机
CN108781721B (zh) 联合收割机
JP5341475B2 (ja) 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5324845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2007174999A (ja) 全稈投入形コンバインの排稈処理構造
JP5341476B2 (ja) 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5231945B2 (ja) コンバインの分草構造
JP5813182B2 (ja) コンバイン
JP5324844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7178981B2 (ja) コンバイン
JP2010104346A (ja) 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2003125636A5 (ko)
JP2580069Y2 (ja) 水生植物刈取船の掻込みリール取付装置
JP2023020236A (ja) コンバイン等の収穫機の走行クローラ
CN111328531A (zh) 脱粒装置及联合收割机
JPH0649147Y2 (ja) コンバインの穀稈掻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