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035B1 - 콤바인의 트랜스미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트랜스미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035B1
KR100861035B1 KR1020020053377A KR20020053377A KR100861035B1 KR 100861035 B1 KR100861035 B1 KR 100861035B1 KR 1020020053377 A KR1020020053377 A KR 1020020053377A KR 20020053377 A KR20020053377 A KR 20020053377A KR 100861035 B1 KR100861035 B1 KR 100861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work machine
engine
traveling
machin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824A (ko
Inventor
후나키다이스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노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노끼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노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2002005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035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4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dr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트랜스미션과 작업기 트랜스미션을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콤팩트하고도 전동이 용이한 상태로 작업기 트랜스미션을 배치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주행 장치(2) 구동용 주행 트랜스미션(12)과 적어도 전처리부(8)를 구동하는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을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엔진(11)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탈곡 장치(8)의 전방 엔진(11)측에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을 배치하였다. 또한, 작업기 트랜스미션(14)에 의해 피드 체인(5)을 구동하고,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의 미션 케이스(16)의 엔진 반대측에 유압 무단 변속 장치(18)를 일체식으로 부착하였다.

Description

콤바인의 트랜스미션 {TRANSMISSION OF COMBINE}
도 1은 본 발명을 채용한 콤바인의 전방측 좌측면도.
도 2는 엔진을 제거한 상태의 본 발명을 채용한 콤바인의 전방측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채용한 콤바인의 전방측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채용한 콤바인의 정면도.
도 5는 구동계의 전동 선도.
도 6은 작업기 트랜스미션의 전개도.
도 7은 작업기 트랜스미션의 엔진측(우측)에서 본 측면도.
도 8은 작업기 트랜스미션의 엔진 반대측(좌측)에서 본 측면도.
도 9는 변속 모터의 제어 블록도.
도 10(a)는 주변속 레버의 주요부 정면도, 도 10(b)는 주요부 측면도.
도 11은 자동 변속 제어의 플로우 챠트.
도 12는 전처리 구동 속도와 주행 속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주행 장치
6 : 탈곡 장치
7 : 주행기 본체
8 : 전처리부
11 : 엔진
12 : 주행 트랜스미션
14 : 작업기 트랜스미션
16 : 작업기 트랜스미션의 미션 케이스
18 : 작업기 HST(유압 무단 변속 장치)
19 : 동력 입력축
본 발명은 콤바인의 트랜스미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5-199812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여 주행 장치를 구동하는 주행 트랜스미션과, 마찬가지로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여 전처리 장치 및 피드 체인(feed chain)을 구동하는 작업기 트랜스미션을 구비한 콤바인이 알려져 있다.
이 때, 상기 주행 트랜스미션과 작업기 트랜스미션에는 유압 무단 변속 장치(HST)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타입의 콤바인은 양 HST를 연동시켜, 적어도 전처리부의 구동 속도를 주행 속도에 연동시켜 변속한다. 그리고, 이 양 속도의 연동에 의해 예취(刈取) 및 반송이 주행 속도에 따르는 처리량이 되고, 안정된 예취 작업이 행하여진다.
그러나, 상기 작업기 트랜스미션은 탈곡부의 전방 아래쪽에 외측방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고, 풍구팬을 회전시키는 풍구축의 좌단부측으로부터 구동력이 입력되고 있다. 이 배치 구조에 의해,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입력 구조가 복잡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콤바인의 작업기 트랜스미션은, 주행기 본체(7)의 전방에 전처리부(8)를 설치하고, 주행기 본체(7) 상에 엔진(11)과 탈곡 장치(6)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주행 장치(2) 구동용 주행 트랜스미션(12)과, 적어도 전처리부(8)를 구동하는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을 설치하고, 엔진(11)의 동력을 분기시켜 주행 트랜스미션(12)과 작업기 트랜스미션(14)에 각각 별도로 입력하고, 전처리부(8)의 구동 속도를 주행 속도에 연동시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부(72)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이 제어부(72)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 무단 변속 장치(18)를 구비하고,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을 탈곡 장치(6)의 전방이고 탈곡 장치(6) 내의 급동(53)의 중심보다 엔진(11) 측의 공간에 배치하고, 작업기 트랜스미션(14)에 대한 엔진(2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의 엔진(11)측 측방으로부터 입력하는 것을 첫 번째 특징으로 한다.
두 번째로는, 작업기 트랜스미션이 곡간(穀稈) 반송용 피드 체인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 번째로는,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의 미션 케이스(16)의 엔진 반대측 측면에 유압 무단 변속 장치(18)를 일체식으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채용한 콤바인의 전방측 좌측면도, 도 2는 우측면도, 도 3은 평면도, 도 4는 정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기체(機體) 프레임(1)이 좌우의 크롤러(crawler) 주행 장치(2)에 지지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 상에는 우측 전 방에 운전석(3)이 설치되고, 그 운전석(3)의 후방에 곡물 탱크(4)가 설치되며, 이 곡물 탱크(4)의 측방에는 탈곡 장치(6)가 설치되어 주행기 본체(7)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주행기 본체(7)의 전방에는, 기체 프레임(1)측에 축지지되어 있는 세로 프레임(9)을 통해 전처리부(8)가 상하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주행기 본체(7)에 의해, 본 콤바인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전처리부(8)에 의해 곡간을 예취하고, 그 후 피드 체인(5)으로 이어받게 하여 그 피드 체인(5)에 의해 곡간을 탈곡 장치(6)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세로 프레임(9)은 운전석(3)의 측방, 그리고 탈곡 장치(6)의 전방에서 상하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전처리부(8)는 상하 승강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세로 프레임(9)에는 전처리부(8)측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기구가 내장되어 있고, 세로 프레임(9)의 주행기 본체(7)측[엔진(11)측]에는 구동력 입력용의 입력 풀리(1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콤바인에서는, 엔진(11)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처리부(8)에 전달하는 전처리 전동계에, 전처리부(8) 및 피드 체인(5)을 구동하기 위한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 프레임(1)에는 지지 스테이(stay)(17)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의 미션 케이스(16)가 지지 스테이(17)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은 탈곡 장치(6) 전방의 운전석(3)측, 즉 엔진(11)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 도 5의 전동 선도 및 도 6의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의 전개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션 케이스(16)에는 엔진(11)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여 작업기 트랜스미션(14)에 입력하는 무단 변속 장치(작업기 HST)(18)가 미션 케이스(16)의 엔진 반대측 측면(16O)에 일체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기 HST(18)의 입력축(18a) 및 출력축(18b)은 미션 케이스(16) 내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미션 케이스(16)의 엔진(11)측 측면(16E)으로부터는 동력 입력축(19)이 돌출되어 있고, 이 동력 입력축(19)과 작업기 HST(18)의 입력축(18a)이 미션 케이스(16) 내에서 기어(21)를 통해 전동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업기 HST(18)의 출력축(18b)은 미션 케이스(16) 내에 설치된 중간축(22)과 기어(23)를 통해 전동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입력축(19)의 엔진측 단부에는 입력 풀리(24)가 축지지되어 있고, 엔진(11)의 출력축(26)에 축지지된 출력 풀리(27)로부터 벨트(28) 및 작업기 클러치(29)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미션 케이스(16)의 엔진측 측면(16E)으로부터는 전처리부(8)측으로의 구동력 출력용의 전처리 구동축(36)이 돌출되어 있고, 엔진 반대측의 측면(16O)으로부터는 피드 체인(19)측으로의 구동력 출력용의 피드 체인 구동축(137)이 돌출되어 있다.
이 때, 미션 케이스(16) 내에서, 전처리 구동축(36)에는 중간축(22)으로부터 기어(38)를 통해 구동력이 입력되고 있다. 또한, 전처리 구동축(36)의 기어(39)로부터 중간축(22)에 헐겁게 끼워진 스프로킷 일체식 기어(41)에 구동력이 전달되고 있다. 그리고, 이 기어(41)에 일체의 스프로킷(42)으로부터 체인(43)과 피드 체인 구동축(37)에 축지지된 스프로킷(40)을 통해 피드 체인 구동축(37)에 구동력이 전달되고 있다.
그리고, 전처리 구동축(36)의 단부에는 전처리 출력 풀리(4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전처리 출력 풀리(44)로부터 전술한 전처리부(8)측의 입력 풀리(10)에 벨트(46)와 전처리 클러치(47)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고 있다. 또한, 피드 체인 구동축(37)으로부터 피드 체인(5)의 구동 스프로킷(48)에 전동축(30)을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고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입력축(19)에는 탈곡 출력 풀리(31)도 축지지되어 있고, 탈곡 장치(6)에서는, 선별적으로 바람을 송풍시키는 풍구팬(32)에, 이 풍구팬(32)의 구동축(풍구축)(33)의 엔진측 돌출 단부측에 축지지된 탈곡 입력 풀리(34)와 벨트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탈곡 장치(6)는, 탈곡 장치(6)의 프레임 본체의 엔진측 측면의 외측에서, 풍구축(33)으로부터 풀리(49, 51)와 벨트(52)를 통해 급동(扱胴)(53)의 구동력 입력축(54)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기 클러치(29)를 넣어 작동시킴으로써 동력 입력축(19)에 엔진(11)으로부터 직접 구동력이 입력되면, 이 구동력은 작업기 HST(18)에 전달되어 무단계로 변속되고, 전처리 구동축(36)과 피드 체인 구동축(37)으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전처리 장치(8) 및 피드 체인(5)이 구동되는 동시에, 동력 입력축(19)으로부터 풍구축(33)으로 구동력이 전달되어 탈곡 장치(6)가 구동된다.
이 때, 작업기 HST(18)의 트러니언(trunnion) 축(18c)에는 경사판 각도를 조 작하여 그 작업기 HST(18)의 변속 조작을 행하는 엑츄에이터로서 변속 모터(35)가 일체식으로 부착되어 있고, 전처리부(8) 및 피드 체인(5)의 작동 속도는 상기 변속 모터(35)의 작동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속 제어된다.
또한, 작업기 클러치(29)를 넣고 끊음으로써, 전처리 장치(8), 피드 체인(5), 탈곡 장치(6)의 구동을 동시에 넣고 끊을 수 있지만, 특히 작업기 트랜스미션(14)으로의 구동력 입력 상태[작업기 클러치(29)를 넣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처리 클러치(47)에 의해 전처리부(8)의 구동을 단독으로 넣고 끊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해 작업기 트랜스미션(14)[미션 케이스(16)]은 탈곡 장치(6) 전방의 엔진(11)의 측방에 배치되고, 또한 작업기 HST(18)가 미션 케이스(16)의 엔진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기 HST(18)의 측방에 비교적 큰 유지보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주행기 본체(7)의 탈곡 장치측으로부터 작업기 HST(18)의 유지보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 작업기 HST(18)가 엔진(11)측에 없기 때문에, 미션 케이스(16)와 엔진(11) 사이에 작업기 HST(18) 배치용 공간을 크게 잡을 필요가 없고, 미션 케이스(16)의 배치 자유도가 높으며, 엔진(11)을 미션 케이스(16)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엔진(11)의 대형화 등도 용이해진다.
또한, 작업기 HST(18)로의 구동력의 전달이 탈곡 장치(6)의 엔진(11)측 측방(내측방)에서 행해지고, 엔진(11)으로부터의 구동력이 미션 케이스(16)의 엔진측에서 동력 입력축(19)에 직접 입력되며, 또한 동력 입력축(19)의 엔진 반대측 미 션 케이스(16) 내에서 작업기 HST(18)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작업기 HST(18)로의 구동력의 입력 경로가 복잡해지지 않고, 엔진(11)측으로부터 심플한 벨트 라인에 의해 용이하게 구동력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복잡한 구동 경로를 취하지 않고 동력 입력축(19)으로부터 탈곡 장치(6)측으로 용이하게 구동력을 출력시킬 수 있으며, 종합적으로 벨트 갯수의 증가가 방지된다.
한편, 탈곡 장치(6)의 전방측에는 전처리부(8)로부터의 곡간의 반송 기구가 배치되지만, 이 반송 기구는 외측으로 치우쳐 있고, 엔진(11)측에는 빈 공간이 존재한다. 그리고, 본 콤바인은 상기 빈 공간에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이 배치되고, 작업기 HST(18)를 포함하는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이 상기 빈 공간을 이용하여 공간 절약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기 트랜스미션(14)측으로의 구동력 전달이 상기 빈 공간의 근방에서 콤팩트하게 행해지고, 작업기 트랜스미션(14) 자체나 작업기 트랜스미션(14)측으로의 구동력 전동 기구가 상기 반송 기구나 전처리부(8)측으로부터 예취 곡간의 반송 경로를 방해하는 일도 없다.
이 때,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의 상기 배치에 의해,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은 대략 주행기 본체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배치된다. 또한, 전처리부(8)의 세로 프레임(9)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탈곡 장치(6)의 엔진(11)측 측면(우측면)에서 전방측으로 돌출한다. 이 때문에, 상기 전처리 출력 풀리(44)와 전처리부(8)측의 입력 풀리(10)가 거의 직선상에 배치되어 벨트 전동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피드 체인 구동축(37)과 피드 체인(5)의 구동 스프로킷(48) 사이의 전동축(30)은, 탈곡 장치(6)의 외장 앞면의 전방을 통과하여 탈곡 장치(6)의 좌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좌단부측에서 피드 체인(5)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곡간의 반송 경로 내를 피드 체인(5)의 구동 기구[전동축(30)]가 통과하게 된다.
단, 상기 구동 기구는 심플한 축구동으로, 상기 반송 경로를 용이하게 피할 수 있다. 오히려 피드 체인(5)의 구동을 작업기 트랜스미션(14)에 의해 행함으로써, 피드 체인(5)용 구동 장치 등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전동 기구가 심플하게 구성되며, 용이하게 피드 체인(5)의 구동 속도를 주행 속도 및 예취 속도에 대응시킬 수 있는 메리트 쪽이 크다.
한편, 도 5의 전동 선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1)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크롤러 주행 장치(2)에 전달하는 주행 전동계에는, 크롤러 주행 장치(2)용의 주행 트랜스미션(12)이 엔진(11)의 전방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행 트랜스미션(12)에는 크롤러 주행 장치(2)의 변속 구동용의 유압 무단 변속 장치(주행 HST)(13)가 일체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주행 HST(13)의 입력축(56)은 엔진(11)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단부에는 입력 풀리(57)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평면에서 보아 직선형으로 배치되는 입력 풀리(57)와 엔진(11)의 주행 출력 풀리(58)에는 주행 클러치(61)를 통해 벨트(59)가 둘레에 걸쳐 있고, 입력 풀리(57)에 구동력이 넣고 끊는 것이 자유롭게 전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엔진(11)측으로부터의 주행 HST(13)와 작업기 HST(18)로의 구동 력의 전달, 그리고 동력 입력축(19)으로부터 풍구축(33)으로의 구동력의 전달이 탈곡 장치(6)의 내측면측에서 집중적으로 행해지고, 상기 주행 전동계, 작업기 전동계(전처리 및 피드 체인 구동계), 탈곡 전동계로의 구동력 전동 기구가 탈곡 장치(6)와 엔진(11) 사이에 집중되어 콤팩트하게 배치된다.
한편, 주행 트랜스미션(12)은 미션 케이스(62) 내에서 주행 HST(13)의 출력을 부변속 기구(63)를 통해 부변속하여 크롤러 주행 장치(2)의 구동축(64)으로 출력한다.
이 때, 주행 HST(13)는 운전석(3)측에 설치되는 주변속 레버(66)의 전후 및 좌우 요동 전환 조작에 의해 조작되고, 부변속 기구(63)는 주변속 레버(66)의 측방에 설치되는 부변속 레버(67)의 전후 요동 전환 조작에 의해 조작된다. 이에 따라, 주변속 레버(66)와 부변속 레버(67)의 조합 조작에 의해 주행기 본체(7)의 주행 속도가 결정된다.
이 때, 운전석(3)의 좌석(73)의 좌측방에는 조작 패널(74)이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 패널(74)에는 주변속 레버(66)와 부변속 레버(67)가 전후 요동이 자유롭게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변속 레버(66)가 조작 패널(74) 상의 좌석(73)에 가까운 우측에, 부변속 레버(67)가 주변속 레버(66)보다 좌석(73)으로부터 먼 좌측에 설치되어 있고, 조작 빈도가 높은 주변속 레버(66)를 작업자가 좌석(73)에 앉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작업기 트랜스미션(14)에는 전처리 구동축(36)의 출력 회전을 검출하는 작업기 회전 센서(6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주행 트랜스미션(12)에는 부변속 후의 출력 회전을 부변속 출력축(69)으로부터 검출하는 주행 회전 센서(7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회전 센서(71)와 작업기 회전 센서(68)가 전술한 변속 모터(35)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을 구비한 제어부(72)의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72)에는 주행 속도에 기초하여 전처리부(8) 및 피드 체인(19)의 구동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속도 설정 수단에 의해, 주행 회전 센서(71)와 작업기 회전 센서(68)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처리 장치(8) 및 피드 체인(19)의 구동 속도가 변속 모터(35)를 통한 작업기 HST(18)의 자동 변속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속도 설정 수단은 전처리부(8)의 속도 제어뿐이라도 좋다.
또한, 주변속 레버(66)의 기단부에 이 조작 레버(66)의 전환 위치를 검출하는 전환 센서로서 주변속 포텐쇼미터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주변속 포텐쇼미터를 제어부(72)의 입력측에 접속하고, 주행 회전 센서(71)가 고장 등에 의해 작동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 주변속 포텐쇼미터를 주행 회전 센서(71) 대신 사용(주행 속도의 검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주변속 레버(66)의 파지부(66a)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넣고 끊기 전환식의 도복(倒伏) 스위치(77)와 순간식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강제 긁어 모으기 스위치(76)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강제 긁어 모으기 스위치(76)와 도복 스위치(77)가 전술한 제어부(72)의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72)는 양 스위치(76, 77)의 넣고 끊기에 따라 변속 모터(35)의 제어 상태를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72)에는 도복 스위치(77)를 넣음으로써 점등하는 도복 램프(78)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72)에 의한 변속 모터(35)의 구동 제어, 즉, 작업기 HST(18)의 자동 변속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1에서 주행 회전 센서(71)에 의한 검출 정보의 데이터 판독을 행하고, 다음으로 단계 S2에서 작업기 회전 센서(69)에 의한 검출 정보의 데이터 판독을 행한다.
그 후,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강제 긁어 모으기 스위치(76)를 넣고 끊는 것을 체크하고, 강제 긁어 모으기 스위치(76)가 넣어진 상태인 경우에는 단계 S4로 진행하여, 주행 속도의 변화에 무관하게 전처리부(8) 및 피드 체인(19)의 구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속 제어 기능을 작동시키고, 단계 S5로 진행하여 작업기 HST(18)의 출력을 소정의 일정 속도로 고정시키도록 변속 모터(35)를 구동한다.
또한, 단계 S3에서, 강제 긁어 모으기 스위치(76)가 끊어진 상태인 경우에는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도복(倒伏) 스위치(77)를 넣고 끊는 것을 체크한다. 그리고, 도복 스위치(77)가 끊어진 상태인 경우에는 단계 S7로 진행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속도에 추종시켜 전처리부(8) 및 피드 체인(5)의 구동 속도를 변속시키는 속도 싱크로 기능을 작동시킨다. 그 후, 전술한 단계 S5로 진행하여 전처리 장치(8) 및 피드 체인(19)의 구동 속도가 속도 싱크로 기능에 따라 변경되도록 변속 모터(35)를 구동한다.
한편, 단계 S6에서 도복 스위치(77)가 넣어진 상태인 경우에는 단계 S8로 진행하고, 전처리부(8) 및 피드 체인(5)의 구동 속도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속도 싱크로 기능에 의한 주행 속도에 따르는 속도와 비교할 때 고속으로 주행 속도에 연동하여 변경시키는 도복 변속 기능을 작동시킨다. 그 후, 단계 S5로 진행하여 주행 속도에 전처리부(8) 및 피드 체인(5)의 구동 속도가 도복 변속 기능에 따라 변속되도록 변속 모터(35)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강제 긁어 모으기 스위치(76) 및 도복 스위치(77) 중 어느 것도 넣은 상태로 누르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표준 상태로서 속도 싱크로 기능에 의한 통상의 속도 비율로 전처리부(8)와 피드 체인(5)의 구동 속도가 주행 속도에 추종된다. 이에 따라, 양 속도의 연동에 의해 예취 및 반송이 주행 속도에 따른 처리량에 대응하여 안정된 예취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강제 긁어 모으기 스위치(76)를 넣은 상태로 누르고 있는 동안은 전처리부(8)와 피드 체인(5)의 구동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예컨대 침지(枕地) 등에서 기체(7)의 주행이 정지한 상태로 전처리부(8) 및 피드 체인(5)을 일정 속도로 구동하여 곡간을 긁어 모으는 강제 긁어 모으기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복 스위치(77)가 넣어진 상태인 동안은, 도복 변속 기능에 의하여, 표준(속도 싱크로 기능에 의한 것) 속도 비율에 비해 증속된 속도 비율로 전처리부(8)와 피드 체인(5)의 구동 속도가 주행 속도에 추종된다. 이에 따라, 도복 곡간의 예취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때, 강제 긁어 모으기 스위치(76) 및 도복 스위치(7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콤바인의 통상 주행에서 빈번하게 조작하는 주변속 레버(66)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변속 레버(66)를 파지하고 있는 것만으로, 주행에 관한 조작과는 다른 예취 탈곡 작업에 관한 조작을, 종래와 같이 다른 부위에 설치한 조작부에 일일이 손을 뻗치지 않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번잡한 레버 조작에 대한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하여 기체 주행에 따른 예취 탈곡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여 원활한 포장(圃場) 주행 작업을 유지할 수 있다.
통상, 탈곡 장치의 전방은 전처리부로부터의 곡간의 반송 경로가 되지만, 이 반송 경로는 외측으로 치우쳐 있다. 이 때문에, 탈곡 장치의 전방의 엔진측에는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빈 공간 내에 작업기 트랜스미션이 배치되기 때문에, 콤바인 내의 공간이 유효하게 활용되고, 작업기 트랜스미션을 공간 절약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기 트랜스미션은 탈곡 장치의 엔진측에 배치되고, 엔진측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입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더욱이, 작업기 트랜스미션의 엔진측으로부터 전처리부를 구동하는 구동축을 돌출시킴으로써, 이 구동축에 출력 풀리를 부착함에 의해, 이 출력 풀리가 기체 중심선의 연장선상 근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전처리부의 입력 풀리는 통상 평면에서 보아 기체 중심선의 연장선상 근처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전처리부로의 구동력의 전동 기구를 심플 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작업기 트랜스미션이 곡간 반송용 피드 체인을 구동함으로써, 피드 체인용 구동 장치 등을 특별히 준비하지 않고, 용이하게 피드 체인의 구동 속도를 주행 속도 및 예취 속도에 대응시킬 수 있다. 단, 상기 반송 경로 내를 피드 체인의 구동 장치가 통과하게 되지만, 피드 체인의 구동을 축(전동축) 등에 의해 행함으로써 상기 반송 경로를 용이하게 피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의 측방의 탈곡부의 전방에 배치된 작업기 트랜스미션(미션 케이스)의 엔진 반대측에 유압 무단 변속 장치(HST)를 설치함으로써, HST의 측방에 비교적 큰 유지보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기체의 탈곡 장치측으로부터 HST의 유지보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HST가 엔진측에 없기 때문에, 미션 케이스와 엔진 사이의 공간을 크게 잡을 필요가 없고, 미션 케이스의 배치 자유도가 높으며, 엔진의 대형화 등도 용이해진다.
이 때,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미션 케이스의 엔진측에서 동력 입력축에 입력하고, 또한 동력 입력축의 엔진 반대측에서 HST에 입력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HST로의 구동력의 입력 경로가 복잡해지지 않고, HST에 엔진측으로부터 심플한 벨트 라인에 의해 용이하게 구동력을 입력할 수 있고, 또한 복잡한 구동 경로를 취하지 않고 동력 입력축으로부터 탈곡 장치측으로 용이하게 구동력을 출력시킬 수 있어, 종합적으로 벨트 갯수의 증가가 방지된다.

Claims (3)

  1. 주행기 본체(7)의 전방에 전처리부(8)를 설치하고, 주행기 본체(7) 상에 엔진(11)과 탈곡 장치(6)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주행 장치(2) 구동용 주행 트랜스미션(12)과, 적어도 전처리부(8)를 구동하는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11)의 동력을 분기시켜 상기 주행 트랜스미션(12)과 작업기 트랜스미션(14)에 각각 별도로 입력하고, 전처리부(8)의 구동 속도를 주행 속도에 연동시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부(72)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이 상기 제어부(72)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 무단 변속 장치(18)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을 탈곡 장치(6)의 전방이고 상기 탈곡 장치(6) 내의 급동(53)의 중심보다 엔진(11) 측의 공간에 배치하고, 작업기 트랜스미션(14)에 대한 엔진(2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의 엔진(11)측 측방으로부터 입력하는 것인 콤바인의 트랜스미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트랜스미션이 곡간 반송용 피드 체인(5)을 구동하는 것인 콤바인의 트랜스미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트랜스미션(14)의 미션 케이스(16)의 엔진 반대측 측면에 상기 유압 무단 변속 장치(18)를 일체식으로 부착한 것인 콤바인의 트랜스미션.
KR1020020053377A 2002-09-05 2002-09-05 콤바인의 트랜스미션 KR100861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377A KR100861035B1 (ko) 2002-09-05 2002-09-05 콤바인의 트랜스미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377A KR100861035B1 (ko) 2002-09-05 2002-09-05 콤바인의 트랜스미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824A KR20040021824A (ko) 2004-03-11
KR100861035B1 true KR100861035B1 (ko) 2008-10-01

Family

ID=3732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377A KR100861035B1 (ko) 2002-09-05 2002-09-05 콤바인의 트랜스미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186B1 (ko) * 2008-08-19 2017-12-2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탈곡 장치용 급동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0806A (ja) * 1991-09-04 1993-05-28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動力伝達機構
JPH05252823A (ja) * 1992-03-12 1993-10-05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駆動構造
JPH067020A (ja) * 1992-06-23 1994-01-18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駆動構造
JP2001178246A (ja) * 1999-12-28 2001-07-0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部伝動構造
JP2002192970A (ja) * 2000-12-26 2002-07-10 Kubota Corp 作業機の走行用伝動装置
JP2002291323A (ja) * 2001-04-02 2002-10-0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稈搬送伝動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0806A (ja) * 1991-09-04 1993-05-28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動力伝達機構
JPH05252823A (ja) * 1992-03-12 1993-10-05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駆動構造
JPH067020A (ja) * 1992-06-23 1994-01-18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駆動構造
JP2001178246A (ja) * 1999-12-28 2001-07-0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部伝動構造
JP2002192970A (ja) * 2000-12-26 2002-07-10 Kubota Corp 作業機の走行用伝動装置
JP2002291323A (ja) * 2001-04-02 2002-10-0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稈搬送伝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824A (ko)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2314B2 (ja) 農作業車
KR100861035B1 (ko) 콤바인의 트랜스미션
JP5443450B2 (ja) コンバイン
JP4890692B2 (ja) コンバイン
JP3919795B2 (ja) コンバイン
JP2010130916A (ja)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JP5539749B2 (ja) ステアバイワイヤ方式のコンバイン
JP5019529B2 (ja) コンバインの操作構造
JP2008295344A (ja) コンバイン
JP3689187B2 (ja) コンバイン
JP3742408B2 (ja) コンバイン
JP3967222B2 (ja) コンバイン
CN108496568B (zh) 离合器操作装置
JP5005594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刈取クラッチ制御装置
JP4471595B2 (ja) 移動農機
JP2008237086A (ja) 農業機械用の制御装置
JP4884618B2 (ja) コンバイン
CN108200802B (zh) 联合收割机
JP4837207B2 (ja) コンバイン
JP4837205B2 (ja) コンバイン
JP2008104385A (ja) コンバインの運転操作部
JPH09107775A (ja) コンバイン
JP3907846B2 (ja) コンバイン
JP2007300894A5 (ko)
JPH11266606A (ja) 普通形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