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161B1 - 하이브리드 구동기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구동기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161B1
KR101497161B1 KR1020097008174A KR20097008174A KR101497161B1 KR 101497161 B1 KR101497161 B1 KR 101497161B1 KR 1020097008174 A KR1020097008174 A KR 1020097008174A KR 20097008174 A KR20097008174 A KR 20097008174A KR 101497161 B1 KR101497161 B1 KR 101497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electric motor
coupling
class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4211A (ko
Inventor
레네 솅크
올리버 캐퍼
토르스텐 위네만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74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40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prime movers, e.g. for transition between prime 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6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provision for separate direct mechanical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60W2540/103Accelerator thresholds, e.g. kick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2Clutches
    • B60W2710/025Clutch slip, i.e. difference between input and output spe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내연기관(2) 및 하나 이상의 전동기(4)를 포함하며, 차량(100)의 전동기(4)와 구동 트레인(6) 사이에 배치된 제1 커플링(5) 및 전동기(4)와 내연 기관(2) 사이에 배치된 제2 커플링(3)을 구비한, 차량(100)의 하이브리드 구동기(1)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하이브리드 구동기(1)의 작동 매개 변수는 운전자 요구에 따라 제어된다.
Figure R1020097008174
내연기관, 전동기, 구동 트레인, 제1 커플링, 제2 커플링

Description

하이브리드 구동기를 제어하는 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A HYBRID DRIVE}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내연기관 및 하나 이상의 전동기를 포함하며, 차량의 전동기와 구동 트레인 사이에 배치된 제1 커플링 및 전동기와 내연 기관 사이에 배치된 제2 커플링을 구비한, 차량의 하이브리드 구동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테고리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동기는 하나 이상의 내연기관과, 하나 이상의 전동기와, 내연기관과 전동기 사이 및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에 접속된 차량 구동 트레인 사이에 각각 배치된 하나 이상의 커플링을 포함한다. 자동차 분야에서 기존의 구동 컨셉을 개선하는 데 있어서, 연료 소비의 최적화, 탄소 배출 감축 및 주관적 주행감의 개선의 관점에서 하이브리드 구동기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구동기는 내연기관 외에도 화석 연료로 구동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 구동원을 구비한다. 적절한 구동 전략에 의해, 상이한 구동원들의 장점들은 최적으로 활용되고 단점들은 보완될 수 있다. 대안 구동원으로서 내연기관과 전동기의 조합은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지배적인 버전이다. 일련의 다양한 하이브리드 차량이 이미 양산품 또는 양산품에 가까운 제품으로서 생산되고 있다. 어떤 경우든, 내연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종래의 차량들에 비해 연료 소비가 적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연료 절감은, 하이브리드 특유의 장점인 제동 시 에너지 회생 가능성 및 스타트/정지 기능 구현에 기인한다. 하이브리드 구동기는 병렬 하이브리드, 직렬 하이브리드 및 분기 하이브리드로 구별된다. 모두 2개의 에너지 저장 장치, 즉 배터리와 연료 탱크가 사용되는 공통점이 있다. 배터리의 대안으로 커패시터가 에너지 저장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하이브리드 구동기들에서 특징적인 차이점은 전동기의 출력에 있다. 이 경우, 마일드 하이브리드(Mild Hybrid) 버전과 풀 하이브리드(Full Hybrid) 버전으로 나뉘는데, 소위 풀 하이브리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직 전기 구동 방식으로만 주행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전술한 동력 분기식 하이브리드 구동기는 본 발명에서는 고려 대상에서 제외되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하이브리드 구동기에서는 스타트 과정이 상이한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본 발명에 기초한 문제가 대두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소위 시동 발전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동 발전기에서는 전동기가 차량 크랭크축과 고정 연결되어 있어서, 작동 시 동기화의 문제가 대두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병렬 하이브리드로서 형성된 하이브리드 구동기를 구비한 차량에서 시동 과정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하나 이상의 내연기관 및 하나 이상의 전동기를 포함하며, 차량의 전동기와 구동 트레인 사이에 배치된 제1 커플링 및 전동기와 내연 기관 사이에 배치된 제2 커플링을 구비한, 차량의 하이브리드 구동기를 제어하는 방법이며, 내연기관의 시동은 제2 커플링의 닫힘을 통해 이루어지고, 하이브리드 구동기의 작동 매개 변수는 운전자 요구에 따라 제어되고, 운전자 요구는 등급으로(제1등급, 제2등급, 제3등급) 분류되며, 상기 등급들은 운전자 요구에 할당된 요구 토크를 통해 구별되고, 운전자 요구는 가속 페달의 위치에 의해 도출되고, 상기 전동기는 회전수 조절 모드로 작동되고, 회전수 조절되는 전동기의 경우 제1등급에서는 전동기의 시동 후 전동기의 회전수 조절을 위해 비교적 긴 시간이 제공되고, 제3등급에서는 비교적 짧은 시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구동기의 제어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을 통해 병렬 하이브리드로서 형성된 하이브리드 구동기가 장착된 차량에서의 시동 과정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연기관과 전동기 사이에 비례 커플링으로 형성된 추가 커플링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추가 커플링이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 구동기가 전동기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요구 출력이 더 높은 경우 또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약화되는 경우에 내연기관이 구동 트레인에 결함을 일으키지 않고 시동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이러한 경우, 한 편으로는 내연기관이 성공적인 시동에 필요한 속도를 내는 데 충분한 토크가 제공되도록 상기 커플링이 제어되어야 한다. 다른 측면에서는, 내연기관의 가속에 사용되는 토크가 최대한 작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토크가 전동기에 의해 추가로 제공되어 예비로 비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시동 시 운전자의 요구가 고려됨으로써, 하이브리드 구동기의 쾌적한 제어를 가능케 한다.
그 밖의 장점들은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하이브리드 구동기를 구비한 차량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운전자 요구 등급에 따른 가속 페달의 경로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운전자 요구 등급에 따른 가속 페달의 경로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운전자 요구 등급에 따른 가속 페달의 경로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하이브리드 구동기(1)를 구비한 차량(10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하이브리드 구동기(1)는 종래 기술에 따른 내연기관(2) 및 전동기(4)를 포함한다. 전동기(4)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동 트레인(6) 사이에 제1 커플링(5)이 배치된다. 내연기관(2)과 전동기(4) 사이에는 제2 커플링(3)이 배치된다. 제2 커플 링은 비례 커플링이다. 차량(100)의 차대는 디퍼렌셜을 구비한 축의 일부와 휠(7)로써 도시되어 있다. 도면부호 "8"은 전동기(4)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나타낸다. 차량 전기 시스템의 그 외 다른 부품들은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구동기(1)는 차량(100)이 전동기(4)를 이용하여 오직 전기식으로만 구동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차량이 오직 전기식으로만 구동되는 경우, 내연 기관(2)과 전동기(4) 사이에 배치된 제2 커플링(3)이 열린다. 그러나 배터리(8)의 충전 레벨이 급격하게 낮아지거나 더 높은 출력 요구가 있을 경우, 내연기관(2)이 시동되어야 한다. 이는 제2 커플링(3)이 닫혀야 가능하다. 그러나 이로 인해 차량(100)의 구동 트레인(6)에 장애를 유발하는 일은 가급적 없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커플링(5)은 슬립 토크로 구동된다. 따라서, 내연기관(2)의 시동으로 인해 전동기(4) 측에서 발생될 수도 있는 장애는 차량(100)의 구동 트레인(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커플링(3)은 정해진 슬립 토크로 제어된다. 이 토크를 이용하여 내연기관(2)은 전동기(4)와 동일한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속된다. 그러면 커플링(3)이 완전히 닫히게 되고, 내연기관(2)은 차량(1)의 구동 트레인(6)으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슬립 단계 동안의 추가 토크(하기에서 슬립 토크라고도 칭함)는 전동기(4)에 의해 제공되어야 한다. 이때 커플링(3)은, 한편으로는 내연기관(2)에 충분한 토크를 전달하여 내연기관(2)이 성공적인 시동에 필요한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내연기관(2)의 가속에 필요한 토크가 최대한 낮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토크가 전동기(4)에 의해 추가로 제공되어 여분으로서 비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커플링(5)도 재차 닫힌다. 그러나 이 커플링은 해당 작동점에 따라 닫힌다. 따라서, 예를 들어 낮은 회전수일 때는 일반적으로 커플링(5)이 완전히 닫힐 수 없다.
상술된 진행 과정의 경우 시동 쾌적성의 향상을 위한 복수의 방법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대개 변환 시 시동 시간이 연장된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연기관의 시동이 운전자 요구 및/또는 주행 상황에 맞춰짐으로써, 항상 최적의 절충안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핵심은 운전자 요구 및/또는 주행 상황을 분류하고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데 있다. 후술되는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3개의 등급으로 분류하는 것이 제공된다.
제1등급은 특별한 요구 토크없이, 예를 들어 차량(100)의 차량 전기 시스템을 통해 개시되는 시동에 적용된다. 상기 경우는 예를 들어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너무 심하게 떨어질 때 발생한다. 상기 시동 상황일 때 현재의 요구 토크는 실질적으로 전동기를 통해 발생된다.
제2등급은 적당한 요구 토크와 연관된 시동 과정에 적용된다. 이 경우 전동기(4)가 제공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높은 토크가 요구된다.
제3등급은 매우 높은 요구 토크와 연관된 시동 과정에 적용된다.
시동 과정의 진행은 언급된 등급들을 위해 상이한 최적비로서 결정된다. 제1등급에 따른 특별한 요구 토크가 없는 시동을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특별히 긴급을 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매개 변수들이 최대의 쾌적성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제3등급에 따른 매우 높은 요구 토크를 갖는 시동 과정의 경우 대개 가능한 한 짧은 반응 시간이 구현되어야 한다. 시동 과정을 통해 작은 저킹(jerking)이 차량(100)의 구동 트레인에서 발생되는 경우, 이는 특별히 위험하지는 않은데, 그 이유는 높은 요구 토크에 의해 비교적 강한 저킹이 어차피 차량의 구동 트레인(6)에서 발생되기 때문이다.
제2등급에 따른 적당한 요구 토크를 갖는 시동 과정을 위해 평균적인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다. 즉, 너무 느리지 않은 진행 과정으로 만족스러운 쾌적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된 분류에 따라 상응하는 등급 분류와 원하는 시동 유형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변형 실시예에 따라 가속 페달의 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임계값은 가속 페달(9)의 각도 위치 또는 가속 페달(9)의 최대 경로의 백분율에 할당된다. 이 경우, 제1등급에 따른 시동 과정은 예를 들어 가속 페달(9)의 위치가 가능한 페달 경로의 값(W < 30%)에 상응하게 되면(도 2) 시작된다. 제2등급에 따른 시동 과정은 예를 들어 가속 페달(9)의 위치가 가능한 페달 경로의 30% 내지 60%의 값(W)에 상응하게 되면(도 3) 시작된다. 상기 제3등급에 따른 시동 과정은 가속 페달(9)의 경로가 최대 페달 경로의 약 60%를 초과하는 값(W)에 상응하게 되면(도 4) 시작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변형 실시예에 따라, 언급된 등급 분류는 가속 페달(9)의 작동 속도를 고려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가속 페달 이동의 빠른 변화 속도는 장래의 높은 요구 토크를 암시하므로, 제3등급에 따른 시동 과정이 시작된다. 이 에 상응하게, 더 느린 변화 속도는 제2등급에 따른 시동 과정을 유도하는데, 그 이유는 더 낮은 요구 토크가 취해지기 때문이다. 더욱이 가속 페달 위치의 변화 속도와 가속 페달 위치의 조합도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변형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의 타입도 인식될 수 있고, 인식된 운전자 타입(스포츠 운전 타입, 쾌적 운전 타입)은 언급된 등급 분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예를 들어 가속 페달, 브레이크 페달 및 조향 장치의 작동 유형으로부터 운전자의 타입을 도출할 수 있다. 언급된 조작 요소들이 특히 다이나믹하게 자주 작동되면, 운전자는 특히 스포츠 타입으로 분류된다.
더욱이 임계값은 자동 변속기의 선택된 전환 프로그램(예를 들어 스포츠 모드 또는 쾌적 모드)에 좌우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복수의 선택 기준 적용시에, 더 높은 요구 토크를 갖는 시동 등급의 인식은 더 낮은 요구 토크를 갖는 시동 등급의 인식보다 우선한다.
하기에는 선택된 등급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동기의 제어 효과가 설명된다. 우선 토크 컨버터를 구비한 구동 트레인이 고려된다. 바람직하게 여기서 토크 컨버터 로크업 커플링의 개방 속도는 선택된 등급과, 이에 따라 제공되는 시동 유형에 좌우된다. 제1등급에서는 느린 개방 속도가 제공된다. 이는 과정이 더 오래 지속된다는 단점이 있지만, 차량(100)의 구동 트레인(6)에 거의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제3등급에서는 토크 컨버터 로크업 커플링의 개방 속도가 빠르지만, 구동 트레인(6)의 장애를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플링(3)이 비례 커플링으로서 형성되는 경우, 바람직하게 시동시 하이브리드 구동기(1)의 내연기관(2)을 가속하는 슬립 토크는 선택된 등급에 좌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등급에서 슬립 토크는 정확히 필요한 만큼의 크기로 선택된다. 반면 제3등급에서는 내연기관(2)의 최단 시동 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가능한 큰 슬립 토크가 제공된다.
시동 이후 토크 컨버터 로크업 커플링의 닫힘을 위해서도 닫힘 속도뿐 아니라 닫힘 시간은 등급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열림 과정에서와 동일한 등급이 필수적인 것은 아닌데, 그 이유는 운전자 요구가 도중에 변화되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더 유연한 대처를 위해, 운전자 요구의 변화를 통한 등급의 변경은 언제나 실행될 수 있다.
시동 중에, 전동기(4)는 회전수 조절 모드로 작동된다. 내연기관(2)이 전동기(4)의 회전수를 향해 가속된 후, 스스로 토크를 제공하는 즉시 회전수의 오버 슈트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내연기관(2)이 처음부터 너무 높은 토크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버 슈트를 감쇠하기 위해 회전수 조절이 시동 이후에도 얼마 동안 계속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수 조절의 후속 조절 시간도 바람직하게 분류 등급에 좌우될 수 있다. 회전수 조절되는 전동기(4)의 경우, 제1등급에서는 전동기(4)의 시동 후 전동기(4)의 회전수 조절을 위해 비교적 긴 시간이 제공되고, 제3등급에서는 비교적 짧은 시간이 제공된다. 제1등급의 경우 오버 슈트가 양호하게 감쇠되면서 비교적 긴 후속 조절 시간이 선택될 수 있다. 제3등급의 경우 신속한 반응과 연관되어 짧은 후속 조절 시간이 선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내연기관(2)의 시동시에는 높은 토크에 의한 회전수의 오버 슈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스로틀 밸브가 닫힌다. 그러나 제3등급의 경우와 같이 높은 토크에 대한 요구가 존재할 때, 내연기관(2)은 가급적 신속하게 가급적 높은 토크 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선택된 등급에 따라 스로틀 밸브를 시동 시작에서부터 상응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Claims (8)

  1. 하나 이상의 내연기관(2) 및 하나 이상의 전동기(4)를 포함하며, 차량(100)의 전동기(4)와 구동 트레인(6) 사이에 배치된 제1 커플링(5) 및 전동기(4)와 내연 기관(2) 사이에 배치된 제2 커플링(3)을 구비한, 차량(100)의 하이브리드 구동기(1)를 제어하는 방법이며,
    내연기관(2)의 시동은 제2 커플링(3)의 닫힘을 통해 이루어지고,
    하이브리드 구동기(1)의 작동 매개 변수는 운전자 요구에 따라 제어되고,
    운전자 요구는 등급으로(제1등급, 제2등급, 제3등급) 분류되며, 상기 등급들은 운전자 요구에 할당된 요구 토크를 통해 구별되고,
    운전자 요구는 가속 페달(9)의 위치에 의해 도출되고,
    상기 전동기(4)는 회전수 조절 모드로 작동되고,
    회전수 조절되는 전동기(4)의 경우 제1등급에서는 전동기(4)의 시동 후 전동기(4)의 회전수 조절을 위해 비교적 긴 시간이 제공되고, 제3등급에서는 비교적 짧은 시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구동기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제1등급에는 가속 페달(9)의 최대 위치의 30%까지의 위치가, 제2등급에는 가속 페달(9)의 30% 내지 60%의 위치가, 제3등급에는 가속 페달(9)의 최대 위치의 60%를 초과하는 위치가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구동기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비례 커플링으로 구성된 커플링(3)의 경우, 내연기관(2) 시동 시 제1등급에서는 슬립 토크가 필요한 정도로만 작게 조절되고, 제3등급에서는 가능한 한 짧은 시동 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슬립 토크가 훨씬 더 크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구동기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토크 컨버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구동기(1)에서 토크 컨버터 로크업 커플링은 제1등급에서는 느린 개방 속도로 개방되고, 제3등급에서는 가능한 한 빠른 속도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구동기의 제어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스로틀 밸브는 등급에 따라 파일럿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구동기의 제어 방법.
KR1020097008174A 2006-10-23 2007-08-24 하이브리드 구동기를 제어하는 방법 KR101497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49888A DE102006049888A1 (de) 2006-10-23 2006-10-23 Verfahren für die Steuerung eines Hybridantriebs
DE102006049888.7 2006-10-23
PCT/EP2007/058817 WO2008049662A1 (de) 2006-10-23 2007-08-24 Verfahren für die steuerung eines hybridantrieb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211A KR20090074211A (ko) 2009-07-06
KR101497161B1 true KR101497161B1 (ko) 2015-02-27

Family

ID=3885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174A KR101497161B1 (ko) 2006-10-23 2007-08-24 하이브리드 구동기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29399B2 (ko)
EP (1) EP2081807B1 (ko)
JP (1) JP4838887B2 (ko)
KR (1) KR101497161B1 (ko)
CN (1) CN101528523B (ko)
DE (1) DE102006049888A1 (ko)
WO (1) WO2008049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5367A1 (de) 2007-09-22 2009-04-02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triebsstrangs
DE102007045366A1 (de) 2007-09-22 2009-04-02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triebsstrangs
DE102007045365A1 (de) 2007-09-22 2009-04-02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triebsstrangs
DE102008002666B4 (de) 2008-06-26 2017-08-3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arten eines Verbrennungsmotors eines Hybridantriebsstranges
US8099203B2 (en) 2008-05-27 2012-0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to autostart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a hybrid powertrain system
DE102008042685A1 (de) 2008-10-08 2010-04-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Adaptieren einer Trennkupplung in einer Triebstranganordnung eines Fahrzeugs und Triebstranganordnung
DE102008062508A1 (de) 2008-12-16 2010-07-08 Daimler Ag Stopp-Start-Automatik
US8160796B2 (en) * 2009-02-24 2012-04-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curing driver requested torque
WO2012053508A1 (ja) * 2010-10-19 2012-04-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US9108635B2 (en) * 2011-01-12 2015-08-1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of hybrid vehicle
GB2487731B (en) * 2011-02-01 2018-05-02 Jaguar Land Rover Ltd Hybrid electric vehicle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hybrid electric vehicle
US9180873B2 (en) * 2011-02-23 2015-11-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of hybrid vehicle
DE102011077125A1 (de) * 2011-06-07 2012-12-1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triebsvorrichtung sowie Vorrichtung zum Betreiben der Antriebsvorrichtung
DE102011104395A1 (de) * 2011-06-17 2012-12-20 Audi Ag Verfahren zum Beschleunigen eines Fahrzeugs sowie Hybridfahrzeug
WO2013035180A1 (ja) * 2011-09-08 2013-03-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9205833B2 (en) * 2011-10-28 2015-12-08 Nissan Motor Co., Ltd.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CN103171417A (zh) * 2011-12-26 2013-06-26 上海大郡动力控制技术有限公司 内置双离合器的用于电力驱动汽车的牵引装置
US9358872B2 (en) * 2012-05-07 2016-06-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ling a powertrain and a clutch of a vehicle
US9744959B2 (en) * 2012-05-07 2017-08-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ing motor torque to enable slip of torque converter clutch to be maintained when accelerator pedal released in hybrid vehicle
DE102012220478A1 (de) * 2012-11-09 2014-05-15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sowie Steuerungseinrichtung zum Betreiben eines Hybridfahrzeugs
US8911324B2 (en) * 2012-11-29 2014-1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engine torque to protect disconnect clutch in a hybrid vehicle
US9421965B2 (en) 2012-11-29 2016-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engine torque to protect disconnect clutch in a hybrid vehicle
US9278685B2 (en) * 2012-12-10 2016-03-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ng operation of a hybrid vehicle transmission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
JP6172266B2 (ja) * 2013-04-04 2017-08-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DE102013219457B4 (de) * 2013-09-26 2019-06-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Fahrzeugs
US9056613B2 (en) * 2013-11-06 2015-06-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upshift torque modification using an upstream clutch in a hybrid vehicle
CN105916717B (zh) * 2014-01-21 2019-08-20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Cvt驱动系和用于其运行的方法
US9481256B2 (en) * 2014-01-30 2016-11-01 Amp Electric Vehicles Inc. Onboard generator drive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US9260108B2 (en) * 2014-03-11 2016-02-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brid powertrai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E102019210105A1 (de) * 2019-07-09 2021-01-14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ybrid-Antriebsstrangs, sowie elektronische Steuereinhe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3011A (en) * 1979-10-27 1985-08-06 Volkswagenwerk Aktiengesellschaft Hybrid driv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n automobile
JP2003200758A (ja) 2001-12-28 2003-07-15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1473A (en) * 1972-09-21 1974-02-12 Petro Electric Motors Ltd Hybrid power train
US5176213A (en) * 1987-12-09 1993-01-05 Aisin Aw Co., Ltd. Driving force distribution system for hybrid vehicles
JPH0680048A (ja) * 1992-07-17 1994-03-22 Aqueous Res:Kk ハイブリッド型車両
US5697466A (en) * 1992-11-12 1997-12-16 Kabushikikaisha Equos Research Hybrid vehicle
US5842534A (en) * 1995-05-31 1998-12-01 Frank; Andrew A. Charge deple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powered vehicles
DE19623847A1 (de) * 1995-06-16 1996-12-19 Aisin Aw Co Steuerungssystem für eine Fahrzeugantriebseinheit
JPH0998515A (ja) * 1995-07-25 1997-04-08 Nippon Soken Inc ハイブリッド車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3780550B2 (ja) * 1995-12-08 2006-05-3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US5841201A (en) * 1996-02-29 1998-11-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ybrid vehicle drive system having a drive mode using both engine and electric motor
JP3775012B2 (ja) * 1997-08-29 2006-05-17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3214437B2 (ja) * 1998-03-06 2001-10-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の駆動制御装置
JP3927325B2 (ja) * 1998-10-21 2007-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JP2000145946A (ja) 1998-11-09 2000-05-26 Toyota Motor Corp 車両の駆動系制御装置
JP3763223B2 (ja) * 1998-12-15 2006-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DE19922338A1 (de) 1999-05-14 2000-11-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orgegebenen Wirkbeziehung zwischen der Betätigung des Fahrpedals und dem daraus resultierenden Bremsmoment eines Fahrzeugs
KR100335916B1 (ko) * 1999-12-10 2002-05-10 이계안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EP1125781B1 (en) * 2000-01-24 2004-03-24 Hino Jidosha Kabushiki Kaisha Hybrid vehicle
IT1319883B1 (it) * 2000-02-04 2003-11-12 Fiat Ricerche Procedimento e sistema di controllo della propulsione di unautoveicolo
AU726946C (en) * 2000-05-19 2002-11-07 Erland George Olofsson Accelerator pedal with braking action
US7017692B2 (en) * 2000-09-27 2006-03-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Drivetrain controller for a motor vehicle with at least two power units and a gear-box
GB2370130B (en) * 2000-10-11 2004-10-06 Ford Motor Co A control system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DE10161900A1 (de) 2001-01-25 2002-08-14 Dieter Voigt Verfahren für eine Fahrpedal-Verzögerungsregelung für ein Kraftfahrzeug
BR0205735A (pt) * 2001-07-12 2003-06-03 Luk Lamellen & Kupplungsbau Processo para a adaptação do ajuste de uma embreagem em uma barra de acionamento não-convencional de um veìculo
DE10148344A1 (de) 2001-09-29 2003-04-10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sowie Computerprogramm zur Steuerung einer Antriebseinheit
DE10158536C5 (de) * 2001-11-29 2015-12-17 Daimler Ag Kraftfahrzeugantrieb
KR20040108712A (ko) * 2002-04-10 2004-12-24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프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차량의 작동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그 사용
US7143851B2 (en) * 2003-09-10 2006-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controlling a wheel drive system of a hybrid vehicle
DE10353256B3 (de) * 2003-11-14 2005-03-31 Barske, Heiko, Dr. Hybridantrieb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02061A1 (de) * 2004-01-15 2005-08-04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Steuern und Regeln eines Antriebsstranges eines Hybridfahrzeuges und Antriebsstrang eines Hybridfahrzeugs
DE102004025830A1 (de) * 2004-05-24 2006-08-10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ybridfahrzeugs
JP4026622B2 (ja) * 2004-07-06 2007-12-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US7463962B2 (en) * 2004-07-07 2008-12-09 Eaton Corporation Shift point strategy for hybrid electric vehicle transmission
US7347803B2 (en) * 2004-10-27 2008-03-25 Aisin Aw Co., Ltd. Drive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thereof
JP4341611B2 (ja) * 2005-11-09 2009-10-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再始動制御装置
JP4466514B2 (ja) * 2005-09-08 2010-05-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DE102005051382A1 (de) * 2005-10-27 2007-05-10 Zf Friedrichshafen Ag Hybridantrieb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JP4462170B2 (ja) * 2005-11-07 2010-05-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2007126081A (ja) * 2005-11-07 2007-05-24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クラッチ伝達トルク容量制御装置
JP4341610B2 (ja) * 2005-11-09 2009-10-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再始動制御装置
JP4325615B2 (ja) * 2005-12-12 2009-09-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DE102006005468B4 (de) * 2006-02-07 2017-09-21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Parallelhybridantriebsstranges eines Fahrzeuges
JP4561663B2 (ja) * 2006-03-23 2010-10-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モード切り替え制御装置
JP2007261498A (ja) * 2006-03-29 2007-10-11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伝動状態切り替え制御装置
DE102006018059A1 (de) * 2006-04-19 2007-10-31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Parallelhybridantriebsstranges
JP4972988B2 (ja) * 2006-05-02 2012-07-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伝動状態切り替え制御装置
JP4816291B2 (ja) * 2006-07-05 2011-1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モータロック防止装置
DE102006034937A1 (de) * 2006-07-28 2008-01-31 Dr.Ing.H.C. F. Porsche Ag Betriebsverfahren für einen Hybridantrieb
US7678005B2 (en) * 2006-12-19 2010-03-16 Chrysler Group Llc Fixed speed operation in a hybrid transmission including sport and economy modes
US7869926B2 (en) * 2006-12-19 2011-01-11 Chrysler Group Llc Fixed speed operation in a hybrid transmission
US8007401B2 (en) * 2007-05-02 2011-08-30 Nissan Motor Co., Ltd. Hybrid vehicle driv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3011A (en) * 1979-10-27 1985-08-06 Volkswagenwerk Aktiengesellschaft Hybrid driv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n automobile
JP2003200758A (ja) 2001-12-28 2003-07-15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04923A1 (en) 2010-12-02
JP2010507521A (ja) 2010-03-11
DE102006049888A1 (de) 2008-04-24
CN101528523A (zh) 2009-09-09
CN101528523B (zh) 2012-11-28
JP4838887B2 (ja) 2011-12-14
EP2081807A1 (de) 2009-07-29
WO2008049662A1 (de) 2008-05-02
EP2081807B1 (de) 2017-05-17
US8529399B2 (en) 2013-09-10
KR20090074211A (ko) 2009-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161B1 (ko) 하이브리드 구동기를 제어하는 방법
JP5534814B2 (ja) 車両ハイブリッドドライブトレインでクラッチ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4596016B2 (ja) 車輌走行制御装置
KR10094652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구동 제어 방법
JP487679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駆動制御装置
JP4052080B2 (ja) 車輌の制御装置
JP5009449B2 (ja) 車両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2077416A1 (ja) 回生制御装置、ハイブリッド自動車および回生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2053607A1 (ja) 車両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9823332B (zh) 混合动力车的控制装置
JP4274128B2 (ja) 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5059248B2 (ja) 車両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3119950A (zh) 车辆的驱动力控制装置
JP6265273B2 (ja) 車両用油圧制御装置
JP4257608B2 (ja) ハイブリッド車用駆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20158231A1 (en) Method for operating a hybrid drive
JP4186118B2 (ja) ハイブリッド車用駆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073877B2 (ja) 車両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702505B2 (ja) 電動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電動車両の制御方法
JP2013060826A (ja) 車両の制御装置
KR20100022555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토크 제어 방법
JP2000350307A (ja) ハイブリッド車の駆動制御装置
JP2003130199A (ja) 有段変速機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車両
KR102543957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코스팅 제어 방법 및 장치
JP7086464B2 (ja) 車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