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252B1 - 포장체 - Google Patents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252B1
KR101495252B1 KR1020117025039A KR20117025039A KR101495252B1 KR 101495252 B1 KR101495252 B1 KR 101495252B1 KR 1020117025039 A KR1020117025039 A KR 1020117025039A KR 20117025039 A KR20117025039 A KR 20117025039A KR 101495252 B1 KR101495252 B1 KR 101495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id member
opening
li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489A (ko
Inventor
다케시 반도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13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02Ope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2Boxes, cartons, cases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체에 표시하는 장식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웨트 티슈 수용 공간(200a)을 가지는 본체를 형성하는 기재 시트(210)에는, 제1 덮개 부재(213)의 외주연을 따라 커팅(212)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시트(220)에는, 제2 덮개 부재(223)의 외주연을 따라 커팅(222)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시트(230)에는, 개구(232a)의 외주연을 따라 커팅(232)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시트(220)의 일방의 면은, 제1 접착제(224)에 의해, 제2 덮개 부재(223)가 제1 덮개 부재(213)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기재 시트(210)의 이면에 접착된다. 중간 시트(220)의 타방의 면은, 제2 접착제(225)에 의해, 개구(232a)가 제2 덮개 부재(223)와 대향하는 위치에[개구(232a)가 제2 덮개 부재(223)에 의해 덮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내부 시트(230)의 일방의 면에 접착된다.

Description

포장체{PACKAGING BODY}
본 발명은, 물품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웨트 티슈 등의 시트 형상 물품을, 개구로부터 순차적으로 꺼낼 수 있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29681호(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93368호(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49184호(특허문헌 3)는, 각각, 웨트 티슈를 수용하는 포장체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포장체는, 물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기재(基材) 시트와, 보강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강 시트는, 기재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를 덮도록, 기재 시트의 외면에 접착되어 있다. 보강 시트에는 커팅이 형성되어 있고, 이 커팅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이,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로서 사용된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포장체는, 물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기재 시트와, 보강 시트와, 가요성(可撓性)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강 시트는, 기재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의 주위를 덮도록, 기재 시트의 외면에 접착되어 있다. 가요성 시트는, 기재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를 덮도록, 보강 시트에 접착되어 있다. 가요성 시트는,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로서 사용된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포장체는, 물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기재 시트와, 플라스틱 시트와, 덮개용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덮개용 시트는, 플라스틱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시트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용 시트가 접착된 플라스틱 시트는, 덮개용 시트가 기재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에 배치되도록, 기재 시트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포장체에서는,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보강 시트가, 기재 시트의 외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포장체에서는,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보강 시트 및 가요성 시트가, 기재 시트의 외면에 접착된다. 이 때문에, 포장체에 표시하는 장식 디자인(기재 시트에 표시되는 장식 디자인과 보강 시트 등에 표시되는 장식 디자인을 조합한 장식 디자인)이 제약된다. 한편,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포장체에서는,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 및 덮개용 시트는, 기재 시트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포장체에서는, 덮개용 시트가, 플라스틱 시트에 접착된 상태에서 기재 시트의 개구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포장체에 표시하는 장식 디자인(기재 시트에 표시되는 장식 디자인과 덮개용 시트에 표시되는 장식 디자인을 조합한 장식 디자인)이 제약된다.
본 발명은, 시트 형상 물품을 개구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수용하는 포장체에 있어서의 장식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체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물품, 바람직하게는 웨트 티슈를 꺼낼 수 있게 수용하는 포장체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제1 시트와, 제2 시트와, 제3 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시트로는, 예를 들어, 가열함으로써 융착 가능한 열융착 시트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물품을 습윤 상태(축축한 상태)로 유지 가능한 시트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보호층,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는 습윤 유지층(건조 방지층),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열융착층(히트시일층)이 적층된 적층 시트가 사용된다. 제1 시트에 의해, 물품을 수용하는 물품 수용 공간을 가지는 본체가 형성된다. 제1 시트에는, 제1 덮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시트로는, 바람직하게는, 강성을 가지는 시트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에 의해 형성된 필름이나 합성지가 사용된다. 제2 시트에는, 제2 덮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제3 시트로는, 바람직하게는, 강성을 가지는 시트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2 시트와 동일한 시트가 사용된다. 제3 시트에는, 물품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을 꺼내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시트, 제2 시트 및 제3 시트를 접착함으로써 포장체가 구성된다. 제2 시트의 일방의 면은, 제2 시트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가 제1 시트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덮개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시트의 물품 수용 공간측의 면(이면)에 접착된다. 또한, 제2 시트의 타방의 면은, 제3 시트에 설치되어 있는 개구가 제2 시트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에 의해 덮이도록(제2 덮개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3 시트의 일방의 면에 접착된다. 이때, 적어도 제2 덮개 부재가 박리 가능하게, 제2 시트와 제3 시트가 접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물체 수용 공간을 가지는 본체를 형성하는 제1 시트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덮개 부재에 의해, 제1 시트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3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를 개폐하기 때문에, 포장체에 표시하는 장식 디자인을 제1 시트의 표면에만 표시하면 되고, 이 때문에, 포장체에 표시하는 장식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에, 제2 덮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제2 시트를 개재시키고 있기 때문에, 개구부의 강도 및 덮개의 강도가 높아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서는, 제1 덮개 부재는 제1 손잡이부를 가지고, 제2 덮개 부재는 제2 손잡이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2 덮개 부재의 제2 손잡이부가 제1 덮개 부재의 제1 손잡이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시트가 제1 시트에 접착된다. 본 형태에서는, 제1 덮개 부재의 손잡이부와 제2 덮개 부재의 손잡이부가 대향한 상태에서 제1 덮개 부재와 제2 덮개 부재가 접착된다. 이에 의해, 제1 덮개 부재와 제2 덮개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덮개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제1 시트에 형성된 제1 커팅에 의해 제1 덮개 부재가 형성되고, 제2 시트에 형성된 제2 커팅에 의해 제2 덮개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커팅 및 제2 커팅 중 적어도 일방은, 닫혀 있는 커팅이다. 「커팅」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구멍(전형적으로는, 점선 구멍), 일부를 남기고 절단되는 부분 절단선, 전부가 절단되는 절단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팅」을 형성하는 양태에는,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있는 양태 및 전부가 절단되어 있는 양태가 포함된다.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커팅이 닫혀 있다」라는 기재는, 커팅으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 전체를 시트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커팅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형태에서는, 제1 시트와 제2 시트에 커팅을 형성함으로써 덮개 부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타의 형태에서는, 제1 시트에 형성된 제1 커팅에 의해 제1 덮개 부재가 형성되고, 제2 시트에 형성된 제2 커팅에 의해 제2 덮개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커팅 및 제2 커팅 중 적어도 일방은, 개구와 대향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제1 손잡이부 및 제2 손잡이부 중 적어도 일방과 반대측의 지점이 열려 있다.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커팅이 열려 있다」라는 기재는, 커팅으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의 일부가 시트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커팅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형태에서는, 적어도 일방의 덮개 부재는, 일부가 시트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타의 형태에서는, 제2 덮개 부재는, 제2 손잡이부와, 개폐부와, 기부(基部)를 가지고 있다. 개폐부는, 제3 시트에 형성되는 개구를 개폐 가능한 크기(개구를 덮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개폐부의 면적 > 개구의 면적). 기부는, 개폐부를 사이에 두고 제2 손잡이부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시트의 타방의 면은, 적어도 제2 덮개 부재가 박리 가능하게, 제3 시트의 일방의 면에 접착된다. 본 형태에서는, 제2 시트의 타방의 면은, 제2 덮개 부재의 제2 손잡이부의 지점에서는 제3 시트의 일방의 면에 접착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2 손잡이부(제2 손잡이부와 제1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집을 수 있어, 제2 덮개 부재(제1 덮개 부재와 제2 덮개 부재로 이루어지는 덮개 부재)를 제3 시트로부터 박리하는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제2 시트의 타방의 면은, 개폐부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접착력)가, 기부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접착력) 이상이 되도록, 제3 시트의 일방의 면에 접착된다. 「개폐부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가, 기부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 이상이다」라는 기재는, 「개폐부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가, 기부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보다 큰」구성뿐만 아니라, 「개폐부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가, 기부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와 동등한」구성(예를 들어, 동일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함)도 의미한다. 「개폐부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가, 기부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보다 큰」경우에는, 제2 덮개 부재(제2 덮개 부재와 제1 덮개 부재로 이루어지는 덮개 부재)가, 개폐부와 기부의 경계 지점까지 박리되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인가되는 힘이 변화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2 덮개 부재(제2 덮개 부재와 제1 덮개 부재로 이루어지는 덮개 부재)를 개폐부와 기부의 지점의 경계까지 박리한 것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2 시트의 타방의 면의, 제2 덮개 부재의 지점을 제외한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는, 제2 덮개 부재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와 동등해도 되지만(예를 들어, 동일한 접착재를 사용하여 접착함), 제2 덮개 부재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보다 큰 편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는, 박리 불능하게 접착된다.
제2 시트의 타방의 면을, 제2 덮개 부재가 박리 가능하게, 제3 시트의 타방의 면에 접착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트의 타방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리고, 접착제를 도포한 면의 원하는 지점에, 아크릴 수지나 우레탄 수지 등의 메듐을 인쇄하여, 접착제의 접착 강도(접착력)를 조절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이 경우, 제2 덮개 부재를 제외한 지점은, 메듐이 인쇄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2 덮개 부재를 제외한 지점은, 접착제에 의해 강고하게 접착되어, 박리가 방지된다. 제2 덮개 부재의 개폐부와 기부의 지점은, 메듐이, 도트나 메시 등의 패턴으로 인쇄된다. 이에 의해, 개폐부와 기부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가, 박리 가능한 적절한 접착 강도로 조절된다. 접착 강도는, 도트나 메시의 간격 등에 따라 설정된다. 제2 덮개 부재의 제2 손잡이부의 지점은, 전체면에 메듐이 인쇄된다. 이에 의해, 제2 덮개 부재의 제2 손잡이부는, 접착되지 않는다. 혹은, 제2 시트의 타방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함과 함께, 제3 시트의 일방의 면의 원하는 지점에 실리콘 등의 이형제를 도포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덮개 부재는, 제2 덮개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시트의 일방의 면을 1의 시트의 이면(물품 수용 공간측의 면)에 접착하는 방법으로는, 제1 덮개 부재와 제2 덮개 부재로 이루어지는 덮개 부재를 개폐 조작할 때에, 제1 덮개 부재와 제2 덮개 부재가 박리되지 않는 적절한 접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타의 형태에서는, 제1 커팅 및 제2 커팅 중 적어도 일방은, 단부가 박리 방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박리 방지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커팅의 양단부가,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 구부러져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상, 커팅의 단부가 곡선 형상(전형적으로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상 등이 포함된다. 본 형태에서는, 덮개 부재가 단부의 지점까지 박리된 경우에는, 박리 방지 형상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인가되어 반력이 변화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덮개 부재를 단부의 지점까지 박리한 것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부의 지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타의 형태에서는, 제1 덮개 부재 및 제2 덮개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은, 개구와 대향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제1 손잡이부 및 제2 손잡이부 중 적어도 일방과 반대측의 지점에, 제1 덮개 부재 및 제2 덮개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을 박리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을 가지고 있다. 「박리하는 방향」은, 덮개 부재의 손잡이부를 손가락으로 집어, 개구가 열리는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에, 덮개 부재가 박리되어 가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슬릿」은, 전형적으로는, 시트의 두께 이하의 깊이를 가지는 홈에 의해 구성된다. 슬릿으로는, 2점 사이에 연속하여 형성된 슬릿(연속 슬릿)을 사용할 수도 있고, 2점 사이에 이간하여 형성된 복수의 슬릿(분할 슬릿)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형태에서는, 슬릿이 힌지 구조의 회전 운동축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덮개 부재가 개방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힘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 덮개 부재를 손으로 누르지 않고, 물품 수용 구간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을 개구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타의 형태에서는, 제1 덮개 부재 및 제2 덮개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은, 덮개 부재를 박리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간하여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가지고 있다. 덮개 부재를 박리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은, 전형적으로는, 박리하는 방향과 직교하는(대략 직교를 포함한다) 방향이 대응한다. 본 형태에서는, 덮개 부재를 박리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슬릿(분할 슬릿)이 힌지 구조의 회전 운동축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물품 수용 구간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을 개구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이간하여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타의 형태에서는, 제2 덮개 부재는, 개구와 대향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제2 손잡이부와 반대측이며, 제2 덮개 부재를 박리하는 방향을 따라 이간된 복수의 지점에, 제2 덮개 부재를 박리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가지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이간하여 형성된 슬릿 중, 손잡이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의 슬릿이, 힌지 구조의 회전 운동축으로서 작용하는 경우에, 손잡이부에 가까운 측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에 의해, 덮개 부재가 개방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힘이 보다 작아진다. 이에 의해, 물품 수용 구간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을 개구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타의 형태에서는, 제2 덮개 부재는, 개구와 대향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제2 손잡이부와 반대측이며, 제2 덮개 부재를 박리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결여되어 있는 결여부를 가지고 있다. 결여부의 형상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결여부의, 손잡이부와 반대측의 가장자리부가 힌지 구조의 회전 운동축으로서 작용할 때, 결여부에 의해 힌지 구조의 강성이 저하된다. 이에 의해, 물품 수용 구간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을 개구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과제가 해결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질,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바로 이해 가능하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개구가 닫혀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개구가 열려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중간 시트의 접착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개구가 닫혀 있는 상태의 단면도(도 1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개구가 열려 있는 상태의 단면도(도 2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개구가 닫혀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개구가 열려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중간 시트의 접착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개구가 닫혀 있는 상태의 단면도(도 6의 XI-XI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개구가 열려 있는 상태의 단면도(도 7의 XII-XII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4 실시형태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5 실시형태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6 실시형태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6 실시형태의, 개구가 닫혀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6 실시형태의, 개구가 열려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7 실시형태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제2 실시형태의 변경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2 실시형태의 다른 변경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2 실시형태의 다른 변경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상 및 이하의 기재에 관련된 구성 내지 방법은,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체」의 제조 및 사용, 당해 「포장체」의 구성 요소의 사용을 실현시키기 위해, 다른 구성 내지 방법과 별도로, 혹은 이들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형태는, 이들의 조합도 포함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용예를 실시하기 위한 상세 정보를 당업자에게 교시하기에 그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당해 상세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이 때문에,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의 구성이나 방법 단계의 조합은, 광의의 의미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전부 필수라고 하는 것은 아니며, 첨부 도면의 참조 번호와 함께 기재된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대표적 형태를 개시하기에 그치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형태는, 웨트 티슈(10)를 꺼낼 수 있게 수용하는 포장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포장체(100)를,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5는, 각각 개구(132a)를 닫은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6은, 각각 개구(132a)를 연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기재 시트(110), 중간 시트(120), 내부 시트(130)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중간 시트(120)의 접착면을 나타내고 있다.
웨트 티슈(10)는, 섬유 재료를 시트 형상으로 형성한 기재(예를 들어, 부직포, 거즈, 코튼 시트, 티슈 페이퍼)에 액체(예를 들어, 알코올, 소독액, 화장수) 등을 함침시킨 것을 의미한다. 웨트 티슈(10)가 본 발명의 「물품」 혹은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 형상 물품」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100)는, 기재 시트(110), 중간 시트(120), 내부 시트(1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재 시트(110)가 본 발명의 「제1 시트」에 대응하고, 중간 시트(120)가 본 발명의 「제2 시트」에 대응하고, 내부 시트(130)가 본 발명의 「제3 시트」에 대응한다.
기재 시트(110)에 의해, 웨트 티슈(10)를 수용하는 웨트 티슈 수용 공간(100a)을 가지는 본체가 형성된다. 웨트 티슈 수용 공간(100a)은, 상벽(100b)과 하벽(100c)에 의해 형성된다. 웨트 티슈 수용 공간(100a)이 본 발명의 「물품 수용 공간」에 대응한다. 또한, 웨트 티슈(10)는, 후술하는 개구(132a)(122a, 112a)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웨트 티슈 수용 공간(100a) 내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접어서 겹친 웨트 티슈(10)를 겹친 상태에서 웨트 티슈 수용 공간(100a) 내에 수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최상부의 웨트 티슈(10)[후술하는 개구(132a)와 대향하는 웨트 티슈(10)]의 접어서 겹침부의 일부가 개구(132a)의 지점에 배치되도록 겹쳐진다.
기재 시트(110)로는, 예를 들어, 가열함으로써 융착 가능한 열융착 필름 등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트 티슈(10)를 수용하기 때문에, 열융착 필름으로는, 웨트 티슈(10)를 습윤 상태(축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바꿔 말하면, 건조를 방지할 수 있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보호층,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는 습윤 유지층(건조 방지층),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열융착층(히트시일층)이 적층된 적층 필름(라미네이트 필름)이 사용된다. 이러한 열융착 필름에 의해 구성되는 기재 시트(110)를 사용하여 본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형적으로는, 기재 시트(110)에 의해 웨트 티슈(10)를 싸고, 포개져 있는 기재 시트(110)를 가압 및 가열한다. 이에 의해, 대향하는 열융착층(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층)이 용융하여 접합되어, 세로 시일부(도시 생략) 및 가로 시일부(111a, 111b)가 형성된다. 세로 시일부는, 본체의 하부에, 본체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기재 시트(110)의 반송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가로 시일부는, 기재 시트(110)의 반송 반쌍방향을 따라 이간된 지점에, 기재 시트의 반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보호층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습윤 유지층(건조 방지층)은, 웨트 티슈 수용 공간(100a)에 수용되어 있는 웨트 티슈(10)의 습윤 상태를 유지할(건조를 방지할) 수 있으면 되고, 알루미늄층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열융착층은, 가열됨으로써 융착되면 되고,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층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 시트(110)에는, 상벽(100b)에 대응하는 지점에, 커팅(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팅(112)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에 의해, 기재 시트측의 덮개 부재(이하, 「제1 덮개 부재」라고 한다)(113)가 형성된다. 즉, 커팅(112)은, 제1 덮개 부재(113)의 외주연(外周緣)을 따라 형성된다. 커팅(112)으로는, 예를 들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구멍(「점선 구멍」이라고 불리고 있다), 부분 절단선(일부를 남기고 절단되어 있다), 절단선(전부가 절단되어 있다)이 사용된다. 점선 구멍이나 부분 절단선은, 가장 먼저, 제1 덮개 부재(113)에, 제1 덮개 부재(113)가 기재 시트(11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제1 덮개 부재(113)의 외주연이 기재 시트(110)로부터 떨어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커팅」을 형성하는 양태에는,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있는 양태 및 전부가 절단되어 있는 양태가 포함된다. 기재 시트(110)에 형성되어 있는 커팅(112)이, 본 발명의 「제1 커팅」에 대응한다.
제1 덮개 부재(113)는, 손잡이부(113a)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부(113a)는, 제1 개폐 부재(113)를 조작하는 손잡이로서 사용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덮개 부재(113)와 제2 덮개 부재(123)가 접착되어 덮개(140)가 구성되기 때문에, 손잡이부(113a)는, 덮개(140)를 조작하는 손잡이로서 사용된다. 제1 덮개 부재(113)의 손잡이부(113a)가, 본 발명의 「제1 손잡이부」에 대응한다.
또한, 커팅(112)은, 닫혀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열려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커팅(112)이 닫혀 있는 상태는, 제1 덮개 부재(113)를 기재 시트(110)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커팅(112)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예를 들어, 도 3 참조). 한편, 커팅(112)이 열려 있는 상태는, 제1 덮개 부재(113)의 일부가 기재 시트(110)과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커팅(112)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예를 들어, 도 8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팅(112)은, 닫혀 있다. 이 경우, 제1 덮개 부재(113)는, 손잡이부(113a)와 단벽(端壁)(113b)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커팅이 닫혀 있다」라는 기재는, 커팅으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 전체를 시트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커팅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커팅이 열려 있다」라는 기재는, 커팅으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의 일부가 시트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커팅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중간 시트(120)로는, 강성을 가지는 시트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에 의해 형성된 필름이나 합성지가 사용된다. 중간 시트(120)의 두께는, 적절히 설정된다.
중간 시트(120)의 면적(크기)은, 기재 시트(1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덮개 부재(113)의 면적[커팅(11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영역의 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시트(120)에는, 커팅(1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팅(122)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에 의해, 중간 시트측의 덮개 부재(이하, 「제2 덮개 부재」라고 한다)(123)가 형성된다. 즉, 커팅(122)은, 제2 덮개 부재(123)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다. 커팅(122)으로는, 전술한 점선 구멍, 부분 절단선이나 절단선 등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팅(122)으로서 점선 구멍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가장 먼저, 제2 덮개 부재(123)에, 제2 덮개 부재(123)가 중간 시트(12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점선 구멍 사이의 부분이 절단되어, 제2 덮개 부재(123)의 외주연이 중간 시트(120)로부터 떨어진다. 중간 시트(120)에 형성되어 있는 커팅(122)이, 본 발명의 「제2 커팅」에 대응한다.
제2 덮개 부재(123)는, 손잡이부(123a)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부(123a)는, 제2 개폐 부재(123)를 조작하는 손잡이로서 사용된다. 또한, 손잡이부(123a)는, 덮개(140)를 조작하는 손잡이로서 사용된다. 제2 덮개 부재(123)의 손잡이부(123a)가, 본 발명의 「제2 손잡이부」에 대응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팅(122)은, 열려 있다. 즉, 커팅(122)은, 단부(122c)와 단부(122d)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덮개 부재(113)는, 단부(122c와 122d)의 지점까지, 중간 시트(120)로부터 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덮개 부재(113)와 제2 덮개 부재(123)가 접착되어 덮개(140)가 구성되기 때문에, 제1 덮개 부재(113)의 외주연과 제2 덮개 부재(123)의 외주연을 동일한 형상(대략 동일한 형상을 포함한다)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덮개 부재(113)의 외주연의, 단벽(113b) 근방의 부분을 제외한 지점과, 제2 덮개 부재(123)의 외주연의, 단부(122c 및 122d) 근방을 제외한 지점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한다.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지점은, 후술하는 내부 시트(1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32a)로부터 웨트 티슈(10)를 꺼낼 수 있는 적절한 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덮개 부재(113)의 손잡이부(113a)와 단벽(113b) 사이의 길이는, 제2 덮개 부재(123)의 손잡이부(123a)와 단부(122c)(122d)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시트(130)로는, 강성을 가지는 시트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에 의해 형성된 필름이나 합성지가 사용된다. 중간 시트(120)의 두께는, 적절히 설정된다.
내부 시트(130)의 면적(크기)은, 중간 시트(1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123)의 면적[커팅(122)으로 둘러싸여 있는 영역의 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시트(130)에는, 커팅(1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팅(132)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에 의해 개구 형성편(133)이 형성된다. 즉, 커팅(132)은, 웨트 티슈(10)를 웨트 티슈 수용 공간(100a)으로부터 꺼내기 위한 개구(132a)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커팅(132)은, 닫혀 있다. 개구(132a)의 면적[커팅(132)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면적]은, 중간 시트(1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123)의 면적[커팅(122)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커팅(132)의 형상이나 크기, 즉, 개구(132a)의 형상이나 크기는, 웨트 티슈 수용 공간(100a)에 수용되어 있는 웨트 티슈(10)를 꺼낼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원형상, 원형형상, 사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 시트(130)에 형성되어 있는 커팅(132)이, 본 발명의 「제3 커팅」에 대응한다.
커팅(132)으로는, 전술한 점선 구멍, 부분 절단선이나 절단선 등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팅(132)으로서 점선 구멍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가장 먼저, 개구 형성편(133)에, 개구 형성편(133)이 내부 시트(13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점선 구멍 사이의 부분이 절단되어, 개구 형성편(133)이 내부 시트(130)로부터 떨어진다.
다음으로, 기재 시트(110), 중간 시트(120) 및 내부 시트(130)에 의해 포장체(100)를 구성하는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시트(120)의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도 5, 도 6에서는, 중간 시트(120)의 일방의 면에 제1 접착제(124)가 도포되고, 타방의 면에 제2 접착제(125)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접착제(125)에 의해, 내부 시트(130)의 일방의 면을 중간 시트(120)의 타방의 면에 접착한다. 이 경우, 내부 시트(130)에 형성되는 커팅(132)으로 둘러싸이는 개구 형성편(133)[개구(132a)]이, 중간 시트(1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123)[커팅(122)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부 시트(130)와 중간 시트(120)가 접착된다. 제2 접착제(125)로는, 적어도 제2 개폐 부재(123)를, 반복 박리 가능하게 내부 시트(130)의 일방의 면에 접착하는 접착제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감압 접착제가 사용된다. 이에 의해, 내부 시트(1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32a)가 제2 덮개 부재(123)에 의해 개폐된다.
중간 시트(120)의 타방의 면을, 제2 덮개 부재(123)가 박리 가능하게, 내부 시트(130)의 일방의 면에 접착하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접착 방법에서는, 중간 시트(120)의 타방의 면에 제1 접착제(125)를 도포하고, 또한, 제1 접착제(125)를 도포한 면의 원하는 지점에, 아크릴 수지나 우레탄 수지 등의 메듐을 인쇄하여 접착 강도(접착력)를 조절하고 있다.
도 4에서는, 제2 접착제(125)가 도포되어 있는 면 중, 제2 덮개 부재(123)를 제외한 지점(125a)에는, 메듐이 인쇄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중간 시트(120)의 타방의 면은, 제2 덮개 부재(123)를 제외한 지점(125a)에서는, 제2 접착제(125)에 의해 내부 시트(130)의 일방의 면에 강고하게 접착된다.
또한, 제2 접착제(125)가 도포되어 있는 면 중, 제2 덮개 부재(123)의 손잡이부(123a)에 대응하는 지점(125c)에는, 전체면에 메듐이 인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간 시트(120)의 타방의 면은, 제2 덮개 부재(123)의 손잡이부(123a)의 지점에서는, 내부 시트(130)의 일방의 면에 접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제2 덮개 부재(123)의 제2 손잡이부(123a)[제2 덮개 부재(123)와 제1 덮개 부재(113)로 이루어지는 덮개(140)의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집을 수 있기 때문에, 제2 덮개 부재(123)[제2 덮개 부재(123)와 제1 덮개 부재(113)로 이루어지는 덮개(140)]를 내부 시트(130)로부터 박리하는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2 접착제(125)가 도포되어 있는 면 중, 제2 덮개 부재(123)의 개폐부에 대응하는 지점(125b), 기부에 대응하는 지점(125d)에는, 메듐이 인쇄된다. 제2 덮개 부재(123)의 개폐부(125b에 대응하는 지점)는, 내부 시트(130)에 형성되는 개구(132a)[커팅(132)으로 둘러싸이는 지점]를 개폐하는 부분으로서, 개구(132a)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있다. 제2 덮개 부재(123)의 기부(125d에 대응하는 지점)는, 제2 덮개 부재(123)가 내부 시트(130)로부터 완전히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제2 덮개 부재(123)의 기부는, 개폐부[개구(132a)에 대향하는 부분(b)]를 사이에 두고, 손잡이 부재(123a)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덮개 부재(123)의 기부에 대응하는 지점(125d)에서의 접착 강도(접착력)는, 제2 덮개 부재(123)의 개폐부에 대응하는 지점(125b)에서의 접착 강도(접착력) 이상(동등을 포함한다)으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개폐 부재(123)의 기부에 대응하는 지점(125d)에서의 접착 강도는, 제2 덮개 부재(123)의 개폐부에 대응하는 지점(125b)에서의 접착 강도보다 크게 설정된다. 제2 덮개 부재(123)의 기부에 대응하는 지점(125d)에서의 접착 강도를 개폐부에 대응하는 지점(125b)에서의 접착 강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잡이부를 손가락으로 집어 덮개(140)를 개방 조작할 때, 손가락에 인가되는 반력의 변화에 의해, 덮개(140)[제2 덮개 부재(123)]가 개폐부와 기부의 경계의 지점까지 박리된 것을 판별할 수 있다. 제2 덮개 부재(123)의 개폐부에 대응하는 지점(125b)에서의 접착 강도나, 기부에 대응하는 지점(125d)에서의 접착 강도는, 예를 들어, 인쇄하는 메듐의 도트나 메시의 크기, 폭이나 간격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제2 개폐 부재(123)의 기부에 대응하는 지점(125d)에서의 접착 강도를 제2 덮개 부재(123)의 개폐부에 대응하는 지점(125b)에서의 접착 강도와 동등하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기부에 대응하는 지점(125d) 및 개폐부에 대응하는 지점(125b)에 동일한 도트나 메시를 인쇄한다.
또한, 제1 접착제(125)가 도포되어 있는 면 중, 내부 시트(1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32a)에 대향하는 지점(125c)에는, 메듐을 인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접착제(124)에 의해, 중간 시트(120)의 일방의 면을 기재 시트(110)의 이면[웨트 티슈 수용 공간(100a)측의 면]에 접착한다. 이 경우, 중간 시트(1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123)의 손잡이부(123a)가, 기재 시트(1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덮개 부재(113)의 손잡이부(113a)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중간 시트(120)와 기재 시트(110)가 접착된다. 제1 접착제(124)로는, 다양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착제(124)로서, 제2 접착제(125)보다 접착 강도(접착력)가 큰 접착제가 사용된다. 물론, 제2 접착제와 동일한 감압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제1 덮개 부재(113)와 제2 덮개 부재(123)가 접착된다. 그리고, 제1 덮개 부재(113)의 손잡이부(113a)를 집어, 제1 덮개 부재(113)를 기재 시트(11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1 덮개 부재(113)에 접착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123)가, 중간 시트(12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진다.
다음으로, 실시형태의 포장체(100)의 웨트 티슈 수용 공간(100a)에 수용되어 있는 웨트 티슈(10)를 꺼내는 조작을 설명한다.
웨트 티슈(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덮개 부재(123)는, 제2 접착제(125)에 의해, 내부 시트(130)의 일방의 면에 접착되고, 제1 덮개 부재(113)는, 제1 접착제(124)에 의해 제2 덮개 부재(123)의 일방의 면에 접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부 시트(1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32a)는, 제2 덮개 부재(133)[제1 덮개 부재(113)와 제2 덮개 부재(233)에 의해 구성되는 덮개(140)]에 의해 닫혀 있다.
웨트 티슈(10)를 사용할 때에는, 제1 덮개 부재(113)의 손잡이부(113a)[덮개(140)의 손잡이부]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집어,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검정 화살표의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의해, 제1 덮개 부재(113)[제1 덮개 부재(113)에 접착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123)]는, 손잡이부(113a)측으로부터 단부(113b)측으로, 기재 시트(110)의 표면[웨트 티슈 수용 공간(100a)과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떨어져 간다. 그리고, 제2 덮개 부재(123)[제2 덮개 부재(123)에 접착되어 있는 제1 덮개 부재(113)]가, 내부 시트(130)의 일방의 면으로부터 떨어져, 개구(132a)가 열린다. 제2 덮개 부재(123)[덮개(140)]가 개폐부와 기부의 경계 부분(도 4에 나타내는 125b와 125d의 경계 부분)까지 박리되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인가되는 반력이 증대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2 덮개 부재(123)[덮개(140)]가 기부의 지점까지 박리된 것을 판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시트(110)에 형성되어 있는 커팅(112)은 닫혀 있고, 중간 시트(120)에 형성되어 있는 커팅(122)은 열려 있다. 또한, 제1 덮개 부재(113)의 손잡이부(113a)와 단벽(113b) 사이의 길이가, 제2 덮개 부재(123)의 손잡이부(123a)와 단부(122c)(122d)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즉, 커팅(122)의 단부(122c 및 122d)가, 커팅(112)의 단벽(112b)보다 손잡이부(113a)(123a)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덮개 부재(113)가 단벽(112b)의 지점까지 기재 시트(11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지기 전에, 제2 덮개 부재(123)가 단부(122c 혹은 122d)의 지점까지 중간 시트(120)의 일방의 면으로부터 떨어진(박리된) 시점에서, 그 이상의 박리가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시트(120)의 단부(122c 및 122d)는, 덮개(140)[제1 덮개 부재(113) 및 제2 덮개 부재(123)]의 그 이상의 박리를 방지하는 박리 방지부로서 작용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시트(110)에, 닫혀 있는 커팅(112)을 형성하고, 중간 시트(120)에, 열려 있는 커팅(122)을 형성하였으나, 커팅(112나 12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형태의 포장체(200)를, 도 7∼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 및 도 11은, 각각 개구(232a)를 닫은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및 도 12는, 각각 개구(232a)를 연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기재 시트(210), 중간 시트(220), 내부 시트(230)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200)는, 기재 시트(210), 중간 시트(220), 내부 시트(2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중간 시트(120)의 접착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도 12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대응하는 구성에는, 100번대의 숫자를 제외하고 동일한 숫자가 붙어 있다.
기재 시트(210)는, 제1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110)와 동일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기재 시트(210)에 의해, 웨트 티슈(10)를 수용하는 웨트 티슈 수용 공간(200a)을 가지는 본체가 형성된다. 웨트 티슈 수용 공간(200a)은, 상벽(200b)과 하벽(200c)에 의해 형성된다.
기재 시트(210)에는, 상벽(200b)에 대응하는 지점에, 커팅(2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팅(212)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에 의해, 기재 시트측의 덮개 부재(제1 덮개 부재)(123)가 형성된다. 커팅(212)으로는, 점선 구멍, 부분 절단선, 절단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덮개 부재(213)는, 손잡이부(213a)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팅(212)은, 열려 있다. 즉, 커팅(212)은, 단부(212c)와 단부(212d)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덮개 부재(213)는, 단부(212c와 212d)의 지점까지, 기재 시트(210)로부터 뗄 수 있다.
중간 시트(220)는, 제1 실시형태의 중간 시트(120)와 동일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중간 시트(220)의 면적(크기)은, 기재 시트(2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덮개 부재(213)의 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시트(220)에는, 커팅(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팅(222)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에 의해, 중간 시트측의 덮개 부재(제2 덮개 부재)(223)가 형성된다. 커팅(222)으로는, 점선 구멍, 부분 절단선, 절단선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팅(222)으로서 점선 구멍이 사용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팅(222)은, 닫혀 있다. 이 경우, 제2 덮개 부재(223)는, 손잡이부(223a)와 단벽(223b)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덮개 부재(213)와 제2 덮개 부재(223)가 접착되어 덮개(240)가 구성되기 때문에, 제1 덮개 부재(213)의 외주연과 제2 덮개 부재(223)의 외주연을 동일한 형상(대략 동일한 형상을 포함한다)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덮개 부재(213)의 단부(212c 및 212d) 근방을 제외한 지점과, 제2 덮개 부재(223)의 단벽(223bc) 근방을 제외한 지점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제1 덮개 부재(213)의 손잡이부(213a)와 단부(212c)(212d) 사이의 길이는, 제2 덮개 부재(223)의 손잡이부(223a)와 단벽(223b)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시트(230)는, 제1 실시형태의 내부 시트(130)와 동일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내부 시트(230)의 면적(크기)은, 중간 시트(2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223)의 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시트(230)에는, 커팅(2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팅(232)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에 의해 개구 형성편(233)이 형성된다. 즉, 커팅(232)은, 웨트 티슈(10)를 웨트 티슈 수용 공간(200a)으로부터 꺼내기 위한 개구(232a)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커팅(232)은, 닫혀 있다. 개구(232a)의 면적은, 중간 시트(2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223)의 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커팅(232)으로는, 점선 구멍, 부분 절단선이나 절단선 등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팅(132)으로서 점선 구멍이 사용되고 있다.
기재 시트(210), 중간 시트(220) 및 내부 시트(230)에 의해 포장체(200)를 구성하는 방법으로는, 전술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중간 시트(120)의 일방의 면에 도포된 제1 접착제(224)와 타방의 면에 도포된 제2 접착제(225)에 의해, 중간 시트(220)의 일방의 면을 기재 시트(210)의 이면에 접착함과 함께, 내부 시트(230)의 일방의 면을 중간 시트(220)의 타방의 면에 접착한다. 이때, 내부 시트(2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 형성편(233)[개구(232a)]이 중간 시트(2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223)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중간 시트(2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223)의 손잡이부(223a)가 기재 시트(2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덮개 부재(213)의 손잡이부(213a)와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부 시트(230), 중간 시트(220), 기재 시트(210)가 접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200)의 웨트 티슈 수용 공간(200a)에 수용되어 있는 웨트 티슈(10)를 꺼내는 조작은, 제1 실시형태의 포장체(100)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시트(210)에는, 닫혀 있는 커팅(212)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 시트(220)에는, 열려 있는 커팅(2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덮개 부재(213)의 손잡이부(213a)와 단부(212c)(212d) 사이의 길이가, 제2 덮개 부재(223)의 손잡이부(223a)와 단바닥(223b)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덮개(240)[제1 덮개 부재(213)와 제2 덮개 부재(223)]를 단부(212c 혹은 212d)의 지점까지 열면(박리하면), 단벽(223b)이 힌지 구조의 회전 운동축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단벽(223b)의 지점까지 덮개(240)[제1 덮개 부재(213)와 제2 덮개 부재(223)]를 열면, 개구(232a)를 닫는 방향(폐쇄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힘이 약해진다. 따라서, 개구(232a)로부터 웨트 티슈(10)를 꺼낼 때에, 덮개(240)을 손으로 눌러 둘 필요가 없어진다. 즉, 웨트 티슈(10)를 꺼내는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시트(210)의 단부(212c 및 212d)는, 덮개(240)[제1 덮개 부재(213) 및 제2 덮개 부재(223)]의 그 이상의 박리를 방지하는 박리 방지부로서 작용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200)의 웨트 티슈 수용 공간(200a)에 수용되어 있는 웨트 티슈(10)를 꺼내는 조작을 설명한다.
웨트 티슈(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7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덮개 부재(223)는, 제2 접착제(225)에 의해, 내부 시트(230)의 일방의 면에 접착되고, 제1 덮개 부재(213)는, 제1 접착제(224)에 의해 제2 덮개 부재(223)의 일방의 면에 접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부 시트(2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232a)는, 제2 덮개 부재(223)[제1 덮개 부재(213)와 제2 덮개 부재(223)에 의해 구성되는 덮개(240)]에 의해 닫혀 있다.
웨트 티슈(10)를 사용할 때에는, 제1 덮개 부재(213)의 손잡이부(213a)[덮개(240)의 손잡이부]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집어, 도 8 및 도 12에 나타내는 검정 화살표의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의해, 제1 덮개 부재(213)[제1 덮개 부재(213)에 접착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223)]는, 손잡이부(213a)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박리되어 간다. 그리고, 제2 덮개 부재(223)[제2 덮개 부재(223)에 접착되어 있는 제1 덮개 부재(213)]가, 내부 시트(230)의 일방의 면으로부터 떨어져, 개구(232a)가 열린다. 제2 덮개 부재(223)[덮개(240)]가 개폐부와 기부의 경계 부분(도 10에 나타내는 225b와 225d의 경계 부분)까지 박리되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인가되는 반력이 증대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2 덮개 부재(223)[덮개(240)]가 기부의 지점까지 박리된 것을 판별한다.
또한, 제1 덮개 부재(223)[덮개(240)]를 개방 조작하고, 제2 덮개 부재(223)가 단벽(223b)의 지점까지 박리되면, 단벽(223b)이 힌지 기구의 회전 운동축으로서 작용한다. 이 경우, 제2 덮개 부재(323)[덮개(240)]가 폐쇄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힘이 약해진다. 이 때문에, 덮개(240)의 손잡이부[제1 손잡이부(213a), 제2 손잡이부(223a)]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해도, 덮개(240)[제1 덮개 부재(213), 제2 덮개 부재(223)]는, 개구(232a)가 열려 있는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쪽 손으로 웨트 티슈(10)를 웨트 티슈 수용 공간(200a)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시트(210)에 형성되어 있는 커팅(212)은 열려 있고, 중간 시트(220)에 형성되어 있는 커팅(222)은 닫혀 있다. 또한, 제1 덮개 부재(213)의 손잡이부(213a)와 단부(212c)(212d) 사이의 길이가, 제2 덮개 부재(223)의 손잡이부(223a)와 단벽(223b)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즉, 커팅(222)의 단벽(223b)이, 커팅(212)의 단부(212c 및 212d)보다 손잡이부(223a)(213a)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덮개 부재(223)가 단벽(223b)의 지점까지 박리되어도, 덮개(240)는, 제1 덮개 부재(213)에 의해, 기재 시트(210)에 접속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기재 시트(210)에 형성되어 있는 단부(212c 및 212d)는, 덮개(240)[제1 덮개 부재(213) 및 제2 덮개 부재(223)]의 그 이상의 박리를 방지하는 박리 방지부로서 작용한다.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의 포장체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310), 중간 시트(320), 내부 시트(330)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310), 중간 시트(320), 내부 시트(330)로는, 각각, 제1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110), 중간 시트(120), 내부 시트(130)와 동일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시트(310)에는, 닫혀 있는 커팅(312)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 시트(320)에는, 닫혀 있는 커팅(3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덮개 부재(323)에는, 손잡이부(323a)와 단벽(323b) 사이에, 단벽(323b)과 평행(대략 평행을 포함한다)한 슬릿(연속 슬릿)(326)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326)은, 내부 시트(3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332a)와 대향하는 지점(전술한 개폐부)을 사이에 두고, 손잡이부(323a)와 반대측의 지점에 형성된다. 슬릿(324)은, 중간 시트(320)의 두께 이하의 깊이를 가지는 홈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슬릿(326)은, 전술한, 개폐부와 기부의 경계선(도 1의 125c와 125d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덮개 부재(313)의 손잡이부(313a)와 단벽(313b) 사이의 길이와, 제2 덮개 부재(323)의 손잡이부(323a)와 단벽(323b) 사이의 길이가 동등하게(대략 동등함을 포함한다)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제1 덮개 부재(313)와 제2 덮개 부재(323)]를 슬릿(324)의 지점까지 열면(박리하면), 슬릿(324)이 힌지 구조의 회전 운동축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슬릿(324)의 지점까지 덮개[제1 덮개 부재(313)와 제2 덮개 부재(323)]를 열면, 덮개가 개구(332a)를 닫는 방향(폐쇄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힘이 약해진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웨트 티슈(10)를 꺼내는 성능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의 포장체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410), 중간 시트(420), 내부 시트(430)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410), 중간 시트(420), 내부 시트(430)로는, 각각, 제1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110), 중간 시트(120), 내부 시트(130)와 동일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시트(410)에는, 닫혀 있는 커팅(412)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 시트(420)에는, 닫혀 있는 커팅(4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덮개 부재(413)에는, 손잡이부(413a)와 단벽(413b) 사이에, 단벽(413b)과 평행(대략 평행을 포함한다)한 슬릿(연속 슬릿)(416)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416)은, 내부 시트(4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432a)와 대향하는 지점을 사이에 두고, 손잡이부(413a)와 반대측의 지점에 형성된다. 또한, 제2 덮개 부재(423)에는, 손잡이부(423a)와 단벽(423b) 사이에, 단벽(423b)과 평행(대략 평행을 포함한다)한 슬릿(연속 슬릿)(426)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426)은, 내부 시트(4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432a)와 대향하는 지점(전술한 개폐부)을 사이에 두고, 손잡이부(423a)와 반대측의 지점에 형성된다. 또한, 슬릿(426)은, 전술한, 개폐부와 기부의 경계선(도 1의 125c와 125d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덮개 부재(413)의 손잡이부(413a)와 단벽(413b) 사이의 길이와, 제2 덮개 부재(423)의 손잡이부(423a)와 단벽(423b) 사이의 길이가 동등하게(대략 동등함을 포함한다)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덮개 부재(413)의 손잡이부(413a)와 슬릿(416) 사이의 길이와, 제2 덮개 부재(423)의 손잡이부(423a)와 슬릿(426) 사이의 길이가 동등하게(대략 동등함을 포함한다)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덮개 부재(413)의 슬릿(416)과 제2 덮개 부재(423)의 슬릿(426)은, 대향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제1 덮개 부재(413)와 제2 덮개 부재(423)]를 슬릿(416)(426)의 지점까지 열면(박리하면), 슬릿(416 및 426)이 힌지 구조의 회전 운동축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슬릿(416)(426)의 지점까지 덮개[제1 덮개 부재(413)와 제2 덮개 부재(423)]를 열면, 덮개가 개구(432a)를 닫는 방향(폐쇄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힘이 보다 약해진다. 따라서, 웨트 티슈(10)를 꺼내는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다음으로, 제5 실시형태의 포장체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510), 중간 시트(520), 내부 시트(530)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510), 중간 시트(520), 내부 시트(530)로는, 각각, 제1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110), 중간 시트(120), 내부 시트(130)와 동일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시트(510)에는, 닫혀 있는 커팅(512)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 시트(520)에는, 닫혀 있는 커팅(5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덮개 부재(513)에는, 손잡이부(513a)와 단벽(513b) 사이에, 단벽(513b)과 평행(대략 평행을 포함한다)하게, 복수의 슬릿(분할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벽(513b)과 평행한 선의 양단측에 각각 슬릿(분할 슬릿)(517a, 517b)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517a, 517b)은, 내부 시트(5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532a)와 대향하는 지점을 사이에 두고, 손잡이부(513a)와 반대측의 지점에 형성된다.
또한, 제2 덮개 부재(523)에는, 손잡이부(523a)와 단벽(523b) 사이에, 단벽(523b)과 평행(대략 평행을 포함한다)한 슬릿(연속 슬릿)(526)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526)은, 양단 사이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슬릿(526)은, 내부 시트(5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532a)와 대향하는 지점(전술한 개폐부)을 사이에 두고, 손잡이부(523a)와 반대측의 지점에 형성된다. 또한, 슬릿(526)은, 전술한, 개폐부와 기부의 경계선(도 1의 125c와 125d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덮개 부재(513)의 손잡이부(513a)와 단벽(513b) 사이의 길이와, 제2 덮개 부재(523)의 손잡이부(523a)와 단벽(523b) 사이의 길이가 등등하게(대략 동등함을 포함한다)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덮개 부재(513)의 손잡이부(513a)와 슬릿(517a)(517b) 사이의 길이와, 제2 덮개 부재(523)의 손잡이부(523a)와 슬릿(526) 사이의 길이가 동등하게(대략 동등함을 포함한다)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덮개 부재(513)의 슬릿(517a)(517b)과 제2 덮개 부재(523)의 슬릿(526)은, 대향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제1 덮개 부재(513)와 제2 덮개 부재(523)]를 슬릿(517a(517b), 526)의 지점까지 열면(박리하면), 슬릿(517a(517b) 및 526)이 힌지 구조의 회전 운동축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슬릿(517a(517b) 및 526)의 지점까지 덮개[제1 덮개 부재(513)와 제2 덮개 부재(523)]를 열면, 덮개가 개구(532a)를 닫는 방향(폐쇄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힘이 보다 약해진다. 따라서, 웨트 티슈(10)를 꺼내는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덮개 부재(513)에 복수의 슬릿(분할 슬릿)(517a, 517b)을 이간하여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형태 4와 비교하여, 제1 덮개 부재(513)의 강도가 높다.
또한, 제2 덮개 부재(523)의 슬릿(연속 슬릿)(526) 대신에, 분할 슬릿을 형성해도 된다. 즉, 제1 덮개 부재(513)와 제2 덮개 부재(523)의 일방에 연속 슬릿을 형성하고, 타방에 분할 슬릿을 형성하는 양태, 제1 덮개 부재(513)와 제2 덮개 부재(523)의 쌍방에 분할 슬릿을 형성하는 양태, 제1 덮개 부재(513)와 제2 덮개 부재(523)의 쌍방에 분할 슬릿을 형성하는 양태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6 실시형태의 포장체를, 도 16∼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610), 중간 시트(620), 내부 시트(630)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610), 중간 시트(620), 내부 시트(630)로는, 각각, 제1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110), 중간 시트(120), 내부 시트(130)와 동일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시트(610)에는, 닫혀 있는 커팅(612)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 시트(620)에는, 닫혀 있는 커팅(6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덮개 부재(623)에는, 손잡이부(623a)와 단벽(623b) 사이에, 결여부(628)가 설치되어 있다. 결여부(628)는, 내부 시트(6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632a)와 대향하는 지점(전술한 개폐부)을 사이에 두고, 손잡이부(623a)와 반대측의 지점에 형성된다. 또한, 결여부(628)는, 전술한, 개폐부와 기부의 경계선(도 1의 125c와 125d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결여부(626)의 단벽(623b)측의 가장자리부 혹은 단벽(623b)과 반대측의 가장자리부를, 개폐부와 기부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여부(628)는, 제2 덮개 부재(623)의 개방 방향을 따른 설정 폭을 가지고 있다. 제2 덮개 부재(623)의 개방 방향은, 손잡이부(623a)를 집어, 개구(632a)가 열리는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에, 제2 덮개 부재(623)가 내부 시트(630)로부터 박리되어 가는 방향(도 16에서는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제1 덮개 부재(613)와 제2 덮개 부재(623)]를 결여부(626)의 지점까지 열면(박리하면), 결여부(626)의 단벽(623b)측의 가장자리부가 힌지 구조의 회전 운동축으로서 작용한다(도 18 참조). 이때, 결여부(626)의 존재에 의해, 힌지 구조의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덮개가 개구(632a)를 닫는 방향(폐쇄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힘이 보다 약해진다. 따라서, 웨트 티슈(10)를 꺼내는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다음으로, 제7 실시형태의 포장체를,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710), 중간 시트(720), 내부 시트(730)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710), 중간 시트(720), 내부 시트(730)로는, 각각, 제1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110), 중간 시트(120), 내부 시트(130)와 동일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시트(710)에는, 닫혀 있는 커팅(712)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 시트(720)에는, 닫혀 있는 커팅(7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덮개 부재(723)에는, 손잡이부(723a)와 단벽(723b) 사이에, 제2 덮개 부재(723)의 개방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제2 덮개 부재(723)의 개방 방향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벽(723b)과 평행(대략 평행을 포함한다)한 슬릿(연속 슬릿)(726a, 726b)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726a, 726b)은, 내부 시트(7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732a)와 대향하는 지점(전술한 개폐부)을 사이에 두고, 손잡이부(723a)와 반대측의 지점에 형성된다. 또한, 슬릿(726a, 726b)은, 전술한, 개폐부와 기부의 경계선(도 1의 125c와 125d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슬릿(726a, 726b)의 일방을, 개폐부와 기부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제1 덮개 부재(713)와 제2 덮개 부재(723)]를 슬릿(726a)의 지점까지 열면(박리하면), 슬릿(726a)이 힌지 구조의 회전 운동축으로서 작용하여, 덮개가 개구(732a)를 닫는 방향(폐쇄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힘이 보다 약해진다. 또한, 덮개[제1 덮개 부재(713)와 제2 덮개 부재(723)]를 슬릿(726b)의 지점까지 열면(박리하면), 슬릿(726b)이 힌지 구조의 회전 운동축으로서 작용하여, 덮개가 개구(732a)를 닫는 방향(폐쇄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힘이 보다 약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릿(726b)보다 손잡이부(723a)측에 슬릿(726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가 개구(732a)를 닫는 방향(폐쇄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힘이 보다 약해진다. 따라서, 웨트 티슈(10)를 꺼내는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실시형태 6과 달리, 슬릿(726a와 726b) 사이에 결여부가 없기 때문에, 요철이 없어져, 양호한 정밀도로 가공을 할 수 있다.
시트에, 열려 있는 커팅에 의해 덮개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덮개를 단부의 지점까지 박리한 후, 더욱 덮개를 잡아당기면, 커팅의 단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커팅의 단부에 박리 방지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팅의 단부에 박리 방지부를 설치한 변경예를 도 20에 나타낸다. 도 20에 나타내는 변경예에서는, 기재 시트(810)에, 열려 있는 커팅(8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팅(812)의 단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곡선 형상을 가지는 박리 방지부(813e, 813f)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팅(813)의 단부의 강도가 향상되어, 커팅의 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팅의 단부에 박리 방지부를 설치한 다른 변경예를 도 21에 나타낸다. 도 21에 나타내는 변경예에서는, 기재 시트(810)에, 열려 있는 커팅(8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팅(912)의 단부에, 서로 대향하는 측에 패어 있는 컷아웃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방지부(813g, 813h)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가 박리 방지부(컷아웃)의 지점까지 박리되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작용하는 반력이 감소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덮개가 박리 방지부(컷아웃)의 근방까지 박리된 것을 판별하여, 덮개를 잡아당기는 조작을 정지할 수 있다.
커팅의 단부에 박리 방지부를 설치한 다른 변경예를 도 22에 나타낸다. 도 22에 나타내는 변경예에서는, 기재 시트(810)에, 열려 있는 커팅(8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팅(812)의 단부에, 서로 대향하는 측에 경사져 있는 경사부(813j, 813m)와, 서로 대향하는 측에 패어 있는 컷아웃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방지부(813k, 813m)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가 경사부(813j, 813m)의 지점까지 박리되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작용하는 반력이 감소한다. 또한, 덮개가 컷아웃(813k, 813n)의 지점까지 박리되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작용하는 반력이 더욱 감소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덮개가 박리 방지부(컷아웃) 근방까지 벗겨진 것을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기재 시트의 일부를 덮개로서 사용하고,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 시트를 기재 시트의 이면측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포장체에 표시하는 장식 디자인을 기재 시트의 표면에만 표시하면 되므로, 포장체에 표시하는 장식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기재 시트의 표면의 요철이 적기 때문에, 포장체의 개관이 향상된다. 또한, 기재 시트와,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 시트 사이에, 덮개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 시트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 주위의 강도가 증대됨과 함께, 덮개의 강도도 증대된다.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하다.
기재 시트(제1 시트), 중간 시트(제2 시트), 내부 시트(제3 시트)의 재질이나 형상은, 다양하게 선택 가능하다.
기재 시트(제1 시트), 중간 시트(제2 시트), 내부 시트(제3 시트)를 접착하는 방법으로는, 적어도, 중간 시트(제2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가, 내부 시트(제3 시트)에 박리 가능한, 다양한 접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덮개의 형상이나 개구의 형상은, 다양하게 선택 가능하다.
덮개 부재나 개구를 형성하는 커팅으로는, 열려 있는 커팅 및 닫혀 있는 커팅을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적절히 선택한 복수를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포장체에 수용하는 시트 형상 물품은, 웨트 티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200 포장체
100a, 200a 웨트 시트 수용 공간(물품 수용 공간)
100b, 200b 상벽
100c, 200c 하벽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 기재 시트(제1 시트)
111a, 111b, 211, 211b 가로 시일부
112, 212, 312, 412, 512, 612, 712, 812 커팅(제1 커팅)
112a, 212a, 612a 개구
113, 213, 313, 413, 513, 613, 713, 813 제1 덮개 부재
113a, 213a, 313a, 413a, 513a, 613a, 713a 손잡이부(제1 손잡이부)
113b, 223b, 313b, 323b, 413b, 513b, 523b, 613b, 623b, 713b, 723b 단벽
120, 220, 320, 420, 520, 620, 720 중간 시트(제2 시트)
122, 222, 322, 422, 522, 622, 722 커팅(제2 커팅)
122a, 622a 개구
122b, 122c, 212c, 212d 단부
123, 323, 423, 523, 623, 723 제2 덮개 부재
123a, 223a, 323a, 423a, 523a, 623a, 723a 손잡이부(제2 손잡이부)
124, 224, 624 제1 접착제
125, 225, 625 제2 접착제
130, 230, 330, 430, 530, 630, 730 내부 시트(제3 시트)
132, 232, 332, 432, 532, 632, 732 커팅(제3 커팅)
132a, 232a, 632a 개구
133, 233, 333, 433, 533, 633, 733 개구 형성편
140, 240, 640 덮개
324, 414, 424, 515a, 515b, 524, 727a, 727b 슬릿
326, 416, 426, 526, 726a, 726b 슬릿(연속 슬릿)
517a, 517b 슬릿(분할 슬릿)
626 결여부
813a, 813f, 813g, 813h, 813k, 813n 컷아웃(박리 방지부)
813j, 813m 경사부

Claims (10)

  1. 제1 시트에 의해 형성된 물품 수용 공간과, 상기 물품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을 꺼내기 위한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는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를 박리하는 방향을 규정함과 함께 제1 덮개 부재와 제2 덮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제2 시트와, 제3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덮개 부재는, 상기 제1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덮개 부재는, 상기 제2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제3 시트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시트의 일방의 면은, 상기 제2 시트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가 상기 제1 시트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덮개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트의 상기 물품 수용 공간측의 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 시트의 타방의 면은, 상기 제3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가 상기 제2 시트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덮개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시트의 일방의 면에, 적어도 상기 제2 덮개 부재가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며,
    상기 제1 덮개 부재는 제1 손잡이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덮개 부재는 제2 손잡이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시트의 일방의 면은, 제2 덮개 부재의 제2 손잡이부가 상기 제1 덮개 부재의 제1 손잡이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트의 상기 물품 수용 공간측의 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1 덮개 부재는, 상기 덮개를 박리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로부터 이간된 지점에 단벽을 가지며,
    상기 제2 덮개 부재는, 상기 덮개를 박리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부로부터 이간된 지점에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덮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상기 단벽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2 덮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손잡이부와 상기 단부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에 형성된 제1 커팅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이 상기 제1 덮개 부재로서 사용되고, 상기 제2 시트에 형성된 제2 커팅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이 상기 제2 덮개 부재로서 사용되며, 상기 제1 커팅 및 상기 제2 커팅 중 적어도 일방은 닫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에 형성된 제1 커팅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이 상기 제1 덮개 부재로서 사용되고, 상기 제2 시트에 형성된 제2 커팅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이 상기 제2 덮개 부재로서 사용되며, 상기 제1 커팅 및 상기 제2 커팅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개구와 대향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손잡이부 중 적어도 일방과 반대측의 지점이 열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 부재는, 상기 제3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손잡이부와 반대측의 지점에 배치되어 있는 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시트의 타방의 면은, 상기 제2 손잡이부의 지점에서는 접착되지 않으며, 상기 개폐부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가 상기 기부의 지점에서의 접착 강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3 시트의 일방의 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팅 및 상기 제2 커팅 중 적어도 일방은, 단부가 박리 방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 부재 및 상기 제2 덮개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개구와 대향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손잡이부 중 적어도 일방과 반대측의 지점에, 상기 덮개를 박리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 부재 및 상기 제2 덮개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덮개를 박리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간하여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 부재는, 상기 개구와 대향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손잡이부와 반대측이며, 상기 덮개를 박리하는 방향을 따라 이간된 복수의 지점에, 상기 덮개를 박리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 부재는, 상기 개구와 대향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손잡이부와 반대측이며, 상기 덮개를 박리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결여되어 있는 결여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10. 삭제
KR1020117025039A 2009-03-27 2010-03-25 포장체 KR101495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0623 2009-03-27
JP2009080623A JP5427451B2 (ja) 2009-03-27 2009-03-27 包装体
PCT/JP2010/055254 WO2010110376A1 (ja) 2009-03-27 2010-03-25 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489A KR20110134489A (ko) 2011-12-14
KR101495252B1 true KR101495252B1 (ko) 2015-02-24

Family

ID=4278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039A KR101495252B1 (ko) 2009-03-27 2010-03-25 포장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20048857A1 (ko)
EP (1) EP2412644B1 (ko)
JP (1) JP5427451B2 (ko)
KR (1) KR101495252B1 (ko)
CN (1) CN102365212A (ko)
AU (1) AU2010228218A1 (ko)
BR (1) BRPI1006505A2 (ko)
TW (1) TWI522289B (ko)
WO (1) WO20101103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2846B2 (ja) * 2010-11-09 2015-04-01 株式会社富士印刷 蓋材および蓋材付き包装体
JP5667461B2 (ja) * 2011-01-31 2015-02-1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香水収納袋
EP2508445A1 (de) * 2011-04-08 2012-10-10 Elag Verpackungen AG Verpackungsbeutel mit Aufreissverschluss
US10081473B2 (en) 2011-04-08 2018-09-25 Ampac Holdings, Llc Packaging container with pull tab
JP5836795B2 (ja) * 2011-12-27 2015-12-24 凸版印刷株式会社 密閉ラベルおよび包装容器
GB2502325B (en) * 2012-05-21 2015-11-04 Kraft Foods R & D Inc Packa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ackage
JP5730819B2 (ja) 2012-06-04 2015-06-10 花王株式会社 包装体
GB2506200B (en) * 2012-09-25 2017-08-16 Kraft Foods R & D Inc Sealed Package
PL3057880T3 (pl) * 2013-10-15 2018-01-31 Relieves Egara Sl Urządzenie otwierające/zamykające do jednorazowego pojemnika elastycznego
JP6311975B2 (ja) * 2014-04-01 2018-04-18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包装体
AU2014392608B2 (en) * 2014-04-30 2020-01-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ealable label with hinge for use with dispenser package, and package having same
US9856064B2 (en) * 2014-09-29 2018-01-02 Bemis Company, Inc. Packaging container for liquids with frangible flap
US10843860B2 (en) * 2014-11-21 2020-11-24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Resealable package with improved contents accessibility
US10273068B2 (en) 2014-12-23 2019-04-30 Sonoco Development, Inc. Die cut opening for multi-layer flexible package
US10160582B2 (en) * 2015-02-13 2018-12-25 Sonoco Development, Inc. Package integrity feature for recloseable package
GR1008944B (el) * 2015-05-22 2017-02-13 Ιωαννης Γεωργιου Ντρενογιαννης Ακαμπτη αυτοκολλητη πολυεπιπεδη ετικετα καπακι με δυνατοτητα εκτυπωσης της οπισθιας οψης της
DE102018122209A1 (de) * 2018-09-12 2020-03-12 Bode Chemie Gmbh Spendersystem für Feuchttücher
JP7290525B2 (ja) * 2019-09-18 2023-06-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包装体及び容器
CN114126985B (zh) * 2019-09-18 2023-06-23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包装体及容器
US11912004B2 (en) * 2020-09-24 2024-02-27 Sonoco Development, Inc. Flexible packaging structure with integraltamper-evidence featur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681A (ja) 1998-12-10 2000-08-22 Kenji Nakamura シート状開閉蓋を有する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276525A1 (en) 2004-06-11 2005-12-15 Sonoco Development, Inc. Flexible packaging structure with a built-in opening and reclose fea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051877B2 (en) 2002-11-12 2006-05-30 Pai Yung Lin Napkin container having openable and sealable cover
US20080199109A1 (en) 2005-03-04 2008-08-21 Elke Rutzinger At Least Two-Layer Label for Opening and Closing Packages and the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0083U (ko) * 1980-12-25 1982-07-07
JPS591379A (ja) * 1983-05-26 1984-01-06 望月 峰子 密封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898057B2 (ja) * 1990-04-19 1999-05-31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マイクロ波プローブ
US5531325A (en) * 1992-03-13 1996-07-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oring and dispensing system for products packed in a sealed pouch
US5310262A (en) * 1992-06-02 1994-05-10 Bemis Company, Inc. Flexible package with an easy open arrangement
JP3512211B2 (ja) 1993-04-09 2004-03-29 大王製紙株式会社 湿潤紙状体の包装装置
JP3468587B2 (ja) * 1994-07-04 2003-11-17 株式会社クレシア ウェットティッシュペーパー包装袋
JPH09202369A (ja) * 1995-11-24 1997-08-05 Kenji Nakamura シート状開閉蓋を有する包装体
JP3659792B2 (ja) * 1998-03-24 2005-06-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包装体の開封構造
CN1108965C (zh) * 1998-12-09 2003-05-21 日清食品株式会社 经改良的食品容器用盖材
US6383592B1 (en) * 1998-12-14 2002-05-07 Sonoco Development, Inc. Bag laminate with a removable sticker portion
US6113271A (en) * 1999-03-11 2000-09-05 Prime Label & Screen, Inc. Resealable label flap including label stop
JP2001145582A (ja) * 1999-11-18 2001-05-29 Fukuyoo Kosan Kk 包装ウェットティッシュペーパー
JP2002249184A (ja) 2001-02-23 2002-09-03 Koji Nakamura シ−ト状蓋
JP4456943B2 (ja) * 2004-06-23 2010-04-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体
JP4808005B2 (ja) * 2005-10-31 2011-11-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二重包装体
US8308363B2 (en) * 2006-05-23 2012-11-13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ackage integrity indicator for container closure
US7963413B2 (en) * 2006-05-23 2011-06-21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Tamper evident resealable closure
US8114451B2 (en) * 2006-12-27 2012-02-14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Resealable closure with package integrity feature
US8408792B2 (en) * 2007-03-30 2013-04-02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ackage integrity indicating closure
DE102007035501A1 (de) * 2007-07-28 2008-08-28 Nordenia Technologies Gmbh Verschlusseinrichtung zur Verwendung an einem Verpackungsbehälter
US7681732B2 (en) * 2008-01-11 2010-03-23 Cryovac, Inc. Laminated lidsto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681A (ja) 1998-12-10 2000-08-22 Kenji Nakamura シート状開閉蓋を有する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51877B2 (en) 2002-11-12 2006-05-30 Pai Yung Lin Napkin container having openable and sealable cover
US20050276525A1 (en) 2004-06-11 2005-12-15 Sonoco Development, Inc. Flexible packaging structure with a built-in opening and reclose fea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80199109A1 (en) 2005-03-04 2008-08-21 Elke Rutzinger At Least Two-Layer Label for Opening and Closing Packages and the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006505A2 (pt) 2018-05-29
KR20110134489A (ko) 2011-12-14
JP2010228797A (ja) 2010-10-14
EP2412644A4 (en) 2012-12-26
TW201103835A (en) 2011-02-01
TWI522289B (zh) 2016-02-21
AU2010228218A1 (en) 2011-10-20
EP2412644B1 (en) 2014-03-05
WO2010110376A1 (ja) 2010-09-30
JP5427451B2 (ja) 2014-02-26
EP2412644A1 (en) 2012-02-01
US20120048857A1 (en) 2012-03-01
CN102365212A (zh)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252B1 (ko) 포장체
JP4243244B2 (ja) 改良された開放手段を有するタンポン包装体
WO2010001904A1 (ja) 包装体
EP2208691B1 (en) Flexible wet-sheet package and label for the flexible package
WO2011001580A1 (en) Package
KR20100101131A (ko) 위생 박엽지 수납상자
JP2008308214A (ja) 手提げ孔付き米袋
KR101157257B1 (ko) 개봉 용이성 포장체
EP2832659B1 (en) Container, container package
JPH11268783A (ja) 包装体の開封構造
JP3213993U (ja) 箱用シート
US20060240203A1 (en) Sterile bag
JP4292200B2 (ja) 貼付具として使用される一次包装
JP6212359B2 (ja) 包装体
JP6178061B2 (ja) 包装体
WO2012137966A1 (ja) 密閉ラベルおよび包装容器
JP4618514B2 (ja) 手提げ孔付米袋
JP6157826B2 (ja) 包装体
JP3652971B2 (ja) 紙製食品包装用容器
JP4220334B2 (ja) 湯切り孔付き蓋材
JP2014061948A (ja) 包装体
JP6212351B2 (ja) 包装体
JP6934333B2 (ja) 包装袋
JP5872232B2 (ja) 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
JP2627139B2 (ja) シート分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