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176B1 - 내연 기관의 재킷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의 재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176B1
KR101493176B1 KR1020137001338A KR20137001338A KR101493176B1 KR 101493176 B1 KR101493176 B1 KR 101493176B1 KR 1020137001338 A KR1020137001338 A KR 1020137001338A KR 20137001338 A KR20137001338 A KR 20137001338A KR 101493176 B1 KR101493176 B1 KR 101493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jacket
flange portion
tie bolt
airt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1907A (ko
Inventor
다케시 가도와키
노부유키 구니히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004Cylinder 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02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 F02F1/10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for liqui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18Other cylinders
    • F02F1/22Oth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having ports in cylinder wall for scavenging or 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1/00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내부에 소기가 도입되는 내연 기관의 재킷(1)에 있어서, 제1 관통 구멍(11a) 및 제2 관통 구멍(12a)에 삽입되어 타이 볼트(10)를 수용하는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14)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통 구멍(11a)의 기밀성이, 상기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14)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하면과, 상기 플랜지부를 수납하는 오목부의 저면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또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오목부와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고, 상기 제2 관통 구멍(12a)의 기밀성이, 상기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14)의 하단부와, 상기 제2 관통 구멍(12a)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내연 기관의 재킷{JACKE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선박용 등의 대형 디젤 엔진을 구성하는 재킷에 관한 것이다.
선박용 등의 대형 디젤 엔진을 구성하는 재킷은, 종래, 주물 구조로 설계·제조되어 왔지만, 최근, 엔진 전체의 대형화·경량화의 관점으로부터, 판금 구조(강판 용접 구조)에 의한 설계·제조가 시도되고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1 참조).
비특허 문헌 1 : 쿠와타 타카시 외 5명, 「미쯔이-MAN B&W 저속 디젤 기관의 최근의 기술 동향」, 미쯔이조선 기보, No.191(2007-6), p.3-9
그러나, 상기 기보에 개시된 구조에서는, 재킷 내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고, 이들 3매의 판금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서 볼 때 삼각 형상인 공간 내에 타이 볼트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용접 공정수가 증가하여,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이 장기화하여, 제조 비용이 앙등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타이 볼트를 수용하는 판금의 용접부에, 타이 볼트에 가해진 하중이 더해져서,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해 버릴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는 내연 기관의 재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의 재킷은,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 구멍을 구비한 천장판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 관통 구멍을 구비한 바닥판과, 이들 천장판과 바닥판을 연결하는 측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소기가 도입되는 내연 기관의 재킷이며, 상기 제1 관통 구멍 및 상기 제2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타이 볼트를 수용하는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상기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하면과, 상기 플랜지부를 수납하는 오목부의 저면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또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오목부와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고,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상기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의 하단부와, 상기 제2 관통 구멍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의 재킷에 따르면, 천장판에 형성된 제1 관통 구멍의 기밀성은,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하면과, 상기 플랜지부를 수납하는 오목부의 저면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또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오목부와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고, 제2 관통 구멍의 기밀성은, 상기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의 하단부와, 상기 제2 관통 구멍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내연 기관의 재킷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가, 볼트 또는 핀을 개재해서 상기 천장판에 고정되어 있으면 더욱 적합하다.
이러한 내연 기관의 재킷에 따르면, 조립 시에, 볼트 또는 핀을 개재해서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가 천장판에 고정되어, 천장판에 대한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의 덜걱거림이 제거된 후에, 타이 볼트가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 내에 삽입되게 되므로, 조립 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더욱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더욱 저락시킬 수 있다.
상기 내연 기관의 재킷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오목부가, 인롱 구조로 되어 있으면 더욱 적합하다.
이러한 내연 기관의 재킷에 따르면, 조립 시에, 인롱 구조로 된 플랜지가 오목부 내에 끼워 넣어져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가 천장판에 고정되어, 천장판에 대한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의 덜걱거림이 제거된 후에, 타이 볼트가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 내에 삽입되게 되므로, 조립 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더욱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더욱 저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의 재킷은,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 구멍을 구비한 천장판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 관통 구멍을 구비한 바닥판과, 이들 천장판과 바닥판을 연결하는 측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소기가 도입되는 내연 기관의 재킷이며, 상기 천장판의 하면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타이 볼트를 수용하는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상기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천장판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고,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상기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2 플랜지부의 하면과, 이 하면과 접하는 상기 바닥판의 상면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또는 상기 제2 플랜지부와, 상기 바닥판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의 재킷에 따르면, 천장판에 형성된 제1 관통 구멍의 기밀성은,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천장판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고, 제2 관통 구멍의 기밀성은, 상기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2 플랜지부의 하면과, 이 하면과 접하는 바닥판의 상면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또는 상기 제2 플랜지부와, 상기 바닥판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의 재킷은,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 구멍을 구비한 천장판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 관통 구멍을 구비한 바닥판과, 이들 천장판과 바닥판을 연결하는 측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소기가 도입되는 내연 기관의 재킷이며,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상기 타이 볼트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하면과, 이 하면과 접하는 상기 천장판의 상면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또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천장판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고,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상기 바닥판에 고정된 시일 부재와, 상기 타이 볼트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의 재킷에 따르면, 천장판에 형성된 제1 관통 구멍의 기밀성은, 타이 볼트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하면과, 이 하면과 접하는 상기 천장판의 상면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또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천장판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고, 제2 관통 구멍의 기밀성은, 상기 바닥판에 고정된 시일 부재와, 상기 타이 볼트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내연 기관의 재킷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와, 상기 타이 볼트 사이에 배치된 O-링이, 상기 시일 부재의 하면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을 걸치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으면 더욱 적합하다.
이러한 내연 기관의 재킷에 따르면, 만일, 시일 부재의 하면과, 바닥판의 상면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생기고, 이 약간의 간극을 통해서 재킷 내의 소기가 새어 나오려 한 경우라도, O-링에 의해 소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의 재킷은,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 구멍을 구비한 천장판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 관통 구멍을 구비한 바닥판과, 이들 천장판과 바닥판을 연결하는 측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소기가 도입되는 내연 기관의 재킷이며,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상기 타이 볼트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하면과, 이 하면과 접하는 상기 천장판의 상면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또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천장판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고,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상기 바닥판과, 상기 타이 볼트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의 재킷에 따르면, 천장판에 형성된 제1 관통 구멍의 기밀성은, 타이 볼트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하면과, 이 하면과 접하는 상기 천장판의 상면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또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천장판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고, 제2 관통 구멍의 기밀성은, 바닥판과, 상기 타이 볼트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내연 기관의 재킷에 있어서, 상기 O-링이, 상기 타이 볼트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된 둘레 홈 내에 수용되어 있으면 더욱 적합하다.
이러한 내연 기관의 재킷에 따르면, 조립 시에, O-링이 타이 볼트에 미리 부착된 상태에서, 타이 볼트와 함께 제2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가게 되므로, 타이 볼트의 하단부 외주면에 설치된 나사산(수나사부)에 의해 O-링이 손상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른 디젤 엔진은, 상기 어느 하나의 내연 기관의 재킷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른 디젤 엔진에 따르면,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는 내연 기관의 재킷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디젤 엔진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디젤 엔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젤 엔진에 따르면, 내연 기관의 재킷을 판금 구조(강판 용접 구조)로 할 수 있고, 엔진 전체의 대형화·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연 기관의 재킷에 따르면,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을 구비한 선박용 등의 대형 디젤 엔진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상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의 하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3과 마찬가지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3과 마찬가지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3과 마찬가지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3과 마찬가지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3과 마찬가지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상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0의 하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2와 마찬가지의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상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도 14의 하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6과 마찬가지의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7과 마찬가지의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7과 마찬가지의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9와 마찬가지의 도면.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을 구비한 선박용 등의 대형 디젤 엔진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상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의 하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형 디젤 엔진(크로스헤드형 디젤 엔진)(E)은 크게 나누어서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첫번째는 실린더(2)와 피스톤(3) 등을 수납하는 재킷(실린더 블럭: 실린더 프레임)(1), 두번째는 피스톤(3)의 폭발에 의한 힘을 크랭크축(8)으로 전도하는 연접봉(7) 등을 수납하는 가구(6), 세번째는 얻어진 동력을 프로펠러 등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축(8)을 수납하는 대판(9)이다. 이들 대판(9), 가구(6) 및 재킷(1)은, 차례로 적층되어, 재킷(1)의 상면으로부터 대판(9)의 저면까지 엔진 전체를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타이 볼트(10)에 의해 조여져서 조립된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5는 가이드 바(미끄럼 이동판)이며, 이를 따라 크로스헤드(4)가 오르내리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킷(1)은, 천장판(11)과, 바닥판(12)과, 측판(13)과, 보호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천장판(11)과 바닥판(12)은 측판(13) 및 보호판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고, 이들 천장판(11)과, 바닥판(12)과, 보호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 S 내에는, 소기가 들여보내져, 소기압(2 ~ 3바)이 가해지게 되어 있다.
천장판(11)의 양 측단부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관통 구멍(11a)이 각각 설치되고, 바닥판(12)의 양 측단부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 구멍(12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11a) 및 관통 구멍(12a)은, (거의)동일한 내경을 갖는 원구멍이며,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관통 구멍(11a) 및 관통 구멍(12a)은, 관통 구멍(11a)의 바로 아래에 관통 구멍(12a)이 위치하고, 관통 구멍(12a)의 바로 위에 관통 구멍(11a)이 위치하도록, 바꿔 말하면, 관통 구멍(11a)의 중심과, 관통 구멍(12a)의 중심이, 동일한 연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1조(한 쌍)의 관통 구멍(11a, 12a)에는, 대응하는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이하, 「파이프」라 함)(14)가 삽입(삽입 관통)되고, 파이프(14)에는, 대응하는 타이 볼트(10)가 삽입(삽입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14)는 관통 구멍(11a, 12a)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혹은 관통 구멍(11a, 12a)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짐과 함께, 타이 볼트(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혹은 타이 볼트(10)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갖는 통 형상(관상)의 부재이며, 그 상단부에는, 상면(15a) 및 하면(15b)을 갖는 플랜지부(직경 확장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천체(11)의 상면(11b)에는, 플랜지부(15)의 하단부(하반부; 하측 절반)를 수납(수용)함과 함께, 관통 구멍(11a)과 연통하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 형상인 오목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16)는 플랜지부(15)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혹은 플랜지부(15)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갖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 형상인 오목부이다.
그리고, 플랜지부(15)의 상면(15a) 및 타이 볼트(10)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직경 확장부)(17)의 하면(17a)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15)의 하면(15b) 및 오목부(16)의 저면(16a)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2a)에 수용되는 파이프(14)의 하단부 외주면(14a)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1개의 둘레 홈(18)이 설치되어 있고, 이 둘레 홈(18) 내에는, O-링(19)이 수용(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1)에 따르면, 천장판(11)에 형성된 관통 구멍(11a)의 기밀성은, 플랜지부(15)의 하면(15b)과, 오목부(16)의 저면(16a)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확보되고, 바닥판(12)에 형성된 관통 구멍(12a)의 기밀성은, 파이프(14)의 하단부와, 관통 구멍(12a)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19)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3과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21)은, 플랜지부(15) 대신에 플랜지부(22)를 구비한 파이프(14)와, 오목부(16) 대신에 오목부(23)를 구비한 천장판(11)을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다.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들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플랜지부(22)는 플랜지부(15)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고 있고, 플랜지부(22)의 외주부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해서(육각구멍을 가짐) 볼트(24)의 헤드부(24a)를 수납(수용)함과 함께, 볼트(24)의 축부(24b)를 수납(수용)하는 관통 구멍(22a)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22a)보다도 내주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22)의 상면(22b) 및 타이 볼트(10)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직경 확장부)(17)의 하면(17a)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접촉 면적은, 적어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오목부(23)는 오목부(16)의 내경보다도 큰 내경을 갖고 있고, 오목부(23)의 저면(23a)에는, 플랜지부(22)의 하면(22c)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볼트(24)의 축부(24b)를 수납(수용)하는 볼트 구멍(11c)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고, 볼트 구멍(11c)의 내주면에는, 축부(24b)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24c)과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2)의 하면(22c) 및 오목부(23)의 저면(23a)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2a)에 수용되는 파이프(14)의 하단부 외주면(14a)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1개의 둘레 홈(18)이 설치되어 있고, 이 둘레 홈(18) 내에는, O-링(19)이 수용(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21)에 따르면, 천장판(11)에 형성된 관통 구멍(11a)의 기밀성은, 플랜지부(22)의 하면(22c)과, 오목부(23)의 저면(23a)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확보되고, 바닥판(12)에 형성된 관통 구멍(12a)의 기밀성은, 파이프(14)의 하단부와, 관통 구멍(12a)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19)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21)에 따르면, 조립 시에, 볼트(24)를 개재해서 파이프(14)가 천장판(11)에 고정되고, 천장판(11)에 대한 파이프(14)의 덜걱거림이 제거된 후에, 타이 볼트(10)가 파이프(14) 내에 삽입되게 되므로, 조립 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더욱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더욱 저락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3과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31)은, 플랜지부(15) 대신에 플랜지부(32)를 구비한 파이프(14)와, 오목부(16) 대신에 오목부(33)를 구비한 천장판(11)을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다.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들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플랜지부(32)는, 플랜지부(15)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고 있고, 플랜지부(32)의 외주부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해서 핀(34)의 상단부(상반부; 상측 절반)를 수납(수용)하는 관통 구멍(32a)이 적어도 1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32a)보다도 내주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32)의 상면(32b) 및 타이 볼트(10)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직경 확장부)(17)의 하면(17a)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접촉 면적은, 적어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오목부(33)의 저면(33a)에는, 핀(34)의 하단부(하반부; 하측 절반)를 수납(수용)하는 핀 구멍(11d)이 적어도 1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32)의 하면(32c) 및 오목부(33)의 저면(33a)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2a)에 수용되는 파이프(14)의 하단부 외주면(14a)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1개의 둘레 홈(18)이 설치되어 있고, 이 둘레 홈(18) 내에는, O-링(19)이 수용(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31)에 따르면, 천장판(11)에 형성된 관통 구멍(11a)의 기밀성은, 플랜지부(32)의 하면(32c)과, 오목부(33)의 저면(33a)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확보되고, 바닥판(12)에 형성된 관통 구멍(12a)의 기밀성은, 파이프(14)의 하단부와, 관통 구멍(12a)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19)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31)에 따르면, 조립 시에, 핀(34)을 개재해서 파이프(14)가 천장판(11)에 고정되어, 천장판(11)에 대한 파이프(14)의 덜걱거림이 제거된 후에, 타이 볼트(10)가 파이프(14) 내에 삽입되게 되므로, 조립 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더욱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더욱 저락시킬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3과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41)은, 플랜지부(15) 대신에 플랜지부(42)를 구비한 파이프(14)와, 오목부(16) 대신에 오목부(43)를 구비한 천장판(11)을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다.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들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플랜지부(42)는, 플랜지부(15)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가짐과 함께, 플랜지부(15)의 판 두께보다도 얇은 판 두께를 갖고 있고, 플랜지부(42)의 외주부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해서(육각) 볼트(44)의 축부(44a)를 수납(수용)하는 관통 구멍(42a)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43)는, 오목부(16)의 내경보다도 큰 내경을 갖고 있고, 오목부(43)의 저면(43a)에는, 플랜지부(42)의 하면(42b)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볼트(44)의 축부(44a)를 수납(수용)하는 볼트 구멍(11e)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고, 볼트 구멍(11e)의 내주면에는, 축부(44a)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44b)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42)의 하면(42b) 및 오목부(43)의 저면(43a)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이 볼트(10)의 플랜지부(17)와, 천장판(11)의 상면(11b)과의 사이에는, 와셔(45)가 배치되어 있고, 플랜지부(17)의 하면(17a) 및 와셔(45)의 상면(45a)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와셔(45)의 하면(45b) 및 천장판(11)의 상면(11b)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와셔(45)의 하면(45b)에 의해 막혀진 오목부(43) 내에는, 볼트(44)의 헤드부(44c)의 정상면(44d)이 와셔(45)의 하면(45b)에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볼트(44)의 헤드부(44c) 및 플랜지부(42)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2a)에 수용되는 파이프(14)의 하단부 외주면(14a)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1개의 둘레 홈(18)이 설치되어 있고, 이 둘레 홈(18) 내에는, O-링(19)이 수용(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41)에 따르면, 천장판(11)에 형성된 관통 구멍(11a)의 기밀성은, 플랜지부(42)의 하면(42b)과, 오목부(43)의 저면(43a)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확보되고, 바닥판(12)에 형성된 관통 구멍(12a)의 기밀성은, 파이프(14)의 하단부와, 관통 구멍(12a)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19)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41)에 따르면, 조립 시에, 볼트(44)를 개재해서 파이프(14)가 천장판(11)에 고정되어, 천장판(11)에 대한 파이프(14)의 덜걱거림이 제거된 후에, 타이 볼트(10)가 파이프(14) 내에 삽입되게 되므로, 조립 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더욱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더욱 저락시킬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3과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51)은, 플랜지부(15) 대신에 플랜지부(52)를 구비한 파이프(14)와, 오목부(16) 대신에 오목부(53)를 구비한 천장판(11)을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다.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들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플랜지부(52)는, 플랜지부(15)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가짐과 함께, 플랜지부(15)의 판 두께보다도 얇은 판 두께를 갖고 있고, 플랜지부(52)의 외주부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해서 핀(54)의 상단부(상반부; 상측 절반)를 수납(수용)하는 관통 구멍(52a)이 적어도 1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53)는, 오목부(16)의 내경보다도 큰 내경을 갖고 있고, 오목부(53)의 저면(53a)에는, 핀(54)의 하단부(하반부; 하측 절반)를 수납(수용)하는 핀 구멍(11f)이 적어도 1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52)의 하면(52b) 및 오목부(53)의 저면(53a)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이 볼트(10)의 플랜지부(17)와, 천장판(11)의 상면(11b)과의 사이에는, 와셔(45)가 배치되어 있고, 플랜지부(17)의 하면(17a) 및 와셔(45)의 상면(45a)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와셔(45)의 하면(45b) 및 천장판(11)의 상면(11b)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와셔(45)의 하면(45b)에 의해 막혀진 오목부(53) 내에는, 플랜지부(52)의 상면(52c) 및 핀(54)의 정상면(54a)이 와셔(45)의 하면(45b)에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플랜지부(52) 및 핀(54)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2a)에 수용되는 파이프(14)의 하단부 외주면(14a)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1개의 둘레 홈(18)이 설치되어 있고, 이 둘레 홈(18) 내에는, O-링(19)이 수용(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51)에 따르면, 천장판(11)에 형성된 관통 구멍(11a)의 기밀성은, 플랜지부(52)의 하면(52b)과, 오목부(53)의 저면(53a)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확보되고, 바닥판(12)에 형성된 관통 구멍(12a)의 기밀성은, 파이프(14)의 하단부와, 관통 구멍(12a)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19)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51)에 따르면, 조립 시에, 핀(54)을 개재해서 파이프(14)가 천장판(11)에 고정되어, 천장판(11)에 대한 파이프(14)의 덜걱거림이 제거된 후에, 타이 볼트(10)가 파이프(14) 내에 삽입되게 되므로, 조립 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더욱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더욱 저락시킬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3과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61)은, 플랜지부(15) 대신에 플랜지부(62)를 구비한 파이프(14)와, 오목부(16) 대신에 오목부(63)를 구비한 천장판(11)을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다.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들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플랜지부(62)는, 플랜지부(15)의 외경과 (거의)동일한 외경을 갖는 직경 축소부(64)와, 플랜지부(15)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직경 확장부(65)를 갖고 있고, 직경 축소부(64)의 하면(64a)과, 직경 확장부(65)의 하면(65a)은, 연직면(66)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오목부(63)는, 오목부(16)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내경을 갖고, 직경 축소부(64)와 합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직경 축소부(64)의 하면(64a) 및 오목부(63)의 저면(63a)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연직면(66) 및 오목부(63)의 측면(63b)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경 확장부(65)의 하면(65a) 및 천장판(11)의 상면(11b)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2a)에 수용되는 파이프(14)의 하단부 외주면(14a)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1개의 둘레 홈(18)이 설치되어 있고, 이 둘레 홈(18) 내에는, O-링(19)이 수용(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61)에 따르면, 천장판(11)에 형성된 관통 구멍(11a)의 기밀성은, 직경 축소부(64)의 하면(64a)과, 오목부(63)의 저면(63a)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확보되고, 바닥판(12)에 형성된 관통 구멍(12a)의 기밀성은, 파이프(14)의 하단부와, 관통 구멍(12a)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19)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61)에 따르면, 조립 시에, 인롱 구조로 된 직경 축소부(64)이 오목부(63) 내에 끼워 넣어져 파이프(14)가 천장판(11)에 고정되어, 천장판(11)에 대한 파이프(14)의 덜걱거림이 제거된 후에, 타이 볼트(10)가 파이프(14) 내에 삽입되게 되므로, 조립 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더욱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더욱 저락시킬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상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0의 하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71)은 천장판(72)과, 바닥판(73)과, 측판(74)과, 보호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천장판(72)과 바닥판(73)은, 측판(74) 및 보호판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고, 이들 천장판(72)과, 바닥판(73)과, 보호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 S 내에는, 소기가 들여보내져, 소기압(2 ~ 3바)이 가해지게 되어 있다.
천장판(72)의 양 측단부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관통 구멍(72a)이 각각 설치되고, 바닥판(73)의 양 측단부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 구멍(73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72a) 및 관통 구멍(73a)은, (거의)동일한 내경을 갖는 원구멍이며,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관통 구멍(72a) 및 관통 구멍(73a)은, 관통 구멍(72a)의 바로 아래에 관통 구멍(73a)이 위치하고, 관통 구멍(73a)의 바로 위에 관통 구멍(72a)이 위치하도록, 바꿔 말하면, 관통 구멍(72a)의 중심과, 관통 구멍(73a)의 중심이, 동일한 연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1조(한 쌍)의 관통 구멍(72a, 73a)에는, 대응하는 타이 볼트(10)(만)가 삽입(삽입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천장판(72)의 하면(72b)과, 바닥판(73)의 상면(73b)과의 사이에는,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이하, 「파이프」라 함)(75)가 배치되고, 파이프(75)에는, 대응하는 타이 볼트(10)가 삽입(삽입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75)는 관통 구멍(72a, 73a)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혹은 관통 구멍(72a, 73a)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내경을 가짐과 함께, 타이 볼트(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혹은 타이 볼트(10)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갖는 통 형상(관상)의 부재이며, 그 상단부에는, 상면(76a)을 갖는 (제1)플랜지부(직경 확장부)(76)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하면(77a)을 갖는 (제2)플랜지부(직경 확장부)(77)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76)의 상면(76a)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1개의 둘레 홈(78)이 설치되어 있고, 이 둘레 홈(78) 내에는, O-링(79)이 수용(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77)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해서(육각) 볼트(80)의 축부(80a)를 수납(수용)하는 관통 구멍(77b)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73)에는, 플랜지부(77)의 하면(77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볼트(80)의 축부(80a)를 수납(수용)하는 볼트 구멍(73c)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고, 볼트 구멍(73c)의 내주면에는, 축부(80a)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80b)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장판(72)의 상면(72c) 및 타이 볼트(10)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직경 확장부)(17)의 하면(17a)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77)의 하면(77a) 및 바닥판(73)의 상면(73b)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71)에 따르면, 천장판(72)에 형성된 관통 구멍(72a)의 기밀성은, 파이프(75)의 플랜지부(76)와, 천장판(72)의 하면(72b)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79)에 의해 확보되고, 바닥판(73)에 형성된 관통 구멍(73a)의 기밀성은, 파이프(75)의 플랜지부(77)의 하면(77a)과, 바닥판(73)의 상면(73b)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판(73)에 형성된 관통 구멍(73a)의 기밀성이, 파이프(75)의 플랜지부(77)의 하면(77a)과, 바닥판(73)의 상면(73b)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확보됨으로써, 제1 실시 형태부터 제6 실시 형태 부분에서 설명한 둘레 홈(18) 및 O-링(19)을 생략(배제)할 수 있으므로, O-링(19)의 비틀림이나 열화에 의한 기밀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의 제8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2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81)은, 플랜지부(77) 대신에 플랜지부(82)를 구비한 파이프(75)와, 관통 구멍(73a)만을 구비한 바닥판(73)을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전술한 제7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다.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7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들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제7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직경 확장부)(82)의 하면(82a)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1개의 둘레 홈(83)이 설치되어 있고, 이 둘레 홈(83) 내에는, O-링(84)이 수용(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판(72)의 하면(72b)과 접하는 플랜지부(76)의 상면(76a)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1개의 둘레 홈(78)이 설치되어 있고, 이 둘레 홈(78) 내에는, O-링(79)이 수용(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81)에 따르면, 천장판(72)에 형성된 관통 구멍(72a)의 기밀성은, 파이프(75)의 플랜지부(76)와, 천장판(72)의 하면(72b)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79)에 의해 확보되고, 바닥판(73)에 형성된 관통 구멍(73a)의 기밀성은, 파이프(75)의 플랜지부(82)와, 바닥판(73)의 상면(73b)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84)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판(73)에 형성된 관통 구멍(73a)의 기밀성이, 파이프(75)의 플랜지부(76)와, 천장판(72)의 하면(72b)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79)에 의해 확보됨으로써, 제1 실시 형태부터 제6 실시 형태 부분에서 설명한 둘레 홈(18) 및 O-링(19)을 생략(배제)할 수 있으므로, O-링(19)의 비틀림에 의한 기밀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9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의 제9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상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도 14의 하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91)은, 천장판(92)과, 바닥판(93)과, 측판(94)과, 보호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천장판(92)과 바닥판(93)은, 측판(94) 및 보호판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고, 이들 천장판(92)과, 바닥판(93)과, 보호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 S 내에는, 소기가 들여보내져, 소기압(2 ~ 3바)이 가해지게 되어 있다.
천장판(92)의 양 측단부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관통 구멍(92a)이 각각 설치되고, 바닥판(93)의 양 측단부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 구멍(93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92a) 및 관통 구멍(93a)은 (거의)동일한 내경을 갖는 원구멍이며,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관통 구멍(92a) 및 관통 구멍(93a)은, 관통 구멍(92a)의 바로 아래에 관통 구멍(93a)이 위치하고, 관통 구멍(93a)의 바로 위에 관통 구멍(92a)이 위치하도록, 바꿔 말하면, 관통 구멍(92a)의 중심과, 관통 구멍(93a)의 중심이, 동일한 연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1조(한 쌍)의 관통 구멍(92a, 93a)에는, 대응하는 타이 볼트(10)(만)이 삽입(삽입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93)의 상면(93b)에는, 시일 부재(밀봉 부재)(95)가 배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95)는, 평면에서 볼 때 반원 형상을 갖는 부재 2개 1조로 통 형상(관상)을 이루는 부재이며, 그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93a)의 내경과 (거의)동일한 내경을 가짐과 함께, 타이 볼트(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혹은 타이 볼트(10)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갖는 관통 구멍(95a)이 설치되어 있고, 관통 구멍(95a)에는, 대응하는 타이 볼트(10)가 삽입(삽입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일 부재(95)의 하단부에는, 하면(96a)을 갖는 플랜지부(직경 확장부)(96)가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95a)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1개의 둘레 홈(97)이 설치되어 있고, 이 둘레 홈(97) 내에는, O-링(98)이 수용(배치)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부(96)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해서(육각) 볼트(99)의 축부(99a)를 수납(수용)하는 관통 구멍(96b)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93)에는, 플랜지부(96)의 하면(96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볼트(99)의 축부(99a)를 수납(수용)하는 볼트 구멍(93c)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고, 볼트 구멍(93c)의 내주면에는, 축부(99a)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99b)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장판(92)의 상면(92b) 및 타이 볼트(10)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직경 확장부)(17)의 하면(17a)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96)의 하면(96a) 및 바닥판(93)의 상면(93b)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91)에 따르면, 천장판(92)에 형성된 관통 구멍(92a)의 기밀성은, 타이 볼트(17)의 플랜지부(17)의 하면(17a)과, 천장판(92)의 상면(92b)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확보되고, 바닥판(93)에 형성된 관통 구멍(93a)의 기밀성은, 시일 부재(95)와 타이 볼트(10)와의 사이에 배치된 O-링(98)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91)에 따르면, 메인터넌스 시에, 타이 볼트(10)를 빼내지 않고, O-링(98)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메인터넌스 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0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의 제10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6과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101)은, 시일 부재(95) 대신에 시일 부재(102)를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전술한 제9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다.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9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들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제9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93)의 상면(93b)에는, 시일 부재(밀봉 부재)(102)가 배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102)는 평면에서 볼 때 반원 형상을 갖는 부재 2개 1조로 원판 형상을 이루는 부재이며, 그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93a)의 내경과 (거의)동일한 내경을 가짐과 함께, 타이 볼트(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혹은 타이 볼트(10)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갖는 관통 구멍(102a)이 설치되어 있고, 관통 구멍(102a)에는, 대응하는 타이 볼트(10)가 삽입(삽입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102a)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해서 (육각)볼트(99)의 축부(99a)를 수납(수용)하는 관통 구멍(102b)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102a)과 대향하는 타이 볼트(10)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1개의 둘레 홈(103)이 설치되어 있고, 이 둘레 홈(103) 내에는, O-링(104)이 수용(배치)되어 있다.
한편, 바닥판(93)에는, 시일 부재(102)의 하면(102c)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볼트(99)의 축부(99a)를 수납(수용)하는 볼트 구멍(93c)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고, 볼트 구멍(93c)의 내주면에는, 축부(99a)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99b)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 부재(102)의 하면(102c) 및 바닥판(93)의 상면(93b)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판(92)의 상면(92b) 및 타이 볼트(10)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직경 확장부)(17)의 하면(17a)은 각각, 서로 접하도록(메탈 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101)에 따르면, 천장판(92)에 형성된 관통 구멍(92a)의 기밀성은, 타이 볼트(17)의 플랜지부(17)의 하면(17a)과, 천장판(92)의 상면(92b)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확보되고, 바닥판(93)에 형성된 관통 구멍(93a)의 기밀성은, 시일 부재(102)와 타이 볼트(10)와의 사이에 배치된 O-링(104)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101)에 따르면, 메인터넌스 시에, 타이 볼트(10)를 빼내지 않고, O-링(104)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메인터넌스 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1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의 제1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7과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111)은, 둘레 홈(103) 및 O-링(104)이, 시일 부재(102)와 바닥판(93)의 경계부(경계선)와 대향하는 타이 볼트(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즉 시일 부재(102)의 하면(102c)과, 바닥판(93)의 상면(93b)을 걸치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전술한 제10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다.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0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들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제10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111)에 따르면, 천장판(92)에 형성된 관통 구멍(92a)의 기밀성은, 타이 볼트(17)의 플랜지부(17)의 하면(17a)과, 천장판(92)의 상면(92b)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확보되고, 바닥판(93)에 형성된 관통 구멍(93a)의 기밀성은, 시일 부재(102)와 바닥판(93)과 타이 볼트(10)와의 사이에 배치된 O-링(104)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111)에 따르면, 만일, 시일 부재(102)의 하면(102c)과, 바닥판(93)의 상면(93b)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생기고, 이 약간의 간극을 통해서 재킷(111) 내의 소기가 새어 나오려 한 경우라도, O-링(104)에 의해 소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제12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의 제1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7과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121)은, 시일 부재(102)가 생략(배제)되고, 둘레 홈(103) 및 O-링(104)이, 바닥판(93)의 관통 구멍(93a)과 대향하는 타이 볼트(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전술한 제10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다.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0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들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제10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121)에 따르면, 천장판(92)에 형성된 관통 구멍(92a)의 기밀성은, 타이 볼트(17)의 플랜지부(17)의 하면(17a)과, 천장판(92)의 상면(92b)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확보되고, 바닥판(93)에 형성된 관통 구멍(93a)의 기밀성은, 바닥판(93)과 타이 볼트(10)와의 사이에 배치된 O-링(133)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121)에 따르면, 바닥판(93)에 형성된 관통 구멍(93a)의 기밀성이, 바닥판(93)과 타이 볼트(10)와의 사이에 배치된 O-링(133)에 의해 확보됨으로써, 제9 실시 형태부터 제11 실시 형태 부분에서 설명한 시일 부재(95, 102) 및 볼트(99)를 생략(배제)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더욱 저락시킬 수 있다.
〔제13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의 제13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9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131)은, 둘레 홈(103) 및 O-링(104)이 생략(배제)되고, 그 대신에 바닥판(93)의 관통 구멍(93a)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1개의 둘레 홈(132)이 설치되어 있고, 이 둘레 홈(132) 내에, O-링(133)이 수용(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전술한 제12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다.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2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들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제1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131)에 따르면, 천장판(92)에 형성된 관통 구멍(92a)의 기밀성은, 타이 볼트(17)의 플랜지부(17)의 하면(17a)과, 천장판(92)의 상면(92b)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확보되고, 바닥판(93)에 형성된 관통 구멍(93a)의 기밀성은, 바닥판(93)과 타이 볼트(10)와의 사이에 배치된 O-링(133)에 의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필요로 된 용접 공정, 즉 3매의 판금(강판)의 단부끼리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타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작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용접 공정수를 저감시켜서,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시켜서, 제조 비용을 저락시킬 수 있고,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킷(131)에 따르면, 바닥판(93)에 형성된 관통 구멍(93a)의 기밀성이, 바닥판(93)과 타이 볼트(10)와의 사이에 배치된 O-링(133)에 의해 확보됨으로써, 제9 실시 형태부터 제11 실시 형태 부분에서 설명한 시일 부재(95, 102) 및 볼트(99)를 생략(배제)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더욱 저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메탈 터치에 의해 기밀성을 확보하고 있는 개소에 O-링 및 O-링을 수용하는 둘레 홈을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재킷이 판금 구조(강판 용접 구조)로 한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재킷이 주물 구조로 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재킷
10 : 타이 볼트
11 : 천장판
11a : (제1)관통 구멍
12 : 바닥판
12a : (제2)관통 구멍
13 : 측판
14 : 파이프(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
15 : 플랜지부
15b : 하면
16 : 오목부
16a : 저면
17 : 플랜지부
17a : 하면
19 : O-링
21 : 재킷
22 : 플랜지부
22c : 하면
23 : 오목부
23a : 저면
24 : 볼트
31 : 재킷
32 : 플랜지부
32c : 하면
33 : 오목부
33a : 저면
34 : 핀
41 : 재킷
42 : 플랜지부
42b : 하면
43 : 오목부
43a : 저면
44 : 볼트
51 : 재킷
52 : 플랜지부
52b : 하면
53 : 오목부
53a : 저면
54 : 핀
61 : 재킷
62 : 플랜지부
63 : 오목부
71 : 재킷
72 : 천장판
72a : (제1)관통 구멍
72b : 하면
73 : 바닥판
73a : (제2)관통 구멍
73b : 상면
74 : 측판
75 : (타이 볼트 수용)파이프
76 : (제1)플랜지부
77 : (제2)플랜지부
77a : 하면
79 : O-링
81 : 재킷
82 : (제2)플랜지부
82a : 하면
84 : O-링
91 : 재킷
92 : 천장판
92a : (제1)관통 구멍
92b : 상면
93 : 바닥판
93a : (제2)관통 구멍
95 : 시일 부재
98 : O-링
101 : 재킷
102 : 시일 부재
104 : O-링
111 : 재킷
121 : 재킷
131 : 재킷
133 : O-링
E : 디젤 엔진

Claims (9)

  1.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 구멍을 구비한 천장판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 관통 구멍을 구비한 바닥판과, 이들 천장판과 바닥판을 연결하는 측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소기가 도입되는 내연 기관의 재킷이며,
    상기 제1 관통 구멍 및 상기 제2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타이 볼트를 수용하는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상기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하면과, 상기 플랜지부를 수납하는 오목부의 저면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또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오목부와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고,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상기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의 하단부와, 상기 제2 관통 구멍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어 있는, 내연 기관의 재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가, 볼트 또는 핀을 개재해서 상기 천장판에 고정되어 있는, 내연 기관의 재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오목부가 인롱 구조로 되어 있는, 내연 기관의 재킷.
  4.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 구멍을 구비한 천장판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 관통 구멍을 구비한 바닥판과, 이들 천장판과 바닥판을 연결하는 측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소기가 도입되는 내연 기관의 재킷이며,
    상기 천장판의 하면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타이 볼트를 수용하는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상기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천장판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고,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상기 타이 볼트 수용 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2 플랜지부의 하면과, 이 하면과 접하는 상기 바닥판의 상면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또는 상기 제2 플랜지부와, 상기 바닥판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어 있는, 내연 기관의 재킷.
  5.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 구멍을 구비한 천장판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 관통 구멍을 구비한 바닥판과, 이들 천장판과 바닥판을 연결하는 측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소기가 도입되는 내연 기관의 재킷이며,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타이 볼트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하면과, 이 하면과 접하는 상기 천장판의 상면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또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천장판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고,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상기 바닥판에 고정된 시일 부재와, 상기 타이 볼트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어 있는, 내연 기관의 재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와, 상기 타이 볼트 사이에 배치된 O-링이, 상기 시일 부재의 하면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을 걸치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는, 내연 기관의 재킷.
  7.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 구멍을 구비한 천장판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 관통 구멍을 구비한 바닥판과, 이들 천장판과 바닥판을 연결하는 측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소기가 도입되는 내연 기관의 재킷이며,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타이 볼트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하면과, 이 하면과 접하는 상기 천장판의 상면과의 메탈 터치에 의해, 또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천장판과의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고,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기밀성이, 상기 바닥판과, 상기 타이 볼트 사이에 배치된 O-링에 의해 확보되어 있는, 내연 기관의 재킷.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O-링이, 상기 타이 볼트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된 둘레 홈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연 기관의 재킷.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내연 기관의 재킷을 구비하고 있는, 디젤 엔진.
KR1020137001338A 2010-11-05 2011-08-17 내연 기관의 재킷 KR101493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48522A JP5818420B2 (ja) 2010-11-05 2010-11-05 内燃機関のジャケット
JPJP-P-2010-248522 2010-11-05
PCT/JP2011/068609 WO2012060141A1 (ja) 2010-11-05 2011-08-17 内燃機関のジャ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907A KR20130041907A (ko) 2013-04-25
KR101493176B1 true KR101493176B1 (ko) 2015-02-12

Family

ID=4602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338A KR101493176B1 (ko) 2010-11-05 2011-08-17 내연 기관의 재킷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18420B2 (ko)
KR (1) KR101493176B1 (ko)
CN (2) CN104863741B (ko)
WO (1) WO20120601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1513B2 (ja) * 2013-08-19 2017-09-27 東洋紡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デバイス構造体の製造方法
JP6813989B2 (ja) * 2016-08-23 2021-01-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672Y1 (en) * 1996-02-28 1999-06-15 Kayaba Industry Co Ltd Section connector using pump
KR20000042271A (ko) * 1998-12-24 2000-07-15 정주호 자동차의 캠샤프트 커버 체결구조
JP2001289114A (ja) * 2000-04-07 2001-10-19 Mitsubishi Heavy Ind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06116581A (ru) * 2003-10-16 2007-11-27 Кабусики Кайса Рикен (Jp)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и установочное кольцо гильзы
US7316215B1 (en) * 2005-11-21 2008-01-08 Hayes Lemmerz International, Inc. Valve cover assembly for a vehicle engin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944244B1 (ko) * 2006-04-28 2010-02-24 맨 디젤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에스이, 티스크랜드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메인 베어링 지지체
CN2937510Y (zh) * 2006-08-10 2007-08-22 重庆镁业科技股份有限公司 热态镁合金部件的螺纹固定结构
EP2199583A2 (de) * 2008-12-18 2010-06-23 Wärtsilä Schweiz AG Kreuzkopf-Grossdieselmotor
KR101646631B1 (ko) * 2009-03-20 2016-08-08 빈터투르 가스 앤 디젤 아게 대형 크로스헤드 디젤 엔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672Y1 (en) * 1996-02-28 1999-06-15 Kayaba Industry Co Ltd Section connector using pump
KR20000042271A (ko) * 1998-12-24 2000-07-15 정주호 자동차의 캠샤프트 커버 체결구조
JP2001289114A (ja) * 2000-04-07 2001-10-19 Mitsubishi Heavy Ind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97717A (ja) 2012-05-24
CN104863741A (zh) 2015-08-26
KR20130041907A (ko) 2013-04-25
WO2012060141A1 (ja) 2012-05-10
CN103221671A (zh) 2013-07-24
CN103221671B (zh) 2015-07-15
CN104863741B (zh) 2017-12-15
JP5818420B2 (ja)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4913B2 (en) Metal gasket
KR101463800B1 (ko) 개스킷
KR101493176B1 (ko) 내연 기관의 재킷
US10113505B2 (en) Gasket and engine with the gasket
KR100946356B1 (ko) 실린더 헤드 개스킷
EP1528246A2 (en) Cylinder head gasket
KR20080009010A (ko) 가스켓
JP2007187105A (ja) 直噴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シリンダヘッド構造
JP2010151063A (ja) シリンダブロック
CN211474281U (zh) 一种防渗漏缸盖
US110670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a cylinder head to a cylinder block
JP5488745B2 (ja) シリンダブロック
WO2019123991A1 (ja) エンジン
US20160265475A1 (en) Cylinder Head/Cylinder Block Joint
JP2016223402A (ja)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ブロック
CN215057791U (zh) 发动机结构物
US9261192B2 (en) Cylinder head gasket
CN218347459U (zh) 一种发动机用连杆
US11118534B2 (en) Multi-cylinder engine
WO2021060260A1 (ja) 締結構造
JP2010230103A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WO2023027878A1 (en) Rib structure on cylinder block
JP2017194112A (ja) 主軸受キャップおよびそのユニットならびにクランク軸支持構造
KR20100050740A (ko) 실린더 헤드 구조
JP2005106037A (ja)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