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356B1 - 실린더 헤드 개스킷 - Google Patents

실린더 헤드 개스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356B1
KR100946356B1 KR1020080012488A KR20080012488A KR100946356B1 KR 100946356 B1 KR100946356 B1 KR 100946356B1 KR 1020080012488 A KR1020080012488 A KR 1020080012488A KR 20080012488 A KR20080012488 A KR 20080012488A KR 100946356 B1 KR100946356 B1 KR 100946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metal substrate
circumferential side
cylinder hea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549A (ko
Inventor
기쇼 야스다
Original Assignee
이시카와 가스킷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카와 가스킷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카와 가스킷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8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1/00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15/0825Flat gaskets la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실린더 보어를 형성하는 원통부의 상면에서 부동액을 넣은 냉각수의 침입에 의한 전계(電界)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실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오픈 데크(open deck)형의 엔진에 사용하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제 1 금속기판(10)의 실린더 보어용 구멍(2)의 주연부에 형성한 되접어 꺾음부(12) 내에, 내주측 평단부(21)를 삽입하여 제 2 금속기판(20)을 배치하고, 이 내주측 평단부(21)의 외주측에 제 1 하프비드(22)를 설치하며, 또한 되접어 꺾음부(12) 내에서, 상기 내주측 평단부(21)와 제 1 금속기판(10)과의 사이에 제 1 풀비드(31)를 갖는 둥근 환상의 비드판(30)과 그 외주측에 제 2 하프비드(42)를 설치한 중간판(40)을 배치하고, 제 2 하프비드(42)의 경사부의 내주측 위치(42a)를 실린더 블록(50)의 실린더 보어(51)를 형성하는 내통부(52)의 외주측 위치(52b)에, 일치 또는 그 내주측을 따라 배치한다.
실린더 헤드 개스킷

Description

실린더 헤드 개스킷{CYLINDER HEAD GASKET}
본 발명은 오픈 데크형 엔진의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록 사이에 삽입해서 실(seal)을 행하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실린더 헤드 개스킷은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록(실린더 보디) 등의 엔진부재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헤드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연소가스, 오일, 냉각수 등의 유체를 실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한편, 엔진을 실린더 블록의 형태로 나누면, 실린더 블록에서의 실린더 헤드와의 접합면에 냉각수 통로가 없는 클로즈드형(closed type) 엔진과 실린더 블록에서의 실린더 헤드와의 접합면이 냉각액 통로로서 열려 있는 오픈 데크형 엔진이 있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오픈 데크형 엔진의 경우에는 엔진블록(50)의 실린더 헤드에 가까운 부분에 냉각수 통로(워터쟈켓)(54)가 있고, 냉각성능면과 경량화의 면에서 유리한 동시에 개구부가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이 오픈 데크형 엔진용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에 있어서, 실린더 블록의 원통부와 냉각수 통로의 외측을 형성하는 외벽부의 양방에 걸쳐 사이에 삽입되는 기판의 실린더 구멍의 내주를 따라 되접어 꺾음부(gromet)를 설치하여, 실린더 슬리브 보다 내측에 형성되는 되접어 꺾음부의 최대 두께부에 의해 실린더 보어의 연소가스의 실을 행하는 것과 동시에, 냉각수 통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한 단차 비드에 의해 냉각수를 실하는 금속 개스킷이 제안되고 있다(예를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실린더 헤드에 있어서는 냉각수 통로와 실린더 보어 사이에서의 냉각수의 실 대책으로서 단차 비드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단차 비드의 모서리부 위치가 냉각수 통로의 벽면(원통부의 외벽면)보다도 내주측에 있고, 냉각수가 실린더라이너(원통부)의 상면에 침입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실린더 블록의 접합면에서,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부동액을 넣은 냉각수(LLC)의 침입에 의한 전계부식이 발생해서 이 부분의 실 성능이 저하할 가능성이 발생한다라는 문제가 있다.
실린더 보어와 냉각수 통로 사이의 실 성능이 저하하면, 연소가스가 냉각수 통로에 깊숙히 들어가서 냉각수의 순환을 방해하기 때문에 엔진 트러블의 커다란 원인이 된다. 그 때문에 실린더 보어측의 실이 볼트구멍측과 외주측의 실에 비해 중요하게 된다. 그래서 이 전계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린더 라이너의 상면에 냉각액 통로의 냉각액이 직접접촉하는 부분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이 부동액을 넣은 냉각수의 침입에 의한 전계부식에 대한 고려가 불충분해서 실라인은 설치되어있긴 하지만 냉각수 통로와의 관계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서 실린더 라이너 상면으로의 침수를 충분히 막고 있지 않았다.
(특허문헌1) 특개평 10-28129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픈 데크형 엔진에 사용하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에 있어서 실린더 보어를 형성하는 원통부의 상면에서의 부동액을 넣은 냉각수의 침입에 의한 전계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실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실린더 헤드 개스킷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실린더 헤드 개스킷은, 오픈 데크형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실 기능을 발휘하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으로서, 실린더 보어용 구멍의 주연부에서 되접어 꺾어 형성되는 직선형 플랜지부를 갖는 제 1 금속기판, 상기 플랜지부 내로 삽입되는 내주측 평단부를 갖는 제 2 금속기판, 플랜지부 내에 그리고 제 2 금속기판의 상기 내주측 평단부와 제 1 금속기판과의 사이에 제 1 금속기판측으로 돌출된 제 1 풀비드를 갖는 환상의 비드판을 적층하여 구성하되, 제 2 금속기판은 내주측 평단부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직선형 제 1 하프비드와 이 제 1 하프비드의 외주측에 상기 플랜지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외주측 평단부를 갖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에 있어서, 제 2 금속기판의 외주측 평단부와 제 1 금속기판과의 사이에 위치되고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하면서 제 2 금속기판측에서 제 1 금속기판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진 직선형 제 2 하프비드를 갖는 중간판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2 하프비드 경사부의 내주측 위치가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 보어를 형성하는 원통부의 외주측 위치와 일치하거나 또는 외주측 위치의 내주측에 일정거리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 헤드 개스킷에 있어서, 제 1 금속기판이 비드판의 제 1 풀비드와 중간판의 제 2 하프비드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플랜지부 측으로 돌출하는 제 2 풀비드를 갖는다.
혹은, 상기 실린더 헤드 개스킷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기판 상에 제 3 금속기판을 적층하되, 제 3 금속기판은 비드판의 제 1 풀비드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서로 볼록한 쪽이 마주보도록 형성시킨 제 3 풀비드와 중간판의 제 2 하프비드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시킨 직선형 제 3 하프비드를 가지며, 제 3 하프비드는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하면서 제 1 금속기판측으로 기울도록 형성된다.
혹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실린더 헤드 개스킷은, 오픈 데크형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실 기능을 발휘하는 실린더 헤드 캐스킷으로서, 실린더 보어용 구멍의 주연부에서 되접어 꺾어 형성되는 직선형 플랜지부를 갖는 제 1 금속기판, 상기 플랜지부 내로 내주측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 2 금속기판, 상기 플랜지부 내에 그리고 제 2 금속기판과 제 1 금속기판과의 사이에 제 1 금속기판측으로 돌출된 제 1 풀비드를 갖는 환상의 비드판, 비드판의 외주측에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하면서 제 1 금속기판측에서 제 2 금속기판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진 직선형 제 2 하프비드를 갖는 중간판, 제 1 금속기판의 플랜지부와 접하도록 적층되는 제 4 금속기판을 적층하여 구성한 실린더 헤드 개스킷에 있어서, 상기 제 4 금속기판은 비드판의 제 1 풀비드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비드판측으로 돌출된 제 4 풀비드와, 상기 중간판의 제 2 하프비드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하면서 제 2 금속기판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직선형 제 4 하프비드를 가지며, 상기 제 4 하프비드의 경사부의 내주측 위치가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 보어를 형성하는 원통부의 외주측 위치와 일치하거나 또는 외주측 위치의 내주측에 일정거리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 헤드 개스킷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기판 상에 제 5 금속기판을 적층하되, 제 5 금속기판은 비드판의 제 1 풀비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비드판측으로 돌출된 제 5 풀비드를 갖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에 의하면, 제 2 하프비드 또는 제 4 하프비드 경사부의 내주측 위치를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 보어를 형성하는 원통부의 외주측의 위치와 일치 또는 그 내주측을 따라 배치하기 때문에 냉각수 통로와 실린더 보어 사이의 실 성능을 유지한 채로 실린더 보어를 형성하는 원통부의 상면에서의 부동액을 넣은 냉각수의 침수부분을 감소시켜 부동액을 넣은 냉각수의 침입을 억제가능하고, 이 부분의 부동액을 넣은 냉각수에 의한 전계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실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제 2 하프비드 또는 제 4 하프비드에 의한 압압력(押壓力)이 원통부의 외주측을 따라서 발생하기 때문에 원통부에 발생하는 응력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관한 실린더 헤드 개스킷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14는 모식적인 설명도로, 구성을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실린더 보어용 구멍의 크기, 실린더 라이너, 물구멍, 비드의 크기, 형태 등의 치수를 실제의 것과는 다르게 과장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2, 도 3, 도 5, 도 6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1), (1A)은 다기통 엔진용 오픈 데크형 엔진의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록(실린더 보디)의 엔진 부재 사이에 삽입된 메탈 개스킷으로, 실린더 보어의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 및 냉각수 통로와 냉각오일 통로 등의 냉각수나 오일 등의 유체를 실(seal)한다.
이들 실린더 헤드 개스킷 (1), (1A)이 사용되는 오픈 데크형 엔진에서는, 도 1, 도 4, 도 7, 도 14에 나타내듯이, 실린더 블록(50)은 실린더 보어(51)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부(블록 라이너)(52)와, 외벽부(53)로 형성된다. 또한 이 원통부(52)와 외벽부(53)에 의해 냉각수 통로(워터쟈켓)(54)가 형성된다. 또한 외벽부(53)에는 물구멍(55), 오일구멍(56)과 체결볼트용 볼트구멍(57)이 설치되고 원통부(52)에도 물구멍(55)이 설치되어있다.
이 오픈 데크형 엔진의 실린더 블록(50)에서는 실린더 헤드와의 접합면에 있어서 냉각수 통로(54)가 열려있기 때문에 강성의 유지가 어려워 보어변형이 쉽지만 냉각성능면에서 유리하고 또한 주조하기 쉽다. 또한, 원통부(52)에는 실린더 보어(51)측에 실린더 슬리브(실린더라이너)(52a)가 삽입되어 있다. 이 실린더 슬리브(52a)는 내마모성, 시저(seizure)에 대한 내성, 내열성, 강도(强度)가 뛰어난 특수금속으로 형성되고, 원통부(52)와 외벽부(53)는 경량성이 뛰어난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다.
제 1 실시 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1)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제 1 금속기판(금속기판: 금속구성판)(10), 제 2 금속기판(20), 비드판(30), 중간판(40)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 제 1 및 제 2 금속기판(10), (20)과 비드판(30), 중간판(40)은 연강판, 스텐레스 소둔재(어닐(anneal)재), 스텐레스 조질재(스프링 강판) 등으로 형성된다. 특히 제 1 금속기판(10)에는 내열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난 재료인 어닐재를 사용하고 비드판(30)에는 탄력성이 뛰어난 재료인 스프링재를 사용한다.
이들 금속판(10), (20), (40)은 실린더 블록 등의 엔진부재의 형태에 맞춰 제조되어 실린더 보어용 구멍(연소실용 구멍)(2), 냉각수의 순환을 위한 물구멍(도시하지 않음), 윤활유의 순환을 위한 오일구멍(도시하지 않음), 체결헤드볼트용 헤드볼트구멍(도시하지 않음)등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이 제 1 금속기판(10)을 실린더 보어용 구멍(2)의 주연부에서 되접어 꺾어서 구부림부(11)와 직선형 플랜지부(12)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이 플랜지부(12) 내에 제 2 금속기판(20)의 내주측 평단부(21)가 삽입되도록 제 2 금속기판(20)을 배치한다. 이 제 2 금속기판(20)은 내주측 평단부(21)의 외주측[실린더 보어용 구멍(2)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있는 것을 내주측, 그 반대방향에 있는 것을 외주측이라 하며, 이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함]에 외주측으로 향하면서 플랜지부(12)측으로 열린 직선형 제 1 하프비드(22)와 이 제 1 하프비드(22)의 외주측에 외주측 평단부(23)를 가지며, 외주측 평단부(23)는 면두께방향(面厚方向)으로 플랜지부(12)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부(12) 내에 있어서, 제 2 금속기판(20)의 내주측 평단부(21)와 제 1 금속기판(10)과의 사이에 제 1 금속기판(10)측으로 돌출된 제 1 풀비드(31)를 갖는 환상의 비드판(30)을 적층하여 배치한다. 또한, 외주측 평단부(23)와 제 1 금속기판(10)과의 사이에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하면서 제 2 금속기판(20)측에서 제 1 금속기판(10)측으로 열리도록 경사진 직선형 제 2 하프비드(42)를 설치한 중간판(40)을 배치한다. 이 제 2 하프비드(42)의 내주측에 형성된 내주측 평단부(41)를 제 1 하프비드(22)의 외주측에 배치한다. 또한, 제 1 풀비드(31)와 제 2 하프비드(42)와의 사이의 제 1 금속기판(10)에 플랜지부(12)측으로 돌출된 제 2 풀비드(13)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12)에 의해 연소가스가 제 2 금속기판(20)과 비드판(3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금속기판(10)에는 내열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난 재료를 사용하고 제 2 금속기판(20)과 비드판에는 탄력성이 뛰어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각각의 재료의 특성을 살린 조합으로 개스킷(1)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seal)성, 내열성, 내부식성, 내구성 등의 각종 성능이 뛰어난 개스킷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하프비드(22)를 설치했기 때문에, 제 1 하프비드(22)의 내주측 평단부(21)를 플랜지부(12)의 내측에 넣기 쉽게 되고, 원통부(52)의 테두리가 좁은 경우에도 플랜지부(12) 내에 제 2 금속기판(20)의 평단부(21)를 삽입가능하기 때문에 플랜지부(12)의 탄력성 향상과 평단부(21)의 스토퍼 기능에 의한 균열발생방지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 풀비드(13)를 설치한 구성에 의해 실린더 헤드 개스킷(1)으로의 압압력이 증가해서, 제 1 풀비드(31)가 압압될 경우에 제 2 풀비드(13)가 그 압압력을 분담할 수 있어서 제 1 풀비드(31)의 피로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도 3에 나타내듯이, 제 2 하프비드(42) 경사부의 내주측 위치(42a)를 원통부(52)의 외주측(외벽면) 위치(52b)와 일치시켜 배치하여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이 제 2 하프비드(42)의 내주측 위치(42a)가 원통부(52)의 외주측 위치(52b)와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수는 원통부(52)의 상면에 거의 침입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실린더 보어(51)를 형성하는 원통부(52)의 상면에서의 부동액을 넣은 냉각수에 의한 전계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실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도 1~도 3 구성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1)의 경우, 변형진폭이 4곳의 평균치로 할 때 종래 기술의 표준품보다도 약 12% 저감한다라는 실험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도 6에서 나타내듯이, 이 제 2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1A)에서는 중간판(40A)에 설치한 제 2 하프비드(42)의 경사부의 내주측 위치(42a)를 원통부(12)의 외주측 위치(52b)에 대해 내주측에 형성한다. 즉, 예를 들면, 일정한 거리(D)를 두고서 제 2 하프비드(42)의 경사부의 내주측 위치(도 4에서는 점선으로 표시)(42a)를 원통부(52)의 외주측 위치(52b)보다도 내주측에 배치한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1)과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제 2 하프비드(42)의 내주측 위치(42a)가 원통부(52)의 외주측 위치(52b)에 대해 일정한 거리(D)로 내주측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냉각수는 원통부(52)의 상면에서의 냉각수가 침입하는 부분이 굉장히 좁은 범위가 된다. 그 때문에, 실린더 보어(51)를 형성하는 원통부(52)의 상면에서 부동액을 넣은 냉각수에 의한 전계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실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반드시 일정한 거리(D)로 할 필요는 없다. 즉,거리(D)를 가변해도 좋다.
다음으로, 제 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이 제 3 실시 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1B)에서는, 도 1~도 3의 제 1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1B)의 제 1 금속기판(10)에 있어서의 제 2 풀비드(13)를 생략함과 동시에 제 1 금속기판(10)에 새로운 제 3 금속기판(60)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이 제 3 금속기판(60)은 비드판(30)의 제 1 풀비드(31)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3 풀비드(61)를 갖고, 또한 중간판(40)의 제 2 풀비드(42)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직선형 제 3 하프비드(62)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 3 풀비드(61)는 비드판(30)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3 하프비드(62)는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해가면서 제 1 금속기판(10)측으로 기울도록 형성된다. 즉, 제 3 하프비드(62)보다 외주측에서 제 3 금속기판(60)은 제 1 금속기판(10)측에 접한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1)과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해, 이 제 1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1)의 작용효과 외에 제 1 풀비드(31) 부위와 제 2 하프비드(42) 부위에서의 스프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 풀비드(13)가 없기 때문에 실 라인수는 감소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1A)에 있어서, 제 2 풀비드(13)를 생략하는 것과 동시에 제 1 금속기판(10)에 새로운 제 3 금속기판(60)을 적층해서 제 4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을 구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제 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이 제 4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1C)에서는, 오픈 데크형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와의 사에에 삽입되어 실 기능을 발휘하도록, 제 1 금속기판(10)을 실린더 보어용 구멍(2)의 주연부에서 되접어 꺾어서 구부림부(11)와 직선형 플랜지부(12)를 형성한다. 그와 동시에, 이 플랜지부(12) 내에 제 2 금속기판(20)의 내주측 일부분을 삽입해서 배치하고, 플랜지부(12) 내에 그리고 제 2 금속기판(20)과 제 1 금속기판(10)과의 사이에 제 1 금속기판(10)측으로 돌출된 제 1 풀비드(31)를 갖는 환상의 비드판(30)을 적층한다.
또한, 이 비드판(30)의 외주측에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하면서 제 1 금속기판(10)측에서 제 2 금속기판(20)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진 직선형 제 2 하프비드(42)를 설치한 중간판(40)을 적층하고, 제 1 금속기판(10)의 플랜지부(12)측에 제 4 금속기판(70)을 적층한다.
제 4 금속기판(70)은 비드판(30)의 제 1 풀비드(31)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4 풀비드(71)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제 4 풀비드(71)는 비드판(30)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중간판(40)의 제 2 하프비드(42)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직선형 제 4 하프비드(72)가 설치된다. 이 제 4 하프비드(72)는 제 1 금속기판(10)측의 플랜지부(12)측에서 제 2 금속기판(20)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져서 설치된다. 또한, 제 5 금속기판(80)은 비드판(30)의 제 1 풀비드(31)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비드판(30)측으로 돌출된 제 5 풀비드(81)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제 5 풀비드(81)를 설치함에 의해 제 1 풀비드(31) 부위에서의 스프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 4 하프비드(72)의 경사부의 내주측 위치(72a)를 실린더 블록(50)의 실린더 보어(51)를 형성하는 원통부(52)의 외주측 위치(52b)에 일치시켜서 배치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 4 하프비드(72)의 내주측 위치(72a)가 원통부(52)의 외주측 위치(52b)와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수는 원통부(52)의 상면에 거의 침입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실린더 보어(51)를 형성하는 원통부(52)의 상면에서의 부동액을 넣은 냉각수에 의한 전계부식을 방지가능하여 실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 4 하프비드(72)의 경사부의 내주측 위치(72a)를 실린더 블록(50)의 실린더 보어(51)를 형성하는 원통부(52)의 외주측 위치(52b)보다 내주측으로, 예를 들면, 일정한 거리(D)에 위치시켜서 배치하면, 이 구성에 의해 제 4 하프비드(72)의 내주측 위치(72a)가 원통부(52)의 외주측 위치(52b)에 대해 일정한 거리(D)로 내주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냉각수는 원통부(52)의 상면에서의 냉각수가 침입하는 부분이 굉장히 좁은 범위가 된다. 그 때문에, 실린더 보어(51)를 형성하는 원통부(52)의 상면에서의 부동액을 넣은 냉각수에 의한 전계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실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반드시 일정한 거리(D)로 할 필요는 없다. 즉, 거리(D)를 가변해도 좋다.
참고로, 도 11~도 13에, 제 2 하프비드(42)의 외주측 위치(42a)가 원통부(52)의 외주측 위치(52b)를 따르지 않고 실린더 보어용 구멍(2)에서 일정거리(Wx)에서 배치되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1X)을 나타낸다. 이 구성에서는, 도 11에서 나타내듯이, 실린더 블록(50)에서의 냉각수 통로(54)와 실린더 보어(51)와의 거리(Wx)+(Wy)가 변화하기 때문에 제 2 하프비드(42)의 경사부의 내주측 위치(42a)와 원통부(52)의 외주측 위치(52b)와의 거리(Wy)가 변화한다. 이 거리(Wy)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듯이, 볼트구멍(57) 근접에서는 작지만,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듯이, 볼트구멍(57)의 상호 간 중간부에서는 크게 되어서 냉각수는 원통부(52)의 상면에 침입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실린더 보어(51)를 형성하는 원통부(52)의 상면에서의 부동액을 넣은 냉각수에 의한 전계부식을 방지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오픈 데크형 엔진의 실린더 블록의 부분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을 나타내며,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을 나타내며,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오픈 데크형 엔진의 실린더 블록의 부분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을 나타내며,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을 나타내며, 도 4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을 나타내며, 도 1의 A-A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을 나타내며, 도 1의 B-B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을 나타내며, 도 1의 A-A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실린더 헤드 개스킷을 나타내며, 도 1의 B-B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1은 참고로서 실린더 헤드 개스킷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오픈 데크형 엔진의 실린더 블록의 부분 상면도이다.
도 12는 참고로서 실린더 헤드 개스킷을 나타내며, 도 9의 A-A 단면도이다.
도 13은 참고로서 실린더 헤드 개스킷을 나타내며, 도 9의 B-B 단면도이다.
도 14는 오픈 데크형 엔진의 실린더 블록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1C 실린더 헤드 개스킷
2 실린더 보어용 구멍(연소실용 구멍) 10 제 1 금속기판
12 플랜지부 20 제 2 금속기판
21 제 2 금속기판의 내주측 평단부 22 제 2 하프비드
30 비드판 31 제 1 풀비드
40 중간판 42 제 2 하프비드
50 실린더 블록 51 실린더 보어
52 원통부 (블록 라이너) 52b 원통부의 외주측 위치
53 외벽부 54 냉각수통로(워터쟈켓)
60 제 3 금속기판 61 제 3 풀비드
62 제 3 하프비드 70 제 4 금속기판
71 제 4 풀비드 72 제 4 하프비드
80 제 5 금속기판 81 제 5 풀비드

Claims (5)

  1. 오픈 데크형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실 기능을 발휘하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으로서, 실린더 보어용 구멍(2)의 주연부에서 되접어 꺾어 형성되는 직선형 플랜지부(12)를 갖는 제 1 금속기판(10), 상기 플랜지부(12) 내로 삽입되는 내주측 평단부(21)를 갖는 제 2 금속기판(20), 플랜지부(12) 내에 그리고 제 2 금속기판의 상기 내주측 평단부(21)와 제 1 금속기판(10)과의 사이에 제 1 금속기판(10)측으로 돌출된 제 1 풀비드(31)를 갖는 환상의 비드판(30)을 적층하여 구성하되, 제 2 금속기판(20)은 내주측 평단부(21)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직선형 제 1 하프비드(22)와 이 제 1 하프비드(22)의 외주측에 상기 플랜지부(1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외주측 평단부(23)를 갖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에 있어서,
    제 2 금속기판의 외주측 평단부(23)와 제 1 금속기판(10)과의 사이에 위치되고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하면서 제 2 금속기판(20)측에서 제 1 금속기판(10)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진 직선형 제 2 하프비드(42)를 갖는 중간판(40,40A)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2 하프비드(42) 경사부의 내주측 위치(42a)가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 보어를 형성하는 원통부(52)의 외주측 위치(52b)와 일치하거나 또는 외주측 위치(52b)의 내주측에 일정거리(D)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금속기판(10)이 비드판의 제 1 풀비드(31)와 중간판의 제 2 하프비드(42)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플랜지부(12) 측으로 돌출하는 제 2 풀비드(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기판(10) 상에 제 3 금속기판(60)을 적층하되, 제 3 금속기판(60)은 비드판의 제 1 풀비드(31)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서로 볼록한 쪽이 마주보도록 형성시킨 제 3 풀비드(61)와 중간판의 제 2 하프비드(42)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시킨 직선형 제 3 하프비드(62)를 가지며, 제 3 하프비드(62)는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하면서 제 1 금속기판(10)측으로 기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
  4. 오픈 데크형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실 기능을 발휘하는 실린더 헤드 캐스킷으로서, 실린더 보어용 구멍(2)의 주연부에서 되접어 꺾어 형성되는 직선형 플랜지부(12)를 갖는 제 1 금속기판(10), 상기 플랜지부(12) 내로 내주측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 2 금속기판(20), 상기 플랜지부(12) 내에 그리고 제 2 금속기판(20)과 제 1 금속기판(10)과의 사이에 제 1 금속기판(10)측으로 돌출된 제 1 풀비드(31)를 갖는 환상의 비드판(30), 비드판(30)의 외주측에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하면서 제 1 금속기판(10)측에서 제 2 금속기판(20)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진 직선형 제 2 하프비드(42)를 갖는 중간판(40), 제 1 금속기판의 플랜지부(12)와 접하도록 적층되는 제 4 금속기판(70)을 적층하여 구성한 실린더 헤드 개스킷에 있어서,
    상기 제 4 금속기판(70)은 비드판의 제 1 풀비드(31)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비드판(30)측으로 돌출된 제 4 풀비드(71)와, 상기 중간판의 제 2 하프비드(42)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하면서 제 2 금속기판(20)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직선형 제 4 하프비드(72)를 가지며,
    상기 제 4 하프비드(72)의 경사부의 내주측 위치(72a)가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 보어를 형성하는 원통부(52)의 외주측 위치(52b)와 일치하거나 또는 외주측 위치(52b)의 내주측에 일정거리(D)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기판(10) 상에 제 5 금속기판(80)을 적층하되, 제 5 금속기판(80)은 비드판의 제 1 풀비드(31)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비드판(30)측으로 돌출된 제 5 풀비드(8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
KR1020080012488A 2007-02-22 2008-02-12 실린더 헤드 개스킷 KR100946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42213 2007-02-22
JP2007042213A JP4252094B2 (ja) 2007-02-22 2007-02-22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549A KR20080078549A (ko) 2008-08-27
KR100946356B1 true KR100946356B1 (ko) 2010-03-08

Family

ID=3971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488A KR100946356B1 (ko) 2007-02-22 2008-02-12 실린더 헤드 개스킷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905211B2 (ko)
JP (1) JP4252094B2 (ko)
KR (1) KR100946356B1 (ko)
CN (1) CN101251187B (ko)
DE (1) DE10200801041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6888B2 (en) * 2009-10-22 2012-12-25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Gasket with engine liner accomodation
JP6299799B2 (ja) 2016-03-30 2018-03-28 マツダ株式会社 内燃機関用ガスケット
CN108825840B (zh) * 2018-06-26 2020-07-31 铜陵市兆林工贸有限责任公司 一种测量用管路截止阀的防腐密封工艺
CN108825779B (zh) * 2018-06-26 2020-04-24 无锡双羊暖通设备有限公司 一种o型密封圈
CN108980345A (zh) * 2018-07-11 2018-12-11 苏州国泰科技发展有限公司 汽车发动机密封垫系统及其制造方法
US11519505B2 (en) * 2021-03-24 2022-12-06 Federal-Mogul Motorparts Llc Multi-layer steel gask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210A (ja) * 1998-08-21 2000-03-03 Japan Metal Gasket Co Ltd 金属ガスケット
KR20000055781A (ko) * 1999-02-10 2000-09-15 정몽규 내연기관의 가스켓
KR20030038355A (ko) * 2001-11-05 2003-05-16 이시카와 가스킷 가부시키가이샤 실린더 헤드 개스킷
JP2005226806A (ja) * 2004-02-16 2005-08-25 Ishikawa Gasket Co Ltd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0779A (en) * 1980-06-09 1981-11-17 Felt Products Mfg. Co. Wicking-resistant gasket assembly
JPH086805B2 (ja) * 1992-06-09 1996-01-29 日本メタルガスケット株式会社 金属ガスケット
JPH0667962A (ja) 1992-08-14 1994-03-11 Toshiba Corp 分散形の監視装置
JP2522140Y2 (ja) * 1993-01-27 1997-01-08 株式会社ケットアンドケット ゴムコート材金属ガスケット
JP2932375B2 (ja) * 1997-04-03 1999-08-09 株式会社ケットアンドケット 金属ガスケット
DE50010470D1 (de) * 2000-11-07 2005-07-07 Ford Global Tech Llc Zylinderblock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JP3949666B2 (ja) * 2004-03-09 2007-07-25 石川ガスケット株式会社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2006242294A (ja) * 2005-03-03 2006-09-14 Ishikawa Gasket Co Ltd 金属積層形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2007042213A (ja) * 2005-08-03 2007-02-15 Canon Inc 光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光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210A (ja) * 1998-08-21 2000-03-03 Japan Metal Gasket Co Ltd 金属ガスケット
KR20000055781A (ko) * 1999-02-10 2000-09-15 정몽규 내연기관의 가스켓
KR20030038355A (ko) * 2001-11-05 2003-05-16 이시카와 가스킷 가부시키가이샤 실린더 헤드 개스킷
JP2005226806A (ja) * 2004-02-16 2005-08-25 Ishikawa Gasket Co Ltd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10412B4 (de) 2016-06-30
CN101251187A (zh) 2008-08-27
KR20080078549A (ko) 2008-08-27
JP2008202568A (ja) 2008-09-04
DE102008010412A1 (de) 2008-11-13
US8033263B2 (en) 2011-10-11
US20080203676A1 (en) 2008-08-28
JP4252094B2 (ja) 2009-04-08
US20110024992A1 (en) 2011-02-03
CN101251187B (zh) 2010-11-17
US7905211B2 (en) 201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4251B2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KR100946356B1 (ko) 실린더 헤드 개스킷
US7377520B2 (en) Cylinder head gasket
KR101011509B1 (ko) 금속 개스킷
KR100958380B1 (ko) 금속제 개스킷
JPH1137296A (ja) 金属製ガスケット
KR100950000B1 (ko) 실린더 헤드 개스킷
EP2971874B1 (en) Small elastic sealing feature inside of main combustion sealing embossment
US7665741B2 (en) Laminate-type gasket
US20150330330A1 (en) Gasket and engine with the gasket
KR20080009010A (ko) 가스켓
US20060273526A1 (en) Cylinder head gasket
JP5468673B1 (ja) ガスケットと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KR100687831B1 (ko) 금속 개스킷
JP3811700B2 (ja) 金属積層形ガスケット
JP3946217B2 (ja) 金属ガスケット
JP4541400B2 (ja) 金属製ガスケット
JP4541399B2 (ja) 金属製ガスケット
JP3907618B2 (ja) 金属積層形ガスケット
KR200416238Y1 (ko) 실린더 헤드 개스킷용 스토퍼
KR0184708B1 (ko) 열 차단부를 구비한 금속적층형 실린더 헤드 가스켓
US9261192B2 (en) Cylinder head gasket
JP2010091025A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