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883B1 -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883B1
KR101492883B1 KR1020137003991A KR20137003991A KR101492883B1 KR 101492883 B1 KR101492883 B1 KR 101492883B1 KR 1020137003991 A KR1020137003991 A KR 1020137003991A KR 20137003991 A KR20137003991 A KR 20137003991A KR 101492883 B1 KR101492883 B1 KR 101492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ircuit board
opening
monit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295A (ko
Inventor
토모히로 사이토
마사히코 호사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4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n integrally preformed hou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92Manufacturing of instruments
    • B60K2360/96Manufacturing of instruments by 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모니터 장치(20)에 있어서, 표시부로서의 액정 디스플레이와, 액정 디스플레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모니터 기판(29)과, 모니터 기판(29)과 외부의 전기적인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34)와, 액정 디스플레이 및 모니터 기판(29)을 수용하는 수지제의 외장 케이스(21)를 구비하고, 외장 케이스(21)의 모니터 기판(29)과 대향한 배면부(23D)에는 커넥터(34)측을 향해서 오목한 커넥터 장착부(40)가 설치되고, 커넥터 장착부(40) 내에는 커넥터(34)를 노출시키는 개구부(23A)가 형성되고, 커넥터 장착부(40)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부는 입면부(43)[개구부(23A)]로부터 배면부(23D)를 향해서 확개된 경사면부(46)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MONITOR AND WORKING VEHICLE PROVIDED WITH THE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에 관계되고, 특히 모니터 장치의 외장 케이스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압 셔블 등의 캡(cab) 내에 탑재되는 모니터 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모니터 장치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배면측에 전원용 기판이나 제어용 기판 등의 회로 기판이 배치되고, 이들 회로 기판이 알루미늄제의 리어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유압 셔블 등의 작업 차량에 소형화된 모니터 장치가 사용되면 작업 차량의 오퍼레이터가 작업면 등을 보면서 작업할 때 오퍼레이터의 시계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리어 케이스의 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회로 기판으로부터의 발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리어 케이스의 측벽 부분에는 통풍용 통기 구멍이 형성되거나, 리어 케이스의 외표면에는 복수의 핀이 설치되거나 하고 있어 내부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의 배면으로부터는 내부의 회로 기판에 부착된 복수의 커넥터가 노출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에 대해서는 유압 셔블에 탑재된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케이블이나, 유압 셔블 전체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장치로부터의 통신 케이블이 접속된다.
그리고, 유압 셔블에 발생한 문제의 이력이 데이터로서 모니터 장치 내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을 경우에는 서비스맨이 통신 케이블을 분리하고, 문제 해석용으로 준비된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된 통신 케이블을 모니터 장치의 커넥터에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부로부터 퍼스널 컴퓨터에 다운로드하는 작업이 행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가진 유압 셔블의 경우 모니터 장치에 접속된 통신 케이블을 분리하지 않고 CAN을 통해서 모니터 장치 내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이 행해지는 경우도 있지만, 그때에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했을 경우 상기 커넥터를 삽입/분리해서 커넥터의 접촉 불량 등이 없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행해진다. 또한, 모니터 장치가 고장났을 때에는 당연히 모니터 장치로부터 통신 케이블을 분리하는 작업을 요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모니터 장치는 비교적 대형의 유압 셔블에 탑재되는 것이며, 캡 이외에 캐노피 타입이 준비되는 소형의 유압 셔블에서는 모니터 장치로서도 소형의 것이 탑재된다. 소형화된 모니터 장치는 리어 케이스 등의 외장 케이스류는 수지제이며, 경량화 및 저비용화가 도모된다. 또한, 포크리프트 등 빈번히 주행하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연비의 면으로부터 보다 경량인 모니터 장치가 요구된다.
한편, 수지제의 외장 케이스가 사용되었을 경우에 방열용 핀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에 비해서 열저항이 크기 때문에, 핀을 설치해서 방열 면적의 확대를 도모해도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외부 환경(빗물, 눈, 먼지 등에 노출되는 것)이 직접 영향을 주는 캐노피 타입에 탑재되는 표시 장치는 밀폐성을 구비해서 소정의 방수성이나 방진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어 리어 케이스에 통기 구멍을 형성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외장 케이스의 외표면의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그 외표면을 통해서 내부의 열을 방열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1-132800호 공보
그러나, 외장 케이스의 외표면의 표면적을 크게 하면 외장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용적이 커지고, 회로 기판에 부착된 커넥터와 외장 케이스의 외표면의 거리가 멀어진다. 이 때문에, 커넥터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커넥터를 외장 케이스의 외표면에 부착함과 아울러 서로 이간되는 커넥터와 회로 기판을 케이블에 의해 연결할 필요가 있어 부품 점수가 늘어날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에 수고가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외장 케이스의 외표면에 내부의 회로 기판을 향해서 오목한 커넥터 장착부를 설치하고, 커넥터 장착부의 안쪽에 있어서 회로 기판에 부착된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외장 케이스의 내부 구조에 따라서는 커넥터 장착부의 크기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커넥터 장착부에 용이하게 손가락을 삽입시킬 수 없고, 커넥터의 삽입/분리 작업이 곤란해져서 상술한 서비스맨에 의한 모니터 장치의 교환 작업이나 다운로드 작업 등의 작업성, 또는 모니터 조립시의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작업 및 커넥터의 삽입/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방진성과 방수성과 같은 내환경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1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장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과 외부의 전기적인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수지제의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 케이스의 상기 회로 기판과 대향한 면 형상부에는 상기 커넥터측을 향해서 오목한 공간을 갖는 커넥터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부에는 상기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면 형상부를 향해서 확개(擴開)된 경사면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경사면부의 경사는 금형 성형되는 수지 제품에 일반적인 드래프트에 의한 경사와는 다른 것이다.
제 2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장치에서는 상기 면 형상부는 배면부이며, 상기 커넥터 장착부에는 상기 배면부 상에서 개구된 후부 개구와, 상기 배면부와 함께 상자형상을 형성하는 측면부 상의 상기 경사면부에 대향한 위치에서 개구되고 또한 상기 후부 개구와 연통된 측부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장치에서는 상기 측부 개구의 일부는 상기 측면부와 동일 높이의 면으로 된 측면부에 의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장치에서는 상기 커넥터는 상기 측벽부의 끝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장치에서는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커넥터의 근방에서 상기 외장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장치는 작업 차량의 오퍼레이터 시트의 근방에 탑재되는 모니터 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과 외부의 전기적인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수지제의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 케이스의 상기 회로 기판과 대향한 면 형상부에는 상기 커넥터측을 향해서 오목한 공간을 갖는 커넥터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부에는 상기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면 형상부를 향해서 확개된 경사면부로 되어 있고, 상기 면 형상부는 배면부이며, 상기 커넥터 장착부에는 상기 배면부 상에서 개구된 후부 개구와, 상기 배면부와 함께 상자형상을 형성하는 측면부 상의 상기 경사면부에 대향한 위치에서 개구되고 또한 상기 후부 개구와 연통된 측부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측부 개구의 일부는 상기 측면부와 동일 높이의 면으로 된 측벽부에 의해 막히고, 상기 표시부는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의 주위에 L자 형상으로 조작 버튼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에 의한 작업 차량은 제 1 발명 내지 제 6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모니터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작업 차량이란 유압 셔블이나 휠 로더 등의 건설 기계, 및 포크리프트 등의 산업 차량을 포함한 개념의 차량을 말한다. 제 6 발명에서의 작업 차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 1 발명, 제 7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 설명하는 효과를 갖는다. 커넥터 장착부는 외장 케이스의 면 형상부에 있어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안쪽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회로 기판측의 커넥터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 커넥터에 외부로부터의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선단에 부착된 커넥터를 커넥터 장착 부 내에 삽입할 필요가 있다. 이때, 제 1 발명에서는 면 형상부의 내주면의 일부가 개구부로부터 면 형상부를 향해서 경사진 경사면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경사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만큼 면 형상부측에서 크게 개구되게 되고, 케이블측의 커넥터를 집은 손가락을 커넥터 장착부 내에 무리없이 삽입시킬 수 있어 커넥터의 삽입/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면 형상부와 개구부를 이간시키고 그 이간 거리에 따른 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정도로 외장 케이스의 용량을 크게 하여 외장 케이스의 표면적을 확보함으로써 회로 기판이나 액정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열을 외장 케이스의 외표면을 통해서 외부로 양호하게 방열할 수 있다. 그때, 면 형상부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커넥터가 배치되게 되고, 삽입/분리 작업시에 손가락으로 커넥터(케이블측)를 집기 어려워지는 등, 작업성이 나빠지는 것을 해소하기 위해서 커넥터 장착부를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커넥터의 삽입/분리 작업이 용이해진다. 외장 케이스의 표면적을 확보함으로써 방열이 양호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외장 케이스에 통풍용 통기 구멍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방진성이나 방수성과 같은 내환경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경사면부에 대향한 부분에는 후부 개구와 연통된 측부 개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측의 커넥터를 집는 손가락을 측부 개구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고, 커넥터 장착부에 삽입시키는 손가락에 더욱 여유가 생겨서 작업성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측부 개구의 일부가 측벽부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측면부측으로부터의 빗물이나 진애 등이 커넥터 장착부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내환경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가 전체로서 커넥터 장착부의 안쪽에 위치하고 측벽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케이블측의 커넥터와의 감합 부분도 안쪽에 위치하게 되고, 그러한 감합 부분에 빗물이나 진애가 보다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회로 기판이 커넥터 근방에서 외장 케이스에 직접 나사 고정되기 때문에 회로 기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에 실장된 커넥터로부터 케이블측의 커넥터를 분리할 경우에는 회로 기판에서의 커넥터 주위의 부분이 잡아 당겨져서 변형될 일이 없고, 회로의 단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발명, 제 2 발명, 제 3 발명에서의 작용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표시면의 주위에 조작 버튼을 L자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조작 버튼의 배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모니터 장치의 소형화를 한층 더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으로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압 셔블을 오퍼레이터 시트측으로부터 전방측을 본 도면이다.
도 3은 유압 셔블에 탑재된 모니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모니터 장치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모니터 장치의 리어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의 V-V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으로서의 소형 유압 셔블(1)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유압 셔블(1)을 오퍼레이터 시트(6)측으로부터 전방측을 본 도면이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은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의 상부에 상부 선회체(3)를 선회 가능하게 탑재한 구성이며, 하부 주행체(2)의 전방측에는 유압 액츄에이터에 의해 리프트 동작 가능한 블레이드(4)가 설치되고,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에는 작업기(5)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5)는 붐, 암, 버킷을 각각 개별의 유압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하는 주지의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부 선회체(3)에는 오퍼레이터 시트(6)의 좌우 위치에 작업기 조작 레버(7, 7)가 설치되고, 플로어의 전방측에 주행 레버(8, 8)나 붐 스윙용 조작 페달(9) 등이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은 캐노피 사양이며, 오퍼레이터 시트(6)의 상부에는 상부 선회체(3)에 세워서 설치된 2개의 지주(11)에 의해 지지되는 루프(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유압 셔블(1)에 있어서 주행 레버(8)의 측방에는 플로어에 세워서 설치된 지지 프레임(13)에 지지되는 모니터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모니터 장치(20)의 위치는 일례이며 오퍼레이터 시트(6)의 우측에 있는 콘솔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
모니터 장치(20)는 상세하게는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하지만,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해서 구성되고, 복수의 조작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표시 내용을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내용으로서는 서비스 미터, 엔진 수온계, 엔진 연료계, 예열 모니터, 엔진 유압 모니터, 주행 증속(增速) 모니터, 전기 시스템 경고 모니터, 연비계, 현재 시각 등이다. 또한, 모니터 장치(20)는 액정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의 조작 스위치를 장착하여 표시 기능과 조작 기능을 일체화한 터치패널이라도 좋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대신에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를 사용해도 좋다.
도 3은 모니터 장치(2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모니터 장치(20)는 각각 바닥이 있는 상자형상의 프론트 케이스(22) 및 리어 케이스(23)로 구성된 외장 케이스(21)를 구비한다. 프론트 케이스(22)는 정면부(22A)가 투명한 아크릴 수지, 그 이외의 표면부(22B)가 흑색의 AES(acrylonitrile/ethylene-propylene-diene/styrene) 수지로 이루어지는 2색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23)는 전체가 흑색의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의 성형품이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22) 및 리어 케이스(23)는 흑색이 아닌 다른 색이라도 좋다. AES 수지는 ABS 수지보다 내후성이 더욱 뛰어난 재료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바와 같은 작업 차량에 탑재되어 외계에 노출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그 프론트 케이스에 AES 수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론트 케이스(22)의 투명한 정면부(22A)의 이면측에는 직사각형상의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수용부 내에는 박판 형상의 수지 프레임재(24)를 개재해서 표시부로서의 액정 디스플레이(25)가 수용된다. 이때, 액정 디스플레이(25)의 외주를 형성하고 있는 금속제의 플래밍 케이스(framing case)(25A) 주위에는 탄성을 갖는 고무 프레임재(26)가 끼워넣어져 있고, 이 고무 프레임재(26)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25)에 가해지는 진동이 흡수되어 액정 디스플레이(25)의 내구성의 확보가 도모되고 있음과 아울러 수지제의 프론트 케이스(22)와 금속제의 플래밍 케이스(25A)의 열팽창 차가 흡수되어 프론트 케이스(22)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25)의 파손 방지가 도모되게 되어 있다.
조립된 모니터 장치(20)는 액정 디스플레이(25)의 표시면(38A)[피니셔 시트(38)의 표시면]과 조작 버튼(38B)[노브 스위치(37) 상에 피니셔 시트(38)가 덮이는 부분]은 거의 동일 평면 상으로 되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25)의 주위[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25)로부터 보았을 때 Y의 정방향측 및 Z의 부방향측의 위치]에는 L자 형상의 스위치 기판(27)이 배치된다. 또한, 표시면(38A) 주위에 L자 형상으로 조작 버튼(도 3 참조)이 배치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도 3)에서는 세로로 4개, 가로로 4개의 조작 버튼을 배치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례이며, 이 조작 버튼의 수는 모니터 장치(20)의 기능에 따른 개수를 설치할 수 있다. 스위치 기판(27)은 조작 버튼의 위치 및 수에 따른 스위치(27B)(택트 스위치)가 마운팅된 것이며, 조작면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버튼(38B)을 누르면 노브 스위치(37)가 도 3에 나타내는 X의 부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노브 스위치(37)의 선단이 스위치 기판(27)에 마운팅된 스위치(27B)의 표면을 눌러서 스위치(27B)는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그 전기신호는 모니터 기판(29)에 송신되고, 예를 들면 조작 버튼의 조작이 액정 디스플레이(25)의 화면을 소정의 화면으로 천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면, 모니터 기판(29)으로부터 화면 천이를 위한 제어 신호가 액정 디스플레이(25)에 일체로 장착된 도시하지 않은 구동 회로용 기판에 송신된다.
스위치 기판(27)은 정면부(22A)와 일체이고, 또한 리어 케이스(23)측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부착 보스 상에 나사(27A)에 의해 나사 고정된다. 정면부(22A)에는 도시하지 않은 마찬가지인 복수의 다른 부착 보스가 설치되고, 이들 부착 보스 상에는 수지제의 홀더(28)가 나사(28A)에 의해 나사 고정된다. 홀더(28)의 정면(도 3에 나타내는 X의 정방향)에는 고무제의 압박 부재(32)가 상하 좌우의 4개소에 이간되어서 부착되어 있다. 홀더(28)는 부착 보스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이들 압박 부재(32)를 통해서 액정 디스플레이(25)를 이면측(도 3에 나타내는 X의 부방향측)으로부터 압박하고, 수용부(50) 내에서 액정 디스플레이(25)가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유지하고 있다.
정면부(22A)의 네모서리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부착 보스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부착 보스 상에는 액정 디스플레이(25)용 전원 회로 및 제어 회로가 형성된 모니터 기판(29)이 부착된다. 또한, 홀더(28)와 모니터 기판(29)은 소정의 간격(도 3에 나타내는 X방향으로 이간된 간격)으로 이간시켜서 배치된다. 그리고, 이상에 서술한 각 부품이 프론트 케이스(22) 내에 수용되고, 그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23)가 우레탄제의 개스킷(31)을 개재해서 프론트 케이스(22)에 끼워넣어져 부착된다. 리어 케이스(23)는 모니터 기판(29)이 부착된 부착 보스에 대하여 나사(29A)에 의해 나사 고정되어 부착된다. 즉, 모니터 기판(29)은 리어 케이스(23)와 함께 조여지는 것이며, 부착 보스(29B)와 리어 케이스(23)의 나사 삽통부(23G)(도 3)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부착된다.
또한, 스위치 기판(27)과 모니터 기판(29)은 플랫 케이블(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모니터 기판(29)과 액정 디스플레이(25)에 일체로 장착된 도시하지 않은 구동 회로용 기판은 플랫 케이블(35)에 의해 마찬가지로 접속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구동 회로용 기판은 모니터 기판(29)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아서 액정 디스플레이(25)에 어떤 색을 표시할 것인지와 같은 표시 제어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모니터 기판(29)의 이면측(도 3에 나타내는 X의 부의 방향측)에는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 및 신호 통신용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소켓)(34)가 실장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23)에는 앞면측(도 3에 나타내는 X의 정방향)에 있는 커넥터(34)측을 향해서 오목한 커넥터 장착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장착부(40)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커넥터(34)는 리어 케이스(23)에 형성된 개구부(23A)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다. 리어 케이스(23) 내의 커넥터 장착부(40)를 구성하는 개구부(23A) 주위에는 우레탄제의 개스킷(36)이 부착되어 개구부(23A)와 커넥터(34)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막고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20)는 외부로부터의 물이나 먼지가 내부로 침입하지 않는 기밀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프론트 케이스(22)의 정면부(22A)에는 정면측으로부터 복수의 노브 스위치(37)가 삽입된다. 노브 스위치(37)의 선단에는 스위치 기판(27)에 실장된 스위치(27B)가 위치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니셔 시트(38) 상으로부터 노브 스위치(37)를 압박 조작함으로써 스위치(27B)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액정 디스플레이(25)의 표시 내용을 스위칭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패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노브 스위치(37) 및 스위치(27B)의 기능이 터치패널 상에 설치되게 되기 때문에 노브 스위치(37)는 불필요해진다. 단, 터치패널에 기능을 갖게 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노브 스위치(37)에 특정한 기능을 갖게 하고, 터치패널과 노브 스위치(37) 및 스위치(27B)를 병존시킨 모니터 장치(20)라도 좋다. 정면부(22A)에는 그러한 노브 스위치(37)까지도 덮도록 수지제의 피니셔 시트(38)가 부착된다.
이상에 설명한 각 부품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프레임재(24)부터 모니터 기판(29)까지의 각 부품이 프론트 케이스(22) 내에 수용되지만, 이들 중 모니터 기판(29)에 실장된 커넥터(34)만이 프론트 케이스(22)로부터 도 3에서 나타내는 X의 부의 방향[리어 케이스(23)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조립된 모니터 장치(20)에 있어서 리어 케이스(23)는 그 내부에 대용량의 내부 공간을 갖고 있지만, 이 내부 공간 내에는 커넥터(34)만이 위치하고 대부분이 그대로의 공간으로서 존재한다. 즉, 리어 케이스(23)의 큰 내부 공간은 리어 케이스(23)의 표면부(23B)의 표면적을 의도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생긴 공간이며, 표면부(23B)의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모니터 기판(29)이나 액정 디스플레이(25)로부터 발생한 열이 표면부(23B)를 통해서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열하게 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23)의 큰 내부 공간은 모니터 장치(20)로서는 도 3에 나타내는 X방향으로 치수가 커지게 되지만, 작업 차량을 사용한 굴삭 작업 등의 작업 중의 오퍼레이터의 시선 방향은 X방향이 되기 때문에 모니터 장치(20)가 도 3에 나타내는 Y방향 또는 Z방향으로 커지지 않으면 작업 중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의 시계를 방해받게 되지 않아 작업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4는 모니터 장치(20)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리어 케이스(23)의 단면도이며, 도 4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4, 도 5에 있어서 리어 케이스(23)의 표면부(23B)는 장착 완료시에 프론트 케이스(22) 내에 끼워넣어지는 피팅부(fitting portion)(23C)와, 내부의 모니터 기판(29)과 대향하는 면 형상부로서의 배면부(23D)와, 이들 피팅부(23C) 및 배면부(23D)를 연결하는 측면부(23E)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배면부(23D)에 있어서, 커넥터(34)에 대응한 위치에는 앞면측(도 4에 나타내는 X의 정방향)에 있는 모니터 기판(29)측을 향해서 오목한 커넥터 장착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 장착부(40)는 배면부(23D) 상에서 개구된 후부 개구(41)를 갖는 것 외에, 배면부(23D)와 함께 상자형상을 형성하는 측면부(23E) 상에서 개구되고 후부 개구(41)와 연통된 측부 개구(42)를 갖고 있다. 또한, 커넥터 장착부(40)는 커넥터(34) 삽통용 상기 개구부(23A)를 갖는 대략 연직(도 4에 나타내는 Y방향으로 평행)인 입면부(43)와, 도 4에 나타내는 Z방향으로 대향한 도 4에 나타내는 X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상면부(44) 및 하면부(45)를 갖고, 또한 측부 개구(42)와 도 4에 나타내는 Y방향으로 대향한 경사면부(4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면부(44), 하면부(45), 및 경사면부(46)에 의해 커넥터 장착부(40)의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커넥터 장착부(40)의 내주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사면부(46)는 입면부(43)측으로부터 기립하고, 배면부(23D)측을 향해서 확개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도 5 참조) 커넥터 장착부(40) 내의 커넥터(34)에 대하여 케이블(60B)측의 커넥터(플러그)(60A)를 삽입/분리할 때 그 케이블측의 커넥터(60A)를 집는 손가락을 커넥터 장착부(40)에 삽입시키기 쉽고, 삽입/분리 작업을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경사면부(46)의 경사 각도는 커넥터 장착부(40)의 깊이나 입면부(43)의 크기 등을 감안해서 설정되면 좋고, 예를 들면 손가락을 삽입시키기 쉬운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부(46)와의 대향 위치에 측부 개구(4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케이블(60B)측의 커넥터(60A)를 집는 손가락을 측부 개구(42)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커넥터(60A)의 삽입/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측부 개구(42)는 측면부(23E)의 일부를 대략 사각형상으로 컷아웃한 형상이며, 측부 개구(42)는 입면부(43), 상면부(44), 및 하면부(45)와 연속하고, 또한 측면부(23E)와 동일 높이의 면으로 형성된 측벽부(47)에 의해 막힌 구조로 되어 있다. 측벽부(47)의 도 4에 나타내는 X의 부방향에 있어서의 높이는 커넥터(34)와 케이블(60B)측 커넥터(60A)의 감합면보다 높은[즉, 도 4에 나타내는 X의 부방향측으로 크고, 커넥터(34)의 높이는 측벽부(47)의 끝 가장자리(47A)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음]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한 측벽부(47)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측방(도 4에 나타내는 Y의 부방향) 등으로부터 커넥터 장착부(40) 내로 빗물 등이 떨어지거나, 진애가 들어가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러한 측벽부(47)이면 측부 개구(42)의 전체를 막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커넥터의 삽입/분리 작업을 저해하지 않고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면서 방진성과 방수성과 같은 내환경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부(23D)에는 그 변 가장자리에 근접해서 6개의 오목부(23F)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23F)는 나사(29A)(도 3)가 삽통되는 나사 삽통부(23G)를 형성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고, 리어 케이스(23)의 내부측에 보스 형상으로 팽출(膨出)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배면부(23D)에는 지지 프레임(13)(도 1, 도 2)에 모니터 장치(20)를 볼트 고정하기 위한 볼트 구멍(23H)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커넥터(34)가 실장된 모니터 기판(29)은 프론트 케이스(22)에 대하여 복수의 나사(29A)에 의해 리어 케이스(23)와 함께 조여지는 것 외에, 도 4에 일부를 투과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니터 기판(29)에 설치한 부착부(29B)에 삽통되는 1개의 나사(29C)에 의해 리어 케이스(23)에 설치된 부착 보스(22C)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부착부(29B)는 커넥터(34)가 배치되는 장소에 근접해서 설치되어 있고, 모니터 기판(29)이 커넥터(34) 주위에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케이블(60B)측의 커넥터(60A)를 커넥터(34)로부터 분리할 경우에 모니터 기판(29)까지도 잡아 당겨져서 모니터 기판(29)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니터 기판(29)에 형성된 회로의 단선이나 전자 부품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모니터 장치를 유압 셔블(1)에 탑재한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 장치를 휠 로더 등의 다른 건설 기계나 포크리프트 등의 산업 차량에 탑재해도 좋다. 그리고, 포크리프트의 경우에서는 포크리프트 특유의 표시 내용, 예를 들면 포크 클로의 승강 방향이나, 포크 클로에 걸리는 부하, 주행륜에 걸리는 부하, 주행 속도, 또는 배터리 구동의 포크리프트에서는 배터리의 충전량, 전력 소비량 등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라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착부(40)에서는 측부 개구(42)에 대하여 도 4의 Y방향에 위치하는 면인 경사면부(46)가 도 4에 나타내는 X방향에 대하여 Y의 부의 방향으로 경사져 있었지만, 하면부(45)만을 경사시키거나 경사면부(46)에 추가해서 하면부(45)도 경사시키거나 해도 좋고, 또한 측부 개구(42)를 형성하는 대신에 측면부(23E)를 개구시키지 않고 경사면부(46)와 마찬가지인 경사면부를 형성해도 좋다.
모니터 장치(20)는 작업 차량에 탑재될 경우, 도 4에 나타내는 Z의 정방향이 지상에 대하여 위가 된다. 또한,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이나 휠 로더, 또는 옥외 작업에 사용되는 포크리프트 등, 작업 환경이 방진이나 방수의 면에서 엄격할 경우에는 상면부(44)를 대략 수평으로 형성하고, 상면부(44)와 배면부(23D)의 경계에 있는 변 가장자리를 배면부(23D)를 타고 떨어지는 빗물의 배수부로서 기능시켜서 빗물을 커넥터 장착부(40) 내로 진입시키지 않을 것이 요망된다. 이 때문에, 상기에는 하면부(45)에 경사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상면부(44)를 경사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단, 모니터 장치(20) 전체가 대시보드 등으로 덮이는 사양에서는 모니터 장치(20)에 빗물 등이 떨어질 걱정이 없고, 배면부(23D)를 타고 빗물이 상면부(44)를 통해서 커넥터 장착부(40) 내로 진입할 일도 없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측 커넥터의 삽입/분리 작업의 작업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상면부(44)를 경사시켜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장착부(40)가 리어 케이스(23)의 배면부(23D)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리어 케이스(23)의 측면부(23E)나 프론트 케이스(22)의 표면부(22B)에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34)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23A)가 커넥터 장착부(40)의 입면부(43)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그러한 입면부를 형성하지 않고 커넥터 장착부의 안쪽 전체를 개구부에서 차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유압 셔블이나 휠 로더 등의 건설 기계에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포크리프트 등의 산업 차량에도 이용할 수 있다.
1 : 작업 차량인 유압 셔블 20 : 모니터 장치
21 : 외장 케이스 23A : 개구부
23D : 제 1 면 형상부인 배면부 23E : 측면부
25 : 표시부인 액정 디스플레이 29 : 회로 기판인 모니터 기판
34 : 커넥터 38A : 표시면
40 : 커넥터 장착부 41 : 후부 개구
42 : 측부 개구 46 : 경사면부
47 : 측벽부 47A : 끝 가장자리.

Claims (7)

  1.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외부의 전기적인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측에 부착되는 리어 케이스로부터 구성된 수지제의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 케이스의 상기 회로 기판과 대향한 면 형상부에는 상기 커넥터측을 향해서 오목한 공간을 갖는 커넥터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부에는 상기 커넥터의 선단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면 형상부를 향해서 확개된 경사면부로 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회로 기판으로의 실장측은 상기 리어 케이스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 형상부는 배면부이고,
    상기 커넥터 장착부에는 상기 배면부 상에서 개구된 후부 개구와, 상기 배면부와 함께 상자형상을 형성하는 측면부 상의 상기 경사면부에 대향한 위치에서 개구되고 또한 상기 후부 개구와 연통된 측부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개구의 일부는 상기 측면부와 동일 높이의 면으로 된 측벽부에 의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측벽부의 끝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커넥터의 근방에서 상기 리어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6. 작업 차량의 오퍼레이터 시트의 근방에 탑재되는 모니터 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외부의 전기적인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측에 부착되는 리어 케이스로부터 구성된 수지제의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 케이스의 상기 회로 기판과 대향한 면 형상부에는 상기 커넥터측을 향해서 오목한 공간을 갖는 커넥터 장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부에는 상기 커넥터의 선단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면 형상부를 향해서 확개된 경사면부로 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회로 기판으로의 실장측은 상기 리어 케이스의 내부 공간 안에 배치되고,
    상기 면 형상부는 배면부이고,
    상기 커넥터 장착부에는 상기 배면부 상에서 개구된 후부 개구와, 상기 배면부와 함께 상자형상을 형성하는 측면부 상의 상기 경사면부에 대향한 위치에서 개구되고 또한 상기 후부 개구와 연통된 측부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측부 개구의 일부는 상기 측면부와 동일 높이의 면으로 된 측벽부에 의해 막히고,
    상기 표시부는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의 주위에 L자 형상으로 조작 버튼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니터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137003991A 2012-08-10 2012-11-08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 KR101492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9005 2012-08-10
JP2012179005A JP5526197B2 (ja) 2012-08-10 2012-08-10 モニ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車両
PCT/JP2012/079038 WO2014024331A1 (ja) 2012-08-10 2012-11-08 モニ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295A KR20140043295A (ko) 2014-04-09
KR101492883B1 true KR101492883B1 (ko) 2015-02-12

Family

ID=5006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991A KR101492883B1 (ko) 2012-08-10 2012-11-08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20393B2 (ko)
JP (1) JP5526197B2 (ko)
KR (1) KR101492883B1 (ko)
CN (1) CN103748624B (ko)
DE (1) DE112012006797T5 (ko)
WO (1) WO20140243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34064S1 (en) * 2014-04-17 2018-11-20 Deere & Company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JP6213526B2 (ja) * 2015-06-22 2017-10-1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US9883610B1 (en) 2016-09-29 2018-01-30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device filter door
CN110291257A (zh) * 2017-03-02 2019-09-27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CA3106884A1 (en) 2018-07-19 2020-01-23 Clark Equipment Company Display position for cab with overhead door
JP7483483B2 (ja) * 2020-04-30 2024-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6560A (ja) * 1995-07-25 1997-02-07 Sophia Co Ltd 制御回路装置
JPH11104328A (ja) * 1997-10-07 1999-04-20 Sophia Co Ltd 弾球遊技機
JP2001311941A (ja) * 2000-05-01 2001-11-09 Heiwa Corp 遊技機用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6711A (ja) * 1995-03-31 1996-10-15 Sankyo Kk 弾球遊技機
JP4086930B2 (ja) * 1997-03-15 2008-05-14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用基盤ボックス
JP2005085831A (ja) * 2003-09-05 2005-03-31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用筐体、およびこの電子機器用筐体を備えるプロジェクタ
JP2006211396A (ja) * 2005-01-28 2006-08-10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JP4749035B2 (ja) * 2005-05-24 2011-08-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モニタ装置
JP5112684B2 (ja) * 2006-12-25 2013-01-09 株式会社三共 基板収納ケース
JP2010181433A (ja) * 2009-02-03 2010-08-19 Canon Inc 薄型表示装置
JP2010256619A (ja) * 2009-04-24 2010-11-11 Canon Inc 薄型画像表示装置の放熱構造
JP5680936B2 (ja) 2009-11-30 2015-03-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車両用モニタ装置
JP5669520B2 (ja) * 2010-10-27 2015-02-12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6560A (ja) * 1995-07-25 1997-02-07 Sophia Co Ltd 制御回路装置
JPH11104328A (ja) * 1997-10-07 1999-04-20 Sophia Co Ltd 弾球遊技機
JP2001311941A (ja) * 2000-05-01 2001-11-09 Heiwa Corp 遊技機用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16060A1 (en) 2015-07-30
JP2014037680A (ja) 2014-02-27
US9820393B2 (en) 2017-11-14
WO2014024331A1 (ja) 2014-02-13
CN103748624B (zh) 2016-08-03
KR20140043295A (ko) 2014-04-09
DE112012006797T5 (de) 2015-05-07
JP5526197B2 (ja) 2014-06-18
CN103748624A (zh)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883B1 (ko)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
KR101783736B1 (ko)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및 건설기계
KR101492884B1 (ko)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
US8300097B2 (en) Monitor device for displaying work conditions
JP5680936B2 (ja) 車両用モニタ装置
CN102079275B (zh) 车辆用显示器装置
JP2009210772A (ja) 情報標示装置
JP5344247B2 (ja) 電子機器
JP2013244808A (ja) 作業車両
WO2011061858A1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263406B2 (ja) 電子機器
JP5832694B2 (ja) 車両用操作装置および自転車
JP2014037681A (ja) モニ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車両
JP5454583B2 (ja) 電子機器
CN220053909U (zh) 握把及营地车
CN216596516U (zh) 一种用于智能船的电控主机驱动器
JP5072259B2 (ja) 表示器保持部品及び携帯電子機器
CN2720516Y (zh) 存储介质固定装置及使用该固定装置的移动存储器
JP2002192985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289253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ヒューズユニットの配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