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884B1 -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884B1
KR101492884B1 KR1020137003983A KR20137003983A KR101492884B1 KR 101492884 B1 KR101492884 B1 KR 101492884B1 KR 1020137003983 A KR1020137003983 A KR 1020137003983A KR 20137003983 A KR20137003983 A KR 20137003983A KR 101492884 B1 KR101492884 B1 KR 101492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rubber frame
frame member
cas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293A (ko
Inventor
토모히로 사이토
마사히코 호사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43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50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60K2360/688
    • B60K2360/691
    • B60K2360/816
    • B60K2360/822
    • B60K2360/8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Abstract

모니터 장치(20)에 있어서, 표시부로서의 액정 디스플레이(25)와, 액정 디스플레이(25)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서라운딩면부(26B)를 가진 고무 프레임재(26)와, 고무 프레임재(26)가 부착된 액정 디스플레이(25)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프론트 케이스(22)를 구비하고, 고무 프레임재(26)에는 서라운딩면부(26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수용부의 내주면에 접촉해서 탄성 변형하는 돌기부(26C)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MONITOR AND WORKING VEHICLE PROVIDED WITH THE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에 관계되고, 특히 모니터 장치 내의 표시부의 유지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압 셔블 등의 캡(cab) 내에 탑재되는 모니터 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도 5, 도 6 참조). 이러한 모니터 장치는 엔진의 연료 잔량이나 배터리의 충전량 등, 여러 가지 정보를 액정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나 포크리프트 등의 산업 차량은 가동 중에 심한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모니터 장치 내부에 장착된 액정 디스플레이의 방진(防振)을 도모하여 내진 성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의 외주 부분을 고무 프레임으로 덮고 있어 고무 프레임의 탄성 변형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1-132800호 공보
그러나, 외주 부분이 고무 프레임으로 덮인 액정 디스플레이는 모니터 장치의 케이스에 설치된 수용부에 끼워넣기 어렵고, 조립성에 문제가 있다. 즉, 그러한 수용부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두께 정도의 깊이를 갖고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를 수용부에 수용할 때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측면을 덮는 고무 프레임이 수용부의 내주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큰 마찰 저항이 발생해서 액정 디스플레이를 케이스의 수용부에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없는 것이다.
또한, 고무 프레임과 수용부의 내주면의 접촉은 면 접촉이 되고, 간극 없이 서로 밀착하므로 진동시에는 오히려 고무 프레임이 변형되기 어려워져 진동을 충분하게 흡수할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건설 기계 등은 옥외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외기 온도의 고저차가 큰 장소에서 사용될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의 외부 프레임과 케이스의 수용부는 열팽창하거나 열수축한다. 그때, 액정 디스플레이의 외부 프레임(금속)과 케이스의 수용부(수지)는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팽창이나 수축의 정도가 다르고, 기온의 변화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의 외부 프레임과 케이스의 수용부의 접촉면에서의 접촉 압력이 변화되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외부 프레임과 케이스의 수용부 사이에 개재하게 되는 고무 프레임이 상기 접촉 압력의 변화를 흡수해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외부 프레임이나 케이스의 수용부의 파손을 막는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성, 내진 성능, 및 내열 성능을 종래보다 향상시킨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장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서라운딩면부(surrounding face)를 가진 고무 프레임재와, 상기 고무 프레임재가 부착된 상기 표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 프레임재에는 상기 서라운딩면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접촉해서 탄성 변형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장치에서는 상기 고무 프레임재는 상기 서라운딩면부와 연속해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측의 둘레 가장자리를 덮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측에는 금속제의 플래밍 케이스(framing case)가 설치되고, 상기 플래밍 케이스는 상기 표시 화면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대응해서 설치되는 프레임 형상부와, 상기 프레임 형상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의 각 측면에 록킹되는 록킹편부와, 상기 프레임 형상부 및 상기 록킹편부의 경계인 절곡부를 갖고, 상기 고무 프레임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래밍 케이스의 프레임 형상부 중 상기 절곡부 부근의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장치에서는 상기 고무 프레임재의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 보강용 리브의 근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장치에서는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은 상기 표시부를 수용하는 개구를 향함에 따라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장치에서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서라운딩면부의 폭 치수 내에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장치에서는 상기 돌기부의 단면 형상은 대략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장치는 작업 차량의 오퍼레이터 시트의 근방에 탑재되는 모니터 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서라운딩면부를 가진 고무 프레임재와, 상기 고무 프레임재가 부착된 상기 표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 프레임재에는 상기 서라운딩면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접촉해서 탄성 변형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측에는 금속제의 플래밍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플래밍 케이스는 상기 표시 화면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대응해서 설치되는 프레임 형상부와, 상기 프레임 형상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표시부의 각 측면에 록킹되는 록킹편부와, 상기 프레임 형상부 및 상기 록킹편부의 경계인 절곡부를 갖고, 상기 고무 프레임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래밍 케이스의 프레임 형상부 중 상기 절곡부 부근의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발명에 의한 작업 차량은 제 1 발명 내지 제 8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모니터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작업 차량이란 유압 셔블이나 휠 로더 등의 건설 기계, 및 포크리프트 등의 산업 차량을 포함한 개념의 차량을 말한다. 제 8 발명에서의 작업 차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 1 발명, 제 9 발명에 의하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고무 프레임재의 서라운딩면에는 수용부의 내주면과 접촉해서 탄성 변형하는 돌기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서라운딩면의 전역이 내주면과 접촉할 일은 없고, 표시부를 수용부 내에 수용할 때의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의 진동이나, 액정 디스플레이측과 케이스측의 열팽창 차를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어 내진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고무 프레임재에는 표시부의 표시 화면측의 둘레 가장자리를 덮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표시부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통상 사용되는 플래밍 케이스도 감출 수 있어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표시부에는 금속제의 플래밍 케이스가 설치되지만 이러한 플래밍 케이스에서는 프레임 형상부 및 록킹편부의 경계인 절곡부의 강성이 가장 크다. 이 때문에, 프레임 형상부 중 절곡부에 가까운 영역과 고무 프레임재의 돌출부를 대향시킴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표시부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는 표시부를 유지하기 위한 압박력이 강성이 큰 절곡부를 통해서 케이스에 전달되게 되고, 압박력에 의한 플래밍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표시부를 보다 큰 압박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고무 프레임재의 돌기부가 수용부에 설치된 리브의 근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돌기부를 통해서 수용부에 전달되는 수용부로의 압박력을 보강용 리브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어 수용부가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수용부의 내주면이 확장되어 있고, 수용부의 개구측이 넓고 안쪽으로 감에 따라 좁아지기 때문에 고무 프레임재가 부착된 액정 디스플레이를 수용부에 수용할 때 초기의 시점에서 스무스하게 수용할 수 있어서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한편 수용 종료 시점에서는 돌기부가 확실하게 찌부러져서 양호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돌기부가 서라운딩면부의 폭 치수 내에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표시부의 측방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그 진동이나 열팽창 차를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제 7 발명에 의하면, 돌기부의 단면 형상이 반원형상이기 때문에 돌기부가 선단측으로부터 탄성 변형했을 때의 탄성력을 서서히 발휘시킬 수 있고, 수용부로의 수용 도중에 돌기부와 수용부의 내주면의 마찰력이 갑자기 커져서 서라운딩면부가 말려올라간다고 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제 8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의 작용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으로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압 셔블을 오퍼레이터 시트측으로부터 전방측을 본 도면이다.
도 3은 유압 셔블에 탑재된 모니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액정 디스플레이 및 고무 프레임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수용부에 액정 디스플레이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수용부에 액정 디스플레이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으로서의 소형 유압 셔블(1)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유압 셔블(1)을 오퍼레이터 시트(6)측으로부터 전방측을 본 도면이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은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의 상부에 상부 선회체(3)를 선회 가능하게 탑재한 구성이며, 하부 주행체(2) 전방측에는 유압 액츄에이터에 의해 리프트 동작 가능한 블레이드(4)가 설치되고, 상부 선회체(3) 전방측에는 작업기(5)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5)는 붐, 암, 버킷을 각각 개별의 유압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하는 주지의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부 선회체(3)에는 오퍼레이터 시트(6)의 좌우 위치에 작업기 조작 레버(7, 7)가 설치되고, 플로어 전방측에 주행 레버(8, 8)나 붐 스윙용 조작 페달(9)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은 캐노피 사양이며, 오퍼레이터 시트(6)의 상부에는 상부 선회체(3)에 세워서 설치된 2개의 지주(11)에 의해 지지되는 루프(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유압 셔블(1)에 있어서 주행 레버(8)의 측방에는 플로어에 세워서 설치된 지지 프레임(13)에 지지되는 모니터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모니터 장치(20)의 위치는 일례로서 오퍼레이터 시트(6)의 우측에 있는 콘솔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
모니터 장치(20)는 상세하게는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하지만, 표시부로서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해서 구성되고, 복수의 조작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표시 내용을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내용으로서는 서비스 미터, 엔진 수온계, 엔진 연료계, 예열 모니터, 엔진 유압 모니터, 주행 증속(增速) 모니터, 전기 시스템 경고 모니터, 연비계, 현재 시각 등이다. 또한, 모니터 장치(20)는 액정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의 조작 스위치를 장착하여 표시 기능과 조작 기능을 일체화한 터치패널이라도 좋다. 또한, 표시부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외에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라도 좋다.
도 3은 모니터 장치(2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모니터 장치(20)는 각각 바닥이 있는 상자형상의 프론트 케이스(22) 및 리어 케이스(23)로 구성된 외장 케이스(21)를 구비한다. 프론트 케이스(22)는 정면부(22A)가 투명한 아크릴 수지, 그 이외의 측면부(22B)가 흑색의 AES(acrylonitrile/ethylene-propylene-diene/styrene) 수지로 이루어지는 2색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23)는 전체가 흑색의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의 성형품이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22) 및 리어 케이스(23)는 흑색이 아닌 다른 색이라도 좋다. AES 수지는 ABS 수지보다 내후성이 더욱 뛰어난 재료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는 바와 같은 작업 차량에 탑재되어 외계에 노출되는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는 그 프론트 케이스에 AES 수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론트 케이스(22)의 투명한 정면부(22A)의 이면측에는 직사각형상의 수용부(50)(도 4, 도 5, 도 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수용부(50) 내에는 박판 형상의 수지 프레임재(24)를 개재해서 액정 디스플레이(25)가 수용된다. 이때, 액정 디스플레이(25)의 외주를 형성하고 있는 금속제의 플래밍 케이스(25A)에는 탄성을 갖는 고무 프레임재(26)가 끼워넣어져 있고, 이 고무 프레임재(26)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25)에 가해지는 진동이 흡수되어 액정 디스플레이(25)의 내구성의 확보가 도모되고 있음과 아울러, 수지제의 프론트 케이스(22)와 금속제의 플래밍 케이스(25A)의 열팽창 차가 흡수되어 프론트 케이스(22)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25)의 파손 방지가 도모되게 되어 있다. 고무 프레임재(26)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조립된 모니터 장치(20)는 액정 디스플레이(25)의 표시면(38A)[피니셔 시트(38)의 표시면]과 조작 버튼(38B)[노브 스위치(37) 상에 피니셔 시트(38)가 덮이는 부분]은 거의 동일 평면 상으로 되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25)의 주위[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25)로부터 보았을 때, Y의 정방향측 및 Z의 부방향측의 위치]에는 L자 형상의 스위치 기판(27)이 배치된다. 또한, 표시면(38A)의 주위에 L자 형상으로 조작 버튼(도 3 참조)이 배치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도 3)에서는 세로로 4개, 가로로 4개의 조작 버튼을 배치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례이며, 이 조작 버튼의 수는 모니터 장치(20)의 기능에 따른 개수를 설치할 수 있다. 스위치 기판(27)은 조작 버튼의 위치 및 수에 따른 스위치(27B)(택트 스위치)가 마운팅된 것이며, 조작면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버튼(38B)을 누르면 노브 스위치(37)가 도 3에 나타내는 X의 부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노브 스위치(37)의 선단이 스위치 기판(27)에 마운팅된 스위치(27B)의 표면을 눌러서 스위치(27B)는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그 전기 신호는 모니터 기판(29)에 송신되고, 예를 들면 조작 버튼의 조작이 액정 디스플레이(25)의 화면을 소정의 화면으로 천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면, 모니터 기판(29)으로부터 화면 천이를 위한 제어 신호가 액정 디스플레이(25)에 일체로 장착된 도시하지 않은 구동 회로용 기판에 송신된다.
스위치 기판(27)은 정면부(22A)와 일체이고, 또한 리어 케이스(23)측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부착 보스(27C)(도 5) 상에 나사(27A)에 의해 나사 고정된다. 정면부(22A)에는 마찬가지인 복수의 다른 부착 보스(28B)(도 5)가 설치되고, 이들 부착 보스(28B) 상에는 수지제의 홀더(28)가 나사(28A)에 의해 나사 고정된다. 홀더(28)의 정면(도 3에 나타내는 X의 정방향)에는 고무제의 압박 부재(32)가 상하 좌우의 4개소에 이간되어서 부착되어 있다. 홀더(28)는 부착 보스(28B)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이들 압박 부재(32)를 통해서 액정 디스플레이(25)를 이면측(도 3에 나타내는 X의 부방향측)으로부터 압박하고, 수용부(50) 내에서 액정 디스플레이(25)가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유지하고 있다.
정면부(22A)의 네모서리 및 다른 1개소에는 별도의 부착 보스(29B)(도 5)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부착 보스(29B) 상에는 액정 디스플레이(25)용 전원 회로 및 제어 회로가 형성된 모니터 기판(29)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홀더(28)와 모니터 기판(29)은 소정의 간격(도 3에 나타내는 X방향으로 이간된 간격)으로 이간시켜서 배치된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한 각 부품이 프론트 케이스(22) 내에 수용되고, 그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23)가 우레탄제의 개스킷(31)을 개재해서 프론트 케이스(22)에 끼워넣어져 부착된다. 리어 케이스(23)는 모니터 기판(29)이 부착된 부착 보스(29B)에 대하여 나사(29A)에 의해 나사 고정되어 부착된다. 즉, 모니터 기판(29)은 리어 케이스(23)와 함께 조여지는 것이며, 부착 보스(29B)와 리어 케이스(23)의 나사 삽통부(23G)(도 3)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부착된다.
또한, 스위치 기판(27)과 모니터 기판(29)은 플랫 케이블(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모니터 기판(29)과 액정 디스플레이(25)에 일체로 장착된 구동 회로용 구동 기판(30)(도 5)은 플랫 케이블(35)에 의해 마찬가지로 접속된다. 또한, 구동 기판(30)은 모니터 기판(29)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아서 액정 디스플레이(25)에 어떤 색을 표시할 것인지와 같은 표시 제어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모니터 기판(29)의 이면측(도 3에 나타내는 X의 부의 방향측)에는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 및 신호 통신용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소켓)(34)가 실장되어 있다. 커넥터(34)는 리어 케이스(23)에 형성된 개구부(23A)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다. 리어 케이스(23) 내의 개구부(23A) 주위에는 우레탄제의 개스킷(36)이 부착되어 개구부(23A)와 커넥터(34)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막고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20)는 외부로부터의 물이나 먼지가 내부로 침입하지 않는 기밀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프론트 케이스(22)의 정면부(22A)에는 리어 케이스(23)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통 형상의 삽입부(37A)(도 5)가 설치되고, 이들 삽입부(37A)에는 정면측으로부터 노브 스위치(37)가 삽입된다. 노브 스위치(37)의 선단에는 스위치 기판(27)에 실장된 스위치(27B)가 위치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니셔 시트(38) 상으로부터 노브 스위치(37)를 압박 조작함으로써 스위치(27B)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액정 디스플레이(25)의 표시 내용을 스위칭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패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노브 스위치(37) 및 스위치(27B)의 기능이 터치패널 상에 설치되게 되기 때문에 노브 스위치(37)는 불필요해진다. 단, 터치패널에 기능을 갖게 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노브 스위치(37)에 특정한 기능을 갖게 하고, 터치패널과 노브 스위치(37) 및 스위치(27B)를 병존시킨 모니터 장치(20)라도 좋다.
정면부(22A)에는 그러한 노브 스위치(37)까지도 덮도록 수지제의 피니셔 시트(38)가 부착된다.
이상에 설명한 각 부품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프레임재(24)부터 모니터 기판(29)까지의 각 부품이 프론트 케이스(22) 내에 수용되지만, 이들 중 모니터 기판(29)에 실장된 커넥터(34)만이 프론트 케이스(22)로부터 도 3에서 나타내는 X의 부의 방향[리어 케이스(23)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조립된 모니터 장치(20)에 있어서 리어 케이스(23)는 그 내부에 대용량의 내부 공간을 갖고 있지만, 이 내부 공간 내에는 커넥터(34)만이 위치하고 대부분이 그대로의 공간으로서 존재한다. 즉, 리어 케이스(23)의 큰 내부 공간은 리어 케이스(23)의 표면부(23B)의 표면적을 의도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생긴 공간이며, 표면부(23B)의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모니터 기판(29)이나 액정 디스플레이(25)로부터 발생한 열이 표면부(23B)를 통해서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열되게 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23)의 큰 내부 공간은 모니터 장치(20)로서는 도 3에 나타내는 X방향으로 치수가 커지게 되지만, 작업 차량을 사용한 굴삭 작업 등의 작업 중의 오퍼레이터의 시선 방향은 X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모니터 장치(20)가 도 3에 나타내는 Y방향 또는 Z방향으로 커지지 않으면 작업 중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의 시계를 방해받게 되지 않아 작업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4는 액정 디스플레이(25) 및 고무 프레임재(26)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25)는 그 정면측에 금속제의 플래밍 케이스(25A)를 구비하고 있다. 플래밍 케이스(25A)는 아연 도금 강판 등의 금속판을 프레스 등에 의한 펀칭 가공 후에 절곡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제작되고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25)의 정면측인 표시 화면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대응해서 설치된 프레임 형상부(25B)와, 프레임 형상부(25B)로부터 절곡되어서 액정 디스플레이(25)의 각 측면에 록킹되는 록킹편부(25C)와, 그 절곡된 부분인 절곡부(25D)를 갖는다.
한쪽의 고무 프레임재(26)는 플래밍 케이스(25A)의 프레임 형상부(25B)에 부착되도록 해서 액정 디스플레이(25)의 표시 화면측의 둘레 가장자리를 덮는 돌출부(26A)와, 돌출부(26A)에 대하여 일체로 성형되어서 액정 디스플레이(25) 둘레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서라운딩면부(26B)를 구비한다. 고무 프레임재(26)의 재질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니트릴 고무가 사용된다. 이밖에 실리콘 고무 등, 공업용 제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서라운딩면부(26B)의 각 측면의 표면에는 액정 디스플레이(25)의 수용부(50)로의 수용 방향을 따른 2개의 돌기부(26C)가 서로 이간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수용 방향이란 고무 프레임재(26)를 액정 디스플레이(25)에 부착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도 3에 나타내는 X방향)이다. 각 돌기부(26C)는 서라운딩면부(26B)의 폭 치수와 같은 길이 치수를 갖고, 상기 폭 치수 내에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고무 프레임재(26)가 부착된 액정 디스플레이(25)를 수용부(50) 내에 수용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돌기부(26C)는 수용부(50)의 내주면(53)과의 접촉 부분에 있어서 찌부러진 상태로 접촉하고 있다. 내주면(53)과 서라운딩면부(26B)의 표면[돌기부(26C)를 제외한 표면]은 접촉하고 있지 않다. 즉, 고무 프레임재(26)와 수용부(50)의 내주면(53)은 8개소의 돌기부(26C)에 의해 접촉하고 있고, 고무 프레임재(26)가 부착된 액정 디스플레이(25)를 수용부(50) 내에 수용할 때 돌기부(26C)와 내주면(53)이 최소한의 접촉 면적으로 접촉하면서 수용되기 때문에 매끄럽게 액정 디스플레이(25)를 수용부(50)에 수용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고무 프레임재(26)를 사용함으로써 고무 프레임재(26)가 부착된 액정 디스플레이(25)를 수용부(50)에 수용할 때의 마찰 저항이 현격히 낮아져서 조립성이 뛰어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25)가 수용부(50)에 수용되고, 모니터 장치(20)로서 제작되어 유압 셔블(1)에 탑재되고, 모니터 장치(20)의 외부로부터 진동이 전파되어도 돌기부(26C)가 탄성재이기 때문에 수용부(50) 내에서의 액정 디스플레이(25)가 받는 진동을 고무 프레임재(26)의 전체에서 흡수할 수 있고, 모니터 장치(20)의 내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외기 온도의 변화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25)측의, 예를 들면 플래밍 케이스(25A)와 수용부(50)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의 정도의 차가 재질의 차이로부터 발생한다. 즉, 열의 영향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25)의 플래밍 케이스(25A)와 수용부(50)의 내주면(53)의 접촉력이 바뀐다. 그러나, 접촉력의 변화에 따라 돌기부(26C)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접촉력의 변화가 발생해도 접촉력을 완화하고, 액정 디스플레이(25)나 프론트 케이스(22)의 수용부(5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평면으로 볼 때에 직사각형상으로 된 수용부(50)의 양쪽의 단변측에는 홀더(28)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보스(28B)가 근접해서 설치되고, 이들 부착 보스(28B)는 수용부(50)를 외측으로부터 보강하는 리브(54)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수용부(50)의 한쪽의 장변측에는 노브 스위치(37)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부(37A)와의 사이에서 리브(55)가 설치되어 보강되고 있다. 다른쪽의 장변측에는 대향하는 벽부(22D)와의 사이에서 리브(56)가 설치되어 보강되고 있다. 그리고, 고무 프레임재(26)의 돌기부(26C)는 그러한 리브(54∼56)의 근방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6C)가 리브(54∼56)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돌기부(26C)를 통해서 수용부(50)측으로 전달되는 압박력을 리브(54∼56)에 의해 확실하게 받아내어 수용부(50)가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형되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도 6은 수용부에 액정 디스플레이(25)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의 VI-VI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서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50)의 정면부(22A)의 내면(57)에는 수지 프레임재(24)가 부착되고, 수지 프레임재(24)의 배면측에는 고무 프레임재(26)의 돌출부(26A) 전역이 밀착하여 수지 프레임재(24)가 완충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여기에서, 수지 프레임재(24)는 액정 디스플레이(25)의 플래밍 케이스(25A)를 숨기도록 설치되어 있고, 모니터 장치(20)의 외부로부터 플래밍 케이스(25A)를 보이기 어렵게 함으로써 의장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고무 프레임재(26)의 돌출부(26A)는 그 폭 치수(W1)가 플래밍 케이스(25A)의 프레임 형상부(25B)의 폭 치수(W2)보다 대폭으로 작다(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W2=2×W1이다). 이 결과, 돌출부(26A)는 플래밍 케이스(25A)의 프레임 형상부(25B) 중 록킹편부(25C)와의 경계인 절곡부(25D) 부근의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25D)에 가까운 부분에서 수지 프레임재(24)와의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제작된 플래밍 케이스(25A)는 절곡부(25D)에서의 강성이 가장 크다. 따라서, 이러한 절곡부(25D)에 가까운 위치의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에 돌출부(26A)의 폭 치수(W1)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25)를 수용부(50)에 수용하여 조립될 때의 압박력이 액정 디스플레이(25)측으로부터 고무 프레임재(26) 및 수지 프레임재(24)를 통해서 정면부(22A)에 전달되어도 플래밍 케이스(25A)의 강성이 큰 곳에서 압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플래밍 케이스(25A)의 변형 등이 방지되고, 보다 큰 압박력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25)를 확실하게 프론트 케이스(22)에 유지한 모니터 장치(20)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령 외기 온도의 변화에 의해 각 부재의 열팽창이 일어나서 압박력이 커져도,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26A)의 범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플래밍 케이스(25A)의 강성이 높은 곳에 압박력은 작용된다. 따라서, 외기 온도의 변화가 있어도 플래밍 케이스(25A)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확대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 프레임재(26)의 돌기부(26C)는 단면 형상(끝면 형상도 동일)이 대략 반원형을 하고 있다. 수용부(50)의 내주면(53)은 배면측(도면 중의 상방측)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도록 경사져(도 7에 나타내는 A) 있다. 이 때문에, 단면 반원형으로 된 돌기부(26C)는 수용부(50)의 안쪽인 정면부(22A)에 가까운 측에서 크게 탄성 변형하여 단면이 찌부러지는 한편, 수용부(50)의 개구측(도면 중의 상방측)에서는 선 접촉에 가까운 상태가 되어 탄성 변형의 양이 작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고무 프레임재(26)를 부착한 액정 디스플레이(25)를 수용부(50) 내에 수용시켜 조립할 때 수용부(50) 내에 밀어넣어 가는 초기의 시점에서는 고무 프레임재(26)의 돌기부(26C)의 변형량이 적어서 스무스하게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고무 프레임재(26)를 부착한 액정 디스플레이(25)를 수용부(50) 내에 밀어넣어 감에 따라 수용부(50)의 안쪽의 개구 면적은 좁아지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고무 프레임재(26)를 부착한 액정 디스플레이(25)가 수용부(50)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돌기부(26C)와 수용부(50)의 내주면(53)의 접촉면에는 소정의 접촉력이 작용하여 확실하게 액정 디스플레이(25)가 유지되게 된다. 또한, 내주면(53)의 경사(A)의 테이퍼 각은 프론트 케이스(22)를 수지 성형에 의해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대한 드래프트로서 부여되는 각도보다 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 방향을 따라 돌기부(26C)의 탄성 변형량을 다르게 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부여된 각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모니터 장치를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유압 셔블(1)에 탑재한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 장치를 휠 로더 등의 다른 건설 기계나 포크리프트 등의 산업 차량과 같은 작업 차량에 탑재해도 좋다. 그리고, 포크리프트의 경우에서는 포크리프트 특유의 표시 내용, 예를 들면 포크클로의 승강 방향이나, 포크클로에 걸리는 부하, 주행륜에 걸리는 부하, 주행 속도, 또는 배터리 구동의 포크리프트에서는 배터리의 충전량, 전력 소비량 등을 표시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무 프레임재(26)의 돌기부(26C)는 서라운딩면부(26B)의 폭 치수와 같은 길이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었지만, 그러한 폭 치수보다 짧은 길이 치수, 예를 들면 폭 치수의 1/2 이하의 길이 치수 등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돌기부(26C)를 돌출부(26A)측에 근접시켜서 형성함으로써 수용부(50)에서의 액정 디스플레이(25)의 유지력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기부(26C)를 서라운딩면부(26B)의 폭 치수 내에서 불연속으로 형성하고, 그들을 직선 형상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거나 도트 형상으로 형성해서 분산 배치하거나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돌기부(26C)의 단면 형상은 반원형에 한하지 않고 단면 사다리꼴 형상이거나, 단면 삼각형상, 또는 단면 사각형 등이거나 해도 좋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돌기부의 수나 형상 등은 그 실시에 있어서 임의로 결정되어도 좋은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유압 셔블이나 휠 로더 등의 건설 기계에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포크리프트 등의 산업 차량에도 이용할 수 있다.
1 : 작업 차량인 유압 셔블 20 : 모니터 장치
25 : 표시부인 액정 디스플레이
22 : 수용부를 가진 케이스인 프론트 케이스
26 : 고무 프레임재 26A : 돌출부
26B : 서라운딩면부 26C : 돌기부
25A : 플래밍 케이스 25B : 프레임 형상부
25C : 록킹편부 25D : 절곡부
53 : 내주면 54, 55, 56 : 리브

Claims (9)

  1.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서라운딩면부를 가진 고무 프레임재와,
    상기 고무 프레임재가 부착된 상기 표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 프레임재에는 상기 서라운딩면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접촉해서 탄성 변형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무 프레임재의 돌기부는 상기 돌기부와 대향하는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과는 반대측 면측에 설치된 수용부 보강용 리브의 근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프레임재는 상기 서라운딩면부와 연속해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측의 둘레 가장자리를 덮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측에는 금속제의 플래밍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플래밍 케이스는 상기 표시 화면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대응해서 설치되는 프레임 형상부와, 상기 프레임 형상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표시부의 각 측면에 록킹되는 록킹편부와, 상기 프레임 형상부 및 상기 록킹편부의 경계인 절곡부를 갖고,
    상기 고무 프레임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래밍 케이스의 프레임 형상부 중 상기 절곡부 부근의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은 상기 표시부를 수용하는 개구를 향함에 따라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서라운딩면부의 폭 치수 내에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단면 형상은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8. 작업 차량의 오퍼레이터 시트의 근방에 탑재되는 모니터 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서라운딩면부를 가진 고무 프레임재와,
    상기 고무 프레임재가 부착된 상기 표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 프레임재에는 상기 서라운딩면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접촉해서 탄성 변형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무 프레임재의 돌기부는 상기 돌기부와 대향하는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과는 반대측 면측에 설치된 수용부 보강용 리브의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고무 프레임재는 상기 서라운딩면부와 연속해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측의 둘레 가장자리를 덮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측에는 금속제의 플래밍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플래밍 케이스는 상기 표시 화면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대응해서 설치되는 프레임 형상부와, 상기 프레임 형상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표시부의 각 측면에 록킹되는 록킹편부와, 상기 프레임 형상부 및 상기 록킹편부의 경계인 절곡부를 갖고,
    상기 고무 프레임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래밍 케이스의 프레임 형상부 중 상기 절곡부 부근의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니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137003983A 2012-08-10 2012-10-18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 KR101492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9007 2012-08-10
JP2012179007A JP5611290B2 (ja) 2012-08-10 2012-08-10 モニ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車両
PCT/JP2012/076975 WO2014024329A1 (ja) 2012-08-10 2012-10-18 モニ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293A KR20140043293A (ko) 2014-04-09
KR101492884B1 true KR101492884B1 (ko) 2015-02-12

Family

ID=5006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983A KR101492884B1 (ko) 2012-08-10 2012-10-18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09348B2 (ko)
JP (1) JP5611290B2 (ko)
KR (1) KR101492884B1 (ko)
CN (1) CN103748625B (ko)
DE (1) DE112012006802T5 (ko)
WO (1) WO2014024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6056B1 (en) 2015-07-17 2022-10-12 Crown Equipment Corpor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dustrial vehicle
US9790874B2 (en) 2016-01-19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mitigating wet-fouling of spark plugs
JP6690863B2 (ja) * 2016-12-12 2020-04-28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機器
US10933814B2 (en) 2018-07-19 2021-03-02 Clark Equipment Company Display position for cab with overhead door
DE102020212990A1 (de) * 2020-10-14 2022-04-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zeige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160A (ja) * 1993-12-29 1995-08-04 Fujitsu Kiden Ltd Lcdユニット
JP2000156569A (ja) * 1998-11-19 2000-06-06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の緩衝構造
JP2001117076A (ja) * 1999-10-13 2001-04-27 Citizen 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装置の位置決め構造
JP2011132800A (ja) * 2009-11-30 2011-07-07 Komatsu Ltd 車両用モニ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22458A1 (de) * 1986-07-04 1987-01-02 H Peter Dipl Ing Nardin Die ausbildung einer armaturentafel in einem kraftfahrzeug
JP3540176B2 (ja) * 1998-11-13 2004-07-07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4553283B2 (ja) * 2000-08-25 2010-09-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保持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2365613A (ja) * 2001-06-12 2002-12-18 Sony Corp カメラ装置における液晶表示パネルの支持機構
CN2842627Y (zh) * 2005-08-22 2006-11-29 郭正韡 带摄像头的显示器
JP2009162919A (ja) * 2007-12-28 2009-07-23 Orion Denki Kk 表示装置
JP5703688B2 (ja) * 2009-11-02 2015-04-22 東洋製罐株式会社 マイクロ波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マイクロ波プラズマ処理方法
CN102079275B (zh) * 2009-11-30 2014-06-11 株式会社小松制作所 车辆用显示器装置
US8665586B2 (en) * 2010-11-18 2014-03-04 Delta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160A (ja) * 1993-12-29 1995-08-04 Fujitsu Kiden Ltd Lcdユニット
JP2000156569A (ja) * 1998-11-19 2000-06-06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の緩衝構造
JP2001117076A (ja) * 1999-10-13 2001-04-27 Citizen 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装置の位置決め構造
JP2011132800A (ja) * 2009-11-30 2011-07-07 Komatsu Ltd 車両用モニ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4329A1 (ja) 2014-02-13
JP2014037682A (ja) 2014-02-27
CN103748625B (zh) 2016-06-29
US9109348B2 (en) 2015-08-18
DE112012006802T5 (de) 2015-05-28
CN103748625A (zh) 2014-04-23
US20140240638A1 (en) 2014-08-28
KR20140043293A (ko) 2014-04-09
JP5611290B2 (ja)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884B1 (ko)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
JP5689167B2 (ja) 画像表示部保護パネルユニット及び画像表示部保護パネル保持構造
KR101492883B1 (ko) 모니터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차량
JP5159357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を備えた自転車および表示装置の回路基板の保持方法
US103796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base member
US8957867B2 (en) Haptic operating device
CN103946941A (zh) 照明、防水、防尘的开关元件
JP2014532973A5 (ko)
US9131608B2 (en) Waterproof type electronic apparatus
US9215806B2 (en) Monitor and working vehicle provided with the monitor
JP2013244808A (ja) 作業車両
JP3759561B2 (ja) 携帯電話機
CN112946939A (zh) 显示装置
JP5072259B2 (ja) 表示器保持部品及び携帯電子機器
JP2016031834A (ja) 電子機器
JP3583958B2 (ja) 表示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JP6651129B2 (ja) 電子機器
JP4849949B2 (ja) 表示器保持部品、携帯電子機器及び表示器保持部品の組み付け方法
JP2002192985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CN112397327A (zh) 电子钥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