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760B1 - 적층체 - Google Patents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760B1
KR101492760B1 KR1020137015398A KR20137015398A KR101492760B1 KR 101492760 B1 KR101492760 B1 KR 101492760B1 KR 1020137015398 A KR1020137015398 A KR 1020137015398A KR 20137015398 A KR20137015398 A KR 20137015398A KR 101492760 B1 KR101492760 B1 KR 101492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colored
component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182A (ko
Inventor
고지 가케히다
세이이치 오노우에
히로후미 구로다
메구미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프 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프 컨설턴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프 컨설턴트
Publication of KR20130114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Abstract

우수한 미관성을 가짐과 동시에, 태양광 조사시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적층체를 얻는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장식층과 기층이 적층된 적층체로서, 상기 장식층이, 착색 입자, 및, 평균 1차 입자경이 1 nm∼200 nm인 실리카를 함유하고, 상기 착색 입자가, 무기질 입자의 표면에 금속 산화물을 부착시킨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층체{LAMINATE BODY}
본 발명은 신규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적층체는, 예컨대 건축물의 외벽면 등에 적용하는 건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건축물 외장 등에 이용하는 건재에는, 경관상의 관점에서 미관성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건재로서는, 예컨대 천연석을 이미지한 것 등이 주목되고 있으며, 비교적 두께가 있고, 여러가지 요철 패턴에 의해 중후감이 부여된 것 등도 채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도시에서는, 콘크리트 건조물이나 냉방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인공 방사열 등에 의해, 도시의 독특한 기후가 만들어지고 있다. 특히, 여름철 도시에서의 옥외의 온도 상승은 현저하여, 열섬 현상이라고 불리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건축물 외장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여러가지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예컨대 특허문헌 1에서는, 차열 골재를 함유하는 도포재가 기재 상에 도포된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 이 재료에서는, 골재 표면에 열반사 안료를 부착시킨 차열 골재가 채용되고 있어, 열반사 안료가 근적외선 반사 작용을 발휘함으로써, 온도 저감 효과가 발휘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1758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재료의 표면은, 골재에서 유래되는 미세한 요철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 오목부에는 오염 물질이 부착되기 쉽다. 특히 도시에서는, 자동차 등으로부터의 배출 가스로 인해, 대기중에 유성의 오염 물질이 부유하고 있기 때문에, 오염이 진행되기 쉬운 상황에 있다. 이러한 오염 물질은, 미관성 저하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태양광 중의 적외선 흡수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축열장으로서 작용하여, 온도 상승을 조장할 우려가 있다. 게다가, 이러한 오염 물질에서 기인하는 과도한 온도 상승은, 재료 열화 등의 원인이 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우수한 미관성을 가짐과 동시에, 태양광 조사시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그것을 유지할 수 있는 적층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장식층과 기층이 적층된 적층체로서, 상기 장식층이, 특정한 착색 입자, 및 특정한 평균 입자경을 갖는 실리카를 함유하는 적층체에 상도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적층체는, 장식층과 기층이 적층된 적층체로서, 상기 장식층이, 착색 입자, 및 평균 1차 입자경이 1 nm∼200 nm인 실리카를 함유하고, 상기 착색 입자가, 무기질 입자의 표면에 금속 산화물을 부착시킨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 장식층이, 착색층의 단독층, 또는 착색층 상에 투명층이 적층된 층이고, 상기 착색층이, 합성 수지 및 상기 착색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투명층이 합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 착색층이, 상기 착색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합성 수지를 고형분 중량 비율로 3∼5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 착색층의 단독층이, 상기 착색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실리카를 0.003∼5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 착색층의 표면이, 상기 착색 입자에서 유래되는 미시적인 요철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 착색층의 표면이, 또한, 거시적인 요철 모양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 투명층이, 상기 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합성 수지를 고형분 중량 비율로 5∼50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공 방법은, 상기 적층체를, 접착제를 통해 기재에 점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적층체는, 하기의 특징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기층 상에 착색층이 적층된 적층체로서, 상기 착색층은, 착색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합성 수지 에멀션을 고형분 중량 비율로 3∼50 중량부, 평균 1차 입자경 1∼200 nm의 수분산성 실리카를 고형분 중량 비율로 0.003∼50 중량부 포함하고, 그 층의 표면이 상기 착색 입자에서 유래되는 미시적인 요철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착색 입자는, 무기질 입자의 표면에 금속 산화물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기층 상에 착색층이 적층된 적층체로서, 상기 착색층은, 착색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합성 수지 에멀션을 고형분 중량 비율로 3∼50 중량부, 평균 1차 입자경 1∼200 nm의 수분산성 실리카를 고형분 중량 비율로 0.003∼50 중량부 포함하고, 그 층의 표면이 상기 착색 입자에서 유래되는 미시적인 요철 형상을 갖고, 또한 거시적인 요철 모양을 갖고 있으며, 상기 착색 입자는, 무기질 입자의 표면에 금속 산화물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는, 착색층 상에 투명층이 적층된 적층체로서, 상기 착색층은, 착색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합성 수지를 고형분 중량 비율로 3∼50 중량부 포함하고, 그 층의 표면이 상기 착색 입자에서 유래되는 미시적인 요철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기 착색 입자는, 무기질 입자의 표면에 금속 산화물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투명층은, 평균 1차 입자경 1∼200 nm의 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합성 수지를 고형분 중량 비율로 5∼50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착색층 상에 투명층이 적층된 적층체로서, 상기 착색층은, 착색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합성 수지를 고형분 중량 비율로 3∼50 중량부 포함하고, 그 층의 표면이 상기 착색 입자에서 유래되는 미시적인 요철 형상을 갖고, 또한 거시적인 요철 모양을 갖고 있으며, 상기 착색 입자는, 무기질 입자의 표면에 금속 산화물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투명층은, 평균 1차 입자경 1∼200 nm의 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합성 수지를 고형분 중량 비율로 5∼50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기층 상에 특정한 착색 입자 및 특정한 실리카를 포함하는 착색층이 적층된 것으로, 착색층의 색채에 의해 미관성이 부여된다. 또한, 착색층의 적외선 반사성, 오염 방지성 등의 상승 작용에 의해, 태양광 조사시의 온도 상승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착색층의 오염 방지 작용에 의해, 착색층 표면은, 착색층의 색채 등에 기초하는 미관성이 장기간에 걸쳐 유지되고, 오염 물질의 부착에서 기인하는 온도 상승도 장기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는, 특정한 착색 입자를 포함하는 착색층 상에, 특정한 실리카를 포함하는 투명층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착색층의 색채에 의해 미관성이 부여된다. 또한, 착색층의 적외선 반사성, 투명층의 오염 방지성 등의 상승 작용에 의해, 태양광 조사시의 온도 상승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러한 작용에 추가하여, 본 발명에서는 착색층의 적외선 반사 작용에 의해, 투명층의 온도 상승도 억제된다. 만일 투명층이 과도하게 온도 상승하면, 투명층에 포함되는 합성 수지의 연화에 의해 본래의 오염 방지 작용이 발휘되지 않거나, 내구성 저하에 의해 오염 방지 작용이 조기에 손상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착색층의 작용에 의해, 투명층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고, 충분한 오염 방지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발휘된다. 이에 따라, 착색층의 색채 등에 기초하는 미관성이 장기간에 걸쳐 유지되고, 오염 물질의 부착에서 기인하는 온도 상승도 장기간 회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장식층과 기층이 적층된 적층체로서, 상기 장식층이, 착색 입자, 및 평균 1차 입자경이 1 nm∼200 nm인 실리카를 함유하고, 상기 착색 입자가, 무기질 입자의 표면에 금속 산화물을 부착시킨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 장식층이, 착색층의 단독층, 또는 착색층 상에 투명층이 적층된 층이고, 상기 착색층이, 합성 수지 및 상기 착색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투명층이 합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장식층이 착색층의 단독층인 경우, 착색층이, 합성 수지, 착색 입자, 및 평균 1차 입자경이 1 nm∼200 nm인 실리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식층이 착색층 상에 투명층이 적층된 층인 경우, 착색층이, 합성 수지 및 착색 입자를 함유하고, 투명층이, 합성 수지, 및 평균 1차 입자경이 1 nm∼200 nm인 실리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장식층은, 특정한 착색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적층체에 의장성이나 적외선 반사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특정한 실리카를 함유함으로써, 오염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어, 바람직한 양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의 (A)착색 입자(이하 「(A)성분」이라고도 함)는, (a1)무기질 입자(이하 「(a1)성분」이라고도 함)의 표면에, (a2)금속 산화물(이하 「(a2)성분」이라고도 함)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A)성분은, 평균 입자경이 작은 일반적인 착색 안료 등을 사용한 경우와 달리, (A)성분의 소점(小點)이 다채로운 모양으로서 시인되어, 우수한 색조나 질감을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A)성분은, 착색층 표면에 미시적인 요철을 형성하여, 입체적인 의장의 부여에도 기여하는 것이다.陶土
이러한 (A)성분을 구성하는 (a1)성분으로는, 그 재질이 무기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천연품, 인공품의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마이카, 카올린, 클레이, 도토(陶土), 차이나 클레이, 탈크,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패각, 바라이트 가루, 대리석, 어영석, 사문암, 화강암, 형석, 한수석, 장석, 규석, 규사 등의 분쇄물, 도자기 분쇄물, 세라믹 분쇄물, 유리 비드, 유리 분쇄물, 금속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1)성분의 표면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a2)성분은, (a1)성분의 표면을 착색하는 것이다. (a2)성분으로는, 예컨대, 스칸듐, 티탄, 바나듐, 크롬, 망간, 철, 코발트, 니켈, 구리 등의 천이 금속 원소 ; 홀뮴,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에르븀 등의 희토류 원소 ; 금, 백금, 은, 팔라듐, 로듐 등의 귀금속 원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혹은 이들 금속 산화물의 복합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복합 산화물로서는, 상기 금속 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규소, 알루미늄, 지르코늄, 아연, 납, 안티몬 및 주석 등의 금속 산화물 ;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 등의 알칼리 토류금속 산화물 ; 붕소, 인 등의 무기 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산화물의 복합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상기 (a2)성분을 가짐으로써, (A)성분은 미관성이 우수한 색조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고, 우수한 적외선 반사 작용을 발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A)성분은, 상기 (a1)성분의 표면에, 상기 (a2)성분이 부착되어 있으면 된다. 이 때, 상기 (a1)성분과 상기 (a2)성분이 직접 부착된 것이어도 좋고, 바인더 성분을 통해 부착된 것이어도 좋다. 바인더 성분으로서는, 유기계, 무기계, 유기-무기 복합계 등,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규산염, 알루미늄염, 인산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기계 바인더가 바람직하다.
(A)성분은, 평균 입자경 22∼600 ㎛의 착색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A)성분 중에, 평균 입자경 22 ㎛ 이상 150 ㎛ 미만의 착색 입자(A1)이 1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성분 중의 상기 착색 입자(A1)의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0∼60 중량%이다.
또한, (A)성분 중에, 평균 입자경 150 ㎛ 이상 212 ㎛ 미만의 착색 입자(A2)가 10∼4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성분 중의 상기 착색 입자(A2)의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5 중량%이다.
또한, (A)성분 중에, 평균 입자경 212 ㎛ 이상 600 ㎛ 미만의 착색 입자(A3)이 10∼4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성분 중의 상기 착색 입자(A3)의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5 중량%이다.
이러한 입도 분포를 갖는 (A)성분은, 평균 입자경이 상이한 적어도 2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3종 이상의 착색 입자를 조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적합한 양태로서는, 평균 입자경 53 ㎛ 이상 125 ㎛ 미만의 착색 입자와, 평균 입자경 125 ㎛ 이상 500 ㎛ 미만의 착색 입자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보다 적합한 양태로서는, 평균 입자경 53 ㎛ 이상 125 ㎛ 미만의 착색 입자와, 평균 입자경 125 ㎛ 이상 212 ㎛ 미만의 착색 입자와, 평균 입자경 212 ㎛ 이상 500 ㎛ 미만의 착색 입자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 (A)성분의 평균 입자경은, JIS Z8801-1 : 2000에 규정되는 금속제 망체를 이용하여 체분리를 행하고, 그 중량 분포의 평균치를 산출함으로써 얻어지는 값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A)성분의 입도 구성에 의해, 미관성을 한층더 높일 수 있고, 또한, 적층체의 온도 상승 억제, 열화 방지(팽창 등의 방지) 등의 면에서도 유리하다. 이 작용 기구는 명확하지 않지만, 착색층에 있어서 (A)성분이 조밀하게 응집하여, (A)성분끼리의 간극이 감소한 양태가 되고, 그 결과 이하와 같은 작용이 생기는 것으로 추정된다.
·착색층의 표면 부근에서의 광의 확산 반사 작용이 높아진다.
·착색층 표면에서의 요철의 정도가 완화되어, 축열원이 되는 오염 물질이 한층더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A)성분의 열전도성에 의해, 착색층의 열확산 작용이 높아져, 국소적인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착색층에서의 (B)합성 수지(이하, 「(B)성분」이라고도 함)는, 상기 (A)성분을 고정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B)성분으로는, 예컨대, 아크릴수지, 실리콘수지, 아크릴실리콘수지, 불소수지, 아세트산비닐수지, 아크릴·아세트산비닐수지, 염화비닐수지, 우레탄수지, 아크릴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알키드수지, 폴리비닐알콜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에틸렌수지, 폴리비닐알콜,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B)성분의 형태로서는, 수분산형(합성 수지 에멀션), 수가용형, 비수분산형, 용제 가용형, 무용제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액형, 2액형 등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B)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6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3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20℃이다. (B)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가 이러한 범위인 경우, 적절한 가요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B)성분으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비교적 낮은 것을 사용해도, 투명층의 작용에 의해 충분한 오염 방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유리 전이 온도는 Fox의 계산식에 의해 구해지는 값이다.
(B)성분의 비율은, 고형분 환산으로, (A)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3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4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중량부 이상 19 중량부 이하이다. 이러한 비율이면, (A)성분의 질감을 살린 의장성이 부여되고, 나아가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착색층이 충분한 수증기 투과성을 갖기 때문에, 착색층의 팽창 등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착색층에서의 (B)합성 수지(이하, 「(B)성분」이라고도 함)는, 상기 (A)성분을 고정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B)성분으로서, 합성 수지 에멀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B)성분으로는, 예컨대, 각종 중합성 모노머를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B)성분을 구성하는 중합성 모노머 성분으로는, 예컨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또는 그 모노알킬에스테르, 이타콘산 또는 그 모노알킬에스테르, 푸마르산 또는 그 모노알킬에스테르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
N-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비닐에테르, N-(2-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미드, N-(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
비닐피리딘 등의 피리딘계 모노머 ;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 ;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계 모노머 ;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기 함유 모노머 ;
스티렌, 2-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t-부틸스티렌, 클로르스티렌, 비닐아니솔, 비닐나프탈렌, 디비닐벤젠 등의 방향족 모노머 ;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말레산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디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
아크롤레인, 다이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메틸케톤, 비닐에틸케톤, 비닐부틸케톤 등의 카르보닐기 함유 모노머 ;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γ-(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 ;
염화비닐리덴, 불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비닐리덴계 모노머 ;
그 밖에,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렌, 부타디엔, 비닐피롤리든, 염화비닐, 비닐에테르, 비닐케톤, 비닐아미드, 클로로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중합성 모노머로서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D)성분(평균 1차 입자경 1∼200 nm의 실리카)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도포막 물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B)성분의 최저 조막(造膜) 온도는,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통상은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B)성분의 최저 조막 온도가 이러한 범위 내이면, 내균열성 등의 도포막 물성을 확보하면서, 내오염성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B)성분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합성 수지 에멀션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유화 중합, 소프 프리 유화 중합, 분산 중합, 피드 유화 중합, 피드 분산 중합, 시드 유화 중합, 시드 분산 중합 등을 채용할 수 있다.
(B)성분의 평균 입자경은, 통상 0.05∼0.3 ㎛ 정도이다. (B)성분 전량 중의 고형분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0∼60 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B)성분이 합성 수지 에멀션인 경우, 가교 반응형 합성 수지 에멀션, 코어셸형 합성 수지 에멀션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합성 수지 에멀션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 중, 가교 반응형 합성 수지 에멀션에서의 가교 반응으로서는, 예컨대 카르복실기와 금속 이온, 카르복실기와 카르보디이미드기,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 카르복실기와 아지리딘기, 카르복실기와 옥사졸린기, 수산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르보닐기와 히드라지드기, 에폭시기와 히드라지드기, 에폭시기와 아미노기, 가수분해성 실릴기끼리 등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이 중 적합한 가교 반응으로서는,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 카르복실기와 옥사졸린기, 카르보닐기와 히드라지드기, 에폭시기와 히드라지드기, 가수분해성 실릴기끼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B)성분은, 후술하는 (D)성분(평균 1차 입자경 1∼200 nm의 실리카)과 반응 가능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B)성분으로서는, 예컨대, (D)성분에 존재하는 실란올기와 반응 가능한, 수산기, 가수분해성 실릴기 등(바람직하게는, 가수분해성 실릴기)의 작용기를 갖는 합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B)성분이 합성 수지 에멀션인 경우, (D)성분으로서, 평균 1차 입자경 1∼200 nm의 수분산성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B)성분과 (D)성분이 화학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내균열성 등의 도포막 물성을 확보하면서, 내오염성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의 (D)성분은, 평균 1차 입자경 1∼200 nm의 실리카이고, 바람직하게는 수분산성 실리카이다. (D)성분을 구성하는 입자는, 실리카를 주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경도가 높고, 또한 그 입자 표면에 실란올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D)성분은, 내오염성의 향상 효과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다.
(D)성분의 평균 1차 입자경은, 1차 입자경으로서 통상 1∼200 nm, 바람직하게는 3∼10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5∼6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 nm이다. 평균 1차 입자경이 지나치게 큰 경우, 형성 도포막의 외관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평균 1차 입자경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내오염성에 있어서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평균 1차 입자경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실리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D)성분의 입자경은, 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
(D)성분의 pH는, 통상 pH 5 이상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6 이상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 9 이하이다. 이러한 pH로 조제된 (D)성분은, 그 입자 표면의 풍부한 실란올기에 의해, 친수성을 발휘할 수 있고, 내오염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D)성분은, 예컨대, 규산소다, 규산리튬, 규산칼륨, 실리케이트 화합물을 원료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중, 실리케이트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n-프로폭시실란, 테트라이소프로폭시실란, 테트라n-부톡시실란, 테트라이소부톡시실란, 테트라sec-부톡시실란, 테트라t-부톡시실란, 테트라페녹시실란 등, 혹은 이들의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실리케이트 화합물 이외의 알콕시실란 화합물이나, 알콜류, 글리콜류, 글리콜에테르류, 불소알콜, 실란 커플링제,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화합물 등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제조시에는 촉매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조 과정 내지 제조 후에, 촉매 등에 포함되는 금속을 이온 교환 처리 등에 의해 제거할 수도 있다.
(D)성분의 매체로서는, 물 및/또는 수용성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용제로서는, 예컨대, 알콜류, 글리콜류, 글리콜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매체가 물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D)성분을 사용함으로써, 피복재의 저휘발성 유기 용제(저VOC)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B)성분(바람직하게는, 합성 수지 에멀션)과 혼합했을 때의 응집물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
(D)성분의 고형분은, 통상 5∼6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0∼5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0 중량%이다. (D)성분의 고형분이 이러한 범위 내이면, (D)성분 자체의 안정성, 나아가 (B)성분(바람직하게는, 합성 수지 에멀션)과 (D)성분을 혼합했을 때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고형분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D)성분 자체가 불안정화되거나, (B)성분과의 혼합시에 피복재가 불안정화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고형분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충분한 내오염 효과를 얻기 위해 다량의 (D)성분을 혼합해야 해서, 그다지 실용적이지는 않다.
(A)성분, (B)성분의 혼합 비율은, 고형분 환산으로, (A)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B)성분이 통상 3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6 중량부 이상 19 중량부 이하이다. 또한, (A)성분, (D)성분의 혼합 비율은, 고형분 환산으로, (A)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D)성분이 통상 0.003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이다. 이러한 혼합 비율이면, (A)성분의 질감을 살린 의장성이 부여되고, 나아가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착색층이 충분한 수증기 투과성을 갖기 때문에, 착색층의 팽창 등도 방지할 수 있다.
착색층에 있어서는, 상기 성분에 추가하여, (C)광안정제(이하 「(C)성분」이라고도 함)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C)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후술하는 투명층과 우수한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C)성분으로서는,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비스(2,2,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톡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2-(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n-부틸말론산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C)성분의 비율은, (A)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 중량부이다.
또한, 착색층에 있어서는, 상기 성분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정도로, 1 ㎛ 미만의 유리 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1 ㎛ 미만의 유리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태양광 조사시의 온도 상승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층에서는, 의장성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상기 성분 이외의 유색 내지 무색의 각종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입자로서는, 예컨대 착색 안료, 광휘성 안료, 형광 안료, 체질 안료, 골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착색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히 저해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으로는, 예컨대, 가소제, 방조제(防藻劑), 항균제, 소취제, 흡착제, 난연제, 섬유,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층은, 그 표면에, 상기 (A)성분에서 유래되는 미시적인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미시적인 요철은, (A)성분의 평균 입자경이나 응집 상태 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1.5 mm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mm 이상 1.2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mm 이상 1 m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 mm 이상 0.8 mm 이하)의 고저차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착색층으로서는, 전술한 미시적인 요철에 추가하여, 거시적인 요철 모양을 더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착색층이 이러한 양태인 경우에, 특히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거시적인 요철 모양은, 착색층에 입체감을 부여한다. 이 거시적인 요철 모양은, 전술한 미시적인 요철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10 mm(보다 바람직하게는 1.5 mm 이상 8 mm 이하)의 고저차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고저차를 갖는 요철 모양으로서는, 예컨대, 유자 껍질 모양, 잔물결 모양, 치장 벽토(stucco) 모양, 사벽 모양, 석재 모양, 바위 표면 모양, 사암 모양, 블로우다운 모양, 월면 모양, 빗질된 모양, 벌레먹은 모양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층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0.5 mm∼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m∼8 mm이다. 이러한 범위의 경우, 조각이 깊은 요철 모양(거시적인 요철 모양)의 형성에 유리하여, 입체감이 있는 우수한 의장성이 얻어지기 쉽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최표면에 투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투명층으로서는, (E)평균 1차 입자경 1∼200 nm의 실리카(이하 「(E)성분」이라고도 함)가 (F)합성 수지(이하 「(F)성분」이라고도 함)로 고정화된 것이다.
투명층에서의 (E)성분은, 입자 자체의 경도가 높고, 또한 입자 표면에 실란올기를 많이 갖는 것 등에 의해, 우수한 오염 방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E)성분의 평균 1차 입자경은, 통상 1∼200 nm, 바람직하게는 3∼10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5∼60 nm이다. 이 범위 내이면, 평균 1차 입자경이 상이한 복수의 실리카를 병용할 수도 있다. (E)성분의 평균 1차 입자경이 200 nm보다 큰 경우에는, 비표면적이 작아지고, 실란올기도 감소하기 때문에 오염 방지성이 불충분해진다. 평균 1차 입자경이 1 nm보다 작은 경우에는, 실리카 자체가 불안정화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 또, 여기서 말하는 평균 1차 입자경은, 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
이러한 (E)성분으로서는, 실리카졸에서 유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pH 5 이상 12 이하(바람직하게는 6 이상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 9 이하)의 수분산성 실리카졸에서 유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분산성 실리카졸은, 예컨대, 규산소다, 규산리튬, 규산칼륨, 실리케이트 화합물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중, 실리케이트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n-프로폭시실란, 테트라이소프로폭시실란, 테트라n-부톡시실란, 테트라이소부톡시실란, 테트라sec-부톡시실란, 테트라t-부톡시실란, 테트라페녹시실란 등, 혹은 이들의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실리케이트 화합물 이외의 알콕시실란 화합물이나, 알콜류, 글리콜류, 글리콜에테르류, 불소알콜, 실란 커플링제,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화합물 등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E)성분을 고정화하는 (F)성분으로서는, 각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B)성분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수용성 수지 및/또는 수분산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F)성분의 비율은, (E)성분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5∼5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1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 중량부이다. 이러한 비율인 것에 의해, 착색층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충분한 오염 방지 효과가 얻어지고, 온도 상승 억제의 면에서도 유리하다. 게다가, 이러한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발휘된다. 또한, 착색층의 수증기 투과성이 저해되지 않아, 팽창 방지 등의 면에서도 유리하다. (E)성분의 열전도성에 기초하는 열확산 작용에 의해, 국소적인 온도 상승도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투명층에 있어서는, 상기 성분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정도로, 1 ㎛ 미만의 유리 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1 ㎛ 미만의 유리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태양광 조사시의 온도 상승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층은, 상기, (E)성분, (F)성분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정도로,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가소제, 방조제, 항균제, 소취제, 흡착제, 난연제, 섬유,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촉매, 광휘성 안료, 형광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투명층은, 착색층의 전면을 피복하는 형태이면 된다. 투명층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고형분 환산으로, 바람직하게는 0.1∼50 g/m2,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0 g/m2이다. 이러한 투명층은, 착색층 상부에서의 개개의 착색 입자의 표면, 착색 입자의 근방, 착색 입자끼리의 간극 등을 포함하는 착색층 전체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층은, 미시적인 요철 형상의 오목부에 편재된 양태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는, 착색층의 미관성을 저해하지 않고, 오염 방지, 온도 상승 억제 등의 효과를 한층더 높일 수 있다. 게다가, 그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발휘할 수 있다. 그 작용 기구는 명확하지 않지만, 이하와 같은 점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착색층 표면의 요철이 완화되어, 오염 물질 등의 부착이 억제된다.
·착색층 표면에서의 착색 입자와 합성 수지의 계면이 보강된다.
·오목부에서는, 막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침식 등의 영향을 잘 받지 않게 된다.
(기층)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예컨대, 착색층의 내부 내지 이면에 기층을 적층할 수 있다. 기층에 이용하는 재료로서는, 가요성, 수증기 투과성 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직포, 부직포, 메시, 크로스 등의 섬유질 재료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섬유질 재료로서는, 두께 0.05∼1.5 mm(보다 바람직하게는 0.1∼1.2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2∼1 mm), 평량 5∼300 g/m2,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0 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20∼200 g/m2)의 무기 섬유를 포함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섬유질 재료는, 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처리액에 의해 피복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가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섬유질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적층체의 균열 방지성 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적층체를 외벽면 등에 시공했을 때, 적층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적층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착색층 상에 상기 투명층이 적층되는 한, 그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하기 (1) 또는 (2)와 같이, 착색층을 형성한 후, 착색층 상에 투명층을 형성하는 제조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투명층이 착색층의 전면을 피복함과 동시에, 미시적인 요철 형상의 오목부에 편재된 양태가 얻어지기 쉬워, 본 발명의 효과 발현의 면에서도 적합하다. 또, 하기 (2)에서는, 기층 상에 착색층 및 투명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층 상에 상기 착색층이 적층되는 한, 그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하기 (3), (4)의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하기 (4)와 같이 기층 상에 착색층을 형성하는 제조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착색층의 최표면 전체가, (B)성분, (D)성분을 포함하는 박막으로 덮이고, 또한 그 박막이, 미시적인 요철 형상의 오목부에 편재된 양태가 얻어지기 쉬워, 본 발명의 효과 발현의 면에서도 적합하다.
(1) 이형성 하지 상에, (A)착색 입자 및 (B)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착색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착색층을 형성한 후, (E)실리카 및 (F)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투명층을 형성하고, 경화 후에 이형성 하지를 제거하고, 그 후, 접착제 등으로 기층을 적층하는 방법.
(2)기층 상에, (A)착색 입자 및 (B)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착색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착색층을 형성한 후, (E)실리카 및 (F)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투명층을 형성하는 방법.
(3)이형성 하지 상에, (A)성분, (B)성분 및 (D)성분을 포함하는 착색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착색층을 형성한 후, 기층을 적층하고, 경화 후에 이형성 하지를 제거하는 방법.
(4)기층 상에, (A)성분, (B)성분 및 (D)성분을 포함하는 착색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착색층을 형성하는 방법.
상기 (1), (3)에서의 이형성 하지로서는, 경화 후에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컨대, 실리콘 수지제, 우레탄 수지제, 금속제 등의 몰드, 혹은 이형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4)에서는, 이형성 하지 또는 기층을 수평으로 설치하고, 그 위에 착색층용 조성물 및 투명층용 조성물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4)에 있어서, 착색층용 조성물, 투명층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히 저해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공지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증점제, 조막 조제, 레벨링제, 습윤제, 가소제, 동결 방지제, pH 조정제, 방부제, 방미제, 방조제, 항균제, 소취제, 분산제, 소포제, 흡착제, 난연제, 착색 안료, 체질 안료, 섬유, 발수제,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4)에 있어서, 착색층용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는, 예컨대, 스프레이, 롤러, 흙손, 레시프로케이터, 코터, 유입기 등의 공지된 도포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층용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는, 예컨대, 스프레이, 롤러 등의 공지된 도포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4)에 있어서, 착색층용 조성물, 투명층용 조성물의 건조는, 각각 별도로 행해도 좋고, 착색층용 조성물이 미건조인 상태에서 투명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동시에 행해도 좋다. 건조는, 상온에서 행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로서는 40℃ 이상 170℃ 미만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층에 거시적인 요철 모양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이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가) 착색층용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 모양 도포를 행한다.
(나) 착색층용 조성물을 균일하게 도포 후, 미경화 상태에서 그 일부를 제거하거나, 가압하거나 한다.
(다) 착색층용 조성물의 경화 후, 그 표면을 부분적으로 절삭한다.
상기 (가)에서는, 도포 기구의 종류와 그 사용 방법을 적절하게 선정하거나, 착색층용 조성물의 점성을 조정하거나 함으로써, 여러가지 요철 모양이 얻어진다.
상기 (나)에서는, 착색층용 조성물이 건조될 때까지, 그 도포면을 디자인 롤러, 흙손, 솔, 빗, 주걱, 스탬프, 엠보스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제거 또는 가압 처리함으로써, 여러가지 요철 모양이 얻어진다.
상기 (다)에서는, 연마구, 절삭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 및/또는 (나)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가)에서는, 착색층용 조성물의 구슬 형상물을 가속시켜 도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서는, 원심력, 풍압 등을 이용하여 착색층용 조성물을 구슬 형상으로 내뿜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에서는, 착색층용 조성물의 도포면을 가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착색층용 조성물을 도포 후, 그 도포면을 엠보스 가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A)성분이 조밀하게 응집되기 쉬워,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기 쉽다. 또한, (B)성분, (D)성분을 포함하는 박막이 착색층의 최표면에 형성되기 쉬워,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기 쉽다.
<적층체의 시공 방법>
본 발명 적층체는, 주로 건축물의 외장 건재로서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적층체의 시공에 있어서는, 기재인 건축물 외장면(하지)에 대하여 적층체를 점착하면 된다. 이러한 기재(하지)로서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섬유 혼입 시멘트판, 시멘트 규산칼슘판, 슬래그 시멘트 펄라이트판, 석고 보드, 타일, ALC판, 사이딩판, 압출 성형판, 강판, 플라스틱판, 목질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하지는, 필러, 퍼티, 시일러 등으로 처리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 적층체를 기재(하지)에 점착할 때에는, 예컨대, 접착제, 점착제, 점착 테이프, 못, 압정 등을 이용하면 된다. 그 밖에, 핀, 파스너, 레일 등을 이용하여 고정화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접착제를 통해 기재(하지)에 점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적층체는, 적절한 수증기 투과성을 갖기 때문에, 접착제를 통해 기재(하지)에 점착한 경우, 접착제의 건조성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적층체를 접착제로 점착할 때에는, 인접하는 적층체끼리를 맞대어 점착하거나, 적층체를 소정 간격으로 점착하여 줄눈을 형성하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가 적층체 사이에서 노출되도록 적층체를 점착함으로써, 용이하게 줄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층체를 점착하는 간격(줄눈폭)은, 바람직하게는 1∼30 mm 정도이면 된다. 이러한 범위이면, 줄눈 모양을 살린 장식 마무리가 얻어진다. 줄눈부의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 주걱 등으로 평활 처리해도 좋다. 또, 접착제를 경화시킬 때의 분위기 온도는,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통상은 상온이면 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한다.
(착색층용 조성물 I-1∼I-9)
표 1에 나타내는 배합에 따라, 각 원료를 상법에 의해 혼합·교반함으로써 착색층용 조성물 I-1∼I-9를 제조했다. 또, 원료로서는 이하의 것을 사용했다.
·착색 입자 1 : 규석의 표면에 복합 산화물(산화망간·산화코발트·산화철)이 부착된 흑색 입자(평균 입자경 90 ㎛)
·착색 입자 2 : 규석의 표면에 복합 산화물(산화망간·산화코발트·산화철)이 부착된 흑색 입자(평균 입자경 160 ㎛)
·착색 입자 3 : 규석의 표면에 복합 산화물(산화망간·산화코발트·산화철)이 부착된 흑색 입자(평균 입자경 300 ㎛)
·착색 입자 4 : 규석의 표면에 산화철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이 부착된 갈색 입자(평균 입자경 80 ㎛)
·착색 입자 5 : 규석의 표면에 산화철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이 부착된 갈색 입자(평균 입자경 170 ㎛)
·착색 입자 6 : 규석의 표면에 산화철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이 부착된 갈색 입자(평균 입자경 280 ㎛)
·착색 입자 7 : 규석의 표면에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이 부착된 백색 입자(평균 입자경 95 ㎛)
·착색 입자 8 : 규석의 표면에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이 부착된 백색 입자(평균 입자경 140 ㎛)
·착색 입자 9 : 규석의 표면에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이 부착된 백색 입자(평균 입자경 350 ㎛)
·합성 수지 1(아크릴수지 에멀션, 고형분 50 중량%, 유리 전이 온도 0℃)
·광안정제(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또, 착색층용 조성물 I-5의 착색 입자 중, 평균 입자경 22 ㎛ 이상 150 ㎛ 미만의 착색 입자(A1)은 40 중량%, 평균 입자경 150 ㎛ 이상 212 ㎛ 미만의 착색 입자(A2)는 30 중량%, 평균 입자경 212 ㎛ 이상 600 ㎛ 미만의 착색 입자(A3)은 30 중량%였다.
착색층용 조성물 I-6의 착색 입자 중, (A1)은 45 중량%, (A2)는 31 중량%, (A3)은 24 중량%였다.
착색층용 조성물 I-7 중의 착색 입자 중, (A1)은 52 중량%, (A2)는 22 중량%, (A3)은 26 중량%였다.
착색층용 조성물 I-8 및 I-9는, 착색층용 조성물 I-5와 동일했다.
(투명층용 조성물)
투명층용 조성물로서는,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투명층용 조성물 1
실리카(수분산성 실리카졸, pH 7.6, 평균 1차 입자경 27 nm) : 아크릴 실리콘 폴리머(메틸메타크릴레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γ-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공중합 수지, 유리 전이 온도 18℃) = 100 : 60(고형분 중량비)의 수분산액.
·투명층용 조성물 2
실리카(수분산성 실리카졸, pH 7.3, 평균 1차 입자경 43 nm) : 아크릴 실리콘 폴리머(메틸메타크릴레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γ-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공중합 수지, 유리 전이 온도 18℃) = 100 : 38(고형분 중량비)의 수분산액.
·투명층용 조성물 3
실리카(수분산성 실리카졸, pH 7.8, 평균 1차 입자경 12 nm) : 아크릴 실리콘 폴리머(메틸메타크릴레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γ-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공중합 수지, 유리 전이 온도 18℃) = 100 : 72(고형분 중량비)의 수분산액.
·투명층용 조성물 4
실리카(수분산성 실리카졸, pH 7.6, 평균 1차 입자경 27 nm) : 아크릴 실리콘 폴리머(메틸메타크릴레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γ-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공중합 수지, 유리 전이 온도 18℃) = 100 : 320(고형분 중량비)의 수분산액.
·투명층용 조성물 5
아크릴 실리콘 폴리머(메틸메타크릴레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γ-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공중합 수지, 유리 전이 온도 18℃)의 수분산액.
(시험예 I-1)
기층(유리 부직포 : 두께 0.4 mm, 평량 50 g/m2) 상에, 착색층용 조성물 I-1을, 건조 두께가 2 mm가 되도록 코터로 도포하고, 60℃하에서 60분간 건조시켰다. 계속해서, 투명층용 조성물 1을, 건조 후의 고형분 중량이 5 g/m2가 되도록 스프레이 도장 후, 80℃하에서 60분간 건조시켜, 적층체 I-1을 얻었다. 착색층에서의 미시적 요철의 고저차는 0.2 mm였다.
얻어진 적층체 I-1에 관해 이하의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시험 방법)
전술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적층체를, 오염 물질 현탁액(농도 1 중량%)에 2시간 침지하고, 끌어올려 표준 상태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수세·건조시켰다. 이상의 처리를 행한 적층체에 대하여, 적외선 램프를 50 cm의 거리로부터 조사하여, 온도 상승이 평형에 도달했을 때의 시험체의 이면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 상승 억제성을 평가했다. 평가는, 온도가 55.0℃ 미만인 것을 「A」, 55.0℃ 이상 57.5℃ 미만인 것을 「A’」, 57.5℃ 이상 60.0℃ 미만인 것을 「B」, 60.0℃ 이상 62.5℃ 미만인 것을 「B’」, 62.5℃ 이상 65.0℃ 미만인 것을 「C」, 65.0℃ 이상인 것을 「C’」로 했다.
(시험예 I-2∼I-5)
착색층용 조성물 I-1을 착색층용 조성물 I-2∼I-5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시험예 I-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적층체 I-2∼I-5를 제작했다(착색층에서의 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2 mm).
얻어진 적층체에 관해, 시험예 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I-6∼I-7)
투명층용 조성물 1을 투명층용 조성물 2∼3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시험예 I-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적층체 I-6∼I-7을 제작했다(착색층에서의 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2 mm).
얻어진 적층체에 관해, 시험예 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I-8)
기층(유리 부직포 : 두께 0.4 mm, 평량 50 g/m2) 상에, 착색층용 조성물 I-5를, 건조 두께가 4 mm가 되도록 코터로 도포하고, 60℃하에서 10분간 건조시킨 후, 엠보스 가공하여 표면에 사암조의 요철 모양(고저차 3 mm)을 형성했다(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1 mm). 계속해서, 투명층용 조성물 1을, 건조 후의 고형분 중량이 5 g/m2가 되도록 스프레이 도장 후, 80℃하에서 60분간 건조시켜, 적층체 I-8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 I-8에 관해, 시험예 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9)
착색층용 조성물 I-5를 착색층용 조성물 I-8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시험예 I-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체 I-9를 제작했다(요철 모양의 고저차 3 mm, 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1 mm).
얻어진 적층체 I-9에 관해, 시험예 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I-10)
기층(유리 부직포 : 두께 0.4 mm, 평량 50 g/m2) 상에, 착색층용 조성물 5를, 풍압을 이용하여 구슬 형상으로 내뿜어, 건조 두께 1∼3 mm(고저차 2 mm)의 요철 모양을 형성하고, 60℃하에서 60분간 건조시켰다(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1 mm). 계속해서, 투명층용 조성물 1을, 건조 후의 고형분 중량이 5 g/m2가 되도록 스프레이 도장 후, 80℃하에서 60분간 건조시켜, 적층체 I-10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 I-10에 관해, 시험예 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I-11)
착색층용 조성물 I-5를 착색층용 조성물 I-9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시험예 I-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체 I-11을 제작했다(요철 모양의 고저차 2 mm, 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1 mm).
얻어진 적층체 I-11에 관해, 시험예 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I-12)
투명층용 조성물 1을 투명층용 조성물 4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시험예 I-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체 I-12를 제작했다(요철 모양의 고저차 2 mm, 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1 mm).
얻어진 적층체 I-12에 관해, 시험예 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I-13)
기층(유리 부직포 : 두께 0.4 mm, 평량 50 g/m2) 상에, 착색층용 조성물 I-5, I-6, I-7을 각각 풍압을 이용하여 구슬 형상으로 내뿜어, 건조 두께 1∼3 mm(고저차 2 mm)의 요철 모양을 형성하고, 60℃하에서 60분간 건조시켰다(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1 mm). 계속해서, 투명층용 조성물 1을, 건조 후의 고형분 중량이 5 g/m2가 되도록 스프레이 도장 후, 80℃하에서 60분간 건조시켜, 적층체 I-13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 I-13에 관해, 시험예 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I-14)
기층(유리 부직포 : 두께 0.4 mm, 평량 50 g/m2) 상에, 착색층용 조성물 I-1을, 건조 두께가 2 mm가 되도록 코터로 도포하고, 60℃하에서 60분간 건조 후, 다시 80℃하에서 60분간 건조시켜, 적층체 I-14를 얻었다(착색층에서의 요철의 미시적 고저차 0.2 mm).
얻어진 적층체 I-14에 관해, 시험예 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I-15)
투명층용 조성물 1을 투명층용 조성물 5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시험예 I-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체 I-15를 제작했다(착색층에서의 요철의 미시적 고저차 0.2 mm). 얻어진 적층체 I-15에 관해, 시험예 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I-16)
전술한 적층체 I-10 및 적층체 I-11을, 촉진 내후성 시험기로 1200시간 노출 후, 시험예 I-1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노출 후의 적층체 I-10은 「B」, 노출 후의 적층체 I-11은 「A」의 평가가 되었다.
Figure 112013052990216-pct00001
Figure 112013052990216-pct00002
(착색층용 조성물 II-1∼II-10)
표 3에 나타내는 배합에 따라, 각 원료를 통상법에 의해 혼합·교반함으로써 착색층용 조성물 II-1∼II-10을 제조했다. 원료로는 이하의 것을 사용했다. 또, 착색 입자로는, 상기 착색 입자 1∼9를 사용했다.
·합성 수지 에멀션 1 : 아크릴수지 에멀션(메틸메타크릴레이트-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pH 8.7, 고형분 50 중량%, 유리 전이 온도 15℃, 최저 조막 온도 19℃)
·합성 수지 에멀션 2 : 아크릴수지 에멀션(메틸메타크릴레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γ-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메타크릴산 공중합체, pH 8.9, 고형분 50 중량%, 유리 전이 온도 23℃, 최저 조막 온도 25℃)
·수분산성 실리카 1 : 실리카졸(pH 7.6, 고형분 20 중량%, 평균 1차 입자경 27 nm)
·수분산성 실리카 2 : 실리카졸(pH 9.3, 고형분 20 중량%, 평균 1차 입자경 20 nm)
·수분산성 실리카 3 : 실리카졸(pH 9.5, 고형분 40 중량%, 평균 1차 입자경 20 nm)
또, 착색층용 조성물 II-5의 착색 입자 중, 평균 입자경 22 ㎛ 이상 150 ㎛ 미만의 착색 입자(A1)은 40 중량%, 평균 입자경 150 ㎛ 이상 212 ㎛ 미만의 착색 입자(A2)는 30 중량%, 평균 입자경 212 ㎛ 이상 600 ㎛ 미만의 착색 입자(A3)은 30 중량%였다.
착색층용 조성물 II-7의 착색 입자 중, (A1)은 45 중량%, (A2)는 31 중량%, (A3)은 24 중량%였다.
착색층용 조성물 II-8 중의 착색 입자 중, (A1)은 52 중량%, (A2)는 22 중량%, (A3)은 26 중량%였다.
착색층용 조성물 II-6, II-9 및 II-10은, 착색층용 조성물 II-5와 동일했다.
(시험예 II-1)
기층 A(유리 부직포 : 두께 0.4 mm, 평량 50 g/m2) 상에, 착색층용 조성물 II-1을, 건조 두께가 2 mm가 되도록 코터로 도포하고, 60℃하에서 60분간 건조시켜, 적층체 II-1을 얻었다. 착색층에서의 미시적 요철의 고저차는 0.2 mm였다.
얻어진 적층체 II-1에 관해 이하의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적외선 반사성 시험)
전술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적층체를, 오염 물질 현탁액(농도 1 중량%)에 2시간 침지하고, 끌어올려 표준 상태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수세·건조시켰다. 이상의 처리를 행한 적층체에 대하여, 적외선 램프를 50 cm의 거리로부터 조사하여, 온도 상승이 평형에 도달했을 때의 시험체의 이면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 상승 억제성을 평가했다. 평가는, 온도가 55.0℃ 미만인 것을 「A」, 55.0℃ 이상 57.5℃ 미만인 것을 「A’」, 57.5℃ 이상 60.0℃ 미만인 것을 「B」, 60.0℃ 이상 62.5℃ 미만인 것을 「B’」, 62.5℃ 이상 65.0℃ 미만인 것을 「C」, 65.0℃ 이상인 것을 「C’」로 했다.
(시험예 II-2∼II-5)
착색층용 조성물 II-1을 착색층용 조성물 2∼5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적층체 II-2∼II-5를 제작했다(착색층에서의 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2 mm).
얻어진 적층체에 관해, 시험예 I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시험예 II-6)
기층 A 상에, 착색층용 조성물 II-5를, 건조 두께가 4 mm가 되도록 코터로 도포하고, 60℃하에서 10분간 건조시킨 후, 엠보스 가공하여 표면에 사암조의 요철 모양을 형성하여, 적층체 II-6을 제작했다(요철 모양의 고저차 3 mm, 착색층에서의 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1 mm).
얻어진 적층체 II-6에 관해, 시험예 I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시험예 II-7)
착색층용 조성물 II-5를 착색층용 조성물 II-6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시험예 II-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체 II-7을 제작했다(요철 모양의 고저차 3 mm, 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1 mm).
얻어진 적층체 II-7에 관해, 시험예 I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시험예 II-8)
착색층용 조성물 II-5를 착색층용 조성물 II-9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시험예 II-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체 II-8을 제작했다(요철 모양의 고저차 3 mm, 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1 mm).
얻어진 적층체 II-8에 관해, 시험예 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시험예 II-9)
기층 A 상에, 착색층용 조성물 II-5를, 풍압을 이용하여 구슬 형상으로 내뿜어, 건조 두께 1∼3 mm(고저차 2 mm)의 요철 모양을 형성하고, 60℃하에서 60분간 건조시켜, 적층체 II-9를 제작했다(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1 mm).
얻어진 적층체 II-9에 관해, 시험예 I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시험예 II-10)
기층 A 상에, 착색층용 조성물 II-5, II-7, II-8을 각각 풍압을 이용하여 구슬 형상으로 내뿜어, 건조 두께 1∼3 mm(고저차 2 mm)의 요철 모양을 형성하고, 60℃하에서 60분간 건조시켜, 적층체 II-10을 제작했다(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1 mm).
얻어진 적층체 II-10에 관해, 시험예 I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시험예 II-11)
착색층용 조성물 II-1을 착색층용 조성물 II-10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시험예 II-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체 II-11을 제작했다(착색층에서의 미시적 요철의 고저차 0.2 mm). 얻어진 적층체 II-11에 관해, 시험예 II-1과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52990216-pct00003
Figure 112013052990216-pct00004

Claims (8)

  1. 장식층과 기층이 적층된 적층체로서,
    상기 장식층이, 착색 입자, 및 평균 1차 입자경이 1 nm∼200 nm인 실리카를 함유하고, 상기 착색 입자가, 무기질 입자의 표면에 금속 산화물을 부착시킨 것이고,
    상기 장식층이, 착색층의 단독층, 또는 착색층 상에 투명층이 적층된 층이고, 상기 착색층이, 합성 수지 및 상기 착색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투명층이 합성 수지를 함유하며,
    상기 착색층이, 상기 착색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합성 수지를 고형분 중량 비율로 3∼5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의 단독층이, 상기 착색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실리카를 0.003∼5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의 표면이, 상기 착색 입자에서 유래되는 미시적인 요철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의 표면이, 또한, 거시적인 요철 모양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이, 상기 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합성 수지를 고형분 중량 비율로 5∼50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8.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접착제를 통해 기재에 점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방법.
KR1020137015398A 2011-06-29 2012-06-28 적층체 KR101492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4225 2011-06-29
JPJP-P-2011-144225 2011-06-29
JPJP-P-2011-153670 2011-07-12
JP2011153670 2011-07-12
PCT/JP2012/066565 WO2013002335A1 (ja) 2011-06-29 2012-06-28 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182A KR20130114182A (ko) 2013-10-16
KR101492760B1 true KR101492760B1 (ko) 2015-02-12

Family

ID=47424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398A KR101492760B1 (ko) 2011-06-29 2012-06-28 적층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101492760B1 (ko)
CN (1) CN103313853B (ko)
HK (1) HK1184762A1 (ko)
MY (1) MY158501A (ko)
SG (1) SG191769A1 (ko)
WO (1) WO2013002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3882A (zh) * 2013-05-10 2013-08-14 苏州工业园区方圆金属制品有限公司 新型保温节能装饰用墙面砖
JP7404837B2 (ja) 2019-12-10 2023-12-26 Dic株式会社 積層体及び3次元意匠形成材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4665A (ja) * 2004-03-30 2005-11-10 Sumitomo Bakelite Co Ltd 化粧板用樹脂組成物、化粧板表層用材料、及び化粧板
JP2007032180A (ja) 2005-07-29 2007-02-08 Nichiha Corp 建築板の製造方法
JP2007118567A (ja) 2005-09-30 2007-05-17 Sk Kaken Co Ltd 塗膜積層体
JP2008132673A (ja) 2006-11-28 2008-06-12 Shizen Sozai Kenkyusho:Kk 化粧紙及び調湿化粧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1583B2 (ja) * 2000-08-11 2005-05-25 平岡織染株式会社 曝露汚れ防止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146962B2 (ja) * 2008-05-21 2013-02-20 平岡織染株式会社 遮熱性膜材料
JP2010220567A (ja) * 2009-03-24 2010-10-07 Sekisui Film Kk 遮熱性農業用フィルム
CN102069607B (zh) * 2009-10-27 2013-11-13 四国化研(上海)有限公司 层叠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4665A (ja) * 2004-03-30 2005-11-10 Sumitomo Bakelite Co Ltd 化粧板用樹脂組成物、化粧板表層用材料、及び化粧板
JP2007032180A (ja) 2005-07-29 2007-02-08 Nichiha Corp 建築板の製造方法
JP2007118567A (ja) 2005-09-30 2007-05-17 Sk Kaken Co Ltd 塗膜積層体
JP2008132673A (ja) 2006-11-28 2008-06-12 Shizen Sozai Kenkyusho:Kk 化粧紙及び調湿化粧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182A (ko) 2013-10-16
CN103313853B (zh) 2016-10-12
WO2013002335A1 (ja) 2013-01-03
MY158501A (en) 2016-10-14
HK1184762A1 (zh) 2014-01-30
SG191769A1 (en) 2013-08-30
CN103313853A (zh) 201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9829B2 (ja) 積層体
JP3992602B2 (ja) 断熱構造体
JP5478834B2 (ja) 水性被覆材
KR101492760B1 (ko) 적층체
JP5072685B2 (ja) 塗装体及びその形成方法
JP5565947B2 (ja) 硬化体
JP5797482B2 (ja) 積層体
JP5244258B2 (ja) 板状硬化体
JP5548440B2 (ja) 積層体
JP4033762B2 (ja) 被膜積層体の施工方法
JP2008274699A (ja) 壁面構造体
JP7144169B2 (ja) 面材
JP5439546B2 (ja) 積層体
JP5382934B2 (ja) 装飾材
JP4656896B2 (ja) 断熱性塗膜の形成方法
JP5439547B2 (ja) 積層体
JP2007290377A (ja) 塗膜積層体
JP6128884B2 (ja) 化粧壁面
JP4350552B2 (ja) 化粧シート
JP6227256B2 (ja) 化粧壁面
JP3904460B2 (ja) 建築物の温度上昇抑制構造
JP7388858B2 (ja) 被膜積層体
JP2006075682A (ja) 汚染防止方法
JP2021031876A (ja) 面材
JP3071035U (ja) 建築物または構築物表面仕上用装飾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