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602B1 - 물품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602B1
KR101490602B1 KR20130081563A KR20130081563A KR101490602B1 KR 101490602 B1 KR101490602 B1 KR 101490602B1 KR 20130081563 A KR20130081563 A KR 20130081563A KR 20130081563 A KR20130081563 A KR 20130081563A KR 101490602 B1 KR101490602 B1 KR 101490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discharging
opening
housing
accommod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161A (ko
Inventor
히로유키 후지타
준지 나카히
후미아키 이와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14002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4Internal fittings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contents, e.g. guiding panels, movable bottoms or lift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Toy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물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교반하여 물품의 막힘을 방지하는 물품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복수의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30)와, 수납부(30)의 저면에 개방되는 개구부(36)와, 수납부(30)의 하방에 설치되고, 물품을 배출하는 배출구(55)를 구비하는 배출 수단(50)과, 개구부(36)로 이행한 물품을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미끄럼 이동하여 배출구(55)로 송출하는 송출 수단(60)과, 수납부(30)에 설치되는 동시에 송출 수단(60)에 연결되고, 송출 수단(60)의 송출 동작에 연동하여 개구부(36) 주변의 물품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70)을 갖는다. 교반 수단(70)은, 수납부(30)의 저면(31)을 따라 설치되는 시트부(72)를 갖고, 시트부(72)는, 개구부(36)의 주변의 물품을 상면(78)에 적재하고, 또한, 송출 수단(60)의 동작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Description

물품 배출 장치{ARTICLE DIS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물품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납한 복수의 물품을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각종 물품 배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는, 내용물을 넣어 두기 위한 호퍼 구조를 갖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 상단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와,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용기 본체 내에 넣어져 있는 내용물을 1개씩 출구에 안내하는 기구를 구비한 디스펜서부를 갖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디스펜서가 구비된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 내에 수납되는 다수의 내용물 중 1개는, 디스펜서부를 구성하는 송출 수단에 떨어진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누름 버튼을 눌러 송출 수단을 이동시킴으로써, 떨어져 있는 1개의 내용물을 출구를 향해 이동시키고, 내용물을 출구로부터 배출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디스펜서가 구비된 용기에서는, 3개의 리브가 용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있고, 이들 리브에 의해, 송출 수단의 동작에 맞춰 용기 본체 내의 내용물을 교반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1978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디스펜서가 구비된 용기에 있어서는, 3개의 리브에 의해, 단순히, 내용물을 압박하거나 측방으로 밀어 헤칠 뿐이며, 용기 본체 내에 있어서 내용물을 충분히 교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용기 본체 내에서 물품이 막혀 버려, 송출 수단의 동작이 방해되거나, 송출 수단에 다음 내용물이 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대기하는 내용물(물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교반하는 기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물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교반하여 물품의 막힘을 방지하는 물품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물품 배출 장치는, 복수의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저면에 개방되는 개구부와, 상기 수납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물품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 수단과, 상기 수납부와 상기 배출 수단 사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로 이행한 상기 물품을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배출구로 송출하는 송출 수단과,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송출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송출 수단의 송출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수납부 내의 상기 물품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을 갖고, 상기 교반 수단은, 상기 수납부의 상기 저면을 따라 설치되는 시트부를 갖고, 상기 시트부는, 상기 수납부 내의 상기 물품을 상면에 적재하여 상기 송출 수단의 동작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물품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상기 상면에는, 상기 수납부 내의 상기 물품과 접촉하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물품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복수 형성되고,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볼록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개구부를 향해 확대 개방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물품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산부와 골부가 교대로 연속하는 파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물품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상기 배출 수단, 상기 송출 수단, 상기 교반 수단을 내장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 상기 수납부, 상기 배출 수단, 상기 송출 수단 및 상기 교반 수단은, 종이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물품 배출 장치에 따르면, 수납부 내의 물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교반하여 물품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물품 배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천장판을 개방한 물품 배출 장치를 후방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의 (a)는 도 4의 C부 확대도, (b)는 (a)의 D―D선 단면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수납부에 물품을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작용도.
도 8은 교반 수단의 작용 설명도.
도 9는 송출 수단, 배출 수단의 작용 설명도.
(실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 칭함)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의 설명의 전체를 통해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 및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 「후」, 「좌」, 「우」는, 각각, 사용자가 물품 배출 장치에 정면 대향하였을 때의 「전방측」, 「안측」, 「좌측」, 「우측」을 나타낸다.
(물품 배출 장치의 전체 구성)
우선, 실시 형태의 물품 배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 1,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품 배출 장치(10)는, 물품(11)을 수납하는 동시에 수납한 물품(11)을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장치이며,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2)을 구비한다.
물품(11)은, 여기에서는, 합성 수지제의 캡슐에 소형의 완구를 수납한 캡슐 완구를 도시하지만, 물품(11)은, 캡슐 완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물품(11)의 종류, 형태 및 크기는, 임의이다.
하우징(12)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천장판(13) 및 바닥판(15)과,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정면판(16) 및 배면판(17)과,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좌측판(18L) 및 우측판(18R)을 갖는다.
천장판(13)의 좌우 방향 일측(이 예에서는, 좌측)에는, 물품(11)을 투입하는 투입구(21)가 설치된다. 정면판(16)의 좌우 방향 일측(이 예에서는, 우측) 하부에는, 물품(11)을 불출하는 불출구(22)가 설치된다. 또한, 불출구(22)의 하부에는, 불출된 물품(11)을 수용하는 수용 접시(53)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2)에는, 수납부(30), 배출 수단(50), 송출 수단(60) 및 교반 수단(70)이 내장된다. 또한, 하우징(12), 수납부(30), 배출 수단(50), 송출 수단(60) 및 교반 수단(70)은, 각종 재료에 의해 구성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물품 배출 장치(10)를 간이적으로 매장 등에 설치하는 경우, 비용이나 경량성 등을 고려하면, 골판지를 포함하는 종이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수납부의 구성)
다음으로, 수납부(30)를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부(30)는, 저면(31)과, 저면(31) 상에 형성되고 복수의 물품(11)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32)을 갖고, 호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저면(31)은, 좌우 방향 일측(여기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좌우 방향 타측(여기에서는, 우측)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면(33)과, 전후 방향 일측(여기에서는, 후방측)으로부터 전후 방향 타측(여기에서는, 전방측)으로 경사지는 제2 경사면(3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저면(31)에 있어서 가장 낮은 위치로 되는 제1 경사면(33)의 하단부 및 제2 경사면(35)의 하단부에는, 개구부(36)가 개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정면판(16)과 우측판(18R)이 교차하는 코너(37)의 내측에 개구부(36)를 형성한다. 제1 경사면(33) 및 제2 경사면(35)은, 그 경사에 의해, 수납 공간(32)에 수납되는 물품(11)을 개구부(36)로 이동시키는(모으는) 작용을 한다.
이 개구부(36)의 형상은, 각종 형상으로부터 선택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물품(11)의 외형보다도 약간 큰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36)의 상방에는, 평면에서 볼 때 개구부(36)와 겹치는 L자 형상의 규제부(38)가 설치된다. 이 규제부(38)는, 코너(37)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우측판(18R)을 따르는 제1 부재(41) 및 정면판(16)을 따르는 제2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개구부(36)의 상방에 규제부(38)를 설치함으로써, 개구부(36) 상에 적층되는 물품(11)의 수량을 제한한다. 이에 의해, 개구부(36) 상에 다수의 물품(11)이 적재되는 것이 방지되어, 개구부(36)에 있어서의 물품(11)의 막힘이 억제된다.
(배출 수단의 구성)
다음으로, 배출 수단(50)을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 수단(50)은, 수납부(30)의 하방에 설치되고, 지지체(51), 경사체(52), 불출구(22) 및 수용 접시(53)를 갖는다.
지지체(51)는, 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제2 경사면(35) 및 개구부(36)의 하방에 배치되고, 하우징(12)에 고정된다. 이 지지체(51)는, 그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물품(11)을 배출하는 배출구(55)를 구비하는 동시에, 배출구(55)를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리브(56)를 상면에 구비한다. 배출구(5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예를 들어 원 형상의 구멍이며, 물품(11)의 크기와 동등하게 혹은 약간 크게 형성된다. 경사체(52)는, 지지체(51)의 하방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배면판(17)으로부터 정면판(16)을 향해 하향 경사로 형성된다.
(송출 수단의 구성)
계속해서, 송출 수단(60)을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출 수단(60)은, 수납부(30)와 배출 수단(50) 사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수납부(30)에 있어서 개구부(36)로 이행한 물품(11)을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미끄럼 이동하여 배출구(55)로 순차적으로 송출한다. 송출 수단(60)은, 본체인 미끄럼 이동체(61)를 갖는 동시에, 가압 수단(62)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상시 가압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체(61)는, 지지체(51)의 리브(56)에 지지되어 있고, 리브(56) 상을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미끄럼 이동체(61)의 전방부에는, 단차부(63)를 통해 조작부(65)가 형성된다. 또한, 미끄럼 이동체(61)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는, 물품(11)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구멍부(66)가 형성된다.
조작부(65)는, 정면판(16)에 대하여 돌출 함몰 가능하며, 통상은, 정면판(16)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편, 사용자에 의해 후방으로 압박되면 정면판(16)의 내측으로 몰입되고, 미끄럼 이동체(61)를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시켜, 물품(11)을 배출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조작부(65)가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대기 상태」라 칭하고, 조작부(65)가 몰입되어 있는 상태를 「배출 상태」라 칭하는 것으로 한다.
단차부(63)는, 정면판(16)의 이면에 설치되는 위치 결정부(25)에 접촉 가능하며, 단차부(63)가 위치 결정부(25)에 접촉함으로써, 대기 상태의 미끄럼 이동체(61)의 위치 및 조작부(65)의 돌출량이 규제된다.
보유 지지 구멍부(66)는, 여기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통면 형상의 구멍이며, 배출구(55)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된다. 대기 상태에서는, 보유 지지 구멍부(66)는, 개구부(36)에 하방으로부터 맞추어지지만, 배출구(55)에 대해서는, 편재한 위치[배출구(55)보다도 전방 위치]에 있다. 한편, 배출 상태에서는, 보유 지지 구멍부(66)는, 미끄럼 이동체(61)가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개구부(36)보다도 후방으로 이동하여 배출구(55)에 맞추어진다.
가압 수단(62)은, 조작부(65)가 돌출되는 방향(여기에서는, 전방)으로 미끄럼 이동체(61)를 상시 가압한다. 가압 수단(62)은, 각종 고무 부재나 각종 스프링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밴드로 이루어지는 가압 수단(62)의 일단부(여기에서는, 전단부)(62a)를 미끄럼 이동체(61)측에 걸어 잠그고, 가압 수단(62)의 타단부(여기에서는, 후단부)(62b)를 끌어 당겨 하우징(12)측에 걸어 잠금으로써, 조작부(65)가 돌출되는 방향(여기에서는, 전방)으로 미끄럼 이동체(61)를 상시 가압할 수 있다.
(교반 수단의 구성)
계속해서, 교반 수단(70)의 구성을 도 4,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반 수단(70)은, 수납부(30)에 설치되는 동시에 송출 수단(60)에 연결된다. 교반 수단(70)은, 송출 수단(60)의 송출 동작과 연동하여 수납부(30) 내의 물품(11)(도 3 참조)을 교반하는 것이며, 기부(71), 시트부(72) 및 볼록부(73)를 갖는다.
기부(71)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유 지지 구멍부(66)의 일측(이 예에서는, 전방측)의 절반부를 따르도록 하여 미끄럼 이동체(61)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기부(71)에는, 전방 상방으로 경사지는 제3 경사면(75)과, 우측 상방으로 경사지는 제4 경사면(76)이 연속해서 설치된다. 이들 제3 경사면(75) 및 제4 경사면(76)은, 그 경사에 의해, 개구부(36) 주변의 물품(11)(도 3 참조)을 개구부(36)로 이동시키는(모으는) 작용을 한다.
시트부(72)는, 기부(71)에 연결편(77)을 통해 연결되고, 또한, 수납부(30)의 저면(31)을 따라 설치된다. 이 시트부(72)는, 각종 형상으로부터 선택 가능하지만, 이 예에서는, 전후 방향, 좌우 방향으로 4변을 따르게 한 정사각 형상 혹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시트부(72) 중, 대부분은 제1 경사면(33)에 겹치고, 일부(이 예에서는, 후방부 우측의 일부)는 제2 경사면(35)에 겹친다. 이와 같이 시트부(72)는, 제1 경사면(33) 및 제2 경사면(35)을 따라 설치되지만, 제1 경사면(33) 및 제2 경사면(35)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시트부(72)는, 미끄럼 이동체(61)의 동작에 연동하여, 제1 경사면(33) 및 제2 경사면(35)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수납부(30) 내의 물품(11)(도 3 참조)을 상면(78)에 적재하여 미끄럼 이동체(61)의 동작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또한, 기부(71), 제3 경사면(75), 제4 경사면(76), 연결편(77) 및 시트부(72)는, 비용을 고려하면, 1매의 종이 시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하고, 절곡하거나 하여, 1개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73)는, 시트부(72)의 상면(78)에 형성된다. 이 볼록부(73)는, 미끄럼 이동체(61)의 동작에 연동하고, 수납부(30) 내에 있어서 주로 물품(11)(도 3 참조)의 하부와 접촉한다. 이러한 볼록부(73)는, 복수 형성할 수 있고, 이 예에서는, 개구부(36)측의 인접하는 2개의 코너부(81)에 2개 형성된다. 볼록부(73)의 평면 형상은, 각종 형상으로부터 선택 가능하지만, 여기에서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2개의 볼록부(7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백색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부(30) 내의 물품(11)(도 3 참조)의 통로를 구성하고, 또한, 개구부(36)를 향해 확대 개방되는 형태(여기에서는, 일본어 「ハ」자 형상으로 개방되는 형태)를 이룬다.
또한, 볼록부(73)의 개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3개 이상의 볼록부(73)를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73)를, 서로 이격시키는 동시에 개구부(36)를 향해 확대 개방시키는 형태로 구성한다.
또한, 도 5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73)는, 산부(82)와 골부(83)가 교대로 연속하는 파상으로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시트부(72)의 대각선(85)을 따라 산부(82)와 골부(83)를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산부(82)와 골부(83)의 치수, 개수, 형상은, 각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교반 수단(70)에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파상의 볼록부(73)를 시트부(72)에 형성하는 수단은, 각종 수단으로부터 선택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종이 시트를 절곡하여 파상의 볼록부(73)를 형성하고, 이 절곡한 파상의 볼록부(73)를 시트부(72)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
(물품 배출 장치의 작용·효과)
이상, 설명한 물품 배출 장치(10)의 작용 효과를 도 6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수납부(30)에 다수의 물품(11)을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대기 상태에서는, 개구부(36)에 모아지는 물품(11) 중 1개의 물품(11)이 보유 지지 구멍부(66)에 낙하(이행)하여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30) 내의 개구부(36) 주변의 물품(이하, 단순히 「주변의 물품」이라 칭함)(11)이 시트부(72)에 적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보유 지지 구멍부(66)로 보유 지지된 물품(11)에는 「A」를, 주변의 물품(11)에는 「B」를 부여한 부호를 나타낸다. 그들을 통합하여 칭하는 경우에는, 번호만을 사용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압 수단(62)(도 2 참조)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조작부(65)를 누르고[화살표 (1)], 미끄럼 이동체(61)를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체(61)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시트부(72)가 미끄럼 이동한다[화살표 (2)]. 이로 인해, 시트부(72)에 적재된 주변의 물품(11B)이 미끄럼 이동체(61)의 동작 방향으로 반송되도록 움직인다. 이에 의해, 주변의 물품(11B)을 보다 확실하고 또한 크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종래의 기술과 같이, 단순한 리브로 물품을 움직이게 하는 경우, 물품의 움직임이 작으므로, 개구부 주변에 있어서 물품이 막혀 버려, 송출 수단과 개구부 사이에 물품이 걸리거나, 개구부로 다음 물품이 이행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실시 형태는, 주변의 물품(11B)을 보다 확실하고 또한 크게 움직이게 할 수 있으므로, 수납부(30) 내의 물품(11)을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어, 물품(11)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체(61)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주변의 물품(11B)의 하부에 볼록부(73)가 접촉한다[화살표 (3)]. 따라서, 시트부(72)의 교반 작용에 더하여, 복수의 볼록부(73)에 의한 교반 작용이 작용하므로, 주변의 물품(11)이 보다 효과적으로 교반된다. 또한, 2개의 볼록부(73)가 서로 이격되는 동시에 개구부(36)에 근접함에 따라 확대 개방되는 형태이므로, 개구부(36)로의 물품(11)의 집중이 완화된다. 그 결과, 물품(11)의 막힘이 보다 양호하게 방지된다. 덧붙여 말하면, 주변의 물품(11B)은, 볼록부(73)와 접촉할 때, 산부(82)와 골부(83)에 의해 미세하게 상하 이동한다. 이에 의해, 주변의 물품(11B)이 한층 더 효과적으로 교반된다.
한편, 보유 지지된 물품(11A)은, 미끄럼 이동체(61)가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하면, 제2 경사면(35) 아래에 파고들도록 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3 경사면(75) 및 제4 경사면(76)은, 미끄럼 이동체(61)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이동·변형한다.
그리고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유 지지 구멍부(66)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배출구(55)에 맞추어지면, 보유 지지된 물품(11A)은, 보유 지지 구멍부(66)로부터 배출구(55)를 통해 경사체(52)에 낙하한다[화살표 (4)]. 배출구(55)로부터 낙하한 물품(11)은,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체(52)에 의해 불출구(22)로 유도된 후, 불출구(22)로부터 불출되어, 수용 접시(53)의 테두리에 닿아 멈춘다[화살표 (5)].
또한, 조작부(65)를 누르는 손을 사용자가 늦추면, 미끄럼 이동체(61)가 가압 수단(62)의 복원력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화살표 (6)]. 이에 의해, 다시, 개구부(36)와 보유 지지 구멍부(66)가 맞추어지므로, 주변의 물품(11B) 중 1개가 보유 지지 구멍부(66)에 낙하하여 보유 지지되고, 다음회의 배출에 대비한다[화살표 (7)]. 이상의 동작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수납부(30)로부터 물품(11)을 1개씩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물품(11)을 보다 효과적으로 교반하여 물품(11)의 막힘을 방지하면서, 물품(11)을 확실하게 1개씩 배출할 수 있는 물품 배출 장치(1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물품 배출 장치(10)의 주요소를 종이 재료로 구성하면, 간편한 물품 배출 장치(10)를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또한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명백하다.
10 : 물품 배출 장치
11 : 물품
30 : 수납부
31 : 저면
36 : 개구부
50 : 배출 수단
55 : 배출구
60 : 송출 수단
70 : 교반 수단
72 : 시트부
73 : 볼록부
78 : 상면
82 : 산부
83 : 골부

Claims (6)

  1. 복수의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30)와,
    상기 수납부(30)의 저면에 개방되는 개구부(36)와,
    상기 수납부(30)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물품을 배출하는 배출구(55)를 구비하는 배출 수단(50)과,
    상기 수납부(30)와 상기 배출 수단(50) 사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30)로부터 상기 개구부(36)로 이행한 상기 물품을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배출구(55)로 송출하는 송출 수단(60)과,
    상기 수납부(30)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송출 수단(60)에 연결되고, 상기 송출 수단(60)의 송출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수납부(30) 내의 상기 물품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70)을 갖고,
    상기 교반 수단(70)은, 상기 수납부(30)의 상기 저면을 따라 설치되는 시트부(72)를 갖고,
    상기 시트부(72)는, 상기 송출 수단(60)의 움직임에 연동함으로써, 상기 수납부(30) 내의 상기 물품을 상면(78)에 적재하여 상기 송출 수단(60)의 동작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물품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72)의 상기 상면(78)에는, 상기 수납부(30) 내의 상기 물품과 접촉하는 볼록부(73)가 형성되는, 물품 배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73)는, 복수 형성되고,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볼록부(7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개구부(36)를 향해 확대 개방되는 형태인, 물품 배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73)는, 산부와 골부가 교대로 연속하는 파상으로 형성되는, 물품 배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73)는, 산부와 골부가 교대로 연속하는 파상으로 형성되는, 물품 배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30), 상기 배출 수단(50), 상기 송출 수단(60), 상기 교반 수단(70)을 내장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 상기 수납부(30), 상기 배출 수단(50), 상기 송출 수단(60) 및 상기 교반 수단(70)은, 종이 재료로 구성되는, 물품 배출 장치.
KR20130081563A 2012-08-31 2013-07-11 물품 배출 장치 KR101490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91683A JP5689856B2 (ja) 2012-08-31 2012-08-31 物品排出装置
JPJP-P-2012-191683 2012-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161A KR20140029161A (ko) 2014-03-10
KR101490602B1 true KR101490602B1 (ko) 2015-02-05

Family

ID=4955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1563A KR101490602B1 (ko) 2012-08-31 2013-07-11 물품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89856B2 (ko)
KR (1) KR101490602B1 (ko)
CN (1) CN103395566B (ko)
HK (1) HK1189863A1 (ko)
TW (2) TWI4749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632B1 (ko) * 2019-04-23 2020-09-18 이진범 다양한 크기의 알약 계수 및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3582B1 (ja) * 2015-12-28 2016-10-25 株式会社バンダイ ゲーム装置、プログラム及び物品提供システム
CN107089440B (zh) * 2017-06-12 2020-04-28 广州市合聪科技信息咨询有限公司 可分发粒状物的储存容器
CN107758142A (zh) * 2017-10-11 2018-03-06 谢虎强 一种可按需准确定量并一键轻松取出胶囊的药盒
WO2020107276A1 (zh) * 2018-11-28 2020-06-04 广州顺立得健康科技有限公司 商品推送装置及自动售卖机
CN109875265A (zh) * 2019-03-20 2019-06-14 安徽商贸职业技术学院 一种书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584Y1 (ko) * 1995-05-17 1998-08-17 김성태 소규격 상품의 날개 인출구조를 구비한 포장상자
KR100585888B1 (ko) * 2005-01-28 2006-06-07 하이팜텍주식회사 정제 약 분배기
JP3155311U (ja) * 2009-08-31 2009-11-12 株式会社丸昌 カプセル用簡易取出し装置
KR101034027B1 (ko) * 2010-12-27 2011-05-11 제영효 의약품 조제용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7435C (de) * 1949-06-29 1953-02-16 Fred Hahn Tablettenpackung
GB794238A (en) * 1956-02-01 1958-04-30 Helmuth Seitz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lf-service vending machines
US3222110A (en) * 1964-03-11 1965-12-07 American Tobacco Co Cigarette transfer apparatus
US3332576A (en) * 1966-03-04 1967-07-25 Robert S Hamilton Dentifrice dispensing head
JPS49127979U (ko) * 1973-03-01 1974-11-01
JPS5835273Y2 (ja) * 1979-01-17 1983-08-08 ソニー株式会社 ボ−ル打出し装置
JPS5763028U (ko) * 1980-09-29 1982-04-14
DE3410032A1 (de) * 1984-03-19 1985-09-26 Bramlage Gmbh, 2842 Lohne Behaeltnis zur einzelportionierten ausgabe von tabletten
JPS6280898U (ko) * 1985-11-08 1987-05-23
JPH0721583U (ja) * 1993-09-17 1995-04-18 博史 坂田 固形物保管取り出し容器
JPH10328330A (ja) * 1997-05-30 1998-12-15 Pentel Kk ゴルフボール供給装置
JP2000163646A (ja) * 1998-11-26 2000-06-16 Copcom Co Ltd 物品払い出し装置
JP4766636B2 (ja) * 2001-06-13 2011-09-07 株式会社東京自働機械製作所 棒状物品の供給機
US6726058B2 (en) * 2002-06-20 2004-04-27 Csp Technologies, Inc. Dispenser for solid objects
US20040004083A1 (en) * 2002-07-08 2004-01-08 Bradford Grant Hand held dispenser device
JP2005219785A (ja) * 2004-02-06 2005-08-18 Gold Kogyo Kk 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TWM347630U (en) * 2008-05-16 2008-12-21 Imao Technology Corp Device of goods sending out for hanging up type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584Y1 (ko) * 1995-05-17 1998-08-17 김성태 소규격 상품의 날개 인출구조를 구비한 포장상자
KR100585888B1 (ko) * 2005-01-28 2006-06-07 하이팜텍주식회사 정제 약 분배기
JP3155311U (ja) * 2009-08-31 2009-11-12 株式会社丸昌 カプセル用簡易取出し装置
KR101034027B1 (ko) * 2010-12-27 2011-05-11 제영효 의약품 조제용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632B1 (ko) * 2019-04-23 2020-09-18 이진범 다양한 크기의 알약 계수 및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89856B2 (ja) 2015-03-25
TW201515956A (zh) 2015-05-01
HK1189863A1 (en) 2014-06-20
KR20140029161A (ko) 2014-03-10
TW201408556A (zh) 2014-03-01
CN103395566B (zh) 2015-10-28
JP2014046955A (ja) 2014-03-17
TWI474955B (zh) 2015-03-01
CN103395566A (zh)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602B1 (ko) 물품 배출 장치
US7178689B2 (en) Table top folded sheet dispenser
USRE42707E1 (en) Soap dispensing device
JP5186864B2 (ja) 振出容器
US20070114238A1 (en) Dispenser for spherical articles
JP6323889B2 (ja) 錠剤ケース
KR20120135266A (ko) 어린이 안전 벌크 용량 분배 유닛
GB2107678A (en) Tablet dispenser
JP3158443U (ja) 振出容器
CN111315666B (zh) 分配装置
US20240087395A1 (en) Battery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JP6117829B2 (ja) 物品排出装置
KR101098503B1 (ko) 시트 형상물 수납 용기
JP4910054B2 (ja) 粒状物質の携帯容器
JP4830530B2 (ja) 顆粒吐出容器
US20050236419A1 (en) Comestible product dispens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4519459B2 (ja) 粒状物質の携帯容器
WO2019026611A1 (ja) 錠剤用容器
WO2018009777A1 (en) Waste disposal device cassette interface
JP5163325B2 (ja) 粒状物収納容器
JPH11165775A (ja) 錠剤ケース
JP5780061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原稿読取装置
US6334545B1 (en) Flare dispensing and igniting system
JP3158623U (ja) 飼料用コンテナ本体、飼料用コンテナ及びこれを用いた飼料積替え装置
RU21749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поштучной выдачи таблеток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