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557B1 -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557B1
KR101489557B1 KR20120083059A KR20120083059A KR101489557B1 KR 101489557 B1 KR101489557 B1 KR 101489557B1 KR 20120083059 A KR20120083059 A KR 20120083059A KR 20120083059 A KR20120083059 A KR 20120083059A KR 101489557 B1 KR101489557 B1 KR 101489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arm
connection arm
prevent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83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078A (ko
Inventor
쇼이치로 고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3001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힌지 구조에 의해 링크판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 암이 연결 해제 상태에 있을 때에,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 수납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는, 연결 암(130)을 링크판(110)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서, 힌지축(150)과 상기 힌지축(150)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훅(160)으로 구성되는 힌지 구조(A1)를 가진다. 힌지 구조(A1)는, 힌지축(150)으로부터의 훅(160)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부(A11)와,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연결 암(130)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A12)를 가진다. 회동 규제부(A12)는, 힌지축(150)의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와, 훅(160)의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로 구성된다.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연결 암(130)의 회동이 규제된 회동 규제 상태에서, 연결 암(130)의 회동 각도는 둔각이다.

Description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CABLE PROTECTION AND GUIDE APPARATUS}
본 발명은,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케이블류를 수납하고, 이 케이블류를 보호하는 동시에 안내하기 위한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열로 구성되는 링크열군과, 복수의 제 1 연결 암과, 복수의 제 2 연결 암을 구비하여, 각 링크열이 서로 가로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1쌍의 링크판으로 구성되고, 길이방향에서 인접하는 링크판끼리가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류는, 링크열군의 각 링크열의 1쌍의 링크판과, 링크열의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각 제 1 연결 암과, 링크열의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각 제 2 연결 암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납공간내에 수납된다.
이러한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제 1 연결 암 또는 제 2 연결 암인 연결 암을, 링크열의 1쌍의 링크판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조가, 서로 걸어맞춤하는 링크판의 링크측 걸어맞춤부와 연결 암의 암측 걸어맞춤부로 구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참조).
또한,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있어서, 수납공간내에 수납된 케이블류가 이동할 때에, 케이블류가 연결 암을 수납공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누르는 경우가 있고, 그러한 경우에, 케이블류가 연결 암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연결 암이 링크판으로부터 어긋나는 현상, 즉 암 어긋남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착 구조에 설치된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끼리를 걸어맞춤하게 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38545호 (도 3 내지 도 1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47716호 (도 4 내지 도 1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92939호 (도 4 내지 도 7).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있어서, 연결 암을 링크판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 구조가, 링크판이 가지는 힌지축(링크측 힌지부에 상당)과 연결 암이 가지는 훅(암측 힌지부에 상당)으로 구성되고, 훅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늘어나 있는 회동(回動)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축에 걸어맞춤하는 힌지 구조를 가지는 경우, 연결 암이 1쌍의 링크판의 한쪽의 링크판으로부터 떼어져 있기 때문에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지 않은 상태(즉, 연결 해제 상태)에 있을 때에, 힌지축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연결 암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1쌍의 링크판 중 하나의 링크판에 연결 암이 부착된 채이더라도,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의 조립해 넣기가 가능하게 되는 한편으로, 상기 힌지 구조가, 케이블류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훅이 힌지축으로부터 어긋나기 쉬운 구조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그러한 경우에는, 암 어긋남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링크판 및 연결 암에 설치된다.
그런데,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연결 암의 훅이 링크판의 힌지 축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있는 상태로, 케이블류가 수납공간에 조립해 넣어지는 경우에, 연결 암이,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상태로부터 180° 이상의 회동 각도로 회동해 버리면,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의 조립해 넣기 작업이 완료한 후에, 연결 암을 큰 회동량으로 회동시켜 연결 상태에서 복귀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연결 암이 연결 해제 상태에 있을 때의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의 조립해 넣기 작업의 개시로부터, 연결 암이 연결 상태에서 될 때까지의 작업(이하, '케이블류 수납 작업'이라고 한다.)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암 어긋남 현상의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의 강성을 크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힌지 구조를 구성하는 링크판의 힌지축 및 연결 암의 훅에 설치되는 경우에,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를 설치하기 위한 전용의 부분(예를 들면, 회전 축선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이 필요하게 되는 것은, 힌지축이나 훅이 대형화되고(예를 들면, 상기 돌출부의 경우에는, 회전 축선 방향에서 대형화되고), 힌지축이나 훅의 소형화가 곤란하게 되어, 이 힌지 구조를 소형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1쌍의 링크판에 대해서, 제 1 연결 암이 연결 상태에 있고, 또한, 제 2 연결 암이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제 1 연결 암을 바닥부로 하고 수납공간이 상방에 개방된 상태로 케이블류가 수납공간에 조립해 넣어지는 경우에, 제 1 연결 암이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있는 링크판이, 조립해 넣기 작업중의 케이블류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이나 링크판의 자중(自重) 등에 의해 회동해서 넘어져 버리면, 케이블류의 조립해 넣기시에, 가로방향에의 케이블류의 이동을 링크판에 의해 규제할 수 없게 되어,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의 조립해 넣기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힌지축에 대해 훅이 탈착되는 경우, 또는, 케이블류 수납 작업을 위해서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끼리의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가 작업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행하여지는 경우에, 걸어맞춤부를 포함한 부분끼리의 마찰에 기인하여, 그들 서로 스치는 부분에서의 마모가 촉진되어, 링크판 및 연결 암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힌지축과 훅과의 사이에 회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미소한 간극 이상의 빈틈이 형성되어 있으면, 연결 암의 회동시에, 힌지축과 훅과의 사이에서의 접촉(또는, 덜컥거림)이 생기고, 연결 암의 회동이 원활하게 행하여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힌지축과 훅과의 접촉부 분에 마모가 촉진된다고 하는 문제나, 케이블류의 조립해 넣기 작업을 위해서 연결 암을 회동시키는데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 구조에 의해 링크판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 암이 연결 해제 상태에 있을 때에,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 수납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다가,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부를 가지는 힌지 구조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소형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도 사용 가능한 어긋남 방지부를 가지는 힌지 구조가 설치된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다가, 링크판에 연결 암을 부착하기 위한, 힌지 구조를 포함한 부착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우선,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열로 구성되는 링크열군과, 복수의 제 1 연결 암과, 복수의 제 2 연결 암을 구비하여, 상기 각 링크열이 서로 가로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1쌍의 링크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에서 인접하는 상기 링크판끼리가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을 상기 링크판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 구조가, 상기 링크판의 링크측 힌지부와, 상기 연결 암의 암측 힌지부로 구성되는 힌지 구조를 가지고, 상기 연결 암이, 상기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상태와, 상기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 있는 연결 해제 상태가 되어, 상기 암측 힌지부가, 상기 연결 상태에서 상기 링크측 힌지부에 걸어맞춤하고, 상기 연결 해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암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늘어나 있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상기 링크측 힌지부에 걸어맞춤하고, 상기 링크열군의 상기 각 링크열의 상기 1쌍의 링크판과, 상기 링크열의 상기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상기 각 제 1 연결 암과, 상기 링크열의 상기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상기 각 제 2 연결 암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납공간내에 케이블류가 수납되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가, 상기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상기 연결 암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회동 규제부가, 상기 링크측 힌지부에 설치된 링크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암측 힌지부에 설치된 암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암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 암의 회동이 규제된 회동 규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상태로부터의 상기 연결 암의 회동 각도인 규제 회동 각도가 둔각(鈍角)인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링크측 힌지부가, 상기 회동 축선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링크측 둘레면을 가지고, 상기 암측 힌지부가, 상기 회동 축선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둘레면으로서, 상기 연결 암의 회동 범위에 있어서 상기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방향에서 상기 링크측 둘레면과 대향하는 암측 둘레면을 가지고, 상기 힌지 구조가, 상기 케이블류로부터 상기 연결 암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링크측 힌지부로부터 상기 암측 힌지부가 어긋나는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부를 가지고, 상기 어긋남 방지부가, 상기 링크측 둘레면에 설치된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암측 둘레면에 설치된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암이 상기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암 어긋남 현상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상기 암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를 겸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링크측 힌지부 및 상기 암측 힌지부의 한쪽의 힌지부가, 회동 축선 방향에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으로 나뉘고, 상기 제 1 부분이, 상기 회동 범위내의 소정 회동 범위에 있어서, 상기 링크측 힌지부 및 상기 암측 힌지부의 다른쪽의 힌지부에 설치된 상기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 또는 상기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인 다른 쪽의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접촉하여 상기 연결 암을 회동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이, 상기 소정 회동 범위에 있어서, 상기 다른쪽의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를 가지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연결 암이 상기 소정 회동 범위내의 특정 회동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암측 힌지부가, 지름방향인 탈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링크측 힌지부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고, 상기 연결 암이 상기 탈착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할 때, 상기 비접촉부가, 상기 다른쪽의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접촉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연결 암이, 상기 연결 상태에서 상기 1쌍의 링크판의 사이에서 늘어나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가로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1쌍의 암측 힌지부를 가지고, 상기 부착 구조가, 상기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를 가지고, 상기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가, 상기 링크판에 설치된 링크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암이 상기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링크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암 어긋남 현상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연결 암이, 상기 부착 구조에 의해 상기 1쌍의 링크판에 탈착 가능한 상기 제 1 연결 암이며, 상기 제 2 연결 암이, 상기 1쌍의 링크판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부착 구조가, 상기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 상기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를 가지고, 상기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가, 상기 링크판에 설치된 링크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 1 연결 암에 설치된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상기 어긋남 방지부와 상기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가, 상기 가로방향에서 상기 회동 축선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 1 연결 암이 상기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고, 또한 상기 링크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암 어긋남 현상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회동 규제 상태로부터 상기 연결 상태를 향한 상기 연결 암의 회동을 규제하는 복귀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복귀 규제부가, 상기 링크측 힌지부에 설치된 링크측 복귀 규제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암측 힌지부에 설치된 암측 복귀 규제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상기 암측 복귀 규제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링크측 복귀 규제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 암의 회동이 규제된 복귀 규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동 각도인 복귀 규제 회동 각도가, 상기 규제 회동 각도보다 작은 둔각인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각 링크판 및 상기 연결 암의 각각은, 일체 성형된 부재이며, 상기 링크판 및 상기 연결 암의 한쪽의 부재의 형성 재료의 단단함이, 상기 링크판 및 상기 연결 암의 다른쪽의 부재의 형성 재료의 단단함보다 작은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열로 구성되는 링크열군과 복수의 제 1 연결 암과 복수의 제 2 연결 암을 구비하여, 각 링크열이 서로 가로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1쌍의 링크판으로 구성되고, 길이방향에서 인접하는 링크판끼리가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1 연결 암 및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을 링크판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 구조가 링크판의 링크측 힌지부와 연결 암의 암측 힌지부로 구성되는 힌지 구조를 가지고, 연결 암이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상태와 이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 있는 연결 해제 상태가 되어, 암측 힌지부가 연결 상태에서 링크측 힌지부에 걸어맞춤하고, 연결 해제 상태에서 연결 암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늘어나 있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링크측 힌지부에 걸어맞춤하고, 링크열군의 각 링크열의 1쌍의 링크판과 링크열의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각 제 1 연결 암과, 링크열의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각 제 2 연결 암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납공간내에 케이블류가 수납되는 것에 의해, 링크열군을 구성하는 각 링크열의 1쌍의 링크판과 각 제 1, 제 2 연결 암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납공간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납된 케이블류를, 각 링크판 및 제 1, 제 2 연결 암에 의해 보호하는 동시에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암은 길이방향으로 늘어나 있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므로,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연결 암을 링크측 힌지부에 걸어맞춤시킨 채로 회동시킴으로써,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의 조립해 넣기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의 조립해 넣기 작업의 효율의 향상이 가능해질 뿐만이 아니라, 이하와 같은 본 발명에 특유의 효과를 이룬다.
즉,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의하면, 힌지 구조가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연결 암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를 가지고, 회동 규제부가 링크측 힌지부에 설치된 링크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와 암측 힌지부에 설치된 암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링크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와 암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연결 암의 회동이 규제된 회동 규제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부터의 연결 암의 회동 각도인 규제 회동 각도가 둔각인 것에 의해, 링크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와 암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설정되는 규제 회동 각도가 둔각이므로, 연결 암이 180° 이상의 회동 각도까지 회동하는 경우에 비해,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의 조립해 넣기 작업 완료 후에 연결 암을 연결 상태까지 회동시키는 시간이 감소하여, 연결 암이 힌지 구조에 의해 링크판에 부착된 채로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의 케이블류 수납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가 이루어진다.
링크측 힌지부가, 회동 축선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링크측 둘레면을 가지고, 암측 힌지부가, 회동 축선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둘레면으로서, 연결 암의 회동 범위에 있어서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방향에서 링크측 둘레면과 대향하는 암측 둘레면을 가지고, 힌지 구조가, 케이블류로부터 연결 암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링크측 힌지부로부터 암측 힌지부가 어긋나는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부를 가지고, 어긋남 방지부가, 링크측 둘레면에 설치된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암측 둘레면에 설치된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연결 암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암 어긋남 현상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류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연결 암이 어긋나는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부는, 링크측 힌지부 및 암측 힌지부에 있어서, 연결 암을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암측 둘레면 및 링크측 둘레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어긋남 방지부를 설치하기 위한 전용의 부분을 링크측 힌지부 및 암측 힌지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 및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설치되는 링크측 힌지부 및 암측 힌지부의 소형화, 즉 힌지 구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어긋남 방지부를 가지는 힌지 구조를 소형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힌지 구조가 사용 가능한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의 종류를 확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가 이루어진다.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암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를 겸하는 것에 의해,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 및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가 설치되는 암측 힌지부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어긋남 방지부 및 회동 규제부를 가지는 힌지 구조가 설치된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의 비용 삭감을 가능하게 하면서, 암측 힌지부 및 링크측 힌지부를 소형화, 즉 힌지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가 이루어진다.
링크측 힌지부 및 암측 힌지부의 한쪽의 힌지부가, 회동 축선 방향에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으로 나뉘고, 제 1 부분이, 회동 범위내의 소정 회동 범위에 있어서, 링크측 힌지부 및 암측 힌지부의 다른쪽의 힌지부에 설치된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 또는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인 다른 쪽의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접촉하여 연결 암을 회동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을 가지고, 제 2 부분이, 소정 회동 범위에 있어서, 다른쪽의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를 가지는 것에 의해, 힌지 구조를 구성하는 링크측 힌지부 및 암측 힌지부의 한쪽의 힌지부가 가지는 비접촉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링크측 힌지부에 대해서,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설치된 암측 힌지부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데다가, 다른쪽의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안내면에 의해 안내된 상태로 연결 암이 회동하므로, 연결 암을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어, 케이블류 수납 작업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다가 비접촉부에 의해 형성되는 빈틈에 기인하는 링크측 힌지부와 암측 힌지부와의 사이에서의 접촉(또는, 덜컥거림)이 방지되어, 상기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각 힌지부의 마모가 억제되기 때문에, 힌지 구조의 내구성, 나아가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가 이루어진다.
연결 암이 소정 회동 범위내의 특정 회동 위치에 있을 때에, 암측 힌지부가, 지름방향인 탈착 방향에 있어서 링크측 힌지부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고, 연결 암이 탈착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할 때, 비접촉부가, 다른쪽의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접촉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는 것에 의해, 링크측 힌지부에 대한 암측 힌지부의 탈착이 용이하게 되어,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설치된 링크측 힌지부를 가지는 링크판에 대해서,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설치된 암측 힌지부를 가지는 연결 암의 조립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가 이루어진다.
연결 암이, 연결 상태에서 1쌍의 링크판의 사이에서 늘어나 있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단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1쌍의 암측 힌지부를 가지고, 상기 부착 구조가, 상기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를 가지고,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가, 링크판에 설치된 링크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본체부에 설치된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연결 암이 상기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링크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암 어긋남 현상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링크판 및 연결 암의 사이에는, 힌지 구조가 가지는 어긋남 방지부에 더하여,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가 설치되기 때문에, 암 어긋남 현상의 방지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연결 암의 연결 상태에서 1쌍의 링크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연결 암이 연결 해제 상태에 있을 때에, 양 힌지부가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링크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가 설치되는 것에도 불구하고, 양 힌지부의 걸어맞춤에 의한 연결 암의 회동 가능 상태가 유지되어,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 수납 작업의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가 이루어진다.
연결 암이, 상기 부착 구조에 의해 1쌍의 링크판에 탈착 가능한 제 1 연결 암이며, 제 2 연결 암이, 1쌍의 링크판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부착 구조가, 상기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를 가지고,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가, 링크판에 설치된 링크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제 1 연결 암에 설치된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어긋남 방지부와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가, 가로방향에서 회동 축선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제 1 연결 암이 상기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고, 또한 링크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암 어긋남 현상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링크판 및 제 1 연결 암의 사이에는, 힌지 구조가 가지는 어긋남 방지부에 더하여,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가 설치되기 때문에, 암 어긋남 현상의 방지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제 1 연결 암이 연결 상태에 있고, 또한, 각 제 2 연결 암이,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에, 회동 축선에 대해서 가로방향에서 양측에 배치된 어긋남 방지부 및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가, 제 1 연결 암이 회동 방향에서의 양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 1 연결 암을 바닥부로 하고 수납공간이 상방에 개방된 상태로 케이블류가 수납공간에 조립해 넣어질 때,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의 조립해 넣기 작업시에 케이블류로부터 링크판에 작용하는 외력 또는 링크판의 자중(自重)에 의해, 링크판이 회동 축선 회전에 회동하여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류의 조립해 넣기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가 이루어진다.
힌지 구조는, 회동 규제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를 향한 연결 암의 회동을 규제하는 복귀 규제부를 가지고, 복귀 규제부가, 링크측 힌지부에 설치된 링크측 복귀 규제용 걸어맞춤부와, 암측 힌지부에 설치된 암측 복귀 규제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암측 복귀 규제용 걸어맞춤부와 링크측 복귀 규제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연결 암의 회동이 규제된 복귀 규제 상태에 있어서, 회동 각도인 복귀 규제 회동 각도가, 규제 회동 각도보다 작은 둔각인 것에 의해, 연결 암의 회동 각도가, 회동 규제부에 의해 설정되는 규제 회동 각도와 복귀 규제부에 의해 설정되는 복귀 규제 회동 각도와의 범위에서, 둔각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되므로,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의 조립해 넣기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케이블류 수납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가 이루어진다.
각 링크판 및 연결 암의 각각은, 일체 성형된 부재이며, 링크판 및 연결 암의 한쪽의 부재의 형성 재료의 단단함이, 링크판 및 연결 암의 다른쪽의 부재의 형성 재료의 단단함보다 작은 것에 의해, 링크측 힌지부에 대해서 암측 힌지부가 탈착되는 경우, 또는, 링크판 및 연결 암의 걸어맞춤부끼리가 작업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되는 경우 등에, 양 힌지부를 포함하여 링크판 및 연결 암에 있어서의 부분끼리가 서로 스칠 때, 단단함이 작은 한쪽의 부재에 설치된 부분이 용이하게 변형되므로, 힌지 구조를 포함한 부착 구조에 있어서의 마모의 진행이 억제되어, 상기 부착 구조의 내구성, 나아가서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의 링크판의 외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링크판의, 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의 링크판의 주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의 연결 암의 주요부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의 링크판과 연결 암이 걸어맞춤 상태에 있고, 또한 연결 암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며, (a)는, 도 4의 Ⅵa-Ⅵa선에서의 단면도, (b)는, 일부가 도 4의 Ⅵb1-Ⅵb1선에서의 단면도, 일부가 도 4의 Ⅵb2-Ⅵb2선에서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의 링크판과 연결 암이 걸어맞춤 상태에 있고, 또한 연결 암이 비연결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며, (a)는, 도 6의 (a)에 상당하는 도면, (b)는, 도 6의 (b)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연결 암이 연결 해제 회동 방향으로 더 회동했을 때의 단면도이며, (a)는, 도 6의 (a)에 상당하는 도면, (b)는, 도 6의 (b)에 상당하는 도면.
도 9는 도 8의 연결 암이 연결 해제 회동 방향으로 더 회동했을 때의 단면도이며, (a)는, 도 6의 (a)에 상당하는 도면, (b)는, 도 6의 (b)에 상당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연결 암이 연결 해제 회동 방향으로 더 회동했을 때의 단면도이며, (a)는, 도 6의 (a)에 상당하는 도면, (b)는, 도 6의 (b)에 상당하는 도면.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열로 구성되는 링크열군과 복수의 제 1 연결 암과 복수의 제 2 연결 암을 구비하여, 각 링크열이 서로 가로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1쌍의 링크판으로 구성되고, 길이방향에서 인접하는 링크판끼리가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1 연결 암 및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을 링크판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 구조가 링크판의 링크측 힌지부와 연결 암의 암측 힌지부로 구성되는 힌지 구조를 가지고, 연결 암이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상태와 이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 있는 연결 해제 상태가 되어, 암측 힌지부가 연결 상태에서 링크측 힌지부에 걸어맞춤하고, 연결 해제 상태에서 연결 암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늘어나 있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링크측 힌지부에 걸어맞춤하고, 링크열군의 각 링크열의 1쌍의 링크판과, 링크열의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각 제 1 연결 암과, 링크열의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각 제 2 연결 암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납공간내에 케이블류가 수납되는 것에 의해, 힌지 구조로 링크판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 암이 연결 해제 상태에 있을 때에,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 수납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형태는, 어떠한 것이더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착 구조는, 가로방향에서의 연결 암의 양단부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케이블류는, 가요성(可撓性)의 선형상체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기계에 있어서, 전력의 공급이나 신호의 전달을 행하는 전기케이블, 및, 유체를 포함한 물질을 이끄는 호스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인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100)(이하, '안내 장치(100)'라고 한다.)는, 케이블류(C)를 구비하는 기계(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류(C)를 보호하는 동시에 안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기계는,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 장치, 창약(創藥, drug discovery)시험 장치, 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 또는 공작기계이다.
안내 장치(100)는, 상기 기계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2개의 부분, 예를 들면 가동부(可動部) 및 정지부(靜止部)를 접속하고 있는 것에 의해 이동 가능한 케이블류(C)를 수납하기 위해서, 길이가 긴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늘어나 형성되어, 가동부와 정지부와의 사이에서의 케이블류(C)의 이동에 따라서, 전체 또는 국소적으로, 직선 자세 또는 굴곡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가진다.
안내 장치(100)는,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링크열(102)로 구성되는 링크열군(101)과, 복수의 제 1 연결 암(130)과, 복수의 제 2 연결 암(140)을 구비한다.
링크열군(101)의 양단부는, 상기 기계의 가동부 및 정지부에 각각 부착되는 2개의 부착부(도 1에는, 링크열군(101)의 한쪽의 단부를 구성하는 부착부(103)가 나타나 있다.)로 구성되고, 길이방향에서 인접하는 링크열(102)에, 후술하는 제 2, 제 3 연결 구조(N2,N3)(도 2, 도 3 참조)와 같은 구조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링크열(102)은, 서로 가로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1쌍의 제 1, 제 2 링크판(110,1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길이방향에서 인접하는 제 1 링크판(110)끼리 및 제 2 링크판(120)끼리는, 가로방향 회전(즉, 가로방향에 평행한 직선 회전)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모두 연결 암인 제 1, 제 2 연결 암(130,140)은, 서로 세로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어 링크열(102)의 1쌍의 링크판(110,120)을 연결하는 동시에, 각각 후술하는 부착 구조(A,B)에 의해, 1쌍의 링크판(110,120)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다.
제 1 연결 암(130)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늘어나 있는 회동 축선(L)(도 6 참조)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1쌍의 링크판(110,120)에 부착된다.
한편, 가로방향은, 회동 축선(L)이 수평면상에 있다고 할 때에, 이 수평면상에서 회동 축선(L)에 직교하는 방향인 것으로 하고, 세로 방향은, 회동 축선(L) 및 가로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인 것으로 한다.
제 1 연결 암(130)은, 링크열군(101) 중 적어도 일부인 복수의 링크열(102),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링크열(102)의 각각에 있어서, 1쌍의 링크판(110,120)에 가로방향으로 가설(架設)되고, 상기 1쌍의 링크판(110,120)을, 각 링크판(110,120)의 굴곡 바깥둘레측의 단부에 있어서 연결하고 있다.
제 2 연결 암(140)은, 링크열군(101) 중 적어도 일부인 복수의 링크열(102),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링크열(102)의 각각에 있어서, 1쌍의 링크판(110,120)에 가로방향으로 가설되고, 1쌍의 링크판(110,120)을, 각 링크판(110,120)의 굴곡 안둘레측의 단부에 있어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안내 장치(100)에 있어서, 제 1 연결 암(130)끼리 및 제 2 연결 암(140)끼리는, 길이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링크열군(101)은, 길이방향에서 인접하는 링크열(102)끼리가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늘어나 있는 동시에, 제 1, 제 2 연결 암(130,140)으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일체화 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장치(100)에 의해 안내되는 이동 가능한 케이블류(C)는,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늘어나 있는 링크열군(101)의 각 링크열(102)의 1쌍의 링크판(110,120), 각 제 1 연결 암(130) 및 각 제 2 연결 암(140)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납공간(이하, '수납공간'이라고 한다.)내에, 가로방향으로 각 1쌍의 링크판(110,120)의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제 1, 제 2 연결 암(130,140)의 사이에 수납된다.
복수의 제 1 링크판(110)은 동일 구조이고, 복수의 제 2 링크판(120)은 동일 구조이고, 복수의 제 1 연결 암(130)은 동일 구조이고, 복수의 제 2 연결 암(140)은 동일한 구조이다. 또한, 1쌍의 링크판(110,120)은, 가로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서 면대칭이 되는 부재이며, 제 1, 제 2 연결 암(130,140)의 각각도, 가로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서 면대칭이 되는 부재이다.
또한, 각 링크판(110,120), 각 연결 암(130,140) 및 부착부(103)의 각각은, 그 형성 재료(예를 들면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 성형된 부재이다.
그리고, 링크판(110,120) 및 제 1, 제 2 연결 암(130,140) 중의, 한쪽의 부재인 링크판(110,120)의 형성 재료(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66)의 단단함은, 다른쪽의 부재인 제 1, 제 2 연결 암(130,140)의 형성 재료(예를 들면, 폴리 아세탈 또는 섬유 강화한 폴리아미드)의 단단함보다 작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길이방향에서 인접하는 각 링크판(110,120)끼리의 연결 구조(N1∼N3)에 대해서, 제 2 링크판(120)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제 1 링크판(110)도 마찬가지이다.
링크판(120)은, 제 1 연결부(121)와, 제 2 연결부(122)와, 제 1, 제 2 연결부(121,122)를 접속하는 동시에 탄성변형에 의한 가요성을 가지는 이음매부(123)를 가진다.
그리고, 링크판(120)에는, 길이방향에서의 한쪽측에서 인접하는 링크판(120)의 제 2 연결부(제 2 연결부(122)와 같다.)와 제 1 연결부(121)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연결 구조(N1)와, 길이방향에서의 다른쪽측에서 인접하는 링크판(120)의 제 1 연결부(제 1 연결부(121)와 같다.)와 제 2 연결부(122)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 제 3 연결 구조(N2,N3)가 설치된다.
제 1 연결 구조(N1)는, 제 1 연결부(121)에 있어서 끼워맞춤구멍(124e)이 형성된 끼워맞춤부(124a)와, 제 2 연결부(122)에 있어서 끼워맞춤구멍(124e)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 볼록부(124b)로 구성된다.
제 2 연결 구조(N2)는, 제 1 연결부(121)의 끼워맞춤 볼록부(125a)와, 제 2 연결부(122)에 있어서 끼워맞춤 볼록부(125a)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 오목부(125b)로 구성된다.
제 3 연결 구조(N3)는, 제 1 연결부(121)의 끼워맞춤 볼록부(126a)와, 제 2 연결부(122)에 있어서 끼워맞춤 볼록부(126a)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 오목부(126b)로 구성된다.
게다가, 링크판(120)에는, 안내 장치(100)를 직선 자세로 유지하는 직선 자세 유지 구조(N4)와, 안내 장치(100)의 굴곡 자세를 최대 굴곡 자세로 규제하는 굴곡 자세 규제 구조(N5)가 설치된다.
직선 자세 유지 구조(N4)는, 제 1 연결부(121)의 외측 및 내측에 있어서의 굴곡 바깥둘레측의 제 1 직선 자세 유지면(127a)과, 제 2 연결부(122)의 외측 및 내측에 있어서의 굴곡 안둘레측의 제 2 직선 자세 유지면(127b)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굴곡 자세 규제 구조(N5)는, 제 1 연결부(121)의 외측 및 내측에 있어서의 굴곡 바깥둘레측의 제 1 굴곡 자세 규제면(128a)과, 제 2 연결부(122)의 외측 및 내측에 있어서의 굴곡 안둘레측의 제 2 굴곡 자세 규제면(128b)으로 구성된다.
안내 장치(100)는, 직선 자세에 있어서, 제 1 굴곡 자세 규제면(128a)끼리 및 제 2 굴곡 자세 규제면(128b)끼리가 서로 이간한 상태에서, 제 1 직선 자세 유지면(127a)끼리 및 제 2 직선 자세 유지 면(127b)끼리가 각각 서로 접촉하여, 직선 자세를 유지하는 한편, 최대 굴곡 자세에 있어서, 제 1 직선 자세 유지면(127a)끼리 및 제 2 직선 자세 유지면(127b)끼리가 각각 서로 이간한 상태에서, 제 1 굴곡 자세 규제면(128a)끼리 및 제 2 굴곡 자세 규제면(128b)끼리가 각각 서로 접촉 하여, 최대 굴곡 자세를 유지하고, 또한 직선 자세 및 최대 굴곡 자세의 사이에서, 임의의 중간 굴곡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도 1,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연결 암(130)은, 이 제 1 연결 암(130) 및 1쌍의 링크판(110,120)에 설치된 부착 구조(A)에 의해, 1쌍의 링크판(110,120)에 부착되어, 이들 1쌍의 링크판(110,120)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상태(이하, '연결 상태'라고 한다.)와, 1쌍의 링크판(110,120)의 적어도 한쪽에 부착되어 있지 않고 1쌍의 링크판(110,120)을 연결하고 있지 않은 상태, 즉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 있는 연결 해제 상태(이하, '연결 해제 상태'라고 한다.)가 된다.
도 1에는, 연결 상태에 있는 제 1 연결 암(130)과, 1쌍의 링크판(110,120) 중의 제 2 링크판(120)에만 부착되어 있고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제 1 연결 암(130)이 나타나 있다.
제 1 연결 암(130)은, 케이블류(C)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수납공간으로부터의 케이블류(C)의 밀려나옴을 방지하는 평판 형상의 본체부(131)와, 1쌍의 링크판(110,120)의 제 1 연결부(111,121)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1쌍의 훅(160)을 가진다.
본체부(131)는, 연결 상태에서 1쌍의 링크판(110,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로방향으로 늘어나고 있다.
1쌍의 훅(160)은, 본체부(131)의 양단부(132)에 이어져 있는 동시에, 상기 양단부(132)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고, 제 1 연결 암(130)의 양단부를 구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2 연결 암(140)은, 제 2 연결 암(140) 및 1쌍의 링크판(110,120)에 설치된 부착 구조(B)에 의해, 1쌍의 링크판(110,120)에 부착되어, 상기 1쌍의 링크판(110,120)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상태(이하, '연결 상태'라고 한다.)와, 1쌍의 링크판(110,120)의 적어도 한쪽에 부착되어 있지 않고 1쌍의 링크판(110,120)을 연결하고 있지 않은 상태, 즉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 있는 연결 해제 상태(이하, '연결 해제 상태'라고 한다.)가 된다.
제 2 연결 암(140)은, 케이블류(C)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수납공간으로부터의 케이블류(C)의 밀려나옴을 방지하는 평판 형상의 본체부(141)와, 1쌍의 링크판(110,120)의 제 2 연결부(112,122)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양단부이기도 한 1쌍의 걸어맞춤부(142)를 가진다.
부착 구조(B)는, 각 링크판(110,120)의 제 2 연결부(112,122)가 가지는 막대형상의 걸어맞춤부(118,128)(도 3도 참조)와, 제 2 연결 암(140)의 오목 형상의 1쌍의 걸어맞춤부(142)로 구성된다. 1쌍의 걸어맞춤부(142)는, 가로방향에서의 제 2 연결 암(14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양 걸어맞춤부(118,128,142)에는, 제 1 연결 암(130)에 관해서 후술하는 암 어긋남 현상과 같이, 케이블류(C)로부터 제 2 연결 암(14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각 걸어맞춤부(118,128)로부터 걸어맞춤부(142)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로방향으로 늘어나 있고 서로 걸어맞춤하는 돌출조 및 홈으로 이루어지는 요철 구조를 가지는 어긋남 방지 구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부착 구조(B)에 있어서, 서로 걸어맞춤 상태에 있는 걸어맞춤부(118,142)끼리 및 걸어맞춤부(128,142)끼리는, 작업자가 제 2 연결 암(140)에 가하는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걸어맞춤 해제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 1 연결 암(130)과 1쌍의 링크판(110,120)과의 사이의 부착 구조(A)를 중심으로, 안내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제 1 연결 암(130)과 제 1 링크판(110)과의 사이의 부착 구조(A)를 주로 설명하지만, 제 1 연결 암(130)과 제 2 링크판(120)과의 사이의 부착 구조(A)도 마찬가지이다.
도 1,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링크판(110) 및 제 1 연결 암(130)에 설치되고, 제 1 연결 암(130)을 링크판(110)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조(A)는, 힌지 구조(A1)와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를 가진다.
힌지 구조(A1)는, 링크판(110)의 제 1 연결부(111)(링크판(120)의 제 1 연결부(121) 상당)가 가지는 링크측 힌지부로서의 힌지축(150)과, 제 1 연결 암(130)이 가지는 암측 힌지부로서의 훅(160)으로 구성된다.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는, 제 1 연결부(111)가 가지는 제 2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서의 1쌍의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76)(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 또는 단차부)와, 제 1 연결 암(130)이 가지는 제 2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서의 1쌍의 암측 걸어맞춤 요소(136)(본 실시예에서는, 볼록부)로 구성된다.
한편, 이 명세서에 있어서,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 및 '암측 걸어맞춤 요소'는, 각 링크판(110,120) 및 제 1 연결 암(130)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부분이며, 대표적으로는, 한쪽의 걸어맞춤 요소가 볼록부일 때, 다른쪽의 걸어맞춤 요소는, 상기 볼록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오목부(홈이나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단차부, 각부(角部) 등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는, 힌지 구조(A1)에 있어서, 힌지축(150)의 외주면(156)의 미끄럼접촉면(156a)보다 지름방향 안쪽에 설치되고, '암측 걸어맞춤 요소'는, 훅(160)의 내주면(166)의 미끄럼접촉면(166a)보다 지름방향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회동 축선 방향은, 회동 축선(L)에 평행한 방향이며, 지름방향 및 둘레방향은, 각각 회동 축선(L)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방향 및 둘레방향인 것으로 한다.
힌지 구조(A1)에 있어서, 훅(160)은, 제 1 연결 암(130)의 연결 상태에서 힌지축(150)에 걸어맞춤하고, 그리고 제 1 연결 암(130)의 연결 해제 상태에서 제 1 연결 암(130)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늘어나 있는 회동 축선(L)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회동 축선(L)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축(150)에 걸어맞춤한다.
회동 축선(L)을 규정하는 힌지축(150)은, 제 1 연결부(111)에 설치된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수용부(170)의 1쌍의 측벽(171,172)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늘어나 있고, 회동 축선 방향으로 이간하고 있는 동시에 힌지축(150)을 지지하는 지지벽인 양측벽(171,172)에 일체 성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회동 축선 방향에서의 힌지축(150)의 길이(따라서, 회동 축선 방향에서의 양 측벽(171,172)간의 간격)는, 힌지축(150)에 걸어맞춤한 상태로 수용부(170)에 수용되는 훅(160)의, 회동 축선 방향에서의 폭보다 조금 길다.
훅(160)은, 힌지축(150)에 대한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시에 힌지축(150)이 지름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절결 개구(162)가 회전 축선 방향으로 늘어나서 설치된 원호 형상 단면(또는, C형상 단면)의 부분 통형상을 가진다.
절결 개구(162)는,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세로 방향에서 각 링크판(110)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도 6 참조).
훅(160)에 탄성변형을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하, '자연 상태'라고 한다.)에서의 훅(160)에 있어서, 절결 개구(162)의 최소 둘레방향 폭(W)은, 힌지축(150)의 최소 바깥지름(d)(도 6(b) 참조)보다 작기 때문에, 둘레방향에서의 임의의 위치에서, 힌지축(150)에 대해서 훅(160)이 어긋나기 어려운 구조가 되어 있다.
힌지축(150)은, 회동 축선(L)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링크측 둘레면으로서의 외주면(156)을 가진다. 훅(160)은, 회동 축선(L)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동시에, 힌지축(150)에 대한 회동 범위(R)(도 10(a) 참조)에 있어서 지름방향에서 외주면(156)과 대향하는 암측 둘레면으로서의 내주면(166)을 가진다.
따라서, 회동 범위(R)에 있어서, 훅(160)은, 내주면(166)이, 외주면(156)과 둘레방향에서 겹치는 위치(또는, 지름방향으로부터 보아 겹치는 위치)를 차지하면서 힌지축(150)에 대해서 회동하여, 그 미끄럼접촉면(166a)에 있어서 외주면(156)의 미끄럼접촉면(156a)에 미끄럼접촉한다.
힌지 구조(A1)는,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케이블류(C)로부터 제 1 연결 암(13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힌지축(150)으로부터 훅(160)이 어긋나는 현상(이하, '암 어긋남 현상'이라고 한다.)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부(A11)와, 힌지축(150)에 대한(즉, 링크판(110)에 대한) 훅(160)의 회동(즉,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A12)와, 회동 규제부(A12)에 의해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이 규제된 회동 규제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를 향한 훅(160)의 회동을 규제하는 복귀 규제부(A13)를 가진다.
어긋남 방지부(A11)는, 힌지축(150)의 외주면(156)에 설치된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서의 1쌍의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1)(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 또는 단차부)와, 훅(160)의 내주면(166)에 설치된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서의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본 실시예에서는, 볼록부)로 구성되는 걸어맞춤 구조이다.
그리고,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훅(160)과 힌지축(150)이 연결 해제 회동 방향에서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암 어긋남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어긋남 방지부(A11)의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1)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와의 걸어맞춤은, 작업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걸어맞춤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해제 회동 방향(도 6에서는, 반시계방향)은, 연결 상태에 있는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해제 상태로 이행할 때의 회동 방향이며, 연결 회동 방향(도 6에서는, 시계 방향)은,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상태로 이행할 때의 회동 방향이다.
힌지축(150) 및 훅(160)의 한쪽의 힌지부로서의 힌지축(150)은, 그 전체에 있어서, 회동 축선 방향에서, 제 1 부분으로서의 양단부(150e)(도 1도 참조)와, 제 2 부분으로서의 중간부(150m)로 나뉘고, 즉 제 1, 제 2 부위로서의 양단부(150e)와, 회동 축선 방향에서 양단부(150e)의 사이의 중간 부위로서의 중간부(150m)로 나뉜다.
힌지축(150) 및 훅(160)의 다른쪽의 힌지부로서의 훅(160)에는, 힌지축(150) 및 훅(160)의 다른쪽의 힌지부에 설치된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 또는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인 다른쪽의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서의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회동 축선 방향에서의 훅(160)의 전체 폭에 걸쳐서 설치되고, 힌지축(150)에는, 한쪽의 힌지부에 설치된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 또는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인 한쪽의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서의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1)가, 양단부(150e) 및 중간부(150m)에 설치되어, 회동 축선 방향에서의 힌지축(15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된다.
힌지축(150)의 각 단부(150e)는, 회동 범위(R)(도 10(a) 참조)내의 소정 회동 범위(Ra)(도 9 참조)에 있어서,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와 접촉하여 제 1 연결 암(130)을 회동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면(157)을 가진다.
안내면(157)은, 원기둥면에 의해 구성되어, 둘레방향(또는, 회동 방향)에서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1) 및 후술하는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의 사이에 위치한다.
안내면(157)은 미끄럼접촉면(156a)보다 지름방향 안쪽에 위치하고 있고, 그 지름방향에서의 위치는, 도 7(a),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160)이 회동하여 안내면(157)과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훅(160)이 확개(擴開)되는 일 없이, 훅(160)이 자연 상태에 있을 때의 절결 개구(162)의 최소 둘레방향 폭(W)이 유지되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도 7(b),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부(150m)는, 소정 회동 범위(Ra)의 일부에 있어서,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158)를 가진다.
그리고, 제 1 연결 암(130)이, 소정 회동 범위(Ra)내의 특정 회동 위치로서, 연결 상태로부터의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 각도 θ가 특정 회동 각도 θ2(도 8(b) 참조)에 있을 때에, 훅(160)은, 회동 축선(L)에 대해서 지름방향인 탈착 방향에 있어서 힌지축(150)에 대해서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다.
그 때문에, 제 1 연결 암(130)이 탈착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할 때, 비접촉부(158)는,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와 접촉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고,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 축선(L) 및 탈착 방향으로 거의 평행한 평면(156b)을 가진다.
이 특정 회동 각도 θ2는, 예를 들면 90° 또는 거의 90°이다.
그리고, 작업자가 제 1 연결 암(130)을 탈착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를 평면(156b)에 접촉하지 않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 도 9(a)를 참조하면, 회동 규제부(A12)는, 힌지축(150)의 외주면(156)에 설치된 링크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로서의 1쌍의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 또는 단차부)(도 4도 참조)와, 훅(160)의 내주면(166)에 설치된 암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로서의 1개의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로 구성되는 걸어맞춤 구조이다.
1쌍의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는, 힌지축(150)의 양단부(150e)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인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는, 암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를 겸한다.
그리고, 힌지축(150)에 대해서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해제 회동 방향으로 회동할 때, 각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회동 규제 상태로 힌지축(150)(즉, 링크판(110))에 대한 훅(160)(즉,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이 규제된다.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접촉하고 있는 회동 규제 상태에 있어서,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 각도 θ인 규제 회동 각도 θ4는, 둔각이며, 바람직하게는 125°∼145°이다.
또한, 1쌍의 안내면(157)이, 회동 축선 방향에서 이간한 1쌍의 부위인 양단부(150e)에 배분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1 연결 암(130)은, 연결 상태로부터 상기 회동 규제 상태까지, 제 1 연결 암(130)의 비틀림이 방지된 상태로,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다.
도 6, 도 9(b)를 참조하면, 복귀 규제부(A13)는, 힌지축(150)의 외주면(156)에 설치된 링크측 복귀 규제용 걸어맞춤부로서의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3)(본 실시예에서는, 각부(角部) 또는 볼록부)와, 훅(160)의 내주면(166)에 설치된 암측 복귀 규제용 걸어맞춤부로서의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로 구성되는 걸어맞춤 구조이다.
힌지축(150)에 있어서,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3)는, 중간부(150m)에 있어서, 둘레방향에서,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1)와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와의 사이로서,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1)보다 연결 해제 회동 방향으로 회동한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와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3)가 걸어맞춤 회동 방향에서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도 9(b)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회동 규제 상태로부터의 연결 상태를 향한 훅(160)의 회동(즉,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이 규제된 복귀 규제 상태가 된다.
이 복귀 규제 상태에 있어서, 회동 각도 θ인 복귀 규제 회동 각도 θ3은, 규제 회동 각도 θ4보다 작은 둔각이다.
이 복귀 규제 회동 각도 θ3은, 비접촉부(158)의 형성면인 평면(156b)과 협동하여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3)를 형성하는 형성면인 평면(156c)의 형상에 따라서, 양 회동 각도 θ3, θ4의 각도차가, 0° 보다 크고, 30° 이하가 되는 각도로 설정된다.
한편, 회동 규제부(A12)의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와의 걸어맞춤, 및 복귀 규제부(A13)의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3)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와의 걸어맞춤은, 작업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걸어맞춤 해제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작업자에 의해 회동 규제부(A12)의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와의 걸어맞춤이 강제적으로 해제되었을 때에, 제 1 연결 암(130)은, 규제 회동 각도 θ4(도 9(a) 참조)를 넘어 회동한다.
그리고, 회동 각도 θ가, 규제 회동 각도 θ4를 넘고, 규제 회동 각도 θ4와 후술하는 최대 회동 각도 θ6과의 사이의 회동 각도 θ인 큰 회동 각도 θ5에 이를 때까지 사이에서, 각 단부(150e)에서는,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미끄럼접촉면(156a)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훅(160)이 탄성변형하여 확개된 상태(즉, 절결 개구(162)가 둘레방향으로 확대된 상태)가 되는 한편, 중간부(150m)에서는,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힌지축(150)과 비접촉 상태가 된다.
한편, 도 10에는, 큰 회동 각도 θ5가 180°일 때의 제 1 연결 암(130)이 실선(實線)으로 나타나 있다.
그리고, 작업자에 의해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해제 회동 방향으로 더 회동되었을 때, 도 10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훅(160)은, 수용부(170)의 저벽(173)에 의해 구성되는 스토퍼(174)와 연결 해제 회동 방향에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 각도 θ가 최대 회동 각도 θ6이 되어, 제 1 연결 암(130)이 최대 회동 위치를 차지한다.
이 최대 회동 각도 θ6은, 180°보다 크고, 예를 들면 195°를 중심으로, 190°∼200°이지만, 200°를 넘는 값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 각도 θ가 큰 회동 각도 θ5를 넘어 최대 회동 각도 θ6에 이를 때까지의 과정에서,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의 전체가 힌지축(150)과 접촉하도록,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양단부(150e) 및 중간부(150m)에 있어서 미끄럼접촉면(156a)과 접촉해도 좋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연결 암(130) 및 각 링크판(110)에 설치되는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는, 링크판(110)에 있어서 힌지축(150) 이외의 부분으로서의 수용부(170)의 1쌍의 측벽(171,172)에 각각 설치된 링크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서의 1쌍의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76)(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와, 제 1 연결 암(130)에 있어서 훅(160) 이외의 부분인 본체부(131)에 설치된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서의 1쌍의 암측 걸어맞춤 요소(136)(본 실시예에서는, 볼록부)로 구성된다.
어긋남 방지부(A11)와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는, 제 1 연결 암(130)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 가로방향에서 회동 축선(L)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도 6(b) 참조).
각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76)는, 각 측벽(171,172)에 설치되고, 회동 축선 방향에서 힌지축(150)의 1쌍의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보다 회동 축선 방향에서 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가로방향 및 회동 축선 방향으로 개방한다(도 4 참조).
암측 걸어맞춤 요소(136)는, 본체부(131)의 양단부(132)의 일부 로서, 훅(160)보다 회동 축선 방향에서 연장하고 있는 1쌍의 어깨부(133)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어긋남 방지부(A11)를 구성하는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1)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연결 회동 방향에서 걸어맞춤하고, 또한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를 구성하는 양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76)와 양 암측 걸어맞춤 요소(136)가 연결 해제 회동 방향에서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암 어긋남 현상이 방지된다.
게다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각도 θ가 예각(銳角)일 때에, 연결 회동 방향에서의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은, 암측 걸어맞춤 요소(136)가,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76)와의 걸어맞춤 위치보다 연결 해제 방향 가까이의 위치에서, 1쌍의 측벽(171,172)에 의해 구성되는 링크측 제 2 복귀 규제 걸어맞춤부(177)와 걸어맞춤(또는,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규제된다. 이 때의 회동 각도 θ인 소정 회동 각도 θ1은 20°∼35°이다.
한편, 이 암측 걸어맞춤 요소(136)와 각 측벽(171,172)과의 걸어맞춤은, 작업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상태에 있고, 어긋남 방지부(A11) 및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가 걸어맞춤 상태에 있을 때에, 제 1 연결 암(130)을 떼어내기 위한 어긋남 방지부(A11) 및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의 걸어맞춤 해제에 대해서는, 공구에 의한 걸어맞춤 해제는 가능하지만, 손으로의 걸어맞춤 해제는 곤란하다.
그리고, 제 1 연결 암(130)이 이 소정 회동 각도 θ1로 유지되는 것에 의해, 제 1 연결 암(130)이 가로방향에서 1쌍의 링크판(110,120)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가 되므로, 연결 해제 상태의 제 1 연결 암(130)을 가로방향에서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C)(도 1 참조)의 조립해 넣기 작업을 개시할 때에는, 규제 회동 위치까지의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량을, 연결 해제 상태의 제 1 연결 암(130)이 다른쪽의 힌지 구조(A1)의 힌지축(150) 근방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규제 회동 각도 θ4(도 8(a) 참조)까지의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이 신속화 및 용이화되어, 케이블류 수납 작업의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어긋남 방지부(A11)와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는, 가로방향에서 회동 축선(L)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기 때문에, 각 제 2 연결 암(140)이 연결 해제 상태에 있을 때에, 안내 장치(100)가, 제 1 연결 암(130)을 바닥부로 하고 수납공간이 상방에 개방된 상태(도 1에 있어서, 모든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상태에 있고, 모든 제 2 암이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안내 장치(100)가 상하로 반전된 상태이다.)로 배치되었을 때, 회동 축선(L)에 대해서 가로방향에서 양측에 배치된 어긋남 방지부(A11) 및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가,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C)의 조립해 넣기 작업시에 케이블류(C)로부터 각 링크판(110,120)에 작용하는 외력 또는 각 링크판(110,120)의 자중에 의해, 각 링크판(110,120)이 회동 축선(L) 주위에 회동하여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 6에 있어서, 링크판(110)이 회동 축선(L)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은,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76)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36)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규제되고, 링크판(110)이 회동 축선(L)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은,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1)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규제된다.
게다가,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의 걸어맞춤 요소(176,136)끼리에 의한 어긋남 방지력 및 회동 저지력이 되는 걸어맞춤 힘은, 어긋남 방지부(A11)의 양 걸어맞춤 요소(151,161)끼리에 의한 어긋남 방지력 및 회동 저지력이 되는 걸어맞춤 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상태에 있고, 또한 제 2 연결 암(140)이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작업자는, 훅(160)이 힌지축(150)으로부터 어긋나지 않는 상태에서,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로의 걸어맞춤을 강제적으로 해제하고, 1쌍의 링크판(110,120)을 수납공간에 대해서 외측으로 전개하여, 제 1 연결 암(130) 및 각 링크판(110,12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대적인 회동 위치를 차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안내 장치(100)는, 제 1 연결 암(130)을 1쌍의 링크판(110,120)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 구조(A)가, 힌지축(150)과 훅(160)으로 구성되는 힌지 구조(A1)를 가지고, 훅(160)이, 제 1 연결 암(130)의 연결 상태에서 힌지축(150)에 걸어맞춤하고, 제 1 연결 암(130)의 연결 해제 상태에서 제 1 연결 암(130)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늘어나 있는 회동 축선(L)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힌지축(150)에 걸어맞춤하고, 링크열군(101)의 각 링크열(102)의 1쌍의 링크판(110,120)과, 링크열(102)의 1쌍의 링크판(110,120)을 연결하고 있는 각 제 1 연결 암(130)과, 링크열(102)의 1쌍의 링크판(110,120)을 연결하고 있는 각 제 2 연결 암(140)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납공간내에 케이블류(C)가 수납된다.
이 구성에 의해, 링크열군(101)을 구성하는 각 링크열(102)의 1쌍의 링크판(110,120)과 각 제 1, 제 2 연결 암(130,140)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납공간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납된 케이블류(C)를, 각 링크판(110,120) 및 제 1, 제 2 연결 암(130,140)에 의해 보호하는 동시에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 암(130)은 길이방향으로 늘어나 있는 회동 축선(L)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제 1 연결 암(130)을 힌지축(150)에 걸어맞춤시킨 채로 회동시킴으로써, 수납공간(또는, 링크열군(101))에의 케이블류(C)의 조립해 넣기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C)의 조립해 넣기 작업의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힌지 구조(A1)가,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A12)를 가지고, 회동 규제부(A12)가, 힌지축(150)에 설치된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와, 훅(160)에 설치된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로 구성되고,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이 규제된 회동 규제 상태에서,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 각도 θ인 규제 회동 각도 θ4가 둔각이다.
이 구성에 의해,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설정되는 규제 회동 각도 θ4가 둔각이므로, 제 1 연결 암(130)이 180°이상의 회동 각도 θ까지 회동하는 경우에 비해,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C)의 조립해 넣기 작업 완료 후에 제 1 연결 암(130)을 연결 상태까지 회동시키는 시간이 감소하여, 제 1 연결 암(130)이 힌지 구조(A1)에 의해 제 1 링크판(110) 또는 제 2 링크판(120)에 부착된 채로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의 케이블류 수납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 규제부(A12)의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2)가 외주면(156)에 설치되고,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내주면(166)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힌지 구조(A1)의 소형화가 한층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안내 장치(100)에 있어서, 힌지축(150)이, 회동 축선(L)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외주면(156)을 가지고, 훅(160)이,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 범위(R)에 있어서 지름방향에서 외주면(156)과 대향하는 내주면(166)을 가지고, 힌지 구조(A1)가, 케이블류(C)로부터 제 1 연결 암(13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힌지축(150)으로부터 훅(160)이 어긋나는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부(A11)를 가지고, 어긋남 방지부(A11)가, 외주면(156)에 설치된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1)와, 내주면(166)에 설치된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로 구성되고,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와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1)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암 어긋남 현상이 방지된다.
이 구성에 의해, 케이블류(C)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제 1 연결 암(130)이 어긋나는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부(A11)는, 힌지축(150) 및 훅(160)에 있어서, 제 1 연결 암(130)을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내주면(166) 및 외주면(156)에 설치되기 때문에, 어긋남 방지부(A11)를 설치하기 위한 전용의 부분을 힌지축(150) 및 훅(160)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1) 및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설치되는 힌지축(150) 및 훅(160)의 소형화, 즉 힌지 구조(A1)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어긋남 방지부(A11)를 가지는 힌지 구조(A1)를 소형의 안내 장치(100)에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힌지 구조(A1)가 사용 가능한 안내 장치(100)의 종류를 확대할 수 있다.
어긋남 방지부(A11)의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회동 규제부(A12)의 암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를 겸하는 것에 의해,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 및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가 설치되는 훅(160)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어긋남 방지부(A11) 및 회동 규제부(A12)를 가지는 힌지 구조(A1)가 설치된 안내 장치(100)의 비용 삭감을 가능하게 하면서, 훅(160) 및 힌지축(150)을 소형화, 즉 힌지 구조(A1)를 소형화할 수 있다.
힌지축(150)이, 회동 축선 방향에서 1쌍의 단부(150e) 및 중간부(150m)로 나뉘고, 각 단부(150e)가, 회동 범위(R)내의 소정 회동 범위(Ra)에 있어서, 훅(160)에 설치된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와 접촉하여 제 1 연결 암(130)을 회동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면(157)을 가지고, 중간부(150m)가, 소정 회동 범위(Ra)에 있어서,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158)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해, 힌지축(150)이 가지는 비접촉부(158)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힌지축(150)에 대해서,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설치된 훅(16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안내면(157)에 의해 안내된 상태에서 제 1 연결 암(130)이 회동하므로, 제 1 연결 암(130)을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고, 케이블류 수납 작업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비접촉부(158)에 의해 형성되는 빈틈에 기인하는 힌지축(150)과 훅(160)과의 사이에서의 접촉(또는, 덜컥거림)이 방지되어, 상기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힌지축(150) 및 훅(160)의 마모가 억제되기 때문에, 힌지 구조(A1)의 내구성, 나아가 안내 장치(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연결 암(130)이 소정 회동 범위(R)내의 특정 회동 위치인 특정 회동 각도 θ2에 있을 때에, 훅(160)이, 지름방향인 탈착 방향에 있어서 힌지축(150)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고, 제 1 연결 암(130)이 탈착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할 때, 비접촉부(158)가,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와 접촉하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해, 힌지축(150)에 대한 훅(160)의 탈착이 용이하게 되어,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1)가 설치된 힌지축(150)을 가지는 각 링크판(110,120)에 대해서,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설치된 훅(160)을 가지는 제 1 연결 암(130)의 조립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상태에서 1쌍의 링크판(110,120)의 사이에서 늘어나 있는 본체부(131)와, 본체부(131)의 양단부(132)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1쌍의 훅(160)을 가지고, 부착 구조(A)가, 상기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를 가지고,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가, 각 링크판(110,120)에 설치된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76)와, 본체부(131)에 설치된 암측 걸어맞춤 요소(136)로 구성되고,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76)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36)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암 어긋남 현상이 방지된다.
이 구성에 의해, 각 링크판(110,120) 및 제 1 연결 암(130)의 사이에는, 힌지 구조(A1)가 가지는 어긋남 방지부(A11)에 더하여,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가 설치되기 때문에, 암 어긋남 현상의 방지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제 1 연결 암(130)의 연결 상태에서 1쌍의 링크판(110,120)의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131)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해제 상태에 있을 때에, 힌지축(150)과 훅(160)이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76)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36)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가 설치되는 것에도 불구하고, 힌지축(150)과 훅(160)과의 걸어맞춤에 의한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 가능 상태가 유지되어,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 수납 작업의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76)가 오목부인 것에 의해,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76)가 볼록부인 경우에 비해,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C)의 조립해 넣기시에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76)가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케이블류(C)의 조립해 넣기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연결 암(130)이 부착 구조에 의해 1쌍의 링크판(110,120)에 탈착 가능하고, 제 2 연결 암(140)이 1쌍의 링크판(110,12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어긋남 방지부(A11)와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가, 가로방향으로 회동 축선(L)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1)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가 걸어맞춤하고, 또한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76)와 암측 걸어맞춤 요소(136)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암 어긋남 현상이 방지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연결 암(130)이 연결 상태에 있고, 또한, 각 제 2 연결 암(140)이, 1쌍의 링크판(110,120)을 연결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에, 회동 축선(L)에 대해서 가로방향에서 양측에 배치된 어긋남 방지부(A11) 및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A2)가, 제 1 연결 암(130)이 회동 방향에서의 양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 1 연결 암(130)을 바닥부로 하고 수납공간이 상방에 개방된 상태로 케이블류(C)가 수납공간에 조립해 넣어질 때,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C)의 조립해 넣기 작업시에 케이블류(C)로부터 각 링크판(110,120)에 작용하는 외력 또는 각 링크판(110,120)의 자중에 의해, 각 링크판(110,120)이 회동 축선(L) 돌아에 회동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류(C)의 조립해 넣기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힌지 구조(A1)는, 회동 규제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를 향한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을 규제하는 복귀 규제부(A13)를 가지고, 복귀 규제부(A13)가, 힌지축(150)에 설치된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3)와, 훅(160)에 설치된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로 구성되고, 암측 걸어맞춤 요소(161)와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153)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회동 규제 상태로부터의 연결 상태를 향한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이 규제된 복귀 규제 상태에 있어서, 회동 각도 θ인 복귀 규제 회동 각도 θ3이, 규제 회동 각도 θ4보다 작은 둔각이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연결 암(130)의 회동 각도 θ가, 회동 규제부(A12)에 의해 설정되는 규제 회동 각도 θ4와 복귀 규제부(A13)에 의해 설정되는 복귀 규제 회동 각도 θ3과의 범위에서, 둔각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되므로, 수납공간에의 케이블류(C)의 조립해 넣기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케이블류 수납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 링크판(110,120) 및 제 1 연결 암(130)의 각각은, 일체 성형된 부재이며, 각 링크판(110,120)의 형성 재료의 단단함이, 제 1 연결 암(130)의 형성 재료의 단단함보다 작은 것에 의해, 힌지축(150)에 대해서 훅(160)이 탈착되는 경우, 또는, 각 링크판(110,120) 및 제 1 연결 암(130)의 걸어맞춤 요소부(예를 들면, 걸어맞춤 요소(151∼153)와의 걸어맞춤 요소(161))끼리가 작업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되는 경우 등에, 힌지축(150) 및 훅(160)을 포함하여 각 링크판(110,120) 및 제 1 연결 암(130)에 있어서의 부분끼리가 서로 스칠 때에, 단단함이 작은 각 링크판(110,120)에 설치된 부분이 용이하게 변형되므로, 힌지 구조(A1)를 포함한 부착 구조(A,B)에 있어서의 마모의 진행이 억제되어, 상기 부착 구조(A,B)의 내구성, 나아가서는 안내 장치(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 1 연결 암(130)의 훅(160)은, 그 형상이 절결 개구(162)가 설치된 원호 형상 단면을 가지므로, 힌지축(150)에 비해 외력에 의해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힌지 구조(A1)에 있어서 서로 스치는 부분의 마모의 진행이 억제된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의 일부의 구성을 변경한 실시예에 대해서, 변경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링크측 힌지부가 훅 형상이며, 암측 힌지부가 축 형상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링크측 둘레면은, 링크측 힌지부의 내주면이고, 암측 둘레면은, 암측 힌지부의 외주면이다.
회동 규제부(A12) 및 복귀 규제부(A13)는, 힌지축(150)의 외주면(156) 및 훅(160)의 내주면(166) 이외의 부분, 예를 들면 회동 축선 방향에 접하는 면이더라도 좋다.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암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는, 각각의 걸어맞춤부이더라도 좋다.
제 1 연결 암(130)의 형성 재료의 단단함이, 각 링크판(110,120)의 형성 재료의 단단함보다 작아도 좋고, 이 경우에도, 내구성이 향상한다.
상기 제 1, 제 2 부분은, 회동 축선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어도, 분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부분은 1개의 부위 또는 3 이상의 복수의 부위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고, 상기 제 2 부분은, 복수의 부위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부분은, 회동 축선 방향에서의 단부 이외의 부위(예를 들면, 중간부)이더라도 좋고, 상기 제 2 부분은, 회동 축선 방향에서의 중간부 이외의 부위(예를 들면, 단부)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부분은, 힌지축(150) 대신에 훅(160)이 가지고 있어도 좋고, 또한 힌지축(150) 및 훅(160)이 가지고 있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한쪽의 힌지부는 훅(160)이고, 상기 다른쪽의 힌지부가 힌지축(150)이더라도 좋다.
제 1 연결 암(130)에 더하여, 제 2 연결 암(140)이, 부착 구조(A)에 의해 1쌍의 각 링크판(110,120)에 부착되어도 좋고, 제 1 연결 암(130) 및 제 2 연결 암(140)의 적어도 한쪽이 부착 구조(A)에 의해 1쌍의 링크판(110,120)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면 좋다.
또한, 제 1 연결 암(130) 및 제 2 연결 암(140)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은, 가로방향에서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부착 구조(A)에 의해 1쌍의 링크판(110,120)의 한쪽에 부착되고, 다른쪽의 단부에 있어서는, 탈착을 가능하게 하는 주지의 부착 구조에 의해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연결 암(140)은, 1쌍의 링크판(110,120)에 대해서 탈착 불가능하게 일체로(예를 들면, 일체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100 :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101 : 링크열군
102 : 링크열
110, 120 : 링크판
130 : 제 1 연결 암
136 : 암측 걸어맞춤 요소
140 : 제 2 연결 암
150 : 힌지축
151∼153 :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
156 : 외주면
157 : 안내면
158 : 비접촉부
160 : 훅
161 : 암측 걸어맞춤 요소
166 : 내주면
171, 172 : 측벽
176 : 링크측 걸어맞춤 요소
C : 케이블류
A : 부착 구조
A1 : 힌지 구조
A11 : 어긋남 방지부
A12 : 회동 규제부
A13 : 복귀 규제부
A2 :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
θ : 회동 각도
θ2 : 특정 회동 각도
θ3 : 복귀 규제 회동 각도
θ4 : 회동 규제 회동 각도
R : 회동 범위
Ra : 소정 회동 범위

Claims (9)

  1.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열로 구성되는 링크열군과, 복수의 제 1 연결 암과, 복수의 제 2 연결 암을 구비하고,
    상기 각 링크열이 서로 가로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1쌍의 링크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길이방향에서 인접하는 상기 링크판끼리가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을 상기 링크판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 구조가, 상기 링크판의 링크측 힌지부와,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의 암측 힌지부로 구성되는 힌지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이, 상기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상태와, 상기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 있는 연결 해제 상태가 되어,
    상기 암측 힌지부가, 상기 연결 상태에서 상기 링크측 힌지부에 걸어맞춤하고, 상기 연결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늘어나 있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상기 링크측 힌지부에 걸어맞춤하고,
    상기 링크열군의 상기 각 링크열의 상기 1쌍의 링크판과, 상기 링크열의 상기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상기 각 제 1 연결 암과, 상기 링크열의 상기 1쌍의 링크판을 연결하고 있는 상기 각 제 2 연결 암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납공간내에 케이블류가 수납되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가, 상기 연결 해제 상태에 있는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회동 규제부가, 상기 링크측 힌지부에 설치된 링크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암측 힌지부에 설치된 암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암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의 회동이 규제된 회동 규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상태로부터의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의 회동 각도인 규제 회동 각도가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측 힌지부가, 상기 회동 축선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링크측 둘레면을 가지고,
    상기 암측 힌지부가, 상기 회동 축선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둘레면으로서,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의 회동 범위에 있어서 상기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방향에서 상기 링크측 둘레면과 대향하는 암측 둘레면을 가지고,
    상기 힌지 구조가, 상기 케이블류로부터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링크측 힌지부로부터 상기 암측 힌지부가 어긋나는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부를 가지고,
    상기 어긋남 방지부가, 상기 링크측 둘레면에 설치된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암측 둘레면에 설치된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이 상기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암 어긋남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상기 암측 회동 규제용 걸어맞춤부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측 힌지부 및 상기 암측 힌지부의 한쪽의 힌지부가, 회동 축선 방향에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으로 나뉘고,
    상기 제 1 부분이, 상기 회동 범위내의 소정 회동 범위에 있어서, 상기 링크측 힌지부 및 상기 암측 힌지부의 다른쪽의 힌지부에 설치된 상기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 또는 상기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인 다른 쪽의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을 회동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이, 상기 소정 회동 범위에 있어서, 상기 다른쪽의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이 상기 소정 회동 범위내의 특정 회동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암측 힌지부가, 지름방향인 탈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링크측 힌지부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고,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이 상기 탈착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할 때, 상기 비접촉부가, 상기 다른쪽의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접촉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이, 상기 연결 상태에서 상기 1쌍의 링크판의 사이에서 늘어나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가로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1쌍의 암측 힌지부를 가지고,
    상기 부착 구조가, 상기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를 가지고,
    상기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가, 상기 링크판에 설치된 링크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이 상기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링크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암 어긋남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이, 상기 부착 구조에 의해 상기 1쌍의 링크판에 탈착 가능한 상기 제 1 연결 암이며,
    상기 제 2 연결 암이, 상기 1쌍의 링크판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부착 구조가, 상기 암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를 가지고,
    상기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가, 상기 링크판에 설치된 링크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 1 연결 암에 설치된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상기 어긋남 방지부와 상기 어긋남 방지 부착 구조가, 상기 가로방향에서 상기 회동 축선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 1 연결 암이 상기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링크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암측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고, 또한 상기 링크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암측 제 2 어긋남 방지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암 어긋남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회동 규제 상태로부터 상기 연결 상태를 향한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의 회동을 규제하는 복귀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복귀 규제부가, 상기 링크측 힌지부에 설치된 링크측 복귀 규제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암측 힌지부에 설치된 암측 복귀 규제용 걸어맞춤부로 구성되고,
    상기 암측 복귀 규제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링크측 복귀 규제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의 회동이 규제된 복귀 규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동 각도인 복귀 규제 회동 각도가, 상기 규제 회동 각도보다 작은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판 및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의 각각은, 일체 성형된 부재이며,
    상기 링크판 및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의 한쪽의 부재의 형성 재료의 단단함이, 상기 링크판 및 상기 제 1 연결 암 및 상기 제 2 연결 암의 적어도 한쪽인 연결 암의 다른쪽의 부재의 형성 재료의 단단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KR20120083059A 2011-08-03 2012-07-30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KR101489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70393 2011-08-03
JP2011170393A JP5350445B2 (ja) 2011-08-03 2011-08-03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078A KR20130016078A (ko) 2013-02-14
KR101489557B1 true KR101489557B1 (ko) 2015-02-11

Family

ID=4755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83059A KR101489557B1 (ko) 2011-08-03 2012-07-30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07490B2 (ko)
JP (1) JP5350445B2 (ko)
KR (1) KR101489557B1 (ko)
CN (1) CN102913590B (ko)
DE (1) DE102012106784B4 (ko)
TW (1) TWI4958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0064B2 (ja) 2013-11-11 2017-01-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EP3152460B1 (en) 2014-06-03 2019-09-18 Findalto S.r.l. Energy chain element with crosspiece
DE102015106307B4 (de) 2015-04-24 2016-12-15 Kromberg & Schuber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onfektionieren einer Energieführungskette
DE202016102154U1 (de) 2016-04-22 2017-07-26 Igus Gmbh Kettenglied für Energieführungskette und Energieführungskette
US10103528B2 (en) 2016-06-30 2018-10-16 Hellermanntyton Corporation Cable duct
DE202019100434U1 (de) * 2019-01-25 2019-06-03 Igus Gmbh Quersteg und Kettenglied mit Quersteg
CA3076724C (en) 2019-03-25 2023-12-19 Hellermanntyton Corporation Cable duct assembly
JP7338521B2 (ja) * 2020-03-13 2023-09-0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ガイド装置
USD1001621S1 (en) * 2020-06-02 2023-10-17 Panduit Corp. Cable management fingers
DE102020212815A1 (de) 2020-10-09 2022-04-14 Continental Engineering Services Gmbh Kabelführungskette mit Verbindungsglied
KR102357607B1 (ko) * 2021-06-18 2022-02-08 김만중 절연 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652U (ja) * 1993-01-29 1994-09-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のリンクプレートと結合杆との係止構造
JP2001503837A (ja) 1996-11-04 2001-03-21 カーベルシユレツプ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係止可能な横棒を有するチェーン部材及び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
JP2011038546A (ja) 2009-08-06 2011-02-24 Gkn Driveline Japan Ltd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5652A1 (de) * 1991-02-22 1992-09-03 Kabelschlepp Gmbh Energiefuehrungskette
DE4105653A1 (de) * 1991-02-22 1992-09-03 Kabelschlepp Gmbh Energiefuehrungskette
DE19703410A1 (de) * 1997-01-30 1998-08-06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mit einschiebbaren Trennstegen
JP3510976B2 (ja) * 1998-08-10 2004-03-29 株式会社ハーモ総研 ケーブルホースの保護案内チェーン
DE10118328A1 (de) * 2001-04-12 2002-11-21 Kabelschlepp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ettengliedes sowie Kettenglied einer Energieführungskette
DE10162066A1 (de) * 2001-12-17 2003-07-03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einer Energieführungskette zumindest teilweise aus nachwachsendem Rohstoff ausgebilde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und Energieführungskette
JP3716985B2 (ja) * 2002-11-05 2005-11-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支持案内装置
US6662545B1 (en) * 2002-11-05 2003-12-16 Masakazu Yamamoto Chain cover
JP3722482B2 (ja) * 2003-02-17 2005-11-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235134B2 (ja) * 2004-03-11 2009-03-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低騒音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04607B2 (ja) * 2005-03-30 2008-06-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のケーブル類クランプ部材
JP4104613B2 (ja) * 2005-04-22 2008-06-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のケーブル類クランプ部材
JP4476204B2 (ja) * 2005-09-29 2010-06-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1967B2 (ja) 2005-09-29 2008-07-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37117B2 (ja) * 2005-12-27 2008-08-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JP4118304B2 (ja) 2006-03-14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8306B2 (ja) * 2006-03-28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8311B2 (ja) * 2006-11-28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20120126067A1 (en) * 2007-06-20 2012-05-24 Frank Chauzu Cable routing device
FR2917912B1 (fr) * 2007-06-20 2010-04-16 Cqfd Composites Dispositif de cheminement de cables destine plus particulieremenet au cheminement et a la distribution de cables electriques
DE102008049246B4 (de) * 2008-09-26 2014-12-31 Tsubaki Kabelschlepp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lementes einer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JP4722207B2 (ja) * 2009-08-06 2011-07-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541746B2 (ja) * 2012-02-21 2014-07-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414820B2 (ja) * 2012-02-27 2014-02-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652U (ja) * 1993-01-29 1994-09-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のリンクプレートと結合杆との係止構造
JP2001503837A (ja) 1996-11-04 2001-03-21 カーベルシユレツプ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係止可能な横棒を有するチェーン部材及び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
JP2011038546A (ja) 2009-08-06 2011-02-24 Gkn Driveline Japan Ltd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32677A1 (en) 2013-02-07
TW201307704A (zh) 2013-02-16
JP2013036477A (ja) 2013-02-21
DE102012106784B4 (de) 2022-06-23
KR20130016078A (ko) 2013-02-14
CN102913590B (zh) 2015-01-07
JP5350445B2 (ja) 2013-11-27
DE102012106784A1 (de) 2013-02-07
US8807490B2 (en) 2014-08-19
TWI495808B (zh) 2015-08-11
CN102913590A (zh)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557B1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US7520122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KR101515742B1 (ko) 에너지 유도 체인
US7428808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7317160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7204075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JP5541746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481747B1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US7392650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KR101126504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US7406819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7893353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20080271429A1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CN110024242B (zh) 线缆保护装置
US7677024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JP5430693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CN114868316A (zh) 用于净化室应用的管线引导设备及其支撑链和链节
KR101480972B1 (ko) 케이블 보호장치용 브라켓
JP2014122683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7640722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JP5961157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