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742B1 - 에너지 유도 체인 - Google Patents

에너지 유도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742B1
KR101515742B1 KR1020137028638A KR20137028638A KR101515742B1 KR 101515742 B1 KR101515742 B1 KR 101515742B1 KR 1020137028638 A KR1020137028638 A KR 1020137028638A KR 20137028638 A KR20137028638 A KR 20137028638A KR 101515742 B1 KR101515742 B1 KR 101515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bearing
chain
snap
side str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378A (ko
Inventor
귄터 블라스
안드레아스 헤르미
Original Assignee
이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35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플렉서블 튜브 등을 유도하기 위한 에너지 유도 체인은 서로 관절로 이어진 다수의 체인 링크(1, 2, 3)를 포함하며, 각 체인 링크는 2개의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 그리고 측부 스트랩을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크로스 부재(4)를 포함한다. 측부 스트랩을 가능한 한 얇게 설계하는 반면에 양 측부 스트랩 상에서 용이하게 선회시키기 위하여 크로스 부재를 배치하기 위하여 그리고 하부 스트랜드 상에서의 상부 스트랜드의 부드러운 또한 정확한 슬라이딩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크로스 부재(4)는 그 양 종단 상의 2개의 원통형 베어링부(12)를 포함하며, 베어링부는 크로스 부재의 각 종단을 향하는 측부 스트랩 상에 배치된 포켓형 베어링 수용부(13)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베어링 수용부는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측부 스트랩의 측부 상에서 돌출되며, 측부 스트랩은 크로스 부재(4)의 각 종단 상에 배치된 록킹 바와 협력하는 스냅 탭을 갖는 스냅-작용 수단을 포함한다. 베어링부(12)의 축방향 외부에서 양 종단부 상의 크로스 부재(4) 각각은 크로스 부재(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크로스 부재의 록킹 위치에서 그 접촉 표면은 체인 내부를 향하는 측부 스트랩의 측부에 부딪힌다.

Description

에너지 유도 체인{Cable drag chain}
본 발명은 케이블, 플렉서블 튜브 등을 적어도 하나는 비정지 상태인 제 1 연결점에서 제 2 연결점으로 유도하기 위한 에너지 유도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에너지 유도 체인은 서로 관절로 이어지거나 관절로 이어질 수 있고 각각 2개의 측부 스트랩을 포함하는 다수의 플라스틱 체인 링크를 포함하며, 측부 스트랩은 그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상호 반대의 스트랩 스트랜드를 형성하고, 반대의 측부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 크로스 부재와 하부 크로스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크로스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그의 적어도 하나의 종단 상에 러그를 포함하되, 러그는 크로스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베어링부와의 공통 축 상에 2개의 원통형 베어링부가 배치되며, 각 베어링부는 크로스 부재의 종단을 향하는 측부 러그 상에 배치된 포켓형 베어링 수용부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측부 러그는 크로스 부재의 종단 상에 배치된 록킹 바와 협력하는 스냅 탭을 갖는 스냅-작용 장치를 포함하여 록킹 위치에서 스냅 탭은 록킹 바와 중첩되며, 록킹 바는 크로스 부재로부터 벗어나 향하도록 베어링부의 공통 축의 외부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록킹 위치에서, 스냅-작용 장치는 크로스 부재로부터 벗어나 향하는 록킹 바의 측부 상에 배치되어 크로스 부재가 베어링 수용부 내에 삽입된 베어링부의 공통 축에 대하여 완전 개방 위치로 선회될 때, 록킹 바는 스냅 탭의 아래를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유도 체인은 DE 10 2005 061 775 A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에너지 유도 체인의 측부 스트랩은 그들의 상부 협부 상에 포켓형 베어링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부 협부는 상부 크로스 부재의 양 종단에 성형된(molded) 베어링부에 의하여 맞물린다.
에너지 유도 체인은 정지 형태에 있는 베이스에 제 1 연결점을 통하여 연결된 하부 스트랜드와 제 2 연결점을 통하여 이동 가능한 도그(dog)에 연결된 상부 스트랜드를 형성하기 위한 방식으로 배치되며, 여기서 상부 스트랜드와 하부 스트랜드는 굴절 영역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보다 큰 길이를 갖는 에너지 유도 체인에서, 체인이 뒤로 그리고 앞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부 스트랜드가 하부 스트랜드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슬라이딩 표면이 반대 스트랜드를 각각 향하는 측부 스트랩의 협부 상에 형성된다. DE 10 2005 061 775 A1에서 알려진 에너지 유도 체인에서, 만일 베어링 수용부를 포함하는 측부 스트랩의 좁은 측부가 서로 슬라이딩되면, 미끄러짐성(slidability)은 좁은 측부에 매립되고 슬라이딩 표면의 중단부(interruption)를 형성하는 베어링 수용부의 영향을 받는다. 특히, 측부 스트랩이 비교적 얇게 설계된다면, 각 체인의 좁은 측부 내에 매립된 베어링 수용부는 하부 스트랜드 상에서의 상부 스트랜드의 슬라이딩 이동에 있어 불리하다. 에너지 유도 체인은 흔히 정지된 상태에 있는 베이스에 제 1 연결점을 통하여 연결된 하부 스트랜드와 제 2 연결점을 통하여 이동 가능한 도그(dog)에 연결된 상부 스트랜드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며, 여기서 상부 스트랜드와 하부 스트랜드는 굴절 영역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DE 199 19 076에서 알려진 에너지 유도 체인에서, 인접 측부 스트랩에 선회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크로스 부재의 종단은 2개의 러그를 포함하되, 러그는 크로스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크로스 부재를 가로지르게 배치된 저널을 구비한다. 측부 스트랩은 크로스 부재의 러그와 맞물린 2개의 평행한 슬롯뿐만 아니라 슬롯으로부터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베어링 수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어링 수용부는 언더컷을 구비하여 저널이 베어링 수용부에 관여한다.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베어링 수용부의 측부에서, 측부 스트랩은 스냅 작용 장치를 더 포함하며, 스냅 작용 장치는 록킹 위치에서 크로스 부재의 종단 상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록킹 바와 겹쳐지는 스냅 탭을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에너지 유도 체인에서, 상부 크로스 부재와 하부 크로스 부재가 공지된 방식으로 측부 스트랩에 선회적으로 연결되면, 크로스 부재의 록킹 바가 단지 측부 스트랩의 스냅 탭에 부딪히고 따라서 가로 방향력을 받으면 측부 스트랩과 크로스 부재가 쉽게 평행사변형 자세로 경사질 수 있다는 이유 때문에 측부 스트랩과 크로스 부재의 원하는 사각 횡단면의 불안정성이 생성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한 형태의 에너지 유도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에너지 유도 체인에서는 측부 스트랩은 가능한 한 얇게 설계되었으며 하부 스트랜드 상에서의 상부 스트랜드의 부드럽고 정확한 슬라이딩을 보장한다. 여기서, 상부 크로스 부재와 하부 크로스 부재는 횡방향으로 향하는 경사 하중(tilting force)에 대하여 체인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그 양 종단 상에서 인접한 측부 스트랩과 선회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상부 크로스 부재와 하부 크로스 부재는 양 종단에 러그, 베어링부 그리고 록킹 바를 구비하며, 측부 스트랩은 베어링부를 수용하는 베어링 수용부와 록킹 바를 위한 스냅-작용 장치를 포함하고, 베어링 수용부는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측부 스트랩의 측부 상에서 돌출되며, 베어링부의 축 방향 외부에서, 크로스 부재 각각은 그 양 종단에 돌출부를 갖되, 돌출부는 크로스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부 러그의 측부에 대하여 크로스 부재의 접촉 표면에 부딪히며, 여기서 측부 러그는 록킹 위치에서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위에서 설명된 형태의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경우에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치에 의하여, 베어링 수용부가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측부 스트랩의 측부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리고 체인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스냅-작용 장치와 베어링 수용부 사이의 거리가 최소한으로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측부 스트랩의 폭은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측부 스트랩의 폭은 측부 스트랩의 안정성과 관련한 요구 조건에 의해서만 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크로스 부재를 선회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분의 영역에서, 크로스 부재의 영역 내에 위치한 측부 스트랩의 좁은 부분은 에너지 유도 체인의 반대 스트랜드 내에 배치된 측부 스트랩을 위한 연속적인 표면을 포함할 수 있어 측부 스트랩이 그 위에서 슬라이딩하거나, 측부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가 롤러를 구비한다면 롤링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켓형 베어링 수용부는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측부 러그(lug)의 측부 상에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냅-작용 장치를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측부 러그 내의 요부는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측부 러그의 림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크로스 부재의 영역 내에서 연장되는 측부 러그의 좁은 표면은 요부와 측부 러그의 외부 사이에 비교적 넓은 연속적인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 영역의 폭은 체인 스트랩의 폭의 1/2보다 크거나 1/2과 동일할 수 있다. 특히, 체인 스트랩의 좁은 측부와 함께, 이 영역은 반대 스트랜드의 측부 스트랩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표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좁은 측부 상의 측부 스트랩이 롤러를 구비한다면, 위에 놓여진 스트랜드의 측부 스트랩을 롤링시키기 위한 연속적인 롤링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베어링부를 구비한 크로스 부재의 종단은 베어링부의 축방향 외측 내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돌출부는 크로스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정한 표면으로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측부 스트랩의 측부에 부딪힐 수 있다.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측부 스트랩의 측부에 부딪히는 크로스 부재의 접촉 표면을 통하여, 위에서 언급한 측부 스트랩의 사각 횡단면의 가능한 불안정 그리고 이 측부 스트랩에 관절 연결된 상부 및 하부 크로스 부재의 가능한 불안정성은 방지된다. 체인 링크가 측방향 힘을 받을 때, 접촉 표면은 측부 스트랩과 크로스 부재가 평행사변형 자세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크로스 부재가 그 완전 개방 위치로 선회될 때, 크로스 부재의 각 종단 상에 배치된 록킹 바가 측부 스트랩의 스냅-작용 장치의 스냅 탭 아래를 통과할 수 있음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선행 기술에서와 같이 록킹 바가 스냅 탭에 걸쳐 힘을 받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서도 반대 측부 스트랩에서 분리된 후 크로스 부재는 완전 개방 위치로 선회될 수 있다. 따라서 측부 스트랩에서의 그리고 크로스 부재 상의 록킹 바에서의 스냅 작용 장치의 마모는 감소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록킹 바는 크로스 부재의 베어링 부분들 사이에 배치된다. 특히, 이 예에서, 스냅 탭을 포함하는 측부 스트랩의 스냅-작용 장치는 크로스 부재의 베어링부를 위한 베어링 수용부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록킹 바를 제공하여 록킹 위치에서 스냅 탭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평평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록킹 바의 평평한 표면 또는 평평한 표면들은 바람직하게는 크로스 부재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필요한 경우, 이들은 또한 이 평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고 배치될 수 있다.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한, 록킹 바의 종단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베어링부의 상호 마주보는 선단부에 성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크로스 부재의 평면에 수직인 베어링부의 높이에 대하여 아래에 놓여지도록 그리고 체인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록킹 바가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록킹 바의 평평한 표면 또는 평평한 표면들은 크로스 부재에서 베어링부의 원주까지 연장된다. 그러나, 베어링부의 공통 축에 대한 록킹 바의 배치에 따라, 록킹 바의 종단은 베어링부의 원주를 넘어 연장되는 것 또는 베어링부의 원주까지 연장되지 않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크로스 부재를 향하는 록킹 바의 종단은 베어링부의 공통 축을 중심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이 영역은 크로스 부재의 종단 상의 러그에 연결될 수 있다.
크로스 부재의 록킹 위치에서, 베어링부의 공통 축으로부터의 볼록하게 만곡진 영역의 반경 거리는 크로스 부재를 향하는 스냅 탭의 에지와 베어링부의 공통 축 간의 반경 거리보다 작아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볼록하게 만곡진 영역은 완전하게 개방된 위치로의 회전 부재의 흔들림(swing) 각도에 대응하는 90°보다 크거나 같은 (베어링부의 공통 축 상의 정점을 갖는) 각도를 통하여 연장된다.
특히, 볼록하게 만곡진 영역은 베어링부의 공통축을 중심으로 원통형으로 만곡질 수 있다.
크로스 부재를 향하는 스냅 탭의 에지, 록킹 바의 평평한 표면 그리고 크로스 부재의 록킹 위치에서 베어링부의 공통 축에 대하여 볼록하게 만곡진 영역의 위치에 따라, 크로스 부재의 선회 동안 스냅 탭은 볼록하게 만곡진 영역에 겹쳐지거나 겹쳐지지 않는다. 크로스 부재가 선회될 때 선회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베어링 수용부 내에 베어링부를 부가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크로스 부재가 선회될 때 작은 동작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영역에 부딪치도록 스냅 탭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어링 수용부는 언더컷을 구비하며, 베어링부는 언더컷에 록킹될 수 있어 크로스 부재가 선회될 때일지라도 베어링부는 베어링 수용부 내에서 유지된다.
록킹 바의 평평한 표면 또는 평평한 표면들에 연결된 볼록하게 만곡진 영역은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그루브를 구비할 수 있으며, 크로스 부재가 완전하게 개방될 때 완전하게 개방된 위치에서 크로스 부재를 록킹하기 위하여 그루브 내에서 스냅 탭은 록킹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록킹 바는 체인의 방향에서 록킹 바의 길이 방향 외측 부분에 대하여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중앙 부분을 포함한다.
크로스 부재의 록킹 위치에서 스냅 탭으로부터의 거리를 갖고 측부 스트랩의 스냅-작용 장치의 스냅 탭 아래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이 하부에 놓여진 부분은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냅 탭은 록킹 바의, 하부에 놓여진 부분(lower-lying part) 위의 중앙 부분에 보다 크게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크로스 부재의 록킹 위치에서 이 돌출부는 록킹 바의 하부에 놓여진 부분과 부딪친다. 따라서, 록킹 바의 하부에 놓여진 부분의 형성으로,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의 전체 길이에 걸쳐 록킹 바는 측부 스트랩의 스냅 작용 장치의 스냅 탭과 협동한다.
록킹 바의, 하부에 놓여진 부분은 록킹 바와의 맞물려진 위치로부터 (외부로부터의) 공구의 사용에 의하여 스냅 탭이 록킹 바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여기서, 공구는 하부에 놓여진 부분으로 밀려 들어오며 크로스 부재를 통하여 스냅 후크에 대하여 가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측부 스트랩을 향하는 록킹 바의 측부는 슬라이딩 램프(ramp)를 구비하되, 슬라이딩 램프는 체인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크로스 부재가 측부 스트랩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하는 동안 크로스 부재의 베어링부가 베어링 수용부 내에 삽입될 때 스냅 탭이 측부 스트랩 내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는(urged) 방식으로 슬라이딩 램프는 스냅 탭과 협력한다.
측부 스트랩의 스냅-작용 장치는 탄성적으로 유연한 스냅 후크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요부는 측부 스트랩의 인접한 좁은 부분을 향하여 개방된 그리고 체인의 내부를 향하여 개방된 요부 내에 배치된다. 한편, 스냅 후크는 또한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한 요부의 측벽에 측면 비틀림 부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어 체인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비틀림 부재에 의하여 선회될 수 있다.
스냅 후크로 구성된 스냅-작용 장치에서, 측부 스트랩을 향하는 슬라이딩 램프는 바람직하게는 스냅 탭 아래에서 스냅 후크의 안쪽 분분에 부딪힌다.
본 발명의 유리한 다른 개선책에서, 포켓형 베어링 수용부가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개구를 갖고 형성되며, 이 개구의 반경은 크로스 부재의 베어링부의 반경과 대략적으로 대응한다. 또한, 베어링 수용부는 크로스 부재의 외부를 향하여 그리고 상호 마주보는 선단부에서 개방된다. 크로스 부재를 향하는, 포켓형 베어링 수용부의 벽 상에서,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개구는 언더컷을 형성할 수 있으며, 크로스 부재가 닫혀질 때 베어링부는 이 언더컷 내에서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유도 체인의 측부 스트랩은 중앙 영역에 대하여 외측으로 오프셋된 제 1 연결 영역과 내측으로 오프셋된 제 2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오프셋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외측으로 오프셋된 스트랩의 연결 영역은 내측으로 오프셋된, 측부를 향하여 인접한 스트랩의 제 2 연결 영역과 중첩되며, 오프셋된 스트랩의 제 2 연결 영역은 외측으로 오프셋된, 다른 측부를 향하여 인접한 스트랩의 제 1 연결 영역과 중첩된다.
러그의 양 측부 상에서 크로스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는 인접 스트랩의 내측으로 오프셋된 연결 영역에 대하여 접촉 표면에 받혀지도록 배치되고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인접 스트랩은 크로스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된 측부 스트랩의 외측으로 오프셋된 연결 영역과 중첩된다.
인접 측부 스트랩의 관절 연결을 위하여, 연결 영역은 하나의 연결 영역 내에 저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저널은 인접 스트랩의 다른 연결 영역 내의 연결 요부 또는 개구와 맞물린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너지 유도 체인의 스트랩 스트랜드는 번갈아 있는 내부 스트랩과 외부 스트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2개의 스트랩 스트랜드의 내부 스트랩 각각은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서로 대립한다. 외부 스트랩은 체인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두꺼운 부분을 형성하는 중앙 영역을 포함한다. 이 중앙 영역은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 더 얇은 연결 영역에 연결된다. 중앙 영역의 내측부 상에서, 연결 영역은 양 측부에 인접한 내부 스트랩의 연결 영역에 중첩된다. 내부 스트랩의 연결 영역은 또한 내부 스트랩의 두꺼운 중앙 영역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이 폭은 또한 내부 스트랩의 영역 영역의 내측부가 외부 스트랩의 중앙 영역의 내측부와 일치되거나 이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에너지 유도 체인에서, 베어링부의 양 측 상에서 연장된, 외부 스트랩에 고정된 크로스 부재의 돌출부는 인접한 내부 스트랩의 연결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거나 중첩되도록 배치되거나 설계될 수 있다.
크로스 부재의 돌출부에 중첩되는 결과로서, 내부 스트랩은 외부 스트랩에 대하여 유지되며, 체인의 내부를 향하여 외부 스트랩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이 구조는 또한 반대의 내부 스트랩들 사이의 크로스 부재가 생략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 경우, 내부 스트랩은 크로스 부재를 위한 고정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인접 내부 스트랜드의 연결 영역을 중첩시키기 위하여, 크로스 부재의 종단에서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의 팽창부를 형성하는 것은 베어링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에 유용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그 종단 영역 내에서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어 완전한 개방,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크로스 부재가 선회하는 동안,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측부 스트랩의 림은 크로스 부재의 러그의 내측으로 오프셋된 종단 영역 내에 맞물리며 이 위치로의 크로스 부재의 선회를 방해하지 않는다. 크로스 부재의 흔들림(swing) 각도를 한정하기 위하여, 오프셋된 종단 영역에 대하여 안쪽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측부는 측부 스트랩의 반대 접촉 표면에 대한 접촉 표면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1은 에너지 유도 체인의 한 부분의 사시도.
도 2는 외부 스트랩으로써 설계된 체인 링크의 측부 스트랩의 사시도.
도 3은 체인의 외부에서 본, 도 2에 도시된 측부 스트랩의 측면도.
도 4는 체인의 내부에서 본, 도 2에 도시된 측부 스트랩의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측부 스트랩의 상부 협부의 평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측부 스트랩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A-A선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4의 B-B선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내부 스트랩으로써 설계된 체인 링크의 측부 스트랩의 사시도.
도 10은 체인의 외부에서 본, 도 9에 도시된 측부 스트랩의 측면도.
도 11은 체인의 내부에서 본, 도 9에 도시된 측부 스트랩의 측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측부 스트랩의 상부 협부의 평면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측부 스트랩의 정면도.
도 14는 에너지 유도 체인의 크로스 부재의 사시도.
도 15는 체인의 외부에서 본, 도 14에 도시된 크로스 부재의 평면도.
도 16은 체인의 내부에서 본, 도 14에 도시된 크로스 부재의 평면도.
도 17은 체인의 길이 방향에 따른, 도 14에 도시된 크로스 부재의 측평면도.
도 18은 도 15의 A-A선의 확대 단면도.
도 19는 도 1의 A-A선의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에너지 유도 체인의 부분은 3개의 체인 링크(1, 2 및 3)를 포함하며, 각 체인 링크는 2개의 마주보는 측부 스트랩(1a, 1b, 2a, 2b 및 3a, 3b)을 포함한다. 이 측부 스트랩은 그들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마주보는 스트랩 스트랜드(strap strand)를 형성한다. 도 1에서 더욱 명백한 바와 같이, 마주보는 측부 스트랩은 상부 및 하부 크로스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측부 스트랩(1a, 1b, 3a, 3b)은 내부 스트랩으로서 형성되며, 측부 스트랩(2a, 2b)은 외부 스트랩으로서 형성된다. 내부 스트랩은 그 외측 상의 중앙 영역(5)을 포함한다. 이 중앙 영역은 두껍게 된 부분(thickening)을 형성하며, 또한 얇은 연결 영역(6 및 7)에 의하여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다. 바깥쪽에서, 연결 영역(6 및 7)은 인접한 외부 스트랩의 연결 영역(8 및 9)과 중첩되며, 여기서 2개의 내부 스트랩 사이에 배치된 중앙 외부 스트랩만이 도 1에 도시된다. 외부 스트랩의 연결 영역(8 및 9)은 또한 내부 스트랩의 두꺼운 중앙 연결 영역(5)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또한 연결 영역은 그 바깥쪽이 내부 스트랩의 중앙 영역(5)과 실질적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규격을 갖는다. 외부 스트랩은 체인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중앙 영역(10)을 가지며, 이 중앙 영역은 또한 두껍게 된 부분을 형성한다. 내부 스트랩의 연결 영역(6 및 7)의 폭과 외부 스트랩의 중앙 영역(10)의 폭은 또한 그 영역들의 안쪽이 실질적으로 서로 평평한 방식으로 규격을 갖는다.
내부 및 외부 스트랩은 각각 동일하여 이들이 에너지 유도 체인의 양 스트랩 스트랜드 내에서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스트랩이 도 2 내지 도 8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반면, 내부 스트랩은 도 9 내지 도 1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마주보는 내부 스트랩과 외부 스트랩 사이에 배치된 크로스 부재(4) 또한 동일하며 도 14 내지 도 18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후자인 도 14 내지 도 1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크로스 부재(4)는 크로스 부재(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러그(11)를 그 양 종단에 각각 포함한다. 이 러그(11) 상에서, 2개의 원통형 베어링부(12)가 공통 축 상에 함께 배치되어 있다.
베어링부가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의 내부에 대응 베어링 수용부(13)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베어링부(12)는 설계된다. 외부 스트랩을 위한 베어링 수용부(13)가 도 5, 특히 도 7 및 도 18에서 볼 수 있다. 도 5와 비교하여, 도 12는 내부 스트랩의 베어링 수용부(13)가 외부 스트랩의 베어링 수용부와 동일하게 설계되어 있음을 도시한다.
도 5 및 도 12와 도 7 및 도 8의 조합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어링 수용부(13)는 부분적 원통형 개구(14)를 갖는 포켓형 방식으로 설계되며, 그 반경은 크로스 부재의 베어링부(12)의 반경과 대략적으로 대응하고,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의 상부 협부(15; upper narrow side)를 향하여 그리고 상호 마주보는 선단측에서 개방되어 있다. 크로스 부재를 향하는 벽(16)에서, 개구(14)는 언더컷(17)을 구비하며, 언더컷 내에서 크로스 부재(4)가 닫힐 때, 베어링부(12)는 맞물릴 수 있다.
포켓형 베어링 수용부(13)는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의 측부 상에서 돌출되며, 체인의 내부를 향한다.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에 크로스 부재(4)를 부가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측부 스트랩은 그들의 상부 협부와 하부 협부의 영역에 스냅 탭(18)을 갖는 스냅-작용 장치를 포함한다. 이 스냅-작용 장치가 도 7 및 도 8에 보다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스냅 탭(18)은 크로스 부재(4; 특히 도 15, 도 18 및 도 19 참조)의 각 종단 상에 배치된 록킹 바(19)와 협동하여 크로스 부재(4)의 록킹 위치에서, 스냅 탭(18)은 록킹 바(19)와 겹쳐진다.
도 14 및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록킹 바(19)는 크로스 부재(4)의 베어링부(12) 사이에 배치된다. 상대적으로, 스냅 탭(18)을 갖는 스냅-작용 장치도 도 5 및 도 12에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의 베어링 수용부(13) 사이에 배치된다.
도 14 및 도 1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측부 스트랩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한 록킹 바(19)의 종단 영역은 베어링부(12)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측에 성형된다. 도 14는 록킹 바(19)가 베어링부(12)의 높이에 관하여 하부에 아래에 놓여지도록 배치된 것을 도시하며, 여기서 록킹 바는 크로스 부재의 평면에 수직이며, 체인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록킹 바(19)는 3개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19a, 19b, 19c)을 포함하며, 크로스 부재(4)의 록킹 위치에서 이 3개의 평평한 표면은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의 스냅-작용 장치의 스냅-탭(18)과 접촉한다. 도 14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19a 및 19c)은 베어링부(12)의 반대 선단부에 인접해 있다. 이들 표면(19a 및 19c) 사이의 중앙 영역에서, 록킹 바(19)는 아래에 놓여진 표면(19b; lower lying surface)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1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크로스 부재(4)의 록킹 위치에서 스냅-작용 장치의 스냅-탭(18)은 2개의 외부 표면(19a 및 19c)에 부딪힌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 놓여진 표면(19b)의 중앙 영역에서, 스냅 탭은 보다 깊게 연장된 돌출부(20)를 포함하며, 크로스 부재(4)의 록킹 위치에서 이 돌출부는 록킹 바(19)의 아래에 놓여진 표면(19b)에 부딪힌다. 따라서, 스냅 탭(18)은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의 길이 방향으로 전체 연장부에 걸쳐 록킹 바(19)와 협력한다.
스냅 탭(18)과의 인터록킹 위치로부터 크로스 부재(4)의 록킹 바(19)를 해제하기 위하여 록킹 바(19)의 아래에 놓여진 부분은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적절한 공구를 이용하여 크로스 부재의 측부로부터 스냅 탭(18)에 대항하여 누르는 힘을 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7, 도 8 그리고 도 19에 의하여 특별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의 스냅-작용 장치는 탄성적으로 유연한 스냅 후크(21)로서 설계되며, 이 스냅 후크는 협부(15)를 향하여 그리고 체인의 내부를 향하여 개방된 요부(22)의 바닥 상에 위치한다.
도 14, 도 15 및 도 18로부터 특별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로스 부재(4)를 향하는 록킹 바(19)의 외부 표면(19a 및 19c)의 종단은 베어링부(12)의 공통 축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원통형으로 만곡지고 크로스 부재(4)의 러그(11)에 연결된 영역(23)에 연결된다.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영역(23)은 베어링 부분(12)의 공통 축과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이는 록킹 바(19)와 러그(11) 사이의 전환(transition)의 보강부를 형성한다. 베어링부(12)의 공통 축을 중심으로 크로스 부재(4)가 선회할 때, 원통형 영역(23)의 부분적인 원통형 구성은 스냅 후크(21)의 스냅 탭(18)과의 접촉을 방지한다.
부분적 원통형 부분(23) 사이에 도 18에 특별하게 도시된 바와 같은 브레이크스루(29; breakthrough)가 제공된다. 크로스 부재(4)를 향하는 브레이크스루의 림(rim) 상에서,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부분(23)의 영역에 그루브(24)가 제공되며, 이 그루브는 측부 스트랩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위치에서 크로스 부재(4)를 록킹하기 위하여 크로스 부재(4)가 완전히 개방될 때 스냅 후크(21)의 스냅 탭(18)에 의하여 맞물린다.
도 14 및 도 18로부터 특히 명백한 바와 같이,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및 3b)을 향하는 록킹 바(19)의 측부는 체인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그리고 베어링 수용부(13) 내로의 크로스 부재(4)의 베어링부(12)의 삽입에서 스냅 탭(18)이 측부 스트랩 내에서 외측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스냅 탭(18)과 협동하는 슬라이딩 램프(25; ramp)를 포함한다. 여기서, 크로스 부재는 측부 스트랩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적으로 위치한다. 크로스 부재(4)의 록킹 위치에서, 슬라이딩 램프(25)는 스냅 탭(18) 그리고 더욱 깊이 연장된 돌출부(20) 아래에서 스냅 후크(21)의 내부와 부딪힌다.
도 14 내지 도 17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부(12)의 축방향 외부에서, 크로스 부재(4)의 종단은 크로스 부재(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26)를 포함하며, 이 돌출부는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내부 스트랩의 측부에 대하여 그 접촉 표면에 받혀진다. 이 돌출부(26)는 날개형(wing-like) 확장부의 형태이며, 날개형 돌출부(26)를 갖고 외부 스트랩의 중앙 영역(10)에 고정된 크로스 부재(4)가 인접 내부 스트랩의 림 영역에 중첩되고 이를 외부 스트랩에 대하여 고정시키도록 돌출부는 규격을 갖는다. 이 구조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호 반대의 내부 스트랩 사이에 배치된 크로스 부재는 생략될 수 있다.
종단 영역에서, 돌출부(26)는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오프셋(25: offset)을 포함하여, 크로스 부재(4)가 도 19에 도시된 완전하게 개방된 위치로 선회될 때,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의 림은 크로스 부재(4)의 내측으로 오프셋된 종단 영역(11; 러그)에 관여한다. 크로스 부재(4)의 흔들림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오프셋(28)에 대하여 내측으로 위치한 돌출부(26)의 측부는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의 반대 접촉 표면에 대하여 접촉 표면으로 설계된다.
1: 체인 링크
1a : 측부 스트랩
1b: 측부 스트랩
1c: 체인 링크
2a: 측부 스트랩
2b: 체인 링크
3a: 측부 스트랩
4: 크로스 부재
5: 중앙 영역
6: 연결 영역
7: 연결 영역
8: 연결 영역
9: 연결 영역
10: 중앙 영역
11: 러그
12: 베어링 부
13: 베어링 수용부
14: 개구
15: 상부 협부(narrow side)
16: 벽
17: 언더컷
18: 스냅 탭
19: 록킹 바
19a: 표면
19b: 표면
19c: 표면
20: 돌출부
21: 스냅 후크
22: 요부
23: 구역
24:그루브
25: 슬라이딩 램프
26: 돌출부
27: 접촉 표면
28: 오프셋
29: 브레이크스루(breakthrough)

Claims (16)

  1. 케이블, 플렉서블 튜브 등을 적어도 하나는 비정지 상태인 제 1 연결점에서 제 2 연결점으로 유도하기 위한 관한 것으로서, 서로 관절로 이어지거나 관절로 이어질 수 있고 각각 2개의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을 포함하는 다수의 합성 물질 체인 링크를 포함하되, 측부 스트랩은 그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상호 반대의 스트랩 스트랜드를 형성하고, 반대의 측부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 및 하부 크로스 부재(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크로스 부재(4)의 적어도 일부는 그의 적어도 하나의 종단 상에 러그(11)를 포함하되, 러그는 크로스 부재(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베어링부와의 공통 축 상에서 2개의 원통형 베어링부(12)가 배치되며, 각 베어링부는 크로스 부재의 종단을 향하는 측부 러그 상에 배치된 포켓형 베어링 수용부(13)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측부 스트랩은 크로스 부재(4)의 종단 상에 배치된 록킹 바(19)와 협력하는 스냅 탭(18)을 갖는 스냅-작용 장치를 포함하여 록킹 위치에서 스냅 탭(18)은 록킹 바(19)와 중첩되며, 록킹 바(19)는 크로스 부재(4)로부터 벗어나 향하도록 베어링부(12)의 공통 축의 외부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록킹 위치에서, 스냅-작용 장치는 크로스 부재로부터 벗어나 향하는 록킹 바(19)의 측부 상에 배치되어 크로스 부재(4)가 베어링 수용부(13) 내에 삽입된 베어링부(12)의 공통 축에 대하여 크로스 부재(4)의 완전 개방 위치로 선회될 때, 록킹 바(19)는 스냅 탭(18)의 아래를 통과할 수 있는 에너지 유도 체인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크로스 부재(4)는 양 종단에 러그(11), 베어링부(12) 그리고 록킹 바(19)를 구비하며,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은 베어링부(12)를 수용하는 베어링 수용부(13) 및 스냅 작용 장치를 포함하고, 베어링 수용부(13)는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의 측부 상에서 돌출되며, 베어링부(12)의 축방향 외부에서 크로스 부재는 양 종단 상에 돌출부(26)를 포함하되, 돌출부는 크로스 부재(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록킹 위치에서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의 측부에 대하여 그 접촉 표면에 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록킹 바(19)는 베어링부(12)와 크로스 부재(4)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너지 유도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한 록킹 바(19)의 종단 영역은 베어링부(12)의 상호 마주보는 선단부에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4. 제3항에 있어서, 록킹 바(19)는 베어링부(12)의 높이에 대하여 아래에 놓여지게 배치되며, 베어링부는 크로스 부재의 평면에 수직이고 체인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5. 제3항에 있어서, 록킹 바(19)는 크로스 부재(4)에서 베어링부(12)의 원주부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6. 제5항에 있어서, 크로스 부재(4)를 향하는 록킹 바(19)의 종단은 베어링부(12)의 공통 축에 대하여 볼록하게 만곡진 영역(23)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7. 제6항에 있어서, 볼록하게 만곡진 영역(23)은 에너지 유도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그루브(24)를 구비하며, 완전하게 개방된 위치에서 크로스 부재(4)를 록킹하기 위하여 스냅 탭(18)은 크로스 부재(4)가 완전하게 개방될 때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8. 제3항에 있어서, 록킹 바(19)는 그 외부 부분에 대하여 아래에 놓여지는 중앙 부분을 포함하되, 외부 부분은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9. 제8항에 있어서, 록킹 바의 아래에 놓여진 부분 위의 중앙 부분에서, 스냅 탭(18)은 더 깊게 연장된 돌출부(20)를 포함하되, 크로스 부재(4)의 록킹 위치에서 이 돌출부는 록킹 바(19)의 아래 놓여진 부분과 부딪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0. 제3항에 있어서, 록킹 바(19)는 하나 이상의 평평한 표면(19a, 19b, 19c)을 포함하며, 록킹 위치에서 스냅 탭(18)이 이 표면에 부딪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1. 제3항에 있어서, 측부 스트랩(1a, 1b, 2a, 2b, 3a, 3b)을 향하는 록킹 바(19)는 체인의 내부를 향하는 슬라이딩 램프(25)를 구비하되, 슬라이딩 램프는 크로스 부재(4)의 베어링부(12)가 베어링 수용부(13) 내로 삽입될 때 (즉, 크로스 부재(4)가 측부 스트랩과 수직으로 위치할 때), 스냅 탭이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스냅 탭(18)과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2. 제1항에 있어서, 측부 스트랩(1, 1b, 2a, 2b, 3a, 3b)의 스냅 작용 장치는 탄성적으로 유연한 스냅 후크(21)로 설계되며, 이 스냅 후크는 측부 스트랩(1, 1b, 2a, 2b, 3a, 3b) 의 인접한 좁은 부분을 향하여 개방된 그리고 체인을 내부를 향하여 개방된 요부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3.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수용부(13)는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개구(14)를 갖는 포켓형 구조로 설계되되, 개구의 반경은 실질적으로 크로스 부재(4)의 베어링부(12)의 반경과 대응하며, 베어링 수용부는 크로스 부재(4)의 외부를 향하여 그리고 상호 마주보는 전방에서 개방된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4. 제13항에 있어서, 크로스 부재(4)를 향하여 마주보는 포켓형 베어링 수용부(13)의 벽(16) 상에서,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개구(14)는 언더컷(undercut)을 포함하며, 크로스 부재(4)가 닫혀질 때 베어링부(12)는 언더컷 내에서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5. 제1항에 있어서, 스트랩 스트랜드는 번갈아 있는 내부 스트랩과 외부 스트랩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스트랩과 외부 스트랩은 에너지 유도 체인의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서로 대립하고, 내부 스트랩과 외부 스트랩은 각각 연결 영역(6, 7, 8, 9)과 중첩되며, 외부 스트랩에 고정될 수 있고 베어링부(12)의 양 측부 상에 연장되는 크로스 부재(4)의 돌출부(2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 내부 스트랩의 연결 영역(6, 7)에 대하여 그들의 접촉 표면(27)으로 눌려질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6. 제15항에 있어서, 베어링부(12)의 양 측부 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6)는 에너지 유도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의 팽창부를 포함하며, 접촉 표면(27)은 팽창부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KR1020137028638A 2011-04-04 2012-03-29 에너지 유도 체인 KR101515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1004762.8 2011-04-04
DE202011004762U DE202011004762U1 (de) 2011-04-04 2011-04-04 Energieführungskette
PCT/EP2012/055717 WO2012136573A1 (de) 2011-04-04 2012-03-29 Energieführungske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378A KR20130135378A (ko) 2013-12-10
KR101515742B1 true KR101515742B1 (ko) 2015-04-28

Family

ID=4475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638A KR101515742B1 (ko) 2011-04-04 2012-03-29 에너지 유도 체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806847B2 (ko)
EP (1) EP2694840B1 (ko)
JP (1) JP5779708B2 (ko)
KR (1) KR101515742B1 (ko)
CN (1) CN103502687B (ko)
BR (1) BR112013025446B1 (ko)
DE (1) DE202011004762U1 (ko)
TW (1) TWI494517B (ko)
WO (1) WO20121365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040A (ko) * 2017-08-22 2019-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역 기능을 갖는 롤러 체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3773B (zh) * 2011-11-25 2015-04-15 上海微电子装备有限公司 线缆导向装置以及包含有该装置的工件台系统
DE202012003903U1 (de) 2012-04-19 2012-05-25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Rollen
DE202012003908U1 (de) 2012-04-19 2012-05-15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Rollen
DE102012108297A1 (de) * 2012-09-06 2014-03-06 Tsubaki Kabelschlepp GmbH Leitungsführungsanordnung mit ausgelenkten Seitenwänden
DE202013101421U1 (de) * 2013-04-03 2013-04-23 Igus Gmbh Öffnungshilfe
DE202013101457U1 (de) * 2013-04-05 2013-04-19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DE202013101462U1 (de) * 2013-04-05 2013-04-19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AU352878S (en) * 2013-12-03 2013-12-11 Acteuro Ltd Cable handler
EP3152460B1 (en) 2014-06-03 2019-09-18 Findalto S.r.l. Energy chain element with crosspiece
DE202015101773U1 (de) * 2015-04-02 2015-04-27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JP6169744B1 (ja) * 2016-03-15 2017-07-26 株式会社国盛化学 ケーブルチェーン
DE202016102154U1 (de) * 2016-04-22 2017-07-26 Igus Gmbh Kettenglied für Energieführungskette und Energieführungskette
DE202016104838U1 (de) 2016-09-01 2017-12-04 Igus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DE202017102147U1 (de) * 2017-04-10 2017-05-05 Igus Gmbh Leitungsdurchführung, insbesondere Zugentlastung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GB2568763B (en) * 2017-11-28 2020-11-25 Subsea Energy Solutions Ltd Stiffening member and protective housing assembly
US10669609B2 (en) 2017-12-18 2020-06-02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ethod for reducing salt usage in aluminum recycling
DE202019100466U1 (de) * 2019-01-25 2019-05-28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seitenstabilisierten Laschen
CN110137868B (zh) * 2019-05-08 2020-07-07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供电功能的坦克链装置
DE202019105730U1 (de) * 2019-10-16 2019-11-04 Tsubaki Kabelschlepp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sowie Seitenlasche und Glied dafü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4593A (ja) 2006-04-21 2009-09-24 イグ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クレンクター ハフトゥング 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9828Z2 (it) * 1987-01-02 1988-11-04 Mauri Giovanni Catena portacavi a sviluppo curvilineo.!
DE3714056C1 (en) 1987-04-28 1988-08-25 Murr Plastik Gmbh Energy management chain
JP2511211B2 (ja) * 1991-07-31 1996-06-2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ブルドラグチェ―ンのリンクプレ―トの回動角規制機構
CN2295020Y (zh) * 1995-08-30 1998-10-21 于杰 快接扣件
DE19645403A1 (de) * 1996-11-04 1998-05-07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und Energieführungskette mit verrastbarer Traverse
DE19647080A1 (de) * 1996-11-14 1998-05-28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Kettenglied für Energieführungsketten
DE19701706C1 (de) * 1997-01-21 1998-09-03 Igus Gmbh Energiezuführungskette
DE19703410A1 (de) * 1997-01-30 1998-08-06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mit einschiebbaren Trennstegen
JPH10238599A (ja) * 1997-02-25 1998-09-08 Kunimori Kagaku Co Ltd ケーブルチェーン
DE19919076C2 (de) 1999-04-19 2001-08-30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DE20001505U1 (de) * 2000-01-27 2000-03-30 Igus Spritzguß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51147 Köln Energieführungskette
EP1584841B1 (de) * 2004-04-10 2007-02-28 ekd gelenkrohr GmbH Energieführungskette
DE102005061775A1 (de) * 2005-12-23 2007-08-02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mit einer Verriegelungseinrichtung
DE202007001780U1 (de) * 2006-09-08 2008-01-10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kasten
JP4338746B2 (ja) * 2007-04-27 2009-10-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DE202008008358U1 (de) 2008-06-24 2008-08-21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mit Drehgelenk-Quersteg
JP4722207B2 (ja) * 2009-08-06 2011-07-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4593A (ja) 2006-04-21 2009-09-24 イグ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クレンクター ハフトゥング 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040A (ko) * 2017-08-22 2019-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역 기능을 갖는 롤러 체인
KR102377074B1 (ko) 2017-08-22 2022-03-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역 기능을 갖는 롤러 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25446A2 (pt) 2016-12-27
CN103502687B (zh) 2015-09-30
US20140020358A1 (en) 2014-01-23
US8806847B2 (en) 2014-08-19
EP2694840B1 (de) 2015-06-24
DE202011004762U1 (de) 2011-09-07
EP2694840A1 (de) 2014-02-12
TW201241338A (en) 2012-10-16
KR20130135378A (ko) 2013-12-10
WO2012136573A1 (de) 2012-10-11
CN103502687A (zh) 2014-01-08
JP2014510246A (ja) 2014-04-24
JP5779708B2 (ja) 2015-09-16
BR112013025446B1 (pt) 2021-06-15
TWI494517B (zh) 201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742B1 (ko) 에너지 유도 체인
JP5661739B2 (ja) 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
KR100517779B1 (ko) 에너지 안내 체인
JP4988836B2 (ja) 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及びその継手部材
US6550232B1 (en) Energy guide chain for guiding lines comprising chain links which can move in three dimensions
US9108595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030136456A1 (en) Energy guiding chain
JP5728125B2 (ja) 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
US4769985A (en) Guide chain
KR101489557B1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KR101739634B1 (ko) 롤러를 포함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US10103528B2 (en) Cable duct
US7174702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6167689B1 (en) Chain link for an energy guide chain and having a cover which can be put into two different stable positions
US20100253113A1 (en) Engery guide chain system and sliding door system
US20120090870A1 (en) Guide conduit
EP1188953B1 (en) Cable drag chain
US10823256B2 (en) Cable protection chain
US6978595B2 (en) Chain links and cable carrier chains containing same
US8632349B2 (en) Electrical connector
ITTV20060086A1 (it) Dispositivo ad arpionismo, in particolare per calzature
JP2019090472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その取付構造
CN109312820B (zh) 用于导能链的链节和导能链
US20220082184A1 (en) Operationally stable side plate for an energy chain
US1227871A (en) Combined breast-strap slide and attaching mean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