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270B1 -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코어 삽입 타이어, 및 코어 삽입 타이어를 구비한 차량 - Google Patents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코어 삽입 타이어, 및 코어 삽입 타이어를 구비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270B1
KR101485270B1 KR20137001986A KR20137001986A KR101485270B1 KR 101485270 B1 KR101485270 B1 KR 101485270B1 KR 20137001986 A KR20137001986 A KR 20137001986A KR 20137001986 A KR20137001986 A KR 20137001986A KR 101485270 B1 KR101485270 B1 KR 101485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ing
core
tire
pieces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0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362A (ko
Inventor
히로유키 마에야마
히로미치 야마모토
고우스케 가타히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1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2Appurtenances, e.g. lin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41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characterised by coupling or locking means between rim and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30Increase in
    • B60B2900/331Safety or security
    • B60B2900/3312Safety or security during regula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70Adaptation for
    • B60B2900/731Use in cases of damage, failure or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Abstract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분할 피스 (10P) 끼리가, 그 반경 방향 내주측에서, 축 방향을 분할 피스 (10P) 의 폭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결합 핀 (11) 에 의해 결합되고, 분할 피스 (10P, 10P) 끼리에 의해 형성되는 분할면 (10a, 10b) 은, 결합 핀 (11) 보다 반경 방향 외주측에서, 반경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는 제 1 하중 수용면 (10c) 및 제 2 하중 수용면 (10d) 을 갖는 코어 (10A) 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코어 삽입 타이어, 및 코어 삽입 타이어를 구비한 차량{CORE FOR PNEUMATIC TIRE, TIRE WITH CORE, AND VEHICLE EQUIPPED WITH TIRES WITH CORE}
본 발명은, 신교통 시스템의 차량 등에 사용되고,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복수로 분할된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그 코어 삽입 타이어, 및 그 타이어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0 년 12 월 21 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0-284852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모노레일이나 지하철 등의 신교통 시스템에서는, 튜브리스 공기 주입 타이어의 내압이 저하되었을 때, 타이어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코어식 보조륜이 부착된 타이어를 채용하고 있는 차량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기 주입 타이어의 코어의 일례로는, 둘레 방향으로 3 분할한 코어의 맞춤매를 법선 방향 (타이어의 차축을 중심축으로 한 반경 방향) 으로 하고, 각 맞춤면을 복수 개의 볼트·너트로 조이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15 는, 특허문헌 1 에서 개시되어 있는 코어를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 15 에 나타내는 코어 (10) 는, 둘레 방향으로 3 분할된 각 분할 피스 (10P) 의 분할면에 볼트 구멍을 갖는 플랜지부 (10e) 가 형성되고, 인접하는 분할 피스 (10P) 의 플랜지부 (10e) 끼리를 볼트와 너트 (10f) 로 결합함으로써 링상의 코어 (10) 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15 와 같은 코어 (10) 에서는, 타이어 (1) 가 펑크나지 않은 통상시에 있어서, 타이어 내부에 코어 (10) 가 세트된 상태에서는 하중은 받지 않고, 타이어 트레드부와 코어 (10) 사이에는 간극을 갖고 있다. 타이어 (1) 가 펑크난 경우나, 공기 누출에 의해 내압이 저하된 경우에 타이어가 찌그러진다. 이 경우, 코어 (10) 가 타이어 트레드부의 내면과 접촉하여 타이어 (1) 가 부담하고 있는 하중을 받는다. 그 결과, 코어 (10) 가 휠과 함께 회전하고, 펑크에 의한 하강량 (가라앉음량) 을 제한하여, 차량의 경사를 억제하면서 주행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11807호
그러나, 종래의 코어를 구비한 차량용 휠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3 분할된 코어를 일체로 결합하는 경우, 타이어의 비드부를 연 상태로 하여, 타이어 내부에서 코어를 조립하고, 볼트와 너트를 넣어 3 분할된 코어의 조임 작업을 한다. 그런데, 타이어 자체가 단단한 고무재이므로 비드부를 크게 넓히기 어려워, 타이어 내부에서의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코어의 조립 및 분해시의 작업성을 높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타이어를 교환하는 경우, 코어를 분해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 코어 분할면이 법선 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접합부가 펑크 주행시에 지면측을 통과할 때, 쌍방의 분할면끼리에 어긋나는 힘이 작용하고, 분할면에 대하여 직행하는 방향으로 볼트축을 배치한 결합 볼트에 전단력이 작용한다. 이 때, 탄성체의 고무 시트가 휠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 볼트는 접합부를 경계로 미소한 변형이 발생하여 빼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결합 볼트를 무리하게 떼어냄으로써 코어의 볼트 구멍이 넓어져, 구멍을 다시 뚫거나, 부시의 추가 등의 처치가 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분할된 코어끼리의 접합부에서 전단 방향의 하중에 대한 접합 볼트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분할된 코어의 조립·분해 작업성이 높아짐과 함께,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코어 삽입 타이어, 및 그 코어 삽입 타이어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복수로 분할된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로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분할 피스끼리가, 그 반경 방향 내주측에서, 축 방향을 분할 피스의 폭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된 연결축 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1 양태에서는, 펑크 주행시에 타이어 내의 코어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 코어 분할면이 법선 방향이 된다. 그 때문에,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어의 분할 피스끼리의 접합부가 지면측을 통과할 때, 그 쌍방의 분할 피스 사이에 어긋나는 힘 (전단력) 이 작용한다. 이 때, 분할 피스끼리를 결합하는 연결축 부재를 반경 방향 내주측에서, 연결축 부재의 축 방향을 분할 피스의 폭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연결축 부재의 축 방향이 상기 전단 방향에 평행해진다. 그 때문에, 결합 볼트 등의 축 방향이 상기 전단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 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전단 방향의 하중에 의한 연결축 부재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축 부재의 변형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코어의 분해 작업을 저해하지 않게 되어,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연결축 부재가 반경 방향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할 피스끼리의 분할면에 형성되는 연결축 부재의 장착, 분리 작업을 타이어의 비드부를 넓힌 개구 부근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분할된 코어의 조립 및 분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타이어 교환에 드는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분할 피스끼리에 의해 형성되는 분할면은, 연결축 부재보다 반경 방향 외주측에서, 반경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는 교차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차면이 연결축 부재보다 반경 방향 외주측에 있고, 분할 피스 사이에 작용하는 전단 방향의 하중을 부담하는 하중 수용면이 되므로, 연결축 부재에 상기 전단 방향의 하중이 직접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연결축 부재의 변형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축 부재의 변형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연결축 부재의 변형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코어의 분해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축 부재는, 인접하는 분할 피스의 각각에 대하여 동축 상에 삽입 통과되는 핀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핀 부재를, 인접하는 분할 피스의 각각에 반경 방향 내주측에서 삽입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히 맞붙는다. 따라서, 볼트와 너트와 같은 조임 작업이 불필요해지므로, 분할된 코어의 조립 및 분해시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토크렌치를 사용한 토크 관리도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너트를 조이는 것을 잊는 것 등의 결점을 없앨 수 있는 데다가, 타이어의 펑크시에 볼트와 너트가 느슨해져 코어에서 하중을 끝까지 지지하지 못하여 차량이 경사진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피스의 분할면에는, 연결축 부재보다 반경 방향 외주측에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분할 피스끼리를 분할면에서 걸어맞춘 상태에서, 걸어맞춤면에서 대향하는 쌍방의 오목홈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부에 하중 수용 핀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가 펑크나서 코어에서 하중을 지지하여 주행하는 경우, 분할 피스끼리의 분할면에 전단 방향의 하중이 가해져도, 반경 방향 외주측에 위치하는 하중 수용 핀으로 그 하중을 부담한다. 이 때문에, 하중 수용 핀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연결축 부재에는, 전단 방향의 하중이 직접 작용하지 않게 되어, 연결축 부재의 변형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축 부재의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연결축 부재의 변형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코어의 분해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피스끼리에 의해 형성되는 분할면에는, 연결축 부재를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 구멍을 갖는 볼록상 삽입 통과부가 형성되고, 인접하는 분할 피스는, 쌍방의 볼록상 삽입 통과부끼리를 각각의 삽입 통과 구멍이 동축에 배치되도록 하여 교대로 걸어맞춰도 된다.
이 경우, 타이어가 펑크나서 코어에서 하중을 지지하여 주행하는 경우, 일방의 분할 피스의 볼록상 삽입 통과부와, 타방의 분할 피스의 볼록상 삽입 통과부가 교대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축 부재에 작용하는 법선 방향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연결축 부재의 양단부에는, 연결축 부재의 축 방향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빠짐 방지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연결축 부재의 축 방향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코어의 분할 피스끼리의 접합부에서 연결축 부재가 빠지거나, 느슨해지는 일이 없어져, 분할 피스끼리의 접합 상태가 확실해진다.
또한, 상기 하중 수용 핀의 양단부에는, 하중 수용 핀의 축 방향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빠짐 방지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중 수용 핀의 축 방향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코어의 분할 피스끼리의 접합부에서 하중 수용 핀이 빠지거나, 느슨해지는 일이 없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할 피스끼리에 의해 형성되는 분할면에는, 연결축 부재보다 반경 방향 외주측에서, 일방의 분할 피스로부터 돌출되는 걸어맞춤 볼록부와, 타방의 분할 피스에 있어서 걸어맞춤 볼록부와 끼워 맞추는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 피스에서는, 걸어맞춤 볼록부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반경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는 하중 수용면이 형성되고, 이 하중 수용면이 분할 피스 사이에 작용하는 전단 방향의 하중을 부담하게 된다. 그 때문에, 연결축 부재에 상기 전단 방향의 하중이 직접 작용하는 일이 없어져, 연결축 부재의 변형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축 부재의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연결축 부재의 변형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코어의 분해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상기 서술한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코어 삽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상기 서술한 코어 삽입 타이어를 구비한 주행륜을 복수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 및 제 3 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단 방향의 하중에 의한 연결축 부재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코어 삽입 타이어, 또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그 코어 삽입 타이어, 및 그 코어 삽입 타이어를 구비한 차량에 의하면, 분할된 코어끼리의 접합부에서 전단 방향의 하중에 대한 연결축 부재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분할된 코어의 조립 및 분해 작업성이 높아짐과 함께,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차륜의 개요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코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A-A 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내는 B-B 선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분할 피스의 접합 전의 상태로서, 제 1 분할면 및 제 2 분할면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코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코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내는 C-C 선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분할 피스의 접합 전의 상태로서, 제 1 분할면 및 제 2 분할면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 은 도 7 에 나타내는 코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코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D-D 선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분할 피스의 접합 전의 상태로서, 제 1 분할면 및 제 2 분할면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4 는 도 11 에 나타내는 코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5 는 종래의 코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코어 삽입 타이어, 및 차량에 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코어 (10A) 는, 공기 주입 타이어 (이하, 간단히 타이어 (1) 라고 한다) 의 내부에 장착되고, 타이어 (1) 의 내압이 저하되었을 때, 그 타이어 (1) 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여기서, 도 1 의 부호 2 는 휠, 부호 3 은 차축 허브, 부호 4 는 사이드링, 부호 5 는 록링, 부호 6 은 밸브, 부호 7 은 코어 (10A) 와 휠 (2) 의 림 플랜지 (2A) 사이에 형성되는 고무 시트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 에 있어서, 도면 좌측이 차폭 방향 내측이고, 도면 우측이 마찬가지로 차폭 방향 외측이다.
또, 상기 코어 (10A) 에서, 차축 허브 (3) 의 차축 (P) 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 또는 반경 방향이라고 하고, 차축 (P) 둘레에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하고, 차축 (P) 에 평행하는 방향을 폭 방향 (X) 이라고 한다.
코어 (10A) 는, 타이어 (1) 를 내측으로부터 지승 (支承) 하는 크라운부 (12) 와, 코어 (10) 의 래디얼 방향 최내측을 형성하는 베이스부 (13) 와, 베이스부 (13) 와 크라운부 (12) 에 연결되는 서포트부 (14) 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서포트부 (14) 를 보강하는 보강 리브 (15) 를 구비한다. 또한, 코어 (10A) 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H 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2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10A) 는,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복수로 분할 (여기서는 3 분할) 되어 있다. 분할된 코어 (10A) 를 분할 피스 (10P) 로 한다.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분할 피스 (10P, 10P) 끼리가, 그 반경 방향 내주측에서, 축 방향을 상기 분할 피스 (10P) 의 폭 방향 (X) 을 향하게 한 결합 핀 (11) (연결축 부재) 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즉, 분할 피스 (10P) 는, 일방의 둘레 방향 단부 (端部) 에 제 1 분할면 (10a) 을 갖고, 타방의 둘레 방향 단부에 제 2 분할면 (10b) 을 갖고 있다.
그리고, 둘레 방향으로 인접 배치된 일방의 분할 피스 (10P) 의 제 1 분할면 (10a) 과, 타방의 분할 피스 (10P) 의 제 2 분할면 (10b) 을 접합시킴으로써, 링상의 코어 (10A) 가 형성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분할면 (10a) 에는, 접합 플랜지 (16A) 가 형성되고, 직경 방향 내측에 결합 핀 (11) 을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 구멍 (17a) 을 갖는 제 1 볼록상 삽입 통과부 (17) 가 폭 방향으로 복수 (여기서는 2 개) 형성된다. 또한, 분할 피스 (10P) 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분할 피스 (10P) 의 둘레 방향 외측을 향하는 제 1 하중 수용면 (10c) (교차면)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분할면 (10b) 에는 접합 플랜지 (16B) 가 형성되고, 직경 방향 내측에 결합 핀 (11) 을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 구멍 (18a) 을 갖는 제 2 볼록상 삽입 통과부 (18) 가 폭 방향으로 복수 (여기서는 3 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할 피스 (10P) 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분할 피스 (10P) 의 둘레 방향 내측을 향하는 제 2 하중 수용면 (10d) (교차면)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하중 수용면 (10c) 및 제 2 하중 수용면 (10d) 은, 각각 반경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쌍방의 면 (10c, 10d) 끼리는 면접촉한다.
제 2 볼록상 삽입 통과부 (18) 는, 상기 제 1 볼록상 삽입 통과부 (17) 에 대응하여 폭 방향으로 교대로 걸어맞춰진다 (맞물린다). 요컨대, 제 1 볼록상 삽입 통과부 (17) 와 제 2 볼록상 삽입 통과부 (18) 가 맞물린 상태에서, 각각의 삽입 통과 구멍 (17a, 18a) 끼리가 동축이 되어 결합 핀 (11) 이 삽입 통과된다.
그리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 구멍 (17a, 18a) 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결합 핀 (11) 의 양단부에는, 결합 핀 (11) 의 축 방향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는 C 형 방지륜 (19) (제 1 빠짐 방지 부재) 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코어 (10A) 의 작용에 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펑크 주행시에 타이어 (1) 내의 코어 (10A) 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 코어 (10A) 의 제 1, 제 2 분할면을 (10a, 10b) 이 법선 방향 (Y) 의 위치에 있다. 그 때문에,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어 (10A) 의 분할 피스 (10P, 10P) 끼리의 접합부 (T) 가 지면측을 통과할 때, 그 쌍방의 분할 피스 (10P, 10P) 사이에 어긋나는 힘 (전단력) 이 작용한다. 이 때, 반경 방향 내주측에서, 분할 피스 (10P, 10P) 끼리를 결합하는 결합 핀 (11) 의 축 방향을 분할 피스 (10P) 의 폭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결합 핀 (11) 의 축 방향이 상기 전단 방향에 평행해진다.
그 때문에, 결합 볼트 등의 축 방향이 상기 전단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 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전단 방향의 하중이 결합 핀 (11) 에 직접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결합 핀 (11) 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핀 (11) 의 변형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코어 (10A) 의 분해 작업을 저해하지 않게 되어,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결합 핀 (11) 이 반경 방향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할 피스 (10P, 10P) 끼리의 제 1, 제 2 분할면 (10a, 10b) 에 형성되는 결합 핀 (11) 의 장착, 분리 작업을 타이어 (1) 의 비드부를 넓힌 개구 부근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분할된 코어 (10A) 의 조립 및 분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타이어 교환에 드는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중 수용면 (10c) 이 결합 핀 (11) 보다 반경 방향 외주측에 있고, 분할 피스 (10P, 10P) 사이에 작용하는 전단 방향의 하중을 부담하는 하중 수용면이 된다. 그 때문에, 결합 핀 (11) 에 상기 전단 방향의 하중이 직접 작용하지 않게 되어, 결합 핀 (11) 의 변형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 핀 (11) 의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결합 핀 (11) 의 변형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코어 (10A) 의 분해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코어 (10A) 는, 핀 부재를 인접하는 분할 피스 (10P) 의 각각에 반경 방향 내주측에서 삽입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히 맞붙는다. 그 때문에, 볼트와 너트와 같은 조임 작업이 불필요해지므로, 분할 피스 (10P) 의 조립 및 분해시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토크렌치를 사용한 토크 관리도 불필요해지고, 너트를 조이는 것을 잊는 것 등의 결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타이어의 펑크시에 볼트와 너트가 느슨해져, 코어에서 하중을 끝까지 지지하지 못하여 차량이 경사진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타이어 (1) 가 펑크나서 코어 (10A) 에서 하중을 지지하여 주행하는 경우, 일방의 분할 피스 (10P) 의 제 1 볼록상 삽입 통과부 (17) 와, 타방의 분할 피스 (10P) 의 제 2 볼록상 삽입 통과부 (18) 가 교대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 핀 (11) 에 작용하는 법선 방향 (Y) 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 핀 (11) 은, C 형 방지륜 (19) 에 의해 축 방향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코어 (10A) 의 분할 피스 (10P) 에 대하여 결합 핀 (11) 이 빠지거나, 느슨해지는 일이 없어져, 분할 피스 (10P) 끼리의 접합 상태가 확실해진다.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코어 삽입 타이어, 및 코어 삽입 타이어를 구비한 차량에서는, 분할된 코어의 조립 및 분해 작업성을 높이고,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분할된 코어 (분할 피스 (10P)) 끼리의 접합부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대한 결합 핀 (11) 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코어 삽입 타이어, 및 차량에 의한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서,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는데,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7 내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코어 (10B) 는, 분할 피스 (10P) 의 제 1, 제 2 분할면 (10a, 10b) 에서, 직경 방향 중간에 폭 방향 (X) 을 따라 연장되는 반원홈 (20) (오목홈) 이 형성되어 있다.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분할 피스 (10P, 10P) 끼리를 제 1, 제 2 분할면 (10a, 10b) 에서 걸어맞춘 상태에서, 쌍방의 반원홈 (20, 20) 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부에 하중 수용 핀 (21) 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하중 수용 핀 (21) 은, 그 양단부가 볼트에 의해 접합부 (T) 의 일방의 분할 피스 (10P) 에 고정되는 가압 단판 (端板) (22) (제 2 빠짐 방지 부재) 에 의해 축 방향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 (1) 가 펑크나서 코어 (10B) 에서 하중을 지지하여 주행하는 경우, 분할 피스 (10P, 10P) 끼리의 제 1, 제 2 분할면 (10a, 10b) 에 전단 방향의 하중이 가해져도, 반경 방향 외주측에 위치하는 하중 수용 핀 (21) 에서 그 하중을 부담한다. 그 때문에, 하중 수용 핀 (21) 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 핀 (11) 에는 전단 방향의 하중이 직접 작용하지 않게 되어, 결합 핀 (11) 의 변형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 핀 (11) 의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결합 핀 (11) 의 변형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코어 (10B) 의 분해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 에,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코어 (10C) 를 나타낸다. 코어 (10C) 는, 분할 피스 (10P) 의 접합부 (T) 에서, 결합 피스 (11) 보다 반경 방향 외주측에서, 일방의 분할 피스 (10P) 의 제 1 분할면 (10a) 으로부터 돌출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걸어맞춤 볼록부 (23) 와, 타방의 분할 피스 (10P) 의 제 2 분할면 (10b) 에서 걸어맞춤 볼록부 (23) 와 끼워 맞춰지는 걸어맞춤 오목부 (24) 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 볼록부 (23) 와 걸어맞춤 오목부 (24) 의 걸어맞춤에 의해 반경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는 하중 수용면 (10c, 10d) 이 형성된다. 이 하중 수용면 (10c, 10d) 이 분할 피스 (10P) 사이에 작용하는 전단 방향의 하중을 부담한다. 그 때문에, 결합 핀 (11) 에 상기 전단 방향의 하중이 직접 작용하지 않게 되어, 결합 핀 (11) 의 변형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도 14 참조). 이와 같이 결합 핀 (11) 의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결합 핀 (11) 의 변형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코어의 분해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코어 삽입 타이어, 및 코어 삽입 타이어를 구비한 차량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합 핀 (11) 의 빠짐 방지 부재로서 C 형 방지륜 (19) 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E 형 방지륜, 스냅 핀, 분할 핀 등 적당한 것으로 고정시켜도 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제 2 분할면 (10a, 10b) 의 반원홈 (20, 20) 끼리를 조합하여 원형 단면의 하중 수용 핀 (21) 을 삽입 통과시켰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각홈이나 삼각홈 등의 형상의 오목홈이어도 된다. 이 경우, 하중 수용 핀의 단면 형상은 사각홈에 대해서는 사각 형상의 핀을 수평으로 삽입하고, 삼각홈에 대해서는 사각 형상의 핀을 45 도 눕혀 삽입하면 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 볼록부 (23) 와 걸어맞춤 오목부 (24) 의 걸어맞춤에 의해 반경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는 하중 수용면 (10c, 10d) 이 형성되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걸어맞춤 볼록부 (23) 는 반원통 형상이어도 되고, 이 경우, 걸어맞춤 오목부 (24) 는 반원통면을 갖는 홈이어도 된다.
기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된 구성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고,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그 코어 삽입 타이어, 및 그 코어 삽입 타이어를 구비한 차량에 의하면, 분할된 코어끼리의 접합부에서 전단 방향의 하중에 대한 연결축 부재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분할된 코어의 조립 및 분해 작업성이 높아짐과 함께,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 : 타이어 (공기 주입 타이어)
2 : 휠
3 : 차축 허브
10A, 10B : 코어
10a : 제 1 분할면
10b : 제 2 분할면
10c : 제 1 하중 수용면 (교차면)
10d : 제 2 하중 수용면 (교차면)
10P : 분할 피스
11 : 결합 핀 (연결축 부재)
16A, 16B : 접합판
17 : 제 1 볼록상 삽입 통과부
17a : 삽입 통과 구멍
18 : 제 2 볼록상 삽입 통과부
18a : 삽입 통과 구멍
19 : C 형 방지륜 (제 1 빠짐 방지 부재)
20 : 반원홈 (오목홈)
21 : 하중 수용 핀
22 : 가압 단판 (제 2 빠짐 방지 부재)
23 : 걸어맞춤 볼록부
24 : 걸어맞춤 오목부

Claims (10)

  1. 둘레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 가능한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로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고,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분할 피스와,
    상기 분할 피스의 폭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고, 인접하는 상기 분할 피스끼리를 연결하는 연결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피스에 포함되는 제 1 분할 피스가, 상기 제 1 분할 피스에 인접하는 제 2 분할 피스와의 사이에서 분할면을 형성하는 제 1 분할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분할면이, 상기 분할 피스의 폭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상기 코어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제 1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 2 분할 피스가, 상기 제 1 분할 피스와의 사이에서 상기 분할면을 형성하는 제 2 분할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분할면이, 상기 분할 피스의 폭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상기 코어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제 2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 1, 제 2 분할 피스를 조합했을 때, 상기 제 1 경사면은, 상기 제 2 경사면과 면접촉하고, 서로 면접촉하고 있는 상기 제 1, 제 2 경사면은, 상기 연결축 부재보다 상기 코어의 반경 방향 외주측에 위치하는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분할 피스의 각각에 대하여 동축 상에 삽입 통과되는 핀 부재인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피스의 분할면에는, 상기 연결축 부재보다 상기 반경 방향 외주측에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분할 피스끼리를 상기 분할면에서 걸어맞춘 상태에서, 상기 분할면에서 대향하는 쌍방의 오목홈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부에 하중 수용 핀이 삽입되어 있는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피스끼리에 의해 형성되는 분할면에는, 상기 연결축 부재를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 구멍을 갖는 볼록상 삽입 통과부가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분할 피스는, 쌍방의 볼록상 삽입 통과부끼리를 각각의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이 동축에 배치되도록 하여 교대로 걸어맞추는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 부재의 양단부에는, 그 연결축 부재의 축 방향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빠짐 방지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수용 핀의 양단부에는, 그 하중 수용 핀의 축 방향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빠짐 방지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피스끼리에 의해 형성되는 분할면에는, 상기 연결축 부재보다 상기 반경 방향 외주측에서, 일방의 분할 피스로부터 돌출되는 걸어맞춤 볼록부와, 타방의 분할 피스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와 끼워 맞추는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9.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코어 삽입 타이어.
  10. 제 9 항에 기재된 코어 삽입 타이어를 구비한 주행륜을 복수 구비하는 차량.
KR20137001986A 2010-12-21 2011-07-15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코어 삽입 타이어, 및 코어 삽입 타이어를 구비한 차량 KR101485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4852 2010-12-21
JP2010284852A JP5204209B2 (ja) 2010-12-21 2010-12-21 空気入りタイヤ用の中子、中子入りタイヤ、および車両
PCT/JP2011/066273 WO2012086247A1 (ja) 2010-12-21 2011-07-15 空気入りタイヤ用の中子、中子入りタイヤ、および中子入りタイヤを備えた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362A KR20130031362A (ko) 2013-03-28
KR101485270B1 true KR101485270B1 (ko) 2015-01-21

Family

ID=4631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01986A KR101485270B1 (ko) 2010-12-21 2011-07-15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코어 삽입 타이어, 및 코어 삽입 타이어를 구비한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46632B2 (ko)
JP (1) JP5204209B2 (ko)
KR (1) KR101485270B1 (ko)
CN (1) CN103025542B (ko)
HK (1) HK1179575A1 (ko)
SG (1) SG190759A1 (ko)
WO (1) WO2012086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3235B2 (ja) * 2013-10-22 2018-04-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非空気入りタイヤ
CN103818194A (zh) * 2014-02-25 2014-05-28 冯莉莉 支撑式胎芯
CN103818195B (zh) * 2014-02-25 2016-07-06 冯莉莉 支撑式胎芯的制造和安装方法
CN109130714A (zh) * 2018-11-01 2019-01-04 青岛双星轮胎工业有限公司 轮胎内支撑体
CN113022223B (zh) * 2021-03-31 2022-04-29 黄河交通学院 一种汽车爆胎应急安全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204U (ko) * 1990-02-22 1991-11-05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366B2 (ja) * 1978-01-19 1983-03-14 オ−ツタイヤ株式会社 車輪
WO1979000612A1 (en) 1978-02-10 1979-09-06 Coleman R Heath A structure for use within a pneumatic tyre providing support in the event of deflation
JPS601867B2 (ja) 1981-07-13 1985-01-17 ライオン株式会社 みそ含有乳化液状ドレッシング
US4393911A (en) * 1982-07-26 1983-07-19 Astronics Corporation Safety liner for tires
JPS59156808A (ja) * 1983-02-23 1984-09-06 Kawasaki Heavy Ind Ltd 気体入れタイヤに内蔵する分割形補助輪の構造
JPS6085002A (ja) * 1983-10-17 1985-05-14 Kawasaki Heavy Ind Ltd チューブレスタイヤの補助輪
JPS6068808U (ja) * 1983-10-19 1985-05-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安全タイヤ
JPS63312209A (ja) * 1987-06-15 1988-12-20 Yokohama Rubber Co Ltd:The 安全タイヤの中子構造
JPH0356201A (ja) 1989-07-12 1991-03-11 Hotsukou Kk 粉粒体の袋詰装置および袋詰ノズル
JPH03107204A (ja) 1989-09-21 1991-05-07 Anritsu Corp 信号発生器
DE3941889A1 (de) 1989-12-19 1991-06-20 Integrated Circuit Testi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otentialmessung auf leiterbahnen einer programmgesteuerten integrierten schaltung
JPH0411842A (ja) 1989-12-21 1992-01-16 Unilever Nv 脂肪ブレンド
JPH049681A (ja) 1990-04-27 1992-01-14 Hitachi Ltd 論理回路のテストデータ生成方法
JPH0565004A (ja) 1991-09-10 1993-03-19 Bridgestone Corp 中子車輪を内装した安全タイヤ及びランフラツト警告 方法
JP3556004B2 (ja) * 1995-03-14 2004-08-1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支持中子
JP3710242B2 (ja) * 1997-01-29 2005-10-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の中子
JPH10278503A (ja) 1997-04-02 1998-10-20 Komatsu Ltd 安全タイヤ
JP2002059721A (ja) * 2000-08-14 2002-02-26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用中子組立体
EP1550566B1 (en) 2002-05-28 2008-06-25 Topy Kogyo Kabushiki Kaisha Run-flat support
WO2003106200A1 (en) * 2002-06-17 2003-12-24 Runflat International Limited Two part run-flat device
TWI225013B (en) * 2003-10-24 2004-12-11 Yue-Niu Chen Auxiliary frame enhancing device for a vehicular single sheet type wheel frame
TWI233400B (en) 2004-04-01 2005-06-01 Yue-Niu Chen Wheel rim adaptor for emergent driving
TWI233399B (en) * 2004-08-12 2005-06-01 Yue-Niu Chen Improved enhancement of wheel rim adaptor for emergent driving
JP4209406B2 (ja) 2005-04-28 2009-01-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交通システム
TW200639078A (en) 2005-05-11 2006-11-16 Yue-Nv Chen Improved enhancing structure of anti-puncturing/anti-flat-tire rim for ti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204U (ko) * 1990-02-22 1991-11-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90759A1 (en) 2013-07-31
US9446632B2 (en) 2016-09-20
CN103025542A (zh) 2013-04-03
WO2012086247A1 (ja) 2012-06-28
JP5204209B2 (ja) 2013-06-05
CN103025542B (zh) 2015-11-25
HK1179575A1 (zh) 2013-10-04
JP2012131350A (ja) 2012-07-12
KR20130031362A (ko) 2013-03-28
US20130126065A1 (en)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270B1 (ko) 공기 주입 타이어용 코어, 코어 삽입 타이어, 및 코어 삽입 타이어를 구비한 차량
KR101482892B1 (ko) 차량용 휠, 주행륜, 차량 및 차량용 휠의 조립 분해 방법
US7503362B2 (en) Run-flat device
EP2318220B1 (en) Runflat
JPH04228310A (ja) 複タイヤ・リム・アセンブリと複リム・アセンブリ のガッタ・バンド縁部の金属疲労を減らす方法
US20150246578A1 (en) Multi-piece rim assembly
US6109319A (en) Run-flat support for pneumatic tired wheel
JP4774865B2 (ja) タイヤ用ホイール及びホイール/タイヤ組立体
WO2009029990A1 (en) Wheel assembly
RU2540037C2 (ru) Безопасное колес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220080148A (ko) 나사산형 휠 림
WO2008104730A1 (en) Improved run-flat device
US5890526A (en) Driver for bead seat band
JP2007106259A (ja) リム
KR101555132B1 (ko) 타이어용 런플렛 지지체의 연결 및 분리구조
CN214523173U (zh) 一种轨道交通用弹性车轮
WO2023282797A2 (ru) Колес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шиной повышенной проходимости
KR100990537B1 (ko) 체결부 보강구성을 갖는 런플랫 장치
EP1872978B1 (en) Run flat support body for pneumatic tire
KR20240045022A (ko) 에어리스 타이어용 림 구조
CN116872652A (zh) 对开式实心胎车轮总成
KR200435014Y1 (ko) 복륜 대체용 단륜 바퀴
KR200350343Y1 (ko) 센터링과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휠 조립체
AU2006202446A1 (en) A rim assembly
KR20050081140A (ko) 센터링과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휠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