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818B1 - 섬유 기재 및 이것을 사용한 내장재 - Google Patents

섬유 기재 및 이것을 사용한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818B1
KR101484818B1 KR1020120113376A KR20120113376A KR101484818B1 KR 101484818 B1 KR101484818 B1 KR 101484818B1 KR 1020120113376 A KR1020120113376 A KR 1020120113376A KR 20120113376 A KR20120113376 A KR 20120113376A KR 101484818 B1 KR101484818 B1 KR 101484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gion
fibers
fiber
fib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736A (ko
Inventor
쯔또무 다까기
데쯔야 나까무라
요스께 다가미
세이지 하나따니
히데아끼 야마시따
Original Assignee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케이 플라시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케이 플라시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0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impregnat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78Moulding material on one side only of the preformed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impregnant, bonding, or embedding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게가 다른 복수의 영역을 형성하고, 경량화와 핸들링 강성의 확보를 양립시킨 섬유 기재 및 이것을 사용한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섬유 기재(1)는 섬유끼리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결착되어서 이루어지는 판형상의 기재이며, 무게가 다른 복수의 영역을 갖는다. 또한, 절결부(7)를 갖고, 절결부(7)의 주변의 영역(9)의 무게를 주변의 영역(9)의 더 외측의 영역(11)의 무게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장재는, 섬유 기재(1)의 일면측에 표피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섬유 기재 및 이것을 사용한 내장재{FIBER SUBSTRATE, AND INTERIOR MATERIAL USING THIS}
본 발명은 섬유 기재 및 이것을 사용한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플로어 트림, 루프 트림, 도어 트림 등의 차량용 내장재, 바닥, 천장, 카페트 등의 건재 등 광범위한 제품 분야에 있어서, 단열, 차음, 완충 등을 목적으로 해서 판형상 등의 섬유 기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섬유 기재는 환경 부하나, 비용 저감 등의 관점으로부터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량화에 수반하여, 점차 섬유 기재 자체의 강성이 저하되고, 취급할 때의 핸들링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성(즉, 핸들링 강성)의 확보가 곤란해지고 있다. 요즘, 이 핸들링 강성의 한계가 섬유 기재의 한층 경량화의 방해가 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하여, 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21782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평8-25489호 공보가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217829호 공보에는, 강화 섬유끼리를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결착시킨 초조 시트를 건조후, 니들링을 실시한 스탠퍼블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25489호 공보에는, 강화용 유리 섬유로서 대경 섬유와, 소경 섬유를 혼용해서 강성을 향상시키는 스탠퍼블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모두, 이들의 시트재에 있어서 강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우수한 기술이지만, 한층 더 경량화와 강성과의 양립과 그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화와 핸들링 강성의 확보를 양립시킨 섬유 기재 및 이것을 사용한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섬유 기재는, 섬유끼리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결착되게 되는 판형상의 섬유 기재이며, 무게가 다른 복수의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섬유 기재에 있어서, 절결부를 갖고, 상기 절결부의 주변의 영역의 무게가 상기 주변의 영역의 더 외측의 영역의 무게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섬유 기재에 있어서, 소정 무게의 제1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보다도 무게가 작은 제2 영역을 향해 서서히 무게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장재는 상기 섬유 기재의 일면측에 표피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섬유 기재에 따르면, 경량화와 핸들링 강성의 확보를 양립시킬 수 있다. 특히, 섬유 기재의 전체를 경량으로 하면서, 강성을 필요로 하는 부위만 국부적으로 무게를 크게 함으로써, 핸들링시에 필요한 강성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절결부 주변의 영역의 무게가 주변의 영역의 더 외측의 영역의 무게보다도 클 경우에는, 보다 효과적으로 핸들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절결부의 존재에 의해 저하된 강성을 절결부와 그 주변의 영역의 무게를 크게 함으로써 확보하는 한편, 절결부로부터 먼 위치의 무게는 작게 함으로써, 강성의 기복을 작게 억제하고, 보다 우수한 핸들링 강성을 얻을 수 있다.
소정 무게의 제1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보다도 무게가 작은 제2 영역을 향해 서서히 무게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거리와 함께 서서히 무게가 변화되기 때문에, 섬유 기재의 절곡 기점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고, 보다 우수한 핸들링 강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장재에 따르면, 경량화와 핸들링 강성의 확보를 양립시킬 수 있다. 특히, 두께의 변화 및 표면의 기복이 억제되고, 의장성에도 우수한 내장재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 기재 및 내장재는 차량 및 건재 등의 광범위한 제품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섬유 기재는 차량, 건재 등의 광범위한 제품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차량 내장재의 구성 재료로서 유용하다. 예를 들어, 플로어 트림, 루프 트림, 도어 트림 등의 각종 내장재의 코어재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대해서, 본 발명에 의한 전형적인 실시형태의 비한정적인 예를 들고, 언급된 복수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상세한 기술에서 다시 설명하지만, 동일한 참조부호는 도면 중 몇 개의 도면을 통해서 동일한 부품을 도시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섬유 기재의 평면도.
도 2는 섬유 기재를 구비하는 자동차 내장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제2 실시형태의 섬유 기재의 사시도.
도 4는 제3 실시형태의 섬유 기재의 사시도.
도 5는 제4 실시형태의 섬유 기재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섬유 기재의 폭방향에서의 무게의 변화의 개념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제5 실시형태의 내장재의 단면도.
도 8은 웹을 적층해서 섬유 기재를 얻는 방법에 관한 설명도.
도 9는 제6 실시형태의 섬유 기재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나타내는 사항은 예시적인 것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적인 특징을 가장 유효하게 또한 무난하게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제공하는 목적에서 서술한 것이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근본적인 이해를 위해 필요한 정도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조적인 상세를 도시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고, 도면과 맞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몇개의 형태가 실제로 어떻게 구현화되는가를 당업자에게 밝히는 것이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의 섬유 기재(1)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섬유 기재(1)는 섬유끼리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결착되어 이루어지는 판형상의 섬유 기재이다. 그리고, 섬유 기재(1)는 무게가 다른 복수의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섬유 기재(1)는 무게가 큰 제1 영역(3)과, 제1 영역(3)보다도 무게가 작은 제2 영역(5)을 갖는다.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해칭의 농담의 차이는 무게의 차이를 나타낸다. 해칭의 색이 짙을수록 무게가 큰 것을 나타낸다(도 3 내지 도 5도 동일함). 또한, 도 1의 화살표(FR)는 이 섬유 기재(1)가 자동차 내장재에 사용되었을 경우의 전방측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섬유 기재(1)에서는, 양쪽 테두리부에 띠형상으로 무게가 큰 제1 영역(3)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쪽 사이드의 강성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섬유 기재(1)는 전체적으로 강성이 높아진다.
종래는, 조립 공정 등에 있어서 작업원이 들어 올리거나, 운반하거나 할 때에, 섬유 기재(1)가 만곡되거나, 절곡되거나 해서 작업성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쪽 테두리부에 띠형상으로 무게가 큰 제1 영역을 배치함으로써, 이 절곡을 억제해서 강성을 높이고, 핸들링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각 영역의 무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무게가 큰 제1 영역(3)이 100 내지 1000g/㎡이 바람직하고, 또한 200 내지 900g/㎡이 바람직하고, 특히 300 내지 600g/㎡이 바람직하다.
무게가 작은 제2 영역(5)은 100 내지 1000g/㎡이 바람직하고, 또한 150 내지 800g/㎡이 바람직하고, 특히 200 내지 500g/㎡이 바람직하다.
섬유 기재(1)는 각종 용도에 있어서 사용되기 때문에, 그 두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도 등에 의해 적당한 두께로 할 수 있다. 섬유 기재(1)의 두께는, 통상 0.5 내지 200㎜, 특히 0.5 내지 80㎜로 할 수 있고, 섬유 기재(1)의 두께가 0.5 내지 200㎜이면, 많은 용도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 등을 갖고, 또한 경량한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무게가 다른 영역은, 제1 영역(3)과 제2 영역(5)의 2개로 하였지만, 영역의 수(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3 이상이여도 좋다.
섬유 기재(1)를 구성하는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결착되는 것으로 섬유 기재(1)에 강성을 부여하는 섬유이며, 섬유 기재에 있어서 강화 섬유로서 기능한다. 이 섬유의 종류, 길이 및 굵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로서는, 무기 섬유, 유기 섬유 및 무기 유기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 중, 무기 섬유로서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PAN계, 피치계, 셀룰로오스계 등), 금속 섬유(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 세라믹 섬유(바살토, 탄화규소, 질화 규소 등)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유기 섬유로서는, 합성 섬유, 천연 섬유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합성 섬유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아라미드 섬유 등), 폴리올레핀계 섬유, 아크릴계 섬유 및 비닐론계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섬유로서는, 식물 및 동물에 유래하는 섬유를 들 수 있다. 식물에 유래하는 섬유로서는, 예를 들어 케나프, 마닐라삼, 사이잘삼, 주트 삼, 면화, 안피, 삼지닥나무, 바나나, 파인애플, 야자나무, 옥수수, 사탕수수, 버개스, 야자, 파피루스, 갈대, 에스파르트, 사바이그래스(sabai grass), 보리, 벼, 대나무 및 각종 침엽수 등의 각종 식물로 얻어지는 식물성 섬유를 들 수 있다.
특히, 섬유로서, 무기 섬유를 사용할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결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섬유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와의 친화성을 향상시키는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로서는, 각종 커플링 처리(실란 커플링 처리 등)를 들 수 있다.
또한, 섬유의 섬유 길이는, 통상 1 내지 100mm이며, 보다 높은 강성을 얻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3 내지 70㎜이 바람직하고, 무게 제어의 관점에서 3 내지 50㎜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섬유의 직경은, 통상 1 내지 30㎛이며, 보다 높은 강성을 얻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5 내지 25㎛가 바람직하고, 무게 제어의 관점에서 7 내지 25㎛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의 섬유 길이는, JIS L1015에 있어서의 직접법에 준거하고, 무작위로 취출한 1개의 섬유를 신장시키지 않고 똑바로 연장시키고, 거치식 자 상에서 측정한 섬유 길이이며, 섬유 직경은 섬유 길이를 측정한 섬유에 대해서, 길이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직경을 광학 현미경을 사용해서 측정한 값이다.
또한, 섬유 기재(1)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복수의 섬유끼리를 결착함으로써, 섬유 기재(1)의 형태를 유지해서 강성을 부여한다. 즉, 열가소성 수지는 섬유에 대하여 바인더로서 기능한다. 이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ABS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에틸렌-염화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카르복실기 또는 산무수물기에 의해 변성된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해서는, 폴리유산, 폴리카프로락톤 등의 지방족폴리에스텔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에스텔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아크릴계 수지로서는, 메타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성형성 및 경비중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고, 또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강성 및 탄성률의 관점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하다.
섬유 기재(1)에 포함되는 섬유와 열가소성 수지의 비율에 대해서, 섬유의 비율은 섬유와 열가소성 수지와의 합계를 100질량%로 했을 경우에, 통상 10질량% 이상 65질량% 이하이다. 이 비율은 보다 높은 강성을 얻는다고 하는 관점에 있어서, 15질량% 이상 5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기재(1)에는, 필요에 따라서 각종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발포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윤활제, 난연제, 난연 조제, 연화제, 섬유 기재의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기 또는 유기의 각종 충전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섬유 기재는 어떤 제조 방법으로 제조해도 좋지만,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제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섬유 기재(1)는, 통상 섬유 및 열가소성 수지체를 포함한 웹을 가열하고, 웹에 포함된 열가소성 수지체를 용융시켜서, 섬유끼리 열가소성 수지체의 용융물로 결착한 상태에서 고화해서 얻어진다. 또한, 상기 웹도 어떤 제조 방법으로 제조해도 좋지만, 통상 하기에 설명하는 건식법, 또는 분산매내에서, 섬유와 열가소성 수지체를 퇴적시키는 습식법(도시 생략)을 이용해서 얻을 수 있다.
상기 건식법은, 섬유와 열가소성 수지체(건식법에서는, 통상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사용하는)를 기상중에 분산시켜서 혼합하고, 기상중에 혼합된 섬유 및 열가소성 수지체를 하방으로 낙하 퇴적시켜서 웹을 얻는 방법이다. 한편, 습식법은, 분산매에 분산된, 섬유 및 열가소성 수지체(섬유 또는 입자의 형태의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웹을 초조하는 방법이다. 이들의 방법에서는, 어느쪽의 방법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 웹에 니들링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지는 섬유 기재(1)에, 전술한 무게가 다른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건식법에서는, 도 8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섬유와 열가소성 수지체를 포함한 소정의 무게의 기초 웹(20) 상에 기초 웹(20)과 동일한 또는 다른 무게를 갖는 추가 웹(21)을 적층하고, 얻어진 적층 웹을 가열 및 냉각해서 얻을 수 있다. 이 추가 웹은 필요에 따라 몇층으로도 중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섬유 기재(1)는, 적층 웹중의 열가소성 수지체가 용융되어서 섬유끼리 열가소성 수지체의 용융물에 의해 결착된 후에 고화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추가 웹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기초 웹과 마찬가지로, 섬유와 열가소성 수지체를 포함한다. 또한, 얻어진 적층 웹은 가열전에 필요에 따라 니들링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웹을 가열할 때는, 필요에 따라 가열과 동시에 또는 가열후에 가압을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의 섬유 기재(1)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의 자동차 내장은 도 3의 섬유 기재(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조, 작용 및 효과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과 마찬가지로, 해칭의 농담의 차이는 무게의 차이를 나타낸다. 해칭의 색이 짙을수록 무게가 큰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화살표(FR)는 자동차에 있어서의 전방측을 나타내고, 화살표(UP)는 상방을 나타낸다(도 4도 동일함).
섬유 기재(1)는 절결부(7)를 갖고, 절결부(7)의 주변의 영역(9)의 무게가, 주변의 영역의 더 외측의 영역(11)의 무게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섬유 기재(1)에서는, 자동차의 천장재로서 부착되었을 때에, 각 필러(15)나 오버헤드 콘솔(13)이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한 절결부(7)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7)를 구비하는 섬유 기재(1)는, 조립 공정 등에 있어서 작업원이 들어 올리거나, 운반하거나 할 때에 만곡에 의한 부하나 응력이 집중되기 쉽다. 따라서, 이 절결부(7)를 기점으로 해서 섬유 기재(1) 전체가 절곡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결부(7)의 주변의 영역(9)의 무게를 크게 함으로써, 이 절곡을 억제해서 강성을 높이고, 핸들링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변의 영역(9)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부(7)를 둘러싸도록 띠형상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주변의 영역(9)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 내지 30㎝(0㎝를 포함하지 않음)가 바람직하고, 또한 0 내지 20㎝(0㎝를 포함하지 않음)가 바람직하고, 특히 0 내지 15㎝(0㎝를 포함하지 않음)가 바람직하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의 섬유 기재(1)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의 자동차 내장은 도 4의 섬유 기재(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구조, 작용 및 효과의 설명은 생략한다.
자동차의 천장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섬유 기재(1)는 도 1에 도시하는 섬유 기재(1)와 마찬가지로, 양쪽 테두리부에 띠형상으로 무게가 큰 영역이 배치되어, 섬유 기재(1)의 양쪽 사이드의 강성이 높아져 있다. 그리고, 이 무게가 큰 영역에 각 필러(15)가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한 절결부(7)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각 필러(15)에 대응한 각 절결부(7)는 모두 무게가 큰 영역에 포함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절결부(7) 주변의 영역(9)의 무게는 주변의 영역의 더 외측의 영역(11)의 무게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섬유 기재(1)의 절결부(7)에는, 조립 공정 등에 있어서의 핸들링시에 부하나 응력이 집중하기 쉽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절결부(7)의 주변의 영역(9)의 무게가 크기 때문에, 이 절곡을 억제해서 강성을 높이고, 핸들링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변의 영역(9)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필러(15)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 절결부(7)를 포함하도록 띠형상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주변의 영역(9)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 내지 40㎝(0㎝를 포함하지 않음)가 바람직하고, 또한 0 내지 30㎝(0㎝를 포함하지 않음)가 바람직하고, 특히 0 내지 25㎝(0㎝를 포함하지 않음)가 바람직하다.
<제4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의 섬유 기재(1)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조, 작용 및 효과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형태의 섬유 기재(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무게의 제1 영역(3)으로부터 제1 영역(3)보다도 무게가 작은 제2 영역(5)을 향해 서서히 무게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무게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해서 도 6에 도시한다. 도 6에 있어서, A는 제1 영역(3)의 무게를 나타내고, C는 제2 영역(5)의 무게를 나타낸다. 이 도 6에서는, B에 있어서, 제1 영역(3)으로부터 제2 영역(5)을 향해 서서히 무게가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1 영역(3)으로부터 제2 영역(5)을 향해 서서히 무게가 작아지도록 되어 있으면, 제1 영역(3)으로부터 제2 영역(5)으로 급격하게 무게가 변화되는 경우보다도, 절곡의 기점이 될 수 있는 우려가 감소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곡이 더욱 억제되어, 핸들링성이 현저하게 향상한다.
<제5 실시형태>
제5 실시형태의 내장재(17)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조, 작용 및 효과의 설명은 생략한다.
내장재(17)는 섬유 기재(1)의 일면측에 표피층(19)을 구비한다. 표피층(19)은 1층만으로 이루어져도 좋고, 2층 이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표피층으로서는, 부직포층(의장면측의 스크림층 등), 직포층(의장면측의 니트층 등), 통기 멈춤 필름층, 탄력 부여층(우레탄폼층 등), 이면 기포(基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층은 1층만을 이용해도 되고 2층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내장재(17)가, 예를 들어 통기 멈춤 필름층을 구비할 경우에는, 접착제층을 통해서, 섬유 기재(1)에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제6 실시형태>
제6 실시형태의 섬유 기재(1)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의 자동차 내장은 도 9의 섬유 기재(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조, 작용 및 효과의 설명은 생략한다.
자동차의 천장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섬유 기재(1)는 도 4 도시하는 섬유 기재(1)와 마찬가지로, 양쪽 테두리부에 띠형상으로 무게가 큰 영역이 배치되고, 이 무게가 큰 영역에 각 필러(15)가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한 절결부(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섬유 기재(1)는 그 중앙부에도 무게가 큰 영역이 배치되고, 이 영역에 선루프를 배치 할 수 있도록 절결부(7a)[관통 구멍 형태의 절결부(7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절결부(7a)의 주변의 영역(9)의 무게는 주변의 영역의 더 외측의 영역(11)의 무게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섬유 기재(1)의 절결부(7) 및 절결부(7a)에는, 조립 공정 등에 있어서의 핸들링시에 부하나 응력이 집중하기 쉽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절결부(7) 및 절결부(7a)의 주변의 영역(9)의 무게가 크기 때문에, 이 절곡을 억제해서 강성을 높이고, 핸들링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변의 영역(9)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 내지 40㎝(0㎝를 포함하지 않음)가 바람직하고, 또한 0 내지 30㎝(0㎝를 포함하지 않음)가 바람직하고, 특히 0 내지 25㎝(0㎝를 포함하지 않음)가 바람직하다.
전술한 기재는 단순히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전형적인 실시형태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 및 도시에 있어서 사용된 문언은 한정적인 문언이 아니고, 설명적 및 예시적인 것이라고 이해된다. 여기에서 상세하게 서술한 것과 같이, 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으로부터 일탈하는 경우 없이, 첨부의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서술에 특정한 구조, 재료 및 실시형태를 참조했지만, 본 발명을 여기에 있어서의 개시 사항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의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기능적으로 동등한 구조, 방법, 사용의 모두에 미치는 것으로 한다.
1 : 섬유 기재
3 : 제1 영역
5 : 제2 영역
7 : 절결부
7a : 절결부(관통 구멍 형태의 절결부)
9 : 주변의 영역
11 : 외측의 영역
13 : 오버헤드 콘솔
15 : 필러
17 : 내장재
19 : 표피층
20 : 기초 웹
21 : 추가 웹

Claims (4)

  1. 섬유끼리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결착되어서 이루어지는 판형상의 섬유 기재에 있어서, 무게가 다른 복수의 영역을 갖고, 소정 무게의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보다도 무게가 작은 제2 영역을 향해 서서히 무게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재.
  2. 제1항에 있어서, 절결부를 갖고, 상기 절결부의 주변의 영역의 무게가 상기 주변의 영역의 더 외측의 영역의 무게보다도 큰, 섬유 기재.
  3. 삭제
  4. 제1항에 기재의 섬유 기재의 일면측에 표피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
KR1020120113376A 2011-10-14 2012-10-12 섬유 기재 및 이것을 사용한 내장재 KR101484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7307 2011-10-14
JP2011227307 2011-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736A KR20130040736A (ko) 2013-04-24
KR101484818B1 true KR101484818B1 (ko) 2015-01-20

Family

ID=4799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376A KR101484818B1 (ko) 2011-10-14 2012-10-12 섬유 기재 및 이것을 사용한 내장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095277A1 (ko)
JP (1) JP2013099936A (ko)
KR (1) KR101484818B1 (ko)
CN (1) CN103042987A (ko)
DE (1) DE1020122184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4783B2 (ja) * 2013-06-21 2016-12-1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内装材
JP2015206148A (ja) * 2014-04-23 2015-11-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繊維ボード及び繊維ボードの製造方法
JP6281588B2 (ja) * 2016-03-15 2018-02-2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パネル構造
JP6281587B2 (ja) * 2016-03-15 2018-02-2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パネル構造
US11364858B2 (en) * 2018-09-04 2022-06-21 Hanwha Azdel, Inc. Core layers and composite articles with a variable basis weight
CN109695160A (zh) * 2018-12-24 2019-04-30 扬州市德运塑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合成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701B2 (ko) * 1982-11-12 1992-06-17 Johnson & Johnson Prod Inc
JPH0976266A (ja) * 1995-09-12 1997-03-25 Honda Motor Co Ltd 積層体の製造方法
JPH10323926A (ja) * 1997-05-26 1998-12-08 Bridgestone Corp 繊維積層成形体
JP2011131482A (ja) * 2009-12-24 2011-07-07 Kasai Kogyo Co Ltd 複合繊維体の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4015B2 (ja) * 1990-09-26 1999-01-06 豊田紡織株式会社 不織布マットの製造装置
JPH05179546A (ja) * 1991-11-14 1993-07-20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成形天井基材
JP3011388B2 (ja) 1994-07-15 2000-02-21 川崎製鉄株式会社 膨張性及びハンドリング性に優れる軽量スタンパブルシート
JP2004217052A (ja) * 2003-01-14 2004-08-05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車両用内装材及び車両用内装材の製造方法
JP2004217829A (ja) 2003-01-16 2004-08-05 Jfe Chemical Corp スタンパブルシート、その製造方法、マットおよび膨張成形品
JP5194938B2 (ja) * 2008-03-27 2013-05-0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植物性繊維複合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701B2 (ko) * 1982-11-12 1992-06-17 Johnson & Johnson Prod Inc
JPH0976266A (ja) * 1995-09-12 1997-03-25 Honda Motor Co Ltd 積層体の製造方法
JPH10323926A (ja) * 1997-05-26 1998-12-08 Bridgestone Corp 繊維積層成形体
JP2011131482A (ja) * 2009-12-24 2011-07-07 Kasai Kogyo Co Ltd 複合繊維体の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736A (ko) 2013-04-24
JP2013099936A (ja) 2013-05-23
DE102012218419A1 (de) 2013-04-18
CN103042987A (zh) 2013-04-17
US20130095277A1 (en)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818B1 (ko) 섬유 기재 및 이것을 사용한 내장재
JP4831920B2 (ja) 防音兼用断熱材
JP4996474B2 (ja) 改良された構造、吸音および熱特性を有する不織布
CN111093929B (zh) 具有一个或多个筛网层的多层配件
MX2009001792A (es) Material acustico reforzado que tiene propiedades de alta resistencia y alto modulo.
US10081396B2 (en) Exterior trim part
US10040489B2 (en) Alternative exterior trim part
JP2019502599A (ja) 車両のためのホイールアーチライナー
KR101821499B1 (ko)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그 제조방법
JP5016833B2 (ja) 外装材
US20070122602A1 (en) Fibre reinforced film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JP2010208607A (ja) 自動車のサンルーフ用サンシェードパネル
JP2019207274A (ja) 防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16208A (ja) ハニカム構造内蔵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ハニカム構造内蔵ボードを含む車両のリアフロア構造
JP6391443B2 (ja) 車両用成形天井
US20040185220A1 (en) Impregnated layered product usable as a soundproofing element in vehicles
KR101194432B1 (ko) 니들 펀칭된 부직포 벨루어 및 그의 용도
KR20180011403A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 기재
KR102083899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 기재
JPH11223239A (ja) 制振構造体
EP3413302A1 (en) Sound attenuation sheet
JP2007190978A (ja) 自動車用内装材
JPH02217340A (ja) 自動車内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