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167B1 -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167B1
KR101474167B1 KR1020130138491A KR20130138491A KR101474167B1 KR 101474167 B1 KR101474167 B1 KR 101474167B1 KR 1020130138491 A KR1020130138491 A KR 1020130138491A KR 20130138491 A KR20130138491 A KR 20130138491A KR 101474167 B1 KR101474167 B1 KR 101474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og
output
page
origi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378A (ko
Inventor
교조 에노모토
Original Assignee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41Resetting or repow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73Print job history, e.g. logging, accounting, 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2Recording use, e.g. counting number of pages cop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computer file, document page or paper sheet, e.g. a fax cover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66Performance evaluation by tracing or monitoring
    • G06F11/3476Data log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communication or activity log or re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e.g. part of the image, image reduced in size or resolution, thumbnail or screenn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85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2201/3287Storage of at least one complete document page or imag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출력 유닛과, 불휘발성 기억 유닛과, 출력 화상의 기초가 되는 화상인 원화상을 불휘발성 기억 유닛 상에 생성하는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와, 출력 화상의 로그 화상을 원화상에 의거해 생성하는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는, 화상 형성 장치가 기동된 경우에,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원화상이 기억되어 있을 때,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에 의거해 로그 화상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이 출력된 후에 로그 화상의 생성 종료 전에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전원의 회복 후에 로그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본 발명은, 출력한 화상의 로그로서의 로그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을 인자 출력하는 인자 유닛과,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와, 인자 유닛에 의해 인자 출력되는 화상의 기초가 되는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판독 유닛과, 인자 유닛에 의해 인자 출력된 화상의 로그로서의 로그 파일을 하드 디스크 상에 작성하는 로그 작성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형적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인자 유닛에 의해 화상이 인자 출력된 후에 로그 파일의 작성의 종료 전에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로그 작성 디바이스에 의해 로그 파일이 작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화상이 출력된 후에 로그 화상의 생성 종료 전에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전원의 회복 후에 로그 화상을 생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출력 유닛과, 불휘발성 기억 유닛과, 원(元)화상 생성 디바이스와,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 출력 유닛은, 화상을 출력한다.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정보를 유지한다. 상기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화상 출력 유닛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인 출력 화상의 기초가 되는 화상인 원화상을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 상에 생성한다. 상기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출력 화상의 로그로서의 로그 화상을 상기 원화상에 의거해 생성한다. 상기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기동된 경우에,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상기 원화상이 기억되어 있을 때,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원화상에 의거해 상기 로그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결합된 화상 형성 장치와 서버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출력 유닛과, 불휘발성 기억 유닛과,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와,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와, 로그 화상 송신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 출력 유닛은, 화상을 출력한다.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정보를 유지한다. 상기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화상 출력 유닛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인 출력 화상의 기초가 되는 화상인 원화상을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 상에 생성한다. 상기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출력 화상의 로그로서의 로그 화상을 상기 원화상에 의거해 생성한다. 상기 로그 화상 송신 디바이스는, 상기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상기 로그 화상을 상기 서버에 송신한다. 상기 서버는, 로그 화상 기억 장치와, 로그 화상 기록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로그 화상 기억 장치는, 상기 로그 화상을 기억한다. 상기 로그 화상 기록 디바이스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로그 화상을 상기 로그 화상 기억 장치에 기록한다. 상기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기동된 경우에,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상기 원화상이 기억되어 있을 때,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원화상에 의거해 상기 로그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기동된 경우에, 불휘발성 기억부에 출력 화상의 원화상이 기억되어 있을 때, 불휘발성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에 의거해 로그 화상을 생성하므로, 화상이 출력된 후에 로그 화상의 생성 종료 전에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전원의 회복 후에 로그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기동된 경우에, 불휘발성 기억부에 출력 화상의 원화상이 기억되어 있을 때, 출력 화상의 원화상 중 출력 완료 페이지의 원화상에 의거해 로그 화상을 생성하므로, 출력 화상의 원화상 중 출력 완료 페이지 이외의 페이지도 포함시킨 원화상에 의거해 로그 화상을 생성하는 구성에 비해, 실제의 출력 화상과, 로그 화상의 정합성(整合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기동된 경우에, 불휘발성 기억부에 출력 화상의 원화상이 기억되어 있을 때, 출력 화상의 원화상 중 출력 완료 페이지로부터 로그 완료 페이지를 제외한 페이지의 원화상에 의거해 필요한 로그 화상만을 생성하므로, 출력 화상의 원화상 중 로그 완료 페이지도 포함시킨 원화상에 의거해 로그 화상을 생성하는 구성에 비해, 로그 화상의 생성 처리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상기 화상 형성 시스템에 있어서의 복합기(MFP)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상기 화상 형성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로그 생성 모드 정보로서 출력 후 생성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카피 작업을 실행할 때의 상기 MFP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로그 생성 모드 정보로서 출력중 생성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카피 작업을 실행할 때의 상기 MFP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기동된 경우의 상기 MFP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시스템(10)은, MFP(Multifunction Peripheral)(20)를 포함하는 다수의 MFP와, MFP에 의해서 출력되는 화상인 출력 화상의 로그로서의 로그 화상을 기억하는 서버(30)와, MFP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컴퓨터(40)를 포함하는 다수의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다. 다수의 MFP와, 서버(30)는,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1)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MFP와, 컴퓨터는, 네트워크(11)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수의 MFP는, 각각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화상 형성 시스템(10)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MFP의 각각의 구성은, MFP(20)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화상 형성 시스템(10)에 포함되는 다수의 MFP를 대표하여 MFP(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화상 형성 시스템(10)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컴퓨터의 각각의 구성은, 컴퓨터(40)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화상 형성 시스템(10)에 포함되는 다수의 컴퓨터를 대표하여 컴퓨터(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MFP(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MFP(20)는, 이용자에 의한 다양한 조작이 입력되는 버튼 등의 입력 디바이스인 조작 유닛(21)과,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디바이스인 표시 유닛(22)과, 원고로부터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디바이스인 스캐너(23)와, 용지 등의 기록 매체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디바이스인 프린터(24)와, 도시하지 않은 외부 유닛인 팩스 장치와 공중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 경유로 팩스 통신을 행하는 팩스 디바이스인 팩스 통신 유닛(25)과, 네트워크(11)(도 1 참조) 경유로 외부 유닛의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인 네트워크 통신 유닛(26)과,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HDD(Hard Disk Drive)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장치인 기억 유닛(27)과, MFP(2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28)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 유닛(21)은, 표시 유닛(22)과 함께 터치 패널을 형성하는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프린터(24)는 화상을 인쇄에 의해서 출력하는 장치이며, 본 발명의 화상 출력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팩스 통신 유닛(25)은 화상을 팩스 송신에 의해서 출력하는 장치이며, 본 발명의 화상 출력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네트워크 통신 유닛(26)은, 화상을 전자 메일의 송신 등의 네트워크(11)를 통한 전자적인 송신에 의해서 출력하는 장치이며, 본 발명의 화상 출력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기억 유닛(27)은, MFP(20)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정보를 유지하는 디바이스이며, 본 발명의 불휘발성 기억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기억 유닛(27)은, MFP(20)에 의해서 실행되는 화상 출력 프로그램(27a)을 기억하고 있다. 화상 출력 프로그램(27a)은, MFP(20)의 제조 단계에서 MFP(20)에 인스톨되어 있어도 되고, SD카드,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로부터 MFP(20)에 추가로 인스톨되어도 되고, 네트워크(11)상으로부터 MFP(20)에 추가로 인스톨되어도 된다.
또, 기억 유닛(27)은, 프린터(24), 팩스 통신 유닛(25) 또는 네트워크 통신 유닛(26)에 의해서 출력되는 화상인 출력 화상의 기초가 되는 화상인 원화상(27b)을 복수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화상(27b)은,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 graphic Experts Group) 형식의 화상이다.
또, 기억 유닛(27)은, 원화상(27b)의 페이지 중 프린터(24), 팩스 통신 유닛(25) 또는 네트워크 통신 유닛(26)에 의해서 출력된 페이지인 출력 완료 페이지의 수인 출력 완료 페이지수(27c)를 복수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출력 완료 페이지수(27c)는, 대상인 원화상(27b)과 관련지어져 기억 유닛(27)에 기억된다.
또, 기억 유닛(27)은, 원화상(27b)의 페이지 중 로그 화상이 생성된 페이지인 로그 완료 페이지의 수인 로그 완료 페이지수(27d)를 복수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로그 완료 페이지수(27d)는, 대상인 원화상(27b)과 관련지어져 기억 유닛(27)에 기억된다.
또, 기억 유닛(27)은, 로그 화상의 생성 모드를 나타내는 로그 생성 모드 정보(27e)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로그 생성 모드 정보(27e)로는, 화상의 출력 후에 로그 화상을 생성하는 모드인 출력 후 생성 모드와, 화상의 출력중에 로그 화상을 생성하는 모드인 출력중 생성 모드 중 어느 한쪽이 지정되어 있다.
제어 유닛(28)은,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미리 기억하고 있는 ROM(Read Only Memory)과, CPU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구비하고 있다. CPU는, ROM 또는 기억 유닛(27)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유닛(28)은, 기억 유닛(27)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출력 프로그램(27a)을 실행함으로써, 원화상(27b)을 기억 유닛(27) 상에 생성하는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28a), 출력 화상의 로그로서의 로그 화상을 원화상(27b)에 의거해 생성하는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28b), 출력 완료 페이지수(27c)를 기억 유닛(27)에 기록하는 출력 완료 페이지수 기록 디바이스(28c), 로그 완료 페이지수(27d)를 기억 유닛(27)에 기록하는 로그 완료 페이지수 기록 디바이스(28d), 로그 화상의 생성 모드의 지정을 접수하는 로그 생성 모드 접수 디바이스(28e), 및,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28b)에 의해서 생성된 로그 화상을 서버(30)(도 1 참조)에 송신하는 로그 화상 송신 디바이스(28f)로서 기능한다.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28b)에 의해서 생성된 로그 화상은, 예를 들면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형식의 화상이다.
도 3은, 서버(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버(30)는, 다양한 조작이 입력되는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디바이스인 조작 유닛(31)과,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LCD 등의 표시 디바이스인 표시 유닛(32)과, 네트워크(11)(도 1 참조) 경유로 외부 유닛의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인 네트워크 통신 유닛(33)과, 프로그램 및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HDD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장치인 기억 유닛(34)과, 서버(3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35)을 구비하고 있다. 서버(30)는, 예를 들면 PC(Personal Computer) 등의 컴퓨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기억 유닛(34)은, 서버(30)용 프로그램인 서버용 프로그램(34a)을 기억하고 있다. 서버용 프로그램(34a)은, 서버(30)의 제조 단계에서 서버(30)에 인스톨되어 있어도 되고,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기억 매체로부터 서버(30)에 추가로 인스톨되어도 되고, 네트워크(11)상으로부터 서버(30)에 추가로 인스톨되어도 된다.
기억 유닛(34)은, MFP(20)로부터 송신되어 온 로그 화상(34b)을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기억 유닛(34)은, 본 발명의 로그 화상 기억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제어 유닛(35)은, 예를 들면, CPU와, 프로그램 및 각종의 데이터를 미리 기억하고 있는 ROM과, CPU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RAM을 구비하고 있다. CPU는, ROM 또는 기억 유닛(34)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유닛(35)은, 기억 유닛(34)에 기억되어 있는 서버용 프로그램(34a)을 실행함으로써, MFP(20)로부터 송신되어 온 로그 화상(34b)을 기억 유닛(34)에 기록하는 로그 화상 기록 디바이스(35a)로서 기능한다.
도 1에 나타낸 컴퓨터(40)는 예를 들면 PC이다.
다음에, 화상 형성 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로그 화상의 생성 모드의 지정을 접수하는 경우의 MFP(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MFP(20)의 제어 유닛(28)의 로그 생성 모드 접수 디바이스(28e)는, 로그 화상의 생성 모드로서 출력 후 생성 모드 및 출력중 생성 모드 중 어느 한쪽이 조작 유닛(21)을 통해 지정되면, 지정된 모드를 접수하여, 기억 유닛(27) 상의 로그 생성 모드 정보(27e)에 기억시킨다. 즉, 로그 생성 모드 접수 디바이스(28e)는, 출력 후 생성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 로그 생성 모드 정보(27e)로서 출력 후 생성 모드를 기록하고, 출력중 생성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 로그 생성 모드 정보(27e)로서 출력중 생성 모드를 기록한다.
다음에, 로그 생성 모드 정보(27e)로서 출력 후 생성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카피 작업을 실행할 때의 MFP(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로그 생성 모드 정보(27e)로서 출력 후 생성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카피 작업을 실행할 때의 MFP(2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MFP(20)의 제어 유닛(28)은, 로그 생성 모드 정보(27e)로서 출력 후 생성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조작 유닛(21)을 통해 카피의 지시를 받으면, 도 4에 나타낸 동작을 개시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유닛(28)의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28a)는, 스캐너(23)에 의해서 원고로부터 판독된 화상에 의거해 원화상(27b)을 기억 유닛(27) 상에 생성하는 것을 개시한다(S101). 여기서,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28a)는, 생성한 원화상(27b)을, 이 원화상(27b)이 생성된 시점에서 MFP(20)에 로그인하고 있는 이용자의 ID, 즉, 이 원화상(27b)의 생성을 지시한 이용자의 ID에 관련지어 기억 유닛(27)에 기록한다.
이어서, 제어 유닛(28)은, S101에서 개시된 동작에 의해서 기억 유닛(27) 상에 생성된 원화상(27b)에 의거한 출력 화상을 프린터(24)에 의해서 기록 매체에 인쇄하는 것을 개시한다(S102).
그 다음에, 제어 유닛(28)은, 1페이지분의 인쇄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때까지, 1페이지분의 인쇄가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03).
제어 유닛(28)의 출력 완료 페이지수 기록 디바이스(28c)는, 1페이지분의 인쇄가 종료되었다고 S103에서 판단되면, 기억 유닛(27) 상에 기억되어 있는 이 작업의 원화상(27b)의 출력 완료 페이지수(27c)를 1 늘린다(S104).
그 다음에, 제어 유닛(28)은, S101에서 개시된 동작에 의해서 기억 유닛(27) 상에 생성된 원화상(27b)의 전체 페이지분의 인쇄가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05).
제어 유닛(28)은, 원화상(27b)의 전체 페이지분의 인쇄가 종료되지 않았다고 S105에서 판단하면, 다시 S103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한편, 제어 유닛(28)의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28b)는, 원화상(27b)의 전체 페이지분의 인쇄가 종료되었다고 S105에서 판단되면, 기억 유닛(27) 상의 이 원화상(27b)에 의거해, 로그 화상의 생성을 개시한다(S106). 여기서,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28b)는, 생성한 로그 화상을, 원화상(27b)에 관련지어져 있던 이용자의 ID와 동일한 ID에 관련지어 기억 유닛(27)에 기록한다.
그 다음에, 제어 유닛(28)은, 1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때까지, 1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07).
제어 유닛(28)의 로그 완료 페이지수 기록 디바이스(28d)는, 1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었다고 S107에서 판단되면, 기억 유닛(27) 상에 기억되어 있는 이 작업의 원화상(27b)의 로그 완료 페이지수(27d)를 1 늘린다(S108).
그 다음에, 제어 유닛(28)은, S101에서 개시된 동작에 의해서 기억 유닛(27) 상에 생성된 원화상(27b)의 전체 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09).
제어 유닛(28)은, 원화상(27b)의 전체 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지 않았다고 S109에서 판단하면, 다시 S107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한편, 제어 유닛(28)은, 원화상(27b)의 전체 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었다고 S109에서 판단하면, 이 작업의 원화상(27b)을 기억 유닛(27) 상으로부터 삭제하고(S110), 도 4에 나타낸 동작을 종료한다.
다음에, 로그 생성 모드 정보(27e)로서 출력중 생성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카피 작업을 실행할 때의 MFP(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로그 생성 모드 정보(27e)로서 출력중 생성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카피 작업을 실행할 때의 MFP(2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MFP(20)의 제어 유닛(28)은, 로그 생성 모드 정보(27e)로서 출력중 생성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조작 유닛(21)을 통해 카피의 지시를 받으면, 도 5에 나타낸 동작을 개시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유닛(28)의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28a)는, 스캐너(23)에 의해서 원고로부터 판독된 화상에 의거해 원화상(27b)을 기억 유닛(27) 상에 생성하는 것을 개시한다(S131). 여기서,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28a)는, 생성한 원화상(27b)을, 이 원화상(27b)이 생성된 시점에서 MFP(20)에 로그인하고 있는 이용자의 ID, 즉, 이 원화상(27b)의 생성을 지시한 이용자의 ID에 관련지어 기억 유닛(27)에 기록한다.
그 다음에, 제어 유닛(28)은, S131에서 개시된 동작에 의해서 기억 유닛(27) 상에 생성된 원화상(27b)에 의거한 출력 화상을 프린터(24)에 의해서 기록 매체에 인쇄하는 것을 개시한다(S132).
그 다음에, 제어 유닛(28)은, 1페이지분의 인쇄가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33).
제어 유닛(28)의 출력 완료 페이지수 기록 디바이스(28c)는, 1페이지분의 인쇄가 종료되었다고 S133에서 판단되면, 기억 유닛(27) 상에 기억되어 있는 이 작업의 원화상(27b)의 출력 완료 페이지수(27c)를 1 늘린다(S134).
그 다음에, 제어 유닛(28)의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28b)는, 기억 유닛(27) 상의 이 1페이지분의 원화상(27b)에 의거해, 1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을 개시한다(S135). 여기서,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28b)는, 생성한 로그 화상을, 원화상(27b)에 관련지어져 있던 이용자의 ID와 동일한 ID에 관련지어 기억 유닛(27)에 기록한다.
그 다음에, 제어 유닛(28)은, 1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36).
제어 유닛(28)의 로그 완료 페이지수 기록 디바이스(28d)는, 1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었다고 S136에서 판단되면, 기억 유닛(27) 상에 기억되어 있는 이 작업의 원화상(27b)의 로그 완료 페이지수(27d)를 1 늘린다(S137).
제어 유닛(28)은, 1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지 않았다고 S136에서 판단하거나, S137의 처리가 종료되면, S131에서 개시된 동작에 의해서 기억 유닛(27) 상에 생성된 원화상(27b)의 전체 페이지분의 인쇄가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38).
제어 유닛(28)은, 원화상(27b)의 전체 페이지분의 인쇄가 종료되지 않았다고 S138에서 판단하면, 다시 S133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제어 유닛(28)은, 1페이지분의 인쇄가 종료되지 않았다고 S133에서 판단하면, 1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39).
제어 유닛(28)의 로그 완료 페이지수 기록 디바이스(28d)는, 1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었다고 S139에서 판단되면, 기억 유닛(27) 상에 기억되어 있는 이 작업의 원화상(27b)의 로그 완료 페이지수(27d)를 1 늘린다(S140).
제어 유닛(28)은, 1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지 않았다고 S139에서 판단하거나, S140의 처리가 종료되면, 다시 S133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제어 유닛(28)은, 원화상(27b)의 전체 페이지분의 인쇄가 종료되었다고 S138에서 판단하면, S135에서 개시된 동작에 의해서 기억 유닛(27) 상에 생성된 원화상(27b)의 전체 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41).
제어 유닛(28)은, 원화상(27b)의 전체 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지 않았다고 S141에서 판단하면, 1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때까지, 1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42).
제어 유닛(28)의 로그 완료 페이지수 기록 디바이스(28d)는, 1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었다고 S142에서 판단되면, 기억 유닛(27) 상에 기억되어 있는 이 작업의 원화상(27b)의 로그 완료 페이지수(27d)를 1 늘리고(S143), 다시 S141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한편, 제어 유닛(28)은, 원화상(27b)의 전체 페이지분의 로그 화상의 생성이 종료되었다고 S141에서 판단하면, 이 작업의 원화상(27b)을 기억 유닛(27) 상으로부터 삭제하고(S144), 도 5에 나타낸 동작을 종료한다.
다음에, 기동된 경우의 MFP(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기동된 경우의 MFP(2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MFP(20)의 제어 유닛(28)은, 기동되면 도 6에 나타낸 동작을 개시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유닛(28)은, 기억 유닛(27) 상에 원화상(27b)이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61).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카피 작업의 실행에 있어서 원화상(27b)이 생성된 후에 S110의 처리가 실행되기 전에 MFP(20)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원화상(27b)은, 기억 유닛(27) 상에 기억된 채로 되어 있다. 또, 도 5에 나타낸 카피 작업의 실행에 있어서 원화상(27b)이 생성된 후에 S144의 처리가 실행되기 전에 MFP(20)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원화상(27b)은, 기억 유닛(27) 상에 기억된 채로 되어 있다.
제어 유닛(28)은, 기억 유닛(27) 상에 원화상(27b)이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S161에서 판단하면, 도 6에 나타낸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제어 유닛(28)의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28b)는, 기억 유닛(27) 상에 원화상(27b)이 기억되어 있다고 S161에서 판단되면, 기억 유닛(27) 상의 이 원화상(27b) 중 출력 완료 페이지로부터 로그 완료 페이지를 제외한 페이지 분의 원화상, 즉, 이 원화상(27b)의 출력 완료 페이지수(27c)에 따른 출력 완료 페이지로부터, 이 원화상(27b)의 로그 완료 페이지수(27d)에 따른 로그 완료 페이지를 제외한 페이지 분의 원화상에 의거해, 출력 완료 페이지로부터 로그 완료 페이지를 제외한 페이지 분의 로그 화상을 생성한다(S162). 여기서,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28b)는, 생성한 로그 화상을, 원화상(27b)에 관련지어져 있던 이용자의 ID와 동일한 ID에 관련지어 기억 유닛(27)에 기록한다.
그 다음에, 제어 유닛(28)은, 이 원화상(27b)을 기억 유닛(27) 상으로부터 삭제하고(S163), 도 6에 나타낸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처리, 도 5에 나타낸 처리 또는 도 6에 나타낸 처리에서 생성된 로그 화상과, 이 로그 화상에 관련지어져 있는 이용자의 ID는, 예를 들면 1시간마다 등의 소정의 타이밍으로, MFP(20)의 제어 유닛(28)의 로그 화상 송신 디바이스(28f)에 의해서 네트워크(11) 경유로 서버(30)에 송신된다.
그리고, 서버(30)의 제어 유닛(35)이 네트워크(11) 경유로 로그 화상과, 이 로그 화상에 관련지어져 있는 이용자의 ID를 수신하면, 제어 유닛(35)의 로그 화상 기록 디바이스(35a)는, 수신한 로그 화상을 로그 화상(34b)으로서 기억 유닛(34)에 기록함과 더불어, 수신한 이용자의 ID를 이 로그 화상(34b)에 관련지어 기억 유닛(34)에 기록한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출력 화상의 출력의 예로서 카피 작업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MFP(20)가 컴퓨터(40)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의거해 프린터(24)에 의해서 출력 화상을 인쇄에 의해서 출력하는 프린트 작업 등, 카피 작업 이외의 작업에 의해서 출력 화상을 인쇄에 의해서 출력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 MFP(20)가 팩스 통신 유닛(25)에 의해서 화상을 팩스 송신에 의해서 출력하는 팩스 송신의 작업, MFP(20)가 네트워크 통신 유닛(26)에 의해서 화상을 네트워크(11)를 통한 전자적인 송신에 의해서 출력하는 송신 작업 등, 출력 화상을 인쇄 이외 방법에 따라 출력하는 작업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시스템(10)의 MFP(20)는, 기동된 경우에, 기억 유닛(27)에 출력 화상의 원화상(27b)이 기억되어 있을 때(S161에서 YES), 기억 유닛(27)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27b)에 의거해 로그 화상을 생성하므로, 도 4에 나타낸 처리 또는 도 5에 나타낸 처리에서 화상이 출력된 후에 로그 화상의 생성 종료 전에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전원의 회복 후에 로그 화상을 생성(S162)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시스템(10)은, MFP(20)의 전원의 회복 후에 생성된 로그 화상을 서버(30)가 MFP(20)로부터 수신하여 기억하므로, MFP(20)의 이용자의 출력 화상의 로그 화상을, 서버(30)를 사용하는 관리자에 의해서 종래보다도 정확하게 파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출력 화상에 의해서 정보 누설이 있던 경우에도, 관리자는, 누설원인 이용자를 서버(30)상의 로그 화상(34b)에 관련지어져 있는 이용자의 ID에 의거해 종래보다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MFP(20)는, 기동된 경우에, 기억 유닛(27)에 출력 화상의 원화상(27b)이 기억되어 있을 때(S161에서 YES), 출력 화상의 원화상(27b) 중 출력 완료 페이지로부터 로그 완료 페이지를 제외한 페이지의 원화상(27b)에 의거해 필요한 로그 화상만을 생성(S162)하므로, 출력 화상의 원화상(27b) 중 로그 완료 페이지도 포함시킨 원화상(27b)에 의거해 로그 화상을 생성하는 구성에 비해, 로그 화상의 생성 처리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 유닛(27)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27b)의 페이지수, 출력 완료 페이지수(27c), 로그 완료 페이지수(27d)가 각각 5, 3, 2인 경우, MFP(20)는, 5페이지분의 원화상(27b) 중 3페이지분의 출력 완료 페이지에서 2페이지분의 로그 완료 페이지를 제외한 페이지, 즉, 3페이지째의 원화상(27b)에 의거해 3페이지째의 로그 화상만을 생성한다.
또한, MFP(20)는, 기동된 경우에, 기억 유닛(27)에 출력 화상의 원화상(27b)이 기억되어 있을 때, 출력 화상의 원화상(27b) 중 로그 완료 페이지도 포함시킨 원화상(27b)에 의거해 로그 화상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억 유닛(27)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27b)의 페이지수, 출력 완료 페이지수(27c)가 각각 5, 3인 경우, MFP(20)는, 로그 완료 페이지수(27d)에 관계없이, 5페이지분의원화상(27b) 중 출력 완료 페이지에 상당하는 3페이지분의 페이지, 즉, 1페이지째부터 3페이지째까지의 원화상(27b)에 의거해 1페이지째부터 3페이지째까지의 로그 화상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MFP(20)는, 기동된 경우에, 기억 유닛(27)에 출력 화상의 원화상(27b)이 기억되어 있을 때(S161에서 YES), 출력 화상의 원화상(27b) 중 출력 완료 페이지의 원화상(27b)에 의거해 로그 화상을 생성(S162)하므로, 출력 화상의 원화상(27b) 중 출력 완료 페이지 이외의 페이지도 포함시킨 원화상(27b)에 의거해 로그 화상을 생성하는 구성에 비해, 실제의 출력 화상과 로그 화상의 정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MFP(20)는, 기동된 경우에, 기억 유닛(27)에 출력 화상의 원화상(27b)이 기억되어 있을 때, 출력 화상의 원화상(27b) 중 출력 완료 페이지 이외의 페이지도 포함시킨 원화상(27b)에 의거해 로그 화상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억 유닛(27)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27b)의 페이지수가 5인 경우, MFP(20)는, 출력 완료 페이지수(27c) 및 로그 완료 페이지수(27d)에 관계없이, 5페이지분의 원화상(27b)에 의거해 1페이지째부터 5페이지째까지의 로그 화상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MFP(20)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28b)에 의해서 생성된 로그 화상을, 기억 유닛(27)에 일단 기억시킨 후에, 로그 화상 송신 디바이스(28f)에 의해서 서버(30)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MFP(20)는,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28b)에 의해서 생성된 로그 화상을, 기억 유닛(27)에 기억시키지 않고, 로그 화상 송신 디바이스(28f)에 의해서 서버(30)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화상 형성 시스템(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 MFP를 구비하고 있으나, 프린터 전용기, 카피 전용기, FAX 전용기 등, MFP 이외의 화상 형성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10:화상 출력 시스템
20:MFP(화상 출력장치)
24:프린터(화상 출력부)
25:팩스 통신부(화상 출력부)
26:네트워크 통신부(화상 출력부)
27:기억부(불휘발성 기억부)
27a:화상 출력 프로그램
27b:원화상
27c:출력 완료 페이지수
27d:로그 완료 페이지수
28a:원화상 생성 수단
28b:로그 화상 생성 수단
28c:출력 완료 페이지수 기록 수단
28d:로그 완료 페이지수 기록 수단
28f:로그 화상 송신 수단
30:로그 화상 기억 서버
34:기억부(로그 화상 기억 장치)
34b:로그 화상
35a:로그 화상 기록 수단

Claims (6)

  1. 화상 형성 장치로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정보를 유지하는 불휘발성 기억 유닛과,
    상기 화상 출력 유닛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인 출력 화상의 기초가 되는 화상인 원(元)화상을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 상에 생성하는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와,
    상기 출력 화상의 로그로서의 로그 화상을 상기 원화상에 의거해 생성하는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와,
    상기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상기 원화상의 페이지 중 상기 화상 출력 유닛에 의해 상기 출력 화상이 출력된 페이지인 출력 완료 페이지의 수인 출력 완료 페이지수를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기록하는 출력 완료 페이지수 기록 디바이스와,
    상기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상기 원화상의 페이지 중 상기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로그 화상이 생성된 페이지인 로그 완료 페이지의 수인 로그 완료 페이지수를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기록하는 로그 완료 페이지수 기록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기동된 경우에,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상기 원화상이 기억되어 있을 때,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원화상 중,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출력 완료 페이지수에 따른 상기 출력 완료 페이지로부터,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로그 완료 페이지수에 따른 상기 로그 완료 페이지를 제외한 페이지의 원화상에 의거해 상기 로그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화상 형성 시스템으로서,
    네트워크에 결합된 화상 형성 장치와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정보를 유지하는 불휘발성 기억 유닛과,
    상기 화상 출력 유닛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인 출력 화상의 기초가 되는 화상인 원화상을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 상에 생성하는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와,
    상기 출력 화상의 로그로서의 로그 화상을 상기 원화상에 의거해 생성하는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와,
    상기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상기 원화상의 페이지 중 상기 화상 출력 유닛에 의해 상기 출력 화상이 출력된 페이지인 출력 완료 페이지의 수인 출력 완료 페이지수를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기록하는 출력 완료 페이지수 기록 디바이스와,
    상기 원화상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상기 원화상의 페이지 중 상기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로그 화상이 생성된 페이지인 로그 완료 페이지의 수인 로그 완료 페이지수를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기록하는 로그 완료 페이지수 기록 디바이스와,
    상기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상기 로그 화상을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로그 화상 송신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서버는,
    상기 로그 화상을 기억하는 로그 화상 기억 장치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로그 화상을 상기 로그 화상 기억 장치에 기록하는 로그 화상 기록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로그 화상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기동된 경우에,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상기 원화상이 기억되어 있을 때,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원화상 중,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출력 완료 페이지수에 따른 상기 출력 완료 페이지로부터, 상기 불휘발성 기억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로그 완료 페이지수에 따른 상기 로그 완료 페이지를 제외한 페이지의 원화상에 의거해 상기 로그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138491A 2012-11-30 2013-11-14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KR101474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63848 2012-11-30
JP2012263848A JP5819805B2 (ja) 2012-11-30 2012-11-30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システムおよび画像出力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378A KR20140070378A (ko) 2014-06-10
KR101474167B1 true KR101474167B1 (ko) 2014-12-17

Family

ID=5082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491A KR101474167B1 (ko) 2012-11-30 2013-11-14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80302B2 (ko)
JP (1) JP5819805B2 (ko)
KR (1) KR101474167B1 (ko)
CN (1) CN1038566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9795B2 (ja) * 2013-12-16 2018-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590890B2 (ja) * 2017-10-27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1366622B2 (en) * 2019-11-20 2022-06-2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management system, method of managing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7324A (ja) * 2004-04-09 2005-10-2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6168157A (ja) * 2004-12-15 2006-06-29 Canon Inc 画像出力装置
JP2008225928A (ja) * 2007-03-13 2008-09-25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9134413A (ja) * 2007-11-29 2009-06-18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8987B2 (ja) * 2001-07-30 2007-03-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該装置に用いられる画像転送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6303563A (ja) 2005-04-15 2006-11-02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
JP4742842B2 (ja) * 2005-12-13 2011-08-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メージログ機能表示プログラム、イメージログ機能表示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7279817A (ja) * 2006-04-03 2007-10-25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
US8386437B2 (en) * 2009-04-02 2013-02-26 Xero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ocument collection and filtering
JP2012186543A (ja) * 2011-03-03 2012-09-27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736882B2 (ja) * 2011-03-22 2015-06-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通信装置、同通信装置における記憶部の管理方法及び同通信装置における記憶部の管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7324A (ja) * 2004-04-09 2005-10-2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6168157A (ja) * 2004-12-15 2006-06-29 Canon Inc 画像出力装置
JP2008225928A (ja) * 2007-03-13 2008-09-25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9134413A (ja) * 2007-11-29 2009-06-18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10524A (ja) 2014-06-12
CN103856679B (zh) 2016-09-14
KR20140070378A (ko) 2014-06-10
JP5819805B2 (ja) 2015-11-24
CN103856679A (zh) 2014-06-11
US20140153050A1 (en) 2014-06-05
US9280302B2 (en)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7038B2 (en) Code informatio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restoration apparatus, and restoration method
JP5933483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ログ管理プログラム
JP4655843B2 (ja) ログ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ログ情報管理方法
KR101474167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JP2006157156A (ja) 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
JP2014117936A (ja) 画像形成装置
JP6264472B2 (ja) 画像形成装置
CN102111520B (zh) 图像形成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6031452A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ジョブ管理装置、ジョブ処理方法、ジョブ管理プログラム
JP2016096393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24836B2 (ja) 電子機器およびメモリー管理方法
RU2483464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среда хранения
JP200708860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6519942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107599A (ja)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システムおよび画像出力プログラム
JP5792152B2 (ja)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システムおよび画像出力プログラム
JP6746632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097232A (ja) 画像処理装置
JP201012827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24238A (ja) 画像形成装置、送信先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229288A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570506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13200893A (ja) 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196092A1 (en)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JP201917918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