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490B1 -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상기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상기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490B1
KR101471490B1 KR1020090111847A KR20090111847A KR101471490B1 KR 101471490 B1 KR101471490 B1 KR 101471490B1 KR 1020090111847 A KR1020090111847 A KR 1020090111847A KR 20090111847 A KR20090111847 A KR 20090111847A KR 101471490 B1 KR101471490 B1 KR 101471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ing
hole
green
flow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001A (ko
Inventor
안종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온테크
Priority to KR1020090111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4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7Simulating properties, behaviour or motion of objects in the game world, e.g. computing tyre load in a car race game
    • A63F13/573Simulating properties, behaviour or motion of objects in the game world, e.g. computing tyre load in a car race game using trajectories of game objects, e.g. of a golf ball according to the point of impac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63B2071/0641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with a marker advancing in function of the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골프에서 퍼팅 시 최적의 퍼팅 방향을 산출하여 이를 그린 상에 표시함과 아울러, 산출된 최적의 퍼팅 방향 및 해당 그린의 다양한 정보를 가상의 캐디의 음성 또는 몸짓을 통해 안내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스크린 골프장에서 골프를 플레이 할 경우에도, 실제 골프장과 같이 가상의 캐디의 가이드에 따라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어, 스포츠 게임이 지향하는 현실성, 현실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상기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Golf game console of having a function of putting display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상기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골프에서 퍼팅 시 최적의 퍼팅 방향을 산출하여 이를 그린 상에 표시함과 아울러, 산출된 최적의 퍼팅 방향 및 해당 그린의 다양한 정보를 가상의 캐디의 음성 또는 몸짓을 통해 안내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가 일반인도 자연스럽게 즐기는 대중 스포츠로 저변 확대되고 골프대중화, 경제적 안정 등으로 인하여 골프인구가 수백만에 다다르고, 80년대 이후 골프장 입장객 수가 연평균 17%대의 고속성장을 하고 있다.
또한, 골프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급증함과 함께, 골프관련 사업이 활성화되어, 골프장과 골프연습장의 수는 날로 증가하여, 국내 골프장은 회원제, 퍼블릭을 포함해 수백 곳이 운영중에 있으며 수천 개가 넘는 실내외 골프연습장의 수를 볼 때, 앞으로 골프 관련 사업의 전망은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특히, 실내에서 골프를 즐길 수 있는 스크린 골프가 인기리에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현재 스크린 골프에서 퍼팅시 해당 그린 정보, 그린의 지형에 따른 주의사항, 클럽 선택 정보 등을 스크린에 표시되는 문자 또는 그래픽 등으로만 안내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필드에서와 같은 분위기를 느낄 수 없었다.
예컨대, 그린에서 퍼팅시 종래의 기술에서는 홀컵까지의 거리, 그린의 굴곡을 표시한 높낮이 정보와 흐름 정도를 스크린에 문자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플레이어가 일일이 확인하고 거리 계산을 가감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실제와 같은 현장감이 떨어지므로, 플레이어의 흥미를 낮추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실제 필드에서의 골프와 스크린 골프의 가장 큰 차이점은 그린에서의 거리감 및 높낮이와 좌우 굴곡의 판독 문제라 할 수 있다. 물론 티샷부터 홀인까지 한 개의 홀을 끝낼 때까지 전체적인 거리, 높낮이, 위험지역, 방향, 바람 정보 등, 골프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플레이어는 직접 판단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골프를 배우고 있는 많은 아마추어 골퍼의 경우 실제 필드에서 그린의 좌우 굴곡과 높낮이 등의 지형 정보 등을 실제 캐디의 도움에 의지하고 있다. 즉 플레이어는 티샷,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 각 지형에 따른 정보, 날씨 바람의 세기 등의 정보를 캐디를 통해 조언을 받아 플레이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스크린 골프의 경우 이러한 날씨, 지형에 따른 정보를 조언해주는 캐디가 없으며, 단지 화면상에 표시되는 그래픽적인 지형의 모양과 높낮이 수치정보, 거리 수치정보 등을 플레이어가 직접 판독하여 플레이를 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현재 대부분의 스크린 골프의 경우, 공이 그린에 올라갔을 경우 표시해 주는 정보는 공과 홀컵까지의 거리정보, 높낮이 정보를 수치로 나타내 주며, 공과 홀컵까지의 좌우 경사도를 화면상에 바둑판 모양의 격자로 표시하여 격자 간의 높낮이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고 있다. 예컨대 플레이어는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근거로 현재 자신의 공보다 홀컵이 높은 위치에 있고 좌측이 높다고 판단되면 좌측 방향으로 평소보다 조금 길게 퍼팅을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실내 골프 게임장치의 퍼팅 가이드 화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퍼팅 가이드 화면은, 공이 놓인 위치에서 홀 컵까지의 그린이 격자 모양으로 표시되고, 상기 격자를 따라 상하좌우로 흐르는 작은 점의 방향과 속도에 의해 상하좌우 높낮이에 따른 경사 정도를 보여준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상기 격자를 따라 상하좌우로 흐르는 작은 점의 방향과 속도에 의해 상하좌우 높낮이에 따른 경사 정도를 눈 짐작으로 계산한 후, 계산된 상하좌우 경사 정도 및 판독된 거리를 가감하여, 퍼팅을 할 방향 및 세기를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 실내 골프 게임 장치를 이용하는 플레이어는 퍼팅 시 스스로 다수의 변수들을 고려하여 퍼팅을 해야 한다. 그러나 실내 골프 게임 장치를 이용하는 플레이어들이 대부분 초보 또는 중급 플레이어들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초보 및 중급 플레이어들은 다수의 변수들에 대한 경험을 적어 퍼팅 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공과 홀컵과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플레이어는 퍼팅하는데 더 큰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퍼팅위치에서 홀컵까지의 지형의 상하좌우 기울기에 따른 상하좌우 흐름 벡터를 이용하여 최적의 퍼팅 방향을 계산하여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게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상의 캐디를 스크린 골프 게임상에 삽입하고, 퍼팅 시 가상의 캐디를 통해 최적의 퍼팅 방향 및 해당 그린의 그린 정보를 플레이어에게 안내하여 플레이어들에게 실제와 같은 현장감과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플레이 시간을 단축시키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는, 영상 표시를 위한 화상 처리부와, 다수의 코스들 각각에 대한 그린의 지도 데이터 및 상기 그린에 대한 격자단위 흐름 벡터들을 포함하는 그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퍼팅 시 해당 코스의 그린 데이터를 표시하고, 퍼팅 위치에서 홀컵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 1 퍼팅 방향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 시 상기 제 1 퍼팅 방향에 대응하는 그린이 흐름 벡터들이 반영되어 상기 홀컵을 지나고 상기 제 1 퍼팅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상에 공이 놓이는 가상의 흐름 위치를 계산 한 후, 상기 가상의 흐름 위치에서 상기 홀컵까지의 흐름 거리를 계산하며, 상기 홀컵에서 흐름 위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흐름 거리를 보정 한 보정 위치를 계산하는 제 1 보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보정 위치로 향하는 방향을 제 2 퍼팅 방향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시 상기 제 2 퍼팅 방향에 대응하는 그린의 흐름 벡터들을 반영한 상기 선상에서 공이 놓이는 흐름 위치를 계산한 후, 상기 흐름 위치가 홀컵의 위치 범위에 포함되어 홀인 인지를 판단하여 홀인 일 경우, 상기 제 2 퍼팅 위치에서 상기 보정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최종 퍼팅 방향으로 설정하여 표시하는 게임 엔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게임 엔진부는, 상기 홀인 판단시 홀인이 아닐 경우, 상기 흐름 위치에서 홀컵까지의 보정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보정 위치에서 상기 보정 거리를 상기 선상을 따라 홀컵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정 위치를 갱신하는 제 2 보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갱신된 보정위치로 방향을 최종 퍼팅 방향으로 재설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임 엔진부는, 상기 최종 퍼팅 방향에 대한 홀인 여부를 판단하여 홀인이 아닌 경우, 홀인이 될 때까지 상기 제 2 보정 처리를 수행하여 최종 퍼팅 방향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각종 골프의 코스, 각 계절에 따른 날씨, 날씨에 따른 바람의 세기, 방향을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및 상기 각 코스별 각종 그린의 모양, 넓이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그린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형 정보 D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게임 엔진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그린 데이터를 호출하여 상기 화상 처리부에 표시하고, 퍼팅에 따른 퍼팅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지형정보 추출 엔진 및 퍼팅 시 해당 코스의 그린 데이터를 표시하고, 퍼팅 위치에서 홀컵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 1 퍼팅 방향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 시 상기 제 1 퍼팅 방향에 대응하는 그린이 흐름 벡터들이 반영되어 상기 홀컵을 지나고 상기 제 1 퍼팅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상에 공이 놓이는 가상의 흐름 위치를 계산 한 후, 상기 가상의 흐름 위치에서 상기 홀컵까지의 흐름 거리를 계산하며, 상기 홀컵에서 흐름 위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흐름 거리를 보정 한 보정 위치를 계산하는 제 1 보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보정 위치로 향하는 방향을 제 2 퍼팅 방향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시 상기 제 2 퍼팅 방향에 대응하는 그린의 흐름 벡터들을 반영한 상기 선상에서 공이 놓이는 흐름 위치를 계산한 후, 상기 흐름 위치가 홀컵의 위치 범위에 포함되어 홀인 인지를 판단하여 홀인 일 경우, 상기 제 2 퍼팅 위치에서 상기 보정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최종 퍼팅 방향으로 설정하여 표시하고, 상기 홀인 판단시 홀인이 아닐 경우, 상기 흐름 위치에서 홀컵까지의 보정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보정 위치에서 상기 보정 거리를 상기 선상을 따라 홀컵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정 위치를 갱신하는 제 2 보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갱신된 보정위치로 방향을 최종 퍼팅 방향으로 재설정하여 표시하고, 상기 최종 퍼팅 방향에 대한 홀인 여부를 판단하여 홀인이 아닌 경우, 홀인이 될 때까지 상기 제 2 보정 처리를 수행하여 최종 퍼팅 방향을 갱신하는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는, 상 기 저장부는 가상의 캐디를 구성하기 위한 다수의 캐릭터 구성 데이터 및 캐디 캐릭터들을 저장하는 캐릭터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임 엔진부는, 상기 캐릭터 구성 데이터들을 상기 화상 처리부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캐릭터 구성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가상의 캐디 캐릭터를 생성하거나 미리 구성되어 있는 캐디 캐릭터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캐디 캐릭터를 가상의 캐디로 결정하는 캐릭터 엔진 및 상기 지형정보 추출 엔진으로부터 호출된 그린 데이터 상에 상기 캐릭터 엔진으로부터 생성된 가상의 캐디를 함께 연동하고,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으로부터 산출된 최종 퍼팅 방향을 그린 상에 표시하며, 상기 최종 퍼팅 방향 및 해당 그린에 대한 퍼팅 가이드 정보가 상기 가상의 캐디를 통해 안내되게 하는 연동 엔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동 엔진은, 상기 가상의 캐디를 통해 안내되는 상기 최종 퍼팅 방향 및 퍼팅 가이드 정보가 음성으로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린 데이터는, 그린 면을 격자모양의 복수개의 분할구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할구역에 각각의 흐름 벡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흐름 벡터는, 그린 상의 지면에 공이 경사면에 받는 영향 값인 흐름 벡터 크기와, 공과 홀컵까지의 거리 벡터 및 방향 벡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형정보 추출 엔진은, 지형 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데이터에서 각종 골프의 코스, 각 계절에 따른 날씨, 날씨에 따른 바람의 세기, 방향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게임 시작 전 또는 게임 시작 중에 각 골프 코스의 지형에 따 른 주의사항, 클럽 선택 정보, 플레이어 순서, 남은 거리, 공략법, 그린 라이어의 설명, 위험 지역 안내를 포함하는 게임 시작 전 가이드 정보 및 게임 중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는, 상기 연동 엔진은, 상기 지형정보 추출 엔진을 통해 생성된 게임 시작 전 가이드 정보는, 게임 시작 전에 상기 가상의 캐디를 통해 안내되게 하고, 상기 게임 시작 중 가이드 정보는, 게임 중에 상기 가상의 캐디를 통해 안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은, (a) 퍼팅 시 공이 놓인 위치와 홀컵을 포함하는 그린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와, (b) 퍼팅 위치에서 홀컵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 1 퍼팅 방향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 시 상기 제 1 퍼팅 방향에 대응하는 그린이 흐름 벡터들이 반영되어 상기 홀컵을 지나고 상기 제 1 퍼팅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상에 공이 놓이는 가상의 흐름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와, (b) 상기 가상의 흐름 위치를 계산 한 후, 상기 가상의 흐름 위치에서 상기 홀컵까지의 흐름 거리를 계산하며, 상기 홀컵에서 흐름 위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흐름 거리를 보정 한 보정 위치를 계산하는 제 1 보정 처리를 수행는 단계와, (c)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보정 위치로 향하는 방향을 제 2 퍼팅 방향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시 상기 제 2 퍼팅 방향에 대응하는 그린의 흐름 벡터들을 반영한 상기 선상에서 공이 놓이는 흐름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d) 상기 흐름 위치가 홀컵의 위치 범위에 포함되어 홀인 인지를 판단하여 홀인 일 경우, 상기 제 2 퍼팅 위치에서 상기 보정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최종 퍼팅 방향으로 설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홀인 판단시 홀인이 아닐 경우, 상기 흐름 위치에서 홀컵까지의 보정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보정 위치에서 상기 보정 거리를 상기 선상을 따라 홀컵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정 위치를 갱신하는 제 2 보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갱신된 보정위치로 방향을 최종 퍼팅 방향으로 재설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최종 퍼팅 방향에 대한 홀인 여부를 판단하여 홀인이 아닌 경우, 홀인이 될 때까지 상기 제 2 보정 처리를 수행하여 최종 퍼팅 방향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가상의 캐디가 그린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산출된 최종 퍼팅 방향이 상기 그린에 상에 표시되되, 상기 최종 퍼팅 방향 및 해당 그린에 대한 퍼팅 가이드 정보가 상기 가상의 캐디를 통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방법.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산출된 최종 퍼팅 방향이 그린 상에 화살표로 표시되고, 공과 홀컵까지 하나의 화살표로 연결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방법은, 상 기 화살표로 표시되는 최종 퍼팅 방향은, 이 최종 퍼팅 방향의 방향에 대한 흐름 벡터를 감안하여 기울기가 클수록 상기 화살표가 흐르는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 골프장에서 골프를 플레이 할 경우에도, 실제 골프장과 같이 가상의 캐디의 가이드에 따라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어, 스포츠 게임이 지향하는 현실성, 현실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어는 그린 면의 기울어진 정도를 어렵게 판단할 필요 없이, 최적의 퍼팅 방향이 가상의 캐디에 의해 가이드가 되기 때문에, 초보자는 물론이고 고급자의 경우에도 재미있는 골프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레이 시간도 단축해줄 수 있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 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의 캐디를 통해 퍼팅을 가이드하는 골프 게임 장치가 설치되어 실행되는 스크린 골프장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의 캐디를 통해 퍼팅을 가이드하는 골프 게임 장치의 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의 캐디를 통해 퍼팅을 가이드하는 골프 게임 장치(100)는, 게임 단말기(110), 디스플레이 장치(120), 스크린(130) 및 음성출력 장치(140)를 포함한다.
게임 단말기(110)는 저장부(111), 게임 엔진부(112), 중앙 처리부(113) 및 화상 처리부(114)를 포함한다.
저장부(111)는, 지형 정보 DB(1111) 및 캐릭터 DB(1112)를 포함한다.
지형 정보 DB(1111)는 각종 골프의 코스, 각 계절에 따른 날씨, 날씨에 따른 바람의 세기, 방향 등에 따른 지도 데이터 및 상기 각 골프 코스별 각종 그린의 모양, 넓이 등을 포함하는 그린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 특히 지형 정보 DB(1111)는 각 코스의 그린 지형(지도) 데이터 및 상기 그린 지형의 높낮이에 의해 발생하는 격자 단위의 흐름 벡터들을 포함하는 그린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종 골프의 코스란, 예컨대 국가별 유명 골프장의 코스를 똑같이 구현한 지도 데이터(Map data)를 말하며, 그린 데이터는 각 골프 코스의 해당 그린을 말한다. 이러한 지도, 그린 데이터는 실제의 골프장의 코스 및 상기 코스의 해당 그린을 실제와 같이 구현한 데이터 일 수도 있으며, 가상의 골프장의 코스 및 상기 가상의 코스의 해당 그린을 구현한 데이터 일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각종 골프의 코스란, 예컨대 국가별 유명 골프장의 코스를 똑같이 구현한 지도 데이터(Map data)를 말하며, 그린 데이터는 각 골프 코스의 해당 그린을 말한다. 이러한 지도, 그린 데이터는 실제의 골프장의 코스 및 상기 코스의 해당 그린을 실제와 같이 구현한 데이터 일 수도 있으며, 가상의 골프장의 코스 및 상기 가상의 코스의 해당 그린을 구현한 데이터 일 수도 있다.
캐릭터 DB(1112)는, 가상의 캐디들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다양한 종류의 인종 및 성별에 따른 실제 사람과 똑같은 형태의 2D 또는 3D 캐릭터가 저장될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다양한 캐릭터들(동물, 게임 캐릭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가상의 캐디의 옷, 악세서리, 헤어스타일 등을 바꾸거나 조합하여 사용자가 캐릭터를 꾸밀 수도 있으며, 이렇게 꾸미게 되는 가상의 캐디는 사용자의 아이디에 따라 각각 저장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를 통해 가상의 캐디 표시 및 가이드 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게임 엔진부(112)는, 지형정보 추출 엔진(1121), 캐릭터 엔진(1122),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 및 연동 엔진(1125)을 포함한다.
지형정보 추출 엔진(1121)은, 지형 정보 DB(1111)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데이터에서 각 코스의 모양, 넓이 및 기울기, 각 계절에 따른 날씨, 날씨에 따른 바람의 세기 및 방향 등의 데이터를 이용(추출)하여 게임 시작 전 가이드 정보, 게임 중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고, 각 코스에 따른 해당 그린의 모양, 넓이 및 기울기 등을 이용하여 퍼팅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게임 시작 전 가이드 정보(a), 게임 중 가이드 정보(b) 및 퍼팅 가이드 정보(c)는 가상의 캐디를 통해 안내된다.
예컨대 게임 시작 전에는, 가상의 캐디가 "홀까지 우측으로 굽은 도그렉 홀이며, 전방 헤저드와 우측 OB를 조심하시고, 바람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3ms ~ 5ms로 불고 있습니다."와 같은 게임 시작 전 가이드 정보(a)를 몸짓, 음성 등을 통해 안내한다.
또한 게임 시작 중에는, 가상의 캐디가 "홀까지의 남은 거리는 142m이고, 홀까지의 오르막은 2m이며, 공이 로프에 놓여 있으니 150m 정도 보고 샷을 하십시오"와 같은 게임 시작 전 가이드 정보(b)를 몸짓, 음성 등을 통해 안내한다.
또한, 그린에서 퍼팅시에는, 가상의 캐디가 그린에서 퍼팅 시 최종 퍼팅 방향과 해당 그린의 그린 정보(c)를 몸짓, 음성 등을 통해 안내한다.
그린에서 퍼팅시 가상의 캐디가 최종 퍼팅 방향과 해당 그린의 그린 정보를 몸짓, 음성 등을 통해 안내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캐릭터 엔진(1122)은, 플레이어로부터 선택되는 가상의 캐디 캐릭터의 옷, 악세서리, 헤어스타일 등을 바꾸거나 조합하여 사용자가 캐릭터를 꾸밀 수도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d)할 수 있다.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지형 정보 DB(111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그린 데이터의 흐름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공(1)이 놓인 그린 상의 위치에서 퍼팅하여 홀컵(2)에 홀인 시킬 수 있는 최적의 퍼팅 방향을 계산한다.
즉, 그린 데이터를 통해 표시되는 그린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그래픽적인 지형의 모양과 높낮이 등을 플레이어가 직접 판독하여 퍼팅을 해야 했기 때문에, 최적의 퍼팅 방향을 산출하여 이를 그린 상에 표시해주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린 데이터의 그린(10)을(도 10 참조) 격자모양의 복수 개의 분할구역(5)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할구역(5)의 경사도, 즉 흐름 벡터를 이용해야 한다.
이러한 흐름 벡터란, 플레이어로부터 선택된 해당 코스의 그린에서 공(1)과 홀컵(2) 사이 지면에 공(1)이 경사면에 받는 영향 값인 흐름 크기와, 공(1)과 홀컵(2)까지의 거리 및 방향을 포함하는 벡터 정보이며,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흐름 벡터를 산출한다(도 10 참조).
우선, 흐름 벡터 크기를 구하기 위해서는, 흐름의 크기와 단위 흐름 벡터를 먼저 산출해야 한다.
흐름의 크기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흐름의 크기란, 그린의 경사면에 공(1)을 올려놓았을 때 공(1)이 경사면에 받는 영향 값을 말 한다.
Figure 112009070987093-pat00001
Figure 112009070987093-pat00002
Figure 112009070987093-pat00003
Figure 112009070987093-pat00004
Figure 112009070987093-pat00005
Figure 112009070987093-pat00006
그러므로, 흐름 크기의 값은 경사면의 지형 마찰력과 비례하기 때문에 지형 마찰 계수를 곱하여 주는 것이다.
도 5는 수학식 1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여기서, m은 골프공 무게, g는 중력 값, N은 경사면과 수직인 방향크기 값, G는 흐름 크기 또는 경사 크기 값,
Figure 112009070987093-pat00007
는 마찰계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다음, 흐름 방향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흐름 벡터란, 흐름 벡터(
Figure 112009070987093-pat00008
Figure 112009070987093-pat00009
)의 스칼라값이 1인 것을 말한다.
Figure 112009070987093-pat00010
,
Figure 112009070987093-pat00011
도 6은 수학식 2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점P1 ,P2 ,P3을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 aX + bY + cZ + d = 0이 있을 때 평면 aX + bY + cZ + d = 0상의 한점 P라 할 때 평면과 수직인 벡터를
Figure 112009070987093-pat00012
Figure 112009070987093-pat00013
라 한다.
중력의 방향의 반대 방향을
Figure 112009070987093-pat00014
Figure 112009070987093-pat00015
라 놓을 때 두 벡터의 외적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70987093-pat00016
Figure 112009070987093-pat00017
라 할 때
Figure 112009070987093-pat00018
두 벡터의 외적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70987093-pat00019
Figure 112009070987093-pat00020
상기 수학식 1 및 2를 이용하여 흐름 벡터 크기를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흐름 벡터 크기 = 흐름 크기 * 단위 흐름 벡터이며, 단위는 1m당 흐름의 영향을 받는 값이라 할 수 있다.
Figure 112009070987093-pat00021
도 7은 수학식 3을 설명하기 위함 참고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공(1)에서 홀컵(2)까지의 방향 벡터는,
공의 위치가
Figure 112009070987093-pat00022
, 이고 홀의 위치가
Figure 112009070987093-pat00023
일 때 두 점의 사이의 각을
Figure 112009070987093-pat00024
Figure 112009070987093-pat00025
라 놓으면,
공에서 홀컵으로 방향 벡터는
Figure 112009070987093-pat00026
는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09070987093-pat00027
여기서 퍼팅 거리 벡터(
Figure 112009070987093-pat00028
Figure 112009070987093-pat00029
)는, 이동 거리 벡터(
Figure 112009070987093-pat00030
Figure 112009070987093-pat00031
)와 감속된 벡터(
Figure 112009070987093-pat00032
Figure 112009070987093-pat00033
의 크기만큼 가감한 거리이다.
이것을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하기의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112009070987093-pat00034
Figure 112009070987093-pat00035
Figure 112009070987093-pat00036
여기서,
Figure 112009070987093-pat00037
Figure 112009070987093-pat00038
퍼팅 거리에 비례하여 크기가 커지고 방향은 흐름 벡터의 방향이다.
또한 흐름 벡터의 크기는 흐름의 크기와 비례하여 적용되는 관계이어서, 다음과 같은 공식이 성립한다.
Figure 112009070987093-pat00039
Figure 112009070987093-pat00040
Figure 112009070987093-pat00041
Figure 112009070987093-pat00042
=
이 식을 위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70987093-pat00043
Figure 112009070987093-pat00044
이며, 공식을 정리하면,
Figure 112009070987093-pat00045
|X| =
Figure 112009070987093-pat00046
Figure 112009070987093-pat00047
이며, 흐름 크기의 값
Figure 112009070987093-pat00048
Figure 112009070987093-pat00049
이므로, 다음과 같은 퍼팅 거리 공식이 나온다.
Figure 112009070987093-pat00050
Figure 112009070987093-pat00051
퍼팅 거리 = 이다.
상술한 수학식 1 내지 9의 알고리즘을 통해 그린 데이터의 흐름 벡터를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알고리즘은 보통의 골프게임에 사용되고 있으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후술할 도 10을 참조).
도 8은 제 1 흐름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다.
도 8 을 더 참고하면, 이어서,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그린 데이터의 흐름 벡터를 이용하여, 최종 퍼팅 방향을 산출한다.
우선,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골(1)이 위치한 퍼팅 위치에서 홀컵(2)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 1 퍼팅 방향(3)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 시 제 1 퍼팅 방향(3)에 대응하는 그린의 흐름 벡터들이 반영되어 홀컵(2)을 지나고, 상기 제 1 퍼팅 방향(3)에 대해 수직인 선상에 공이 놓이게 될 가상의 제 1 흐름 위치(11)를 계산한다.
도 9는 제 2 흐름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가상의 제 1 흐름 위치(11)에서 홀컵(2)까지의 흐름 거리를 계산한다. 그러면 홀컵(2)에서 제 1 흐름 위치(11)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흐름 거리를 보정하도록 하는 보정 위치를 계산하는 제 1 보정 처리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보정 위치로 향하는 방향을 제 2 퍼팅 방향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시 상기 제 2 퍼팅 방향에 대응하는 그린의 흐름 벡터들을 반영한 상기 선상에서, 공(1)이 놓이는 제 2 흐름 위치(13)를 계산한 후, 제 2 흐름 위치(13)가 홀컵(2) 위치의 범위에 포함되어 홀인 인지를 판단한다.
도 10은 제 2 흐름 위치가 홀컵 위치의 범위에 포함되어 홀인이 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다.
도 10을 더 참고하면, 이어서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홀인 일 경우, 제 2 퍼팅 위치(13)에서 상기 보정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도 12와 같이 최종 퍼팅 방향(4)으로 설정하면, 최종 퍼팅 방향(4)은 연동 엔진(1125)을 통해 그린 상(10)에 표시되는데, 화상 처리부(114)를 통해 표시된다.
도 11은 제 2 보정처리를 하여 갱신된 보정위치가 홀컵(2) 위치의 범위에 포함되어 홀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다.
도 11을 더 참고하면, 그 다음,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을 통해 상기 홀인 판단시 홀인이 아닐 경우, 상기 제 2 흐름 위치(13)에서 홀컵(2)까지의 보정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보정 위치에서 상기 보정 거리를 상기 선상을 따라 홀컵(2)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정 위치를 갱신하는 제 2 보정 처리를 수행한다.
도 12는 산출된 최종 퍼팅 방향 및 해당 그린의 그린 정보가 상기 가상의 캐디를 통해 안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더 참고하면, 이어서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갱신된 보정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최종 퍼팅 방향(4)으로 재설정하면, 최종 퍼팅 방향(4)은 연동 엔진(1125)을 통해 그린 상(10)에 표시되는데, 화상 처 리부(114)를 통해 표시된다.
그리고,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최종 퍼팅 방향(4)에 대한 홀인 여부를 판단하여 홀인이 아닌 경우, 홀인이 될 때까지 상기 제 2 보정 처리를 계속 수행하여 최종 퍼팅 방향(4)을 갱신한다. 즉 제 2 보정 처리를 계속 수행하여 갱신된 보정위치를 향하는 방향이 도 12와 같이 홀컵(2) 위치의 범위에 포함되면 홀인 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보정위치를 최종 퍼팅 방향(4)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 2 보정 처리 동작이란, 상술한 도 11에서 제 2 흐름 위치(13)가 홀컵(2) 위치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제 2 흐름 위치(13)의 거리(13)가 홀컵(2) 위치에 포함되도록 상기 퍼팅 방향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조정하여 보정된 위치가 홀컵(2) 위치의 범위에 포함될 때까지 시뮬레이션 과정을 말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흐름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좀더 보충하면, 홀컵(2)과 공(1) 사이의 각 분할 구역(5)의 거리 만큼 각각 진행하는데, 각 분할 구역(5)의 흐름 벡터의 영향을 받아서 변동되는 거리를 각 분할구역(5)에서 구하고, 각 분할구역(5) 내에서 변동되는 위치에서, 다음 분할 구역(5)의 변동되는 위치의 거리 만큼 진행 후, 각 흐름 벡터의 영향에 대한 변위 차를 홀컵(2)까지 반복해서 산출하는 것이다.
즉, 상술한 제 1 및 제 2 흐름 위치란, 공(1)에서 홀컵(2)까지의 각 분할 구역(5) 내에서 각 흐름 벡터의 영향을 받아서 변동되는 거리, 변위 차를 홀컵(2) 까지 반복하여 산출한 것을 말한다.
한편, 연동 엔진(1125)은, 지형정보 추출 엔진(1121)으로부터 호출된 지도 데이터 및 그린 데이터 상에, 캐릭터 엔진(1122)을 통해 생성된 가상의 캐디의 캐릭터를 함께 연동시킨다. 그리고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으로부터 산출된 최종 퍼팅 방향(4)을 그린 상(10)에 표시하며, 해당 그린에 대한 그린 정보를 해당 가상의 캐디(20)를 통해 안내되게 한다.
즉, 산출된 최종 퍼팅 방향(4)을 화상 처리부(114)를 통해 그린 상(10)에 표시되게 하고, 아울러 최종 퍼팅 방향(4) 및 해당 그린의 그린 정보(해당 그린의 지형에 따른 주의사항, 클럽 선택 정보, 플레이어 순서, 남은 거리, 공략법, 그린 라이어의 설명, 위험 지역 정보)가 가상의 캐디(20)를 통해 음성 또는 몸짓으로 안내되게 한다.
한편 중앙 처리부(113)는, 보통의 PC, 게임용 콘솔 등에 사용되는 CPU이며, 게임 엔진부(112)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부(113)를 통해 처리되는 데이터들은 화상 처리부(114)를 통해 영상으로 출력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통해 스크린(130)에 표시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스크린 골프장에서 널리 사용하는 빔 프로젝트 장치가 될 수 있으나, 스크린(130)에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관계없다.
또한, 음성 출력 장치(140)는, 가상의 캐디를 통해 안내되는 해당 그린의 지 형에 따른 주의사항, 클럽 선택 정보, 플레이어 순서, 남은 거리, 공략법, 그린 라이어의 설명, 위험 지역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향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플레이어들이 스크린 골프장에 입장하여, 골프 게임 단말기(110)를 실행시킨다(단계S110). 이후 자신의 아이디를 생성하고(생성하지 않고 진행할 수도 있다), 자신의 해당 아이디에 희망하는 가상의 캐디를 등록(d)시킨다(도 4 참조).
이때 플레이어는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인종 및 성별에 따른 실제 사람과 똑같은 형태의 2D 또는 3D 형태의 가상의 캐디의 캐릭터를 선택한다. 이때, 선택한 가상의 캐디의 옷, 악세서리, 헤어스타일 등을 바꾸거나 조합하여 사용자가 캐릭터를 꾸밀 수도 있다(단계S120).
이렇게 가상의 캐디를 선택한 후, 골프 게임을 진행할 지역과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지역은 제주도를 선택하고 코스는 제주도의 오라 컨트리 클럽을 선택하면, 선택된 오라 컨트리 클럽의 코스들이 스크린상에 표시된다.
이렇게 표시되는 코스 중 희망하는 코스를 플레이어가 선택한다. 물론 플레이어가 선택할 코스는 실제 코스를 적용한 코스가 될 수도 있으며, 가상의 골프장, 가상의 코스를 적용한 코스가 될 수도 있다.
이후, 플레이어가 특정 골프장의 특정 코스를 선택한다. 그러면 게임이 시작되기 전에 스크린상에 선택한 코스 및 플레이어가 선택한 가상의 캐디가 표시된다.
이때 가상의 캐디는 "홀까지 우측으로 굽은 도그렉 홀이며, 전방 헤저드와 우측 OB를 조심하시고, 바람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3ms ~ 5ms로 불고 있습니다."와 같은 게임 시작 전 가이드 정보(a)를 몸짓, 음성을 통해 안내한다(단계S130).
그 다음, 게임 진행 중에는, 가상의 캐디는 "홀까지의 남은 거리는 142m이고, 홀까지의 오르막은 2m이며, 공이 로프에 놓여 있으니 150m 정도 보고 샷을 하십시오"와 같은 게임 시작 중 가이드 정보(b)를 몸짓, 음성을 통해 안내한다(단계S140).
이어서, 플레이어가 골프 게임을 진행하여 공(1)이 해당 홀의 그린(10)에 올라올 경우, 플레이어는 공(1)을 홀컵(2)에 퍼팅해야 한다.
이때, 가상의 캐디가 그린에서 퍼팅 시 퍼팅 가이드 정보(c)인 최종 퍼팅 방향(4)과 해당 그린(10)의 그린 정보를 몸짓, 음성을 통해 안내한다(단계S150).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방법에서 최정 퍼팅 방향이 산출되는 세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단계S150의 최종 퍼팅 방향(4)은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을 통해 산출되는데, 먼저 해당 그린이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때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그린 데이터의 흐름 벡터를 이용하여, 최종 퍼팅 방향을 산출한다.
우선,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골(1)이 위치한 퍼팅 위치에서 홀컵(2)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 1 퍼팅 방향(3)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 시 제 1 퍼팅 방향(3)에 대응하는 그린의 흐름 벡터들이 반영되어 홀컵(2)을 지나고, 상기 제 1 퍼팅 방향(3)에 대해 수직인 선상에 공이 놓이게 될 가상의 제 1 흐름 위치(11)를 계산한다(단계S151).
그 다음,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가상의 제 1 흐름 위치(11)에서 홀컵(2)까지의 흐름 거리를 계산한다. 그러면 홀컵(2)에서 제 1 흐름 위치(11)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흐름 거리를 보정하도록 하는 보정 위치를 계산하는 제 1 보정 처리를 수행한다(단계S153).
이후,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보정 위치로 향하는 방향을 제 2 퍼팅 방향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시 상기 제 2 퍼팅 방향에 대응하는 그린의 흐름 벡터들을 반영한 상기 선상에서, 공(1)이 놓이는 제 2 흐름 위치(13)를 계산한다(단계S154).
그 다음,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제 2 흐름 위치(13)가 홀컵(2) 위치의 범위에 포함되어 홀인 인지를 판단한다(단계S155).
그 다음 이때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상기 단계S155에서 홀인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2 퍼팅 위치(13)에서 상기 보정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도 12와 같이 최종 퍼팅 방향(4)으로 설정하면, 최종 퍼팅 방향(4)은 연동 엔진(1125)을 통해 그린 상(10)에 표시되는데, 화상 처리부(114)를 통해 표시된다(단계S158).
그 다음,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을 통해 상기 홀인 판단시 홀인이 아 닐 경우(단계S155), 제 2 흐름 위치(13)에서 홀컵(2)까지의 보정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보정 위치에서 상기 보정 거리를 상기 선상을 따라 홀컵(2)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정 위치를 갱신하는 제 2 보정 처리를 수행한다(단계S156).
그 다음,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단계S156을 통해 갱신된 보정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최종 퍼팅 방향(4)으로 재설정하면,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상기 갱신된 보정위치가 홀컵(2) 위치의 범위에 포함되어 홀인 인지를 판단한다(단계S157). 이때 상기 갱신된 보정위치가 홀컵(2) 위치의 범위에 포함되어 홀인 일 경우,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상기 갱신된 보정위치를 최종 퍼팅 방향(4)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최종 퍼팅 방향(4)은 연동 엔진(1125)을 통해 그린 상(10)에 표시되는데, 화상 처리부(114)를 통해 표시된다(단계S158).
그리고, 상기 단계S157에서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을 통해 최종 퍼팅 방향(4)에 대한 홀인 여부 판단 시 홀인이 아닌 경우, 홀인이 될 때까지 상기 단계S156에서와 같은 제 2 보정 처리를 계속 수행하여 최종 퍼팅 방향(4)을 갱신한다.
그러면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제 2 보정 처리와 같은 보정 시뮬레이션을 계속 수행하여 갱신된 보정위치를 향하는 방향이 도 12와 같이 홀컵(2) 위치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한다(단계S157). 상기 단계S157에서 갱신된 보정위치가 홀인 인 것으로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을 통해 판단되면,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1124)은 상기 보정위치를 최종 퍼팅 방향(4)으로 설정한다. 그러면 설정된 최종 퍼팅 방향(4)은 연동 엔진(1125)을 통해 그린 상(10)에 표시되는데, 화상 처리 부(114)를 통해 표시된다(단계S158).
그 다음, 상기 단계S158을 통해 산출된 최종 퍼팅 방향(4)은 연동 엔진(1125)을 통해 그린 상(10)에 표시된다. 그리고 해당 그린에 대한 그린 정보도 가상의 캐디(20)를 통해 안내되게 한다.
즉, 산출된 최종 퍼팅 방향(4)은 그린 상(10)에 화살표로 표시되고, 아울러 최종 퍼팅 방향(4) 및 해당 그린의 그린 정보(해당 그린의 지형에 따른 주의사항, 클럽 선택 정보, 플레이어 순서, 남은 거리, 공략법, 그린 라이어의 설명, 위험 지역 정보)도 가상의 캐디(20)를 통해 음성 또는 몸짓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린 골프장에서 골프를 플레이 할 경우에도, 실제 골프장과 같이 가상의 캐디의 가이드에 따라 골프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어, 스포츠 게임이 지향하는 현실성, 현실감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어는 그린 면의 기울어진 정도를 어렵게 판단할 필요 없이, 최종 퍼팅 방향이 가상의 캐디에 의해 가이드가 되기 때문에, 초보자는 물론이고 고급자의 경우에도 재미있는 골프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레이 시간도 단축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퍼팅 가이드 화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의 캐디를 통해 퍼팅을 가이드하는 골프 게임 장치가 설치되어 실행되는 스크린 골프장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의 캐디를 통해 퍼팅을 가이드하는 골프 게임 장치의 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를 통해 가상의 캐디 표시 및 가이드 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수학식 1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이고,
도 6은 수학식 2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이고,
도 7은 수학식 3을 설명하기 위함 참고도면이고,
도 8은 제 1 흐름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고,
도 9는 제 2 흐름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고,
도 10은 제 2 흐름 위치가 홀컵 위치의 범위에 포함되어 홀인이 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고,
도 11은 제 2 보정처리를 하여 갱신된 보정위치가 홀컵 위치의 범위에 포함되어 홀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고,
도 12는 최종 퍼팅 방향 및 해당 그린의 그린 정보가 상기 가상의 캐디를 통해 안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방법의 전 체 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방법에서 최정 퍼팅 방향이 산출되는 세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에 따른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110 : 게임 단말기 111 : 저장부
112 : 게임 엔진부 113 : 중앙 처리부
114 : 화상 처리부 120 : 스크린
130 : 디스플레이 장치 140 : 음성 출력 장치

Claims (18)

  1. 영상 표시를 위한 화상 처리부;
    다수의 코스들 각각에 대한 그린의 지도 데이터 및 상기 그린에 대한 격자단위 흐름 벡터들을 포함하는 그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퍼팅 시 해당 코스의 그린 데이터를 표시하고, 퍼팅 위치에서 홀컵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 1 퍼팅 방향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 시 상기 제 1 퍼팅 방향에 대응하는 그린이 흐름 벡터들이 반영되어 상기 홀컵을 지나고 상기 제 1 퍼팅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상에 공이 놓이는 가상의 흐름 위치를 계산 한 후, 상기 가상의 흐름 위치에서 상기 홀컵까지의 흐름 거리를 계산하며, 상기 홀컵에서 흐름 위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흐름 거리를 보정 한 보정 위치를 계산하는 제 1 보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보정 위치로 향하는 방향을 제 2 퍼팅 방향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시 상기 제 2 퍼팅 방향에 대응하는 그린의 흐름 벡터들을 반영한 상기 선상에서 공이 놓이는 흐름 위치를 계산한 후, 상기 흐름 위치가 홀컵의 위치 범위에 포함되어 홀인 인지를 판단하여 홀인 일 경우, 상기 제 2 퍼팅 위치에서 상기 보정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최종 퍼팅 방향으로 설정하여 표시하는 게임 엔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엔진부는,
    상기 홀인 판단시 홀인이 아닐 경우, 상기 흐름 위치에서 홀컵까지의 보정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보정 위치에서 상기 보정 거리를 상기 선상을 따라 홀컵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정 위치를 갱신하는 제 2 보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갱신된 보정위치로 방향을 최종 퍼팅 방향으로 재설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엔진부는,
    상기 최종 퍼팅 방향에 대한 홀인 여부를 판단하여 홀인이 아닌 경우, 홀인이 될 때까지 상기 제 2 보정 처리를 수행하여 최종 퍼팅 방향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각종 골프의 코스, 각 계절에 따른 날씨, 날씨에 따른 바람의 세기, 방향을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및 상기 각 코스별 각종 그린의 모양, 넓이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그린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형 정보 DB; 를 포함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엔진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그린 데이터를 호출하여 상기 화상 처리부에 표시하고, 퍼팅에 따른 퍼팅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지형정보 추출 엔진; 및
    퍼팅 시 해당 코스의 그린 데이터를 표시하고, 퍼팅 위치에서 홀컵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 1 퍼팅 방향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 시 상기 제 1 퍼팅 방향에 대응하는 그린이 흐름 벡터들이 반영되어 상기 홀컵을 지나고 상기 제 1 퍼팅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상에 공이 놓이는 가상의 흐름 위치를 계산 한 후, 상기 가상의 흐름 위치에서 상기 홀컵까지의 흐름 거리를 계산하며, 상기 홀컵에서 흐름 위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흐름 거리를 보정 한 보정 위치를 계산하는 제 1 보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보정 위치로 향하는 방향을 제 2 퍼팅 방향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시 상기 제 2 퍼팅 방향에 대응하는 그린의 흐름 벡터들을 반영한 상기 선상에서 공이 놓이는 흐름 위치를 계산한 후, 상기 흐름 위치가 홀컵의 위치 범위에 포함되어 홀인 인지를 판단하여 홀인 일 경우, 상기 제 2 퍼팅 위치에서 상기 보정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최종 퍼팅 방향으로 설정하여 표시하고, 상기 홀인 판단시 홀인이 아닐 경우, 상기 흐름 위치에서 홀컵까지의 보정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보정 위치에서 상기 보정 거리를 상기 선상을 따라 홀컵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정 위치를 갱신하는 제 2 보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갱신된 보정위치로 방향을 최종 퍼팅 방향으로 재설정하여 표시하고, 상기 최종 퍼팅 방향에 대한 홀인 여부를 판단하여 홀인이 아닌 경우, 홀인이 될 때까지 상기 제 2 보정 처리를 수행하여 최종 퍼팅 방향을 갱신하는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가상의 캐디를 구성하기 위한 다수의 캐릭터 구성 데이터 및 캐디 캐릭터들을 저장하는 캐릭터 DB;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임 엔진부는,
    상기 캐릭터 구성 데이터들을 상기 화상 처리부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캐릭터 구성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가상의 캐디 캐릭터를 생성하거나 미리 구성되어 있는 캐디 캐릭터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캐디 캐릭터를 가상의 캐디로 결정하는 캐릭터 엔진; 및
    상기 지형정보 추출 엔진으로부터 호출된 그린 데이터 상에 상기 캐릭터 엔진으로부터 생성된 가상의 캐디를 함께 연동하고, 퍼팅 방향 가이드 엔진으로부터 산출된 최종 퍼팅 방향을 그린 상에 표시하며, 상기 최종 퍼팅 방향 및 해당 그린에 대한 퍼팅 가이드 정보가 상기 가상의 캐디를 통해 안내되게 하는 연동 엔진; 을 포함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엔진은,
    상기 가상의 캐디를 통해 안내되는 상기 최종 퍼팅 방향 및 퍼팅 가이드 정보가 음성으로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 데이터는,
    그린 면을 격자모양의 복수개의 분할구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할구역에 각각의 흐름 벡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벡터는,
    그린 상의 지면에 공이 경사면에 받는 영향 값인 흐름 벡터 크기와, 공과 홀컵까지의 거리 벡터 및 방향 벡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정보 추출 엔진은,
    지형 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데이터에서 각종 골프의 코스, 각 계절 에 따른 날씨, 날씨에 따른 바람의 세기, 방향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게임 시작 전 또는 게임 시작 중에 각 골프 코스의 지형에 따른 주의사항, 클럽 선택 정보, 플레이어 순서, 남은 거리, 공략법, 그린 라이어의 설명, 위험 지역 안내를 포함하는 게임 시작 전 가이드 정보 및 게임 중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11. 제 6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엔진은,
    상기 지형정보 추출 엔진을 통해 생성된 게임 시작 전 가이드 정보는, 게임 시작 전에 상기 가상의 캐디를 통해 안내되게 하고, 상기 게임 시작 중 가이드 정보는, 게임 중에 상기 가상의 캐디를 통해 안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12. (a) 퍼팅 시 공이 놓인 위치와 홀컵을 포함하는 그린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b) 퍼팅 위치에서 홀컵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 1 퍼팅 방향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 시 상기 제 1 퍼팅 방향에 대응하는 그린이 흐름 벡터들이 반영되어 상기 홀컵을 지나고 상기 제 1 퍼팅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상에 공이 놓이는 가상의 흐름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b) 상기 가상의 흐름 위치를 계산 한 후, 상기 가상의 흐름 위치에서 상기 홀컵까지의 흐름 거리를 계산하며, 상기 홀컵에서 흐름 위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흐름 거리를 보정 한 보정 위치를 계산하는 제 1 보정 처리를 수행는 단계;
    (c)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보정 위치로 향하는 방향을 제 2 퍼팅 방향으로 하여 가상의 퍼팅시 상기 제 2 퍼팅 방향에 대응하는 그린의 흐름 벡터들을 반영한 상기 선상에서 공이 놓이는 흐름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d) 상기 흐름 위치가 홀컵의 위치 범위에 포함되어 홀인 인지를 판단하여 홀인 일 경우, 상기 제 2 퍼팅 위치에서 상기 보정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최종 퍼팅 방향으로 설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홀인 판단시 홀인이 아닐 경우, 상기 흐름 위치에서 홀컵까지의 보정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보정 위치에서 상기 보정 거리를 상기 선상을 따라 홀컵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정 위치를 갱신하는 제 2 보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퍼팅 위치에서 상기 갱신된 보정위치로 방향을 최종 퍼팅 방향으로 재설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최종 퍼팅 방향에 대한 홀인 여부를 판단하여 홀인이 아닌 경우, 홀인이 될 때까지 상기 제 2 보정 처리를 수행하여 최종 퍼팅 방향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가상의 캐디가 그린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산출된 최종 퍼팅 방향이 상기 그린에 상에 표시되되, 상기 최종 퍼팅 방향 및 해당 그린에 대한 퍼팅 가이드 정보가 상기 가상의 캐디를 통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산출된 최종 퍼팅 방향이 그린 상에 화살표로 표시되고, 공과 홀컵까지 하나의 화살표로 연결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살표로 표시되는 최종 퍼팅 방향은, 이 최종 퍼팅 방향의 방향에 대한 흐름 벡터를 감안하여 기울기가 클수록 상기 화살표가 흐르는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111847A 2009-11-19 2009-11-19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상기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KR101471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847A KR101471490B1 (ko) 2009-11-19 2009-11-19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상기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847A KR101471490B1 (ko) 2009-11-19 2009-11-19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상기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001A KR20110055001A (ko) 2011-05-25
KR101471490B1 true KR101471490B1 (ko) 2014-12-12

Family

ID=4436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847A KR101471490B1 (ko) 2009-11-19 2009-11-19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상기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4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615A (ko) 2015-07-21 2017-02-03 나충엽 혼합 현실공간을 활용한 골프 게임 시스템
KR20220033334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골프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752B1 (ko) * 2013-09-16 2015-03-20 (주) 골프존 골프게임제공방법 및 골프게임제공시스템
KR101907995B1 (ko) 2017-05-26 2018-10-16 주식회사 에스지엠 퍼팅 안내 기능을 구비한 골프 시뮬레이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120A (ko) * 2000-11-08 2001-03-05 오종록 골프 시뮬레이션 제어시스템 및 골프 경기방법
KR20030044601A (ko) * 2001-11-30 2003-06-09 김기수 체감형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0788765B1 (ko) * 2005-11-23 2007-12-26 장광순 골프 정보 제공 방법
KR20090105279A (ko) * 2008-04-02 2009-10-07 (주) 골프존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120A (ko) * 2000-11-08 2001-03-05 오종록 골프 시뮬레이션 제어시스템 및 골프 경기방법
KR20030044601A (ko) * 2001-11-30 2003-06-09 김기수 체감형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0788765B1 (ko) * 2005-11-23 2007-12-26 장광순 골프 정보 제공 방법
KR20090105279A (ko) * 2008-04-02 2009-10-07 (주) 골프존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615A (ko) 2015-07-21 2017-02-03 나충엽 혼합 현실공간을 활용한 골프 게임 시스템
KR20220033334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골프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WO2022055098A1 (ko) * 2020-09-09 2022-03-17 주식회사 골프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KR102394395B1 (ko) * 2020-09-09 2022-05-20 주식회사 골프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CN116113477A (zh) * 2020-09-09 2023-05-12 高尔纵株式会社 果岭地形信息提供装置及果岭地形信息提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001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91216A1 (en) Electronic game utilizing photographs
US9566516B2 (en) Game device, game control method, and game control program
CA2862787C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generation of virtual green
KR101019862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JP2004321303A (ja)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1471490B1 (ko)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상기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CN112930562A (zh) 为用户刺激高尔夫球击球的方法和装置
KR101019803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868584B1 (ko) 트루 그린을 구비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20190096572A (ko) 골프 실력 평가 및 향상 시스템 및 방법
KR100997734B1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92420B1 (ko)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KR100972824B1 (ko) 미니맵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843107B1 (ko) 리얼 그린을 구비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0997730B1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JP2017038916A (ja) ゲーム装置、ゲーム処理方法、及び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KR102442476B1 (ko) 골프 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514113B1 (ko) 스크린 골프 장치
KR101165377B1 (ko) 미니어쳐 골프가 가능한 스크린 골프 게임방법
KR101019858B1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2644005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20180098924A (ko) 그린 상태 및 홀컵 위치 기반 그린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574496B1 (ko) 가상 스포츠용 인터페이스 기기,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장치
KR102664956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골프공의 타격결과를 예측하는 시스템
KR102382730B1 (ko) 영상처리 기술을 활용한 스크린 파크골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