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924A - 그린 상태 및 홀컵 위치 기반 그린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그린 상태 및 홀컵 위치 기반 그린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924A
KR20180098924A KR1020170025716A KR20170025716A KR20180098924A KR 20180098924 A KR20180098924 A KR 20180098924A KR 1020170025716 A KR1020170025716 A KR 1020170025716A KR 20170025716 A KR20170025716 A KR 20170025716A KR 20180098924 A KR20180098924 A KR 20180098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putting
golf ball
ma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인학
김주완
김형선
장인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2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8924A/ko
Publication of KR20180098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63B2067/025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with incorporated means acting on the track surface for varying its topography, e.g.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골프 그린 시뮬레이터를 그린 상태 및 홀컵 위치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퍼팅 매트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퍼팅 매트(500)는, 시작점(520) 및 목표점(530)을 구비하는 그린 지면부(510); 상기 그린 지면부(510)에 형성된 목표점(530)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200); 및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퍼팅 매트에 의해서, 상기 시작점(520)으로부터 상기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이동된 목표점(530)을 향하도록 타격된 골프공이,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 의해서 높낮이가 조절된 그린 지면부(510) 상에서 이동하는 3 차원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그린 상태 및 홀컵 위치 기반 그린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REEN SIMULATOR BASED ON GREEN STATE AND HOLECUP POSITION}
본 개시는 골프 그린 시뮬레이터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골프 그린 시뮬레이터를 그린 상태 및 홀컵 위치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골프 인구 증가에 따른 시장 확대로 인해, 골프 시뮬레이터의 보급이 증가되고 골프 시뮬레이션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골프 시뮬레이터는, 실내에서 골프 코스의 형상 및 환경을 화면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실감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속도, 방향, 회전 등의 정보를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골프공의 예상 궤적을 계산하며, 골프공의 이동 위치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다양한 방식의 스크린 골프 장치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골프 시뮬레이터에서는, 홀컵이 위치한 그린 또는 그린 주변에서의 퍼팅의 실감도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기존의 골프 시뮬레이터에서는 화면에 표시되는 그린의 상태 및 홀컵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허공의 홀컵을 상상하여 퍼팅 방향 및 속도를 결정하고 일률적으로 제공되는 평면 상에서 퍼팅을 수행할 수 있을 뿐이었다. 이러한 기존의 골프 시뮬레이터에서는, 실제로 사용자가 홀컵을 향해 퍼팅을 실행하는 실감도를 제공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골프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사용자의 퍼팅 실감도를 증강시키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실제 그린 상태를 모사하는 퍼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제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홀컵의 다양한 위치를 모사하는 퍼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제 그린의 지형을 모사하는 퍼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제 그린의 속도를 모사하는 퍼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골프공의 위치 및 그린 상태를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재조정하여 사용자의 이동 없이 다양한 퍼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른 퍼팅 매트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퍼팅 매트(500)는, 시작점(520) 및 목표점(530)을 구비하는 그린 지면부(510); 상기 그린 지면부(510)에 형성된 목표점(530)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200); 및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퍼팅 매트에 의해서, 상기 시작점(520)으로부터 상기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이동된 목표점(530)을 향하도록 타격된 골프공이,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 의해서 높낮이가 조절된 그린 지면부(510) 상에서 이동하는 3 차원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른 퍼팅 매트를 제어하는 방법은, 그린 지면부(510) 상의 시작점(520)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시작점(520)을 기준으로 상기 그린 지면부(510) 상의 목표점(530)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퍼팅 매트에 의해서, 이동된 상기 목표점(530)을 향하도록 상기 시작점(520)으로부터 타격된 골프공이, 높낮이가 조절된 상기 그린 지면부(510) 상에서 이동하는 3 차원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200)는 상기 목표점(530)을 상기 퍼팅 매트(5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200)는, 상기 시작점(520)과 상기 목표점(530) 사이의 현재 거리와 목적 거리를 비교하여 계산된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점(5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200)는 상기 그린 지면부(510)에 접하는 회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골프 시뮬레이션 상에서 골프공의 현재 위치와 홀컵까지의 거리가, 상기 시작점(520)과 상기 목표점(530) 사이의 최대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이동 장치(200)는 상기 그린 지면부(510) 상의 상기 시작점(520)과 상기 목표점(530) 사이의 거리가, 상기 골프 시뮬레이션 상에서 골프공의 현재 위치와 홀컵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그린 지면부(5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는 실제 그린 지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는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표면 영역의 복수개의 지점의 각각에 대응하는 실제 그린 영역의 높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는 복수개의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승강 장치의 개수는,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표면 영역의 복수개의 지점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제 1 퍼팅 시도를 위해서, 상기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가 이동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제 1 퍼팅 시도 후, 골프 시뮬레이션 상에서 업데이트된 골프공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제 2 퍼팅 시도를 위해서, 상기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가 이동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재질 선택 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재질 선택 장치(400)는, 실제 그린 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재질을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재질 선택 장치(400)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재질의 그린 지면부(510) 중에서 상기 실제 그린 속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의 미리 설정된 재질의 그린 지면부(510)를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제 1 퍼팅 시도를 위해서, 상기 재질 선택 장치(4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재질이 선택되고, 상기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가 이동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가 조절된 후, 상기 제 1 퍼팅 시도 후, 골프 시뮬레이션 상에서 업데이트된 골프공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제 2 퍼팅 시도를 위해서, 상기 재질 선택 장치(4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재질이 선택되고, 상기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가 이동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520)은, 상기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고정된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520)은 퍼팅이 유도되는 특정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520)은 골프 시뮬레이션 상에서 골프공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목표점(530)은 홀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타격된 골프공이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표면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골프공이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표면 영역을 벗어나기 직전의 상기 골프공의 진행 방향, 진행 속도, 회전 방향, 또는 회전량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골프공의 움직임이 계산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실제 그린 상태를 모사하는 퍼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실제 그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홀컵의 다양한 위치를 모사하는 퍼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실제 그린의 지형을 모사하는 퍼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실제 그린의 속도를 모사하는 퍼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골프공의 위치 및 그린 상태를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재조정하여 사용자의 이동 없이 다양한 퍼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퍼팅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퍼팅 시뮬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 지형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실제 그린 영역을 퍼팅 매트에 대응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의 시작점을 결정하는 예시적인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지형(terrain): 지면의 2 차원적인 평면상의 형상, 및 지면의 높낮이 차이로 인해 형성되는 경사를 포함하는 지면의 3 차원적인 형상.
- 그린 지형: 골프 코스 중에서 홀컵이 위치하는 그린 또는 그린 주변의 지형.
- 그린 속도: 그린 또는 그린 주변의 지면 또는 지면 상의 잔디의 습도, 밀도, 질감, 길이, 자란 방향 등에 의해 골프공의 진행방향에 대한 저항력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저항력의 크기에 반비례하는 지면의 특성. 즉, 그린 저항력이 높을수록 느린 그린이고, 그린 저항력이 낮을수록 빠른 그린이라고 할 수 있음.
- 그린 상태(state): 그린 지형 및 그린 속도를 종합한 그린의 특성. 그린 라이(lie)라고 표현할 수도 있음.
- 시작점: 퍼팅 매트 상에서 사용자가 타격(stroke)할 골프공이 놓여진 위치.
- 목표점: 퍼팅 매트 상에서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여 골프공이 도달할 것으로 가정하는 위치.
- 퍼팅 매트: 시작점, 목표점, 및 시작점과 목표점 사이의 그린 상태를 구현하는 매트.
전술한 용어들의 정의에 있어서 본 개시의 범위는 골프 시뮬레이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면의 상태(즉, 지형 및 속도)를 시뮬레이션하는 다양한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본 개시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는, 골프 코스 중에서 특히 그린 상태 및 홀컵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퍼팅 실감도를 증강시키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골프 게임,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스크린 골프 등의 다양한 골프 시뮬레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골프 코스 상에서 그린 상태를 실제로 (또는 가상(virtual)의 반대 의미로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의 퍼팅 수행 위치에서 홀컵까지의 거리를 실제로 (또는 가상(virtual)의 반대 의미로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가 퍼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서는 시작점과 목표점의 방향각 및 거리를 사용자가 실제로 체감하도록 퍼팅 매트를 제어하고, 3 차원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시작점과 목표점 사이의 그린 지형(예를 들어, 높낮이)을 사용자가 실제로 체감하도록 퍼팅 매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에 따라, 실제 골프 코스의 그린에서 퍼팅을 수행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환경을 모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실감도를 크게 증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그린 지형은 맵(map)의 형태로 모델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구축을 위해 사용되는 3 차원 좌표로 나타낸 자료를 통칭하며, 주로 지형을 표현하는 수치지형모델(Digital Terrain Model, DTM), 수치지표모델(Digital Surface Model, DS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치지형모델(DTM)은 지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분포된 지점의 높이 값을 수치로 기록한 것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한 것이고, 수치지표모델(DSM) 지표면의 자연적, 인공적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값을 수치로 기록한 것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한 것이다. 이러한 수치표고모델은 각종 토목 공사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임의의 위치에서 가시 지역 분석을 통한 전파의 중계를 위한 송신탑의 건설이나 레이더 시설물의 적정 위치 선정을 위한 적지 분석에도 사용될 수 있다.
실제 골프 코스의 모습을 3 차원의 가상공간으로 구현하는 기술에 있어서, 골프 코스를 렌더링하기 위해 실제 골프 코스의 구성 요소들을 추출해서 동일하게 모델링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공간에 구현되는 골프장의 구성은 항공사진, DEM, DTM, DSM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할 수 있다. 골프 코스를 모델링하는 것은 지형 모델 위에 벙커, 그린, 해저드, 페어웨이, 수목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DEM 데이터를 이용하여 높이맵을 생성하고 컬러 항공 사진을 이용하여 구성 요소들을 추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시작점과 목표점의 위치 및 이들간의 거리는 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시작점이 고정된 상태에서 목표점인 홀컵을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기가 어려워 실재하지 않는 홀컵을 가상으로 설정하고 퍼팅을 하는 기존의 퍼팅 연습 장치와 달리, 본 개시에 따르면 골프 시뮬레이터에서 공이 위치한 지점(즉, 시작점)으로부터 가상의 홀컵 위치(즉, 목표점)까지의 거리를 실제로 구현하는 퍼팅 매트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르면, 시작점과 목표점의 위치 및 방향각에 따라서 동적으로 퍼팅 매트 상에 구현된 홀컵이 이동할 수 있고, 퍼팅 매트의 시작점과 목표점 사이의 실제 그린 상태(예를 들어, 높낮이 및 속도)를 모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서는, 사용자가 퍼팅을 수행하는 위치(즉, 시작점)가 특정되면, 이에 따라 퍼팅 매트 상의 목표점의 위치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사용자가 제 1 퍼팅을 시도한 후에 골프공이 목표점에 안착하지 못한 경우(즉, 목표점이 미치지 못하거나 목표점을 지나친 경우), 제 1 퍼팅 시도 후 골프공이 멈춘 지점을 제 2 퍼팅의 시작점으로 자동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상대적인 목표점(즉, 홀컵 위치)의 변동에 따른 목표점까지의 거리, 방향각, 시작점과 목표점 사이의 그린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그린 상태를 구현 또는 모사함에 있어서, 적어도 그린 지형(예를 들어, 높낮이) 정보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의 각각의 지점의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그린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의 재질 등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그린 지형 정보 및 그린 속도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특정 재질의 퍼팅 매트를 기준으로 수정된 높낮이 값을 산출하여 그린 상태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퍼팅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의 시스템은 특히 지면의 상태 등을 모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퍼팅 시뮬레이터로 지칭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목적으로 지면의 상태 등을 모사하는 시뮬레이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퍼팅 시뮬레이터는 제어부(100), 퍼팅 매트 이동 장치(200), 높낮이 조절 장치(300), 재질 선택 장치(400) 및 퍼팅 매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현재 골프공의 위치, 홀컵의 위치, 거리, 그린 상태 정보(즉, 그린 지형(예를 들어, 높낮이) 및/또는 그린 속도 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의 재질, 퍼팅 매트에 구비된 홀컵의 위치, 퍼팅 매트의 각각의 지점의 높낮이 등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 또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퍼팅 매트 이동 장치(200)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정보(예를 들어, 퍼팅 매트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높낮이 조절 장치(300)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정보(예를 들어, 퍼팅 매트의 각각의 지점의 높낮이 정보)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지점의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다.
재질 선택 장치(400)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미리 정해진 재질의 퍼팅 매트들 중에서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의 재질을 자동적으로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특정 재질의 퍼팅 매트를 선택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퍼팅 매트(500)는 목표점(또는 홀컵)을 구비하고, 퍼팅 매트 상의 사용자의 타격 위치(즉, 시작점)를 기준으로 퍼팅 매트 상의 홀컵(즉, 목표점)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가깝거나 멀게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퍼팅 매트(500)의 평면상의 면적 내의 다수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낮이 변경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개시의 퍼팅 시뮬레이터는, 사용자에게 영상, 동영상, 음성, 소리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방향, 속도, 회전 등을 감지하는 센서, 골프공의 이동을 예측하는 궤적 계산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위치 결정부(110), 이동 계산부(120), 그린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30), 그린 상태 계산부(140), 제어 정보 생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110)는 골프 시뮬레이터 상에서 최초로 배치된 골프공의 위치, 또는 이전의 타격의 결과로 그린 또는 그린 주변에 멈춰선 것으로 시뮬레이션된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전 타격은 이전의 퍼팅 시도일 수도 있고, 임의의 골프 코스 위치(예를 들어, 티,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에서 사용자의 임의의 방식의 타격(예를 들어, 드라이버 샷, 우드 샷, 아이언 샷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110)는 홀컵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결정부(110)는 현재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홀컵의 위치까지의 상대적인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동 계산부(120)에서는 위치 결정부(110)에 의해서 계산된 현재 골프공의 위치와 홀컵의 위치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 상의 임의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퍼팅 매트 상의 목표점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계산부(120)에서는 사용자가 퍼팅을 시도하기 위해 골프공을 배치하거나 골프 시뮬레이터가 사용자로 하여금 골프공을 배치하도록 유도하는 위치를 시작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계산부(120)에서는 결정된 시작점을 기준으로, 위치 결정부(110)에서 계산된 골프공의 현재 위치와 홀컵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목표점이 가까워지는지 또는 멀어지는지(즉, 이동 방향)를 계산하고, 목표점을 얼마나 이동시켜야 하는지(즉,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린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30)는, 그린 지형에 대한 정보 또는 그린 속도에 대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린 지형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그린 형상, 높낮이 등에 대한 3 차원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린의 2 차원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정보는 항공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린의 3 차원적인 높낮이를 나타내는 정보는DEM, DTM, DSM 등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린 속도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습도, 질감, 지표면의 다짐 정도, 잔디의 밀도, 잔디의 길이, 잔디의 자란 방향 등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지면의 저항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지면의 저항력에 반비례하여 결정되는 그린의 빠르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린 빠르기를 나타내는 수치 정보로서 스팀프미터(stimpmeter)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팀프미터의 값이 높을수록 빠른 그린을 나타내고, 스팀프미터의 값이 낮을수록 느린 그린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그린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포함되는 그린 상태 정보는, 실제 골프장 또는 골프 코스의 그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및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골프장 또는 골프 코스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골프장 또는 골프 코스의 그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그린 상태가 계산되어,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 상에서 실제 그린 상태를 모사할 수 있다.
그린 상태 계산부(140)는 그린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획득 또는 추출된 정보를 이용 또는 가공하여, 그린 상태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린 상태 계산부(140)는 그린 또는 그린 주변의 특정 영역에서의 지형(예를 들어, 지면의 형상 및 높낮이 등) 및/또는 속도(예를 들어, 지면의 저항력 등)를 수치화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생성부(150)는 퍼팅 매트 이동 장치(200), 높낮이 조절 장치(300), 재질 선택 장치(400) 중의 하나 이상에게 전달될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 생성부(150)는, 이동 계산부(120)에서 제공되는 퍼팅 매트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 이동 장치(200)에서 처리가능한 형태의 정보로 가공 및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생성부(150)는, 그린 상태 계산부(140)에서 제공되는 그린 지형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퍼팅 매트 상의 시작점 및 목표점을 포함하는 그린의 특정 영역에서의 각각의 지점에서의 높낮이 값 등)에 기초하여,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서 처리가능한 형태의 정보로 가공 및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생성부(150)는, 그린 상태 계산부(140)에서 제공되는 그린 속도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퍼팅 매트 상의 시작점 및 목표점을 포함하는 그린의 특정 영역에서의 지면의 저항력 등)에 기초하여, 재질 선택 장치(400)에서 처리가능한 형태의 정보로 가공 및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퍼팅 매트(500)는, 시작점(520)으로부터 상기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이동된 목표점(530)을 향하도록 사용자에 의해서 타격된 골프공이,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 의해서 높낮이가 조절된 그린 지면부(510) 상에서 이동하는 3 차원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퍼팅 시뮬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퍼팅 시뮬레이터는 골프공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공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골프 시뮬레이션 상에서 골프공이 이전의 타격으로 인해 이동하여 특정 영역 내에 멈춰서거나, 특정 영역 내에 최초로 배치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골프 시뮬레이션의 과정 중에 골프공이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최초로 퍼팅 단계에서부터 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임의로 배치한 최초의 위치가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골프공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골프공이 최초로 또는 이동하여 배치된 위치가 골프 코스에서 어디인지, 특히 그린 또는 그린 주변에서 골프 공이 지리적으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영역은 골프 시뮬레이션 과정 중의 골프공의 위치(즉, 가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영역은,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 상에서의 퍼팅 시도 이후 골프공이 멈춰선 위치가 퍼팅 매트 내인 경우에는, 해당 퍼팅 매트 상의 골프공의 실제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영역은, 본 개시의 퍼팅 시뮬레이터에 의해서 퍼팅 매트 상에서의 사용자의 퍼팅을 유도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영역 이내에 골프공이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 상에서의 퍼팅을 유도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영역 밖에 골프공이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 상에서의 퍼팅을 유도하지 않고, 종래의 골프 시뮬레이션 방식에 따라서 그린 이외의 위치에서의 어프로치샷, 티샷 등을 유도하거나, 또는 종래의 골프 시뮬레이션 방식에 따라서 가상의 홀컵을 가정한 퍼팅을 유도할 수도 있다.
골프공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서, 골프공이 멈춰선 위치를 카메라, 레이저 등의 방식을 이용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센서는 퍼팅 매트가 설치된 실내의 벽면, 천장, 바닥면 중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결과 데이터는 위치 결정부(110)에 전달되어, 위치 결정부(110)에 의해서 골프공의 현재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골프공의 현재 위치는, 퍼팅 매트 상에서 사용자가 퍼팅을 시도하는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퍼팅 매트 상에서의 시작점은, 사용자가 임의로 배치한 공의 위치를 시작점으로 인식하고, 이와 같이 인식된 위치가 퍼팅 시뮬레이션 상에서의 골프공의 현재 위치에 일치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목표점까지의 거리 등을 계산할 수 있다.
또는, 퍼팅 매트 상에서의 시작점은, 사용자의 이전 퍼팅의 결과로 골프공이 퍼팅 매트(즉, 그린 지면부) 상에서 멈춰선 위치를 시작점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사용자가 연속하여 퍼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연속된 퍼팅 중에 골프공이 퍼팅 매트(즉, 그린 지면부)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연속된 퍼팅 중의 최초 퍼팅에서 이동된 목표점의 위치 및 그린 높낮이를 재조정함이 없이, 사용자가 계속하여 퍼팅을 시도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또는, 퍼팅 매트 상에서의 시작점은, 퍼팅 시뮬레이터에 의해서 유도되는 또는 안내되는 특정 고정된 위치로 주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퍼팅 매트 상의 특정 위치에 사용자가 골프공을 배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공을 배치할 때마다 목표점까지의 거리를 새롭게 계산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의 개입 없이 퍼팅 시뮬레이터가 자동으로 특정 위치에 골프공을 배치시킬 수도 있다.
단계 S220에서는 단계 S210에서 결정된 골프공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홀컵까지의 거리 및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골프공의 현재 위치에서 홀컵까지의 거리 및 방향은, 이동 계산부(120)에서 퍼팅 매트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골프공의 현재 위치가 결정되면,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홀컵까지의 거리 및 홀컵이 어떤 방향에 위치하는지도 계산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는 단계 S220에서 홀컵 거리 및 방향이 결정되면, 골프공의 현재 위치를 퍼팅 매트 상의 시작점에 대응시켜서, 홀컵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 상의 목표점이 위치하도록 퍼팅 매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단계 S240에서는 단계 S230에서 골프공의 현재 위치와 홀컵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 상에서의 시작점과 목표점의 위치를 확정하게 되면, 골프공의 현재 위치에서 홀컵을 향한 방향에 따라서 그린 지형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골프공의 위치에 대응하는 퍼팅 매트 상에서의 시작점으로부터 홀컵 위치에 대응하는 퍼팅 매트 상에서의 목표점까지의 각각의 지점의 높낮이 등이 결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퍼팅 매트의 각각의 지점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단계 S230 이전에(즉, 퍼팅 매트를 이동시키기 이전에), 또는 단계 S230 내지 S240의 전후에 그린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의 재질이 선택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골프공의 위치와 홀컵까지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서 그린의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공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서쪽에 홀컵이 위치한 경우에는 골프 그린의 잔디의 결(즉, 자란 방향)이 순방향이라서 빠른 그린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1차 퍼팅 시도에서 골프공이 홀컵을 지나친 경우에, 골프공이 멈춰선 위치를 기준으로 동쪽에 홀컵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전과 달리 골프 그린의 잔디의 결이 역방향이라서 느린 그린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그린 영역 내라고 하더라도, 골프공의 현재 위치와 홀컵까지의 방향각에 따라서 그린의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되는 그린 속도를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도록 퍼팅 매트의 재질을 달리할 수 있다. 즉, 퍼팅 매트 상에서 잔디의 형상을 구현한 카펫 구조(즉, 수많은 털 형상의 구조물이 기립한 구조)에서 잔디 형상의 길이, 자란 방향, 소재, 습도, 밀도 등을 달리함으로써 그린 속도를 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잔디 형상의 길이, 밀도 등을 통칭하여 퍼팅 매트의 재질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퍼팅 매트의 재질을 선택하는 것은, 복수의 미리 설정된 재질의 퍼팅 매트 (또는 그린 지면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재질의 퍼팅 매트(또는 그린 지면부)를 미리 구비하여 두고, 현재 사용자에게 시뮬레이션되는 상황에 맞는 그린 속도에 대응하는 퍼팅 매트(또는 그린 지면부)의 재질이 무엇인지 결정하여, 결정된 재질의 퍼팅 매트(또는 그린 지면부)에서 사용자가 퍼팅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재질의 퍼팅 매트(또는 그린 지면부)를 구비하여 두고,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퍼팅 매트(또는 그린 지면부)의 재질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재질의 퍼팅 매트(또는 그린 지면부)에서 사용자의 퍼팅을 유도하고, 그린 속도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그린 속도를 고려한 퍼팅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린 속도에 따른 저항력의 수치(예를 들어, 퍼센트 보정값)를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줄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는 과정이 종료되면 퍼팅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퍼팅 매트(500) 상의 골프공을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그 결과를 시뮬레이션에 반영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퍼팅 매트(500)는 길이(d) 및 폭(w)에 의해서 구획되는 평면 상에서 사용자가 퍼팅을 수행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직사각형 모양의 퍼팅 매트(500)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개시의 일례에 해당할 뿐이며, 퍼팅 매트(500)의 모양 및 크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팅 매트(500)는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개시에 따른 실제 그린 영역을 퍼팅 매트(500)에서 모사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원리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퍼팅 매트(500)의 길이(d) 및 폭(w)은 퍼팅 매트의 물리적 크기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퍼팅 매트의 길이(d) 및 폭(w)은, 사용자의 퍼팅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목표점(530)의 홀컵으로 떨어지지 않고 홀컵을 지나치거나 홀컵의 옆으로 진행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실제 그린의 경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충분히 큰 값으로 결정할 수 있지만, 퍼팅 매트(500)가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퍼팅 매트(500)의 길이(d) 값은 실제 그린 면적이 대략 600 내지 800m2 인 것을 고려하여, 약 20m의 값을 가질 수 있지만, 퍼팅 매트(500)가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서 이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도 있다.
퍼팅 매트(500)에서 p1은 사용자가 퍼팅을 수행할 때에 발을 디딜 공간, 골프공을 배치할 공간, 퍼팅 매트(500)가 설치될 주변 공간 등을 고려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1은 약 30cm 정도로 주어질 수 있다.
퍼팅 매트(500)에서 p2는 사용자의 퍼팅에 의해 굴러간 골프공이 홀컵에 떨어지지 않고 지나칠 경우에 골프공이 진행할 수 있도록 충분할 거리를 줄 수 있다. 퍼팅 매트(500)가 설치될 공간의 제약을 고려하면, p2는 약 2m 정도로 주어질 수 있다.
퍼팅 매트(500)에서 p4는 일반적으로 w/2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발을 디디는 공간을 고려하여 p4의 크기를 w/2보다 크게 또는 작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p1 및 p4는 시작점(520)의 위치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퍼팅한 골프공이 홀컵에 떨어지지 않고 홀컵을 지나쳐서 진행하거나 홀컵 옆으로 진행하여 퍼팅 매트(500) 상에서 멈춰서는 경우, 골프공이 멈춰선 위치를 센서로 감지하여 다음 퍼팅을 위한 시작점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퍼팅한 골프공이 퍼팅 매트(500)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종래의 골프 시뮬레이터와 유사한 방식으로 골프공의 진행 방향 및 속도 등을 시뮬레이션하여 가상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퍼팅 매트(500)는 골프공이 굴러가는 그린 지면을 구현하는 그린 지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린 지면부(510)는 퍼팅 매트(500)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윗 부분에 해당한다. 즉, 그린 지면부(510)는 퍼팅 매트(500)의 고정된 일부분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고, 퍼팅 매트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그린 지면부(510)는 시작점(520) 및 목표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작점(520)은 사용자가 퍼팅을 수행하기 위해 골프공을 배치하는 위치에 해당하고, 목표점(530)은 홀컵의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그린 지면부(510)는 전체적으로 유연한 재질 또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그린 지면부(510)의 바깥 부분(즉, 사용자에게 체감되는 부분)은 잔디의 형상을 구현한 카펫 구조(즉, 다수의 털 형상의 미세 구조물들이 기립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퍼팅 매트(500)는 퍼팅 매트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팅 매트 이동 장치(200)는 회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회전 장치의 구동에 의해 그린 지면부(510)가 길이(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장치와 그린 지면부(510)의 하부면이 접할 수 있고, 회전 장치가 회전 할 때 그린 지면부와의 마찰력에 의해 그린 지면부가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시작점(520)은 그린 지면부(510) 상에 고정된 위치가 아니고, 그린 지면부(51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이에 따라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그린 지면부(51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사용자의 입장에서 또는 퍼팅 매트(500)의 외부에서 관찰되는 시작점(520)의 위치는 동일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서 시작점(520)의 위치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목표점(530)은 그린 지면부(51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장치가 시계 방향으로 구동하는 경우에 목표점(530)이 시작점(5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회전 장치가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하는 경우에 목표점(530)이 시작점(5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목표점(530)은 홀컵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골프공이 목표점에 도달하면 실제로 골프공이 홀컵으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퍼팅 매트(500)는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 의해서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낮이 조절 장치(300)는 복수의 승강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승강 장치가 높이(h) 방향으로 구동함에 따라서,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그린 지면부(510)의 일부분의 높낮이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장치가 상승하는 경우에 해당 위치의 그린 지면부(510)가 승강 장치의 압력에 의해 위로 밀려 올라갈 수 있다. 또는 승강 장치가 하강하는 경우에 해당 위치의 그린 지면부(510)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갈 수 있고, 또는 그린 지면부(510)와 승강 장치가 부착된 경우에는 승강 장치의 당기는 힘에 의해서 해당 위치의 그린 지면부(510)가 아래로 내려갈 수도 있다.
그린 지면부(510)가 유연한 재질 또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승강 장치가 위로 밀어 올리는 압력이 작용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주변부에는 자연스럽게 미세한 언덕 모양으로 그린의 경사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승강 장치가 하강하여 중력이 작용하는 부분 또는 승강 장치가 아래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주변부에는 자연스럽게 미세한 골짜기 모양으로 그린의 경사가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작점(520) 및 목표점(530)을 포함하는 주변 그린의 지형(예를 들어, 높낮이)이 모사되어 제공되므로, 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관찰하고 퍼팅 방향 및 퍼팅 속도 등을 결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목표점(530)에 홀컵이 구비된 경우, 승강 장치는 홀컵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가장 낮게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퍼팅 매트 이동 장치(200) (예를 들어, 회전 장치)의 구동에 의해서 목표점(530)이 이동하는 경우, 이동하는 경로의 승강 장치는 가장 낮게 하강하여 목표점(53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목표점(530)이 이동하여 지나간 위치의 승강 장치는 제어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지형 정보(예를 들어, 높낮이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그린 지면의 지형 또는 높낮이를 모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의 단계들은 도 2의 흐름도의 단계 S230의 세부 동작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어부(10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도 3의 p3(즉, 시작점과 목표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p3를 결정하기 위해서, p1, p2, 또는 p4 중의 하나 이상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p1 및/또는 p4는 사용자가 퍼팅을 수행할 때에 발을 디딜 공간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고, p2는 골프공이 굴러갈 여유 거리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퍼팅 매트(500)의 길이(d) 값은 물리적으로 주어진 값이므로, d에서 p1 및 p2를 차감하여 p3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3는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500) 상에서 퍼팅이 가능한 최대의 거리에 해당한다. 즉, 골프 시뮬레이터의 가상의 골프 코스 상에서 골프공의 위치와 홀컵까지의 거리가 p3 이내인 경우에는,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500) 상에서 사용자가 퍼팅을 시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 골프 시뮬레이터의 가상의 골프 코스 상에서 골프공의 위치와 홀컵까지의 거리가 p3 보다 긴 경우에는, 그린 지면부(510) 상에 목표점(530)이 위치하지 않도록 퍼팅 매트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퍼팅 매트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퍼팅 매트(500)의 길이(d)에서 p1을 차감한 나머지 길이 및 w의 폭 이내에서는 본 개시에 따라 그린 지형 및 그린 속도를 구현한 퍼팅 매트(500) 상에서 골프공이 굴러가는 동안의 골프공의 진행 방향, 진행 속도, 회전 방향, 회전량 등을 센서에 의해서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퍼팅한 골프공이 퍼팅 매트(500)를 벗어나는 경우, 퍼팅 매트(500)를 벗어나기 직전의 골프공의 진행 방향, 진행 속도, 회전 방향, 회전량 등을 감지하여 종래의 골프 시뮬레이터와 같이 가상의 공간에서 골프공이 굴러가는 방향 및 거리를 계산하여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S420에서는, 목적 p3 값과 현재 p3 값을 비교할 수 있다. 목적 p3 값은, 단계 S410에서 w, d, p1, p2, p4 에 기초한 p3의 계산 결과에 해당하고, 현재 p3 값은 현재 멈춰있는 퍼팅 매트(500) 상에서 시작점과 홀컵 사이의 거리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목적 p3 값은, 골프 시뮬레이션 상에서 골프공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컵까지의 거리에 해당하고, 현재 p3 값은 퍼팅 매트(500)에서 그린 지면부(510) 상에서의 시작점과 목표점 사이의 거리에 해당한다.
단계 S430에서 퍼팅 매트(500)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목적 p3와 현재 p3의 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퍼팅 매트(500)의 이동 거리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목적 p3와 현재 p3의 값이 다른 경우에는, 현재 p3의 값이 목적 p3의 값이 같아지도록, 현재 p3와 목적 p3의 차이만큼 퍼팅 매트(500)의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퍼팅 매트(500)의 이동 거리의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 이동 장치(200)에 포함되는 회전 장치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장치의 회전 속도가 일정한 것을 가정하여, 퍼팅 매트(500)의 이동 거리의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회전 장치가 회전하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현재 p3의 값이 목적 p3의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린 지면부(510)에 접해 있는 회전 장치를 도 3에서 보여지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현재 p3의 값이 목적 p3의 값보다 큰 경우에는 그린 지면부(510)에 접해 있는 회전 장치를 도 3에서 보여지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p1 및 p2의 값이 각각에 대해서 설정된 최소값보다 작아지지 않는 범위에서, p3의 값이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목적 p3의 값에 따라 그린 지면부(51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p2의 값이 최소값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그린 지면부(510)에 홀컵이 위치하지 않도록(즉, 사용자에게 홀컵이 보이지 않도록) 퍼팅 매트 이동 장치(200)의 회전 장치가 도 3에서 보여지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제어부(100)는 퍼팅 매트 이동 장치(200)에게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회전 장치가 회전하는 방향 및 각도에 기초하여 계산된, 회전 장치가 회전할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 지형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의 단계들은 도 2의 흐름도의 단계 S240의 세부 동작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어부(10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퍼팅 매트 이동 단계가 완료된 후, 그린의 3 차원 지형에 따라서 퍼팅 매트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그린 지형이 형성될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제어 정보 생성부(150)는 그린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의 정보를 이용 또는 가공하여 그린 상태 계산부(140)에 의해서 계산된 그린 상태 데이터 중에서 그린 또는 그린 주변의 특정 영역에서의 지형 데이터(예를 들어, 지면의 형상 및 높낮이 등에 대한 수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그린 지점 별 높이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먼저, 퍼팅 매트의 이동이 완료된 후의 dw 의 면적에 해당하는 그린 지면부(510)의 표면 영역을 실제 그린 영역에 대응시킬 수 있다. 실제 그린 영역의 각각의 지점에 해당하는 높이 값을 계산하기 위해서, dw 의 면적 내의 N 개의 지점의 각각에 대해서, 실제 그린 지형 데이터로부터 보간(interpolation) 등의 근사화 기법에 따라서 높이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N 개의 지점은 높낮이 조절 장치(300)를 구성하는 승강 장치의 개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실제 그린 영역의 지형 데이터의 좌표축과, 높낮이 조절 장치(300)의 물리적인 좌표축이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지형 데이터로부터 높이 값을 계산할 때에 좌표축에 대한 회전 및 평행이동 등의 변환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S530에서는 단계 S520에서 계산된 그린 지점별 높이값에 기초하여, 그린 지점의 각각에 대응하는 승강 장치 각각의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지점의 계산된 높이값이 해당 승강 장치의 현재 높이에 비하여 더 높은 경우에는 그 차이만큼 승강 장치가 위쪽으로 상승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만약 각각의 지점의 계산된 높이값이 해당 승강 장치의 현재 높이에 비하여 더 낮은 경우에는 그 차이만큼 승강 장치가 아래쪽으로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제어부(100)는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게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복수의 승강 장치 각각이 이동할 방향 및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승강 장치의 각각에 대해서 동력을 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실제 그린 영역을 퍼팅 매트에 대응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예시에서와 같이, 퍼팅 매트와 실제 그린 영역의 지형 데이터를 기하학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H는 실제 그린 영역의 홀컵의 위치에 해당하고, A, B, C로 표시된 위치는 실제 그린 영역에서 시뮬레이션된 골프공의 위치에 해당한다.
도 6의 (a)에서와 같이 골프공이 A 지점에 위치한 경우, 1차 퍼팅을 위한 지형 형성 범위는 도 6(a)의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에 해당한다. 도 6(a)의 예시에서 A와 H 사이의 거리는 목적 p3 값에 해당한다. 여기서, 목적 p3 값이 p3에 대한 최대값 이하이고, H와 점선 영역의 경계까지의 거리가 p2의 최소값 이상인 경우에,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500) 상에서 그린 상태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퍼팅을 시도할 수 있다. 만약 목적 p3 값이 p3의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목적 p3 값의 일부는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500) 상에서 구현되고, 목적 p3 값의 나머지 일부는 퍼팅 매트(500)를 벗어나기 직전의 골프공의 진행 방향, 진행 속도, 회전 방향, 회전량 등을 감지하여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차 퍼팅을 위한 실제 그린 영역을 퍼팅 매트(500)에 구현하기 위해서, p1_1, p2_1 및 p3_1의 값이 결정 또는 계산되고, 이에 따라 퍼팅 매트(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1차 퍼팅을 위해서 퍼팅 매트(500)가 이동한 후에, 실제 그린 영역에 대응하는 각각의 지점에서의 지형 데이터에 기반하여 퍼팅 매트(50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의 (a)에서의 퍼팅 매트(500)의 이동 및 높낮이 조절의 단계 이전에 또는 이와 병행하여, 퍼팅 매트(500)의 재질이 변경 또는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질 선택 장치(400)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미리 정해진 재질의 퍼팅 매트들 중에서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의 재질을 자동적으로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특정 재질의 퍼팅 매트를 선택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실제 그린 영역에서의 그린 속도는 골프공과 홀컵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매 퍼팅 시도마다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그린 속도를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도록 퍼팅 매트(500)의 재질을 선택할 수 있다. 퍼팅 매트(500)의 재질은 퍼팅 매트(500)를 구성하는 잔디 형상 구조물의 길이, 자란 방향, 소재, 습도, 밀도 등을 달리함으로써 그린 속도를 재현할 수도 있다. 또는, 퍼팅 매트의 재질을 물리적으로 달리하는 대신에, 하나의 재질의 퍼팅 매트에서 사용자의 퍼팅을 유도하고, 그린 속도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그린 속도를 고려한 퍼팅을 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도 6(a)의 예시에서 사용자가 1차 퍼팅을 시도하여 골프공이 도 6(b)의 B 지점으로 이동한 것으로 가정한다. 즉, 퍼팅 매트(500) 상의 시작점(즉, A 지점에 대응하는 퍼팅 매트(500) 상의 위치)에서 1차 퍼팅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목표점(즉, 도 6(a)의 홀컵에 대응하는 퍼팅 매트(500) 상의 위치)의 오른쪽으로 굴러가서 B 지점에서 멈춰선 경우를 가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B 지점에서 2차 퍼팅을 시도할 수 있다.
도 6(b)의 예시에서 B와 H 사이의 거리는 새로운 목적 p3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p1_2의 값을 p1_1과 같은 값으로 유지하면, p3_2의 값은 p3_1의 값보다 작으므로, p2_2의 값은 p2_1의 값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도 6(a)의 예시와 유사하게 도 6(b)의 예시에서도 실제 그린 영역 중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영역을 퍼팅 매트 영역에 기하학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실제 그린 영역의 그린 상태(즉, 그린 지형 및 그린 속도 등)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의 재질이 선택되고, 퍼팅 매트가 이동하여 퍼팅 매트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2차 퍼팅을 시도할 수 있다.
도 6(b)의 예시에서 사용자가 2차 퍼팅을 시도하여 골프공이 도 6(c)의 C 지점으로 이동한 것으로 가정한다. 즉, 퍼팅 매트(500) 상의 시작점(즉, B 지점에 대응하는 퍼팅 매트(500) 상의 위치)에서 2차 퍼팅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목표점(즉, 도 6(b)의 홀컵에 대응하는 퍼팅 매트(500) 상의 위치)을 오른쪽으로 지나쳐서 굴러가서 C 지점에서 멈춰선 경우를 가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C 지점에서 3차 퍼팅을 시도할 수 있다.
도 6(c)의 예시에서 C와 H 사이의 거리는 새로운 목적 p3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p1_3의 값을 p1_2와 같은 값으로 유지하면, p3_3의 값은 p3_2의 값보다 크므로, p2_3의 값은 p2_2의 값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의 예시와 유사하게 도 6(c)의 예시에서도 실제 그린 영역 중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영역을 퍼팅 매트 영역에 기하학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실제 그린 영역의 그린 상태(즉, 그린 지형 및 그린 속도 등)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의 재질이 선택되고, 퍼팅 매트가 이동하여 퍼팅 매트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3차 퍼팅을 시도할 수 있다.
도 6(a), 6(b) 및 6(c)에서 도시하는 점선 영역은 실제 퍼팅 매트(500)의 그린 지면부(510)에 대응하는 영역이므로, 도 6(a), 6(b) 및 6(c)에서 모두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실제 그린을 기준으로 도시하여 A, B, C 지점으로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퍼팅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본 발명에서 시작점(520)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어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며, 홀컵을 포함한 그린의 나머지 영역이 가상적으로 회전 및 이동하여 A, B, C 지점에서 H를 바라보는 방향은 도 3의 시작점(520)에서 목표점(53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동일하게 대응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의 시작점을 결정하는 예시적인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퍼팅을 시도하기 전에 퍼팅 매트(500)가 이동함에 따라서 목표점(530)이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작점에서 퍼팅을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퍼팅 매트(500)의 이동 과정 중에 시작점(520)의 위치는 퍼팅 매트(500) 외부에서 관찰되기에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시작점(520)의 위치가 달라지면 그에 따라 현재 p3 값이 달라지므로 목적 p3 값에 따라서 그린 지면부(510)가 다시 이동해야 하고, 달라진 시작점(520)을 기준으로 목표점(530)까지의 그린 상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높낮이 조절 및 재질 선택이 다시 수행되어야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퍼팅 매트(500)의 이동과 무관하게 시작점(5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퍼팅 매트(500) 또는 그린 지면부(510)와 독립적으로 시작점(520)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팅 매트(500)의 외부에서 독립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골프공이 놓여질 위치(즉, 시작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과 같은 평면도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그린 지면부(510)와 동일한 재질을 가지고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는 보조 매트(600)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보조 매트(600)에는 3 방향에서 화살표를 표시하여 3 개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는 위치를 시작점(52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보조 매트(600)에 의해서 지시되는 위치에 사용자가 직접 골프공을 배치할 수도 있고, 또는 보조 매트(600)에 설치된 암(610)에 의해서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골프공이 배치될 수도 있다. 보조 매트(600)의 상부에 설치된 암(610)의 일단은 축으로 고정되어 평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암(610)의 타단은 골프공을 잡고 놓을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암(610)의 길이는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신축될 수도 있다. 암(610)은 사용자가 퍼팅을 시도하기 전에 골프공을 잡아서 이동하여 시작점(520)으로 표시된 위치에 골프공을 내려 놓을 수 있다. 또한, 암(610)은 사용자가 퍼팅을 시도하는 동안에는 정지되어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는 공간으로 수납되거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50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하면, 골프공의 위치와 홀컵의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그린의 상태(예를 들어, 그린 지형 및 그린 속도)를, 물리적으로 크기 및 방향이 고정된 퍼팅 매트(500) 상에서 골프공을 배치하는 시작점을 변경하지 않고, 재질을 변경하거나, 목표점을 이동시키거나, 높낮이를 변경함으로써, 실제 그린의 상태를 모사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퍼팅을 시도하기 위해서 퍼팅 매트(500)에서 골프공을 배치하는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걸어서 이동할 필요 없이, 일관된 위치에서도 실제와 같이 하나 이상의 퍼팅 시도마다 달라진 그린 상태를 체감하고 이에 따라 퍼팅 방향 및 퍼팅 속도 등을 결정하고 퍼팅을 시도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5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사용자가 퍼팅을 하여 골프공이 굴러가서 멈춰선 후에 다음과 같이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동작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도 있고, 시스템 상에서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 1 동작 방식은, 퍼팅 매트의 재질, 목표점의 위치, 및 퍼팅 매트의 각각의 지점의 높낮이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사용자가 반복하여 퍼팅을 시도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퍼팅 시도에 따라서 홀컵에 골프공이 들어가거나 들어가지 않은 후, 다시 이전 퍼팅 시도와 동일한 그린 상태를 구현하여 사용자가 반복하여 연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초 퍼팅 시도 후, 퍼팅 매트의 재질의 선택, 퍼팅 매트의 이동, 퍼팅 매트의 높낮이 조절은 수행되지 않고, 오직 그린 지면부(510) 또는 홀컵에서 이전에 퍼팅 시도한 골프공이 제거되고 시작점(520)에 새로운 골프공이 놓여지는 동작만이 반복될 수 있다.
제 2 동작 방식은, 최초의 퍼팅 시도 후 골프공이 이동하여 멈춰선 위치를 기준으로 홀컵까지의 거리 및 그린 상태를 새롭게 계산하여, 퍼팅 매트의 재질, 목표점의 위치, 퍼팅 매트의 각각의 지점의 높낮이를 변경하여, 사용자가 다음 퍼팅을 시도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이 경우, 골프공이 퍼팅 매트 상에서 이동하여 멈춰선 위치로 사용자가 걸어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는 이전 퍼팅을 시도한 위치(즉, 시작점 주변)를 유지하고 있는 중에, 퍼팅 매트의 재질이 변경되고, 목표점이 이동하고, 높낮이가 변경되고, 그린 지면부(510) 또는 홀컵에서 이전에 퍼팅 시도한 골프공이 제거되고 시작점(520)에 새로운 골프공이 놓여지면, 사용자가 다음 퍼팅을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이전에 퍼팅 시도한 골프공을 퍼팅 매트에서 제거하는 일례로서, 퍼팅한 골프공이 정지하여 위치가 인식되는 단계와 다음 퍼팅을 위하여 지형이 재조정되는 단계 중간에 임시적으로 전체 그린 지면부(510)의 지형을 한쪽으로 경사지게 하여 골프공이 퍼팅 매트 바깥으로 굴러나가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골프공이 사용자 위치(또는 시작점) 쪽으로 굴러가도록 그린 지면부(510)가 경사지게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골프공이 특정 위치로 굴러가도록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퍼팅 매트의 길이(d) 방향으로 사용자 위치에서 먼쪽은 사용자 위치보다 높게 전체적으로 높낮이가 조절되고, 퍼팅 매트의 폭(w) 방향으로는 특정 위치가 가장 낮게 조절되고 특정 위치 이외의 나머지 위치는 특정 위치보다 높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팅 매트의 폭(w) 방향으로 "/" 형상으로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높낮이가 조절될 수도 있고, 또는 퍼팅 매트의 폭(w) 방향으로 "V" 형상으로 양단 사이의 특정 위치가 가장 낮고 양단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조절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정 위치는 보조 매트(600)의 골프공 수납 공간에 대응하도록 설정되거나 또는 암(610)의 골프공을 잡는 부분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퍼팅 매트(5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2인 이상이 순서를 교대하면서 퍼팅을 시도하는 동작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가 퍼팅 시도 후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가지 않은 경우 골프공의 위치를 센서를 통해 인식 및 저장(예를 들어, 메모리, 디스크 등의 저장 장치에 골프공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퍼팅 매트의 재질, 목표점의 거리, 퍼팅 매트의 높낮이 중의 하나 이상에 대한 재조정이 수행되고, 제 2 사용자가 퍼팅을 시도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의 퍼팅 시도 후 다시 제 1 사용자의 퍼팅을 지원하기 위해서 퍼팅 매트의 재질, 목표점의 거리, 퍼팅 매트의 높낮이 중의 하나 이상에 대한 재조정을 수행하면서, 최근에(또는 마지막으로) 저장된 제 1 사용자의 골프공의 위치를 읽어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결정부(110)는 이러한 제 1 사용자의 골프공의 최근 위치를 저장한 뒤, 제 2 사용자의 퍼팅을 유도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의 퍼팅을 준비하기 위해서 제 2 사용자를 위해서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골프공의 최근 위치를 읽어들일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의 재질, 목표점의 거리, 퍼팅 매트의 높낮이 중의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의 퍼팅 시도 후, 다시 제 1 사용자를 위해서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골프공의 최근 위치를 읽어들일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퍼팅 매트의 재질, 목표점의 거리, 퍼팅 매트의 높낮이 중의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2 인 이상의 경우에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골프공의 위치를 인식 및 저장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퍼팅 시도를 지원할 수 있다. 2 인 이상이 퍼팅을 시도하는 경우, 저장된 골프공의 위치를 읽어들이는 순서는 모든 사용자가 퍼팅을 성공할(즉, 골프공을 홀컵에 넣을) 때까지 교대로 각 사용자에 대한 골프공 위치 정보를 읽어들일 수도 있고, 홀컵에서 가장 멀리 골프공이 위치한 사용자에 대한 골프공 위치 정보를 읽어들일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그린 상태를 모사한 퍼팅 매트(500) 상에서 사용자가 퍼팅을 시도하는 경우, 그린 지면부(510) 상에서 골프공의 진행 방향, 진행 속도, 회전 방향, 회전량 등을 센서로 인식하여, 화면상의 가상의 그린 상에서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퍼팅을 시도하여 굴러가는 골프공이 그린 지면부(510)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그린 지면부(510)를 벗어나기 직전의 골프공의 진행 방향, 진행 속도, 회전 방향, 회전량 등을 센서로 인식하여, 이에 기초하여 골프공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하고, 이를 화면상의 가상의 그린 상에서의 골프공의 움직임으로 보여줄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된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100...제어부
110...위치 결정부
120...이동 계산부
130...그린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
140...그린 상태 계산부
150...제어 정보 생성부
200...퍼팅 매트 이동 장치
300...높낮이 조절 장치
400...재질 선택 장치
500...퍼팅 매트
510...그린 지면부
520...시작점
530...목표점
600...보조 매트
610...암

Claims (20)

  1. 퍼팅 매트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퍼팅 매트(500)는,
    시작점(520) 및 목표점(530)을 구비하는 그린 지면부(510);
    상기 그린 지면부(510)에 형성된 목표점(530)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200); 및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300)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 매트에 의해서, 상기 시작점(520)으로부터 상기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이동된 목표점(530)을 향하도록 타격된 골프공이,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 의해서 높낮이가 조절된 그린 지면부(510) 상에서 이동하는 3 차원 공간이 제공되는, 퍼팅 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200)는 상기 목표점(530)을 상기 퍼팅 매트(5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퍼팅 매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200)는, 상기 시작점(520)과 상기 목표점(530) 사이의 현재 거리와 목적 거리를 비교하여 계산된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점(530)을 이동시키는, 퍼팅 매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200)는 상기 그린 지면부(510)에 접하는 회전 장치를 포함하는, 퍼팅 매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골프 시뮬레이션 상에서 골프공의 현재 위치와 홀컵까지의 거리가, 상기 시작점(520)과 상기 목표점(530) 사이의 최대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이동 장치(200)는 상기 그린 지면부(510) 상의 상기 시작점(520)과 상기 목표점(530) 사이의 거리가, 상기 골프 시뮬레이션 상에서 골프공의 현재 위치와 홀컵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그린 지면부(510)를 이동시키는, 퍼팅 매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는 실제 그린 지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퍼팅 매트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는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표면 영역의 복수개의 지점의 각각에 대응하는 실제 그린 영역의 높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퍼팅 매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는 복수개의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승강 장치의 개수는,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표면 영역의 복수개의 지점의 개수에 대응하는, 퍼팅 매트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퍼팅 시도를 위해서, 상기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가 이동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제 1 퍼팅 시도 후, 골프 시뮬레이션 상에서 업데이트된 골프공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제 2 퍼팅 시도를 위해서, 상기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가 이동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퍼팅 매트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재질 선택 장치(400)를 더 포함하는, 퍼팅 매트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질 선택 장치(400)는, 실제 그린 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재질을 선택하는, 퍼팅 매트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질 선택 장치(400)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재질의 그린 지면부(510) 중에서 상기 실제 그린 속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의 미리 설정된 재질의 그린 지면부(510)를 선택하는, 퍼팅 매트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퍼팅 시도를 위해서, 상기 재질 선택 장치(4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재질이 선택되고, 상기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가 이동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가 조절된 후,
    상기 제 1 퍼팅 시도 후, 골프 시뮬레이션 상에서 업데이트된 골프공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제 2 퍼팅 시도를 위해서, 상기 재질 선택 장치(4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재질이 선택되고, 상기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가 이동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 장치(3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퍼팅 매트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520)은, 상기 이동 장치(200)에 의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고정된 위치로 유지되는, 퍼팅 매트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520)은 퍼팅이 유도되는 특정 위치로 설정되는, 퍼팅 매트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520)은 골프 시뮬레이션 상에서 골프공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결정되는, 퍼팅 매트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점(530)은 홀컵을 구비하는, 퍼팅 매트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 지면부(51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퍼팅 매트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된 골프공이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표면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골프공이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표면 영역을 벗어나기 직전의 상기 골프공의 진행 방향, 진행 속도, 회전 방향, 또는 회전량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골프공의 움직임이 계산되는, 퍼팅 매트 장치.
  20. 퍼팅 매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린 지면부(510) 상의 시작점(520)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시작점(520)을 기준으로 상기 그린 지면부(510) 상의 목표점(530)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그린 지면부(5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 매트에 의해서, 이동된 상기 목표점(530)을 향하도록 상기 시작점(520)으로부터 타격된 골프공이, 높낮이가 조절된 상기 그린 지면부(510) 상에서 이동하는 3 차원 공간이 제공되는, 퍼팅 매트 제어 방법.
KR1020170025716A 2017-02-27 2017-02-27 그린 상태 및 홀컵 위치 기반 그린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098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716A KR20180098924A (ko) 2017-02-27 2017-02-27 그린 상태 및 홀컵 위치 기반 그린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716A KR20180098924A (ko) 2017-02-27 2017-02-27 그린 상태 및 홀컵 위치 기반 그린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924A true KR20180098924A (ko) 2018-09-05

Family

ID=6359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716A KR20180098924A (ko) 2017-02-27 2017-02-27 그린 상태 및 홀컵 위치 기반 그린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89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4584A1 (en) 2022-08-22 2024-02-29 Nexgen Sports Group, Inc. Golf simulator system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4584A1 (en) 2022-08-22 2024-02-29 Nexgen Sports Group, Inc. Golf simulator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2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atically generating non-stereoscopic images for presentation and 3D viewing in a physical gaming and entertainment suite
JP5549030B2 (ja) 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パッティングシステム
KR101031475B1 (ko) 퍼팅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US9566516B2 (en) Game device, game control method, and game control program
KR101262362B1 (ko) 가상의 그린 제작을 지원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0850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 golf green and a predicted path of a putt on the golf green
US20080293464A1 (en) Electronic game utilizing photographs
KR101145444B1 (ko) 골프 연습 장치의 스윙플레이트
US20100311512A1 (en) Simulator with enhanced depth perception
KR100647498B1 (ko) 원거리 타격의 시뮬레이션과 퍼팅의 실제 연습이 가능한골프 연습 시설물
TWI422412B (zh) 虛擬高爾夫球模擬成像子顯示影像與重播模擬之裝置與方法
KR101194268B1 (ko) 실내 골프경기장 및 그 경기방법
KR20180098924A (ko) 그린 상태 및 홀컵 위치 기반 그린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30044653A (ko) 체감형 골프 시뮬레이션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471490B1 (ko)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상기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KR20060082350A (ko) 가상 골프 게임 시스템
KR100992420B1 (ko)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JP2015512680A (ja) スクリーン上のゴルフボールの落下地点を現実のグリーンに表示する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ゴルフ競技方法
KR101843107B1 (ko) 리얼 그린을 구비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1159676B1 (ko) 골프 연습용 매트장치
KR20150133962A (ko) 스크린이 설치된 실내 골프 연습 장치
KR10193772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87810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875782B1 (ko) 스크린 골프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CN205683543U (zh) 一种高尔夫球的虚拟现实训练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