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395B1 -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395B1
KR102394395B1 KR1020200115608A KR20200115608A KR102394395B1 KR 102394395 B1 KR102394395 B1 KR 102394395B1 KR 1020200115608 A KR1020200115608 A KR 1020200115608A KR 20200115608 A KR20200115608 A KR 20200115608A KR 102394395 B1 KR102394395 B1 KR 102394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ball
displaying
guide path
hol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3334A (ko
Inventor
이경용
송봉호
최진형
홍대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프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프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프존
Priority to KR1020200115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395B1/ko
Priority to PCT/KR2021/008368 priority patent/WO2022055098A1/ko
Priority to JP2023515729A priority patent/JP2023541880A/ja
Priority to CN202180053817.3A priority patent/CN116113477A/zh
Publication of KR2022003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395B1/ko
Priority to US18/179,705 priority patent/US2023020169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47Visualisation of executed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을 제시하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린 및 상기 그린 상의 홀컵과 제1볼에 관한 가상의 골프 코스 영상을 표시하는 시뮬레이션처리부, 및 상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 사이의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가이드처리부를 포함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OPOGRAPHIC INFORMATION OF GREE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의 골프 코스 상에서의 그린에 관한 지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크린 골프장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골프장 이용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장소, 시간 등의 제약이 없이 즐길 수 있는 스크린 골프장이 사용자의 생활권 내에 생기면서 누구나 쉽게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한편 골프 경기에서 그린에서 이루어지는 퍼팅은, 골프공의 위치에서 홀컵의 위치까지의 지형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사용자가 보다 정확한 방향과 힘으로 퍼팅할 수 있으므로 지형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실제 골프 코스에서 사용자가 샷을 하기 이전에, 골프공 또는 골프공 주변에서 지면과 눈높이를 일치시켜 지형을 관찰한다.
다만 스크린 골프에서 사용자가 그 눈높이를 실제로 일치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지형에 대해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현재 제안되고 있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는 지형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어 사용자가 공략법을 고민하기에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전략을 짤 수 있도록 하는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라운드의 재미를 증가시키고 게임의 몰입도를 높이는 기술이 필요하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1-0016043호에서는 실제 골프장에서 골프경기를 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실내 또는 좁은 공간에서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안하며 상기 시스템은 다양한 퍼팅라이를 구사함에 대해 기재하나, 선행기술을 통해서도 사용자는 여전히 지형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지형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볼의 이동 시 그 잔상을 표시해줄 수 있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는 그린 및 상기 그린 상의 홀컵과 제1볼에 관한 가상의 골프 코스 영상을 표시하는 시뮬레이션처리부, 및 상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 사이의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가이드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가, 그린의 지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린 및 상기 그린 상의 홀컵과 제1볼에 관한 가상의 골프 코스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 사이의 가이드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지형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볼의 이동 시 그 잔상을 표시해줄 수 있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전략을 고민하도록 유도하고 그에 따라 골프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가 구현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가 구현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100)은 사용자(U)가 골프공(G)을 타격할 수 있는 타석(10)과, 사용자(U), 골프공(G) 및 골프클럽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싱장치(20), 전면에 구비되는 스크린(30)으로 소정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40), 그리고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 등이 이루어지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며, 가상의 골프 코스에 관한 영상, 골프공의 이동 영상 등 모든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관련 영상을 처리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가 처리한 영상은 스크린(30)을 통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U)가 타석(10)에서 골프공(G)을 스크린(30)을 향하여 타격하면 센싱장치(20)가 이를 센싱하여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로 전달하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U), 골프공(G) 및 골프 클럽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가상의 골프 코스 상에서의 가상의 볼 이동 궤적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즉,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가 실제 골프공의 이동 특성을 고려하여 가상골프 코스 상에서의 볼 이동 영상 등의 골프 시뮬레이션 영상 정보를 구성하고, 이를 프로젝터 등으로 구현되는 영상출력장치(40)를 통해 스크린(30)으로 투사되도록 하면서 시뮬레이션을 통한 골프 경기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을 위한 복잡한 조작을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데, 예를 들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는 조작 명령을 획득함에 따라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을 위해 사용자를 로그인시키거나, 시뮬레이션 환경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는 예를 들어, 브레이크포인트의 표시 설정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라운딩을 시작할 때 또는 라운딩 중간에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장치(20)는, 타석(10)에서 골프공(G)이 놓이는 일정 영역으로서 골프 클럽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는 영역, 즉 타격 영역을 감시하면서 상기 타격 영역에서 골프공(G)이 골프 클럽에 의해 타격될 때의 이미지를 취득하고 그 이미지로부터 사용자(U)의 움직임, 골프공(G)의 움직임 및 골프 클럽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장치이다.
센싱장치(20)는 타격 영역을 촬영하는 비전센서(Vision Sensor)와 같은 이미징 장치(Imaging Device)로서 구비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1에서 센싱장치(20)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벽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센싱장치(20)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천장에 설치된 센서와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측면 벽에 설치된 센서로 구현되거나,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장치(20)가 2 개의 비전센서로 구현되면 상기 두 비전센서가 타격 영역에서 오버래핑하여 감시할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예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 이상의 비전센서가 설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며 비전 센서의 설치 위치도 천정이나 벽면뿐만 아니라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부스(Booth) 내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센싱장치(20)는 사용자, 골프공 및 골프클럽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골프공의 이동에 대한 운동 파라미터 등의 센싱 정보를 산출하여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로 전달하고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는 센싱 정보로부터 샷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100)에 적용됨을 상술하고 있으나 반드시 스크린 골프 시스템(100)에 한정하여 적용되지 않고, 가상의 골프 코스를 시뮬레이션하여 영상화하고 이에 가상의 볼이 움직이는 영상이 시뮬레이션되는 모든 형태의 시스템 내지는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는 제어부(210), 데이터저장부(220), 영상출력부(230) 및 영상처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데이터저장부(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데이터저장부(22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데이터저장부(2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반면 데이터저장부(220)에는 파일,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저장부(220)에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제어부(210)는 데이터저장부(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저장부(220)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의 영상 구현 등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며, 예를 들어 골프장을 영상화하여 구현한 가상 골프 코스에 관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저장부(220)는 가상의 골프 코스에서 그린의 지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그린에서의 홀컵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저장부(2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미도시)로부터 가상 골프 코스에 관한 여러 가지 데이터 등을 전송받아 일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저장부(220)는 센싱장치(20)로부터 골프공의 이동에 관한 운동 파라미터 등의 센싱 정보를 전송받아 일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영상출력부(230)는 영상처리부(240)에서 처리된 시뮬레이션 영상을, 영상출력장치(40)를 통해 스크린(30)에 투사하여 사용자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영상처리부(240)는 데이터저장부(220)에 저장된 가상 골프 코스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골프 코스에 관한 영상을 구현하도록 정보 처리를 수행하며,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G)에 대한 가상의 골프 코스에서의 볼 이동 궤적을 시뮬레이션하여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240)는 시뮬레이션처리부(241) 및 가이드처리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처리부(241)는 골프 코스의 환경을 영상화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가상의 골프 코스에서의 볼의 이동궤적을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이동궤적’은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가상의 골프 코스에서의 볼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이동궤적은 가상의 골프 코스에서 볼이 이동하는 모습으로 표시되거나, 가상의 골프 코스에서 볼이 이동한 흔적을 선으로 연결하여 표시되거나, 비거리 값을 나타내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또는 영상으로도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처리부(241)는 샷데이터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처리할 수 있으며, 샷데이터는 시뮬레이션처리부(241)가 센싱 정보로부터 산출할 수 있으며, 샷데이터로서 볼속도, 방향각, 발사각, 백스핀, 사이드스핀, 캐리, 비거리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처리부(241)는 환경데이터에 따른 골프 코스의 환경을 영상화하여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골프샷에 따른 이동궤적을 시뮬레이션할 때 환경데이터 및 샷데이터를 함께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때 환경데이터는 사용자가 골프샷을 수행한 가상의 골프 코스의 환경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가상의 골프 코스의 지형, 계절, 날씨, 온도, 습도, 풍속, 풍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처리부(241)는 가상의 골프 코스에서의 그린 및 그린 상의 홀컵에 관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고, 그린 상의 홀컵을 향해 사용자가 골프샷을 하면, 홀컵을 향해 볼이 이동하는 이동궤적을 영상화하여 영상출력부(230)를 통해 스크린(40)에 투사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처리부(242)는 그린의 지형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홀컵과 볼 사이의 가이드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그린마다 라이, 경사, 그린스피드 등의 지형 정보가 상이할 수 있고,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경로를 제공함으로써 그린의 지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경로’란 가상의 골프 코스에서, 볼이 타격되었을 때, 볼이 놓여진 위치에서부터 홀컵 사이의 지형 정보에 기초하여 홀인이 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나타낸 것으로서 퍼팅에 따라 볼이 이동하는 경로이며, 이러한 가이드경로는 홀컵까지 이어질수도 있고 홀컵 주변의 위치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처리부(242)는 사용자가 타격할 볼 이외 가상의 볼을 제공하고 가상의 볼이 가이드경로에 따라 이동하는 모습으로 가이드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상의 골프 코스 상에 놓여지고 사용자가 타격할 대상인 볼을 ‘제1볼’이라 칭하고 실제로 타격되진 않았으나 가이드경로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볼을 ‘제2볼’이라 칭한다.
즉 가이드처리부(242)는 제1볼이 놓여진 위치에서부터 홀컵 또는 홀컵 주변의 위치까지의 가이드경로를 따라, 제2볼이 이동하는 모습을 구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제2볼이 그린을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보고 그린의 형상을 추측할 수 있다.
가이드처리부(242)에서 제2볼을 표시할 때 제1볼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또 다른 형상을 갖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처리부(242)는 제2볼을 가이드경로에 따라 이동시킬 때, 가이드경로 상의 그린의 지형에 따라 제2볼의 형상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볼이 가이드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가이드경로에서의 지형의 고저차에 따라 제2볼의 색상, 투명도, 효과(예: 반짝임 등)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준높이보다 높은 지형에 제2볼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빨간색, 기준높이보다 낮은 지형에 제2볼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파란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지형의 변화에 따라 제2볼의 위치가 변화할 때 그라데이션에 따라 제2볼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기준높이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볼이 놓여진 지점의 높이일 수 있으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일 표지이미지일 수 있으며 표지이미지와 관련하여서는 후술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경로를 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관련하여 가이드처리부(242)는 제1볼의 위치에서부터 홀컵까지의 전체 가이드경로를 선으로서 표시할 수 있으나, 가이드경로의 일부만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지이미지 두개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경로를 표시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으로 가이드경로를 표시할 때 가이드처리부(242)는 그린의 지형의 고저차에 따라 가이드경로의 형상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처리부(242)는 그린의 지형 굴곡의 변화에 대응하여 선 형상이 굴곡되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경로에서의 지형의 고저차에 따라 가이드경로를 나타내는 선의 색상, 두께, 투명도, 효과(예: 반짝임)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높이에서의 선을 녹색, 기준높이보다 낮은 지형에서의 선을 파란색, 기준높이보다 높은 지형에서의 선을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기준높이에서 고도차가 커질수록, 녹색에서 빨간색, 또는 녹색에서 파란색으로 그라데이션 변화에 따라 색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경로의 시작점이 기준높이일 때, 홀컵까지의 가이드경로의 높이가 홀컵에 가까워질수록 기준높이보다 계속적으로 낮아지면, 가이드경로를 나타내는 선의 색상을 녹색에서 파란색으로 그라데이션 변화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처리부(242)는 제2볼이 가이드경로에 따라 이동하는 모습과 함께 선으로서 가이드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경로를 선으로 표시하되, 상기 선 상에 제2볼이 이동하는 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경로를 선으로 표시하면서 상기 선 상에 제2볼이 이동하는 모습을 표시하되, 상기 선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제2볼에 대응되는 표지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경로를 따라 제2볼이, 제1볼의 위치에서부터 홀컵 또는 홀컵 주변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제2볼이 지나간 지점 상에 표지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경로를 따라 제2볼이, 제1볼의 위치에서부터 홀컵 또는 홀컵 주변을 향해 이동할 때, 제2볼이 가이드경로 상에서 위치하는 지점을 식별하고, 식별된 지점 상에 표지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지이미지는 제2볼이 지나갔던 지점임을 나타내기 위한 이미지로서, 그 형상은 제2볼과 동일한 형상이거나 상이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경로를 따라 제2볼이 이동할 때,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제2볼이 위치하였던 지점을 식별하고 각 지점마다 표지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경로를 따라 제2볼이 이동할 때 소정의 거리 간격마다 제2볼이 위치하였던 지점을 식별하고 표지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가이드처리부(242)는 그린 상의 가상의 격자 중 적어도 일부 및 가이드경로에 기초하여 식별된 지점 상에 표지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관련하여 그린 상의 홀컵 주위의 소정 영역에 대한 지형의 표현을 위해 소정 크기의 가상의 격자가 존재할 수 있는데, 가상의 격자는 복수개의 라인이 서로 교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형의 고저차에 따라 그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즉,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 경로와 그린 상의 가상의 격자가 겹치는 지점을 식별하고 각 지점마다 표지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상의 격자를 구성하는 라인으로서 가상라인과 교차하는 라인이, 가이드경로를 지나갈 때 그 교차점을 식별하고 교차점에 표지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표지이미지를 표시하고자 할 때 가이드처리부(242)는 해당 지점에 표지이미지를 표시함에 따라 제2볼의 잔상이 남겨진 것처럼 처리하여 표시해줄 수 있으며, 지형에 따라 볼의 이동 속도가 상이해짐에 따라 잔상처럼 표시된 지점의 간격을 참조하여 사용자는 그린이 어떤 형태인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경로를 제공할 때 브레이크포인트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브레이크포인트’는 가이드경로 상에서 지형의 변화 또는 볼의 이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으로서 가이드경로 상의 일 지점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처리부(242)는 홀컵과 볼을 연결하는 가상라인에 기초하여 브레이크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가이드처리부(242)는 홀컵과 제1볼을 연결하는 직선라인을 ‘가상라인’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가상라인에 대해 수직에 위치한 지점 중 가이드경로 상에 있는 지점 중에서 가장 떨어진 지점을 브레이크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그린 상에서의 홀컵(H), 제1볼(B) 및 가이드경로(310)를 도시한 것이다.
가이드경로(310) 상의 지점 중에서, 홀컵(H)과 제1볼(B)을 잇는 가상라인(320)에 대해 수직에 위치한 지점 중에서, 가상라인(320)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지점을 가이드처리부(242)는 브레이크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라인(320)에 대해 수직에 위치한 지점 중에서 가상라인(320)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지점(300)을 브레이크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브레이크포인트로 결정된 지점(300)에서 가상라인(320)까지의 수직거리(350)는, 가이드경로 상의 지점으로서 가상라인에 대해 수직인 다른 지점에서 가상라인(320)까지의 수직거리 중 제일 길며, 예를 들어, 거리(360)보다 길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처리부(242)는 홀컵과 볼 사이의 지형의 고저차에 기초하여 브레이크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경로를 따라 제2볼이, 제1볼의 위치에서 홀컵 또는 홀컵 주변을 향해 이동할 때, 지형의 고저차에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낮은 지형에서 높은 지형으로 이동할 때, 또는 높은 지형에서 낮은 지형으로 이동할 때의 지점을 브레이크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볼의 위치에서 홀컵 또는 홀컵 주변을 향하는 가이드경로는 지형의 고저차에 따라 변곡점이 존재할 수 있는데, 가이드처리부(242)는 변곡점을 브레이크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그린 상에서의 홀컵(H), 제1볼(B) 및 가이드경로(4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경로는 높은 지형을 향하다가 낮은 지형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제1볼(410)의 위치에서 홀컵(H)까지 연결되며,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경로(410)의 변곡점(400)을 브레이크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처리부(242)는 가이드경로에서 복수의 브레이크포인트를 식별하면 복수의 브레이크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브레이크포인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브레이크포인트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라인에 기초하여 브레이크포인트를 결정할 때, 가상라인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지점이 가이드경로에 복수개 존재함에 따라 브레이크포인트가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고저차에 기초하여 브레이크포인트를 결정할 때 변곡점에 대응되는 지점이 가이드경로에 복수개 존재함에 따라 브레이크포인트가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처리부(242)는 복수개의 브레이크포인트 중 임의의 브레이크포인트를 선별할 수 있다.
또는 가이드처리부(242)는 복수개의 브레이크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처리부(242)는 복수개의 브레이크포인트 중 제1볼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브레이크포인트로 선별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그린 상에서의 홀컵(H), 제1볼(B) 및 가이드경로(5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라인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지점이 3개이어서 브레이크포인트(500, 501, 502)가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처리부(242)는 브레이크포인트(500, 501, 502) 모두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가이드처리부(242)는 브레이크포인트(500, 501, 502) 중 제1볼(B)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의 브레이크포인트(500)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가이드처리부(242)는, 제1볼(B) 및 홀컵(H)을 잇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선의 우측에 위치한 지점(500) 하나와 상기 선의 좌측에 위치한 지점(501)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처리부(242)는 상기 선의 우측에 위치한 지점(502)과 함께 상기 선의 좌측에 위치한 변곡점(501)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상술된 바에 따라 가이드경로 및 브레이크포인트를 결정하고 이를 영상화하여 영상출력부(230)를 통해 스크린(40)에 투사함으로써 가이드처리부(242)는 사용자가 그린에서 퍼팅하기 이전에 지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에도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도 6 내지 도 7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되는데, 도8 내지 도 10은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가이드경로 상에서의 표지이미지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가이드경로가 표시된 시뮬레이션 영상이 스크린 상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그린, 그린 상의 홀컵 및 제1볼의 위치가 나타난 가상 골프 코스를 시뮬레이션하여 표시할 수 있다 (S610).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가이드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S620).
가이드경로를 결정하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가이드경로를 표시하거나, 또는 단계 S630을 통해 브레이크포인트가 결정되고 난 이후 가이드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관련하여 가이드경로를 표시할 때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가이드경로에서의 지형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경로의 형상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가이드경로를 따라 제2볼이 제1볼에서부터 홀컵을 향해 이동하는 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가이드경로 상에서의 일 지점에 제2볼에 대응되는 표지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가이드경로를 따라 제2볼을 홀컵을 향해 이동시키되, 상기 제2볼이 지나간 지점 상에 표지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가이드경로를 따라 제2볼을 홀컵을 향해 이동시키되,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2볼이 위치하였던 지점을 식별하고 식별된 지점 상에 표지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그린 상의 가상의 격자 중 적어도 일부 및 가이드경로에 기초하여 식별된 지점 상에 표지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 상의 홀컵(H) 주위의 소정 영역에 대한 지형의 표현을 위해 소정 크기의 가상의 격자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격자는 복수개의 라인(801, 802)이 서로 교차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볼(B)에서 홀컵(H)을 바라봤을 때 복수 개의 가로라인(801)과 가로라인(801)을 교차하여 지나는 세로라인(802)이 존재하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가이드경로(800)와 가로라인(801)이 겹치는 지점(810, 820, 830)을 식별하고 식별된 지점(810, 820, 830) 상에 표지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도 8은 설명의 편의상 그린 격자(801, 802)를 표시한 것이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가 가이드경로 및 표지이미지를 제공할 때 그린의 격자(801, 802) 없이, 그린의 격자 및 가이드경로에 기초하여 표지이미지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이드경로(800)와 표지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브레이크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S630).
예를 들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홀컵과 제1볼을 연결하는 가상라인에 기초하여 브레이크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가이드경로에서의 지형의 고저차에 기초하여 브레이크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도 7을 참조하면, 브레이크포인트가 하나라면(S710), 단계S640로 이동할 수 있으나, 브레이크포인트가 복수개로 결정되면(S710), 복수개의 브레이크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720).
즉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개의 브레이크포인트 모두를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S720), 브레이크포인트 모두를 표시할 경우 단계S640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개의 브레이크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선별할 수 있으며(S730),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브레이크포인트를 선별하거나, 홀컵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브레이크포인트를 선별하거나, 또는 지형이 오목한 곳에서의 브레이크포인트를 선별하거나, 또는 홀컵과 제1볼을 잇는 선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한 브레이크포인트를 선별하거나, 또는 홀컵과 제1볼을 잇는 선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브레이크포인트를 선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라운딩 시작 전 또는 라운딩 중에 브레이크포인트 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복수개의 브레이크포인트 모두를 표시할지, 복수개의 브레이크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지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계S640로 이동하여 가이드경로 상에서 브레이크포인트를 표시할 수 있다(S640).
그에 따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브레이크포인트(Break Point)가 표시된 가이드경로(900)를, 스크린(3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1볼(B)의 위치에서부터 홀컵(H) 또는 홀컵(H) 주변으로까지 이어지는 가이드경로(900)를 제공하면서 가이드경로(900) 상에서 제2볼(930)이 이동하는 모습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가이드경로를 따라 제2볼이 이동할 때,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제2볼이 위치하였던 지점을 식별하고 각 지점마다 표지이미지(910, 920)를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표지이미지(910, 920)를 참고하여 제2볼이 구르는 속도를 파악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표지이미지들 간의 간격이 넓으면 해당 지형이 볼이 빨리 구를 수 있는 그린스피드 또는 경사를 갖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표지이미지를 참고하여 지형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추론하여 퍼팅 전략을 세울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경로를, 사용자는 스크린(3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표지이미지 간을 연결하는 가이드경로(1000)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가이드경로를 따라 제2볼이 이동할 때 제2볼이 위치하였던 지점을 식별하고 각 지점마다 표지이미지(1010, 1020)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일 표지이미지(1010)에서 다음 표지이미지(1020)의 높낮이에 따라 가이드경로의 색상이 변화되는 모습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양 표지이미지(1010, 1020)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경로(1000)를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표지이미지(1010, 1020)를 참고하여 지형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추론하여 퍼팅 전략을 세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타석 20: 센싱장치
30: 스크린 40: 영상출력장치
200: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210: 제어부 220: 데이터저장부
230: 영상출력부 240: 영상처리부

Claims (18)

  1. 삭제
  2. 그린 및 상기 그린 상의 홀컵과 제1볼에 관한 가상의 골프 코스 영상을 표시하는 시뮬레이션처리부; 및
    상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 사이의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가이드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처리부는,
    상기 가이드경로에서의 브레이크포인트를 표시하되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을 연결하는 가상라인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지점을 상기 브레이크포인트로서 표시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3. 그린 및 상기 그린 상의 홀컵과 제1볼에 관한 가상의 골프 코스 영상을 표시하는 시뮬레이션처리부; 및
    상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 사이의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가이드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처리부는,
    상기 가이드경로에서의 브레이크포인트를 표시하되 상기 가이드경로에서의 지형의 고저차에 따른 변곡점을 상기 브레이크포인트로서 표시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4. 그린 및 상기 그린 상의 홀컵과 제1볼에 관한 가상의 골프 코스 영상을 표시하는 시뮬레이션처리부; 및
    상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 사이의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가이드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처리부는,
    상기 가이드경로에서의 브레이크포인트를 표시하되 상기 가이드경로에서 복수의 브레이크포인트를 식별하면,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포인트를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처리부는,
    상기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되 상기 가이드경로에서의 지형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경로의 형상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표시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6. 삭제
  7. 그린 및 상기 그린 상의 홀컵과 제1볼에 관한 가상의 골프 코스 영상을 표시하는 시뮬레이션처리부; 및
    상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 사이의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가이드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처리부는,
    상기 가이드경로를 따라 상기 제1볼에서부터 상기 홀컵을 향해 제2볼이 이동하는 모습을 표시하되, 지형의 표현을 위한 소정 크기의 가상의 격자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가이드경로가 겹치는 지점을 식별하고 식별된 지점 상에 상기 제2볼에 대응되는 표지이미지를 표시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8. 그린 및 상기 그린 상의 홀컵과 제1볼에 관한 가상의 골프 코스 영상을 표시하는 시뮬레이션처리부; 및
    상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 사이의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가이드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처리부는,
    상기 가이드경로를 따라 상기 제 1 볼에서부터 상기 홀컵을 향해 제 2 볼이 이동하는 모습을 표시하되,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2볼이 위치하였던 지점을 식별하고 식별된 지점 상에 표지이미지를 표시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처리부는,
    상기 표지이미지를 복수개 표시하되, 일 표지이미지에서 다음 표지이미지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경로의 색상이 변화되는 모습을 제공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10. 삭제
  11.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가, 그린의 지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린 및 상기 그린 상의 홀컵과 제1볼에 관한 가상의 골프 코스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 사이의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경로에서의 브레이크포인트를 표시하되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을 연결하는 가상라인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지점을 상기 브레이크포인트로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12.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가, 그린의 지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린 및 상기 그린 상의 홀컵과 제1볼에 관한 가상의 골프 코스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 사이의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경로에서의 브레이크포인트를 표시하되 상기 가이드경로에서의 지형의 고저차에 따른 변곡점을 상기 브레이크포인트로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13.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가, 그린의 지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린 및 상기 그린 상의 홀컵과 제1볼에 관한 가상의 골프 코스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 사이의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경로에서의 브레이크포인트를 표시하되 상기 가이드경로에서 복수의 브레이크포인트를 식별하면,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포인트를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되 상기 가이드경로에서의 지형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경로의 형상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15. 삭제
  16.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가, 그린의 지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린 및 상기 그린 상의 홀컵과 제1볼에 관한 가상의 골프 코스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 사이의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경로를 따라 상기 제1볼에서부터 상기 홀컵을 향해 제2볼이 이동하는 모습을 표시하되, 지형의 표현을 위한 소정 크기의 가상의 격자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가이드경로가 겹치는 지점을 식별하고 식별된 지점 상에 상기 제2볼에 대응되는 표지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17.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가, 그린의 지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린 및 상기 그린 상의 홀컵과 제1볼에 관한 가상의 골프 코스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홀컵과 상기 제1볼 사이의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경로를 따라 상기 제 1 볼에서부터 상기 홀컵을 향해 제 2 볼이 이동하는 모습을 표시하되,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2볼이 위치하였던 지점을 식별하고 식별된 지점 상에 표지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지이미지를 복수개 표시하되, 일 표지이미지에서 다음 표지이미지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경로의 색상이 변화되는 모습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KR1020200115608A 2020-09-09 2020-09-09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KR102394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608A KR102394395B1 (ko) 2020-09-09 2020-09-09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PCT/KR2021/008368 WO2022055098A1 (ko) 2020-09-09 2021-07-01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JP2023515729A JP2023541880A (ja) 2020-09-09 2021-07-01 グリーンの地形情報提供装置及びグリーンの地形情報提供方法
CN202180053817.3A CN116113477A (zh) 2020-09-09 2021-07-01 果岭地形信息提供装置及果岭地形信息提供方法
US18/179,705 US20230201697A1 (en) 2020-09-09 2023-03-07 Apparatus for providing terrain information on green and method for providing terrain information on g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608A KR102394395B1 (ko) 2020-09-09 2020-09-09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334A KR20220033334A (ko) 2022-03-16
KR102394395B1 true KR102394395B1 (ko) 2022-05-20

Family

ID=8063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608A KR102394395B1 (ko) 2020-09-09 2020-09-09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01697A1 (ko)
JP (1) JP2023541880A (ko)
KR (1) KR102394395B1 (ko)
CN (1) CN116113477A (ko)
WO (1) WO202205509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677B1 (ko) * 2009-12-31 2010-07-15 (주) 골프존 퍼팅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72963B1 (ko) * 2010-04-01 2010-07-29 (주) 골프존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US20130237346A1 (en) * 2003-11-12 2013-09-12 Mark Sweeney Topography linked golf aid
KR101471490B1 (ko) * 2009-11-19 2014-12-12 주식회사 파온테크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상기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225B1 (ko) * 2018-04-02 2019-07-01 주식회사 골프존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7346A1 (en) * 2003-11-12 2013-09-12 Mark Sweeney Topography linked golf aid
KR101471490B1 (ko) * 2009-11-19 2014-12-12 주식회사 파온테크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상기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KR100970677B1 (ko) * 2009-12-31 2010-07-15 (주) 골프존 퍼팅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72963B1 (ko) * 2010-04-01 2010-07-29 (주) 골프존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01697A1 (en) 2023-06-29
WO2022055098A1 (ko) 2022-03-17
KR20220033334A (ko) 2022-03-16
JP2023541880A (ja) 2023-10-04
CN116113477A (zh)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7553B2 (en) Virtual sport system using start sensor for accurate simulation of movement of a ball
KR100970677B1 (ko) 퍼팅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AU2017358066B2 (en) Measuring a property of a trajectory of a ball
JP4271615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挙動計測装置
EP2237191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 tracking
CN107545562B (zh) 用于补正球图像的亮度的方法、系统及非暂时性的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11850498B2 (en) Kinematic analysis of user form
KR100997899B1 (ko) 입체 영상을 이용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JP6898415B2 (ja) ボールの回転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30201688A1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and virtual golf simulation method
KR102394395B1 (ko)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US20230135033A1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and virtual golf simulation method
KR102400786B1 (ko) 매트영상 제공 방법, 매트영상 제공 장치 및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JP200904549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挙動計測装置
KR102129129B1 (ko) 공의 회전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7537149B (zh) 确定用于拍摄球图像的关心区域的方法、系统及非暂时性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102442157B1 (ko) 대전 장치 및 대전 방법
KR102657059B1 (ko) 골프 코스 생성 장치 및 골프 코스 생성 방법
JP2022520507A (ja) ゴルフクラブと関連する物理量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過性の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記録媒体
KR20160139634A (ko) 골프공 스핀 계산 방법 및 장치
US202401159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otball training
KR102107928B1 (ko) 골프공의 회전정보를 보여주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1855978B1 (ko) 열감지 센서를 이용한 골프 샷 분석 방법 및 장치
TW202408632A (zh) 提供高爾夫球的擊球資訊的方法、系統、及非暫時性電腦可讀取記錄媒介
KR20230047728A (ko) 골프 코스 리스트 제공 장치 및 골프 코스 리스트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