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963B1 -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 Google Patents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963B1
KR100972963B1 KR1020100029775A KR20100029775A KR100972963B1 KR 100972963 B1 KR100972963 B1 KR 100972963B1 KR 1020100029775 A KR1020100029775 A KR 1020100029775A KR 20100029775 A KR20100029775 A KR 20100029775A KR 100972963 B1 KR100972963 B1 KR 100972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path
color
inclination
imag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재윤
Original Assignee
(주) 골프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골프존 filed Critical (주) 골프존
Priority to KR102010002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게임이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등의 골프 영상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의 골프 경기를 함에 있어서 영상을 통해 제공되는 골프코스, 특히 퍼팅을 위한 그린에서의 지형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린의 지형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가상의 골프 경기의 리얼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그린에 관한 영상을 표시하는 코스구현수단; 상기 그린 상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오브젝트가 상기 그린 상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른 속도로 각각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경사표시수단; 및 상기 그린의 지형 고저에 따른 색이 상기 각 오브젝트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각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른 지형 고저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각 오브젝트의 색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도록 표시하는 색변화표시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REPRESENTATION OF GREEN LIE}
본 발명은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 게임이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등의 골프 영상을 통해 사용자가 골프코스의 지형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경기는 티박스(Tee Box)에서 그린(Green)까지 골프공을 타격하여 그린의 홀컵(Hole-cup)에 골프공을 넣는 프로세스를 갖는 경기인데, 특히 그린에서 이루어지는 퍼팅(Putting)의 경우에는 그린 상의 라이(Lie)를 정확히 파악하여 정확한 힘과 방향 등으로 골프공을 타격해야 하므로 골프 경기를 함에 있어서 매우 까다롭고 힘든 부분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골퍼들은 그린에서 퍼팅을 하기 전에 또는 그린 근처에서 숏게임을 하는 경우에 골프공과 홀 컵 사이의 라이를 파악하기 위해, 공 뒤편으로 몇 발자국 물러나 앉아서 또는 거의 지면과 눈높이를 일치시켜서 관찰한다. 또한, 골프공과 홀 컵 간의 중간 라이를 파악하기 위해,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서 관찰하기도 하고, 홀컵 뒤편 또는 후면에서도 관찰하고, 홀 컵 주위에서의 미세한 라이를 파악하는 것도 정확한 퍼팅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동작이다.
한편, 최근 골프 인구가 증가하면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등을 이용한 골프 연습 및 가상의 골프경기를 즐길 수 있는 이른바 스크린 골프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실내에 가상 골프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크린을 설치하고, 골퍼가 골프공을 상기 스크린을 향해 타격을 하면 골프공의 속도, 방향 등을 감지하여 상기 스크린상에 골프공의 진행을 표시해주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등에서는 골프 연습장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것과 동일하게 골프공을 타격하면서 실제로 골프장에서 라운드를 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골프 게임이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등의 골프 영상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의 골프 경기를 함에 있어서 영상을 통해 제공되는 골프코스, 특히 퍼팅을 위한 그린에서의 지형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린의 지형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가상의 골프 경기의 리얼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그린에 관한 영상을 표시하는 코스구현수단; 상기 그린 상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오브젝트가 상기 그린 상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른 속도로 각각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경사표시수단; 및 상기 그린의 지형 고저에 따른 색이 상기 각 오브젝트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각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른 지형 고저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각 오브젝트의 색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도록 표시하는 색변화표시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표시수단은, 상기 각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경로가 상기 그린 상에 설정되도록 하며 상기 설정된 경로가 상기 그린 상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투명하게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경로는 상기 그린 상에 소정 길이의 직선 경로로써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경로는 상기 그린의 지형 굴곡에 따른 굴곡 경로로써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표시수단은, 상기 각 오브젝트가 상기 설정된 경로 상의 높은 위치에서 상기 설정된 경로 상의 낮은 위치로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경로는 소정 단위로 분할되어 설정되며, 상기 분할된 경로마다 상기 오브젝트가 각각 표시되어 독립적으로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경로 상에 복수개의 오브젝트가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표시수단은, 상기 각 오브젝트가 상기 설정된 경로 상의 시작 위치에서 생성되어 상기 설정된 경로 상을 이동하며 이동이 끝나는 위치에서 소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은, 그린에 관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그린 상에 복수개의 오브젝트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표시되는 단계; 상기 그린의 지형 고저에 따른 색이 상기 각 오브젝트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그린 상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른 속도로 상기 각 오브젝트가 각각 이동하도록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각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른 지형 고저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각 오브젝트의 색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오브젝트가 각각 이동하도록 표시되는 단계는, 상기 각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경로가 상기 그린 상에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경로가 상기 그린 상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투명하게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경로에서의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가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경로를 상기 설정된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로가 상기 그린 상에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경로가 상기 그린 상에 소정 길이의 직선 경로로써 설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로가 상기 그린 상에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경로가 상기 그린의 지형 굴곡에 따른 굴곡 경로로써 설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른 속도로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오브젝트가 상기 설정된 경로 상의 높은 위치에서 상기 설정된 경로 상의 낮은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며, 설정된 경로 상의 경사도가 클수록 이동 속도가 빠르게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오브젝트의 색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그린의 경사도의 변화에 대응되는 색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설정된 경로를 설정된 이동 속도로 이동하면서 상기 설정된 색 정보에 따라 변화되는 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른 속도로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경로 상에 복수개의 오브젝트가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은 골프 게임이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등의 골프 영상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의 골프 경기를 함에 있어서 영상을 통해 제공되는 골프코스, 특히 퍼팅을 위한 그린에서의 지형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린의 지형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가상의 골프 경기의 리얼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그린 라이 표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된 그린 라이 표현 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그린 라이 표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5에 도시된 그린 라이 표현 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그린 라이 표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골프 스윙을 함에 따라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예컨대 소위 스크린 골프 시스템 등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가정용 게임기나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골프 게임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또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영상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0), 영상구현장치(20) 및 제어부(M) 등을 포함한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게임기나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같은 영상출력장치(30)와 조작수단(5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소위 스크린 골프 시스템과 같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프로젝터와 같은 영상출력장치(30)와, 골프공 및/또는 골프클럽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장치(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기본적으로 골프코스, 특히 퍼팅을 위한 그린(Green)의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코스구현수단, 그리고 상기 코스구현수단에 의해 영상 구현되는 그린 상에 그린의 라이(Lie), 즉 그린의 경사도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하는 경사표시수단으로서 상기 영상구현장치(20)가 이용된다.
상기 제어부(M)는 데이터베이스(10), 영상구현장치(20) 및 영상출력장치(30) 등의 모든 장치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요소로서의 제어부는 상기한 경사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그린 상의 오브젝트가 그린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이동하는 오브젝트가 그린의 지형 변화에 따라 특정 색의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그린의 지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색변화표시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그린 상의 지형 표현을 위한 여러 가지 예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를 통한 그린 상의 지형 표현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영상은 그린(G)에 관한 영상과 상기 그린(G) 상의 홀컵(H) 및 골프공(B)에 관한 영상이 구현된다.
또한 상기 그린(G) 상의 홀컵(H)과 골프공(B) 사이의 소정 영역을 설정하여 그 설정된 영역에 소정 크기의 오브젝트(110a, 120a, 130a)를 복수개 배치되도록 하고 각각의 오브젝트(110a, 120a, 130a)가 미리 설정된 방향, 미리 설정된 속도로 미리 설정된 구간을 이동하도록 표시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열의 오브젝트들은 110a에서 110b로 이동하며, 2열의 오브젝트들은 120a에서 120b로, 그리고 3열의 오브젝트들은 130a에서 130b로 각각 이동한다.
이때 각 오브젝트(110a 등)의 이동 속도는 그린의 경사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그린의 경사도가 클 경우에는 이동 속도가 빠르도록 하고 경사도가 완만한 경우 이동 속도를 느리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오브젝트(110a 등)는 이동을 함과 동시에 해당 위치에서의 그린의 지형 고저 정보에 따른 특정 색이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각 오브젝트는 이동을 함에 따라 변화되는 그린의 지형 고저 정보에 대응하는 색으로 변화되면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른 색의 변화는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로써 표현할 수 있다.
도 2에서 각열의 각 오브젝트(110a, 120a, 130a)들이 110b, 120b, 130b의 상태로 각각 이동하면서 지형 정보에 따라 색이 변화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린(G) 상에 소정 간격으로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오브젝트의 그린 경사도에 따른 속도로의 이동 및 그린 지형에 따른 색 변화를 통해 사용자는 그린의 라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오브젝트는 그린 상에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구현되는데, 도 3 및 도 4에서는 이와 같은 오브젝트의 이동 경로가 그린의 지형 고저와 무관하게 일정한 방향으로 설정되는 직선 경로인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고, 도 5 및 도 6에서는 오브젝트의 이동 경로가 그린의 지형 굴곡 정도에 따라 굴곡되어 형성되는 굴곡 경로로써 설정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7은 오브젝트가 그린 상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며 색 변화가 표시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직선 이동 경로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및 색 변화 표시를 통한 라이 표현 방식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컵(H)과 골프공(B) 사이의 소정의 설정된 영역 내에 복수개의 오브젝트(110a, 120a, 130a)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오브젝트(110a, 120a, 130a)는 직선 형태의 이동 경로(210, 220, 2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때 상기 직선 이동 경로(210, 220, 230)는 각각의 오브젝트(110a, 120a, 130a)가 이동하는 경로로서 설정된 것이며 이는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투명하게 처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각각의 오브젝트가 이동하면서 색이 변화하는데, 각각의 오브젝트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그린(G)의 지형 고저에 따라 색이 변화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번호 110a, 120a, 130a로 표시되는 오브젝트가 이동하여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번호 110b, 120b, 130b로 표시되는 오브젝트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의 이동은 지형의 고도가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의 (a)에서 (b)로의 변화에 따라 그린(G)의 지형의 경사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른 그린 상의 지형 변화를 나타내는 색의 변화는 그린의 지형 고저에 따라 각 오브젝트의 색상만 변화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오브젝트가 나타내고 있는 색의 명도나 채도 등이 변화하도록 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a) 및 (b)에서는 경로가 3개의 분할된 경로로(210, 220, 230)로 표시되며 각각의 분할된 경로(210, 220, 230)에서 독립적으로 각각의 오브젝트(110a 및 110b, 120a 및 120b, 130a 및 130b)가 이동하도록 설정되는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로가 1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린의 일측에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의 전체적인 지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그린의 지형 정보를 색변화로써 나타내고 있는 미니맵이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가 그린의 경사도의 차이에 따라 어떤 식으로 표현되는지에 관한 일 예를 좀 더 자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a)는 경사가 급한 경우(T1), 도 4의 (b)는 상기 T1에 비해 경사가 완만한 경우(T2)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최초의 오브젝트(100a)가 직선 경로(200)를 따라 이동하는데, t1, t2, t3 및 t4의 시간 경과에 따라 각각 100b, 100c, 100d 및 100e의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T1의 경사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T1 보다 경사가 더 완만한 T2의 경우 최초의 오브젝트(100a)는 t2, t4, t6 및 t8의 시간 경과에 따라 각각 100b, 100c, 100d 및 100e의 상태로 이동하는데, 상기 T1의 경우 보다 더 느리게 이동함을 나타내고 있다.
즉 그린의 경사도가 클수록 오브젝트는 빠르게 이동하고 경사도가 완만할수록 오브젝트의 이동속도는 느리게 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경사도에 대한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곡선 이동 경로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및 색 변화 표시를 통한 라이 표현 방식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의 영상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a), (b), (c) 및 (d)의 상태로 변화한다.
도 5의 (a) 내지 (d)에서는 홀컵(H)과 골프공(B) 사이의 소정 설정 영역에서 그린(G)의 지형 굴곡 정도에 대응하여 각각의 경로(301, 302, 303, 304, 305, 306)가 굴곡되도록 설정되는 굴곡 경로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상기 굴곡 경로(301 내지 306)는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투명하게 처리되어 그 경로 자체는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각각의 굴곡 경로(301 내지 306)의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오브젝트(100a 내지 100c)가 이동하며 이때 그린(G)의 지형 정보에 따라 색이 변화된다.
도 5의 (a) 내지 (d)에서는 하나의 굴곡 경로 상에 복수개의 오브젝트(100a 및 100b 또는 100b 및 100c)가 진행하도록 설정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 내지 (d)를 보면, 제1 경로(301)와 제2 경로(302)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는 경사를 표현하고 있고, 제3 경로(303)와 제4 경로(304)는 거의 경사가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제5 경로(305)와 제6 경로(306)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는 경사를 표현하고 있다.
상기 제1 경로(301)와 제2 경로(302) 상에는 각각 두 개의 오브젝트(100a 및 100b, 100b 및 100c)가 소정의 간격으로 우측으로 경사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때 색상이 빨간색에서 점차 초록색 계통으로 변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5 경로(305)와 제6 경로(306)에도 각각 두 개의 오브젝트(100a 및 100b, 100b 및 100c)가 소정의 간격으로 좌측으로 경사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역시 경사의 변화에 따라 빨간색에서 초록색 계통으로 변해가고 있다.
그리고 제3 경로(303)와 제4 경로(304)는 경사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오브젝트(100a)가 거의 멈춰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경로의 일단부에서 처음 생성된 오브젝트 100a는 굴곡 경로를 따라 이동하다가 소정의 간격으로 다른 오브젝트 100b가 생성되어 이동하며, 상기 오브젝트 100a가 타단부에서 소멸되고 다시 경로의 일단부에서 또 다른 오브젝트 100c가 생성되어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오브젝트가 순차적으로 생성 및 소멸을 반복하면서 경로를 이동함으로써 라이의 표현이 좀 더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d)의 오브젝트 변화를 살펴보면 골프공(B)의 위치에서 홀컵(H)의 위치까지 복합적 라이를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굴곡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가 그린의 경사도의 차이에 따라 어떤 식으로 표현되는지에 관한 일 예를 좀 더 자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는 경사가 급한 경우(T1), 도 6의 (b)는 상기 T1에 비해 경사가 완만한 경우(T2)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6의 (a)에 도시된 T1 경사도에 대한 굴곡 경로(310)의 굴곡 정도가 도 6의 (b)에 도시된 T2 경사도에 대한 굴곡 경로(320)의 굴곡 정도 보다 더 심하게 굴곡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경로가 그린 위에 표시되는 경우 경로의 굴곡 정도만으로도 어느 정도 그린의 굴곡 정도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T1 경사도의 경우 최초의 오브젝트(100a)가 굴곡 경로(310)를 따라 이동하는데, t1, t2, t3 및 t4의 시간 경과에 따라 각각 100b, 100c, 100d 및 100e의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T1의 경사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T1 보다 경사가 더 완만한 T2의 경우 최초의 오브젝트(100a)는 t2, t4, t6 및 t8의 시간 경과에 따라 각각 100b, 100c, 100d 및 100e의 상태로 이동하는데, 상기 T1의 경우 보다 더 느리게 이동함을 나타내고 있다.
즉 그린의 경사도가 클수록 오브젝트는 빠르게 이동하고 경사도가 완만할수록 오브젝트의 이동속도는 느리게 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경사도에 대한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복합 경로에 따른 오브젝트의 이동 및 색 변화 표시를 통한 라이 표현 방식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G) 상의 홀컵(H)과 골프공(B) 사이의 소정 영역을 설정하여 그 설정된 영역에 소정 크기의 가로 방향 오브젝트(110a, 120a, 130a) 및 세로 방향 오브젝트(410a, 420a)를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도록 하고 가로 방향 오브젝트(110a, 120a, 130a)는 홀컵(H)과 골프공(B) 사이의 영역의 가로 방향의 미리 설정된 경로(310, 320, 330)를 따라 이동하도록 표시되며, 세로 방향 오브젝트(410a, 420a)는 홀컵(H)과 골프공(B)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미리 설정된 경로(510, 520)를 따라 이동하도록 표시된다.
이때 각각의 오브젝트는 그린의 경사도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이동 속도로 이동하며 그린의 지형 고저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색 정보에 따라 색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면서 이동한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가로 방향 오브젝트 110a, 120a, 130a와 세로 방향 오브젝트 410a, 420a가 각각 그린의 지형 상태에 따른 경로 310, 320, 330 및 510, 520을 따라 이동하여 도 7의 (b)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가로 방향 오브젝트 110b, 120b, 130b 및 세로 방향 오브젝트 410b, 420b로 각각 색상이 변화되면서 이동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변화에 의해 좌측 지형이 우측 지형 보다 더 높고 골프공(B) 쪽 지형이 홀컵(H) 쪽 지형 보다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플로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그린의 영상이 구현된다(S10). 그리고 상기 영상 구현된 그린 상에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 즉 라이 표현이 이루어질 영역이 설정된다(S20).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소정 영역이 설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설정 영역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이동 경로가 설정된다(S30). 이때 상기 이동 경로는 직선 경로에 의해 형성되거나(도 3 참조) 굴곡 경로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도 5 및 도 7 참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굴곡 경로에 의해 이동 경로가 설정되는 경우 그린 상의 지형 굴곡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모든 이동 경로는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투명하게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 경로가 설정되면 설정된 경로 상을 이동하게 될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가 설정된다(S40). 이때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는 그린의 경사도의 정도에 대응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정된 경로 상을 설정된 속도로 이동하는 오브젝트가 표시하게 될 색의 변화에 관하여 설정된다.
즉 경로 상의 각각의 위치마다 오브젝트가 표시하게 될 색 정보를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다르게 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된 경로 상을 상기 설정된 이동 속도로 오브젝트가 이동하면서 상기 설정된 색 정보에 따른 색 변화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그린의 라이를 표현하게 된다(S60).
10:데이터베이스, 20:영상구현장치
30:영상출력장치, 40:센싱장치
50:조작수단, 110a, 120a, 130a:오브젝트
210, 220, 230:직선 이동 경로
310, 320:굴곡 이동 경로
410a, 420a:세로 방향 오브젝트
510, 520:세로 방향 이동 경로

Claims (15)

  1. 그린에 관한 영상을 표시하는 코스구현수단;
    상기 그린 상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오브젝트가 상기 그린 상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른 속도로 각각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경사표시수단; 및
    상기 그린의 지형 고저에 따른 색이 상기 각 오브젝트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각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른 지형 고저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각 오브젝트의 색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도록 표시하는 색변화표시수단;
    을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표시수단은,
    상기 각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경로가 상기 그린 상에 설정되도록 하며 상기 설정된 경로가 상기 그린 상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투명하게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경로는 상기 그린 상에 소정 길이의 직선 경로로써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경로는 상기 그린의 지형 굴곡에 따른 굴곡 경로로써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표시수단은,
    상기 각 오브젝트가 상기 설정된 경로 상의 높은 위치에서 상기 설정된 경로 상의 낮은 위치로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경로는 소정 단위로 분할되어 설정되며, 상기 분할된 경로마다 상기 오브젝트가 각각 표시되어 독립적으로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경로 상에 복수개의 오브젝트가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표시수단은,
    상기 각 오브젝트가 상기 설정된 경로 상의 시작 위치에서 생성되어 상기 설정된 경로 상을 이동하며 이동이 끝나는 위치에서 소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9. 그린에 관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그린 상에 복수개의 오브젝트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표시되는 단계;
    상기 그린의 지형 고저에 따른 색이 상기 각 오브젝트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그린 상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른 속도로 상기 각 오브젝트가 각각 이동하도록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각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른 지형 고저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각 오브젝트의 색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처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오브젝트가 각각 이동하도록 표시되는 단계는,
    상기 각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경로가 상기 그린 상에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경로가 상기 그린 상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투명하게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경로에서의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가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경로를 상기 설정된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가 상기 그린 상에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경로가 상기 그린 상에 소정 길이의 직선 경로로써 설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가 상기 그린 상에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경로가 상기 그린의 지형 굴곡에 따른 굴곡 경로로써 설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른 속도로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오브젝트가 상기 설정된 경로 상의 높은 위치에서 상기 설정된 경로 상의 낮은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며, 설정된 경로 상의 경사도가 클수록 이동 속도가 빠르게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오브젝트의 색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그린의 경사도의 변화에 대응되는 색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설정된 경로를 설정된 이동 속도로 이동하면서 상기 설정된 색 정보에 따라 변화되는 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른 속도로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경로 상에 복수개의 오브젝트가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KR1020100029775A 2010-04-01 2010-04-01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KR100972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75A KR100972963B1 (ko) 2010-04-01 2010-04-01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75A KR100972963B1 (ko) 2010-04-01 2010-04-01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963B1 true KR100972963B1 (ko) 2010-07-29

Family

ID=4264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775A KR100972963B1 (ko) 2010-04-01 2010-04-01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334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골프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225U (ko) * 1999-06-07 1999-09-06 김충환 실내골프연습장
KR20030044601A (ko) * 2001-11-30 2003-06-09 김기수 체감형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0896977B1 (ko) 2008-09-24 2009-05-14 (주) 골프존 명암농도를 적용한 골프 시뮬레이팅 장치 및 방법
KR100946863B1 (ko) 2009-05-18 2010-03-09 주식회사 디온지씨 골프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225U (ko) * 1999-06-07 1999-09-06 김충환 실내골프연습장
KR20030044601A (ko) * 2001-11-30 2003-06-09 김기수 체감형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0896977B1 (ko) 2008-09-24 2009-05-14 (주) 골프존 명암농도를 적용한 골프 시뮬레이팅 장치 및 방법
KR100946863B1 (ko) 2009-05-18 2010-03-09 주식회사 디온지씨 골프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334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골프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WO2022055098A1 (ko) * 2020-09-09 2022-03-17 주식회사 골프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KR102394395B1 (ko) * 2020-09-09 2022-05-20 주식회사 골프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CN116113477A (zh) * 2020-09-09 2023-05-12 高尔纵株式会社 果岭地形信息提供装置及果岭地形信息提供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677B1 (ko) 퍼팅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JP3960602B2 (ja)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0953131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US10850180B2 (en) Screen golf system, golf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for golf information service realized in screen golf system, and computing-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s recorded therein
US10716991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method of realizing image for virtual golf, and computing-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same recorded therein
JP3927821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JP2004290657A (ja)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0970172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JP3513089B2 (ja) ゴルフゲーム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記憶媒体
US10576382B2 (en) Golf game apparatus, storage medium, golf game system and golf game control method
JP4955873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ゲーム装置
KR102235460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0992420B1 (ko)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KR100972824B1 (ko) 미니맵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72963B1 (ko)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KR100997734B1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97730B1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019858B1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JP5043224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CA2823533A1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allowing user-definition of golf ball
JP2017038916A (ja) ゲーム装置、ゲーム処理方法、及び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KR101525414B1 (ko) 그린의 지형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방법
JP2005103117A (ja)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1892998B1 (ko) 컴퓨터용 골프 게임에서의 고도 정보 표시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게임 장치
KR101339740B1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