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225B1 -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225B1
KR101994225B1 KR1020180038345A KR20180038345A KR101994225B1 KR 101994225 B1 KR101994225 B1 KR 101994225B1 KR 1020180038345 A KR1020180038345 A KR 1020180038345A KR 20180038345 A KR20180038345 A KR 20180038345A KR 101994225 B1 KR101994225 B1 KR 101994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ing
golf
golf ball
ball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찬
송현섭
김수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프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프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프존
Priority to KR1020180038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225B1/ko
Priority to PCT/KR2019/003423 priority patent/WO2019194442A1/ko
Priority to CN201980023408.1A priority patent/CN111989141B/zh
Priority to TW108110636A priority patent/TWI70771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09B19/0038S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골프매트에 놓인 골프공을 타격하여 퍼팅을 할 때 시스템이 제공하는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골프매트 상에서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등에서의 사용자의 퍼팅에 있어서 사용자가 시스템이 제공하는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골프매트 상에서 제공되는 퍼팅 가이드에 따라 퍼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용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성 및 퍼팅 실력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DEVICE FOR PUTTING GUIDE,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골프매트에 놓인 골프공을 감지하며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이동하는 골프공에 대한 센싱장치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골프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소위 스크린 골프 시스템과 같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와 그와 같은 장치에 이용되는 퍼팅 가이드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 인구가 증가하면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등을 이용한 골프 연습 및 가상의 골프경기를 즐길 수 있는 이른바 스크린 골프 시스템과 같은 가상의 환경에서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골프 경기나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등에서는 골프 연습장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것과 동일하게 골프공을 타격하면서 실제로 골프장에서 라운드를 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줄 수 있는 특징이 있는데, 특히 실제 골프장에서 골프 라운딩을 할 때 이루어지는 것들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를 통해서도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제 골프장에서 골프 라운딩하는 것과 같은 리얼리티를 제공하고 골퍼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다.
특히, 퍼팅 시 캐디가 그린의 라이(Lie)를 읽고 퍼팅 방향을 가이드하는 점을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을 통한 가상 골프 과정에서도 구현되도록 하여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골퍼 위주의 좀 더 능동적인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는 기술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70677호 등에서는 영상 상의 그린에서 퍼팅 시 가상의 캐디 등에 의해 현재 볼의 위치에서 홀컵으로의 퍼팅 방향을 제시하는 방향 표시나 해당 방향으로 퍼팅을 했을 때 예상 볼의 경로 등을 영상 상에 표시를 함으로써 사용자가 퍼팅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70677호 외에도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105279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44601호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45640호 등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영상 상에서 퍼팅의 방향이나 퍼팅시의 볼의 예상 경로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마치 실제 골프장의 그린에서 캐디가 퍼팅 방향을 안내해 주는 것과 같은 컨텐츠를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로서는 영상에서 그와 같은 퍼팅 방향에 관한 안내를 본 감에 의존하여 골프매트에 놓인 골프공을 퍼팅하게 되기 때문에 영상에서 안내한 퍼팅 방향이 실제 사용자가 퍼팅을 하는 방향과 상당히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고 그로 말미암아 영상에서 퍼팅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대한 효용성이 상당히 떨어지고 심지어 사용자가 시스템의 성능이나 센서의 정확도 등에 대해 불신까지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골프매트에 놓인 골프공을 타격하여 퍼팅을 할 때 시스템이 제공하는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골프매트 상에서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등에서의 사용자의 퍼팅에 있어서 사용자가 시스템이 제공하는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골프매트 상에서 제공되는 퍼팅 가이드에 따라 퍼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용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성 및 퍼팅 실력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사용자가 골프매트에 놓인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볼의 이동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로서, 상기 골프공을 감지하며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이동하는 골프공에 대한 센싱 정보를 산출하는 센싱장치; 가상 골프코스의 그린에 대한 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센싱장치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린 상에서 볼이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구현하며, 상기 그린 상의 볼과 홀컵 사이의 지형정보에 따른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골프매트에 구비되어 상기 센싱장치에 의해 감지된 상기 골프매트 상에서의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산출되는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골프매트 상에서의 퍼팅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하는 퍼팅 가이드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는, 상기 골프매트의 전단부 또는 이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발광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발광표시부를 포함하여,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는, 상기 골프매트의 전단부 또는 이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미리 설정된 다수개의 LED소자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며,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의 LED소자를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는, 상기 골프매트의 전단부 또는 이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미리 설정된 다수개의 LED소자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며,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로부터 직선 방향에 해당하는 위치의 LED소자인 제1 LED소자를 제1 색상으로 발광시키고,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의 LED소자인 제2 LED소자를 제2 색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직선 방향 상의 상기 제1 색상으로 발광된 부분과 구분되어 상기 제2 색상으로 퍼팅 방향을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는, 상기 직선 방향에 해당하는 위치와 상기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가 동일한 위치인 경우 해당 위치의 LED소자를 제3 색상으로 발광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는, 상기 다수개의 LED소자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LED 어레이부와, 상기 LED 어레이부의 LED소자가 발광하는 것을 상기 사용자의 가시 영역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장치는, 골프매트에 놓인 골프공을 감지하며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이동하는 골프공에 대한 센싱장치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골프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이용되는 퍼팅 가이드 장치로서, 상기 골프매트의 전단부 또는 이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발광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발광표시부; 및 상기 센싱장치에 의해 감지된 상기 골프매트 상에서의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고자 하는 퍼팅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발광표시부 상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발광표시부를 제어하여 해당 위치에서 발광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표시부는 미리 설정된 다수개의 LED소자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LED 어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고자 하는 퍼팅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의 LED소자를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골프매트 상에서의 퍼팅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로부터 직선 방향에 해당하는 위치의 LED소자인 제1 LED소자를 제1 색상으로 발광시키고,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고자 하는 퍼팅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의 LED소자인 제2 LED소자를 제2 색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직선 방향 상의 상기 제1 색상으로 발광된 부분과 구분되어 상기 제2 색상으로 퍼팅 방향을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 어레이부의 LED소자가 발광하는 것을 상기 사용자의 가시 영역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 어레이부의 설치 상태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LED 어레이부의 LED소자가 발광하는 것을 상기 사용자의 가시 영역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골프매트에 놓인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볼의 이동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가상 골프코스의 그린과 상기 그린 상의 볼과 홀컵을 포함하는 가상 환경에 대한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 상기 그린 상의 볼과 홀컵 사이의 지형정보에 따른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센싱장치에 의해 상기 골프매트 상에서의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골프매트에 구비되는 퍼팅 가이드 장치에 의해, 상기 감지된 골프매트 상에서의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산출된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골프매트 상에서의 퍼팅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퍼팅 가이드 표시가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그린 상의 볼의 위치로부터 전방 직선 방향의 벡터, 상기 퍼팅 추천 방향의 벡터 및 상기 직선 방향의 벡터로부터 상기 퍼팅 추천 방향의 벡터로의 회전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퍼팅 가이드 표시가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골프매트 상에서의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까지의 직선 거리 및 상기 직선 거리에 상기 회전값을 적용함에 따라 상기 골프매트 상에서의 퍼팅 방향 상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의 상기 산출된 퍼팅 방향 상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발광 표시를 함으로써 상기 퍼팅 가이드 표시가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팅 가이드 표시가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로부터 직선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 상의 위치에 제1 색상으로 발광 표시를 하고,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의 상기 산출된 퍼팅 방향 상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제2 색상으로 발광 표시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직선 방향 상의 상기 제1 색상으로 발광된 부분과 구분되어 상기 제2 색상으로 퍼팅 방향을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골프매트에 놓인 골프공을 타격하여 퍼팅을 할 때 시스템이 제공하는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골프매트 상에서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등에서의 사용자의 퍼팅에 있어서 사용자가 시스템이 제공하는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골프매트 상에서 제공되는 퍼팅 가이드에 따라 퍼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용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성 및 퍼팅 실력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가 적용된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 스크린의 화면 영상(IM) 부분과 타석(30)의 골프매트(50)를 포함하는 부분만을 각각 따로 떼어내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LED 어레이부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장치가 구현된 경우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퍼팅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화면 영상 상에서 제공되는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퍼팅 가이드 장치에서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장치로서 반사부를 구비하는 경우의 두 가지 예에 대해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가 적용된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가상의 골프 경기를 수행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10) 내에 바닥부(20) 상에 사용자의 골프스윙을 위한 타석(30)과 사용자가 타격할 골프공(B)이 놓이는 골프매트(50)가 구비되고, 전방에는 스크린(11)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린(11)에 영상을 투영하기 위한 영상출력부(24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타석(30)은 영상 상의 가상의 골프코스의 지형에 대응하는 경사를 구현하는 스윙플레이트(SP)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센싱장치(100), 제어장치(200) 및 퍼팅 가이드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장치(100)는 사용자의 골프 스윙에 따라 골프클럽 및 볼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센싱하도록 하는 장치이며,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의 화각 내의 골프매트(50) 및 그 위에 놓인 골프공(B)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수집하고 그 수집된 영상에 대한 이미지 처리 등의 분석을 수행하여 골프매트(50) 상에서의 골프공(B)의 위치 감지 및 골프공(B)이 타격되어 움직이는 경우 골프공의 이동에 대한 운동 파라미터 등의 센싱 정보를 산출하여 제어장치(20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제어부(210), 데이터저장부(220) 및 영상처리부(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해 조작하거나 가상 골프 라운드 과정에서 에이밍 등을 조정하기 위해 조작하는 수단으로서 조작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부(220)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의 영상 구현 등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며, 실제 골프장을 영상화하여 구현한 가상 골프코스에 관한 데이터 및 가상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관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어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골프코스에서 가상 골프 라운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부(220)는 가상 골프코스에 관한 여러 가지 데이터 등을 모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미도시)로부터 가상 골프코스에 관한 여러 가지 데이터 등을 전송받아 일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230)는 데이터저장부(220)에 저장된 가상 골프코스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상에 가상 골프코스에 관한 영상을 구현하도록 정보 처리를 수행하며,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에 대한 궤적이 상기 가상 골프코스에서 시뮬레이션 되는 영상을 구현하도록 정보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230)에서 처리된 영상 정보는 프로젝터(Projec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영상출력부(240)를 통해 스크린(11)에 투영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스크린(11)에 투영된 영상(IM)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처리부(230)는 하나의 독립된 장치에서 영상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화된 하나의 부품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그 자체가 하나의 독립된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든 처리를 위한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센싱장치(100)의 센싱 결과에 따라 추출된 운동하는 골프공에 대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볼의 궤적을 산출하며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산출된 볼의 궤적에 따른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각종 연산 및 제어를 수행한다. 즉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산출된 볼의 궤적에 따른 시뮬레이션 영상(IM)이 구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영상 구현된 가상의 골프코스의 그린(GR)에서 퍼팅을 하는 경우에 상기 그린(GR) 상의 볼(VB)과 홀컵(HC) 사이의 지형 정보(기울기 등)를 파악하여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산출하여 볼(VB)을 기준으로 그 산출된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따른 퍼팅 방향을 영상 상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퍼팅 가이드 장치(300)는 골프매트(50)에 구비되어 센싱장치(100)에 의해 감지된 골프매트(50) 상에서의 골프공(B)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한 제어부(210)에 의해 산출되는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골프매트(50) 상에서의 퍼팅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퍼팅 가이드 장치(300)는 도 1에서는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도 3 및 그 이후의 도면들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므로 상기한 퍼팅 가이드 장치(30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1에서는 상기한 센싱장치(100)와 제어장치(200)가 하나의 기구물로써 구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싱장치와 제어장치가 서로 분리되어, 예컨대 센싱장치가 공간(10)의 천정에 설치되어 골프매트(50) 쪽을 바라보는 화각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센싱 정보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도 1 및 2에서 나타내고 있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퍼팅 가이드 장치에 따른 특징을 설명한다.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 스크린의 화면 영상(IM) 부분과 타석(30)의 골프매트(50)를 포함하는 부분만을 각각 따로 떼어내어 도시한 도면이다.
화면 영상(IM) 상에 가상의 골프코스의 그린(GR)과 상기 그린(GR) 상의 볼(VB) 및 홀컵(HC)에 관한 영상이 구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타석(30)에 올라서서 골프매트(50)에 놓인 골프공(B)을 타격하여 퍼팅을 하면, 센싱장치(100, 도 1 참조)가 이동하는 골프공에 대한 센싱 정보를 산출하여 제어장치(200, 도 1 참조)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IM) 상의 그린(GR)에서 볼(VB)이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골프매트(50) 상의 골프공(B)을 퍼팅하기 전에,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가상의 캐디(영상 상으로 또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컨텐츠) 등에 의한 퍼팅 추천 방향을 가이드 받도록 하는 서비스 신청이 가능하다.
퍼팅 추천 방향에 대한 정보는 제어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 등에 의하여 현재의 그린(GR) 상에서의 볼(VB)과 홀컵(HC) 사이의 지형 정보(예컨대 지형의 기울기나 굴곡 등)를 고려하여 볼(VB)이 홀컵(HC)에 홀인 되도록 하기 위한 방향 또는 상기 방향에 따른 예상 볼의 경로 등에 관한 정보로써 산출되는 정보이다.
도 3에서는 영상(IM) 상의 그린(GR)에서 볼(VB)을 기준으로 퍼팅 추천 방향(PG)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퍼팅 추천 방향(PG)은 사용자가 퍼팅을 할 때 볼과 홀컵 사이의 거리가 다소 멀거나 그린의 상태가 퍼팅하기 까다로운 경우 사용자가 조작장치(미도시)를 조작하는 등의 요청에 의해 제어장치의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 등에 의해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영상(IM) 상에 퍼팅 추천 방향(PG)이 표시된 경우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고 그 감으로 골프매트 상의 골프공을 퍼팅 추천 방향과 비슷한 방향이라고 생각하면서 퍼팅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매트(50)에 구비되는 퍼팅 가이드 장치(300)가 영상(IM) 상에 표시된 퍼팅 추천 방향(PG)의 정보에 대응하여 골프매트(50) 상에서의 퍼팅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시스템이 제공하는 퍼팅 추천 방향에 따라 실제 골프매트(50) 놓인 골프공(B)에 대해 퍼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퍼팅 가이드 장치(300)가 '골프매트에 구비'된다는 것은 골프매트(50)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경우는 물론 골프매트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것은 아니지만 골프매트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퍼팅을 할 때의 시야에 보이는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골프매트 상에서의 퍼팅 방향을 안내'한다는 것 역시 퍼팅 가이드 장치가 골프매트에 직접적으로 설치되어 안내하는 경우는 물론 골프매트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퍼팅을 할 때의 시야에 보이는 위치에 설치되어 안내를 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가 센싱장치에 의해 감지된 골프매트(50) 상에서의 골프공(B)의 위치를 기준으로 화면 영상(IM)에 표시된 퍼팅 추천 방향(PG)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골프매트(50) 상에서 퍼팅 방향에 해당하는 위치를 산출하면, 퍼팅 가이드 장치(300)는 그 산출된 위치에 퍼팅 가이드 발광 표시(302)를 하여 사용자에게 퍼팅 방향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골프매트(50)가 3종 매트, 즉 페어웨이 매트(50), 러프 매트(51) 및 벙커 매트(52)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일한 매트를 상기한 골프매트로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종 매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퍼팅이 페어웨이 매트에서 이루어지므로 골프매트는 페어웨이 매트(50)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골프매트'라 함은 상요자가 퍼팅을 하도록 마련된 단일의 매트나 다종의 매트에서의 일부분(예컨대 페어웨이 매트)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매트(50) 상에는 사용자가 드라이버샷을 할 수 있도록 티(T)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티(T)는 티업용 홀(54)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상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이러한 내용은 이미 종래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 내용이다).
이러한 티(T)의 위치는 항상 고정되어 있으므로, 센싱장치가 골프매트(50)에 놓인 골프공(B)의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데 기준 위치(예컨대, x-y 좌표계의 원점)가 될 수 있고, 후술할 퍼팅 가이드 장치(300)의 발광 표시의 위치(예컨대, LED소자의 위치)를 산출할 때에도 기준 위치가 될 수 있다. 물론 티(T)의 위치가 아니라 다른 임의의 위치, 예컨대 골프매트(50)의 임의의 꼭지점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골프공(B)의 위치를 감지할 때마다 그 감지된 골프공(B)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하여 상기한 발광 표시의 위치를 산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퍼팅 가이드 장치는 사용자에게 발광 표시로써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할 수 있는 발광표시부를 기본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표시부는 다수의 LED소자가 가로 방향(도 4에서 x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LED 어레이부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바 형태의 LCD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LED 어레이부로써 퍼팅 가이드 장치의 발광표시부를 구현할 경우 발광 표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LED 소자의 발광에 의해 이루어지고, 바 형태의 LCD로써 퍼팅 가이드 장치의 발광표시부를 구현할 경우에는 발광 표시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픽셀 표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한 LED 어레이부로써 퍼팅 가이드 장치(300)가 구현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어레이부(300)에는 미리 설정된 다수개(n개)의 LED소자(L1, L2, L3...Ln)가 바 형태의 기판 위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며(여기서 n은 자연수임), 각각의 LED소자의 위치 좌표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LED소자의 위치 좌표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퍼팅 추천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의 LED소자의 번호를 쉽게 특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어레이부(300)에 구비되는 각각의 LED소자(L1, L2, L3...Ln)의 위치는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po)에서의 x-y좌표에 의해 각각 특정되어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서 모든 LED소자(L1, L2, L3...Ln)는 y축 방향의 좌표가 모두 동일하므로 x축 방향의 좌표값에 의해 위치가 각각 특정될 수 있으며, LED소자의 지정번호-좌표값의 매칭으로 각 LED소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 형태의 LCD의 경우에도 x-y좌표계에 따른 좌표값으로 발광될 부분을 각각 지정하여 그 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LED어레이부에 의해 퍼팅 가이드 장치가 구현된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화면 영상(IM) 상에서 제공되는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퍼팅 가이드 장치에서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가 퍼팅 추천 방향(PG)을 산출함에 있어서, 그린(GR) 상의 볼(VB)의 위치로부터 전방 직선 방향의 벡터(Vc), 퍼팅 추천 방향(PG)의 벡터(Vp) 및 직선 방향의 벡터(Vc)로부터 퍼팅 추천 방향의 벡터(Vp)로의 회전값(Ra)을 각각 산출한다.
여기서 회전값인 Ra는 직선방향벡터(Vc)와 퍼팅추천방향벡터(Vp)가 이루는 각도와 퍼팅추천방향벡터(Vp)가 직선방향벡터(Vc)를 기준으로 좌측인지 우측인지에 대한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5에서는 회전값 Ra가 직선방향벡터(Vc)를 기준으로 화면상 좌측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는 값으로서 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직선 방향의 벡터(Vc)로부터 퍼팅 추천 방향의 벡터(Vp)로의 회전값(Ra)을 산출하면 이를 퍼팅 가이드 장치(300)에서 표시할 발광 표시의 위치를 산출하는데에도 적용된다.
퍼팅 가이드 장치(300)에서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골프매트(50) 상에 놓인 골프공(B)의 위치를 특정하여야 한다.
센싱장치는 골프매트(50)를 포함하는 화각으로 취득한 이미지에서 골프공(B)에 해당하는 부분을 찾아서 그것이 골프공인지 여부를 결정한다(예컨대, 검출된 오브젝트의 가로세로비율, 둥근정도, 크기 등을 조사하여 골프공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임).
센싱장치가 취득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골프공을 검출하면, 좌표계의 기준 위치(po)를 기준으로 그 골프공의 위치 좌표를 계산한다. 즉, 그 검출된 골프공의 중심점을 특정하고 그 중심점의 기준위치(po)에 대한 좌표를 계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골프공(B)의 위치 좌표가 결정되면 화면 영상(IM) 상에서 제공되는 퍼팅 추천 방향(PG)에 대응되는 퍼팅 가이드 장치, 즉 LED어레이부(300) 상의 LED소자의 위치를 계산한다. 그 계산의 일 예에 대해서 도 5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B)으로부터 퍼팅 가이드 장치(300)까지의 직선 거리(ya)를 계산한다. 기준위치(po)로부터 퍼팅 가이드 장치(300)까지의 직선 거리, 즉 y축 방향의 거리값(도 5에서 ya+yb가 됨)은 이미 정해져 있고, 또한 골프공(B)의 위치 좌표도 산출되어 있으므로 기준위치(po)로부터 골프공(B)까지의 y축 방향 거리(yb)도 결정된 상태이므로, 골프공(B)으로부터 퍼팅 가이드 장치(300)까지의 직선 거리(ya)는 쉽게 계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B)으로부터의 전방직선방향(c)에 대해 상기한 회전값 Ra를 적용함에 따라, tan(ya)의 계산값에 의해 가로방향, 즉 x축 방향의 거리(xa)가 계산될 수 있다.
이때 골프공(B)의 위치 좌표가 산출되어 있으므로 그로부터 기준위치(po)로부터 골프공(B)까지의 x축 방향 거리(xb)도 결정되어 있는 바, 상기한 xa 거리와 xb 거리의 합이 퍼팅 가이드 표시를 위한 발광 표시의 위치의 x축 좌표값, 즉 퍼팅 방향 상의 LED 소자의 위치의 x축 좌표값(xa+xb)이 된다.
여기서, 골프공(B)의 위치를 기준으로 직선방향 상에 위치하는 LED소자를 제1 LED소자(Lc)라고 퍼팅 추천 방향에 대응하여, 즉 상기한 회전값 Ra가 적용된 방향 상에 위치하는 LED소자를 제2 LED소자(Lp)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내용들을 정리하면, 기준위치(po)를 원점으로 하는 x-y좌표계에 따라 상기 제1 LED소자(Lc)의 좌표는 (xb, ya+yb)가 되고, 상기 제2 LED소자(Lp)의 좌표는 (xa+xb, ya+yb)가 되어 각각 제1 LED소자(Lc) 및 제2 LED소자(Lp)의 위치 좌표 정보가 특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퍼팅LED소자(Lp)의 위치가 특정됨에 따라 해당 LED소자를 발광표시하으로써 퍼팅 가이드 장치(300)는 사용자에게 퍼팅 추천 방향(PG)에 대응하는 퍼팅 가이드 발광 표시(302)를 골프매트 상에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그 퍼팅 가이드 발광 표시(302)가 가리키는 방향(p)을 따라 퍼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사용자에게 퍼팅 가이드 발광 표시(302)만을 제공할 경우 퍼팅 방향이 전방 직선 방향으로부터 얼마나 기울어져있는지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B)으로부터 직선 방향(c) 상의 위치에서도 상기 제1 LED소자(Lc)에 의한 기준 발광 표시(301)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의 퍼팅 방향이 직선 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정도 기울어졌는지 확인을 하면서 퍼팅을 할 수 있도록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준 발광 표시(301)와 퍼팅 가이드 발광 표시(302)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의 퍼팅 상황에서 어느 정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퍼팅을 하면 되는지를 학습하면서 퍼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퍼팅 실력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이 기준 발광 표시(301)와 퍼팅 가이드 발광 표시(302)를 동시에 제공함에 있어서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LED소자(Lc)를 제1 색상으로 발광시키고 상기 제2 LED소자(Lp)를 제2 색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골프공(B)의 위치를 기준으로 직선 방향 상의 상기 제1 색상으로 발광된 부분과 구분되어 상기 제2 색상으로 퍼팅 방향을 표시하도록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LED소자(Lc)의 제1 색상을 녹색으로 발광시키고 제2 LED소자(Lp)의 제2 색상을 적색으로 발광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녹색 발광 표시를 기준으로 적색 발광 표시로 퍼팅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도 5에서는 퍼팅 추천 방향이 볼(VB)로부터의 전방 직선 방향과 다른 경우에 퍼팅 가이드 장치에서 기준 발광 표시(301)와 퍼팅 가이드 발광 표시(302)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었는데, 경우에 따라 퍼팅 추천 방향이 볼(VB)로부터의 전방 직선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매트(50) 상의 골프공(B)의 위치를 기준으로 전방 직선 방향(c) 상의 LED소자의 위치를 구하여 해당 LED소자(Lc)를 발광 표시(303)하면 되는데, 좀 더 바람직하게는 LED소자의 발광 색상을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색상 및 제2 색상과 구분되게 제3 색상으로 발광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써 사용자는 현재의 퍼팅 추천 방향이 전방 직선 방향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퍼팅 가이드 장치는 골프매트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LED어레이부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LED어레이부가 사용자의 가시 영역에 적절하게 발광 표시를 하기 위해서는 LED소자들이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LED 소자들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면 골프클럽의 타격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LED 소자들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야 그와 같은 위험성이 상당 부분 저감될 것이다. 그런데 그와 같은 배치는 사용자의 가시 영역으로 빛을 조사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장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팅 가이드 장치(300)를 LED어레이부(310)가 향하는 방향(A)에 반사부(322)가 구비되도록 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시 영역으로 각종 발광 표시(301, 302)가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퍼팅 가이드 장치(300)의 LED어레이부(310)가 골프매트(50) 상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브라켓(320)의 단부에 상기 LED어레이부(310)의 각 LED소자의 발광을 사용자의 가시 영역으로 반사시키도록 하는 반사부(322)가 구비되는 것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는 상기한 브라켓(320)과 LED어레이부(310)의 분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8에서는 상기한 LED어레이부(310)가 브라켓(320)에 결합되어 골프매트(50) 전단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B)으로부터 직선 방향(c) 상의 기준 발광 표시(301) 및 골프공(B)으로부터의 퍼팅 방향(p) 상의 퍼팅 가이드 발광 표시(302)는 LED 어레이부(310)의 해당 LED소자들이 각각 발광하는 것을 반사부(322)가 반사하여 사용자에게 잘 보일 수 있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LED어레이부를 안전하게 설치하면서도 사용자에게 퍼팅 가이드에 따른 발광 표시가 잘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도 7 및 8에서는 퍼팅 가이드 장치(300)가 LED어레이부(310)를 지지하는 브라켓(320)에 반사부(32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는데, 도 9에서는 이와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통상적으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가 적용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는 타석(30)과 골프매트(50)가 경사 구현을 위한 스윙플레이트(SP)에 구비되는데, 이러한 스윙플레이트(SP)는 경사를 구현하기 때문에 바닥에 상기 스윙플레이트(SP)가 안전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의 개구부 측벽(BW)에 LED어레이부(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반사부(330)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골프공(B)으로부터 직선 방향(c) 상의 기준 발광 표시(301) 및 골프공(B)으로부터의 퍼팅 방향(p) 상의 퍼팅 가이드 발광 표시(302) 등이 상기 반사부(330) 상에서 반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퍼팅시에는 스윙플레이트(SP)가 개구부 내에 들어간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경우에 LED어레이부(31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반사부(330)를 측벽(BW)에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시 영역으로 효과적으로 퍼팅 가이드를 위한 발광 표시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골프매트에 놓인 골프공을 타격하여 퍼팅을 할 때 시스템이 제공하는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골프매트 상에서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등에서의 사용자의 퍼팅에 있어서 사용자가 시스템이 제공하는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골프매트 상에서 제공되는 퍼팅 가이드에 따라 퍼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용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성 및 퍼팅 실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특장점이 있다.
100: 센싱장치, 200: 제어장치
210: 제어부, 220: 데이터저장부
230: 영상처리부, 240: 영상출력부
300: 퍼팅 가이드 장치, 310: LED어레이부
320: 브라켓, 322, 330: 반사부

Claims (14)

  1. 사용자가 골프매트에 놓인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볼의 이동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로서,
    상기 골프공을 감지하며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이동하는 골프공에 대한 센싱 정보를 산출하는 센싱장치;
    가상 골프코스의 그린에 대한 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센싱장치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린 상에서 볼이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구현하며, 상기 그린 상의 볼과 홀컵 사이의 지형정보에 따른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센싱장치에 의해 감지된 상기 골프매트 상에서의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골프매트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산출되는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산출된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골프매트 상에서의 퍼팅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하는 퍼팅 가이드 장치;
    를 포함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는,
    상기 골프매트의 전단부 또는 이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발광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발광표시부를 포함하여,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는,
    상기 골프매트의 전단부 또는 이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미리 설정된 다수개의 LED소자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며,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의 LED소자를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는,
    상기 골프매트의 전단부 또는 이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미리 설정된 다수개의 LED소자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며,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로부터 직선 방향에 해당하는 위치의 LED소자인 제1 LED소자를 제1 색상으로 발광시키고,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의 LED소자인 제2 LED소자를 제2 색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직선 방향 상의 상기 제1 색상으로 발광된 부분과 구분되어 상기 제2 색상으로 퍼팅 방향을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는,
    상기 직선 방향에 해당하는 위치와 상기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가 동일한 위치인 경우 해당 위치의 LED소자를 제3 색상으로 발광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는,
    상기 다수개의 LED소자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LED 어레이부와,
    상기 LED 어레이부의 LED소자가 발광하는 것을 상기 사용자의 가시 영역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7. 골프매트에 놓인 골프공을 감지하며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이동하는 골프공에 대한 센싱장치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골프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이용되는 퍼팅 가이드 장치로서,
    상기 골프매트의 전단부 또는 이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며, 미리 설정된 다수개의 LED소자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LED 어레이부를 포함하는 발광표시부;
    상기 센싱장치에 의해 감지된 상기 골프매트 상에서의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고자 하는 퍼팅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LED 어레이부 상의 위치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위치의 LED소자를 발광시킴으로써 퍼팅 가이드 표시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LED 어레이부의 LED소자가 발광하는 것을 상기 사용자의 가시 영역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를 포함하는 퍼팅 가이드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로부터 직선 방향에 해당하는 위치의 LED소자인 제1 LED소자를 제1 색상으로 발광시키고,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고자 하는 퍼팅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의 LED소자인 제2 LED소자를 제2 색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직선 방향 상의 상기 제1 색상으로 발광된 부분과 구분되어 상기 제2 색상으로 퍼팅 방향을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가이드 장치.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부의 설치 상태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LED 어레이부의 LED소자가 발광하는 것을 상기 사용자의 가시 영역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가이드 장치.
  12. 사용자가 골프매트에 놓인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볼의 이동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가상 골프코스의 그린과 상기 그린 상의 볼과 홀컵을 포함하는 가상 환경에 대한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
    상기 그린 상의 볼과 홀컵 사이의 지형정보에 따른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센싱장치에 의해 상기 골프매트 상에서의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골프매트에 구비되는 퍼팅 가이드 장치에 의해, 상기 감지된 골프매트 상에서의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산출된 퍼팅 추천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골프매트 상에서의 퍼팅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퍼팅 가이드 표시가 제공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 추천 방향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그린 상의 볼의 위치로부터 전방 직선 방향의 벡터, 상기 퍼팅 추천 방향의 벡터 및 상기 직선 방향의 벡터로부터 상기 퍼팅 추천 방향의 벡터로의 회전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퍼팅 가이드 표시가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골프매트 상에서의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까지의 직선 거리 및 상기 직선 거리에 상기 회전값을 적용함에 따라 상기 골프매트 상에서의 퍼팅 방향 상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의 상기 산출된 퍼팅 방향 상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발광 표시를 함으로써 상기 퍼팅 가이드 표시가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 가이드 표시가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로부터 직선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 상의 위치에 제1 색상으로 발광 표시를 하고,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의 상기 산출된 퍼팅 방향 상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제2 색상으로 발광 표시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직선 방향 상의 상기 제1 색상으로 발광된 부분과 구분되어 상기 제2 색상으로 퍼팅 방향을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80038345A 2018-04-02 2018-04-02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94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345A KR101994225B1 (ko) 2018-04-02 2018-04-02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9/003423 WO2019194442A1 (ko) 2018-04-02 2019-03-25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1980023408.1A CN111989141B (zh) 2018-04-02 2019-03-25 推杆导向装置、利用其的虚拟高尔夫模拟装置及其控制方法
TW108110636A TWI707713B (zh) 2018-04-02 2019-03-27 推桿導向裝置、利用其的虛擬高爾夫類比裝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345A KR101994225B1 (ko) 2018-04-02 2018-04-02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225B1 true KR101994225B1 (ko) 2019-07-01

Family

ID=6725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345A KR101994225B1 (ko) 2018-04-02 2018-04-02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994225B1 (ko)
CN (1) CN111989141B (ko)
TW (1) TWI707713B (ko)
WO (1) WO201919444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098A1 (ko) * 2020-09-09 2022-03-17 주식회사 골프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KR20220036184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20220166533A (ko) 2021-06-10 2022-12-19 홍동기 실제 필드를 체감할 수 있는 4d형 스크린 골프 모션 시뮬레이션
KR20220169629A (ko) 2021-06-21 2022-12-28 홍동기 실제 필드를 체감할 수 있는 4d형 스크린 골프 모션 시뮬레이터
KR20230000533A (ko) 2021-06-24 2023-01-03 (주)디엠비에이치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5737B1 (ja) * 2020-12-28 2022-01-24 楽天グループ株式会社 ゴルフスイング解析システム、ゴルフスイング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2970A1 (en) * 2006-10-25 2008-05-01 Jong Soo Park Indoor golf putting training apparatus
KR100970677B1 (ko) * 2009-12-31 2010-07-15 (주) 골프존 퍼팅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031384B1 (ko) * 2010-12-31 2011-04-26 (주) 골프존 에이밍 라인을 제공하는 에이밍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275714B1 (ko) * 2011-12-28 2013-06-17 노대호 평판형 퍼팅 연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560B1 (ko) * 2008-10-08 2011-11-24 주식회사 디온지씨 골프공 회전 인식 장치 및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CN101890218B (zh) * 2009-05-19 2012-07-04 高夫准株式会社 虚拟高尔夫模拟器、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器的传感方法
KR20110032458A (ko) * 2009-09-23 2011-03-30 스마트스크린골프(주) 광학적 루틴에 의거한 골프공의 속도벡터 측정과 데이터 함수를 이용한골프 시뮬레이터 변수 결정
CN103079653B (zh) * 2010-06-30 2015-06-24 高夫准株式会社 虚拟高尔夫球模拟装置及方法
CN201930499U (zh) * 2010-12-22 2011-08-17 南京金鹏生命科技有限公司 光电感应即时显示式高尔夫球挥杆准直练习器
KR101031432B1 (ko) * 2010-12-31 2011-04-26 (주) 골프존 비거리 감소율에 대한 보정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US10112099B2 (en) * 2016-04-27 2018-10-30 Ronald L. Craig Putting training apparatus
KR101902283B1 (ko) * 2016-05-26 2018-09-28 주식회사 골프존 물체의 3차원 정보 획득을 위한 카메라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2970A1 (en) * 2006-10-25 2008-05-01 Jong Soo Park Indoor golf putting training apparatus
KR100970677B1 (ko) * 2009-12-31 2010-07-15 (주) 골프존 퍼팅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031384B1 (ko) * 2010-12-31 2011-04-26 (주) 골프존 에이밍 라인을 제공하는 에이밍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275714B1 (ko) * 2011-12-28 2013-06-17 노대호 평판형 퍼팅 연습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098A1 (ko) * 2020-09-09 2022-03-17 주식회사 골프존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린의 지형 정보 제공 방법
KR20220036184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2426455B1 (ko) * 2020-09-15 2022-07-29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20220166533A (ko) 2021-06-10 2022-12-19 홍동기 실제 필드를 체감할 수 있는 4d형 스크린 골프 모션 시뮬레이션
KR20220169629A (ko) 2021-06-21 2022-12-28 홍동기 실제 필드를 체감할 수 있는 4d형 스크린 골프 모션 시뮬레이터
KR20230000533A (ko) 2021-06-24 2023-01-03 (주)디엠비에이치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4442A1 (ko) 2019-10-10
TW201941807A (zh) 2019-11-01
CN111989141B (zh) 2022-02-18
CN111989141A (zh) 2020-11-24
TWI707713B (zh)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225B1 (ko)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70677B1 (ko) 퍼팅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031475B1 (ko) 퍼팅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US20120184340A1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850180B2 (en) Screen golf system, golf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for golf information service realized in screen golf system, and computing-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s recorded therein
US10716991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method of realizing image for virtual golf, and computing-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same recorded therein
JP5584961B2 (ja) ゴルフクラブの試打システムおよびゴルフクラブの試打方法
KR20180095588A (ko) 스포츠 기구의 운동분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5334185B2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タ及びそれに備えられるセンシング装置
KR100647498B1 (ko) 원거리 타격의 시뮬레이션과 퍼팅의 실제 연습이 가능한골프 연습 시설물
KR100972826B1 (ko) 서브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US20230032604A1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sports device
KR101905324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868584B1 (ko) 트루 그린을 구비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1712836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가상 골프를 위한 영상 구현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50087432A1 (en) Golf game device, golf game server, and golf game system
KR101752310B1 (ko) 혼합 현실공간을 활용한 골프 게임 시스템
KR101142136B1 (ko) 다트 게임 장치
KR20020092266A (ko) 하이브리드 골프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0972824B1 (ko) 미니맵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20210027607A (ko) 골프코스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JP6651091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43107B1 (ko) 리얼 그린을 구비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JP7022999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50080140A1 (en) Golf game device, golf game server, and golf gam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