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928B1 - 골프공의 회전정보를 보여주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골프공의 회전정보를 보여주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928B1
KR102107928B1 KR1020190010348A KR20190010348A KR102107928B1 KR 102107928 B1 KR102107928 B1 KR 102107928B1 KR 1020190010348 A KR1020190010348 A KR 1020190010348A KR 20190010348 A KR20190010348 A KR 20190010348A KR 102107928 B1 KR102107928 B1 KR 102107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indicator
screen
golf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연승호
안효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19001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91Golf courses; Golf practising terrains having a plurality of driving areas, fairways, g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및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스크린은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 중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회전에 관한 회전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소정의 경로를 갖는 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골프공의 회전정보를 보여주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SCREEN GOLF SYSTEM SHOWING ROTATION INFORMATION OF GOLF BALL}
본 발명은 스크린 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공의 회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보여줄 수 있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 인구가 증가하면서, 실내에서 골프를 즐길 수 있는 스크린 골프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스크린 골프에서는 스크린을 통하여 골프장의 영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마치 야외에서 실제의 골프 경기를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면서도 동시에 야외의 필드에서 경기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세이브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스크린 골프는 시간이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야외에서 실제 골프를 플레이 하기 어려운 바쁜 현대인들에게 대단히 인기가 높다.
그러나 스크린 골프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사용자들의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고, 그에 따라 스크린 골프도 점점 더 현장감 있는 환경으로 변화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스크린 골프는 실제 골프장에서 플레이하고 있는 듯한 리얼리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첨단 장치들을 통하여 서비스되는 특성상 실제 골프장에서는 제공하기 어려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흥미를 유발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골프공의 회전에 관한 정보 등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보여줄 수 있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스크린 및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은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 중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회전에 관한 회전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소정의 경로를 갖는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디케이터는 상기 회전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이동궤적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라인으로 표현되고, 상기 제1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2 인디케이터의 라인을 따르는 나선형 라인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스핀에 따라 상기 제1 및 2 인디케이터의 라인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도록 표시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의 라인은 컬러로 표현되고,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스핀에 따라 상기 제1 및 2 인디케이터의 라인의 컬러 사이의 색상차가 달라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소정의 경로를 갖는 라인은 나선형 라인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회전방향은 상기 나선형 라인의 회전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회전속도는, 상기 나선형 라인에 있어서 나선 사이의 간격, 상기 나선형 라인의 굵기 및 상기 나선형 라인의 컬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거나 또는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시되며,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는 홀로그래밍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현재 타격한 골프공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다.
상기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현재에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에, 상기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동일한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과거에 타격했던 기록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따르면, 골프공의 회전에 관한 정보 등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보여줌으로서, 사용자가 과거에 골프공을 타격했을 때에 또는 현재 골프공을 타격했을 때에 골프공에 걸린 스핀 등의 회전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자신의 샷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골프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골프 실력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스크린에 표시된, 골프공의 회전상태를 보여주는 인디케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인디케이터의 다양한 표현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골프공의 이동궤적과 회전상태를 함께 보여주는 인디케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인디케이터의 다양한 표현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스크린 골프장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홀로그램 영상을 표시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골프공의 이동궤적과 회전상태를 홀로그램으로 보여주는 인디케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타격 플레이트(10), 감지부(20), 입력부(30), 산출부(40), 빔 프로젝터(50) 및 스크린(60)을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10)는 사용자에 의하여 골프공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타격존에 해당한다. 타격 플레이트(10)에는 타격 매트(11)가 구비되고, 타격 매트(11)에는 상하 이동가능한 구조의 오토 티(12)가 설치되어 있다. 오토 티(1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타격용 골프공이 제공된다.
감지부(20)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타격된 골프공에 관한 전반적인 상태 정보를 파악하는 것으로, 골프공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각종 센서나 골프공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나 카메라 등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한 1대만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여러 대가 사용될 수도 있다.
감지부(20)에서 감지되는 골프공의 움직임은 골프공의 이동속도, 이동방향, 회전상태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골프공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타격된 골프공으로부터 직접 감지될 수 있다. 골프공의 회전상태는 골프공의 스핀과 같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데, 이는 타격된 골프공으로부터 직접 감지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스윙시 골프클럽헤드의 진행방향, 골프클럽헤드가 골프공에 임팩트되었을 때 골프클럽헤드의 위치나 각도 등과 같은 간접정보로부터 파악될 수도 있다. 골프공으로부터 스핀을 직접 감지하는 경우에는, 감지부(20)의 감지수단이 이미지센싱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골프공에 특정 형상의 마커(Marker)를 하고 골프공이 회전할 때 상기 마커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골프공에 걸리는 스핀을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는 골프공에 마커를 하지 않더라도 골프공 자체의 딤플(Dimple)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골프공에 걸리는 스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간접정보로부터 골프공의 스핀을 파악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 가능한데, 골프공에 골프클럽헤드가 임팩트될 때 골프클럽헤드의 진행방향, 골프공이 골프클럽헤드에 타격되는 위치, 임팩트 시의 헤드의 페이스 각도 등을 감지함으로써 골프공에 걸리는 스핀이 백스핀(Back Spin)인지 사이드 스핀(Side Spin)인지 여부와 구체적인 스핀값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입력부(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가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골프코스나 난이도 등을 선택하는 경우 등과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정보입력이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입력부(30)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산출부(40)는 감지부(20)와 입력부(30)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동작한다.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에 관한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한다. 여기서 산출된 골프공의 움직임은, 타격된 골프공이 실제 골프장에서 비행한다고 가정할 때의 움직임이다. 즉, 스크린 골프장에서는 스크린 골프장의 공간이 작기 때문에 타격된 골프공은 스크린 골프장의 벽이나 스크린(60)에 충돌하게 되는데, 이러한 충돌이 없다고 가정하는 경우에 골프공이 어떠한 움직임을 나타내게 될 지를 타격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골프공의 이동속도, 이동방향, 회전상태 등)에 근거하여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타격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 중에서 골프공의 스핀은, 간접정보(사용자 스윙시 골프클럽헤드의 진행방향, 샷을 했을 때 골프클럽헤드의 위치, 골프클럽헤드가 골프공에 임팩트되었을 때의 각도 등)로부터 파악될 수 있다고 앞에서 설명했는데, 감지부(20)에서 상기 간접정보를 감지하여 산출부(40)에 전달하면 산출부(40)에서 상기 간접정보에 근거하여 골프공의 스핀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30)를 통하여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골프코스나 난이도 등을 입력하면, 산출부(40)는 상기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요청대로 골프코스나 난이도 등을 설정하는 제어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산출부(40)에서 산출된 골프공의 움직임은 영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영상은 빔 프로젝터(50)에서 스크린(60)으로 투사되어 스크린(60)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영상은 가상의 골프공과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영상을 포함한다. 가상의 골프공은 사용자가 타격한 실제의 골프공에 대응하는 것으로, 스크린(60) 속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은 산출부(40)에서 산출된 골프공의 움직임에 대응된다. 가상의 골프코스는 실제 골프장의 골프코스를 재현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가상의 골프코스에는 실제의 골프코스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속성의 영역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가상의 골프코스에는 실제 골프코스에 존재하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 워터 해저드 등의 영역이 표현될 수 있다.
산출부(40)에 있어서의 산출동작과 스크린(60)에 디스플레이 될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소정의 관련 데이터 등이 필요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산출부(40)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4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1)는 산출부(4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산출부(4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자의 운영 형태에 따라,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에서 스크린 골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데(후술할 도 12 관련 실시예 참조), 이 경우에는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이 중앙서버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중앙서버에 구비되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가상의 골프공과 가상의 골프코스 영상을 만들기 위한 영상 처리유닛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게임의 진행 상황을 안내하고 게임의 진행에 따른 각종 효과음을 재생하기 위한 음성 처리유닛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는 골프공이 어떻게 회전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스크린에 표시된, 골프공의 회전상태를 보여주는 인디케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인디케이터의 다양한 표현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린(60)에는 골프공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가 표시된다. 인디케이터(1)는 골프공의 움직임 중에서 골프공의 회전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스크린(60)에는 인디케이터(1)와 함께 가상의 골프공(VB; Virtual Ball)이 표시된다. 가상의 골프공(VB)은 사용자의 플레이 결과에 맞추어 가상의 골프코스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특정 골프코스의 특정 홀에서 사용자가 최초의 타격을 하는 경우에는, 가상의 골프공(VB)은 해당 골프코스의 최초의 타격위치에 놓이도록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타격을 하면 감지부(20)는 타격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고 산출부(40)에서는 상기 감지정보로부터 골프공이 어떻게 움직일 것인지를 산출해내고, 가상의 골프공(VB)은 상기 산출결과에 따라 움직이도록 스크린(60)에 표시되며 결국은 소정의 위치에 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최초의 타격이 끝나고 그에 따른 영상이 스크린(6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골프공이 상기 착지위치에 있다고 가정하고 이어지는 넥스트 샷을 하게 되며, 사용자가 넥스트 샷을 하기 전에는 스크린(60)의 가상의 골프공(VB)은 상기 착지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넥스트 샷을 하게 되면, 타격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여 다시 골프공의 움직임이 산출되고, 산출된 대로 가상의 골프공(VB)이 움직이는 영상이 스크린(60)에 표시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된다.
사용자의 샷이 이루어지기 전에 스크린(60)에 가상의 골프공(VB)이 표시될 때에 가상의 골프공(VB)과 함께 인디케이터(1)가 표시된다. 인디케이터(1)는 정지되어 있는 가상의 골프공(VB)을 시작점으로 하는 소정의 라인으로 표현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라인은 골프공의 회전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인은 개략적으로 나선형 라인(spiral line)이 될 수 있다. '나선형 라인'이란 용어는 '나사처럼 생긴 모양의 라인'이라는 의미인데, 통상의 나사는 축을 중심으로 나사산을 이루는 (대략 경사진 원형 모양이 되는) 비틀린 곡선들이 이어져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앞에서 인디케이터(1)를 '나선형 라인'이라 표현하였지만, 도 3에 도시된 인디케이터(1)는 나사모양과 매우 유사한 형태는 아니라고 볼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나선형 라인'이란 반드시 '나사'와 유사한 형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며, 나사에서 나사산을 이루는 비틀린 곡선들이 이어져 있는 것 같이, 임의의 형태를 가진 복수의 곡선들이 이어져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든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위와 같이, 인디케이터(1)는 복수의 비틀린 곡선들이 이어져서 소정의 경로를 갖는 나선형 라인으로 표현될 수 있고, 상기 나선형 라인은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가상의 골프공(VB)을 시작점으로 하여 가상의 골프공(VB)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인디케이터(1)를 통하여 골프공이 어떠한 경로로 이동하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1)를 나선형 라인의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 아래에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골프공이 이동하는 경로뿐만 아니라 골프공에 대한 회전상태의 정보를 시각적 및 직관적으로 매우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사용자에 따라서는 인디케이터(1)가 제공되지 않기를 원할 수도 있으므로, 인디케이터(1)의 제공 여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되는 옵션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나선형 라인으로 표현된 인디케이터는 골프공의 회전방향을 직관적으로 알기 쉽게 보여줄 수 있다(도 4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인디케이터를 2차원적으로 단순화하여 표현하였다). 예를 들면, 인디케이터가 골프공이 상방향으로 비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고 가정했을 때,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인디케이터의 나선형 라인이 감긴방향이 우측이라면 이는 골프공이 우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의 나선형 라인이 감긴방향이 좌측이라면 이는 골프공이 좌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다.
골프용어 중에 슬라이스(slice)와 훅(hook)이라는 것이 있다.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슬라이스는 똑바로 가다가 우측으로 꺾이는 구질의 공을 의미하고, 훅은 똑바로 가다가 왼쪽으로 꺾이는 구질의 공을 의미한다. 슬라이스나 훅은 골프클럽헤드와 골프공이 임팩트될 때에 골프공이 깎여 맞아서 스핀이 걸림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라이스나 훅은 잘못된 타격으로 간주되는데, 본 실시예에 같이 나선형 라인의 인디케이터가 골프공의 회전방향을 직관적으로 알기쉽게 보여준다면, 사용자는 자신의 타격한 골프공의 스핀이 어느 방향으로 걸리고 그에 따라 슬라이스나 훅이 어떻게 발생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골프실력을 향상시키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나선형 라인으로 표현된 인디케이터는 골프공의 회전속도를 직관적으로 알기 쉽게 보여줄 수 있다(도 5 및 도 6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인디케이터를 2차원적으로 단순화하여 표현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인디케이터의 나선형 라인에 있어서 나선 사이의 간격을 크게 표현함으로써 골프공의 회전속도가 작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도 5(a)), 나선 사이의 간격을 작게 표현함으로써 골프공의 회전속도가 크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도 5(b)).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인디케이터의 나선형 라인에 있어서 나선의 굵기를 얇게 표현함으로써 골프공의 회전속도가 작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도 6(a)), 나선의 굵기를 굵게 표현함으로써 골프공의 회전속도가 크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도 6(b)).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나선형 라인을 컬러로 표현하되, 골프공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상기 컬러가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인디케이터의 컬러만 보고 골프공의 회전속도가 어떻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명확하게 나타낼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인디케이터(1)는 가상의 골프공(VB)을 시작점으로 하는 소정의 라인으로 표현되되, 상기 라인은 복수의 화살표들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디케이터(1)를 복수의 화살표들로 구성하는 경우, 화살표의 방향으로 골프공의 진행방향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길이가 짧은 개개의 화살표가 나선형 라인의 비틀어진 방향을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골프공의 스핀방향을 보다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골프공의 회전속도에 따라 화살표의 개수를 다르게 표현하는 등의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화살표의 개수를 통하여 회전속도까지 나타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에 있어서, 인디케이터(1)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에 표시되는 것이다. 즉, 인디케이터(1)는 현재 사용자에 의하여 타격된 골프공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과거에 동일한 사용자가 동일한 골프코스에서 타격한 골프공의 회전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스크린 골프 서비스는 입력부(30)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이 이루어진 이후에 제공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신원이 파악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플레이한 결과의 기록이 각 개인별로 데이터베이스(41)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가 동일한 골프코스에서 과거에 어떠한 플레이를 하였는지의 기록도 쉽게 검색할 수 있고, 상기 검색된 과거기록에 근거하여 과거 플레이시의 골프공의 회전상태를 인디케이터(1)를 통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과거에 자신이 타격했을 때의 골프공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를 참고로 하여 현재에 보다 향상된 플레이를 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로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시의 타격결과를 보여줄 때, 해당 사용자가 동일한 골프코스에서 과거에 복수 회 플레이한 기록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 회의 기록 중 인디케이터(1)로 보여줄 기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총 5회의 플레이를 하였다면, 상기 5회 중 가장 최근에 플레이 했을 때(5회차 플레이)의 기록에 근거하여 인디케이터(1)를 보여줄 수 있다. 또는 상기 5회 중 가장 좋은 결과가 나왔을 때가 1회차 였고 가장 나쁜 결과가 나왔을 때가 3회차 였다면, 상기 1회차 또는 3회차 플레이에 근거하여 인디케이터(1)를 보여줄 수 있다. 5회차의 기록에 따라 인디케이터(1)를 생성하는 것은 가장 최근의 사용자의 플레이 결과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1회차나 3회차는 사용자의 컨디션이 가장 좋을 때나 나쁠 때의 플레이 결과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참고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또는 단순히 복수 회의 과거기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지 않고, 과거 플레이시의 결과에 대한 평균적인 결과를 산출하여 이에 근거하여 인디케이터(1)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언급한 방법은 일예에 불과하며, 이들 방법 이외에도 여러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1)로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시의 타격결과를 보여줄 때, 상기 과거 플레이는 현재와 동일한 골프코스에서 이루어진 것이고 나아가 현재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정확하게 표현하면 스크린(60) 속 가상의 골프공(VB)이 놓여 있는 지점을 의미함)과 동일한 지점에 골프공이 놓여 있는 상태에서 플레이 하였던 것이어야 한다. 하지만 골프코스가 차지하는 면적이 매우 넓기 때문에, 티오프의 경우를 제외하면 100% 동일한 위치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골프공이 놓여 있는 위치와 동일하지 않더라도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는 정도의 범위에서 과거에 타격했던 기록을 근거로 인디케이터(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골프공이 놓여 있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값을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원을 상정하고, 상기 가상의 원의 내부에 위치하는 영역에서 과거에 플레이 하였던 기록이 있는지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기록에 근거하여 인디케이터(1)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홀컵으로부터 현재 골프공이 놓여 있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산출한 후, 홀컵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원호를 상정하고, 상기 가상의 원호 상에 위치하는 영역에서 과거에 플레이 하였던 기록이 있는지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기록에 근거하여 인디케이터(1)를 생성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2가지 방법은 단순한 예에 불과하며, 이들 방법 이외에도 여러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어떠한 방법을 적용하든, 현재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과 다른 지점에서의 과거기록을 근거로 인디케이터(1)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인디케이터(1) 생성의 근거가 되는 과거기록에 있어서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과 현재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지형 속성이 동일해야 한다. 즉, 골프코스에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과 같이 다양한 속성을 갖는 지형이 있고 지형에 따라 타격감이 다르기 때문에, 가령 현재의 골프공이 페어웨이에 놓여 있다면, 과거에도 골프공이 페어웨이에 놓여 있었던 경우의 기록을 근거로 인디케이터(1)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골프공의 이동궤적과 회전상태를 함께 보여주는 인디케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인디케이터의 다양한 표현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크린(60)에는 골프공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가 표시되며, 인디케이터(1)는 제1 인디케이터(1a)와 제2 인디케이터(1b)를 포함한다. 제1 인디케이터(1a)는 골프공의 움직임 중에서 골프공의 회전에 관한 회전정보를 나타내고, 제2 인디케이터(1b)는 골프공의 이동궤적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인디케이터(1a)는 스크린(60)에 표시되는 가상의 골프공(VB)을 시작점으로 하여 소정의 경로를 갖는 나선형 라인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2 인디케이터(1b)는 스크린(60)에 표시되는 가상의 골프공(VB)을 시작점으로 하는 소정의 궤적을 갖는 라인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2 인디케이터(1b)의 라인이 갖는 궤적은 가상의 골프공(VB)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며, 제1 인디케이터(1a)의 나선형 라인은 제2 인디케이터(1b)의 이동궤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축의 주위에 나사산을 이루는 복수의 라인들이 있는 통상의 나사 모양을 가정하면, 제2 인디케이터(1b)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라인은 나사축에 대응하고 제1 인디케이터(1a)의 나선형 라인은 나사산을 이루는 라인들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디케이터(1b)를 통하여 스크린(60)에 가상의 골프공(VB)으로 표현되는 골프공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고, 동시에 제1 인디케이터(1a)를 통하여 상기 골프공의 이동경로를 따르는 골프공의 회전상태까지 파악할 수 있다. 특히, 골프공의 회전상태가 소정의 경로를 갖는 나선형 라인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앞에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골프공에 대한 회전상태의 정보를 시각적 및 직관적으로 매우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1a, 1b)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인디케이터(1a)만을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더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제1, 2 인디케이터 사이의 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 9는 인디케이터를 2차원적으로 단순화하여 표현하였다), 나선형 라인으로 표현된 제1 인디케이터(1a)와 직선 라인으로 표현된 제2 인디케이터(1b)는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9(a)에 도시된 간격을 제1 간격(d1)이라 하고 도 9(b)에 도시된 간격을 제2 간격(d2)이라 하면, 제1 간격(d1)은 제2 간격(d2) 보다 작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1a, 1b) 사이를 간격을 다양하게 표시하면, 상기 간격에 따라 골프공에 어느 정도의 스핀이 걸리는 지를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프공에 더 많은 스핀이 걸릴수록 상기 간격이 더 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1a, 1b) 사이의 간격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고, 자신의 타격이 이상적인 샷이 되었는지 또는 스핀이 걸려서 이상적인 샷에서 어느 정도나 벗어나게 되었는지를 직관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디케이터(1)를 통하여 자신이 과거에 타격했을 때의 결과를 확인하고, 자신의 샷에 있어서 부족한 점을 인지하고 추후에 이를 보완함으로써 골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인디케이터(1a)와 제2 인디케이터(1b)는 서로 다른 컬러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디케이터(1a)는 노란색으로 표시되고 제2 인디케이터(1b)는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노란색과 빨간색은 색상 차이가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제1 인디케이터(1a)와 제2 인디케이터(1b)는 비교적 쉽게 사용자에게 식별될 수 있다. 그런데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1a, 1b) 사이의 색상차를 골프공에 걸리는 스핀의 양에 따라 달라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핀이 작을 때에는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1a, 1b)를 거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컬러로 표현하고, 스핀이 클 때에는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1a, 1b)를 매우 다른 컬러로 표현할 수 있다. 색상차가 작을수록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1a, 1b)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색상차가 클수록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1a, 1b)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1a, 1b) 사이의 색상차가 어느 정도인지를 보고, 구별이 어려운 경우에는 자신의 타격이 이상적인 샷에 가깝다고 판단하고, 쉽게 구별되는 경우에는 스핀이 많이 걸려서 이상적인 샷에서 벗어나게 되었다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디케이터(1)를 통하여 자신이 과거에 타격했을 때의 결과를 확인하고, 자신의 샷에 있어서 부족한 점을 인지하고 추후에 이를 보완함으로써 골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 따르면, 사용자는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1a, 1b) 사이의 간격이나 또는 색상차 등을 통하여 골프공이 이상적인 경로(제2 인디케이터(1b)가 표시하는 이동궤적)로부터 스핀 등의 영향으로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1a, 1b)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에는 쉽게 얻을 수 없는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크린(60)에는 골프공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가 표시되며, 인디케이터(1)는 제1 인디케이터(1a)와 제2 인디케이터(1b)를 포함한다. 제1 인디케이터(1a)는 나선형 라인 등으로 표현되어 골프공의 움직임 중에서 골프공의 회전정보를 나타내고, 제2 인디케이터(1b)는 소정의 경로를 갖는 라인으로 표현되어 골프공의 이동궤적을 나타낼 수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1)는 사용자의 과거기록을 근거로 한 골프공의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었지만, 본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1)는 현재 타격된 골프공의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면 타격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부(20)에서 감지하고, 산출부(40)에서는 감지부(20)에서의 감지정보로부터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한다. 상기 산출된 골프공의 움직임은 골프공의 이동궤적과 회전상태 등을 포함하며, 산출결과는 제2 인디케이터(1b)와 제1 인디케이터(1a)에 의하여 표현된다. 이전 실시예에서는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이어서 가상의 골프공(VB)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골프공을 타격한 이후 골프공이 움직이는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가상의 골프공(VB)이 앞쪽에 먼저 표시되고 인디케이터(1)는 가상의 골프공(VB)의 뒷쪽에 표시된다.
위와 같이, 인디케이터(1)는 사용자가 과거에 골프공을 타격했을 때에 또는 현재 골프공을 타격했을 때에 골프공의 움직임을 사용자가 파악하기 쉽게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과거 또는 현재의 샷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골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스크린 골프장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는 홀로그램 영상을 표시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골프공의 이동궤적과 회전상태를 홀로그램으로 보여주는 인디케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00) 및 서버유닛(200)을 포함한다. 스크린 골프장(100)은 서버유닛(200)과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00)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전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나, 이전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도 1 등에 도시)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개별 스크린 골프장(100)에 적용될 수 있다.
서버유닛(200)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00)을 운영하는 서비스 업자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00)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중앙서버가 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먼저 로그인을 수행하는데, 서버유닛(200)은 로그인을 할 때에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로그인의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서버유닛(200)에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21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사용자의 신원 확인용 정보 이외에, 사용자 개인이 플레이 하였던 기록, 사용자가 선택하는 골프장의 골프코스 등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스크린 골프장(100)에서는 사용자의 로그인이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각 스크린 골프장(100)에는 타격 플레이트(110), 감지부(120), 입력부(130), 산출부(140), 빔 프로젝터(150), 스크린(160)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들 구성요소들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장(100)에는 상기 구성 이외에 홀로그래밍 수단(170)이 더 구비되어 있다. 홀로그래밍 수단(170)은 홀로그래밍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인데, 홀로그래밍 수단(170)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하고 먼저 홀로그램의 원리에 대해 살펴본다.
홀로그램 영상은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3차원 영상이다. 홀로그래피의 원리는, 광원에서 나온 광을 2개로 나누어서 하나의 광(참조광; reference beam)은 직접 기록매체로 향하게 하고, 다른 하나의 광(물체광; object beam)은 소정의 물체에 비추게 한 후에 상기 기록매체로 향하게 하여 기록매체를 형성한 후, 상기 기록매체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물체의 영상을 재현하는 것이다. 물체광은 상기 물체에서 산란된 후 기록매체에서 참조광과 만나서 빛의 간섭에 의한 간섭무늬를 형성하게 된다. 이 간섭무늬는 빛에 있어서 파동의 세기(intensity)와 위상(phase) 정보를 포함하는데, 세기 정보는 간섭무늬의 패턴들 간의 콘트라스트(contrast)로 기록되고 위상 정보는 간섭무늬에서 패턴들 간의 거리로 기록되며, 이렇게 기록된 간섭무늬에 참조광을 조사하면 기록매체에 기록된 간섭무늬를 3차원 홀로그램 영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섭무늬가 저장된 기록매체를 홀로그램이라고 한다.
기록매체인 홀로그램은 참조광과 실제하는 물체에 조사된 물체광 사이의 간섭무늬에 의하여 형성되고, 홀로그램 영상은 상기 홀로그램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실제하는 물체의 영상을 재현한 것이다. 따라서 원래는 실제하지 않는 물체에 대해서는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할 수 없지만, 홀로그램 기술이 발전하면서 현재는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GH; Computer Generated Hologram)이 개발되어 가공의 물체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은 컴퓨터로 간섭무늬를 계산하여 홀로그램 간섭무늬를 생성하는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으로 홀로그램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자 할 때, 컴퓨터(C)는 구현하고자 하는 입체영상에 해당하는 홀로그램 간섭무늬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홀로그램 간섭무늬 데이터는 공간 광변조기(SLM; Spatial Light Modulator)로 전송된다. 공간 광변조기(SLM)로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컴퓨터(C)에서 생성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홀로그램 간섭무늬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공간 광변조기(SLM)의 일측면에는 참조광으로 사용할 광원(Light Source; LS)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광원(LS)에서 조사되는 참조광을 공간 광변조기(SLM)의 전면에 고르게 조사하기 위해서, 확장기나 렌즈 등이 광원(LS)과 공간 광변조기(SLM)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광원(LS)에서 출사된 참조광이 공간 광변조기(SLM)의 일면에 조사되고, 공간 광변조기(SLM)의 반대면에는 공간 광변조기(SLM)의 홀로그램 간섭무늬에 의해 3차원 홀로그램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홀로그램 간섭무늬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서는, 포인트 클라우드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Point Cloud CGH)이나 폴리곤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Polygon CGH) 등을 통하여 3차원 물체를 모델링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골프공의 움직임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제공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그래밍 수단(170)에 의하여 홀로그램 영상으로 생성된 인디케이터(1)가 제공된다. 인디케이터(1)는 제1 인디케이터(1a)와 제2 인디케이터(1b)를 포함하며, 제1 인디케이터(1a)는 골프공의 움직임 중에서 골프공의 회전상태를 나타내고, 제2 인디케이터(1b)는 골프공의 이동궤적을 나타낼 수 있다.
인디케이터(1)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에 사용자의 과거기록을 근거로 하여 생성된다. 제1 인디케이터(1a)는 타격 플레이트(110)에 놓여 있는 실제의 골프공(GB; Golf Ball)을 시작점으로 하는 소정의 경로를 갖는 나선형 라인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2 인디케이터(1b)는 타격 플레이트(110)에 놓여 있는 실제의 골프공(GB)을 시작점으로 하는 소정의 궤적을 갖는 라인으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인디케이터(1b)를 통하여 골프공이 이동하는 경로를 파악할 수 있고, 동시에 제1 인디케이터(1a)를 통하여 상기 골프공의 이동경로를 따르는 골프공의 회전상태까지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디케이터(1)가, 사용자로부터 떨어져 있는 스크린(160)이 아닌 사용자 근방에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이는 인디케이터(1)가 스크린(160) 속의 영상이 아닌 홀로그램 영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홀로그램은 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필요없고 또한 디스플레이 될 장소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왜냐하면, 통상의 영상 이미지는 스크린, 모니터,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기기를 통해서만 볼 수 있지만, 홀로그램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없어도 임의의 공간에 표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1)도 장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에게 가까운 임의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홀로그램 영상의 위치를 조절하여, 인디케이터(1)가 타격 플레이트(110)에 놓인 실제 골프공(GB)을 시작점으로 하는 위치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상의 인디케이터(1)가 실물의 골프공(GB)에 결합되어 인디케이터(1)가 마치 실물인 것과 같은 리얼리티가 부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1)는 과거의 기록을 근거로 하여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나타내는 것이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과거 타격시의 골프공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현재 타격된 골프공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알고 싶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1)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기 직전까지만 제공하고,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이후에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인디케이터가 스크린(16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인디케이터
10: 타격 플레이트
20: 감지부
30: 입력부
40: 산출부
50: 빔 프로젝터
60: 스크린
100: 스크린 골프장
200: 서버유닛

Claims (11)

  1.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및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보여지는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에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회전이 포함되며,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회전에 관한 회전정보를 나타내기 위하여 소정의 경로를 갖는 라인을 포함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디케이터는 상기 회전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라인으로 표현되고, 상기 제1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2 인디케이터의 라인을 따르는 나선형 라인으로 표현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스핀에 따라 상기 제1 및 2 인디케이터의 라인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도록 표시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디케이터의 라인은 컬러로 표현되고,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스핀에 따라 상기 제1 및 2 인디케이터의 라인의 컬러 사이의 색상차가 달라지도록 표시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소정의 경로를 갖는 라인은 나선형 라인으로 표현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회전방향은 상기 나선형 라인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회전속도는, 상기 나선형 라인에 있어서 나선 사이의 간격, 상기 나선형 라인의 굵기 및 상기 나선형 라인의 컬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거나 또는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시되며,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는 홀로그래밍 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현재 타격한 골프공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현재에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에, 상기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동일한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과거에 타격했던 기록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20190010348A 2019-01-28 2019-01-28 골프공의 회전정보를 보여주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2107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348A KR102107928B1 (ko) 2019-01-28 2019-01-28 골프공의 회전정보를 보여주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348A KR102107928B1 (ko) 2019-01-28 2019-01-28 골프공의 회전정보를 보여주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928B1 true KR102107928B1 (ko) 2020-05-08

Family

ID=7067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348A KR102107928B1 (ko) 2019-01-28 2019-01-28 골프공의 회전정보를 보여주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9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986B1 (ko) * 2011-03-31 2011-11-01 (주)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893302B1 (ko) * 2017-06-23 2018-08-30 주식회사 에스지엠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986B1 (ko) * 2011-03-31 2011-11-01 (주)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893302B1 (ko) * 2017-06-23 2018-08-30 주식회사 에스지엠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1347B2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11278787B2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9345957B2 (en) Enhancing a sport using an augmented reality display
US10328339B2 (en) Input controller and corresponding game mechanics for virtual reality systems
US20100311512A1 (en) Simulator with enhanced depth perception
CN109429052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设备的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CN102015046B (zh) 游戏系统、游戏装置的控制方法
US10850180B2 (en) Screen golf system, golf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for golf information service realized in screen golf system, and computing-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s recorded therein
JP3927821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US20190099655A1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method of realizing image for virtual golf, and computing-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same recorded therein
KR101767356B1 (ko) 트레이닝 연습의 진행을 자동으로 평가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US20220355210A1 (en) Virtual sports device and virtual sports system
JP2005034619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挙動計測装置
KR101905324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893302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US202202704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wagering event between sports activity players with stored event metrics
KR101934698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2107928B1 (ko) 골프공의 회전정보를 보여주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2091782B1 (ko) 컬링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가상 컬링 경기수행 방법
KR102344919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20090046088A (ko) 체감형 가상현실 비디오 게임시스템
KR102106719B1 (ko) 인터페이스용 홀로그램을 제공하는 가상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KR10193772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87810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20043552A (ko) 대전 장치 및 대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