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279A -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279A
KR20090105279A KR1020080030640A KR20080030640A KR20090105279A KR 20090105279 A KR20090105279 A KR 20090105279A KR 1020080030640 A KR1020080030640 A KR 1020080030640A KR 20080030640 A KR20080030640 A KR 20080030640A KR 20090105279 A KR20090105279 A KR 20090105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golf
putter
light receiv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8147B1 (ko
Inventor
김원일
Original Assignee
(주) 골프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골프존 filed Critical (주) 골프존
Priority to KR102008003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147B1/ko
Priority to PCT/KR2009/001677 priority patent/WO2009145463A2/ko
Publication of KR20090105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와 방법은, 골프공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퍼터의 이동을 감지하는 퍼터센서부를 포함하는 골프공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감지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값으로부터 상기 골프공의 이동속도와, 이동각도를 산출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산출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물리엔진과, 상기 물리엔진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와, 상기 골프공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내에 저장되어 있는 3차원 영상데이터를 복합하여 처리하는 3차원 영상처리 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하여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퍼터 페이스 앵글, 퍼터 임팩트 포인트

Description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olf Putting Simulation}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공의 이동속도와, 이동각도를 산출한 후, 산출된 값을 보정한 후,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와 상기 보정된 값을 복합 처리하여 디스플레부에 제공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프가 대중화되면서, 실제 골프장을 이용하는 인구도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골프장에 갈 시간적 및 경제적 여유가 없는 플레이어나 실제 골프장을 이용하기에 거북한 초보자를 중심으로 실내골프장을 찾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내 골프장도 대개는 장타를 연습하기 위한 시설이므로, 퍼팅 연습을 하고자 하는 플레이어들은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에 인조잔디로 간단한 퍼팅 연습 시설을 마련하고 여기에서 연습을 하고 있지만, 이러한 퍼팅 연습시설은 필드와 같은 현장감이 없을 뿐만 아니라, 플레이어가 오직 감으로 홀에 골프공을 넣는 동작을 수행하여 플레이어에게 퍼팅시의 다양한 정보(타격 방향 및 속도 등에 대한 정보 등)를 제공하지 못하여, 특히 초보자가 퍼팅 연습시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실내 골프장은 붐비는 시간이 있어 예약을 해야 하는 경우나 대기해야 하는 경우도 많아, 일부 플레이어들은 자택의 옥상 등의 공간에 간이 골프시설을 설치하여 자신의 집에서 골프를 즐기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간이 골프시설은 실제 필드의 현장감이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실제 필드를 모의화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가 보급되고 있으나, 이러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골프 코스 전체 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장치이므로, 장치가 방대하고 가격도 고가이어서, 실내에서 퍼팅 연습만을 하고자 하는 플레이어가 사용하기가 부담스러운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3D 입체영상을 제공하여 필드에서 골프를 하는 것과 같은 시각적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플레이어의 스윙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정확한 퍼터의 이동경로를 측정하여 제공하고 또한, 골프공의 이동 비거리와 방향을 센싱하고, 그 값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와 방법은, 골프공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퍼터의 이동을 감지하 는 퍼터센서부를 포함하는 골프공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감지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값으로부터 상기 골프공의 이동속도와, 이동각도를 산출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산출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물리엔진과, 상기 물리엔진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와, 상기 골프공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내에 저장되어 있는 3차원 영상데이터를 복합하여 처리하는 3차원 영상처리 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하여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와 방법에 따르면, 필드에서 골프를 하는 것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플레이어의 스윙자세를 교정할 수 있고, 또한, 골프공이 이동하는 비거리 및 방향을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서부(110), 콘트롤부(120), 마이컴(130), 메인컴퓨터 (140)와, 디스플레이부(150), 본체부(20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골프공 감지센서(300)와 퍼터 감지센서(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들(300,400)은,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본체부(200)에 장착된다. 콘트롤부(120)는, 콘트롤 키패드(122)와, 리모트 콘트롤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컴(130)은, 센서보드(132)와, 키패드 제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컴퓨터(140)는, 중앙제어부(141), 인터페이스 모듈(142),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3), 물리엔진(144), 3차원 영상 데이터베이스(145), 3차원 영상처리엔진(146), 리모트 콘트롤 제어부(147)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LCD 모니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음성출력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와, 각 구성요소간의 연동관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부(110)와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본체부(200)와의 결합되는 방법과, 골프공의 속도와 방향, 퍼터의 이동경로 등에 대해 센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센서부(110)에서 센싱된 데이터들은, 센서보드(132)를 통하여 인터페이스 모듈(142)로 전달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42)은, 상기 센싱 데이터를 물리정보로 가공한다.
상기 콘트롤부(120)의 콘트롤 키패드(122)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마이 컴(130)의 키패드 제어부(134)를 통해 메인컴퓨터(140)로 전달하고, 전달된 입력데이터는, 메인컴퓨터(140)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콘트롤부(120)의 리모트 콘트롤러(124)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플레이 중 프로그램 제어와 옵션 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단축 기능 등을 수행하며, 상기 정보를 상기 메인 컴퓨터 (140)에 설치된 리모트 컨트롤 제어부(136)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정보를 처리한다.
마이컴(130)은, 센서부(110)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상기 메인컴퓨터(140)내의 인터페이스 모듈로 전달하는 역할과, 상기 센서부(110)와 상기 메인컴퓨터(140)내의 메인 소프트웨어의 상태 정보를 소통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마이컴(130)의 센서보드(132)는, 센서부(110)에서 센싱된 정보를 분석하여, 각각의 센서부(110)의 점멸 타임에 의한 시간차를 가지고 메인컴퓨터(140)의 인터페이스 모듈(142)로 상기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상기 메인컴퓨터 (140)로부터 메인 소프트웨어의 스탠바이 상태를 상기 센서부(110)에 알려 원활한 플레이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마이컴(130)의 키패드 제어부(134)는, 콘트롤 키패드(122)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메인컴퓨터(1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컴퓨터(140)내의 중앙제어부(141)는, 상기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모든 구성요소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메인 소프트웨어를 운영하고, 각 구성요소 간의 원활한 연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중앙제어부(141)의 제어를 받는 메인소프트웨어는, 인터페이스 모듈(142)과 3차원 영상처리엔진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통합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퍼터의 이동경로와 스윙속도를 구간별로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의 제 1영역(161)은, 중앙선을 기준으로 각 거리 포인트 당 좌우 이탈범위를 디스플레이하여 이동경로를 보여주고, 각 구간 당 퍼터의 속도에 따라 퍼터 사이의 공간이 빠를수록 벌어지고 느릴수록 좁아지게 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골프공의 속도와 방향을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의 제 2영역(162)은, 골프공의 속도와 방향이 메인 소프트웨어에서 공을 추진시키는 물리량과 골프공의 진행방향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퍼터 페이스의 앵글을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의 제 3영역(163)은, 센서부(110)로부터 얻어진 각쌍의 센서의 시간차가 인터페이스 모듈 (142)에서 각도로 변환된 후, 비주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도 1D를 참조하면, 퍼터 임팩트 포인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의 제 4영역(164)은,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 퍼터 헤드의 어느 부분이 공에 부딪쳤는지를 라인으로 이루어진 수광센서의 점멸 위치에 따라 치우침을 유추하여 메인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에서 비주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상기 제 4영역(164)은, 볼의 이동 순간과 퍼터의 그림자 사이의 시간을 유추하여 얻어진 결과 값으로 퍼터의 높이를 유추하여 퍼터의 임팩트 높이를 디스플레이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142)은, 센서부(110)와 중앙 제어부(141)의 메인 소프트웨어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센서부(110)의 골프공 감지센서(300)로부터 센싱된 값을 가공하여 방향과 속도를 산출하여 메인 소프트웨어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42)은, 단순히 방향 값만을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방향에 따른 비거리의 오차 보정 및 비거리 산출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의 퍼터 감지센서(40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시간 값을 각도 단위로 환산하여 환산된 데이터를 메인 소프트웨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3)는, 상기 골프 퍼팅 시뮬레이터 장치를 사용하는 플레이어들의 인적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적정보는, ID와 패스워드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터 장치 내의 콘트롤 키패드(122) 또는 리모트콘트롤러(124)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해서 ID와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등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3)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등을 통해 사용자 정보등을 입력할 수도 있고, 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3)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 퍼팅 시뮬레이터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ID 및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여 하고,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43)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골프 퍼팅 시뮬레이터 장치의 사용여부를 승인하는 역할을 한다.
물리엔진(144)은, 상기 중앙제어부(141)로부터 전달 받은 골프공의 방향과 속도 등을 가상 환경내에서 사실적으로 묘사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를 가공 한다. 이를 위해, 일반 물리법칙인, 운동법칙과 운동에너지, 충돌 에너지의 원리등을 적용하여, 상기 골프공의 방향과 속도 등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얻어진 데이터는, 3차원 영상 처리엔진(146)으로 전달된다.
3차원 영상 데이터베이스(145)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디스플레부 (150)로 전달되는 모든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3차원 영상처리엔진(146)의 요청이 있을 때에는, 상기 영상 또는 음성데이터를 상기 3차원 영상처리엔진(146)으로 전달하여, 현실감 있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3차원 영상처리 엔진(146)은,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3D가상 세계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으로 디스플레부(150)를 통해서 3D 영상데이터를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임의 가상공간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가상공간내에 각종 데이터를 편집하여 생생한 현장감과 상기 물리엔진(144)을 통하여 얻어진 물리 값을 그래픽과 함께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리모트 콘트롤 제어부(147)는, 리모트 콘트롤러(12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중앙제어부(141)로 전달하는 역할과, 리모트 콘트롤러(124)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중앙제어부(141)와 3차원 영상처리엔진(146)으로부터 데이터를 제공 받아, 플레이에 필요한 영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모니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성출력부(151)는, 플레이 중에 관련되는 효과음을 중앙제어부(141)로부터 전달받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디스플레이부(150)내에 장착될 수 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외 센서부가 장착된 본체부(200)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200)는, 골프공이 셋팅되어 퍼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퍼팅 매트(210)와, 골프공을 셋팅하는 셋팅부(220)와, 골프공의 진행을 감지하는 골프공 감지센서부(300)와, 퍼터의 이동 등을 감지하는 퍼터 센서부(40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감지 센서부(300)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지 센서부(300)는, 골프공 감지센서(310)와 반사거울 (320)을 포함한다. 골프공 감지센서(310)와 반사거울(320)은, 복수개의 감지센서(310)와 복수개의 반사거울(3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감지센서(310) 2개와, 반사거울(320) 2개를 포함하는 경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겠지만, 당업자가 설계변경 할 수 있는 범위내로 확장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그러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골프공 감지센서 (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 1 골프공 감지센서(310_1)와, 제 2골프공 감지센서(310_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골프공 감지센서(310_1 및 310_2)와 대응되는 제 1반사거울(320_1)과 제 2반사거울(320_2)은, 상기 제 1 및 제 2 골프공 감지센서(320_1 및 320_2)와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또한 상호간에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골프공 감지센서(310)는, 레이저 등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센서와, 상기 발광된 광을 반사하는 상기 반사거울(320)로부터 상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골프공 감지센서(310_1 및 310_2)들과 상기의 반사거울 (320_1 및 320_2)의 상호간의 배치는, 골프공의 이동속도와 골프공의 이동각도를 정확히 측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당업자가 설계 변경할 수 있는 범위내로 확장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골프공 감지센서(31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면, 제 1골프공 감지센서(310_1)는, 자신의 구성요소의 일부인 발광센서를 이용하여, 레이저등의 광을 반사거울(320)로 발광하고, 상기 반사거울(320)로부터 반사된 광을 자신의 구성요소의 일부인 수광센서를 이용하여 수광한다. 여기서, 제 1골프공 감지센서 (310_1)는, 제 1 또는 제 2 반사거울(320_1 및 320_2) 중 어느 것에도 발광을 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 1반사거울(320_1)로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반사거울(320_1)에 레이저 등의 광이 도달하면, 이를 제 1골프공 감지센서(310_1)의 수광센서로 반사된다. 이로 인해,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골프공 감지센서(310)와 반사거울(320)사이에는, 레이저 등의 광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형성된 레이저등의 광을 통과하는 골프공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된 골프공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골프공의 감지 시간등의 데이터는, 메인컴퓨터(140)로 전송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 2골프공 감지센서(310_2)도, 동일한 방식으로 골프공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골프공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골프공의 감지 시간등의 데이터가 메인컴퓨터(140)로 전송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방향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팅부(220)(즉, 골프공이 놓이는 위치)를 통과하는 중앙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골프공의 이동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감지된 골프공의 시간과 골프공의 방향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골프공의 속도와 골프공의 방향 및 골프공의 이동각도를 구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골프공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골프공감지센서(310_1)의 광이 통과하는 제 1라인과 제2골프공감지센서(310_2)의 광이 통과하는 제 2라인을 통과한다. 골프공이 상기의 제 1라인과 제 2라인을 통과하는 각각의 시간을 측정한다. 측정된 시간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42)로 전달된다. 상기 측정된 시간을 전달 받은 인터페이스 모듈(142)은, 두 개의 측정된 시간 값과 상기 발광된 제 1라인과 제 2라인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골프공의 평균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모듈(142)은, 상기 골프공의 평균 속도 값을 보정하여, 골프공의 이동거리, 즉 비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된 값은, 물리엔진을(146)을 통해, 사실적 묘사작업을 통한 후, 디스플레이부(150)로 전달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골프공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팅부(220)를 통과하고, 골프공 감지센서(310)와 반사거울(320)의 정 중앙의 점을 연결하는 중앙라인을 기준으로 좌, 우 또는 상기의 중앙라인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골프공 감지센서(310)는, 상기 골프공의 통과 지점을 센싱하고, 센싱된 데이터를 메인컴퓨터 (140)로 전달한다. 또한, 더 엄밀하게, 골프공의 이동각도는, 중앙라인을 기준으로 골프공의 이동경로가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며, 상기 이동각도는 도 3C와 도 3D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C와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라인과 골프공의 이동경로가 이루는 각도가, 예를 들면, 5도인 경우, 상기 골프공이, 상기 제 1라인을 통과한 시간과, 상기 제 2라인을 통과한 시간을 측정하고 양 시간사이의 비를 만든다. 또한, 상기 중앙라인과 골프공의 이동경로가 이루는 각도가 10도인 경우, 15도인 경우 등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상기 제 1라인을 통과한 시간과, 상기 제 2 라인을 통과한 시간을 측정하고 양 시간사이의 비를 만든다. 이러한 이동각도와 양 시간의 비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식과 그래프가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중앙라인과 골프공의 이동경로가 이루는 각도를 5도 단위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상관관계식은, 도 3d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확장 또는 변경할 수 있는 범위내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골프공의 이동속도와, 골프공의 이동방향, 골프공의 이동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원리의 알고리즘은, 메인컴퓨터(140)내에 입력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컴퓨터(140)는, 상기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골프공의 이동속도와, 골프공의 이동방향과, 골프공의 비거리 및 골프공의 이동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퍼팅센서부(400)를 설명하기로 한단. 도 2를 참조하면, 퍼팅센서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퍼팅발광부 (410)와, 복수개의 수광부(420 내지 46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하나의 발광부(410)와 9개의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설계 변경할 수 있는 범위내로 발광부와 수광부의 개수는 확장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발광부(410)와 수광부(420 내지 460)의 위치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발광부(410)는, 셋팅부(220)를 기준으로 전면의 상단에 위치한다. 전면의 상단에는 디스플레부(150)가 위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부(410)는 별도의 지지부 없이, 디스플레부(150) 위에 배치될 수 도 있다. 또한, 수광부(420 내지 460)는, 셋팅부(220)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두개를 한 쌍으로 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쌍의 수광부(420 내지 460)는, 셋팅부(220)를 통과하는 중앙라인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셋팅부(220)을 기준으로 하여 바로 뒤에 한 개의 수광부(460)가 별도로 위치될 수 있다.
퍼팅센서부(4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팅부(220)의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제 1수광부(420_1, 420_2)와, 상기 제 1수광부(420_1, 420_2)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뒤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수광부(430_1, 430_2)와, 제 2수광부(430_1, 430_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뒤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3수광부(440_1, 440_2)와, 제 3수광부(440_1, 440_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뒤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4수광부(450_1, 450_2)를 포함하고, 셋팅부(2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뒤에 배치되는 제 5수광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수광부(420 내지 460)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별개의 수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쌍을 이루는 4개의 수광부(420 내지 450)는, 각각 8개의 수광센서를 구비하며, 수광부(460)는, 6개의 수광센서를 구비한다. 각 수광부(420 내지 460)의 수광센서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설계 변경할 수 있는 범위내로 확장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그러면, 발광부(410)와 수광부(420 내지 460)를 이용하여, 퍼터의 페이스 앵글, 퍼터의 이동경로, 퍼터의 임팩트 포인트, 퍼터의 스윙속도, 퍼터의 임팩트 높이 등의 측정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측정원리는, 발광부(410)로부터 레이저 등을 포함하는 광이 발광되고 있는 상태에서, 플레이어가 퍼터로 스윙을 하는 경우, 퍼터의 헤드가 수광부(420 내지 460)를 지나가면서 상기의 광을 반사하여, 수광센서 중 일부는 상기 광을 인식하지 못하여 Off 상태로 되고, 반대로 상기 퍼터가 지나가지 않은 수광센서는, 상기 광을 흡수하여 On 상태로 된다. 상기 수광센서의 On/Off 상태는, 반대로 발생될 수 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수광센서가 측정한 데이터는, 메인컴퓨터 (140)로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보정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상기 수광부(420 내지 460)를 구성하는 수광센서는, 플레이어가 퍼터로 스윙을 하는 경우, 상기 퍼터의 이동경로를 측정할 수 있는 범위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수광부(420_1, 420_2)는, 플레이어가 퍼터를 이용하여 공을 친 후에, 페이스(face)의 열림과 닫힘 정도를 읽어 타격 후 변동유무를 체크하고, 상기 제 2수광부(430_1, 430_2)는, 퍼터의 페이스 앵글(angle)과, 퍼터가 다운스윙시 궤도 및 템포(tempo)를 센싱하고, 제 3수광부(440_1, 440_2) 및 제 4수광부 (450_1,450_2)는, 백스윙 거리와 다운스윙시 궤도 및 템포를 센싱하고, 제 5수광부 (460)는, 플레이어가 제 3수광부(440_1, 440_2) 및 제 4수광부(450_1,450_2)까지 미치지 않는 짧은 퍼팅을 한 경우에, 상기 제 3수광부(440_1,440_2)와 제 4수광부 (450_1,450_2)를 대체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퍼터의 임팩트 높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플레이어가 퍼터를 자신의 몸쪽으로부터 바깥쪽방향으로 스윙하는 경우를 오픈상태라고 하고, 반대로, 바깥쪽으로부터 몸쪽 방향으로 스윙하는 경우를 클로즈 상태라고 규정한다. 이러한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어가 몸쪽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스윙하는 오픈상태인 경우에는, 한 쌍의 대칭되는 수광부(420 내지 450) 중 플레이어에 가까운 수광부에서 먼저 퍼터의 헤드를 센싱하고, 그 후에, 상기 플레이어로부터 멀리 있는 수광부가 퍼터의 헤드를 센싱하게 된다. 반대의 경우, 즉, 클로즈 상태인 경우에는, 수광부(420 내지 450) 가 퍼터의 헤드를 센싱하는 순간도 바뀌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쌍의 수광부 (420 내지 450)가 상기 헤드를 측정하는 시간차를 이용해서, 퍼터의 페이스 앵글의 각도를 구할 수 있다. 다만, 보다 정확한 앵글의 각도를 산출하기 위해, 다운스윙 스피드로 보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컴퓨터(140)내의 인터페이스 모듈(142)에서 행해진 후, 물리엔진(144)을 통해 실질적으로 구현된다.
도 4C1 내지 도 4C3를 참조하여, 퍼터의 이동경로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C1은, 플레이어가 퍼터를 일직선으로 스윙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4C2는, 플레이어가 퍼터를 몸 바깥쪽으로부터 몸 안쪽 방향으로 스윙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4C3은, 플레이어가 퍼터를 몸 안쪽으로부터 몸 바깥쪽 방향으로 스윙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의 경우, 발광부(410)로부터 발광된 광이 퍼터의 헤드에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420 내지 460)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수광센서 중 일부가 상기의 광을 수광하지 못한다. 즉, 상기 퍼터의 헤드가 상기 수광센서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410)로부터 발광된 광이 반사되어 상기 수광센서가 상기 광을 인식할 수 없다. 반대로, 상기 퍼터의 헤드가 상기 수광센서를 통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410)로부터 발광된 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상기 수광부(410 내지 450)에 포함된 수광센서 중 일부는, 발광부(410)로부터 발광된 광을 인식할 수 있고, 그 외 나머지의 수광센서는 광을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도 4C1 내지 도4C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420 내지 450)는, 퍼터 헤드의 이동경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값을 메인컴퓨터(140)로 전송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값을 영상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플레이어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도 4D를 참조하여, 퍼터의 임팩트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C1 내지 도 4C3에서 설명한 원리와 마찬가지로, 퍼터의 헤드가 골프공에 부닥치는 순간은, 제 2수광부(430_1, 430_2)에서 센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수광부(430_1, 430_2)에 포함된 복수 개의 수광센서 중, 퍼터의 헤드가 이동하는 이동경로 밑에 있는 수광센서는, 발광부(410)에서 발광된 광을 인식할 수 없다.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면, 퍼터의 헤드의 어느 부분이 골프공에 부닥치는지를 센싱할 수 있게 된다. 도 4D의 경우에는, 일예로, 퍼터의 헤드가 플레이어의 몸쪽방향으로 치우쳐서 골프공에 타격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퍼터의 스윙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퍼터의 헤드가, 상기 각각의 수광부(420 내지 450)를 통과하는 시간값을 센싱하여 센싱된 시간 값과, 각각의 수광부가 배치된 거리를 환산하여, 각 구간별(각각 배치된 수광부 사이의 구간) 속도를 환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값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센싱된 값을 메인컴퓨터(140)로 전달하고, 센싱된 값을 보정하여,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플레이어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도 4E1과, 도 4E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터 임팩트 높이를 센싱하는 제 1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퍼터 헤드가 골프공의 윗부분을 타격한 경우에는, 상기 골프공에 스윙에너지 가 모두 전달되지 않고, 골프공이 접해 있는 바닥에 충격량으로 일부 손실되어, 골프공의 이동거리, 즉 비거리를 감소킨다. 반대로, 퍼터 헤드가 골프공의 아랫부분을 타격한 경우에는, 상기 골프공이 높이 치솟아 이동거리, 즉, 비거리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상기 퍼터 임팩트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정보를 플레이어에게 전달하여, 자세 교정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측정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E1과, 도 4E2를 참조하면, 제 5수광부(460)는, 복수개의 수광센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6개의 수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부(200)내의 셋팅부(210)위에 공유무감지 하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광센서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설계 변경할 수 있는 범위내로 확장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플레이어가 골프공을 퍼팅하는 경우, 하중센서는, 골프공이 퍼팅되는 순간의 시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즉, 골프공이 퍼팅되는 순간, 상기 하중센서로부터 골프공이 없어지면 출력 값이 감소하게 되어 골프공의 이동되는 시점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6개의 수광센서는, 셋팅부(220)에 배치된 골프공과 가장 가까운 수광센서를 제1수광센서로 하고, 가장 멀리 배치된 수광센서를 제 6수광센서로 한다. 도 4E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수광센서는, 상기의 발광부(410)로부터 발광된 광이 상기 셋팅부(220)에 배치된 골프공을 통과하는 광 중 골프공에 가장 인접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4E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수광센서는, 상기의 발광부(410)로부터 발광된 광을 계속 수광하지만, 퍼터가 지나가는 일순간에는, 퍼터의 헤더에 의해 광이 반사되어 수광되지 못하는 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 6수광센서가 상기의 시점을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중센서가 측정한 시간값과, 제 6의 수광센서가 측정한 시간 값을 이용하여 퍼터의 임팩트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E2와 도4E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퍼터가 골프공의 윗부분을 타격한 경우(1)와, 상기 골프공의 아랫부분을 타격한 경우(2)에는, 제 6수광센서가 상기 (1)과 상기 (2)의 상기 퍼터의 헤드를 감지한 시점과, 상기 하중센서가 상기 골프공의 이동순간을 측정한 시점과의 시간 차이가 발생된다. 즉, 도 4E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터의 임팩트 높이가 높을수록, 상기 시간 차가 비례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시간 차를 이용하여, 상기 퍼터의 임팩트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된 시간 차와 퍼터의 임팩트 높이를 반복 실험하여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데이터를 수식으로 환산한 후 높이를 계산할 수 있다. 다만,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전술한 퍼터의 스윙속도 값으로 상기 산출된 높이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값이 메인컴퓨터(140)로 전달되고, 상기 메인컴퓨터(140)는, 상기 측정된 값을 보정한 후, 영상데이터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플레이어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도 4E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터 임팩트의 높이를 센싱하는 제 2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E3을 참조하면, 셋팅부(220)위에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를 장착한다. 퍼터의 헤드가 상기 골프공의 윗부분을 타격한 경우에는, 상기 충격량을 상기 하중 센서가 센싱하여 메인컴퓨터(14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충격량은, 다운스윙 속도에 따라 오차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충격량을 상기 다운스윙 속도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정은, 상기 메인컴퓨터(140)에 의해, 상기 센싱값이 보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골프 퍼팅시뮬레이션 장치의 사용을 위해서는 사용자 인증과정이 필요하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플레이어 인증을 한다(S502). 플레이어가 처음으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등록을 먼저 하여야 한다. 입력수단을 사용하여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정보들은,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등록을 한 후, 또는 이미 사용자 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레이를 시작 전에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자신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플레이어 인증 절차를 거친 후 퍼팅환경을 설정하여, 플레이를 시작할 수 있다.
플레이어 인증을 마친 후에는, 플레이어는 퍼팅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S504). 상기의 퍼팅 모드는, 플레이어의 스타일과 조건에 따라 원하는 플레이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퍼팅모드는, 연습모드(S506)와, 실전 모드(S508)와, 다트모드(S510) 등이 있다. 상기의 퍼팅모드를 자세히 살펴보면, 연습모드(S506)는, 퍼팅 연습 그린처럼 플레이어가 자유롭게 실시간으로 퍼팅환경과 라이를 자유롭게 변경 하여 자신의 취약점이나 향상을 원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또한, 실전 모드(S508)는, 실제 존재하는 C.C를 바탕으로 제작된 그린 위에서 각각의 그린들을 공략하고 익히기 위한 모드를 의미하고, 다트모드(S510)는, 퍼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홀 컵을 향한 집중력과 붙인다는 개념을 포인트로 역은 게임성을 강조하고 학습성취도를 부각시킨 모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의 퍼팅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의 퍼팅 모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설계 변경할 수 있는 범위내로, 확장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도 5C 및 도 5D은, 플레이어가 연습모드를 선택했을 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플레이어가 상기 퍼팅모드 중 연습모드 (S506)를 선택한 경우, 그린과 거리선택을 한다(S507). 도 5C는, 플레이어가 거리를 선택한 경우, 일 예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도 5D는 플레이어가 그린 유형 및 그린 스피드를 선택한 경우, 일예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는, 그린의 굴곡 형태와 거리와, 그린의 빠르기 등의 자유도가 높게 설정되어 있는, 그린과 거리 선택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제공된 모드 중 그린과 거리를 선택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그린과 거리를 선택한 후, 플레이 옵션 설정을 한다(S512). 이에 대해서는, S508 내지 S511을 설명한 후, 이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E 내지 도 5L는, 플레이어가 실전모드를 선택했을 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E 내지 도 5L을 참조하면, 플레이어가 상기 퍼팅모드 중 실전모드(S508)를 선택한 경우, C.C를 선택한다(509). 도 5E는, 일예로, 실전모드의 플 레이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 한 화면이고, 도 5F는, 일예로, 홀인원 등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 화면이고, 도 5G는, 일예로, 화면방향의 조정을 디스플레이 한 화면이고, 도 5H는, 일예로, 스코어 보드 창을 디스플레이 한 화면이고, 도 5I는, 일예로, 실전모드 메뉴를 디스플레이 한 화면이고, 도 5J는, 일예로, 정보창 표시설정을 디스플레이 한 화면이고, 도 5K는, 일예로, 그린스피드 설정을 디스플레이 한 화면이고, 도 5L은, 일예로, 게임 종료 메시지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다. 플레이어는, 실전 모드 중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용하여,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는, 실제 존재하는 C.C를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C.C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자신이 원하는 C.C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C.C 모드를 선택한 후, 플레이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S512)로 이동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M 및 도 5O는, 플레이어가 다트모드를 선택했을 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M 및 도 5O를 참조하면, 플레이어가 상기 퍼팅모드 중 다트 게임(S510)를 선택한 경우, 플레이 룰을 설정한다(S511). 도 5M은, 일예로, 다트모드의 플레이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 한 화면이고, 도 5O는, 일예로, 어드바이스를 활성화 한 화면이다. 다트게임은, 플레이가 골프공을 홀 컵에 근접하게 접근시킨 정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순위를 정하는 방법이다. 점수를 부여하고, 순위를 부여하는 방법은, 플레이어의 성향이나 취향을 반영하여 선택 가능하며, 플레이어는, 이러한 게임의 룰을 설정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S507, S509, S511 중 하나를 선택한 후, 플레이 옵션을 설정한다 (S512). 즉,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의 선택된 모드에 대해, 플레이 도중이라도, 그린의 빠르기나, 라이의 변형 거리등의 플레이 옵션과 환경설정에 관한 옵션 설정 기능등을 제공하며, 플레이어는, 제공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플레이 옵션을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플레이 옵션을 설정하면,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설정이 모두 끝나게 된다. 상기 설정이 끝나면, 플레이어는 퍼팅을 시작하게 된다. 골프공과, 센서부와 디스플레이부 등으로 구성된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물리적 구성요소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플레이어가 골프공을 타격한다(S514). 플레이어가 퍼터를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퍼터의 이동방향 등과, 상기 골프공의 이동 방향 등이 센싱된다.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에 포함된 골프공 감지센서가, 상기 타격된 골프공을 센싱한다(S516). 플레이어의 퍼팅을 통해 구르게 된 골프공은, 상기 골프공 감지센서를 통해 각각의 구간 시간대가 표시되고, 이러한 구간 별 시간은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골프공의 속도와 이동방향이라는 운동에너지로 변환되어 3D 가상 공간 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에 포함된 퍼터 감지센서가, 상기 퍼터의 이동경로 등을 센싱한다(S518). 플레이어가 퍼팅을 하는 순간에 이루어지는 퍼터와 골프공의 충돌 현상 진행과정 중 퍼터가 이루는 패스와 각도, 바닥으로부터의 높이, 빠르기와 리듬 등 여러 정보를 수집후 이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기도 하며 어드바이스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로 활용하기도 한다.
상기 골프공 감지 센서 및 퍼터 감지센서의 상기 센싱된 값을 인터페이스 모듈로 전달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센싱된 값을 데이터로 변환한다 (S520).
도 5P는, 플레이어가 데이터 분석 모드를 선택했을 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P를 참조하면, S522 단계 또는 S524단계에서 데이터 분석모드를 선택했을 때, 일예로, 데이터 분석을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이고, 상기 화면 옆에 기술된 바와 같이, 플레이어가 플레이 한 내용을 보여준다. 화면 옆에 기술된 용어는, 상기 화면에 보여지는 용어를 설명한 것이다.
도 5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기초로 타구와 스윙의 분석 및 상황을 디스플레이한다(S522). 수집 된 모든 데이터에 의하여 3D가상 공간에서 물리엔진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구현된 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된다.
플레이어의 플레이 데이터를 분석한다(S524). 플레이어의 플레이 결과값은 누적 집계되어 어드바이스 시스템과 통계데이터 및 재시도에 대한 목적 설정을 위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의 과정으로 인해, 퍼팅을 위한 한 사이클이 완료된다. 완료된 후, 플레이어는, 플레이의 옵션을 재설정할지를 결정한다(S526).
플레이어가 옵션을 재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512 단계로 이동하여 플레이어 옵션을 재설정할 수 있고, 그 후, 이후의 단계를 반복한다.
플레이어가 옵션을 재설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퍼팅연습을 종료할지를 결정한다(S528).
퍼팅 연습을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S514 단계로 이동하여, 플레이어는 골프공을 타격하고, 이후 단계를 반복한다.
퍼팅 연습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플레이 정보를 저장(S530)하고, 플레이를 종료한다.
플레이어가 한 사이클을 완료한 후에는, S526 단계 내지 S530 단계를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옵션을 실시간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재시도와 종료를 최종 선택할 수 있고, 또한, 플레이를 종료할 경우에는, 종료 전 해당 정보가 저장된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개요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골프공감지 센서부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방향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팅부(220)(즉, 골프공이 놓이는 위치)를 통과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골프공의 이동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감지된 골프공의 시간과 골프공의 방향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센서부의 수광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터 페이스 앵글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1와 도 4C2와 도4C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터의 이동경로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터 임팩트 포인트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E1과, 도 4E2 및 도 4E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터 임팩트 높이를 센싱하는 제 1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도 4E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터 임팩트의 높이를 센싱하는 제 2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플레이어가 로그인 할 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C 및 도 5D은, 플레이어가 연습모드를 선택했을 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E 내지 도 5L는, 플레이어가 실전모드를 선택했을 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M 및 도 5O는, 플레이어가 다트모드를 선택했을 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P는, 플레이어가 데이터 분석 모드를 선택했을 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0: 센서부
120: 콘트롤부
130: 마이컴
140: 메인컴퓨터
150: 디스플레이부
122: 콘트롤 키패드
124: 리모트 콘틀롤러
132: 센서보드
134: 키패드 제어부
141: 중앙제어부
142: 인터페이스 모듈
143: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144: 물리엔진
145: 3차원 영상 데이터베이스
146: 3차원 영상처리엔진
147: 리모트 콘트롤 제어부
151: 음성출력부
161: 제 1영역
162: 제 2영역
163: 제 3영역
164: 제 4영역
200: 본체부
210: 퍼팅매트
220: 셋팅부
300: 감지센서부
310: 골프공 감지센서
310_1: 제 1골프공 감지센서
310_2: 제 2골프공 감지센서
320: 반사거울
320_1: 제 1반사거울
320_2: 제 2반사거울
400: 퍼팅 센서부
410: 발광부
420_1, 420_2: 제 1수광부
430_1, 430_2: 제 2수광부
440_1, 440_2: 제 3수광부
450_1, 450_2: 제 4수광부
460: 제 5수광부

Claims (1)

  1. 골프공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퍼터의 이동을 감지하는 퍼터센서부를 포함하는 골프공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감지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값으로부터 상기 골프공의 이동속도와, 이동각도를 산출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산출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물리엔진과,
    상기 물리엔진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와, 상기 골프공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내에 저장되어 있는 3차원 영상데이터를 복합하여 처리하는 3차원 영상처리 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하여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KR1020080030640A 2008-04-02 2008-04-02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38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40A KR100938147B1 (ko) 2008-04-02 2008-04-02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PCT/KR2009/001677 WO2009145463A2 (ko) 2008-04-02 2009-04-01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40A KR100938147B1 (ko) 2008-04-02 2008-04-02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279A true KR20090105279A (ko) 2009-10-07
KR100938147B1 KR100938147B1 (ko) 2010-01-22

Family

ID=4153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640A KR100938147B1 (ko) 2008-04-02 2008-04-02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14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677B1 (ko) * 2009-12-31 2010-07-15 (주) 골프존 퍼팅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72826B1 (ko) * 2009-12-31 2010-07-28 (주) 골프존 서브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72828B1 (ko) * 2009-12-31 2010-07-28 (주) 골프존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235649B1 (ko) * 2010-12-31 2013-02-21 (주) 골프존 골프 시뮬레이팅 장치 및 방법
CN103842038A (zh) * 2011-09-23 2014-06-04 可利爱驰有限公司 利用开始传感器的虚拟体育运动系统
KR101471490B1 (ko) * 2009-11-19 2014-12-12 주식회사 파온테크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상기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CN104436591A (zh) * 2009-12-31 2015-03-25 高夫准株式会社 虚拟高尔夫球模拟成像迷你地图的装置与方法
KR20160045975A (ko) 2014-10-17 2016-04-28 최진호 사운드 기반의 비거리 및 방향 예측시스템
WO2018187038A1 (en) * 2017-04-05 2018-10-11 Origin, Llc Computerized method of detecting and depicting a travel path of a golf ball
KR102330220B1 (ko) * 2020-12-31 2021-11-25 (주)브로틴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KR20220056167A (ko) * 2019-08-12 2022-05-04 주식회사 에스지엠 가상 골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734B1 (ko) * 2010-04-01 2010-12-01 (주) 골프존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WO2011122905A2 (ko) * 2010-04-01 2011-10-06 (주) 골프존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WO2013062340A2 (ko) * 2011-10-27 2013-05-02 마음골프 주식회사 스크린 골프 시뮬레이터 및 그 운용방법
KR102219528B1 (ko) 2019-07-29 2021-02-24 이정욱 골프공 타격을 이용한 다트게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418B1 (ko) * 2004-12-09 2005-05-12 김완철 퍼팅교정 및 연습장치
KR100761789B1 (ko) * 2006-11-09 2007-10-04 (주) 골프존 골프 퍼팅 시뮬레이터용 센싱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골프 퍼팅 시뮬레이터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490B1 (ko) * 2009-11-19 2014-12-12 주식회사 파온테크 퍼팅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지는 골프 게임 장치 및 상기 골프 게임 장치의 제어방법
WO2011081471A2 (en) * 2009-12-31 2011-07-07 Golfzon Co., Ltd.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providing putting guide
CN104436591B (zh) * 2009-12-31 2017-09-05 高尔纵株式会社 虚拟高尔夫球模拟成像迷你地图的装置与方法
CN102114331B (zh) * 2009-12-31 2015-06-24 高夫准株式会社 提供推杆导引的虚拟高尔夫球模拟装置
CN104436591A (zh) * 2009-12-31 2015-03-25 高夫准株式会社 虚拟高尔夫球模拟成像迷你地图的装置与方法
WO2011081471A3 (en) * 2009-12-31 2011-11-10 Golfzon Co., Ltd.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providing putting guide
KR100972828B1 (ko) * 2009-12-31 2010-07-28 (주) 골프존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US9463357B2 (en) 2009-12-31 2016-10-11 Golfzon Co., Ltd.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providing putting guide
KR100972826B1 (ko) * 2009-12-31 2010-07-28 (주) 골프존 서브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70677B1 (ko) * 2009-12-31 2010-07-15 (주) 골프존 퍼팅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CN102114331A (zh) * 2009-12-31 2011-07-06 高夫准株式会社 提供推杆导引的虚拟高尔夫球模拟装置
KR101235649B1 (ko) * 2010-12-31 2013-02-21 (주) 골프존 골프 시뮬레이팅 장치 및 방법
CN103842038A (zh) * 2011-09-23 2014-06-04 可利爱驰有限公司 利用开始传感器的虚拟体育运动系统
US9752875B2 (en) 2011-09-23 2017-09-05 Creatz Inc. Virtual sport system for acquiring good image of ball by controlling camera according to surrounding brightness
KR20160045975A (ko) 2014-10-17 2016-04-28 최진호 사운드 기반의 비거리 및 방향 예측시스템
WO2018187038A1 (en) * 2017-04-05 2018-10-11 Origin, Llc Computerized method of detecting and depicting a travel path of a golf ball
US10810903B2 (en) 2017-04-05 2020-10-20 Flyingtee Tech, Llc Computerized method of detecting and depicting a travel path of a golf ball
KR20220056167A (ko) * 2019-08-12 2022-05-04 주식회사 에스지엠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330220B1 (ko) * 2020-12-31 2021-11-25 (주)브로틴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147B1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147B1 (ko)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US9370704B2 (en) Trajectory detection and feedback system for tennis
TW200527259A (en) Input system and method
TWI635417B (zh) 螢幕高爾夫系統、實現於螢幕高爾夫系統的高爾夫資訊服務方法、用於高爾夫資訊服務的移動終端的控制方法及存儲根據該方法的程式的電腦可讀存儲介質
US9636578B1 (en) Golf club simulation apparatus
KR101878101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461201B1 (ko)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및 방법
KR102208706B1 (ko) 골프스윙분석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 전용 거치대
KR100972819B1 (ko) 포터블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72823B1 (ko) 골프 코스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01934134B (zh) 虚拟高尔夫模拟装置、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装置的传感方法
KR102076425B1 (ko) 멘트를 제공하는 가상 스포츠 시스템
KR100785707B1 (ko)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되는 골프 시뮬레이터 장치
KR102367004B1 (ko) 골프클럽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CN111228771B (zh) 高尔夫球娱乐系统和高尔夫球训练方法
JP2023171316A (ja) 人工知能を利用してゴルフボールの打撃結果を把握する方法及びこれを利用する仮想ゴルフ装置
KR101950243B1 (ko)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KR102344919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913034B1 (ko) 광선 패턴 이미지와 광센서를 이용한 가정용 골프 시뮬레이터
KR101843107B1 (ko) 리얼 그린을 구비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2378556B1 (ko) 경사지는 스윙 플레이트를 구비한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93772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20180085843A (ko) 스윙 자세의 교정과 게임이 가능한 스윙 분석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187810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644005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