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220B1 -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220B1
KR102330220B1 KR1020200189293A KR20200189293A KR102330220B1 KR 102330220 B1 KR102330220 B1 KR 102330220B1 KR 1020200189293 A KR1020200189293 A KR 1020200189293A KR 20200189293 A KR20200189293 A KR 20200189293A KR 102330220 B1 KR102330220 B1 KR 102330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ing
golf ball
image
control module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220B9 (ko
Inventor
김찬기
문성현
Original Assignee
(주)브로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로틴 filed Critical (주)브로틴
Priority to KR1020200189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220B1/ko
Priority to JP2021193579A priority patent/JP7470997B2/ja
Priority to US17/536,523 priority patent/US20220203166A1/en
Publication of KR10233022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22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G06T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56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for statistical or strategic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퍼팅필드로 구성된 바닥면을 포함하는 퍼팅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퍼팅필드 위에 소정의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의 인근의 상기 퍼팅룸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퍼팅필드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퍼팅결과 및 통계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를 통해 제공받는 퍼팅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을 제어하여 퍼팅 훈련 프로그램이 수행되도록 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되, (a)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수집하여 상기 퍼팅필드 상의 골프공을 다른 사물과 구분하여 식별하는 단계; (b)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추적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여,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상기 퍼팅필드 상에 투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PUTTING GUIDE SYSTEM}
본 발명은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 구비된 장비를 통해 퍼팅 연습을 제공하고, 통계자료를 보여주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포츠강의 추세는 데이터를 활용한 통계에 기반한 교육이며, 강사의 노하우나 운동방법을 전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수강생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교육을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AR, VR 및 MR 등 e-러닝 등의 기술을 활용한 스포츠강의가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골프의 경우, 스윙이나 퍼팅을 할 때에 개인의 역량에 의해 승부가 크게 좌우되는 스포츠로써, 잘못된 자세 혹은 타격습관 및 탄착군 개선을 통하여, 기량을 상승시키기에 적합한 스포츠이다.
하지만, 골프는 기본적으로 필드스포츠로 야외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훈련을 하는 것에 고려해야 할 조건이 많다.
기존의 실내에서 하는 골프 훈련은 스크린 골프가 주를 이룬다. 스크린 골프는 훈련 진행 공간의 벽면에 스크린을 설치하고, 스크린에 가상 시뮬레이션 화면을 송출하여 실제 필드에서 훈련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도록 한 것으로, 공의 궤적을 분석하거나 퍼팅 교정을 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퍼팅 훈련을 진행하는 것에 있어서, 보다 신속하게 사용자의 퍼팅동작, 습관 및 개선점을 파악하고 이를 수치화된 통계의 형식으로 제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체계화된 퍼팅 훈련을 실시하는 것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퍼팅필드로 구성된 바닥면을 포함하는 퍼팅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퍼팅필드 위에 소정의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의 인근의 상기 퍼팅룸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퍼팅필드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퍼팅결과 및 통계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를 통해 제공받는 퍼팅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을 제어하여 퍼팅 훈련 프로그램이 수행되도록 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되, (a)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수집하여 상기 퍼팅필드 상의 골프공을 다른 사물과 구분하여 식별하는 단계; (b)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추적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여,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상기 퍼팅필드 상에 투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단계는, (a+1) 퍼팅필드에 대한 기준이미지와 골프공이 퍼팅필드에 놓여진 경우의 촬영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 (a+2) 골프공이 아닌 다른 사람이나 사물과 골프공을 구분하는 단계; 및 (a+3) 골프공이 아닌 영역을 체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1)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내려놓으면, 상기 카메라가 해당 상태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모듈이 수신한 이미지와 사용자가 상기 퍼팅룸에 입장하기 전에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인 기준이미지를 비교하여, 색상과 크기를 기준으로 수신한 이미지 상에 상기 기준이미지와 달라진 부분을 인식함으로써, 상기 골프공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2) 단계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상기 촬영이미지에서 골프공의 색상과 대응하는 색상을 갖는 복수의 물체가 인식될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색상의 종류, 인식된 물체의 크기 및 인식된 물체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상기 골프공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2) 단계는, 물체의 크기가 기 설정된 것보다 크거나, 인식된 물체의 움직임이 골프공이 움직일 수 있는 물리적 이동패턴과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사람의 신발, 모자, 및 의류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 것으로 인식하고, 골프공이 아닌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3)단계는, 상기 촬영이미지에 상기 골프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일괄적으로 상기 골프공과 구분되는 색상 또는 패턴으로 처리하는 마스킹을 수행하여 상기 골프공과 상기 골프공이 아닌 영역을 구분 짓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타격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각 시간대 별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골프공의 이동방향과 속도를 포함하는 특징벡터를 산출하고, 상기 특징벡터의 각 시간대별 변화 값을 계산하여,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는, 기 예측된 궤적을 기반으로 상기 골프공이 상기 홀컵에 들어갈지 여부를 판단하고, 골프공이 홀컵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촬영이미지 내에서 골프공 부분과 홀컵 부분이 중첩되어 하나의 색상을 갖는 하나의 물체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골프공이 상기 홀컵을 지나치는 루트로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지속적으로 추적할지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상기 (b) 단계 이후 실시간으로 상기 퍼팅필드 상에 상기 골프공의 궤적이미지를 투사하거나, 상기 (b) 단계 이후 사용자 단말에서의 입력이 발생한 경우, 골프공의 궤적이미지를 상기 퍼팅 필드에 투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a-1)단계는 상기 (a)단계 전에 퍼팅필드 위에 표시된 퍼팅가이드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별로 퍼팅 훈련 및 결과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패턴테스트UI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a-1) 단계는, 시작지점 정하기, 거리순서 정하기, 방향순서 정하기, 및 스트로크 제한시간 설정을 포함하는 패턴테스트 조건입력단계; 를 더 포함한다.
또한, (a-1)단계와 (a) 단계 사이에,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퍼팅필드 상에 상기 골프공이 배치될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a) 내지 상기 (c) 단계를 수행한 후, 패턴테스트 결과보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테스트 결과보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트판 형태로 서로 보색관계에 있는 녹색과 적색을 이용하여 쉽게 식별될 수 있는 모양과 색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퍼팅필드의 구획구분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성공율표시이미지, 상기 성공율표시이미지의 우측에 날짜, 시도한 퍼팅, 실패한 퍼팅, 및 성공률을 포함하여 리스트의 형태로 제공되는 훈련결과표; 및 결과보기 버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결과보기 GUI는, 상기 결과보기 버튼 클릭시 표시되며, 상기 퍼팅필드를 각도 별로 균등하게 분할하되, 상기 홀컵과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로 분할한 퍼팅구역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구역 이미지마다 퍼팅실패식별자와 퍼팅성공식별자가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어모듈에 상기 퍼팅실패식별자와 퍼팅성공식별자 표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퍼팅실패식별자와 퍼팅성공식별자 표시를 상기 퍼팅필드에 투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팅실패식별자와 퍼팅성공식별자는 서로 다른 모양으로 구성되고, 상기 퍼팅실패식별자와 퍼팅성공식별자를 클릭하는 경우, 대응하는 퍼팅의 퍼팅궤적이 상기 제어모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퍼팅필드와 상기 사용자단말 상의 상기 퍼팅필드 이미지에 동시에 제공되는 것 일수 있다.
또한, (a-2)단계는 상기 (a)단계 전에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의 위치와 에임포인트를 임의 설정하여 퍼팅 및 결과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훈련 UI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훈련UI는, 볼위치지정 인터페이스; 에임포인트 인터페이스; 및 퍼팅라인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에임포인트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홀컵에 넣기 위해 목표지점으로 바라보는위치를 나타내는 것인, 상기 퍼팅라인은 상기 에임포인트와 현재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연결하고 사용자에 의해 다른 방향으로 재설정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공 위치지정 인터페이스는, 퍼팅필드이미지영역 및 볼위치설정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퍼팅필드이미지영역은 초록색 배경위에 분할된 다각형이 표시되어, 각 퍼팅필드를 균등하게 분할하고, 상기 볼위치설정영역은 상기 분할된 다각형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퍼팅필드상에 내려놓을 공의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모듈이 설정된 상기 볼위치설정영역을 상기 프로젝터를 통하여 기 설정된 상기 볼위치설정영역을 상기 퍼팅필드에 투사하는 것인, 상기 에임포인트 인터페이스는, 상기 볼위치지정 인터페이스 이후, 상기 제어모듈이 자동으로 에임포인트를 자체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퍼팅필드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것인, 상기 퍼팅라인 인터페이스는, 상기 퍼팅라인을 상기 퍼팅필드 위에 기 설정된 라인이미지를 투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d)단계는 상기 (c)단계 후, 상기 사용자단말이 회원정보와 훈련기간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가 사용자식별정보와 훈련기간을 참조하여,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사용자가 수행한 퍼팅 결과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훈련기간, 성공율에 관한 훈련데이터, 거리별 성공률 분석정보, 훈련 시 브레이킹 라인 성공률 분석표, 및 탄착군 분석표의 항목으로 제공하는 통계UI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킹 라인 성공률 분석표는, 2차원 평면을 퍼팅이 진행된 위치에 따라 8 개 지역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 별로 퍼팅해당 위치 별 성공률을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그래프의 x축 및 y축은 x축은 날짜, y축은 성공률로 구성되며, 각 구역별로 다른 선으로 표시되고, 조건 설정한 날짜별 구간 성공률을 분석하여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하고, 브레이킹라인은 8개의 상기 경사도에 따라서 단계로 구분되어 각 브레이킹라인별로 색을 다르게하여 날짜별, 및 브레이킹라인별 성공률을 선그래프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착군 분석표는, 퍼팅 이후 상기 골프공이 멈춘 위치를 2차원 좌표로 제공하고, x축 및 y축은 상기 퍼팅필드를 1,2,3,4분면으로 나누어 각 사분면에 멈춘 볼의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탄착군 분석표의 크기는 상기 표시되는 퍼팅이 실패한 볼이 멈춘 위치 중 가장 먼 곳에 멈춘 볼을 기준으로 퍼팅필드의 크기가 설정되고, 코리도 범위 내에 위치하여 타격된 골프공과 코리도 범위 밖에서 타격된 골프공의 색상이 구분되어 상기 2차원 좌표 상에 표시되고, 상기 코리도는, 특정 위치에서 홀컵을 향해 퍼팅을 수행할 때, 홀컵에 공이 들어가기 위해 퍼팅 해야 하는 퍼팅각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착군 볼트래킹UI는, 상기 탄착군 분석표 내의 골프공을 나타내는 식별표시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제공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골프공을 나타내는 식별표시가상기, 탄착군 분석표 내에서 위치한 사분면을 나타내는 선택영역, 선택영역 볼 정보표시이미지, 및 경로확인버튼을 제공하고, 상기 경로확인버튼이 클릭될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골프공을 나타내는 식별표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행한 퍼팅의 상기 골프공의 궤적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퍼팅필드 상에 제공되는 것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팅필드를 홀컵을 중심으로 각도 별로 복수의 구역을 균등하게 분할한 퍼팅구역이미지를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가 각 구역 별로 퍼팅을 실시한 후, 각 구역들의 퍼팅성공률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복수의 구역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구역은 서로 다른 경사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퍼팅을 실시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타격한 골프공들의퍼팅 후 위치정보를 맵 형태의 이미지로 제공하되, 특정 위치에서 홀컵을 향해 퍼팅을 수행할 때 홀컵에 공이 들어가기 위해 퍼팅 해야 하는 퍼팅각도 범위인 코리도 범위에 따라, 상기 골프공이 코리도 범위 내에서 타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상기 맵 형태의 이미지 내에 식별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퍼팅 가이드 시스템은, 퍼팅필드로 구성된 바닥면을 포함하는 퍼팅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퍼팅필드 위에 소정의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의 인근의 상기 퍼팅룸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퍼팅필드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퍼팅결과 및 통계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를 통해 제공받는 퍼팅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을 제어하여 퍼팅 훈련 프로그램이 수행되도록 하는 사용자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수집하여 상기 퍼팅필드 상의 골프공을 다른 사물과 구분하여 식별하고,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추적하고,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여,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상기 퍼팅필드 상에 투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에 구비된 퍼팅룸의 모의 퍼팅필드에서 실시되어, 실제 골프 필드에 나가지 않고 실제 골프 필드에서 퍼팅 연습을 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퍼팅연습을 실시에 있어서, 제어모듈이 프로젝터를 통하여, 상기 퍼팅필드와 사용자단말에 퍼팅가이드 이미지를 제공하여, 자칫 지루할 수 있는 퍼팅연습을 흥미롭게 만들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팅필드에서 진행한 퍼팅연습에 관하여 수치화된 데이터로 구성된 통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통해 사용자에게 신뢰성 높은 퍼팅 개선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자세한 데이터 분석과 통계를 제시하여, 데이터와 통계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부족한 부분을 보다 빠르게 인식하고 훈련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인의 퍼팅 매커니즘과 버릇, 약점 등을 통계화된 데이터로 제공받을 수 있어, 개선 방향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가이드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에 관한 구성 예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어모듈의 내부구성에 관한 예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필드이미지와 골프공 GUI에 관한 예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패턴테스트 결과보기에 관한 예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성공식별자와 퍼팅실패식별자에 관한 예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볼위치지정인터페이스에 관한 예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계UI관한 예시도 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훈련 실패 시 브레이킹 라인 분석에 관한 예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탄착군 볼트래킹UI에 관한 예시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시스템의 동작순서도 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퍼팅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은, 실내 또는 실외에서 퍼팅훈련이 실시되는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퍼팅한 골프공의 궤적을 추적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500)의 퍼팅인터페이스와 퍼팅필드(600) 상에 표현되는 투사영상을 제안하는 것을 통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퍼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하여, 골프공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골프공의 궤적을 추적하고, 이를 보여주는 기능이 가장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핵심기능은 제어모듈(200)에 의해 수행된다.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은 서버(100), 제어모듈(200), 카메라(300), 프로젝터(400), 사용자단말(500), 및 퍼팅필드(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400), 카메라(300), 사용자 단말(500)은 퍼팅룸 내에 구비될 수 있다. 퍼팅필드(600)는 퍼팅룸의 바닥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여, 서버(100)는 유/무선으로 통신망에 연결되어 제어모듈(200) 및 사용자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500)로 퍼팅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모듈(200)은 서버(100), 카메라(300) 및 프로젝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200)은 카메라(300)로부터 퍼팅필드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고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프로젝터(400)를 통하여 퍼팅필드(600)에 퍼팅가이드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의 인근의 상기 퍼팅룸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퍼팅필드이미지를 촬영하고, 제어모듈(200) 및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젝터(400)는 퍼팅필드(600)가 구성된 바닥면을 포함하는 퍼팅룸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어모듈(200)에서 제공받는 소정의 영상을 퍼팅필드(600) 위에 소정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터(400)는 하나 이상의 개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터(400)는 퍼팅필드(600)의 영역을 복수로 분할 하여 비출수 있다.
예를들어, 2개의 프로젝터(400)가 설치되었을 때, 각각의 프로젝터(400)는 퍼팅필드(600)를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사각형 영역의 형태로 비추되, 서로 비추는 영역은 중첩되지 않게 비출 수 있다.
사용자단말(500)은 서버(100)를 통해 제공받는 퍼팅인터페이스 제공받고, 이를 통해 퍼팅 훈련 프로그램이 수행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어모듈의 기능과 각 구성요소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3을 참조하면, 제어모듈(200)은 이미지 수집부(210), 골프공 식별부(220), 궤적 추적부(230), 및 투사영상 생성부(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수집부(210)는, 사용자가 퍼팅룸에 입장하기 전에 카메라(300)로부터 촬영되어 수신한 퍼팅룸의 이미지인 기준이미지와 사용자가 퍼팅룸에 입장하고나서 촬영되어 제공받은 퍼팅룸의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골프공 식별부(220)는 제어모듈(200)이 수신한 이미지와 기준이미지를 비교하여, 색상과 크기를 기준으로 수신한 이미지 상에 기준이미지와 달라진 부분을 인식하고, 골프공을 식별할 수 있다.
골프공 식별부(220)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상기 촬영이미지에서 골프공의 색상과 대응하는 색상을 갖는 복수의 물체가 인식되면, 제어모듈(200)이 색상의 종류, 인식된 물체의 크기 및 인식된 물체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골프공을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물체의 크기가 기 설정된 것보다 크거나, 인식된 물체의 움직임이 골프공이 움직일 수 있는 물리적 이동패턴과 상이하다고 판단하면, 제어모듈(200)이 사용자의 신발, 모자, 및 의류의 일부분 것으로 인식하여, 골프공이 아닌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흰색모자를 쓴 경우, 사용자의 준비 동작에 따라서 흰색모자가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골프공이 이러한 앞뒤로 이동하는 물리적 이동패턴을 가질 수 없으므로 제어모듈(200)의 골프공 식별부(220)는 사용자가 착용한 흰색모자를 공이 아닌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일괄적으로 상기 골프공과 구분되는 색상 또는 패턴으로 처리하는 마스킹을 수행하여 상기 골프공과 상기 골프공이 아닌 영역을 구분 짓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궤적 추적부(230)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는 경우, 제어모듈(200)이 카메라(300)로부터 제공받은 각 시간대 별 이미지를 비교하여 골프공의 이동방향과 속도를 포함하는 특징벡터를 산출하고, 특징벡터의 각 시간대별 변화 값을 계산하여, 골프공의 궤적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00)이 수신하는 이미지상에서 홀컵과 골프공이 하나로 겹쳐지는 이미지가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아래의 두 가지 경우가 나뉘어질 수 있으므로, 특징벡터를 통하여 공의궤적을 미리 예측하여 추적 지속에 관하여 판단할 필요가 있다.
첫번째 경우는, 골프공의 색상이 홀컵의 색상과 같은 색이며, 골프공의 특징 벡터값을 분석해 보았을 때,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갈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이다.
이때, 제어모듈(200)은 골프공이 홀컵 근처로 접근하여 골프공의 색상과 홀컵의 색상이 겹쳐지는 이미지를 수신하면, 골프공의 특징 벡터값을 분석해 보았을 때,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간 것으로 판단하여 추적을 중단할 수 있다.
두번째 경우는, 골프공의 색상이 홀컵의 색상과 같은 색이며, 골프공의 특징 벡터값을 분석해 보았을 때, 골프공이 홀컵 에 들어가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이다.
이때, 제어모듈(200)은 골프공이 홀컵 근처로 접근하여 골프공의 색상과 홀컵의 색상이 겹쳐지는 이미지를 수신하여도, 골프공의 특징 벡터값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가지 않을 것을 미리 파악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골프공이 홀컵에 인접할 뿐 홀컵을 지나쳐 가거나 홀컵에 미치지 못했다고 판단하여, 골프공의 움직임이 더 이상 관측되지 않을 때까지 추적을 계속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어모듈(200)은 예측된 궤적을 기반으로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갈지 여부를 판단하고 골프공의 궤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갔거나, 이동을 멈췄다고 판단하면, 추적을 중단할 수 있다.
투사영상 생성부(240)는, 추적 이후 실시간으로 퍼팅필드(600) 상에 투사할 골프공의 궤적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500)의 입력을 수신하고, 골프공의 궤적이미지를 퍼팅필드(600)에 투사하는 명령을 프로젝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200)이 골프공의 궤적이미지를 퍼팅필드(600)에 투사하는 명령을 프로젝터(400)로 전송하는 것은, 아래의 두 가지 경우가 나뉘어질 수 있다.
첫번째 경우는, 사용자가 직전에 실시한 퍼팅을 바로 보여주는 경우이다.
이때, 제어모듈(200)은 카메라(3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투사영상 생성부(240)에서 퍼팅필드(600)에 투사할 영상으로 만든다. 제어모듈(200)은 골프공의 궤적 추적이 중단되는 것과 동시에 투사할 영상을 프로젝터(400)로 전송하고, 프로젝터(400)가 퍼팅필드(600)에 상기 영상을 투사한다.
두번째 경우는, 사용자단말(500)의 입력을 수신하여, 보여주는 경우이다.
사용자단말(500)은 퍼팅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직전에 실시한 퍼팅 또는 이전에 실시한 퍼팅의 궤적을 퍼팅필드(600)위에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200)은 카메라(300)로부터 직전 또는 이전에 수신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투사영상 생성부(24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퍼팅의 투사 영상으로 만든다.
이후, 사용자단말(500)의 입력에 따라서 투사할 영상을 프로젝터(400)로 전송하고, 프로젝터(400)가 퍼팅필드(600)에 상기 영상을 투사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500)의 퍼팅인터페이스는 두 가지 트레이닝모드와 통계를 제공할 수 있다. 패턴테스트와 훈련모드이다.
패턴테스트는 경사가 있는 퍼팅필드(600) 위의 복수의 위치에서 볼을 놓고 진행하는 퍼팅 훈련이며, 기 설정된 퍼팅 시작점이 프로젝터(400)를 통해 퍼팅필드 (600)위에 투사되고, 제한시간 내에 사용자가 퍼팅하여, 사용자의 퍼팅 패턴을 파악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퍼팅필드(600)의 경사도는 퍼팅필드(600) 내의 각 영역 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는, 퍼팅필드(600) 하부의 기계적 보조장치를 사용자 단말이나 제어모듈이 제어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조건에 맞게 퍼팅을 할 때마다 경사도를 영역별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다.
훈련모드는 퍼팅 훈련에 필요한 복수의 요소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퍼팅훈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패턴테스트와 훈련모드의 과정 중에 상술한 제어모듈(200)의 핵심기능이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패턴테스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4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500)에 제공되는 퍼팅인터페이스는 퍼팅필드GUI와 골프공GUI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퍼팅필드GUI는 퍼팅필드(600)와 유사한 원형태의 녹색 잔디 질감이 채워진 형태 일 수 있으며, 골프공 GUI는 실제 골프공과 유사한 소형의 원형태의 흰색이 채워진 형태 일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가 패턴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메인 메뉴에서 패턴테스트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단말(500)을 통해 진행할 패턴테스트의 조건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시작지점 정하기, 거리순서 정하기, 방향순서 정하기, 및 스트로크 제한시간 설정을 입력하고, 사용자단말(500)은 입력받은 설정값을 서버(100)에 전송한다.
이후, 서버(100)는 패턴테스트 진행화면 설명이미지를 사용자단말(500)에 제공한다. 패턴테스트 진행화면 설명이미지는, 원모양의 퍼팅필드 이미지상에 퍼팅할 영역을 식별하여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이후, 제어모듈(200)이 조건입력에 맞춘 퍼팅시스템을 진행한다, 제어모듈(200)이 골프공을 내려놓을 위치를 지정하여 프로젝터(400)를 통하여 퍼팅필드(600)에 퍼팅필드가이드영상을 투사한다.
퍼팅필드 가이드영상이란 제어모듈(200)의 투사영상 생성부(240)로부터 생성되어, 프로젝터(400)로 퍼팅필드(600) 투사되는 영상으로써, 기 설정된 퍼팅훈련에 관한 안내에 관한 영상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공되는 퍼팅훈련에 도움을 제공하는 영상이다.
사용자가 골프공을 내려놓으면 제어모듈(200)이 골프공이 지정된 위치에 위치된 것을 확인하고, 골프공과 공이 아닌 것을 구분하여 마스킹을 수행한다.
제어모듈(200)이 사용자 단말(500)로 골프공의 좌표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제공되는 퍼팅인터페이스의 퍼팅필드GUI 상에 골프공의 실제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에 골프공이미지를 표시한다.
제어모듈(200)이 카메라(300)로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상기 프로젝터(400)를 통해 골프공의 궤적이미지를 퍼팅필드(600)에 투사 또는, 소정 시간 이후 퍼팅필드(600)에 투사하고, 제어모듈(200)이 공이 멈추거나 홀컵에 들어갔다고 판단하면 추적을 중단하고 공의 궤적을 좌표 값으로 만들어 저장하고 서버(100)로 제공한다. 이러한 제어모듈(200)의 동작사항은 상술한 제어모듈(200)의 기능에 대한 부분과 동일하게 수행되는 것이므로, 반복 설명하지 않고, 상술한 내용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위의 패턴테스트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패턴테스트 결과보기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패턴테스트 결과보기는, 성공율표시이미지 (710), 훈련결과표, 및 및 결과보기, 삭제, 다시하기와 메인으로 조작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여, 성공율표시이미지(710)는, 다트판 형태로 서로 보색관계에 있는 녹색과 적색을 이용하여 쉽게 식별될 수 있는 모양과 색상으로 구성되고 퍼팅필드(600)의 구획구분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훈련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훈련 결과표는, 성공율표시이미지(710)의 우측에 날짜, 시도한 퍼팅, 실패한 퍼팅, 및 성공률을 포함하여 리스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결과보기 조작버튼을 선택하여 사용자단말(500)에 퍼팅필드GUI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500)이 서버(100)로 결과보기명령을 전송하면, 서버(100)가 제어모듈(200)로 결과보기명령을 전송하여, 제어모듈(200)을 통해 프로젝터(400)가 결과보기GUI를 상기 퍼팅필드에 투사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결과보기 GUI는, 퍼팅필드(600)를 각도 별로 균등하게 분할하되, 홀컵과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로 분할한 퍼팅구역이미지를 포함한다. 퍼팅구역이미지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트판 모양처럼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이며,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퍼팅구역 이미지마다 퍼팅성공식별자(720)와 퍼팅실패식별자(730)가 표시된다.
사용자 단말(500)은 제어모듈(200)에 퍼팅성공식별자(720)와 퍼팅실패식별자(730)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제어모듈(200)은 프로젝터(400)를 통해 퍼팅성공식별자(720)와 퍼팅실패식별자(730) 표시를 상기 퍼팅필드에 투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훈련모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훈련항목을 선택할 경우, 사용자 단말 상에서 볼위치지정 인터페이스, 포인트, 에임포인트, 에임라인, 및 퍼팅라인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포인트는, 실제로 퍼팅한 골프공이 도달해야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로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퍼팅필드GUI 와 퍼팅필드(600)위에 제공될 수 있다.
에임포인트는, 퍼팅한 골프공을 포인트의 위치에 멈추게 하기 위하여 겨누어야 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말하며, 퍼팅필드GUI와 퍼팅필드(600)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에임라인은, 골프공의 위치와 에임포인트를 직선으로 연결한 것으로, 퍼팅필드GUI와 퍼팅필드(600)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200)의 동작사항은 상술한 제어모듈(200)의 기능에 대한 부분과 동일하게 수행되는 것이므로, 반복 설명하지 않고, 상술한 내용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도7을 참조하면, 볼위치지정 인터페이스는, 퍼팅필드이미지영역 및 볼위치설정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퍼팅필드이미지영역은 초록색 배경위에 분할된 다각형이 표시되어, 각 퍼팅필드를 균등하게 분할하는 형태 일 수 있다.
볼위치설정영역은 분할된 다각형의 사이에 위치하여, 퍼팅필드(600) 상에 내려놓을 공의 위치를 설정한다.
이때, 사용자단말(500)은 설정된 상기 볼위치설정영역을 프로젝터(400)로 제공하고, 프로젝터가(400) 제공받은 설정된 상기 볼위치설정영역을 퍼팅필드(600)에 투사한다.
투사한 영역에 맞추어 사용자는 해당 위치에 골프공을 위치시킬 수 있다.
에임포인트 인터페이스는, 볼위치지정 인터페이스 이후, 사용자 단말(500)이 자동으로 에임포인트를 자체 알고리즘에 따라 추천하여 프로젝터(400)로 제공하고, 프로젝터(400)가 제공받은 기 설정된 에임포인트를 퍼팅필드(600)에 투사할 수 있다.
퍼팅라인 인터페이스는, 퍼팅라인을 제공한다. 퍼팅라인은 에임포인트와 골프공의 위치를 연결하는 라인을 의미한다. 퍼팅라인은 사용자에 의해 다른 방향으로 재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500)은 퍼팅라인에 대한 재설정 조건을 수신하는 경우, 퍼팅라인을 사용자 단말(500)에 제공하여 표시하고, 제어모듈(200)이 프로젝터(400)로 기 설정된 퍼팅라인을 제공하여, 퍼팅필드(600) 위에 기 설정된 라인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상술한 볼 위치, 에임포인트, 퍼팅라인은 사용자 단말과 퍼팅필드 상에 모두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정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고, 제어모듈이 골프공의 궤적을 추적할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200)의 동작사항은 상술한 제어모듈(200)의 기능에 대한 부분과 동일하게 수행되는 것이므로, 반복 설명하지 않고, 상술한 내용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이하, 사용자의 퍼팅결과에 관한 통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메뉴화면에서 통계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단말(500)이 회원정보와 훈련기간을 선택하여 서버(100)로 전송하고, 서버(100)가 사용자식별정보와 훈련기간을 참조하여,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사용자가 수행한 퍼팅 결과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회원의 훈련 데이터 분석자료를 포함하는 통계UI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통계UI는, 훈련기간, 성공율에 관한 훈련데이터, 거리별 성공률 분석정보, 훈련 시 브레이킹 라인 성공률 분석표(740), 및 탄착군 분석표(7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개인분석버튼을 통하여 추가로 사용자의 퍼팅 경향에 관한 분석을 제공하는 개인분석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훈련 시 브레이킹 라인 성공률 분석표(740)는, 2차원 평면을 퍼팅이 진행된 위치에 따라 8 개 지역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 별로 퍼팅해당 위치 별 성공률을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그래프의 x축 및 y축은 x축은 날짜, y축은 성공률로 구성되며, 각 구역별로 다른 선으로 표시되고, 조건 설정한 날짜별 구간 성공률을 분석하여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탄착군 분석표(750)는, 퍼팅의 공이 멈춘 위치를 2차원 좌표로 제공하고, x축 및 y축은 상기 퍼팅필드를 1,2,3,4분면으로 나누어 각 사분면에 멈춘 볼의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탄착군 분석표의 축척은 상기 표시되는 퍼팅이 실패한 볼이 멈춘 위치 중 가장 먼 곳에 멈춘 볼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특정 위치에 높여진 골프공을 홀컵을 향해 퍼팅을 수행할 때, 홀컵에 공이 들어가기 위해 퍼팅 해야 하는 퍼팅각도를 코리도 범위라고 하는데, 골프공이 놓여진 특정 위치와 홀컵을 잇는 직선을 기준으로 한 각도 차이 범위로 정의한다.
사용자가 실시한 퍼팅이 이 코리도 범위를 벗어나는지, 벗어나지 않는지를 자체 알고리즘에 따라 판별하여, 코리도 범위를 벗어난 퍼팅을 회색원, 코리도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퍼팅을 청색원으로 탄착군 분석표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색상은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으며, 다른 색상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개인분석화면은 선택 조건에서의 수강생 훈련 데이터표, 탄착군 분석표(750), 및 훈련 실패 시 브레이킹 라인 분석표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실제 골프경기의 그린에서 경사가 진 지형 또는 착시현상을 일으켜 오르막을 내리막으로 보이게 하는 지형에서 퍼팅할 때에 골프공이 의도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를 브레이크라 하는데, 퍼팅필드(600)에 임의로 이러한 브레이크를 모방하여 만든 것이 브레이킹 라인이다.
훈련 실패 시 브레이킹 라인 분석표는 2차원 평면을 퍼팅이 진행된 위치에 따라 8 개 지역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 별로 퍼팅해당 위치 별 실패율을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훈련 실패 시 브레이킹 라인 분석표는 기 설정된 8개의 브레이크에 따라서 단계로 구분되어 각 브레이킹 라인 별로 색을 다르게하여 날짜별, 및 브레이킹라인별 성공률을 선그래프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프의 x축은 날짜, y축은 실패율로 구성되며, 각 구역별로 다른 선으로 표시되고, 조건 설정한 날짜별 구간 실패율을 분석하여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탄착군 분석표(750)에서 어느 하나의 사분면이 선택될 경우, 도10과 같은 탄착군 볼트래킹 UI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10을 참조하여 탄착군 볼트래킹 UI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탄착군 볼트래킹 UI는, 선택한 영역, 선택영역 볼 정보표시이미지(760), 볼트래킹 순서, 및 경로확인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영역 볼 정보표시이미지(760)에서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한 영역은 노란색으로 표시가 되고, 선택영역에서 수행한 퍼팅이 볼트래킹 순서에 추가되어, 경로확인버튼을 누르면, 볼트래킹 순서에 추가된 순서대로 볼트래킹영상을 사용자 단말(500)과 퍼팅필드(600)에 제공할 수 있다.
볼트래킹영상은, 경로확인버튼을 선택하여 상기 볼트래킹 순서에 포함된 순서에 따라서 해당위치에서 수행한 퍼팅의 공의 궤적이 상기 퍼팅인터페이스의 상기 퍼팅필드GUI에 제공되고, 사용자 단말(500)이 제어모듈(200)로 골프공의 궤적을 전송하고, 제어모듈(200)이 프로젝터(400)를 통하여 퍼팅필드(600)에 상기 공의 궤적을 투사하는 것일 수 있다.
도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의 동작 순서를 설명한다.
제어모듈(200)은 사용자가 퍼팅룸에 입장하기 전 카메라(300)로부터 수신한 퍼팅필드(600)의 이미지를 기준이미지로 설정하고, 이후 촬영되는 이미지를 수집하여 퍼팅필드(600) 상의 골프공과 다른 사물을 구분한다(S101).
이때, 제어모듈(600)은 이미지 상에 골프공으로 판별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을 마스킹할 수 있다.
제어모듈(200)은 카메라(3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퍼팅한 골프공의 궤적을 추적한다(S102).
이때, 제어모듈(200)은 골프공의 특징벡터를 산출하여 골프공을 계속 추적할 것인지, 추적을 멈출 것인지 판별할 수 있다.
제어모듈(200)은 프로젝터(400)를 제어하여, 골프공의 궤적을 퍼팅필드(600) 위에 투사한다(S103).
이때, 골프공의 궤적은 제어모듈(200)의 투사영상 생성부(240)에서 생성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서버(100)는 제어모듈(200)로부터 제공받은 퍼팅 결과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500)로 통계UI를 제공할 수 있다.(S1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서버 200: 제어모듈
210: 이미지 수집부 220: 골프공 식별부
230: 궤적 추적부 240: 투사영상 생성부
300: 카메라 400: 프로젝터
500: 사용자단말 600: 퍼팅필드
700: 골프공 GUI 710: 성공율표시이미지
720: 퍼팅성공식별자 730: 퍼팅실패식별자
740: 훈련 시 브레이킹 라인 성공률 분석표
750: 탄착군 분석표 760: 선택영역 볼 정보표시이미지

Claims (25)

  1.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퍼팅필드로 구성된 바닥면을 포함하는 퍼팅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퍼팅필드 위에 소정의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의 인근의 상기 퍼팅룸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퍼팅필드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퍼팅결과 및 통계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를 통해 제공받는 퍼팅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을 제어하여 퍼팅 훈련 프로그램이 수행되도록 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되,
    (a)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수집하여 상기 퍼팅필드 상의 골프공을 다른 사물과 구분하여 식별하는 단계;
    (b)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추적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여,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상기 퍼팅필드 상에 투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d) 상기 (c)단계 후, 탄착군 분석표의 항목으로 제공하는 통계UI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착군 분석표는,
    퍼팅 이후 상기 골프공이 멈춘 위치를 2차원 좌표로 제공하고, x축 및 y축은 상기 퍼팅필드를 1,2,3,4분면으로 나누어 각 사분면에 멈춘 볼의 위치를 표시하고, 코리도 범위 내에 위치하여 타격된 골프공과 코리도 범위 밖에서 타격된 골프공의 색상이 구분되어 상기 2차원 좌표 상에 표시되고,
    상기 코리도는, 특정 위치에서 홀컵을 향해 퍼팅을 수행할 때, 홀컵에 공이 들어가기 위해 퍼팅 해야 하는 퍼팅각도를 의미하는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퍼팅을 실시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타격한 골프공들의퍼팅 후 위치정보를 맵 형태의 이미지로 제공하되, 특정 위치에서 홀컵을 향해 퍼팅을 수행할 때 홀컵에 공이 들어가기 위해 퍼팅 해야 하는 퍼팅각도 범위인 코리도 범위에 따라, 상기 골프공이 코리도 범위 내에서 타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상기 맵 형태의 이미지 내에 식별되어 있는 것인,는,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퍼팅필드에 대한 기준이미지와 골프공이 퍼팅필드에 놓여진 경우의 촬영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
    (a+2) 골프공이 아닌 다른 사람이나 사물과 골프공을 구분하는 단계; 및
    (a+3) 골프공이 아닌 영역을 체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1)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내려놓으면, 상기 카메라가 해당 상태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모듈이 수신한 이미지와 사용자가 상기 퍼팅룸에 입장하기 전에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인 기준이미지를 비교하여, 색상과 크기를 기준으로 수신한 이미지 상에 상기 기준이미지와 달라진 부분을 인식함으로써, 상기 골프공을 식별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상기 촬영이미지에서 골프공의 색상과 대응하는 색상을 갖는 복수의 물체가 인식될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색상의 종류, 인식된 물체의 크기 및 인식된 물체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상기 골프공을 구분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는,
    물체의 크기가 기 설정된 것보다 크거나, 인식된 물체의 움직임이 골프공이 움직일 수 있는 물리적 이동패턴과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사람의 신발, 모자, 및 의류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 것으로 인식하고, 골프공이 아닌 것으로 판별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3)단계는,
    상기 촬영이미지에 상기 골프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일괄적으로 상기 골프공과 구분되는 색상 또는 패턴으로 처리하는 마스킹을 수행하여 상기 골프공과 상기 골프공이 아닌 영역을 구분 짓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타격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각 시간대 별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골프공의 이동방향과 속도를 포함하는 특징벡터를 산출하고, 상기 특징벡터의 각 시간대별 변화 값을 계산하여,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예측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예측된 궤적을 기반으로 상기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갈지 여부를 판단하고, 골프공이 홀컵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촬영이미지 내에서 골프공 부분과 홀컵 부분이 중첩되어 하나의 색상을 갖는 하나의 물체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골프공이 홀컵을 지나치는 루트로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지속적으로 추적할지를 결정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b) 단계 이후 실시간으로 상기 퍼팅필드 상에 상기 골프공의 궤적이미지를 투사하거나, 상기 (b) 단계 이후 사용자 단말에서의 입력이 발생한 경우, 골프공의 궤적이미지를 상기 퍼팅 필드에 투사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a-1) 상기 (a)단계 전에 퍼팅필드 위에 표시된 퍼팅가이드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별로 퍼팅 훈련 및 결과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패턴테스트UI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는,
    시작지점 정하기, 거리순서 정하기, 방향순서 정하기, 및 스트로크 제한시간 설정을 포함하는 패턴테스트 조건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a-1)단계와 (a) 단계 사이에,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퍼팅필드 상에 상기 골프공이 배치될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a) 내지 상기 (c) 단계를 수행한 후, 패턴테스트 결과보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테스트 결과보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트판 형태로 서로 보색관계에 있는 녹색과 적색을 이용하여 쉽게 식별될 수 있는 모양과 색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퍼팅필드의 구획구분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성공율표시이미지,
    상기 성공율표시이미지의 우측에 날짜, 시도한 퍼팅, 실패한 퍼팅, 및 성공률을 포함하여 리스트의 형태로 제공되는 훈련결과표; 및 결과보기 버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결과보기 GUI는,
    상기 결과보기 버튼 클릭시 표시되며,
    상기 퍼팅필드를 각도 별로 균등하게 분할하되, 홀컵과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로 분할한 퍼팅구역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구역 이미지마다 퍼팅실패식별자와 퍼팅성공식별자가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어모듈에 상기 퍼팅실패식별자와 퍼팅성공식별자 표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퍼팅실패식별자와 퍼팅성공식별자 표시를 상기 퍼팅필드에 투사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실패식별자와 퍼팅성공식별자는 서로 다른 모양으로 구성되고,
    상기 퍼팅실패식별자와 퍼팅성공식별자를 클릭하는 경우, 대응하는 퍼팅의 퍼팅궤적이 상기 제어모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퍼팅필드와 상기 사용자단말 상의 상기 퍼팅필드 이미지에 동시에 제공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a-2) 상기 (a)단계 전에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의 위치와 에임포인트를 임의 설정하여 퍼팅 및 결과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훈련 UI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UI는,
    볼위치지정 인터페이스; 에임포인트 인터페이스; 및 퍼팅라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에임포인트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홀컵에 넣기 위해 목표지점으로 바라보는 위치를 나타내는 것인,
    상기 퍼팅라인은 상기 에임포인트와 현재 상기 골프공의 위치를 연결하고 사용자에 의해 다른 방향으로 재설정될 수 있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볼위치지정 인터페이스는,
    퍼팅필드이미지영역 및 볼위치설정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퍼팅필드이미지영역은 초록색 배경위에 분할된 다각형이 표시되어, 각 퍼팅필드를 균등하게 분할하고, 상기 볼위치설정영역은 상기 분할된 다각형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퍼팅필드상에 내려놓을 공의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모듈이 설정된 상기 볼위치설정영역을 상기 프로젝터를 통하여 기 설정된 상기 볼위치설정영역을 상기 퍼팅필드에 투사하는 것인,
    상기 에임포인트 인터페이스는, 상기 볼위치지정 인터페이스 이후, 상기 제어모듈이 자동으로 에임포인트를 자체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퍼팅필드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것인,
    상기 퍼팅라인 인터페이스는, 상기 퍼팅라인을 상기 퍼팅필드 위에 기 설정된 라인이미지를 투사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 방법.
    제공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d)단계 후,
    상기 사용자단말이 회원정보와 훈련기간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가 사용자식별정보와 훈련기간을 참조하여,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사용자가 수행한 퍼팅 결과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훈련기간, 성공율에 관한 훈련데이터, 거리별 성공률 분석정보, 및 훈련 시 브레이킹 라인 성공률 분석표를 사용자 입력에 의해 통계 UI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 라인 성공률 분석표는,
    2차원 평면을 퍼팅이 진행된 위치에 따라 8 개 지역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 별로 퍼팅해당 위치 별 성공률을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그래프의 x축 및 y축은 x축은 날짜, y축은 성공률로 구성되며, 각 구역별로 다른 선으로 표시되고, 조건 설정한 날짜별 구간 성공률을 분석하여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하고, 브레이킹라인은 8개의 경사도에 따라서 단계로 구분되어 각 브레이킹라인별로 색을 다르게하여 날짜별, 및 브레이킹라인별 성공률을 선그래프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착군 분석표의 크기는 상기 표시되는 퍼팅이 실패한 볼이 멈춘 위치 중 가장 먼 곳에 멈춘 볼을 기준으로 퍼팅필드의 크기가 설정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탄착군 볼트래킹UI는, 상기 탄착군 분석표 내의 골프공을 나타내는 식별표시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제공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골프공을 나타내는 식별표시가 상기 탄착군 분석표 내에서 위치한 사분면을 나타내는 선택영역, 선택영역 볼 정보표시이미지, 및 경로확인버튼을 제공하고,
    상기 경로확인버튼이 클릭될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골프공을 나타내는 식별표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행한 퍼팅의 상기 골프공의 궤적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퍼팅필드 상에 제공되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필드를 홀컵을 중심으로 각도 별로 복수의 구역을 균등하게 분할한 퍼팅구역이미지를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가 각 구역 별로 퍼팅을 실시한 후, 각 구역들의 퍼팅성공률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복수의 구역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구역은 서로 다른 경사도를 갖는 것인,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 방법.
  24. 삭제
  25. 퍼팅 가이드 시스템은,
    퍼팅필드로 구성된 바닥면을 포함하는 퍼팅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퍼팅필드 위에 소정의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의 인근의 상기 퍼팅룸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퍼팅필드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퍼팅결과 및 통계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를 통해 제공받는 퍼팅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을 제어하여 퍼팅 훈련 프로그램이 수행되도록 하는 사용자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수집하여 상기 퍼팅필드 상의 골프공을 다른 사물과 구분하여 식별하고,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추적하고,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여,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상기 퍼팅필드 상에 투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상기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여, 상기 골프공의 궤적을 상기 퍼팅필드 상에 투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과정 후, 탄착군 분석표의 항목으로 제공하는 통계UI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탄착군 분석표는,
    퍼팅 이후 상기 골프공이 멈춘 위치를 2차원 좌표로 제공하고, x축 및 y축은 상기 퍼팅필드를 1,2,3,4분면으로 나누어 각 사분면에 멈춘 볼의 위치를 표시하고, 코리도 범위 내에 위치하여 타격된 골프공과 코리도 범위 밖에서 타격된 골프공의 색상이 구분되어 상기 2차원 좌표 상에 표시되고,
    상기 코리도는, 특정 위치에서 홀컵을 향해 퍼팅을 수행할 때, 홀컵에 공이 들어가기 위해 퍼팅 해야 하는 퍼팅각도를 의미하고,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퍼팅을 실시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타격한 골프공들의퍼팅 후 위치정보를 맵 형태의 이미지로 제공하되, 특정 위치에서 홀컵을 향해 퍼팅을 수행할 때 홀컵에 공이 들어가기 위해 퍼팅 해야 하는 퍼팅각도 범위인 코리도 범위에 따라, 상기 골프공이 코리도 범위 내에서 타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상기 맵 형태의 이미지 내에 식별되는 시스템.
KR1020200189293A 2020-12-31 2020-12-31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KR102330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93A KR102330220B1 (ko) 2020-12-31 2020-12-31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JP2021193579A JP7470997B2 (ja) 2020-12-31 2021-11-29 パッティングガイドシステム
US17/536,523 US20220203166A1 (en) 2020-12-31 2021-11-29 Putting guid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93A KR102330220B1 (ko) 2020-12-31 2020-12-31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220B1 true KR102330220B1 (ko) 2021-11-25
KR102330220B9 KR102330220B9 (ko) 2022-04-15

Family

ID=7874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293A KR102330220B1 (ko) 2020-12-31 2020-12-31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2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279A (ko) * 2008-04-02 2009-10-07 (주) 골프존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KR101282319B1 (ko) * 2012-05-10 2013-07-04 (주) 골프존 사용자의 골프 실력을 진단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1712838B1 (ko) * 2016-03-17 2017-03-07 주식회사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가상 골프를 위한 영상 구현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093703A (ko) * 2017-02-14 2018-08-22 김동국 가상의 그린을 이용한 골프 연습을 위한 시스템
KR20200085803A (ko) * 2018-01-23 2020-07-15 더블유에이더블유쥐디, 아이엔씨. 골프 공 추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279A (ko) * 2008-04-02 2009-10-07 (주) 골프존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KR101282319B1 (ko) * 2012-05-10 2013-07-04 (주) 골프존 사용자의 골프 실력을 진단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1712838B1 (ko) * 2016-03-17 2017-03-07 주식회사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가상 골프를 위한 영상 구현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093703A (ko) * 2017-02-14 2018-08-22 김동국 가상의 그린을 이용한 골프 연습을 위한 시스템
KR20200085803A (ko) * 2018-01-23 2020-07-15 더블유에이더블유쥐디, 아이엔씨. 골프 공 추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220B9 (ko)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1347B2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20220203166A1 (en) Putting guide system
US11642047B2 (en) Interactive training of body-eye coordination and reaction times using multiple mobile device cameras
US202101660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reduced player performance in sporting events
US988662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dribbling in sporting environments
US111325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target motion, capturing motion, analyzing motion, and improving motion
US11278787B2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20190176020A1 (en) Ball-striking assist method, ball-striking assist syste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Ranganathan et al. Perception-action coupling and anticipatory performance in baseball batting
JP7051315B2 (ja) ボールの回転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97280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via three-dimensional painting
CN106164817A (zh) 体育设备与可穿戴的计算机的交互
US117940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ovement based instruction
Zhang et al. KaraKter: An autonomously interacting Karate Kumite character for VR-based training and research
KR20230050262A (ko) 테니스 자율훈련 시스템
WO20221699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vement based instruction
KR102330220B1 (ko)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KR102297582B1 (ko)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장치, 전자 장치
KR102095647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CN115475373B (zh) 运动数据的展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2022027672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object detection and object/user interaction to assess user performance
JP6869826B2 (ja) ボールの画像撮影のために関心領域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230070090A (ko) 퍼팅 가이드 시스템 제공방법
KR102062070B1 (ko) 가상 볼링 시뮬레이션 시스템
US120022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player performance in sporting ev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