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647B1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647B1
KR102095647B1 KR1020180098441A KR20180098441A KR102095647B1 KR 102095647 B1 KR102095647 B1 KR 102095647B1 KR 1020180098441 A KR1020180098441 A KR 1020180098441A KR 20180098441 A KR20180098441 A KR 20180098441A KR 102095647 B1 KR102095647 B1 KR 102095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ance
band
coordinate valu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623A (ko
Inventor
장은주
김일한
Original Assignee
장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주 filed Critical 장은주
Priority to KR1020180098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6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 등을 포함하는 온라인에 업로된 좌표값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플레이 및 연습자의 댄스 동작을 촬영하는 스마트기기와; 스마트기기에서 플레이되는 영상을 보고 연습자가 따라 할 때 댄스동작에 따른 좌표값이 무선으로 인가하는 스마트밴드와; 스마트밴드에서 인가되는 좌표값과 스마트기기에서 플레이되는 영상에 따른 좌표값을 비교하여 댄스동작을 실시간 비교할 수 있도록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좌표값을 스마트기기에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며, 저장된 좌표값을 애플리케이션에서 분석하여 현재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비교하여 연습자 자신이 틀리게 동작한 부분과 정확하게 동작한 부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댄스를 따라 할 수 있도록 하므로 연습자가 싱글댄스를 연습자 혼자 따라하기, 싱글댄스를 다수의 연습자가 따라하는 그룹 따라하기, 그룹댄스를 연습자 혼자 따라하기 또는 그룹댄스를 다수의 연습자가 따라하는 그룹 따라하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동영상을 통해 댄스를 비교하므로 댄스의 학습효과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Comparison of operation using smart devices Comparison device and operation Comparison method through dance comparison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 등에 업로드 된 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보고 유명 댄스 안무가의 댄스나 아이돌 가수의 댄스(커버댄스)를 따라 할 때 자신의 동작과 정확도를 비교하여 댄스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빅, 나이트 댄스, 아이돌 댄스 등과 같이 동작을 주로 하는 운동의 학습에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실제 학원에서의 현장 강좌를 통한 방법이다. 실제 현장 강좌는 강사의 실제 동작 모습을 보고 배울 수 있다는 현장감이 있으며 다른 수강생들과 함께 비교하면서 배울 수 있다는 면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장 강좌는 강사의 동작에 집중하다 보면 연습자 본인의 동작확인이 어렵고 초급자의 경우 강좌의 진도를 따라가기 어려워 중도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일정한 시간에 학원에 가서 강습을 받아야 하는 시·공간상의 제약이 있으며 집체 교육으로 진행되므로 개별적 반복학습 등의 재현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강습료나 학원으로의 이동에 걸리는 부대시간 등에 대한 부담도 컸었다.
한편, 현장 강좌의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TV 강좌 프로그램이나 비디오 강좌 프로그램 등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TV 강좌 프로그램은 시간을 맞추어 시청해야 하므로 역시 시간상의 제약을 극복하지 못하였고 일회성 프로그램으로 제작됨에 따라 반복연습이 불가했다.
그리고 비디오 강좌 프로그램은 시간상의 제약은 없고 반복연습도 가능하지만 TV 강좌 프로그램이나 비디오 강좌 프로그램 공히 일방적인 전달 교육 형태이므로 연습자 본인의 동작을 강사의 동작과 비교하여 잘못된 부분에 대한 지적을 함으로써 연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동작을 교정할 수 있게 하거나 점수화하여 피드백을 줄 수는 없었다.
댄스와 같은 운동강습 외에도 TV를 통하여 인기가수의 댄스를 배우거나, 뮤직 비디오에 등장하는 동작을 따라하는 경우, 또는 영화나 드라마에 등장하는 유명배우의 연기를 따라하면서 동작의 유사도를 평가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게임 등의 경우에도 이러한 동작비교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락프로그램에서 동작비교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수나 연기자의 동작과 일반참가자의 동작을 촬영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두 영상을 비교하여 점수화하여야 하나, 영상의 처리속도의 한계로 인하여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 등의 웹사이트에 등록된 수많은 장르의 아이돌 가수의 춤 동영상 및 아이돌 가수의 춤을 따라한 커버댄스 등의 동영상을 보면서 본인 스스로 수없이 춤을 따라하고 연습하지만 본인이 동영상의 춤을 따라하면서도 얼마큼 잘 따라하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잘 알 수가 없다.
또한 어느 부분을 잘 따라하고 있는지 어느 부분의 춤을 잘 못 따라하고 있는지를 객관적인 지표로 실시간으로 알 수 없어, 실제로 동영상을 보고 많이 따라하지만 실력이 빨리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9844호의 '인공시각과 패턴인식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장치'가 있다.
인공시각과 패턴인식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장치는 댄스 게임에 관한 것이지만 에어로빅이나 다른 스포츠 게임에도 응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크로마키 스크린 안에 있는 인체의 동작을 촬영하는 카메라 앞에서 기본춤으로 설정된 동영상 캐릭터의 춤을 흉내내면 그 결과를 정지된 상태의 비교대상자영상과 비교하여 점수를 채점하는 댄스 게임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비교대상자영상을 출력용 모니터에 출력하고, 연습자의 동작을 광각 카메라로 촬영하여 음영을 추출한 입력영상을 표본동작 자료와 대조 판독하는 계측수단을 가진다. 또한, 이를 통해 연습자가 입력한 신체사이즈에 맞춰 세부적인 표준모델을 화면상에 제시하고 내부적으로는 인공시각 및 패턴인식 원리를 이용하여 연습자 특정 패턴을 추출한 뒤 인식하고 평가한다.
여기에서 패턴 인식과 비교대상자영상 및 연습자 입력영상의 비교계측은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첫번째는 3D 캐릭터의 음영만으로 이루어진 비교대상자영상을 입력영상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영역의 면적을 산출하여 비교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비교대상자영상에 해당하는 3D 캐릭터의 인체골격선의 정점위치를 입력영상에서 추출한 골격선과 비교하여 사각정점 이내에 포함되지 않는 외부영역을 검사하여 일치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공시각과 패턴인식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장치의 비교대상자영상과 입력영상을 비교계측하는 상기 두 가지 방법은 결국은 모두 비교대상자영상과 입력영상이 겹쳐지는 면적을 단순하게 비교함으로써 일치도를 평가하는 방법이었다. 따라서 면적이 겹쳐지기만 하면 동작이 틀리더라도 이를 인식할 수 없고 특히 어느 부위의 동작이 틀렸는지를 정확하게 지적해 낼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작의 비교에 의한 점수화만 가능할 뿐 틀린 부위를 정확하게 지적해 낼 수 없기 때문에 어떤 부위를 어떻게 교정하라는 지시멘트를 해 줄 수 없으므로 운동을 하면서 연습자 스스로 틀린 동작을 교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틀린 부위를 정확하게 지적해 낼 수 없기 때문에 어느 특정 부위의 운 동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활용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치도의 점수화에 있어서도 각 부위별 일치도를 평가하여 점수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선행문헌으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84173호(2004.10.26.공개)의 '실시간 동작비교 방법 및 시스템'는 연속된 프레임별로 분할하여 저장된 상기 비교대상자영상과 연습자영상의 프레임 데이터를 호출하고, 상기 연속된 프레임의 차연산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대상자영상과 연습자영상의 각각에서 움직임이 있는 부분을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움직임이 있는 부분의 에지를 구하고, 동기화된 상기 비교대상자영상과 연습자영상 각각의 객체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비교대상자영상과 연습자영상의 객체영상의 크기를 상호 일치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객체영상을 일정한 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스캔하여 객체영상의 외곽선위의 각 지점의 좌표값을 생성하고, 상기 외곽선위의 두 지점의 좌표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의 방향벡터를 생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객체영상의 방향벡터의 방향을 상호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산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문헌(제2004-0084173호)은 프레임별로 분할하여 저장된 영상을 비교하기 때문에 비교하기 때문에 바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영상이 촬영된 후 보고 따라한 영상과 영상을 비교해야 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영상을 비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틀린 부위를 정확하게 지적해 낼 수 없는 종전의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84173호(2004.10.26.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 등에 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보고 유명 댄스 안무가의 댄스나 아이돌 가수의 댄스(커버댄스)를 따라 할 때 손목 또는 발목, 실반 안의 깔창(인솔) 등에 착용한 스마트밴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좌표값을 인가하고,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좌표값을 스마트기기에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며, 저장된 좌표값을 애플리케이션에서 분석하여 현재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비교하여 연습자 자신이 틀리게 동작한 부분을 실시가느로 확인하면서 댄스를 따라 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밴드에 설치된 각속도센서와 가속도센서를 통해 연습자가 동영상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보면서 활동한 활동량, 칼로리 소모량, 운동 거리 등을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댄스를 따라 하면서 소모되는 칼로리에 의해 어느 정도로 운동을 하였는지를 확인하면서 성취감을 고무되도록해 꾸준하게 댄스를 통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에 업로드된 좌표값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플레이 및 연습자의 댄스동작을 촬영하는 스마트기기와; 스마트기기에서 플레이되는 영상을 보고 연습자가 따라 할 때 춤 동작에 따른 좌표값이 무선으로 인가하는 스마트밴드와; 스마트밴드에서 인가되는 좌표값과 스마트기기에서 플레이되는 영상에 따른 좌표값을 비교하여 춤 동작을 실시간 비교할 수 있도록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밴드는,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센서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좌표로 변환하여 스마트기기로 밴드좌표값을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통해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는, 플랫폼서버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동영상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플레이하며, 플레이되는 동영상에 따른 동영상좌표값과 스마트밴드에서 제공되는 밴드좌표값을 비교 및 판단하여 연습자의 춤 동작에서 동영상에서 플레이되는 동작과 다른 부분을 판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밴드의 위치를 기준선을 설정하고, 기준선에 따른 밴드좌표값과 동영상에 포함된 기준선에 따른 동영상좌표값을 매칭시킨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인가되는 밴드좌표값과 동영상좌표값을 비교하여 연습자의 동작과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동작이 다른 부분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좌표값은,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에 업로드되는 영상제공자가 스마트밴드를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춤 동작을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에 스마트밴드의 밴드좌표값이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좌표값은, 영상제보자와 연습자의 신체 크기에 따른 갭을 줄이기 위하여 연습자의 신체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한국 표준신체치수에 따른 비율을 설정하여 그 갭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좌표값은, 밴드좌표값에 따른 기준선과 동영상좌표값에 따른 기준선을 매칭시킨 상태에서 오차설정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범위 내에 밴드좌표값이 위치되면 플레이되는 동영상에 따른 춤 동작과 동일한 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동영상은, 싱글댄스를 연습자 혼자 따라하기, 싱글댄스를 다수의 연습자가 따라하는 그룹 따라하기, 그룹댄스를 연습자 혼자 따라하기, 그룹댄스를 다수의 연습자가 따라하는 그룹 따라하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습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에 동영상 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보고 유명 댄스 안무가의 댄스나 아이돌 가수의 댄스(커버댄스)를 따라 할 때 손목 또는 발목, 신발 안의 깔창(인솔)에 착용한 스마트밴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밴드좌표값을 인가하고,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밴드좌표값을 스마트기기에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며, 저장된 밴드좌표값과 동영상에 포함된 동영상좌표값과 애플리케이션에서 분석하여 현재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비교하여 연습자 자신의 댄스와 비교하여 틀리게 동작한 부분과 정확하게 동작한 부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댄스를 따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댄스 비교는, 스마트기기에 플랫폼서버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스마트기기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S10)와;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밴드와 스마트기기가 연동되게 하는 단계(S20)와;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인터넷망을 통해 동영상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이 업로드된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S30)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한 상태에서 동영상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검색하고, 검색한 동영상을 선택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플레이하는 단계(S40)와; 스마트기기에서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따라 하는 연습자의 스마트밴드에서 실시간으로 인가되는 밴드좌표값을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시간 별로 동영상좌표값을 스마트기기에 저장하는 단계(S50)와; 스마트기기에서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동영상좌표값과 스마트밴드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밴드좌표값을 애플리케이션에서 비교하는 단계(S60)와; 상기 단계(S60)에서 비교하여 얻어진 데이터 값을 통해 연습자의 댄스 점수를 체점하는 단계(S70)와; 연습자가 플레이 한 동영상의 동영상좌표값과 스마트밴드에서 인가되는 밴드좌표값을 싱크하여 댄스 동작이 차이나는 부분과 댄스 동작이 일치하는 부분을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영상에 표시하여 이를 연습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은, 동영상을 온라인 상으로 업로드하는 영상제공자의 신체와 동영상을 보고 따라하는 연습자의 신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갭을 줄이기 위하여 스마트밴드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플레이되는 동영상 각각에 상기와 같은 이동평균선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평균선은, 영상제보자와 연습자의 신체 크기에 따른 갭을 줄이기 위하여 연습자의 신체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한국 표준신체치수에 따른 비율을 설정하여 그 갭을 조절할 수 있고, 이동평균선을 통해 발생되는 편차에 따른 갭비율을 이동평균선에 매칭시키기 전에 비교 및 판단하여 그 비율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밴드좌표값에 매칭시켜 밴드좌표값을 새롭게 산출하여 동영상좌표값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은, 밴드좌표값에 따른 이동평균선과 동영상좌표값에 따른 이동평균선에 매칭시킨 상태에서 오차설정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범위 내에 밴드좌표값이 위치되면 플레이되는 동영상에 따른 댄스동작과 동일한 동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 등에 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보고 유명 댄스 안무가의 댄스나 아이돌 가수의 댄스(커버댄스)를 따라 할 때 손목 또는 발목, 신발 안의 깔창(인솔)등에 착용한 스마트밴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좌표값을 인가하고,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좌표값을 스마트기기에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며, 저장된 좌표값을 애플리케이션에서 분석하여 현재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비교하여 연습자 자신이 틀리게 동작한 부분과 정확하게 동작한 부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댄스를 따라 할 수 있도록 하므로 연습자가 싱글댄스를 연습자 혼자 따라하기, 싱글댄스를 다수의 연습자가 따라하는 그룹 따라하기, 그룹댄스를 연습자 혼자 따라하기, 그룹댄스를 연습자 혼자 따라 하기, 그룹댄스를 다수의 연습자가 따라 하는 그룹 따라 하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동영상을 통해 댄스를 비교하므로 댄스의 학습효과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에서 연습자가 틀린 부분과 정확하게 동작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 틀린부분을 집중적으로 반복 연습에 의해 동영상 동작을 구현하기 때문에 학습효과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을 온라인에 제공하는 영상제보자의 신체 조건에 연습자의 신체조건에 대한 비율을 조절하여 비교, 분석 및 판단하여 연습자에게 동작이 틀린 부분 또는 동작이 정확한 부분을 제공하므로 연습자로부터 신뢰도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습자가 스마트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보면서 스마트밴드의 각속도센서와 가속도센서에서 체크 한 활동량, 칼로리 소모량, 운동량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하므로 성취감이 고무되어 꾸준하게 댄스 연습이 이루어져 체형의 보정 및 다이어트의 효과를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에 의해 댄스동작에 따른 좌표값과 스마트기기에서 플레이되는 좌표값을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부분을 알려주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의 스마트밴드를 통해 활동한 활동량, 칼로리 소모량, 운동 거리 등을 수치로 환산한 데이터를 표시한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비교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는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 등에 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보고 유명 댄스 안무가의 댄스나 아이돌 가수의 댄스(커버댄스)를 따라 할 때 손목 또는 발목, 신발 안의 깔창(인솔) 등에 착용한 스마트밴드(10)를 통해 실시간으로 밴드좌표값을 인가하고,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밴드좌표값을 스마트기기(20)에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며, 저장된 밴드좌표값과 동영상에 포함된 동영상좌표값과 애플리케이션에서 분석하여 현재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비교하여 연습자 자신이 틀리게 동작한 부분과 정확하게 동작한 부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댄스를 따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를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비교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에 의해 댄스동작에 따른 좌표값과 스마트기기에서 플레이되는 좌표값을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부분을 알려주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의 스마트밴드를 통해 활동한 활동량, 칼로리 소모량, 운동 거리 등을 수치로 환산한 데이터를 표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는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에 업로된 좌표값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플레이 및 연습자의 댄스 동작을 촬영하는 스마트기기(20)와, 스마트기기(20)에서 플레이되는 영상을 보고 연습자가 따라 할 때 댄드동작에 따른 좌표값이 무선으로 인가하는 스마트밴드(10)와, 스마트밴드(10)에서 인가되는 좌표값과 스마트기기(20)에서 플레이되는 영상에 따른 좌표값을 비교하여 댄스동작을 실시간 비교할 수 있도록 스마트기기(2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밴드(10)는 가속도 센서(미도시)와 각속도센서(미도시)를 내장하여 연습자의 손목 또는 발목을 포함하는 신체에 착용할 수 있고, 신발 안의 깔창(인솔)등의 형태로 신발 안에 삽입하여 착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스마트밴드는 시계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습자가 착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 신발의 깔창(인솔) 형태로 신발 안에 삽입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밴드(10)는 손가락, 발, 발가락, 머리, 목 등을 포함하는 신체 부위 및 신발 안의 깔창(인솔) 등에 부착, 착용, 삽입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웨어러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스마트밴드(10)를 착용한 신체 부분이 움직이는 속도를 측정한다. 상기 각속도 센서는 스마트밴드(10)를 착용한 신체 부분의 단위 시간당 각변위를 측정한다.
상기 가속도센서와 각속도센서에서 측정한 각각의 값을 통해 밴드좌표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밴드좌표값을 스마트밴드(1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미도시)로 인가하여 무선을 통해 스마트기기(20)로 인가한다.
상기 밴드좌표값은 X,Y의 좌표값은 2D 또는 X, Y, Z인 3D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밴드(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20)에 의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따라 한 후 각속도센서와 가속도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목표치에 달성하였는지, 그리고 운동시간, 칼로리소모량, 이동거리, 스텝(Steps)에 대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스마트기기(10)를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따라는 사용자는 영상제공자의 댄스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따라하기 위한 목적 또는 동영상을 보면서 댄스동작을 따라 하고 이를 통해 다이어트효과를 보기 위한 목적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목적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마트기기(20)는 플랫폼서버(3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아 설치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영상을 플레이하고, 플레이하는 동영상에 포함된 동영상좌표값과 스마트밴드(10)에서 제공되는 밴드좌표값을 비교하여 댄스를 연습하는 연습자의 동작이 정확한지를 비교한다.
상기 동영상은 싱글댄스를 연습자 혼자 따라하기, 싱글댄스를 다수의 연습자가 따라하는 그룹 따라하기, 그룹댄스를 연습자 혼자 따라하기, 그룹댄스를 다수의 연습자가 따라하는 그룹 따라하기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습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기기(2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마트기기(20)는 통신망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은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상기 플랫폼서버(30)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등을 통해 스마트기기(20)를 지원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의뢰인의 위치정보, 스마트기기 정보, 동영상 데이터, 좌표값 비교 프로그램, 지수 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플랫폼서버(3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서버(30)는 통신, 위치 정보 수집, 저장, 표시를 기능적으로 연결하며, 각 구성 요소들에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여 스마트기기(2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밴드(10)의 위치를 이동평균선으로 설정하고, 이동평균선에 따른 밴드좌표값과 동영상에 포함된 이동평균선에 따른 동영상좌표값을 매칭시킨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인가되는 밴드좌표값과 동영상좌표값을 비교하여 연습자의 동작과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동작이 다른 부분을 판별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동영상을 온라인 상으로 업로드하는 영상제공자의 신체와 동영상을 보고 따라하는 연습자의 신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갭을 줄이기 위하여 스마트밴드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플레이되는 동영상 각각에 상기와 같은 이동평균선을 설정한다.
상기 동영상좌표값은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에 업로드되는 영상제공자가 스마트밴드를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댄스동작을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에 스마트밴드의 밴드좌표값이 매칭시켜 설정한다.
또한, 영상제보자와 연습자의 신체 크기에 따른 갭을 줄이기 위하여 연습자의 신체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한국 표준신체치수에 따른 비율을 설정하여 그 갭을 조절할 수 있고, 이동평균선을 통해 발생되는 편차에 따른 갭비율을 이동평균선을 매칭시키기 전에 비교 및 판단하여 그 비율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밴드좌표값에 매칭시켜 밴드좌표값을 새롭게 산출하여 동영상좌표값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갭을 줄이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밴드좌표값에 따른 이동평균선과 동영상좌표값에 따른 이동평균선을 매칭시킨 상태에서 오차설정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범위 내에 밴드좌표값이 위치되면 플레이되는 동영상에 따른 댄스동작과 동일한 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기기(20)를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따라할 때 스마트기기(20)에 설치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촬영하고, 추후 플레이된 동영상과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겹쳐지게 합성(이하, '겹쳐진 영상' 이라 칭함)하고, 겹쳐진 영상은 연습자가 확인하면서 댄스의 동작이 다른 곳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겹치진 영상은 연습자가 스마트기기(20)를 통해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을 거쳐 플랫폼서버(30)로 업로드하여 플랫폼서버(30)에서 동영상과 영상을 합성하고, 이를 스마트기기(20)로 제공하여 연습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을 통해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에 동영상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보고 유명 댄스 안무가의 댄스나 아이돌 가수의 댄스(커버댄스)를 따라 할 때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한 스마트밴드(10)를 통해 실시간으로 밴드좌표값을 인가하고,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밴드좌표값을 스마트기기(20)에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며, 저장된 밴드좌표값과 동영상에 포함된 동영상좌표값과 애플리케이션에서 분석하여 현재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비교하여 연습자 자신의 댄스와 비교하여 틀리게 동작한 부분과 정확하게 동작한 부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댄스를 따라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기기(20)에서 플레이 시킨 동영상에 따른 연습자의 댄스 비교는 스마트기기(20)에 플랫폼서버(3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스마트기기(20)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S10)와,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밴드(10)와 스마트기기(20)가 연동되게 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기기(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인터넷망을 통해 동영상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이 업로드 된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S30)를 수행하고, 상기 온라인의 웹사이트에 접속한 상태에서 로그인하여 연습자인증을 행하여 동영상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기기(20)를 이용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한 상태에서 동영상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검색하고, 검색한 동영상을 선택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플레이 하면서 동시에 스마트기기(2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웹사이트에서 검색되는 동영상은 두 가지 형태로 연습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첫 번째는 동영상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기기(20)에 저장한 후 제공하거나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영상을 스마트기기에 저장하지 않고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20)에서 플레이 되는 동영상을 따라 하는 연습자의 스마트밴드(10)에서 실시간으로 인가되는 밴드좌표값을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시간별로 동영상좌표값을 스마트기기(20)에 저장하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기기(20)에서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동영상좌표값과 스마트밴드(10)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밴드좌표값을 애플리케이션에서 비교하는 단계(S6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60)의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밴드(10)의 위치를 이동평균선을 설정하고, 이동평균선에 따른 밴드좌표값과 동영상에 포함된 이동평균선에 따른 동영상좌표값을 매칭시킨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인가되는 밴드좌표값과 동영상좌표값을 비교하여 연습자의 동작과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동작이 다른 부분을 판별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동영상을 온라인 상으로 업로드하는 영상제공자의 신체와 동영상을 보고 따라하는 연습자의 신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갭을 줄이기 위하여 스마트밴드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플레이되는 동영상에 상기와 같은 이동평균선을 설정한다.
상기 동영상좌표값은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에 업로드되는 영상제공자가 스마트밴드(10)를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댄스동작을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에 스마트밴드(10)에서 제공되는 밴드좌표값을 매칭시킨다.
또한, 영상제보자와 연습자의 신체 크기에 따른 갭을 줄이기 위하여 연습자의 신체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한국 표준신체치수에 따른 비율을 설정하여 그 갭을 조절할 수 있고, 이동평균선을 통해 발생되는 편차에 따른 갭비율을 이동평균선에 매칭시키기 전에 비교 및 판단하여 그 비율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밴드좌표값에 매칭시켜 밴드좌표값을 새롭게 산출하여 동영상좌표값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갭을 줄이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밴드좌표값에 따른 이동평균선과 동영상좌표값에 따른 이동평균선을 매칭시킨 상태에서 오차설정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범위 내에 밴드좌표값이 위치되면 플레이되는 동영상에 따른 댄스동작과 동일한 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S60에서 비교하여 얻어진 데이터 값을 통해 연습자의 댄스 점수를 체점하는 단계(S7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70)에서 채점한 점수를 스마트기기(20)를 통해 표시하여 연습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습자는 자신의 점수를 확인함과 동시에 틀린 부분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틀린 동작의 확인은 연습자가 플레이 한 동영상의 동영상좌표값과 스마트밴드(10)에서 인가되는 밴드좌표값에 의해 댄스 동작이 차이 나는 부분과 댄스 동작이 일치하는 부분을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영상에 표시하므로 스마트기기(20)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습자가 확인(S80)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S80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연습자가 스마트기기(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업로드하여 플레이된 영상과 플랫폼서버(30)에서 합성하고, 이를 스마트기기로 다운로드하여 연습자 자신의 댄스와 동영상에서 보여진 댄스롤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 등에 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보고 유명 댄스 안무가의 댄스나 아이돌 가수의 댄스(커버댄스)를 따라 할 때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한 스마트밴드(신체에 부착, 착용, 삽입 가능한 형태의 웨어러블을 포함), 신발 깔창(인솔) 형태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좌표값을 인가하고,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좌표값을 스마트기기(20)에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며, 저장된 좌표값을 애플리케이션에서 분석하여 현재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비교하여 연습자 자신이 틀리게 동작한 부분과 정확하게 동작한 부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댄스를 따라 할 수 있도록 하므로 연습자가 싱글댄스를 연습자 혼자 따라하기, 싱글댄스를 다수의 연습자가 따라하는 그룹 따라하기, 그룹댄스를 연습자 혼자 따라하기, 그룹댄스를 다수의 연습자가 따라하는 그룹 따라하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동영상을 통해 댄스를 비교하므로 댄스의 학습효과가 상승된다.
또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에서 연습자가 틀린부분과 정확하게 동작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 스마트기기에서 플레이되는 동영상과 유사한 동작을 구현하므로 연습자의 만족도가 상승된다.
그리고 동영상을 온라인에 제공하는 영상제보자의 신체 조건에 연습자의 신체조건에 대한 비율을 조절하여 비교, 분석 및 판단하여 연습자에게 동작이 틀린 부분 또는 동작이 정확한 부분을 제공하므로 연습자로부터 신뢰도가 상승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밴드(10)에 설치된 각속도센서와 가속도센서를 통해 연습자가 동영상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보면서 활동한 활동량, 칼로리 소모량, 운동 거리, 스텝(step) 등을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댄스를 따라 하면서 소모되는 칼로리에 의해 어느 정도로 운동을 하였는지를 확인하면서 성취감을 고무되도록 해 꾸준하게 댄스를 통해 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운동은 스마트밴드(10)에 설치된 각속도센서와 가속도센서에 인가되는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댄스시간(또는 운동시간), 칼로리 소모량, 이동거리, 스텝(step) 등을 환산하여 스마트기기(20)를 통해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량에 대하여 보다 면밀하게 확인하므로 운동량을 늘릴지 아니면 낮출지를 판단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댄스를 따라하면서 부수적으로 다이어트효과와 운동에 따른 건강미을 얻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연습자가 스마트밴드(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기기(20)를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보면서 스마트밴드(10)의 각속도센서와 가속도센서에서 체크 한 활동량, 칼로리 소모량, 운동량, 스텝(step)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하므로 성취감이 고무되어 꾸준하게 댄스 연습이 이루어져 체형의 보정 및 다이어트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 스마트밴드
20: 스마트기기
30: 플랫폼서버

Claims (13)

  1.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에 업로된 좌표값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플레이 및 연습자의 댄스 동작을 촬영하는 스마트기기(20)와;
    스마트기기(20)에서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보고 연습자가 따라 할 때 댄스동작에 따른 밴드좌표값이 무선으로 인가하는 스마트밴드(10)와;
    스마트밴드(10)에서 인가되는 밴드좌표값과 스마트기기(20)에서 플레이되는 영상에 따른 동영상좌표값을 비교하여 댄스동작을 실시간 비교할 수 있도록 스마트기기(2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되,
    상기 동영상좌표값은 영상제보자와 연습자의 신체 크기에 따른 갭을 줄이기 위하여 연습자의 신체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하여 설정하고, 이러한 설정은 한국 표준신체치수에 따른 비율에 의해 설정하며,
    상기 갭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밴드의 위치에 따른 밴드좌표값을 이동평균선으로 설정하고,
    영상제보자가 착용한 스마트밴드의 위치에 따른 동영상좌표값과 이동평균선을 매칭시킨 상태에서 오차설정범위를 설정하며,
    상기 오차범위의 설정은 동영상좌표값과 이동평균선을 통해 발생되는 편차에 따른 갭비율에 의해 설정되고,
    설정범위 내에 밴드좌표값이 위치되면 플레이되는 동영상에 따른 댄스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동영상좌표값을 기준으로 밴드좌표값에 설정된 갭비율을 적용하여 동영상좌표값과 밴드좌표값을 비교 및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10)는,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센서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좌표(X, Y 좌표 또는 X, Y, Z 좌표)로 변환하여 스마트기기(20)로 밴드좌표값을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통해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20)는,
    플랫폼서버(3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동영상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플레이하며,
    플레이되는 동영상에 따른 동영상좌표값과 스마트밴드(10)에서 제공되는 밴드좌표값을 비교 및 판단하여 연습자의 댄스동작에서 동영상에서 플레이 되는 동작과 다른 부분을 판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밴드(10)의 위치를 이동평균선을 설정하고, 이동평균선에 따른 밴드좌표값과 동영상에 포함된 이동평균선에 따른 동영상좌표값을 매칭시킨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인가되는 밴드좌표값과 동영상좌표값을 비교하여 연습자의 동작과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동작이 다른 부분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좌표값은,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에 업로드되는 영상제공자가 스마트밴드를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댄스동작을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에 스마트밴드의 밴드좌표값이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은,
    싱글댄스를 연습자 혼자 따라하기, 싱글댄스를 다수의 연습자가 따라하는 그룹 따라하기, 그룹댄스를 연습자 혼자 따라 하기 또는 그룹댄스를 다수의 연습자가 따라하는 그룹 따라하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습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9.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에 동영상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보고 유명 댄스 안무가의 댄스나 아이돌 가수의 댄스(커버댄스)를 따라 할 때 손목 또는 발목, 신발의 깔창(인솔)에 착용한 스마트밴드(10)를 통해 실시간으로 밴드좌표값을 인가하고,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밴드좌표값을 스마트기기(20)에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며, 저장된 밴드좌표값과 동영상에 포함된 동영상좌표값과 애플리케이션에서 분석하여 현재 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비교하여 연습자 자신의 댄스와 비교하여 틀리게 동작한 부분과 정확하게 동작한 부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댄스를 따라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동영상을 온라인 상으로 업로드하는 영상제공자의 신체와 동영상을 보고 따라하는 연습자의 신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갭을 줄이기 위하여 영상제보자와 연습자의 신체 크기에 따른 갭을 줄이기 위하여 연습자의 신체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하여 설정하고, 이러한 설정은 한국 표준신체치수에 따른 비율을 설정하여 그 갭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조절하여 밴드좌표값에 따른 이동평균선과 동영상좌표값에 따른 이동평균선을 매칭시킨 상태에서 오차설정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범위 내에 밴드좌표값이 위치되면 플레이되는 동영상에 따른 댄스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동영상좌표값을 기준으로 밴드좌표값에 설정된 갭비율을 적용하여 동영상좌표값과 밴드좌표값을 비교 및 판단하며,
    상기 이동평균선은, 영상제보자와 연습자의 신체 크기에 따른 갭을 줄이기 위하여 연습자의 신체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한국 표준신체치수에 따른 비율을 설정하여 그 갭을 조절할 수 있고, 이동평균선을 통해 발생되는 편차에 따른 갭비율을 이동평균선에 매칭시키기 전에 비교 및 판단하여 그 비율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밴드좌표값에 매칭시켜 밴드좌표값을 새롭게 산출하여 동영상좌표값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댄스 비교는,
    스마트기기(20)에 플랫폼서버(3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스마트기기(20)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S10)와;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밴드(10)와 스마트기기(20)가 연동되게 하는 단계(S20)와;
    스마트기기(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인터넷망을 통해 동영상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이 업로드 된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S30)와;
    스마트기기(20)를 이용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한 상태에서 동영상좌표값이 포함된 동영상을 검색하고, 검색한 동영상을 선택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플레이 하면서 동시에 스마트기기(2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는 단계(S40)와;
    스마트기기(20)에서 플레이 되는 동영상을 따라 하는 연습자의 스마트밴드(10)에서 실시간으로 인가되는 밴드좌표값을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시간 별로 동영상좌표값을 스마트기기(20)에 저장하는 단계(S50)와;
    스마트기기(20)에서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동영상좌표값과 스마트밴드(10)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밴드좌표값을 애플리케이션에서 비교하는 단계(S60)와;
    상기 단계(S60)에서 비교하여 얻어진 데이터 값을 통해 연습자의 댄스 점수를 체점하는 단계(S70)와;
    연습자가 플레이 한 동영상의 동영상좌표값과 스마트밴드(10)에서 인가되는 밴드좌표값에 의해 댄스 동작이 차이 나는 부분과 댄스 동작이 일치하는 부분을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영상에 표시하여 이를 연습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밴드좌표값에 따른 이동평균선과 동영상좌표값에 따른 이동평균선에 매칭시킨 상태에서 오차설정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범위 내에 밴드좌표값이 위치되면 플레이되는 동영상에 따른 댄스동작과 동일한 동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KR1020180098441A 2018-08-23 2018-08-23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KR102095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441A KR102095647B1 (ko) 2018-08-23 2018-08-23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441A KR102095647B1 (ko) 2018-08-23 2018-08-23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23A KR20200022623A (ko) 2020-03-04
KR102095647B1 true KR102095647B1 (ko) 2020-03-31

Family

ID=6978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441A KR102095647B1 (ko) 2018-08-23 2018-08-23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39A1 (ko) * 2020-09-03 2022-03-10 장은주 좌표, 좌표이동평균선을 이용한 좌표안무동영상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무, 안무표절, 안무저작권 검색 방법.
KR102663286B1 (ko) * 2021-09-06 2024-05-03 주식회사 이엠피 인공지능 댄스 학습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225B1 (ko) * 2006-04-04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내장 신발과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댄스 강습방법 및 시스템
KR101836857B1 (ko) * 2016-12-01 2018-03-09 주식회사 스포츠패나틱 퍼포먼스 인지 서비스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173A (ko) 2003-03-27 2004-10-06 쓰리에스휴먼 주식회사 실시간 동작비교 방법 및 시스템
KR101687252B1 (ko) * 2014-11-06 2016-12-16 장재윤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225B1 (ko) * 2006-04-04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내장 신발과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댄스 강습방법 및 시스템
KR101836857B1 (ko) * 2016-12-01 2018-03-09 주식회사 스포츠패나틱 퍼포먼스 인지 서비스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23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25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target motion, capturing motion, analyzing motion, and improving motion
US10821347B2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11642047B2 (en) Interactive training of body-eye coordination and reaction times using multiple mobile device cameras
AU2017331639B2 (en) A system and method to analyze and improve sports performance using monitoring devices
US11278787B2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20180374383A1 (en) Coaching feedback system and method
US11113988B2 (en) Apparatus for writing motion script, apparatus for self-teaching of mo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220080260A1 (en) Pose comparison systems and methods using mobile computing devices
KR20110017258A (ko) 사용자 참여형 피트니스 강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트니스 훈련방법
US20220277506A1 (en) Motion-based online interactive platform
US202202458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vement based instruction
CN113409651B (zh) 直播健身方法、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KR102095647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JP6999543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スキルトレーニングコンテンツの配信への応用を含む、身体的に実行されるスキルの分析を可能にするように構成されるフレームワークおよび方法
US20220096917A1 (en) Screen soccer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creen soccer
TW201729879A (zh) 移動式互動跳舞健身系統
Clark et al. Technology in sports coaching
US20210307652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measuring, capturing, and modifying partial and full body kinematics
US20240135617A1 (en) Online interactive platform with motion detection
KR20040084173A (ko) 실시간 동작비교 방법 및 시스템
Miranda et al. A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prototype for improving throwing accuracy in basketball
KR20240048195A (ko) 다양한 운동 및 장소에 적용 가능한 3차원 데이터 비교 및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02425A (ko)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220056967A (ko) Ai에 기반하여 클라이밍 경로를 안내하고 등반 결과를 평가하는 클라이밍 서포트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