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425A -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425A
KR20210002425A KR1020200185640A KR20200185640A KR20210002425A KR 20210002425 A KR20210002425 A KR 20210002425A KR 1020200185640 A KR1020200185640 A KR 1020200185640A KR 20200185640 A KR20200185640 A KR 20200185640A KR 20210002425 A KR20210002425 A KR 20210002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tion
physical quantity
user
co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754B1 (ko
Inventor
송진우
은광하
Original Assignee
송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5920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71457A/ko
Application filed by 송진우 filed Critical 송진우
Priority to KR102020018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7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은 서비스서버의 모션분석부가 제1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물리량분석부가 제2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타격된 공의 물리량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모션분석부가 상기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코칭모션정보와 상기 모션정보를 비교하여 모션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물리량분석부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코칭모션정보와 매칭되는 코칭물리량정보와 상기 물리량정보를 비교하여 물리량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모션오차정보와 상기 물리량오차정보를 출력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OF PROVIDING AUTO-COACHING INFORMATION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스포츠 코칭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또는 음성으로 야구, 골프 등의 스윙 또는 축구의 킥 등이 올바른지 여부에 대한 코칭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스크린에 게임장면을 투사하고, 사용자가 실제 배트를 휘두르거나 골프 클럽을 스윙하는 스크린 스포츠가 유행하고 있다.
모션센싱 또는 타격된 공의 물리량에 대한 분석 기술이 발전하면서, 실제로 해당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현장감을 제공하고 있다. 스크린 스포츠가 발전하면서 모의훈련 시스템으로까지 활용되고 있다.
사용자의 스윙, 배팅 등의 모션과 공의 물리량을 분석할 수 있는 이미지와 공의 궤적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경우라도 골프, 야구 등의 경우 정확한 스윙, 배팅 등과 관련한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하다. 골프클럽 또는 야구배트 등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는 물론, 축구 등의 경우에도 정확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 경기력 향상을 도울 뿐만 아니라, 부상을 방지하고 오래도록 즐겁게 스포츠를 즐기는 방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스포츠 전문가의 지도아래 스윙, 배팅 등의 자세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해도 경험이 풍부하지 않은 경우 또는 해당 스포츠를 배우려는 학습자의 신체능력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효율적인 코칭이 제공되기 어렵다. 예를 들면, 남성보다는 여성의 몸이 유연한 경우가 많다. 만약 여성코치가 남자 수강생을 지도하는 경우 지도를 받는 남자 수강생의 경우 신체 가동능력이 여성코치의 지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고령의 남자 수강생의 경우에는 무리한 동작을 수행하여 인대, 근육 등이 부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션과 타격된 볼의 물리량을 계산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스크린에 이미지로 투사하는 한편, 사용자가 올바르게 스윙 또는 배팅 등의 동작을 수행하였는지에 대한 코칭정보를 이미지 또는 음성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토코칭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은 서비스서버의 모션분석부가 제1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서비스서버의 물리량분석부가 제2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타격된 공의 물리량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모션분석부가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코칭모션정보와 모션정보를 비교하여 모션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물리량분석부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코칭모션정보와 매칭되는 코칭물리량정보와 물리량정보를 비교하여 물리량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모션오차정보와 물리량오차정보를 출력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션오차정보와 물리량오차정보는 음성정보 또는 이미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미지수집장치 또는 제2 이미지수집장치는 화상 이미지 또는 열상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모션분석부는 데이터송수신부 또는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모션오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코칭모션정보는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나이 또는 성별에 따라 분류되고, 사용자의 신체정보는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나이 및 성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모션분석부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코칭모션정보를 추출하여 모션오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정보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무게중심센싱장치 또는 사용자의 발구름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무게중심이동정보를 생성하는 발구름 센싱장치로부터 송신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모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서비스서버의 심전도분석부가 사용자의 몸에 부착된 심전도 센싱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긴장상태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긴장상태정보를 출력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오토코칭 시스템은 사용자의 모션과 타격된 공의 물리량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는, 제1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정보를 추출하고,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코칭모션정보와 모션정보를 비교하여 모션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모션분석부, 제2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타격된 공의 물리량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코칭모션정보와 매칭되는 코칭물리량정보와 물리량정보를 비교하여 물리량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물리량분석부 및 모션오차정보와 물리량오차정보를 출력장치로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션과 타격된 볼의 물리량을 계산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스크린에 이미지로 투사하는 한편, 사용자가 올바르게 스윙 또는 배팅 등의 동작을 수행하였는지에 대한 코칭정보를 이미지 또는 음성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스윙 또는 배팅자세가 올바른지 스스로 점검하고 훈련할 수 있도록 하는 오토코칭정보가 제공됨으로써 스스로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서버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4는 각각 제1 및 제2 발구름 센싱장치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발구름 센싱장치와 발구름 센싱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발구름 센싱장치와 발구름 센싱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발구름 센싱장치와 발구름 센싱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발구름 센싱장치와 발구름 센싱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의 적용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또는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또는 정보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서버, 사용자 기기라고 함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PDA, 휴대전화, 게임기 등 데이터를 수집, 판독, 처리, 가공, 저장,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계산 수단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용자 기기는 해독 가능한 코드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소프트웨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기도 하고,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와 함께 읽어 들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스템서버 또는 사용자 기기에는 위와 같은 데이터 처리 기능 뿐 아니라 입력, 출력, 저장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사운드 카드,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USB, 통신 모뎀 등의 각종 요소들 뿐만 아니라 무선 스마트폰 단말기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칩, 메모리 칩, 사운드엔진, 스피커, 터치패드, USB 등의 외부 연결 단자, 통신 안테나, 3G, LTE, LTE-A, WiFi, 4G, 5G,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으로 표시된 장치 또는 그 일부분들은 위와 같은 사용자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서버(1000)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의 적용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서버(1000)는 모션분석부(1100), 물리량분석부(1200), 데이터저장부(1300), 데이터송수신부(1400), 심전도분석부(1500)를 포함한다.
상기 모션분석부(1100), 물리량분석부(1200), 데이터저장부(1300), 데이터송수신부(1400), 심전도분석부(1500)는 상호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서비스서버(1000)의 모션분석부(1100)가 제1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가 포함된다(S110).
제1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미지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 전반의 움직임을 분석한다. 상기 모션분석부(1100)는 사용자의 몸의 움직임, 무게중심축의 이동, 몸통의 회전, 팔 또는 다리의 움직임 등을 분석하게 된다.
예를 들면, 모션분석부(1100)는 사용자가 야구공을 타격하는 스윙동작을 취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 몸통, 다리 부분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스윙 시작에서부터 마무리 단계에 이르기는 동안의 이미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 위치의 변화, 몸통 회전의 변화, 다리의 이동에 따른 몸 전체의 무게중심의 변화 등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모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서비스서버(1000)의 심전도분석부(1500)가 사용자의 몸에 부착된 심전도 센싱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긴장상태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송수신부(1400)를 통하여 긴장상태정보를 출력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심전도란 심박동과 관련한 전위를 신체 표면에서 측정한 것으로, 표준 12유도 심전도 외에 운동부하 심전도, 활동중 심전도(홀터 기록과 사건 기록 심전도) 등이 있다. 사용자 몸에 부착하여 심전도(electrocardiography)를 측정하기 위한 심전도 센싱장치는 사용자의 심장부근의 피부, 또는 손목, 발목 등의 부위에 부착한 것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할 수 있는 손목시계형 심전도 센싱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간이하게 심전도를 센싱할 수 있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손목시계와 같이 착용하도록 구비된 심전도 센싱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센싱장치는 사용자 손목부위 이외에 심박동과 관련한 전위를 측정할 수 있는 신체 표면에 부착할 수 있는 센싱장치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이 가능하다.
사용자 손목부위에 부착할 수 있는 손목시계형 심전도 센싱장치는 서비스 서버(1000)와 3G, LTE, LTE-A, WiFi, 4G, 5G,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가 서비스서버(1000)로 전송되면 심전도분석부(1500)가 사용자의 심전도를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하여 타석에 들어서 긴장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사용자의 심혈관계통의 건강 정보를 분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긴장상태에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서버(1000)가 스크린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프로젝터 등의 출력장치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긴장상태 또는 건강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서버(1000)의 물리량분석부(1200)가 제2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타격된 공의 물리량정보를 추출하는 단계가 포함된다(S120).
본 단계에서는 제2 이미지수집장치가 수집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미지 등을 분석하여 타격 이전 및/또는 타격 이후의 공의 방향 전환, 공의 속도, 공의 방향, 공의 회전량 등을 분석한다.
예를 들면, 물리량분석부(1200)는 사용자가 야구 배트의 스윙을 통해 야구공을 타격하는 경우, 야구공의 운동방향의 변화, 야구공과 야구 배트의 마찰에 따른 야구공의 회전량의 변화, 야구공의 속도 등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공의 물리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단계들을 수행함에 있어서, 서비스서버(10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하여 연결된 제1 이미지수집장치 및/또는 제2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모션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이미지수집장치와 제2 이미지수집장치는 화상 이미지 또는 열상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모션정보를 추출하는 경우 사용자의 체온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열상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추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 컨디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신체 컨디션에 따른 훈련방식의 변경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얼굴 등은 노출되어 있는 경우 열상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에 의하여 머리의 움직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공의 물리적 타격이 수반되는 야구, 골프, 축구, 배드민턴 등 다양한 스포츠의 경우에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은 무게중심축의 이동과 이에 따른 무게중심의 이동을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음으로, 모션분석부(1100)가 서비스서버(1000)의 데이터저장부(1300)에 저장된 코칭모션정보와 모션정보를 비교하여 모션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가 포함된다(S130). 상기 데이터저장부(1300)는 사용자의 모션과 비교분석이 가능한 복수의 코칭모션정보가 저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모션분석부(1100)는 데이터송수신부(1400) 또는 서비스서버(1000)의 데이터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모션오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코칭모션정보는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나이 또는 성별에 따라 분류되고, 사용자의 신체정보는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나이 및 성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모션분석부(1100)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저장부(1300)로부터 코칭모션정보를 추출하여 모션오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칭모션정보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나이 및/또는 성별에 관한 정보와 가장 근접한 정보에 해당하는 코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전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모션정보와 비교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코칭모션정보는 코칭모션을 제공하는 코치의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나이 또는 성별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와 코치의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모션정보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무게중심센싱장치 또는 사용자의 발구름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무게중심이동정보를 생성하는 발구름 센싱장치(100)로부터 송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게중심센싱장치는 자이로센서, 이미지센서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무게중심의 이동을 측정하도록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발구름 센싱장치(제1 발구름 센싱장치)(100)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는 서비스서버(1000)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비된 데이터통신부(100); 진동감지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120); 및 상기 센싱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발구름 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데이터통신부(100)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1000) 상기 발구름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시스템서버가 상기 수신된 발구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이벤트종결정보를 상기 데이터통신부(100)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120)가 계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계측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데이터통신부(100)는 3G, LTE, LTE-A, 4G, 5G, WiFi,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통신케이블을 통하여 다른 장치 등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센싱부(120)는 진동감지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발구름 센싱장치 상에서 사용자가 발구름 동작을 하는 경우, 발구름 횟수와 발구름 주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진동을 감지한 후 각각의 진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발을 디딤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거나, 또는 발을 디딛는 경우 광의 굴절 또는 차단 등을 인식하는 등의 방식의 센서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계측제어부(130)는 센싱부(120)의 계측을 중단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하여 서비스서버(1000)부터 전송되어 입력된 정보를 근거로 중단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1000)부터 발구름을 중단할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이벤트종결정보가 계측제어부(130)에 전달되면, 계측제어부(130)는 센싱부(120)의 계측을 중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불필요한 발구름 행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계측제어부(130)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부터 상기 발구름 정보의 수집을 요청하는 개시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센싱부(120)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발구름 센싱장치 상에서 발구름 준비를 하는 경우, 원하지 않는 발구름 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불필요한 정보는 제외하고 실제 발구름이 개시될 필요가 있는 때에 발구름 정보를 생성해 냄으로써 정확한 계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4는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제2 발구름 센싱장치)(200)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제2 발구름센싱장치)(200)는 서비스서버(1000)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비된 데이터통신부(110); 진동감지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계측제어부(220); 및 상기 계측제어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무게중심이동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데이터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1000) 상기 무게중심이동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시스템서버가 상기 수신된 무게중심이동정보와 이미지센싱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타구종결정보를 상기 데이터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계측제어부(220)가 계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계측제어부(230);를 포함한다.
계측제어부(220)는 진동감지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측제어부(220)는 발구름 센싱장치 상에서 사용자가 양 발을 딛고 골프클럽 또는 야구배트를 휘두르거나, 한 발을 딛고 다른 발로 축구공을 차는 등의 동작을 하는 경우, 최초 무게 인식지점으로부터 무게의 최종 인식지점까지의 무게 변화의 흐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진동을 감지한 후 최초 또는 최후진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발을 디딤에 의한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또는 발을 딛는 경우 광의 굴절 또는 차단하는 순서의 변화 등을 인식하는 방식의 센서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계측제어부(230)는 계측제어부(220)의 계측을 중단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하여 서비스서버(1000)부터 전송되어 입력된 정보를 근거로 중단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측제어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무게중심이동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데이터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1000) 상기 무게중심이동정보를 송신하면, 상기 시스템서버가 상기 수신된 무게중심이동정보와 이미지센싱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정보를 이용하여 타구종결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즉, 무게중심을 이동하며 배트스윙을 함으로써 스윙이 완결되는데, 이와 관련한 이미지정보를 이용하여 타격을 위한 배트 스윙이 시행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계측제어부(230)는 즉시 또는 순차로 계측제어부(220)의 계측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발구름 센싱장치 역시 발구름 센싱장치와 마찬가지로 계측제어부는 서비스서버(1000)부터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타구종결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가 계측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0)로부터 체중이동의 계측을 중단할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이벤트종결정보가 계측제어부(230)에 전달되면, 계측제어부(230)는 센싱부(220)의 계측을 중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불필요한 발구름 행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계측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부터 상기 발구름 정보의 수집을 요청하는 개시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센싱부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발구름 센싱장치 상에서 발구름 준비를 하는 경우, 원하지 않는 발구름 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불필요한 정보는 제외하고 실제 발구름이 개시될 필요가 있는 때에 발구름 정보를 생성해 냄으로써 정확한 계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계측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부터 상기 무게중심이동정보의 수집을 요청하는 개시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센싱부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또는 발구름 센싱장치는 각각 서로의 위치를 인식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계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계측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부터 전송된 세팅정보 또는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세팅스위치의 작동을 통해 상호 위치의 계측신호가 발생한 경우 각각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와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제1 발구름 센싱장치는 발구름의 횟수, 주기, 발구름의 강약을 측정하는 한편, 시스템서버에 상기 정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달리거나 또는 걷는 경우와 같은 정보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발구름 센싱장치는 야구의 경우, 좌우타석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의 왼발과 오른발의 압력, 진동, 움직임에 따른 이미지변화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을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제1 발구름 센싱장치 또는 제2 발구름 센싱장치)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 서로의 위치를 인식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계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중심이동을 측정한 이후 달리기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해 또는 반대의 경우, 제1 발구름 센싱장치 및 제2 발구름 센싱장치의 경우나 제1 발구름 센싱장치 또는 제2 발구름 센싱장치 사이를 오가는 경우, 각각이 위치한 거리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임의설치 위치에 따른 측정값이 반영되어 실제와 거의 비슷한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위하여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계측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부터 전송된 세팅정보 또는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세팅스위치의 작동을 통해 상호 위치의 계측신호가 발생한 경우 각각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1000)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약 20m의 거리를 달린 후 축구공을 키킹(타격)하기 위한 훈련을 한다고 가정할 때, 제1 발구름 센싱장치과 제2 발구름 센싱장치의 사이의 실제 거리가 약 5m라면, 제1 발구름 센싱장치를 약 15m 정도 달린 때에 사용자에게 발구름종결정보를 스크린 또는 스피커로 알려주고, 나머지 5m를 달려 키킹 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칭모션정보는 동적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구의 경우 코칭모션정보와 사용자의 모션정보를 분석함에 있어서, 사용자와 신체적으로 가장 가까운 코치를 매칭하고 코치의 코칭모션정보와 사용자의 모션정보를 하나의 이미지로 겹쳐서 또는 화면상에 병렬로 배치하여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션이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존재하는지 사용자가 육안으로 비교할 수 있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모션오차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능력치를 고려하여 코칭모션정보를 비교할 수 있는 코치를 직접 선택하고 자신의 모션정보와 비교가능하도록 비교대상 코칭모션정보의 임의선택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물리량분석부(1200)가 데이터저장부(1300)에 저장된 코칭모션정보와 매칭되는 코칭물리량정보와 물리량정보를 비교하여 물리량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40).
물리량정보는 코칭모션정보와 매칭된 코칭물리량정보이다. 예를 들면, 야구의 경우 A코치의 코칭모션정보와 매칭된 코칭물리량정보는 A코치의 스윙에 따라 타격된 야구공의 물리량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A코치의 코칭모션정보에 상응하는 공의 물리량은 상황에 따라 일정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타격에 따라 생성되는 평균적인 물리량을 코칭물리량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서버(1000)의 데이터송수신부(1400)를 통하여 모션오차정보와 물리량오차정보를 출력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50).
상기, 모션오차정보와 물리량오차정보는 음성정보 또는 이미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모션오차정보와 물리량오차정보가 수집되면, 이를 음성 또는 이미지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개선사항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의 적용례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화면에는 사용자의 아바타가 표시되어 타격상태에 들어선 모습을 제공할 수 있고(a), 사용자가 야구공을 타격한 상태에서의 공과 배트, 사용자의 무게중심위치 등 정보를 화면상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스윙모습을 직접 점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흥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토코칭 시스템은 사용자의 모션과 타격된 공의 물리량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1000)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는, 제1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정보를 추출하고, 서비스서버(1000)의 데이터저장부(1300)에 저장된 코칭모션정보와 모션정보를 비교하여 모션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모션분석부(1100), 제2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타격된 공의 물리량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저장부(1300)에 저장된 코칭모션정보와 매칭되는 코칭물리량정보와 물리량정보를 비교하여 물리량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물리량분석부(1200) 및 모션오차정보와 물리량오차정보를 출력장치로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140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4)

  1. 서비스서버의 모션분석부가 제1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물리량분석부가 제2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타격된 공의 물리량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모션분석부가 상기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코칭모션정보와 상기 모션정보를 비교하여 모션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물리량분석부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코칭모션정보와 매칭되는 코칭물리량정보와 상기 물리량정보를 비교하여 물리량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모션오차정보와 상기 물리량오차정보를 출력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오차정보와 상기 물리량오차정보는 음성정보로 출력되고, 상기 제1 이미지수집장치는 열상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의 심전도분석부가 상기 사용자의 몸에 부착된 심전도 센싱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긴장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긴장상태정보를 출력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정보는 축구의 프리킥을 위한 도움닫기, 키킹, 또는 야구의 타격 및 주루플레이시 감지되는 사용자의 모션으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4. 사용자의 모션과 타격된 공의 물리량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제1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코칭모션정보와 상기 모션정보를 비교하여 모션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모션분석부;
    제2 이미지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타격된 공의 물리량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코칭모션정보와 매칭되는 코칭물리량정보와 상기 물리량정보를 비교하여 물리량오차정보를 생성하는 물리량분석부; 및
    상기 모션오차정보와 상기 물리량오차정보를 출력장치로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오차정보와 상기 물리량오차정보는 음성정보로 출력되고, 상기 제1 이미지수집장치는 열상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코칭 시스템.
KR1020200185640A 2018-12-11 2020-12-29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377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640A KR102377754B1 (ko) 2018-12-11 2020-12-29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208A KR20200071457A (ko) 2018-12-11 2018-12-11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0200185640A KR102377754B1 (ko) 2018-12-11 2020-12-29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208A Division KR20200071457A (ko) 2018-12-11 2018-12-11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425A true KR20210002425A (ko) 2021-01-08
KR102377754B1 KR102377754B1 (ko) 2022-03-22

Family

ID=8098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640A KR102377754B1 (ko) 2018-12-11 2020-12-29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7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845A (ko) * 2000-08-07 2000-11-06 김용환 영상기술을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터
KR20120090661A (ko) * 2011-02-08 2012-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골프 연습 장치
KR20160108051A (ko) * 2015-03-06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2088A (ko) * 2015-08-19 2017-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대상의 모션에 기반한 미러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증강현실 렌더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845A (ko) * 2000-08-07 2000-11-06 김용환 영상기술을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터
KR20120090661A (ko) * 2011-02-08 2012-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골프 연습 장치
KR20160108051A (ko) * 2015-03-06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2088A (ko) * 2015-08-19 2017-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대상의 모션에 기반한 미러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증강현실 렌더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754B1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2334B2 (en) Flight time
AU2017331639B2 (en) A system and method to analyze and improve sports performance using monitoring devices
US10121065B2 (en) Athletic attribute determinations from image data
JP6273364B2 (ja) エネルギー消費装置
JP2019000653A (ja) アスレチック運動属性からのペースとエネルギー消費の計算
Saponara Wearable biometric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or combat sports
US20150092980A1 (en) Tracking program and method
CN109675289B (zh) 基于vr和动作捕捉的运动评估系统
KR20230147199A (ko) 통합된 스포츠 훈련
KR102037966B1 (ko) 스크린 축구 시스템 및 스크린 축구 제공방법
CN109765998B (zh) 基于vr和动作捕捉的运动评估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WO201817966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02425A (ko)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200071457A (ko)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220052450A (ko) 골프 스윙 연습 보조 방법 및 장치
US20130225294A1 (en) Detecting illegal moves in a game using inertial sensors
KR102225912B1 (ko)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033565B1 (ko)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스크린 야구 제공방법
US20210307652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measuring, capturing, and modifying partial and full body kinematics
EP4331484A1 (en) Mental/physical state evaluation system and mental/physical state evaluation method
CN107050825B (zh) 常规动作训练装置及其方法
KR20230175032A (ko) 알고리즘 기반의 골프 스윙 코칭 방법 및 장치
JP2024035087A (ja) 心身状態評価システムおよび心身状態評価方法
KR20220052452A (ko)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전문가의 코칭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316201A (zh) 借助器材支持锻炼者的运动锻炼的系统、方法及计算机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