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22905A2 -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22905A2
WO2011122905A2 PCT/KR2011/002281 KR2011002281W WO2011122905A2 WO 2011122905 A2 WO2011122905 A2 WO 2011122905A2 KR 2011002281 W KR2011002281 W KR 2011002281W WO 2011122905 A2 WO2011122905 A2 WO 2011122905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een
line
elements
sequentially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22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122905A3 (ko
Inventor
옥재윤
Original Assignee
(주) 골프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2977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99773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2977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99773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 골프존 filed Critical (주) 골프존
Priority to JP2013502491A priority Critical patent/JP5725629B2/ja
Priority to CN201180026185.8A priority patent/CN102933265B/zh
Publication of WO2011122905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22905A2/ko
Publication of WO2011122905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22905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1Maps, e.g. yardage maps or electronic m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05Image processing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Definitions

  • golfers sit a few steps behind the ball or sit close to the ground and eye level to determine the lie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cup before putting on the green or when playing a short game near the green. .
  • it may be observed from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bserved from the back or the back of the hole cup, and the fine lie around the hole cup is also essential for accurate putting.
  •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user by visually representing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on the golf course, in particular the green for putting, provided through the video in the user's virtual golf game through a golf image, such as a golf game or a virtual golf simulation
  • a golf image such as a golf game or a virtual golf simul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for representing a green lie to improve the reality of a virtual golf game by grasping the topographic information of the green.
  • the image processing method for representing a green l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ing a grid formed by a line having a plurality of divided flashing elements on the green; And sequentially flashing each of the plurality of flash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een.
  • the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for sensing a golf ball hit by a golfer;
  •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image implementation of a virtual golf course and data about terrain information of the virtual golf course;
  • Image processing to implement an image of a virtual golf course by data stored in the database, displaying a grid formed by lines having a plurality of divided flashing elements on the golf course and storing the virtual golf course stored in the database.
  •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equentially processing the plurality of blinking elements to blink in accordance with the terrain information of the apparatus;
  • simulation processing means for performing a virtual golf simu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for sensing a golf ball hit by a golfer;
  •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image implementation of a virtual golf course and data about terrain information of the virtual golf course;
  • Image processing to implement an image of a virtual golf course by data stored in the database, displaying a grid formed by a line having a plurality of divided elements on the golf course, and displaying the grid of the virtual golf course stored in the database.
  •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a color according to terrain information on each element of each line of the grid, and performing image processing so that at least one of br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ments is sequentially changed;
  • simulation processing means for performing a virtual golf simu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 6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green ray representation implemented by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n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to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green ray representation implemented by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 FIGS. 11 to 13 are diagrams showing specific matters about the green lie expression method illustrated in FIGS. 11 to 13.
  • 15A to 15C are diagrams showing specific matters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green lie expression method illustrated in FIGS. 11 to 13.
  • 16 to 18 and 19 to 21 are diagrams showing different examples of green-ray expressions implemented by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 23 to 2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green ray representation implemented by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 26 and 2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flow of an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the operation means 50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operations (for example, inputting user information, setting input on a virtual environment, changing a target point of a golf shot, etc.) necessary in the virtual golf simulation process.
  • the sensing device 40 is for sensing the movement of a golf ball and / or golf club as a user strikes a golf ball, and is implemen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an image sensing method, an infrared light emitting / receiving sensing method, and a laser sensing method. It may include a sensor.
  • the simulator (S) performs simulation processing means (M) for simulating the ball trajectory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ing device 40, and image processing for realizing the simulation image of the virtual golf course and the ball trajectory.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 to perform.
  •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 includes a course implementing means 11, a grid display means 12, a flashing control means 13, and a database 14.
  • the grid display means 12 may display a grid formed by straight lines (see FIGS. 2 to 4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errain information is referred to from the database 14 with reference to data about the terrain information of the green.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grating formed by the curved line to correspond to (see FIGS. 6 to 8 to be describ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blinking control means 13 is made of the blinking elements of each line on the grid 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order to facilitate the topography of the green in the grid on the green displayed by the grid display means 12 Means to control the loss. That is, the flickering elements of each line of the grid on the green are flickered corresponding to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green with reference to the data on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green from the database 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database 14 is provided to store data for processing all the above images.
  • FIGS. 2 to 4 are views showing the change of the image over time, and FIGS. 5A and 5B show the change of time with respect to one line on the grid shown in FIGS. 2 to 4.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a change.
  • the grid 100 is displayed such that a plurality of lines 110 cross each other to form a grid point P.
  • Each line 110 is embodied to have a plurality of flashing elements 111 and 112, and each of the flashing elements 111 and 112 is displayed to repeat lighting and flashing at set time intervals.
  • the lit flashing element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11 and the flashing flashing element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12.
  • All of the flashing elements 111 and 112 on the line 110 are configured to visually express the state of the slope of the green by repeating the lighting and the flashing light sequentially from one side to the opposite side (that is, by blinking). .
  • the flashing elements 111 and 112 may be displayed on each line 110, that is, all lines 110 connecting the respective grid points P, as shown in FIGS.
  • Each line 110 connecting the grid points P of may make the blinking elements 111 and 112 blink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that the terrain on the green G may be easily identified. have.
  • each of the blinking elements 111 and 112 as described above may visually express the state of the inclination by allowing the altitude of the terrain to proceed sequentially from a high position to a low position.
  • the flashing element 111 lit in FIG. 2 is displayed on the leftmost side for all the lin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t the top of all the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respectively.
  • the flashing elements on each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sequentially flashed in the right direction, and each flashing element on each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 the direction of the golf ball B direction.
  • the terrain of the left part is higher than the terrain of the right par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hole cup (H) and the golf ball (B), and the terrain of the hole cup (H) side is higher than the golf ball (B) side. You will see that you are in a higher position.
  •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green is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degree through the sequential flashing time of each flashing element can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 FIG. 5 respectively show sequential flashing of the blinking elements for representing the inclination of the case where the inclination is relatively large and small, that is, in FIG.
  • (b) of FIG. 5 is to express the inclination by varying the sequential flashing time for the case where the inclination of the green is gentle.
  • the first flashing element 112a which is a high altitude position
  • sequential flashing is started, and t1 time elapses
  • the first flashing element 112a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flashing element 112b is turned on.
  • the second blinking element 112b is turned off and the third blinking element 112c is turned on.
  • the third flashing element 112c is turned off and the fourth flashing element 112d is turned on.
  • the fourth flashing element 112d is turned off and the fifth flashing element 112e is turned on. .
  • the blinking element on one line 110 repeats the lighting and the flashing, thereby allowing the representation of the inclination.
  • Figure 5 (b) is a case where the inclination is gentler than the state shown in Figure 5 (a), the first flashing element 112a after t2 hours after the first flashing element 112a is turned on The second blinking element 112b is turned on while being turned off, and the third blinking element 112c is turned on after the second blinking element 112b is turned off after t4 hours have elapsed.
  • the third flashing element 112c flashes and the fourth flashing element 112d lights up, and after the elapse of t8 hours, the fourth flashing element 112d flashes and the fifth flashing element 112e lights up. do.
  • the flashing time interval of each flashing element is controlled to be longer than in the case of FIG. 5 (a).
  • the image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bending line 130 in which the grid 100 itself displayed on the green G is curved according to the terrain bending information on the green G.
  • a bending line 130 in which the grid 100 itself displayed on the green G is curved according to the terrain bending information on the green G.
  • the image implementation by the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from the step of implementing an image of green (S10).
  • a grid is displayed on the image-implemented green (S20).
  • the grating may include both cases formed by a straight line (see FIGS. 2 to 4) or formed by a bending line (see FIGS. 6 to 8).
  • the time of sequential blinking is preferably made short, and when the inclination is gentle, the sequential blinking time is preferably made long.
  • each of the blinking elements are sequentially flashed from the high position to the low position on each line (S60).
  • Sequential flashing for each of the flashing elements is stopped in the case of the reason for the flashing stop (S70), the operation proceeds according to the generated reason (S71).
  • the simulation device when applied to a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when the golfer has a turn to putt, the simulation device displays a grid on the green according to the abov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equentially flashes on each line of the grid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green. Make sure you know the lie.
  • the simulator (S) comprises a simulation processing means (M) an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 the matters relating to the simulation processing means (M)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 will be described.
  •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 includes a course implementing means 11, a grid display means 12, a lie expressing means 15, and a database 14.
  • the course implementing means 11 is a means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image processing for realizing an image of a green golf course, especially green for putting. That is, the data about the golf course image implement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4 is extracted and processed so that the image about the virtual golf course is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20.
  • the grid display means 12 is a means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image processing so that a lie of the green, that is, a grid for grasping the terrain, is displayed on the green embodied by the course implementing means 11. . That is, the data related to the grid display stored in the database 14 may be extracted and processed so that the grid may be displayed on the green through the image output apparatus 20.
  • the ly expression means 15 is a color of the elements of each line on the grid in order to facilitate the grasp of the topography of the green in the grid on the green displayed by the grid display means 12, etc.
  • This control means to change or to control the elements of each line of the grid to sequentially display the color assigned (hidden but not represented) according to the terrain elevation information.
  • Each line 150 constituting the grating 100 is formed by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elements 152. As shown in FIGS. 11 to 13, the color according to the terrain height information of green is the grating 100. Are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elements 152 of each line 150 constituting a.
  • the higher terrain is displayed in red while the lower terrain is displayed in blue, and the height of the middle terrain is displayed by changing colors of red and blue.
  • This color change is shown in FIG. 13 by the density of the dots of each element 152 of each line 150 on the grating 100.
  • Each element 152 of each line 150 on the grid 100 is sequenti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een G at a set time interval.
  • Each element 152 whose color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green is displayed.
  • At least one of br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is sequential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een, thereby visually expressing a lie of the green.
  • the element 152 is preferably displayed on each line 150, i.e. all lines 150 connecting each grid point P, as shown in Figs.
  • Each of the lines 150 connecting (P) may be able to easily determine the local state of the inclination on the green (G) by sequentially changing the elements 152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the sequential change of the next cycle is started before the sequential change of one cycle on each line 150 is completed, so that the sequential change of the plural cycles occurs continuously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 the image processing is per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elements are sequentially changed and sequentially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so that an object can be expressed to flow down along the slope of the g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xpress the slope of the green. Can be determined.
  • FIG. 14A and FIG. 14B of FIG. 14 respectively illustrate the sequential change and restoration of the plurality of elements 152a to 152e on the line 150 for representing the inclination of the case where the inclination is relatively large and small. That is, FIG. 14A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slope of the green is urgent, and FIG. 14B illustrates the slope of the green by varying the sequential change time for the case where the slope of the green is gentle.
  • T1 shown in FIG. 14A represents an index of the slope
  • the element on the line 150 for the index of the slope is composed of five elements from the first element 152a to the fifth element 152e. It is assumed to be described.
  • FIG. 14 (a) and 14 (b) show a case where elements on a line are changed to have high brightness
  • FIG. 14 (c) shows a case where elements on a line are changed to have a different color.
  • the sequential change is started.
  • the first element 152a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brightness of the second element 152b is changed.
  • each element 152a to 152e changes in color as time passes, and the changed element represents the inclination of the green.
  • FIGS. 15A to 15C show a case in which the number of elements to be changed on one line is one, as shown in FIGS. 15A to 15C.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sequentially changed on a line two.
  • the second element 152b is changed after t1 hours after the change of the first element 152a, and the second element 152a is restored after t2 hours, and the third element is restored.
  • Element 152c is changed in brightness.
  • the fourth element 152d is changed while the second element 152b is restored after the elapse of t3 hours, and the fifth element 152e is changed while the third element 152c is restored after the elapse of t4 hours.
  • FIGS. 15B and 15C The sequential changes on the lines shown in FIGS. 15B and 15C are made substantially the same a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FIGS. 15B and 15C have sequential change times because of the gentle slope. This is made longer.
  • each line constituting the grating 100 is represented by a combination of the bending lines 160 curved according to the terrain bending information on the green G.
  • Each of the bending lines 16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ements 162 divided therein, and the plurality of elements 162 of each of the bending lines 160 are illustrated in FIGS. 16 to 18. According to the elevation information, a color indicating the altitude of the terrain is displayed.
  • the changed element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61.
  • the brightness of one element 162 is changed (161)
  • the previously changed element is immediately returned. The case where the state is restored is shown.
  • FIGS. 19 to 21 are views showing a change of an image over time
  • FIGS. 22A and 22B show a change of time with respect to one line on the grid shown in FIGS. 19 to 21.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for demonstrating a change.
  • each line 170 constituting the grating 1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elements 172.
  • Each element 172 of each line 170 on the grid 100 is displayed in a color representing the corresponding terrain in accordance with the slope of the green (G) at a set time interval, information on the color according to the terrain information of the gre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dient of the green G is represented by displaying a color in which the plurality of elements 172 are sequentially assigned to each element 172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 col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rrain elevation information is set in advance, but the allocated color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Is different from the examples shown in FIGS. 11 to 13 and 16 to 18 in which all color information is displayed).
  • each divided element 172 on line 170 is indicated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71.
  • Pre-allocated colors are displayed sequentially to indicate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green.
  • the degree of inclination may be determined through sequential color display time intervals on each line 170.
  •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green may be determined by the sequential color display time of each element, which may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2.
  • FIG. 22 respectively illustrate the sequential color display and restoration of the plurality of elements 172a to 172e on the line 170 for representing the inclination in the case where the inclination is relatively large and small, respectively.
  • (a) of FIG. 22 is a case where the inclination of the green is urgent
  • FIG. 22 (b) is to express the inclination of the green by varying the sequential color display time for the case where the inclination of the green is gentle.
  • T1 shown in (a) of FIG. 22 represents an indicator of the inclination
  • the element on the line 170 for the indicator of the inclination is composed of five elements from the first element 172a to the fifth element 172e. It is assumed to be described.
  • the assigned color of the first element 172a which is a high altitude location, is displayed, and sequential color display starts. As time t1 elapses, the first element 172a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assigned color of the second element 172b is assigned. The color is displayed.
  • the plurality of elements on one line 170 repeats the color display and restoration, thereby enabling the representation of the inclination.
  • (b) of FIG. 22 is a case where the inclination is gentler than the state shown in (a) of FIG. 22, and after the t2 time elapses after the color display of the first element 172a, the first element 172a is restored. As a result, the color of the second element 172b is displayed, and after the elapse of t4 hours, the second element 172b is restored and the color of the third element 172c is displayed.
  • the third element 172c is restored and the color of the fourth element 172d is displayed, and after t8 hours, the fourth element 172d is restored and the color of the fifth element 172e is displayed. do.
  • the sequential color display time intervals of the elements 172a to 172e are longer than in the case illustrated in FIG. 22A.
  • 22A and 22B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number of elements displayed in color on one line is 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Elements that are sequentially displayed in color on one line are illustrated. It includes all cases in which the number of times is two or more.
  • the image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is a bending line 180 in which the grid 100 itself displayed on the green G is bent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terrain bending information on the green G.
  • the visual green lie is characterized in that more clearly made.
  • Each of the curved lines 18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ements 182 divid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elements 182 of each of the curved lines 180 have a color indicating the altitude of the terrain according to the terrain elevation information of green (G). This color is allocated to the assigned colors instead of being displayed all at once, and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e by one. At this time, the sequential display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een (G).
  • Matters relating to the sequential color display and restoration of each element of the example shown in FIGS. 23 to 25 operate by substantially the same mechanism as those relating to the sequential color display and resto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9 to 22. Since the description has already been mad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an image of green is implemented (S100).
  • a grid is displayed on the image-implemented green (S110).
  • the grating may include both cases formed by a straight line (see FIGS. 11 to 13) or formed by a bending line (see FIGS. 16 to 18).
  • the high altitude terrain portion and the low altitude terrain portion on the green are determined from the data on the terrain elevation (S130), and the color according to the terrain elevation of the green is displayed for each element on each lin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S140). ).
  • At least one of br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is sequentially changed for each element from a high position to a low position on each line (S160).
  • the sequential change of each element is perform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changed elements on the li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number (S170).
  • the set number means a preset number as an allowable number of changed elements to be displayed on one line.
  • the changed elements are sequentially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in the order of the changed elements (S180).
  • Such a sequential change for each element is interrupted when a predetermined interruption reason occurs (S190),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generated reason (S200).
  • the simulation apparatus when applied to a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when the golfer has a turn to putt, the simulation apparatus displays a lattice on the green and expresses the lie of the green according to the image processing method described above. Corresponding to the reason for the interruption and after that the golf simulation according to the putt is made.
  • FIG. 27 is an example of an image processing method applicable to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S. 19 to 25.
  • each line forming the grating is divided into N elements (S320).
  • N is preferably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ne. That is, each line on the lattice is preferably formed by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elements.
  • the high altitude terrain portion and the low altitude terrain portion on the green are determined from the data on the terrain elevation (S330), and col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rrain elevation of the green is allocated to each element on each lin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 S340) (the assigned color is not displayed on the grid).
  • the time of the sequential color display is shortened when the inclination of the green is large, and the time of the sequential color display is long when the inclination is gentle.
  • the color allocated to each element is sequentially displayed from the high position to the low position on each line in step S340 (S360).
  • the sequential color display of each element is perform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the color elements displayed on the li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number (S370).
  • the colored elements are sequentially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in the order of the colored elements (S380).
  • the sequential color display for each of these elements is stopped when a predetermined interruption reason occurs (S390), 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generated reason is performed (S400).
  • the restoring of the changed or colored elements is sequentially performed based on the number of sequentially changed or colored ele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process the sequential restoration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based on the reference.
  •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the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 a user to enjoy a virtual golf game by performing a golf simula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It can be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게임이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등의 골프 영상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의 골프 경기를 함에 있어서 영상을 통해 제공되는 골프코스, 특히 퍼팅을 위한 그린에서의 지형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린의 지형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가상의 골프 경기의 리얼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복수개의 점멸 요소가 분할되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그린 상에 표시하는 격자표시수단; 및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점멸 요소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점멸제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 게임이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등의 골프 영상을 통해 사용자가 골프코스의 지형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경기는 티박스(Tee Box)에서 그린(Green)까지 골프공을 타격하여 그린의 홀컵(Hole-cup)에 골프공을 넣는 프로세스를 갖는 경기인데, 특히 그린에서 이루어지는 퍼팅(Putting)의 경우에는 그린 상의 라이(Lie)를 정확히 파악하여 정확한 힘과 방향 등으로 골프공을 타격해야 하므로 골프 경기를 함에 있어서 매우 까다롭고 힘든 부분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골퍼들은 그린에서 퍼팅을 하기 전에 또는 그린 근처에서 숏게임을 하는 경우에 골프공과 홀 컵 사이의 라이를 파악하기 위해, 공 뒤편으로 몇 발자국 물러나 앉아서 또는 거의 지면과 눈높이를 일치시켜서 관찰한다. 또한, 골프공과 홀 컵 간의 중간 라이를 파악하기 위해,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서 관찰하기도 하고, 홀컵 뒤편 또는 후면에서도 관찰하고, 홀 컵 주위에서의 미세한 라이를 파악하는 것도 정확한 퍼팅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동작이다.
한편, 최근 골프 인구가 증가하면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등을 이용한 골프 연습 및 가상의 골프경기를 즐길 수 있는 이른바 스크린 골프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실내에 가상 골프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크린을 설치하고, 골퍼가 골프공을 상기 스크린을 향해 타격을 하면 골프공의 속도, 방향 등을 감지하여 상기 스크린상에 골프공의 진행을 표시해주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등에서는 골프 연습장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것과 동일하게 골프공을 타격하면서 실제로 골프장에서 라운드를 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골프 게임이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등의 골프 영상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의 골프 경기를 함에 있어서 영상을 통해 제공되는 골프코스, 특히 퍼팅을 위한 그린에서의 지형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린의 지형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가상의 골프 경기의 리얼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는, 분할된 복수개의 점멸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상기 그린 상에 표시하는 격자표시수단; 및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점멸 요소 각각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점멸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는, 분할된 복수개의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상기 그린 상에 표시하며, 상기 그린의 지형 고저 정보에 따른 색이 상기 격자의 각 라인 상의 각 요소에 표시되도록 하는 격자표시수단; 및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요소 각각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라이표현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는, 분할된 복수개의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상기 그린 상에 표시하는 격자표시수단; 및 상기 그린의 지형 고저 정보에 따른 색 정보가 상기 격자의 각 라인 상의 각 요소에 할당되도록 하며,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요소 각각의 할당된 색 정보에 따른 색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라이표현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방법은, 분할된 복수개의 점멸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상기 그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점멸 요소 각각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방법은, 분할된 복수개의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상기 그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그린의 지형 고저 정보에 따른 색이 상기 격자의 각 라인 상의 각 요소에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요소 각각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방법은, 분할된 복수개의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그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그린의 지형 고저 정보에 따른 색이 상기 격자의 각 라인 상의 각 요소에 할당되는 단계; 및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요소 각각의 할당된 색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골퍼에 의해 타격되는 골프공을 센싱하는 센싱장치; 가상의 골프코스의 영상구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가상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가상의 골프코스의 영상을 구현하도록 영상 처리하며, 분할된 복수개의 점멸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골프코스 상에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점멸 요소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도록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상기 센싱장치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따라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골퍼에 의해 타격되는 골프공을 센싱하는 센싱장치; 가상의 골프코스의 영상구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가상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가상의 골프코스의 영상을 구현하도록 영상 처리하며, 분할된 복수개의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골프코스 상에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따른 색이 상기 격자의 각 라인 상의 각 요소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복수개의 요소 각각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상기 센싱장치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따라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골퍼에 의해 타격되는 골프공을 센싱하는 센싱장치; 가상의 골프코스의 영상구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가상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가상의 골프코스의 영상을 구현하도록 영상 처리하며, 분할된 복수개의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골프코스 상에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따른 색이 상기 격자의 각 라인 상의 각 요소에 할당되도록 하며,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요소 각각의 할당된 색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상기 센싱장치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따라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골프 게임이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등의 골프 영상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의 골프 경기를 함에 있어서 영상을 통해 제공되는 골프코스, 특히 퍼팅을 위한 그린에서의 지형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린의 지형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가상의 골프 경기의 리얼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그린 라이 표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그린 라이 표현 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그린 라이 표현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그린 라이 표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a) 내지 (c )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그린 라이 표현 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의 (a) 내지 (c )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그린 라이 표현 방식에 관한 다른 일 예에 따른 구체적인 사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 및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그린 라이 표현의 각각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의 (a) 및 (b)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그린 라이 표현 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그린 라이 표현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은 각각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골프 스윙을 함에 따라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예컨대 소위 스크린 골프 시스템 등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가정용 게임기나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골프 게임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시뮬레이터(S), 조작수단(50), 센싱장치(40) 및 영상출력장치(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수단(50)은 사용자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필요한 조작(예컨대 사용자 정보 입력, 가상 환경에 관한 설정 입력, 골프 샷의 목표 지점 변경 등)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센싱장치(40)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골프공 및/또는 골프클럽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미지 센싱 방식, 적외선 발광/수광 센싱 방식, 레이저 센싱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출력장치(20)는 상기 시뮬레이터(S)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소위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전방의 스크린으로 영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터(S)는 가상의 골프코스에 관한 배경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영상출력장치(20)로 전달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센싱장치(40)에서 센싱된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볼의 궤적을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 상에서 시뮬레이션 되도록 영상 처리하여 상기 영상출력장치(20)로 전달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뮬레이터(S)는 상기 센싱장치(40)의 센싱 결과에 따라 볼의 궤적을 시뮬레이션 하는 시뮬레이션 처리수단(M)과, 가상의 골프코스 및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 영상의 구현을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상기 영상처리장치(10)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시뮬레이터(S)에 적용된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영상처리장치(10)는 가상 골프코스에 관한 영상, 특히 그린에 관한 영상 및 상기 그린의 라이를 표현하도록 하는 영상의 구현이 요구되는 모든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예컨대 사용자가 실제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가상 골프를 하는 것이 아닌, 컴퓨터, 게임기, 스마트 폰 등의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골프 게임을 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10)는, 코스구현수단(11), 격자표시수단(12), 점멸제어수단(13) 및 데이터베이스(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스구현수단(11)은 가상의 골프코스, 특히 퍼팅을 위한 그린(Green)의 영상 구현을 위한 소정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수단이다. 즉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골프코스 영상 구현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 및 처리하여 영상출력장치(20)를 통해 가상의 골프코스 등에 관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격자표시수단(12)은 상기 코스구현수단(11)에 의해 영상 구현되는 그린 상에 그린의 라이(Lie), 즉 지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격자가 표시되도록 소정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수단이다. 즉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격자 표시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 및 처리하여 영상출력장치(20)를 통해 그린 상에 격자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격자표시수단(12)은 직선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고(후술할 도 2 내지 도 4 참조), 그린의 지형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참조하여 그 지형 정보에 대응되도록 굴곡된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후술할 도 6 내지 도 8 참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점멸제어수단(13)은 상기 격자표시수단(12)에 의해 표시되는 그린 상의 격자에서 그린의 지형 파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격자 상의 각 라인의 점멸요소들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수단이다. 즉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그린의 지형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그린 상의 격자의 각 라인의 점멸요소들이 그린의 지형 정보에 대응하여 점멸되도록 제어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4)는 상기한 모든 영상의 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코스구현수단(11), 격자표시수단(12) 및 점멸제어수단(13)은, 하드웨어 측면에서 상기 각 수단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하나의 컨트롤러로써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각 수단별로 각각 별도의 컨트롤러에 의해 해당 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상기 각 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프로그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각 수단별로 각각 별도의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 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그린 상의 지형 표현을 위한 여러 가지 예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를 통한 그린 상의 지형 표현의 일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상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의 (a) 및 (b)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격자 상의 하나의 라인에 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영상은 그린(G)에 관한 영상과 상기 그린(G) 상의 홀컵(H) 및 골프공(B)에 관한 영상이 구현된다.
또한 상기 그린(G) 상의 홀컵(H) 주위의 소정 영역에 대한 지형의 표현을 위해 소정 크기의 격자(100)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격자(100)는 복수개의 라인(110)이 서로 교차하여 격자점(P)을 형성하도록 표시된다.
각각의 라인(110)은 복수개로 분할된 점멸 요소(111, 112)를 갖도록 구현되며, 상기 각 점멸 요소(111, 112)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점등과 멸등을 반복하도록 표시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격자(100) 상의 각 라인(110)에서 분할된 복수개의 점멸 요소 중 점등된 점멸 요소는 도면번호 111로서 표시하고 멸등된 점멸 요소는 도면번호 112로서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라인(110) 상의 모든 점멸 요소(111, 112)는 어느 일측에서 반대측으로 순차적으로 점등과 멸등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즉 점멸함으로써) 그린의 경사도가 어떤 상태인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점멸 요소(111, 11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라인(110), 즉 각 격자점(P)을 연결하는 모든 라인(110) 상에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격자점(P)을 연결하는 각각의 라인(110)은 서로 독립적으로 점멸 요소(111, 112)를 점멸시키도록 함으로써 그린(G) 상의 지형이 국부적으로 어떤 상태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라인(110) 상의 일 사이클의 순차적 점멸이 완성되기 전에 다음 사이클의 순차적 점멸이 시작되도록 하여, 복수 사이클의 순차적 점멸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점멸 요소의 점등과 멸등의 반복적인 동작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점등된 점멸 요소(111)가 격자(100)의 라인(110)을 따라 흐르는 것처럼 보이도록 할 수 있어 해당 라인(110)의 지형이 어떤 경사도를 갖는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각 점멸 요소(111, 112)의 순차적 점멸 동작은 지형의 고도가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경사도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점등된 점멸 요소(111)가 가로 방향의 모든 라인에 대해 가장 왼쪽에 표시되고 세로 방향의 모든 라인에 대해 가장 위쪽에 표시되었다가,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점 변화되도록 진행되는데, 가로 방향의 각 라인 상의 각각의 점멸 요소가 오른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되고, 세로 방향의 각 라인 상의 각각의 점멸 요소가 골프공(B) 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것으로부터 홀컵(H)과 골프공(B)의 위치를 기준으로 왼쪽 부분의 지형이 오른쪽 부분의 지형보다 더 높은 위치이고 골프공(B) 쪽 보다 홀컵(H) 쪽의 지형이 더 높은 위치임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자(100) 상의 각 라인(110) 상의 점멸 요소(111, 112)들의 점멸 진행 상황으로부터 사용자가 그린(G)의 경사도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각 라인 상의 순차적 점멸 시간 간격을 통해 어느 정도의 경사도를 갖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린의 경사도가 어느 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각 점멸 요소의 순차적 점멸 시간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도 5의 (a)와 (b)는 각각 상대적으로 경사도가 큰 경우와 작은 경우의 경사도 표현을 위한 점멸 요소의 순차적 점멸에 대해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즉 도 5의 (a)는 그린의 경사가 급한 경우, 도 5의 (b)는 그린의 경사가 완만한 경우에 대해 각각 순차적 점멸 시간을 달리함으로써 경사도를 표현하도록 한 것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T1은 경사도의 지표를 나타낸 것이며 해당 경사도의 지표에 대한 라인(110) 상의 점멸 요소는 제1 점멸 요소(112a) 내지 제5 점멸 요소(112e)까지 5개의 점멸 요소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고도가 높은 위치인 제1 점멸 요소(112a)가 점등되면서 순차적 점멸이 시작되는어 t1시간이 경과하면서 제1 점멸 요소(112a)는 멸등되고 제2 점멸 요소(112b)가 점등된다.
그리고 t2시간이 경과하면서 제2 점멸 요소(112b)는 멸등되고 제3 점멸 요소(112c)가 점등된다. t3시간이 경과하면 제3 점멸 요소(112c)는 멸등되고 제4 점멸 요소(112d)가 점등되며 t4시간이 경과하면 제4 점멸 요소(112d)가 멸등되면서 제5 점멸 요소(112e)가 점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하나의 라인(110) 상에서의 점멸 요소가 점등과 멸등을 반복함으로써 경사도의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된 상태보다 경사가 더 완만한 경우인데, 제1 점멸 요소(112a)의 점등 후 t2시간 경과후에 제1 점멸 요소(112a)가 멸등되면서 제2 점멸 요소(112b)가 점등되고, 다시 t4시간 경과후에 제2 점멸 요소(112b)가 멸등되면서 제3 점멸 요소(112c)가 점등된다.
그리고 t6시간 경과후에 제3 점멸 요소(112c)가 멸등되면서 제4 점멸 요소(112d)가 점등되고, 다시 t8시간 경과후에 제4 점멸 요소(112d)가 멸등되면서 제5 점멸 요소(112e)가 점등된다.
즉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 비해 각 점멸 요소의 점멸 시간 간격이 더 길게 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순차적 점멸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경우 그린의 경사도가 크고 순차적 점멸이 느리게 이루어지는 경우 그린의 경사도가 완만하다는 것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을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을 통해 확인하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의 가장 좌측 열의 각 라인과 가장 우측 열의 각 라인에서의 점멸 요소의 점멸 시간 간격이 느리게 이루어지고, 격자의 홀컵(H) 주변의 두 열의 각 라인에서의 점멸 요소의 점멸 시간 간격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홀컵(H) 주변의 지형의 경사도는 그 외곽의 지형의 경사도에 비해 경사가 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영상구현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예에서는 격자가 소정 길이의 직선 라인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 즉 그린 상의 지형 굴곡과 무관하게 일정한 형태의 직선 라인에 의해 격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구현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G) 상에 표시되는 격자(100) 자체가 그린(G) 상의 지형 굴곡 정보에 따라 굴곡되어 표현되는 굴곡 라인(130)에 의해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인 그린 라이 표현이 더욱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격자(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라인은 그린(G) 상의 지형 굴곡 정보에 따라 굴곡된 형태의 굴곡 라인(130)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상기 각 굴곡 라인(130)에는 복수개의 점멸 요소(132)가 분할되어 구비되며 각 굴곡 라인(130)의 복수개의 점멸 요소(132)는 그린(G)의 경사도에 따라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점멸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지형 고저 정보에 따라 높은 위치의 점멸 요소로부터 낮은 위치의 점멸 요소로 순차적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위치의 점멸 요소가 점등되어(도면번호 131 참조) 도 7 및 도 8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이 흐를수록 낮은 위치의 점멸 요소로 순차적으로 점멸됨으로써 그린(G)의 경사도가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점멸 요소의 순차적 점멸에 관한 사항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점멸 요소의 순차적 점멸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메커니즘에 의해 동작하며, 이에 관하여는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다시 도 8에 도시된 상태로의 변화를 살펴보면 홀컵(H) 주변의 지형은 좌측 지형이 우측 지형 보다 더 높은 지형이며 골프공(B)에서 홀컵(H) 쪽으로 갈수록 높은 지형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플로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에 의한 영상구현은 그린의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부터 시작된다(S10). 그리고 상기 영상 구현된 그린 상에 격자가 표시된다(S20). 이때 상기 격자는 직선 라인에 의해 형성되거나(도 2 내지 도 4 참조) 굴곡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도 6 내지 도 8 참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격자를 형성하는 각 라인을 N개의 점멸 요소로 분할한다(S30). 여기서 N은 1 보다 큰 자연수임이 바람직하다. 즉 격자 상의 각 라인이 복수개의 점멸 요소로 분할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린 상에서 고도가 높은 지형 부분과 고도가 낮은 지형 부분을 지형 고저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판단하며(S40), 각 라인 상의 복수개의 점멸 요소가 순차적으로 점멸될 시간을 계산한다(S50).
이때 그린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그린의 경사도가 큰 경우에는 순차적 점멸의 시간이 짧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경사도가 완만한 경우에는 순차적 점멸의 시간이 길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 후 각 라인 상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각각의 점멸 요소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킨다(S60).
이와 같은 각 점멸 요소에 대한 순차적 점멸은 점멸 중단사유가 발생하는 경우(S70)에는 중단되고, 발생된 사유에 따른 작업이 진행된다(S71).
예컨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골퍼가 퍼팅을 할 차례가 되었을 때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한 영상처리방법에 따라 그린에 격자를 표시하고 격자의 각 라인에서 순차적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그린의 라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퍼팅을 개시한 경우, 이는 상기한 순차적 점멸 중단 사유에 해당하게 되고 그 이후에는 퍼팅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시뮬레이터(S)와, 조작수단(50), 센싱장치(40) 및 영상출력장치(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조작수단(50), 센싱장치(40) 및 영상출력장치(20)에 관한 사항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시뮬레이터(S)는 시뮬레이션 처리수단(M)과 영상처리장치(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시뮬레이션 처리수단(M)에 관한 사항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도 생략하고 영상처리장치(1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는 코스구현수단(11)과, 격자표시수단(12)과, 라이표현수단(15),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스구현수단(11)은 가상의 골프코스, 특히 퍼팅을 위한 그린(Green)의 영상 구현을 위한 소정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수단이다. 즉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골프코스 영상 구현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 및 처리하여 영상출력장치(20)를 통해 가상의 골프코스 등에 관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격자표시수단(12)은 상기 코스구현수단(11)에 의해 영상 구현되는 그린 상에 그린의 라이(Lie), 즉 지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격자가 표시되도록 소정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수단이다. 즉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격자 표시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 및 처리하여 영상출력장치(20)를 통해 그린 상에 격자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격자표시수단(12)은 직선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고(후술할 도 11 내지 도 13 및 도 19 내지 도 21 참조), 그린의 지형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참조하여 그 지형 정보에 대응되도록 굴곡된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후술할 도 16 내지 도 18 및 도 23 내지 도 25 참조).
또한 상기 격자표시수단(12)은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참조한 그린 지형 정보에 따라 추출되는 그린의 지형 고저 정보에 따른 색이 표현된 격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고(후술할 도 11 내지 도 13 및 도 16 내지 도 18 참조), 그린의 지형 고저 정보에 따른 색이 표현되지 않은 격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후술할 도 19 내지 도 21 및 도 23 내지 도 25 참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라이표현수단(15)은 상기 격자표시수단(12)에 의해 표시되는 그린 상의 격자에서 그린의 지형 파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격자 상의 각 라인의 요소들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색상 등이 변경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격 상의 각 라인의 요소들에 대해 지형 고저 정보에 따라 각각 할당된(색이 표현되지는 않고 숨어있는) 색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다.
즉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그린의 지형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그린 상의 격자의 각 라인의 요소들이 그린의 지형 정보에 대응하여 순차적 변경이 되거나 순차적 색 표시가 되도록 제어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코스구현수단(11), 격자표시수단(12) 및 라이표현수단(15)은, 하드웨어 측면에서 상기 각 수단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하나의 컨트롤러로써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각 수단별로 각각 별도의 컨트롤러에 의해 해당 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상기 각 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프로그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각 수단별로 각각 별도의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 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그린 상의 지형 표현을 위한 여러 가지 예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를 통한 그린 상의 지형 표현의 다양한 예를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상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의 (a) 내지 (c) 및 도 15의 (a) 내지 (c)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격자 상의 하나의 라인에 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서로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영상은 그린(G)에 관한 영상과 상기 그린(G) 상의 홀컵(H) 및 골프공(B)에 관한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그린(G) 상의 홀컵(H) 주위의 소정 영역에 대한 지형의 표현을 위해 소정 크기의 격자(100)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격자(100)는 복수개의 라인(150)이 서로 교차하여 격자점(P)을 형성하도록 표시된다.
상기 격자(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라인(150)은 복수개의 요소(152)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의 지형 고저 정보에 따른 색이 상기 격자(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라인(150)의 복수개로 분할된 요소(152) 각각에 표시된다.
예컨대 지형이 높은 쪽은 붉은색으로 지형이 낮은 쪽은 파란색으로 표시하며 그 중간 지형의 높이는 붉은색과 파란색의 색변화에 의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지형의 변화를 색으로써 표현되도록 할 수 있는데, 도 11 내지 도 13에서는 격자(100) 상의 각 라인(150)의 각각의 요소(152)의 점(dot)의 밀도로써 이와 같은 색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격자(100) 상의 각 라인(150)의 각 요소(152)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그린(G)의 경사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화하는데, 그린의 지형 정보에 따른 색이 표시된 각각의 요소(152)가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어 표시됨으로써 그린의 라이(Lie)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상태로 변화하고 그리고 다시 도 13에 도시된 상태로 변화하는데, 이때 도면번호 151에 의해 표시된 요소는 색 정보를 포함하는 분할된 요소(152)가 미리 설정된 명도, 채도 및 색상을 갖도록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된 상태로 각각의 분할된 요소(152)가 변경된 요소(151)로 순차적으로 변경됨으로써 그린의 경사 정도를 표현하고 있다.
상기 요소(152)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라인(150), 즉 각 격자점(P)을 연결하는 모든 라인(150) 상에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격자점(P)을 연결하는 각각의 라인(150)은 서로 독립적으로 해당 요소(152)들을 순차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그린(G) 상의 경사도가 국부적으로 어떤 상태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상태를 거쳐 도 13에 도시된 상태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각 요소들이 순차적 변경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각각의 요소들의 순차적 변경은 고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진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요소(152)가 변경된 요소(151)로 변경되고 그 다음 요소가 다시 변경될 때(또는 그 이후에) 그 전에 변경되었던 요소는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라인(150) 상의 일 사이클의 순차적 변경이 완성되기 전에 다음 사이클의 순차적 변경이 시작되도록 하여, 복수 사이클의 순차적 변경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발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요소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면서 연속하여 원래 상태로 순차적으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영상처리를 함으로써 어떤 객체가 그린의 경사를 따라 흘러 내려가는 것처럼 보이도록 표현할 수 있어 사용자는 용이하게 그린의 경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색의 변화가 표현된 것으로부터 홀컵(H)과 골프공(B)의 위치를 기준으로 왼쪽 부분의 지형이 오른쪽 부분의 지형보다 더 높은 위치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라인(150) 상의 복수개의 요소(152)의 순차적 변화가 홀컵(H)에서 골프공(B) 쪽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골프공(B) 쪽 보다 홀컵(H) 쪽의 지형이 더 높은 위치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도 12와 같은 상태로, 또 다시 도 13과 같은 상태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점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각 라인 상의 각각의 요소가 오른쪽 방향으로 순차적 변경이 이루어짐으로써 그린(G)의 경사도를 알 수 있고, 또한 각 라인 상의 순차적 변경 시간 간격을 통해 어느 정도의 경사도를 갖는지 파악할 수 있다.
즉 그린의 경사도가 어느 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각 요소의 순차적 변경 시간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4 및 도 15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여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라인(150) 상의 각 요소(152)의 순차적 변경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4의 (a) 및 (b)는 각각 상대적으로 경사도가 큰 경우와 작은 경우의 경사도 표현을 위한 라인(150) 상의 복수개의 요소들(152a 내지 152e)의 순차적 변경 및 복원에 대해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즉 도 14의 (a)는 그린의 경사가 급한 경우, 도 14의 (b)는 그린의 경사가 완만한 경우에 대해 각각 순차적 변경 시간을 달리함으로써 그린의 경사를 표현하도록 한 것이다.
도 14의 (a)에 도시된 T1은 경사도의 지표를 나타낸 것이며 해당 경사도의 지표에 대한 라인(150) 상의 요소는 제1 요소(152a) 내지 제5 요소(152e)까지 5개의 요소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4의 (a) 및 (b)는 라인 상의 요소들이 높은 명도를 갖도록 변화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의 (c)는 라인 상의 요소들이 다른 색상을 갖도록 변화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고도가 높은 위치인 제1 요소(152a)의 명도가 변화되면서 순차적 변경이 시작되어 t1시간이 경과하면서 제1 요소(152a)는 원래대로 복원되고 제2 요소(152b)의 명도가 변경된다.
그리고 t2시간이 경과하면서 제2 요소(152b)는 복원되고 제3 요소(152c)가 명도가 변경된다. t3시간이 경과하면 제3 요소(152c)는 복원되고 제4 요소(152d)가 명도가 변경되며 t4시간이 경과하면 제4 요소(152d)가 복원되면서 제5 요소(152e)의 명도가 변경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하나의 라인(150) 상에서의 복수개의 요소가 명도의 변화 및 복원을 반복함으로써 경사도의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4의 (b)는 도 14의 (a)에 도시된 상태보다 경사가 더 완만한 경우인데, 제1 요소(152a)의 변화 후 t2시간 경과후에 제1 요소(152a)가 복원되면서 제2 요소(152b)가 변경되고, 다시 t4시간 경과후에 제2 요소(152b)가 복원되면서 제3 요소(152c)가 명도가 변경된다.
그리고 t6시간 경과후에 제3 요소(152c)가 복원되면서 제4 요소(152d)가 변경되고, 다시 t8시간 경과후에 제4 요소(152d)가 복원되면서 제5 요소(152e)가 변경된다.
즉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 비해 각 요소(152a 내지 152e)의 순차적 변경 시간 간격이 더 길게 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순차적 변경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경우 그린의 경사가 급하고 순차적 변경이 느리게 이루어지는 경우 그린의 경사가 완만하다는 것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의 순차적 변경이 명도의 변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요소의 순차적 변경이 색상의 변화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요소(152a 내지 152e)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상이 변경되면서 변경된 요소는 복원이 이루어짐으로써 그린의 경사를 표현하고 있다.
상기한 도 14의 (a) 내지 (c)에서는 하나의 라인 상에서 변경되는 요소의 개수가 1개가 되도록 하는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도 15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라인 상에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요소의 개수가 2개가 되도록 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즉 도 15의 (a) 내지 (c)는 각각 도 14의 (a) 내지 (c)에 나타낸 순차적 변경에 대응하여 각각 변경된 요소의 개수가 2개가 되도록 제어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소(152a)의 변화 후 t1시간 경과 후에 제2 요소(152b)가 변경되고, 다시 t2시간 경과후에 제1 요소(152a)가 복원되면서 제3 요소(152c)가 명도가 변경된다.
그리고 t3시간 경과 후에 제2 요소(152b)가 복원되면서 제4 요소(152d)가 변경되고, 다시 t4시간 경과 후에 제3 요소(152c)가 복원되면서 제5 요소(152e)가 변경된다.
도 15의 (b) 및 (c)에 도시된 라인 상의 순차적 변경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다만 도 15의 (b) 및 (c)는 경사가 완만하므로 순차적 변경 시간이 더 길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을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도면을 통해 확인하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의 가장 좌측 열의 각 라인과 가장 우측 열의 각 라인에서의 각 요소의 순차적 변경이 느리게 이루어지고, 격자의 홀컵(H) 주변의 두 열의 각 라인에서의 각 요소의 순차적 변경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홀컵(H) 주변의 지형의 경사도는 그 외곽의 지형의 경사도에 비해 경사가 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14 및 도 15에서는 격자의 각 라인에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요소의 개수가 1개 및 2개가 되는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격자의 요소가 2개 이상이 되도록 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한다.
한편,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그린 라이 표현의 다른 일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8에서 나타낸 예에서는 그린(G) 상에 표시되는 격자(100) 자체가 그린(G) 상의 지형 굴곡 정보에 따라 굴곡되어 표현되는 굴곡 라인(160)에 의해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인 그린 라이 표현이 더욱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격자(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라인은 그린(G) 상의 지형 굴곡 정보에 따라 굴곡된 형태의 굴곡 라인(160)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상기 각 굴곡 라인(160)에는 복수개의 요소(162)가 분할되어 구비되며 각 굴곡 라인(160)의 복수개의 요소(162)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G)의 지형 고저 정보에 따라 그 지형의 고도를 나타내는 색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각 요소(162)는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각각의 굴곡 라인(160) 상에서 순차적으로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다. 도16 내지 도 18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각의 요소(162)가 순차적으로 명도가 높아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변경된 요소에 대해서는 도면번호 161로써 표시하고 있으며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요소(162)의 명도가 변경(161)됨에 따라 그 이전에 변경된 요소는 곧바로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지형 고저 정보에 따라 높은 위치의 요소로부터 낮은 위치의 요소로 순차적으로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예의 각 요소의 순차적 변경에 관한 사항은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예의 순차적 변경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메커니즘에 의해 동작하며, 이에 관하여는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 내지 도 18로의 변화를 살펴보면 홀컵(H) 주변의 지형은 좌측 지형이 우측 지형 보다 더 높은 지형이며 골프공(B)은 홀컵(H)과 평평한 지형상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그린 라이 표현의 또 다른 일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1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상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2의 (a) 및 (b)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격자 상의 하나의 라인에 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라인(170)은 복수개의 요소(172)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격자(100) 상의 각 라인(170)의 각 요소(172)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그린(G)의 경사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해당 지형을 나타내는 색이 표시되는데, 그린의 지형 정보에 따른 색에 관한 정보가 각각의 요소(172)에 대해 미리 할당되고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복수개의 요소(172)가 순차적으로 할당된 색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그린(G)의 경사도를 표현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즉 격자(100)의 각 라인(170)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요소(172) 각각에 대해 해당 지형 고저 정보에 따른 색 정보가 미리 할당되도록 설정되되 그 할당된 색 정보가 표시되지는 않는다(격자 상에 색 정보가 모두 표시되는 도 11 내지 도 13 및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예와는 다르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각 요소(172)의 할당된 색 정보가 순차적으로 표시됨으로써 그린(G)의 지형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점 변화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각 요소의 색도 해당 지형의 변화에 따라 점점 변화되도록 표시된다.
도 19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20에 도시된 상태로 변화하고 그리고 다시 도 21에 도시된 상태로 변화하는데, 이때 라인(170) 상의 분할된 각각의 요소(172)는 도면번호 171로서 표시된 바와 같이 미리 할당된 색이 순차적으로 표시됨으로써 그린의 경사 정도를 표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20에 도시된 상태를 거쳐 도 21에 도시된 상태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각 요소들이 순차적으로 할당된 색을 표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각각의 요소들의 순차적 색표시는 고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진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요소(172)가 색표시된 요소로 변화되고 그 다음 요소가 다시 변화될 때(또는 그 이후에) 그 전에 변화되었던 요소는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라인(170) 상의 일 사이클의 순차적 색 표시가 완성되기 전에 다음 사이클의 순차적 색 표시가 시작되도록 하여, 복수 사이클의 순차적 색 표시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발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라인(170) 상의 순차적 색 표시 시간 간격을 통해 어느 정도의 경사도를 갖는지 파악할 수 있다.
즉 그린의 경사도가 어느 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각 요소의 순차적 색 표시 시간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2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도 22의 (a)와 (b)는 각각 상대적으로 경사도가 큰 경우와 작은 경우의 경사도 표현을 위한 라인(170) 상의 복수개의 요소들(172a 내지 172e)의 순차적 색표시 및 복원에 대해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즉 도 22의 (a)는 그린의 경사가 급한 경우, 도 22의 (b)는 그린의 경사가 완만한 경우에 대해 각각 순차적 색표시 시간을 달리함으로써 그린의 경사를 표현하도록 한 것이다.
도 22의 (a)에 도시된 T1은 경사도의 지표를 나타낸 것이며 해당 경사도의 지표에 대한 라인(170) 상의 요소는 제1 요소(172a) 내지 제5 요소(172e)까지 5개의 요소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고도가 높은 위치인 제1 요소(172a)의 할당된 색이 표시되면서 순차적 색표시가 시작되어 t1시간이 경과하면서 제1 요소(172a)는 원래대로 복원되고 제2 요소(172b)의 할당된 색이 표시된다.
그리고 t2시간이 경과하면서 제2 요소(172b)는 복원되고 제3 요소(172c)의 할당된 색이 표시된다. t3시간이 경과하면 제3 요소(172c)는 복원되고 제4 요소(172d)의 할당된 색이 표시되며, t4시간이 경과하면 제4 요소(172d)가 복원되면서 제5 요소(172e)의 할당된 색이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하나의 라인(170) 상에서의 복수개의 요소가 색표시 및 복원을 반복함으로써 경사도의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22의 (b)는 도 22의 (a)에 도시된 상태보다 경사가 더 완만한 경우인데, 제1 요소(172a)의 색표시 후 t2시간 경과후에 제1 요소(172a)가 복원되면서 제2 요소(172b)의 색이 표시되고, 다시 t4시간 경과후에 제2 요소(172b)가 복원되면서 제3 요소(172c)의 색이 표시된다.
그리고 t6시간 경과후에 제3 요소(172c)가 복원되면서 제4 요소(172d)의 색이 표시되고, 다시 t8시간 경과후에 제4 요소(172d)가 복원되면서 제5 요소(172e)의 색이 표시된다.
즉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 비해 각 요소(172a 내지 172e)의 순차적 색표시 시간 간격이 더 길게 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순차적 색표시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경우 그린의 경사가 급하고 순차적 색표시가 느리게 이루어지는 경우 그린의 경사가 완만하다는 것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도 22의 (a) 및 (b)에서는 하나의 라인 상에서 색 표시되는 요소의 개수가 1개가 되도록 하는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라인 상에서 순차적으로 색 표시되는 요소의 개수가 2개 이상이 되도록 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한다.
한편, 도 23 내지 도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그린 라이 표현의 또 다른 일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 따른 영상구현은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G) 상에 표시되는 격자(100) 자체가 그린(G) 상의 지형 굴곡 정보에 따라 굴곡되어 표현되는 굴곡 라인(180)에 의해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인 그린 라이 표현이 더욱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격자(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라인은 그린(G) 상의 지형 굴곡 정보에 따라 굴곡된 형태의 굴곡 라인(180)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상기 각 굴곡 라인(180)에는 복수개의 요소(182)가 분할되어 구비되며 각 굴곡 라인(180)의 복수개의 요소(182)에는 그린(G)의 지형 고저 정보에 따라 그 지형의 고도를 나타내는 색이 할당되는데 할당된 색이 한꺼번에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씩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이때 그 순차적 표시는 그린(G)의 경사도에 따라 표시된다.
도 23 내지 도 25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각의 요소(182)가 순차적으로 그린(G)의 지형 정보에 따라 할당된 색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색이 표시된 요소에 대해서는 도면번호 181로써 표시하고 있으며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요소(182)의 색이 표시(181)됨에 따라 그 이전에 색표시가 된 요소는 곧바로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지형 고저 정보에 따라 높은 위치의 요소로부터 낮은 위치의 요소로 순차적으로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예의 각 요소의 순차적 색표시 및 복원에 관한 사항은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의 순차적 색표시 및 복원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메커니즘에 의해 동작하며, 이에 관하여는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플로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6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는 앞서 설명한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예의 경우에 적용 가능한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일 예이다.
먼저 그린의 영상이 구현된다(S100). 그리고 상기 영상 구현된 그린 상에 격자가 표시된다(S110). 이때 상기 격자는 직선 라인에 의해 형성되거나(도 11 내지 도 13 참조) 굴곡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도 16 내지 도 18 참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격자를 형성하는 각 라인을 N개의 요소로 분할한다(S120). 여기서 N은 1 보다 큰 자연수임이 바람직하다. 즉 격자 상의 각 라인이 복수개의 요소로 분할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린 상에서 고도가 높은 지형 부분과 고도가 낮은 지형 부분을 지형 고저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판단하며(S130),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각 라인 상의 각 요소에 대해 그린의 지형 고저에 따른 색이 표시된다(S140).
그리고 각 라인 상의 분할된 N개의 요소에 대한 순차적 변경 시간을 계산한다(S150).
이때 그린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그린의 경사도가 큰 경우에는 순차적 변경의 시간이 짧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경사도가 완만한 경우에는 순차적 변경의 시간이 길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 후 각 라인 상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각각의 요소에 대해 순차적으로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킨다(S160).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요소에 대한 순차적 변경이 진행되면서, 라인 상의 변경된 요소의 개수가 설정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 여기서 상기 설정개수는 하나의 라인 상에 나타낼 변경된 요소의 허용 개수로서 미리 설정된 개수를 의미한다.
만약 라인 상의 변경된 요소의 개수가 설정개수 이상인 경우, 변경된 요소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변경된 요소를 원래 상태로 복원시킨다(S180).
이와 같은 각 요소에 대한 순차적 변경은 소정의 중단사유가 발생하는 경우(S190)에는 중단되고, 발생된 사유에 따른 작업이 진행된다(S200).
예컨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골퍼가 퍼팅을 할 차례가 되었을 때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한 영상처리방법에 따라 그린에 격자를 표시하고 그린의 라이를 표현하다가 사용자가 퍼팅을 개시한 경우, 이는 상기한 중단 사유에 해당하게 되고 그 이후에는 퍼팅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7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는 앞서 설명한 도 19 내지 도 25에 도시된 예의 경우에 적용 가능한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일 예이다.
먼저 그린의 영상이 구현된다(S300). 그리고 상기 영상 구현된 그린 상에 격자가 표시된다(S310). 이때 상기 격자는 직선 라인에 의해 형성되거나(도 19 내지 도 21 참조) 굴곡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도 23 내지 도 25 참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격자를 형성하는 각 라인을 N개의 요소로 분할한다(S320). 여기서 N은 1 보다 큰 자연수임이 바람직하다. 즉 격자 상의 각 라인이 복수개의 요소로 분할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린 상에서 고도가 높은 지형 부분과 고도가 낮은 지형 부분을 지형 고저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판단하며(S330),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각 라인 상의 각 요소에 대해 그린의 지형 고저에 따른 색 정보가 할당된다(S340)(할당된 색이 격자 상에 표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각 라인 상의 분할된 N개의 요소에 대한 순차적 색표시 시간을 계산한다(S350).
이때 그린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그린의 경사도가 큰 경우에는 순차적 색표시의 시간이 짧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경사도가 완만한 경우에는 순차적 색표시의 시간이 길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 후 각 라인 상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상기 S340 단계에서 각 요소별로 할당된 색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S360).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요소에 대한 순차적 색표시가 진행되면서, 라인 상의 색표시된 요소의 개수가 설정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70).
만약 라인 상의 색표시된 요소의 개수가 설정개수 이상인 경우, 색표시된 요소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색표시된 요소를 원래 상태로 복원시킨다(S380).
이와 같은 각 요소에 대한 순차적 색표시는 소정의 중단사유가 발생하는 경우(S390)에는 중단되고, 발생된 사유에 따른 작업이 진행된다(S400).
예컨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골퍼가 퍼팅을 할 차례가 되었을 때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한 영상처리방법에 따라 그린에 격자를 표시하고 그린의 라이를 표현하다가 사용자가 퍼팅을 개시한 경우, 이는 상기한 중단 사유에 해당하게 되고 그 이후에는 퍼팅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진다.
도 26 및 도 27에 각각 도시된 플로우차트에서는 순차적 변경 또는 색표시되는 요소의 개수를 기준으로 변경 또는 색표시된 요소를 순차적으로 복원시키는 것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차적 변경 또는 색표시 진행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순차적 복원이 진행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가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가상 현실 기반의 골프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의 골프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골프 게임이나 소위 스크린 골프 산업 분야 등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30)

  1. 그린의 라이를 표현하도록 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분할된 복수개의 점멸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상기 그린 상에 표시하는 격자표시수단; 및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점멸 요소 각각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점멸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제어수단은,
    상기 라인 상의 높은 위치의 점멸 요소에서 점멸이 시작되어 상기 라인 상의 낮은 위치의 점멸 요소로 순차적으로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각 점멸 요소의 점멸 시간 간격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제어수단은,
    상기 격자 상의 각 라인별로 독립적으로 해당 경사도에 따라 해당 점멸 요소들을 순차 점멸시키도록 제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제어수단은,
    상기 라인 상의 일 사이클의 순차적 점멸이 완성되기 전에 다음 사이클의 순차적 점멸이 시작되도록 하여, 복수 사이클의 순차적 점멸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그린의 라이를 표현하도록 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분할된 복수개의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상기 그린 상에 표시하며, 상기 그린의 지형 고저 정보에 따른 색이 상기 격자의 각 라인 상의 각 요소에 표시되도록 하는 격자표시수단; 및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요소 각각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라이표현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표현수단은,
    상기 변경된 요소의 원래 상태로의 복원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표현수단은,
    상기 라인 상의 높은 위치의 요소에서 시작되어 상기 라인 상의 낮은 위치의 요소로 순차적으로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각 요소의 변경 시간 간격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표현수단은,
    상기 라인 상의 일 사이클의 순차적 변경이 완성되기 전에 다음 사이클의 순차적 변경이 시작되도록 하여, 복수 사이클의 순차적 변경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9. 그린의 라이를 표현하도록 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분할된 복수개의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상기 그린 상에 표시하는 격자표시수단; 및
    상기 그린의 지형 고저 정보에 따른 색 정보가 상기 격자의 각 라인 상의 각 요소에 할당되도록 하며,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요소 각각의 할당된 색 정보에 따른 색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라이표현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표현수단은,
    상기 색이 표시된 요소의 원래 상태로의 복원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표현수단은,
    상기 라인 상의 높은 위치의 요소에서 시작되어 상기 라인 상의 낮은 위치의 요소로 순차적으로 색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각 요소의 색 표시 시간 간격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표현수단은,
    상기 라인 상의 일 사이클의 순차적 색 표시가 완성되기 전에 다음 사이클의 순차적 색 표시가 시작되도록 하여, 복수 사이클의 순차적 색 표시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3. 제1항, 제5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표시수단은,
    상기 라인이 상기 그린 상에 소정 길이의 직선으로써 표시되는 직선 라인에 의해 상기 격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4. 제1항, 제5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표시수단은,
    상기 그린의 지형 굴곡에 따라 상기 라인이 굴곡되어 표시되는 굴곡 라인에 의해 상기 격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5. 그린의 라이를 표현하도록 하는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분할된 복수개의 점멸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상기 그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점멸 요소 각각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단계는,
    상기 라인 상의 가장 높은 위치와 가장 낮은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라인 상의 가장 높은 위치의 점멸 요소부터 점멸이 시작되어 가장 낮은 위치의 점멸 요소로 순차적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경사도가 높은 지형의 라인의 순차적 점멸 시간 간격이 경사도가 낮은 지형의 라인의 순차적 점멸 시간 간격보다 짧게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8. 그린의 라이를 표현하도록 하는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분할된 복수개의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상기 그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그린의 지형 고저 정보에 따른 색이 상기 격자의 각 라인 상의 각 요소에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요소 각각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처리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단계는,
    상기 격자의 각 라인 상의 가장 높은 위치와 가장 낮은 위치를 각각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각 라인의 순차적 변경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라인 상의 가장 높은 위치의 요소로부터 변경이 시작되어 가장 낮은 위치의 요소로 상기 계산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단계는,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경사도가 높은 지형의 라인의 순차적 변경 시간 간격이 경사도가 낮은 지형의 라인의 순차적 변경 시간 간격보다 짧게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각 라인 상의 변경된 요소의 개수가 설정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변경된 요소의 개수가 설정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각 요소의 변경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된 요소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각 라인 상의 순차적 변경이 진행된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순차적 변경 진행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순차적 변경 진행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각 요소의 변경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된 요소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23. 그린의 라이를 표현하도록 하는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분할된 복수개의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그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그린의 지형 고저 정보에 따른 색이 상기 격자의 각 라인 상의 각 요소에 할당되는 단계; 및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요소 각각의 할당된 색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처리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단계는,
    상기 격자의 각 라인 상의 가장 높은 위치와 가장 낮은 위치를 각각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각 라인의 순차적 표시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라인 상의 가장 높은 위치의 요소로부터 변경이 시작되어 가장 낮은 위치의 요소로 상기 계산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단계는,
    상기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경사도가 높은 지형의 라인의 순차적 색 표시 시간 간격이 경사도가 낮은 지형의 라인의 순차적 색 표시 시간 간격보다 짧게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각 라인 상의 색 표시된 요소의 개수가 설정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색 표시된 요소의 개수가 설정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각 요소의 색 표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색 표시된 요소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각 라인 상의 순차적 표시가 진행된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순차적 표시 진행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순차적 표시 진행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각 요소의 색 표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색 표시된 요소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28.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골퍼에 의해 타격되는 골프공을 센싱하는 센싱장치;
    가상의 골프코스의 영상구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가상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가상의 골프코스의 영상을 구현하도록 영상 처리하며, 분할된 복수개의 점멸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골프코스 상에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점멸 요소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도록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상기 센싱장치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따라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29.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골퍼에 의해 타격되는 골프공을 센싱하는 센싱장치;
    가상의 골프코스의 영상구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가상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가상의 골프코스의 영상을 구현하도록 영상 처리하며, 분할된 복수개의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골프코스 상에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따른 색이 상기 격자의 각 라인 상의 각 요소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복수개의 요소 각각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상기 센싱장치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따라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30.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골퍼에 의해 타격되는 골프공을 센싱하는 센싱장치;
    가상의 골프코스의 영상구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가상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가상의 골프코스의 영상을 구현하도록 영상 처리하며, 분할된 복수개의 요소를 갖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를 골프코스 상에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따른 색이 상기 격자의 각 라인 상의 각 요소에 할당되도록 하며,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요소 각각의 할당된 색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상기 센싱장치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따라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PCT/KR2011/002281 2010-04-01 2011-04-01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WO2011122905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502491A JP5725629B2 (ja) 2010-04-01 2011-04-01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CN201180026185.8A CN102933265B (zh) 2010-04-01 2011-04-01 影像处理装置,影像处理方法及使用该装置与方法的虚拟高尔夫仿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79A KR100997730B1 (ko) 2010-04-01 2010-04-01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20100029773A KR100997732B1 (ko) 2010-04-01 2010-04-01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2010-0029773 2010-04-01
KR10-2010-0029779 2010-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2905A2 true WO2011122905A2 (ko) 2011-10-06
WO2011122905A3 WO2011122905A3 (ko) 2012-02-02

Family

ID=4471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2281 WO2011122905A2 (ko) 2010-04-01 2011-04-01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25629B2 (ko)
CN (1) CN102933265B (ko)
WO (1) WO20111229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607A (ko) * 2019-08-29 2021-03-11 주식회사 에스지엠 골프코스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CN114005319B (zh) * 2021-10-09 2024-04-05 精兵特种装备(福建)有限公司 一种实兵交战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225U (ko) * 1999-06-07 1999-09-06 김충환 실내골프연습장
KR20030044601A (ko) * 2001-11-30 2003-06-09 김기수 체감형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0896977B1 (ko) * 2008-09-24 2009-05-14 (주) 골프존 명암농도를 적용한 골프 시뮬레이팅 장치 및 방법
KR100938147B1 (ko) * 2008-04-02 2010-01-22 (주) 골프존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46863B1 (ko) * 2009-05-18 2010-03-09 주식회사 디온지씨 골프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0409B2 (ja) * 1999-12-06 2003-05-26 コナミ株式会社 地形情報を用いるゲームシステムにおけるガイド表示方法、ゲーム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JP3607168B2 (ja) * 2000-03-10 2005-01-0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録再装置
JP3386803B2 (ja) * 2001-06-20 2003-03-1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JP3762750B2 (ja) * 2003-01-07 2006-04-05 コナミ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264308B2 (ja) * 2003-07-17 2009-05-13 任天堂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307317B2 (ja) * 2004-04-28 2009-08-05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0970677B1 (ko) * 2009-12-31 2010-07-15 (주) 골프존 퍼팅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225U (ko) * 1999-06-07 1999-09-06 김충환 실내골프연습장
KR20030044601A (ko) * 2001-11-30 2003-06-09 김기수 체감형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0938147B1 (ko) * 2008-04-02 2010-01-22 (주) 골프존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KR100896977B1 (ko) * 2008-09-24 2009-05-14 (주) 골프존 명암농도를 적용한 골프 시뮬레이팅 장치 및 방법
KR100946863B1 (ko) * 2009-05-18 2010-03-09 주식회사 디온지씨 골프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2905A3 (ko) 2012-02-02
CN102933265B (zh) 2015-04-22
CN102933265A (zh) 2013-02-13
JP2013523253A (ja) 2013-06-17
JP5725629B2 (ja)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77364A1 (ko) 가상 테니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53131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WO2017135632A1 (ko) 플레이어 매칭 장치 및 플레이어 매칭 방법
WO20142002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rgeting target objects in a computer game
EP2405980A2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WO2010104355A2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WO2012121434A1 (ko) 농구 게임기와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농구 게임기 및 농구방법
WO2012002751A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6122217A1 (ko) 다트 핀의 위치에 기초한 타격 면적에 따른 다트 게임을 제공하는 서버, 다트 게임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0970172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WO2017160058A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가상 골프를 위한 영상 구현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1122905A2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WO2011122907A2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WO2019194442A1 (ko)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8066862A1 (ko) 좌표 공략 게임 시스템 및 방법
WO2021010686A2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EP3632119A1 (en) Display apparatus and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WO2014133256A1 (ko) 미러월드 기반 체감형 디지털 보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09145463A2 (ko)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WO2011122906A2 (ko)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과,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WO2018190483A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골프 가이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리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제공 시스템
WO2022071659A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WO2019103239A1 (ko)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010684A1 (ko) 가상 골프 시스템, 가상 골프 인트로 영상 생성방법 및 가상 골프의 플레이어에 관한 정보의 산정방법
KR100997730B1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0026185.8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7630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502491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7630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