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910B1 -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910B1
KR101469910B1 KR1020130005624A KR20130005624A KR101469910B1 KR 101469910 B1 KR101469910 B1 KR 101469910B1 KR 1020130005624 A KR1020130005624 A KR 1020130005624A KR 20130005624 A KR20130005624 A KR 20130005624A KR 101469910 B1 KR101469910 B1 KR 101469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anual
spring
pulley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102A (ko
Inventor
정태락
Original Assignee
(주)테라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라솔라 filed Critical (주)테라솔라
Priority to US14/653,875 priority Critical patent/US9790738B2/en
Priority to EP14741141.7A priority patent/EP2977543B1/en
Priority to CA2897958A priority patent/CA2897958C/en
Priority to PCT/KR2014/000537 priority patent/WO2014112837A1/ko
Priority to AU2014207927A priority patent/AU2014207927B2/en
Priority to CN201480005154.8A priority patent/CN104937207B/zh
Priority to JP2015553657A priority patent/JP6377638B2/ja
Publication of KR20140029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4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adapted for selective electrical or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9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immobilising the closure member in various chosen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Planetary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9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immobilising the closure member in various chosen positions
    • E06B2009/905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immobilising the closure member in various chosen positions using wrap spring 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2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expandable or contractable clamping ring or band
    • F16D41/2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expandable or contractable clamping ring or band having axially adjacent coils, e.g. helical wrap-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로서, 볼 체인이나 회전줄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구동모듈(40a); 상기 수동구동모듈(40a)의 구동에 의해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픽업부재(50); 및 볼 체인이나 회전줄이 끼워지는 수동 풀리(700a)를 갖는 휠 구동부재(700); 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구동모듈(40a)은, 상기 수동 풀리(700a)의 회전에 의해 구동이 시작되며, 수동 풀리(700a)의 회전이 정지되면 차양장치의 자중에 의해 구동이 정지되며, 상기 휠 구동부재(700)는, 상기 수동 풀리(700a)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수동 풀리(700a)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수동 풀리(700a)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A Shade Drive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in which the driving wheel can be returned}
본 발명은 블라인드나 루버 등의 차양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 직후 구동휠 부재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전동 및 수동겸용으로 사용하는 차양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본 발명은 롤/콤비/트리플 블라인드의 스크린 회전 봉(이하 “회전축“이라 칭함), 베네치안/ 로만쉐이드/ 허니콤 블라인드의 슬랫의 각도조절이나 권취용 회전 봉(동일하게 “회전축“이라 칭함), 버티칼 블라인드의 회전봉(동일하게 “회전축“이라 칭함)을 손으로 잡아당겨 구동시켜주는 수동구동용 볼 체인과 회전줄(이하 두 가지를 ”수동줄“ 이라 한다)을 안전하게 수납하고 전동과 수동을 겸하되 고장대응에 용이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창문틀에 설치되어 창문을 통한 채광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긴 슬랫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선택적 채광을 행하는 베네치안 블라인드 및 슬랫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로 유동되면서 선택적 채광을 행하는 버티컬 블라인드로 대표되는 슬랫 타입 차양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롤에 스크린이 감겨져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선택적 채광을 이루는 롤 블라인드 등과 같은 롤 타입 차양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통상의 롤 블라인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통상의 롤 블라인드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2는 슬랫 타입 차양 장치의 일 종류인 베네치안 블라인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롤 블라인드는 창문틀 상측에 설치되는 헤드레일(13); 상기 헤드레일(13)의 하측에 배치되는 롤 스크린(12) 및 상기 헤드레일(13)의 일 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롤 스크린(12)을 권취 혹은 권해하는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11a); 타단을 마감하는 롤 차양용 마개(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롤 스크린(12)은 체결부재와 스크린시트로 구비되는 스크린과 길이방향 내주면에 돌출턱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스크린시트 체결홈이 일체 형성된 내부가 중공이며 회전 동력축을 겸하며 스크린을 권취하고 권해하는 환봉으로 마련되는 회전축(14);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 스크린(12)의 일 측단부에는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11a)이 삽입되고, 타단은 롤 차양용 마개가 끼워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11a)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축(14)을 회전시키는 볼 체인(110a)이나 회전줄(미도시)로 조작되거나, 전동 모터(미도시)로 구동회전축을 전기동력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롤 스크린(12)의 스크린이 회전축(14)에 권취되거나 권해되어 선택적으로 차광과 채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11a, 이하 “제1 종래수동구동모듈“이라 한다)은 도 1a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4a2‘)가 형성된 스프링부재(4a2)가 삽입되어 마련되는 차양스토퍼(4a1);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이 걸려 회전하는 수동풀리(4a3a)와 스프링부재(4a2)의 걸림부(4a2‘)를 스프링부재(4a2)의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차양스토퍼(4a1)와 스프링부재(4a2) 사이의 마찰력을 해제시키고 회전하는 스프링구동부재(4a3b)가 형성되고 차양스토퍼(4a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구동휠 부재(4a3); 외주면이 환봉(2a1)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에 끼워지도록 돌출턱(4a41)이 형성되고 내주면은 구동휠 부재(4a3)와 차양스토퍼(4a1)에 끼워져 결합되며 스프링부재(4a2)의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차양스토퍼(4a1)와 스프링부재(4a2)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제동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된 픽업부재(4a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잡아당긴 힘으로 구동휠 부재(4a3)를 회전시키면 (도 1b의 실선 화살표 방향), 구동휠 부재(4a3)의 스프링구동부재(4a3b)가 스프링부재(4a2)의 걸림부(4a2‘)를 스프링부재(4a2)의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차양스토퍼(4a1)와 스프링부재(4a2) 사이의 마찰력을 해제함과 동시에 픽업부재(4a4)의 제동 걸림턱(미도시)을 밀어 회전시킴으로서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턱(4a41)이 환봉(2a1)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를 회전방향으로 밀어 통해 롤(2a)의 환봉(2a1)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의 잡아당김을 멈추면 스크린시트(2b1)의 하중에 따라 환봉(2a1)에 회전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종국에는 픽업부재(4a4)를 회전시키는데, 픽업부재(4a4)의 제동 걸림턱(미도시)은 스프링부재(4a2)의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도 1b의 점선 화살표 방향), 차양스토퍼(4a1)와 스프링부재(4a2)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서 환봉(2a1)을 회전 정지시킨다.
이때 스크린시트의 권취 또는 권해된 정도에 따라 볼 체인(110a)이나 회전줄(미도시)에 가해야 하는 힘이 달라지는 것은 당업자에게 주지의 사실인데,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하단까지 권해된 스크린시트를 권취 즉, 스크린시트를 걷어 올릴 때는 차양스토퍼(11a1)와 스프링부재(11a2) 사이의 마찰력을 해제하는 힘에 더하여 무거운 스크린시트를 들어 올리는 힘까지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 것이고, 권취되는 거리만큼 볼 체인(110a)이나 회전줄(미도시)이 계속하여 공급되어 힘이 전달되어 구동휠(11a3)을 회전시켜야 하며, 상단까지 권취된 스크린시트를 하단까지 내리는 경우에는 차양스토퍼(11a1)와 스프링부재(11a2) 사이의 마찰력을 해제하는 힘에 점점 권해되는 스크린시트의 무게를 음으로 더한 힘이 필요하게 되는 것으로 사실상 스크린시트의 자중에 의하여 권해되는 것인데, 마찬가지로 구동휠(11a3)의 회전에 따라 볼 체인(110)이나 회전줄(미도시)이 공급되어야만 다음 권취에 작동을 반복하게 하며, 공급되는 길이는 환봉의 직경, 구동휠(11a3)의 지름, 기어 비에 따라 다르며, 기어비가 클 경우 잡아당기는 힘은 반비례하지만 공급되는 길이는 비례하여 늘어나게 되는 것이고 통상적으로는 스크린시트가 가볍기 때문에 기어 비는 1: 1이고 성인이 손을 들어 잡아당기는 구동길이를 감안하여 스크린시트 기장의 약 2배 이하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롤 블라인드에 권취 및 권해 작동에 힘을 전달하는 수단인 볼 체인(110a)이나 회전줄(미도시)은 통상적으로 도 1a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U’자형 루프형태를 가지고 스크린시트의 권해길이에 맞춰 하단으로 길게 늘어져 있는 구조이며, 볼 체인(110a)의 경우에는 권취시의 스크린시트를 들어 올리는 힘을 고려하여 구동휠(11a3)이 홈에 끼워져 힘이 잘 전달되도록 견고한 일자형태의 줄(111a)에 동일한 다수의 구형상 플라스틱 볼(112)을 소정간격으로 구분 없이 일체로 사출하고 양 끝단은 결합시켜‘U’자형 루프형태로 매우 견고하게 제작되고 있으며, 회전줄(미도시)은 일자형 줄의 양 끝단을 결합하여 역시‘U’자형 루프형태로 매우 견고하게 제작하며, 값이 저렴하여 대부분의 롤 블라인드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견고함과 U’자형 루프형태이면서 소정 길이로 낮은 위치까지 늘어져 설치되는 관계로 쉽게 아동들이 접근 가능하여 볼 체인(110a)이나 회전줄(미도시)을 가지고 노는 어린아이에게는 오히려 치명적인 인명사고를 유발하고 있어 최근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각국은 이를 방지하는 안전규격을 제정하는 등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이번에는 종래의 롤 타입 차양과는 다른 종래의 슬랫 타입 차양 장치의 일 종류인 베네치안 블라인드를 살펴보면, 도 2의 (a)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틀 상측에 설치되는 헤드레일(1b); 상기 헤드레일(1b)의 하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슬랫(61)과 각각의 슬랫을 거치하는 두서너 개의 슬랫거치줄로 구성되는 한 조의 슬랫모듈(6); 슬랫구동모듈(8); 슬랫구동모듈(8)를 구동하는 슬랫 차양용 입력구동모듈(11b); 슬랫 차양용 마개(3b); 상기 다수의 슬랫구동모듈(8)을 끼운체 회전하는 회전축(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슬랫구동모듈(8)는 슬랫거치줄에 하나씩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다수 슬랫(61)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슬랫견인줄(81); 슬랫거치줄을 결속하고 슬랫거치줄을 당기거나 풀어 다수의 슬랫(61)의 각도를 조절하며 미끄럼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슬랫거치줄 조절부재(62);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헤드레일(1b)의 일 측단부에는 슬랫 차양용 입력구동모듈(11b)이 삽입되어 구비되고, 타단은 슬랫 차양용 마개(5b)가 끼워지며, 폭이 기다란 한 조의 슬랫모듈(6)의 하중을 고려하여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서너 개의 미끄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슬랫거치줄 조절부재(62)에 고정되어 있는 슬랫 거치줄로 슬랫을 균형 잡히도록 거치함과 동시에 슬랫의 각도를 조절하며, 승하강시에도 균형 잡힌 승하강과 심미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두서너 개의 슬랫견인줄(81)을 슬랫거치줄 조절부재(62)에 일대일 대응시켜 배치하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슬랫 차양용 입력구동모듈(11b)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110b)로 조작되거나, 전동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회전축을 전기동력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슬랫모듈(6)의 슬랫(61)이 권취되거나 권해되어 선택적으로 차광과 채광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슬랫견인줄(81)로 리본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리본의 경우 도 2의 (b)에 도시한 슬랫구동모듈(8)과는 다른 종류의 리본형 슬랫구동모듈(미도시)을 사용한다.
그리고 슬랫 차양용 입력구동모듈(11b, 이하 “제2 종래수동구동모듈“이라 한다)은 도 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미도시)가 형성된 스프링부재(11b2)가 삽입되어 마련되고 케이스(11b1b)에 고정되는 차양스토퍼(11b1a); 중앙에 선기어가 형성된 수동풀리(11b3a) 및 자유기어(11b3b) 그리고 스프링구동부재(11b3c’)가 돌출되어 형성된 유성기어캐리어(11b3c)로 구성되는 구동휠 부재(11b3); 상기 슬랫 타입 차양 구동 회전축(9)이 끼워져 동력 결합되는 결합구(11b4b), 구동휠 부재(11b3)의 유성기어캐리어(11b3c)와 결합되는 돌출된 제동 걸림턱(11b4a)이 형성된 픽업부재(11b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110b)을 잡아당긴 힘으로 구동휠 부재(11b3)를 회전시키면, 구동휠 부재(11b3)의 유성기어캐리어(11b3c)의 스프링구동부재(11b3c’)가 스프링부재(11b2)의 걸림부(미도시)를 스프링부재(11b2)의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차양스토퍼(11b1a)와 스프링부재(11b2) 사이의 마찰력을 해제함과 동시에 픽업부재(11b4)를 회전시킴으로서 슬랫 타입 차양 구동 회전축(9)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110b)의 잡아당김을 멈추면 슬랫의 하중에 따라 슬랫 타입 차양 구동 회전축(9)에 회전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종국에는 픽업부재(11b4)를 회전시키는데, 픽업부재(11b4)의 제동 걸림턱(11b4a)은 스프링부재(11b2)의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차양스토퍼(11b1a)와 스프링부재(11b2)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서 슬랫 타입 차양 구동 회전축(9)을 회전 정지시킨다.
이때 슬랫의 권취 또는 권해된 정도에 따라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110b)에 가해야 하는 힘이 달라지는 것은 역시 당업자에게 주지의 사실인데, 이 또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하단까지 권해된 슬랫을 권취 즉, 슬랫들을 걷어 올릴 때는 차양스토퍼(11b1a)와 스프링부재(11b2) 사이의 마찰력을 해제하는 힘에 더하여 슬랫들을 들어 올리는 힘까지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 것이고, 권취되는 거리만큼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110b)이 계속하여 공급되어 힘이 전달되어 구동휠(11b3)을 회전시켜야 하며, 상단까지 권취된 슬랫들을 하단까지 내리는 경우에는 차양스토퍼(11b1a)와 스프링부재(11b2) 사이의 마찰력을 해제하는 힘에 권해되는 슬랫의 무게를 음으로 더한 힘이 필요하게 되는 것으로 사실상 슬랫의 자중에 의하여 권해되는 원리이고, 마찬가지로 구동휠(11b3)의 회전에 따라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110b)이 공급되어야만 다음 권취에 작동을 반복하게 하고, 공급되는 길이는 슬랫구동모듈(8)의 직경, 구동휠(11b3)의 지름, 기어 비에 따라 다르며, 기어비가 클 경우 잡아당기는 힘은 반비례하지만 구동시에 공급되는 길이는 늘어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는 슬랫이 스크린시트에 비하여 무겁기 때문에 유성기어 열이 적용된 구동휠(11b3)을 사용하며, 성인이 손을 들어 잡아당기는 구동길이를 감안하여 슬랫모듈(6) 기장의 약 2 배 이하로 제작된다. 이때,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길이는 기어 비로 인하여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110b)의 길이를 초과하여 공급되지만 적용되는 힘은 기어 비에 따라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슬랫 타입 차양 장치의 일 종류인 베네치안 블라인드의 권취 및 권해 작동에 힘을 전달하는 수단인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110b) 역시 통상적으로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끝단은 결합시켜 ‘U’자형 루프형태로 매우 견고하게 제작되고 값이 매우 저렴하여 대부분의 슬랫 타입 차양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롤 블라인드와 마찬가지로 역시 견고함과 U’자형 루프형태이면서 소정 길이로 낮게 늘어져 설치되는 관계로 쉽게 아동들이 접근 가능하여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110b)을 가지고 노는 어린아이에게는 오히려 치명적인 인명사고를 유발하는 바, 최근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각국은 이를 방지하는 안전규격을 제정하는 등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업계에서는‘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이나 회전줄이 주는 상술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개선 시도가 있으며, 스토퍼가 형성된 일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사용하도록 스프링 복귀 장치를 추가하여 비축된 힘으로 복귀시키게 하고 볼 체인이나 회전줄이 반복하여 공급되도록 하여 아예 ‘U’자형 루프형태를 없애 한 줄 혹은 분리된 두 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소정 힘이 전체적으로 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이나 회전줄에 가해질 경우 쉽게 분리되게 하거나, 종래의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도록 특정 높이까지만 설치되도록 하거나 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이나 회전줄의 하단 끝단을 고정하게 하되 아동의 머리가 끼지 않게 하는 등, 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이나 회전줄이 주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있다.
그러나 소정 힘이 전체적으로 ‘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이나 회전 줄에 가해질 경우 단지 분리되게 하는 방법과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도록 특정 높이까지만 설치되도록 하는 업계의 노력들은 사실상 미봉책이다.
한편,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2 종래의 수동 차양 장치는 슬랫의 하중이나 스크린의 권상 무게를 감안하여 수동 조작되는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에 가해지는 힘을 줄이기 위해 유성감속기를 적용하고 있으나 감속비만큼 많은 길이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이 수동으로 감겨야 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적은 힘을 들게 하지만 작동시간과 잡아당김 횟수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어 수동조작대신 전동 모터(미도시)의 대체 활용이 점점 더 많이 채택되는 추세 있으며, 이에 더하여 어린이 안전차원에서 아예 전동 단독으로만 작동되는 신규 차양의 보급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함에도, 여전히 종래의 수동 차양구동장치는 스프링의 정지 마찰력을 제어하는 매우 경제적이고 편리한 방식으로 인간의 힘을 필요로 한다는 점과 어린이 안전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종래 차양 수동구동 방식의 편리성과 고장이 매우 적으며 내구성이 있고, 값이 매우 저렴하므로 경제적이라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수동 작동 차양을 업그레이드 하는 종래의 전동 작동 방식은 종래 수동 차양 구동장치를 재활용할 수 없어 단순히 종래의 수동 작동 방식을 대체하는 기술로 인식되고 있는 점 또한 당업자에게 주지의 사실인데, 그 주된 이유는 종래의 수동차양 구동장치가 그 기능을 양립 가능하도록 유지한 채로 간단히 그리고 쉽게 모터를 탈착할 수 없는 구조였다는 데 있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모터가 작동하지 않아서 수리가 끝날 때까지는 사용자가 차양을 작동할 수 없게 되므로 사용자가 매우 불편해 하였고, 이점에 대한 고객의 불만이 크며 이에 대응해야하는 당업자에게는 매우 큰 애로사항인 관계로 고장 난 모터를 분리시키더라도, 별도의 종래 수동 차양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차양을 다시 수동 방식으로 재조립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즉, 단순히 모터만을 차양으로부터 분리하더라도 곧바로 수동으로 작동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었고, 사용 중이던 기존 수동차양을 전동으로 전환할 때에도 모터를 간단하게 추가하기가 불가능하거나 양립하기가 불가능하여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종래 수동차양구동장치를 사용 중인 차양으로부터 빼낸 후에 버려야 하므로 환경문제나 비용측면에서 이를 개선하여야 할 필요가 있었다.
더 나아가, 반드시 전동구동방식이 아니라 하더라도, 수동구동방식 중에서도 줄을 잡아당겨서 차양을 구동하거나, 혹은 차양 회전축과 축결합되는 회전체를 회전시켜서 차양을 구동하거나, 혹은 기어비를 변경하여 차양을 보다 가볍게 구동할 수 있도록 융통성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롤 타입 차양과 슬랫 타입 차양을 각각 모두 구동하되, 기존 수동 작동은 물론 구동 직후 구동휠 부재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 수동줄을 'U'자형 대신 일자형으로 하거나 혹은 'U'자형으로 하더라도 하단이 작은 힘으로도 절단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 안전사고 대응 기능과 전동 작동이 가능한 어린이 안전보호 기능 및/또는 수동자동겸용 차양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는, 볼 체인이나 회전줄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구동모듈(40a); 상기 수동구동모듈(40a)의 구동에 의해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픽업부재(50); 및 볼 체인이나 회전줄이 끼워지는 수동 풀리(700a)를 갖는 휠 구동부재(700); 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구동모듈(40a)은, 상기 수동 풀리(700a)의 회전에 의해 구동이 시작되며, 수동 풀리(700a)의 회전이 정지되면 차양장치의 자중에 의해 구동이 정지되며, 상기 휠 구동부재(700)는, 상기 수동 풀리(700a)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수동 풀리(700a)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수동 풀리(700a)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는, 상기 수동풀리(700a)에 결합되며 몸체의 내주면에는 소경부(711a)와 대경부(711b)를 갖는 원호형상의 양방향 이동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양방향드라이버(711);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부(712c)와 단위 탄발부재홀더(712b)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열로 형성된 리테이너(712); 및 상기 양방향드라이버(711) 양방향 이동홈의 대경부(711b)와 상기 리테이너(712)의 단위 탄발부재홀더(712b)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롤러부재(71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는, 사용자가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면, 상기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의 리테이너(712)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7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712c)는 상기 리테이너(712) 본체에 해당하는 단위 탄발부재홀더(712b)의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712c)는 상기 리테이너(712) 본체를 안내부재(712d)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동구동 모듈(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동구동모듈(40a)을 상기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부재(712d)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의 내측으로 전동구동 모듈(60)의 회전축(610)이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동구동모듈(410)은, 걸림부(411a)가 형성된 스프링부재(411)가 외주면에 끼워져 삽입되며 고정 브라켓에 단단히 고정 결합되는 수동스토퍼(410);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잡아당기면 상기 스프링부재(411)의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411a)를 밀어 스프링부재(411)의 마찰력을 해제 시키는 해제 걸림턱(421c)이 형성된 랩스프링구동부재(421); 및 자체적으로 회전할 때는 상기 수동스토퍼(410)를 구성하는 스프링부재(411)의 걸림부(411a)를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도록 끼워져 스프링부재(411)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랩스프링구동부재(421)가 회전할 때는 해제 걸림턱(421c)에 밀려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내부걸림턱(50a)이 형성된 픽업부재(50); 로 이루어져, 차양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는 픽업부재(50) 내부에 자유로이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를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의 랩스프링구동부재(420)의 제1 랩스프링구동부(421) 위치로 이동시키되, 전동구동 모듈(60)을 구성하는 전동결합부재(620)에 양방향드라이버(711)를 형성하고, 수동드라이버(70)의 휠구동부재(700)와 전동결합부재(620)를 연결하는 중공 막대를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의 안내부재(712d)를 통하여 관통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회전수단(714)은, 토션 스프링(714b); 상기 토션 스프링(714b)의 일단을 고정봉(714a)과 같은 고정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714b1); 상기 수동구동모듈(40a)의 구동시 그 회전력을 상기 토션 스프링(714b)의 타단에 전달하는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부재(713)는 구형상의 볼이나 소정길이 소정직경의 원통형상의 롤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너(712)가 회전을 멈추면 각각의 롤러부재(713)를 좌우로 밀어 상기 양방향드라이버(711)의 양방향 이동홈 대경부(711b) 위치 즉, 중립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위탄발부재를 더 포함하거나, 모든 롤러부재(713)를 한꺼번에 탄발 즉 중립위치에 위치에 놓이도록 리테이너(712) 전체를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혹은 연속하여 회전시키는 전체탄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랩스프링구동부재(420)는, 상기 수동구동모듈(40a)의 스프링부재(411)를 직접 구동하는 제1 랩스프링구동부재(421)와 상기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와 접속되는 제2 랩스프링구동부재(422)로 분리되며, 상기 제1 랩스프링구동부재(421)와 상기 제2 랩스프링구동부재(422)를 연결하는 구동 커넥터(4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동스토퍼(410)는, 내주면에 구동 커넥터(423)가 통과하도록 소정직경의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동스토퍼(411)가 내부로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픽업부재(50)의 외주에 상기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구동함몰턱(5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구동모듈(60)의 동력원은 압전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는 안전하며,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도 저렴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모터의 착탈이 용이하고 모터의 고장수리 대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도, 구동줄의 아래가 일자형이거나 쉽게 절단가능하도록 하여도 되므로, 구동줄에 유아의 목이나 신체부위가 걸려 다치거나 사망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차양구동장치가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수동줄의 길이를 짧게 하여도 된다는 추가적인 장점을 지닌다.
도 1a는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통상의 롤 블라인드 분해사시도와 롤 단면도이며,
도 1b는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통상의 롤 블라인드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슬랫 타입 차양의 한 종류인 통상의 베네치안 블라인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차양구동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a는 도 3a의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 방향 절단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4a의 C-C선 방향 절단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구성인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의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구성인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과 수동드라이버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구성인 수동드라이버의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축소하여 수동으로만 사용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에 있어서, 전후좌우, 상하, 종횡은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1", "제2"와 같은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상대적인 주요성 또는 취지 또는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항은 당업자라면 이에 대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본 출원인의 동일자 출원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명세서 중에서 수동구동모듈이나 수동드라이버의 구성이나 작용은 본 명세서에서 그대로 참조 되어진다.
(제1 실시예)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차양구동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a는 도 3a의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 방향 절단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4a의 C-C선 방향 절단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구성인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의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구성인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과 수동드라이버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구성인 수동드라이버의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a)는 도 3a와 도 3b, 도 4a, 도 4b, 도 4c, 도 5,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 끝단에 도시하지 않은 중공의 차양 고정 브라?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 결합되고 중앙에는 소정직경의 홀이 형성된 지지케이스(30);, 상기 지지케이스(30)에 결합되며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에 의해 차양을 구동 혹은 정지시키는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 상기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의 외주면이 끼워지고 피동함몰턱(50a)이 형성되어 차양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되며 차양 회전축(미도시)의 회동에 의해 피동 또는 구동하는 픽업부재(50);, 상기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에 결합되어 수동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수동드라이버(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을 전동으로 작동시키는 전동결합부재(620)와 그에 결합되는 회전축(610)을 구비하는 전동구동 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이를 포함하여 구비한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전동구동모듈(60) 없이, 스프링 스토퍼(410), 스프링(411), 랩스프링구동부재(420) 및 픽업부재(50)만으로 이루어지고 수동드라이버(70)에 의해 구동되는 수동구동모듈을 '40a'로 언급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은 엄밀하게 구별하자면, 수동구동모듈(40a)과 전동구동모듈(60)이 중복된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상기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은 도 4a 내지 5에 자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측 끝단에는 수용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케이스(30)에 고정 결합되는 몸체 케이스(412)와 그 중앙부분에 고정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걸림부(미도시)가 형성된 스프링부재(411)가 외주면에 끼워져 삽입되어 마련되고 내주면에는 소정직경의 관통된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스토퍼(410);, 상기 스프링스토퍼(410)가 내부로 끼워지도록 마련되며 회전할 때는 스프링스토퍼(410)의 일 구성인 스프링부재(411)의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걸림부(미도시)를 밀어 스프링부재(411)의 마찰력을 해제시키는 해제 걸림턱(421)이 원통형 중공 몸체의 중간에 개구되어 양단부분에 형성되고 일 측 끝단은 상기 스프링스토퍼(410)가 삽입되어 끼워지며 타단에는 외주면결합단(421b)과 내주면결합단(421a)이 형성된 제1 랩스프링구동부(421)와 내부가 관통되고 중공 플랜지 형상이며 내주면에는 내주면결합단(422a)이 형성되며 외주면 일 측 끝단에는 구동슬리브(422b)가 형성된 제2 랩스프링구동부(422)와 제1, 2 랩스프링구동부(421,422)의 내주면결합단(421a, 422a) 각각에 스프링스토퍼(410)의 중공에서 각각 끼워져 마주보도록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결합턱이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구동커넥터(423)로 구비하는 랩스프링구동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본 제1 실시예에서는 구동커넥터(423)는 랩스프링구동부재(420)의 제1 랩스프링구동부(421) 및 제2 랩스프링구동부(422)의 양 측 단이 끼워져 각각 고정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육각 원통형상으로 결합턱이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별도 중공 막대로 마련한다. 이에 따라 랩스프링구동부재(420)를 구성하는 제1,2 랩스프링구동부(421,422)가 스프링스토퍼(410)를 사이에 두고 조립되고 결합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종래 기술과 확연한 차이가 있다.
특히, 종래 기술의 통상적인 구동휠 부재(11a3, 도 1 참조) 및 스프링구동부재(11b3c’,도 2 참조)을 사용하게 되면, 크기가 큰 스크린을 구동하기 위해서 적정지지 능력이 필요한 적정 직경의 스프링스토퍼(410) 및 스프링부재(411)가 조립시에 그 내주면에 삽입되어야 하고 이를 감안하면 구동휠 부재(11a3, 도 1 참조) 및 스프링구동부재(11b3c’,도 2 참조)에 형성되어지는 구동슬리브의 외주 직경이 매우 큰 상태가 되며 그 크기를 줄일 수 없게 되는데, 이는 하술할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 및 수동드라이버(70)가 필연적으로 커져야 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차양의 환봉의 직경과 협소한 설치장소를 감안하면 사실상 거꾸로 스프링스토퍼(410) 및 스프링부재(411)의 외주 직경을 작게 할 수밖에 없으므로 작은 크기의 차양에만 적용 가능한 한계가 있으며 또한, 하술할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 및 수동드라이버(70)를 스프링스토퍼(410)의 전면에만 구비해야 하는 관계로 하술할 역회전수단(714)의 설치공간이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의 내부 공간으로만 한정되게 되어 다양한 하중을 갖는 차양의 크기에 맞추어 적정한 크기의 스프링부재(411)를 적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그 대안도 함께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은 구동커넥터(423)를 통하여 후방으로 인출된 제2 랩스프링구동부(422)에 의해 스프링스토퍼(410) 후방에서도 랩스프링구동부재(420)의 구동이 가능하며 제2 랩스프링구동부(422)에 형성되는 구동슬리브(422b)의 직경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므로 하술할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 및 수동드라이버(70)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종래 기술의 통상적인 구동휠 부재(11a3, 도 1 참조) 및 스프링구동부재(11b3c’,도 2 참조)와 달리 전동구동 모듈(60)도 수동풀리(700a)와 마찬가지로 랩스프링구동부재(420)을 겸하여 구동하게 하므로,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의 스프링스토퍼(410)의 몸체 케이스(412)와 상기 지지케이스(30)가 결합된 상태로 차양의 측면에 설치하고 제1,2 랩스프링구동부(421,422)의 선택된 어느 한 가지에 전동구동 모듈(60)의 회전축과 하술할 수동드라이버(7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면 오로지 수동 작동으로만 (제1랩스프링구동부(421) + 수동드라이버(70)), 오로지 전동 작동으로만 (제2 랩스프링구동부(422) + 전동구동 모듈(60)의 회전축(610)), 전동과 수동을 겸하되 전동으로만 차양을 작동(제1랩스프링구동부(421)+수동드라이버(70) 그리고 제2 랩스프링구동부(422) + 전동구동 모듈(60)의 회전축(610))하지만 전동구동 모듈(60)의 고장에 용이하게 고장수리 대응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동구동 모듈(60)에 하술할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도 7 참조)를 하나 더 포함하면 심지어 전동과 수동 쌍방 간에 상호 방해 없이 차양을 자유로이 작동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게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전동구동 모듈(60)에 하술할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0a,도 7 참조)를 하나 더 포함하지 않으며, 평소에는 수동 작동의 방해를 받지 않는 전동구동으로만 사용하다가 모터(630: 압전모터가 바람직하다)의 고장 등 여하한의 이유로 전동구동 모듈(60)이 작동하지 않을 때 고장수리를 위해 이를 분리한 후에, 사용자로 하여금 응급하게 수동으로 차양을 작동하게 하고 차후에 당업자가 수리 후 다시 장착이 가능하게 하여 고장수리 대응이 용이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 3a 및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구동 모듈(60)의 회전축(610)이 결합된 전동결합부재(620)가 상기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을 구성하는 랩스프링구동부재(420)의 제1 랩스프링구동부(421) 외주면결합단(421b)에 스냅링을 이용하여 빠지지 못하게 결합되도록 마련한다.
아울러 상기 수동드라이버(70)는 도 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풀리(700a) 및 상기 랩스프링구동부재(420)를 구성하는 제2 랩스프링구동부(422)에 일체로 형성되는 U’루프휠구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U’루프수동드라이버(미도시) 또는 상기 랩스프링구동부재(420)를 구성하는 제2 랩스프링구동부(422)과는 분리되어 형성되며 수동풀리(700a)와는 일체로 형성되는 휠구동부재(700);, 휠구동부재(7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삽입되고 상기 랩스프링구동부재(420)를 구성하는 제2 랩스프링구동부(422)의 구동슬리브(422b)가 끼워져 마찰력으로 이를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회전을 해제하는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전수동드라이버(70a)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이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안전수동드라이버(70a)로 구비하는데, 그 일 구성인 상기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는 내주면에는 소경부(711a)와 대경부(711b)를 갖는 원호형상의 양방향 이동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양방향드라이버(711);, 원판형상의 몸체 중앙에 슬리브수용부(712a’,712a“)와 상면에 양 측면이 소정 직경의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지는 단위 탄발부재홀더(712b)가 슬리브수용부(712a’)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열로 형성되며 소정직경 및 길이의 관통된 중공 원통형상으로 전면으로 돌출되고 일 측 면 상단에 언더컷 진 결합부(712c)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은 원판형상의 몸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결합되는 안내부재(712d)가 구비된 리테이너(712);, 상기 양방향드라이버(711) 양방향 이동홈의 대경부(711b)와 상기 리테이너(712)의 단위 탄발부재홀더(712b)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롤러부재(7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양방향드라이버(711)가 좌우로 회전하면서 상기 롤러부재(713)를 좌우로 밀어 원호형상의 상기 양방향드라이버(711)의 양방향 이동홈 소경부(711a)와 대경부(711b) 사이를 구르게 하고 롤러부재(713)가 소경부(711a)에 인접할수록 소경부(711a)에 의해 끼워져 눌려 그 타단이 리테이너(712)의 슬리브수용부(712a’)쪽으로 밀려 돌출되게 하거나 대경부(711b) 위치에서는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는 리테이너(712)의 슬리브수용부(712a’)쪽으로 돌출된 타단이 후퇴 혹은 전진되도록 하게 하는 방식으로 슬리브수용부(712a’)에 삽입되는 랩스프링구동부재(420)의 제2 랩스프링구동부(422) 구동슬리브(422b)의 외주면을 밀착 또는 해제시켜 마찰력으로 구동슬리브(422b)를 구동하거나 구동 해제시키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양방향드라이버(711)가 상기 휠구동부재(70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하며, 롤러부재(713)는 구형상의 볼이나 소정길이 소정직경의 원통형상의 롤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이고,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상의 롤러로 마련되며, 상기 단위 탄발부재홀더(712b) 각각에는 단위탄발부재(미도시)를 쌍으로 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탄발부재(미도시)로는 자석편 혹은 스프링일 수 있고, 단위탄발부재(미도시)란 리테이너(712)가 회전을 멈추면 각각의 롤러부재(713)를 좌우로 밀어 상기 양방향드라이버(711)의 양방향 이동홈 대경부(711b) 위치 즉, 중립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단위탄발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지 않으며, 이러한 단위탄발부재(미도시)외에도 모든 롤러부재(713)를 한꺼번에 탄발 즉 중립위치에 위치에 놓이도록 리테이너(712) 전체를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혹은 연속하여 회전시키는 전체탄발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체탄발부재(미도시)와 단위탄발부재(미도시), 그리고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에 대하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특1997-0011290 및 등록실용 20-0260431에 자세하게 공지되어 있어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이를 더 포함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수동구동모듈(40a)의 일 구성인 수동스토퍼(410)의 스프링부재(411)가 전체탄발부재(미도시)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는 순간 몸체로 좁혀져 있던 스프링부재(411)가 탄성에 의해 원위치 하면서 모든 롤러부재(713)를 한꺼번에 탄발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는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면 리테이너(712)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71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712) 전체를 역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714)을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에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역회전수단(714)은 지지케이스(30)에 일 측 끝단이 고정되며 관통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의 안내부재(712d)를 관통하여 밖으로 인출되어지고 그 내부에는 전동구동 모듈(60)의 회전축(610)이 통과하도록 중공이 형성된 스프링고정봉(714a);, 상기 스프링고정봉(714a)의 밖으로 인출된 끝단에 일 측 끝단이 고정수단(714b1)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 안내부재(712d)의 결합부(712c)에 고정되어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의 안내부재(712d)의 좌우 회전에 따라 힘을 축적하는 스프링 탄성부재(714b); 상기 스프링 탄성부재(714b)를 감싸는 스프링캡부재(71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가 랩스프링구동부재(420)의 제2 랩스프링구동부(422) 구동슬리브(422b)의 외주면을 밀착 또는 해제시켜 마찰력으로 구동슬리브(422b)를 구동하거나 구동 해제시킴과 동시에 역회전수단(714)에 그 힘을 저장하면 사용자가 차양을 수동으로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놓아 잡아당기는 동작을 멈추면, 스프링 탄성부재(714b)가 역으로 회전하면서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 안내부재(712d)를 회전시키고 이어서 리테이너(712)를 회전시키면서 이어서 모든 롤러부재(713)를 탄발시켜 랩스프링구동부재(420)의 제2 랩스프링구동부(422) 구동슬리브(422b)에 대한 마찰구동을 해제시키고 중립위치에 놓인 롤러부재(413)가 제 위치에서 회전함과 동시에 이어서 연속하여 양방향드라이버(711)까지 역회전시키게 되고 이는 종국적으로 수동풀리(700a)까지 역회전 시키며 이에 결합된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후진시키게 되어 잡아당겨진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복귀되므로 ‘U’자형 루프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 대신에 루프형태가 아닌 일자형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 혹은 양단이 쉽게 분리되는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U’자형 루프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에 의한 어린이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려니와, 리테이너(712)의 돌출된 안내부재(712d)를 통해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을 회동가능하게 단단히 결속함과 동시에 역회전수단(714)이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안내하여 다양한 크기의 차양에 맞는 스프링부재(411) 적용을 가능하게 하고 적정 크기의 역회전수단(714)의 스프링 탄성부재(714b) 적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조립의 편리성도 함께 제시하는 것으로 스프링고정봉(714a)과 모터(630)의 회전축(610) 또한 내부 중공으로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특징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전동구동 모듈(60)은 모터(630)와 차양 회전축(미도시)의 회전속도와 위치값을 측정하도록 상기 픽업부재(50)에 결합되는 엔코더 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모터장치이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모터장치는 압전모터(630)로 구비되고, 모터의 회전축(610)이 상기 역회전수단(714)의 일 구성인 스프링고정봉(714a)을 관통하여 전동결합부재(620)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이는 당업자가 그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부호 (621)은 스냅링이고, 도면부호 (712c)는 스프링과의 결합부이며, 도면부호 (421c)는 해제걸림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a)의 작동관계를 설명하자면, 먼저 압전모터에 전기가 인가되고 회전축(610)이 좌우로 회전하면 결합된 전동결합부재(620)가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의 랩스프링구동부재(420) 제1 랩스프링구동부(421)를 회전시키면 스프링스토퍼(410)의 일 구성인 스프링부재(411)의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랩스프링구동부재(420)의 걸림부(미도시)를 밀어 스프링부재(411)의 마찰력을 해제시킴과 동시에 결합된 픽업부재(50)를 회전시켜 차양을 권취 혹은 권해하며, 이때 역회전수단(714)에 의해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가 랩스프링구동부재(420)의 제2 랩스프링구동부(422) 구동슬리브(422b)를 해제시킨 상태이므로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가 끼워진 수동드라이버(70)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으로 통상의 전동차양과 같이 작동한다. 그러나 모터가 이상이 생겨, 회전축(610)과 전동결합부재(620)를 결합 해제해 놓으면 즉, 고장수리나 응급대응을 위해 모터를 분리하면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통하여 수동풀리(700a)를 회전시키고 이어서 휠구동부재(700)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 랩스프링구동부재(420)의 제2 랩스프링구동부(422) 구동슬리브(422b) 픽업부재(50) 차양 회전축(미도시)으로 그 동력이 전달되어 차양을 수동으로 작동시키고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면, 차양스크린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려는 힘이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통해 픽업부재(50)까지 회전되도록 전달되고 이는 스프링스토퍼(410)의 일 구성인 스프링부재(411)의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마찰력을 증대시켜 정지하게 되어 차양을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이고, 동시에 역회전수단(714)에 의해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복귀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된 예로서 역회전수단(714)을 더 포함하지 않고‘U’자형 루프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사용하되 그 길이를 짧게 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변형으로는 수동드라이버(70)의 수동풀리(700a)에 모터장치의 회전축(610)을 직결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변형 예에 불과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a)는 고장 난 모터의 수리나 고객의 불만에 쉽게 대응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안내부재(712d)가 필요없이 리테이너(712) 본체에 직접 토션스프링으로서의 탄성부재(714b)가 직결되어도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축소하여 수동으로만 사용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분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는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a)와 달리 전동구동 모듈(60)의 없이 수동 단독으로만 작동하는 예로써, 수동과 전동을 겸하는 작동에 더하여 본 발명이 수동 작동 단독으로도 매우 쉽게 겸할 수 있는 유연성에 대하여 당업자에게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로써 이하, 그 구성과 작동관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또 자세하게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예로써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를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의 랩스프링구동부재(420) 제1 랩스프링구동부(421) 위치로 이동시키되, 전동구동 모듈(60)을 구성하는 전동결합부재(620)에 양방향드라이버(711)를 형성하고, 수동드라이버(70)의 휠구동부재(700)와 전동결합부재(620)를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중공 막대를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의 안내부재(712d)를 통하여 관통시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를 포함하면 수동자동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혹은 모터를 포함하지 않으면 기어비가 적용된 수동만으로 사용하거나, 기능을 축소하여 수동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적용성이 매우 큰 효과가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30 : 지지케이스
40 :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
40a : 수동구동모듈
410 : 스프링 스토퍼
411 : 스프링
420 : 랩스프링구동부재
50 : 픽업부재
60 : 전동구동모듈
610 : 회전축
620 : 전동결합부재
70 : 수동드라이버
70a : 안전 수동드라이버
700 : 휠 구동부재
710 :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
711 : 양방향 드라이버
712 : 리테이너
713 : 롤러부재
714 : 역회전수단

Claims (14)

  1. 볼 체인이나 회전줄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구동모듈(40a);
    상기 수동구동모듈(40a)의 구동에 의해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픽업부재(50); 및
    볼 체인이나 회전줄이 끼워지는 수동 풀리(700a)를 갖는 휠 구동부재(700);
    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구동모듈(40a)은, 상기 수동 풀리(700a)의 회전에 의해 구동이 시작되며, 수동 풀리(700a)의 회전이 정지되면 차양장치의 자중에 의해 구동이 정지되며,
    상기 휠 구동부재(700)는, 상기 수동 풀리(700a)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수동 풀리(700a)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수동 풀리(700a)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는,
    상기 수동풀리(700a)에 결합되며 몸체의 내주면에는 소경부(711a)와 대경부(711b)를 갖는 원호형상의 양방향 이동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양방향드라이버(711);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부(712c)와 단위 탄발부재홀더(712b)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열로 형성된 리테이너(712); 및
    상기 양방향드라이버(711) 양방향 이동홈의 대경부(711b)와 상기 리테이너(712)의 단위 탄발부재홀더(712b)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롤러부재(71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는, 사용자가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면, 상기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의 리테이너(712)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7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712c)는 상기 리테이너(712) 본체에 해당하는 단위 탄발부재홀더(712b)의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712c)는 상기 리테이너(712) 본체의 안내부재(712d)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5. 볼 체인이나 회전줄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
    상기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의 구동에 의해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픽업부재(50); 및
    볼 체인이나 회전줄이 끼워지는 수동 풀리(700a)를 갖는 휠 구동부재(700);
    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은, 상기 수동 풀리(700a)의 회전에 의해 구동이 시작되며, 수동 풀리(700a)의 회전이 정지되면 차양장치의 자중에 의해 구동이 정지되며,
    상기 휠 구동부재(700)는, 상기 수동 풀리(700a)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수동 풀리(700a)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수동 풀리(700a)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는,
    상기 수동풀리(700a)에 결합되며 몸체의 내주면에는 소경부(711a)와 대경부(711b)를 갖는 원호형상의 양방향 이동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양방향드라이버(711);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부(712c)와 단위 탄발부재홀더(712b)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열로 형성된 리테이너(712); 및
    상기 양방향드라이버(711) 양방향 이동홈의 대경부(711b)와 상기 리테이너(712)의 단위 탄발부재홀더(712b)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롤러부재(71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을 전동으로 작동시키는 전동구동 모듈(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712c)는 상기 리테이너(712) 본체에 해당하는 단위 탄발부재홀더(712b)의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712c)는 상기 리테이너(712) 본체를 안내부재(712d)가 결합하며,
    상기 안내부재(712d)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의 내측으로 전동구동 모듈(60)의 회전축(610)이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7. 볼 체인이나 회전줄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구동모듈(40a);
    상기 수동구동모듈(40a)의 구동에 의해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픽업부재(50); 및
    볼 체인이나 회전줄이 끼워지는 수동 풀리(700a)를 갖는 휠 구동부재(700);
    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구동모듈(40a)은, 상기 수동 풀리(700a)의 회전에 의해 구동이 시작되며, 수동 풀리(700a)의 회전이 정지되면 차양장치의 자중에 의해 구동이 정지되며,
    상기 휠 구동부재(700)는, 상기 수동 풀리(700a)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수동 풀리(700a)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수동 풀리(700a)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구동모듈(40a)은,
    걸림부(411a)가 형성된 스프링부재(411)가 외주면에 끼워져 삽입되며 고정 브라켓에 단단히 고정 결합되는 수동스토퍼(410);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잡아당기면 상기 스프링부재(411)의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411a)를 밀어 스프링부재(411)의 마찰력을 해제 시키는 해제 걸림턱(421c)이 형성된 랩스프링구동부재(420); 및
    자체적으로 회전할 때는 상기 수동스토퍼(410)를 구성하는 스프링부재(411)의 걸림부(411a)를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도록 끼워져 스프링부재(411)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랩스프링구동부재(420)가 회전할 때는 해제 걸림턱(421c)에 밀려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내부걸림턱(50a)이 형성된 픽업부재(50); 로 이루어져,
    차양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는 픽업부재(50) 내부에 자유로이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를 수동자동겸용구동모듈(40)의 랩스프링구동부재(420)의 제1 랩스프링구동부(421) 위치로 이동시키되, 전동구동 모듈(60)을 구성하는 전동결합부재(620)에 양방향드라이버(711)를 형성하고, 수동드라이버(70)의 휠구동부재(700)와 전동결합부재(620)를 연결하는 중공 막대를 양방향전환클러치부재(710)의 안내부재(712d)를 통하여 관통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수단(714)은,
    토션 스프링(714b);
    상기 토션 스프링(714b)의 일단을 고정봉(714a)과 같은 고정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714b1);
    상기 수동구동모듈(40a)의 구동시 그 회전력을 상기 토션 스프링(714b)의 타단에 전달하는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713)는 구형상의 볼이나 소정길이 소정직경의 원통형상의 롤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712)가 회전을 멈추면 각각의 롤러부재(713)를 좌우로 밀어 상기 양방향드라이버(711)의 양방향 이동홈 대경부(711b) 위치 즉, 중립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위탄발부재를 더 포함하거나, 모든 롤러부재(713)를 한꺼번에 탄발 즉 중립위치에 위치에 놓이도록 리테이너(712) 전체를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혹은 연속하여 회전시키는 전체탄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랩스프링구동부재(420)는, 상기 수동구동모듈(40a)의 스프링부재(411)를 직접 구동하는 제1 랩스프링구동부재(421)와 상기 양방향전환 클러치부재(710)와 접속되는 제2 랩스프링구동부재(422)로 분리되며,
    상기 제1 랩스프링구동부재(421)와 상기 제2 랩스프링구동부재(422)를 연결하는 구동 커넥터(4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동스토퍼(410)는, 내주면에 구동 커넥터(423)가 통과하도록 소정직경의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동스토퍼(411)가 내부로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50)의 외주에 상기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구동함몰턱(5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14.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구동모듈(60)의 동력원은 압전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KR1020130005624A 2012-08-30 2013-01-18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KR101469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53,875 US9790738B2 (en) 2012-08-30 2014-01-17 Sunshade driving device having a returning function of a wheel driving member
EP14741141.7A EP2977543B1 (en) 2013-01-18 2014-01-17 Sunblind driving apparatus having returning function of driving wheel member
CA2897958A CA2897958C (en) 2013-01-18 2014-01-17 Sunshade driving device having a returning function of a wheel driving member
PCT/KR2014/000537 WO2014112837A1 (ko) 2013-01-18 2014-01-17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AU2014207927A AU2014207927B2 (en) 2013-01-18 2014-01-17 Sunshade driving device having a returning function of a wheel driving member
CN201480005154.8A CN104937207B (zh) 2013-01-18 2014-01-17 具有驱动轮部件的返回功能的遮阳驱动装置
JP2015553657A JP6377638B2 (ja) 2013-01-18 2014-01-17 駆動ホイール部材の復帰機能を有するひさし駆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629 2012-08-30
KR20120095629 2012-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102A KR20140029102A (ko) 2014-03-10
KR101469910B1 true KR101469910B1 (ko) 2014-12-12

Family

ID=4922036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624A KR101469910B1 (ko) 2012-08-30 2013-01-18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KR1020130005623A KR101297719B1 (ko) 2012-08-30 2013-01-18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KR1020130005626A KR101295684B1 (ko) 2012-08-30 2013-01-18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KR1020130017174A KR20140029113A (ko) 2012-08-30 2013-02-18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KR1020130022634A KR20140029117A (ko) 2012-08-30 2013-03-04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및 이를 포함하는 차양구동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623A KR101297719B1 (ko) 2012-08-30 2013-01-18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KR1020130005626A KR101295684B1 (ko) 2012-08-30 2013-01-18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KR1020130017174A KR20140029113A (ko) 2012-08-30 2013-02-18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KR1020130022634A KR20140029117A (ko) 2012-08-30 2013-03-04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및 이를 포함하는 차양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90738B2 (ko)
KR (5) KR101469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3161A (en) * 2013-04-17 2014-10-22 Bentley Motors Ltd Display mounting screen
GB2523128B (en) * 2014-02-13 2018-12-26 Auger Torque Europ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econdary drive unit
KR20150124300A (ko) * 2014-04-28 2015-11-05 (주)테라솔라 볼체인복합구동줄 및 이를 적용한 클러치 장치
CA2870983A1 (en) * 2014-11-06 2016-05-06 Etapa Window Fashions Inc Motor retrofitted on roll-up blind cords
CA2921529C (en) * 2015-05-01 2023-03-07 Zmc Metal Coating Inc. Bi-directional clutch with return feature
US9593530B1 (en) * 2015-08-18 2017-03-14 Hunter Douglas Inc. Brake assembly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N110965926B (zh) 2015-10-02 2022-02-01 日昇有限公司 用于具有连续绳环的窗户覆盖系统的外置电动机驱动系统
US10863846B2 (en) 2015-10-02 2020-12-15 Axis Labs Inc. External motor drive system for window covering system with continuous cord loop
KR101957027B1 (ko) * 2016-07-06 2019-03-11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가리개
NL2017627B1 (nl) 2016-10-17 2018-04-24 Coulisse Bv Universele bedieningsinrichting voor scherm, zoals raambekleding
US10655384B2 (en) * 2016-10-19 2020-05-19 Hunter Douglas, Inc. Dual mode architectural structure covering
EP3590185A4 (en) * 2017-03-02 2020-12-23 DTI Motion Corp. LINEAR PIEZOELECTRIC ACTUATOR ON RAIL SYSTEM
WO2019049222A1 (ja) * 2017-09-06 2019-03-14 株式会社Tok 手動式シャッター装置の開閉方向規制機構及び吊引戸装置の開閉方向規制機構
KR101968010B1 (ko) * 2017-11-02 2019-04-11 김기대 수동 방풍 롤업 셔터장치
KR20190089465A (ko) 2018-01-22 2019-07-31 정재헌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KR20190090667A (ko) 2018-01-25 2019-08-02 정재헌 분리안전장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KR101981009B1 (ko) * 2018-06-27 2019-05-21 박기환 창문용 개폐장치의 수동개폐구조
KR102089175B1 (ko) * 2018-10-22 2020-03-13 박기환 창문용 개폐장치의 수동개폐구조
US11384597B2 (en) * 2019-09-06 2022-07-12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Idler for a window treatment
KR102389310B1 (ko) * 2019-12-12 2022-04-20 박우주 수동 및 전동 겸용 블라인드 구동장치
KR102224948B1 (ko) * 2020-01-23 2021-03-05 김상균 자동조심(自動調心)형 블라인드 구동장치
US20210310303A1 (en) * 2020-04-03 2021-10-07 Clopay Corporation Universal endlock-windlock
KR102646836B1 (ko) * 2020-12-07 2024-03-12 아이오티테크 주식회사 블라인드 키트
US11840886B2 (en) 2021-05-12 2023-12-12 Ryse Inc. External motor drive system adjusting for creep in window covering system with continuous cord loop
KR102631971B1 (ko) * 2021-08-18 2024-01-31 김만용 자동차 보호덮개장치
KR102405974B1 (ko) * 2021-12-14 2022-06-07 김상균 고중량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KR102657754B1 (ko) * 2023-11-16 2024-04-16 한대길 롤블라인더 구동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969A (ja) * 1994-06-06 1995-12-19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US20080121353A1 (en) * 2006-11-16 2008-05-29 Detmer Brandon J Manual roller shade having clutch mechanism, chain guide and universal mounting
KR100970877B1 (ko) * 2010-02-11 2010-07-16 공간산업(주) 자동도어의 수동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80846A1 (fr) * 1980-04-18 1981-10-23 Carpano & Pons Dispositif d'entrainement, pour stores a rouleau, volets roulants, ou similaires
EP0254757B1 (en) 1986-07-29 1991-04-10 Carlo Maurizio Pozzi Sun blind power unit with integral hand crank
JPH0913856A (ja) * 1995-06-30 1997-01-14 Toso Co Ltd 手動電動兼用ロールブラインド
US6422965B1 (en) 2000-04-20 2002-07-23 Overhead Door Corporation Door operator unit
ITMC20050133A1 (it) * 2005-12-13 2007-06-14 Gaposa Srl Riduttore epicicloidale a piu' stadi modulari per motoriduttori tubolari di azionamento di avvolgibili, tende a rullo e simili.
DE202006012081U1 (de) 2006-08-04 2006-10-12 Pozzi, Carlo Maurizio Kombinationsantrieb für eine Sonnenschutzblende, insbesondere Markise
BRPI0717009B1 (pt) * 2006-09-01 2017-12-12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Operating and mounting system for a window cover
US8230759B2 (en) 2008-12-03 2012-07-31 Chung Hsien Hsieh Integrated brake and chain disk assembly for door operator
US20100258254A1 (en) 2009-04-09 2010-10-14 Ben Lumbers Roller door and a drive assembly for a roller door
GB201008899D0 (en) * 2010-05-27 2010-07-14 Louver Lite Ltd Chain guard housing
WO2013052084A1 (en) * 2011-10-03 2013-04-11 Hunter Douglas Inc. Control of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969A (ja) * 1994-06-06 1995-12-19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US20080121353A1 (en) * 2006-11-16 2008-05-29 Detmer Brandon J Manual roller shade having clutch mechanism, chain guide and universal mounting
KR100970877B1 (ko) * 2010-02-11 2010-07-16 공간산업(주) 자동도어의 수동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90738B2 (en) 2017-10-17
KR20140029117A (ko) 2014-03-10
KR20140029113A (ko) 2014-03-10
KR101297719B1 (ko) 2013-08-20
KR101295684B1 (ko) 2013-08-14
KR20140029102A (ko) 2014-03-10
US20150330144A1 (en)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910B1 (ko)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CN100470005C (zh) 用于无绳百叶窗的单向制动器
JP6377638B2 (ja) 駆動ホイール部材の復帰機能を有するひさし駆動装置
US8590592B2 (en)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KR101542597B1 (ko) 슬립현상을 개선한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회전축 구동장치
KR101252028B1 (ko) 롤스크린 또는 블라인드의 가동줄 안전연결고리
US20050109471A1 (en) Window covering lifting system and method
JP2016532035A (ja) ブラインド操作コード用安全グリップおよびその取付装置
KR20150037124A (ko) 블라인드 가동줄의 안전연결고리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KR101813882B1 (ko)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KR101299397B1 (ko) 분리형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20170027219A (ko) 차양구동장치의 안전 스윙 스틱 텐션장치, 그리고 이를 채용하는 차양구동장치 및 호이스트 장치
KR20190090667A (ko) 분리안전장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WO2015167208A1 (ko) 볼체인복합구동줄 및 이를 적용한 클러치 장치
TWM502735U (zh) 二段式窗簾採光調整裝置
KR20190041135A (ko) 안전결속구를 갖는 블라인드줄
WO2023202324A1 (zh) 往复式拉杆驱动装置及具备该装置的窗帘系统
KR20170050200A (ko) 입력구동모듈 착탈방식의 고하중 제동용 호이스트 클러치장치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기기
KR20190089465A (ko)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CA2777054C (en)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KR20240033891A (ko) 안전성의 향상과 함께 원활한 조절이 가능한 블라인드
KR101410049B1 (ko) 구동줄 스톱퍼를 구비하는 롤 스크린
KR101422998B1 (ko)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2줄 슬림형 롤 블라인드
CN110857614A (zh) 一种罗马帘和卷帘珠链安全分离装置及其工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