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465A -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465A
KR20190089465A KR1020180007986A KR20180007986A KR20190089465A KR 20190089465 A KR20190089465 A KR 20190089465A KR 1020180007986 A KR1020180007986 A KR 1020180007986A KR 20180007986 A KR20180007986 A KR 20180007986A KR 20190089465 A KR20190089465 A KR 20190089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oupled
retainer
manual pulley
modu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헌
정태락
Original Assignee
정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헌 filed Critical 정재헌
Priority to KR1020180007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9465A/ko
Publication of KR20190089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4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roller-type; Roller shutters with adjus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44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blinds to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8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 F16D41/08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the intermediate members being of circular cross-section and wedging by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 제작이 용이하고 값싼 재료를 사용하여 경제적이면서 견고한 양방향클러치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모듈몸체; 모듈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수동 풀리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일 방향으로 수동 풀리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수동 풀리를 구동회전자와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모듈몸체에 결합되어지는 양방향구동 클러치; 를 포함하며, 양방향 구동 클러치는, 프리휠 회전자; 양방향드라이버; 리테이너; 및 롤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A two-way clutch module for a hoist device and the hoist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롤/콤비/트리플 블라인드의 소정 너비와 높이를 가진 스크린의 일 측 끝단을 권취부재인 소정직경의 봉에 승강 권취 및 하강 권해하는 방식으로 차광 및 채광하는 롤 블라인드와 어닝 장치, 다수 슬랫을 걷거나 펼치도록 최하단 지지부재에 견인줄의 일 측 하단을 묶고 다수 슬랫에 형성된 구멍으로 상단 슬랫까지 삽입되어진 견인줄의 상단 일 측 끝단을 권취부재에 승강 권취하거나 하강 권해하는 방식으로 슬랫을 차곡차곡 끌어 걷어 올리거나 내리도록 하여 차광 및 채광하는 베니션 블라인드, 또 주름진 스크린의 하단에 구비된 지지부재에 견인줄의 일 측 하단을 묶고 견인줄의 상단 일 측 끝단을 권취부재에 승강 권취하거나 하강 권해하는 방식으로 주름 스크린을 펼치거나 접어서 차광 혹은 채광하는 허니콤 및 플리티드 블라인드 등으로 대표되는 차양, 지지부재에 소정길이의 견인줄 일 측단을 묶고 권취부재에 타 끝단을 묶은 후에 지지부재에 널려지는 빨래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견인줄을 권취하거나 권해하는 빨래건조대 등과 같은 호이스트 장치의 루프줄에 의한 질식사고를 방지하는 양방향구동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혹은 실외에 설치되는 호이스트 기기의 일 종류인 차양은 창문틀에 배치되어 창문을 통한 채광 및 채광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긴 슬랫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선택적 채광을 행하는 베니션 블라인드와 슬랫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로 유동되면서 선택적 채광을 행하는 버티컬 블라인드, 그리고 고정된 위치에서 회동되도록 마련되고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의 루버가 다수 구비되는 루버타입 등의 슬랫 타입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롤에 스크린이 감겨져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선택적 채광을 이루는 롤 블라인드와 주름진 원단을 접거나 펼치는 방식으로 채광 혹은 차광하는 허니콤 및 플리티드 블라인드 등과 같은 스크린 타입 등이 있다.
이러한 차양은 통상적으로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견인줄이나 스크린 자체가 감겨지거나 풀어지도록 임의의 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단단히 고정되는 권취부재가 구비되고 지지부재 또는 다수 슬랫 내지 스크린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복합으로 중량체를 형성하거나 구비되며, 그에 결합된 견인줄 혹은 스크린이 중력에 의해 권취부재로부터 풀어지도록(권해) 구비되며, 모터 등 전기 동력이나 수동동력으로 견인줄 혹은 스크린을 권취부재에 감아(권취) 슬랫 혹은 스크린을 특정 의도한 높이에 위치시키거나 소정각도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작동되는데, 전기 동력이나 수동동력이 권취 부재에 가해지지 않을 때는 중량체의 자중에 의해 권취부재가 하강 회동되는 것을 제동함과 동시에 동력이 가해질 때는 권취부재의 회동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동 및 구동장치(통상적으로 “클러치”라 호칭함)가 필수적이다.
또, 실내 혹은 실외에 설치되는 호이스트 기기의 또 다른 일 종류로서 빨래건조대를 들 수 있는데 역시 상술한 차양과 비교하여 제동과 구동의 원리는 유사하여 전기 동력이나 수동동력이 권취부재에 가해지지 않을 때는 중량체의 자중에 의해 권취부재가 하강 회동되는 것을 제동함과 동시에 동력이 가해질 때는 권취부재의 회동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동 및 구동장치(이하 “클러치”라 칭함)가 필수적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호이스트 기기가 있지만 그 구성과 작동관계는 대동소이하고 이와 같은 사실은 당업자들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다른 호이스트 기기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은 통상의 롤 블라인드 사시도이며, 도 2는 롤 차양용 클러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인데 이러한 클러치가 필요한 대표적인 예로써 선정하여 상세하게 그 구성과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함으로. 이를 통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블라인드는 창문틀 상측에 설치되는 헤드레일(1); 상기 헤드레일(1)의 하측에 배치되며 하단바(3)로 마감하고 상측은 헤드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권취부재의 일 종류인 환봉에 감겨지는 스크린(2) 및 상기 헤드레일(1)의 일 측 단에 거치되고 환봉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수동의 힘을 전체적으로는 가동줄(6)로부터 전달 받는 클러치(4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클러치(4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가 가능하지만 값이 매우 저렴한 이유로 대부분 Wrap Spring을 이용한 스프링 클러치(4a)로 공급되어지며, 스프링 클러치(4a)는 걸림부(4a2‘)가 일체로 형성된 랩 스프링(Wrap Spring)으로 구비되는 클러치부재(4a2); 클러치부재(4a2)가 삽입되어 마련되는 고정자(stator, 4a1);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이 걸려 회전하는 수동풀리(4a3a)와 클러치부재(4a2)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부(4a2‘)를 클러치부재(4a2)의 랩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고정자(4a1)와 클러치부재(4a2) 사이의 마찰 제동력을 해제시키고 회전시키는 구동회전자(rotor, 4a3b)가 일체 혹은 축 결합으로 형성되고 고정자(4a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구동부재(4a3); 외주면이 환봉에 끼워지도록 돌출턱(4a41)이 형성되고 내주면은 구동부재(4a3)와 고정자(4a1)에 끼워져 결합되며 클러치부재(4a2)의 랩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고정자(4a1)와 클러치부재(4a2) 사이의 마찰제동력을 증대시키는 제동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된 픽업부재(4a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구동에서는 사용자가 볼 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잡아당긴 힘으로 구동부재(4a3)의 일 구성인 수동풀리(4a3a)를 회전시키면 (도 3의 실선 화살표 방향), 구동회전자(4a3b)가 클러치부재(4a2)의 걸림부(4a2‘)를 랩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고정자(4a1)와 클러치부재(4a2) 사이의 마찰 제동력을 해제함과 동시에 픽업부재(4a4)의 제동 걸림턱(미도시)을 밀어 회전시킴으로서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턱(4a41)이 환봉을 회전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고, 제동에서는 사용자가 볼 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의 잡아당김을 멈추면 스크린(2)의 하중에 따라 환봉에 회전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종국에는 픽업부재(4a4)를 회전시키게 되지만, 픽업부재(4a4)의 제동 걸림턱(미도시)을 클러치부재(4a2)의 랩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도 3의 점선 화살표 방향), 고정자(4a1)와 클러치부재(4a2) 사이의 마찰 제동력을 증대시킴으로써 환봉을 자가 회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스프링클러치(4a)는 랩 스프링이라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기계요소가 제동 및 구동을 동시에 담당하게 하고, 그 제작이 매우 용이하며 무엇보다도 값이 매우 저렴하여 차양의 종류나 빨래기기 등 호이스트 기기에서 대부분 사용되고 있으며, 호이스트 기기의 종류에 따라 이를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권취부재를 갖고 있을 뿐이어서 그에 맞게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픽업부재(4a4)가 다를 뿐 그 원리는 동일하다 할 수 있고, 구동부재(4a3) 역시, 수동동력 혹은 전기 동력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혹은 구동 특징에 맞게 또 다른 클러치 형태를 추가 적용하는 등 그 세부구성이나 형태가 다양할 뿐인 것이 자명하나, 좀 더 쉽게 당업자가 이해하도록 설명하자면 우드나 알루미늄 슬랫을 사용하는 베니션블라인드에 맞는 스프링클러치(4a)의 경우 2개 이상의 견인줄을 사용하기 위해 견인줄 각각에 일대일 대응되는 다수 권취부재를 동시에 회동시키기 위해 하나의 단일 회전축이 더 포함되고 그에 맞는 픽업부재(4a4)가 구비되어 있는 것만 다르다는 것이고 빨래 건조대 역시 2개 이상의 견인줄을 한꺼번에 감거나 풀 수 있는 하나의 권취부재를 사용하는 것뿐이다.
한편, 이러한 통상의 클러치를 개발 및 판매하는 업계는 최근 커다란 문제에 직면해 있는데 그 이유는 상술한 구동회전자(rotor, 4a3b)에 걸려 있는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이 엔드리스 루프(Endless Loop)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하여 하방으로 늘어진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이 아이들에게 심각한 질식사고 안전문제를 야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은 이러한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이 엔드리스 루프(Endless Loop)를 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발명(10-12956840000) (2013.08.06)으로 해결책을 제시한바 있다.
도 4에 그 원리를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발명에 의해 소비자가 잡아당긴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곧바로 역회전시켜서 다시 소비자가 잡아당기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기 때문에 엔드리스 루프(Endless Loop)를 해제시킬 수 있어 아이들의 질식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때 엔드리스 루프(Endless Loop)의 해제 방식은 2가지가 제공될 수 있는데 우선 첫 번째 직관적인 방법으로는 엔드리스 루프(Endless Loop)의 중간을 잘라서 아예 엔드리스 루프(Endless Loop)를 없애는 방법이 있으며 이때 잘린 양쪽 끝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중 어느 하나를 소비자가 잡아당겨 블라인드를 올리거나 내리고 소비자가 잡아당긴 한 쪽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선행발명이 역회전시키게 하는 것인데 단순히 자르기만 하는 것은 소비자가 잡아당기지 않는 타단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이 출렁거리는 단점이 있지만 어린이 질식사고를 유발시키는 엔드리스 루프(Endless Loop)가 잘려져 없으므로 질식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또 다른 나머지 두 번째 엔드리스 루프(Endless Loop)의 해제 방식은 엔드리스 루프(Endless Loop)를 형성하되 작은 하중에도 쉽게 분리되는 2개의 분리수단(Breaking away)을 통해 Loop로 연결 조립하여 두면 소비자가 분리수단 상단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잡고 잡아당겨 블라인드를 올리고 내릴 수 있음은 물론 선행발명이 곧바로 잡아당긴 후에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역회전시키는 것은 첫 번째 방식과 동일하지만 타단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이 출렁거리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적용하는 분리수단의 분리하중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아이들의 목에 걸리더라도 매우 쉽게 분리되므로 질식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며, 엔드리스 루프(Endless Loop)에 2개의 분리수단(Breaking away)을 통해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상술한 통상클러치에 조립된 경우보다 선행발명은 매우 안전하게 되는데 그 사유는 선행발명이 없으면 분리수단의 분리하중을 최소한 블라인드 원단을 올리고 내리는 데 문제가 없는 하중까지 분리하중을 높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선행발명이 적용될 경우에는 소비자가 분리수단 상단의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잡고 잡아당겨 구동하므로 분리수단에 구동하중을 부여할 필요가 없으므로 타단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 출렁거림을 막는 수준의 분리하중이면 족하므로 약 2Kg이하인데 비하여 선행발명이 적용되지 않은 통상의 클러치에 적용하려면 분리하중이 최소한 4Kg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안전 분리임무는 물론 블라인드 구동까지 동시에 수행해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안전장점을 제공하는 선행발명을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좀 더 자세하게 도 4를 통하여 살펴보면, 수동 풀리(415a)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일 방향으로 수동 풀리(415a)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수동 풀리(415a)를 픽업부재와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를 포함하고 있어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수동풀리(415a)에 결합되며 몸체(415b1b)의 내주면에는 소경부(415b1c)와 대경부(415b1d)를 갖는 양방향 이동홈이 구비되는 양방향드라이버(415b1); 원판형상의 몸체의 상면에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가 몸체의 주변을 따라 배열 형성된 리테이너(415b3); 및 양방향드라이버(415b1) 양방향 이동홈과 리테이너(415b3)의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롤러부재(415b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기 때문이다.
이때, 선행발명의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사용자가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면,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의 리테이너(415b3)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415d)을 더 포함하며, 리테이너(415b3)에는 원판형상의 몸체 중앙에 축공(415b3d)과 그 주변을 따라 구비되는 로프 결합구(415b3b)와 이에 고정되는 복귀용 로프(415d4)를 권취하거나 권해하는 권취부재(415b3c)를 더 포함하고, 몸체의 상면에는 양 측면이 소정 직경의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지는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가 축공(415b3d)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작동원리를 간단히 서술하면, 소비자가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잡아당기면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은 수동풀리(415a)를 회전시키고 그에 결합된 양방향드라이버(415b1)를 회전시키면서 롤러부재(415b2)를 소경부(415b1c)쪽으로 굴리면 축방향으로 점점 가압하여 통상의 구동회전자(rotor, 미도시)를 마찰력에 의해 잡고 회전함(Hold)과 동시에 리테이너(415b3)까지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리테이너(415b3)의 역회전수단(415d) 즉, 태옆(415d1)까지 잡아당겨져서 그 힘을 저장하게 하고 그 힘을 나중에 소비자가 잡아당긴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역회전시키는데 쓰게 한다. 한편 소비자가 잡아당김을 멈추면 태옆에 저장된 힘 즉, 탄성력이 리테이너(415b3)를 역회전시키게 되고 이는 롤러부재(415b2)를 대경부(415b1d) 쪽으로 탄발시켜 축 방향으로의 가압을 해제시켜 통상의 구동회전자(rotor, 미도시)의 외주면에서 구르게 함(Release)과 동시에 수동풀리(415a)를 회전시키고 그에 결합된 양방향드라이버(415b1)를 회전시키면서 롤러부재(415b2)가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양방향 이동홈을 회전방향으로 밀어내므로 양방향드라이버(415b1)를 역회전시키고 이는 결국 잡아당긴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역회전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거동을 양쪽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핵심 원리이다.
즉 선행기술에서는 롤러부재(415b2)를 축 방향으로 전진 후진시키면서 통상의 구동회전자(rotor,미도시)를 잡았다가 놨다가 하는 것으로 그 기술배경에는 롤러에 의한 원웨이 클러치의 특징을 확장하여 양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구조를 기본으로 채용하되 블라인드 응용에 맞게 더욱 보강하여 태옆과 복귀용 로프(415d4)를 더 포함하여 안정적으로 소비자가 잡아당긴만큼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역회전시키는 것으로 블라인드에 의한 어린이 질식 사고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틀림없는 블라인드 안전기술이다.
다만, 선행기술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가장 큰 제약요소로는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소형화가 상대적으로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그 사유는 첫째 제품의 포장과 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레일의 단면 범위 내에서 클러치의 크기가 결정되어야 하는데 정해진 단면 범위 내에서 태옆과 같이 공간배치를 해야 하므로 양방향드라이버(415b1) 및 리테이너(415b3)의 소형화가 매우 필요하고 또 둘째 사유로는 원단의 무게를 소비자가 느끼지 못하도록 기어비를 적용해야할 상황인데도 양방향드라이버(415b1) 및 리테이너(415b3)의 소형화가 되지 못하면 그 외주면에 조립되는 수동풀리(415a)의 소형화가 어려워서 적정 기어비를 가진 감속기를 적용하는데도 곤란을 겪고 있으며, 어렵사리 소형화를 하여도 롤러부재(415b2)가 가압하는 구동회전자(rotor,미도시)의 직경이 너무 작아져서 플라스틱 소재로 내구성을 확보하도록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금속으로 제작 가능 하지만 제조단가가 상승되며, 이를 피하기 위해 거꾸로 적정 구동회전자(rotor,미도시)의 직경을 확보하도록 하면 롤러부재(415b2)의 직경이 바늘 굵기처럼 작아져야 하고 이는 제품조립이 난해한 상황을 초래하기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특허 제10-1295684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소형화 제작이 용이하고 값싼 재료를 사용하여 경제적이면서 견고한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호이스트 기기용 호이스트 기기용 양방향클러치모듈은, 모듈몸체(414); 상기 모듈몸체(4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수동 풀리(415a)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일 방향으로 수동 풀리(415a)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수동 풀리(415a)를 구동회전자(rotor, 4a3b’)와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모듈몸체(414)에 결합되어지는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 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소정직경과 소정깊이의 중공형태 원통몸체를 일 측면에 가지며 그 타단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연결부재(4a3b'1)가 형성되어 있으며 모듈몸체(4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어지는 프리휠 회전자(4a3b’); 상기 프리휠 회전자(4a3b’)의 중공형태 원통몸체 일 측면에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그 끝단 일부가 수동풀리(415a)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415b1f) 및 그 외주면에 몸체(415b1f) 중심에서 소정 거리에 롤러가압면(415b1e)이 1개 이상 구비되어 있고 모듈몸체(4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어지는 양방향드라이버(415b1‘); 원판형상의 몸체 중앙에는 축공(415b3d)과 상면에는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가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상기 축공(415b3d)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가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구비되며 원판형상의 몸체가 모듈몸체(4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어지는 리테이너(415b3‘); 및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롤러가압면(415b1e)과 리테이너(415b3‘)의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거나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에 거치되는 소정 직경의 중공의 홈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롤러부재(415b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듈몸체(414)는, 프리휠 회전자(Free-wheel rotor, 4a3b’) 및 양방향드라이버(415b1‘)와 리테이너(415b3‘)가 회전가능하도록 거치되는 하단 수용홈(414a); 역회전수단(415d)을 수용하는 수용홈과 태옆(415d1)의 일 끝이 지지되는 째진 틈을 가진 태옆기둥(414b); 복귀용 로프가 지나다니는 로프통로홈(414c); 및 수동 풀리(415a)의 상측면을 커버하여 수동 풀리(415a)에 조립된 볼 체인이나 회전줄이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투명한 코드탈출 제한부재(414d);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사용자가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놓아 수동 풀리(415a)의 회전을 정지시켜 이에 결합된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그 이후 작동하여 상기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의 리테이너(415b3‘)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415d);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너(415b3‘)는, 별도로 제작되어 원판형상의 몸체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복귀용 로프를 권취하거나 권해하는 권취부재(415b3c); 및 권취부재(415b3c) 중앙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로프 결합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회전수단(415d)은, 모듈몸체(414)에 그 일부가 고정 결합되는 태옆(415d1); 뚜껑(415d3')이 구비된 고정핀(415d3); 원통형상이고 일 측 단 내주면에 소정 깊이의 태옆(415d1) 수용 홈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로프 결합구를 가진 태옆보빈(415d2); 및 태옆보빈(415d2)의 로프 결합구(미도시)에 일 측 끝단이 결합되고 타 측 끝단은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리테이너(415b3‘) 로프 결합구에 결합되는 복귀용 로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호이스트 기기용 양방향클러치모듈을 포함하는 호이스트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를 차양이나 빨래건조대에 적용되어 안전 효과를 가짐은 물론 소형화 제작이 용이하고 견고하며 제조비용도 저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롤 블라인드 분해사시도와 롤 단면도이며,
도 2는 롤 차양용 스프링클러치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통상의 롤 블라인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자의 선행 발명에 따른 양방향클러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클러치모듈의 단면도이고 ,
도 7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클러치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클러치모듈의 작동원리와 다양한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에 있어서, 전후좌우, 상하, 종횡은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1", "제2", “암”,“수”, 와 같은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 들에서 상대적인 주요성 또는 취지 또는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항은 당업자라면 이에 대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 실시예 )
먼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클러치모듈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몸체 (414);와 모듈몸체(4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수동 풀리(415a)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일 방향으로 수동 풀리(415a)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수동 풀리(415a)를 구동회전자(rotor, 4a3b’)와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모듈몸체(414)에 결합되어지는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소정직경과 소정깊이의 중공형태 원통몸체를 일 측면에 가지는 그 타단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연결부재(4a3b'1)가 형성되어 있으며 모듈몸체(4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어지는 프리휠 회전자( Free - wheel rotor , 4 a3b ’); 상기 프리휠 회전자(rotor, 4a3b’)의 중공형태 원통몸체 일 측면에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그 끝단 일부가 수동풀리(415a)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둥근 환형 몸체(415b1f) 및 그 외주면에 몸체(415b1f) 중심에서 소정 거리에 ’L'자형 쌍 혹은 “ㅡ”자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커팅된 롤러가압면(415b1e)이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어 있고 모듈몸체(4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어지는 양방향드라이버(415 b1 ‘); 원판형상의 몸체 중앙에는 축공(415b3d)과 상면에는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가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상기 축공(415b3d)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가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구비되며 원판형상의 몸체가 모듈몸체(4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어지는 리테이너(415 b3 ‘); 및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롤러가압면(415b1e)과 리테이너(415b3‘)의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거나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에 거치되는 소정 직경의 중공의 홈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롤러부재(415 b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몸체(414)는 프리휠 회전자(Free-wheel rotor, 4a3b’) 및 양방향드라이버(415b1‘)와 리테이너(415b3‘)가 회전가능하도록 거치되는 하단 수용홈(414a);이 형성되고 하술할 역회전수단(415d)을 수용하는 수용홈과 태옆(415d1)의 일 끝이 지지되는 째진 틈을 가진 태옆기둥(414b);과 복귀용 로프(미도시)가 지나다니는 로프통로홈(414c);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수동 풀리(415a)의 상측면을 커버하여 수동 풀리(415a)에 조립된 볼 체인이나 회전줄이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투명한 코드탈출 제한부재(414d);를 더 포함하여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모듈몸체(414)에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돌출된 타원형상의 돌출부재로 마련한다.
또한,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사용자가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놓아 수동 풀리(415a)의 회전을 정지시켜 이에 결합된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그 이후 작동하여 상기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의 리테이너(415b3‘)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415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 상기 리테이너(415b3‘)는 별도로 제작되어 원판형상의 몸체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복귀용 로프(미도시)를 권취하거나 권해하는 권취부재(415b3c); 권취부재(415b3c) 중앙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로프 결합구(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양방향드라이버(415b1‘)는 수동풀리(415a)에 결합되도록 별도로 제작되어지며“ㅡ”자형으로 커팅된 롤러가압면(415b1e)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리테이너(415b3‘)의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의 경우에도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독립적으로 철사부재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결합부재는 철사의 양 끝단이 삽입되어 일대일 결합되는 결합공으로 리테이너(415b3‘) 몸체에 일체 형성하여 마련하며 별도로 제작되어 몸체에 결합되는 권취부재(415b3c)와 그 몸체에 형성된 로프 결합구(미도시);를 상기 리테이너(415b3‘)는 더 포함하도록 마련하고,
상기 롤러부재(415b2‘)는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에 거치되도록 내부에 중공의 거치홈이 형성되는 롤러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역회전수단(415d)은, 모듈몸체(414)에 그 일부가 고정 결합되는 태옆(415 d1 ); 뚜껑(415d3')이 구비된 고정핀(415 d3 ); 원통형상이고 일 측 단 내주면에 소정 깊이의 태옆(415d1) 수용 홈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로프 결합구를 가진 태옆보빈(415d2); 태옆보빈(415d2)의 로프 결합구(미도시)에 일 측 끝단이 결합되고 타 측 끝단은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리테이너(415b3‘) 로프 결합구(미도시)에 결합되는 복귀용 로프(미도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역회전수단(415d);을 더 포함하여 마련하되 역회전수단(415d)에 대하여는 선행발명과 그 구성과 기능이 동일하여 선행발명을 참고하면 되므로 이하,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간단하게 조립순서를 설명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클러치모듈(415b‘)의 조립방법은 먼저 리테이너(415b3‘)의 결합공에 후방에서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인 철사부재의 양 끝단을 밀어 넣어 결합하고 리테이너를 이어서 양방향드라이버(415b1‘) 후방에 끼워서 조립한 후에 이를 잡고 모듈몸체(414) 하단 수용홈(414a) 뒷단에서 프리휠 회전자(Free-wheel rotor, 4a3b’)와 조립한다. 이후 독립적으로 복귀용 로프(미도시)를 태옆보빈(415d2)의 로프 결합구와 리테이너(415b3‘)의 권취부재(415b3c)에 형성된 로프 결합구 사이를 매듭으로 묶어 조립한 후에 복귀용 로프(미도시)를 태옆보빈(415d2)에 칭칭 감은 후 태옆보빈(415d2)을 들고 태옆(415d1)의 일 끝이 모듈몸체(414) 태옆기둥(414b)의 째진 틈에 거치되도록 조립하며 권취부재(415b3c)는 리테이너(415b3‘)의 후방에서 조립한다. 이후 역회전수단(415d)의 고정핀(415d3)으로 역회전수단(415d)을 모듈몸체(414) 에 고정하며 수동 풀리(415a)를 양방향드라이버(415b1‘)에 삽입하여 조립한다. 이후, 볼 체인이나 회전줄의 조립은 수동 풀리(415a)의 하측면에 억지끼워 회전시켜 조립하는데 이는 당업자가 손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하고, 이어서 마지막으로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b)은 일반적으로 롤러에 의해 내부 회전자가 회전 제한되거나 회전되는 원웨이클러치 혹은 양방향클러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임시로 제작된 설명용 장치 사진이다. 중앙에 소정직경의 원형 중공이 형성된 고정 휠(A)이 있고 그 내부에 "L"자 커팅된 2개의 롤러가압면(L01)(L02)과 “ㅡ"자 커팅된 하나의 롤러가압면(ㅡ0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자유롭게 회동하는 회전자(Rotor)가 끼워져 있고 또 ”L"자 높이가 작은 롤러가압면(L01)에 롤러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력으로 회전자(Rotor,B)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롤러가 고정 휠(A)과 회전자(B) 사이에 끼이게 되어 롤러가 고정 휠(A)과 회전자(B) 사이에서 블로킹되어 회전자(B)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는 반면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전자(B)를 외력으로 회전시키면 “L"자 세로면이 롤러를 밀게 되고 롤러는 구르면서 회전자(B)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L"자 높이가 큰 롤러가압면(L02)과 같이 “L"자 하단의 롤러 가압면이 중앙에서 소정거리 더 가까워지면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으로 회전자(B)를 밀어도 롤러가 고정 휠(A)와 회전자(B) 사이에 끼이지 않게 되므로 블러킹 되지 못하므로 롤러가압면의 형성은 롤러의 직경을 감안하여 중심점으로부터 소정거리에 형성하게 되는데 이것이 원웨이 클러치의 원리이다. 대부분의 원웨이 클러치는 고정 휠(A)을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프리휠로 변경하는 것이며 회전자(B)를 구동하면 상술한 원리로 구동 입력에 선택적으로 프리휠이 출력이 되는 것이다. 한편 “ㅡ"자 커팅된 하나의 롤러가압면(ㅡ01)은 양쪽방향에서 회전자를 회전시키되 롤러가 양쪽 끝단에 위치될 경우에는 양쪽방향에서 롤러가 블로킹되며 롤러가 중앙에 위치한 채로 회전자를 고정 휠(A)과 독립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ㅡ"자 커팅된 하나의 롤러가압면(ㅡ01)을 2개 형성시키고 2개의 롤러를 각각 삽입시키되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를 독립적으로 철사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철사 일부분에 롤러를 삽입한 후에 역회전수단(415d);을 연결하여 놓았으므로 사용자가 어느 한 쪽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잡아당기면 롤러 가압면이 화살표 방향으로 돌리는 것처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역회전수단(415d)에 의해 탄발부재홀더(415b3a’)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므로 롤러는 좌우 양쪽에서 선택적으로 반드시 끼이게 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느 한 쪽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계속 잡아당기면 그 힘이 역회전수단(415d)이 초기 잡아당기는 반대방향 힘보다 더 큰 힘으로 잡아당기므로 롤러가 꽉 낀 상태가 유지된 채 즉, 프리휠 회전자(Free-wheel rotor, 4a3b’)까지를 꽉 잡은 상태로 회전시키는 것이며 동시에 역회전수단은 강제로 회전되므로 소비자의 잡아당김 힘 중 일부가 역회전수단 즉, 태옆에 저장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어느 한 쪽 볼 체인이나 회전줄 잡아당김을 멈추면 역회전수단에 저장된 힘이 잡아당긴 방향과 반대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탄발부재홀더(415b3a’)가 역회전되는 것이며 그에 끼인 롤러도 역회전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프리휠 회전자(Free-wheel rotor, 4a3b’)와 롤러가압면(ㅡ01)에 끼인 롤러를 탄발(끼임해제)시키는 것이고 이어서 롤러가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롤러가압면(415b1e)을 회전방향으로 밀면서 양방향드라이버(415b1‘)을 역회전시키며 그에 연결된 수동풀리(415a)를 역회전시키는 것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그에 결합된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역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실사용에서는 반복적으로 소비자가 잡아당기고 태옆이 역회전시키는 한 스트로크를 구성하여 반자동으로 반복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선행발명과 달리 롤러를 가압하는 호형상의 양방향 홈 대신에 “ㅡ"자 커팅된 롤러가압면(415b1e)을 가진 양방향드라이버(415b1‘)와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외부에서 회동하는 프리휠 회전자(Free-wheel rotor, 4a3b’)배치 그리고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의 특징적인 특성에 따라 소형화 제작이 용이하고 견고하며 제조비용도 저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는데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롤러가압면(415b1e)이 양쪽방향으로 “L"자형을 쌍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변형 예로는 롤러가압면(415b1e)이 둥근 환형 몸체(415b1f) 및 그 외주면에 2개 이상 배열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것은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변형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되며, 또 다른 변형으로는 탄발부재홀더(415b3a’)의 형성에 있어 롤러부재(415b2‘)를 탄발시킬 수 있도록 “L"자형 쌍 롤러가압면(415b1e) 사이에 돌기처럼 솟아있는 변형도 가능하며 또 다른 변형으로는 본 발명 실시예와 같은 ”ㅡ"자형 롤러가압면(415b1e) 사이에 2개의 롤러부재(415b2‘)를 수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역시 이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변형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414: 모듈몸체
415b' : 양방향구동클러치

Claims (6)

  1. 모듈몸체(414);
    상기 모듈몸체(4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수동 풀리(415a)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일 방향으로 수동 풀리(415a)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수동 풀리(415a)를 구동회전자(rotor, 4a3b’)와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모듈몸체(414)에 결합되어지는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
    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소정직경과 소정깊이의 중공형태 원통몸체를 일 측면에 가지며 그 타단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연결부재(4a3b'1)가 형성되어 있으며 모듈몸체(4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어지는 프리휠 회전자(4a3b’);
    상기 프리휠 회전자(4a3b’)의 중공형태 원통몸체 일 측면에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그 끝단 일부가 수동풀리(415a)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415b1f) 및 그 외주면에 몸체(415b1f) 중심에서 소정 거리에 롤러가압면(415b1e)이 1개 이상 구비되어 있고 모듈몸체(4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어지는 양방향드라이버(415b1‘);
    원판형상의 몸체 중앙에는 축공(415b3d)과 상면에는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가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상기 축공(415b3d)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가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구비되며 원판형상의 몸체가 모듈몸체(4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어지는 리테이너(415b3‘); 및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롤러가압면(415b1e)과 리테이너(415b3‘)의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거나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에 거치되는 소정 직경의 중공의 홈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롤러부재(415b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기기용 양방향클러치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몸체(414)는,
    프리휠 회전자(Free-wheel rotor, 4a3b’) 및 양방향드라이버(415b1‘)와 리테이너(415b3‘)가 회전가능하도록 거치되는 하단 수용홈(414a);
    역회전수단(415d)을 수용하는 수용홈과 태옆(415d1)의 일 끝이 지지되는 째진 틈을 가진 태옆기둥(414b);
    복귀용 로프가 지나다니는 로프통로홈(414c); 및
    수동 풀리(415a)의 상측면을 커버하여 수동 풀리(415a)에 조립된 볼 체인이나 회전줄이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투명한 코드탈출 제한부재(414d);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기기용 양방향클러치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사용자가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놓아 수동 풀리(415a)의 회전을 정지시켜 이에 결합된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그 이후 작동하여 상기 양방향구동 클러치(415b’)의 리테이너(415b3‘)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415d);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기기용 양방향클러치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415b3‘)는,
    별도로 제작되어 원판형상의 몸체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복귀용 로프를 권취하거나 권해하는 권취부재(415b3c); 및
    권취부재(415b3c) 중앙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로프 결합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기기용 양방향클러치모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수단(415d)은,
    모듈몸체(414)에 그 일부가 고정 결합되는 태옆(415d1);
    뚜껑(415d3')이 구비된 고정핀(415d3);
    원통형상이고 일 측 단 내주면에 소정 깊이의 태옆(415d1) 수용 홈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로프 결합구를 가진 태옆보빈(415d2); 및
    태옆보빈(415d2)의 로프 결합구(미도시)에 일 측 끝단이 결합되고 타 측 끝단은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리테이너(415b3‘) 로프 결합구에 결합되는 복귀용 로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기기용 양방향클러치모듈.
  6. 제 1 항의 양방향클러치모듈을 포함하는 호이스트 기기.
KR1020180007986A 2018-01-22 2018-01-22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KR20190089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86A KR20190089465A (ko) 2018-01-22 2018-01-22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86A KR20190089465A (ko) 2018-01-22 2018-01-22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65A true KR20190089465A (ko) 2019-07-31

Family

ID=6747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986A KR20190089465A (ko) 2018-01-22 2018-01-22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94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1757A1 (zh) * 2020-06-29 2022-01-06 宁波森瑞机电技术有限公司 离合器、电机装置以及窗帘控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684B1 (ko) 2012-08-30 2013-08-14 (주)테라솔라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684B1 (ko) 2012-08-30 2013-08-14 (주)테라솔라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1757A1 (zh) * 2020-06-29 2022-01-06 宁波森瑞机电技术有限公司 离合器、电机装置以及窗帘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597B1 (ko) 슬립현상을 개선한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회전축 구동장치
US7143802B2 (en) Cordless blinds
US10612300B2 (en) Window blind
KR101469910B1 (ko)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JP4440802B2 (ja) ブラインド
JP5877151B2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ロールアップ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操作プーリー
KR101950588B1 (ko) 창문 차양
KR200476345Y1 (ko) 커튼용 싱글 당김 로프 구동 장치
KR20170105568A (ko) 윈도우 쉐이드 및 그 제어 시스템
US6112800A (en) Window treatment safety clutch
US20200370367A1 (en) Clutch Module For A Hoist Device And The Hoist Device Using The Same
KR20200005434A (ko) 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KR20190089465A (ko)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JP5859801B2 (ja) 日射遮蔽装置
JP6077514B2 (ja) 遮蔽装置
JP2014031715A (ja) 遮蔽装置
KR20190090667A (ko) 분리안전장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CA2814575C (en) Blind assembly
KR20170011136A (ko) 견인줄 수납식 막대슬라이더 안전장치, 및 이를 채용한 차양구동장치
KR20180066644A (ko) 롤스크린 블라인드 승강 장치
KR101647483B1 (ko) 롤 블라인드
KR20170027219A (ko) 차양구동장치의 안전 스윙 스틱 텐션장치, 그리고 이를 채용하는 차양구동장치 및 호이스트 장치
KR102039012B1 (ko) 듀얼 블라인드
JP4516812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及び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JP4729274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