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012B1 - 듀얼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듀얼 블라인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9012B1 KR102039012B1 KR1020190071741A KR20190071741A KR102039012B1 KR 102039012 B1 KR102039012 B1 KR 102039012B1 KR 1020190071741 A KR1020190071741 A KR 1020190071741A KR 20190071741 A KR20190071741 A KR 20190071741A KR 102039012 B1 KR102039012 B1 KR 1020390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winding rod
- weight member
- blind
- unw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4—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lowerable rolle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2009/405—Two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듀얼 블라인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라인드는, 제1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제1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제1 권취봉과, 제1 스크린 하단에 결합되며 중력에 의해 제1 권취봉에 제1 스크린이 권출되는 제1 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제1 웨이트부재와, 제1 권취봉에 탄성력을 가하여 제1 스크린이 권취되는 제2 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제1 스크린이 권출된 길이에 따라 증감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탄성부재가 압축 또는 이완하며 탄성력을 증감시켜 제1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와 제2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의 균형을 유지하는 제1 블라인드 모듈, 및 제1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2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제2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제2 권취봉과, 제2 스크린 하단에 결합되며 일 측이 제1 웨이트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웨이트부재와, 제2 권취봉에 연결되어 제2 스크린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으로 제2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줄을 포함하는 제2 블라인드 모듈을 포함하되, 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은 서로 중첩되어 함께 승강하거나 각각 승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라인드는, 제1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제1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제1 권취봉과, 제1 스크린 하단에 결합되며 중력에 의해 제1 권취봉에 제1 스크린이 권출되는 제1 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제1 웨이트부재와, 제1 권취봉에 탄성력을 가하여 제1 스크린이 권취되는 제2 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제1 스크린이 권출된 길이에 따라 증감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탄성부재가 압축 또는 이완하며 탄성력을 증감시켜 제1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와 제2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의 균형을 유지하는 제1 블라인드 모듈, 및 제1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2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제2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제2 권취봉과, 제2 스크린 하단에 결합되며 일 측이 제1 웨이트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웨이트부재와, 제2 권취봉에 연결되어 제2 스크린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으로 제2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줄을 포함하는 제2 블라인드 모듈을 포함하되, 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은 서로 중첩되어 함께 승강하거나 각각 승강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듀얼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많은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는 듀얼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Roll Blind)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권취롤에 평면 형태의 스크린을 감거나 풀어 채광 또는 차광하는 것으로, 거실, 방안, 사무실 등 유리창 또는 유리벽이 설치된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로 입사되는 직사광 또는 불필요한 외부시선을 차단하거나 채광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롤 블라인드는 크게, 구동줄로 조작하는 코드(Cord) 타입의 블라인드와, 구동줄 없이 조작이 가능한 코드리스(Cordless) 타입의 블라인드로 구분된다.
코드 타입의 블라인드는, 권취롤에 연결된 구동줄을 당기는 방향에 따라 권취롤이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스크린이 권취 또는 권출된다. 코드 타입의 블라인드는 구동줄로 구동하는 방식이므로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내장된 클러치 요소 및 스크린의 무게로 인해 구동하는데 많은 힘이 들어 사용이 다소 불편하고 구동줄이 아래로 처지는 형태로 되어 있어 어린이들이 구동줄에 걸려 질식하거나 상해를 입는 등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코드리스 타입의 블라인드는, 스크린의 하단에 연결된 웨이트부재를 당겨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방식으로, 손으로 간단하게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어 조작이 직관적이고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에,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는 블라인드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많은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는 듀얼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라인드는, 제1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제1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제1 권취봉과, 상기 제1 스크린 하단에 결합되며 중력에 의해 상기 제1 권취봉에 상기 제1 스크린이 권출되는 제1 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제1 웨이트부재와, 상기 제1 권취봉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스크린이 권취되는 제2 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린이 권출된 길이에 따라 증감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 또는 이완하며 탄성력을 증감시켜 상기 제1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의 균형을 유지하는 제1 블라인드 모듈,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2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제2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제2 권취봉과, 상기 제2 스크린 하단에 결합되며 일 측이 상기 제1 웨이트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웨이트부재와, 상기 제2 권취봉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크린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줄을 포함하는 제2 블라인드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은 서로 중첩되어 함께 승강하거나 각각 승강한다.
상기 제1 스크린은 상기 제2 스크린이 승강하는 견인력에 의해 상기 제2 스크린과 함께 승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줄이 상기 제2 권취봉으로부터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2 스크린이 권출되어 완전히 펼쳐진 길이와 같거나 길고, 상기 제1 스크린이 권출되어 완전히 펼쳐진 길이보다는 짧을 수 있다.
상기 제1 스크린이 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크린 또는 상기 제1 웨이트부재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제1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의 균형이 해제되어 상기 제1 스크린이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웨이트부재와 상기 제2 웨이트부재는 자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 웨이트부재와 상기 제2 웨이트부재 사이의 자석 결합력은 상기 제1 스크린의 저항력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드리스 타입의 제1 블라인드 모듈과 코드 타입의 제2 블라인드 모듈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서는 제1 블라인드 모듈의 제1 웨이트부재와 제2 블라인드 모듈의 제2 웨이트부재를 결합한 채로 제2 블라인드 모듈의 구동줄을 이용하여 손이 닿는 위치까지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고, 손이 닿는 위치에서는 제1 웨이트부재와 제2 웨이트부재를 분리한 후 제1 웨이트부재를 이용하여 제1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창의 높이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특징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2 스크린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경우, 구동줄의 길이도 줄어 구동줄이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구동줄로 인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라인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듀얼 블라인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블라인드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블라인드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는 제2 블라인드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듀얼 블라인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듀얼 블라인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블라인드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블라인드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는 제2 블라인드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듀얼 블라인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라인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라인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블라인드(1)는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 중 적어도 하나를 펼쳐 외부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시야를 차단하고 투광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창에 설치될 수 있다.
듀얼 블라인드(1)는 코드리스 타입의 제1 블라인드 모듈(10)과 코드 타입의 제2 블라인드 모듈(20)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서는 제1 블라인드 모듈(10)의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블라인드 모듈(20)의 제2 웨이트부재(24)를 결합한 채로 제2 블라인드 모듈(20)의 구동줄(25)을 이용하여 손이 닿는 위치까지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고, 손이 닿는 위치에서는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를 분리한 후 제1 웨이트부재(14)를 이용하여 제1 스크린(12)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창의 높이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2 스크린(22)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경우, 구동줄(25)의 길이도 줄어 구동줄(25)이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구동줄(25)로 인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듀얼 블라인드(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듀얼 블라인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제1 블라인드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제1 블라인드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고, 도 5는 제2 블라인드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블라인드(1)는 창에 설치되어 제1 스크린(12)을 권취 또는 권출하며 채광 또는 차광하는 제1 블라인드 모듈(10)과, 제1 블라인드 모듈(10)에 결합되어 제2 스크린(22)을 권취 또는 권출하며 채광 또는 차광하는 제2 블라인드 모듈(20)을 포함한다. 제2 블라인드 모듈(20)은 창이 위치한 제1 블라인드 모듈(10)의 전방과 대향되는 제1 블라인드 모듈(10)의 후방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블라인드 모듈(10)은 제1 스크린(12)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제1 권취봉(13)과, 제1 스크린(12)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웨이트부재(14), 및 제1 권취봉(13)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5)를 포함한다.
제1 스크린(12)은 빛의 투과를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차단하는 막(膜)으로, 예를 들어, 빛을 차단하는 암막지로 형성되거나 빛을 투과하는 망(net)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크린(12)이 암막지로 형성되는 경우, 완전한 차광 효과를 낼 수 있고, 제1 스크린(12)이 망체로 형성되는 경우, 은은한 채광 효과를 냄과 동시에 통기(通氣)가 가능할 수 있다. 제1 스크린(12)은 일 측이 제1 권취봉(13)에 연결된다.
제1 권취봉(13)은 제1 스크린(12)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봉 또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제1 회전축(11)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제1 스크린(12)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다. 제1 권취봉(13)은 제1 회전축(11)과 같이 프레임(30) 내부에 설치되며, 프레임(30)은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제1 회전축(11)과 제1 권취봉(13)을 보호하고 지지할 수 있다. 제1 권취봉(13)은 양단부가 각각 프레임(30)에 축 결합되어 프레임(30)으로부터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권취봉(1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스크린(12)이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권취봉(13)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스크린(12)은 제1 권취봉(13)에 권취되어 상승하며 펼쳐진 부분의 길이가 감소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권취봉(13)이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스크린(12)은 제1 권취봉(13)에서 권출되어 하강하며 펼쳐진 부분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제1 웨이트부재(14)는 제1 스크린(12)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제1 스크린(12)의 하단에 결합되어 제1 권취봉(13)에 제1 스크린(12)이 권출되는 제1 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할 수 있다. 제1 웨이트부재(14)가 제1 스크린(12)의 하단에 결합됨으로써, 중력에 의해 제1 스크린(12)이 하방으로 당겨지며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1 웨이트부재(14)의 길이가 제1 스크린(12)의 너비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웨이트부재(14)의 길이는 제1 스크린(12)의 너비보다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웨이트부재(14)의 길이가 제1 스크린(12)의 너비보다 짧게 형성되는 경우, 제1 웨이트부재(14)는 제1 스크린(12)의 하단 일 측과 타 측에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스크린(12)은 제1 권취봉(13)의 외주면에서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권취봉(13)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권취봉(13)의 반경만큼 하중을 전달한다. 이 때, 제1 웨이트부재(14)가 제1 스크린(12)이 권출되는 제1 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므로, 제1 스크린(12)와 제1 웨이트부재(14)의 하중에 의해 제1 권취봉(13)이 제1 방향, 즉, 제1 스크린(12)이 권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권취봉(13)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스크린(12)의 펼쳐진 길이가 증가하게 되고, 동시에, 제1 스크린(12)의 하중도 커지므로 제1 스크린(12)이 제1 권취봉(13)에 가하는 토크도 증가하게 된다.
탄성부재(15)는 제1 권취봉(13)의 회전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탄성에너지를 저장하는 비틀림 탄성체로,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5)는 제1 권취봉(13)과 함께 회전하며 제1 권취봉(13)에 탄성력을 가하여 제1 스크린(12)이 권취되는 제2 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권취봉(13)은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관(管)재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고정축(111)을 포함하는 제1 회전축(11)이 결합되고 타단부에 회전링(16)이 결합된다. 제1 회전축(11)은 프레임(30)에 고정되는 고정축(111)과, 고정축(111)의 둘레에 형성된 회전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축(111)은 말단이 프레임(30)에 형성된 연결홈(31)에 삽입되거나 프레임(30)에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연결홈(31)은 고정축(11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각진 형태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나사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회전부재(112)와 회전링(16)은 각각 제1 권취봉(13)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프레임(30)으로부터 제1 권취봉(13)을 회전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15)는 일단부에 회전블록(17)이 연결되고, 타단부에 연결축(18)의 고정부(181)가 연결된다. 회전블록(17)은 제1 권취봉(13)과 함께 회전하며, 고정부(181)는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탄성부재(15)의 비틀림을 유발할 수 있다. 탄성부재(15)는 제1 권취봉(13)의 회전중심을 따라 제1 권취봉(13)의 내측에 평행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일단부가 회전블록(17)에 의해 제1 권취봉(13)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고정부(181)에 의해 연결축(18)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블록(17)은 외주부의 홀더부(171)가 제1 권취봉(13)의 내측에 형성된 주행가이드(13a)에 결합되어 제1 권취봉(13)과 회전이 동기화될 수 있다. 연결축(18)은 회전블록(17)의 회전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말단이 별도의 결합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프레임(30)의 연결홈(31)에 체결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연결홈(31)은 연결축(18)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각진 형태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나사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 권취봉(13)이 회전하면 회전블록(17)이 함께 회전하고, 회전블록(17)에 연결된 탄성부재(15)의 일단부가 비틀리며 변형될 수 있다. 연결축(18)은 제1 권취봉(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지만 스스로 회전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연결축(18)에 고정된 탄성부재(15)의 타단부는 고정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탄성부재(15)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비틀림이 생겨 탄성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15)는 제1 권취봉(13)의 회전수에 대응하여 변형량이 증가하며, 그에 따라 탄성력도 증가할 수 있다. 탄성력은 변형을 유발하는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탄성부재(15)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이 생성되며, 탄성부재(15)에서 생성된 회전력은 제1 스크린(12)이 권취되는 제2 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1 스크린(12)이 권출된 길이에 따라 증감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탄성부재(15)가 압축 또는 이완하며 탄성력을 증감시켜 제1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와 제2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권취봉(13)이 회전한 각도에 대해 제1 스크린(12)과 제1 웨이트부재(14)가 제1 권취봉(13)에 제1 방향으로 가하는 토크의 증가비와, 제1 권취봉(13)이 회전한 각도에 대해 탄성부재(15)가 제1 권취봉(13)에 제2 방향으로 가하는 토크의 증가비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권취봉(13)이 회전한 각 위치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한 쌍의 토크가 상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느 위치에서 제1 웨이트부재(14)를 놓더라도 제1 스크린(12)이 권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제1 웨이트부재(14)를 아래로 당겨 제1 스크린(12)을 펼친 상태에서 제1 웨이트부재(14)를 놓으면, 그 위치에서 제1 스크린(12)이 권출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스크린(12)이 권출된 길이에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며 균형이 유지되는 한 쌍의 토크에 의해 제1 스크린(12)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 스크린(12)이 권출된 상태에서 제1 스크린(12) 또는 제1 웨이트부재(14)를 간단히 터치하는 등 외력을 가하면 제1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와 제2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의 균형이 해제되어 제1 스크린(12)이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외력을 제거하면 토크의 균형이 유지되는 상태로 전환되므로, 제1 스크린(12)을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제1 블라인드 모듈(10)은 제1 웨이트부재(14)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제1 스크린(12)을 간단하게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고, 동시에, 어느 위치에서나 제1 스크린(12)을 권출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블라인드 모듈(1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권취봉(13)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스크린(12)을 권출할 수 있다. 제1 권취봉(13)의 회전에 의해, 제1 권취봉(13)과 결합된 회전블록(17)이 함께 회전하며, 이에 따라, 회전블록(17)에 연결된 탄성부재(15)가 압축되어 탄성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제1 스크린(12)의 권출된 길이에 따라 증가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탄성부재(15)의 탄성력이 증가하며, 탄성력은 탄성부재(15)가 제1 권취봉(13)에 가하는 토크로 작용한다. 이와 동시에, 제1 스크린(12)이 권출된 길이만큼의 하중과 제1 웨이트부재(14)의 하중이 함께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여, 제1 스크린(12)과 제1 웨이트부재(14)가 제1 권취봉(13)에 가하는 토크도 함께 증가한다. 제1 스크린(12)과 제1 웨이트부재(14)가 제1 권취봉(13)에 가하는 제1 방향의 토크와, 탄성부재(15)가 제1 권취봉(13)에 가하는 제2 방향의 토크는 크기가 동일하고 방향이 반대이므로, 서로 상쇄되어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권취봉(13)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스크린(12)을 권취할 수 있다. 제1 권취봉(13)의 회전에 의해, 탄성부재(15)가 이완되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15)에 저장된 탄성에너지가 감소하고 탄성력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5)가 제1 권취봉(13)에 가하는 토크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제1 스크린(12)의 권출된 길이가 감소하므로, 제1 웨이트부재(14)의 하중만이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여, 제1 스크린(12)과 제1 웨이트부재(14)가 제1 권취봉(13)에 가하는 토크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스크린(12)과 제1 웨이트부재(14)가 제1 권취봉(13)에 가하는 제1 방향의 토크와, 탄성부재(15)가 제1 권취봉(13)에 가하는 제2 방향의 토크가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제2 블라인드 모듈(20)은 제2 스크린(22)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제2 권취봉(23)과, 제2 스크린(22)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웨이트부재(24), 및 제2 권취봉(23)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줄(25)을 포함한다.
제2 스크린(22)은 빛의 투과를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차단하는 막(膜)으로, 예를 들어, 빛을 차단하는 암막지로 형성되거나 빛을 투과하는 망(net)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크린(22)은 제1 스크린(12)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스크린(12)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크린(22)은 일 측이 제2 권취봉(23)에 연결된다.
제2 권취봉(23)은 제2 스크린(22)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봉 또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제1 회전축(11)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2 회전축(21)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제2 스크린(22)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다. 제2 권취봉(23)은 제2 회전축(21)과 같이 프레임(30) 내부에 설치되며, 프레임(30)은 제2 회전축(21)과 제2 권취봉(23)을 보호하고 지지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하나의 프레임(30) 내부에 제1 회전축(11)과 제1 권취봉(13), 및 제2 회전축(21)과 제2 권취봉(23)이 모두 실장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회전축(11)과 제1 권취봉(13), 및 제2 회전축(21)과 제2 권취봉(23)은 서로 다른 프레임 내부에 실장될 수도 있다. 제2 권취봉(23)은 양단부가 각각 프레임(30)에 축 결합되어 프레임(30)으로부터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2 권취봉(2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스크린(22)이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권취봉(23)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스크린(22)은 제2 권취봉(23)에 권취되어 상승하며 펼쳐진 부분의 길이가 감소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권취봉(23)이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스크린(22)은 제2 권취봉(23)에서 권출되어 하강하며 펼쳐진 부분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제2 웨이트부재(24)는 제2 스크린(22)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제2 스크린(22)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2 웨이트부재(24)가 제2 스크린(22)의 하단에 결합됨으로써, 중력에 의해 제2 스크린(22)이 하방으로 당겨지며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2 웨이트부재(24)의 길이가 제2 스크린(22)의 너비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2 웨이트부재(24)의 길이는 제2 스크린(22)의 너비보다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웨이트부재(24)의 길이가 제2 스크린(22)의 너비보다 짧게 형성되는 경우, 제2 웨이트부재(24)는 제2 스크린(22)의 하단 일 측과 타 측에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웨이트부재(24)는 일 측이 제1 웨이트부재(14)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는 자력으로 결합되거나, 접착력 또는 점착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가 자력으로 결합되는 경우,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부재로 형성되거나 서로 접하는 면에 극성이 형성되거나 어느 하나는 자석부재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 사이의 자석 결합력은 제1 스크린(12)이 제1 권취봉(13)에 다시 권취되려고 하는 저항력, 즉, 관성보다 클 수 있다.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 사이의 자석 결합력이 제1 스크린(12)의 저항력보다 큼으로써, 제1 스크린(12)이 제2 스크린(22)과 함께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가 접착력 또는 점착력으로 결합되는 경우,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는 서로 접하는 면에 벨크로(Velcro) 또는 똑닥단추(수단추와 암단추를 맞추어 채우는 단추) 또는 요철(凹凸) 또는 지퍼(zipper)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웨이트부재(24)가 제1 웨이트부재(14)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이 서로 중첩되어 함께 승강하거나 각각 승강할 수 있다.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이 서로 중첩되어 함께 승강하는 경우, 시야 차단 및 차광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제2 권취봉(23)은 구동줄(25)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구동줄(25)은 폐루프(closed loop)를 이루는 로프(rope) 또는 체인(chain)으로, 후술할 클러치바디(26)와 같은 별도의 부속품을 통해 제2 권취봉(23)에 연결되어 순환하며 제2 권취봉(23)을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권취봉(23)의 전방(도 2의 x 방향 참조)에 배치된 구동줄(25)을 당겨 제2 권취봉(23)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제2 스크린(22)이 제2 권취봉(23)에 권취되어 펼쳐진 부분의 길이가 감소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권취봉(23)의 후방(도 2의 -x 방향 참조)에 배치된 구동줄(25)을 당겨 제2 권취봉(23)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제2 스크린(22)이 제2 권취봉(23)에서 권출되어 펼쳐진 부분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를 결합한 상태에서 구동줄(25)을 당기면, 제1 스크린(12)은 제2 스크린(22)이 승강하는 견인력에 의해 제2 스크린(22)과 함께 승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스크린(22)은 제1 스크린(12)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구동줄(25)은 제2 권취봉(23)으로부터 연장된 길이가 제2 스크린(22)이 권출되어 완전히 펼쳐진 길이와 같거나 길고 제1 스크린(12)이 권출되어 완전히 펼쳐진 길이보다는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에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가 위치한 경우,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를 결합한 후 구동줄(25)을 이용하여 손이 닿는 위치까지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을 1차로 권출시키고, 사용자의 손이 닿는 위치에서는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를 분리한 후에 제1 웨이트부재(14)를 당겨 제1 스크린(12)만 2차로 권출시킬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은 제1 블라인드 모듈(10)과 제2 블라인드 모듈(20)의 조합을 통해, 손이 닿는 높은 위치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코드리스 타입의 블라인드가 가지고 있는 단점과, 구동에 많은 힘이 드는 코드 타입의 블라인드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스크린(22)이 제1 스크린(12)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한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를 결합한 후 구동줄(25)을 이용하여 손이 닿는 위치까지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을 1차로 권출시키고, 손이 닿는 위치에서는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를 분리한 후에 제1 웨이트부재(14)를 당겨 제1 스크린(12)만 별도로 권출시키거나 구동줄(25)을 당겨 제2 스크린(22)만 별도로 권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스크린(12)이 과도하게 권출되어 바닥에 근접하게 배치된 경우, 사용자가 몸을 굽혀 제1 웨이트부재(14)를 잡아 조작할 필요 없이 제2 스크린(22)을 권출하여 제2 웨이트부재(24)와 제1 웨이트부재(14)를 결합한 후 구동줄(25)을 이용하여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을 권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줄(25)에는 필요에 따라 손잡이(25a)가 결합되며, 손잡이(25a)는 구동줄(25)의 구동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구동줄(25)에 하중을 부가하는 무게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권취봉(23)은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관(管)재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클러치바디(26)가 결합되고 타단부에 엔드바디(27)가 결합된다. 클러치바디(26)는 구동줄(25)의 회전 구동력을 제2 권취봉(23)에 전달하는 것으로, 체인기어(261)와 구동커넥터(262)를 포함할 수 있다. 체인기어(261)는 외주면을 따라 구동줄(25)과 결합할 수 있는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기어 형태로 형성되며, 구동줄(25)은 볼(ball)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체인 형태로 형성되어 체인기어(26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커넥터(262)는 일 측이 체인기어(261)에 결합되고 타 측이 제2 권취봉(23)에 삽입되어 제2 권취봉(23)과 일체로 회전하며, 외주면에 제2 권취봉(23)과 끼움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돌기(262a)가 형성될 수 있다. 체인기어(261)와 구동커넥터(262)는 제2 권취봉(23)과 결합된 상태로 제2 회전축(21)에 삽입되며, 제2 회전축(21)은 프레임(30)의 내측면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 회전축(21)의 외측으로 구동커넥터(262)가 배치되고, 구동커넥터(262)의 외측으로 제2 권취봉(23)이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줄(25)을 당기면 체인기어(261)와 구동커넥터(262), 및 제2 권취봉(23)이 제2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하게 되어 제2 스크린(22)이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2 회전축(21)과 체인기어(261) 사이에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클러치바디(26)의 회전을 도울 수도 있다. 엔드바디(27)는 제2 권취봉(23)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프레임(30)으로부터 제2 권취봉(23)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2 권취봉(23)에 삽입 고정되어 제2 권취봉(23)과 일체로 회전하되 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0)은 내측면에 지지축(32)이 돌출 형성되고, 엔드바디(27)는 지지축(32)이 삽입되는 고정홀(271)이 형성되어 서로 회전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듀얼 블라인드(1)의 동작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듀얼 블라인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블라인드(1)는 코드리스 타입의 제1 블라인드 모듈(10)과 코드 타입의 제2 블라인드 모듈(20)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서는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를 결합한 채로 구동줄(25)을 이용하여 손이 닿는 위치까지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고, 손이 닿는 위치에서는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를 분리한 후 제1 웨이트부재(14)를 이용하여 제1 스크린(12)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창의 높이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을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특징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2 스크린(22)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경우, 구동줄(25)의 길이도 줄어 구동줄(25)이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구동줄(25)로 인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듀얼 블라인드(1)는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이 각각 제1 권취봉(13)과 제2 권취봉(23)에 완전히 권취되어 있는 상태로 공장 출고되며, 이 때,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는 서로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듀얼 블라인드(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높은 창과 근접한 천정(天井) 또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웨이트부재(14)는 사용자의 손에 닿지 않고 구동줄(25)의 손잡이(25a)만 손에 닿을 수 있다.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줄(25)을 조작하여 제2 스크린(22)을 제2 권취봉(23)으로부터 권출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는 서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제2 스크린(22)이 하강하는 견인력에 의해 제1 스크린(12)이 함께 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웨이트부재(14)가 손이 닿는 위치에 내려올 때까지 구동줄(25)을 이용하여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을 함께 권출시킬 수 있다.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이 권출됨에 따라 시야가 차단되고 투광량이 조절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웨이트부재(14)가 손이 닿는 위치에 내려오면, 사용자는 구동줄(25)의 조작을 멈추고 제1 웨이트부재(14)와 제2 웨이트부재(24)를 분리한 후에 제1 웨이트부재(14)를 당길 수 있다. 구동줄(25)의 조작이 멈춰짐에 따라 제2 스크린(22)은 더 이상 권출되지 않고 현재 위치에 고정되며, 제1 스크린(12)만 제1 웨이트부재(14)에 의해 당겨져 권출될 수 있다. 즉, 상부 영역은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이 중첩 배치되고, 하부 영역은 제1 스크린(12)만 배치된다. 이처럼,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서는 구동줄(25)을 이용하여 제1 스크린(12)과 제2 스크린(22)을 권출시키고, 손이 닿는 위치에서는 제1 웨이트부재(14)를 이용하여 제1 스크린(12)을 권출시킴으로써, 창의 높이가 높더라도 사용이 가능하고 블라인드를 구동하는데 드는 힘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듀얼 블라인드
10: 제1 블라인드 모듈 11: 제1 회전축
111: 고정축 112: 회전부재
12: 제1 스크린 13: 제1 권취봉
13a: 주행가이드 14: 제1 웨이트부재
15: 탄성부재 16: 회전링
17: 회전블록 171: 홀더부
18: 연결축 181: 고정부
20: 제2 블라인드 모듈 21: 제2 회전축
22: 제2 스크린 23: 제2 권취봉
24: 제2 웨이트부재 25: 구동줄
25a: 손잡이 26: 클러치바디
261: 체인기어 262: 구동커넥터
262a: 구동돌기 27: 엔드바디
271: 고정홀 30: 프레임
31: 연결홈 32: 지지축
10: 제1 블라인드 모듈 11: 제1 회전축
111: 고정축 112: 회전부재
12: 제1 스크린 13: 제1 권취봉
13a: 주행가이드 14: 제1 웨이트부재
15: 탄성부재 16: 회전링
17: 회전블록 171: 홀더부
18: 연결축 181: 고정부
20: 제2 블라인드 모듈 21: 제2 회전축
22: 제2 스크린 23: 제2 권취봉
24: 제2 웨이트부재 25: 구동줄
25a: 손잡이 26: 클러치바디
261: 체인기어 262: 구동커넥터
262a: 구동돌기 27: 엔드바디
271: 고정홀 30: 프레임
31: 연결홈 32: 지지축
Claims (6)
- 제1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제1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제1 권취봉과, 상기 제1 스크린 하단에 결합되며 중력에 의해 상기 제1 권취봉에 상기 제1 스크린이 권출되는 제1 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제1 웨이트부재와, 상기 제1 권취봉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스크린이 권취되는 제2 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린이 권출된 길이에 따라 증감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 또는 이완하며 탄성력을 증감시켜 상기 제1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의 균형을 유지하는 제1 블라인드 모듈;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2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제2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제2 권취봉과, 상기 제2 스크린 하단에 결합되며 일 측이 상기 제1 웨이트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웨이트부재와, 상기 제2 권취봉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크린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줄을 포함하는 제2 블라인드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은 서로 중첩되어 함께 승강하거나 각각 승강하는 듀얼 블라인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은 상기 제2 스크린이 승강하는 견인력에 의해 상기 제2 스크린과 함께 승강 가능한 듀얼 블라인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듀얼 블라인드.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줄이 상기 제2 권취봉으로부터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2 스크린이 권출되어 완전히 펼쳐진 길이와 같거나 길고, 상기 제1 스크린이 권출되어 완전히 펼쳐진 길이보다는 짧은 듀얼 블라인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이 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크린 또는 상기 제1 웨이트부재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제1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의 균형이 해제되어 상기 제1 스크린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듀얼 블라인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트부재와 상기 제2 웨이트부재는 자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 웨이트부재와 상기 제2 웨이트부재 사이의 자석 결합력은 상기 제1 스크린의 저항력보다 큰 듀얼 블라인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1741A KR102039012B1 (ko) | 2019-06-17 | 2019-06-17 | 듀얼 블라인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1741A KR102039012B1 (ko) | 2019-06-17 | 2019-06-17 | 듀얼 블라인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9012B1 true KR102039012B1 (ko) | 2019-11-01 |
Family
ID=6853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1741A KR102039012B1 (ko) | 2019-06-17 | 2019-06-17 | 듀얼 블라인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9012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80492A (ja) * | 1990-07-19 | 1992-03-13 | Tachikawa Blind Mfg Co Ltd | 連装型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
JPH10176471A (ja) * | 1996-12-18 | 1998-06-30 | Tachikawa Blind Mfg Co Ltd | 連装型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
JP2003214068A (ja) * | 2002-01-24 | 2003-07-30 | Nichibei Co Ltd | ロールスクリーン |
JP3096791U (ja) * | 2003-03-29 | 2003-10-03 | 雄造 中田 | ロールスクリーン取り付け器具 |
JP2007297779A (ja) * | 2006-04-27 | 2007-11-15 | Tachikawa Blind Mfg Co Ltd | ロールブラインド |
KR101048674B1 (ko) | 2009-09-25 | 2011-07-12 | 좋은금속(주) | 롤 블라인드 |
JP2013177746A (ja) * | 2012-02-28 | 2013-09-09 | Toli Corp |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
-
2019
- 2019-06-17 KR KR1020190071741A patent/KR1020390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80492A (ja) * | 1990-07-19 | 1992-03-13 | Tachikawa Blind Mfg Co Ltd | 連装型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
JPH10176471A (ja) * | 1996-12-18 | 1998-06-30 | Tachikawa Blind Mfg Co Ltd | 連装型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
JP2003214068A (ja) * | 2002-01-24 | 2003-07-30 | Nichibei Co Ltd | ロールスクリーン |
JP3096791U (ja) * | 2003-03-29 | 2003-10-03 | 雄造 中田 | ロールスクリーン取り付け器具 |
JP2007297779A (ja) * | 2006-04-27 | 2007-11-15 | Tachikawa Blind Mfg Co Ltd | ロールブラインド |
KR101048674B1 (ko) | 2009-09-25 | 2011-07-12 | 좋은금속(주) | 롤 블라인드 |
JP2013177746A (ja) * | 2012-02-28 | 2013-09-09 | Toli Corp |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44605B2 (en) | Single cord operated clutch for roller blind | |
AU2017200468B2 (en) | Window Blind | |
US7143802B2 (en) | Cordless blinds | |
AU2012203213B2 (en) |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 |
US20140069595A1 (en) | Automatic roller shade | |
US20190032403A1 (en) | Lifting device of cordless covering | |
US11261659B2 (en) | Cordless blind device | |
US20170107075A1 (en) | String coiling unit for a window shade without a pull cord | |
US11492846B2 (en) | Window blind assembly having transmission assist structure | |
US20050109471A1 (en) | Window covering lifting system and method | |
US20190136617A1 (en) | Cordless push-pull roller blind mechanism | |
KR200469122Y1 (ko) |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 |
KR102039012B1 (ko) | 듀얼 블라인드 | |
JP5859801B2 (ja) | 日射遮蔽装置 | |
TW539799B (en) | A control system for window curtains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2074922B1 (ko) | 듀얼 블라인드 장치 | |
KR100500716B1 (ko) | 양방향 권취형 롤브라인드 | |
JP2018141342A (ja) | 遮蔽装置および巻取装置 | |
KR102546192B1 (ko) |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 |
KR20070082595A (ko) | 이중스프링이 구비된 롤 블라인드 구동장치 | |
JP3218409B2 (ja) | ロールスクリーン | |
KR101647483B1 (ko) | 롤 블라인드 | |
KR200378499Y1 (ko) | 이중 롤 스크린 | |
KR20190089465A (ko) |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 |
US11988037B2 (en) | Window blind lifting and tilt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