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192B1 -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192B1
KR102546192B1 KR1020220101495A KR20220101495A KR102546192B1 KR 102546192 B1 KR102546192 B1 KR 102546192B1 KR 1020220101495 A KR1020220101495 A KR 1020220101495A KR 20220101495 A KR20220101495 A KR 20220101495A KR 102546192 B1 KR102546192 B1 KR 102546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oll
winding
bar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윈텍 filed Critical (주)한국윈텍
Priority to KR1020220101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192B1/ko
Priority to PCT/KR2023/005241 priority patent/WO202403477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7Lamellae suspensions ; Bottom weights; Bottom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4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lowerabl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1Screens joined one below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2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inside the 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가 제공된다.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는, 웨이트바, 하단부가 웨이트바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제1권취롤에 연결되어 제1권취롤의 회전에 따라 제1권취롤에 권취되거나 제1권취롤에서 권출되는 제1스크린, 제1권취롤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권취바, 하단부가 제1권취바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제2권취롤에 연결되어, 제2권취롤의 회전에 따라 제2권취롤에 권취되거나 제2권취롤에서 권출되는 제2스크린, 및 제2권취롤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권취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Serial type multi roll blind}
본 발명은 스크린을 롤 형태로 감거나 펼쳐 사용하는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창에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2가지 종류의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 장치는 창에 설치되는 햇빛 차단용 설비 중 하나이다. 블라인드 장치는 전통적인 커튼이나 셰이드 보다 조작이 편리하고 설치도 간단하기 때문에 사무실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블라인드 장치는 슬랫(slat)의 각도를 조절하여 햇빛을 차단하는 우드 블라인드, 서로 교차되는 암부와 명부를 갖는 이중 스크린 형태의 콤비 블라인드, 롤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광량을 조절하는 롤 스크린이 구비된 롤 블라인드 등 여러 형태가 있다. 또한 이들을 개량한 개량식 블라인드(예, 대한민국특허 10-0866344등)도 계속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블라인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종래의 구조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창을 가리는 구조이기 때문에 광량을 줄이는 경우 창이 차폐되어 창밖의 풍경을 그대로 감상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반대로 창을 틴팅(tinting)하는 경우에는, 햇빛이 완전히 가려지지 않기 때문에 블라인드나 커튼 등 햇빛 차단용 설비를 이중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블라인드로는 하나의 창을 나누어 일부는 빛을 차단하고, 일부는 틴팅 상태로 하고, 일부는 햇빛을 그대로 투과시키는 등의 사용자 맞춤형 조작은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6344호, (2008. 10. 3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창에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2가지 종류의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을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는, 웨이트바; 하단부가 상기 웨이트바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제1권취롤에 연결되어, 상기 제1권취롤의 회전에 따라 제1권취롤에 권취되거나 상기 제1권취롤에서 권출되는 제1스크린; 상기 제1권취롤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권취바; 하단부가 상기 제1권취바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제2권취롤에 연결되어, 상기 제2권취롤의 회전에 따라 제2권취롤에 권취되거나 상기 제2권취롤에서 권출되는 제2스크린; 및 상기 제2권취롤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권취바를 포함한다.
상기 제1권취바는, 상기 제1권취롤에 연결되어 상기 제1권취롤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며 제1토크를 생성하여, 상기 회전 시 상기 제1스크린과 상기 웨이트바의 하중에 의해 제1토크와 역방향으로 생성되는 제2토크를 상쇄시키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크린은,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균형에 의해서 권출 또는 권취 상태로 자동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바에 배치되어 상기 웨이트바를 창틀의 일 측에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된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권취바는, 상기 제2권취롤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제2스크린과 상기 제1권취바의 위치를 조정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크린 및 상기 제2스크린은 광투과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스크린 및 상기 제2스크린 중 어느 하나는 광투과가 가능한 반투명시트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불투명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투명시트는, 투명필름이 틴팅(tinting)처리되어 광투과율이 조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스크린은 반투명시트로, 상기 제2스크린은 불투명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창에 연속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2가지 종류의 스크린을 적용하여 햇빛을 차단하거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불투명 스크린으로 햇빛을 차단할 수도 있고, 반투명 스크린으로 틴팅 효과를 주면서 창밖의 풍경을 그대로 감상하는 것도 가능하며, 스크린 자체를 완전히 감아 올려 햇빛이 창을 통해 그대로 들어오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스크린들로 하나의 창을 세로로 구획하여, 창의 일부는 차폐하고, 일부는 틴팅 상태로 하고, 일부는 햇빛을 그대로 투과시키는 등 사용자 맞춤형 조작도 가능하다. 따라서 블라인드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고,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동작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롤 블라인드 중 제1권취바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롤 블라인드 중 제2권취바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제2권취롤과 제2스크린의 조작을 예시한 작동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제1권취롤과 제1스크린의 조작을 예시한 작동도이다.
도 8은 웨이트바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작동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동작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1)(이하, 롤 블라인드)는 제1스크린(101)과 제2스크린(201)이 제1권취바(100)를 사이에 두고 직렬로 연결[하나의 스크린 말단에 다른 스크린이 연결됨]된다. 따라서 하나의 권취롤[예, 제2권취롤(210)]을 회전시켜 연결된 두 스크린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스크린을 조작하는 권취롤[제1권취롤(110) 및 제2권취롤(210)]은 서로 독립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1스크린(101)과 제2스크린(201)의 면적은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즉 도 1에 예시된 상태 외에도, 제2스크린(201)은 감고 제1스크린(101)만 펼쳐진 상태로 사용하거나, 제1스크린(101)은 감고 제2스크린(201)만 펼쳐진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1스크린(101)과 제2스크린(201)의 비율을 적절히 조정하여 배치하거나, 두 스크린을 모두 감아 창을 완전히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1권취롤(110)은 회전 시 한 쌍의 토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생성되며 모든 회전각도에서 균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어 작은 힘으로도 쉽게 조작된다. 예를 들어, 약간의 외력을 주어 제1스크린(101)의 하단을 당기거나(도 6참조), 또는 제1스크린(101) 하단을 고정하고 반대로 상단을 당기더라도(도 2참조) 제1스크린(101)은 쉽게 펼쳐지며 외력이 제거되면 해당상태로 자동 고정된다.
이를 이용하면 도 2처럼 제1스크린(101) 하단[즉, 웨이트바(300)]을 창틀(B)에 고정하고, 제2권취롤(210)로 제2스크린(201)을 당겨 제1스크린(101)과 제2스크린(201)의 면적을 동시에 바꾸는 조작도 가능하다. 제1스크린(101)과 제2스크린(201)은 서로 광투과율이 다른 재질[예, 반투명시트 및 불투명시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스크린들의 면적을 조정하여 불투명시트에 의한 빛(A) 차단효과와, 반투명시트에 의한 틴팅(tinting)효과 등을 윈하는 비율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롤 블라인드(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롤 블라인드(1)는, 웨이트바(300), 하단부가 웨이트바(300)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제1권취롤(110)에 연결되어, 제1권취롤(110)의 회전에 따라 제1권취롤(110)에 권취되거나 제1권취롤(110)에서 권출되는 제1스크린(101), 제1권취롤(110)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권취바(100), 하단부가 제1권취바(100)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제2권취롤(210)에 연결되어, 제2권취롤(210)의 회전에 따라 제2권취롤(210)에 권취되거나 제2권취롤(210)에서 권출되는 제2스크린(201), 및 제2권취롤(210)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권취바(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권취바(100)는 제1권취롤(110)에 연결되어 제1권취롤(110)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며 제1토크(도 6의 T1참조)를 생성하여, 회전 시 제1스크린(101)과 웨이트바(300)의 하중에 의해 제1토크와 역방향으로 생성되는 제2토크(도 6의 T2참조)를 상쇄시키는 토션스프링(도 6의 110a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스크린(101)은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균형에 의해서 권출 또는 권취 상태로 자동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크린(101) 및 제2스크린(201)은 광투과율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제1스크린(101) 및 제2스크린(201) 중 어느 하나는 광투과가 가능한 반투명시트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불투명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롤 블라인드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롤 블라인드 중 제1권취바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롤 블라인드 중 제2권취바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롤 블라인드(1)는 적어도 2개의 스크린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다. 본 발명의 롤 블라인드(1)는 최하단의 웨이트바(300), 웨이트바(300)와 제1권취바(100) 사이에 연결된 제1스크린(101), 제1권취바(100)와 제2권취바(200) 사이에 연결된 제2스크린(20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스크린(101)과 제2스크린(201)이 형성된 예를 설명하지만, 스크린과 권취롤 및 권취바는 추가적인 확장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권취바(200) 위에 제3권취바(미도시)를 두고, 제3권취바 내부에 제3권취롤(미도시)을 형성하여, 제3권취롤과 제2권취바(200) 사이에 제3스크린(미도시)을 연결하는 등의 확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본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조를 하단으로부터 차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웨이트바(300)는 롤 블라인드(1) 최하단에 배치된다. 웨이트바(300)는 자중으로 제1스크린(101)을 펼치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작용이 가능한 한도 내에서 웨이트바(300)는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웨이트바(300)의 형상은 예시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웨이트바(300)는 제1스크린(101)의 폭(스크린이 펼쳐지는 방향(중력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너비)과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바(bar)형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웨이트바(300)에는 위치고정부(310)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고정부(310)는 웨이트바(300)를 창틀(B)의 일 측에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위치고정부(310)는 웨이트바(300)에 내장된 자석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석의 자력으로 철재 창틀(B)등에 웨이트바(300)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위치고정부는 변형도 가능하므로 그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위치고정부(310)는 창틀 등에 파지가 가능한 클립, 걸림 고리 등 창틀(B)에 착탈식으로 결합가능한 또 다른 결합구조를 활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1스크린(101)은, 하단부가 웨이트바(300)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제1권취롤(1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권취롤(110)의 회전에 따라 제1권취롤(110)에 권취(wind)되거나, 제1권취롤(110)에서 권출(unwind)될 수 있다. 제1권취롤(110)은 제1권취바(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스크린(101)은 제2스크린(201)과 광투과율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스크린(101) 및 제2스크린(201) 중 어느 하나는 광투과가 가능한 반투명시트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불투명시트(시야를 가리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와 같이 제1스크린(101)이 반투명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불투명시트는 직물 등 실질적으로 태양광(또는 다른 종류의 입사광)을 투과시키지 못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사람의 시야를 차단하는 시트를 의미한다. 불투명시트는 시야를 가리기 때문에 사람이 실질적으로 불투명시트를 통해서 외부 풍경을 감상할 수는 없다. 반면, 반투명시트는 착색 또는 코팅된 광투과성 필름 등 실질적으로 태양광(또는 다른 종류의 입사광)을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져 사람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 시트를 의미한다. 반투명시트는 착색 및/또는 코팅에 의해 가시광 및/또는 가시광 외 광선(자외선 및 적외선)의 투과율이 조정되지만 시야가 차단되지는 않기 때문에 반투명시트를 통해서는 사람이 외부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따라서 반투명시트로 된 제1스크린(101)은 빛(A)의 투과가 가능하다. 다만, 반투명 상태이므로 투광량은 조절되며, 그로 인해 통상의 틴팅(tinting)효과가 나타난다. 본 명세서에서 틴팅은, 광투과성 재료의 표면을 착색 및/또는 코팅하여 시야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재료의 광량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틴팅은, 자외선차단 코팅 등 색조변경 없이 특정 파장의 빛을 제거하거나 투과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틴팅은 실질적으로 통상의 선팅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제1스크린(101)에 적용된 반투명시트는, 예를 들어, 투명필름이 틴팅(tinting)처리되어 광투과율이 조정된 것일 수 있다. 반투명시트의 색상은 얼마든지 조정이 가능하며 색상 또는 코팅의 농도 등을 조절하면 광투광율도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제1스크린(101)이 창에 중첩되어 있더라도 시야는 가려지지 않으며, 빛(A)이 투과하는 투과율 또는 투광량만 감소된다.
도 3에는 제1스크린(101)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제1권취롤(110)의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권취롤(110)이 설치된 제1권취바(100)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스크린(101)의 상단부는 제1권취롤(110)에 연결된다. 제1스크린(101)의 상단은 제1권취롤(110)의 외부주에 다양한 방식(예, 접착 및/또는 고정부재 등을 통한 가압고정 등)으로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스크린(101)은, 제1권취롤(110)이 회전하면 제1권취롤(110)에 감겨 제1권취바(100) 안으로 인입되거나 제1권취롤(110)에서 풀려 제1권취바(100) 하단으로 배출된다.
제1권취롤(110)은 제1권취바(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권취바(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있는 길이가 긴 함체 형상의 제1몸체(120)와, 제1몸체(120) 양단에 결합되는 제1엔드캡(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권취롤(110)의 양단은 제1엔드캡(130)에 형성된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권취롤(110)이 제1권취바(100)와 축결합하는 방식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제1권취롤(110)의 양단에는 회전블록(111)이 삽입될 수 있다. 회전블록(111)은 중앙에 축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될 수 있고, 제1권취롤(110)은 양단의 회전블록(111)을 매개로 제1엔드캡(130)과 축결합될 수 있다.
제1엔드캡(130)에 형성된 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권취롤의 내부에는 구동구조 등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그러한 구조에 대응하여 축의 형태나 구조도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처럼 제1엔드캡(130)과 연결된 스프링고정축(113)이 회전블록(111)을 관통하는 경우, 스프링고정축(113)은 제1권취롤(110)의 회전축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므로 다른 실시예에서 축구조는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고정축이 배치되지 않은 제1권취롤(110)의 다른 단부에는 회전블록(111)을 관통하여 제1엔드캡(130)과 연결된 다른 형상의 회전축(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권취바(100)는, 제1권취롤(110)에 연결된 토션스프링(110a)을 포함한다. 토션스프링(110a)은 제1권취바(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제1권취롤(110) 안으로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적절한 구조를 이용하여 토션스프링(110a)의 일단은 제1권취바(100)에 고정하고 타단만 제1권취롤(110)과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110a)은 제1권취롤(110)에 연결되어 제1권취롤(110)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며 제1토크(도 6의 T1참조)를 생성한다. 제1권취롤(110)에는 제1스크린(101)과 웨이트바(300)의 하중에 의해 반대방향의 제2토크(도 6의 T2참조)가 쌍으로 생성되는데, 이들은 정밀하게 조정되어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된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제1권취바(100)의 토션스프링(110a)은 제1권취롤(110)에 연결되어 제1권취롤(110)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며 제1토크를 생성하여, 회전 시 제1스크린(101)과 웨이트바(300)의 하중에 의해 제1토크와 역방향으로 생성되는 제2토크를 상쇄시킨다. 이로 인해 제1스크린(101)은, 제1토크와 제2토크의 균형에 의해 권출 또는 권취 상태로 자동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권취바(100)의 토션스프링(110a)은, 제1스크린(101)의 권출된 길이에 따라 증감되는 제2토크(예, 제1스크린의 길이증가로 제1스크린이 제1권취롤에 가하는 하중이 증가되며, 하중 증가에 의해 제1권취롤에 제1스크린의 권출방향으로 작용하는 토크(즉 제2토크)도 증가된다)를 그와 역방향으로 생성한 제1토크로 정확하게 상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토크의 균형으로 어떤 위치에서도 고정되기 때문에 작은 외력으로도 제1스크린(101)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토션스프링(110a)의 일단부는 제1엔드캡(130)에 연결하여 회전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션스프링(110a)의 일단부를 스프링고정캡(112)으로 고정하고, 스프링고정캡(112)과 제1엔드캡(130)을 연결하는 스프링고정축(113)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고정축(113)은 전술한 것처럼 회전블록(111)을 관통시켜 형성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110a)의 타단부는 제1권취롤(110)에 연결되어 제1권취롤(110)과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제1권취롤(110)이 회전하면 토션스프링(110a)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제1토크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토션스프링(110a)의 타단부는 제1권취롤(110)의 내부에 끼움결합 방식으로 고정되는 끼움블록(114)을 결합하여 제1권취롤(110)과 연결할 수 있다.
끼움블록(114)은 예를 들어, 원통형의 블록 외면에 다수의 날개나 돌기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권취롤(110)의 내면에는 안쪽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110b)가 형성되어, 끼움블록(114)의 날개 또는 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이는 돌출부(110b)가 끼움블록(114)의 날개 또는 돌기 사이에 삽입되는 일종의 요철에 의한 결합방식일 수 있다. 다양한 결합방식을 적용하여 끼움블록(114)을 제1권취롤(110)과 결합하고 제1권취롤(110)의 회전에 의한 토션스프링(110a)의 비틀림을 유발할 수 있다.
도 3에는 단일 토션스프링(110a)이 적용된 예가 도시되었지만, 적절한 토크의 생성을 위해 복수의 토션스프링(110a)을 제1권취롤(110)의 양 단부 측에 분산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토션스프링(110a)의 탄성은 토션스프링(110a)의 수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권취롤(110)과 토션스프링(110a)이 연결되어 있는 제1권취바(1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권취바(100) 상부에는 제2스크린(201)이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스크린(201)은, 하단부가 제1권취바(100)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제2권취롤(2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권취롤(210)의 회전에 따라 제2권취롤(210)에 권취(wind)되거나, 제2권취롤(210)에서 권출(unwind)될 수 있다. 제2권취롤(210)은 제2권취바(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스크린(201)의 하단부는 제1권취바(100)의 제1몸체(도 3의 120참조)에 고정되어 제1권취롤(110)의 회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형성된다.
제2스크린(201)은 전술한 것처럼 불투명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불투명시트는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면, 직물 등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불투명한 제2스크린(201)은 빛(A)을 차폐하며 따라서 제2스크린(201)이 창에 중첩되면 시야는 가려질 수 있다. 빛(A)차단 효과를 증가시키려는 경우에는 제2권취롤(210)에서 제2스크린(201)을 권출시켜 제2스크린(201)의 길이를 늘릴 수 있다.
도 4에는 제2스크린(201)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제2권취롤(210)의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2권취롤(210)이 설치된 제2권취바(200)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2스크린(201)의 상단부는 제2권취롤(210)에 연결된다. 제2스크린(201)의 상단은 제2권취롤(210)의 외부주에 다양한 방식(예, 접착 및/또는 고정부재 등을 통한 가압고정 등)으로 밀착 고정된다. 이로 인해 제2스크린(201)은, 제2권취롤(210)이 회전하면 제2권취롤(210)에 감겨 제2권취바(200) 안으로 인입되거나 제2권취롤(210)에서 풀려 제2권취바(200) 하단으로 배출된다.
제2권취롤(210)은 제2권취바(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권취롤(210)과 제2권취바(200)의 결합구조는 전술한 제1권취롤(110)과 제1권취바(100)의 결합구조와 유사할 수 있다. 전술한 제1권취롤과 제1권취바의 결합구조에 준하여 제2권취롤(210)과 제2권취바(200)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권취바(200)는 내부가 비어있고 길이가 긴 함체 형상의 제2몸체(220)와, 제2몸체(220) 양단에 결합되는 제2엔드캡(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권취롤(210)의 양단은 제2엔드캡(230)에 형성된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권취바(200)는 불투명한(재질로 인해 원단이 상대적으로 두꺼울 수 있다) 제2스크린(201)을 내장하기 위해 제1권취바(100)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권취롤(210)의 양단이 제2권취바(200)와 축결합하는 방식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제2권취롤(210)의 양단에는 회전블록(211)이 삽입될 수 있으며, 회전블록(211)은 중앙에 축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2권취롤(210)은 양단의 회전블록(211)을 매개로 제2엔드캡(230)과 축결합될 수 있다.
제2엔드캡(230)에 형성된 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권취롤의 내부에는 구동구조 등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그러한 구조에 대응하여 축의 형태나 구조도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처럼 모터고정축(214) 및 스프링고정축(218)이 각각 양단의 회전블록(211)을 관통하여 배치된 경우, 모터고정축(214) 및 스프링고정축(218)이 제2권취롤(210)의 회전축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권취바(200)는, 제2권취롤(210)에 회전력을 가하는 회전구동부(210a)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210a)는 제2권취롤(210)에 회전력을 가하여 제2스크린(201)과 제2스크린(201)의 하단에 연결된 제1권취바(100)의 위치를 동시에 조정할 수 있다. 제2권취바(200)는 상대적으로 높이 위치할 수 있으므로 회전구동부(210a)는 원거리에서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구동부(210a)는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구동모터(2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212)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미도시) 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2권취바(200)의 일 측에는 구동모터(21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도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회전구동부는 원거리에서 조작 가능한 다른 구조(예, 조작줄-제2권취롤에 기어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동모터를 이와 병행하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양한 방식의 구동구조를 활용하여 제2권취롤(210)을 구동할 수 있다.
구동모터(212)는 제2엔드캡(23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모터(212)의 몸통을 모터고정캡(213)에 결합하고, 모터고정캡(213)과 제2엔드캡(230)을 연결하는 모터고정축(214)을 형성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모터고정축(214)은 회전블록(211)을 관통할 수 있다.
구동모터(212)의 축은 제2권취롤(210)에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12)의 회전력을 제2권취롤(210)에 인가할 수 있다. 구동모터(212)의 축은 제2권취롤(210)의 내부에 끼움결합 방식으로 고정되는 끼움블록(215)을 결합하여 제2권취롤(210)과 연결할 수 있다. 구동모터(212)의 축은 토크변환 등이 가능한 감속기 와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구동모터(212)에는 그러한 감속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2권취롤(210)에는 회전 시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고 축적된 탄성에지로 회전을 보조하도록 보조력생성부(210b)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보조력생성부(210b)는 탄성체를 포함하므로 전술한 토션스프링과 유사한 형상일 수 있지만, 회전 시 일정량의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차이가 있다.
보조력생성부(210b)는 보조스프링(2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스프링(216)은 비틀림에 의해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스프링(216)은 일단부가 제2엔드캡(230)에 연결되어 회전하지 않게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권취롤(210)에 연결되어 비틀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스프링(216)의 일단부에 스프링고정캡(217)을 결합하고, 스프링고정캡(217)과 제2엔드캡(230)을 연결하는 스프링고정축(218)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고정축(218)은 회전블록(211)을 관통할 수 있다. 보조스프링(216)의 타단부는 제2권취롤(210)의 내부에 끼움결합 방식으로 고정되는 끼움블록(219)을 결합하여 제2권취롤(210)에 연결할 수 있다.
보조스프링(216)과 구동모터(212)에 적용된 끼움블록(215, 219)은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일 수 있다. 각각의 끼움블록(215, 219)은 원통형의 블록 외면에 다수의 날개나 돌기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2권취롤(210)의 내면에는 안쪽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210c)가 형성되어, 각 끼움블록(215, 219)의 날개 또는 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방식으로 구동모터(212)의 일 측과 보조스프링(216)의 일 측을 각각 제2권취롤(210)에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제1권취바(100)와 제2권취바(200)와 그 사이에 연결된 제1스크린(101) 및 제2스크린(201)을 포함하는 직렬형의 다중 롤 블라인드(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제2권취롤과 제2스크린의 조작을 예시한 작동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제1권취롤과 제1스크린의 조작을 예시한 작동도이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제1스크린과 제2스크린은 다음과 같이 조작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제2스크린(201)의 펼쳐진 길이는 회전구동부(210a)를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전술한 구동모터(212)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권취롤(210)에 회전력을 인가하면 제2권취롤(210)이 회전하면서 제2스크린(201)을 권취할 수 있다. 도 5에는 제2권취롤(210)이 제2스크린(201)을 감는 동작이 도시되었지만, 구동모터(212)의 회전방향을 역으로 변경하면 제2스크린(201)은 풀려 나오며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권취바(200)는 제2권취롤(210)에 회전력을 능동적으로 가하는 회전구동부(210a)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제2권취롤(210)이 회전하면, 제2스크린(201)이 승강되고 제2스크린(201) 하단에 연결된 제1권취롤(110)의 위치도 함께 변경된다.
따라서 도 5처럼 제2권취롤(210)을 회전시켜 제2스크린(201)과, 제1권취바(100)와, 제1권취바(100)에 연결된 제1스크린(101)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제1스크린(101) 말단의 웨이트바(300)를 별도로 고정시키지 않은 경우, 이와 같이 제2권취롤(210)을 구동하여 제1스크린(101)과 제2스크린(201)을 동시에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스크린(101)은 제1권취롤(110)의 회전에 따라 생성되고 서로 상쇄되어 힘의 균형을 이루는 제1토크(T1)와 제2토크(T2) 쌍을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스크린(101) 하단의 웨이트바(300)를 손(C)으로 살짝 당기기만 하면 토크의 균형이 유지되면서 제1스크린(101)은 제1권취롤(110)에서 쉽게 권출된다. 권출되는 중에도 제1토크(T1)와 제2토크(T2)의 쌍은 동시에 역방향으로 상쇄되며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C)으로 웨이트바(300)를 계속 당길 필요가 없으며 원하는 길이로 제1스크린(101)을 권출하고 손(C)을 놓으면 제1토크(T1)와 제2토크(T2)의 균형에 의해 실질적이 외력이 없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1스크린(101)은 권출된 상태로 자동 고정된다.
제1스크린(101)조작 시 토크의 변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권출 시에는 도 6의 (b)처럼 제1스크린(101)의 풀려나온 길이가 늘어나므로, 제1스크린(101)의 하방으로 작용하는 제2토크(T2)가 증가된다. 그러나 도 6의 (a)와 같이 동일 회전에 의해 토션스프링(110a)은 압축되므로, 제2토크(T2)의 역방향으로 생성되는 제1토크(T1)(토션스프링의 압축에 비례하는 복원력에 의한 것)도 동시에 증가된다. 따라서 제1토크(T1)가 제2토크(T2)를 상쇄시켜 힘의 균형이 발생되며 제1스크린(101)은 해당위치에서 자동으로 정지된다.
토크의 균형은 특정위치에서만 발생되지 않으며 제1권취롤(110)이 회전하는 모든 회전각도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위치를 바꾸더라도 서로 상쇄되는 토크의 크기가 증감될 뿐 어느 위치에서 든 제1스크린(101)은 자동으로 정지된다.
제1토크(T1)와 제2토크(T2)는 다음과 같은 원리로 상쇄가 가능하다.
제1토크(T1)의 크기는 토션스프링(110a)의 압축된 정도에 비례하며, 토션스프링(110a)의 압축은 제1권취롤(110)의 회전각[제1권취롤(110)이 회전중심 둘레로 회전한 각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제1토크(T1)는 결국 회전각에 특정 비례상수를 곱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토크 초기값이 있는 경우를 가정하면, 이를 1차식 (회전각)×(제1비례상수)+(제1토크초기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제2토크(T2)의 크기는 제1스크린(101)이 제1권취롤(110)의 측면에서 가하는 하중에 제1권취롤(110)의 반경(토크의 팔에 해당됨)을 곱한(벡터곱이지만, 제1스크린이 제1권취롤의 측면에서 접선방향(반경과 수직방향)으로 당겨지므로 값은 일반곱셈과 같다)제1스크린(101)의 토크와, 상수인 웨이트바(300)의 토크를 더한 것과 같다.
이때 제1스크린(101)의 폭, 밀도, 두께, 제1권취롤(110)의 반경을 상수로 가정하면(일상적인 상황에서 이들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제1스크린(101)이 가하는 하중은 제1스크린(101)이 권출된 길이에 비례한다(길이에 비례하여 질량이 증가하고 질량에 비례하여 하중이 증가된다). 호도법에 의해 제1스크린(101)의 권출된 길이[=(제1권취롤의 반경)×(회전각)]는 다시 제1권취롤(110)의 회전각에 비례하므로, 제2토크(T2) 역시 회전각에 특정 비례상수를 곱한 후 웨이트바 토크의 값에 해당하는 상수를 더한 1차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를 (회전각)×(제2비례상수)+(웨이트바 토크)로 표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려진 토션스프링(110a)의 토크공식을 참조하면, 제1토크(T1)=(회전각)×[(토션스프링의 선경)4×(토션스프링의 영률)]/[64×(토션스프링의 직경)×(토션스프링의 감긴 횟수)]+(제1토크초기값)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제1비례상수)는, 토션스프링의 선경, 영률, 직경, 감긴횟수를 조정하면 사용자(제작자)가 원하는 값으로 맞출 수 있다.
또한, 제2토크(T2)=(제1스크린의 토크)+(웨이트바 토크)이나, (제1스크린의 토크)=(제1권취롤의 반경)×(권출된 제1스크린하중)이고, (권출된 제1스크린하중)=(권출된 제1스크린길이)×(제1스크린밀도)×(제1스크린폭)×(제1스크린두께)×(중력가속도)이고, (권출된 제1스크린길이)=(회전각)×(제1권취롤의반경)이므로, 제2토크(T2)=(회전각)×(제1권취롤의 반경)2×(제1스크린밀도)×(제1스크린폭)×(제1스크린두께)×(중력가속도)+(웨이트바 토크)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제2비례상수)는, 제1권취롤의 반경과, 제1스크린의 밀도, 폭, 두께를 조정하면 사용자(제작자)가 원하는 값으로 맞출 수 있다.
또한 웨이트바 토크[=(웨이트바 하중)×(제1권취롤의 반경)] 역시 웨이트바의 하중에 비례하는 상수값이므로, 사용자(제작자)가 원하는 값으로 맞출 수 있고, 제1토크초기값도 적절한 토션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맞출 수 있다(이상에서 회전각은 모두 제1권취롤의 회전각이다).
따라서, 제1토크(T1)=(회전각)×(제1비례상수)+(제1토크초기값)으로, 제2토크(T2)=(회전각)×(제2비례상수)+(웨이트바 토크)로, 제1토크(T1) 및 제2토크(T2) 모두 제1권취롤(110)의 회전각에 대한 1차함수로 표현이 가능하고, 제1비례상수, 제2비례상수, 웨이트바 토크, 및 제1토크초기값도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비례상수, 제2비례상수, 웨이트바 토크, 및 제1토크초기값을 조정하여 제1토크(T1)=제2토크(T2)의 등식이 성립되도록 상술한 제작변수(토션스프링의 선경, 역률, 직경, 감긴횟수, 제1권취롤의 반경, 제1스크린의 밀도, 폭, 두께, 웨이트바의 하중 및 제1토크초기값)를 적정 값들로 맞출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몇 가지 변수를 조정하면 제1토크(T1)와 제2토크(T2)가 모든 회전각에서 실질적으로 균등한 크기로 상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비례상수와 제2비례상수는 각각 상기한 1차함수의 기울기에 해당하므로 제1비례상수와 제2비례상수를 일치시키면 제1토크(T1)의 (회전각에 대한)증가비와, 제2토크(T2)의 (회전각에 대한)증가비가 같아져 회전각이 변동하는 상황에서 보다 면밀하게 제1토크(T1)와 제2토크(T2)을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웨이트바 토크는 일종의 제2토크 초기값으로서 제1토크(T1)와 제2토크(T2)의 시작값이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토크(T1)와 제2토크(T2)를 제1권취롤(110)의 회전각에 관계없이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1스크린(101)이 도 6과 같이 권출된 상태이거나, 또는 도 7과 같이 권취된 상태인 어느 경우에도, 제1토크(T1)로 제2토크(T2)를 상쇄시켜 해당 상태로 자연스럽게 정지시킬 수 있다.
다만 도 7처럼 제1스크린(101)을 위로 밀어 권취시키는 경우에는 제1스크린(101)의 권출된 길이가 감소하여 제1스크린(101)이 가하는 하중이 줄어들고, 그에 따라 제2토크(T2)의 크기가 감소되며, 제1권취롤(110)의 회전각 감소로 토션스프링(110a)이 이완되어, 제2토크(T2)를 상쇄시키는 제1토크(T1)의 크기가 대응하여 감소되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우 작은 외력만 가해도 제1스크린(101)을 쉽게 제1권취롤(110)에서 권출하거나, 제1권취롤(110)에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위치가 조정된 모든 지점에서 토크의 균형에 의해 제1스크린(101)이 해당 위치에 자동 고정되므로 별도의 고정기구도 필요 없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웨이트바(300)를 고정해 놓고 제1스크린(101)과 제2스크린(201)의 비율을 자동으로 바꾸는 조작도 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웨이트바를 고정시킨 상태의 조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웨이트바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작동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웨이트바(300)는 전술한 위치고정부(310)를 이용하여 창틀(B)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위치고정부가 없는 경우에는, 중량체를 웨이트바(300)에 얹어 놓거나 사람이 웨이트바(300)를 붙들고 있는 상태로도 후술하는 조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8의 (a)처럼 먼저 웨이트바(300)를 고정하고 제2스크린(201)을 제1스크린(101)보다 길게 권출시켜 놓을 수 있다. 이러한 초기상태는 설명을 위해 예시된 것이므로 이를 한정적으로 이해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8의 (b)와 같이 제2권취롤(210)을 구동하면, 제2스크린(201)이 권출되고 제1권취바(100)도 따라서 상승된다. 이때 웨이트바(300)는 고정상태이므로, 제1권취바(100)가 상승할수록, 제1스크린(101)은 더 넓게 펼쳐진다.
즉 웨이트바(300)를 고정하고 제2권취롤(210)을 구동하면, 제2스크린(201)이 펼쳐진 길이는 줄이면서, 동시에 제1스크린(101)이 펼쳐진 길이는 늘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1스크린(101)이 권출 또는 권취되는 모든 상태에서 제1토크(T1)와 제2토크(T2)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증가되며 서로를 상쇄하여 균형을 유지시킨다. 따라서 제1스크린(101)은 펼쳐진 길이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도 8의 (c)와 같이 제1권취바(100)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도 8의 (a)와 같이 제1권취바(100)를 하강시키면서 서로 다른 길이로 제1스크린(101)을 조정할 수 있다. 제2권취롤(210)은 전술한 회전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므로 웨이트바(300)를 고정한 상태로 회전구동부를 조정하면 제1스크린(101)과 제2스크린(201)의 비율을 동시에 바꿀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8의 (a)처럼, 창과 중첩되는 제2스크린(201)의 영역을 확대하여 불투명시트로 이루어진 제2스크린(201)으로 창으로 입사하는 빛(A)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처럼, 창과 중첩되는 제1스크린(101)의 영역을 확대하여 반투명시트로 이루어진 제1스크린(101)으로 광량은 줄이고 외부 풍경을 감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의 (b)처럼, 제1스크린(101)과 제2스크린(201)의 영역을 적절한 비율로 조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한 채광을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웨이트바(300)를 창틀(B)에서 분리한 후 제2권취롤(210)을 구동하면, 제1스크린(101)과 제2스크린(201)을 한꺼번에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창의 일부는 완전히 노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2스크린(201)이 고정되거나 또는 움직이는 중이라도, 제1스크린(101)은 간단히 터치하여 언제든지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시점에 제1스크린(101)을 조작하여 길이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블라인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100: 제1권취바 101: 제1스크린
110: 제1권취롤 110a: 토션스프링
110b, 210c: 돌출부 111, 211: 회전블록
112, 217: 스프링고정캡 113, 218: 스프링고정축
114, 215, 219: 끼움블록 120: 제1몸체
130: 제1엔드캡 200: 제2권취바
201: 제2스크린 210: 제2권취롤
210a: 회전구동부 210b: 보조력생성부
212: 구동모터 213: 모터고정캡
214: 모터고정축 216: 보조스프링
220: 제2몸체 230: 제2엔드캡
300: 웨이트바 310: 위치고정부
T1: 제1토크 T2: 제2토크
A: 빛 B: 창틀
C: 손

Claims (10)

  1. 웨이트바;
    하단부가 상기 웨이트바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제1권취롤에 연결되어, 상기 제1권취롤의 회전에 따라 제1권취롤에 권취되거나 상기 제1권취롤에서 권출되는 제1스크린;
    상기 제1권취롤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권취바;
    하단부가 상기 제1권취바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제2권취롤에 연결되어, 상기 제2권취롤의 회전에 따라 제2권취롤에 권취되거나 상기 제2권취롤에서 권출되는 제2스크린; 및
    상기 제2권취롤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권취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권취바는,
    상기 제1권취롤에 연결되어 상기 제1권취롤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며 제1토크를 생성하여, 상기 회전 시 상기 제1스크린과 상기 웨이트바의 하중에 의해 제1토크와 역방향으로 생성되는 제2토크를 상쇄시키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크린은,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균형에 의해서 권출 또는 권취 상태로 자동 고정되어,
    상기 제2권취롤을 구동하면 상기 제1스크린과 상기 제2스크린을 한꺼번에 승강시킬 수 있는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바에 배치되어 상기 웨이트바를 창틀의 일 측에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된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권취바는, 상기 제2권취롤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제2스크린과 상기 제1권취바의 위치를 조정하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 및 상기 제2스크린은 광투과율이 서로 다른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 및 상기 제2스크린 중 어느 하나는 광투과가 가능한 반투명시트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불투명시트로 형성되는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시트는, 투명필름이 틴팅(tinting)처리되어 광투과율이 조정된 것인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은 반투명시트로, 상기 제2스크린은 불투명시트로 형성된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KR1020220101495A 2022-08-12 2022-08-12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KR102546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495A KR102546192B1 (ko) 2022-08-12 2022-08-12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PCT/KR2023/005241 WO2024034775A1 (en) 2022-08-12 2023-04-18 Serial type multi roll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495A KR102546192B1 (ko) 2022-08-12 2022-08-12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192B1 true KR102546192B1 (ko) 2023-06-21

Family

ID=8698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495A KR102546192B1 (ko) 2022-08-12 2022-08-12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6192B1 (ko)
WO (1) WO202403477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852A (ja) * 2002-06-05 2005-12-22 Ryuzo Tsukamoto ブラインド
KR100866344B1 (ko) 2008-05-07 2008-10-31 김성철 롤 블라인드
KR102031526B1 (ko) * 2018-12-03 2019-10-14 곽재석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
JP2020524233A (ja) * 2017-06-19 2020-08-13 ウィンテック コリア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ードレスブラインド装置及びコードレスブラインド装置の調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743U (ko) * 2009-04-23 2010-11-02 김성철 롤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852A (ja) * 2002-06-05 2005-12-22 Ryuzo Tsukamoto ブラインド
KR100866344B1 (ko) 2008-05-07 2008-10-31 김성철 롤 블라인드
JP2020524233A (ja) * 2017-06-19 2020-08-13 ウィンテック コリア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ードレスブラインド装置及びコードレスブラインド装置の調整方法
KR102031526B1 (ko) * 2018-12-03 2019-10-14 곽재석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4775A1 (en)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0468B2 (en) Window Blind
AU753895B2 (en) Flat spring drive system and window cover
US20070227677A1 (en) Cordless window covering
US7228797B1 (en) Cordless blind
KR100754441B1 (ko) 멀티 쉐이드장치
US6761203B1 (en) Balanced window blind having a spring motor for concealed pull cords thereof
KR102051896B1 (ko)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US9797189B2 (en) Cordless window shade and spring drive system thereof
CN109424308B (zh) 百叶窗帘
US5392832A (en) Covering assembly for architectural openings
WO2001079647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nd storing a covering
AU2004201737A1 (en) Roman Shade capable of Adjusting Light Transmittance
EP3765699B1 (en) Window shade and spring drive system thereof
KR102546192B1 (ko)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KR102058096B1 (ko) 외부동력 구동 겸용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JP7175754B2 (ja) ブラインド
KR102074922B1 (ko) 듀얼 블라인드 장치
KR102039012B1 (ko) 듀얼 블라인드
KR101021325B1 (ko) 수동식 스크린 블라인드
KR20200119075A (ko) 방충 및 외부 유해 환경 차단 기능을 겸비한 스크린 장치
KR20090056282A (ko) 롤스크린
KR102449141B1 (ko) 엉킴 복원 기능을 갖는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KR101966418B1 (ko)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및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의 조정방법
AU776515B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nd storing a covering
US20220364413A1 (en) Adjustable roller sha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