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974B1 - 고중량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고중량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974B1
KR102405974B1 KR1020210179538A KR20210179538A KR102405974B1 KR 102405974 B1 KR102405974 B1 KR 102405974B1 KR 1020210179538 A KR1020210179538 A KR 1020210179538A KR 20210179538 A KR20210179538 A KR 20210179538A KR 102405974 B1 KR102405974 B1 KR 102405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contact
stator
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균
Original Assignee
김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균 filed Critical 김상균
Priority to KR1020210179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Abstract

본 발명은 고중량 블라인드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마찰력감쇄링과 제2마찰력감쇄링을 신규로 적용하고 이에 따라 고정자와 물레의 구조도 신규하게 제작하여 중량이 수 십kg 정도에 이르는 고중량 블라인드를 안정적으로 승강 및 하강을 시킬 수 있으며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승강 및 하강을 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고중량 블라인드 구동장치를 종래의 가정용 블라인드 구동장치에 비하여 큰 폭으로 상승됨이 없이 거의 비슷한 제작단가로 제작이 가능하며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구조를 채택하여 고장의 발생 가능성이 거의 없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고중량 블라인드용 구동장치{Heavy weight blind operating device}
.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고중량 블라인드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로 창문이나 유리로 된 벽체 등의 채광량을 조절하거나 외부에서 실내를 관찰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블라인드에 있어서, 가정용은 비교적 크기가 작고 중량도 2~3kg 정도로 가볍기 때문에 블라인드를 승강 및 하강을 시키는 구동장치도 소형의 크기를 가지고 부품의 사이즈도 작게 구성이 되어 있다.
그런데 가정용이 아닌 공장용이나 사무실용, 연구소용 등의 특수한 목적에 따라 제작된 블라인드는 가정용에 비해 크기도 몇 배 이상 크고 특히, 블라인드에 암염처리가 되어 있거나 2중 또는 3중으로 겹쳐져서 제작된 블라인드는 중량이 통상적인 가정용 블라인드에 비하여 최소 몇 배 이상 무거워지게 된다.
이러한 고중량 블라인드를 승강 및 하강을 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가정용 블라인드에 사용되는 구동장치로는 문제가 않음이 확인 되었다. 즉, 가정용 블라인드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상술한 고중량 블라인드를 승강 및 하강을 시킬 때 각 부품들이 접촉되는 부분에 마찰력이 너무 과하게 발생하여 소음이 심하게 나고 이로써 각 부품들이 접촉되는 부분에 심한 마모현상이 발생되어 부품이 파손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기 때문에 수시로 부품을 교체하여야 하는 폐단이 발생되며 블라인드 작동줄을 당길 때 많은 힘이 들어서 큰 불편함이 수반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한 선행특허문헌 중에서 먼저 본 발명인이 등록을 받은 특허 제10-2224948호를 살핀다. 이는 가정용 블라인드 구동기어로서 각 부품들이 서로 조립이 된 상태에서 항상 자동조심(自動調心)이 되도록 하여 부품들이 접촉되어 회전할 때 발생되는 마모현상을 크게 낮추어주어서 부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보다 부드럽고 정숙한 작동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특허 제10-2224948호는 블라인드의 중량이 5kg 전후가 될 경우에는 구동장치에 무리가 없이 사용을 할 수 있었지만 블라인드의 중량이 수 십 킬로그램에 이를 경우에는 구동장치의 내구성 유지에 다소 무리가 있다는 실험결과를 얻게 되었다.
이어서 실용신안등록 제20-0445039호를 살핀다. 이는 유성기어를 사용하여 적은 힘으로 구동장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며 스테인레스 보호구를 사용하여 부품의 내구성을 높인 것이라 되어 있으나 제조단가가 크게 상승되어 블라인드 판매업자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이 자주 발생되는 폐단이 수반된다.
다음, 공개특허 제10-2011-0099074호를 살핀다. 이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을 적용하고 코일스프링을 생략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 역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크게 상승되어 블라인드 판매업자들로부터 외면을 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인해 고장이 자주 발생되는 폐단이 수반된다.
참고로 상술한 가정용 블라인드 구동장치는 본 발명인을 포함하여 극히 일부의 국내 업자들을 제외하고는 전부 중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는데 블라인드 구동장치 1개의 수입 가격은 100원에서 150원 사이라는 충격적인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용신안등록 제20-0445039호와 공개특허 제10-2011-0099074호의 기술은 블라인드 판매업자들로부터 외면을 당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1. 특허 제10-2224948호 2. 실용신안등록 20-0445039호 3. 공개특허 10-2011-0099074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중량이 수 십kg 정도에 이르는 고중량 블라인드를 승강 및 하강을 시킬 때 고정자와 물레 사이에 가장 큰 힘과 가장 큰 마찰력이 작용되는 부분에 제1마찰력감쇄링과 제2마찰력감쇄링을 사용하여 고중량의 블라인드를 안정적으로 승강 및 하강을 시킬 수 있으며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블라인드 구동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고중량 블라인드 구동장치를 제공코자 함이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행기술에 비하여 가장 간단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작단가가 가정용 블라인드 구동장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최저화가 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나며 간단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짐에 따라 부품의 파손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고장도 전혀 발생되지 않는 고중량 블라인드 구동장치를 제공코자 함이 과제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고정자(1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내부는 공간부인 관체(11)의 하단에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은 물레커버(40)의 돌출환(42)의 아래쪽에 구비된 홈부(45) 안으로 끼워지는 제1보강단(15)이 형성되고 제1보강단(15)의 위쪽에는 물레커버(40)의 구멍(44) 안으로 삽입되는 제2보강단(17)이 형성되며 제2보강단(17)의 위쪽으로는 도 1 및 도 2와 같은 제1마찰력감쇄링(50)의 내부경사면(55)이 접촉되는 하부 경사면(16)이 형성되고 관체(11)의 위쪽에는 제2마찰력감쇄링(60)의 내측경사면(62)이 접촉되는 상부 경사면(14)이 형성되며 상부 경사면(14)의 위쪽으로는 나사 등을 조립할 수 있는 구멍(13)을 가지는 보스(12)가 형성되고 내측 하방에는 도 16과 같이 고정자 고정대의 끼움관체에 형성된 끼움 턱들이 끼워지는 홈(17)이 사방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물레(2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중앙에는 고정자(10)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수평 환(25)의 가장자리로는 블라인드 권취관 고정체(30)의 경사 면(36)과 접촉되는 경사 면(27)이 형성되고 경사 면(27)의 원주로는 작동 줄의 볼 물림대(29)들이 형성되며 수평환(25)의 저면의 가장자리로는 제1마찰력감쇄링(50)의 외부경사면(52)과 접촉되는 경사 면(28)이 형성되고 수평 환(25)의 중앙에서 직립된 수직 관체(21)의 하단부 안쪽으로는 제1마찰력감쇄링(50)의 외부경사면(54)과 접촉되는 경사 면(26)이 형성되고 수직 관체(21)의 상단부의 중앙에는 고정자(10)의 보스(12)가 관통하는 구멍(23)이 형성되며 구멍(23)의 아래쪽이며 수직관체(21)의 상단부의 안쪽으로는 제2마찰력감쇄링(60)의 외측경사면(61)이 접촉되는 경사구멍(24)이 형성되고 수직관체(21)의 좌우에는 블라인드 권취관 고정체(30)와의 결합을 위한 절개부(22)가 형성된 구조이다.
다음, 본 발명의 블라인드 권취관 고정체(30)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외면에는 도 16과 같이 블라인드 권취관을 끼워서 물리기 위한 돌기 띠(37)들이 형성된 관체(31)의 하단의 보강단(35)에는 물레(20)의 경사 면(27)에 접촉되는 경사 면(36)이 형성되고 관체(31)의 좌우로는 물레(20)의 절개부(22)에 삽입되는 함몰단(32)이 형성되며 관체(31)의 위쪽의 보강 벽(38)의 중앙에는 고정자(10)의 보스(12)가 관통하는 구멍(34)을 가지는 보스(33)가 형성된 구조이다.
다음, 본 발명의 물레커버(40)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바닥 판(41)의 중앙으로 돌출환(42)이 형성되되 돌출환(42)의 중앙에는 고정자(10)의 제2보강단(17)이 관통하는 구멍(44)이 형성되고 돌출환(42)의 아래쪽에는 고정자(10)의 제1보강단(15)이 삽입되는 홈부(45)가 형성되며 돌출환(42)의 위쪽 가장자리로는 제1마찰력감쇄링(50)의 내부경사면(57)이 접촉되는 경사 면(43)이 형성된 구조이다.
다음, 본 발명의 코일스프링(70)은 도13 및 도 14와 같이 고정자(10)의 관체(11)의 외주 면에 끼워진 채 걸림다리(71)는 물레(20)의 절개부 언저리에 걸려서 블라인드의 승강 및 하강 위치를 유지시키는 코일스프링(70)이 사용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1마찰력감쇄링(5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수평환부(51)의 가장자리 외측에는 물레(20)의 경사 면(28)과 접촉되는 외부경사면(52)이 형성되고 수평환부(51)의 저면 가장자리로는 물레커버(40)의 경사 면(43)에 접촉되는 내부경사면(57)이 형성되며 수평환부(51)의 위쪽으로 돌출된 경사관체(53)의 외측으로는 물레(20)의 경사 면(26)과 접촉되는 외부경사면(54)이 형성되고 수평관체(53)의 안쪽으로는 고정자(10)의 하부 경사면(16)에 접촉되는 내부경사면(55)이 형성된 구조이다.
다음, 본 발명의 제2마찰력감쇄링(6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물레(20)의 경사구멍(24)에 접촉되는 외측경사면(61)과 고정자(10)의 상부 경사 면(14)에 접촉되는 내측경사면(62)으로 된 구조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살피기로 하는 바, 본 발명은 도 16과 같이 벽체고정 프레임과 조립된 고정자 고정대의 끼움관체에 형성된 끼움턱들이 고정자(10)의 내부 하방에 형성된 홈(17)에 끼워짐에 따라 고정자(10)는 고정자 고정대에 고정이 되고, 이때 고정자(10)의 제2보강단(17)은 물레커버(40)의 홈부(45) 안으로 삽입됨에 따라 고정자 고정대에 물레커버(40)도 동시에 고정이 된다.
이어서 관체(11)의 외주 면에는 코일스프링(70)이 끼워지며 고정자의 외측에는 물레(20)가 조립되고 물레(20)의 외측에는 블라인드 권취관 고정체(30)가 조립되는데, 블라인드 권취관 고정체(30)의 보강단(35)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 면(36)은 물레(20)의 경사 면(27)과 접촉이 된다.
한편, 도 16의 상태에서 블라인드 권취관 고정체(30)의 보스(33)에 형성된 구멍(34)을 관통한 고정자(10)의 보스(12)는 고정자의 보스(12)에 형성된 구멍(13) 안으로 나사를 조립하여 블라인드 권취관 고정체(30)가 고정자(1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특허 제10-10-2224948호의 예와 같이 고정자(12)의 보스의 상단 가장자리에 걸림 턱을 형성시켜서 고정자(10)로부터 블라인드 권취관 고정체(30)가 고정자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공지의 수단을 통해 실시할 수가 있음을 밝힌다.
한편, 본 발명의 제1마찰력감쇄링(50)과 제2마찰력감쇄링(60)은 본 발명을 이루는데 가장 중요한 부품이며 요부 기술인데, 먼저 제1마찰력감쇄링(50)은 도 15와 같이 물레(20)의 경사 면(28)과 외부경사면(52)이 접촉되고 다시 물레커버(40) 경사 면(43)과 내부경사면(57)이 접촉되며 다시 물레(20)의 경사 면(26)과 외부경사면(54)이 접촉되고 마지막으로 내부경사면(55)은 고정자(10)의 하부경사면(16)에 접촉되도록 조립이 된다.
이어서 제2마찰력감쇄링(60)은 물레(20)의 경사구멍(24)에 외측경사면(61)이 접촉되고 고정자(10)의 상부 경사 면(14)에 내측경사면(62)이 접촉되도록 조립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 16과 같이 사용상태가 되도록 조립을 하고 블라인드 작동줄을 당겨서 블라인드를 내리거나 올릴 경우 고정자(10)를 중심축으로 하여 물레(20) 그리고 물레(20)와 조립된 블라인드 권취관 고정체(30)가 회전할 때 가장 큰 힘이 걸리는 부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마찰력감쇄링(50)과 제2마찰력감쇄링(60)을 조립한 것이 주요 기술에 해당한다.
이를 다시 살피면, 도 16의 상태에서 블라인드 작동줄을 당겨서 고중량 블라인드를 감아올리거나 풀어서 내릴 때 블라인드의 고중량 때문에 물레(20)와 고정자(10)가 접촉하는 부분에 가장 큰 힘이 걸리게 되고 마찰력 역시 매우 크게 작용됨은 당연한데, 이때 제1마찰력감쇄링(50)과 제2마찰력감쇄링(60)은 물레(20)와 같이 회전을 하거나 고정자(10)와 물레(20)의 접촉 부분 사이에서 미끄러지면서 간헐적인 회전운동을 하면서 마찰력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블라인드 작동줄을 당기는 힘도 적게 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제1마찰력감쇄링(50)과 제2마찰력감쇄링(60)은 고정자(10)와 물레(60) 사이에 발생되는 큰 힘과 마찰력을 분산 및 상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마찰력감쇄링(50)과 제2마찰력감쇄링(60)은 금속이나 비금속 또는 탄소섬유 등으로 제작하여 고정자(10)와 물레(20)에 접촉되는 부분에 마찰력이 최소화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고정자(10)와 물레(20)는 상술한 제1마찰력감쇄링(50)과 제2마찰력감쇄링(60)의 신규한 작용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규하고 진보된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바, 이 역시 본 발명의 요부기술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중량이 수 십kg 정도에 이르는 고중량 블라인드를 승강 및 하강을 시킬 때 고정자와 물레 사이에 가장 큰 힘과 가장 큰 마찰력이 작용되는 부분에 제1마찰력감쇄링과 제2마찰력감쇄링을 사용하여 고중량의 블라인드를 안정적으로 승강 및 하강을 시킬 수 있으며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블라인드 구동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행기술에 비하여 가장 간단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작단가가 가정용 블라인드 구동장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최저화가 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나며 간단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짐에 따라 부품의 파손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고장도 전혀 발생되지 않는 유용함도 간과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마찰력감쇄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을 기준한 중앙부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마찰력감쇄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을 기준한 중앙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를 기준한 중앙부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물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을 기준한 중앙부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권취관 고정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9를 기준한 중앙부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물레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을 기준한 중앙부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중앙부 종단면도.
도 14는 도 13을 기준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15는 도 13을 기준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고정자
20: 물레
30: 블라인드권취관 고정체
40: 물레 커버
50: 제1마찰력감쇄링
60: 제2마찰력감쇄링
70: 코일스프링

Claims (1)

  1. 관체(11)의 하단에는 물레커버(40)의 돌출환(42)의 아래쪽에 구비된 홈부(45) 안으로 끼워지는 제1보강단(15)이 형성되고 제1보강단(15)의 위쪽에는 물레커버(40)의 구멍(44) 안으로 삽입되는 제2보강단(17)이 형성되며 제2보강단(17)의 위쪽으로는 제1마찰력감쇄링(50)의 내부경사면(55)이 접촉되는 하부 경사 면(16)이 형성되고 관체(11)의 위쪽에는 제2마찰력감쇄링(60)의 내측경사면(62)이 접촉되는 상부 경사 면(14)이 형성되며 상부 경사 면(14)의 위쪽으로는 나사 등을 조립할 수 있는 구멍(13)을 가지는 보스(12)가 형성되고 내측 하방에는 고정자 고정체의 끼움관체에 형성된 끼움 턱들이 끼워지는 홈(17)이 사방으로 형성된 채 내부는 전체가 공간부로 된 고정자(10)와;
    중앙에는 고정자(10)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수평 환(25)의 가장자리로는 블라인드 권취관 고정체(30)의 경사 면(36)과 접촉되는 경사 면(27)이 형성되고 경사 면(27)의 원주로는 작동 줄의 볼 물림대(29)들이 형성되며 수평환(25)의 저면의 가장자리로는 제1마찰력감쇄링(50)의 외부경사면(52)과 접촉되는 경사 면(28)이 형성되고 수평 환(25)의 중앙에서 직립된 수직 관체(21)의 하단부 안쪽으로는 제1마찰력감쇄링(50)의 외부경사면(54)과 접촉되는 경사 면(26)이 형성되고 수직 관체(21)의 상단부의 중앙에는 고정자(10)의 보스(12)가 관통하는 구멍(23)이 형성되며 구멍(23)의 아래쪽이며 수직 관체(21)의 상단부의 안쪽으로는 제2마찰력감쇄링(60)의 외측경사면(61)이 접촉되는 경사구멍(24)이 형성되고 수직관체(21)의 좌우에는 절개부(22)가 형성된 물레(20)와;
    외면에는 블라인드 권취관을 끼워서 물리기 위한 돌기 띠(37)들이 형성된 관체(31)의 하단의 보강단(35)에는 물레(20)의 경사 면(27)에 접촉되는 경사 면(36)이 형성되고 관체(31)의 좌우로는 물레(20)의 절개부(22)에 삽입되는 함몰단(32)이 형성되며 관체(31)의 위쪽의 보강 벽(38)의 중앙에는 고정자(10)의 보스(12)가 관통하는 구멍(34)을 가지는 보스(33)가 형성된 블라인드 권취관 고정체(30)와;
    바닥 판(41)의 중앙으로 돌출환(42)이 형성되되 돌출환(42)의 중앙에는 고정자(10)의 제2보강단(17)이 관통하는 구멍(44)이 형성되고 돌출환(42)의 아래쪽에는 고정자(10)의 제1보강단(15)이 삽입되는 홈부(45)가 형성되며 돌출환(42)의 위쪽 가장자리로는 제1마찰력감쇄링(50)의 내부경사면(57)이 접촉되는 경사 면(43)이 형성된 물레커버(40)와;
    고정자(10)의 관체(11)의 외주 면에 끼워진 채 걸림다리(71)는 물레(20)의 절개부 언저리에 걸려서 블라인드의 승강 및 하강 위치를 유지 시키는 코일스프링(70)과;
    수평환부(51)의 가장자리 외측에는 물레(20)의 경사 면(28)과 접촉되는 외부경사면(52)이 형성되고 수평환부(51)의 저면 가장자리로는 물레커버(40)의 경사 면(43)에 접촉되는 내부경사면(57)이 형성되며 수평환부(51)의 위쪽으로 돌출된 경사관체(53)의 외측으로는 물레(20)의 경사 면(26)과 접촉되는 외부경사면(54)이 형성되고 수평관체(53)의 안쪽으로는 고정자(10)의 하부경사면(16)에 접촉되는 내부경사면(55)이 형성된 제1마찰력감쇄링(50)과;
    물레(20)의 경사구멍(24)에 접촉되는 외측경사면(61)과 고정자(10)의 상부 경사면(14)에 접촉되는 내측경사면(62)으로 된 제2마찰력감쇄링(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KR1020210179538A 2021-12-14 2021-12-14 고중량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KR102405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538A KR102405974B1 (ko) 2021-12-14 2021-12-14 고중량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538A KR102405974B1 (ko) 2021-12-14 2021-12-14 고중량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974B1 true KR102405974B1 (ko) 2022-06-07

Family

ID=8198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538A KR102405974B1 (ko) 2021-12-14 2021-12-14 고중량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97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039Y1 (ko) 2007-11-06 2009-06-24 김정민 롤 블라인드
KR20110099074A (ko) 2008-01-31 2011-09-06 (주)주원창호 블라인드의 승강조작장치
KR101318404B1 (ko) * 2012-06-14 2013-10-16 박해성 커튼 승하강 구동장치
KR101359513B1 (ko) * 2013-08-27 2014-02-07 곽재석 이중원단 블라인드의 원단 각도 조절장치
KR20140029102A (ko) * 2012-08-30 2014-03-10 (주)테라솔라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KR20190124998A (ko) * 2018-04-27 2019-11-06 (주)한솔아이엠비 구동 줄이 한 줄로 형성되는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KR20200005434A (ko) * 2018-07-06 2020-01-15 정재헌 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KR102224948B1 (ko) 2020-01-23 2021-03-05 김상균 자동조심(自動調心)형 블라인드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039Y1 (ko) 2007-11-06 2009-06-24 김정민 롤 블라인드
KR20110099074A (ko) 2008-01-31 2011-09-06 (주)주원창호 블라인드의 승강조작장치
KR101318404B1 (ko) * 2012-06-14 2013-10-16 박해성 커튼 승하강 구동장치
KR20140029102A (ko) * 2012-08-30 2014-03-10 (주)테라솔라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KR101359513B1 (ko) * 2013-08-27 2014-02-07 곽재석 이중원단 블라인드의 원단 각도 조절장치
KR20190124998A (ko) * 2018-04-27 2019-11-06 (주)한솔아이엠비 구동 줄이 한 줄로 형성되는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KR20200005434A (ko) * 2018-07-06 2020-01-15 정재헌 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KR102224948B1 (ko) 2020-01-23 2021-03-05 김상균 자동조심(自動調心)형 블라인드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8063A1 (en) Roller shade with a counterbalancing device
KR102405974B1 (ko) 고중량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DE112007000007T5 (de) Selbst hebende Fensterabdeckung
KR101318404B1 (ko) 커튼 승하강 구동장치
CN209987142U (zh) 一种制造具有补偿自养护功能的混凝土生产设备
CN204434177U (zh) 一种内棘轮自锁装置
CN206044082U (zh) 双开护栏
CN216530930U (zh) 直线电机及使用直线电机的装置
CN202850834U (zh) 一种智能升降窗帘系统
CN213869640U (zh) 手动磁驱动中空玻璃内置百叶窗
CN207944902U (zh) 一种内置被动式全自动抗偏磨油管旋转器
CN214630716U (zh) 一种用于升降桌的线性致动器
KR102224948B1 (ko) 자동조심(自動調心)형 블라인드 구동장치
CN2893655Y (zh) 一种蜗卷簧外置式开度仪
CN102733748B (zh) 抗风双轨窗帘
CN207793967U (zh) 一种道路施工护栏
CN205151613U (zh) 一种减少钢丝绳磨损的装置
CN210830343U (zh) 一种双轮式曳引传动装置
CN214630715U (zh) 一种用于升降桌的隐藏式升降立柱
TWI633235B (zh) For curtains and curtains
JP2017008610A (ja) 遮蔽装置
CN1987035A (zh) 由下向上卷动的窗帘
CN206111061U (zh) 隐形纱窗
CN216776670U (zh) 一种多向调节的电动窗帘
CN208071095U (zh) 起吊绳以及起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