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113A -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 Google Patents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113A
KR20140029113A KR1020130017174A KR20130017174A KR20140029113A KR 20140029113 A KR20140029113 A KR 20140029113A KR 1020130017174 A KR1020130017174 A KR 1020130017174A KR 20130017174 A KR20130017174 A KR 20130017174A KR 20140029113 A KR20140029113 A KR 20140029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riving
drive
manual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락
Original Assignee
(주)테라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라솔라 filed Critical (주)테라솔라
Publication of KR20140029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4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adapted for selective electrical or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9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immobilising the closure member in various chosen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Planetary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9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immobilising the closure member in various chosen positions
    • E06B2009/905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immobilising the closure member in various chosen positions using wrap spring 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2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expandable or contractable clamping ring or band
    • F16D41/2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expandable or contractable clamping ring or band having axially adjacent coils, e.g. helical wrap-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작동관계가 조용한 볼체인이나 회전줄의 일측 끝단을 권취 내지 권해하는 방식의 어린이 안전보호를 위한 구동 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구동모듈에 의해 직접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부재와, 수동 구동휠을 갖는 휠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로서, 휠구동부재(415‘)에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 몸체(415a'3); 상기 풀리 몸체(415a'3)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를 구비하는 권취구동수단(415a'1);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일 지점에 일 측 끝단이 고정되고 소정 횟수만큼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보빈에 권취되어지며 타단은 권취구동수단(415a'1)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제1 회전줄(415a'2a); 및 상기 풀리 몸체(415a'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원위치시키는 복귀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줄(415a'2a)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가 회전되면서 제1 회전줄(415a'2a)을 연속하여 보빈으로부터 권해시킴과 동시에 제1 회전줄(415a'2a)을 인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A manual drive wheel apparatus of a shade drive apparatus}
본 발명은 블라인드나 루버 등의 차양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콤비/트리플 블라인드의 스크린 회전봉, 베네치안/ 로만쉐이드/ 허니콤 블라인드의 슬랫의 각도조절이나 권취용 회전봉 및 버티칼 블라인드의 회전봉 (이하 상기 회전봉들을 “회전축"이라 칭함) 을 손으로 잡아당겨 구동시켜주는 수동구동용 볼 체인과 회전줄 (이하 두 가지를 "수동줄" 하나로 통칭함) 을 안전하게 수납하는 어린이 안전보호를 위한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창문틀에 설치되어 창문을 통한 채광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긴 슬랫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선택적 채광을 행하는 베네치안 블라인드 및 슬랫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로 유동되면서 선택적 채광을 행하는 버티컬 블라인드로 대표되는 슬랫 타입 차양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롤에 스크린이 감겨져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선택적 채광을 이루는 롤 블라인드 등과 같은 롤 타입 차양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통상의 롤 블라인드 분해사시도와 롤 단면도이며, 도 2는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통상의 롤 블라인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롤 블라인드는 창문틀 상측에 설치되는 헤드레일(1a); 상기 헤드레일(1a)의 하측에 배치되는 롤 스크린(2) 및 상기 헤드레일(1a)의 일 측단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롤 스크린(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a); 타단을 마감하는 롤 차양용 마개(5a);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 스크린(2)은 체결부재(2b2)와 스크린시트(2b1)으로 구비되는 스크린(2b); 길이방향 내주면에 돌출턱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스크린시트 체결구(2a3)가 일체 형성된 내부가 중공이며 회전 동력축을 겸하며 스크린을 권취하고 권해하는 환봉(2a1)으로 마련되는 롤(2a); 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2a)의 일 측단부에는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a)이 삽입되고, 타단은 롤 차양용 마개(5a)가 끼워지며, 폭이 기다란 스크린시트(2b1)의 하중을 고려하여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봉(2a1) 내부에 처짐보강부재(2a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거나 일체로 형성하기도 하는데, 통상적으로는, 상기 환봉(2a1)은 롤 타입 차양 구동 회전축과 권취 또는 권해(捲解)를 겸하게 하여 매우 경제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환봉 제조방식은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지만, 내부는 제조비용 문제로 인하여 비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a)의 일측에 구비되어 결과적으로 롤(2a)을 회전시키는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로 조작되거나, 전동 모터(미도시)로 환봉(2a1)을 전기 동력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롤 스크린(2)의 스크린(2b)이 롤(2a)에 권취되거나 롤(2a)로부터 권해되어 선택적으로 차광과 채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a)(이하, '제1 종래수동구동모듈')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4a2‘)가 형성된 스프링부재(4a2)가 삽입되어 마련되는 차양스토퍼(4a1);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이 걸려 회전하는 수동풀리(4a3a)와 스프링부재(4a2)의 걸림부(4a2‘)를 스프링부재(4a2)의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차양스토퍼(4a1)와 스프링부재(4a2) 사이의 마찰력을 해제시키고 회전하는 스프링구동부재(4a3b)가 형성되고 차양스토퍼(4a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구동휠 부재(4a3); 외주면이 환봉(2a1)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에 끼워지도록 돌출턱(4a41)이 형성되고 내주면은 구동휠 부재(4a3)와 차양스토퍼(4a1)에 끼워져 결합되며 스프링부재(4a2)의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차양스토퍼(4a1)와 스프링부재(4a2)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제동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된 픽업부재(4a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잡아당긴 힘으로 구동휠 부재(4a3)를 회전시키면 (도 3의 실선 화살표 방향), 구동휠 부재(4a3)의 스프링구동부재(4a3b)가 스프링부재(4a2)의 걸림부(4a2‘)를 스프링부재(4a2)의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차양스토퍼(4a1)와 스프링부재(4a2) 사이의 마찰력을 해제함과 동시에 픽업부재(4a4)의 제동 걸림턱(미도시)을 밀어 회전시킴으로서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턱(4a41)이 환봉(2a1)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를 회전방향으로 밀어 통해 롤(2a)의 환봉(2a1)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의 잡아당김을 멈추면 스크린시트(2b1)의 하중에 따라 환봉(2a1)에 회전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종국에는 픽업부재(4a4)를 회전시키는데, 픽업부재(4a4)의 제동 걸림턱(미도시)은 스프링부재(4a2)의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도 3의 점선 화살표 방향), 차양스토퍼(4a1)와 스프링부재(4a2)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서 환봉(2a1)을 회전 정지시킨다.
이때 스크린시트의 권취 또는 권해된 정도에 따라 해당 거리만큼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이 계속하여 공급되어 힘이 전달되어 환봉(2a1)을 회전시켜야 하며, 환봉(2a1)의 회전에 따라 환봉(2a1)이 계속 공급되어야만 다음 권취에 작동을 반복하게 하며, 공급되는 길이는 환봉의 직경, 기어 비 등에 따라 다르며, 기어비가 클 경우 잡아당기는 힘은 반비례하지만 공급되는 길이는 비례하여 늘어나게 되는 것이고 통상적으로는 스크린시트가 가볍기 때문에 기어 비는 1: 1이고 성인이 손을 들어 잡아당기는 구동길이를 감안하여 스크린시트 기장의 약 2배 이하로 제작된다.
사실, 슬랫 타입이든 롤 타입이든 이와 같은 블라인드에 권취 및 권해 작동에 힘을 전달하는 수단인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은 통상적으로는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U’자형 루프형태를 가지고 스크린시트나 슬랫의 권해길이에 맞춰 하단으로 길게 늘어져 있는 구조이며, 볼 체인(3)의 경우에는 권취시의 스크린시트나 슬랫을 들어 올리는 힘을 고려하여 수동풀리(4a3a)의 홈에 끼워져 힘이 잘 전달되도록 견고한 일자형태의 줄에 동일한 다수의 구형상 플라스틱 볼을 소정간격으로 구분 없이 일체로 사출하고 양 끝단은 결합시켜‘U’자형 루프형태로 매우 견고하게 제작되고 있으며, 회전줄(미도시)은 일자형 줄의 양 끝단을 결합하여 역시‘U’자형 루프형태로 매우 견고하게 제작하며, 값이 저렴하여 대부분의 블라인드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견고함과 U’자형 루프형태이면서 소정 길이로 낮은 위치까지 늘어져 설치되는 관계로 쉽게 아동들이 접근 가능하여 볼 체인(110a)이나 회전줄(미도시)을 가지고 노는 어린아이에게는 오히려 치명적인 인명사고를 유발하고 있어 최근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각국은 이를 방지하는 안전규격을 제정하는 등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업계에서는‘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이 주는 상술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개선 시도가 있으며, 스토퍼가 형성된 일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사용하도록 스프링 복귀 장치를 추가하여 비축된 힘으로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 자체를 복귀시키게 하고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반복하여 공급되도록 하여 아예 ‘U’자형 루프형태를 없애 분리된 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소정 힘이 전체적으로 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이나 회전줄에 가해질 경우 쉽게 분리되게 하거나, 종래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도록 특정 높이까지만 설치되도록 하거나 ‘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의 하단 끝단을 고정하게 하되 아동의 머리가 끼지 않게 하는 등, 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이 주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있다.
그러나 소정 힘이 전체적으로 ‘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에 가해질 경우 단지 분리되게 하는 방법과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도록 특정 높이까지만 설치하거나, ‘U’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의 하단 끝단을 고정하게 하되 아동의 머리가 끼지 않게 하는 업계의 노력들은 사실상 미봉책이며. 스토퍼가 형성된 일자형 루프형태의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사용하도록 스프링 복귀 장치를 추가하여 비축된 힘으로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외부로 있는 그대로 토출하여 원상 복귀시키게 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수동풀리(4a3a)와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의 상호작동관계가 매우 중요한데, 사용자가 길게 잡아당길 때에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 타측이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볼 체인(3)이나 회전줄(미도시)을 길게 잡아당길 때 스토퍼가 부딪히는 소음문제와 함께 강한 잡아당김 힘으로 인하여 스토퍼가 빈번하게 끼게 되므로 쉽게 망가지며, 충돌에 따른 출렁거림이 많아서, 원활한 역회전 작동을 방해받을 수 있고, 회전줄의 경우에는 이에 더하여 회전줄에 볼이 없어 잡아당김 힘이 강할 경우에는 쉽게 미끄러져 차양구동이 용이하지 않으며,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수동풀리(4a3a)에 지그재그로 회전줄 걸림부를 두어 잡아당김 미찰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복귀시에는 오히려 회전줄이 달라붙어 누적되어 끼이게 되는 등 부드러운 복귀가 용이하지 않아 회전줄의 끝단을 잡아당기는 하중을 추가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여야 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작동관계가 조용한 볼체인이나 회전줄의 일측 끝단을 권취 내지 권해하는 방식의 어린이 안전보호를 위한 구동 휠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은, 수동구동모듈에 의해 직접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부재와, 수동 구동휠을 갖는 휠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로서, 휠구동부재(415‘)에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 몸체(415a'3); 상기 풀리 몸체(415a'3)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를 구비하는 권취구동수단(415a'1);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일 지점에 일 측 끝단이 고정되고 소정 횟수만큼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보빈에 권취되어지며 타단은 권취구동수단(415a'1)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제1 회전줄(415a'2a); 및 상기 풀리 몸체(415a'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원위치시키는 복귀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줄(415a'2a)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가 회전되면서 제1 회전줄(415a'2a)을 연속하여 보빈으로부터 권해시킴과 동시에 제1 회전줄(415a'2a)을 인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구동수단(415a'1)은,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동 구동휠은, 상기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의 일 지점에 일 측 끝단이 매듭지어 고정되고 상기 제1 회전줄의 권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 횟수만큼 상기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의 보빈에 권취되어지며 타단은 권취구동수단(415a'1)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제2 회전줄(415a'2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줄(415a'2b)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가 회전되면서 제2 회전줄(415a'2b)을 연속하여 보빈으로부터 권해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줄(415a'2b)을 인출 하강시키되, 제1 회전줄(415a'2a)을 하강 인출하여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보빈에 반대방향으로 권취된 제1 회전줄(415a'2a)을 권해하는 경우에는,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의 보빈에 반대방향으로 권취된 제2 회전줄(415a'2b)을 더욱 권취함으로써 제2 회전줄(415a'2b)이 상승 수납하게 하며, 제2 회전줄(415a'2b)을 하강 인출하여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의 보빈에 반대방향으로 권취된 제2 회전줄(415a'2b)을 권해하는 경우에는,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보빈에 반대방향으로 권취된 제1 회전줄(415a'2a)을 더욱 권취함으로써 제1 회전줄(415a'2a)이 상승 수납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은, 수동구동모듈에 의해 직접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부재와, 수동 구동휠을 갖는 휠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로서, 휠구동부재(415‘)에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 몸체(415a'3); 상기 풀리 몸체(415a'3)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를 구비하는 권취구동수단(415a'1);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일 지점에 양 측 끝단이 고정되고 중앙으로 가면서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보빈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어지며 중앙부위는 권취구동수단(415a'1)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제1 회전줄(415a'2a); 및 상기 풀리 몸체(415a'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원위치시키는 복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줄(415a'2a)의 일측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가 회전되면서 제1 회전줄(415a'2a)의 상기 일측을 연속하여 보빈으로부터 권해시킴과 동시에 제1 회전줄(415a'2a)의 상기 일측을 인출 하강시키며, 상기 제1 회전줄의 중앙 부위는 작은 힘으로도 절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은, 수동구동모듈에 의해 직접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부재와, 수동 구동휠을 갖는 휠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로서, 휠구동부재(415‘)에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 몸체(415a'3); 상기 풀리 몸체(415a'3)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를 구비하는 권취구동수단(415a'1);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일 지점에 중앙이 고정되고 양 끝단으로 가면서 소정 횟수만큼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보빈에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지며 양 끝단은 권취구동수단(415a'1)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제1 회전줄(415a'2a); 및 상기 풀리 몸체(415a'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원위치시키는 복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줄(415a'2a)의 일단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가 회전되면서 제1 회전줄(415a'2a)의 상기 일단을 연속하여 보빈으로부터 권해시킴과 동시에 제1 회전줄(415a'2a)의 상기 일단을 인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은, 수동구동모듈에 의해 직접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부재와, 수동 구동휠을 갖는 휠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로서, 휠구동부재(415‘)에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 몸체(415a'3); 상기 풀리 몸체(415a'3)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를 구비하는 권취구동수단(415a'1);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보빈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권취되면서 각각의 일 끝단이 연결되며 각각의 타단은 권취구동수단(415a'1)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제1 및 제2 회전줄(415a'2a; 415a'2b); 상기 제1 및 제2 회전줄(415a'2a; 415a'2b)의 연결부위에 일 끝단이 연결되는 공통회전줄(415a"4b)을 포함하는 공통회전줄권취부재(415a"4); 및 상기 풀리 몸체(415a'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원위치시키는 복귀 수단; 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회전줄(415a'2a,415a'2b)이 공통 회전줄(415a"4b)의 타단 끝단에 함께 연결되어 전체적으로는 Y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회전줄(415a'2a)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가 회전되면서 제1 회전줄(415a'2a)을 보빈으로부터 권해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줄(415a'2b)을 보빈에 권해시킴으로써, 제1 회전줄(415a'2a)을 인출 하강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줄(415a'2b)을 상승 수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통회전줄권취부재(415a"4)는, 원통형상이고 일 측 단 내주면에 소정 깊이의 수용 홈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상기 공통회전줄(415a"4b) 결합구를 가진 공통회전줄권취보빈(415a"4a)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회전줄(415a'2a)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가 회전되면서 제1 회전줄(415a'2a)에 매달린 공통 회전줄(415a"4b)를 연속하여 상기 공통회전줄권취부재(415a"4)의 공통회전줄권취보빈(415a"4a)으로부터 권해 인출시킴과 동시에 잡아당기는 힘을 태옆(415d1)에 저장하고, 또 동시에 제2 회전줄(415a'2b)도 권취구동부재(415a“1a)에 공통 회전줄(415a"4b)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휘감기며 지나가 외부로 인출되게 하여 제2 회전줄(415a'2b)의 타단이 상승하게 하며, 사용자가 잡아당긴 제1 회전줄(415a'2a)을 놓으면, 하방으로 권해 인출된 제1 회전줄(415a'2a)을 태옆(415d1)의 도움을 받아 잡아당겨 원상으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줄(415a'2b)도 원상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휠 구동부재는, 상기 수동 구동휠을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수동 구동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수동 구동휠을 상기 픽업 부재와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양방향구동 클러치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제1 회전줄(415a'2a) 또는 제2 회전줄(415a'2b)을 인출하였다가 놓으면, 상기 수동구동모듈(410)의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역회전수단(415d)에 의해 풀리 몸체(700a'3)가 역회전되게 되고 이는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를 역회전시켜 하방으로 권해 인출된 제1 회전줄(415a'2a) 또는 제2 회전줄(415a'2b)을 원상으로 권취 수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사용자가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면,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리테이너(415b3)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415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수동풀리(415a)에 결합되며 몸체(415b1b)의 내주면에는 소경부(415b1c)와 대경부(415b1d)를 갖는 원호형상의 양방향 이동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양방향드라이버(415b1); 원판형상의 몸체 중앙에 축공(415b3d)과 그 주변을 따라 다수 구비되는 로프 결합구(415b3b)와 이에 고정되는 복귀용 로프(415d4)를 권취하거나 권해하는 권취부재(415b3c)가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에는 양 측면이 소정 직경의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지는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가 축공(415b3d)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열로 형성된 리테이너(415b3); 및 상기 양방향드라이버(415b1) 양방향 이동홈의 대경부(415b1d)와 상기 리테이너(415b3)의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롤러부재(415b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회전수단(415d)은, 태옆(415d1); 캡부재(413‘b)의 고정단(413‘b2)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핀(415d3); 원통형상이고 일 측 단 내주면에 소정 깊이의 태옆(415d1) 수용 홈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로프 결합구를 가진 태옆보빈(415d2); 태옆보빈(415d2)의 로프 결합구에 일 측 끝단이 결합되고 타 측 끝단은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리테이너(415b3)의 로프 결합구(415b3b)에 결합되는 복귀용 로프(415d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너(415b3)가 회전을 멈추면 각각의 롤러부재(415b2)를 좌우로 밀어 상기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양방향 이동홈 대경부(415b1d) 위치 즉, 중립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위탄발부재를 더 포함하거나, 모든 롤러부재(415b2)를 한꺼번에 탄발 즉 중립위치에 위치에 놓이도록 리테이너(415b3) 전체를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혹은 연속하여 회전시키는 전체탄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줄(415a'2a,415a'2b)의 끝단을 이어주되 작은 힘으로도 쉽게 분리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줄(415a'2a)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줄(415a'2a; 415a'2b)은, 볼 체인, 로프 또는 리본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안전보호를 위한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은, 구동줄의 아래가 일자형이거나 쉽게 절단가능하도록 하여도 되므로 구동줄에 유아의 목이나 신체부위가 걸려 다치거나 사망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차양구동장치가 가능하게 하면서, 안전하고 조용하며, 제조비용도 저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통상의 롤 블라인드 분해사시도와 롤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통상의 롤 블라인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수평방향 절단 단면도이며,
도 4c, 도 4d 및 도 4e는 각각, 도 4b의 C-C선, D-D선 및 E-E선 방향 절단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8는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 휠구동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 휠구동부재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부분분해 사시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B-B선 방향 절단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 유성기어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을 적용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안전보호를 위한 구동 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을 적용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안전보호를 위한 구동 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에 있어서, 전후좌우, 상하, 종횡은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1", "제2"와 같은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 들에서 상대적인 주요성 또는 취지 또는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항은 당업자라면 이에 대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과 관련된 본 출원인의 선행 출원(특허출원 제2013-0002626호)의 명세서 중에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원리가 본 명세서에서 관련 발명으로 참조 되어 지는데, 그에 앞서 선행 출원(특허출원 제2013-0002623호)의 명세서 중에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원리가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원리를 더욱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그대로 참조 되어 진다.
먼저,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을 위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에 대하여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수평방향 절단 단면도이며, 도 4c, 도 4d 및 도 4e는 각각, 도 4b의 C-C선, D-D선 및 E-E선 방향 절단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400a)는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및 도 4e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기어(432)와 선기어(434) 및 유성기어 캐리어(431)로 구성되는 유성기어열(430);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유성기어열(430)의 링기어(432)와 선기어(434) 및 유성기어 캐리어(43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이를 구동 혹은 정지시키는 수동구동모듈(410); 상기 유성기어열(430)의 출력 측에 고정 결합되고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구동하는 구동함몰턱(452a)이 형성된 제2 픽업부재(452); 상기 수동구동모듈(410)의 외주면이 끼워져 수동구동모듈(410)과는 자유롭게 회동되고 외주면에는 피동함몰턱(451a)이 형성되어 차양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되고 차양 회전축(미도시)의 회동에 의해 피동 되는 제1 픽업부재(451); 정지수단(미도시)과 회전축(421)을 가지며 상기 수동구동모듈(410)에 결합되지 않은 상기 유성기어열(430)의 나머지 링기어(432)와 선기어(434) 및 유성기어 캐리어(43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이를 구동 혹은 정지시키는 전동구동 모듈(4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로 수동구동모듈(410)을 통하여 차양을 수동으로 작동시키더라도 전동구동 모듈(420)의 구동이나 정지 상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차양을 수동으로 작동시킴과 동시에 반대로 전동구동 모듈(420)로 차양을 전동으로 작동시킬 때에도 수동구동모듈(410)을 통한 차양의 구동이나 정지 상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차양을 전동으로 작동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전동구동 모듈(420)은 별도의 정지수단을 포함하거나 압전모터와 같이 자체 브레이크 구조를 가진 모터와 차양 회전축(미도시)의 회전속도와 위치값을 측정하도록 상기 제1 픽업부재(451)에 결합되는 하술할 엔코더 장치(440)로 이루어지는 모터장치이며, 여기서 모터는 압전모터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421)은 소정길이 및 직경의 내부 턱이 형성된 중공인 축 커넥터(42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축 커넥터(422)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되, 축 커넥터(422)의 일 측단에는 회전축(421)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유성기어열(430)의 나머지 링기어(432)와 선기어(434) 및 유성기어 캐리어(43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데, 하술할 선 기어(434)의 일 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비하는 바, 압전모터는 전기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전자와 고정자가 예압에 의해 강하게 고정 결합되어 있는 구조의 모터로서, 작동하지 않을 때는 자체적인 구조상 브레이크 기능을 겸하는 압전모터로, 모터의 가동 및 가동중단이 결과적으로 압전모터의 회전축(421)에 의해 상기 유성기어열(430)의 나머지 링기어(432)와 선기어(434) 및 유성기어 캐리어(43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회전 혹은 정지시키는 것이므로 이는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압전모터 외에도 AC모터 혹은 DC모터에 전자브레이크 또는 하술할 수동구동모듈(410)등 정지수단이 결합된 모터장치이면 모두 가능하며 이 또한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하여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400a)는 제1 픽업부재(451)의 구동함몰턱(451a)을 통하여 차양 회전축(미도시)에 끼워지거나 고정 결합되고, 도시하지 않은 브라? 혹은 마감 케이스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차양에 고정 지지되며, 도시하지 않은 차양레일과 같은 차양 커버에 의해 덮여지는데, 이는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하 차양과의 결합관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열(430)은 도 5에 더욱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성기어캐리어(431); 링기어(432); 자유기어(433); 일 측단에 소정 폭의 기어치가 형성된 소정 길이의 선 기어(434); 제1 베어링 커플러(43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성기어캐리어(431)는 자유기어(433)가 끼워져 회동가능 하도록 구비되는 핀이 적어도 1개 구비되고 정중앙에 소정 직경의 홀이 형성된 제1 유성기어 캐리어(431a)와 결합단(431b')이 형성된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로 이루어지고, 상호간은 링기어(432) 내부에서 핀에 끼워진 자유기어(433)가 치합되도록 삽입되며 제1유성기어 캐리어(431a)와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는 일측면이 마주보고 핀을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의 타면은 베어링에 압입되도록 소정길이와 소정 공차 및 직경을 갖는 외주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의 결합단(431b')을 통하여 전동구동 모듈(420)의 전동구동모듈 회전축(421)이나 수동구동모듈(410)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에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전동구동모듈 회전축(421)이 선 기어(434)에 결합되므로 하술할 수동구동모듈(410)의 수동드라이버(414)와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내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일 측단이 개방되되, 커플러캡(4364)와 고정 결합되며, 타단은 중앙에 소정 직경의 중앙 홀이 형성되어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의 일 측단 결합단(431b')이 통과되도록 형성되고 중앙 홀을 제외한 면에 고정 결합용 탭이 다수 형성된 링기어(432)는 제2 픽업부재(452)와 고정 결합 된다.
그리고 제1 베어링 커플러(436)는 제1 유성기어 캐리어(431a)의 홀에 압입되는 압입축(4361); 압입축(436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냅링(4362); 상기 압입축(4361)이 내주면에 압입되고 통과하는 제1 베어링(4363); 제1 베어링(4364)이 내주면에 압입되어지고 단차진 외주면은 링기어(432)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커플러캡(4364);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링기어(432)와 제1 유성기어 캐리어(431a)를 단단히 결합시키되 제1 유성기어 캐리어(431a)와 링기어(432) 상호간에 자유로이 회동하도록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 픽업부재(452)는 내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일 측단이 개방되되, 타단은 중앙에 소정 직경의 중앙 홀이 형성되어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의 결합단(431b')이 관통되어 통과되도록 형성되고 중앙 홀을 제외한 면에는 고정 결합용 탭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성기어열(430)의 출력을 담당하는 링기어(432)와 선기어(434) 및 유성기어 캐리어(43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구동함몰턱(452a)이 환봉(2a1, 도 1a참조)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 도 1a참조)에 끼워지도록 구비되고 여기서는 링기어(432)와 고정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픽업부재(451)는 내주면에 하술할 수동구동모듈(410)의 수동드라이버(414) 외주면이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외주면에는 피동함몰턱(451a)이 형성되어 차양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되고 차양 회전축(미도시)의 회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종래기술의 픽업부재(4a4, 4b4, 도 2 참조)와 달리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구동하는 것이 아니라 차양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피동만 되는 확연하게 다른 특징이 있으며, 종국에는 하술할 상기 엔코더 장치(440)의 엔코더플레이트(440a)를 구동 회전시킴과 동시에 내주면에 하술할 수동구동모듈(410)의 수동드라이버(414)가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관계로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차양의 끝단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안정적으로 거치내지 지지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전동구동 모듈(420)의 엔코더 장치(440)는 엔코더플레이트(440a); 일 측면에는 엔코더플레이트(440a)를 고정하되 타면은 제1 픽업부재(451)에 끼워져 결합되며 제1 픽업부재(451)가 차양 회전축(미도시)의 회동에 의해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는 엔코더홀더(440b); 상기 엔코더홀더(440b)에 엔코더플레이트(440a)를 사이에 두고 끼워져 엔코더플레이트(440a)를 단단히 고정하는 엔코더홀더부재(440c); 엔코더플레이트(440a)로부터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모듈(440d);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센서모듈(440d)은 도시하지 않은 전동구동모듈(420)의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차양 회전축(미도시)의 회전 속도와 위치 값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이울러, 엔코더홀더(440b)는 차양 회전축(미도시)의 속도와 위치 값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라면 차양 회전축(미도시)에 직결 설치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그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는데, 여기서는 제1 픽업부재(451)와 결합시키고 제1 픽업부재(451)에 의해 피동 회전하도록 구비하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엔코더홀더(440b)나 엔코더플레이트(440a) 의 설치에 대하여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440d)과 엔코더플레이트(440a)의 조합은 광학식/ 자석식 등 매우 다양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소정 폭의 슬릿이 도넛형상에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엔코더플레이트(440a)와 광학식 센서모듈(440d)로 구비하며, 엔코더플레이트(440a)가 사이에 끼워져 회전할 때 슬릿과 그 경계면에서의 빛의 차단 혹은 통과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이러한 광학식 엔코더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도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동구동모듈(410)은 걸림부(411a)가 형성된 스프링부재(411b)가 외주면에 끼워져 삽입되어 마련되고 내주면에는 전동구동모듈(420)의 회전축(421)이나 축 커넥터(422)가 관통하여 통과하도록 소정직경의 중공(41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411c)의 일 측 끝단으로 삽입되는 도시하지 않은 중공의 차양 고정 브라?에 단단히 고정 결합되는 수동스토퍼(411); 상기 수동스토퍼(411)가 내부로 끼워지도록 마련되며 회전할 때는 상기 수동스토퍼(411)의 스프링부재(411b)의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걸림부(411a)를 밀어 스프링부재(411b)의 마찰력을 해제 시키는 해제 걸림턱(412a)이 원통형 중공 몸체의 개구된 일부분에 형성된 랩스프링구동부재(412); 상기 랩스프링구동부재(412)가 일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고정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결합단(415c, 도 8 참조)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에는 상기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끼워 당기면 회전하는 수동풀리(415a)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체결단(415c, 도 8 참조)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랩스프링구동부재(412)를 회전시키는 휠구동부재(415); 일 측단 내주면에는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의 결합단(431b')과 고정 결합되는 결합구(414a)와 일 측 끝단 외주면 일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3의 결합수단과 고정 결합 가능한 결합턱(414b)이 다수 형성되고 외주면 나머지 타단은 제1 픽업부재(451)가 끼워져 자유로이 회동하도록 원주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소정 길이로 전동구동모듈(420)의 회전축(421)이나 축 커넥터(422)가 통과하도록 소정직경의 중공이 내주면에 이어서 형성되고 타단은 랩스프링구동부재(412)와 수동스토퍼(411)가 끼워져 결합되고, 자체적으로 회전할 때는 수동스토퍼(411)를 구성하는 스프링부재(411b)의 걸림부(411a)를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스프링부재(4a2)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정지되고 랩스프링구동부재(412)가 회전할 때는 해제 걸림턱(412a)에 밀려 함께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내주면에 제동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된 수동드라이버(41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동드라이버(414)는 차양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픽업부재(451) 내부에 자유로이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구비된다.
휠구동부재(415)는 다른 변형이 가능하데, 랩스프링구동부재(412)가 분리되어 변형된 휠구동부재(415', 도 8 참조)의 체결단(415c, 도 8 참조)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통하여 수동풀리(415a)를 회전시킬 때 랩스프링구동부재(412)를 마찰력으로 구동시키는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도 8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도 8 참조)를 포함하지 않으며 스프링구동부재(412)에 일체로 형성된 수동풀리(415a)가 일체로 구비되는 휠구동부재(415)로 마련되는 바, 이와 같은 수동구동모듈(410)은 종래수동구동모듈(4a, 4b, 도1 및 도2 , 도3 참조)과 다르게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통하여 수동풀리(415)를 회전시키더라도 자체로는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직접 구동시키지 않고 대신에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관계로, 본 발명과 관련된 수동드라이버(414)의 작동 기능은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가 회전할 때는 스프링부재(411b)의 걸림부(411a)를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결과적으로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수동으로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잡아당겨 랩스프링구동부재(412)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으로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유성기어열(430)의 유성기어 캐리어(431)를 선택적으로 정지시키거나 회전시키게 되는 것으로 종래수동구동모듈(4a, 4b, 도1 및 도2 참조)과 그 역할이 확연히 구별된다.
한편, 상기 수동구동모듈(410)은 상기 수동풀리(415)의 외주면에 씌워져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빠지지 않도록 하거나 수동구동모듈(410)을 지지내지 수용하는 캡부재(41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동풀리(415)의 외주면에 씌워져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캡부재(413)를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픽업부재(451) 내부에 엔코더 장치(440)와 수동구동모듈(410)을 삽입하고 외부로 돌출된 수동구동모듈(410)의 수동드라이버(414)를 유성기어열(430)의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에 결합하고, 제2 픽업부재(452)에 유성기어열(430)의 링기어(432)를 결합시키며, 압전모터의 회전축(421)을 축 커넥터(422)를 통해 유성기어열(430)의 선기어(434)와 결합시켜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400a)를 조립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400a)의 작동관계를 설명하자면, 압전모터에 의해 선 기어(434)가 정지된 경우 즉, 수동모드일 때는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통하여 수동풀리(415a)를 회전시키면 이어서 휠구동부재(415) 랩스프링구동부재(412) 수동드라이버(414)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 링기어(432) 상기 제2 픽업부재(452)의 구동함몰턱(452a) 환봉(2a1, 도 1참조)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 도 1참조) 차양 회전축(미도시)으로 그 동력이 전달되어 전동구동 모듈(420)의 구동이나 정지 상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차양을 수동으로 작동시키고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면, 차양스크린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려는 힘이 전동구동 모듈(420)에 의해 선 기어(434)가 정지되어 있으므로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통해 수동드라이버(414)까지 회전되도록 전달되고 이는 수동스토퍼(411)를 구성하는 스프링부재(411b)의 걸림부(411a)를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스프링부재(4a2)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정지하게 되어 차양을 작동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수동드라이버(414)에 결합된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를 정지시키는 것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유성기어열(430)의 유성기어 캐리어(431)를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반대로 전동구동모듈(420)로 차양을 전동으로 작동시킬 때에는 전동구동 모듈(420)의 회전축(421) 축 커넥터(422) 유성기어열(430)의 선 기어(434) 링기어(432) 상기 제2 픽업부재(452)의 구동함몰턱(452a) 환봉(2a1, 도 1참조)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 도 1참조) 차양 회전축(미도시)으로 그 동력이 전달되어 수동구동모듈(410)을 통한 차양의 구동이나 정지 상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차양을 전동으로 작동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400a)을 구성하는 수동구동모듈(410)의 구동구조는 종래의 수동 작동 차양에서처럼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직접 구동하는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a) 및 슬랫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b)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는데,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직접 구동하는 종래의 전동모터를 이용한 차양구동방식과도 다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400a)는 유성기어열(430)을 사이에 두고 전동구동 모듈(420)과 수동구동모듈(410)이 유성기어열(430)을 구성하는 유성기어캐리어(431)와 선 기어(434)를 선택적으로 상호 교번하면서 입력 구동과 정지를 수행하도록 하고 링기어(432)를 통해 하나의 출력구동을 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예컨대 본 발명과 관련된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에 따르면, 차양의 구동에 있어 수동과 전동의 구동이 상호간에 순차적으로 방해 없이 교번 혹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어느 한 측이 고장이 나더라도 정지된 상태를 유지되는 한 작동될 수 있으며, 종래 수동 작동의 장점과 전동 작동의 장점을 고스란히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2 픽업부재(452)가 유성기어열(430)을 완전히 감싸게 할 수 도 있으며, 볼트, 나사, 압입수단,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수동드라이버(414)와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를 직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일체 형성도 가능하고,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 대신에 제1 유성기어 캐리어(431a)를 수동드라이버(414)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수동드라이버(414)를 링기어(432)에 결합시키고 유성기어 캐리어(431)를 제2 픽업부재(452)에 결합시키거나, 이때 유성기어 캐리어(431)에 전동구동모듈(420)의 회전축(421)을 연결시키고 유성기어열(430)의 선기어(434)를 제2 픽업부재(452)에 연결이 가능하고 또, 전동구동모듈(420)와 수동구동모듈(410)이 유성기어열(430)을 사이에 두고 배치할 수 있으며, 이는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400a)의 다양한 변형 예에 불과하다 할 것이다.
부재번호 (432a)는 링기어의 기어부이며, 부재번호 (434a)는 선기어의 기어부이며, 부재번호 (433')는 유성기어의 축이며, 부재번호 (414c)는 수동 드라이버의 내부 걸림턱이며, 부재번호 (4363')는 베어링이며, 부재번호 (423)은 압전모터이며, 부재번호 (412b)는 수동 구동휠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직접적으로 참조되어지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8는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 휠구동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 휠구동부재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부분분해 사시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B-B선 방향 절단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 유성기어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도 8,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관련으로 참조되어지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는 그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410)의 휠구동부재(415’) 및 유성기어열(430’)과 브라?이 일체로 형성된 캡부재(413‘), 그리고 랩스프링구동부재(412’)가 상기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발명의 차양구동장치(400a)를 구성하는 수동구동모듈(410)의 휠구동부재(415) 및 유성기어열(430)과 캡부재(413) 그리고 랩스프링구동부재(412)와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는 상기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발명의 차양구동장치(400a)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부재번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를 참조하면 되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캡부재(413‘)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에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 중앙 전면에는 돌출된 중공이 형성된 고정봉(413’b1)과 몸체 하단에는 내주면 결합홈과 외주면에 소정 직경의 돌출부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단(413‘b2)이 일체로 형성된 제2 캡부재(413‘b); 제2 캡부재(413‘b)에 결합되며 일 측에 소정 깊이의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캡부재(413‘a); 로 이루어지며, 캡부재(413‘)는 상기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발명의 차양구동장치(400a)와 같이 수동풀리(415a)의 외주면에 씌워져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수동드라이버(414)의 끝단을 지지하며 하술할 휠구동부재(415’) 및 랩스프링구동부재(412‘)를 내부에 수용한다.
또한, 본 발명 관련으로 참조되어지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410)을 구성하는 휠구동부재(415’)와 랩스프링구동부재(412’)는 도 7과 도 8 및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발명의 차양구동장치(400a)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410)의 휠구동부재(415)와 랩스프링구동부재(412)와는 다르게 구비하는데, 이를 살펴보면 체결단(415c)이 형성되고 수동풀리(415a)가 일체로 형성된 휠구동부재(415‘)와 중공체 슬리브가 일 측 단에 형성된 랩스프링구동부재(412’)는 각각 분리 구비하며, 랩스프링구동부재(412’)가 내주면에 끼워지고 휠구동부재(415‘)의 체결단(415c)에 일체로 형성 혹은 끼움결합되어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통하여 수동풀리(415a)를 회전시킬 때 회전하면서 랩스프링구동부재(412’)을 마찰력으로 구동시키는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휠구동부재(415’)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끼움돌부(415b1a)가 몸체(415b1b)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몸체(415b1b)의 내주면에는 소경부(415b1c)와 대경부(415b1d)를 갖는 원호형상의 양방향 이동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양방향드라이버(415b1); 원판형상의 몸체 중앙에 축공(415b3d)과 그 주변을 따라 다수 구비되는 로프 결합구(415b3b)와 이에 고정되는 하술할 복귀용 로프(415d4)를 권취하거나 권해하는 권취부재(415b3c)가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에는 양 측면이 소정 직경의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지는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가 축공(415b3d)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열로 형성된 리테이너(415b3); 상기 양방향드라이버(415b1) 양방향 이동홈의 대경부(415b1d)와 상기 리테이너(415b3)의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롤러부재(415b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양방향드라이버(415b1)가 좌우로 회전하면서 상기 롤러부재(415b2)를 좌우로 밀어 원호형상의 상기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양방향 이동홈 소경부(415b1c)와 대경부(415b1d) 사이를 구르게 하고 롤러부재(415b2)가 소경부(415b1c)에 인접할수록 소경부(415b1c)에 의해 끼워져 눌려 그 타단이 리테이너(415b3)의 축공(415b3d) 쪽으로 밀려 돌출되게 하거나 대경부(415b1d) 위치에서는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는 리테이너(415b3)의 축공(415b3d) 쪽으로 돌출된 타단이 후퇴 혹은 전진되도록 하게 하는 방식으로 축공(415b3d)에 삽입되는 랩스프링구동부재(412’) 중공체 슬리브의 외주면을 밀착 또는 해제시켜 마찰력으로 랩스프링구동부재(412’)를 구동하거나 구동 해제시키는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 관련 하여는 양방향드라이버(415b1)가 끼움돌부(415b1a)를 통해 휠구동부재(415’)의 몸체에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단(415c)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비하며, 롤러부재(415b2)는 구형상의 볼이나 소정길이 소정직경의 원통형상의 롤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이고, 본 발명 관련하여는 원통형상의 롤러로 마련되며, 상기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 각각에는 단위탄발부재(미도시)를 쌍으로 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탄발부재(미도시)로는 자석편 혹은 스프링일 수 있고, 단위탄발부재(미도시)란 리테이너(415b3)가 회전을 멈추면 각각의 롤러부재(415b2)를 좌우로 밀어 상기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양방향 이동홈 대경부(415b1d) 위치 즉, 중립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 관련하여는 단위탄발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지 않으며, 이러한 단위탄발부재(미도시)외에도 모든 롤러부재(415b2)를 한꺼번에 탄발 즉 중립위치에 위치에 놓이도록 리테이너(415b3) 전체를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혹은 연속하여 회전시키는 전체탄발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체탄발부재(미도시)와 단위탄발부재(미도시) 대하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특1997-0011290 및 등록실용 20-0260431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되, 본 발명 관련하여는 이를 더 포함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수동구동모듈(410)의 일 구성인 수동스토퍼(411)의 스프링부재(411b)가 전체탄발부재(미도시)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는 순간 몸체로 좁혀져 있던 스프링부재(411b)가 탄성에 의해 원위치 하면서 모든 롤러부재(415b2)를 한꺼번에 탄발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면 리테이너(415b3)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415d)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 관련 하여는 리테이너(415b3) 전체를 역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415d)을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에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또한, 역회전수단(415d)은 태옆(415d1); 상기 캡부재(413‘,413“)의 일 구성인 제2 캡부재(413‘b)의 고정단(413‘b2)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핀(415d3); 원통형상이고 일 측 단 내주면에 소정 깊이의 태옆(415d1) 수용 홈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로프 결합구를 가진 태옆보빈(415d2); 태옆보빈(415d2)의 로프 결합구에 일 측 끝단이 결합되고 타 측 끝단은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리테이너(415b3)의 로프 결합구(415b3b)에 결합되는 복귀용 로프(415d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잡아당겨 휠구동부재(415’)의 수동풀리(415a)를 회전시키면 이에 결합된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양방향드라이버(415b1)가 회전하면서 롤러부재(415b2)를 굴려 리테이너(415b3)의 소경부(415b1c)에 끼워지게 하고 그 마찰력으로 종국에는 리테이너(415b3)까지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결합된 복귀용 로프(415d4)가 리테이너(415b3)의 권취부재(415b3c)에 감기게 됨과 동시에 태옆보빈(415d2)에 감긴 복귀용 로프(415d4)를 권해시키면서 태옆보빈(415d2)을 회전시켜 태옆(415d1)에 그 힘을 저장하게 되며, 역으로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놓으면 태옆(415d1)에 저장된 힘에 의해 역방향으로 태옆보빈(415d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는 복귀용 로프(415d4)를 역으로 권취하게 되며 이어서 리테이너(415b3)의 권취부재(415b3c)에 감긴 타측 복귀용 로프(415d4)를 역으로 권해시킴과 동시에 권취부재(415b3c)를 역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이어서 연속하여 양방향드라이버(415b1)까지 역회전시키게 되고 이는 종국적으로 수동풀리(415a)까지 역회전 시키며 이에 결합된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후진시키게 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 관련 상기 유성기어열(43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 및 제1유성기어 캐리어(431a)의 결합 위치가 바뀌어 수동드라이버(414)에 고정시키는 것과 제2 픽업부재(452) 및 제3 픽업부재(452‘)를 하나 더 추가한 것 외에는 상기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발명의 유성기어열(430)과 그 구성 및 작동 원리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이하, 상기 유성기어열(430’)에 대하여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관련으로 참조되어지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의 작동관계를 설명하자면, 압전모터에 의해 선 기어(434)가 정지된 경우 즉, 수동모드일 때는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통하여 수동풀리(415a)를 회전시키면 이어서 휠구동부재(415’)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 랩스프링구동부재(412’) 수동드라이버(414) 제2 유성기어 캐리어(431b) 링기어(432) 제2 및 제3 픽업부재(452, 452')의 구동함몰턱(452a,452'a) 환봉(2a1, 도 1참조)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 도 1참조) 차양 회전축(미도시)으로 그 동력이 전달되어 전동구동 모듈(420)의 구동이나 정지 상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차양을 수동으로 작동시키고 (두 개의 픽업부재로 인하여 차양 회전축 구동이 더 안정적임), 사용자가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면, 차양스크린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려는 힘이 전동구동 모듈(420)에 의해 선 기어(434)가 정지되어 있으므로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통해 수동드라이버(414)까지 회전되도록 전달되고 이는 수동스토퍼(411)를 구성하는 스프링부재(411b)의 걸림부(411a)를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스프링부재(4a2)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정지하게 되어 수동드라이버(414)에 결합된 제1 유성기어 캐리어(431a)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차양을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유성기어열(430)의 유성기어 캐리어(431)를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상태가 되는 것과 동시에 역회전수단(415d)에 의해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복귀되게 하며, 사용자가 반대로 전동구동모듈(420)로 차양을 전동으로 작동시킬 때에는 전동구동 모듈(420)의 회전축(421) 축 커넥터(422) 유성기어열(430)의 선 기어(434) 링기어(432) 상기 제2 픽업부재(452)의 구동함몰턱(452a) 환봉(2a1, 도 1참조)의 스크린시트 체결구(2a3, 도 1참조) 차양 회전축(미도시)으로 그 동력이 전달되어 수동구동모듈(410)을 통한 차양의 구동이나 정지 상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차양을 전동으로 작동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참조되어지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를 구성하는 수동구동모듈(410)의 구동구조는 종래의 수동 작동 차양에서처럼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직접 구동하는 롤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a) 및 슬랫 차양용 입력구동모듈(4b)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는데, 차양 회전축(미도시)을 직접 구동하는 종래의 전동모터를 이용한 차양구동방식과도 다르며, 상기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발명의 차양구동장치(400a)와는, 잡아당겨진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복귀되는 점이 다르고, 역회전수단(415d)을 양방향 구동클러치(415d)에 더 포함시키지 않으면 종래의 'U'자 형태의 볼체인(미 도시)이나 회전줄(미 도시)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어 참조되어지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는 유성기어열(430’)을 사이에 두고 전동구동 모듈(420)과 수동구동모듈(410)이 유성기어열(430’)을 구성하는 유성기어캐리어(431)와 선 기어(434)를 선택적으로 상호 교번하면서 입력 구동과 정지를 수행하도록 하고 링기어(432)를 통해 하나의 출력구동을 하게 하는 특징에 더하여 잡아당겨진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이 복귀되는 점이 다르므로 ‘U’자형 루프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 대신에 루프형태가 아닌 일자형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 혹은 양단이 쉽게 분리되는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U’자형 루프 볼 체인(미도시)이나 회전줄(미도시)에 의한 어린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참조되어지는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 역시, 차양의 구동에 있어 수동과 전동의 구동이 상호간에 순차적으로 방해 없이 교번 혹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어느 한 측이 고장이 나더라도 정지된 상태를 유지되는 한 작동될 수 있으며, 종래 수동 작동의 장점과 전동 작동의 장점을 고스란히 누릴 수 있는 효과에 더하여 어린이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재번호 (430')는 유성기어열이며, 부재번호 (452')는 제3 픽업부재이며, 부재번호 (452'a)는 제3 픽업부재의 함몰턱이며, 부재번호 (431b1)은 제2 유성기어 캐리어의 결합부이다.
(제1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을 적용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안전보호를 위한 구동 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415a‘)이 적용된 본 발명 관련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f)는 그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410)의 휠구동부재(415‘)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동풀리(415a)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415a‘)과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는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부재번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를 참조하면 되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415a‘)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따른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의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410)의 휠구동부재(415‘)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동풀리(415a)와만 달리 구성되는데, 휠구동부재(415‘)에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 몸체(415a'3); 상기 풀리 몸체(415a'3)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은 로프고정구와 보빈으로 이루어지는 제 1,2 권취구동부재(415a'1a, 415a'1b)로 구비되는 권취구동수단(415a'1) ; 제 1,2 권취구동부재(415a'1a, 415a'1b)의 로프고정구에 각각 일 측 끝단이 매듭지어 고정되고 각각 반대방향으로 소정 횟수만큼 사전에 상기 제 1,2 권취구동부재(415a'1a, 415a'1b)의 보빈에 권취되어지며 타단은 권취구동수단(415a'1)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을 포함하고 본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권취구동수단(415a'1)이 2개의 제 1,2 권취구동부재(415a'1a, 415a'1b)를 쌍으로 하여 일체로 형성시켜 구비하며, 상기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의 일 측 끝단이 상기 제 1,2 권취구동부재(415a'1a, 415a'1b)의 로프고정구에 고정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제1 회전줄(415a'2a)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가 회전되면서 제1 회전줄(415a'2a)을 연속하여 보빈으로부터 권해시킴과 동시에 제1 회전줄(415a'2a)을 인출 하강시키고, 또 동시에 풀리 몸체(415a'3)에 결합된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의 보빈에 반대방향으로 권취된 제2 회전줄(415a'2b)을 더욱 권취함으로써 제2 회전줄(415a'2b)이 상승 수납하게 하며, 사용자가 제1 회전줄(415a'2a)을 놓으면, 상기 수동구동모듈(410)의 일 구성인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역회전수단(415d)에 의해 풀리 몸체(700a'3)가 역회전되게 되고 이는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를 역회전시켜 하방으로 권해 인출된 제1 회전줄(415a'2a)을 원상으로 권취 수납함과 동시에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도 역회전시켜 더욱 권취 수납된 제2 회전줄(415a'2b)만큼은 원상으로 권해 인출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수회의 차양구동에 필요한 제 1,2 회전줄(415a'2a,415a'2b) 각각의 재공급이 잡아당긴 후에 매번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연속하여 수동으로 여러 번 반복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1회 잡아당기기에 용이한 약 50 ~ 60 센티 정도의 길이만큼 제 1,2 권취구동부재(415a'1a, 415a'1b)의 보빈에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권취시키고 추가로 약 50 ~ 60 센티 정도의 길이만큼만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을 각각 하방으로 늘어뜨려 놓으면 키가 작은 어린이의 손이 미치지 못하게 한 상태에서도 반복하여 차양을 손쉽게 구동시킬 수 있어 어린이의 손에 미치는 정도까지 길게 늘어뜨린 'U'루프 회전줄에 의한 어린이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가 제2 회전줄(415a'2b)을 하방으로 잡아당겨도 동일한 원리로 작동함은 주지의 사실이며, 이는 결론적으로 하나의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를 사용하고도 잡아당겨진 각각의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을 모두 원상으로 권취 혹은 권해시킬 수 있어 매우 콤팩트하게 제작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고유한 특징 중 하나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를 구성하는 하나의 양방향드라이버(415b1)를 각각 독립된 2개의 제 1,2 회전줄(415a'2a, 415a'2b)이 공동으로 양방향 회전 구동하게 함은 물론,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의 끝단을 제 1,2 권취구동부재(415a'1a, 415a'1b)에 각각 고정 결합되게 하여 제 1,2 회전줄(415a'2a, 415a'2b)을 길게 잡아당길 때에도 이로 인하여 수동풀리(415a)로부터 회전줄이나 볼 체인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체인이나 회전줄의 타측 끝단에 별도의 스토퍼를 추가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제조비용도 아낄 수 있고, 또 별도로 타측에 스토퍼를 추가한다 하여도 권취 또는 권해되는 길이를 사전에 조절하면, 제 1,2 회전줄(415a'2a,415a'2b) 각각이 차양구동을 위해 끝까지 잡아당겨져서 권해가 완료된다하더라도 스토퍼가 작동하기 전에 잡아당김이 정지됨으로 인하여 스토퍼 충돌 작동 소음이 없어 매우 조용한 특징이 있으며, 잦은 스토퍼 충돌에 따른 망가짐 및 끼임과 스토퍼 충돌시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의 출렁거림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기타 차양을 구동하는 작동관계는 본 발명과 관련된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와 동일하고 또 자세하게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예로써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를 하나 더 포함시켜,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와 제1 회전줄(415a'2a) 및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 및 제2 회전줄(415a'2b) 각각을 1조로 하여 쌍으로 구성이 가능하며, 일 방향 구동만을 위해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와 제1 회전줄(415a'2a) 또는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 및 제2 회전줄(415a'2b) 각각을 1조로 하여 축소 구성하거나, 제 1,2 회전줄(415a'2a,415a'2b) 중 제 1,2 권취구동부재(415a'1a, 415a'1b)에 권취되어지는 부위는 그 굵기를 가늘게 하고 나머지는 굵게 하거나 손잡이 등을 부가하거나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의 끝단을 이어주되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자석 등 다양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볼 체인을 포함한 다양한 구조의 체인이나 로프 또는 리본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달리 변형하면 하나의 회전줄을 구비하고 양 끝단을 제 1,2 권취구동부재(415a'1a, 415a'1b)에 각각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하나의 회전줄을 구비하고 중앙부위를 제 1,2 권취구동부재(415a'1a, 415a'1b)에 고정시키고 양쪽 타단을 반대방향으로 소정 횟수만큼 권취하여 마련할 수도 있는데, 이는 당업자가 매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도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컨대, 본 발명 제 1실시예에 따른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415a')은 잡아당긴 회전줄 자체를 역방향 외부로 그대로 토출시켜 복귀시키지 않고 일 측 끝단을 권취 내지 권해하는 방식으로 타단을 인출시키거나 수납하게 한 후에 차양구동을 위해 재공급 하도록 하게 하는 구성상 독특한 특징과 2개의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이 하나의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공용 사용하게 하는 구성상 독특한 특징이 있으며, 아울러,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의 일측 끝단이 제 1,2 권취구동부재(415a'1a, 415a'1b)에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잡아당길 때에 볼 체인이나 회전줄이 길게 잡아당겨질 경우, 수동풀리(415a)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가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의 타단에 추가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구성상 특징도 있어,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이 원위치로 복귀됨으로 인하여 어린이 안전이 도모되고, 구동 관계가 조용하며 컴팩트하고 제조비용 또한 저렴한 효과가 있다.
(제2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을 적용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안전보호를 위한 구동 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415a“)이 적용된 본 발명 관련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g)는 그 일 구성인 수동구동모듈(410)의 휠구동부재(415‘)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동풀리(415a)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415a")과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는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부재번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를 참조하면 되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뿐 만 아니라,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415a“)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415a')과도 달리 구비되는데, 상세하게는 상기 권취구동수단(415a‘1)이 풀리 몸체(415a'3)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로프고정구와 보빈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권취구동부재(415a’1a)로 구비되는 점과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공통회전줄권취부재(415a"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통회전줄권취부재(415a"4)는 원통형상이고 일 측 단 내주면에 소정 깊이의 수용 홈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로프 결합구를 가진 공통회전줄권취보빈(415a"4a); 공통회전줄권취보빈(415a"4a)의 로프 결합구(미도시)에 일 측 끝단이 결합되고 타 측 끝단은 제 1,2 회전줄(415a'2a,415a'2b) 모두에 결합되는 공통 회전줄(415a"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때 상기 공통회전줄권취보빈(415a"4a)은 수용 홈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태옆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태옆을 더 포함하지 않고 역회전수단(415d)의 태옆(415d1)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공통회전줄권취보빈(415a"4a)을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역회전수단(415d)의 태옆보빈(415d2)에 일체로 형성하여 구비하며, 권취구동부재(415a’1a)로 수동풀리(415a)을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본 제 2실시예에서는 그대로 사용하도록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공통 회전줄(415a"4b)은 공통회전줄권취보빈(415a"4a)에 사전에 소정 횟수 권취되어 구비되며,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이 공통 회전줄(415a"4b)의 타단 끝단에 함께 연결되어 전체적으로는 Y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의 타단은 각각 권취구동부재(415a“1a)에 반대방향으로 사전에 1회 권취된 후에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려 구비되어, 사용자가 제1 회전줄(415a'2a)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권취구동부재(415a“1a)가 회전되면서 제1 회전줄(415a'2a)에 매달린 공통 회전줄(415a"4b)를 연속하여 상기 공통회전줄권취부재(415a"4)의 공통회전줄권취보빈(415a"4a)으로부터 권해 인출시킴과 동시에 잡아당기는 힘을 태옆(415d1)에 저장하고, 또 동시에 제2 회전줄(415a'2b)도 권취구동부재(415a“1a)에 공통 회전줄(415a"4b)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휘감기며 지나가 외부로 인출되게 하여 제2 회전줄(415a'2b)의 타단이 상승하게 하며, 사용자가 잡아당긴 제1 회전줄(415a'2a)을 놓으면,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역회전수단(415d)에 의해 풀리 몸체(415a'3)가 역회전되게 되고, 이는 이어서 권취구동부재(415a“1a)를 역회전시켜 하방으로 권해 인출된 제1 회전줄(415a'2a)을 태옆(415d1)의 도움을 받아 잡아당겨 원상으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줄(415a'2b)도 원상으로 복귀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일례로, 도 14에서는 Y자형 회전줄 중 하단 매듭부분(공통회전줄)까지만 태옆 외부로 나와 있는 상태이므로 Y자의 팔벌린 두 가닥만 휠에 1회 가량 각각 반대방향으로 걸려 있게 되며, 팔벌려서 휘감겨 밖으로 나와 있는 회전줄은 공통회전줄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풀리에 휘감겨 돌 수 있도록 안내를 하는 것이고, 맨처음만 풀리를 회전시켜주게 된다. 이에 따라, 팔벌린 각각 반대방향 풀리에 휘감긴 회전줄을 하단으로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공통회전줄이 태옆에서 나와서 한번 구동휠(풀리)에 감겨지면서 구동휠(풀리)을 마찰력으로 회전시키고 밖으로 인출되어 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태옆에서 나온 줄(공통회전줄)도 구동휠(풀리)에 권취되지 않으며 팔벌린 반대방향 줄도 공통회전줄 매듭에 묶여 구동휠을 지나가 공통회전줄 매듭과 함께 밖으로 잡아당겨졌다가 다시 원위치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2 회전줄(415a'2b)을 하방으로 잡아당겨도 동일한 원리로 작동함은 주지의 사실이며, 이는 결론적으로 하나의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를 사용하고도 잡아당겨진 각각의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을 모두 원상으로 복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고유한 특징 중 하나로서 이를 통하여 매우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더욱 자세하게는,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를 구성하는 하나의 양방향드라이버(415b1)를 각각 독립된 2개의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이 최초 구동한 후에, 이어서 공통 회전줄(415a"4b)이 양방향으로 공용 회전 구동하게 함은 물론,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의 끝단을 공통회전줄권취부재(415a"4)의 공통 회전줄(415a"4b)에 함께 고정 결합되게 하여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을 길게 잡아당길 때에도 이로 인하여 종래 기술이 수동풀리(415a)로부터 회전줄이나 볼 체인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체인이나 회전줄의 타측 끝단에 별도의 스토퍼를 추가하는 것과는 달리 별도의 스토퍼 자체가 필요 없게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아낄 수 있고, 또 별도로 타측에 스토퍼를 추가한다 하여도 권취 또는 권해되는 길이를 사전에 조절하면, 제 1,2 회전줄(415a'2a,415a'2b) 각각이 차양구동을 위해 끝까지 잡아당겨져서 권해가 완료된다하더라도 스토퍼가 작동하기 전에 잡아당김이 정지됨으로 인하여 스토퍼 충돌 작동 소음이 없어 매우 조용한 특징이 있으며, 잦은 스토퍼 충돌에 따른 망가짐 및 끼임과 스토퍼 충돌시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의 출렁거림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기타 차양을 구동하는 작동관계는 본 발명과 관련된 상기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400b)와 동일하고 또 자세하게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예로써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와 제1 회전줄(415a'2a) 그리고 하나의 공통회전줄권취보빈(415a"4a) 및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 와 제2 회전줄(415a'2b) 그리고 하나의 공통회전줄권취보빈(415a"4a) 각각을 1조로 하여 쌍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와 제1 회전줄(415a'2a) 및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 와 제2 회전줄(415a'2b) 쌍과 두개의 공통회전줄권취보빈(415a"4a) 각각을 1조로 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변형으로 일 방향 구동만을 위해 공통회전줄권취부재(415a"4)와 제1 회전줄(415a'2a) 또는 제2 회전줄(415a'2b) 각각을 1조로 하여 축소 구성하거나, 제 1,2 회전줄(415a'2a,415a'2b) 중 공통회전줄권취부재(415a"4) 및 권취구동부재(415a“1a)에 감겨지는 부위는 그 굵기를 가늘게 하고 나머지는 굵게 하거나 손잡이 등을 부가하거나,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의 각각 일부는 회전줄 혹은 나머지 일부는 볼체인으로 구성하거나,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의 타단 끝단을 이어주되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자석 등 다양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볼 체인을 포함한 다양한 구조의 체인이나 로프 또는 리본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권취구동수단(415a‘1)에 공통 회전줄(415a"4b)만이 통과하도록 별도의 보빈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더욱 마찰하도록 줄걸림턱(미도시)을 보빈에 추가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 제 2실시예에 따른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415a“)은 잡아당긴 회전줄 자체를 역방향 외부로 그대로 토출시켜 복귀시키지 않고 일 측 끝단에 연결된 공통 회전줄(415a"4b)를 통해 권취 내지 권해하는 방식으로 제 1,2 회전줄(415a'2a,415a'2b) 타단을 반대 방향까지 인출내지 복귀시켜 독특하게 차양구동을 위해 재공급 하도록 하게 하는 구성상 특징과 제 1,2 회전줄(415a'2a,415a'2b) 이 하나의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를 최초 구동한 후에, 이어서 공통 회전줄(415a"4b)이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여 공용 사용하게 하는 구성상 특징이 있으며, 아울러,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의 일측 끝단이 공통회전줄권취부재(415a"4)의 공통 회전줄(415a"4b)에 함께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잡아당길 때에 볼 체인이나 회전줄이 길게 잡아당겨질 경우, 수동풀리(415a)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가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의 타단에 추가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구성상 특징이 있어, 제 1,2 회전줄(415a'2a,415a'2b)이 원위치로 복귀됨으로 인하여 어린이 안전이 도모되고, 구동 관계가 조용하며 컴팩트하고 제조비용 또한 저렴한 효과가 있다.
이처럼,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410 : 수동구동모듈
420 : 전동구동모듈
430 : 유성기어열
440 : 엔코더 장치
451 : 제1 픽업부재
452 : 제2 픽업부재

Claims (13)

  1. 수동구동모듈에 의해 직접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부재와, 수동 구동휠을 갖는 휠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로서,
    휠구동부재(415‘)에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 몸체(415a'3);
    상기 풀리 몸체(415a'3)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를 구비하는 권취구동수단(415a'1);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일 지점에 일 측 끝단이 고정되고 소정 횟수만큼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보빈에 권취되어지며 타단은 권취구동수단(415a'1)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제1 회전줄(415a'2a); 및
    상기 풀리 몸체(415a'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원위치시키는 복귀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줄(415a'2a)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가 회전되면서 제1 회전줄(415a'2a)을 연속하여 보빈으로부터 권해시킴과 동시에 제1 회전줄(415a'2a)을 인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동수단(415a'1)은,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동 구동휠은, 상기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의 일 지점에 일 측 끝단이 매듭지어 고정되고 상기 제1 회전줄의 권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 횟수만큼 상기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의 보빈에 권취되어지며 타단은 권취구동수단(415a'1)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제2 회전줄(415a'2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줄(415a'2b)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가 회전되면서 제2 회전줄(415a'2b)을 연속하여 보빈으로부터 권해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줄(415a'2b)을 인출 하강시키되,
    제1 회전줄(415a'2a)을 하강 인출하여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보빈에 반대방향으로 권취된 제1 회전줄(415a'2a)을 권해하는 경우에는,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의 보빈에 반대방향으로 권취된 제2 회전줄(415a'2b)을 더욱 권취함으로써 제2 회전줄(415a'2b)이 상승 수납하게 하며, 제2 회전줄(415a'2b)을 하강 인출하여 제2 권취구동부재(415a'1b)의 보빈에 반대방향으로 권취된 제2 회전줄(415a'2b)을 권해하는 경우에는,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보빈에 반대방향으로 권취된 제1 회전줄(415a'2a)을 더욱 권취함으로써 제1 회전줄(415a'2a)이 상승 수납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3. 수동구동모듈에 의해 직접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부재와, 수동 구동휠을 갖는 휠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로서,
    휠구동부재(415‘)에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 몸체(415a'3);
    상기 풀리 몸체(415a'3)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를 구비하는 권취구동수단(415a'1);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일 지점에 양 측 끝단이 고정되고 중앙으로 가면서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보빈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어지며 중앙부위는 권취구동수단(415a'1)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제1 회전줄(415a'2a); 및
    상기 풀리 몸체(415a'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원위치시키는 복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줄(415a'2a)의 일측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가 회전되면서 제1 회전줄(415a'2a)의 상기 일측을 연속하여 보빈으로부터 권해시킴과 동시에 제1 회전줄(415a'2a)의 상기 일측을 인출 하강시키며,
    상기 제1 회전줄의 중앙 부위는 작은 힘으로도 절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4. 수동구동모듈에 의해 직접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부재와, 수동 구동휠을 갖는 휠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로서,
    휠구동부재(415‘)에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 몸체(415a'3);
    상기 풀리 몸체(415a'3)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를 구비하는 권취구동수단(415a'1);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일 지점에 중앙이 고정되고 양 끝단으로 가면서 소정 횟수만큼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보빈에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지며 양 끝단은 권취구동수단(415a'1)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제1 회전줄(415a'2a); 및
    상기 풀리 몸체(415a'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원위치시키는 복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줄(415a'2a)의 일단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가 회전되면서 제1 회전줄(415a'2a)의 상기 일단을 연속하여 보빈으로부터 권해시킴과 동시에 제1 회전줄(415a'2a)의 상기 일단을 인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5. 수동구동모듈에 의해 직접 차양 회전축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부재와, 수동 구동휠을 갖는 휠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로서,
    휠구동부재(415‘)에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 몸체(415a'3);
    상기 풀리 몸체(415a'3)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를 구비하는 권취구동수단(415a'1);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의 보빈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권취되면서 각각의 일 끝단이 연결되며 각각의 타단은 권취구동수단(415a'1) 외부로 인출되어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늘어뜨린 제1 및 제2 회전줄(415a'2a; 415a'2b);
    상기 제1 및 제2 회전줄(415a'2a; 415a'2b)의 연결부위에 일 끝단이 연결되는 공통회전줄(415a"4b)을 포함하는 공통회전줄권취부재(415a"4); 및
    상기 풀리 몸체(415a'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원위치시키는 복귀 수단; 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회전줄(415a'2a,415a'2b)이 공통 회전줄(415a"4b)의 타단 끝단에 함께 연결되어 전체적으로는 Y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회전줄(415a'2a)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가 회전되면서 제1 회전줄(415a'2a)을 보빈으로부터 권해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줄(415a'2b)을 보빈에 권해시킴으로써, 제1 회전줄(415a'2a)을 인출 하강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줄(415a'2b)을 상승 수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회전줄권취부재(415a"4)는, 원통형상이고 일 측 단 내주면에 소정 깊이의 수용 홈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상기 공통회전줄(415a"4b) 결합구를 가진 공통회전줄권취보빈(415a"4a)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회전줄(415a'2a)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가 회전되면서 제1 회전줄(415a'2a)에 매달린 공통 회전줄(415a"4b)를 연속하여 상기 공통회전줄권취부재(415a"4)의 공통회전줄권취보빈(415a"4a)으로부터 권해 인출시킴과 동시에 잡아당기는 힘을 태옆(415d1)에 저장하고, 또 동시에 제2 회전줄(415a'2b)도 권취구동부재(415a“1a)에 공통 회전줄(415a"4b)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휘감기며 지나가 외부로 인출되게 하여 제2 회전줄(415a'2b)의 타단이 상승하게 하며, 사용자가 잡아당긴 제1 회전줄(415a'2a)을 놓으면, 하방으로 권해 인출된 제1 회전줄(415a'2a)을 태옆(415d1)의 도움을 받아 잡아당겨 원상으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줄(415a'2b)도 원상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 구동부재는, 상기 수동 구동휠을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같이 회전하나,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수동 구동에 의해 함께 회전한 직후에 반대방향으로 자체적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수동 구동휠을 상기 픽업 부재와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양방향구동 클러치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제1 회전줄(415a'2a) 또는 제2 회전줄(415a'2b)을 인출하였다가 놓으면, 상기 수동구동모듈(410)의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역회전수단(415d)에 의해 풀리 몸체(700a'3)가 역회전되게 되고 이는 제1 권취구동부재(415a'1a)를 역회전시켜 하방으로 권해 인출된 제1 회전줄(415a'2a) 또는 제2 회전줄(415a'2b)을 원상으로 권취 수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사용자가 볼 체인이나 회전줄을 놓아 수동 작동을 정지시키면,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리테이너(415b3)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수단(415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는,
    상기 수동풀리(415a)에 결합되며 몸체(415b1b)의 내주면에는 소경부(415b1c)와 대경부(415b1d)를 갖는 원호형상의 양방향 이동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양방향드라이버(415b1);
    원판형상의 몸체 중앙에 축공(415b3d)과 그 주변을 따라 다수 구비되는 로프 결합구(415b3b)와 이에 고정되는 복귀용 로프(415d4)를 권취하거나 권해하는 권취부재(415b3c)가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에는 양 측면이 소정 직경의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지는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가 축공(415b3d)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열로 형성된 리테이너(415b3); 및
    상기 양방향드라이버(415b1) 양방향 이동홈의 대경부(415b1d)와 상기 리테이너(415b3)의 단위 탄발부재홀더(415b3a)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롤러부재(415b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수단(415d)은,
    태옆(415d1);
    캡부재(413‘b)의 고정단(413‘b2)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핀(415d3);
    원통형상이고 일 측 단 내주면에 소정 깊이의 태옆(415d1) 수용 홈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로프 결합구를 가진 태옆보빈(415d2);
    태옆보빈(415d2)의 로프 결합구에 일 측 끝단이 결합되고 타 측 끝단은 상기 양방향 구동 클러치(415b)의 리테이너(415b3)의 로프 결합구(415b3b)에 결합되는 복귀용 로프(415d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415b3)가 회전을 멈추면 각각의 롤러부재(415b2)를 좌우로 밀어 상기 양방향드라이버(415b1)의 양방향 이동홈 대경부(415b1d) 위치 즉, 중립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위탄발부재를 더 포함하거나, 모든 롤러부재(415b2)를 한꺼번에 탄발 즉 중립위치에 위치에 놓이도록 리테이너(415b3) 전체를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혹은 연속하여 회전시키는 전체탄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12. 제2 항, 제4 항 및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줄(415a'2a,415a'2b)의 끝단을 이어주되 작은 힘으로도 쉽게 분리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13.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줄(415a'2a)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줄(415a'2a; 415a'2b)은,
    볼 체인, 로프 또는 리본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KR1020130017174A 2012-08-30 2013-02-18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KR201400291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629 2012-08-30
KR20120095629 2012-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113A true KR20140029113A (ko) 2014-03-10

Family

ID=4922036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624A KR101469910B1 (ko) 2012-08-30 2013-01-18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KR1020130005623A KR101297719B1 (ko) 2012-08-30 2013-01-18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KR1020130005626A KR101295684B1 (ko) 2012-08-30 2013-01-18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KR1020130017174A KR20140029113A (ko) 2012-08-30 2013-02-18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KR1020130022634A KR20140029117A (ko) 2012-08-30 2013-03-04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및 이를 포함하는 차양구동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624A KR101469910B1 (ko) 2012-08-30 2013-01-18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KR1020130005623A KR101297719B1 (ko) 2012-08-30 2013-01-18 유성기어열을 이용한 차양구동장치
KR1020130005626A KR101295684B1 (ko) 2012-08-30 2013-01-18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634A KR20140029117A (ko) 2012-08-30 2013-03-04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및 이를 포함하는 차양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90738B2 (ko)
KR (5) KR101469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948B1 (ko) 2020-01-23 2021-03-05 김상균 자동조심(自動調心)형 블라인드 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3161A (en) * 2013-04-17 2014-10-22 Bentley Motors Ltd Display mounting screen
GB2523128B (en) * 2014-02-13 2018-12-26 Auger Torque Europ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econdary drive unit
KR20150124300A (ko) * 2014-04-28 2015-11-05 (주)테라솔라 볼체인복합구동줄 및 이를 적용한 클러치 장치
CA2870983A1 (en) * 2014-11-06 2016-05-06 Etapa Window Fashions Inc Motor retrofitted on roll-up blind cords
CA2921529C (en) * 2015-05-01 2023-03-07 Zmc Metal Coating Inc. Bi-directional clutch with return feature
US9593530B1 (en) * 2015-08-18 2017-03-14 Hunter Douglas Inc. Brake assembly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A3000108A1 (en) 2015-10-02 2017-04-06 Axis Labs Inc. External motor drive system for window covering system with continuous cord loop
US10863846B2 (en) 2015-10-02 2020-12-15 Axis Labs Inc. External motor drive system for window covering system with continuous cord loop
TWI647378B (zh) * 2016-07-06 2019-01-1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
NL2017627B1 (nl) * 2016-10-17 2018-04-24 Coulisse Bv Universele bedieningsinrichting voor scherm, zoals raambekleding
US10655384B2 (en) * 2016-10-19 2020-05-19 Hunter Douglas, Inc. Dual mode architectural structure covering
WO2018161016A1 (en) * 2017-03-02 2018-09-07 Discovery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Linear piezoelectric actuator on rail system
WO2019049222A1 (ja) * 2017-09-06 2019-03-14 株式会社Tok 手動式シャッター装置の開閉方向規制機構及び吊引戸装置の開閉方向規制機構
KR101968010B1 (ko) * 2017-11-02 2019-04-11 김기대 수동 방풍 롤업 셔터장치
KR20190089465A (ko) 2018-01-22 2019-07-31 정재헌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KR20190090667A (ko) 2018-01-25 2019-08-02 정재헌 분리안전장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KR101981009B1 (ko) * 2018-06-27 2019-05-21 박기환 창문용 개폐장치의 수동개폐구조
KR102089175B1 (ko) * 2018-10-22 2020-03-13 박기환 창문용 개폐장치의 수동개폐구조
US11384597B2 (en) * 2019-09-06 2022-07-12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Idler for a window treatment
KR102389310B1 (ko) * 2019-12-12 2022-04-20 박우주 수동 및 전동 겸용 블라인드 구동장치
US20210310303A1 (en) * 2020-04-03 2021-10-07 Clopay Corporation Universal endlock-windlock
KR102646836B1 (ko) * 2020-12-07 2024-03-12 아이오티테크 주식회사 블라인드 키트
US11840886B2 (en) 2021-05-12 2023-12-12 Ryse Inc. External motor drive system adjusting for creep in window covering system with continuous cord loop
KR102631971B1 (ko) * 2021-08-18 2024-01-31 김만용 자동차 보호덮개장치
KR102405974B1 (ko) * 2021-12-14 2022-06-07 김상균 고중량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KR102657754B1 (ko) * 2023-11-16 2024-04-16 한대길 롤블라인더 구동구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80846A1 (fr) * 1980-04-18 1981-10-23 Carpano & Pons Dispositif d'entrainement, pour stores a rouleau, volets roulants, ou similaires
DE3678721D1 (de) 1986-07-29 1991-05-16 Carlo Maurizio Pozzi Sonnenvorhangsantriebseinheit mit integrierter handkurbel.
JPH07331969A (ja) * 1994-06-06 1995-12-19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JPH0913856A (ja) * 1995-06-30 1997-01-14 Toso Co Ltd 手動電動兼用ロールブラインド
US6422965B1 (en) 2000-04-20 2002-07-23 Overhead Door Corporation Door operator unit
ITMC20050133A1 (it) * 2005-12-13 2007-06-14 Gaposa Srl Riduttore epicicloidale a piu' stadi modulari per motoriduttori tubolari di azionamento di avvolgibili, tende a rullo e simili.
DE202006012081U1 (de) 2006-08-04 2006-10-12 Pozzi, Carlo Maurizio Kombinationsantrieb für eine Sonnenschutzblende, insbesondere Markise
EP2057342B1 (en) * 2006-09-01 2014-06-18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Operating and mounting system for a window covering
US20080121353A1 (en) 2006-11-16 2008-05-29 Detmer Brandon J Manual roller shade having clutch mechanism, chain guide and universal mounting
US8230759B2 (en) 2008-12-03 2012-07-31 Chung Hsien Hsieh Integrated brake and chain disk assembly for door operator
AU2010200902B2 (en) 2009-04-09 2016-10-20 Gliderol International Pty Ltd A roller door and a drive assembly for a roller door
KR100970877B1 (ko) * 2010-02-11 2010-07-16 공간산업(주) 자동도어의 수동 개폐장치
GB201008899D0 (en) * 2010-05-27 2010-07-14 Louver Lite Ltd Chain guard housing
CA3080530A1 (en) * 2011-10-03 2013-04-11 Hunter Douglas Inc. Control of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948B1 (ko) 2020-01-23 2021-03-05 김상균 자동조심(自動調心)형 블라인드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117A (ko) 2014-03-10
KR101469910B1 (ko) 2014-12-12
KR101297719B1 (ko) 2013-08-20
US20150330144A1 (en) 2015-11-19
US9790738B2 (en) 2017-10-17
KR101295684B1 (ko) 2013-08-14
KR20140029102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9113A (ko) 차양구동장치의 수동 구동휠
KR101542597B1 (ko) 슬립현상을 개선한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회전축 구동장치
KR101252028B1 (ko) 롤스크린 또는 블라인드의 가동줄 안전연결고리
EP2977543B1 (en) Sunblind driving apparatus having returning function of driving wheel member
EP3039217B1 (en)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US8590592B2 (en)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US5542464A (en) Roller blind with screen rolled up by a spring and rolled down by hand
US20140069596A1 (en) Single Cord Operated Clutch for Roller Blind
US9212518B2 (en) Control device for shades
US8662136B2 (en) Anti-strangulation apparatus for, and hanging freely with, a looped cord of a window covering device
KR20130038855A (ko)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 및 조작 풀리
KR101677263B1 (ko) 블라인드 가동줄의 안전연결고리
JP2016532035A (ja) ブラインド操作コード用安全グリップおよびその取付装置
KR20160095007A (ko) 블라인드 구동장치
JP5721343B2 (ja) 昇降装置、操作コード
JP5859801B2 (ja) 日射遮蔽装置
KR102116717B1 (ko) 캠 유닛, 횡형 블라인드, 일사차폐 장치의 구동 유닛
WO2015167208A1 (ko) 볼체인복합구동줄 및 이를 적용한 클러치 장치
KR20180066644A (ko) 롤스크린 블라인드 승강 장치
KR20070082595A (ko) 이중스프링이 구비된 롤 블라인드 구동장치
KR20190089465A (ko)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CN214659857U (zh) 一种制头及其组成的卷帘
CA2777054C (en)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CN1246316A (zh) 无绳式蜂窝状与打褶窗帘
JP2004331321A (ja) 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